KR100276554B1 - 생물체의눈수술용수술후크 - Google Patents

생물체의눈수술용수술후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6554B1
KR100276554B1 KR1019930027172A KR930027172A KR100276554B1 KR 100276554 B1 KR100276554 B1 KR 100276554B1 KR 1019930027172 A KR1019930027172 A KR 1019930027172A KR 930027172 A KR930027172 A KR 930027172A KR 100276554 B1 KR100276554 B1 KR 100276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urgical
eye
guide portion
fix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7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671A (ko
Inventor
다이슨힉킹보담
드주안유진쥬니어
Original Assignee
그리에샤버콤프.아게샤프하우젠
듀크유니버시티메디칼센터,디파트먼트오브오프탈몰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에샤버콤프.아게샤프하우젠, 듀크유니버시티메디칼센터,디파트먼트오브오프탈몰로지 filed Critical 그리에샤버콤프.아게샤프하우젠
Priority to KR1019930027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6554B1/ko
Publication of KR950016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6554B1/ko

Links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물체의 눈의 외과수술시 홍채의 후방견인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후크모양의 걸이부분을 가진 수술후크(홍채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수술후크(25)는, 만곡부분(12)이 있고 가요성,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제조된 후크요소(10) 및 거기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고정요소(20)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정요소(10)는, 실같은 후크요소(10)를 관통 안내하기 위해 서로 이격 배치된 두 구멍을 갖고 있고, 만곡부분(12)에 의해 홍채(3)의 영역(3")에 걸려 있는 수술후크(25)가 각막(2)으로 부터 공막(7)으로의 천이지점에 지지되도록 또한 눈(1)에 상대하여 배향된 견인운동(Z)에 의해 발출 될 수 있도록 변형될 수 있다. (제4도)

Description

생물체의 눈수술용 수술후크
본 발명은 홍채를 장소적으로 후방 견인하기 위해, 적어도 일단에 후크모양의 걸이부분 및 길쭉한 안내부분이 있는 후크요소, 및 안내부분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것을 통해서 절개부위를 통해 각막내에 삽입된 수술후크가 눈의 외부윤곽에 지지될 수 있게하는 고정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생물체의 눈의 외과 수술용 수술후크에 관한 것이다.
안 외과의 경우, 환자가 약제에 의한 홍채의 확장을 요구하지 않거나 또는 수술을 위한 동공의 확대가 충분하지 않은 문제점이 자주 발생한다. 특히 백내장수술의 경우 앞쪽 눈부분 수술을 위해서뿐 아니라 뒷쪽 눈부분 수술시에 충분히 크고 수술중 변함없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술자의 시야를 보장해줄 필요가 있다. 그러한 시야를 만들기 위해, 하나 또는 수개의 간격을 두고 서로 배치된 수술후크(홍채 견인기)에 의해 홍채를 파지하고 동공의 확대를 위해 홍채를 외측으로 견인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때 각 수술후크는 대응하여 각막에 제공된 절개부위를 통해 삽입하여 눈에 위치시키고 수술후에는 다시 제거한다.
생물체의 눈의 수술을 위해서는, US-A 4,037,589로부터, 슬라이딩부재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수술후크 및 제1수술후크와는 관계없이 홍채의 후방 견인을 위해 눈에 고정할 제2수술후크를 가진, 와이어 프레임으로 되어 있는 지지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제2수술후크는 양단에 만곡된 후크부가 있는 직선부분을 갖고있으며, 그 직선부분에는 가요성 재질로된 디스크(원반)가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그 디스크에 의해 수술후크의 도입을 위해 각막에 배치된 절개부위가 밀폐되어 눈물의 유출이 방지된다. 이 공지의 수술후크의 경우에는, 각 수술후크의 도입을 위해 각막을 관통하는 각 절개부위의 치수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소망스럽지 않은 눈물의 유출을 막기 위해 한편으로는 절개부위를 가요성 디스크로 충분히 밀폐해야 하고 또한 수술후크를 제거한 뒤에는 시간낭비적인 봉합에 의해 다시 폐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EP-A 0 502 258로부터 생물체 눈수술시에 사용될 다른 수술후크가 알려져 있는데, 이 수술후크는 대체로, 형성되어 있는 후크편을 가진 안내부분 및 안내부분에서 이동가능하고 판으로되어 있는 클램프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 수술후크의 경우에는 안내부분이 관통하는 클램프부분에는 적어도 외측 각막 윤곽을 향한 쪽에 원호상의 홈이 있고 그 홈에 의해 클램프 부분은 두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그것을 통해 보장적으로 외측 각막윤곽에 최적 적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급적 정밀한 취급의 유지하에 한편으로는 후방견인시 홍채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수술후크가 추가밀폐(밀봉)의 필요없이 각막의 절개부위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불리스러운 봉합 등의 필요없이 다시 제거될 수 있도록, 수술후크를 개량, 완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목적은, 후크요소를 형성되어 있는 걸이부분과 함께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구성시키고, 걸이부분이 적어도 만족부분에서는 한정된 강성을 갖게하며, 그 강성이, 걸린상태(파지상태)에서는 후방견인된 홍채에 의해 걸이부분에 작용하는 저항력보다 또는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막에 의해 걸이부분에 작용하는 저항력보다 작아서 따라서 눈으로부터 수술후크를 인출할때 걸이부분의 만곡영역이 그 저항력에 의해 완전히 직선상태로 펴질 수 있게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술후크는, 눈의 각막내 도입을 위해서 단지 작은 절개부위가 필요하도록 수술후크가 형성되고 치수 정해져 있어, 안내부분에서 이동할수 있는 고정요소에 의한 추가 밀폐작용이 필요없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는, 수술후크의 실모양의 안내부분이 수술중 절개부에 의해 분리된 각막벽에 의해 자기밀폐적으로 둘러싸인다는 것이 밝혀졌다. 걸이부분에 있어 국부한정된 강성은, 그 위에, 수술후크를 제거하기 위해 대응하여 안내부분에 견인력을 가하면 후크모양의 걸이부분이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그리하여 후크요소는 사실상 긴 실로서 눈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위에 수술후크의 제거후 각막에서의 절개부위는 자기밀폐적으로 폐쇄되고, 그럼으로써 그와 동시에 소망스럽지 않은 안액의 유출이 방지된다는 것도 밝혀졌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절개부위를 봉합하는 것도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 걸이부분에 비해 비교적 긴 실모양의 안내부분은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어, 부주의하게 수술자를 건드리더라도 눈에 아무 손상을 입히지 않은다.
본 발명의 추가특징은 도면과 관련된 설명 및 추가의 청구범위로 부터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이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수술후크를 위한 후크요소(10)의 확대측면도를 나타내는데, 그 수술후크에 의해 눈 수술시 홍채가 파지되어 밖으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제2도에 표시된 것처럼 수술후크(홍채 견인기)는, 실질적으로 후크요소(10) 및 이 후크요소에 배치되어 이동될 수 있고 고정될 수 있는 고정요소(20)를 포함하고 있다.
후크요소(10)는 극히 평활한 표면을 가진 실로 만들어져 있고, 실질적으로 긴 안내부분(11), 및 안내부분(11)의 일단에 배치된 후크모양으로 형성된 걸이부분(15)를 갖고 있다. 걸이부분(15)은 만곡부분(12), 및 안내부분(11)에 대해 간격(14)을 두고 배치된 다리(13)로 구성되어 있고, 다리(13)는 여기에 직각으로 배치된 정면단(13')를 갖고 있다. 정면단(13')은 다리(13)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평활하고 편평한 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머리핀 모양으로 구부러져 있고 안대부분(11)에 형성되어 있는 걸이부분(15)은, 예컨대 다리(13)가 안내부분(11)에 대해 간격(14)을 두고 평행하게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도는 전체로 표시된 수술후크(25)를 나타내는데, 제1도에 의한 후크요소(10)와 거기에 배치된 고정요소(20)를 알아볼 수 있다. 예컨대 원형디스크로 형성되어 있고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 고정요소(20)에는 제3도에 표시된 것처럼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고정요소(20)를 관통하는 2개의 구멍(23 및 23')이 있다. 두 구멍(23, 23')를 고정요소(20)가 후크요소(10)의 안내부분(11) 위에서 이중화살방향(X)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서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요소(20)는 제2도에 표시된 것처럼, 안내부분(11)의 한쪽에서는 윤곽의 단면이 대략 궁형인 설치부(22)가 형성되는 한편 안내부분(11)의 다른쪽에서는 간격을 두고 서로 배치된 두 부분(21, 21')이 돌출하도록 변형된다. 고정요소(20)를 안내부분(11)위에서 이동하도록 하려면, 양부분(21,21')을 상대적으로 서로 모이도록 누르면되고, 그러면 도시되지 않은 두 구멍(23, 23')의 내단들이 안내부분(11)과의 맞물림에서 벗어나게된다(도시 안됨). 양부분(21, 21')을 해방되게하면, 곧 고정요소(20)는 후크요소(10) 위에서 자기 쇄정되어 고정된다.
제3도에는 수술후크(25)가 제2도에 표시된 화살표방향(III)에 따라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안내부분(11)과 걸이부분(15)으로 구성된 후크요소(10) 및 거기에 배치된 고정요소(20)를 볼 수 있다. 서로 이격되고 후크요소(10) 및 고정요소(20)의 공통 대칭축(X')에 배치된 두 구멍(23 및 23')은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요소(20)가 자기 쇄정적으로 안내부분(11)에 배치되고 이중 화살표방향(X, 제2도)으로 양부분(21 및 21')을 함께 누름(압축함)으로써 안내부분(11) 위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실모양의 후크요소에 대해 치수정해져 있다. 양부분(21, 21')을 해방하면 고정요소(20)는 쇄정적으로 지지되고 그리하여 안내부분(11)상의 임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이 시점에서 후크요소(10)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된 비교적 가요성이 큰 실, 예컨대 양호한 표면 미끄럼성을 가진 폴리아미드사가 사용된다는 것을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제1도 및제2도에 도시된 후크요소(10)의 형상을 얻기 위해서는 적당한 열처리에 의해 실을 변형한다.
원하는 형상의 후크요소(10)를 위해서는 폴리아미드사를 안내부분(11)과 걸이부분(15)에 상당하게 형성된 성형체(도시 안됨)에 장전하고 성형체와 함께 열처리(조온)를 받게한다. 열처리에 의해 폴리아미드사는 걸이부분(15)의 영역에서 후크상의 형상을 얻게되고 그럼으로써 국부강성을 갖게 된다. 걸이부분(15)에 비해 긴 안내부분(11)은 열처리후 충분히 가요성인채 남는다. 안내부분(11)은 직선적으로(제1도)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2도에 약시된 것처럼 비교적 큰 반경(곡률반경)을 가진 활의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폴리아미드사의 상기한 열처리에 의해 안내부분(11)을 추가로 견인(화살표방향(Z))함에 의해 대응하여 저항이 커질때는 후크상의 걸이부분(15)이 퍼져서 완전히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정도의 걸이부분(15)의 국부강성이 얻어진다.
고정요소(20)는 양호한 미끄럼성을 가진 가요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두 부분(21,21')을 함께 누르면 전혀 힘들지 않고 후크요소(10)의 안내부분(11)위에서 이동될 수 있다. 고정요소(20)는 예컨대 투명한 실리콘(실리콘 고무)으로 만들어진다.
제4도는 전체적으로 1로 표시된 눈의 약시 수평단면도를 보여주는데, 각막(2), 두부분(3',3")을 가진 홍채(3), 공막(7), 수정체(4), 동공(4') 및 소대(6,6')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 하기위해 제4도에는 걸이부분(15)의 만곡편(12)에 홍채(3)의 한 부분(3")에 걸려 있는 수술후크(25)가 도시되어 있다. 수술후크(25)는 대체로 천이부(5)와 접하고 있는 고정요소(20)의 설치부(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가요성이고 약간 만곡되게 형성된 후크요소[10)의 안내부분(11)은 대략 공막(7)의 외부윤곽에 적합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다수의 수술후크(25)가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양호한 수술부위에의 접근이 보장될 수 있고 수술자는 수술시에 개별적 수술후크(25)의 안내부분(11)에 매달려 있지 않아도 된다.
수술자가 의도하지 않게 안내부분(11)을 접촉하게 되는 것은 길쭉한 안내부분(11)의 가요성에 의해 상쇄될 수 있고, 따라서 약간 건드리는 정도로는 전혀 위험할 만큼의 움직임(수술후크(25)가 뽑혀 나오는 것이나 또는 수정체(4)에 영향을 주는것)이 눈(1)에 전달되지 않는다.
제5도는 제4도 보다 약간 작게 표시된 눈(1)의 일부분의 평면도로서, 수술후크(25)에 의해 부분적으로 뒤로 당겨진 홍채(3)의 일부분(3")을 볼수 있는데, 수술후크(25)는 디스크형 고정요소(20)에의해 천이부(5)에 지지되어 있다.
제6도에는 걸이부분(15)으로 되어있는 후크요소(10)의 앞쪽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폴리아미드사의 열처리에 의해 걸이부분(15)의 영역에는 국부강성이 생긴다. 그러나 이 강성은 단지, 제1단계에는 걸이부분(15) 상태인채로 제4도에 도시된것 처럼 홍채(3)의 부분(3")이 대략 외연에까지 (제5도) 뒤로 당겨질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제2단계에는 수술후크(10)가 바람직하게는 화살표방향 (Z)의 반대방향안쪽으로 이동되게하여, 홍채(3)의 부분(3")의 긴장을 풀어(걸이부분(15)이 홍채(3)와의 맞물림에서 벗어나게함) 수술후크(10)가 약 70° 내지 90° 만큼 그의 종축주위로 회전될수 있게 한다. 이어서 수술후크(10)를 화살표방향(Z)으로 당긴다. 화살표 방향(Z)으로 더 당김으로써, 후크모양의 걸이부분(15)이 다리(13)의 정면(13')에 의해 상세히 표시되지 않은 각막(2)으로부터 공막(7)까지의 안쪽 천이 지점에 접촉하게 되면, 즉시 수술후크(10)가 길쭉한 실로서 빠져나올수 있도록 후크모양의 걸이부분(15)을 들어올린다. 실이 완전히 빠져 나오는 즉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각막(2)에 있는 절개부위의 자기 밀폐적 폐쇄가 일어난다.
그러나 제4도에 도시된 상태로 부터 출발하여 안내부분(11)을 화살표방향(Z)으로 더 당김으로써 수술후크(10)를 분리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뒤로 당겨진 부분(3")의 강성에 의해 걸이부분(15)은 제6도에 약시된 것 처럼 퍼짐으로써 원래의 뻗친상태(점선부분(12',13'))로 바뀌어 눈으로 부터 빠져 나오고, 그리하여 이때에도 또한 수술후크(25)의 분리직후 각막(2)내의 절개부위는 자기 밀폐적으로 폐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술후크(25)의 치수는, 후크요소(10)의 전체길이가 약 5㎜ 내지 8㎜의 크기 범위에 들고 꾸부러진 걸이부분(15)의 길이는 1.0㎜ 내지 1.5㎜의 크기 범위에 든다는 것을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만곡부분(12)의 전체폭은 0.4㎜내지 0.5㎜의 크기 범위에 있다. 폴리아미드사는 예컨대 단면 윤곽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약 0.15㎜ 내지 0.2㎜의 직경을 갖는다.
걸이부분의 만곡영역에 있어 한정된 걸이부분(15)의 강성에 의해, 홍채(3")가 걸려 뒤로 당겨진 상태(제4도)및 걸이부분(15)이 펼쳐진 상태(도시안됨)에서, 본 발명에 의한 수술후크(25)는, 각막(2)에서의 절개부위를 소망스럽지 않게 인열하여 크게 함이 없이, 그 걸이부분(15)이 완전히 퍼진채 문제점 없이 눈(1)으로 부터 빠질수 있다. 각막(2)에서의 절개부위는 수술후크(25)가 분리된후 자기 밀폐적으로 폐쇄된다.
제7도 내지 10도에는 수술후크(25)가 눈(1)으로 부터 빠져 나올때 이 수술후크의 중요단계가 여러 상태별로 확대 도시되어 있다. 수술후크(25)를 제거하기 위한 후술하는 작업방법을 수술후크(25)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들 중 한 바람직한 예이다.
제7도는 제4도와 유사한 눈(1)의 수평단면도를 나타내는데, 각막(2), 두영역(3'및3")을 가진 홍채(3), 공막(7), 수정체(4), 동공(4') 및 소대(6및6')를 알아 볼수 있다. 제4도와는 달리 제7도에 표시된 수술후크(25)는 화살표방향(Z')으로 밀려있어, 걸이부분(15)의 다리(13)는 홍채(3)의 부분(3")과의 물림에서 풀려나 있다.
다음단계에서는 수술후크(25)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의 종축(X')주위로 약70° 내지 90° 만큼 화살표방향 (D)으로 회전된다. 이어서 수술후크(25)는 제9도에 도시한것 처럼 화살표방향 (Z)으로 당겨진다.
후크모양의 걸이부분(15)이 화살표방향(Z)의 추가견인에 의해 제9도에 도시한것 처럼 다리(13)의 정면(13')를 가지고 각막(2)으로부터 공막(7)으로 이행하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천이지점에 접촉하자마자, 후크모양의 걸이부분(15)은, 수술후크(10)가 제10도에 도시한것 처럼 길죽하고 실질적으로 직선인 실로서 눈(1)으로 부터 빠져 나올수 있도록 된다.
제1도는 수술후크를 위한 후크요소의 확대측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후크요소및 거기에 배치된 고정요소로 구성된 수술후크의 측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방향(III)으로본 수술후크의 평면도이고.
제4도는 홍채의 일부가 제2도에 의한 수술후크에 의해 후방견인된 것을 표시하는, 눈의 일부의 확대된 수평단면 약시도이고,
제5도는 홍채가 부분적으로 후방견인된 것이 나타나있는 제4도보다 작게 표시된 눈의 평면도이고,
제6도는 후크모양의 걸이부분에 충분히 펴진 또는 뻗친 상태로 표시되어 있는, 제2도에 의한 수술후크를 위한 후크요소의 일부의 측면도이고,
제7도 내지 10도는 수술후크를 뽑아낼때의 여러단계가 표시된 눈의 일부의 확대된 수평단면 약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눈 2: 각막 3,3',3": 홍채
10: 후크요소 11: 안내부분 15: 걸이부분
20: 고정요소 25: 수술후크

Claims (8)

  1. 홍채(3)를 장소적으로 후방 견인하기 위해, 적어도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모양의 걸이부분(15) 및 길쭉한 안내부분(11)이 있는, 가요성 합성수지사로 되어있는 후크요소(10), 및 안내부분(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어있고 절개부위를 통해 각막(2)내에 삽입된 수술후크(25)가 눈(1)의 외부윤곽에 지지 될 수 있게 하는 고정요소(20)로 구성되어있는, 생물체의 눈(1)의 외과수술용 수술후크에 있어서, 합성수지사는 열가소성이고, 후크요소(10)는 형성되어 있는 걸이부분(15)과 함께 그의 만곡영역(12)에 있어 국부적으로 한정된 강성을 갖고 있으며, 그 강성은, 축제용 합성수지사의 강성과는 상이하고, 걸린상태에서는 뒤로 견인된 홍채(3")에 의해 걸이부분(15)에 작용하는 저항력 또는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막(2)에 의해 걸이부분에 작용하는 저항력보다 작아서, 눈(1)으로부터 수술후크(15)를 인출할 때 걸이부분(15)의 만곡영역이 그 저항력에 의해 대체로 직선상태로 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물체의 눈 수술용 수술후크.
  2. 제1항에 있어서, 후크모양의 걸이부분(15)은 열처리에 의해 후크요소(1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술후크.
  3. 제1항에 있어서, 형성된 걸이부분(15)이 있는 후크요소(10)는 폴리아미드사로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술후크.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요소(20)는 가요성디스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가요성디스크는 그 대칭축에 대해 간격을 두고 서로 배치된 적어도 두개의 구멍(23,23')을 갖고 있고, 그 구멍을 통해 실모양의 후크요소(10)의 안내부분(11)이 관통안내 될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후크.
  5. 제4항에 있어서, 고정요소(20)는 후크요소(10)위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부분(11)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는 고정요소(20)가 임의의 위치에서 자기쇄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고유강성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후크.
  6. 제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고정요소(20)는, 이요소가 삽입된 상태에 있어 안내부분(11)의 한쪽에서는 이격되어 있고 고정요소(20)를 이동시키기 위해 압축될 수 있는(함께 눌러 질수 있는) 두 부분(21,21')을 이루고, 다른쪽에서는 고정요소(20)를 눈에 지지 고정하는데 이용될 활모양의 설치부(22)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술후크.
  7. 제4항에 있어서, 고정요소(20)는 이격되어 있고 표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향된 구멍(23,23')이 관통하는 디스크로 형성되어 있고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어 있으며, 디스크모양의 고정요소(20)는 그 외형에 있어 원, 타원, 정방형 또는 직사각형 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술후크.
  8. 제1항에 있어서, 고정요소(20)는 실리콘고무등으로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수술후크.
KR1019930027172A 1993-12-10 1993-12-10 생물체의눈수술용수술후크 KR100276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172A KR100276554B1 (ko) 1993-12-10 1993-12-10 생물체의눈수술용수술후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7172A KR100276554B1 (ko) 1993-12-10 1993-12-10 생물체의눈수술용수술후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671A KR950016671A (ko) 1995-07-20
KR100276554B1 true KR100276554B1 (ko) 2002-08-19

Family

ID=6685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7172A KR100276554B1 (ko) 1993-12-10 1993-12-10 생물체의눈수술용수술후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655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671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4279A (en) Iris retractor for use in operations on the eye of a living creature
US5807244A (en) Single use disposable iris retractor
US4619256A (en) Intraocular lens inserting assembly
US4615701A (en) Intraocular lens and method of implantation thereof
US5267553A (en) Pupil expand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2554844B2 (ja) 変形可能な眼内レンズ
US4600004A (en) Intraocular lens holder and inserter
US6299618B1 (en) Intraocular lens insertion device
EP3600077A1 (en) Clip applier having stabilizing member
EP0705080B1 (en) Intraocular lens folder
US20160030239A1 (en) Pupil expander
JP2002095691A (ja) 生物の目に対する外科的処置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装置及び虹彩を引っ張る方法
KR101878258B1 (ko) 의료용실 삽입기구
WO1995002378A1 (en) Intraocular lens with improved haptic locking
US4600003A (en) Intraocular lens inserting tool
US5716328A (en) Iris retractor for use in surgical procedure on the eye of a living being
WO1995015120A1 (en) Pupil expand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HAVENER Massive vitreous retraction
AU2003201012B2 (en) Intraocular lens
KR20010089259A (ko) 생체 안구의 외과적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홍채 견인기
US20130197533A1 (en) Ocular lens capsule retainer
US6923793B2 (en) Clamp for winged needle
US6217594B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scleral tissue
KR100276554B1 (ko) 생물체의눈수술용수술후크
US20140316520A1 (en) Support segment for ocular 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