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5057B1 - 이동통신시스템의호폭주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의호폭주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5057B1
KR100265057B1 KR1019970075181A KR19970075181A KR100265057B1 KR 100265057 B1 KR100265057 B1 KR 100265057B1 KR 1019970075181 A KR1019970075181 A KR 1019970075181A KR 19970075181 A KR19970075181 A KR 19970075181A KR 100265057 B1 KR100265057 B1 KR 10026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congestion
call
station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5253A (ko
Inventor
김흥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70075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505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2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89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폭주 시 인접기지국 자원을 이용하여 호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기지국에서 채널카드의 동기 메시지 내부에 호폭주 필드를 추가하고, 호폭주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호폭주가 발생하지 않으면 동기 메시지의 호폭주 필드를 오프시키고, 호폭주가 발생하면 동기 메시지의 호폭주 필드를 온시켜, 호폭주 필드를 포함한 동기 메시지를 이동국으로 전송하고, 이동국에서는 주기적으로 기지국 파일롯 중 세기가 가장 센 기지국의 동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호폭주가 발생했는지를 판별하여 호폭주가 발생하지 않으면 파일롯을 유지시키고 호처리를 수행하며, 호폭주가 발생하면 다른 기지국 파일롯을 찾아 파일롯의 세기가 충분히 통화 가능한 세기일 경우 해당 기지국에 동기를 맞추고 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호폭주 시 인접기지국 자원을 이용하여 호 성공률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폭주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call congest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폭주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폭주 시 인접기지국 자원을 이용하여 호 성공률을 높이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폭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이동국)를 가지고서 이동하면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하거나 특정되어 있지 않은 지점에 정지하는 중에 운용되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10)과; 상기 이동국(10)의 호처리 요구를 수신하고, 제어국(30)의 호전송 요구를 상기 이동국(10)에 송신하는 기지국(BTS; Base Transceiver Station)(20)과; 상기 기지국(20)과 교환국(40) 간의 신호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기지국(20)을 제어하는 제어국(BSC; Base Station Controller)(30)과; 상기 제어국(30)과 연결되어 상기 이동국(10)의 호처리 요구를 공중망 또는 전용망을 통해 공중전화교환망(PSTN; Public Switching Telephone Network)이나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와 다른 통신망에 전송하여 이동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MSC; Mobile Switching Center)(40)로 구성되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가입자가 자신의 이동국(10)을 가지고 교환기(40)의 서비스 반경 이내에 있으면서 이동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면, 교환기(40)는 제어국(30)의 제어에 따라 이동국(10)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동국(10)의 요구에 따라 음성/팩스정보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다른 통신망과 연결시켜 이동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하였다.
이러한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종래 호폭주 제어방법을 살펴보면, 호폭주 시 호 블록킹을 발생하여 호폭주를 제어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호폭주 제어방법에 따라 호 블록킹을 수행하면 이동통신 가입자는 폭주 시간 동안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거 이동가입자가 통화를 위하여 계속 이동단말기의 발신을 시도하면, 기지국 입장에서는 점점 호 서비스 요구가 많아지는 폭주 상태가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호폭주 제어방법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폭주 시 인접기지국 자원을 이용하여 호 성공률을 높이도록 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폭주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폭주 제어방법은,
이동국, 기지국, 제어국, 이동통신 교환기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폭주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채널카드의 동기 메시지 내부에 호폭주 필드를 추가하고, 호폭주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호폭주가 발생하면 상기 동기 메시지의 호폭주 필드를 온 시킨 후 이동국으로 동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호폭주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동기 메시지의 호폭주 필드를 오프시킨 후 이동국으로 동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호 폭주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국은,
주기적으로 기지국 파일롯 중 세기가 가장 센 기지국의 동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호폭주가 발생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호폭주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파일롯을 유지시키고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호폭주가 발생하면 다른 기지국 파일롯을 탐색하고, 파일롯의 세기가 충분히 통화 가능한 세기에 해당하는 기지국이 탐색되면 그 기지국에 동기를 맞추고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호 폭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호폭주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 호폭주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국 20: 기지국
30: 제어국 40: 교환기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폭주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호폭주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카드의 동기 메시지 내부에 호폭주 필드를 추가하고, 호폭주가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ST1)(ST2)와; 상기 호폭주가 발생하면 동기 메시지의 호폭주 필드를 온 시키고 동기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3)(ST5)와; 상기 호폭주가 발생하지 않으면 동기 메시지의 호폭주 필드를 오프시키고 동기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ST4)(ST5)로 구성된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국에서 호폭주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주기적으로 기지국 파일롯 중 세기가 가장 센 기지국의 동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호폭주가 발생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T11)(ST12)와; 상기 호폭주가 발생하지 않으면 상기 파일롯을 유지시키고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T13)(ST17)와; 상기 호폭주가 발생하면 다른 기지국 파일롯을 찾아 파일롯의 세기가 충분히 통화 가능한 세기일 경우 해당 기지국에 동기를 맞추고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ST14 - ST1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폭주 제어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20) 자원의 폭주 시 호 블록킹 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동국(10)이 호 자원 폭주 시 자신이 가지고 있는 파일롯의 집합을 조사하여 통화 가능한 다른 기지국(20) 파일롯이 존재할 때 해당 인접 기지국(20)으로 호를 시도하면 된다. 이를 위해 기지국(20)은 이동국(10)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동기 메시지 안에 기지국(20)의 폭주여부를 알려주면 된다. 그래서 이동국(10)은 발신하고자 할 때 자신이 수신하는 가장 강한 파일롯 메시지를 체크하여 만약 해당 기지국(20)이 폭주 상태라면 다음의 파일롯 집합을 조사하여 발신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래서 이동국(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롬에 적재되는 프로그램과 기지국(20)의 채널카드 롬에 적재되는 프로그램을 변경하면 된다.
먼저 기지국(20)은 주기적으로 이동국(10)에 호폭주 여부를 알려주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채널카드의 동기 메시지 내부에 폭주 여부를 알릴 수 있는 필드를 추가한다(ST1)(ST2). 그래서 호가 폭주하면 동기 메시지의 호폭주 필드를 온시켜 동기 메시지를 전송할 때 마다 이동국(10)에 전송하게 된다(ST3)(ST5). 그리고 호폭주가 아니면 기지국(20)은 기존 방법대로 동작하여 파일롯을 그대로 유지하고 이때 호폭주 필드는 오프처리되어 전송되어진다(ST4)(ST5). 이때 동기 메시지 변경 프로그램은 채널카드의 호 처리 프로그램으로 수정하 SEKDMA 채널카드 롬에 적재되어 동작하여야 한다.
한편 이동국(10)은 주기적으로 자신이 수신하는 기지국(20)의 파일롯 중 세기가 가장 센 기지국(20)의 동기 메시지를 참조하게 되는데(ST11), 호폭주 필드가 오프되어 있으면 기지국(20)에 호폭주가 발생하지 않은 일반적인 경우로 판단하여 기존의 파일롯을 트래픽에 활용한다(ST12)(ST13). 그리고 호폭주 필드가 온되어 있으면 기지국(20)에 호폭주가 발생했다고 판단하고, 다른 기지국(20)의 파일롯을 찾아 파일롯의 세기가 충분히 통화 가능한 세기일 경우 해당 기지국(20)에 동기를 맞추게 된다(ST14 - ST16).
따라서 발신시나 착신시 이동국(10)이 통화를 시도한 기지국(20)은 파일롯의 세기가 가잔 센 기지국(20)이 아니라 파일롯이 세면서 트래픽 폭주가 아닌 통화 가능한 기지국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은 이동국(10)의 롬에 적재되어야 하며, 기존의 프로그램에 호폭주시 통화 가능한 이웃 기지국(20)의 파일롯을 탐색하여 트래픽에 활용하는 방법을 추가하면된다.
실제 통화 시도 시 이동 가입자는 가능한 한 통화가 가능한 기지국(20) 파일롯을 잡고 있기 때문에 파일롯이 가장 센 기지국(20) 만을 잡는 경우보다 통화 성공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 때 만약 이동국(10)이 잡은 파일롯 중 충분히 통화 가능한 파일롯이 오로지 하나이면서 트래픽 폭주인 경우에는 호 블록킹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폭주 제어방법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호폭주 시 인접기지국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호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동국, 기지국, 제어국, 이동통신 교환기로 이루어진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폭주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채널카드의 동기 메시지 내부에 호폭주 필드를 추가하고, 호폭주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호폭주가 발생하면 상기 동기 메시지의 호폭주 필드를 온 시킨 후 이동국으로 동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호폭주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동기 메시지의 호폭주 필드를 오프시킨 후 이동국으로 동기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호 폭주를 제어하고,
    상기 이동국은,
    주기적으로 기지국 파일롯 중 세기가 가장 센 기지국의 동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호폭주가 발생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호폭주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파일롯을 유지시키고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호폭주가 발생하면 다른 기지국 파일롯을 탐색하고, 파일롯의 세기가 충분히 통화 가능한 세기에 해당하는 기지국이 탐색되면 그 기지국에 동기를 맞추고 호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호 폭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폭주 제어방법.
KR1019970075181A 1997-12-26 1997-12-26 이동통신시스템의호폭주제어방법 KR10026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181A KR100265057B1 (ko) 1997-12-26 1997-12-26 이동통신시스템의호폭주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181A KR100265057B1 (ko) 1997-12-26 1997-12-26 이동통신시스템의호폭주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253A KR19990055253A (ko) 1999-07-15
KR100265057B1 true KR100265057B1 (ko) 2000-09-01

Family

ID=19528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181A KR100265057B1 (ko) 1997-12-26 1997-12-26 이동통신시스템의호폭주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50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026A (en) * 1992-04-07 1995-09-26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congestion control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026A (en) * 1992-04-07 1995-09-26 Nec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congestion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253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8679A (en) Coexisting GSM and CDMA 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s
KR100200262B1 (ko) 무선 전화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시 통화 단절을 방지하는 방법
KR100919146B1 (ko) 하이브리드 gsm/cdma 네트워크에서의 핸드오버를위한 기지국 동기
CN100455100C (zh) 系统间基站切换
US5940383A (en) Automatic data service selection
JP4939529B2 (ja) 専用及び高速共有チャネルのハードハンドオフ手順
CN101473676A (zh) 用于无线接入网中的切换的方法和装置
JP2001504298A (ja) ディジタル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内のチャネル・リソース管理
CN101455113A (zh) 双载波通信系统中的运行方法
AU7318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the location of a mobile station after performing an inter-MSC soft handoff in a cellular system
JPH1127716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フ制御方法
JP2001238264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直接通話方法
JP2005117551A (ja) 移動通信端末、基地局、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KR100265057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호폭주제어방법
WO2000070899A1 (en) Method for conducting handoff back communication scenarios
KR100976935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EP1198149B1 (en) Method for preventing dropped cal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244581B1 (ko) 소프트 핸드오프에서 순방향 채널 동기의 동적 제어 방법
KR100292949B1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의 이동 단말기 서비스 방법
KR20050106639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간의 서비스 전환을 위한 이동통신시스템 및 방법
KR20020031636A (ko) Cdma 이동 통신의 핸드오프 개선 방법
KR100400728B1 (ko) 단말기의 호 접속 방법
KR20030044634A (ko) 핸드오프 방법
KR20040028294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호 셋업방법
JPH0833024A (ja) 子局間通信方法および子局間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