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7489B1 - 스크롤 바 확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롤 바 확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7489B1
KR100267489B1 KR1019970065338A KR19970065338A KR100267489B1 KR 100267489 B1 KR100267489 B1 KR 100267489B1 KR 1019970065338 A KR1019970065338 A KR 1019970065338A KR 19970065338 A KR19970065338 A KR 19970065338A KR 100267489 B1 KR100267489 B1 KR 100267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bar
icon
scroll
delimiter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9502A (ko
Inventor
캐리 리 베이츠
폴 루벤 데이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1998007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윈도우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도큐먼트와 같은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를 스크롤링하는데 있어서 세분성(granularity)을 향상시키는 제 2 스크롤 바(secondary scroll bar)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먼저, 유저(user)에 의해 활성화 되면, 아이콘(icon)이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제공하는 GUI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유저의 아이콘 선택에 응답하여 제 2 스크롤 바가 윈도우 내에 디스플레이되는데, 여기서 제 2 스크롤 바는 유저로 하여금 아이콘의 활성화(activation)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narrowly defined region)을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한다. 유저의 제 2 스크롤 바 선택에 응답하여, 제 2 스크롤 바가 의존하는 제 1 스크롤 바 내에 딜리미터 마크(delimeter marks)가 또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딜리미터 마크는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searchable range)를 표시한다. 그 후, 유저는 제 2 스크롤 바를 사용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할 때 다중 레벨(multiple levels) 상에서 세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추가적인 스크롤 바들이 유저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롤 바 확장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개선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개선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GUI는 유저가 컴퓨터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의 메뉴 아이템 리스트 및 그림 표현(pictorial representations)을 포인팅(pointing)함으로써 커맨드(command)를 선택하고, 프로그램을 시작시키며, 파일 리스트 및 다른 옵션(option)들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포맷의 형식이다. 선택은 일반적으로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에 의해 활성화(activated)될 수 있다. 마우스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버튼을 가지고 있는 흔히 사용되는 포인팅 장치로서, 유저가 GUI와 같은 운영 환경(operating environment) 또는 제품(product)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몇 몇 통상적인 GUI는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의 부분(portion)을 스크롤링(scrolling)하기 위한 스크롤 바(scroll bar) 및 커서를 제공한다. 뷰어블 오브젝트는 스프레드쉬트(spreadsheets), 텍스트(text), 핫링크(hotlink), 픽쳐(picture), 사운드(sound), 및 비디오 오브젝트(video objects)와 같은 다수의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 요소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러 형태의 GUI에서, GUI 윈도우의 옆면 또는 하부(side or bottom)에 있는 수직 또는 수평 바(vertical or horizontal bar)가 마우스(mouse), 트랙볼(trackball), 스타일러스(stylus) 등과 같은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와 관련하여 사용되어 뷰어블 오브젝트 주위로 이동할 수 있다. 스크롤링은 뷰어블 오브젝트의 임의의 원하는 부분을 볼(viewing)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책의 페이지를 넘긴(flipping)다기 보다는 롤(rolled)(즉, 스크롤(scrolled))된 뷰어블 오브젝트를 전자적으로 읽는 것과 같으므로 이와 같은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수직 스크롤 바(vertical scroll bar)는 이동을 제어(즉, 뷰어블 오브젝트의 라인 및 페이지들(lines and pages)을 스크롤함)하기 위해 사용되고, 수평 스크롤 바(horizontal scroll bar)는 뷰어블 오브젝트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통상의 스크롤 바 시스템은 대개 두 개의 화살표(arrow)와 하나의 슬라이더(slider)를 포함한다. 화살표는 통상, 예를 들어 뷰어블 오브젝트의 한 페이지 또는 개별 라인들과 같은 정보의 작은 블록(small block) 또는 작은 증가분(small increments)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화살표가 윗쪽(upward direction)을 향하고 있으면 뷰어블 오브젝트는 뷰어블 오브젝트의 현재 페이지에서 제 1 페이지 방향으로 스크롤될 것이다. 화살표가 아랫 쪽(downward position)을 향하고 있으면 뷰어블 오브젝트는 뷰어블 오브젝트의 현재 페이지에서 마지막 페이지 방향으로 스크롤될 것이다.
슬라이더는 통상 화살표가 사용될 때보다도 뷰어블 오브젝트를 더 크게 증가시키는 경우의 이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슬라이더는 전형적으로 정보를 작은 블록만큼 증가시키는 대신에 예를 들어 두 페이지 이상과 같은 큰 정보 블록, 정보 증가분(increments), 또는 정보 그룹 내의 뷰어블 오브젝트의 이동을 제어한다. 따라서, 유저가 제 1 페이지에서 제 50 페이지로 이동하고 싶으면, 대개 슬라이더가 선택되고 제 50 페이지가 선택될 때까지 이동된다. 수직 스크롤 바 상에서 동작하는 그러한 슬라이더를 또한 "엘리베이터(elevator)"라고도 한다. 수평 스크롤 바 상에서 동작하는 그러한 슬라이더를 또한 "퍽(puck)"이라고도 한다.
커다란 아이템 리스트와 같은 매우 큰 뷰어블 오브젝트가 GUI를 통하여 유저에 의해 액세스될 때, 스크롤 바 슬라이더는 흔히 그러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매우 작은 일부분만을 나타내게 된다.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pointing device)를 사용하여 유저가 슬라이더를 그랩(grab)하여 이동할 때, 슬라이더가 조금만 움직여도 뷰어블 오브젝트가 너무 빨리 스크롤하게 되어 유저가 뷰어블 오브젝트 내의 원하는 섹션을 찾는데 어려움이 있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우스를 자유 자재로 사용하는 유저들조차도 큰 뷰어블 오브젝트 상에서 현재 슬라이더를 사용하려고 시도할 때 원하는 위치를 쉽게 찾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은 숙련되지 않은 유저에게는 훨씬 더 심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큰 뷰어블 오브젝트에 액세스를 시도하는 유저가 봉착하는 추가적인 문제점은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는 마커(markers)들을 사용할 때 겪게되는 어려움이다. 마커들은 그 이름이 암시하는 바와 같이 특정 위치를 식별하기 위해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한다. 유저가 이들 마커들 중의 하나에서 포인팅 장치를 사용할 때, 뷰어블 오브젝트는 마커와 관련되는 뷰어블 오브젝트 내의 특정 영역(particular region)으로 이동(shift)한다. 그러나, 그러한 마커들에는 문제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커다란 뷰어블 오브젝트의 경우에는 이러한 마커들이 흔히 다른 마커에 매우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어, 이용 가능한 마커들이 실제로 여러개 있다는 것을 유저가 인식하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마커들의 크기가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는 경우, 이들 마커들은 너무 작아져 유저에게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커다란 뷰어블 오브젝트에 액세스하는 것과 관련된 상기 문제점들에 대한 현재 까지의 해결책은 통상적으로 인덱스 바(index bar)를 제공하여, 그러한 인덱스 바로부터 유저가 탐색하고자 하는 뷰어블 오브젝트의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해결책들은 뷰어블 오브젝트의 자연스런 스캐닝(fluid scanning)을 제공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인덱스 바는 유저가 선행 영역을 참조하지 않고도 뷰어블 오브젝트의 특정 영역으로 점프(jump)할 수 있도록 하지만 유저가 뷰어블 오브젝트의 원하는 영역으로 스크롤하는 것은 허용하지 않으며, 원하는 영역 내의 다중 레벨에서의 탐색에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려는 시도가 지금까지는 없었다. 뷰어블 오브젝트의 자연스런 스캐닝(fluid scanning)을 제공함과 동시에, 유저에게 뷰어블 오브젝트의 특정 영역을 향한 탐색을 재단(tailor)하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의 필요성이 있어왔다. 따라서, 뷰어블 오브젝트의 특정 영역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컴퓨터 시스템의 전형적인 하드웨어 환경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윈도우(graphical user interface window)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아이콘(amplification icon)을 가진 GUI 윈도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사용되는 GUI 윈도우 및 제 2 스크롤 바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크롤 바 확장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스크롤 바 확장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메카니즘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메카니즘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딜리미터 요소(delimeter component)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컴퓨터 시스템 22 : 시스템 유닛
24 : 디스플레이 단말기 26 : 키보드
28 : 마우스 31 : CPU
32 : 시스템 버스 33 : 디스크/테입 드라이브
34 : RAM 36 : ROM
37 : 디스플레이 어댑터 39 : I/O 어댑터
40 : 유저 인터페이스 어댑터 49 : 통신 어댑터
50 : 메인 메모리 51 : 제어 프로그램
53 : 아이콘 메카니즘 55 : 스크롤 메카니즘
57 : 딜리미터 59 : 디스플레이 메카니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GUI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서(cursor), 스크롤 바(scroll bar), 및 슬라이더(slider)를 가진 개선된 GUI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서(cursor), 스크롤 바(scroll bar), 및 슬라이더(slider)를 가진 개선된 GUI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며, 유저가 뷰어블 오브젝트를 용이하게 스크롤하게 하는 뷰어블 오브젝트의 작은 부분에 매핑(map)하는 제 2 스크롤 바(secondary scroll bar)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은 아래에서 기술된 바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윈도우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도큐먼트와 같은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를 스크롤링하는데 있어서 세분성(granularity)을 향상시키는 제 2 스크롤 바(secondary scroll bar)를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먼저, 유저(user)에 의해 활성화 되면, 아이콘(icon)이 상기 제 2 스크롤 바를 제공하는 GUI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다음으로, 유저의 아이콘 선택에 응답하여 제 2 스크롤 바가 윈도우 내에 디스플레이되는데, 여기서 제 2 스크롤 바는 유저로 하여금 아이콘의 활성화(activation)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narrowly defined region)을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한다. 유저의 제 2 스크롤 바 선택에 응답하여, 제 2 스크롤 바가 의존하는 제 1 스크롤 바 내에 딜리미터 마크(delimeter marks)가 또한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딜리미터 마크는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searchable range)를 표시한다. 그 후, 유저는 제 2 스크롤 바를 사용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다. 또한,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할 때 다중 레벨(multiple levels) 상에서 세분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다수의 추가적인 스크롤 바들이 유저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들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다. 그러나, 본 발명 자체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사용 방법, 기타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 도면과 함께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컴퓨터 (20)은 시스템 유닛 (22), 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 (24), 키보드 (26) 및 마우스 (2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컴퓨터 (20)은 IBM사의 AS/400TM컴퓨터 시스템 또는 IBM AptivaTM컴퓨터와 같은 적당한 모든 컴퓨터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의 메카니즘 및 장치가 컴퓨터 시스템이 복잡한 멀티-유저(multi-user) 계산 장치인지 또는 단일-유저(single-user) 워크스테이션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컴퓨터 시스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컴퓨터 시스템의 전형적인 하드웨어 환경이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 유닛 (22)는 통상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같은 CPU (31), 및 시스템 버스 (32)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 다수의 다른 유닛들을 포함하고 있다. 컴퓨터 시스템 (20)은 RAM (34), ROM (36), 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 (24)를 시스템 버스 (32)에 연결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어댑터 (37), 및 주변 장치(예를 들어, 디스크/테이프 드라이브 (33))들을 시스템 버스 (32)에 연결하기 위한 I/O 어댑터 (39)를 포함하고 있다. 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 (24)는 컴퓨터 (20)의 비쥬얼(visual) 출력장치이다. 예를 들어, 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 (24)는 컴퓨터 하드웨어 분야에서 공지된 CRT-기반 비디오 디스플레이(CRT-based video display) 일 수 있다. 그러나, 휴대용 또는 노트북-기반 컴퓨터(portable or notebook-based computer)에서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 (24)는 LCD-기반 비디오 디스플레이(LCD-based video display) 또는 개스 플라즈마-기반 플랫-패널 디스플레이(gas plasma-based flat-panel display)로 대체될 수 있다. 컴퓨터 시스템 (20)은 키보드 (26), 마우스 (28), 스피커 (46), 마이크로폰 (48), 및/또는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touch screen device)(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다른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들을 시스템 버스 (32)에 연결시키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어댑터(user interface adapter) (40)을 더 포함하고 있다. 통신 어댑터(communication adapter) (49)는 컴퓨터 (20)을 데이터 처리 네트워크에 연결시킨다. 컴퓨터 시스템 (20)이 단일 CPU와 단일 시스템 버스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다중 CPU(multiple CPU)를 가지는 컴퓨터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제각각 다른 방식으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 버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 (20)은 컴퓨터 시스템 (20)의 동작을 지시하기 위하여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 내에 저장되는 GUI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RAM (34), ROM (36), 마그네틱 디스켓, 마그네틱 테입, 또는 광 디스크(마그네틱 디스켓, 마그네틱 테입, 광 디스크는 디스크/테입 드라이브 (33)에 위치함)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기계 판독 가능한 매체(machine-readable media)는 GUI를 보유할 수 있다. 임의의 적합한 운영 체제(예를 들어, Microsoft Windows) 및 연관된 GUI는 CPU (31)을 지시(direc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IX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및 AIXwindows 윈도윙 체제(AIXwindows windowing system)(즉, GUI)는 CPU (31)을 지시할 수 있다. AIX 운영 체제는 UNIX(UNIX Systems Laboratories, Inc.의 상표임) 운영 체제를 IBM사에서 구현한 것이다. 터치-스크린 기술(touch-screen technology) 또는 인간의 음성 제어(human voice control)와 같은 다른 기술들도 또한 CPU (31)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들은 도 2에 도시된 하드웨어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따라서 바뀔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광 디스크 매체, 오디오 어댑터, 또는 컴퓨터 하드웨어 분야에서 공지된 PAL(Programmable Array Logic) 또는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프로그래밍 장치들과 같은 칩 프로그래밍 장치(chip programming device)와 같은 다른 주변 장치들, 및 이와 유사한 장치들이 상기에서 도시한 하드웨어 대신 또는 상기에서 도시한 하드웨어에 추가하여 사용될 수 있다.
메인 메모리 (50)은 시스템 버스 (32)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 프로그램(control program) (51)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 프로그램 (51)은 메인 메모리 (50) 내에 위치하며, CPU (31)에서 실행될 때 도 6의 로직 플로우 차트에 도시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instruction)들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제어 프로그램 (51)은 아이콘 메카니즘 (53), 스크롤 메카니즘 (55), 딜리미터 (57), 및 디스플레이 메카니즘 (59)을 더 가지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들 각각은 도 7,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과 관련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완전히 기능적인 컴퓨팅 시스템과 관련하여 기술되었고 이하에서도 계속 기술될 것이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메카니즘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배포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실제로 배포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형태의 신호 포함 매체에 상관없이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신호 포함 매체의 예들은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CD ROM과 같은 기록 가능한 타입의 매체, 및 디지털 및 아날로그 통신 링크와 같은 전송 타입 매체를 포함한다.
도 3, 도 4 및 도 8에는 유사한 부분은 유사한 참조 번호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에 따른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윈도우(graphical user interface window) (60)을 도시한 도면이다. 윈도우 (60)은 도큐먼트 (61)과 같은 뷰어블 오브젝트 (61)의 일부분을 디스플레이하고 있다. 도큐먼트 (61)은 스프레드쉬트(spreadsheets), 텍스트(text), 핫링크(hotlinks), 픽쳐(pictures), 사운드(sound), 및 비디오 오브젝트(video objects)와 같은 다수의 콤포넌트들을 포함하는 뷰어블 오브젝트이다. 스크롤 바 (64) 내의 슬라이더 (62)의 크기 및 위치는 도큐먼트 (61)에 관련된 현재 뷰어블 페이지의 크기 및 위치에 부합한다. 현재 뷰어블 페이지는 윈도우 (60) 내의 뷰어블 윈도우 영역 내에 포함된다.
뷰어블 오브젝트 (61)이 너무 많은 페이지들을 포함하고 있어 동시에 볼 수 없으므로, 유저는 마우스 커서 (63)을 스크롤 바 (64)의 상방향 화살표 섹션(up-arrow section) (69)에 위치시키거나 또는 스크롤 바 (64)의 하방향 화살표 섹션(down-arrow section) (66)에 위치시켜 도큐먼트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적절히 스크롤하기 위해 포인팅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를 클릭(click)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스크롤링함으로써 뷰어블 오브젝트 (61)의 임의의 원하는 부분을 볼(viewing) 수 있다. 스크롤링은 책의 페이지들을 넘긴(flipping)다기보다는 롤(rolled)된(즉, 스크롤(scrolled)된) 도큐먼트를 읽는다는 전자적인 개념이다. 화살표 (68) 및 (67)은 GUI 유저가 도큐먼트 (61)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스크롤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스크롤 바 (64)는 스크롤할 수 있는 영역에 연관된 GUI 윈도우 콤포넌트인데, 이는 유저에게 이용할 수 있는 정보가 더 있다는 것을 표시해 주거나 또는 특정 방향으로 정보가 더 추가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여 상기 정보가 뷰(view) 영역 내로 스크롤될 수 있게 해준다.
도 3에서, GUI 윈도우 (60)은 도큐먼트 (61) 내의 페이지들의 수에 따라서 스크롤 바 (64) 내의 슬라이더 (62)의 크기를 조절(size)한다. 슬라이더 (62)의 길이는 도큐먼트 (61)의 여러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스크롤 바 (64)의 길이에 비하면 작다. 마찬가지로, GUI는 스크롤 바 (64) 내의 슬라이더 (62)를 뷰어블 도큐먼트의 뷰어블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위치시킨다. 예를 들어, GUI는 유저가 도큐먼트 (61)의 제 1 페이지를 뷰잉(viewing)할 때는 스크롤 바 (64)의 최상단에 슬라이더 (62)를 위치시키고, 유저가 도큐먼트 (61)의 마지막 페이지를 뷰잉할 때는 스크롤 바 (64)의 최하단에 슬라이더를 위치시킨다. 스크롤 바 (64) 상의 슬라이더 (62)는 최소 크기를 가지도록 정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확장 아이콘(amplification icon) (75)를 가진 GUI 윈도우 (60)을 도시하고 있다. 뷰어블 오브젝트인 도큐먼트 (71)은 영문자 리스트 (77)을 포함하고 있다. 슬라이더 (62)는 슬라이더 (62)가 도큐먼트 (71)의 영문자 리스트 (77) 내의 MMM 단어의 위치에 일치하는 스크롤 바 (64) 내에 위치한다. 유저가 MBB와 같은 또 다른 단어를 찾기를 원하는 경우, 슬라이더 (62)와 같은 통상적인 슬라이더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슬라이더 (62)의 번거로운 속성 때문에 유저가 원하는 단어 MBB를 거슬러 슬라이드(slide)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저는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확장(amplify)" 아이콘 (75)로 표시된 확장 버튼을 클릭할 수 있다. "확장(amplify)" 아이콘 (75)를 클릭하면, 제 2 스크롤 바(secondary scroll bar)(도 4에는 도시되지 않음) (79)가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GUI 윈도우 (60) 및 제 2 스크롤 바 (79)를 도시하고 있다. 제 2 스크롤 바 (79)는 상방향 화살표 섹션 (81), 하방향 화살표 섹션 (83), 및 슬라이더 (85)를 포함한다. 따라서, GUI 윈도우 (60)의 도면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보다 한순간 이후를 나타낸다. "확장(amplify)" 아이콘 (75)를 클릭하면, 제 2 스크롤 바(secondary scroll bar) (79)가 제공된다. 제 2 스크롤 바 (79)는 윈도우 (60) 내에 위치하며, 영문자 리스트 (77)의 단어 LAA부터 단어 NAA를 커버한다. 오리지널 또는 제 1 스크롤 바(original or primary scroll bar)인 스크롤 바 (64)는 이제, 새로운 제 2 스크롤 바 (79)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점선 (89) 및 (91)을 포함한다. 제 2 스크롤 바 (79)가 도큐먼트 (71)의 영문자 리스트 (77)의 너무 큰 원하는 영역을 계속 커버하는 경우, "확장" 아이콘을 또 다시 클릭하면(즉, 마우스 버튼의 클릭) 더욱 세분된 제 3 스크롤 바가 생성되고 스크롤 바를 "n"번 클릭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3 또는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윈도우 (60) 내에 위치한 도 5에 수평 스크롤 바 (121)이 도시되어 있다. 스크롤 바 (121)은 슬라이더 (120)을 포함하고 있다. 스크롤 바 (121)에 대한 추가적인 전용 "확장(amplify)" 아이콘(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음)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확장" 아이콘은 수직 방향이 아니라 수평 방향이긴 하지만, 유저로 하여금 스크롤 바 (64)에 있어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큐먼트 (71)의 특정 영역에 초점을 맞출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 2 스크롤 바 (79)는 GUI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제 1 스크롤 바 (64)와 연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제 1 스크롤 바 (64) 및 제 2 스크롤 바 (79)는 모두 제 1 좌표축에서 동작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 1 스크롤 바 (64) 및 제 2 스크롤 바 (79)는 수직 좌표축을 따라서 특정하게 동작한다(즉, 뷰어블 오브젝트를 상방향으로 스크롤하거나 또는 하방향으로 스크롤함). 제 1 스크롤 바 (64)는 특정 세분성을 가진다. 따라서, 제 2 스크롤 바 (79)의 활성화에 응답하여 제 2 스크롤 바 (79)는 도큐먼트 (71)과 같은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할 때 제 1 스크롤 바 (64)의 특정 세분성보다 더 정교한 세분성으로 세분성을 증가시킨다.
제 2 스크롤 바 (79)와 같은 제 2 스크롤 바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옵션(option)들이 이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옵션들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집중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시스템 및 방법에 따라서 사용될 수 있는 제 2 스크롤 바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다수의 다른 옵션들이 고안될 수 있다. "확장" 아이콘 (75)와 같은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제 2 스크롤 바 (79)와 같은 새로운 제 2 스크롤 바가 생성되면, 마우스 포인터 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선행하는 스크롤 바를 "클릭"하면 제 2 스크롤 바를 닫을(close)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클로즈(close)"라고 명명된 추가적인 아이콘은 또한 "확장" 아이콘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윈도우 (60) 내의 다른 적당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마우스 포인터 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클로즈" 아이콘을 "클릭"하면, 상기 스크롤 바들의 다수의 층(multiple layer) 내의 선행하는 스크롤 바 또는 제 2 스크롤 바를 역시 닫을(close) 수 있다. 마우스 클릭의 결과로서 제 2 스크롤 바가 생성된 경우, 제 2 스크롤 바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또 다른 옵션은 상기 스크롤 바들의 다수의 계층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최종 제 2 스크롤 바 상의 슬라이더가 "드롭(droped)"될 때 모든 제 2 스크롤 바를 제거하는 것이다. 즉, 유저가 도큐먼트의 원하는 영역을 스크롤하였으며, 슬라이더를 제 2 스크롤 바의 최하부(bottom)로 이동시켰으면, 유저가 제 2 스크롤 바를 사용하는 것을 종료하였으므로 제 2 스크롤 바는 사라질 것이다.
앞서 설명한 것들에 추가하여, 제 2 스크롤 바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추가적인 옵션은 유저가 제 2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의 드래깅(dragging)을 중지할 때 디스플레이로부터 제 2 스크롤 바를 제거하기 위한 옵션을 포함한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유저가 상기 "제 2" 슬라이더의 드래깅을 중지하는 즉시 제 2 스크롤 바는 뷰(view)로부터 사라진다. 그러한 옵션들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을 뿐이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필요한 한정 사항이 아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는 기술되지 않지만 제 2 스크롤 바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다른 옵션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오리지널 스크롤 바 (64)는 유저로 하여금 윈도우 (60) 내에 포함된 전체 도큐먼트 (71)을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한다. 딜리미터 마크 (89) 및 (91)은 제 2 스크롤 바 (79)에 의해 커버되는 도큐먼트 (71)의 범위를 나타낸다. 딜리미터 마크 (89) 및 (91)은 도큐먼트 (71)의 탐색 가능한 범위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유저가 제 2 스크롤 바 (79) 상의 상방향 화살표 (81)를 개시시키면, 유저는 최대 하방 범위에서 커서 (63)의 위치로부터 5% 하방에 위치하는 도큐먼트 (79)의 영역으로 스크롤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스크롤할 수 있는 도큐먼트 (79)의 총 영역은 스크롤 바 (64)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의 10%이며, 슬라이더 (62)에 해당하는 도큐먼트 (79)와 관련되는 영역 주위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10% 영역은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커서 포인터 (63)을 점선 (89) 및 (91) 상에 위치시킨 후, 점선들 (89) 및 (91)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여 상기 선택된 점선을 슬라이더 (62)로부터 멀어지도록 드래깅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10%의 디폴트 범위(default range)는 점선들이 스크롤 바 (64)를 통하여 드래그(dragged)되는 방향(상 방향 또는 하 방향)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스크롤 바 확장 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 (100)이다. 블록 (102)에서, GUI와 같은 인터페이스가 메모리로부터 컴퓨터 시스템으로 처음으로 로드된다. 블록 (104)에서, 유저가 GUI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에서 언급한 "확장" 아이콘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확장" 아이콘은 유저가 제 2 스크롤 바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블록 (106)에서,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제 2 스크롤 바가 도 5의 윈도우 (60)과 같은 윈도우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제 2 스크롤 바는 윈도우 내에 위치하며, 오리지널 스크롤 바 옆에 위치한다. 유저 입력은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를 사용하여 "확장" 아이콘을 "클릭"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 2 스크롤 바는 또한 오리지널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는 오리지널 슬라이더를 더블 클릭(double click)하는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개시되고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반드시 필요한 제한 사항은 아니다. 블록 (110)에서는, 블록 (10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이미 디스플레이된 제 2 스크롤 바에 추가하여 새로운 스크롤 바를 선택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예(yes)라는 응답이 있으면, 블록 (106)에서 기술된 동작들이 반복된다. 아니오(no)라는 응답이 있으면, 블록 (112)에 기술된 바와 같이 유저는 상기에서 기술한 제 2 스크롤 바로부터 복귀하기 위한 옵션들 중의 하나에 따라서 제 2 스크롤 바로부터 복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스크롤 바 확장 시스템 (120)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제어 프로그램 (122)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어 프로그램에는 스크롤 메카니즘 (130), 딜리미터 (126), 아이콘 메카니즘 (128), 및 디스플레이 메카니즘 (124)가 연결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시스템은 도 6에 도시된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시스템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메모리 (50)과 같은 컴퓨터 메모리 내에 위치하는 다수의 메카니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CPU (31)과 같은 컴퓨터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된다. 제 2 스크롤 바를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GUI의 윈도우 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도큐먼트(예를 들어, 워드 프로세싱 도큐먼트(word-processing document), 스프레드쉬트, 그래픽 도큐먼트 등)와 같은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데 있어서 세분성(increased granularity)을 향상시킨다.
도 7은 스크롤 바 확장 시스템 (120)의 대표적인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요소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프로그램 (51) 내에 위치하고 있다. 아이콘 메카니즘 (128)은 유저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제 2 스크롤 바와 같은 향상된 세분성 스크롤링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아이콘을 GUI 내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롤 바 확장 시스템 (120)의 하나의 요소이다. 디스플레이 메카니즘 (124)는 유저 아이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윈도우 내에 제 2 스크롤 바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크롤 바 확장 시스템 (120)의 하나의 요소인데, 여기서 제 2 스크롤 바는 유저로 하여금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도큐먼트와 같은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한다.
딜리미터 (126)은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딜리미터 마크를 제공하기 위한 스크롤 바 확장 시스템 (120)의 하나의 요소인데, 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역시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오리지널 또는 제 1 스크롤 바 내에 디스플레이된다. 스크롤 메카니즘 (130)은 제 2 스크롤 바 내의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유저로 하여금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롤 바 확장 시스템 (120)의 하나의 요소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이콘 메카니즘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 (140)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아이콘 메카니즘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아이콘 메카니즘은 아이콘이 유저의 선택에 응답하여 향상된 세분성 스크롤링 메카니즘을 제공하는 GUI 내에 위치하는 아이콘을 제어한다. 블록 (142)에서, 버튼이 눌러질 때에 GUI 이벤트가 트리거(trigger)된다. GUI의 내용(context) 내의 이벤트는 타스크(task)에 대한 의미(significance)의 발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키보드 데이터-엔트리 키(data entry key) 또는 포인팅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유저 입력은 스크롤링, 특정 파일의 저장 등과 같은 이벤트들을 트리거할 수 있다.
블록 (144)에서, 버튼-누름(button-pressing)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면, 블록 (146)에서 확장 이벤트가 타겟 스크롤 바(target scroll bar)로 보내진다. 확장 이벤트들이 이전에 발생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면, 상기 타겟 스크롤 바는 GUI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오리지널 스크롤 바와 동등하다. 블록 (144)에서, 버튼-누름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결정이 이루어지면, 블록 (148)에서 "갱신 타겟(update target)" 스크롤 바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러한 이벤트가 발생하였다고 한다면, 블록 (150)에서 타겟 스크롤 바가 현재 스크롤 바(즉, 오리지널 또는 제 2 스크롤 바)와 동등하게 설정된다. "갱신 타겟(update target)"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블록 (152)에서 GUI는 계속하여 정상적인 처리를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160)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아이콘 메카니즘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은 유저에 의한 아이콘 메카니즘의 선택에 응답하여 GUI 내에 제 2 스크롤 바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여기서 제 2 스크롤 바는 유저로 하여금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도록 한다. 블록 (162)에서, GUI 이벤트가 트리거(trigger)된다. 블록 (164)에서는, 블록 (162)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수행된 이벤트가 확장 이벤트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트리거된 이벤트가 확장 이벤트이면, 블록 (166)에서 제 2 스크롤 바가 생성되어 오리지널 스크롤 바 옆에 디스플레이된다.
블록 (168)에서, 갱신 타겟 이벤트가 아이콘 메카니즘으로 보내진다. 블록 (170)에서, 제 2 스크롤 바에 의해 커버되는 뷰어블 오브젝트 또는 도큐먼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가 계산된다. 다음으로, 블록 (172)에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범위 이벤트가 새롭게 생성된 스크롤 바의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으로 보내진다. 다음으로, 블록 (174)에서 앞서 기술한 딜리미터는 오리지널 또는 앞서 디스플레이된 스크롤 바 상에 범위 마크(range marks)를 드로잉(draw)하라는 명령어를 받는다. 상기 범위 마크(즉, 딜리미터 마크)는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를 나타낸다. 그 후, 상기 프로세스가 블록 (174)를 처리하고 종료하거나 다시 시작할 수 있다.
블록 (1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은 GUI 이벤트가 발생되기를 기다린다. 도 9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GUI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진행하지 않는다. GUI 이벤트가 발생될 때, 블록 (178)에서 이동 이벤트(movement event)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에 대한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동 이벤트는 GUI 인터페이스 이벤트인데, 그 안에서 슬라이더 또는 딜리미터 마크와 같은 뷰어블 오브젝트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 또는 오브젝트가 GUI 인터페이스 내의 다른 위치로 이동된다.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면, 블록 (180)에서 범위 마크가 이동되었는지를 결정하는 테스트가 수행된다. 상기 테스트의 결과 범위 마크(range mark)가 이동되었다고 결정되면, 블록 (176)에서 딜리미터는 범위 마크의 이동에 따라서 제 2 스크롤 바의 범위를 조정하도록 지시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점선 (89) 및 (91)이 범위 마크이다. 점선 (89) 및 (91)을 이동시키면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와는 반대로, 범위 마크가 이동되지 않았다는 결정이 이루어지면, 블록 (182)에서 슬라이더가 이동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슬라이더가 이동되었으면, 블록 (184)에서 스크롤 메카니즘은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도록 지시된다.
블록 (178)에서, 이동 이벤트가 발생되지 않았다는 결정이 이루어지면, 블록 (188)에서 "범위 조정(adjust range)"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범위 조정" 이벤트는 GUI 이벤트인데, 그 안에서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가 조정된다. 예를 들어, 제 2 스크롤 바의 탐색 가능한 범위가 오리지널 또는 앞서 디스플레이된 스크롤 바에 의해 커버되는 윈도우 영역의 10%라고 한다면, 상기 범위는 유저가 원하는 바에 따라서 10% 이상 또는 10% 이하로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 (188)에서 "범위 조정" 이벤트가 발생하였다는 결정이 이루어지면, 블록 (190)에서 범위가 조정된다. 다음으로, 블록 (192)에서 제 2 스크롤 바가 새롭게 조정된 범위에 따라서 다시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범위 조정"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았다는 결정이 이루어지면, 블록 (186)에서 정상 스크롤 바 디스플레이 처리 동작(normal scroll bar display processing operation)이 발생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크롤 메카니즘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 (200)이다. 상기 스크롤 메카니즘은 제 2 스크롤 바 내의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하는 도 7에 도시된 시스템의 하나의 요소이다. 블록 (202)에서, 그 안에서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스크롤 바가 그 안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상기 스크롤 바와 관련된 제 2 스크롤 바를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그 안에서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스크롤 바가 그 안에서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상기 스크롤 바와 관련된 제 2 스크롤 바를 가지고 있다고 결정되면, 블록 (204)에서 내부 이동(internal movement)이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내부 이동 이벤트는 그 안에서 스크롤 메카니즘("스크롤러(scroller)"라고도함)이 유저 입력 없이도 GUI에 의해 자동적으로 이동되는 하나의 이벤트이다. 환언하면, 유저가 제 2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를 드래그(drag)하면, 오리지널 또는 앞서 디스플레이된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가 전체 뷰어블 오브젝트 내의 이동에 해당하는 양만큼 드래그된다. 내부 이동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따라서, 제 2 스크롤 바가 활성 상태(active)인 동안은 유저에게 오리지널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는 오리지널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내부 이동이 발생되었다고 결정되면, 블록 (206)에서 오리지널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에 대한 조정된 슬라이더 위치가 계산된다. 상기 조정된 슬라이더 위치는 전체 뷰어블 오브젝트에 관련된 제 2 스크롤 바 슬라이더의 상대적인 위치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블록 (208)에서 오리지널 또는 앞서 디스플레이된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는 슬라이더가 계산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블록 (202)에서, 그 안에서 슬라이더가 이동되거나 드래그되는 스크롤 바가 스크롤 바와 관련된 제 2 스크롤 바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결정되면, 블록 (210)에서는 그 안에서 슬라이더가 이동되거나 드래그되는 스크롤 바가 그 스크롤 바와 관련된 오리지널 스크롤 바를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추가적인 테스트가 수행된다.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블록 (212)에서 내부 이동 이벤트가 트리거되어 오리지널 스크롤 바로 보내진다. 가지고 있지 않다고 한다면, 블록 (214)(즉, 블록 (212) 동작 완료 다음)에서 제 2 스크롤 바 내의 슬라이더 위치가 갱신된다. 다음으로, 블록 (216)에서 뷰어블 오브젝트 또는 도큐먼트가 갱신된 슬라이더 위치에 해당하는 양만큼 스크롤된다. 그 후, 프로세스는 종료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딜리미터 요소(delimeter component)를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딜리미터는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를 나타내는 딜리미터 마크를 제공한다. 플로우 다이어그램 (220)은 도 7에 도시된 딜리미터의 "범위 드로잉(draw range)"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도시하고 있다. 블록 (234)에서, 현재 슬라이더 위치가 각각의 방향으로 5% 압축된다. 블록 (236)에서, 오리지널 스크롤 바의 시작 또는 끝이 초과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오리지널 스크롤 바의 시작 또는 끝이 초과되지 않았다고 결정되면, 블록 (238)에서 앞서 디스플레이된 스크롤 바인 오리지널 스크롤 바 내에 딜리미터 마크가 드로잉(draw)된다. 그 후, 블록 (244)에 도시된 동작이 실행된다. 오리지널 스크롤 바의 시작 또는 끝이 초과되었다고 결정되면, 블록 (240)에서 딜리미터 마크가 오리지널 스크롤 바의 10% 범위에 해당하도록 조정된다.
또한, 블록 (240)에서 제 2 스크롤 바가 조정되어, 오리지널 또는 앞서 디스플레이된 스크롤 바 내의 오리지널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라서 제 2 스크롤 바의 시작 또는 끝 영역을 향하여 제 2 스크롤 바를 사용하는 탐색(search)이 시작된다. 예를 들어, 오리지널 슬라이더가 제 2 스크롤 바의 상위 부분(upper portion)(즉, 시작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 내의 오리지널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제 2 스크롤 바는 제 2 스크롤 바를 사용하는 탐색이 제 2 스크롤 바의 시작 영역 내에서 시작하도록 조정될 것이다. 또한, 오리지널 슬라이더가 제 2 스크롤 바의 하위 부분(lower portion)(즉, 끝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 내의 오리지널 스크롤 바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제 2 스크롤 바는 제 2 스크롤 바를 사용하는 탐색이 제 2 스크롤 바의 끝 영역 내에서 시작하도록 조정될 것이다. 그 후, 블록 (242)에서 딜리미터 마크가 드로잉(draw)된다. 블록 (244)에서 딜리미터 마커(delimeter markers)의 현재 위치가 기록된다. 그 후, 딜리미터의 "범위 드로잉" 기능은 종료한다.
플로우 다이어그램 (224)는 딜리미터의 "범위 드로잉" 기능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단계들을 도시하고 있다. 블록 (226)에서는, 그 안에서 범위 마크들이 서로 오버랩(overlap)되는 딜리미터에 대한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수행된다. 범위 마크들이 서로 오버랩(overlap)되었다고 결정되면, 블록 (228)에서 범위 또는 딜리미터 마크가 새로운 위치에 드로잉(draw)된다. 다음으로, 블록 (230)에서 제 2 스크롤 바에 대한 새로운 범위가 계산된다. 그 후, 블록 (232)에서 조정된 범위 이벤트가 제 2 스크롤 바로 보내진다. 그 후, 딜리미터의 "범위 드로잉" 기능은 종료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실시예들 및 예시들은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제적인 적용을 최선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었으며, 개시된 내용에 의해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제시된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예시들이 예시적인 목적만을 위해 제시되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한 내용은 본 발명을 개시된 내용 그대로만 한정하려고 의도한 것은 아니다. 다수의 변경 및 개량들이 특허청구범위의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에 의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GUI 환경에서 슬라이더의 이동을 조절하여 원하는 페이지를 용이하게 찾아갈 수 있다.

Claims (22)

  1.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며 특정된 세분성(specified granularity)을 가지는 제 1 스크롤 바(primary scroll bar)와 연관되어 사용되는 제 2 스크롤 바(secondary scroll bar)―여기서 제 2 스크롤 바의 활성화(activation)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제 2 스크롤 바는 상기 특정된 세분성보다 더 정교(fine)한 세분성을 갖도록 세분성이 향상됨―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a) 인터페이스 내에 위치하는 아이콘(icon)―여기서 아이콘은 유저가 아이콘 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세분성이 향상된 스크롤링 메카니즘을 제공 함―,
    b) 유저의 아이콘 선택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내에 제 2 스크롤 바를 디스 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여기서 제 2 스크롤 바는 유저가 뷰어 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게함―,
    c)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searchable range)를 나타내는 딜리미터 마크(delimiter marks)를 제공하는 딜리미터 ―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 1 스크롤 바 내 에 디스플레이됨―, 및
    d) 제 2 스크롤 바 내의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 된 영역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메카니즘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뷰어블 오브젝트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딜리미터가 적어도 두 개의 딜리미터 마크―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의 경계선에 해당함―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뷰어블 오브젝트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뷰어블 오브젝트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5.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 1 좌표축에서 스크롤하며 제 1 스크롤 바와 연관되어 사용되는 제 2 스크롤 바―여기서 제 1 스크롤 바 역시 제 1 좌표축에서 스크롤하며, 제 1 및 제 2 스크롤 바는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며, 제 1 스크롤 바는 특정된 세분성을 가지고 제 2 스크롤 바는 제 2 스크롤 바의 활성화(activation)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상기 특정된 세분성보다 더 정교(fine)한 세분성을 갖도록 세분성이 향상됨―를 포함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a) 인터페이스 내에 위치하는 아이콘(icon)―여기서 아이콘은 유저의 아이콘 선택에 응답하여 향상된 세분성 스크롤링 메카니즘을 제공함―,
    b) 유저의 아이콘 선택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내에 제 2 스크롤 바를 디스 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여기서 제 2 스크롤 바는 유저가 뷰 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게 함―,
    c)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searchable range)를 나타내는 딜리미터 마크(delimiter marks)를 제공하는 딜리미터 ―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 1 스크롤 바 내 에 디스플레이됨―, 및
    d) 제 2 스크롤 바 내의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 된 영역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메카니즘을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뷰어블 오브젝트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딜리미터가 적어도 두 개의 딜리미터 마크―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의 경계선에 해당함―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뷰어블 오브젝트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가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시스템에서 뷰어블 오브젝트에 사용하기 위한 장치.
  9.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a)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며 특정된 세분성(granularity)을 가지는 제 1 스크롤 바(primary scroll bar)와 연관되어 사용되는 제 2 스크롤 바 (secondary scroll bar)―여기서 제 2 스크롤 바의 활성화(activation)에 응 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제 2 스크롤 바는 상기 특정 된 세분성보다 더 정교(fine)한 세분성을 갖도록 세분성이 향상됨―, 및
    b) 제 2 스크롤 바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 포함 매체(signal-bearing media)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
  10. 제 9항에 있어서,
    a) 인터페이스 내에 위치하는 아이콘(icon)―여기서 아이콘은 유저가 아이콘 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세분성이 향상된 스크롤링 메카니즘을 제공 함―,
    b) 유저의 아이콘 선택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내에 제 2 스크롤 바를 디스 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여기서 제 2 스크롤 바는 유저가 뷰 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게 함―,
    c)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searchable range)를 나타내는 딜리미터 마크(delimiter marks)를 제공하는 딜리미터 ―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 1 스크롤 바 내 에 디스플레이됨―,
    d) 제 2 스크롤 바 내의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 된 영역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메카니즘, 및
    e) 상기 아이콘, 상기 디스플레이 메카니즘, 상기 딜리미터, 및 상기 스크롤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있는 신호 포함 매체를 더 포함하는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딜리미터가 적어도 두 개의 딜리미터 마크―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의 경계선에 해당함―를 더 포함하는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포함 매체가 기록 가능한 매체를 더 포함하는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포함 매체가 전송 매체를 더 포함하는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
  14.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a) 제 1 좌표축에서 스크롤하며 제 1 스크롤 바와 연관되어 사용되는 제 2 스크롤 바―여기서 제 1 스크롤 바 역시 제 1 좌표축에서 스크롤하며, 제 1 및 제 2 스크롤 바는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며, 제 1 스크롤 바는 특정된 세분성을 가지고 제 2 스크롤 바는 제 2 스크롤 바의 활성 화(activation)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상기 특정 된 세분성보다 더 정교(fine)한 세분성을 갖도록 세분성이 향상됨―, 및
    b) 제 2 스크롤 바를 포함하고 있는 신호 포함 매체(signal-bearing media)
    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품.
  15. 제 14항에 있어서,
    a) 인터페이스 내에 위치하는 아이콘(icon)―여기서 아이콘은 유저가 아이콘 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세분성이 향상된 스크롤링 메카니즘을 제공 함―,
    b) 유저의 아이콘 선택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내에 제 2 스크롤 바를 디스 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메카니즘―여기서 제 2 스크롤 바는 유저가 뷰 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게 함―,
    c)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searchable range)를 나타내는 딜리미터 마크(delimiter marks)를 제공하는 딜리미터 ―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 1 스크롤 바 내 에 디스플레이됨―,
    d) 제 2 스크롤 바 내의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 된 영역을 스크롤하는 스크롤 메카니즘, 및
    e) 상기 아이콘, 상기 디스플레이 메카니즘, 상기 딜리미터, 및 상기 스크롤 메카니즘을 포함하고 있는 신호 포함 매체
    를 더 포함하는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딜리미터가 적어도 두 개의 딜리미터 마크―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의 경계선에 해당함―를 더 포함하는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포함 매체가 기록 가능한 매체를 더 포함하는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포함 매체가 전송 매체를 더 포함하는 뷰어블 오브젝트(viewable objects)에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 내의 컴퓨터 메모리에 위치하는 프로그램 제품.
  19. 제 1 스크롤 바를 가진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세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인터페이스 내에 아이콘(icon)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여기서 아이콘은 유저가 아이콘을 선택하는 것에 응답하여 세분성이 향상된 스크롤링 메 카니즘을 제공함―,
    b) 유저의 아이콘 선택에 응답하여 인터페이스 내에 제 2 스크롤 바를 디스 플레이하는 단계―여기서 제 2 스크롤 바는 유저가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된 영역을 스크롤할 수 있게 함―,
    c)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 색 가능한 범위(searchable range)를 나타내는 딜리미터 마크(delimiter marks)를 제 1 스크롤 바 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d) 제 2 스크롤 바 내의 유저 입력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의 좁게 정의 된 영역을 스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딜리미터가 적어도 두 개의 딜리미터 마크―여기서 딜리미터 마크는 제 2 스크롤 바에 의한 뷰어블 오브젝트의 탐색 가능한 범위의 경계선에 해당함―를 더 포함하는 제 1 스크롤 바를 가진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세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며 특정된 세분성(granularity)을 가지는 제 1 스크롤 바(primary scroll bar)와 연관되어 사용되는 제 2 스크롤 바(secondary scroll bar)―여기서 제 2 스크롤 바의 활성화(activation)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제 2 스크롤 바는 상기 특정된 세분성보다 더 정교(fine)한 세분성을 갖도록 세분성이 향상됨―를 더 포함하는 제 1 스크롤 바를 가진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세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제 1 좌표축에서 스크롤하며 제 1 스크롤 바와 연관되어 사용되는 제 2 스크롤 바―여기서 제 1 스크롤 바 역시 제 1 좌표축에서 스크롤하며, 제 1 및 제 2 스크롤 바는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며, 제 1 스크롤 바는 특정된 세분성을 가지고 제 2 스크롤 바는 제 2 스크롤 바의 활성화(activation)에 응답하여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상기 특정된 세분성보다 더 정교(fine)한 세분성을 갖도록 세분성이 향상됨―를 더 포함하는 제 1 스크롤 바를 가진 인터페이스 내에 디스플레이되는 뷰어블 오브젝트를 스크롤링하는 때 향상된 세분성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9970065338A 1997-03-19 1997-12-02 스크롤 바 확장 장치 및 방법 KR100267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820,798 1997-03-19
US8/820,798 1997-03-19
US08/820,798 US5874961A (en) 1997-03-19 1997-03-19 Scroll bar ampl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502A KR19980079502A (ko) 1998-11-25
KR100267489B1 true KR100267489B1 (ko) 2000-10-16

Family

ID=25231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338A KR100267489B1 (ko) 1997-03-19 1997-12-02 스크롤 바 확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874961A (ko)
KR (1) KR100267489B1 (ko)
TW (1) TW3440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9176A (en) * 1997-04-04 1999-1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to provide a single scrolling control for a multi-window interface
US5877766A (en) * 1997-08-15 1999-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node user interface component and method thereof for use in accessing a plurality of linked records
US6057840A (en) * 1998-03-27 2000-05-02 Sony Corporation Of Japan Computer-implemented user interface having semi-transparent scroll bar tool for increased display screen usage
US6191790B1 (en) 1998-04-01 2001-02-20 Microsoft Corporation Inheritable property shading system for three-dimensional rendering of user interface controls
US6249284B1 (en) 1998-04-01 2001-06-19 Microsoft Corporation Directional navigation system in layout managers
US6169546B1 (en) 1998-04-01 2001-01-02 Microsoft Corporation Global viewer scrolling system
GB2341069A (en) * 1998-08-22 2000-03-01 Ibm Slider bar with added information content
US7469381B2 (en) 2007-01-07 2008-12-23 Apple Inc. List scrolling and document translation, scaling, and rotation on a touch-screen display
US6204846B1 (en) * 1999-02-16 2001-03-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et user interface control for use in accessing information in a computer
SE514282C2 (sv) * 1999-04-22 2001-02-05 Nokia Multimedia Terminals Oy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rullbar krysspunktnavigering i ett användargränssnitt
US6339438B1 (en) 1999-07-27 2002-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roll bar with integrated advertisement
US6337694B1 (en) 1999-09-07 2002-01-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speed scrolling with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6526435B1 (en) * 1999-10-04 2003-02-25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ownloading selected rows within a listing using HyperText Transport Protocol (HTTP)
US6803930B1 (en) * 1999-12-16 2004-10-12 Adobe Systems Incorporated Facilitating content viewing during navigation
US6856326B1 (en) 2000-01-28 2005-02-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mooth scrolling system and method
US6781571B2 (en) 2001-10-04 2004-08-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controlling graphical pointer movement based upon web page content
EP1510911A3 (en) * 2003-08-28 2006-03-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US20050114791A1 (en) * 2003-11-20 200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ueing mechanism that indicates a display is able to be scrolled
US7472356B2 (en) * 2004-02-11 2008-12-30 Microsoft Corporation Collapsible container with semi-collapsed view
US7328411B2 (en) * 2004-03-19 2008-02-05 Lexmark International, Inc. Scrollbar enhancement for browsing data
US8621385B2 (en) * 2004-05-21 2013-12-31 Sap A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data
EP1805578A1 (en) * 2004-09-15 2007-07-11 Nokia Corporation Handling and scrolling of content on screen
US8127245B2 (en) * 2005-03-30 2012-02-28 Sap Ag Multi-dimensional systems and controls
US7934169B2 (en) * 2006-01-25 2011-04-26 Nokia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 electronic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at uses sliders for user input
JP4816106B2 (ja) * 2006-01-27 2011-11-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表示装置、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プログラム、音楽再生装置及び音楽再生プログラム
EP1883020B1 (en) * 2006-07-28 2013-05-22 Dassault Systèmes Method and system for navigating in a database of a computer system
US8769430B2 (en) * 2007-12-05 2014-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column formatted page scrolling
KR101503714B1 (ko) 2008-02-05 2015-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101476088B1 (ko) 2008-12-18 2014-12-2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슬라이드바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및 슬라이드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EP2246756B1 (de) * 2009-04-30 2019-03-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Bediengerät zum Bedienen einer sicherheitsgerichteten industriellen Automatisierungskomponente
US8418077B2 (en) * 2009-08-18 2013-04-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e content navigation using binary search
KR20110040352A (ko) * 2009-10-14 2011-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스크롤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디바이스
US9612716B2 (en) * 2009-11-04 2017-04-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d slider bar system
US20110161892A1 (en) * 2009-12-29 2011-06-30 Motorola-Mobility, Inc. Display Interface and Method for Presenting Visual Feedback of a User Interaction
US9417787B2 (en) * 2010-02-12 2016-08-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tortion effects to indicate location in a movable data collection
US20110199318A1 (en) * 2010-02-12 2011-08-18 Microsoft Corporation Multi-layer user interface with flexible parallel movement
US8473860B2 (en) * 2010-02-12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Multi-layer user interface with flexible parallel and orthogonal movement
US9864501B2 (en) * 2010-07-30 2018-01-09 Apaar Tuli Displaying information
US8812977B2 (en) * 2010-08-12 2014-08-19 Salesforce.Com, Inc. Accessing multi-page data using a page index in a scrollbar
US8863039B2 (en) 2011-04-18 2014-10-14 Microsoft Corporation Multi-dimensional boundary effects
US9323440B2 (en) 2011-12-16 2016-04-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croll focus
US8994755B2 (en) * 2011-12-20 2015-03-31 Alcatel Lucent Servers, display devices, scrolling methods and methods of generating heatmaps
JP2013145471A (ja) * 2012-01-13 2013-07-25 Sharp Corp 表示スクロール装置、表示スクロール装置の制御方法、表示スクロール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20140014457A (ko) * 2012-07-24 2014-02-06 (주)휴맥스 상태 바 표시 제어 장치 및 방법
US10691230B2 (en) 2012-12-29 2020-06-23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275117B2 (en) 2012-12-29 2019-04-3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KR102018552B1 (ko) * 2013-02-13 2019-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836204B1 (en) * 2013-03-14 2017-12-05 Visualon, Inc. Scrolling control for media players
JP5689919B2 (ja) * 2013-05-24 2015-03-25 キヤノンアネルバ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可読メモリ媒体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US10001817B2 (en) 2013-09-03 2018-06-1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magnetic properties
KR20180128091A (ko) 2013-09-03 2018-11-30 애플 인크. 자기 특성을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조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503388B2 (en) * 2013-09-03 2019-12-10 Apple Inc. Crown input for a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545657B2 (en) 2013-09-03 2020-01-28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620796B2 (en) 2013-12-19 2020-04-14 Barnes & Noble College Booksellers, Llc Visual thumbnail scrubber for digital content
KR101503710B1 (ko) * 2014-03-24 2015-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WO2015200889A1 (en) 2014-06-27 2015-12-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rotatable input mechanism for navigating calendar application
US20160062571A1 (en) 2014-09-02 2016-03-03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CN113824998A (zh) 2014-09-02 2021-12-21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TWI582641B (zh) 2014-09-02 2017-05-11 蘋果公司 按鈕功能性
US20160086359A1 (en) * 2014-09-19 2016-03-24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 elevation line from a raster image
US9495088B2 (en) * 2014-12-26 2016-11-15 Alpine Electronics, Inc Text entry method with character input slider
US10365807B2 (en) 2015-03-02 2019-07-30 Apple Inc. Control of system zoom magnification using a rotatable input mechanism
CN106896997B (zh) * 2016-06-28 2020-11-10 创新先进技术有限公司 滑动控件控制方法及装置、滑块选择器
JP7039179B2 (ja) * 2017-04-13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DK179896B1 (en) 2018-09-11 2019-08-30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US20220355473A1 (en) * 2021-05-06 2022-11-10 UiPath Inc. Robotic Process Automation (RPA) Comprising Automatic Document Scrolling
CN113448478A (zh) * 2021-06-25 2021-09-28 亿企赢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对滚动条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9391A (en) * 1990-05-14 1994-08-16 Microelectronics And Computer Technology Corporation Computer display unit with attribute enhanced scroll bar
US5196838A (en) * 1990-12-28 1993-03-23 Apple Computer, Inc. Intelligent scrolling
US5371846A (en) * 1991-10-16 1994-12-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on-linear scroll bar
US5526480A (en) * 1992-12-28 1996-06-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ime domain scroll bar for multimedia presentations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5374942A (en) * 1993-02-05 1994-12-20 Gilligan; Federico G. Mouse and method for concurrent cursor position and scrolling control
US5313229A (en) * 1993-02-05 1994-05-17 Gilligan Federico G Mouse and method for concurrent cursor position and scrolling control
US5473344A (en) * 1994-01-06 1995-12-05 Microsoft Corporation 3-D cursor positioning device
US5530455A (en) * 1994-08-10 1996-06-25 Mouse Systems Corporation Roller mouse for implementing scrolling in windows applications
US5633657A (en) * 1994-10-11 1997-05-27 Falcon; Fernando D. Mouse driver arrangement for providing advanced scrolling capabilities to a conventional mouse
US5553225A (en) * 1994-10-25 1996-09-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a zoom function in scroll bar sli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502A (ko) 1998-11-25
US5874961A (en) 1999-02-23
TW344057B (en) 1998-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7489B1 (ko) 스크롤 바 확장 장치 및 방법
US117145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for changing layout of display objects
JP6968249B2 (ja) 触知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
KR100292303B1 (ko) 스크롤바내에관성슬라이더를제공하는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방법및시스템
US6014140A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and displaying the position of a cursor contained within a page of a compound document
US6337694B1 (en) Method and system for variable speed scrolling within a data processing system
JP6584638B2 (ja) 文書編集における手書きサポートを提供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RU2407992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й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и способ
US6714221B1 (en) Depicting and setting scroll amount
US6031531A (en) Method and system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cursor object movement for physically challenged computer users
JP3975472B2 (ja) デジタルマップの拡大縮小表示方法、デジタルマップの拡大縮小表示装置、及びデジタルマップの拡大縮小表示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格納媒体
US6335730B1 (en) Computer user interface with non-salience de-emphasis
US7434177B1 (en)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consolidation and access
US58749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crolling by remote control
US8370746B2 (en) Video player with seamless contraction
US8276095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generating and navigating within a workspace of a computer application
EP0403125B1 (en) Zoom mode operations in display apparatus
TW421765B (en) Window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recording media for recording window display control program
US5977952A (en) Method and system for an ambidextrous mouse
US7398477B2 (en) Spiral scrollbar
EP2154603A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120151397A1 (en) Access to an electronic object collection via a plurality of views
US6396487B1 (en) User interface enhancement for windows-based operating systems
US6078323A (en) Method and system for rapidly accessing graphically displayed toolbar icons via toolbar accelerators
US6191785B1 (en)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ally manipulating values associated with graphical elements displayed with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