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4972B1 - 비세포분화유도인자의수용체에대한단일클론항체를분비하는융합세포주및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세포분화유도인자의수용체에대한단일클론항체를분비하는융합세포주및그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74972B1 KR100274972B1 KR1019980009129A KR19980009129A KR100274972B1 KR 100274972 B1 KR100274972 B1 KR 100274972B1 KR 1019980009129 A KR1019980009129 A KR 1019980009129A KR 19980009129 A KR19980009129 A KR 19980009129A KR 100274972 B1 KR100274972 B1 KR 100274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s
- cell
- fusion
- cell differentiation
- recepto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10—Cell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 C12N5/12—Fused cells, e.g. hybridomas
- C12N5/16—Animal cel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395—Antibodies; Immunoglobulins; Immune serum, e.g. antilymphocytic seru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 및 이로부터 분비되는 단일클론 항체는 사람의 B세포 분화과정 및 B세포 분화유도인자 연구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면역부전증 또는 자기면역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병의 백신 개발에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단일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B세포 분화과정 및 B세포 분화유도인자 연구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면역부전증(immunological deficiency disease) 또는 자기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 등의 면역 관련 질병의 백신 개발에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의 B세포 분화유도인자(B cell differentiation inducing factor, BIF)의 수용체(receptor)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항체 생산 세포의 전구 세포에 상당하는 임파구 아군, 유약 B세포는 활성화, 증식, 분화의 3단계를 거쳐서 항체 생산 세포(형질 세포, 플라즈마 세포)로 되며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유약 B세포가 항체 생산 세포가 되려면 먼저 표면상의 수용체(면역글로불린)에 항원이 결합하고 그 자극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대형 B세포가 되며 이때 RNA 합성이 활발해진다. 활성화된 B세포 표면에 B세포 증식분화인자(B cell growth & differentiation factor, BGDF)에 대한 수용체를 만들고 여기에 헬퍼(helper) T세포가 분비하는 B세포 증식인자(IL-4)나 IL-5, IL-2가 결합해서 증식한다. 이렇게 증식된 B세포에 더욱더 T세포의 자극으로부터 생산되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가 작용해서 항체 생산 세포로 분화하여 대량의 항체를 생산하게 된다. 이때 B세포 분화유도인자는 활성화된 B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에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생체에는 임파구의 T세포, B세포, 호중구나 단구 등의 식세포, 보체들이 균형을 이루며 면역 응답 기구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선천적으로 면역 담당 세포의 어떠한 과정에서 발육 부전이 일어나기도 하고 후천적으로 어떠한 원인으로 면역 담당 세포가 상처를 받으면 T세포, B세포, 식세포 등의 사이에 균형이 맞지 않게 되어 면역부전증이 일어나는데, 현재 그 치료법에는 항생물질이나 면역글로불린 제제의 투여 등 대증요법 밖에 없다.
또한 자기면역질환은 생체 방어 기구에서 어떤 면역계가 자기 세포를 공격하는 현상이다. 체내 세포와 반응하는 항체나 임파구가 만들어지며 그 결과 조직 장해나 병변이 발생한다. 자기면역이 성립하는 기전은 격리 항원, 교차 반응, 항원의 수식 등의 항원측 원인과 서프레서(suppressor) T세포의 기능 이상, 항체를 만드는 B세포의 과잉 반응 등의 임파구측의 원인으로 나눌 수 있다.
통상 항원에는 다양한 항원 결정기가 존재하므로 생체에 침입하는 항원이 단일하더라도 복수의 항원 결정기에 대응하는 복수의 항체가 생산되는데 이를 다클론 항체(polyclonal antibody)라 한다. 이에 대해 단일클론 항체는 균일한 분자로 된 항체로서 1975년 콜러와 밀스타인이 확립한 하이브리도마(hybridoma) 기술에 의해서 항원의 특정 부위만을 인식하는 단일 항체이다. 단일클론 항체는 다클론 항체에 비하여 특이성이 높은 균질의 항체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는 상기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가 존재하지 않았던 바, 그와 관련된 연구에서 다클론 항체를 사용하여 왔는데 이 경우 균질의 항체가 아닌 다양한 특이성을 갖는 항체를 사용함으로써 그 연구 과정에서 일련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반적으로 다클론 항체는 실험동물에 대하여 일련의 면역과정을 거쳐 얻어지는데,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에 대한 다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항체 생산의 절대적 양이 제한된다. 그 이유는 1회의 면역과정으로 얻을 수 있는 항체의 양이 실험동물에 따라 한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적 한계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에 대한 실험을 진행함에 있어 수회의 항체 생산을 요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생산된 수회분의 다클론 항체는 면역과정에서 실험동물의 상태, 항원의 상태, 면역 당시의 환경조건 등 수많은 변화 유발 가능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실험상 많은 오차 발생을 허용할 수 있다. 특히 B세포 분화유도인자와 그 수용체의 결합에 있어서 상호경쟁을 조사하고자 할 때 다클론 항체가 결합하는 부위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가 결합하는 부위가 아닌 다른 부분일 가능성도 충분히 존재하므로 서로 다른 회분의 다클론항체를 이용하여 경쟁실험을 정량화하여 비교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면역부전증 또는 자기면역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병의 연구에 있어서도 상기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에 대한 다클론 항체를 사용함으로써 균질의 항체를 대량으로 얻을 수 없어 그 효율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B세포 분화과정 및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연구 또는 면역부전증 또는 자기면역질환 등과 같은 면역 관련 질병에 대한 백신 개발에 유용한 균일한 특성을 갖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S.K.W 6.4.4 세포의 막 추출물에 대한 결합 능력에 의한 단일클론 항체의 스크리닝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S.K.W 6.4.4 세포 표면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의 특이적 결합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3은 S.K.W 6.4.4 세포 표면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의 결합이 B세포 분화 유도인자에 의해 차단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그래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를 제공한다. 상기 융합세포주는 기탁번호 제 KCTC 0299BP 호로 기탁되어 있는 융합세포주 BR8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탁번호 제 KCTC 0299BP 호로 기탁되어 있는 융합세포주 BR89로부터 분비되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정제된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생쥐에 면역시키고, 상기 생쥐의 비장을 적출하여 원심분리하여 생쥐의 B세포를 얻고, 상기 B세포를 SP2/0-Ag14 세포주와 폴리에틸렌글리콜 존재하에 융합하여 융합세포를 얻고, 상기 융합세포를 HAT 배지를 통해 선별하는 단계들을 포함하는 상기 융합세포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융합세포주를 배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융합세포주 BR89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정제된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Balb/C 생쥐(sister-brother mating을 통해 유전적 동질성을 유지한 생쥐)의 복강에 약 14일 간격으로 약 3회 주사한다. 그 후 생쥐의 꼬리에 정맥주사를 실시하여 생쥐를 상기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에 면역시킨다. 최종 주사 후 3∼4일째에 상기 생쥐의 비장을 적출하여 균등기(homogenizer)를 통해 단세포로 분리한다. 이 용액을 Ficoll/Hypaque에 얹어 약 2,000rpm에서 약 20분간 원심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원심분리하면 단핵구층은 독특한 밀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용액내에서 한 부분에 층을 이루며 분포하게 되어 분리할 수 있다. 분리된 단핵구층에는 면역된 B세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 층을 완충용액으로 수회 세척한 후 융합과정에 이용한다.
단일클론 항체의 개발은 특이성을 갖는 항체를 생산하는 B세포와 골수종 세포의 융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골수종 세포는 현재 생쥐, 쥐, 사람으로부터 유래하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세포융합에 필요한 골수종 세포를 선택할 때는 크게 두가지 기준이 적용된다. 그 중 하나는 선택된 골수종 세포는 항체를 만들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융합 후에 항체가 만들어질 때 그 항체가 융합되기 전의 원하는 특이성을 갖는 B세포로부터 유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다른 기준은 골수종 세포가 융합 대상인 B세포와 유전적 적합성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Sp2/0-Ag14 세포주는 Balb/C 생쥐에서 유래된 골수종 세포이다. 본 발명에서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Balb/C 생쥐에 면역시켜 그 생쥐로부터 B세포를 분리하므로 유전적 적합성을 갖는 Sp2/0-Ag14 세포주를 사용한다.
Sp2/0-Ag14 세포주는 융합하기전에 미리 배양을 시작해야 하며 융합하기 전에 1,2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분리한다. 분리한 세포와 면역된 생쥐로부터 얻은 B세포를 혼합한 다음 PEG(polyethylene glycol)을 넣어 세포간 융합을 유도한다.
융합과정을 거친 세포는 10%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한 후 완충용액으로 잘 세척하고 이를 HAT(hypoxanthine aminopterin thymidine) 배지로 적당히 희석한 다음 멀티웰 플레이트(multiwell plate)에 넣어 배양한다.
세포융합을 통해 단일클론 항체를 개발하는 기본 원리는 면역된 B세포로부터 특이성을 갖는 항체를 만들어내는 특성과 골수종 세포의 불멸성을 결합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융합과정을 거친 세포군에서 원하는 융합, 즉 면역된 B세포와 골수종 세포가 융합된 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선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HAT배지에서 선별의 기본 원리는 면역된 B세포는 골수종 세포와는 달리 불멸성이 없으므로 융합을 통해 골수종 세포의 불멸성을 획득하지 못하면 사멸하게 된다. HAT배지중에 첨가된 아미노테린(aminopterin)은 세포의 DNA 및 RNA 생합성 과정을 저해함으로써 전구체로부터 DNA 및 RNA의 합성을 저해한다. 또한 융합에 사용된 Sp2/0-Ag14 세포주는 HPRT(hypoxanthine phosphoribosyl transferase) 효소가 결손되어 있으므로 보충 경로를 통해 하이포크산틴으로부터 RNA를 합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없다. 면역된 B세포는 상기 효소는 존재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불멸성이 없으므로 오래 생존할 수 없다. 따라서 Sp2/0-Ag14 세포주는 융합을 통해 면역된 B세포로부터 상기 효소를 획득할 수 있어야 생존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로 HAT배지를 통해 면역된 B세포와 Sp2/0-Ag14 세포주가 융합된 클론만을 선별 배양할 수 있게 된다.
융합된 세포를 HAT배지를 첨가하여 37℃에서 약 10일간 배양하여 원하는 융합세포를 선별한 다음 아미노테린이 없는 HT배지에서 2∼3일 동안 더 배양한다. 배양된 세포는 원하는 항원에 특이적인 항체를 분비하는 B세포와의 융합을 통해 만들어진 융합세포주일 수도 있지만 면역된 생쥐의 모든 B세포가 원하는 항체를 분비하지는 않으므로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융합된 세포로부터 원하는 특이성을 갖는 항체를 선별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은 효소면역활성측정법(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과 같은 분석에 의해 가능하다. 즉 면역한 항원을 멀티웰 플레이트에 코팅한 후 여기에 융합세포를 배양한 상등액을 넣어 생산된 항체를 항원과 반응시킨 후 세척하고 여기에 생쥐의 모든 항체를 인지할 수 있는 효소가 결합된 2차 항체를 반응시켜 배양 상등액내에 원하는 항원을 인지하는 항체가 있는지 효소 활성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융합세포주가 원하는 특이성을 갖는 항체를 생산하는지 조사하게 된다.
상기 선별과정에서 멀티웰 플레이트를 이용하는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에는 하나 이상의 융합세포주가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이로부터 증식된 세포군은 여러 클론이 섞여 있게 된다.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원하는 특이성을 갖는 항체를 생산하는 웰이라고 판정된 웰내의 세포를 다시 하나의 세포로부터 출발하도록 한계희석법을 통해 배양한다. 즉 세포수를 계수(計數)하고 이를 적당한 비율로 희석하여 하나의 웰에 하나의 세포가 들어가도록 멀티웰 플레이트에 다시 넣어주어 배양한다. 배양된 세포군은 다시 스크리닝을 통해 원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웰을 선별하는 작업을 한다.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하나의 세포로부터 증식한 클론을 최종 선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융합세포주 BR89는 1997년 2월 6일자로 한국과학기술원 유전공학연구소 유전자원센터 유전자은행에 기탁번호 제 KCTC 0299BP 호로 기탁되었다.
본 발명의 융합세포주 BR89가 분비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활성화된 B세포에 B세포 분화유도인자와 함께 첨가하면 그 첨가량에 비례하여 B세포 분화가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B세포 분화 유도에 관한 수용체의 연구에 기본적인 도구로 이용될 수 있으며 단일클론 항체를 이용한 수용체의 분자적 특성의 분석 및 수용체 분자의 활성화, 불화성화 기작의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융합세포주가 분비하는 단일클론 항체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작용 기작의 연구, B세포와 T세포의 협력 작용의 연구에도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면역부전증 또는 자기면역질환 등 면역 관련 질병, 특히 CVI(common variable immunodeficiency) 환자들의 병리를 해석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B세포가 아닌 다른 종류의 백혈구의 작용 기작 연구에도 응용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융합세포주 BR89의 제조
정제된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Balb/c 생쥐의 복강에 3회 주사하였다. 이때 주사하는 간격은 14일로 하였으며 그 후 생쥐의 꼬리에 정맥주사를 실시하여 생쥐를 상기 항원에 면역시켰다. 최종 주사 후 3일째에 상기 생쥐의 비장을 적출하여 균등기로 분쇄한다. 이 분쇄용액을 Ficoll/Hypaque에 얹어 2,000rpm으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단핵구층을 분리하였고 분리된 단핵구층을 완충용액으로 수회 세척하였다.
미리 배양을 시작한 Sp2/0-Ag14 세포주를 1,2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분리하고 분리된 세포와 상기 단핵구층으로부터 얻은 면역된 생쥐의 B세포를 혼합한 다음 PEG 8000을 넣어 세포간 융합을 유도하였다. 융합 과정을 거친 세포는 완충용액으로 잘 세척하고 10%의 우태아 혈청이 포함된 RPMI 1640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것을 HAT 배지로 적당량 희석한 다음 멀티웰 플레이트에 넣어 37℃에서 10일간 배양하여 융합세포를 선별하였다. 그런 다음 아미노테린이 없는 HT배지에서 3일간 더 배양하였고 ELISA에 의해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세포를 선별하였다.
[실시예 2] SKW 6.4.4 세포들에 대한 결합 능력에 의한 단일클론 항체의 스크리닝
SKW 6.4.4 세포들의 막 추출물에 대한 결합 능력을 측정함으로써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스크리닝하였다. 상기 결합 능력은 ELISA에 의해 측정되었다.
SKW 6.4 세포주는 사람으로부터 분리한 B세포를 Epstein-barr virus를 이용하여 암화(transformation)한 것으로 1980년대 초반에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에 기탁된 세포주로서 B세포의 마지막 분화단계인 플라즈마 세포 직전인 림포블라스트(lymphoblast)의 특성을 갖는 세포주이며 T세포 대체 인자 또는 B세포 분화인자의 연구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 세포로부터 출발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B세포 분화유도인자에 대한 반응성이 높은 클론을 클로닝과정을 통해 재선별하였고 그것을 SKW 6.4.4라고 명명한 것이다. SKW 6.4.4 세포주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에 대한 높은 반응성을 고려할 때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의 발현 또한 높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단일클론 항체를 스크리닝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측정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도 1로부터 실시예 1의 융합세포주가 분비하는 단일클론 항체가 SKW 6.4.4 세포주에 대해 높은 결합 능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B세포 분화유도인자-경쟁 능력으로부터의 단일클론 항체의 스크리닝
5×104세포/㎖ 농도의 SKW 6.4.4 세포들을 실시예 1에서 얻은 융합세포주 및 기존에 개발된 바 있는 단일클론 항체 Mab 82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의 배양 상등액과 함께 3일간 배양하였다. 그 후 ELISA에 의해 IgM 생산을 측정하였다. 하기와 같이 정의되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경쟁 능력으로부터 단일클론 항체를 스크리닝하였다.
* % 경쟁 = B-M / B × 100
B; B세포 분화유도인자만에 의해 유도된 IgM의 양
M; B세포 분화유도인자 및 단일클론 항체에 의해 유도된 IgM의 양
첨가물 | IgM 생산(OD±SEM) | %경쟁 |
블랭크 | 0.060±0.003 | |
B세포 분화 유도 인자 | 0.243±0.002 | |
B세포 분화 유도 인자+컨트롤* | 0.264±0.057 | 0 |
B세포 분화 유도 인자+Mab 82 | 0.141±0.037 | 55.7 |
B세포 분화 유도 인자+실시예 1의 단일클론항체 | 0.107±0.029 | 74.3 |
* 항-IPNV(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단일클론 항체
상기 표 1로부터 실시예 1의 단일클론 항체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와 높은 특이성으로 결합하여 B세포 분화유도인자가 상기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저해함으로써 B세포의 항체 생산을 저하시킴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 단일클론 항체들의 이소타입 결정
상기 실시예 1로부터 얻은 단일클론 항체의 이소타입을 PIERCE의 단일클론 항체 이소타입핑 키트(monoclonal antibody isotyping kit) 1에 의해 결정하였다.
단일 클론 항체 | 이소타입 |
실시예 1의 단일클론 항체 | IgG2b, 카파 |
Mab 82 | IgG1, 카파 |
[실시예 5] B세포 분화유도인자 및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간의 경쟁의 플로우사이토메트릭 분석
B세포 분화유도인자 및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간의 경쟁을 플로우 사이토메트리(flow cytometry)에 의해 분석하였다.
* % 경쟁 = (1- (A - B)/(C -B)) × 100
A; B세포 분화유도인자 및 단일클론 항체가 함께 배양된 세포들의 형광
B; 백그라운드 형광
C; 배지 및 단일클론 항체가 함께 배양된 세포들의 형광
세트 | 평균 형광 | % 경쟁* |
SKW 백그라운드 | 4.52±0.035 | |
배지 및 실시예 1의 단일 클론 항체 | 6.04±0.04 | |
B세포 분화유도인자 및 실시예 1의 단일 클론 항체 | 5.41±0.025 | 41.4 |
배지 및 Mab 82 | 5.88±0.015 | |
B세포 분화유도인자 및 Mab 82 | 5.79±0.025 | 6.6 |
상기 표 3로부터 실시예 1의 단일클론 항체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와 높은 특이성으로 결합하여 B세포 분화유도인자가 상기 수용체와 결합하는 것을 저해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결합의 FACS 분석
SKW 6.4.4 세포들을 얼음에서 1시간 동안 실시예 1의 융합세포주 및 Mab 82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의 배양 상등액으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들을 세척하여 FITC-컨쥬게이트된 고트 항-마우스 Ig로 염색하고 벡톤-딕킨슨 FACStarPLUS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a는 네가티브 콘트롤로서의 항-IPNV(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단일클론 항체, b는 Mab 82, c는 실시예 1의 단일클론 항체를 각각 나타낸다.
한편 상기 단일클론 항체의 결합이 B세포 분화유도인자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SKW 6.4.4 세포들을 얼음에서 2시간 동안 B세포 분화유도인자 용액으로 배양하였다. 상기 세포들을 FITC-컨쥬게이트된 고트 항-마우스 Ig로 염색하여 벡톤-딕킨슨 FAC스타플러스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 및 이로부터 분비되는 단일클론 항체는 사람의 B세포 분화과정 및 B세포 분화유도인자 연구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면역부전증 또는 자기면역질환 등의 면역 관련 질병의 백신 개발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4)
-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를 분비하는 융합세포주 KCTC 0299BP.
- 기탁번호 제 KCTC 0299BP 호로 기탁되어 있는 융합세포주 BR89에 의하여 분비되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
- 정제된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생쥐에 면역시키고;상기 생쥐의 비장을 적출하여 원심분리하여 생쥐의 B세포를 얻고;상기 B세포를 SP2/0-Ag14 세포주와 폴리에틸렌글리콜 존재하에 융합하여 융합세포를 얻고;상기 융합세포를 HAT배지를 통해 선별하는:단계들을 포함하는 제 1 항의 융합세포주의 제조방법
- 제 1 항의 융합세포주를 배양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B세포 분화유도인자의 수용체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 항체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9129A KR100274972B1 (ko) | 1998-03-17 | 1998-03-17 | 비세포분화유도인자의수용체에대한단일클론항체를분비하는융합세포주및그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09129A KR100274972B1 (ko) | 1998-03-17 | 1998-03-17 | 비세포분화유도인자의수용체에대한단일클론항체를분비하는융합세포주및그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5127A KR19990075127A (ko) | 1999-10-15 |
KR100274972B1 true KR100274972B1 (ko) | 2001-01-15 |
Family
ID=407495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09129A KR100274972B1 (ko) | 1998-03-17 | 1998-03-17 | 비세포분화유도인자의수용체에대한단일클론항체를분비하는융합세포주및그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74972B1 (ko) |
-
1998
- 1998-03-17 KR KR1019980009129A patent/KR10027497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5127A (ko) | 1999-10-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94325A (en) | High fusion frequency fusible lymphoblastoid cell line | |
EP2242836B1 (en) | Method of making hybrid cells that express useful antibodies | |
GB2113715A (en) |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uman mono-clonal antibodies | |
Holm et al. | Idiotype-bearing lymphoid cells in plasma cell neoplasia | |
EP0856520B1 (en) | Method of preparing a monoclonal antibody, monoclonal antibody,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a diagnostic reagent | |
KR100301189B1 (ko) | 당단백질피(p)에대한단일클론항체 | |
EP1924288A2 (en) | Fully human hybridoma fusion partner cell lines | |
US4818689A (en) | Late differentiation antigen associated with helper T lymphocyte function | |
KR100274972B1 (ko) | 비세포분화유도인자의수용체에대한단일클론항체를분비하는융합세포주및그제조방법 | |
US4707442A (en) | Hybrid cell line producing monoclonal antibody cytolytic to Trichomonas vaginalis | |
Hellström et al. | Monoclonal antibodies to tumor antigens | |
US4668629A (en) | Human hybridomas, precursors and products | |
Burnett et al. | Human monoclonal antibodies to defined antigens: toward clinical applications | |
Kearney et al. | Pauciclonal B cell involvement in production of immunoglobulin in scid Ig+ mice | |
James | Human monoclonal antibody technology | |
RU2196178C2 (ru) |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оноклонального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антигена поверхности т-клеток, моноклональное антитело,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и диагностический реагент | |
Grohmann et al. | Cell-mediated immunity to chemically xenogenized tumors—III. Gener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interfering with reactivity to novel antigens | |
RU2823309C1 (ru) | Антитела против рецептора стабилин-1 (stabilin-1) человека | |
WO1989000607A1 (en) | Preparation of human monoclonal antibodies of selected specificity and isotypes | |
KR100250835B1 (ko) | 인체자연살상세포의작용을조절하는단일클론항체및이를생산하는융합세포주 | |
Shakil et al. | Gene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to the neural crest | |
KR900007950B1 (ko) | 모노클로날 항체의 제조방법 | |
RU2010856C1 (ru) | Штамм гибридных культивируемых клеток животных mus musculus l.,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олучения преципитирующих моноклональных антител к jgg человека | |
RU2008350C1 (ru) | Штамм гибридных культивируемых клеток животных mus musculus l.,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я получения моноклональных антител к jgg человека | |
KR910002851B1 (ko) | 체외면역에 의한 항황우독소 단일클론성 항체의 제조방법과 황우독소의 분석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7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