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423B1 -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device for placing this mechanical connection and process for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 Google Patents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device for placing this mechanical connection and process for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423B1
KR100265423B1 KR1019950003294A KR19950003294A KR100265423B1 KR 100265423 B1 KR100265423 B1 KR 100265423B1 KR 1019950003294 A KR1019950003294 A KR 1019950003294A KR 19950003294 A KR19950003294 A KR 19950003294A KR 100265423 B1 KR100265423 B1 KR 100265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rod
sleeve
mechanical connection
reinforc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31823A (en
Inventor
무슈장-마리삐통
Original Assignee
뛰그뒤알르보르뉴드라뚜루
쏘시에떼아노님덱스트라유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뛰그뒤알르보르뉴드라뚜루, 쏘시에떼아노님덱스트라유롭 filed Critical 뛰그뒤알르보르뉴드라뚜루
Priority to KR101995000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423B1/en
Publication of KR960031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18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423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바아를 위한 기계적 연결, 이와 같은 기계적 연결을 위한 장치, 그리고 보강바아를 위해 기계적 연결을 고정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connection for a reinforcement bar, an apparatus for such a mechanical connection, and a method for fixing a mechanical connection for a reinforcement bar.

본 발명에 따라 보강바아를 위한 기계적 연결이 바아와 부시를 연결시키기 위해:In order for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the reinforcement bar to connect the bar and the bush according to the invention:

- 연결요소를 갖지 않는 바아의 단부가 삽입되는 공동의 원통형 몸체를 갖는 부시(11),A bush 11 having a hollow cylindrical body into which the end of the bar without the connecting element is inserted,

- 부시(11)의 단부에 있는 나사선(8),A thread (8) at the end of the bush (11),

- 끝과 끝을 마주하는 두 바아가 연결될 수 있도록 동축을 갖게 되는 상기 공동의 부시와 나사선,A bush and a thread of said cavity, which have a coaxial connection so that the two ends facing each other can be connected,

- 선형 또는 나사선 인덴트(indent)를 형성하므로써 변형되는 부시의 바깥측 표면,The outer surface of the bush, which is deformed by forming a linear or threaded indent,

- 부시(11)의 공동몸체내로 들어가는 바아의 리브(1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rib 10 of the bar entering into the cavity body of the bush (11).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빌딩구조에서 사용된다.Used in building structures that use concrete.

Description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 그의 설치장치 및 고정방법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rod, its installation device and fixing method

도1은 곡선단부 내부측의 수평막대 및 수직 막대에 부착되고, 본 발명을 따르는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의 도면.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iew of a mechanical connection for a reinforcing rod attached to a horizontal bar and a vertical bar inside a curved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 는 상기 보강막대의 단부에 연결요소가 없을 때,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를 보강막대위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의 도면.Fig. 2 is a view of the device for installing the mechanical connecting portion for the reinforcing rod on the reinforcing rod when there is no connecting element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도3은 변형과정에 의해 형성되는 슬리브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leeve formed by the deformation process.

도4는 도2에서 서로 지그재그형태로 구성된 돌출부대신에 구형볼을 가지는 변형공구에 관한 선택적 실시예의 도면.FIG. 4 is a view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modified tool having spherical balls in place of protrusions zigzag formed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연결부 2, 3 : 보강막대1: connection part 2, 3: reinforcing rod

4 : 수평바닥 5 : 곡선단부4: horizontal bottom 5: curved end

6, 7, 22 : 단부 10 : 리브6, 7, 22: end 10: rib

11 : 슬리브 12 : 오리피스11 sleeve 12 orifice

13 : 경사면 14 : 축13: slope 14: axis

15 : 설치공구 16 : 연장튜브15: installation tool 16: extension tube

17 : 숫나사부분 19 : 몸체17: male part 19: body

21 : 중공피스톤 25 : 볼소켓 관절요소21: hollow piston 25: ball socket joint element

본 발명은 콘크리트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보강막대를 위한 기계식 연결부, 중공구조의 몸체를 가진 슬리브(sleeve) 및 상기 기계식 연결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보강막대들을 위한 기계식 연결부들을 고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connection for a concrete reinforcing ro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cal connection for a concrete reinforcing bar, a sleeve having a hollow structure and a device for install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fixing mechanical connections for reinforcement bars.

본 발명의 적용예를 특히 도시 및 항만 내부의 건물 또는 도로구조물과 같이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건물공사에서 볼 수 있다.Application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und in particular in building construction using concrete, such as buildings or road structures inside cities and ports.

상기 적용분야들에 있어서, 인장하중을 연속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보강막대들을 연결하기 위한 기계식 연결부들을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In these applications it is known to use mechanical connections for connecting the reinforcing rods in order to continuously transmit the tensile load.

제조공장내에서 공업적으로 제조되는 부품들을, 현장에서 이용가능한 다른 보강막대와 연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따르는 기계식 연결부가 현장에서 이용될 수 있다.Mechanical conn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field to connect components manufactured industrially in a manufacturing plant with other reinforcing rods available in the field.

현장에서 이용되는 상기 보강막대들이 직사각형단부 또는 곡선단부를 가질 수 있고, 종래기술로서 공지된 것과 같이, 보강막대들의 외측표면위에 리브(rib) 또는 리지(ridge)들을 가질 수 있으며, 리브들의 치수는 매우 불규칙적이며, 보강막대의 직경에 대해 비례한다. 연결부에 특정강도를 제공하도록 상기 리브들이 설계될 때, 관련구성에 따라, 보강막대의 직경이 크면 리브들의 치수가 커지며, 보강막대의 직경이 작으면, 리브들의 치수가 더욱 작아진다.The reinforcing rods used in the field may have a rectangular end or a curved end and, as is known in the art, may have ribs or ridge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rods, the dimensions of the ribs being Very irregular and proportional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rod. When the ribs are designed to provide a specific strength to the connection, depending on the associated configuration,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rod, the larger the ribs, and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rod, the smaller the dimensions of the ribs.

일반적으로, 상기 리브들이 보강막대의 외측표면위에 예를 들어 나선형으로 배열되고, 또한 규칙적인 이격거리 또는 피치(pitch)를 가지고 배열되며, 상기 이격거리 또는 피치는 보강막대의 직경 및 소요강도에 의존한다.In general, the ribs are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rod, for example in a helical fashion, and also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r pitches, the separation or pitch being dependent on the diameter and the required strength of the reinforcing rod. do.

특수한 환경에서 건물을 개조하거나 확대하기 위하여, 노후건물의 콘크리트덩어리 내부에 박혀진 보강막대들을 또다른 보강막대와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In order to renovate or expand the building under special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embedded in the concrete mass of the old building with another reinforcing bar.

따라서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보강막대들의 구성에 의하면, 용이한 연결을 위한 나사부와 같은 기계식 연결수단이 상기 콘크리트내부의 보강막대에 제공되지 못하고, 나사부를 가지더라도, 예를 들어, 부식 또는 해수에 의해 손상된 나사부가 제공될 뿐이다.Thus, in many case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available reinforcing rods, mechanical connecting means such as threads for easy connection are not provided on the reinforcing rods in the concrete, even if they have threads, for example, corrosion or Only the threads damaged by sea water are provided.

다수의 경우에 있어서, 종래기술을 따르는 보강막대들의 구성에 의하면, 콘크리트내부에 박혀져 있는 보강막대들의 단부들에 적합한 기계식 연결수단이 제공되지 못한다. 제조공장내에서 제조되지 않은 보강막대의 단부들에는 나사부분이 전혀 구성되지 못하고, 따라서 단부들을 마주보게 두개의 보강막대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이 곤란하다.In many cases, the construction of the reinforcing ro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es not provide a mechanical connecting means suitable for the ends of the reinforcing rods embedded in the concrete. A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rods not manufactured in the manufacturing plant, no screw portion is formed,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nect the two reinforcing rods to each other to face the ends.

건설공사동안 보강막대의 단부상에 나사부분이 제공되지 못하며, 제공되더라도 부식에 기인하며, 상기 나사부분은 이용될 수 없다.During construction work no threaded portion is provided on 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even if provided, due to corrosion and the threaded portion cannot be used.

현장에서 발생하는 사고에 기인하여, 예를 들어, 상기 보강막대의 나사구성단부가 돌발적으로 절단되어, 나사부분이 구성되지 못할 수도 있다.Due to an accident occurring in the field, for example, the threaded end of the reinforcing rod may be cut abruptly, so that the threaded portion may not be formed.

제조공장내에서 공업적으로 제조되고, 콘크리트슬래브(concrete slave)로 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하는 일련의 보강막대들이 구성된 바닥과 같은 콘크리트슬래브가 일련의 수직방향보강막대들과 현장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것이 필수적이다. 수평방향의 상기 보강막대들은 직사각형 또는 곡선형으로 구성가능하고, 수직방향 콘크리트요소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수직방향의 콘크리트보강막대들이 상기 수평방향 보강막대의 단부들과 현장에서 연결되어야 한다.It is essential that a concrete slab, such as a floor manufactured industrially in a manufacturing plant and consisting of a series of reinforcing bars protruding horizontally from a concrete slave, be connected to a series of vertical reinforcement bars in the field. to be. The reinforcing ro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configured in a rectangular or curved shape, and the vertical concrete reinforcing bars forming part of the vertical concrete element should be connected in situ with the ends of the horizontal reinforcing rods.

또한 현장에서, 바닥의 수평방향 보강막대들 및 수직방향의 막대들이 서로 매우 근접하게 구성되면, 철강요소들의 구성밀도는 상당히 커져서, 대형공구들을 가지고 상기 수평방향의 보강막대 및 수직방향의 보강막대들에 접근하는 것이 곤란하다.Also in the field, when the horizontal reinforcing rods of the floor and the ro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constructed very close to each other, the density of the steel elements becomes considerably large, so that the horizontal reinforcing rods and the vertical reinforcing rods with the large tools It is difficult to access

현재 예를 들어, 프레쓰(press)에 의해 주름구조가 형성되는 관형의 슬리브(tubular sleeve)를 이용하여, 상기 보강막대들을 연결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외부압력의 발생을 위한 엔벨로핑 죠(enveloping jaw)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강력해야 하기 때문에, 외측에 구성되고 부피가 큰 대형죠를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두개의 보강막대들이 서로 너무 근접하게 구성되면, 현장에서 민첩하게 작업하는 것이 더이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강막대들 및 철강들의 구성밀도가 클 때, 부피가 큰 구성은 문제점이 된다.At present, a method of connecting the reinforcing rods is known, for example, using a tubular sleeve in which a corrugation structure is formed by a press. For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use a large sized jaw configured outside and bulky because the system using an enveloping jaw for the generation of external pressure must be powerful. If the two reinforcing rods are configured too close to each other, it is no longer possible to work quickly in the field, so the bulky configuration becomes a problem when the compositional density of the reinforcing rods and steels is large.

외부압력이 가해질 때, 단부를 마주보게 두개의 보강막대들에 대해 주름구조를 형성하도록 죠가 이용되면, 정확한 작업의 수행여부를 확인 및 시험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그 결과 작업은 작업자에 의존해야 한다.When a jaw is used to form a corrugation structure on two reinforcing rods facing the end when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it is impossible to check and test whether the correct work has been performed and the work must be dependent on the operator. .

공구들에 가해지는 하중의 반작용을 구하기 위해, 장치 및 다이(die)들의 중량은 매우 크다. 하중이 프레임(frame)에 전달되어야 하기 때문에, 펀치(punch), 다이 및 작용하중에 의해, 중량 및 부피가 큰 외부프레임을 이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200톤에 달하는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모든 주름구조형성작업시 안전한 상태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작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In order to counteract the load on the tools, the weight of the device and the dies is very large. Because the load must be transferred to the frame, it is necessary to use a heavy and bulky outer frame by means of punches, dies and working loads. For example, since up to 200 tons of pressure are applied, it is not easy to work quickly and effectively in a safe state during all corrugation forming operation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보강막대의 단부가 나사와 같은 연결수단없이 콘크리트 보강막대를 연결하는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사가 구성되지 못하는 것은 부식에 기인하거나, 건설공사중에 기계식 연결부가 제공되지 못하고 현장에서 상기 기계식 연결부가 돌발적으로 절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mechanical connection for the reinforcing rod, wherein 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connects the concrete reinforcing rod without connecting means such as screws. The failure of the screw is due to corrosion or because the mechanical connection may not be provided during construction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may be accidentally cut at the sit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루기 용이한 경량공구들에 의해 현장에서 신속하게 작업가능한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chanical connection for a reinforcing rod which is quick to work in the field by easy to handle lightweight tools.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치수가 작은 공구를 통해 구성밀도가 매우 높은 보강막대들 즉 서로 매우 근접하게 위치한 보강막대들위에서 정확하게 작동가능한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chanical connection for a reinforcement rod which is precisely operable on reinforcement rods of very high density, ie reinforcement rods located very close to each other, through a tool of small dimensions.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결작업후에, 연결부의 항복강도의 90%에 해당하는 응력을 연결부에 가하여, 시험될 수 있는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chanical connection part for a reinforcing rod which can be tested by applying a stress corresponding to 90% of the yield strength of the connection part after the connection operatio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주름구조의 품질과 관련하여, 보강막대의 단부위에 슬리브를 내측으로 네킹작업하여 제조된 모든 연결부가 신뢰할 수 있도록 기계식 연결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installing a mechanical connection so that all the connections manufactured by necking the sleeve inward on 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the corrugation structure can be reliably.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돌출구조의 보강막대를 가지고 공업적으로 제조된 부재를 현장에서 이용가능한 보강막대와 연결하기 위하여 현장에서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industrial production of a member having a protruding reinforcing rod to be quickly introduced in the field in order to connect the reinforcing rod available in the field.

예를 들어, 수평방향의 모든 슬래브들이 동시에 공업적으로 제조되고, 다음에 예를 들어, 보강막대들의 단부들을 사전에 충돌시켜, 모두 동일 높이로 조정된 수직방향의 보강막대들과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all slab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be manufactured industrially at the same time, and then connected with vertical reinforcement bars, all adjusted to the same height, for example by pre-colliding the ends of the reinforcement bars.

본 발명을 따르는 장치는 다루기 매우 용이하고 현장에서 즉시 이용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very easy to handle and readily available in the field.

작동중인 연결부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방금 수행된 제품을 시험하기 위한 수단이 장치에 제공되므로, 종래기술에 따르면, 죠에 의해 주름구조를 형성하는 기술을 이용할 때, 구성된 연결부의 품질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다.In order to ensure the quality of the connection in operation, the device is provided with means for testing the product which has just been performed, and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using the technique of forming a corrugation structure by a jaw, quality control of the configured connection is impossible. The problem is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처리되는 연결부의 일일작업량이 40개인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일일작업량을 400개로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capable of increasing the daily workload to 400 compared to the prior art, which has a daily workload of 40 connections.

본 발명에 따르면, 콘크리트요소 건설현장에서 이용되고, 직사각형 단부 또는 곡선단부상에 끼워맞춤되며, 외부표면위에 리브들을 가지는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가 보강막대 및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하여,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echanical connection for a reinforcing rod used in a concrete element construction site, fitted on a rectangular end or a curved end, and having ribs on an outer surface, for connecting a reinforcing rod and a sleeve,

- 연결요소가 없는 보강막대의 단부가 삽입되고 원통형의 중공몸체를 가진 슬리브,A sleeve having a cylindrical hollow body with the end inserted of the reinforcing rod without connecting elements,

- 슬리브의 단부에 위치한 숫나사부분으로 구성되고,A male thread located at the end of the sleeve,

- 단부들이 마주보게 배열된 두개의 보강막대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중공몸체 및 숫나사부분이 동심축을 이루며,The hollow body and the male part form a concentric axis, in order to connect two reinforcing rods arranged with their ends facing each other;

- 보강막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네킹작용이 이루어져서, 슬리브의 외측재료가 변형되고,A necking action is made inward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so that the outer material of the sleeve is deformed,

- 보강막대위에 위치한 리브들의 구성재료가 슬리브의 중공몸체내부로 네킹작용이 이루어지며 침투되어 리브의 구성재료가 변형된다.-The material of the ribs located on the reinforcing rod is necked into the hollow body of the sleeve and penetrated to deform the material of the ribs.

제1도를 참고할 때, 콘크리트보강막대(concrete reinforcing rod)용 기계식 연결부(1)가 도시된다. 최근, 구조물을 보강하기 위하여 당해 업자들에게 공지된 상기 보강막대가 현장에서 널리 이용된다. 상기 보강막대(2)를 또다른 보강막대(3)와 연결시키고, 상기 보강막대(3)가 상기 보강막대(2)와 동심축을 이루며, 한쪽단부가 다른 한쪽 단부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막대(2) 및 보강막대(3)사이에서 상기 연결부(1)에 의해 인장하중이 연속적으로 전달된다.Referring to FIG. 1, a mechanical connection 1 for a concrete reinforcing rod is shown. Recently, the reinforcing rod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or reinforcing structures are widely used in the field. The reinforcing rod 2 is connected to another reinforcing rod 3, and the reinforcing rod 3 is concentric with the reinforcing rod 2, and one end is arranged at the other end. Accordingly, the tensile load is continuously transmit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1 between the reinforcing rod 2 and the reinforcing rod 3.

제1도에 한개의 보강막대(3)가 도시될지라도, 상기 보강막대(3)는 예를 들어 수평바닥(4)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도 있고, 사실상 평행하게 배열된 복수개의 보강막대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보강막대(3)는 수평바닥(4)으로 부터 직선을 이루며 돌출가능하고, 제1도에서와 같이 곡선단부(5)를 가질 수 있다.Although one reinforcing rod 3 is shown in FIG. 1, the reinforcing rod 3 may for example form part of the horizontal floor 4,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inforcing rods arranged in parallel. It may be configured. Each reinforcing rod 3 can protrude in a straight line from the horizontal bottom 4 and have a curved end 5 as in FIG.

추가로 상기 구성은 평행하게 배열된 일련의 보강막대(2)들과 일체로 구성되는 수직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보강막대(3)의 단부(6)를 보강막대(2)의 단부(7)에 연결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보강막대(2)의 상기 단부(7)는 연결요소를 가지지 않고 즉, 당해업자에 의해 기계식 연결부가 간단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단부(7)는 숫나사부분 또는 암나사부분을 가지지 않는다.The construction further comprises a vertical portion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eries of reinforcing rods 2 arranged in paralle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end 6 of the reinforcing rod 3 to the end 7 of the reinforcing rod 2. The end 7 of the reinforcing rod 2 does not have a connecting element, ie a mechanical connection is simply formed by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so that the end 7 does not have a male threaded portion or a female threaded portion.

상기 나사부분은 사용현장에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생략 가능하고 또한 부식 및 부주의한 절단작업과 관련하여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The screw portion can be omitted since it can be configured at the site of use and can also be omitted in connection with corrosion and careless cutting.

본 발명을 따르는 방법에 의하여, 기계식 연결부가 보강막대의 단부(7)와 일체로 구성될 때, 본 발명을 따르는 기계식 연결부(1)가 예를 들어 나사체결방법에 의해 보강막대(3)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의 단부에 제공된 숫나사부분(8)이 단부(6)상에 제공된 암나사부분(9)내부에 연결될 수 있다.By means of the meth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en the mechanical connection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d 7 of the reinforcing rod, the mechanical connection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be connected with the reinforcing rod 3, for example by means of a screwing method. Can be. A male screw portion 8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can be connected inside the female screw portion 9 provided on the end 6.

제2도를 참고할 때, 보강막대(2)는 단부(7)를 가지지만 연결요소, 특히 나사부분을 가지지 않는다. 적합한 직경의 상기 보강막대(2)는 외부 표면에 예를 들어,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배열된 리브(rib)(1O)들을 가진다. 상기 리브(10)들은 불규칙적으로 구성되고, 종래기술에서 공지된 것과 같이, 상기 리브들이 실제로 인장응력을 받을 때, 상기 리브들은 보강막대들을 콘크리트내부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리브(10)들의 폭 및 높이가 보강막대의 직경과 적응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2, the reinforcing rod 2 has an end 7 but no connecting element, in particular a threaded portion. The reinforcing rod 2 of suitable diameter has ribs 10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for example in a circular or helical manner. The ribs 10 are irregularly configured and, as is known in the art, when the ribs are actually subjected to tensile stress, the ribs can easily fix the reinforcing bars inside the concrete. The width and height of the ribs 10 are adapted to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rod.

리브들이 구성되면, 보강막대의 직경은 규칙적이지 못하며, 상기 보강막대의 외부표면상에서 상기 리브들은 정확하게 분포되지 못한다.If the ribs are constructed,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rod is not regular, and the ribs are not accurately distribu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rod.

본 발명을 따르는 콘크리트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1)가 원통형몸체를 가진 슬리브(11)로 구성되고, 보강막대의 단부(7)가 오리피스(12)를 통해 상기 슬리브(11)내부로 삽입된다.The mechanical connection 1 for a concrete reinforcing rod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nsists of a sleeve 11 having a cylindrical body, and an end 7 of the reinforcing rod is inserted into the sleeve 11 through an orifice 12.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슬리브(11)는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서 원통형상을 가지고, 또한 경사면(13)을 가진다.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경사면(l3)위에서 상기 슬리브(11)의 단부가 숫나사부분(8)을 가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sleeve 11 has a cylindrical shape over most of its length and also has an inclined surface 13. As shown in FIG. 1, the end of the sleeve 11 has a male threaded portion 8 on the inclined surface l3.

따라서 콘크리트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가 원통형의 슬리브(11)에 의해 구성되고, 나사부분이 없는 보강막대(2)의 단부(7)위에 상기 슬리브(11)가 끼워맞춤되며, 상기 슬리브(11)는 숫나사부분(8)을 가진다. 보강막대(2) 및 보강막대(3)의 단부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막대(2) 및 숫나사부분(8)이 축(14)을 따라 동심을 이루며 배열된다.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the concrete reinforcement rod is thus constituted by a cylindrical sleeve 11 and the sleeve 11 is fitted over the end 7 of the threaded reinforcement rod 2, the sleeve 11 being It has a male screw portion (8). The reinforcing rod 2 and the male screw portion 8 are arranged concentrically along the shaft 14 so that the ends of the reinforcing rod 2 and the reinforcing rod 3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기계식 연결부의 서로 다른 구성요소들이 금속으로 제조되지만, 상기 슬리브(11)의 외부표면위에 압력이 가해지면, 슬리브(11)내부에서 리브(10)들이 변형되도록, 보강막대(2)의 구성재료보다 연성이 더 큰 재료가 상기 슬리브(11)를 위해 유리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보강막대(2)의 단부(7)위에서 슬리브(11)가 내부로 네킹(necking) 및 압착되어 보강막대(2)의 단부(7)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변형작업이 설치공구(15)의 수직면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fferent component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are made of metal, but when pressure is appli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11, the ribs 10 deform inside the sleeve 11 so that the ribs 10 deform than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reinforcing rod 2 A more ductile material can be advantageously selected for the sleeve 11. For example, the sleeve 11 may be necked and crimped inward on the end 7 of the reinforcement bar 2 so that the end 7 of the reinforcement bar 2 may be deformed. For example, the deformation can be done by the vertical surface of the installation tool (15).

보강막대 및 슬리브를 접촉시키기 위하여, 보강막대의 리브들을 구성하는 재료가 네킹작용에 의해 변형되고 보강막대를 향하는 슬리브의 내부영역으로 침투된다.In order to contact the reinforcing rod and the sleeve,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ribs of the reinforcing rod is deformed by the necking action and penetrated into the inner region of the sleeve facing the reinforcing rod.

기계식 연결부(1)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구(15)가 제2도에 도시된다.An installation tool 15 for install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1 is shown in FIG. 2.

상기 설치공구(15)는 나사구조의 연장튜브(16)를 가지고, 연장튜브(16)의 단부들 중 한개의 단부위에 숫나사부분(17) 또는 암나사부분이 구성되며, 연결부(1)의 숫나사부분(8)위에 상기 암나사부분이 나사체결된다.The installation tool 15 has a threaded extension tube 16, a male portion 17 or a female thread portion is formed on one of the ends of the extension tube 16, the male thread of the connecting portion (1) The female threaded portion is screwed onto the portion 8.

잭(jack)을 구성하는 중공구조의 몸체(19)에 형성된 단부(18)내부로 연장튜브(16)의 숫나사부분(17)이 고정되고, 상기 잭은 복동운동이 가능하다. 중공피스톤(21)이 이동가능한 운동영역(20)은 상기 잭의 몸체(19) 및 연장튜브(16)에 의해 형성된다.The male screw portion 17 of the extension tube 16 is fixed to the inner end 18 formed in the hollow body 19 constituting the jack (jack), the jack is capable of double-acting movement. The movement region 20 in which the hollow piston 21 is movable is formed by the body 19 and the extension tube 16 of the jack.

엇갈린 배열의 돌출부 및 구형볼에 의해, 공지된 방법에 따라 작동하는 네킹공구가 상기 중공피스톤(21)의 단부(22)와 일체로 구성된다. 특정 경우에 있어서, 연결되어야 하는 보강막대의 직경에 따라, 상기 장치들이 조정될 수 있다. 구형볼들의 개수를 적합하게 선택하면, 주름구조형성이 조정될 수 있다.By means of staggered protrusions and spherical balls, a necking tool operating according to a known method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end 22 of the hollow piston 21. In certain cases, depending o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rod to be connected, the devices can be adjusted. By suitably selecting the number of spherical balls, the corrugation structure can be adjusted.

표면 접촉상태를 개선하고 더욱 양호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5초내지 10초동안 500℃도 내지 750℃도까지 온도를 증가시키는 가열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작은 치수의 부품들을 국소가열하기 위해 고주파 자체유도시스템이 적합하다. 크기가 작고 중량이 적은 저주파장치에 의해 신속한 가열작용 및 온도증가가 수초내에 이루어 질 수 있다.In order to improve surface contact and to form better connections, it is advantageous to use a heating system that increases the temperature from 500 ° C. to 750 ° C. for 5 to 10 seconds. High frequency self-guided systems are suitable for local heating of small size components. The small size and low weight low frequency device allows rapid heating and temperature increase in seconds.

상기 작업후 금속의 냉각작용이 이루어지면, 열응력에 의해 수축강화 주름구조형성이 유리하게 되고, 그 결과 양호한 접착상태가 형성되며, 보강막대 및 슬리브사이에서 완전히 일체구조를 이루는 연결부가 형성된다.When the cooling action of the metal is made after the above operation, shrinkage-enhanced corrugation structure is advantageously formed by thermal stress, and as a result, a good adhesive state is formed, and a connection part is formed completely between the reinforcing rod and the sleeve.

특히 자체유도(self-induction)에 의한 가열작용에 의하면, 주름구조 형성과 관련한 하중크기가 훨씬 더 감소되고, 크기가 더 작은 공구들을 이용할 수 있다.In particular, by the self-induction heating action, the load size associated with the formation of the corrugation structure is further reduced and smaller tools can be used.

따라서 4개의 구형볼에 의해 40밀리미터의 보강막대직경은 60톤의 압력을 요구하고, 원형의 네킹공구(23)에 대하여 40밀리미터의 보강막대직경은 15톤의 압력을 요구한다.Therefore, 40 millimeters of reinforcing rod diameter requires 60 tons of pressure by four spherical balls, and 40 millimeters of reinforcing rod diameter of 15 millimeters for the circular necking tool 23.

상기 방법에 의해 보강막대 및 커플러(coupler)를 신뢰성 있게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연결부를 구성하면, 보강막대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 주름구조의 커플러(coupler)들과 비교하여, 커플러의 길이가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By reliably integrally connecting the reinforcing rod and the coupler by the above method,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coupler considerably compared with the corrugated coupler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reinforcing rod. Can be.

제4도에 구형볼을 가지는 네킹공구가 상세히 도시된다. 구형볼들에 의해 슬리브(11)의 외측부상에 요홈(27)들이 형성된다. 설치공구가 슬리브의 외부표면상에 결합되어 수직하향운동시, 종방향의 주름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하향운동에 의해 제어된 침투작용이 이루어지며, 상기 구형볼들에 의해 침투작용이 조정될 수 있다.The necking tool with spherical ball in figure 4 is shown in detail. The grooves 27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eeve 11 by the spherical balls. When the installation tool is coup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leeve to form a vertical corrugation structure in the vertical downward motion, the penetration action controlled by the vertical downward motion is achieved, and the penetration action can be adjusted by the spherical balls. have.

중공피스톤(21)이 화살표(F)방향으로 하강운동하면, 네킹공구(23)의 단부가 거리(D)만큼 수직으로 이동된다. 네킹공구(23)의 기저부(24)가 볼소켓관절요소(25)와 접촉한다. 삽입된 네오프렌 와셔(neoprene washer)를 가진 볼소켓관절판(26)상에 상기 볼소켓관절요소(25)가 배열된다.When the hollow piston 21 moves downwar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the end of the necking tool 23 is vertically moved by the distance D. The base 24 of the necking tool 23 is in contact with the ball socket joint element 25. The ball socket joint element 25 is arranged on a ball socket joint plate 26 with an inserted neoprene washer.

중공피스톤에 의해 상호작용되는 강한 압력이 우선 네킹공구(23)로부터 경사면(13)에 가해지고, 다음에 슬리브(11)의 모든 외측주변부에 가해진다. 제3도를 참고할 때, 상기 압력 및 슬리브(11)의 주변부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는 변형작용에 의해, 보강막대의 단부(7)가 슬리브(11)와 연결된다. 상기 네킹공구에 의해 슬리브(11)의 외측부상에 충분한 개수의 요홈(27)들이 형성되고, 상기 요흠(27)들은 전체 주변부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는 것이 선호된다. 물론 요홈(27)들의 개수가 연결되는 보강막대의 직경에 의존한다.A strong pressure interacted by the hollow piston is first applied from the necking tool 23 to the inclined surface 13 and then to all outer peripheral portions of the sleeve 11. Referring to FIG. 3, the end 7 of the reinforcing rod is connected with the sleeve 11 by a deformation action simultaneously at the pressure and at the periphery of the sleeve 11. A sufficient number of grooves 27 ar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eeve 11 by the necking tool, and the grooves 27 are preferably distributed evenly over the entire periphery. Of course, the number of the grooves 27 depends o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rod connected.

네킹공구(23)가 거리(D)에 걸쳐서 수직으로 이동되면, 상기 네킹공구에 의해 슬리브의 외측주변위에 요홈(27)들이 움푹하게 형성되고, 또한 단부(7)가 구성된 영역에서 상기 압력을 통해 상기 네킹공구(23)가 보강막대의 리브(10)들을 변형시킨다. 물론, 보강막대(2)의 재료보다 연성이 더 큰 재료가 슬리브(11)의 구성재료로서 선택되어 상기 변형작용이 가능하다.When the necking tool 23 is moved vertically over the distance D, the grooves 27 are recess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leeve by the necking tool, and also through the pressure in the region where the end 7 is formed. The necking tool 23 deforms the ribs 10 of the reinforcing rod. Of course, a material that is more ductile than the material of the reinforcing rod 2 is selected as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sleeve 11 so that the deformation action is possible.

따라서 상기 슬리브(11)가 보강막대의 단부(7)에 연결가능하고, 슬리브(11)의 내측으로 네킹(necking)작용이 이루어지면, 상기 슬리브(11) 및 상기 단부(7)가 주름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구성을 위하여, 보강막대에 구성된 리브(10)들의 구성재료가 단부(7)에서 슬리브(11)의 내측 구성재료 내부로 확산된다.Therefore, when the sleeve 11 is connectable to the end 7 of the reinforcing rod, and necking (necking) to the inner side of the sleeve 11, the sleeve 11 and the end 7 in a corrugated structure Can be formed. For this connection, the constituent material of the ribs 10 arranged in the reinforcing rod is diffused at the end 7 into the inner constituent material of the sleeve 11.

제2도를 참고할 때, 가압유가 전달되면, 중공피스톤(21)에 의해 설치공구(15)가 작동된다. 연장튜브(16)에 연결된 슬리브(11)가 잭(jack)의 몸체(19)에 고정된다. 거리(D)만큼 하강하는 중공피스톤(21)에 대한 반작용이 발생하고, 상기 중공피스톤(21)에 의해 내부로 네킹(necking)작용이 이루어진다. 보강막대의 외부표면에 위치한 리브(10)들이 연성이 더 큰 슬리브의 내부영역재료를 관통한다.Referring to FIG. 2, when the pressurized oil is delivered, the installation tool 15 is operated by the hollow piston 21. A sleeve 11 connected to the extension tube 16 is fixed to the body 19 of the jack. Reaction with respect to the hollow piston 21 descending by the distance D occurs, and a necking action is performed internally by the hollow piston 21. Ribs 10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inforcing rod penetrate the inner region material of the more ductile sleeve.

작업과정의 마지막 단계에서, 네킹공구(23)의 기저부(24)가 볼소켓관절요소(25)에 지지되고, 보강막대가 가지는 항복강도의 예를 들어 99%에 해당하는 정해진 수치에서 시험이 이루어진다. 상기 네킹공구(23)가 하부위치로부터 상부위치까지 상승되는 동안, 슬리브(11)가 콘크리트보강막대(2)와 결합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시험결과는 만족스러운 것이라고 판단된다.At the end of the work process, the base 24 of the necking tool 23 is supported by the ball socket joint element 25 and the test is carried out at a predetermined value corresponding to, for example, 99% of the yield strength of the reinforcing rod. . While the necking tool 23 is raised from the lower position to the upper position, if the sleeve 11 remains engaged with the concrete reinforcing rod 2, the test result is judged to be satisfactory.

만족스런 압력 및 작동조건하에서 내측으로 네킹작용이 수행되지 못한다면, 시험도중 결합상태는 분리되고, 한편 나중에 작업현장에서 돌발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작용은 상기 시험도중 발생하는 것이 더 좋다. 이때 상기 연결부(1)가 재작업되거나 교체될 수 있다.If the necking action cannot be performed inward under satisfactory pressure and operating conditions, the bonding state is disconnected during the test, while the separation action is more likely to occur during the test, in order to prevent accidental accidents at the site later on. In this case, the connection part 1 may be reworked or replaced.

상기 기계식 연결부를 설치하기 위한 장치는 크기가 매우 작고, 보강막대위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장치는 제한된 공간 또는 보강막대들의 구성밀도가 클 때,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설치공구(15)에 의해 발생된 하중이 슬리브(11) 및 보강막대에 전달된다.The device for install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is very small in size and movable vertically on the reinforcing rod. Thus, the apparatus can be easily used when the limited density of the space or the reinforcing rods is large. The load generated by the installation tool 15 is transmitted to the sleeve 11 and the reinforcing rod.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보강막대 이외에, 주름구조형성을 위한 매끈한 막대와 같은 제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concrete reinforcing ro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products such as smooth rods for forming wrinkles.

본 발명의 범위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당해 업자들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7)

콘크리트요소건설현장에서 이용되고, 직사각형 단부 또는 곡선단부상에 끼워맞춤되며, 외부표면위에 리브들을 가지는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에 있어서, 보강막대 및 슬리브를 연결하기 위하여,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ement rods used in concrete element construction sites, fitted on rectangular or curved ends and having ribs on the outer surface, for connecting the reinforcement rods and sleeves, - 연결요소가 없는 보강막대의 단부가 삽입되고 원통형의 중공몸체를 가진 슬리브(11),A sleeve 11 having a cylindrical hollow body with an end of a reinforcing rod without connecting elements, - 슬리브(11)의 단부에 위치한 숫나사부분(8)으로 구성되고,Consisting of a male part 8 located at the end of the sleeve 11, - 단부들이 마주보게 배열된 두개의 보강막대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중공몸체 및 숫나사부분이 동심축을 이루며,The hollow body and the male part form a concentric axis, in order to connect two reinforcing rods arranged with their ends facing each other; - 보강막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네킹작용이 이루어져서, 슬리브의 외측재료가 변형되고,A necking action is made inward at 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so that the outer material of the sleeve is deformed, - 보강막대위에 위치한 리브(10)들의 구성재료가 슬리브(1l)의 중공몸체 내부로 네킹작용이 이루어지며 침투되어, 리브의 구성재료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A mechanical connection part for the reinforc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of the ribs 10 located on the reinforcing rod is necked and penetrated into the hollow body of the sleeve 1l, so that the material of the rib is deformed. 제1항에 있어서, 슬리브의 원통형부분 및 숫나사부분사이에서 경사면(13)이 슬리브(13)의 외측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2. Mechanical connection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surface (13)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sleeve (13)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and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sleeve. 단부들이 마주보게 배열된 두개의 보강막대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보강막대의 단부가 연결요소를 가지지 않을때 기계식 연결부를 보강막대위에 설치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An apparatus for installing a mechanical connection on a reinforcing bar when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does not have a connecting element, for connecting two reinforcing bars arranged with their ends facing each other. - 복동운동하는 잭의 몸체(19),The body of the jack, double-acting (19), - 슬리브의 단부에 형성된 나사부분위에 끼워맞춤되고 잭의 몸체(19)에 고정되며, 암나사부분을 가진 연장튜브(16),An extension tube (16) fitted with a threaded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sleeve and fixed to the body (19) of the jack and having a female threaded portion, - 몸체(19) 및 연장튜브(16)사이에 배열된 잭의 중공피스톤(21),A hollow piston 21 of the jack arranged between the body 19 and the extension tube 16, - 보강막대의 단부상에서 내부로 이루어지는 네킹작용에 의해 슬리브(11)의 주름구조가 형성되어 결합되도록, 슬리브(11)의 외측재료를 변형하고, 보강막대의 리브(10)들을 슬리브내부에서 변형하기 위하여, 중공피스톤(21)의 단부위에 배열되고 수직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네킹공구(2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Deforming the outer material of the sleeve 11 and deforming the ribs 10 of the reinforcing rod in the sleeve so that the pleating structure of the sleeve 11 is formed and coupled by an internal necking action on 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necking tool (23) is arranged on the end of the hollow piston (21) and movable vertically. 제3항에 있어서, 볼소켓관절요소(25)가 구성되고, 연결부를 시험하기 위하여 잭이 하강운동하는 초기단계에서 네킹공구(23)의 주변부가 상기 볼소켓관절요소(25)위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4. A ball socket joint element (25)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 ball socket joint element (25) is constructed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necking tool (23) is supported on the ball socket joint element (25) in the initial stage of the jack's downward movement to test the conn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현장에서 이용가능한 제1항의 연결부를 구성하여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방법에 있어서,In the fixing method for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the reinforcing rod by configuring the connection of claim 1 available in the field, - 연결요소를 가지지 않는 보강막대의 단부가 슬리브에 의해 덮혀지고,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having no connecting element is covered by the sleeve, - 네킹공구(23)의 수직방향운동에 의해 보강막대의 단부로 슬리브의 네킹작용 및 분쇄작용이 이루어지며,-Necking action and grinding action of the sleeve to 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necking tool (23), - 슬리브의 중공몸체내부에서 보강막대위의 리브(10)들이 변형되도록, 보강막대의 재료보다 연성이 더 큰 재료가 슬리브의 재료로서 선택되고,A material that is softer than the material of the reinforcing rod is selected as the material of the sleeve so that the ribs 10 on the reinforcing rod deform inside the hollow body of the sleeve, - 네킹공구에 의해 발생된 하중이 보강막대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막대용 기계식 연결부의 고정방법.-The method of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reinforcing r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generated by the necking tool is transmitted to the reinforcing rod. 제5항에 있어서, 연결부가 구성되면, 보강막대의 정해진 항복강도에서 연결부가 시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6. A devi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when the connection is made, the connection is tested at a defined yield strength of the reinforcing rod. 제3항에 있어서, 접촉표면을 개선하고, 더욱 양호한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보강막대의 단부가 5초 내지 10초동안 500℃ 내지 750℃도까지 가열되고, 다음에 조립체를 수축시키고 주름구조를 강화하기 위하여,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The end of the reinforcing rod is heated to 500 ° C. to 750 ° C. for 5 to 10 seconds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surface and to form a better connection, and then shrink the assembly and corrugate the structure. In order to power, th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KR1019950003294A 1995-02-21 1995-02-21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device for placing this mechanical connection and process for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KR1002654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294A KR100265423B1 (en) 1995-02-21 1995-02-21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device for placing this mechanical connection and process for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294A KR100265423B1 (en) 1995-02-21 1995-02-21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device for placing this mechanical connection and process for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823A KR960031823A (en) 1996-09-17
KR100265423B1 true KR100265423B1 (en) 2000-09-15

Family

ID=19408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294A KR100265423B1 (en) 1995-02-21 1995-02-21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device for placing this mechanical connection and process for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42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8335A1 (en) * 2012-07-03 2014-01-09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Thermal treated reinforcing bar splice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8335A1 (en) * 2012-07-03 2014-01-09 Erico International Corporation Thermal treated reinforcing bar spl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1823A (en) 1996-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206538A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male taper thread
US20140325815A1 (en) Method for hot forging threads into an end of a steel bar
KR100265423B1 (en)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device for placing this mechanical connection and process for fix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for reinforcing bars
JP2011102488A (en) Screw type reinforcement joint for reinforcements different in diameter, and reinforced structure with the joint
US20030000274A1 (en) Forging of workpieces
CN107642170B (en) Shear-pulling-resistant friction type shear connect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10131303A (en) Joint construction of reinforcement
JPH08218553A (en) Mechanical coupling structure of reinforcing bar and execution device of coupling structure and fixing method of coupling structure
US5713130A (en) Partially thick-walled elongated metallic member and methods of making and connecting the same
EP0557731B1 (en) Reinforcement for a concrete slab
CN107558615B (en) Friction type steel shear connecto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WO1999036642A1 (en) Connecting elongate members
CN114108954A (en) Steel bar mechanical connection standardization complete set device
CN209941691U (en) Electrodynamic type template supports reinforcement equipment
EP0672475B1 (en) Partially thick-walled elongated metallic member and methods of making and connecting the same
CN209760607U (en) steel bar lapping connector
JP2010255227A (en) Column-beam joint structure and reinforced concrete member
CN210334119U (en) Hook processing equipment
CN2216108Y (en) Hoop type bar joint
CN218668201U (en) Steel bar mechanical connection standardization complete set device
GB2238499A (en) Forming threaded bars
CN220931974U (en) Novel pipeline deformation damage early warning safety device
CN220790722U (en) Hydraulic temporary support
CN216339494U (en) Novel pile head structure
CN213033471U (en) Section bar feeding and discharging device of stretch be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