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130B1 -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130B1
KR100262130B1 KR1019970079069A KR19970079069A KR100262130B1 KR 100262130 B1 KR100262130 B1 KR 100262130B1 KR 1019970079069 A KR1019970079069 A KR 1019970079069A KR 19970079069 A KR19970079069 A KR 19970079069A KR 100262130 B1 KR100262130 B1 KR 10026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attern
paint
forming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282A (ko
Inventor
이성
Original Assignee
이성
주식회사씨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 주식회사씨스코리아 filed Critical 이성
Priority to KR1019970079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2130B1/ko
Publication of KR98000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1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4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for decorative plat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생활에 흔히 사용되는 거울은 물론, 건축구조물의 실내장식에 사용되는 거울이나, 장농등 가구에 사용되는 거울 무늬를 형성하여 단순한 거울의 기능을 뛰어넘어 주변환경의 장식효과를 연출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안출된 무늬를 형성한 거울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면에 에스테르도료나 에폭시도료등으로된 재경형도료를 도포하여서 형성한 공지의 거울을 상기 재경형도료위에 동물이나 식물, 산수화등 다양한 무늬를 도안한 시트지를 부착하여 도안된 무늬를 뜯어내고 광물입자를 고속분사하여 도안된 무늬형상의 재경형도료를 제거하거나 재경형도료위에 직접 상기한 다양한 무늬를 도안하여 도안된 무늬의 재경형도료를 제거하고, 상기 도안된 무늬에 알맞은 색상의 도료를 도포 또는 스프레이 방법으로 상기 재경형도료를 제거하여 형성한 무늬에 채색하여 거울의 표면으로 무늬가 표출되도록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을 개발하여 단순한 거울의 기능을 뛰어넘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거울을 제작보급함으로서 실수요자가 거울을 실내장시용으로 사용함은 물론, 가구의 문짝이나 건축물의 문짝으로 사용하여 주거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본 발명은 일상생활에 흔히 사용되는 거울은 물론, 건축구조물의 실내장식에 사용되는 거울이나, 장농등 가구에 사용되는 거울에 무늬를 형성하여 단순한 거울의 기능을 뛰어넘어 주변환경의 장식효과를 연출하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안출된 무늬를 형성한 거울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으로 인간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주거문화 또한 발전하여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거울을 이용한 실내장식은 물론, 가구의 문짝등에도 거울을 사용함으로서 이제는 거울을 단순한 반사의 효과를 갖는 피사체를 비추는 효과를 뛰어 넘어 주변공간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장식미를 향상시키는데에 까지 그 사용용도가 다양화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는 거울의 표면에 아무런 무늬가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그대로 사용하였는바, 이는 단순한 반사효과만을 기대할 수 밖에 없어서 장식효과가 반감하였고 여기서 발전한 것으로 거울을 형성하는 유리의 표면에 부식등의 방법으로 직접 무늬를 형성한 것이 있으나, 이 또한 가공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실수요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초래하면서도 거울의 특성인 반사효과가 절감되어 장식용 거울로서의 제역활을 다하지 못하였던 것이 지금까지의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지금까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거울을 형성하기 위하여 반사도료를 도포하는 거울의 이면에 다양한 형상의 무늬를 형성하여 반사도료와는 다른 유색도료로 도포하여 거울의 표면으로 다양한 무늬가 표출되도록 함으로서 거울을 실내장식용으로나 가구의 문짝등으로 사용할시 다양한 무늬를 창출하여 생활공간의 미감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한 실시예 1에 따른 공정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한 실시예 2에 따른 공정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 위한 실시예 3에 따른 공정흐름도.
상기한 본 발명을 완성하는데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이면에 에스테르도료나 에폭시도료 등으로된 재경형도료를 도포하여서 거울을 형성하는 공지의 거울형성공정인 제1공정과,
시트지에 식물이나 동물, 산수화 등의 다양한 무늬를 도안하여 도안된 무늬를 떼어내기 쉽게 재단하는 공지의 무늬가 형성된 시트지를 형성하는 시트지형성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시트지형성공정인 제2공정에서 다양한 무늬를 형성한 시트지를 거울형성공정인 제1공정에서 형성된 거울의 이면에 도포된 재경형도료 위에 부착하고 도안된 무늬를 뜯어내는 시트지접착공정인 제3공정과,
상기 시트지접착공정인 제3공정에서 재경형도료의 표면에 시트지를 접착하고 도안된 무늬를 뜯어낸 상태의 거울 이면에 광물질의 분말을 분사하여 도안된 무늬가 제거된 부분의 재경형도료만을 제거하여 거울에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 형성공정인 제4공정과,
상기 1차무늬형성공정인 제4공정에서 시트지가 제거된 부위의 재경형 도료가 제거된 부위에 형성된 무늬에 알맞은 색상의 도료를 도포 또는 분사하여 채색하는 채색공정인 제5공정과,
상기 채색공정인 제5공정에서 채색이 완료된 도료가 건조되었을 때 잔여시트지를 제거하거나 시트지를 제거한후 필름 등을 부착하여 마감처리하는 마감공정인 제6공정으로 완성한다.
[실시예 2]
이면에 에스테르도료나 에폭시도료 등으로된 재경형도료를 도포하여서 거울을 형성하는 공지의 거울형성공정인 제1공정과,
상기 제1공정에서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된 거울의 이면인 재경형도료위에 식물이나 동물, 산수화등 다양한 그림을 도안하는 도안공정인 제2공정과,
상기 도안공정인 제2공정에서 도안된 그림의 무늬대로 재경형도료를 긁게(스크레이퍼)로 긁어내어 무늬를 형성하는 무늬형성공정인 제3공정과,
상기 무늬형성공정인 제3공정에서 형성한 무늬위에 알맞은 색상의 도료를 도포 또는 스프레이하여 채색하는 채색공정인 제4공정과,
상기 채색공정인 제4공정에서 채색된 도료가 건조되면 그 표면에 시트지를 접착하는등 마감처리하는 마감공정인 제5공정으로 완성된다.
[실시예 3]
거울을 만들고자 하는 유리의 표면에 무늬에 알맞은 도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그림을 그리는 무늬형성공정인 제1공정과,
상기 무늬형성공정인 제1공정에서 유리의 도료등으로 다양한 그림을 완성한 무늬의 표면에 에스테르도료나 에폭시도료등의 공지된 재경형도료를 분사 또는 도포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거울을 완성하는 거울형성공정인 제2공정으로 완성한다.
여기서 실시예 1의 제6공정과 실시예 2의 제5공정인 마감공정은 생략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방법으로 완성된 본 발명인 거울은 실시자가 표현한 다양한 무늬가 거울의 표면으로 표출되어 거울의 기능을 초월하여 다양한 용도에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발명으로 완성한 거울을 실내장식용으로 사용할때 거울에 가미한 무늬의 모양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거울을 가구의 문짝이나 기타 건축물의 문짝으로 사용할때에도 다양한 미감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거울의 표면에 다양한 무늬가 표출되도록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을 개발하여 단순한 거울의 기능을 뛰어넘어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다양한 거울을 제작보급함으로서 실수요자가 거울을 실내장식용으로 사용함은 물론, 가구의 문짝이나 건축물의 문짝으로 사용하여 주거공간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도 유익한 발명이다.

Claims (2)

  1. 거울에 무늬를 형성함에 있어서, 이면에 에스테르도료나 에폭시도료 등으로된 재경형도료를 도포하여서 형성한 공지의 거울을 상기 재경형도료위에 동물이나 식물, 산수화등 다양한 무늬를 도안한 시트지를 부착하여 도안된 무늬를 뜯어내고 광물입자를 고속 분사하여 도안된 무늬 형상의 재경형도료를 제거하거나 재경형도료위에 직접 상기한 다양한 무늬를 도안하여 도안된 무늬의 재경형도료를 제거하고, 상기 도안된 무늬에 알맞은 색상의 도료를 도포 또는 스프레이방법으로 상기 재경형도료를 제거하여 형성한 무늬에 채색하여 거울의 표면으로 무늬가 표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2. 거울에 무늬를 형성함에 있어서, 거울을 만들고자 하는 유리의 표면에 무늬에 알맞은 도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그림을 그리는 무늬형성공정인 제1공정과, 상기 무늬형성공정인 제1공정에서 유리의 도료등으로 다양한 그림을 그려서 완성한 무늬의 표면에 에스테르도료나 에폭시도료등의 공지된 재경형도료를 분사 또는 도포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거울을 완성하는 거울형성공정인 제2공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KR1019970079069A 1997-12-30 1997-12-30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KR10026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069A KR100262130B1 (ko) 1997-12-30 1997-12-30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069A KR100262130B1 (ko) 1997-12-30 1997-12-30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282A KR980000282A (ko) 1998-03-30
KR100262130B1 true KR100262130B1 (ko) 2000-09-01

Family

ID=19530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069A KR100262130B1 (ko) 1997-12-30 1997-12-30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2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3237A (ko) * 2001-09-12 2003-03-19 박해정 거울의 무늬 성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282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2130B1 (ko) 무늬가 형성된 거울제작방법
JP2877664B2 (ja) 建築用化粧板の塗装方法
CN108546474A (zh) 一种光催化抗日晒二氧化钛大理石漆及其制备方法
CN203361521U (zh) 金属浮雕质感内墙
CN2362949Y (zh) 自粘装饰墙布(墙纸)
CN201162315Y (zh) 艺术装饰电视墙
CN100368210C (zh) 装饰布的制作工艺
CN104890425B (zh) 不锈钢制品表面彩色图形的制作方法
CN213696414U (zh) 一种新型银镜
JP2928969B2 (ja) 化粧板の製造方法
CN2290601Y (zh) 一种喷花上彩的压花玻璃
CN1081970A (zh) 粘沙板装饰品及其制造工艺方法
JPH042044Y2 (ko)
CN2425155Y (zh) 镀膜空心玻璃砖
KR200177958Y1 (ko) 장식용 칼라 거울
CN2505547Y (zh) 彩色塑料装饰板
JP3001278U (ja) カラーパネル付きレリーフ入りガラス
CN1036325C (zh) 一种蓝彩工艺制品的制作方法
KR200280927Y1 (ko) 가구류 및 건물 내장재의 표면장식
CN2734892Y (zh) 具有免涂层的装饰线材
CN201026768Y (zh) 磁砖基板水泥粘雕
TW201615587A (zh) 裝飾玻璃及其製造方法
CN2188117Y (zh) 彩色玻璃墙地砖
CN202016353U (zh) 一种室内装饰件
KR200244649Y1 (ko) 인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