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9265B1 - 단일b채널을사용하는디지털가입자간의발.착신자국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단일b채널을사용하는디지털가입자간의발.착신자국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9265B1
KR100269265B1 KR1019970040723A KR19970040723A KR100269265B1 KR 100269265 B1 KR100269265 B1 KR 100269265B1 KR 1019970040723 A KR1019970040723 A KR 1019970040723A KR 19970040723 A KR19970040723 A KR 19970040723A KR 100269265 B1 KR100269265 B1 KR 10026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dcc
originating
control process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711A (ko
Inventor
김정하
홍성백
이용균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4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92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15Interconnection of switching modules
    • H04L49/1553Interconnection of ATM switching modules, e.g. ATM switching fabr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38Services, e.g. multimedia, GOS, QOS
    • H04L2012/5665Interaction of ATM with other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TM 교환 시스템에서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ㆍ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TM 교환 시스템에 실장되는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64Kbps B 채널 단위의 호 제공 서비스는 비동기식 전송방식(ATM)과 동기식 전송방식(STM)이라는 서로 다른 전송방식을 사용하는 교환 시스템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는 기능으로 ATM 교환 시스템이 디지털 가입자를 연동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ㆍ착신 자국 호 제어 서비스 절차를 ATM 교환 시스템에 실장된 디지털 가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종합정보통신망의 노드로 사용되는 ATM 교환 시스템에 실장되는 BSI, BAMI, PSI의 디지털 가입자들 간의 ATM 교환 시스템 내부를 경유하는 64Kbps 전송 속도의 단일 B 채널 단위의 음성 및 비음성 데이터 호의 자국 호 설정 기능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ㆍ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Originate or Terminating Internal call control method interworking digital subscriber using single B channel)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라 칭함) 교환 시스템에서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ㆍ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64Kbps 기본의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Narrow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이하 N-ISDN라 칭함)과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roadband ISDN, 이하 B-ISDN라 칭함)의 핵심 노드로서 동작하는 ATM 망과는 각기 개별적으로 발전되었으나, ATM 망이 구체화됨에 따라 ATM 망에서의 N-ISDN 연동이 필요하게 되었다.
ATM 망에서는 가입자 단말로부터 발생하는 음성, 데이터, 화상 등과 같은 모든 정보는 헤더 5바이트와 사용자 정보 48 바이트인 동일한 크기의 셀로 나뉘어 처리되며, ATM 망에서는 셀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루팅 기능을 하드웨어적으로 신속하게 처리하기 때문에 저속에서 고속까지의 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ATM 교환시스템을 구축하고, ATM교환시스템과 N-ISDN이 연동되는 단계에서 디지털 가입자에게 N-ISDN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ATM 교환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가입자 연동을 위한 새로운 기술개발의 적용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ATM 교환 시스템에 실장되는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64Kbps B 채널 단위의 호 제공 서비스는 서로 다른 전송방식을 사용하는 교환시스템들을 통합하는 기능으로 ATM 교환시스템이 디지털 가입자를 연동하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가입자가 수용된 ATM 교환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구조도,
도 2a에서 2g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시스템에서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자국 호 제어방법중 발ㆍ착신호 설정 수행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T 교환시스템에서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자국 호 제어방법중 발ㆍ착신 호 해제 수행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ATM 국부 스위칭 서브시스템(ALS)
110 : ATM 국부 스위칭 서브시스템-중계선(ALS/T)
111 : 중계선 인터페이스 모듈(TIM)
112, 123 : 접근 스위치 네트워크 모듈(ASNM)
112a, 123a, 310a : 접근 스위치 연결 처리부(ASLH)
113, 124 : 호 접근 제어 프로세서(CCCP)
120 : ATM 국부 스위칭 서브시스템-가입자(ALS/S)
121 : 가입자 인터페이스 모듈(SIM)
122 : 호 연결 스위칭 모듈(CLSM)
200 : 인터워킹 서브시스템/디지털 가입자(IWS/D)
210 : 접근 인터워킹 모듈(AIWM)
220 : 중계선 스위칭 모듈(TSWM)
230 : 디지털 링크 접근 모듈(DLAM)
240 : 가입자 스위치 모듈(SSM)
250 : 서브하이웨이
260 : 전역 버스
300 : ATM 중앙 스위칭 서브시스템(ACS)
310 : 상호 스위칭 네트워크 모듈(ISNM)
320 : 운용보전 프로세서(OMP)
400 : 상호모듈 인터페이스(IMI)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TM 교환시스템에 실장되는 기본 가입자 인터페이스(Basic Subscriber Interface, 이하 BSI라 칭함), 기본 접근 다중인터페이스(Basic Access Multiplex Interface, 이하 BAMI라 칭함) 그리고 1차 가입자 인터페이스(Primary Subscriber Interface, 이하 PSI라 칭함)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대한 타임 스위치를 연결 및 해제, 디지털 가입자 단말의 디지털 가입자 신호 시스템 1(Digital Subscriber Signaling System No. 1, 이하 DSS1라 칭함) 신호 절차와, 통화 데이터의 상수 비트율(Constant Bit Rate, 이하 CBR라 칭함) 셀 구성, 신호 메시지 전달을 위해 사용되는 IPC의 AAL 1 변환, 그리고 발ㆍ착신 가입자간의 통화로 연결을 위한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스위칭 기능 등의 절차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TM 교환시스템에서의 디지털 가입자들 간의 단일 B 채널 발신 자국 호 제어의 기능 구현은 ATM 교환시스템에 실장되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대해 64Kbps CBR 가상 연결로 디지털화된 통화 정보가 ATM 교환시스템 내부에서 전송되고, PCM 데이터는 디지털 가입자 부 시스템에서 타임 슬롯에 대한 타임 슬롯 교환(Time Slot Interchange, 이하 TSI라 칭함) 기능을 통해 디지털 가입자에게 송수신 된다.
상기 절차를 구현하는데 있어 디지털 가입자와 망간의 프로토콜로는 DSS1 신호방식이 적용되며,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호 제어 부분에서는 통화 데이터의 ATM 셀화를 위한 절차가 수행된다.
또한 통화 데이터와 더불어 디지털 가입자 제어 시스템과 ATM 시스템의 호 제어 프로세서간의 IPC 송수신을 위한 IPC AAL(IAAL라 칭함) 기능을 통한 신호 메시지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IAAL을 이용한 신호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디지털 가입자와 망간의 신호 절차 및 망 내부의 신호 처리 절차가 수행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가입자가 수용된 ATM 교환 시스템의 개략적인 제어 구조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ATM 국부 스위칭 서브시스템(ATM Local Switching Subsystem, 이하 ALS라 칭함)(100), ATM 중앙 스위칭 서브시스템(ATM Central Subsystem, 이하 ACS라 칭함)(300), 그리고 인터워킹 서브시스템/디지털 가입자(Interworking Subsystem/Digital Subscriber, 이하 IWS/D라 칭함)(200)의 3개의 부시스템으로 구성된다.
ALS(100)는 그 기능에 따라 ATM 국부 스위칭 서브시스템-가입자(ATM Local Switching Subsystem-Subscriber, 이하 ALS/S라 칭함)(120), ATM 국부 스위칭 서브시스템-중계선(ATM Local Switching Subsystem-Trunk, 이하 ALS/T라 칭함)(110) 그리고 ALS/S와 ALS/T의 혼용인 ALS/ST로 분류되며, ALS/S(120)에서는 교환기에 수용된 가입자에 대한 호 처리 기능을 호 접속 제어 프로세서(Call and Connection Control Processor, 이하 CCCP라 칭함)(124)가 수행하고, ALS/T에서는 수용된 국간 중계선 호 처리 기능을 CCCP(113)가 수행하며, 또한 접근 스위치 네트워크 모듈(Access Switch Network Module, 이하 ASNM라 칭함)(112, 123)은 셀을 기본단위로 전송하는 스위치로서 국부 스위치 스위칭 및 집선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ACS(300)에서는 각 ALS(110, 120)에서 공통적으로 필요한 호처리 기능인 번호 번역 기능과 루트 제어, 시스템 차원의 유지 보수, 시험, 과금, 통계 기능뿐만 아니라 운용자와의 각종 입출력 제어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IWS/D(200)는 디지털 가입자를 ATM에 정합하기 위한 부시스템으로서 ALS/S(120)의 ASNM(123)과 상호모듈 인터페이스(Inter-Module Interface, 이하 IMI라 칭함)(400) 정합을 수행하며, 상기 IWS/D(200)에서는 디지털 가입자 단말을 통신 회선에 접속하는 물리 계층 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보드, 데이터 링크 계층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계층 2 처리기, 계층 2 처리기와 연동하여 계층 2, 3 메시지 변환 기능 및 계층 3 메시지와 상호 프로세서 통신(Inter-Processor Communication, 이하 IPC라 칭함) 시그널간의 변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가입자 정합 프로세서, 펄스 코드변조(Pulse Code Modulation, 이하 PCM라 칭함) 데이터의 타임 슬롯 교환(Time Slot Interchange, 이하 TSI라 칭함) 기능과 각종 신호음 송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타임 스위치 국부 프로세서(Time Switch and Local Processor, 이하 TLSI라 칭함) 프로세서가 실장된다.
그리고 IWS/D(200)의 인터워킹 프로세서(Interworking Processor, 이하 IWP라 칭함)는 호 처리 과정에서 설정된 통화 채널을 채널 단위로 64Kbps 상수 비트율(Constant Bit Rate, 이하 CBR라 칭함) 가상 연결로 매칭시키고, 디지털화된 통화정보에 대한 셀 조립/분해의 사용자 정보에 대한 ATM 적응층 형식 1(ATM Adaptation Layer type 1, 이하 AAL1라 칭함) 처리 기능 및 시스템과의 IPC 정합을 위해 IPC 메시지에 대한 IPC AAL(이하 IAAL라 칭함)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ALS(100)의 CCCP(113, 124)에 실장되는 디지털 가입자 회로 모드 호 제어(Digital Subscriber Circuit mode call Control, 이하 DCC라 칭함) 소프트웨어 블록은 디지털 가입자의 발ㆍ착신 호 처리 및 상태 관리 기능을 수행하며, 디지털 가입자 호 처리 서비스를 위해 IWS/D(200)의 디지털 가입자 인터페이스(Digital Subscriber Interface, 이하 DSI라 칭함), 가상경로 식별자(Virtual Path Indentifier, 이상 VPI라 칭함) 및 가상채널 식별자(Virtual Channel Identifier, 이하 VCI라 칭함) 등의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User-Network Interface, 이하 UNI라 칭함) 자원 할당/ 반납을 위해 CCCP의 UNI 링크 자원 처리(UNI Link Resource Handling, 이하 ULRH라 칭함), 스위치 링크 자원 할당/반납을 위해 CCCP(113, 124)의 스위치 링크 자원 처리(Switch Link Resource handling, 이하 SLRH), 타임 스위치 및 신호 장비의 연결/해제를 위해 IWS/D의 타임 스위치 국부 서비스 인터페이스(Time Switch and Local Service Interface, 이하 TLSI라 칭함), 안내 방송 및 회의 통화 장치의 연결/해제를 위해 CCCP의 글로벌 서비스 제어(Global Service Control, 이하 GSC라 칭함) 그리고 국번과 착신 번호 번역을 위해 번호 번역 제어(Number Translation Control, 이하 NTR라 칭함) 등의 소프트웨어 블럭들과 연동하며, 또한 상기 DCC는 디지털 가입자의 통화 데이터 송ㆍ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ATM 셀의 루팅 태그(TAG)의 할당 및 해제를 위해 IWS/D(200)의 IWP와 연동한다.
도 2a에서 2g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ATM 교환 시스템에서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자국 호 제어 방법중 발ㆍ착신 호 설정 수행 흐름도이다.
ATM 교환 시스템에 실장된 디지털 가입자의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음성 또는 비음성 데이터 호 설정 요구(SETUP) 메시지 및 ATM 교환시스템의 착신 번호 번역 기능을 수행하는 번호 번역 제어부(NTR)로부터의 "착신 점유 요구" 시그널을 ALS/S의 CCCP에 실장되는 디지털 가입자 회로 모드 호 제어(DCC) 주 프로세스로 수신됨으로써 발ㆍ착신 호 설정 절차가 개시된다(S1).
DCC 주 프로세스는 시스템의 과부하, 전송 특성 정보 요소, 회선의 사용 가능 그리고 시스템 내부의 자원 사용 상태 및 가입자 회선과 B 채널의 사용 가능, 시스템 내부의 자원 사용 상태 등을 확인하여(S2) 발ㆍ착신 호 설정 진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하고(S3) 발ㆍ착신 호 설정이 가능하면, DCC 발ㆍ착신 제어 프로세스를 시동한다(S4).
그러나 가입자 회선 사용 금지, 사용 가능한 B 채널 등의 부재, 그리고 사용 가능한 가상채널(Virtual Channel, 이하 VC라 칭함) 등이 없어 호 설정 진행이 불가능하면, DCC 주 프로세스는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로 착신 호 설정의 불가능을 알리는 "착신 해제 통보"의 시그널을 전송하고(S5) 할당된 자원의 해제를 수행한다(S6).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수신된 호 설정 요구에 대해 메시지 내에 포함된 착신 디지트 전송방식을 판단하여(S7) 중복 방식인 경우 음성과 디지트가 아닌지를 판단하여(S8) 음성이나 디지트가 아닌 경우 상기 방식에 채널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호 설정 확인(SETUP ACKNOWLEDGE) 메시지(S9)를 또는 상기 판단(S7) 후 전체적인 방식인 경우 호 진행(CALL PROCESSING) 메시지(S10)를 발신 가입자로 송신하며, 상기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에서 추가 디지트 정보가 필요하여 호 설정 확인(SETUP ACKNOWLEDGE) 메시지(S11)를 송신한 경우, 다이얼-톤을 연결(S12)한 상기 호 설정 확인 메시지(S9)를 받아 가입자로부터의 추가 디지트 정보는 국번 수신(INFORM) 메시지(S13)를 통해 수신되고,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호 설정에 필요한 착신 디지트 정보를 모두 수신한 경우, 호 진행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로 전송하여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며, 또한 상기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수신된 착신 디지트 정보를 이용하여 ACS의 NTR과 연동하여 국 번호 및 착신 번호 번역 요구 메시지(S14)를 전송한 후 국번 번역 절차를 수행하고, 국번 번역 대기(S15)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NTR은 착신 대상이 자국 내의 디지털 가입자인 경우 착신 가입자가 실장되는 ALS의 DCC 주 프로세스로 "착신 점유 요구"의 시그널을 전송하여 착신호 설정을 개시하도록 하며, 착신 호 설정이 가능한 경우 DCC 주 프로세스는 착신호 설정을 위한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를 시동하고 착신 점유 대기 상태(S16)로 된다.
또한 상기 DCC 착신 프로세스는 가입자 회선의 부가 서비스 등록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 VPI와 VCI 등을 할당하여(S7a) "착신 점유 통보"의 시그널로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에게 전송한 후(S8a) 발신 정보 대기 타이머를 구동하고(S9a), 발신 정보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S10a).
상기 착신 점유 대기 상태(S16)에서 DCC 발신 제어 프로세서는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착신 가입자의 VPI 및 VCI 등의 정보를 "착신 점유 통보"(S17)의 시그널로 수신하여 각 IWS/D에 고유로 할당하는 0부터 127 이내의 값에서 하나가 고정되어 사용되는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에서 할당하는 VPI 값과 하나의 호에 대해 0부터 1, 023 중에서 하나의 값을 선택하여 할당하는 VCI 값을 할당하고(S18) 상기 "착신 점유 통보"(S17)의 시그널을 수신한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발신 가입자에 할당되는 VPI 및 VCI와 착신 가입자의 VPI 및 VCI를 포함하는 루팅 TAG 할당 요구" 시그널을 발신 가입자가 수용된 IWS/D의 IWP로 송신하여 PCM 데이터에 대한 ATM 셀 헤더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S19) DCC 발신 제어 프로세서는 발신 가입자의 VPI 및 VCI 정보 등을 포함하는 "발진 가입자 정보 통지" 시그널을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로 전송하여(S20) 착신 측에서의 ATM 셀 헤더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발신 가입자에 배정된 타임슬롯에 대한 타임 스위치 연결을 수행하여(S21) 발신 가입자에 대한 통화 경로를 설정하고 착신 가입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착신 응답 대기 상태(S22)가 된다.
착신 점유 대기 상태(S16)에서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절단(DISCONNECT) 메시지를 수신하면(S23), 발신 가입자에게 "발신호 해제 통보" 메시지를 전송하고(S24) 해제(RELEASE) 메시지를 송신하며 호 해제절차(S26)를 수행하고, 호 인도(Call Delivered) 상태(S27)로 천이한다.
한편, 상기 발신 정보 대기상태(S10a)에서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가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발신 호 해제를 알리는 "발신 해제 통보"의 시그널을 수신하면(S11a) 구동중인 발신 가입자 정보 대기 타이머를 취소하고(S12a), B 채널, VPI 및 VIC 등의 할당된 자원의 해제를 요구하며(S13a) 착신 호 해제를 진행하며(S14a), 상기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는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발신 가입자 정보 통지"의 시그널을 수신하면(S15a) 구동중인 발신 정보 대기 타이머를 취소하고(S16a) 발신 가입자에게 할당되는 VPI 및 VCI와 착신 가입자의 VPI 및 VCI를 포함하는 "루팅 태그(TAG) 할당 요구" 시그널을 착신 가입자가 수용된 IWS/D의 IWP로 송신하여(S17a) PCM 데이터에 대한 ATM 셀 헤더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착신 가입자로 호 설정(SETUP) 메시지를 전송하고(S18a) 착신 가입자의 응답을 감시하는 계층 3 타이머를 구동한 후(S19a) 호 설정 상태로 천이한다(S20a).
그리고 상기 호 인도 상태(S27)에서 착신 가입자의 응답에 의해 DCC 착신 프로세스로부터 "절단(DISCONNECT)"의 시그널을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수신하면(S28), 타이머 취소를 하고(S29) 발신 가입자로 발신 호 해제 통보(S30)와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고(S31) VPI, VCI 그리고 루팅 태그(TAG) 반납(S32) 상태로 되며, 루팅 TAG해제 요구를 전송하여(S33) 타임 스위치 해제를 하고(S34)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며(S35), 착신 가입자의 응답에 의해 DCC 착신 프로세스로부터 "착신 호 해제 통보"의 시그널을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수신하면(S36), 타이머 취소를 하고(S37) 발신 가입자로 절단 메시지를 송신하고(S38) VPI, VCI 그리고 루팅 TAG 반납(S39) 상태로 되며, 루팅 TAG 해제 요구를 전송하여(S40)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며(S41), 상기 착신 가입자의 응답에 의해 DOC 착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착신 가입자 응답 통보"의 시그널을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수신하면(S42), 타이머 취소를 하고(S43), 발신 가입자로 응답(CONNECT) 메시지를 전송하여(S44), 발·착신 가입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통화중 상태(S45)로 천이한다.
또한, 상기 호 설정 상태(S20a)에서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가 착신 가입자로부터 호 해제 메시지를 수신하면(S21a), 호 해제 메시지에 관련된 타이머를 취소하고 TE 관련 계층 3 타이머를 취소하고(S22a)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며(S23a), 상기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가 착신 가입자로부터 호출(ALERTING) 메시지를 수신하면(S24a), 호출 메시지를 송출한 단말에 관련된 타이머를 취소하고(S25a), 첫 번째로 수신된 호출 메시지인가를 판단하여(S26a) 첫 번째 메시지인 경우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로 착신 가입자 호출 중임을 알리는 "착신 호출 통보" 시그널을 전송하고(S27a), 호출중인 호가 음성 호인 경우에는 TLSI로 링-백 톤의 연결을 요구하고(S28a), 착신 가입자의 응답(CONNECT) 메시지를 감시하는 계층 3 타이머를 구동하며(S29a), 상기 호 설정 상태(S20a)에서 착신 가입자의 응답에 의해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가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S30a) 구동중인 계층 3 타이머를 취소하고(S31a), 상기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로 착신 가입자의 응답을 알리는 "착신 가입자 응답 통보" 시그널을 송신하고(S32a) 발·착신 가입자의 통화 경로의 구성을 위해 타임 스위치 연결을 수행하고(S33a), 착신 가입자에게 응답 확인(CONNECT ACKNWLEDGE) 메시지를 전송하고(S34a) 통화중 상태로 천이한다(S35a). 그리고 발신 가입자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발·착신 가입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게 되는 통화중 상태로 천이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ATM 교환 시스템에서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자국 호 제어 방법중 발·착신 호 해제 수행 흐름도이다.
통화중 상태(S45)에서 발·착신 가입자의 호 해제 요구에 의해 절단(DISCONNECT) 메시지가 DCC 발·착신 제어 프로세스로 수신되면(S46),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DCC 발·착신 제어 프로세스로 발·착신 가입자의 호 해제를 알리는 "발·착신 호 해제 통보" 시그널로 송신한다(S47).
"발·착신 호 해제 통보" 시그널 송신 후 발·착신 제어 프로세스는 VPI, VCI 그리고 루팅 TAG 반납을 수행하고(S48), 발신 IWS/D의 IWP로 할당된 셀 헤더의 해제를 "루팅 TAG 해제 요구"의 시그널 전송을 통해 요구한다(S49).
DCC 발·착신 제어 프로세스는 연결된 타임 스위치의 해제를 TLSI로 요구하고(S50) 발·착신 가입자에게 해제(RELEASE) 메시지를 전송한 후(S51)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한다(S52).
통화중 상태(S45)에서 발·착신 가입자의 호 해제 요구에 의해 DCC 발·착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발·착신 호 해제 통보" 시그널을 DCC 발·착신 제어 프로세스 가 수신하면(S53), VPI, VCI 그리고 루팅 반납 TAG 반납을 수행하고(S54), IWS/D의 IWP로 할당된 셀 헤더의 해제를 "루팅 TAG 해제 요구"의 시그널 전송을 통해 요구한다(S55).
상기 "루팅 TAG 해제 요구"의 시그널 전송을 통해 셀 헤더의 해제를 요구하고 타임 스위치 해제를 하고(S56) 절단(DISCONNECT)메시지를 발·착신 가입자에게 전송한 후(S57) DCC 발·착신 제어 프로세스는 연결된 통화 경로를 절단한다.
그리고 인밴드가 필요한 경우, 톤 또는 안내 방송이 제공되는 채널로 타임 스위치를 연결하여 발·착신 가입자가 인밴드 정보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후, DCC 발·착신 제어 프로세스는 발·착신 가입자에 호 해제 절차를 진행함으로써(S58), 발·착신 가입자에게 제공된 채널, 호 참조 번호, 인밴드 및 타임 스위치 등의 시스템 자원의 해제를 수행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ATM 교환 시스템에서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신 자국 호 제어 방법은, 종합정보통신망의 노드로 사용되는 ATM 교환 시스템에 실장되는 BSI, BAMI, 그리고 PSI의 디지털 가입자들 간의 ATM 교환 시스템 내부를 경유하는 64Kbps 전송 속도의 단일 B 채널 단위의 음성 및 비음성 데이터 호의 자국 호 설정 기능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ATM 셀을 통한 일정 전송 속도의 B 채널 음성 통화 및 비음성 데이터 통신 기능을 위한 발·착신 호 제어 방법에 있어서,
    ATM 교환 시스템에 실장되는 기본 가입자, 기본 접속 다중화, 기본 가입자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가입자 회선에 대해 타임 스위치를 연결 및 해제하는 제 1 과정과;
    디지털 가입자 단말의 디지털 가입자 신호 시스템의 신호 절차의 제 2 과정과;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호 제어 부분의 통화 데이터의 ATM 셀화를 구성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통화 데이터와 디지털 가입자 제어 시스템과 ATM 시스템의 호 제어 프로세서 간의 상호 프로세서 통신(IPC) 송수신을 위한 ATM 적응층(IAAL) 변환을 하는 제 4 과정과;
    IAAL을 이용한 신호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디지털 가입자와 망 간의 신호 절차 및 내부의 신호 처리 절차의 제 5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ATM 교환 시스템 디지털 가입자의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음성이나 비음성 데이터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디지털 가입자 회로 모드 호 제어(DCC) 주 프로세스가 수신하여 호 설정 절차를 개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DCC 주 프로세스는 시스템의 과부하, 전송 특성 정보 요소, 회선의 사용 가능과 시스템 내부의 자원 사용 상태를 확인하고, 발신 호 설정 진행이 가능하면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를 시동하는 제 2 단계와;
    호 설정 진행이 가능하지 않으면, DCC 발신 주 프로세스는 착신 호 설정의 불가능을 알리는 "착신 해제 통보" 시그널을 전송하고, 할당된 자원의 해제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호 설정 요구의 메시지 내에 포함된 착신 디지트 전송이 중복 방식이면, 음성인지 비 음성인지 판단하여 음성이나 디지트가 아닌 경우 상기 방식에 채널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호 설정 확인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로 송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전송 방식 판단 후 전체적인 방식인 경우 호 진행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로 송신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추가 디지트 정보가 필요하여 호 설정 확인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 다이얼-톤을 연결한 상기 호 설정 확인 메시지를 받아 국번 수신 메시지를 통해 가입자로부터의 추가 디지트 정보를 수신하는 제 3 단계와;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호 설정에 필요한 착신 디지트 정보를 모두 수신한 경우 호 진행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로 전송하여 호 설정에 필요한 모든 정보가 수신되었음을 알려주는 제 4 단계와;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수신된 착신 디지트 정보를 이용하여 ATM 중앙 스위칭 서브시스템의 번호 번역 제어부(NTR)와 연동하여 국 번호 및 착신 번호 번역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 후 국번 번역 절차를 수행하고, 국번 번역 대기 상태로 되는 제 5 단계와;
    상기 NTR은 착신 대상이 자국 내의 디지털 가입자인 경우 착신 가입자가 실장되는 ALS의 DCC 주 프로세스로 "착신 점유 요구"의 시그널을 전송하여 착신 호 설정을 개시하도록 하는 제 6 단계와;
    착신호 설정이 가능한 경우 DCC 주 프로세스는 착신 호 설정을 위한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착신 가입자의 VPI, VCI의 정보를 "착신 점유 통보" 시그널로 수신하는 제 8 단계와;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에서 할당하는 VPI 값은 각 IWS/D에 고유로 할당하는 일정 범위 이내의 값에서 하나를 고정하여 사용하고, VCI 값은 하나의 호에 대해 특정수치 값을 선택하여 할당하는 제 9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착신 점유 통보"의 시그널을 수신한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발신 가입자에 할당되는 VPI, VCI와 착신 가입자의 VPI 및 VCI를 포함하는 "루팅 태그 할당 요구" 시그널을 PCM 데이터에 대한 ATM 셀 헤더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발신 가입자가 수용된 IWS/D의 IWP로 송신하는 제 1 단계와;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발신 가입자의 VPI 및 VCI 정보를 포함하는 "발신 가입자 정보 통지" 시그널을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로 전송하여 착신측에서의 ATM 셀 헤더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2 단계와;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발신 가입자에 배정된 타임 슬롯에 대한 타임 스위치 연결을 수행하여 발신 가입자에 대한 통화 경로를 설정하고 착신 가입자 응답 대기 상태가 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은
    착신 점유 대기 상태에서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절단 메시지를 수신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발신 호 해제 통보" 메시지의 전송과 해제 메시지 송신과 해제 절차 수행 후 호 인도 상태로 천이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호 인도 상태에서 DCC 착신 프로세스로부터 절단 시그널을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수신하여 타이머 취소, 발신 가입자로 발신 호 해제 통보, 해제 메시지 전송을 수행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메시지 전송 후 VPI, VCI와 루팅 태그 반납 상태로 천이하고, 루팅 태그 해제 요구를 전송하여 타임 스위치 해제와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호 인도 상태에서 DCC 착신 프로세스로부터 "착신 호 해제 통보" 시그널을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수신하면 타이머 취소와, 발신 가입자로 절단 메시지를 송신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메시지 전송 후 VPI, VCI 루팅 태그 상태로 천이하여, 루팅 태그 해제 요구를 전송하며,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호 인도 상태에서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착신 가입자 응답 통보" 시그널을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수신하여 타이머 취소와, 발신 가입자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발·착신 가입자 간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화중 상태로 천이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과정은
    통화중 상태에서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절단 메시지를 수신하면,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DCC 착신 프로세스로 발신 가입자의 호 해제를 알리는 "발신 호 해제 통보" 시그널을 송신하는 제 1 단계와;
    "발신 호 해제 통보" 시그널 송신후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VPI, VCI와 루팅 태그 반납을 수행하고 발신 IWS/D의 IWP로 할당된 셀 헤더의 해제를 "루팅 태그 해제 요구" 시그널 전송을 통해 요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연결된 타임 스위치의 해제를 TLSI로 요구하고 발신 가입자에게 해제 메시지를 전송한 후 호 해제 절차를 수행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통화중 상태에서 DCC 착신 프로세스로부터 "착신 호 해제 통보" 시그널을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가 수신하여 VPI, VCI와 루팅 태그 반납을 수행하고,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발신 IWS/D의 IWP로 할당된 셀 헤더의 해제를 "루팅 태그 해제 요구" 시그널 전송을 통해 요구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루팅 태그 해제 요구" 시그널 전송을 통해 셀 헤더의 해제를 요구와 타임 스위치 해제를 하고, 절단 메시지를 발신 가입자에게 전송한 후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연결된 통화 경로를 절단하는 제 5 단계와;
    인밴드가 필요한 경우, 톤 또는 안내 방송이 제공되는 채널로 타임 스위치를 연결하여 발신 가입자가 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 6 단계와;
    상기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는 발신 가입자에게 호 해제 절차를 진행하여, 발신 가입자에게 제공된 채널, 호 참조 번호 인밴드 및 타임 스위치와 같은 시스템 자원을 해제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착신 번호 번역 기능을 수행하는 번호 번역 제어부(NTR)로부터 "착신 점유 요구"의 시그널을 DCC 주 프로세스가 수신하여 착신 호 설정 절차를 개시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DCC 주 제어 프로세스는 가입자 회선과 B 채널의 사용 가능과 시스템 내부의 사용 상태 등을 확인하고, 착신 호 설정 진행이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착신 호 설정 진행이 가능하면 DCC 착신 프로세스를 시동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판단 후 호 설정 진행이 불가능하면 DCC 프로세스는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로 착신 호 설정 불가능의 "착신 해제 통보"의 시그널을 전송하고 할당된 자원의 해제를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DCC 착신 프로세스는 가입자 회선의 부가 서비스 등록 정보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고 가상경로 식별자(VPI)와 가상채널 식별자(VCI)를 할당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VPI 및 VCI 할당 후 "착신 점유 통보"의 시그널을 상기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에게 전송하여 발신 정보 대기 타이머를 구동한 후 발신 정보 대기 상태로 천이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발신 정보 대기 상태에서 DCC 착신 제어 프로세스가 상기 DCC 발신 제어 프로세스로부터 발신 호 해제 통보를 알리는 "발신 해제 통보" 시그널을 수신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발신 해제 통보" 시그널 수신 후 구동중인 발신 가입자 정보 대기 타이머의 취소와, B 채널, VPI 및 VCI의 할당된 자원 해제 요구 후 착신 호 해제를 진행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B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간의 발·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KR1019970040723A 1997-08-25 1997-08-25 단일b채널을사용하는디지털가입자간의발.착신자국호제어방법 KR10026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23A KR100269265B1 (ko) 1997-08-25 1997-08-25 단일b채널을사용하는디지털가입자간의발.착신자국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23A KR100269265B1 (ko) 1997-08-25 1997-08-25 단일b채널을사용하는디지털가입자간의발.착신자국호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11A KR19990017711A (ko) 1999-03-15
KR100269265B1 true KR100269265B1 (ko) 2000-10-16

Family

ID=19518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723A KR100269265B1 (ko) 1997-08-25 1997-08-25 단일b채널을사용하는디지털가입자간의발.착신자국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92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712A (ko) * 1997-08-25 1999-03-15 이계철 단일 비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 간의 착신 자국 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712A (ko) * 1997-08-25 1999-03-15 이계철 단일 비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 간의 착신 자국 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11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0769A (en) Merging the functions of switching and cross connect in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100281090B1 (ko)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US5907548A (en) Telephone network local access using data messaging
US4706242A (en) Digital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269265B1 (ko) 단일b채널을사용하는디지털가입자간의발.착신자국호제어방법
KR19990017712A (ko) 단일 비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가입자 간의 착신 자국 호 제어방법
KR950014951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전전자 교환기 시스팀에서 가상회선 서비스(b)-채널 패킷 자국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 처리 방법
KR100198445B1 (ko) 입중계 접속면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방법
KR100238435B1 (ko) 에이티엠 연동 서브시스템에 수용된 음성 가입자의 서비스 제어방법
KR100198446B1 (ko) 출중계 중계선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방법
KR100194627B1 (ko) 착신측 사용자-망 접면에서 사용자-사용자 교환 가상 경로 연결의 제공 방법
KR0173378B1 (ko) 비동기 전달 모드 교환 시스팀에서 입중계 중계선 호제공 방법
KR100275511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 시스템에서 가입자 착신 자국 호 제어 방법
KR100265856B1 (ko) 망-망접면에서출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R100302641B1 (ko) 회선 교환 시스템과 에이티엠 시스템 간의 음성 호 접속 방법
KR100307927B1 (ko) 회선 교환 시스템에서 에이티엠 교환 시스템으로의 톤제공방법
KR100262944B1 (ko) 망-망접면에서입중계호제어절차를이용한가상통로의제공방법
KR100248660B1 (ko)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지연등화 프로토콜에 따른 채널 삭제 요구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211969B1 (ko) 공중전화망 가입자 고정형 녹음안내기능 실현방법
KR100237373B1 (ko) Atm vc 교환기의 신호채널 상태 관리 방법
KR100205028B1 (ko)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 중계선 출중계호 제공방법
Park et al. Voice Message Connection Control for PSTN and N-ISDN subscribers in ATM switching system
KR0175466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기통신망 가입자정합장치 및 호처리 방법
JP2000124919A (ja) Atmシグナリング装置及びatmシグナリング方法
KR100194816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 시스템의 공중통신망 가입자정합장치에서의 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