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4766B1 - Circuit for selecting video input level by using micom - Google Patents

Circuit for selecting video input level by using mic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4766B1
KR100254766B1 KR1019960076827A KR19960076827A KR100254766B1 KR 100254766 B1 KR100254766 B1 KR 100254766B1 KR 1019960076827 A KR1019960076827 A KR 1019960076827A KR 19960076827 A KR19960076827 A KR 19960076827A KR 100254766 B1 KR100254766 B1 KR 100254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level
video level
mode
contr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68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57532A (en
Inventor
전일진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76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4766B1/en
Priority to GB9727412A priority patent/GB2321155B/en
Priority to GB9912188A priority patent/GB2335562B/en
Priority to BRPI9706530-7A priority patent/BR9706530B1/en
Priority to US09/000,821 priority patent/US6191760B1/en
Priority to CN97126155A priority patent/CN1092897C/en
Publication of KR19980057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5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4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47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PURPOSE: A circuit for selecting a video input level using a micro computer is provided to enhance a darkness and color saturation of a brightness by offer the optimum input level mode in accordance with R.G.B video input signal using a micro computer and making a user select the mode. CONSTITUTION: A key control unit(11) makes a user select an execution of a video level selection mode and one mode out of video level modes being displayed on a screen. A micro computer(12) decides a frequency of a signal being inputted in current by receiving vertical/horizontal input frequencies(Hsi, Vsi) inputted from a PC, and controls a series of operations for displaying a screen of a monitor by controlling each unit, and displays a video level mod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unit on OSD screen in accordance with a user's selection, and outputs control signals(VL1_OUT, VL2_OUT) with respect to a video level value corresponded to a video level mode selected by the user out of displayed video level modes. An OSD IC(13) displays a video level mode menu screen on an OSD screen by receiving a control of the micro computer(12). A contrast control unit(14) controls a contrast level of a video transposition amplifier(16) in accordance with a contrast control signal(CONT) of the micro computer(12). A video level control unit(15) receives control signals(VL1_OUT, VL2_OUT) in accordance with the video level mode selected by the key control unit(11), and compensates the contrast level of the contrast control unit(14).

Description

마이컴을 이용한 비디오 입력레벨 선택회로Video input level selection circuit using microcomputer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의 입력 선택회로에 관한 것으로 PC로 부터 입력되는 R.G.B비디오 입력신호에 따라 최적의 입력레벨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므로써, 휘도의 어두움 또는 색 포화를 개선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selection circuit of a video signal, so that it is possible to select an optimal input level according to the R.G.B video input signal input from a PC, thereby improving the darkness or color saturation of luminance.

종래 비디오 신호 레벨 검출회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video signal level detection circuit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입력회로(1)와, 상기 비디오 입력회로의 비디오 신호에 의해 트랜지스터(Q3)에 인가하는 버퍼회로인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에 의해 인가된 신호를 케스코드 증폭하여 브라운관(2)의 화면을 재생하는 트랜지스터(Q2,Q3)와, 저항(R5)을 통한 비디오 입력신호가 일정전압 이상일 때와 온도가 상승시 베이스의 저항(R6)과 써미스터(TH1)에 의해 전위가 높아져 스위칭 출력하는 트랜지스터(Q4)와, 상기 트랜지스터(Q4)에 의해 비디오 출력전압을 자동 조정하도록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 인가하는 트랜지스터(Q5)와,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 저항(R8)(R9)에 연결되어 스위칭 주기를 조절하여 비디오 출력레벨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트랜지스터(Q6)로 구성된다.A video input circuit 1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a transistor Q1 which is a buffer circuit applied to the transistor Q3 by the video signal of the video input circuit, and a signal applied by the transistor Q1. Transistors Q2 and Q3 for reproducing the picture of the CRT 2 by code amplification, the base resistance R6 and thermistor TH1 when the video input signal through the resistor R5 is above a certain voltage and when the temperature rises. The potential is increased by switching the transistor Q4 to switch output, the transistor Q5 to be applied to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3 to automatically adjust the video output voltage by the transistor Q4 and the transistor Q4 It is composed of a transistor Q6 connected to emitter resistors R8 and R9 to adjust the switching period to reduce the video output level.

미 설명부호 Vcc1~Vcc4는 전원, R1~R4, R10~R14는 저항, C1는 콘덴서이다.Unexplained symbols Vcc1 to Vcc4 are power supplies, R1 to R4, R10 to R14 are resistors, and C1 is a capacito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비디오 신호 레벨 검출회로에 대하여 동작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video signal level detection circu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s follows.

비디오 입력회로(1)로 부터 비디오 신호(Vi)가 입력되면 버퍼회로인 트랜지스터(Q1)를 통해 트랜지스터(Q3)에 인가된다.When the video signal Vi is input from the video input circuit 1, it is applied to the transistor Q3 through the transistor Q1 which is a buffer circuit.

상기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입력으로 상기 트랜지스터(Q3)(Q2)는 온 되어 케스코드 증폭을 하여 브라운관(2)의 화면을 재생하게 된다.The transistors Q3 and Q2 are turned on by the base input of the transistor Q3 to perform cascode amplification to reproduce the screen of the CRT 2.

이때,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 기준전압(Ve)이 저항(R10)을 통해 설정되면,베이스 전압(Vb=0.7+Ve) 이므로 베이스 전압(Vb)는 에미터 전압보다 일정전압(0.7V)이상 에서만 동작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emitter reference voltage Ve of the transistor Q4 is set through the resistor R10, the base voltage Vb is a constant voltage (0.7V) rather than the emitter voltage since the base voltage Vb is 0.7 + Ve. This will only work.

즉, 상기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 전압이 변화는 것은 비디오 입력전압이 높거나 제품내부의 온도가 상승하여 써미스터(TH1)의 저항이 떨어졌을 경우 베이스 전압이 상승하고 에미터 기준전위 보다 높아졌을 경우 상기 트랜지스터(Q4)가 동작하여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 전압을 높이게 되므로서,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역 바이어스에 의해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 인가하여 비디오 출력전압을 자동조정 하게 된다.That is, the base voltage of the transistor Q4 is changed when the base voltage is increased and the emitter reference potential is higher than the emitter reference potential when the video input voltage is high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product is increased to decrease the resistance of the thermistor TH1. Since transistor Q4 operates to increase the emitter voltage of transistor Q6, the video output voltage is automatically adjusted by being applied to the emitter of transistor Q2 by the reverse bias of transistor Q6.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Q6)은 스피드 업(SPEED UP) 트랜지스터로서 도 2의 (a)와 같은 신호가 들어왔을 때 주기(T1)동안에 트랜지스터(Q4)의 동작점인데 스타트 전압이므로 오동작하여 도 2의 (b)와 같이 주기 (T1)동안 불확실한 동작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일단 트랜지스터(Q5)가 동작을 시작하게 되면, 상기 트랜지스터(Q4)가 동작하므로 트랜지스터(Q6)는 콘덴서(C1)가 충전하는 동안만 동작하고 충전완료되면 트랜지스터(Q6)는 오프된다.At this time, the transistor Q6 is a speed up transistor, and when the signal as shown in FIG. 2 (a) is input, the operating point of the transistor Q4 during the period T1 is a start voltage. As shown in (b), there is a case in which an uncertain operation is performed during the period T1. Once the transistor Q5 starts to operate, the transistor Q4 is operated so that the transistor Q6 is charged while the capacitor C1 is charged. When only the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charging is completed, the transistor Q6 is turned off.

그리고, 상기 트랜지스터(Q6)의 에미터측에 아주 값이 큰 저항(R11)을 통해 방전하는 콘덴서(C1)가 충전하는 동안에는 콜렉터측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측 저항(R8) 및 저항(R9)으로 구성된 에미터 전압을 낮아지게 하고, 상기 트랜지스터(Q4)의 에미터 전압이 낮아지므로 베이스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The emitter side resistor R8 and the resistor R9 of the transistor Q4 connected to the collector side are charged while the capacitor C1 discharged through the resistor R11 having a very high value is charged on the emitter side of the transistor Q6. And the emitter voltage of the transistor Q4 is lowered, and the base current is increased because the emitter voltage of the transistor Q4 is lowered.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Q4)는 콘덴서(C1)의 충방전 주기에 따라서 트랜지스터(Q4)가 빨리 동작하게 되므로, 이때의 주기가 도 2의 (c)에서와 같은 주기(T1)이므로 빨리 동작시켜서 출력레벨을 감소시켜 화면이 너무 밝아지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since the transistor Q4 operates quickly according to the charge / discharge cycle of the capacitor C1, the transistor Q4 operates as soon as the period T1 is the same as in FIG. Reduce the level so the screen is not too bright.

그러나, 종래의 비디오 신호 검출회로는 열적인 안정과 반도체를 장시간 사용할 때 특성변화분을 보상할 수는 있으나 PC의 비디오 카드에 따라서 입력되는 비디오 레벨이 달라지게 되므로, 현재의 비디오 레벨보다 낮은 경우에는 휘도의 어두움이 발생하게 되고, 높은 입력이 들어올 경우 색 포화 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video signal detection circuit can compensate for the thermal stability and the characteristic change when using the semiconductor for a long time, but the input video level varies according to the video card of the PC. Darkness of the luminance is generated, and when a high input is inp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undamental saturation problem cannot be solved.

본 발명은 PC의 비디오 카드에 따라 입력되는 비디오 레벨이 상이하며, 특히 멀티미디어 환경으로 가면서 많은 보드를 연결시 비디오 레벨의 상이함이 더 많이 발생되는 것을 감안하여 마이컴을 이용하여 R.G.B비디오 입력신호에 따른 최적의 입력레벨 모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하므로써, 휘도의 어두움 및 색 포화됨을 개선시켜 시청자에게 보다 나은 화질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level inputted according to the video card of the PC is different, and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in the video level occurs when connecting many boards while going to the multimedia environment. By providing an optimal input level mode and allowing the user to select it, the brightness and color saturation of the luminance are improved to provide viewers with better picture quality.

제1도는 종래 비디오 신호 레벨 검출을 보인 회로구성도.1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conventional video signal level detection.

제2도는 종래 비디오 신호 레벨 검출회로 각부의 출력파형도.2 is an output waveform diagram of each part of a conventional video signal level detection circuit.

제3도는 본 발명 마이컴을 이용한 비디오 신호 레벨 선택회로의 블록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video signal level selection circuit using the present microcomputer.

제4도는 본 발명 마이컴의 비디오 레벨의 출력상태를 보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output state of the video level of the present microcomputer.

제5도는 본 발명 마이컴의 비디오 레벨 제어과정을 보인 플로우 챠트.5 is a flow chart showing a video level control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icrocomputer.

본 발명 마이컴을 이용한 비디오 입력레벨 선택회로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video input level selection circuit using the microcompu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사용자가 비디오 레벨 선택모드의 실행 선택 및 표시된 화면으로 표시된 비디오 레벨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키이제어부(11)와, PC로 부터 입력되는 수직/수평 입력주파수(Hsi, Vsi)를 입력받아 현재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판별하고, 각 부를 제어하여 모니터의 화면표시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내부 메모리수단에 기 저장된 비디오 레벨 모드를 OSD(On Screen Display) 화면으로 표시하고, 표시된 비디오 레벨 모드중 사용자가 선택한 비디오 레벨 모드에 해당하는 비디오 레벨값에 대한 제어신호(VL1_OUT, VL2_OUT)를 출력하는 마이컴(12)과, 마이컴(12)의 제어를 받아 비디오 레벨 모드 메뉴화면을 OSD 화면으로 표시하여 주기 위한 OSD IC(13)와, 마이컴(12)의 콘트라스트 제어신호(CONT)에 따라 비디오 전치 증폭기(16)의 콘트라스트 레벨을 제어하는 콘트라스트 제어부(14)와, 상기 키이제어부(11)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레벨 모드에 따라 마이컴(12)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VL1_OUT, VL2_OUT)를 입력받아 상기 콘트라스트 제어부(14)의 콘트라스트 레벨을 보상하는 비디오 레벨 제어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Key control unit 11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he execution of the video level selection mode and to select one of the video level modes displayed on the displayed screen, and receives the vertical / horizontal input frequencies (Hsi, Vsi) input from the PC. Determines the frequency of the current input signal, controls each unit to control a series of operations for the display of the monitor, and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e video level mode previously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means to the OSD (On Screen Display) screen. A microcomputer 12 which outputs control signals VL1_OUT and VL2_OUT for the video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video level mode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displayed video level modes, and under the control of the microcomputer 12, the video level mode menu. The control of the video preamplifier 16 according to the OSD IC 13 for displaying the screen on the OSD screen and the contrast control signal CONT of the microcomputer 12. The contrast control unit 14 for controlling the contrast level and the control control unit 14 receiving the control signals VL1_OUT and VL2_OUT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2 according to the video level mode selected by the key control unit 11. And a video level controller 15 for compensating for the contrast level.

그리고, 비디오 레벨 제어부(15)는 비디오 레벨 모드에 따른 신호에 의해 온/오프되어 저항(R22/R24)를 통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출력 트랜지스터(Q11,Q12)로 구성된다.The video level controller 15 includes switching output transistors Q11 and Q12 that are turned on / off by a signal according to the video level mode and are output through the resistors R22 / R24.

미 설명부호 R21,R23은 저항, C11,C12는 콘덴서이다.Reference numerals R21 and R23 are resistors, and C11 and C12 are capacitors.

이와 같은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은 PC의 비디오 카드 및 여러 보드 등에 의해 변동될 수 있는 비디오 레벨폭을 감안하여 설정될 수 있는 비디오 레벨 값을 갖는 비디오 레벨 모드를 미리 마이컴(12)의 내부 메모리수단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비디오 레벨 모드에 대한 메뉴화면을 OSD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여 적정하게 모니터의 콘트라스트 레벨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PC로부터 수평/수직 주파수(Hsi/Vsi)가 입력되면, 이에 따라 마이컴(12)에서는 현재입력되는 주파수를 판별하여, 콘트라스트 제어부(14)에 콘트라스트 제어신호(CONT)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콘트라스트 제어부(14)에서는 비디오 전치증폭기(16)의 비디오 콘트라스트단자(V_CNT)의 콘트라스트 레벨을 조정하여 모니터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haracterized in this way, provides a video level mode having a video level value that can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video level width that can be varied by a video card of a PC and various boards. And the menu screen for the video level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s displayed on the OSD so that the user can select it and adjust the contrast level of the monitor appropriately. Hsi / Vsi) is inputted 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12 determines the currently input frequency, and outputs a contrast control signal CONT to the contrast control unit 14, whereby the contrast control unit 14 outputs a video preamplifier. The contrast level of the video contrast terminal V_CNT at (16) is adjusted to display the screen of the monitor.

이때, PC의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입력 비디오 레벨이 변동이 발생하게 되면, 모니터의 화면상에 휘도의 어두움, 또는 색포화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이러한 경우 키이제어부(11)의 일정 키이를 선택하여 비디오 레벨 모드 선택을 실행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input video level fluctuates due to other factors of the PC, brightness darkness or color saturation may occur on the screen of the monitor.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a predetermined key of the key control unit 11. Select this to execute the video level mode selection.

키이제어부(11)로 부터 비디오 레벨 모드 선태과정의 실행에 대한 키이가 입력되면, 마이컴에서는 마이컴(12)에서는 내부 메모리에 설정된 비디오 모드를 읽어,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도록 OSD 메뉴로서 구현하기 위하여 시리얼 통신 단자(SCL; Serial Clock , SDA, Serial Data)를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When a key for execution of the video level mode selection process is input from the key control unit 11, the microcomputer 12 reads the video mode set in the internal memory and implements it as an OSD menu for the user to arbitrarily select. The corresponding data is output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terminal (SCL; Serial Clock, SDA, Serial Data).

OSD IC(13)에서는 시리얼 통신단자(SCL,SDA)를 통해 입력받은 OSD 데이터를 이용하여 OSD 화면을 구성하기 위하여 해당 OSD R,G,B 출력단(RO, GO, BO) 및 블랭킹 출력(FB)을 비디오 전치 증폭기(16)로 인가하여 OSD 화면으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OSD 메뉴로 표시하여 주게 된다.The OSD IC 13 uses the OSD data input through the serial communication terminals SCL and SDA to configure the OSD screen using the corresponding OSD R, G, and B output terminals (R O , G O , B O ) and blanking output. (F B ) is applied to the video preamplifier 16 to display the OSD menu so that the user can select the OSD screen.

이때, 상기 OSD 메뉴로 표현되는 각 비디오 레벨 모드는 마이컴(12)의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레벨 모드이며, 각 모드별로 입력될 수 있는 주파수에 따른 적절한 비디오 레벨값을 갖도록 설정된 것으로, PC의 비디오 카드 또는 기타 주변 보드로 인하여 변동될 수 있는 비디오 레벨에 대응하는 적절한 비디오 레벨값으로 설정된다.At this time, each video level mode represented by the OSD menu is a video level mode previously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microcomputer 12, and is set to have an appropriate video level value according to a frequency that can be input for each mode. It is set to an appropriate video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video level, which may vary due to the video card or other peripheral board of the camera.

이후, 사용자는 OSD 메뉴를 보고 키이제어부(11)를 통해 원하는 하나의 비디오 모드를 선택하게 되고, 이를 마이컴(12)에서 인식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는 비디오 레벨값을 비디오 레벨 제어부(15) 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user views the OSD menu and selects a desired video mode through the key control unit 11, and the microcomputer 12 recognizes the desired video mode so as to recognize a video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user. The control signal is output to) side.

도 4는 마이컴(12)의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레벨 모드와 이에 해당하는 비디오 레벨 및 마이컴(12)의 제어신호 출력관계를 나타낸 도표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video level mod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microcomputer 12, a video level corresponding thereto, and a control signal output relationship of the microcomputer 12.

마이컴(12)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해당하여 제어신호 출력단(VL1_OUT, VL2_OUT)을 통해 비디오 레벨 제어부(15)로 해당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he microcomputer 12 outputs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the video level controller 15 through the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VL1_OUT and VL2_OUT correspon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user.

사용자가 선택한 비디오 레벨 모드가 '0' 일 경우 비디오 레벨 제어신호 출력단자(VL1_OUT,VL2_OUT)는 로우가 되어 비디오 레벨 제어부(15)의 트랜지스터(Q11,Q12)는 오프되므로 상기 마이컴(12)에서 설정한 비디오 레벨 0의 콘트라스트가 콘트라스트 제어부(14)에 인가된다.If the video level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0', the video level control signal output terminals VL1_OUT and VL2_OUT become low, and the transistors Q11 and Q12 of the video level controller 15 are turned off, and thus the microcomputer 12 is set. Contrast of one video level 0 is applied to the contrast control unit 14.

그리고, 비디오 레벨 모드가 '1' 일 경우 마이컴(12)의 비디오 레벨출력단자 VL1_OUT은 로우, VL2_OUT은 하이상태로 되므로 비디오 레벨 제어부(15)의 트랜지스터(Q11)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12)는 온 동작상태로 되어 저항(R24)에 의해 제한된 전압만큼 콘트라스트 제어부(14)를 통하여 비디오 콘트라스트 단자(V-CNT)에 비디오 레벨 1에 의해 다운된 전압이 인가된다.When the video level mode is '1', the video level output terminal VL1_OUT of the microcomputer 12 goes low and VL2_OUT goes high, so the transistor Q11 of the video level controller 15 is turned off, and the transistor Q12 is turned on. The voltage lowered by the video level 1 is applied to the video contrast terminal V-CNT through the contrast control unit 14 by a voltage limited by the resistor R24 in the on-operation state.

상기 비디오 레벨 모드가 '2' 일 경우 VL1_OUT은 하이, VL2_OUT은 로우상태로 되므로 비디오 레벨 제어부(15)의 트랜지스터(Q12)는 오프되고, 트랜지스터(Q11)는 온 동작상태로 되어 저항(R22)에 의해 제한된 전압만큼 다운된 비디오 레벨 2의 전압이 콘트라스트 제어부(14)에 인가된다.When the video level mode is '2', VL1_OUT becomes high and VL2_OUT goes low, so transistor Q12 of the video level controller 15 is turned off and transistor Q11 is turned on to provide resistance to resistor R22. The video level 2 voltage down by the limited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trast control unit 14.

그리고, 비디오 레벨 모드가 '3'일 경우 VL1_OUT 및 VL2_OUT 모두 하이상태로 되므로 비디오 레벨 제어부(15)의 트랜지스터(Q11)(Q12)는 동작상태가 되어 저항(R22,R24)에 의해 분압된 전압만큼의 다운된 비디오 레벨 '3'의 전압이 콘트라스트 제어부(14)로 인가된다.When the video level mode is '3', both the VL1_OUT and the VL2_OUT go high, so the transistors Q11 and Q12 of the video level control unit 15 are in an operating state and are divided by the voltages divided by the resistors R22 and R24. A voltage of the down video level '3' is applied to the contrast control unit 14.

콘트라스트 제어부(14)에서는 마이컴(12)의 콘트라스트 신호 출력(CONT)에 의해 비디오 전치 증폭기(16)의 콘트라스트 단자(V_CNT)에 콘트라스트 레벨을 인가하여 모니터의 콘트라스트를 제어하게 되는 바, 상기에서와 같이, 비디오 레벨 제어부(15)에서는 비디오 레벨에 따른 콘트라스트 전압을 콘트라스트 제어부(14)로 인가하여 비디오 전치증폭기(16)의 콘트라스단자(V_CNT)로 인가되는 콘트라스트 레벨을 보상하게 된다.The contrast control unit 14 controls the contrast of the monitor by applying a contrast level to the contrast terminal V_CNT of the video preamplifier 16 by the contrast signal output CONT of the microcomputer 12. The video level controller 15 applies a contrast voltage according to the video level to the contrast controller 14 to compensate for the contrast level applied to the contrast terminal V_CNT of the video preamplifier 16.

따라서, PC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에 따라 휘도의 어두움이나 포화되지 않는 최적의 비디오 레벨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선택할수 있도록 하여 휘도의 어두움이나 색 포화를 사용자가 적응적으로 방지할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select an optimal video level at which brightness is not dark or satura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signal input from the PC,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adaptively prevent the brightness or color saturation.

도 5는 이와 같은 동작과정을 플로우챠트로 나타낸 것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such an operation process.

본 발명은 PC의 비디오 카드 또는 기타 보드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비디오 레벨의 변동을 예상하여 비디오 레벨값을 갖는 각각의 비디오 레벨 모드를 설정하여 두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OSD 메뉴로 선택가능한 비디오 레벨 모드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한 비디오 레벨 모드에 해당하는 비디오 레벨값을 이용하여 모니터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비디오 레벨의 변동으로 인한 화면상태를 사용자가 간단히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ts each video level mode having a video level value in anticipation of a change in video level that may be caused by a video card or other board of a PC, an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a video selectable with an OSD menu. By providing a level mode and controlling the screen of the monitor by using the video level value corresponding to the video level mode selected by the user,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screen state caused by the variation of the video level.

Claims (2)

사용자가 비디오 레벨 선택모드의 실행 선택 및 표시된 화면으로 표시된 비디오 레벨 모드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키이제어수단과, PC로 부터 입력되는 수직/수평 입력주파수를 입력받아 현재 입력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판별하고, 각 부를 제어하여 모니터의 화면표시를 위한 일련의 동작을 제어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내부 메모리수단에 기 저장된 각각의 비디오 레벨값을 갖는 비디오 레벨 모드에 대한 선택과정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사용자 선택을 위한 비디오 레벨 모드 메뉴화면을 OSD 화면으로 표시하여 주기위한 OSD 표시수단과, 상기 키이제어수단에 의해 선택된 비디오 레벨 모드에 따라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영상표시수단의 콘트라스트 레벨을 제어하는 콘트라스트 제어수단의 콘트라스트 레벨을 보상하는 비디오 레벨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컴을 이용한 비디오 입력레벨 선택회로.Key control means for allowing the user to select the execution of the video level selection mode and to select one of the video level modes displayed on the displayed screen, and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the currently input signal by receiving the vertical / horizontal input frequency input from the PC. And controlling each unit to control a series of operations for displaying the screen of the monitor, and to control execution of a selection process for a video level mode having respective video level values stored in internal memory mean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Means, an OSD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a video level mode menu screen for user selection as an OSD scre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the video level mode selected by the key control means. The contrast control number for controlling the contrast level of the video display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microcomputer to the video input level selecting circuit, characterized by a composed video including level control means for compensating the contrast lev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내부 메모리수단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레벨 모드는 하나이상의 비디오 레벨 모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비디오 레벨 모드에 해당하는 비디오 레벨값들은 PC의 비디오 카드 및 보드 등에 의하여 변동될 수 있는 비디오 레벨 변동폭을 감안하여 설정된 값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컴을 이용한 비디오 입력레벨 선택회로.The video level mode stored in the internal memory means of the microcomputer is one or more video level modes. The video level values corresponding to each video level mode are determined by a video card and a board of a PC. A video input level selection circuit using a microcompu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t values in consideration of the fluctuation range of the video level.
KR1019960076827A 1996-12-30 1996-12-30 Circuit for selecting video input level by using micom KR1002547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827A KR100254766B1 (en) 1996-12-30 1996-12-30 Circuit for selecting video input level by using micom
GB9727412A GB2321155B (en) 1996-12-30 1997-12-29 Video input level control circuit in a video appliance
GB9912188A GB2335562B (en) 1996-12-30 1997-12-29 Video input level control circuit in a video appliance
BRPI9706530-7A BR9706530B1 (en) 1996-12-30 1997-12-30 control circuit of the video input level on a video display device.
US09/000,821 US6191760B1 (en) 1996-12-30 1997-12-30 Video input level control circuit in a video appliance
CN97126155A CN1092897C (en) 1996-12-30 1997-12-30 Video input level control circuit in video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6827A KR100254766B1 (en) 1996-12-30 1996-12-30 Circuit for selecting video input level by using mic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32A KR19980057532A (en) 1998-09-25
KR100254766B1 true KR100254766B1 (en) 2000-05-01

Family

ID=19492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6827A KR100254766B1 (en) 1996-12-30 1996-12-30 Circuit for selecting video input level by using mic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476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53B1 (en) * 2001-10-12 2004-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od for automatically color adjusting for a moni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878A (en) * 1995-04-28 1996-11-25 배순훈 Video / Audio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Televi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878A (en) * 1995-04-28 1996-11-25 배순훈 Video / Audio Level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Televi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532A (en)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3317A (en) On-screen display device for a multimode monitor and method thereof
US55550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a video state of a video display having a picture-in-picture function
KR100256885B1 (en) Non-linear luminance signal processor responsive to average picture level of displayed image
KR100254766B1 (en) Circuit for selecting video input level by using micom
JP2821120B2 (en) Image display circuit
US4241361A (en) Tuning voltage display device for a color television receiver with an electronic tuner
KR200156516Y1 (en) Circuit for controlling contrast of osd in a monitor
JPH0870411A (en) Television receiver provided with nonlinear processing function that is selectively inhibited puring multiplex image video signal reception
KR100262366B1 (en) Video input level automatic selection circuit
KR100200824B1 (en) Fading speed control circuit
KR970009454B1 (en) On screen display signal device
KR100246769B1 (en) Image processing circuit of monitor
KR0150092B1 (en) Image input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of monitor
KR0118645Y1 (en) Video character mixer circuit
KR910007192Y1 (en) On-screen signal output circuit
JP3211384B2 (en) Video control circuit
KR20000014602U (en) Contrast automatic adjustment circuit for monitor
KR19990003618U (en) Brightness Compensation Circuit of Screen in Monitor
KR930000655Y1 (en) Color signal band compensative circuit
KR100253148B1 (en) Method for preventing cut of lower part of ttx
KR0178183B1 (en)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clamp signal generation
KR19990039754A (en) Television's Dynamic Equalizer Display System
KR0116299Y1 (en) O.s.d.circuits
KR19990019817A (en) Character Stabilization Device and Method of Image Display Device
KR19980047488U (en) Bias Voltage Supply Circuit for Mon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