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1022B1 - Ropeless elevator - Google Patents

Ropeless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1022B1
KR100271022B1 KR1019980004942A KR19980004942A KR100271022B1 KR 100271022 B1 KR100271022 B1 KR 100271022B1 KR 1019980004942 A KR1019980004942 A KR 1019980004942A KR 19980004942 A KR19980004942 A KR 19980004942A KR 100271022 B1 KR100271022 B1 KR 100271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horizontal
vertical
movement
primary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9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70208A (en
Inventor
황지현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80004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1022B1/en
Publication of KR19990070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2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1022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003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for lateral transfer of car or frame, e.g. between vertical hoistways or to/from a parking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PURPOSE: A ropeless elevator is provided to freely move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side a three-dimensional passageway prepared in a building and to simultaneously operate plural cages in the passageway. CONSTITUTION: A passageway(10) is connect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for operating simultaneously plural cages(40). A primary coil(30) for horizontal movement and plural coils(20) for vertical movement are mounted along an inner side face of the passageway. For avoiding application of magnetic force inward of the cage and for moving the cage by magnetic action between the cages corresponding to the secondary coil(30) for horizontal movement and to the primary coil(20) for vertical movement, a pair of secondary magnet assembly bodies(A) are composed in upper and lower areas of cage. The secondary magnet assembly body(A) is arranged at an isolated location from the cage as to be out of influence of magnetic force and with no harm to human body. Thereby, an additional magnetic shielding instrument is unnecessary and transformation by outer force is prevented. Accordingly light weight of cage is enabled and balance of cage is maintained.

Description

로프리스 엘리베이터{ROPELESS ELEVATOR}Ropeless elevator {ROPELESS ELEVATOR}

본 발명은 로프리스 엘리베이터(Ropeless Elevator)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 내부에 마련된 입체 통로 내에서 수직 및 수평이동이 자유롭고, 상기 통로 내에서 복수대의 케이지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게 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less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peless elevator in which a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is free within a three-dimensional passage provided inside a building, and a plurality of cages can be simultaneously operated in the passage. .

최근에 들어서는 축조되는 건물의 효용성을 증대시키고자 그 구조가 초고층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건물의 초고층화 추세에 부응하여 건물 내부의 인력 수송을 위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기술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ty of buildings, the structure is becoming very high-rise, and in response to the trend of the high-rise of buildings, technical research on elevators for transporting manpower inside the building is steadily progressing.

상기한 바와 같은 초고층 건물에 적합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로프 구동방식에 있어서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어야 하고, 새로운 액튜에이터에 의해 구동되는 신개념의 엘리베이터가 도입되어야 하는 것이다.In order to operate an elevator system suitable for a high-rise building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rope driving method, and a new concept of elevator driven by a new actuator should be introduced.

또한, 구동방식 및 그 구동원으로서의 액튜에이터에 대한 관련 문제 이외에도, 건물 구조에 적합한 운송 효율성 및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가 필연적으로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o the related problems with the drive system and the actuator as the drive source, a new type of elevator is inevitably required to maximize transportation efficiency and space utilization suitable for a building structure.

따라서, 상기의 조건들을 감안해 볼 때, 초고층 건물에 적용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는 단일 통로 내에서 복수대의 케이지를 동시에 운행할 수 있고, 상기 케이지가 건물 내부의 입체 통로를 따라 수직/수평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인근 건물 및 지하도 등에도 연계되어 활용할 수 있는 종합 운송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라야 한다.Accordingly, in view of the above conditions, an elevator applicable to a high-rise building can simultaneously operate a plurality of cages within a single passage, and the cage can move freely in the vertical /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three-dimensional passage inside the building. It should be able to function as a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nearby buildings and underpasses.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는 로프의 견인에 의한 승강 구동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설계 시 층수에 비례한 케이지의 하중 및 진동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지의 수직/수평 방향전환이 불가능한 점 등의 한계성을 갖고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체 구조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다.The elevator currently being used adopts the elevating driving method by the towing of the rope, and the design should not only consider the load and vib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ag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floors, but also make it impossible to change the vertical / horizontal direction of the cage. Since there is a limit, it is urgent to have an alternative structure to overcome this problem.

이와 같은 로프 구동식 엘리베이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예에서와 같이, 양쪽 내측면에 상하방향으로 수직이동용 1차코일(120)을 설치한 통로(110)와, 상기 통로(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120)에 대응하여 양쪽면에 수직이동용 2차자석(162)을 설치한 케이지(140)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다.Conventional ropeless elevator for solving the problem of such a rope-driven elevator is a passage provided with the vertical coil primary coil 120 on both inner surfac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ures 1 to 4 110 and a cage 140 accommodated in the passage 110 and provided with a secondary magnet 162 for vertical movement on both sides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coil 120 for vertical movement. will be.

상기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통로(110) 측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120)에 상하방향으로 추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여자하면, 이와 마주보는 상기 수직이동용 2차자석(162)에도 추력이 발생하여 상기 케이지(140)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ropeless elevator is excited so that thrust may be generated in the vertical movement primary coil 120 at the passage 110 side, the thrust may be generated in the vertical movement secondary magnet 162 facing the same. The cage 140 can be elev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러나, 종래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상기 수지이동용 2차자석(162)이 케이지(140)의 양쪽 외벽면 상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케이지(140)의 내부에 승차한 탑승자에게 강한 자력을 발생하여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별도의 자기 차폐수단이 구비되어야만 하는 것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opeless elevator, since the resin secondary magnet 162 is directly fixed on both outer wall surfaces of the cage 140, a strong magnetic force is generated to the passengers who ride in the cage 140. There was a problem that adversely affects. Therefore, a separate magnetic shield must be provided in view of such a problem.

또한, 상기 수직이동용 2차자석(162)에는 수직이동용 1차코일(120)로부터의 추력이 작용하므로 상기 케이지(140)가 변형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지(140)의 고강성화가 이루어져야 하나, 이는 상기 케이지(140)를 가능한 한 경량화시켜야 하는 설계상의 조건에 상충되는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thrust from the vertical movement primary coil 120 acts on the vertical movement secondary magnet 162,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age 140 may be deformed.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the rigidity of the cage 140 should be made high, which is in conflict with design conditions in which the cage 140 should be made as lightweight as possible.

또한, 종래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승강 구동만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수평방향 이동성을 구비한 종합 운송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복수대의 케이지(140)를 동시에 운행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지(140)의 중력방향 평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자세보정용 구동원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분할 공급해 주어야 하므로 상기 케이지(140)의 전원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ropeless elevator is capable of only elevating driving, it is not only able to perform a function as a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system having horizontal mobility, but also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ages 140 cannot be operated simultaneously. In order to maintain the equilibrium in the gravity direction of the cage 140, a separate posture correction drive source and a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cage have to be dividedly supplied, thereby causing the power supply of the cage 140 to become unstabl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케이지의 측면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2차자석 조립체를 설치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자기 차폐수단이 불필요하고, 외력에 의한 케이지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자세보정용 구동원이 없이도 상기 케이지의 자체 평형이 유지되고, 복수대의 케이지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수직 및 수평이동이 자유로운 종합 운송시스템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installing the secondary magnet assembly in a position isolated from the side of the cage, not only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also need a separate magnetic shield means, The cag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eformed, the cage can maintain its own equilibrium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posture correction drive source, operate multiple cages at the same time, and function as a comprehensive transport system free of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peless elevator.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 2는 도 1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대한 평면도,2 is a plan view of the ropeless elevator of FIG.

도 3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ior art;

도 4는 도 2의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에 대한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the ropeless elevator of FIG.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통로 구조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ssage structure of a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케이지 및 2차자석 조립체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age and secondary magnet assembly structure of the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2차자석 조립체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econdary magnet assembly structure of the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FIG. 6;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수평 방향전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8A to 8D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horizontal turning operation of the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a는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발생된 추력에 의해 케이지 전체가 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1 실시예의 동작도,8A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tire cage is moved by thrust generated along the primary coil for vertical movement and the primary coil for horizontal movement;

도 8b는 상부의 이동판이 전환로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을 포함한 케이지가 미끄러져 수평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2 실시예의 동작도,8B is an operation diagram of a second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ge including a fixed plate is slid and moved horizontally in a state where an upper movable plate is located at an entry point of a conversion path;

도 8c는 케이지가 전환로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의 이동판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선행이동하여 고정된 후, 상기 케이지를 견인하여 수평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3 실시예의 동작도,FIG. 8C is an operation diagram of the third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movable plate is moved forward along the primary coil for horizontal movement while the cage is positioned at the entry point of the transition road and then horizontally moved by towing the cage; ,

도 8d는 케이지가 전환로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부의 이동판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동시에 선행이동하여 고정된 후, 상기 케이지를 견인하여 수평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4 실시예의 동작도,8d is a fourth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moving plates are moved forward and fixed simultaneously along the primary coil for horizontal movement while the cage is positioned at the entry point of the conversion road, and then the cage is towed to move horizontally. Example operation,

도 9a 내지 도 9c, 도 10a와 도 10b 및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수직 방향전환 동작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각각 도시한 것으로,9a to 9c, 10a and 10b and 11a to 11c illustrate various embodiments of the vertical turning operation of the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9a 내지 도 9c는 상부의 이동판이 전환로 진입 직전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을 포함한 케이지가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전환로 지점까지 선행이동하고 상기 이동판이 복원된 후, 수직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1 실시예의 순차적인 동작도,9A to 9C show that the cage including the fixed plate is moved ahead of the transition road point along the primary coil for horizontal move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movable plate is located immediately before the transition road, and after the movable plate is restored, the primary coil for vertical movement is The sequential operation diagram of the first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movement along the

도 10a 및 도 10b는 수평이동용 1차코일 및 수직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발생된 추력에 의해 케이지 전체가 전환로 지점에 진입한 후, 수직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2 실시예의 순차적인 동작도,10A and 10B are sequential operations of a second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ge is vertically moved after the entire cage enters the transition point by the thrust generated along the horizontally moving primary coil and the vertically moving primary coil. Degree,

도 11a 내지 도 11c는 케이지가 전환로 진입 직전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의 이동판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전환로 지점까지 선행이동하고 상기 케이지가 견인된 후, 수직이동용 1차코일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상태를 도시한 제3 실시예의 순차적인 동작도,11A to 11C show that, with the cage positioned immediately before the transition road, the lower movable plate moves forward along the primary coil for horizontal movement to the transition road point, and after the cage is towed, vertical movement along the primary coil for vertical movement. The sequential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showing the state to be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수직/수평 교차로 구조 및 이 교차로 지점에서의 케이지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12A to 12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vertical / horizontal intersection structure of a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in which a cage at this intersection point is moved;

도 13a 내지 도 13c는 복수대의 케이지를 운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통로 구조 및 그 대피공간으로 케이지가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13A to 13C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passage structure of a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operating a plurality of cages and a state in which the cage is moved to its evacuation space.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A ; 2차자석 조립체 10 ; 통로A; Secondary magnet assembly 10; Passage

11 ; 대피공간 12 ; 전환로11; Evacuation space 12; Conversion

13 ; 교차로 20 ; 수직이동용 1차코일13; Intersection 20; Primary coil for vertical movement

30 ; 수평이동용 1차코일 40, 40a ; 케이지30; Primary coils 40, 40a for horizontal movement; Cage

41 ; 연결봉 50 ; 수평지지판41; Connecting rod 50; Horizontal support plate

51 ; 고정판 52 ; 이동판51; Fixed plate 52; Moving plate

53 ; 수평이동용 2차자석 54 ; 로울러53; Secondary magnets for horizontal movement 54; Roller

55 ; 전원공급부 56 ; 액튜에이터55; Power supply 56; Actuator

60 ; 수직지지판 61 ; 수직이동용 2차자석60; Vertical support plate 61; 2nd magnet for vertical movemen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통로와, 상기 수직방향 통로 및 수평방향 통로의 각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과, 상기 통로의 내부에 수용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지와, 이 케이지의 내부로 자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지의 상,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에 대응하여 상호간의 자성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지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상,하 각 한쌍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 조립체 및 수평이동용 2차자석 조립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nected passage,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movable primary coils and horizontally installed along each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horizontal passage A primary coil for movement, one or more cages accommodated in the passage and moving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connected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ge so as not to apply magnetic force into the cage, and the primary for primary movement Corresponding to the coil and the primary coil for horizontal move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pair of vertical magnets for vertical movement and a vertical magnet for moving the cage for moving the cage by mutual magnetic action.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및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통로(10)와, 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 통로(10)의 각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과, 상기 통로(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지(40)와, 이 케이지(40)의 내부로 자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지(40)의 상,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에 대응하여 상호간의 자성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지(40)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상,하 한쌍의 2차자석 조립체(A)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8A, the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assages 10 connect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along each inner side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passages 10, respectively. The primary coil 20 for vertical movement and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one or more cages 40 which are accommodated in the passage 10 and mov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 cage 40 The cage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ge 40 so that magnetic force is not acted on the inside of the cage, and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movement primary coil 20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rimary coil 30 by mutual magnetic action. It consists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secondary magnet assemblies (A) for moving the (40).

상기 통로(10)는 상기 케이지(40)가 건물 내부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인근 건물 및 지하도 등에도 연계되어 활용할 수 있게 한 미래형 초고층 건물의 종합 운송시스템으로 발전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교차하는 격자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The passage 10 may be developed into a comprehensive transportation system of a future high-rise building that allows the cage 40 to move freely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side the building, and to be utilized in connection with nearby buildings and underpasses. As shown in FIG. 5, a lattice structure that intersect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s formed.

상기 통로(10)는 그 각 내측 상,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이동용 1차코일(30)과, 그 내측면 상에 수직 설치된 수직이동용 1차코일(20)로 구성되며, 상기 통로(10)는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케이지(40)(40a)를 동시에 운용할 때 운용 케이지(40)와 비운용 케이지(40a) 간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비운용 케이지(40a)를 임시로 수용하기 위한 대피공간(11)이 상기 통로(1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passage 10 is composed of a horizontal movement primary coil 30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each inner side, the lower surface, and a vertical movement primary coil 20 vertically installed on the inner side, the passage 10 13A to 13C, the non-operation cage does not generate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operation cage 40 and the non-operation cage 40a when the plurality of cages 40 and 40a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An evacuation space 11 for temporarily receiving 40a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passage 10.

상기 2차자석 조립체(A)는 상기 케이지(40)의 상,하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연결봉(41)과, 이 각 연결봉(41)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지(40)로부터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평지지판(50)과, 이 각 수평지지판(50) 상에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각각 고정 배열된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각 연결봉(41)의 전후 측면으로 각각 배치된 수직지지판(60)과, 이 각 수직지지판(60) 상에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고정 배열된 수직이동용 2차자석(61)으로 구성된다.The secondary magnet assembly (A)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41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ge 40, respectively, and dispo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 of each of the connecting rods 41 from the cage 40 Horizontal support plates 50 coupled to slide left and right, horizontal movable secondary magnets 53 fixedly arranged o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s 50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polarization direction, and front and rear of the connecting rods 41,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vertical support plate 60 arranged on each side, and the secondary magnet 61 for vertical movement fixedly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polarity direction on each vertical support plate 60.

상기 수평지지판(50)은 상기 연결봉(41)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판(51)과, 이 고정판(51)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되는 이동판(52)과, 이 이동판(52)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부(55) 및 액튜에이터(56)와, 상기 이동판(52) 상에 고정 배열된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이동판(52) 상에 장착되어 통로(10)의 상,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극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로울러(54)로 구성되어 있다.The horizontal support plate 50 is a fixed plate 51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41, a moving plate 52 which is guided by the fixed plate 51 to slid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movable plate A power supply unit 55 and an actuator 56 for driving 52, a secondary magnet 53 for horizontal movement fixedly arranged on the movable plate 52, and mounted on the movable plate 52; It is composed of a roller 54 to support the sliding drive while maintaining a predetermined gap along the upper, lower inner surface of the passage (10).

즉, 상기 수평이동용 2차자석(53)은 상기 이동판(52) 상에서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전후 한쌍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61)은 상기 수직지지판(60) 상에서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배열되어 있다.That is, the horizontal movable secondary magnet 53 is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polarization direction on the movable plate 52, and the front and rear pair of vertical movable secondary magnets 61 have a predetermined polarity on the vertical support plate 60. It is arranged to have a direction.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수직 또는 수평전환 구동원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vertical or horizontal switching driv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8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수직 및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구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8a 내지 도 8d는 수평 방향전환 동작에 대한 각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9a 내지 도 9c, 도 10a와 도 10b 및 도 11a 내지 도 11c는 수직 방향전환 동작에 대한 각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8A to 11C illustrate driving principle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or vertical and horizontal turning of a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A to 8D illustrate respective embodiments of a horizontal turning operation. 9A to 9C, FIGS. 10A and 10B, and FIGS. 11A to 11C illustrate respective embodiments of the vertical turning operation.

먼저, 도 8a 내지 도 8d로 도시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평 방향전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First, the operation of changi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8A to 8D.

도 8a에 도시한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제1 실시예는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발생된 추력에 의해 케이지(40) 전체가 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The first embodiment for the horizontal direction change shown in Figure 8a is the case where the entire cage 40 is moved by the thrust generated along the primary coil 20 for vertical movement and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Corresponding.

즉, 전후측 수직지지판(60)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61)과 상기 통로(10) 전후 내측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간에 발생한 추력에 의해 케이지(40)가 전환로(12) 위치까지 상승 진입한 후, 계속해서 상측 수평지지판(50)의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통로(10) 상부 내측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상기 케이지(40)가 통로(10)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지지판(50)의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통로(10)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는 로울러(54)가 개재되어 함께 구동되므로 고착현상 없이 일정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age 40 is switched by the thrust generated between the secondary magnet 61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front and rear vertical support plate 60 and the primary coil 20 for vertical movement before and after the passage 10. After the ascending to the position, the cage (13) by the thrust generated between the horizontal movable secondary magnet 53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nd the horizontal movable primary coil 30 in the upper portion of the passage (10) 40 travels horizontally along the passage 10. At this time, the roller 54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ary magnet 53 f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nd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passage 10 to maintain a predetermined gap without sticking. It will be able to move smoothly in one state.

도 8b에 도시한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제2 실시예는 상부의 이동판(52)이 전환로(12)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51)을 포함한 케이지(40)가 미끄러져 수평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for horizontal turning shown in FIG. 8B, the cage 40 including the fixing plate 51 slides horizontally while the upper movable plate 52 is located at the entry point of the switching path 12. This is the case.

즉, 상기 이동판(52)은 상기 수평이동용 2차자석(53)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전환로(12)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판(51)을 포함한 케이지(40)는 전원공급부(55)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액튜에이터(5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다음에는 상기 액튜에이터(56)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판(52)이 케이지(40)의 위치까지 견인되어 정상 상태를 유지한 후, 소정방향으로 계속 진행되는 것이다.That is, the movable plate 52 maintains a fixed state at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path 12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horizontal movable secondary magnet 53 and the horizontal movable primary coil 30, and the fixed plate ( The cage 40 including 51 is slidably moved in a horizontal direction by an actuator 56 driven b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55, and then the movable plate is driven by the reverse driving of the actuator 56. 52 is towed to the position of the cage 40 to maintain the steady state, and then continues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도 8c에 도시한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제3 실시예는 상기 케이지(40)가 전환로(12)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부의 이동판(52)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선행이동하여 고정된 후, 상기 케이지(40)를 견인하여 수평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for the horizontal direction change shown in Figure 8c is the moving plate 52 of the upper portion along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in the state that the cage 40 is located at the entry point of the switching path 12 This is the case where the cage 40 is horizontally moved by towing the cage 40 after being fixed by preceding movement.

즉, 도 8b의 실시예와는 반대로, 상기 케이지(40)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53) 및 상기 통로(10)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전환로(12)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이동판(52)은 전원공급부(55)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액튜에이터(56)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에 고정되며, 그 다음에는 상기 액튜에이터(56)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케이지(40)가 상기 이동판(52)의 위치까지 견인되어 정상 상태를 유지한 후, 소정방향으로 계속 진행되는 것이다.That is, in contrast to the embodiment of FIG. 8B, the switching path 12 is caused by a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secondary magnet 53 for vertical movement of the cage 40 and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of the passage 10. Maintaining a fixed state at the position of the moving plate 52 is slidably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actuator 56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55 to the horizontal coil primary coil 30 After that, the cage 40 is pulled to the position of the movable plate 52 by the reverse driving of the actuator 56 to maintain a normal state, and then continues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도 8d에 도시한 수평 방향전환을 위한 제4 실시예는 케이지(40)가 전환로(12) 진입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하부의 이동판(52)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동시에 선행이동하여 고정된 후, 상기 케이지(40)를 견인하여 수평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하며, 상기한 바와 같이, 상,하부의 이동판(52)이 동시에 선행이동하여 더욱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8c의 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된다.In the fourth exemplary embodiment for horizontal turning shown in FIG. 8D, the upper and lower movable plates 52 move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while the cage 40 is located at the entry point of the switching path 12. According to the above, it is a case of moving forward and fixed at the same time, and then horizontally moving by towing the cage 40,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moving plate 52 to move forward at the same time to maintain a more stable state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embodiment of FIG. 8C except that it can be performed.

또한, 도 9a 내지 도 9c, 도 10a와 도 10b 및 도 11a 내지 도 11c로 도시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직 방향전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Figures 9a to 9c, 10a and 10b and 11a to 11c will be described the vertical turning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ollows.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한 수직 방향전환을 위한 제1 실시예는 상부의 이동판(52)이 전환로(12) 진입 직전에 위치한 상태에서 고정판(51)을 포함한 케이지(40)가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전환로(12) 지점까지 선행이동하게 되고, 상기 이동판(52)이 케이지(40)의 위치까지 복원된 후,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9A to 9C, the cage 40 including the fixed plate 51 is positioned for horizontal movement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movable plate 52 is located immediately before the switching path 12 enters the vertical direction shown in FIGS. 9A to 9C. After the primary coil 30 is moved up to the point of the conversion path 12, the moving plate 52 is restored to the position of the cage 40, and then vertical movement along the primary coil 20 for vertical movement This is the case.

즉, 상기 이동판(52)은 상기 수평이동용 2차자석(53)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한 자력에 의해 전환로(12) 진입 직전의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고정판(51)을 포함한 케이지(40)는 전원공급부(55)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액튜에이터(56)에 의해 전환로(12)의 위치까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그 다음에는 상기 액튜에이터(56)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이동판(52)이 케이지(40)의 위치까지 견인되어 정상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movable plate 52 maintains a fixed state at the position immediately before the switching path 12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etween the horizontal movable secondary magnet 53 and the horizontal movable primary coil 30, The cage 40 including the fixed plate 51 is slidably moved horizontally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path 12 by an actuator 56 driven b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55, and then the actuator ( The moving plate 52 is towed to the position of the cage 40 by the reverse driving of 56 and maintains a normal state, and then moves vertically along the primary coil 20 for vertical movement.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한 수직 방향전환을 위한 제2 실시예는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및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발생된 추력에 의해 케이지(40) 전체가 전환로(12) 지점에 동시 진입한 후, 수직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10A and 10B, the entire cage 40 is switched by the thrust generated along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and primary coil 20 for vertical movement. (12) It is a case of vertical movement after entering the point at the same time.

즉, 상측 수평지지판(50)의 수평이동용 2차자석(53)과 상기 통로(10) 상부 내측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 간에 발생하는 추력에 의해 상기 케이지(40)가 전환로(12)의 위치까지 진입한 후, 계속해서 전후측 수직지지판(60)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61)과 상기 통로(10) 전후 내측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간에 발생한 추력에 의해 케이지(40)가 수직상승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cage 40 is switched by the thrust generated between the horizontal movement secondary magnet 53 of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plate 50 and the horizontal primary primary coil 30 inside the passage 10. ), And then the cage (by the thrust generated between the vertical movement secondary magnet 61 of the front and rear vertical support plate 60 and the vertical movement primary coil 20 before and after the passage 10). 40) rises vertically.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한 수직 방향전환을 위한 제3 실시예는 케이지(40)가 전환로(12) 진입 직전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의 이동판(52)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전환로(12) 지점까지 선행이동하고 상기 케이지(40)가 견인된 후,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경우에 해당한다.11A to 11C, the third embodiment for the vertical turning shown in FIG. 11A to 11C shows that the lower moving plate 52 is horizontally moved with the cage 40 positioned immediately before the switching path 12 enters the primary coil 30. This corresponds to a case in which the moving forward up to the point of the conversion path 12 and after the cage 40 is towed, vertical movement along the primary coil 20 for vertical movement.

즉, 상기 케이지(40)의 상부가 자력에 의해 통로(10) 상부 내측의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의 이동판(52)이 액튜에이터(56)의 구동에 의해 수평이동용 1차코일(30)을 따라 전환로(12) 지점까지 선행이동되고, 상기 액튜에이터(56)가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케이지(40)를 전환로(12) 위치까지 견인하여 정상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따라 수직이동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cage 40 is fixed to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inside the upper portion of the passage 10 by magnetic force, the lower movable plate 52 is driven by the actuator 56. Along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it is moved forward to the point of the switching path 12, and the actuator 56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to pull the cage 40 to the position of the switching path 12 to maintain a normal state. After that, the vertical movement along the primary coil 20 for vertical movement.

한편,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의 수직/수평 교차로(13) 구조 및 이 교차로(13) 지점에서의 케이지(40)가 이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이 지점에서의 케이지(40) 추락을 막기 위해 상기 교차로(13)의 전후 내측면에도 수직이동용 1차코일(20)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동작은 상기의 실시예들과 동일하다.12A to 12C sequentially illustrate the structure of the vertical / horizontal intersection 13 of the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ate in which the cage 40 is moved at the intersection 13, and this point is In order to prevent the cage 40 from falling down,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vertical moving primary coil 20 on the front and rear inner surfaces of the intersection 13, and the operation thereof is the same as in the above embodiments.

또한, 도 13a 내지 도 13c는 복수대의 케이지(40)를 운용하게 될 때, 상기 비운용 케이지(40a)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로(10)에 형성하게 되는 대피공간(11)의 설계 예를 제시한 것으로, 통로(10)의 측면부에 형성된 상기 대피공간(11)의 내부로 비운용 케이지(40a)가 이동 수용되어, 운용 케이지(40)가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 동작은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13A to 13C are design examples of evacuation spaces 11 formed in the passage 10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non-operation cage 40a when the plurality of cages 40 are operated. To present, the non-operation cage 40a is accommodated in the interior of the evacuation space 11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passage 10, showing a process that allows the operation cage 40 to move smoothly Since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e above embodiment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은 구성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expected by the configuration and ac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로프리스 엘리베이터는 케이지(40)의 측면으로부터 격리된 위치에 2차자석 조립체(A)를 설치하여 수직이동용 1차코일(20)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30)과 상기 2차자석 조립체(A)에 의한 자성의 영향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인체에 무해하며, 이에 따라 별도의 자기 차폐수단이 불필요하고 외력에 의한 케이지(40)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상기 케이지(40)의 경량화가 가능하며, 별도의 자세보정용 구동원이 없이도 상기 케이지(40)의 평형이 자체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복수대의 케이지(40)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게 됨과 아울러, 건물 내부에 마련된 통로(10) 내에서 수직 및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ropeless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secondary magnet assembly (A) in a position isolated from the side of the cage 40, the primary coil 20 for vertical movement and the primary coil 30 for horizontal movement and the secondary I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because it is free from the influence of magnetism by the magnet assembly (A), and thus the cage 40 can be reduced in weight because a separate magnetic shielding means is unnecessary and deformation of the cage 40 is prevented by external force. The equilibrium of the cage 40 can be maintained on its own even without a separate posture correction driving source, and the plurality of cages 40 can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orizontal movement is possible.

Claims (5)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통로와, 상기 수직방향 통로 및 수평방향 통로의 각 내측면을 따라 설치된 다수의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과, 상기 통로의 내부에 수용되어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지와, 이 케이지의 내부로 자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상기 케이지의 상,하부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직이동용 1차코일 및 수평이동용 1차코일에 대응하여 상호간의 자성 작용에 의해 상기 케이지를 이동시켜주기 위한 상,하 각 한쌍의 수직이동용 2차자석 조립체 및 수평이동용 2차자석 조립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Passages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horizontal direction, a plurality of vertical movement primary coils and horizontal movement primary coils installed along respective inner surfaces of the vertical passage and the horizontal passage, and accommodated in the passag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ne or more cages moving in a direction and connected to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of the cage so that magnetic force is not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ge and corresponding to the primary coil for vertical movement and primary coil for horizontal movement by mutual magnetic action. Ropeless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pair of vertical movement secondary magnet assembly for vertical movement and the horizontal movement secondary magnet assembly for moving the c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자석 조립체는 상기 케이지의 상,하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연결봉과, 이 각 연결봉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케이지로부터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 수평지지판과, 이 각 수평지지판 상에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고정 배열된 수평이동용 2차자석과, 상기 각 연결봉의 전후 측면으로 각각 배치된 수직지지판과, 이 각 수직지지판 상에 일정 극성방향을 갖도록 고정 배열된 수직이동용 2차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ary magnet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rod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ge,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is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 of each of the connecting rods so as to slide left and right from the cage And a secondary magnet for horizontal movement fixedly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polarity direction on each horizontal support plate, a vertical support plate disposed in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onnecting rods, and a fixed arrangement to have a certain polarity direction on each vertical support plate. Ropeless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econdary magnet for vertical movemen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판은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의해 안내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구동되는 이동판과, 이 이동판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부 및 액튜에이터와, 상기 이동판 상에 고정 배열된 수평이동용 2차자석과, 상기 이동판 상에 장착되어 통로의 상,하 내측면을 따라 일정간극을 유지하며 슬라이딩 구동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로울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horizontal support plate is a fixed plat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rod, a moving plate which is guided by the fixed plate sli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 power supply and actuator for driving the moving plate and And a roller for horizontally moving secondary magnets fixedly arranged on the moving plate and a roller mounted on the moving plate to support sliding movement along the upper and lower inner surfaces of the passage. Ropeless eleva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용 및 수평이동용 통로는 각 내측 상,하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이동용 1차코일과, 그 내측면 상에 수직 설치된 수직이동용 1차코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The rop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movement and horizontal movement passages comprise a horizontal movement primary coil installed horizontally on each inner side and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vertical movement primary coil installed vertically on the inner side thereof. Lease elevator.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용 통로 및 수평이동용 통로는 복수개의 케이지를 동시에 운용할 때 운용 케이지와 비운용 케이지 간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비운용 케이지를 임시로 수용하기 위한 대피공간이 상기 통로의 측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프리스 엘리베이터.The vertical movement passage and the horizontal movement passage are for temporarily accommodating the non-operation cage so that mutual interference does not occur between the operation cage and the non-operation cage when simultaneously operating a plurality of cages. Ropeless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vacuation space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passage.
KR1019980004942A 1998-02-18 1998-02-18 Ropeless elevator KR1002710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942A KR100271022B1 (en) 1998-02-18 1998-02-18 Ropeless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942A KR100271022B1 (en) 1998-02-18 1998-02-18 Ropeless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208A KR19990070208A (en) 1999-09-15
KR100271022B1 true KR100271022B1 (en) 2000-11-01

Family

ID=1953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942A KR100271022B1 (en) 1998-02-18 1998-02-18 Ropeless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1022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4616B2 (en) 2016-06-10 2018-12-04 Otis Elevator Company Cab for vertical travel with controllable orientation for non-vertical travel
US10370222B2 (en) 2015-07-16 2019-08-06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elevator system and a transfer system for a ropeless elevator system
US10865072B2 (en) 2015-08-03 2020-12-15 Otis Elevator Company Intermediate transfer s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222A (en) * 2000-01-29 2000-05-06 윤두한 (Electro)Magnetically-Levitated Elevator
KR102086232B1 (en) 2018-07-04 2020-03-06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opeless Elevator System
KR102095654B1 (en) 2018-10-16 2020-03-31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opeless Elevator System
KR102330511B1 (en) 2019-12-31 2021-11-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opeless elevator system
KR20210085852A (en) 2019-12-31 2021-07-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opeless elevator system
KR102330510B1 (en) 2019-12-31 2021-11-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opeless elevator system
KR20210085853A (en) 2019-12-31 2021-07-08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opeless elevator system
KR102330456B1 (en) 2019-12-31 2021-11-25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Ropeless elevator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0222B2 (en) 2015-07-16 2019-08-06 Otis Elevator Company Ropeless elevator system and a transfer system for a ropeless elevator system
US10865072B2 (en) 2015-08-03 2020-12-15 Otis Elevator Company Intermediate transfer station
US10144616B2 (en) 2016-06-10 2018-12-04 Otis Elevator Company Cab for vertical travel with controllable orientation for non-vertical trav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208A (en)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1022B1 (en) Ropeless elevator
EP3286122B1 (en) Electric linear motor
AU2007200533B2 (en) Lift installation with a linear drive system and linear drive system for such a lift installation
US5183980A (en) Linear motor elevator device with a null-flux position adjustment
CN1024777C (en) Elevator with linear motor
EP3077317A1 (en) Ropeless elevator system
CN104876099A (en) Direct-driven elevator system
EP0686594B1 (en) Self load bearing lift system and arrangement for mounting the main motor thereof
KR20220045309A (en) Overhead hoist transport system
KR100275574B1 (en) Ropeless elevator and its driving method.
US5226507A (en) Roping method of an elevator
CN109803914B (en) Linear drive system for an elevator system
CN114293415A (en) Permanent magnet magnetic suspension track system for improving vehicle running performance and synchronous linear motor
WO2002027901A1 (en) Linear motor for a lift
CN219172684U (en) Electromagnetic emission ground module supporting structure for inhibiting track magnetic resistance
KR20210085847A (en) Ropeless elevator system
KR20210085850A (en) Ropeless elevator system
CN217789539U (en) Linear electric motor module that direction intensity is high
CN219394662U (en) Motion mechanism of double linear motors
JPH04191279A (en) Guide rail structure for elevator
CN217728724U (en) Square built-in rail
KR19990070350A (en) Lowless elevator
CN102295212B (en) Elevator car
CN218993207U (en) Magnetic suspension lens moving mechanism and stage lamp
JP4035202B2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