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3639B1 -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 - Google Patents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3639B1
KR100273639B1 KR1019980047594A KR19980047594A KR100273639B1 KR 100273639 B1 KR100273639 B1 KR 100273639B1 KR 1019980047594 A KR1019980047594 A KR 1019980047594A KR 19980047594 A KR19980047594 A KR 19980047594A KR 100273639 B1 KR100273639 B1 KR 100273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display signal
alarm display
ais
state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1516A (ko
Inventor
양승엽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4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363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36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8Timers or timing mechanisms used i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1Resource management and allocation
    • H04L2012/5636Monitoring or policing, e.g. compliance with allocated rate, corrective 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경보표시신호 셀 통과 여부를 모니터링 하여 셀의 수신이 이루어진 연결에 대응하는 상태 테이블 인덱스를 결정하여 상태정보를 세팅한 후 타이머를 구동하며, 타이머에 의한 소정 시간의 경과를 감지하거나 사용자 셀을 수신하면 해당 상태 테이블 인덱스에 세팅된 상태정보를 클리어 하는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함으로서 동작상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안정적인 보수 운용 관리를 성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시스템 내의 각 경로를 시험함에 의해 발생되는 장애를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국설교환시스템, 사설교환시스템 및 비동기전송모드(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교환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교환시스템에는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운용 및 유지보수 기능 중 대표적인 기능이 경로의 상태를 관리 및 유지 보수하는 기능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내부에 다양한 내부 셀 전송 경로가 존재하는 ATM 교환시스템의 경우에는 경로 상태의 관리 및 유지보수가 더욱 요구된다. 이러한 경로 시험을 위해 ATM 교환시스템 내에는 수십 Mbps 이상의 셀을 생성하고 분석하는 기능이 경로시험장치(ACTA: ATM Cell Testing Assembly Board) 회로 팩에 구현되어 있다. 또한 상기 ACTA는 경로를 통제/시험하여 셀 전송로 및 가입자 정합장치 등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소프트웨어(S/W) 블록을 내장하고 있다.
현재 ATM 교환시스템에 구현되어 있는 시험장치는 호 처리를 담당하는 ATM 로컬 시스템(ALS: ATM Local System)당 1 매씩 실장 되어 있다.
이하 종래 ATM 교환시스템에서 수행되었던 경로 시험 동작을 살펴보면, 운용자에 의해 시험할 경로를 포함하는 시험환경이 입력되면 입력된 시험환경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한 시험환경에 따라 시험용 ATM 셀, 즉 보수 운용 관리 셀(OAM 셀; Operation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Cell)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상기 OAM 셀을 전송한 후 상기 OAM 셀에 대응하는 성능 감시 결과가 수신되는가를 감시하며, 상기 성능 감시 결과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분석하여 상기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종래 경로 시험에 따른 설명은 "한국통신학회"에서 "1996년 11월 9일"자로 발행된 "ATM교환"의 144 페이지 내지 148 페이지와 167 페이지 내지 176 페이지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경로 시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험장치(ACTA)는 약 40Mbps의 OAM 셀을 발생할 수 있으나 대역폭을 나누어 동시에 여러 경로에 대한 시험을 진행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실제 시스템에 대한 점검은 전체적인 셀 경로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 셀 경로의 수를 조합하면 수 백가지 이상의 경우 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기본적인 점검만을 실시하게 되는데, 그렇다고 하여도 수십 가지의 경로를 확인하여야 한다.
상술한 경로 시험 동작에 따른 기능적 구성을 살펴보면, 신호의 흐름은 경로 시험부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에서 나타내고 있는 신호의 흐름은 크게 순방향 흐름과 역방향 흐름으로 구분되어 진다. 상기 순방향 흐름을 따르고 있는 것은 OAM 셀의 흐름과 경보 표시신호(AIS: Alarm Indication Signal)의 흐름이며, 상기 역방향 흐름을 따르고 있는 것은 성능감시 결과의 흐름과 원격 수리 고장(RDI: Remote Defect Indication) 신호의 흐름이다. 상기한 종래 경로 시험에 따른 설명 및 상기 도 1에 따른 설명은 "한국통신학회"에서 "1996년 11월 9일"자로 발행된 "ATM교환"의 141 페이지 내지 176 페이지에 걸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를 도면으로 간략하게 나타내면 도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도 1은 통상적인 장애 관리에 따른 신호 흐름의 기본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1, 5의 종결점 및 2, 3, 4의 연결점으로 구성된 포인트(point)와 각 포인트를 연결하는 A, B, C, D 링크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2와 4 연결점 사이에 OAM 결함 체크 기능을 구동(activate)시켜 놓았을 때 2와 3 연결점을 연결하는 B 링크에서 물리계층 결함(Physical Layer Defect)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고,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동작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B 링크에서 물리계층 결함이 발생하게 되면, 이는 연결점 3에서 감지하게 된다. 이를 감지한 연결점 3에서는 B 링크에서 발생한 물리계층 결함을 알리기 위해 연결점 4 방향으로 AIS 셀을 발생한다. 한편, 상기 연결점 4 또한 LOC(Loss of Conitinnity)에 의해 연결점 5 방향으로 AIS 셀을 발생한다.
그로 인하여 결과적으로 보면, 연결점 5에서는 연결점 3과 연결점 4에서 발생한 AIS 셀을 수신하게 되며, "I.610"에 규정된 대로 1초에 1개의 AIS 셀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2개 이상의 AIS 셀을 수신하게 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ATM 상의 프로토콜 중 ATM 정합장치를 구성하는 ATM 계층(layer)은 장애 관리(Fault Management)를 위하여 AIS 셀, RDI 셀을 발생시킨다. 하지만 앞에서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은 경우로 인하여 소정 주기(일 예로 "1초")에 하나씩 생성되기로 한 AIS 셀이 두 개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종래의 ATM 정합장치는 AIS 셀을 감시하기 위한 기능이 없어 순방향으로 AIS 셀이 지나가더라도 자신의 연결점에서 AIS 셀 발생 조건이 성립하면 AIS 셀을 송신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ATM 정합장치의 경우 1초에 1개의 AIS 셀을 수신하도록 하는 "I.610" 규정을 만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불필요한 AIS 셀의 발생과 더불어 동작상의 효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었다.
또한, 불필요한 셀의 발생으로 인하여 정확한 셀 모니터링을 이룰 수 없어 시스템의 보수 운용 관리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ATM 정합장치의 ATM 계층이 경보표시신호 셀을 모니터링 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경보 표시신호 셀의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TM 정합장치의 ATM 계층이 경보 표시신호 셀의 통과를 감시하여 상태정보를 ATM 정합장치 제어부에게로 보고함으로서 추가적인 장애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이티엠 계층에 보수 운용 관리 셀의 감시기능을 추가하여 안정적인 보수 운용 관리 운영을 성립시키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경보표시신호 셀 통과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에 의해 상기 경보표시신호 셀을 수신하면 상기 셀의 수신이 이루어진 연결에 대응하는 상태 테이블 인덱스를 결정하여 상기 경보표시신호 셀의 상태정보를 세팅한 후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에 의한 소정 시간의 경과를 감지하거나 사용자 셀을 수신하면 해당 상태 테이블 인덱스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한 인덱스에 세팅된 상태정보를 클리어 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표시신호 셀 발생 조건이 성립할 시 상기 상태 테이블의 해당 인덱스에 세팅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경보표시신호 셀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을 구현하였다.
도 1은 장애 관리에 따른 신호 흐름의 기본 메커니즘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보수 운용 관리 셀 포맷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을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을 위해 상태정보를 세팅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불필요한 경보표시신호 셀 발생 억제를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경로 시험 기능을 수행하는 ATM 정합장치의 초입부(Ingress Part)에 새로운 상태 테이블(Status Table)과 기존 구성인 OAM 셀 처리부에 AIS 모니터링 기능을 추가한 구성을 가져야 한다.
먼저 상기 상태 테이블이 추가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을 위한 ATM 정합장치의 구성은 도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상기 도 3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도 3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OAM 배치, 즉 OAM 흐름에 따른 기본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종단점과 연결점 중 소정 연결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ATM 정합장치(310)는 AIS 셀 모니터부(312), 상기 ATM 정합장치(310)의 제어부(318), 상태 테이블 메모리(314) 및 타이머(316)로 구성된다.
상기 AIS 셀 모니터부(312)는 도면상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OAM 셀 처리부 내에 구비되어 다수의 셀 경로(연결; connection)를 모니터링 하여 AIS 셀의 통과(pass)를 감시한다. 또한 상기 AIS 셀 모니터부(312)는 AIS 셀의 통과 상태에 따른 상태정보를 ATM 정합장치의 제어부(318)에게 보고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318)는 상기 AIS 셀 모니터부(312)로부터 상태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상태정보가 모니터링된 연결에 대응하는 상태 테이블에 세팅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18)는 각 연결에 해당하는 상태 테이블을 참조하여 AIS 셀 발생 조건 성립시 AIS 셀의 발생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부(318)의 일련의 동작은 도 4와 도 5에 도시한 제어 흐름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AIS 셀 모니터부(312)와 제어부(318)는 ATM 교환기에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OAM 셀 처리부 내에 구현할 수 있다.
상태 테이블 메모리(314)는 내부에 각 연결에 해당하는 상태 테이블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318)로부터 제공되는 상태정보를 해당 상태 테이블에 세팅하여 저장한다. 상기 세팅된 상태정보는 상기 제어부(318)에 의해 클리어 되거나 보존된다.
타이머(316)는 AIS 셀 통과에 대응한 상태정보의 보존 여부 결정에 따른 타임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제어부(318)가 모니터링한 AIS 셀이 소정 시간동안 유지되는 가를 판단하는 타임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318)는 상기 타임 정보에 따라 상기 상태 테이블에 세팅된 상태정보를 유지하거나 클리어를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도 4는 제어부(318)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을 위해 상태정보를 세팅하기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 도 5는 제어부(318)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불필요한 경보표시신호 셀 발생 억제를 위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타이머(316)의 설정 타임이 "2.5±0.5"로 설정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메커니즘을 구성하는 연결점간의 링크 중 연결점 2와 연결점 3 사이의 링크 B에서 장애가 발생하였다는 가정 하에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가정할 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연결점은 연결점 4가 될 것이다. 또한 상기 도 1에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연결만을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연결을 가짐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B 상의 110 지점에서 장애가 발생하면 연결점 3은 이를 감지하여 장애 발생을 알리기 위한 AIS 셀을 112에서 발생할 것이다.
한편, 상기 발생된 AIS 셀은 링크 C를 통해 연결점 4에 제공되며, 상기 연결점 4에 제공된 AIS 셀은 상기 연결점 4를 통과하여 다음 링크 D로 진행한다. 상기 AIS 셀의 통과를 감지한 연결점 4의 ATM 정합장치(310)는 도 4와 도 5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AIS 셀을 모니터링 하는 기능을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ATM 정합장치(310)의 AIS 셀 모니터부(312)는 AIS 셀의 통과를 모니터링 하는 중에 상기 AIS 셀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감지되는 AIS 셀의 포맷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도 2를 통해 AIS 셀의 구성을 살펴보면, (a)에 도시한 셀 구성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ATM 계층의 OAM 셀은 5개의 공통필드를 갖는다. 그 중에는 OAM 셀 종류를 구별하기 위한 OAM 셀 형태 및 기능 형태필드의 식별자를 사용한다. 상기 공통 필드 외의 기능별 정보필드는 상기 OAM 셀의 용도에 따라 서로 다른 특정 필드를 가지게 된다. 상기 OAM 셀의 용도로는 경보 통지, 오류 감시, 보고 등이며, 고장 통지 등의 ATM 계층 유지 보수 정도도 셀을 사용하여 송수신 된다.
(b)는 상기 OAM 셀의 용도에 따른 다양한 셀 중 장애 관리 OAM 셀용 특정 필드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b)의 구성을 가지는 장애관리 셀용 정보필드는 사용 용도에 따라 AIS 장애 관리 셀(AIS 셀)과 RDI 장애 관리 셀(RDI 셀)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AIS 셀의 경우 물리 계층에 의한 장애인가 ATM 게층에 의한 장애인가 등의 고장 속성을 표시하는 고정 유형의 필드가 있으며, 이는 8 비트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RDI 셀의 경우 AIS 셀과 동일하게 장애 원인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로 8 비트가 할당되어 있으며, 장애 위치 표시, 연속성 검사 및 장애 관리 셀을 표시하기 위한 필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AIS 셀을 감지한 AIS 셀 모니터부(312)는 이를 제어부(318)에 통지한다. 상기 제어부(318)는 이를 도 4에 도시한 410단계 내지 412단계의 수행에 의해 감지하게 된다. 상기 AIS 셀의 통과를 감지한 제어부(318)는 4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AIS 셀이 통과한 연결에 대응하는 상태 테이블을 결정한다.
즉,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0∼n의 연결이 구비된 상태에서 특정 연결, 일 예로 연결 5로 AIS 셀이 통과하였다면 상기 제어부(318)는 상기 연결 5에 대응하는 상태 테이블을 결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은 앞에서 설명한 링크와 동일한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상태 테이블이 결정되면 상기 제어부(318)는 4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결정된 상태 테이블에 상태정보를 세팅한다. 이때의 상기 상태정보는 AIS 셀의 통과를 나타내는 정보가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318)는 상기 상태정보의 세팅과 더불어 타이머(316)를 제어하여 타이머(316) 구동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18)의 416단계 수행에 의해 상태 테이블 메모리(314)는 결정된 상태 테이블에 상태정보를 세팅하게 된다. 상기 상태 테이블의 구성을 일 예를 들어 도시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상태 테이블 구분 인덱스 상 태 정 보
0 Data 0
1 Data 1
n Data n
상기 〈표 1〉에 도시한 상태 테이블 구분 인덱스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연결에 대응하도록 한다. 또한 상태정보 영역은 각각의 연결(상태 테이블 구분 인덱스)에 대응하여 1비트 정도의 메모리 영역이 필요하다.
상기 상태정보의 세팅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318)는 도 5의 510단계와 512단계를 통해 상태정보 클리어 요구를 감시한다. 즉, 상기 510단계에서 상기 도 4의 418단계에 의해 구동된 타이머에 의해 설정 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거나 상기 512단계에서 사용자 셀의 수신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설정 타임인 "2.5±0.5"가 경과할 때까지 상기 AIS 셀의 통과 상태가 유지되거나 장애 발생에 따른 사용자 셀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한다.
만약 상술한 상태를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318)는 즉시 514단계 및 516단계를 수행하여 해당 상태정보를 클리어 한다. 즉, 상기 514단계에서 타이머 완료 또는 사용자 셀이 제공된 연결에 따라 해당 상태 테이블을 결정한다. 또한 상기 516단계에서는 상기 결정된 상태 테이블에 세팅된 상태정보를 클리어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태정보가 클리어 됨으로 인해 연결점에 해당하는 ATM 정합장치에서는 비정상적인 AIS 셀에 대해서 AIS 셀 발생을 억제하게 된다. 즉, ATM 정합장치 제어부 318은 자기 연결점 내에 AIS 셀 발생 조건 성립(예로 "LOC" 상태)시 상태 테이블을 참조하여 AIS 셀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됨에 따라 불필요한 AIS 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I.610에서 규정하고 있는 규격을 충실히 만족하는 장애 관리 OAM 기능을 갖는 ATM 정합장치를 구현함으로서, 불필요한 AIS 셀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동작상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안정적인 보수 운용 관리를 성립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태 테이블을 가지는 메모리를 구비한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을 모니터링 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보표시신호 셀 통과 여부를 모니터링 하는 과정과,
    상기 모니터링에 의해 상기 경보표시신호 셀을 수신하면 상기 셀의 수신이 이루어진 연결에 대응하는 상태 테이블 인덱스를 결정하여 상기 경보표시신호 셀의 상태정보를 세팅한 후 타이머를 구동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머에 의한 소정 시간의 경과를 감지하면 해당 상태 테이블 인덱스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한 인덱스에 세팅된 상태정보를 클리어 하는 과정과,
    사용자 셀을 수신하면 해당 상태 테이블 인덱스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한 인덱스에 세팅된 상태정보를 클리어 하는 과정과,
    상기 경보표시신호 셀 발생 조건이 성립할 시 상기 상태 테이블의 해당 인덱스에 세팅된 상태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경보표시신호 셀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셀의 발생 여부 결정에 의해 상기 수신한 경보표시신호 셀을 진행시키거나 새로운 경보표시신호 셀을 발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
KR1019980047594A 1998-11-06 1998-11-06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 KR10027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94A KR100273639B1 (ko) 1998-11-06 1998-11-06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7594A KR100273639B1 (ko) 1998-11-06 1998-11-06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516A KR20000031516A (ko) 2000-06-05
KR100273639B1 true KR100273639B1 (ko) 2000-12-15

Family

ID=1955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7594A KR100273639B1 (ko) 1998-11-06 1998-11-06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363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516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3568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redundant control path links in a multi-shelf network element
EP1603272B1 (en) Communication network event logging systems and methods
JP3003051B2 (ja) デュアルスイッチプレーン動作atmスイッチ
JP2849357B2 (ja) 網ノード輻輳状態決定装置および方法
US20100124165A1 (en) Silent Failure Identification and Trouble Diagnosis
JPH09214557A (ja) 通信システム及び信号伝送方法
KR100216370B1 (ko) Atm 스위치 보드의 이중화 장치 및 방법
KR20010041157A (ko) 가상 접속의 보호 스위칭
KR100273639B1 (ko) 에이티엠 정합장치에서 경보표시신호 셀 모니터링 방법
JP2008301141A (ja) 交換器
KR100373335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스위치 포트 상태관리 방법
CN115529223B (zh) 一种基于级联交换机的双冗余网卡切换方法
KR100194612B1 (ko) 중소형 atm 교환 시스템 가입자 정합장치에서의 경보 셀 방생 및 해제방법
CN115529222A (zh) 一种基于级联交换机的双冗余网卡切换装置
KR100369331B1 (ko) 교환시스템의 서비스 격리 상태에서 시험장치를 이용한 경로 시험 방법
EP12988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on of redundant control path links in a multi-shelf network element
KR960009465B1 (ko) 가상 경로(VP) 루프백(loopback)을 이용한 망자원 관리 방법
JP3036527B2 (ja) Atm警報マスキング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51164B1 (ko) 브이5.2 프로토콜의 링크 상태 제어 방법
KR100427760B1 (ko) 교환시스템에서의성능블록상태감시및제어방법
KR20000033346A (ko) 루프백 시험을 이용한 스위치 링크의 장애 메시지 출력 방법
KR20000044514A (ko) 비동기전송모드 시스템에서 장애 관리장치
KR100423720B1 (ko) 비동기 전송방식 교환기의 프로세서 상태 감시 방법
KR100279677B1 (ko) 스위치 링크의 단계별 장애 진단을 통한 장애 메시지 출력방법
KR20000020254A (ko) 에이티엠 교환기에서 오에이엠 셀 테스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