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5458B1 -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5458B1
KR100275458B1 KR1019980040159A KR19980040159A KR100275458B1 KR 100275458 B1 KR100275458 B1 KR 100275458B1 KR 1019980040159 A KR1019980040159 A KR 1019980040159A KR 19980040159 A KR19980040159 A KR 19980040159A KR 100275458 B1 KR100275458 B1 KR 100275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atellite
frequency synchronization
frequenc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191A (ko
Inventor
이종식
김진대
최홍석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4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5458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5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5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62Arrangements for Wireless System Synchronisation
    • H04B7/2668Arrangements for Wireless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System Synchronis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3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 G01S19/07Cooperating elements; Interac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different cooperating elements or between cooperating elements and receivers providing data for correcting measured positioning data, e.g. DGPS [differential GPS] or ionosphere cor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5Transmission equipment in satellites or space-based r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6Code division or spread-spectrum multiple access [CDMA,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4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 H04L7/041Speed or phase control by synchronisation signals using special codes as synchronising signal
    • H04L7/043Pseudo-noise [PN] codes variable during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 정지궤도위성과 CDMA 또는 의사위성용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된 점에 착안하여 하나의 정지궤도위성에서 기존의 통신링크중 하나를 이용해 시각/주파수 동기를 요하는 지상기지국의 시각/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통제국에서 위성의 위치정보, 시각정보, 의사잡음신호 또는 기준 펄스가 실린 측위신호를 위성으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위성에서 기존의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측위신호를 정확한 시각/주파수 동기를 원하는 지상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지상기지국에서 측위신호로부터 시각/주파수 정보와 위성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주파수 정보 및 위성의 위치정보와 미리 측정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시각/주파수 동기를 구현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본 발명은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 정지궤도위성 및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의사위성용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된 점에 착안하여 하나의 정지궤도위성에서 기존의 통신링크를 통하여 지상기지국의 시각동기 뿐만아니라 주파수 동기를 맞출 수 있도록 한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광역지구측위방식(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활용하는 방법이 최소한 네 개의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위성내에 원자시계가 탑재되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와 기술적인 문제점을 내포하였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의 GPS 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1"은 GPS 위성, "12"는 시각/주파수 동기가 필요한 지상기지국을 각각 나타낸다.
최근, 우리 나라에서 이용되는 개인휴대통신시스템(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디지털 셀룰라(Digital Cellular) 등의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방식의 이동통신망은,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를 위해 기지국간에 시각/주파수 동기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이다. 여기서, 요구되는 기지국간 시각/주파수 동기의 정확도는 규격에 나와 있지는 않지만, 현재 상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는 도 1과 같은 GPS 위성 활용 방식에서 주고 있는 대략적으로 10-6∼10-8 sec 정도의 정확도면 별무리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종래의 상용화된 GPS 위성(11)을 활용한 시각/주파수 동기 장비는 기본적으로 민간에서 이용가능한 C/A(Coarse Acquisition) 코드를 받아서 지상기지국(12)의 시각/주파수 동기를 맞추어 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미국에서 군사적인 목적으로 SA(Selective Availability) 방식을 사용하여 고의적으로 성능을 저하시키고 있기 때문에, 이를 기술적으로 해결하여 더 정밀한 시각/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해 더 복잡한 구조의 수신기나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GPS 위성체내에 원자시계가 탑재되어야 하고 자체 시각/주파수의 안정도를 향상시켜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는 등의 기술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이 따랐다.
이외에도, 종래에는 각 GPS 위성(11)간에도 서로간의 정확한 시각/주파수 동기를 위해 별도로 관측용 수신기와 프로세서를 장착하여야만 하므로, 위성체의 페이로드(Payload)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위성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 정지궤도위성과 CDMA 또는 의사위성용 기지국의 위치가 고정된 점에 착안하여 하나의 정지궤도위성에서 기존의 통신링크중 하나를 이용해 시각/주파수 동기를 요하는 지상기지국의 시각/주파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의 GPS 위성을 이용한 시각동기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연시간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주통제국 22 : 정지궤도위성
23 : 지상기지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 적용되는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에 있어서, 통제국에서 위성의 위치정보, 시각정보, 의사잡음신호 또는 기준 펄스가 실린 측위신호를 상기 위성으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위성에서 기존의 통신채널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제국으로부터의 측위신호를 정확한 시각/주파수 동기를 원하는 지상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지상기지국에서 상기 측위신호로부터 시각/주파수 정보와 상기 위성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주파수 정보 및 상기 위성의 위치정보와 미리 측정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시각/주파수 동기를 구현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은, 기준 주파수와 시각 정보가 실린 측위신호를 정지궤도위성(22)에 송신하는 주통제국(Master Control Station)(21)과, 주통제국(21)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지상에 재전송하는 정지궤도위성(22)과, 미리 측정된 자신의 위치 정보를 가지고 정확한 시각/주파수 동기를 추출하는 지상기지국(23)으로 구성된다.
현재, CDMA 이동통신망에서 GPS를 이용한 시각 동기는 절대적인 GPS 협정세계시(UTC : Coordinated Universal Time)를 기준시각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CDMA와 같은 동기방식이나 측위용 의사위성에서는 굳이 절대적인 UTC 시각에 맞출 필요가 없으며, 단지 인접 기지국간에 상대적인 시각만 일치시키면 된다. 또한, 기지국이 고정된 위치에 설정되어 있고, 점차적으로 마이크로셀(Micro-cell), 피코셀(Pico-cell)로 인접 기지국간 거리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추세를 고려하면 많은 시각오차 요인들은 주로 공통된 오차들로 예상되는바, 그 효용성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방식을 활용하여 국내의 통신용 정지궤도위성인 무궁화 위성을 이용하여 실현한다면, 위성체에 추가적인 페이로드의 부담없이 손쉽게 CDMA용 기지국 동기를 맞출 수 있으며, 지구상에서 관측시 항상 움직이고 있는 GPS 위성과 본 방식에서 고려하는 위성이 정지궤도위성(22)이므로 도플러 효과(Doppler Shift)에 의한 주파수 변화가 존재하지 않는 부가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다.
주통제국(21)은 원자시계를 이용하여 표준 시각과 표준 주파수를 발생하고, 현재의 시각 정보와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 정보가 실린 확산 대역 방식의 의사랜덤잡음(PRN : PseudoRandom Noise) 신호를 정지궤도위성(22)에 송신한다. 여기서, PRN 신호의 칩속도(Chip Rate)가 시각 정확도를 좌우하므로 높게 잡는게 기본적으로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지만, 칩속도가 너무 높으면 대역폭이 증가하므로 기술적인 면과 요구되어지는 시각 정확도 측면에서 적절한 정도로 결정하고, 업링크(Uplink)용 주파수대역도 시각동기를 요하는 수신기의 안테나나 무선주파수(RF : Radio Frequency) 모듈에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지 않도록 결정한다.
만약, 시각 정확도를 개선할 목적으로 정지궤도위성의 정확한 현재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구하려면 부가적인 지상관제국들을 설치하여 정지궤도 위성신호로부터 다운링크(Downlink) 신호를 분석하여 역이산 GPS(IDGPS : Inverted Differential GPS) 방식을 구현한다면 위성 궤도 오차에 의한 시각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정지궤도위성(22)은 주통제국(21)에서 보낸 신호를 받아서 우리나라 전역에 단순히 리피터(Repeater)로서 탑재용 프로세서(On-board Processor)없이 재전송한다. 여기서, 완전히 하나의 시각 정보만을 위한 통신 채널을 확보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지만, 시간적으로 기존 통신 채널을 다른 정보를 전송하는데 이용하다가 시각동기용 기지국에서 시각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시점에서 시분할방식접속 (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잠시 사용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물론, 정지궤도위성(22)에서의 업링크 채널과 다운링크 채널을 별도로 사용하여 중심 주파수가 다를 경우에는 주파수 천이기(Mixer)가 필요한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표준 주파수로서 주통제국(21)에서 보낸 확산 스펙트럼 신호를 기준 발진기(Oscillator)와 시계(Clock)로서 활용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자국내에 존재하는 시각동기를 요하는 지상기지국(23)들은 자신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미 자신의 위치 정보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지상기지국(23)은 정지궤도위성(22)에서 보내주는 신호를 수신하여 정지궤도위성(22)의 정지궤도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얻어내고, 지속적으로 기준발진기와 기준클락(clock)으로 활용한다. 또한, 시각/주파수 동기를 위해서는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 시각정보와 자신의 위치정보로부터 간단히 계산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가 우주공간상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각정보를 얻는데 있어서, 정지궤도위성(22)을 단지 업링크와 다운링크로 통신채널로만 활용하며, 위치가 고정된 지상기지국(23)에서 정확한 지연시간을 측정하므로써, 원하는 시각/주파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된 방식을 사용하면, 위치가 고정되어진 하나의 정지궤도위성(22)을 원자시계의 탑재가 필요없이 기존의 통신링크를 통하여 시각/주파수 동기를 맞추므로써, 시각/주파수 동기를 요하는 CDMA 방식의 기지국 동기나 무선측위용 의사위성 등의 다방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궤도위성(22)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도 2 참조)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에 있어서 주통제국(21)에서의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정보를 트래킹할 것인지를 실시간으로 분석한다(301).
분석결과,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속 트래킹하려면 역이산 GPS(IDGPS) 방식으로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를 계속 업데이트(Update)시키고(302), 그렇지 않으면(즉, 위성이 정지해있다는 가정에서 시작하면)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정보를 고정된 채로 둔다(303).
주통제국(21)에서 필요한 정보는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정보와 시각정보, 현재 기준 펄스 또는 의사잡음(PN) 코드이다.
따라서, 데이터처리기에서 정지궤도위성(22)의 업데이트된 위치정보 또는 고정된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디지털 신호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한 후에(304), PN 코드 발생기 또는 기준 펄스 발생기에서 세슘(Cs) 원자시계를 이용해 정밀한 시각/주파수 정확도를 갖는 PN 코드 또는 기준 펄스를 발생시킨다(305).
다음으로, 혼합기(Mixer)에서 PN 코드 또는 기준 펄스와 데이터처리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형태의 데이터를 혼합하고 캐리어로 다시 변조시킨 후에 증폭시켜 정지궤도위성(22)으로 전송(즉, 업링크)한다(306).
이어서, 정지궤도위성(22)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간 주파수를 다르게 사용할 것인지를 검사한다(307).
검사결과, 정지궤도위성(22)의 업링크 채널와 다운링크 채널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중심주파수가 같으면, 증폭기에서 업링크 수신신호를 증폭하여(308) 지상으로 뿌려준다(Broadcating)(310).
검사결과, 정지궤도위성(22)의 업링크 채널와 다운링크 채널을 별도로 사용하여 중심주파수가 다르면, 주파수 천이기(Mixer)에서 다운링크 주파수로 변환한 후에 증폭기에서 증폭하여(309) 지상으로 뿌려준다(310).
다음으로, 지상기지국(23)에서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정지궤도위성(22)에서 방송된 신호에 캐리어를 곱해 다시 기저대역(Baseband)신호를 복귀시킨 후에(311), 수신된 기지대역신호의 PN 코드 또는 펄스신호를 기준 클럭으로 사용해 복조용 PN 코드 발생기의 기준주파수로 제공하여 복조용 PN 코드를 생성한다(312).
이후에, 지연시간동기루프(DLL : Delay Locked Loop)에서 기저대역신호에 복조용 PN 코드를 곱하여 시각/주파수 정보와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정보를 추출한다(313).
마지막으로, 지상기지국(23)에서는 미리 측정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가지고 추출된 시각/주파수 정보와 정지궤도위성(22)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시각/주파수 동기를 맞춘다(314).
이제, 세부적인 시각/주파수 동기를 구현하는 과정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연시간의 흐름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tarrival은 지상기지국(23)에 도달한 시각을 의미하고, tretransmit은 정지궤도위성(22)에서 신호를 시각동기를 요하는 지상기지국(23)에 송신하는 시각이다. 그리고, treceived은 정지궤도위성(22)이 주통제국(21)에서의 신호를 받은 시각을 나타내며, tMSC은 주통제국(21)에서 신호를 정지궤도위성(22)에 보낸 시각을 의미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기본적으로 시각/주파수 동기를 요하는 지상기지국(23)에서 시각/주파수 동기를 위해 설정하려는 동기 시각은 tretransmit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절대적인 시각을 추출하기 위해 계산되어져야 할 시각 바이어스(Clock Bias)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인데, 자유공간상에서 전파의 속도는이므로 이론적으로 계산된 시간차(즉, 시각 바이어스)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1)과 같다.
여기서, (xs,ys,zs)는 절대좌표계상의 통신위성의 직교 좌표계로 표시된 위치 좌표값이며, (xi,yi,zi)는 지상기지국(23)의 절대좌표값이다.
그러나, 상기의 (수학식 1)은 이론적인 시각 바이어스를 나타낸 것이고, 실제의 시각 바이어스를 수학식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2)와 같다.
여기서, μcommon는 공통 오차 요인을 나타내고, μuncommon는 비공통 오차 요인을 나타낸다.
(수학식 2)를 참조하면, (수학식 1)에 공통되지 않은 μcommon, μuncommon값이 시각 정확도에 있어서 오차요인이다.
대부분의 오차 요인은 전리층이나 대류권에서의 시간지연에 의한 오차일 것이다. 이는 기지국간 거리가 매우 가깝다면 거의 공통 오차 요인인 μcommon에 가깝게 존재하므로 상대적인 시각 동기만을 필요로 하는 CDMA망이나 위치 측정을 위한 의사위성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는 굳이 공통 오차를 소거할 필요가 없다.
절대적인 시각에 대한 정보가 중요한 응용에서는의 시각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의 계산에 덧붙여의 시각 바이어스도 계산되어져야 한다. 이는 기존의 IDGPS의 원리와 동일하게 공통오차를 소거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부가적인 IDGPS 방식의 부관제국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밖의 수신기나 다른 돌발적인 오차 성분인 μuncommon은 기본적으로 제거가 불가능하다. 이는 기존의 시각동기 방식인 GPS의 경우에서도 동일하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시각 오차는 공통 오차인 μcommon에 존재할 것인 바, 100km 이내의 지상기지국(23) 간에 약 10ns 이내의 동일한 시각동기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자국내의 정지궤도위성을 활용하여 자국내에서 CDMA 이동통신망의 시각동기용 펄스와 신호코드 발생의 기준 발진기로서 활용할 수 있고, 위성체에 추가적인 페이로드의 부담없이 손쉽게 CDMA용 기지국의 동기를 맞출 수 있으며, 위치가 고정된 하나의 정지궤도위성을 원자시계의 탑재가 필요없이 기존의 통신링크를 통하여 시각동기를 맞추므로써 시각동기를 요하는 CDMA 방식의 기지국 동기나 무선측위용 의사위성 등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 적용되는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에 있어서,
    통제국에서 위성의 위치정보, 시각정보, 의사잡음신호 또는 기준 펄스가 실린 측위신호를 상기 위성으로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위성에서 기존의 통신채널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제국으로부터의 측위신호를 정확한 시각/주파수 동기를 원하는 지상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지상기지국에서 상기 측위신호로부터 시각/주파수 정보와 상기 위성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주파수 정보 및 상기 위성의 위치정보와 미리 측정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시각/주파수 동기를 구현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통제국의 데이터처리기에서 상기 위성의 위치정보와 시각정보를 디지털 신호형태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제 4 단계;
    의사잡음 코드 발생기 또는 기준 펄스 발생기에서 세슘(Cs) 원자시계를 이용해 정밀한 시각/주파수 정확도를 갖는 의사잡음(PN) 코드 또는 기준펄스를 생성하는 제 5 단계; 및
    혼합기에서 상기 의사잡음 코드 또는 기준 펄스와 상기 데이터를 혼합하고 캐리어로 다시 변조시킨 후에 증폭시켜 상기 위성으로 전송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의 위치정보는,
    역이산 광역지구측위방식(IDGPS)으로 실시간 트래킹하여 업데이트(Update)된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위성에서 업링크와 다운링크간 주파수를 다르게 사용할 것인지를 검사하는 제 7 단계;
    상기 제 7 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위성의 업링크 채널와 다운링크 채널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 중심주파수가 같으면, 증폭기에서 업링크 수신신호를 증폭하여 지상으로 재전송하는 제 8 단계; 및
    상기 제 7 단계의 검사결과, 상기 위성의 업링크 채널와 다운링크 채널을 별도로 사용하여 중심주파수가 다르면, 주파수 천이기에서 다운링크 주파수로 변환한 후에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하여 지상으로 재전송하는 제 9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지상기지국이 상기 위성에서 방송된 신호에 캐리어를 곱해 다시 기저대역신호를 복귀시키는 제 10 단계;
    수신된 기지대역신호의 의사잡음 코드 또는 펄스신호를 기준 클럭으로 사용해 복조용 의사잡음 코드 발생기의 기준주파수로 제공하여 복조용 의사잡음 코드를 생성하는 제 11 단계;
    상기 기저대역신호에 복조용 의사잡음 코드를 곱하여 시각/주파수 정보와 상기 위성의 위치정보를 추출하는 제 12 단계; 및
    추출된 시각/주파수 정보 및 상기 위성의 위치정보와 미리 측정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시각/주파수 동기를 구현하는 제 13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위성은,
    탑재용 프로세서(On-board Processor)나 원자시계의 탑재가 필요없이 기존의 통신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통재국으로부터 측위신호를 받아 지상으로 재전송하는 중계기로 활용되는 정지궤도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존의 통신채널은,
    각 응용에 필요한 새로운 통신채널을 전용하지 않고 다른 서비스 제공중에 업데이트가 필요한 시간 간격에서 시분할다중접속(TDMA) 방식을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3 단계의 시각/주파수 동기를 구현하는 과정은,
    실질적으로 의사위성이나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기지국의 시각/주파수 동기에 있어서, 상기 통제국에서 신호를 상기 위성에 보낸 시각(tMSC)을 사용하는 절대적인 협정세계시각(UTC)이 아닌 상기 위성에서 신호를 시각/주파수 동기를 요하는 상기 지상기지국에 송신하는 시각(tretransmit)을 시각동기 시각으로 사용하여 인접 기지국간 상대적인 시각/주파수 동기만을 맞추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9.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
    통제국에서 위성의 위치정보, 시각정보, 의사잡음신호 또는 기준 펄스가 실린 측위신호를 상기 위성으로 전송하는 기능;
    상기 위성에서 기존의 통신채널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제국으로부터의 측위신호를 정확한 시각/주파수 동기를 원하는 지상기지국으로 재전송하는 기능; 및
    상기 지상기지국에서 상기 측위신호로부터 시각/주파수 정보와 상기 위성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각/주파수 정보 및 상기 위성의 위치정보와 미리 측정된 자신의 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시각/주파수 동기를 구현하는 기능
    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80040159A 1998-09-26 1998-09-26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KR100275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159A KR100275458B1 (ko) 1998-09-26 1998-09-26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159A KR100275458B1 (ko) 1998-09-26 1998-09-26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191A KR20000021191A (ko) 2000-04-15
KR100275458B1 true KR100275458B1 (ko) 2000-12-15

Family

ID=19552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159A KR100275458B1 (ko) 1998-09-26 1998-09-26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5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19B1 (ko) * 1999-12-31 2006-09-18 주식회사 케이티 망 동기를 위한 기준 클럭 송/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420B1 (ko) * 1999-06-29 2007-0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의 동기신호 송수신 장치 및 그의 동기획득 방법
KR100726586B1 (ko) * 2001-06-08 2007-06-11 주식회사 케이티 송신시스템에서의 시각데이터 동기 방법
US20050015198A1 (en) * 2001-11-06 2005-01-20 Chang-Don Kee Pseudolite-based precise positioning system with synchronised pseudolites
KR100442706B1 (ko) * 2002-09-25 2004-08-0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한 시각동기 서비스에 있어서의실시간 궤도결정 시스템 및 방법
CN115453850B (zh) * 2022-08-05 2023-07-28 福建星云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储能变流器时间同步方法、系统、设备及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19B1 (ko) * 1999-12-31 2006-09-18 주식회사 케이티 망 동기를 위한 기준 클럭 송/수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191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998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in-view coherent GPS signal PRN codes acquisition and navigation solution determination
US6101178A (en) Pseudolite-augmented GPS for locating wireless telephones
EP1110100B1 (en) Accurate range and range rate determination in a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US5955986A (en) Low-power satellite-based geopositioning system
US5365447A (en) GPS and satelite navigation system
US7688261B2 (en) Global position system (GPS) user receiver and geometric surface processing for all-in-view coherent GPS signal PRN codes acquisition and navigation solution
CA2283904C (en) A system using leo satellites for centimeter-level navigation
JP4421819B2 (ja) 宇宙飛行体の測距情報を決定するための測距システム
US9851429B2 (en) Terrestrial position and timing system
US8451166B2 (en) Distributed distance measurement system for locating a geostationary satellite
US6249253B1 (en) Mobile radiotelephone determination using time of arrival of GPS and pilot signals
US6169514B1 (en) Low-power satellite-based geopositioning system
CN105871495A (zh) 一种时间同步方法、通信地面站和用户终端
US8542147B2 (en) Precise absolute time transfer from a satellite system
KR20130111926A (ko) 내비게이션 신호 송신 장치, 내비게이션 신호 송신 방법 및 위치 정보 제공 장치
US6298238B1 (en) Fast user terminal position determination in a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
CN112363182A (zh) 一种多波束伪卫星信号生成方法与发射装置
KR100275458B1 (ko) 정지궤도위성을 이용한 시각/주파수 동기시스템에서의 시각/주파수 동기 구현 방법
EP2069817A1 (en) A method and system for all-in-view coherent gps signal prn codes acquisition and navigation solution determination
JP4514953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システムのアクセスチャネルアクイジションにおいて周波数およびタイミングの不確かさを決定するシステムおよび装置
WO2003005055A1 (en) Gps receiver and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of a wireless terminal
US20210199815A1 (en) Sdr for navigation with cellular cdma signals
Di Benedetto et al. An architecture for a lunar navigation system: orbit determination and time synchronization
Brierley-Gree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Fundamentals and Recent Advances in Receiver Design
Schäfer et al. Perspectives of time and frequency transfer via satell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