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289B1 - 쥬스기 - Google Patents

쥬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289B1
KR100272289B1 KR1019980023228A KR19980023228A KR100272289B1 KR 100272289 B1 KR100272289 B1 KR 100272289B1 KR 1019980023228 A KR1019980023228 A KR 1019980023228A KR 19980023228 A KR19980023228 A KR 19980023228A KR 100272289 B1 KR100272289 B1 KR 10027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juicer
fruit
rim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3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050A (ko
Inventor
김봉술
Original Assignee
권효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효근 filed Critical 권효근
Priority to KR1019980023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289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7Centrifugal ex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쥬스기 내의 진동 및 소음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쥬스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쥬스기는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인닥션 모터와, 상기 인닥션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쥬스기 내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소정량의 소금물이 내부에 담겨져 있는 커플링과, 칼날이 부착된 제2 필터-림과 과일 찌꺼기의 유착을 방지키 위한 다수의 돌기들을 가지는 제1 필터-림이 상/하단부에 각각 부착된 필터와, 상기 필터-베이스가 안착되고 일측에 주스액 출구를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조립되며 상기 주스액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필터-림의 끝과 평행을 이루는 돌출 리브와 상기 돌출리브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과일 찌꺼기의 배출이 용이토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배출면을 일체형으로 가지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둘레면을 따라 안착되며 상기 제1 필터-림과 최소한의 갭을 유지토록 하는 리브가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투명재질의 리드와, 상기 리드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과일 덩어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의 밑면 테두리를 따라 융착되며 상기 과일 덩어리의 분쇄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쥬스기
본 발명은 야채, 과일 등을 분쇄시켜 즙을 내는 쥬스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찌꺼기 및 주스액의 외부 유출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는 쥬스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쥬스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 쥬스기는 크게 세부분으로 구성되며, 이는 바디 100에 설치된 유니버설 모터 108과, 과일, 야채 등의 찌꺼기 및 주스액을 배출시키기 위한 가이드-프레임 112와, 상기 야채, 과일 등을 분쇄시켜 즙을 내기 위한 칼날 128 및 필터 12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바디 100의 내부 중심에는 유니버설 모터 108이 설치되며, 상기 유니버설 모터의 샤프트 110에는 커플링(도시하지 않음)이 결합되며, 그 위로는 가이드-프레임 112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 112의 안쪽에는 적정 크키의 구멍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 112의 전/후부에는 주스 배출구 116과 찌꺼기 배출구 114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 11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이에 따라 상기 주스 배출구 116과 구멍의 경계면에는 턱 116a가 형성된다. 이는 주스액 및 찌꺼기가 상기 턱 116a에 끼이는 현상을 유발시킨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 112에는 필터 126이 안착되며, 상기 필터 126은 상/하단부에 필터-림 124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필터 126의 저면에 부착된 필터-림에는 칼날 128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칼날 128은 과일, 야채 등의 덩어리를 분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쥬스기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유니버설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소음 및 진동이 심하게 발생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그리고 주스 배출구에는 턱(파팅)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턱 주위에 주스액 및 찌꺼기가 쌓이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주스 배출구는 항상 불결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는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주 요인이 되었다. 또한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가이드-프레임의 면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의 공간이 매우 좁기 때문에 주스액이 수직면(118)에 부딪혀 찌꺼기와 함께 와류를 일으키면서 외부로 튀어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상기 필터-림의 상면과 리드 사이의 갭이 크기 때문에 찌꺼기가 공간부(120)에 유입되어 청소시에 상당한 불편함을 야기시켰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림의 상단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필터-림에 찌꺼기가 계속해서 쌓이게 되어 쉽게 청소가 되지 않아 항상 지저분한 상태로 남아 있다. 또한 스위치 노브를 “온”상태에서 클램프를 리드에 체결할 경우 스위치 노브의 끝단부가 가이드 되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로 스위치가 “오프”되어 불량으로 오인 판명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쥬스기 내의 진동 및 소음을 최대한 감소시킬 수 있는 쥬스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주스 배출구에 주스액 및 찌꺼기가 쌓이지 않는 쥬스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와 가이드-프레임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하여 주스액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쥬스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니버설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인닥션 모터를 사용한 쥬스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드와 필터-림 사이의 갭을 최소화시켜 찌꺼기가 가이드-프레임의 공간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쥬스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쥬스기는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인닥션 모터와, 상기 인닥션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상기 쥬스기 내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약 20∼30% 정도의 염도를 가지는 소금물이 내부에 담겨져 있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둘레면을 따란 설치된 필터-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되며 칼날이 부착된 제2 필터-림과 과일 찌꺼기의 유착을 방지키 위한 다수의 돌기들을 가지는 제1 필터-림이 상/하단부에 각각 부착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둘레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필터-베이스가 안착되고 일측에 주스액 출구를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조립되며 상기 주스액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필터-림의 끝단과 평행을 이루는 돌출 리브와 상기 돌출리브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과일 찌꺼기의 배출이 용이토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배출면을 일체형으로 가지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둘레면을 따라 안착되며 과일 덩어리를 상기 필터 쪽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투입구를 가지고 상기 제1 필터-림과 최소한의 갭을 유지토록 하는 리브가 저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투명재질의 리드와, 상기 투입구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리드의 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과일 덩어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의 밑면 테두리와 상기 투입구의 테두리 일부분을 따라 융착되며 상기 과일 덩어리의 분쇄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쥬스기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쥬스기에서 찌꺼기 배출구와 주스 배출구를 가지는 가이드-프레임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쥬스기의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쥬스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투입구와 가이드-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덮개의 저면도.
제6도는 제5도에서 “A-A”의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에서 “B-B”의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필터-림을 따라 돌기들이 형성된 필터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에서 “C-C”의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필터-림과 평행을 이루는 돌출리브와 배출면을 가지는 커버의 평면도.
제11도는 제10도에서 “D-D”의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인닥션 모터에 결합되어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커플링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13도는 상기 커플링의 저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안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클램프의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제15도는 상기 클램프의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덮개 14 : 투입구
16 : 리브 18 : 가이드-리브
20 : 플레이트 22 : 필터
24a : 제1 필터-림 24b : 제2 필터-림
26 : 돌기 28 : 칼날
30 : 필터-베이스 32 : 커플링
34 : 커플링-커버 36 : 소금물
42 : 커버 42a : 배출면
42b : 돌출리브 44 : 가이드 프레임
48 : 클램프 50 : 힌지
52 : 스위치 노브 54 : 마이크로 스위치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쥬스기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쥬스기는 바디 62의 중심부에 고정 설치된 인닥션 모터 60과, 상기 인닥션 모터의 샤프트 60a에 결합되어 쥬스기 내의 진동 및 소음을 최대한 감소시키는 커플링 32와, 과일 등의 덩어리를 분쇄시키면서 즙을 내는 칼날 28 및 필터 22와, 끝으로 이들을 보호하고 찌꺼기 또 주스액의 토출을 방지하는 각 보조물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덮개 11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3도 및 제4도는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를 설명할 때 항상 함께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5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덮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덮개 11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며, 타원형의 리드 12와 투입구 14 및 가이드-리브 18이 일체로 사출 성형된 것이다. 즉, 상기 리드 12의 저면 테두리에는 후술하는 커버 42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부 15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 15의 일측으로는 리브 16이 둘레면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브 16은 후술하는 돌기 26과 최소한의 갭을 형성하며, 이는 커버의 공간부 42c로 찌꺼기가 유입되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착즙된 후의 찌꺼기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리드 12의 일부분에는 야채, 과일 등의 덩어리를 필터 22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투입구 14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투입구 14는 푸시봉 10이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직경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투입구 14의 둘레에는 가이드-리브 18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아래로 신장·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리브 18은 과일(야채) 덩어리가 필터 22의 회전시에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리브 18의 밑면 테두리와 상기 투입구 14의 테두리 일부분에는 피라미드 형상의 요철을 가지는 플레이트 20이 초음파 융착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 20은 끝이 뾰족한 돌기들이 규칙적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으며, 이는 과일 덩어리가 칼날 28에 의해 분쇄될 때 상기 덩어리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덩어리 찌꺼기의 토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과일 덩어리를 분쇄시키고 즙을 내는 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필터 22는 상단부는 직경이 크고 하단부는 직경이 작은, 즉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점점 작아지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22의 상단부 테두리에는 제1 필터-림 24a가 결합되며 하단부 전체 면에는 제2 필터-림 24b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필터 22는 제2 필터-림 24b에 의해 하단부가 막혀 있으며, 상기 제2 필터-림 24b의 상면에는 칼날 28이 나사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필터-림 24a의 상단 둘레면에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돌기 26들이 규칙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이때 상기 돌기 26은 착즙된 후의 찌꺼기가 배출구 쪽으로 배출될 때 상기 찌꺼기의 토출을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1 필터-림 24a의 상단에 돌기 26을 형성하게 되면 찌꺼기와 제1 필터-림 24a 사이의 마찰면적은 최소가 되며, 이는 상기 찌꺼기가 제1 필터-림 24a에 달라붙지 않고 최대한 많이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돌기 26은 리브 16과 함께 찌꺼기가 공간부 42c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주스 배출구와 찌꺼기 배출구를 가지는 가이드-프레임에 조립되는 커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커버 42의 상단부는 리드의 걸림부 15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가이드-프레임 44의 상단면에 조립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프레임 44와 커버 42를 각각 사출 성형한 다음 이들을 조립함으로써 상기 가이드-프레임 44의 주스 배출구 쪽에 턱(파팅)이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 44와 필터 22 사이의 공간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매우 넓기 때문에 착즙된 주스액이 상기 공간에서 와류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대부분(90% 이상)이 주스 배출구 쪽으로 배출된다. 상기 커버 42의 일측단 안쪽으로는 소정 각도로 경사진 돌출리브 42b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돌출리브 42b는 제1 필터-림 24a와 평행을 이루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50°정도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이는 주스액이 튀어 토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즉 상기 주스액은 돌출리브 42b의 경사면을 타고 어느정도 올라간 다음 다시 경사각에 의해 아래로 떨어지기 때문에 외부(공간부 42c)로 유출되지 않고 항상 주스 배출구쪽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 42의 후측단에는 즉, 찌꺼기 배출구가 위치한 쪽에는 소정 각도의 바람직하게는 약 45°∼ 50° 정도로 경사진 배출면 42a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배출면 42a는 제1 필터-림 24a의 끝과 평행으로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착즙되고 남은 찌꺼기가 가이드-프레임 44의 배출구 쪽으로 배출될 때 상기 찌꺼기 배출을 자연스럽게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 22는 필터-베이스 30에 고정 설치된다. 즉, 상기 필터 22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2 필터-림 24a와 칼날 28은 나사에 의해 필터-베이스 3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베이스 30은 후술하는 커플링 32를 감싸고 있으며, 중심에는 인닥션 모터의 샤프트 60a가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 60a의 상단에는 캡 38이 결합되며, 상기 캡 38은 샤프트 60a와 칼날 28 사이에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 32는 스토퍼 40에 의해 인닥션 모터의 샤프트 60a에 결합되며, 여기서 상기 인닥션 모터 60은 통상 3500∼3550 rpm 정도이다.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커플링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커플링 32는 쥬스기 내의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킨다. 즉, 상기 커플링 32의 중심에는 인닥션 모터의 샤프트 60a가 끼워져 결합되는 구멍 32a가 형성되며, 상기 구멍 32a의 외측으로는 고정리브 33이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고정리브 33의 외측으로는 소정 깊이의 홈이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홈에는 엘(L)자 모양으로 절곡진 절곡리브 66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부착되며, 상기 절곡리브 66의 사이에는 소금물 36이 담겨져 있다. 이때 상기 소금물 36은 약 20∼30% 정도의 염도를 가지며, 이는 물이 썩는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커플링 32의 회전시 웨이트(Weight)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소금물 32는 와 2/3 정도만 충진되며, 이는 상기 커플링 32의 회전시에 상기 절곡리브 66의 개구부(절곡된 부분을 말함)를 따라 일정 속도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리브 33의 테두리와 커플링 32의 저면에는 소금물 36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커플링-커버 34가 초음파 융착된다. 이때 상기 커플링-커버 34는 열 융착 혹은 고무패킹을 부착시킨 다음 나사로 고정시킬 수 있다.
제14도 및 제15도는 본 발명의 쥬스기에서 안전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클램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우선, 안전 스위치의 구성을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안전 스위치는 스위치 노브 52와 마이크로 스위치 54 및 터미널 플레이트 5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54는 브라켓 55에 의해 바디 62에 설치되며, 소정의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인닥션 모터 60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54에는 단자 58이 부착되며, 상기 단자 58의 하측에는 소정의 텐션을 가지는 터미널-플레이트 56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 노브 52는 바디 62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노브 52a와 엘(L)자 모양으로 절곡져 있는 리브 52b와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56을 전/후로 작동시키는 돌기 52c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 48은 상/하로 신장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리드 12에 고정 결합되는 갈고리 형상의 걸이부 48c를 가지고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경사진 손잡이 48d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 48의 하단부 양측면에는 즉, 상기 손잡이 48d의 반대편에는 고정부 48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 48b에는 샤프트 48a가 결합되고, 이때 상기 샤프트 48a의 양측단은 바디 62에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48a에는 소정 각도로 라운딩져 형성된 힌지 50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 50의 끝단에는 핀 50b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 50에는 걸림턱 70을 가지는 힌지-프레임 50a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힌지 50은 핀 50b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 70에는 스위치 노브 52가 위로 작동될 때 돌기 52c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쥬스기의 작동 상태를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쥬스기 바디 62의 양측에 설치된 클램프 48을 상부방향으로 회전시켜 걸이부 48c를 리드 12에 고정시킨 다음, 스위치 노브 52a를 위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러면 상기 스위치 노브 52에 일체로 형성된 돌기 52c는 터미널-플레이트 56을 우측(제4도에서)으로 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플레이트 56은 단자 58과 접촉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마이크로 스위치 54는 스위칭 “온”신호를 발생시키며, 인닥션 모터 60은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돌기 52c는 힌지-프레임의 걸림턱 70에 고정되며, 이에 상기 스위치 노브 52는 작동되지 않는다. 이어서 상기 인닥션 모터 60의 구동력에 의해 커플링 32와 칼날 28이 결합된 필터 22는 일정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플링 32의 내부에 담겨져 있는 소금물 36은 일정 속도로 회전하면서 무게중심을 잡아주게 된다. 즉, 상기 인닥션 모터 60의 고속 회전시에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은 커플링 32의 웨이터 밸런스에 의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소비자는 진동 및 소음을 거의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후, 투입구 14에 야채 혹은 과일 덩어리를 투입시킨 다음, 푸시봉 10으로 서서히 아래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상기 덩어리는 칼날 28에 의해 분쇄됨과 동시에 상기 필터 22의 고속 회전에 의해 즙이 생성된다. 이어서 상기 착즙된 주스액은 필터 22를 통해 가이드-프레임 44의 배출구 쪽으로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찌꺼기는 배출면 42a를 따라 가이드-프레임 44의 찌꺼기 배출구 쪽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찌꺼기는 필터 22의 고속 회전시에 리브 16에 의해 커버의 공간부 42c로 유입되지 않으면서 제1 필터-림 24a에 의해 배출면 42a 쪽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프레임 44의 공간으로 유입된 주스액은 돌출리브 42b와 넓은 공간부에 의해 와류 현상을 일으키지 않고 대부분(90% 이상)이 주스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진다.
그후, 쥬스기의 작동을 멈추고자 할 때는 스위치 노브 52a를 아래로 내린다. 그러면 돌기 52c는 걸림턱 70으로부터 이탈되며, 동시에 터미널-플레이트 56은 텐션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어서 상기 마이크로-스위치 54는 스위칭 “오프”신호를 발생하며, 인닥션 모터 60은 상기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아 정지된다. 이후 클램프의 손잡이 48d를 위로 젖히든지 혹은 걸이부 48c를 리드 12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상기 리더 12와 필터 22를 깨끗이 청소하면 모든 작업은 종료된다. 여기서 상기 클램프 48이 리브 12에 체결되어 있지 않으면, 소비자가 아무리 스위치 노브 52a를 위로 슬라이딩시켜도 마이크로 스위치 54는 스위칭 “온”되지 않는다. 이는 인닥션 모터 60이 정지상태로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수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쥬스기 내의 진동 및 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착즙된 후의 찌꺼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찌꺼기가 필터-림에 유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쥬스기는 가이드-프레임과 필터 사이의 공간을 최대한 넓게 함으로써 주스액의 와류현상을 없애 상기 주스액이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노브를 위로 슬라이딩시킨 상태에서 클램프를 리드에 체결시키도 아무런 문제 즉, 오동작으로 인한 마이크로 스위치의 불량으로 오인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쥬스기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쥬스기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며, 소정량의 물이 충진되어 상기 쥬스기 내의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소정량의 물이 내부에 담겨져 있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둘레면을 따라 설치된 필터-베이스의 상단에 설치되며, 칼날이 부착된 제2 필터-림과 과일 찌꺼기의 유착을 방지키 위한 다수의 돌기들을 가지는 제1 필터-림이 상/하단부에 각각 부착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둘레면과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설치되며, 상기 필터-베이스가 안착되고 일측에 주스액 출구를 가지는 가이드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조립되며, 상기 주스액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1 필터-림의 끝과 평행을 이루는 돌출 리브와 상기 돌출리브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상기 과일 찌꺼기의 배출이 용이토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배출면을 일체형으로 가지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둘레면을 따라 안착되며, 과일 덩어리를 상기 필터 쪽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투입구가 일체로 형성된 투명재질의 리드와; 상기 투입구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상기 리드의 저면에 형성되며, 상기 과일 덩어리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리브와; 상기 가이드-리브의 밑면 테두리와 상기 투입구의 테두리 일부분을 따라 융착되며, 상기 과일 덩어리의 분쇄시 미끄럼을 방지하는 요철 형상의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쥬스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인닥션 모터 임을 특징으로 하는 쥬스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에는 약 20∼30% 정도의 염도를 가지는 소금물이 담겨지며, 상기 커플링의 내부 저면에는 커플링의 회전시 상기 소금물의 요동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엘(L)자 모양으로 절곡진 절곡리브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쥬스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소금물은 약 2/3 정도의 높이만큼 담겨져 있으며, 상기 커플링 저부에는 상기 소금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를 초음파 융착으로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쥬스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면은 상기 제1 필터-림의 끝부분과 평행을 이루도록 약 45°∼ 50°정도로 경사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쥬스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의 저면 둘레에는 상기 커버의 공간부 쪽으로 과일 찌꺼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가 아래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쥬스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에는 피라미드 형상의 돌기들이 규칙적으로 배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쥬스기.
KR1019980023228A 1998-06-15 1998-06-15 쥬스기 KR100272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228A KR100272289B1 (ko) 1998-06-15 1998-06-15 쥬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3228A KR100272289B1 (ko) 1998-06-15 1998-06-15 쥬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050A KR19980065050A (ko) 1998-10-07
KR100272289B1 true KR100272289B1 (ko) 2000-12-01

Family

ID=1954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3228A KR100272289B1 (ko) 1998-06-15 1998-06-15 쥬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2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2108A (zh) * 2017-02-08 2018-08-1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杯盖组件和食物料理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92108A (zh) * 2017-02-08 2018-08-14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杯盖组件和食物料理机
CN108392108B (zh) * 2017-02-08 2021-07-27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杯盖组件和食物料理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050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63903B2 (en) Devices and methods to disintegrate foods
RU2340271C2 (ru) Крышка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оковыжималки и электрическая соковыжималка
MX2011001221A (es) Modulo exprimidor y exprimidor helicoidal vertical.
CN106983402A (zh) 组合式榨汁机搅拌机
MX2008016259A (es) Extractor de jugos.
US20110271849A1 (en) Centrifugal juicers
CN210124549U (zh) 一种防滴汁的卧式螺杆挤压榨汁机
US20230121117A1 (en) A juicer
KR100272289B1 (ko) 쥬스기
KR101455080B1 (ko) 착즙기
RU2261036C2 (ru) Соковыжималка
KR20190047678A (ko)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KR101278697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CN215383416U (zh) 一种不用手洗食品加工机
CN108013721B (zh) 一种刷架、榨汁杯及食物处理机
KR101278698B1 (ko) 배출날이 구비된 주스기
KR101978810B1 (ko) 식재료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진공 믹서기
CN215272222U (zh) 料理机
CN218784398U (zh) 杯盖组件及料理机
CN215272277U (zh) 料理机的粉碎杯组件及料理机
CN216167035U (zh) 一种食品加工机
CN211609488U (zh) 一种自动清洗效果好的食品加工机
CN215272275U (zh) 料理机的粉碎杯组件及料理机
WO2023227963A1 (en) A lid assembly and a cooking machine
CN110731711B (zh) 一种清洗效果好的食品加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