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972B1 -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972B1
KR100271972B1 KR1019980028017A KR19980028017A KR100271972B1 KR 100271972 B1 KR100271972 B1 KR 100271972B1 KR 1019980028017 A KR1019980028017 A KR 1019980028017A KR 19980028017 A KR19980028017 A KR 19980028017A KR 100271972 B1 KR100271972 B1 KR 100271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message
window
us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281A (ko
Inventor
최재남
Original Assignee
신동호
한국통신하이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호, 한국통신하이텔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동호
Priority to KR101998002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97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8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9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5/401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wherein the services involve a main real-time session and one or more additional parallel real-time or time sensitive sessions, e.g. white board sharing or spawning of a subconference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윈도우를 2개 이상 운용하여 다수의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도록 하는 사용자 시스템과, 그 윈도우별로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세션을 생성하고 관리하기 위해 멀티 세션으로 구현된 세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호스트 시스템으로 구성된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시스템에서 윈도우를 생성하면, 호스트 시스템에서 세션을 생성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동시에 수행되기 원하는 서비스 또는 파일 전송 등의 작업을 선택하면, 그에 따른 처리 요구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호스트 시스템이 그 수신된 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해당 세션의 헤더 정보를 부가한 후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해당 세션의 헤더 정보를 삭제하여 파일을 저장한 후 파일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그 세션에 해당되는 윈도우로 전송하는 단계와, 세션 닫기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그 서비스 프로그램을 종료시킨 후, 현재 세션 번호를 1 감소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별도의 통신 관련 프로세스를 띄우지 않고 적은 비용으로 멀티 세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본 발명은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통신 관련 프로세스를 띄우지 않고, 기존의 터미널 방식으로 운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멀티 세션에 의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터미널 방식으로 운용되는 통신 시스템에 멀티 쓰래드에 의해 구현된 세션 관리 모듈을 추가하여 상기 터미널 방식의 통신 시스템 사용자가 동시에 2개 이상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터미널 방식의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그 통신 시스템 사용자가 동시에 2개 이상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 컴퓨터에 다수의 윈도우를 띄우고,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처리 방식을 멀티 세션이라 한다.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이러한 멀티 세션을 적용하면, 상기 사용자가 데이터 통신망에서 파일을 업로드(upload)하거나, 다운로드(download)하는 경우와 같이 시간이 오래 걸리는 작업을 수행할 때 그 작업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하지 않고, 동시에 원하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 중 하나인 PC 통신의 경우 하이텔과 천리안 등 주로 사용되고 있는 호스트 시스템이, 모뎀을 통해 공중 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의 시리얼 라인(serial line)으로 사용자 시스템과 접속한다. 즉, 이러한 데이터 통신의 경우 호스트 시스템과 사용자 시스템간 네트웍 커넥션(network connection)이 하나이기 때문에, 멀티 세션을 구현하는 것이 힘들다.
한편, 상기 하이텔이나 천리안과는 완전 다른 방식으로 구현된 유니텔의 경우 구현 초기부터 호스트 시스템과 사용자 시스템간의 TCP/IP 계층에서 네트웍 커넥션(network connection)을 다수로 하는 것을 전제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멀티 세션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하지만, 개발 초기부터 상기 유니텔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된 하이텔이나 천리안과 같은 호스트 시스템에 멀티 세션을 적용하기 위해 그 시스템을 전면적으로 정정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며, 많은 인력과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여 별도의 통신 관련 프로세스를 띄우지 않고, 기존의 터미널 방식으로 운용되는 통신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멀티 세션에 의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터미널 방식으로 운용되는 기존 통신 시스템에 멀티 쓰래드에 의해 구현된 세션 관리 모듈을 추가하여 상기 터미널 방식의 통신 시스템 사용자가 동시에 2개 이상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은 통신망에 의해 다수의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 시스템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스템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윈도우를 한 화면에 2개 이상 다수 개로 형성하고, 윈도우 별로 메시지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하면서 윈도우 별로 각각의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제어하는 멀티 윈도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는 상기 윈도우별로 각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각각의 세션 및 서비스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각 세션별로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는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세션별 데이터 관리 및 데이터 중개와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세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호스트 시스템의 세션 별 메시지 관리에 의해 사용자 시스템의 윈도우별 메시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2개 이상의 서비스를 한 화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통신 방법은 사용자 시스템에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주 윈도우인 마스터 윈도우를 생성하면, 호스트 시스템이 상기 윈도우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세션인 마스터 세션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마스터 윈도우를 통해 동시에 수행되기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시스템에서 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윈도우에 해당하는 세션 번호(ID) 및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담은 세션 열기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사용자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간 파일을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시스템에서 파일 송/수신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세션 열기 또는 파일 송/수신 명령을 수신한 호스트 시스템이 그 수신된 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해당 세션의 헤더 정보를 부가한 후,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해당 세션의 헤더 정보를 삭제하여 파일을 저장한 후 파일 서버에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그 메시지에 부가된 세션 번호(ID) 및 호스트 메시지를 추출한 후, 그 세션에 해당되는 윈도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멀티 세션 상태에서 임의의 세션을 닫기 위해, 사용자 시스템이 세션 닫기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그 세션에 해당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종료 명령을 전달하여 그 서비스 프로그램을 종료시킨 후, 현재 세션 번호를 1 감소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한 화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윈도우를 동시에 생성하여 각각의 윈도우별 서비스를 운영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3a는 본 발명의 세션 열기에 대한 사용자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3b는 본 발명의 세션 열기에 대한 호스트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4a는 본 발명의 세션 닫기에 대한 사용자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4b는 본 발명의 세션 닫기에 대한 호스트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호스트 시스템에서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대한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시스템에서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대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접속 처리 모듈 120 : 세션 관리 모듈
121 : 파일 전송 처리부 122 : 멀티 세션 제어부
123 : 메시지 수신 버퍼 124 : 메시지 수신부
125, 126 :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 127 : 메시지 중개부
130 :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
140 : 서비스 프로그램 210 : 메시지 송/수신부
230 : 메시지 분리부 및 분배부 240 : 윈도우별 메시지 관리부
250 : 윈도우 251 : 마스터 윈도우
252 : 윈도우 관리부 253 : 슬레이브 윈도우
254 : 파일 전송 윈도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멀티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시스템은 사용자의 접속 요구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시스템과의 연결(connection)을 제어하는 접속 처리 모듈(110)과, 상기 접속 처리 모듈(110)에 의해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 시스템에 접속되면 그 사용자 시스템의 원도우에 서비스의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프로그램 및 세션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130)과,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130)의 제어를 받아 멀티 쓰래드로서 생성되며, 사용자 시스템의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어느 세션에 대한 메시지인지를 구별하고, 그 메시지에 대하여 세션 열기/닫기, 서비스 종료, 다운로드 명령을 식별하여 메시지 타입을 변경하여 메시지 수신 버퍼(123)에 재 저장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바로 해당 세션으로 중개하며, 각 세션 별로 해당 세션의 번호 및 헤더 정보를 부가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세션 관리 모듈(120)과, 상기 사용자 시스템에서 요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130)의 제어에 의해 프로세스 형태로 해당 세션에 제공되는 서비스 프로그램 모듈(14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세션 관리 모듈(120)은 별도로 프로세스로 구현하지 않고, 기존 호스트 프로세스의 안에 멀티 쓰래드에 의해 구현되었으며, 상기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Incoming Thread)(124)와, 상기 메시지 수신부(124)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여 세션별로 관리하는 메시지 수신 버퍼(InMsgPool)(123)와, 상기 메시지 수신 버퍼(123)에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판독하여 파일 전송 메시지, 서비스 종료 메시지 또는 세션 열기/닫기 메시지의 타입 재 설정하거나, 그 메시지가 전송되어야 할 최종 목적지를 설정한 후, 상기 수신 버퍼에 재 저장하는 메시지 중개부(CommandTraderThread)(127)와, 세션의 개수만큼 존재하며, 상기 메시지 수신 버퍼에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해당 세션별로 받아들여 수신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제어하고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에게 전달하거나, 사용자 시스템의 해당 윈도우에 전송하기 위해 세션별로 발생된 메시지에 세션 번호(ID)를 부가한 후, 해당 윈도우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msgThread) (125, 126)와, 상기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의 파일 업/다운로드(Up/Down load)에 대한 명령어를 수신한 경우 파일의 업/다운로드를 제어하는 파일 전송 처리부(up/dn Thread)(121)와,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130)의 멀티 세션 서비스 제어에 의해 생성되며, 멀티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초기에 상기 메시지 수신부(124),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125, 126)및 메시지 중개부(127)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세션 열기 명령이 전송된 경우 새로운 세션에 해당하는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를 생성하는 멀티 세션 제어부(msgDaemonThread) (122)로 구성된다.
이 때, 각 구성 요소들간에 굵은 선으로 연결된 것은 통신 관계를 점선으로 연결된 것은 생성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화살표 방향으로 생성 관계가 성립되는데, 예를 들면,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제어 모듈(130)은 멀티 세션 제어부(122)를 생성하고, 상기 멀티 세션 제어부(122)에서 메시지 수신부(124),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125, 126) 및 메시지 중개부(127)를 생성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하는 사용자 시스템의 멀티 윈도우 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적어도 1개 이상의 윈도우를 이용하여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윈도우를 형성시켜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250)와,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제어하며, 상기 윈도우 제어부(250)에서 발생된 메시지에 해당 세션 번호(ID)를 부가하여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수신부(210)와,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호스트 시스템의 메시지를 해당 세션별로 분리하여, 상기 윈도우 제어부(250)의 해당 윈도우에게 메시지를 중개하는 메시지 분리 및 분배부(230)와, 상기 메시지 분리 및 분배부(230)에서 해당 세션별로 분리된 메시지를 윈도우별로 저장 관리하는, 원도우별 메시지 수신부(240)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윈도우 제어부(250)는 사용자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사이에 연결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마스터 윈도우(251)와, 사용자가 호스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동시에 2개 이상 이용하고자 할 때, 상기 마스터 윈도우(251)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 추가로 생성되는 슬레이브 윈도우(253)와, 사용자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간 파일 전송이 수행될 경우, 그 전송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상기 마스터 윈도우에 의해 생성되는 파일 전송 윈도우(254)와, 상기 마스터 윈도우(251)에 의해 생성되어 운용되고 있는 윈도우의 정보를 관리하는 윈도우 관리부(252)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호스트 시스템 및 사용자 시스템의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 시스템에게 접속을 요구하면 상기 접속 처리 모듈(110)에 의해 접속이 수행되고, 접속과 함께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 (130)이 생성되며,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130)이 세션 관리 모듈(120)에 포함되는 각 부분을 생성시키도록 제어하는 멀티 세션 제어부(122)를 먼저 생성시키고, 상기 멀티 세션 제어부(122)가 상기 메시지 수신부(124), 메시지 중개부(127) 및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125)순서로 생성한다.
이와 같이 통신을 위한 호스트 시스템에서 멀티 쓰래드로 구현된 기본적인 모듈들이 생성되면 상기 멀티 세션 제어부(122)는 사용자로부터 새로운 세션을 추가로 열거나 현재 사용 중인 세션을 닫고자 하는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 때, 사용자 시스템에서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의 접속에 의해 마스터 윈도우(251)가 생성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간의 접속에 의해 기본적인 통신 모듈들이 생성되면, 그 통신 모듈에 의해 사용자가 메뉴 이동 및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사용자가 하나의 서비스 윈도우를 더 생성하여 동시에 2개 이상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마스터 윈도우(251)에서 새로운 세션 열기 메뉴에서 동시에 이용하고자 하는 서비스를 선택하면, 새로운 세션 열기 명령어를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멀티 세션 제어부(122)는 그 메시지를 수신하여 새로운 세션에 해당하는 세션 번호를 할당한 다음 새로운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를 추가로 생성하고,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130)에서 새로운 세션에 해당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의 출력을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2(126)에서 먼저 수신하여, 세션 번호 및 헤더 정보를 부가한 다음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 시스템은 그 결과에 따라 생성된 새로운 슬레이브 윈도우에 새로운 세션에 해당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의 출력을 화면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이와 같은 동작을 좀 더 체계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의한 데이터 통신 방법은 사용자 시스템에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주 윈도우인 마스터 윈도우를 생성하면, 호스트 시스템이 상기 윈도우를 통하여 호스트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세션인 마스터 세션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마스터 윈도우를 통해 동시에 수행되기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시스템에서 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윈도우에 해당하는 세션 번호(ID) 및 사용자가 선택 한 상기 서비스를 담은 세션 열기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사용자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간 파일을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시스템에서 파일 송/수신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세션 열기 또는 파일 송/수신 명령을 수신한 호스트 시스템이 그 수신된 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해당 세션의 헤더 정보를 부가한 후,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해당 세션의 헤더 정보를 삭제하여 파일을 저장한 후, 파일 서버에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그 메시지에 부가된 세션 번호(ID) 및 호스트 메시지를 추출하고, 그 세션에 해당되는 윈도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멀티 세션 상태에서 임의의 세션을 닫기 위해 사용자 시스템이 세션 닫기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그 세션에 해당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종료 명령을 전달하여 그 서비스 프로그램을 종료시킨 후, 현재 세션 번호를 1 감소시키는 제 5 단계로 구성된다.
이 때, 각 원도우에서 발생하는 명령어는 메시지 송/수신부(210)(도 2참조)로 전달되며, 그 메시지가 세션 열기 명령어이면 호스트 시스템은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 프로그램의 명칭을 분석하고, 부가된 세션 번호에 의해 목적지를 분석하여,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 및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는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에서 상기 수행 결과에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한편, 윈도우에서 발생되는 메시지가 파일 송/수신 명령이면 상기 호스트 시스템은 그 수신한 명령어의 타입을 파일 송/수신으로 바꾼 후,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파일 서버의 위치 정보와 세션 번호를 설정하고, 파일 업/다운로드 처리부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 다운로드 처리부에서 파일 스트림에 대한 해당 세션 헤더를 부가하여 그 정보를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파일 업로드 처리부에서 세션 헤더를 삭제하여 파일을 저장한 후 파일 서버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시스템에서 상기 파일 송/수신이 후면 작업(background job)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멀티 세션 서비스를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서는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 먼저 상기 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세션을 생성하며 서비스가 종료될 경우, 그 세션을 닫음으로써 통신 서비스를 세션 단위로 수행하는데 이러한 세션을 열고 닫는 동작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션을 여는 동작이 도 3에 나타나 있고, 세션을 닫는 동작이 도 4에 나타나 있는데, 도 3a는 본 발명의 세션 열기에 대한 사용자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세션 열기에 대한 호스트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세션 닫기에 대한 사용자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 흐름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세션 닫기에 대한 호스트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 흐름도이다.
세션 열기에 대한 사용자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을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마스터 윈도우(251)의 메뉴에서 새로운 세션 열기를 선택(s301)하면, 그 마스터 윈도우(251)는 하나의 슬레이브 윈도우(253)를 생성(s302)한 후, 메시지 송/수신부(210)에게 새롭게 생성된 상기 슬레이브 윈도우(253)를 등록(s303)하고, 새롭게 생성한 슬레이브 윈도우(253)에게 새로운 세션 번호(ID)를 알려준다(s304).
그러면,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210)는 상기 메시지 분리 및 분배부(230)로 상기 슬레이브 윈도우(253)와 그 세션 번호(ID)를 등록(s305)하며, 상기 메시지 분리 및 분배부(230)는 상기 슬레이브 윈도우(253)용 윈도우별 메시지 관리부(240)로 상기 슬레이브 윈도우(253)의 세션 번호(ID)와 원도우 수신 버퍼를 등록(s306)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마스터 윈도우(251)는 메시지 송/수신부(210)를 제어하여, 그 메시지 송/수신부(210)가 새로운 세션 열기 명령어를 호스트로 보내도록 한 후(s308) 호스트로부터 해당 세션 메시지를 수신하면 ,새롭게 생성된 상기 슬레이브 윈도우를 사용자에게 보여준다(s309).
상기 단계(s308)에 의해 세션 열기 명령을 수신한 호스트 시스템의 동작은 도 3b에 나타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세션 열기 명령어를 수신한 메시지 수신부(124)는 그 세션 열기 명령어를 메시지 수신 버퍼(123)에 저장(s401)한다. 그러면,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125)는 이 메시지를 추출(s402)하여,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130)에게 이 세션 열기 명령어를 전달(s403)하고,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130)은 현재의 세션 번호(ID)를 1 증가(s404)시킨 후, 멀티 세션 제어부(122)에 접속(s405)하여 새로운 세션 생성을 요구한다.
상기 요구를 수신한 멀티 세션 제어부(122)는 현재의 세션 번호(ID)를 참조하여 새로운 세션 번호(ID)를 할당하고, 그에 따른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126)를 생성(s406)하며,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130)에서 서비스 프로그램을 생성(s407)한다. 이렇게 되면 새롭게 생성된 서비스 프로그램의 입/출력은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126)를 통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4a는 세션 닫기에 대한 사용자 시스템 측에서의 동작 흐름도로서, 도 4a를 참조하여 이와 같이 생성된 세션을 닫기 위해 사용자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 시스템의 임의의 슬레이브 윈도우(253)는 세션 닫기 명령어를 메시지 송/수신부(210)로 전송(s501)하고, 그 자신은 스스로 삭제(s502)된다.
그러면,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메시지 송/수신부(210)는 윈도우별 메시지 관리부(240)에 저장된 세션 정보를 삭제(s503)하고, 해당 세션 닫기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의 메시지 중개부를 수신자로 하고, 닫고자 하는 세션 ID를 메시지 본문에 삽입하여, 전송한다(s504).
도 4b를 참조하면, 이 세션 닫기 명령을 수신한 호스트의 메시지 수신부(124)는 이 명령을 메시지 수신 버퍼(123)에 저장(s601)하고, 메시지 중개부(127)에서는 이 명령을 추출(s602)하여, 메시지 타입을 세션 닫기로 설정하고, 이 세션 닫기 명령을 받을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126)를 수신자로 설정(s603)하여, 상기 세션 닫기 명령을 다시 메시지 수신 버퍼(123)에 재 저장(s604)한다.
그러면, 상기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126)는 이 세션 닫기 명령을 상기 메시지 수신 버퍼(123)에서 추출(s605)하여, 서비스 프로그램(140)에 전달하고,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140)은 이 세션 닫기 명령어를 수신하여, 프로그램을 종료(s607)한다. 또한,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126)는 전역 변수인 현재 세션 번호(ID)를 1 감소시키고, 종료(s608)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호스트 시스템에서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 5를 참조하면, 호스트 시스템에서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메시지는 4가지가 있으며, 그 구성은 상기 (a) 내지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트림 토큰(Stream token)을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헤더 정보를 나타내는 스트림 구분자 영역(51)과, 세션의 종류가 서비스 세션(service session)인지, 파일 전송 세션(file transfer session)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세션의 속성을 나타내는 세션 속성 영역(52)과, 스트림 토큰의 길이를 나타내는 스트림 길이 영역(53)을 공통적으로 포함한다.
그리고, (a)는 메뉴나 서비스 프로그램의 출력에 대한 메시지를 포맷으로서, 상기 세 가지 영역 이외에 전송하고자 하는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데이터 영역(54)을 더 포함하고, (b)는 사용자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임의의 파일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청한 경우, 다운로드할 파일의 총 개수(DnLoadFileAmt)를 나타내는 영역(55)을 더 포함하고, (c)는 상기 다운로드되는 파일의 이름 및 파일의 크기 정보(DnLoadFileInfo)를 나타내는 영역(56)을 더 포함하고, (d)는 상기 다운로드되는 파일(DnLoadFile)을 전송하기 위한 영역(57)을 더 포함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자 시스템에서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메시지에 대한 구성도로서, 도 6을 참조하면, (a)는 호스트 시스템에게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종료, 세션 닫기 및 세션 열기를 요청할 때 사용자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메시지 포맷(ToCommandTraderMsg)으로서, 세션 관련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세션 관련 메시지 영역(62)을 포함하고, (b)는 일반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포맷(ToServiceProviderMsg)으로서, 일반 서비스 요구 메시지 영역(63)을 포함하고, (c)는 사용자 시스템에서 호스트 시스템으로 파일을 업로드할 때 전송하는 메시지 포맷(UpFile)으로서, 업로드 파일 영역(64)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세 가지 메시지 포맷에서 공히 사용되는 세션 번호 영역(61)은 호스트 시스템에서 생성하고 관리하는 세션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헤더 정보로서, 상기 (a)의 포맷에 의해 호스트 시스템에서, 다운로드, 서비스 종료, 세션 닫기 및 세션 열기 중 하나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세션 번호(SessionID)를 'S0'으로 설정하고, 상기 (b)의 포맷에 의해 세션 열기를 요구 할 경우, 상기 세션 번호를 'S1'로 설정하며, 마스터 서비스 세션을 사용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에게 메시지를 보내는 경우, 세션 번호를 'S2'로 설정한다. 그리고, 만일, 새로운 세션 열기에 의해 슬레이브 세션이 생성된 경우는, 상기 세션 번호는 'S3'부터 시작하며, 현재 세션의 번호(ID)에 1을 더한 값을 세션 번호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프로세스에 멀티 쓰래드를 부가하여 PC 및 호스트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크게 변경할 필요 없이 PC 통신에 멀티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2개 이상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통신망에 의해 다수의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 시스템에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이루어진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스템에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윈도우를 한 화면에 2개 이상 다수 개로 형성하고, 윈도우 별로 메시지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호스트 시스템과 통신하면서 윈도우 별로 각각의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도록 제어하는 멀티 윈도우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호스트 시스템에는,
    상기 윈도우별로 각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도록 각각의 세션 및 서비스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각 세션별로 데이터를 구별할 수 있는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세션별 데이터 관리 및 데이터 중개와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세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호스트 시스템의 세션 별 메시지 관리에 의해 사용자 시스템의 윈도우별 메시지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2개 이상의 서비스를 한 화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 시스템과의 연결(connection)을 제어하는 접속 처리 모듈과,
    상기 접속 처리 모듈에 의해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 시스템에 접속되면 그 사용자 시스템의 윈도우에 서비스 안내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프로그램 및 세션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과,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의 제어를 받아 멀티 쓰래드로서 생성되며, 사용자 시스템의 전송 메시지를 수신하여 어느 세션에 대한 메시지인지를 구별하고, 그 메시지에 대하여 세션 열기/닫기, 서비스 종료, 다운로드 명령을 식별하여 메시지 타입을 변경하여 저장하거나, 수신된 메시지를 바로 해당 세션으로 중개하며, 각 세션별로 해당 세션의 번호 및 헤더 정보를 부가한 서비스 정보를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세션 관리 모듈과,
    상기 사용자 시스템에서 요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의 제어에 의해 프로세스 형태로 해당 세션에 제공되는 서비스 프로그램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관리 모듈은
    상기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와,
    그 메시지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메시지를 저장하여 세션별로 관리하는 메시지 수신 버퍼와,
    상기 메시지 수신 버퍼에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판독하여 파일 전송 메시지, 서비스 종료 메시지 또는 세션 열기/닫기 메시지의 타입을 재 설정하거나, 그 메시지가 전송되어야 할 최종 목적지를 설정한 후, 상기 수신 버퍼에 재 저장하는 메시지 중개부와,
    세션의 개수만큼 존재하며, 상기 메시지 수신 버퍼에 저장된 수신 메시지를 해당 세션별로 받아들여 수신 메시지에 따른 처리를 제어하고,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에게 전달하거나, 사용자 시스템의 해당 윈도우에 전송하기 위해 세션별로 발생된 메시지에 세션 번호(ID)를 부가한 후, 해당 윈도우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와,
    상기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의 파일 업/다운로드에 대한 명령어를 수신한 경우 파일의 업/다운로드를 제어하는 파일 전송 처리부와,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 생성 및 서비스 메뉴 이동 모듈의 멀티 세션 서비스 제어에 의해 생성되며, 멀티 세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초기에 상기 메시지 수신부,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 및 메시지 중개부를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세션 열기 명령이 전송된 경우 새로운 세션에 해당하는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를 생성하는 멀티 세션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부가 멀티 쓰래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스템의 멀티 윈도우 제어 수단은
    사용자가 적어도 1개 이상의 윈도우를 이용하여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윈도우를 형성시켜 제어하는 윈도우 제어부와,
    상기 호스트 시스템과의 메시지 송수신을 제어하며, 상기 윈도우 제어부에서 발생된 메시지에 해당 세션 번호(ID)를 부가하여 상기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송/수신부와,
    상기 메시지 송/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호스트 시스템의 메시지를 해당 세션별로 분리하여, 상기 윈도우 제어부의 해당 윈도우에게 메시지를 중개하는 메시지 분리 및 분배부와,
    상기 메시지 분리 및 분배부에서 해당 세션별로 분리된 메시지를 윈도우별로 저장 관리하는 윈도우별 메시지 수신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제어부는
    사용자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 사이에 연결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마스터 윈도우와,
    사용자가 호스트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동시에 2개 이상 이용하고자 할 때, 상기 마스터 윈도우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개수만큼 추가로 생성되는 슬레이브 윈도우와,
    사용자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간 파일 전송이 수행될 경우, 그 전송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해 상기 마스터 윈도우에 의해 생성되는 파일 전송 윈도우와,
    상기 마스터 윈도우에 의해 생성되어 운용되고 있는 윈도우의 정보를 관리하는 윈도우 관리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6.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하는 윈도우를 동시에 2개 이상 운용하여 다수의 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하기 위한 멀티 윈도우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사용자 시스템과, 그 윈도우별로 동시에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세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며, 멀티 쓰래드에 의해 구현된 세션 관리 모듈을 포함하는 호스트 시스템으로 구성된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시스템에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주 윈도우인 마스터 윈도우를 생성하면, 호스트 시스템이 상기 윈도우를 통해 호스트 시스템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세션인 마스터 세션을 생성하는 제 1 단계와,
    사용자가 상기 마스터 윈도우를 통해 동시에 수행되기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시스템에서 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윈도우에 해당하는 세션 번호(ID) 및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를 담은 세션 열기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사용자 시스템과 호스트 시스템간 파일을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시스템에서 파일 송/수신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세션 열기 또는 파일 송/수신 명령을 수신한 호스트 시스템이 그 수신된 명령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작업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에 해당 세션의 헤더 정보를 부가한 후,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해당 세션의 헤더 정보를 삭제하여 파일을 저장한 후 파일 서버에 전송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사용자 시스템이 호스트로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그 메시지에 부가된 세션 번호(ID) 및 호스트 메시지를 추출한 후, 그 세션에 해당되는 윈도우로 전송하는 제 4 단계와,
    멀티 세션 상태에서 임의의 세션을 닫기 위해, 사용자 시스템이 세션 닫기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그 세션에 해당하는 서비스 프로그램으로 종료 명령을 전달하여 그 서비스 프로그램을 종료시킨 후, 현재 세션 번호를 1 감소시키는 제 5 단계를 포함하여,
    한 화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윈도우를 동시에 생성하여 각각의 윈도우별 서비스를 운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이 사용자 시스템으로부터 세션 열기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호스트 시스템은 수신된 메시지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서비스 프로그램의 명칭을 분석하고, 부가된 세션 번호에 의해 목적지를 분석하여,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 및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을 생성하며,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을 수행하는 세션별 메시지 송/수신부에서 상기 수행 결과에 헤더 정보를 부가하여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호스트 시스템이 파일 송/수신 명령을 수신한 경우,
    상기 호스트 시스템은 그 수신한 명령어의 타입을 파일 송/수신으로 변경 후, 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파일 서버의 위치 정보와 세션 번호를 설정하고, 파일 업로드 처리부 또는 파일 다운로드 처리부를 생성하여, 상기 파일 업로드 처리부에서 세션 헤더를 삭제하여 파일을 저장한 후 파일 서버에 전송하거나, 상기 파일 다운로드 처리부에서 파일 스트림에 대한 해당 세션 헤더를 부가하여 그 정보를 사용자 시스템으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시스템에서 상기 파일 송/수신이 후면 작업(back -ground job)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는
    사용자 시스템이 임의의 세션을 닫기 위해, 호스트의 메시지 중개부를 수신자로 하고, 닫을 세션 번호를 메시지 본문으로 하는 세션 닫기 명령을 호스트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상기 호스트 시스템의 메시지 중개부는 메시지 타입을 세션 닫기로 하고, 수신자를 닫을 세션 번호로 하여 수신 버퍼에 재 저장하며, 해당 세션의 메시지 송/수신부가 상기 재 저장된 메시지를 읽어서, 해당 서비스 프로그램을 종료한 후, 현재 세션 번호를 1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통신 방법.
KR1019980028017A 1998-07-11 1998-07-11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0271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017A KR100271972B1 (ko) 1998-07-11 1998-07-11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8017A KR100271972B1 (ko) 1998-07-11 1998-07-11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81A KR20000008281A (ko) 2000-02-07
KR100271972B1 true KR100271972B1 (ko) 2000-11-15

Family

ID=1954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017A KR100271972B1 (ko) 1998-07-11 1998-07-11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9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9170A (ko) * 2000-09-05 2002-03-12 신동호 인터넷 파일 전송 프로토콜에서 파일 동시 다중 송신 및수신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281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6685A (en) Technique for dynamically changing an ISDN connection during a host session
US54066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betwe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paths
US62225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number of subscribers with on-line banking service employing a plurality of bank systems
US650200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control
US6323881B1 (en) Web based GUI server and method for a telecommunications node
US7024497B1 (en) Methods for accessing remotely located devices
US960255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VOIP call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6084874A (en) Temporary data transfer connections
US20010003189A1 (en) Client server system, data transmission method of client server system and medium recording program thereof
KR20140122000A (ko) 모바일 메신저 기반의 드래그를 이용한 정보전달 방법, 그리고 모바일 메신저 기반의 드래그를 이용한 정보전달을 위한 모바일단말
JPH10233860A (ja) データ通信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30060884A (ko) 웹 운영체제 및 웹 데스크탑
CN112104620A (zh) 一种基于mqtt协议的远程指令发布方法
JP2003523099A (ja) 電話通信装置からのディジタルメッセージを転送し記録するシステム
US670411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rver virtual printer device name negotiation for mobile print support
CN113992652A (zh) 跨终端文件同步方法及装置
JPS5992654A (ja) 電子文書配送システム
KR100271972B1 (ko) 멀티 세션을 제공하는 터미널 기반의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통신 방법
KR100684308B1 (ko) 무선 접속 단말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무선 접속 관리 방법
CN107566476A (zh) 一种接入方法、sdn控制器、转发设备及用户接入系统
CN110380945A (zh) 智能设备的共享控制方法、系统以及存储介质
KR100237182B1 (ko) 응용 프로그램 공유 시스템의 구조 및 응용 프로그램 공유 방법
CN112887137B (zh) 接口索引一致性的实现方法及装置
JP2002014905A (ja) 電子メール送信装置、電子メール受信装置、画像サーバ装置、電子メール送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及び電子メール受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CN114328317B (zh) 一种提升存储系统通信性能的方法、装置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