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5797B1 -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5797B1
KR100255797B1 KR1019970072255A KR19970072255A KR100255797B1 KR 100255797 B1 KR100255797 B1 KR 100255797B1 KR 1019970072255 A KR1019970072255 A KR 1019970072255A KR 19970072255 A KR19970072255 A KR 19970072255A KR 100255797 B1 KR100255797 B1 KR 1002557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or
block
tone
digital subscriber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724A (ko
Inventor
홍승표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7007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79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8Indicating faults in circuits or apparatus
    • H04M3/14Signalling existence of persistent "off-hook"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04Q3/0062Provisions for network management
    • H04Q3/0075Fault management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각종 서비스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tone) 서비스의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톤 번호가 포함된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설정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경로를 점유하는 제 1 단계와, 운용자 전화기가 링을 송출하도록 하는 제 2 단계와, 운용자 전화기가 훅-오프(hook-off)되면 지정된 톤을 운용자 전화기로 송출하고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제 3 단계와, 모든 톤의 송출이 완료된 후 t1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운용자 전화기가 훅-온(hook-on)되면 지정경로의 연결을 해제하고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제 4 단계가 구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의 관리가 쉽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전전자 교환기의 톤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Method of operating tone service management for a digital subscriber in the digital switching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각종 서비스의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tone) 서비스의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톤 처리 기능은 일반적인 공중교환전화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에서 이미 제공되는 서비스이며 상용화된 기술이다, 반면 현재는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기존의 망을 흡수(통합)하여 단일한 하나의 망을 구축하고자 하는 계획이 종합정보통신망(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구축이라는 명제 아래 범세계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향후 수년 내에 상용화되리라고 예상된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기존의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제공되는 톤 처리 기능 또한 종합정보통신망에서 제공되어야 하며, 망 진화단계에서 기존의 공중교환전화망에서 제공되는 기능들과의 연동 또한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하여 종래에는 아날로그 환경에서만 사용되던 톤 처리 기능을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털 환경에서 구현하여 디지털 가입자에게 톤 서비스를 제공하였고, 기존의 공중교환전화망과의 서비스 연동 역시 실현되었다.
한편, 전전자 교환기와 같이 제어기능이 집중화되어 있는 장치에서 장애는 통신 서비스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전전자 교환기의 각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고장의 진단, 발견, 수리 등 장애 처리 서비스를 위한 유지 및 보수 체제가 정비되어야만 전전자 교환기의 안정된 동작이 보장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장치(톤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는 소스) 및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의 관리(유지 및 보수)가 운용자에 의해 쉽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의 품질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은 CSS(Central Control Subsystem)와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가 구비된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각종 서비스 관리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톤(tone) 번호가 포함된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설정명령이 입력되면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가입자선에 대한 정보를 구한 후 해당 경로를 점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운용자 전화기(디지털 가입자 단말기)가 링을 송출하도록 하여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가 구성되었음을 운용자에게 알리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운용자 전화기가 훅-오프(hook-off)되면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톤을 톤 장치에서 지정경로를 따라 운용자 전화기로 송출하고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모든 톤의 송출이 완료된 후 t1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운용자 전화기가 훅-온(hook-on)되면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의 연결을 해제하고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제 4 단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t1 을 10초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의 ASS 의 ASP 와 CCS 의 OMP 에 구비된 소프트웨어 블록의 구성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의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전자 교환기의 하드웨어 구조도로서, 크게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와 INS(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와 CCS(Central Control Subsystem)의 3개 서브시스템으로 구성된다. ASS 는 분산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INS 는 집중화된 호처리 기능을 수행하며, CCS 는 집중화된 운용 및 보전 기능을 담당한다.
각 서브시스템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SS 는 대부분의 호처리 기능과 자체 운용 보전 기능 등을 수행하므로 시스템적으로 수평 분산 구조를 가지며 최대 63개의 ASS 가 INS 에 연결 가능하다. INS 와의 전송 매체는 광섬유 링크이며 데이터 링크라고도 한다. 또한, ISDN 디지털 가입자 인터페이스, SS No.7 신호장치, 패킷처리기 기능, 망 연동장치 기능 등을 구비하여 ISDN 에서의 교환 기능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아울러, ASS 는 기능상 하나로 존재하지만 응용단계에서는 ASS-S(아날로그 가입자), ASS-I(디지털 가입자), ASS-T(트렁크), ASS-7(트렁크 No.7), ASS-P(패킷) 등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아울러 앞의 4가지 형태를 가지고 여러 가지 형태의 조합이 가능하다.
INS 는 시스템의 중심에 위치하여 ASS 상호간 또는 ASS 와 CCS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스위치 네트워크는 T-S-T 스위치 구조를 가지며, 그 중 스페이스 스위치(S)가 INS 에 위치하고, 타임 스위치(T)가 ASS 에 위치한다. 호처리 기능 중 번호번역, 루트 제어기능, 스페이스 스위치 연결과 같은 집중기능 등을 수행하며 망 동기장치를 구비하여 시스템 클록을 생성 및 배급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CCS 는 총괄적 운용 보전을 담당하는 서브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의 운용, 시험 및 측정, 통계 및 대용량 기억장치 관리, 각종 입력/출력장치 제어, 타 시스템과의 데이터 채널 연결 등을 담당한다.
상기와 같은 하드웨어 구조를 갖는 전전자 교환기에서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의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대상은 ASS(특히, ASS-I) 와 CCS 이다.
즉,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의 관리를 구현하기 위하여 ASS 의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와 CCS 의 OMP(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블록들이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ASS 의 ASP 에는 CTPS(Call Trace & Path Set-up) 블록과 DCC(Digital Circuit Control) 블록과 DSI(Digital Subscriber Interface) 블록과 LSL(Local Service Library)이 구비되고, CCS 의 OMP 에는 EC(Execution Control) 블록과 CTPM(Call Trace & Path Set-up Management) 블록과 OC(Output Control) 블록이 구비된다.
상기 DSI 블록에는 망 종단장치(NTE: Network Terminating Equipment)를 통해 디지털 가입자 단말기인 ISDN 전화기(I-Phone)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CTPS 블록은 호 추적 및 지정경로를 구성블록이고, DCC 블록은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호처리 담당블록이고, DSI 블록은 ISDN 가입자 정합블록이며, LSL 은 타임 스위치, 신호 디바이스, 톤 장치 등의 처리를 집합시켜 여러 실행 모듈에서 사용할 공통 절차(common procedure) 및 데이터 베이스로 구성된 신호 서비스 라이브러리이다.
상기 EC 블록은 운용자의 명령을 수신하는 명령어 수행 제어블록이고. CTPM 블록은 기능의 수행을 요구한 후 그 결과를 통보 받아 출력하는 호 추적 및 지정경로 구성 관리블록이며, OC 블록은 출력 제어블록이다.
상기와 같은 전전자 교환기의 소프트웨어 블록들을 이용하여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를 관리하는 과정을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OMP 에 구비된 EC 블록은 운용자로부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톤 번호가 포함된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설정명령을 수신하면 CTPM 블록으로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구성 요구신호를 보낸다.
상기 CTPM 블록은 EC 블록으로부터의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구성 요구신호를 수신하면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가입자선이 아날로그 가입자인지 디지털 가입자인지를 판단하여 디지털 가입자이면 ASP 에 구비된 CTPS 블록으로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장치의 지정경로 구성을 담당하는 프로세스를 생성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낸다.
상기 CTPS 블록은 CTPM 블록으로부터의 프로세스 생성 신호를 수신하면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장치의 지정경로 구성을 담당하는 프로세스를 생성시킨다.
이 때, 상기 CTPS 블록에 생성된 프로세스는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가입자선에 대한 정보를 얻은 후 DCC 블록으로 해당 경로에 대한 점유를 요구하고, 상기 DCC 블록으로부터 해당 경로의 점유 응답을 받으면 DSI 블록으로 운용자 ISDN 전화기(I-Phone)에 링을 송출시키도록 요구하는 신호를 보낸다,
상기 DSI 블록은 CTPS 블록으로부터의 링 송출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망 종단장치(NET)를 통해 운용자 ISDN 전화기(I-Phone)를 제어하여 운용자 ISDN 전화기(I-Phone)가 스스로 링을 송출하도록 한다. 즉, 아날로그 가입자의 경우에는 교환기에서 링을 송출하지만 디지털 가입자의 경우에는 ISDN 전화기(I-Phone)가 직접 링을 송출한다.
그 후, 운용자가 전화벨이 울리고 있는 ISDN 전화기(I-Phone)를 훅-오프(hook-off)하면 DSI 블록은 망 종단장치(NET)를 통해 ISDN 전화기(I-Phone)의 훅-오프를 감지하여 CTPS 블록으로 훅-오프 감지신호를 보내고, 상기 CTPS 블록은 DSI 블록으로부터의 훅-오프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LSL 을 이용하여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톤을 톤 장치(도시되지 않음)에서 지정경로를 따라 운용자 ISDN 전화기(I-Phone)로 송출시킨다. 따라서, 운용자는 ISDN 전화기(I-Phone)를 통해 시험 선택하였던 톤음을 들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CTPS 블록은 CTPM 블록으로 지정경로 구성 및 톤 연결 결과를 알리는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CTPM 블록은 CTPS 블록으로부터의 지정경로 구성 및 톤 연결 결과 신호를 수신하면 MMS(Man Machine Subsystem)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OC 블록으로 하여금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구성 및 톤 연결 메시지를 운용자측의 CRT(Cathode Ray Tube, 도 1에 도시됨)에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톤 번호가 1개이면 CTPS 블록은 톤의 송출을 완료한 다음 10초 후 톤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톤 연결 해제 결과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CTPM 블록으로 출력하며, 상기 CTPM 블록은 CTPS 블록으로부터의 톤 연결 해제 결과 신호를 수신하면 MMS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OC 블록으로 하여금 톤 연결 해제 메시지를 운용자측의 CRT에 출력하도록 한다.
하지만,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톤 번호가 2개 이상이면 CTPS 블록과 CTPM 블록과 OC 블록은 상기에서 설명된 톤의 연결/해제 및 결과 보고를 모든 톤에 대해 반복 수행한다.
그 후,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모든 톤에 대한 톤의 연결/해제 및 결과 보고가 완료된 다음 10초 후나, 운용자가 ISDN 전화기(I-Phone)를 훅-온하면 CTPS 블록은 그것을 인식하여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의 구성을 해제시키고 CTPM 블록으로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구성 해제 결과를 알리기 위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CTPM 블록은 CTPS 블록으로부터의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구성 해제 결과 신호를 수신하면 MMS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OC 블록으로 하여금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구성 해제 메시지를 운용자측의 CRT에 출력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CTPS 블록은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구성을 위해 생성시켰던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결과적으로 운용자는 ISDN 전화기(I-Phone)를 통해 송출되는 톤음을 듣고 CRT 에 디스플레이되는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연결/해제, 톤 연결/해제 메시지 등을 보면서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의 관리를 쉽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의 관리가 쉽고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전전자 교환기의 톤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CSS(Central Control Subsystem)와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가 구비된 전전자 교환기의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각종 서비스 관리방법에 있어서,
    운용자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톤(tone) 번호가 포함된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 설정명령이 입력되면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가입자선에 대한 정보를 구한 후 해당 경로를 점유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 운용자 전화기(디지털 가입자 단말기)가 링을 송출하도록 하여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가 구성되었음을 운용자에게 알리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 후 운용자 전화기가 훅-오프(hook-off)되면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톤을 톤 장치에서 지정경로를 따라 운용자 전화기로 송출하고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운용자에 의해 지정된 모든 톤의 송출이 완료된 후 t1 시간이 경과되었거나 운용자 전화기가 훅-온(hook-on)되면 톤 장치에 대한 지정경로의 연결을 해제하고 그 결과를 운용자에게 보고하는 제 4 단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1 을 10초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
KR1019970072255A 1997-12-23 1997-12-23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운용방법 KR100255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255A KR100255797B1 (ko) 1997-12-23 1997-12-23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255A KR100255797B1 (ko) 1997-12-23 1997-12-23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724A KR19990052724A (ko) 1999-07-15
KR100255797B1 true KR100255797B1 (ko) 2000-05-01

Family

ID=19528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255A KR100255797B1 (ko) 1997-12-23 1997-12-23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7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724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9778A (en) Trunk call processing services for host computer interconnections
KR100255797B1 (ko)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톤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운용방법
KR19990052732A (ko)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중계호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
KR19990052723A (ko) 디지털 가입자간의 자국호 관리를 위한 전전자교환기의 운용방법
KR19990052733A (ko) 디지털 가입자에 대한 안내방송 서비스 관리를 위한 전전자 교환기의 운용방법
KR970004824B1 (ko) 서비스 교환기(tdx-10 ssp)의 안내 방송 장치 다중화 방법
US5828728A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211889B1 (ko) Tdx-10계열 교환기의 호처리장애시 원격교환모듈의 단독기능수행방법
KR960016657B1 (ko) 호의 설정시 넘버 7(No.7) 신호 방식의 연속성 시험 제어 방법
KR100325173B1 (ko) 전전자교환기의 호처리 성능 테스트 방법
KR100230097B1 (ko) 안내대기능을 갖춘 전전자교환기
US6762998B1 (en) Access network system
KR100239053B1 (ko)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중계선상태 출력방법
KR970009543B1 (ko) 운용자에 의한 넘버 7 신호 방식의 연속성 시험 제어방법
KR100284047B1 (ko) 소용량 교환기
KR100285506B1 (ko) 집적디지틀루프캐리어(idlc)가입자회선및통화로시험장치
KR960014418B1 (ko)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의 정보료 수납대행 응용 프로세스용 응용 서비스 요소 시뮬레이터 운용방법
KR100215965B1 (ko) 국설 전전자 교환기의 srasm구조
KR9500094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서비스 번호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인지 방법
KR100293370B1 (ko) Cdma 교환기내의 신호메시지 처리기와 신호터미널간 경로 진단방법
KR100247428B1 (ko) 전전자교환기의 중계선 슬립상태 출력방법
KR100316186B1 (ko) 전자교환기의 가입자정합서브시스팀 성능 테스트 방법
KR0147349B1 (ko)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7 사용자부 출중계선 호처리 방법
KR19990052725A (ko) 전전자 교환기의 장애 메시지 출력방법
KR100211986B1 (ko) 소형 원격 교환장치를 포함한 전전자 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