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3917B1 - Magnet chuck - Google Patents

Magnet chu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3917B1
KR100253917B1 KR1019970046354A KR19970046354A KR100253917B1 KR 100253917 B1 KR100253917 B1 KR 100253917B1 KR 1019970046354 A KR1019970046354 A KR 1019970046354A KR 19970046354 A KR19970046354 A KR 19970046354A KR 100253917 B1 KR100253917 B1 KR 100253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orkpiece
magnetic
plate
magnet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3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4451A (en
Inventor
이용구
Original Assignee
이용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구 filed Critical 이용구
Priority to KR1019970046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917B1/en
Publication of KR19980024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4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9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Devices for holding work using magnetic or electric force acting directly on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3/00Work clamping
    • B23Q2703/02Work clamping means
    • B23Q2703/10Devices for clamping workpieces of a particular form or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PURPOSE: A magnet chuck is provided to improve adsorption efficiency of workpieces by increasing strength and density of a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a core at all over an electromagnet. CONSTITUTION: A coil(7) is wound on a core(5), and the core is fixed on a table of a machining center via a strut core. By us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core, a workpiece is fixed. The core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ectangular hexahedron, and many cores are stood spacing apart from each other. A fixing body(9) is formed between the cores by molding-injection of synthetic resin for fixation of the coil. Upper and lower faces of the core are exposed in the fixing body. While a magnet chuck is magnetically fixed on the table by application of electric currents, magnetic fixation of the workpiece is realized by placing the workpiece onto a specific portion of a workpiece fixing face(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Therefore, proper processing of the workpiece is performed.

Description

마그네트척Magnet chuck

본 발명은 각종 공작기계에 적용되어 피가공물을 자력에 의해 고정시키도록 된 마그네트척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그네트척의 전자석을 이루는 다수의 코아 자체를 피가공물 고정면과 공작기계의 테이블 접촉 고정면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구조로서 제작이 용이하고, 상기한 각 코아는 각각 독립적으로 균일한 자력발생을 갖고 흡착(자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피가공물의 고정이 확실하고 부분통전 사용으로 인하여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하며, 피가공물의 작업여건에 따라서 보조적인 기능을 월등히 향상시킨 마그네트척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 chuck applied to various machine tools to fix a workpiece by magnetic force.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cores constituting an electromagnet of the magnet chuck are utilized as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and the table contact fixing surface of the machine tool. It is easy to manufacture as the structure, and each core has a uniform magnetic force independently, so that adsorption (self-adhesion) is carried out, the workpiece is secured and economical operation is possible due to the use of partial energiz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 chuck that greatly improves ancillary functions according to the work conditions of the workpiece.

일반적으로 종래의 마그네트척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피가공물 고정면 역할을 하는 베드(100)와, 이 베드의 하부에 하우징역할을 하면서 내부코아(202)에 코일(204)이 감겨진 전자석(200)과를 본체로서 결합구성되었다. 이러한 마그네트척은 작동시 전자석(200)으로부터 발생된 자력이 베드(10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베드(100)의 상부에 피가공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소정의 가공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general, a conventional magnet chuck,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bed 100, which serves as a fixed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coil 204 in the inner core 202 while acting as a housing at the bottom of the bed The wound electromagnet 200 was combined with the main body. The magnet chuck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electromagnet 200 to the bed 100 during operation and thus to fix the workpiece on the upper part of the bed 100 to perform a predetermined machining operation. .

이때, 상기 베드(100)의 경우에는 자성체 금속판(102)에 일정간격으로 설치공(104)을 형성하고 이 설치공에 자성체 금속봉(106)을 끼워 설치하되, 자성체 금속판(102)과 자성체 금속봉(106) 사이엔 비자성체인 황동판을 납땜방식이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상호 이격된 상태로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베드(100)와 전자석(200)의 결합이 자성체 금속봉(106)들은 전자석(100)의 중앙코아(202a)와 접하고, 자성체 금속판(102)은 외측코아(202b, 202b)와 접하게 되어 상기 금속봉(106)과 금속판(102)은 상호 극성을 달리하여 베드(100) 상부에서 피가공물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bed 100, the installation hole 104 is formed in the magnetic metal plate 102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magnetic metal rod 106 is inserted into the installation hole, but the magnetic metal plate 102 and the magnetic metal rod ( 106) in the state in which the non-magnetic brass plate is fixedly install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using a soldering method or adhesive, the combination of the bed 100 and the electromagnet 200 is a magnetic metal rods 106 of the electromagnet 100 The core core 202a is in contact with the magnetic metal plate 102 and the outer cores 202b and 202b so that the metal rod 106 and the metal plate 102 have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to fix the workpiece on the bed 100. It is configured to be.

그러나, 전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마그네트척은 코아와 코일로 이루어진 전자석에 이와는 별개로 피가공물이 안착되는 베드와 함께 공작기계의 테이블과 접촉되는 외부 코아를 별도 형성하여 결합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상당히 까다롭고 이로 인해 마그네트척의 가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magnet chuck as described above has to separately form and combine the external core contacting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with the bed on which the workpiece is placed separately in the electromagnet consisting of the core and the coil, the manufacturing is considerably performed. This was difficult and caused the price of the magnet chuck to rise.

또한, 상기 전자석을 이루는 코아는 그 형태가 E자 형상이고 일체형의 획일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일정간격 이격된 자성체 금속봉(106)에 대하여 중앙코아(202a)를 90도 방향으로 접한 상태로 코일(204)이 상기 중앙코아(202a)에 권선된 구조인바, 상기 코일(204)의 전류통전에 의한 자력선의 발생이 상기 자성체 금속봉의 길이방향 중앙부에서만 발생되어 그 양단부에서는 자속밀도가 약하여 그 부위에서의 피가공물의 흡착(자착) 효율이 상당한 정도로 저하되었고, 또한 전자석의 피가공물 고정면 중 일부분만 사용하는 경우에도 전부위에 걸쳐 자력이 발생되어 마그네트척으로서의 활용이 효율적이질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In addition, the core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 has an E-shape and a unitary uniform configuration, and in particular, the core (202a) in contact with the central core 202a in a 90-degre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agnetic metal rod 106 spaced at regular intervals. 204 is a structure wound around the central core 202a, the generation of the magnetic force line by the current conduction of the coil 204 occurs only in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magnetic metal bar, the magnetic flux density at both ends thereof is weak, The adsorption (self-adhesion) efficiency of the workpieces has decreased considerably, and even when only a part of the fixed surfaces of the workpieces of the electromagnets are used, magnetic force is generated over all of them, so that the utilization as a magnet chuck is not efficient.

따라서, 상기 자성체 금속봉(106)의 양단부에서의 자속밀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코일(204)을 권선한 상태에서 전류의 세기를 높여줄 수밖에 없는바, 이러한 것은 결국 마그네트척의 비대화 및 권선코일로부터 열발생이 높아 수명이 단축을 갖을 수밖에 없었다. 특히 상기 자성체 금속봉(106)과 비자성체의 황동판은 그 열팽창계수가 달라서 장기간 사용할 때에 납땜이 떨어지면서 상기 비자성체의 황동판이 불거져 튀어나와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magnetic flux density at both ends of the magnetic metal rod 106, it is inevitable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current while winding more coils 204, which in turn causes heat from the enlargement of the magnet chuck and the winding coil. Due to the high occurrence, the service life was inevitably shortened. In particular, the magnetic metal rod 106 and the non-magnetic brass plate has a defect in that the non-magnetic brass plate is blown out due to different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s, and thus the solder is dropped during long-term use.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마그네트척(전자석)은 피가공물을 상부의 단일면에만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그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되었고, 피가공물의 가공이 직각이나 기타 각도로의 가공작업이 필요시에는 별도의 보조기구를 이용하여야만 그 고정이 수행될 수 있기 때문에 마그네트척으로의 피가공물 고정작업이 상당히 번거롭고 노력의 수고가 과다한 문제점이 있었다.Moreover, such a conventional magnet chuck (electromagnet) can be fixed only to a single side of the workpiece, its use range is extremely limited, and when the workpiece is processed at right angles or other angles, Since the fixing can be performed only by using the auxiliary device, the work of fixing the workpiece to the magnet chuck is quite cumbersome and the effort of the effort is excessive.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마그네트척이 갖는 여러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가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베드와 공작기계의 테이블상에 접촉, 고정되는 외측코아를 별도 형성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부착되어 하나이상의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부착,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어 마그네트척의 기능효율을 극대화하고, 전자석의 피가공물 고정면 중 사용하고자하는 부위만 전기를 통전시켜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하며, 피가공물에 대한 고정작업과 가공작업이 별도의 보조기구 없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사용의 편리성 및 작업성의 극대화, 그리고 구조개선에 의한 부분 전기통전시 열팽창의 최소화로 정밀가공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한 마그네트척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researched and developed to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agnet chuck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uter core contacted and fixed on a table of a machine tool and a bed for fixing a work piece. It is attached to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even if it is not formed separately, so that one or more workpieces can be attached and fixed stably, maximizing the functional efficiency of the magnet chuck, and energizing only the part to be used among the fixed surfaces of the electromagnet workpiece. It can be operated economically by making it operate, and the fixed work and the work work on the workpiece are done efficiently without any auxiliary device, so the convenience and workability are maximized and the thermal expansion is minimized when the part is energized by structural improvement. To provide a magnet chuck for precision machining .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석을 이루는 코아의 구조를 단일체별 권선구조로 변형하여 코아로부터 발생되는 자력의 세기 및 밀도를 전자석의 전부위에 걸쳐 강화시키어서 피가공물의 흡착(자착)능률을 최대한 향상시킨 마그네트척을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nsform the core structure of the electromagnet into a single-piece winding structure to reinforce the strength and density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core over the whole of the electromagnet magnet magnet to improve the adsorption (self-adhesion) efficiency of the workpiece to the maximum In providing.

본 발명의 상기 목적 구현은 마그네트척의 피가공물 고정면을 적어도 1면이상으로 형성하되, 상기 피가공물 고정면과 함께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테이블접촉 고정면을 개개의 코아표면으로서 형성되는 전자석으로 하고, 상기 각 코아는 각각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방향으로 개별 권선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인 자력발생을 위한 가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The object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workpiece fixing surface of the magnet chuck at least one surface, the table contact fixing surface which is fixed in contact with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together with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is formed as an individual core surface By using an electromagnet, the cores can be achieved by individually winding each of the cores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ir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s so that the cores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마그네트척을 보여주는 외관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typical magnet chuck.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보여주는 외관사시도.Figure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일부절결 횡단면도.4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FIG. 3.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도.5 is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된 코아의 외관사시도.Figure 6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core applied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례를 나타낸 종단면도.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일부절결 횡단면도.8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FIG. 7.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도.Figure 9 i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8;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례에 적용된 코아의 외관사시도.10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ore applied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낸 일부절결 횡단면도.Figure 11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다른 실시예도.12 is another embodiment of FIG.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여러 다른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13 to 16 show various other examp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코아가 F자 형태로서 2면의 피가공물 고정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Fig. 1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core has an F-shape and a workpiece fixing surface on two sides is formed.

도 14는 코아가 E자 형태로서 3면의 피가공물 고정면이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Fig. 1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core has an E-shape in which three fixed workpieces are formed;

도 15는 코아의 일측이 일정각도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one side of the core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도 16은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피가공물 고정면이 다면으로 형성될 경우 각 피가공물 고정면상으로 균일한 자력의 공급을 위해 코아가 경사져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종단면도.Figure 1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core is inclined for supplying a uniform magnetic force on each workpiece fixed surface when the workpiece fixed surface is formed as a multi-sided as shown in FIGS.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의 일부절결 분해사시도.17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도 17의 또 다른 변형례의 일부절결 분해사시도.18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FIG. 17;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의 분해사시도.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0은 도 19의 결합상태에서 종단면도.2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the engaged state of FIG. 19;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례의 일부절결 사시도.2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still another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2는 도 21의 일부절결 사시도.FIG. 22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FIG. 21; FIG.

도 23은 도 21의 다른 변형례의 일부절결 사시도.Fig. 23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other modification of Fig. 21.

도 24는 도 23의 일부절결 발췌 종단면도.FIG. 2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excerpt longitudinal section of FIG. 23; FIG.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분해사시도.25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6은 도 25의 결합상태에서 종단면도.FIG. 2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the engaged state of FIG. 25; FIG.

도 27은 도 25의 결합상태에서 일부절결 횡단면도.FIG. 27 is a partially cutaway cross sectional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FIG. 25; FIG.

도 28은 도 26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28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FIG. 26;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분해사시도.29 is a partially cuta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0은 도 29의 결합상태에서 일부절결 횡단면도.30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FIG. 29;

도 31은 도 29의 결합상태에서 종단면도.FIG. 3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the engaged state of FIG. 29; FIG.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분해사시도.3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3은 도 32의 결합상태에서 일부절결 분해사시도.3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rtially cut away in the coupled state of FIG.

도 34는 도 32의 결합상태에서 종단면도.34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the engaged state of FIG. 32;

도 3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저면사시도.35 is a partially cutaway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은 도 35의 종단면도.3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35;

도 37은 도 35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종단면도.FIG. 3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FIG. 35; FIG.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분해사시도.38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9는 도 38의 결합상태에서 종단면도.39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in the engaged state of FIG. 38;

도 40은 도 38의 결합상태에서 일부절결 횡단면도.40 is a partially cutaway cross-sectional view in the engaged state of FIG. 38;

도 4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일부절결 사시도.41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ye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2는 도 41의 측방향 일부절결 종단면도.FIG. 42 is a side cutaway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FIG. 41;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피가공물 고정면 1' : 테이블접촉 고정면1: Workpiece fixing surface 1 ': Table contact fixing surface

5 : 코아 7 : 코일5: core 7: coil

9 : 고정체9: fixed body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즉,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목적을 구체화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실시예로 제공되는바, 먼저 바람직한 일례로 도시된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10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various embodiments to embody the above-mentioned objects. Firs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10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형상을 갖는 코아(5)에 코일(7)을 권선하고, 이 코일(7)이 권선된 코아(5)를 받침코아를 매개로 하여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고정하며, 코아(5)에서 발생된 자력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마그네트척에 있어서, 상기 코아(5)는 가로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세워진 상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코아(5) 사이에 상기 코일(7)을 고정하기 위해 비자성체 재질인 합성수지재가 몰딩 주입되어 고정체(9)를 이루되 상기 코아(5)의 2면, 바람직하게는 상하면이 상기 고정체(9)로부터 노출되게 몰딩 주입되어 구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the coil 7 is wound around a core 5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and the coil 5 on which the coil 7 is wound is supported by the core. A magnet chuck fixed to a table and formed to fix a workpiece by using a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core 5, wherein the core 5 is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orizontally and a plurality of them are erected. It is arrange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state, in order to fix the coil (7) between each of the core (5) a synthetic resin material of a non-magnetic material is molded injection to form a fixed body (9) of the core (5) Two sides, preferab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molded injection molded so as to be exposed from the fixture 9.

상기와 같이 고정체(9)에 몰딩 주입된 후 코아(5)의 상하면에는 각각 피가공물 고정면(1)과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접촉되어 고정되는 테이블 접촉 고정면(1')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molding is injected into the fixing body 9, a table contact fixing surface 1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re 5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and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respectively.

이때, 상기 각 코아(5)는 그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방향으로 코일(7)이 권선되어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각각 독립적인 자력발생을 위한 가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each of the cores 5 are configured to be movable for the independent magnetic force genera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coils 7 are woun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 4와같이 각 코아(5)마다 코일(7)이 감싸여진 상태로 상호간이 일정간격 이격되거나, 또는 도 5와같이 코아(5)가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7)이 감싸여진 상태로 그 주위에 고정체(9)와 같은 비자성체 소재를 충진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의 상기 코아(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4, the coils 7 are wrapped for each core 5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as shown in FIG. 5, the cores 5 are skipped one by one and the coils 7 are wrapped. The core 5 can be filled with a nonmagnetic material such as a fixture 9, and the core 5 of this embodiment is formed integrally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한 코아(5)의 형태는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의 부품조합으로 이룰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코아(5)와 코아(5) 사이로 고정체(9)와 함께 별도의 비자성체박판(52)을 개재시킬 수 있고, 코아(5)의 코일(7) 권선은 상기 도 4 및 도 5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코아마다, 또는 하나씩 건너띄운 상태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core (5) can be formed of a plurality of parts combination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7 to 10, in this case, the stationary body (9) between the core (5) and the core (5) With a separate non-magnetic thin plate 52 can be interposed, the winding of the coil 7 of the core (5) can be in the state of each core, or one skipped as in the above 4 and 5 above.

한편, 첨부도면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 각각 독립적인 자력발생을 위해 그 가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코아(5)에서 부분적인 자력의 발생으로 인해 공작기계의 테이블과 상호 완전하게 흡착(자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이로인해 피가공물에 대한 가공도중 마그네트척이 흔들리는 위험요소가 있어 이를 보완하고자 한 것으로, 다수의 코아(5) 저부에는 이와 동일한 재질의 받침코아(5c)를 결합시켜주는 것에 의해, 상기 코아(5)의 개별 또는 부분동작으로 자력의 발생분포가 편중되더라도 받침코아(5c)는 전체가 자화되어 공작기계의 테이블과 견고하게 자착됨으로써, 마그네트의이 자착고정력에 대하여 신뢰성을 보장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11 and Figure 12 i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which is completely independent of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due to the generation of a partial magnetic force in the core (5), each of which is individually operated for the independent magnetic force generation It may occur when not adsorbed (self-adhesion), and this is to compensate for the risk that the magnet chuck is shaken during the processing of the workpiece, the bottom core of the core (5) a number of support cores of the same material ( By combining 5c), even if the distribution of the magnetic force is biased by the individual or partial motion of the core 5, the support core 5c is magnetized entirely and firmly self-holds with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thereby causing the magnetic Reliability is ensured against fixation force.

첨부도면 도 13 내지 도 16은 전술한 본 발명의 마그네트척을 이용하여 제작이 가능한 여러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적용되는 외측코아(5b)와 코아(5)를 상호 결합형태로 형성하고, 그 형상을 다양화하여 복수의 피가공물 고정면(1)을 1면 이상 상호간 직각형태 또는 직각형태가 아닌 예각이나 둔각형태로서 형성함으로써, 피가공물 고정면(1) 상호간에 소정각도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13 to 16 illustrate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manufactured using the above-described magnet chuck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uter core 5b and the core 5 applied thereto are formed in a mutually coupled form. By varying the shape, the plurality of workpiece holding surfaces 1 are formed as acute or obtuse rather than at least one surface or at right angles, so that the workpiece holding surfaces 1 have a predetermined angle. Shows that it can.

즉, 첨부도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아(5)의 상부면에 수평부(5a')와 수직부(5b')가 절곡된 "

Figure kpo00002
"자 형상으로된 외측코아(5')를 구비하되, 외측코아(5')의 수직부(5b') 내측과 코아(5)의 상부면을 고정 결합하여 수평부(5a')와 수직부(5b')의 외측면에 각각 피가공물을 자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13, the horizontal portion 5a 'and the vertical portion 5b' are b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5 ".
Figure kpo00002
"Horizontal core 5 'having a shape, but the horizontal portion 5a' and the vertical portion by fixing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5b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5' Each of the workpieces on the outer surface of 5b 'can be fixed by magnetic force.

그리고, 도 14에서처럼, 코아(5)의 상부면과 각지게 절곡된 역유자 형상의 수평부(6b)와 한쌍의 수직부(6a, 6c)로된 외측코아(6)를 구비하되, 외측코아(6)의 수직부(6a, 6c)의 내측과 코아(5)의 상부면을 고정 결합하여 수평부(6b)와 수직부(6a, 6c) 양외측면이 각각 피가공물을 자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And, as shown in Figure 14,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5) has an inverted shape of the horizontal portion 6b and the outer core 6 consisting of a pair of vertical portions (6a, 6c), the outer core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s 6a and 6c of 6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5 are fixedly coupled so that the horizontal portions 6b and both outer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s 6a and 6c can respectively fix the workpiece by magnetic force. Make sure

즉, F자 또는 E자 형태의 외측코아(5', 6)로서 직각형태인 2면 또는 3면의 피가공물 고정면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That is, it shows that the work surface fixed to two or three sides which are orthogonal form is formed as the outer cores 5 'and 6 of F shape or E shape.

한편, 도 15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루는 코아(5)의 일측이 경사면 또는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수직부(6a)의 외측면은 수평부(6b)의 외측면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받침코어(5c)를 형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5 shows that one side of the core 5 formed to form an inclined surface or a predetermined angle,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6a)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6b) The angle is formed to be inclined. At this time, the support core 5c may be form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S. 11 and 12.

상기와 같이 피가공물 고정면(1)이 다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도 16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피가공물 고정면(1)의 상호 절곡부위와 동시에 접촉되도록 외측코아(5', 6)를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의 각 피가공물 고정면(1)상에 전달되는 코아(5)로부터 발생된 자력의 분포상태를 더욱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is formed in a multiple face, as shown in FIG. 16, the outer cores 5 'and 6 are predetermi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utually bent portions of the workpiece fixing surfaces 1 at the same time. By inclining at an angle, it is possible to more uniformly maintain the distribution state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from the cores 5 transmitted on the workpieces 1 above.

한편, 첨부도면 도 17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일례로서, 피가공물 고정면(1)이 평활한 상태의 마그네트척으로는 고정설치가 상당히 까다로운 원형, 라운드의 단면형태를 갖는 피가공물, 또는 평면이 휘어 있는 상태의 피가공물에 대하여 활용가능한 예를 보여준다.On the other h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s 17 to 24 is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piece having a circular, round cross-sectional shape, which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fixed to the magnet chuck in the state where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is smooth, or An example is available for the workpiece with the plane bent.

즉, 첨부도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코아(5)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또는 그 길이방향으로 V형 횡홈(53)을 형성하되, 동일형상 및 구조를 갖는 마감부재(4)를 분리가능케 구비하여서 원형 또는 라운드 형태의 단면을 갖는 피가공물 또는 평면이 휘어있는 상태의 피가공물의 가공시에는 상기 마감부재(4)를 분리하여 고정면(1)이 V형으로 형성되도록하여 고정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평면 마그네트척의 활용시에는 상기 마감부재(4)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V-shaped transverse grooves 53 are formed in the orthogonal direction 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core 5, but the finishing member 4 having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When the workpiece having a circular or round cross section or a workpiece having a flat curved shape is separated, the finishing member 4 is separated so that the fixed surface 1 is formed in a V shape. Installation can be performed, and when the use of a flat magnet chuck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finishing member (4).

또한, 첨부도면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아(5)의 일측으로 나사공(54)을 천공형성한 상태에서, 이와 일치되는 위치에 관통공(51a)이 형성되어 있고 자성체금속봉(51)과 비자성체박판(52)의 상호 교번적인 부착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피가공물 이탈방지부재(6)를 별도 구비하되, 상기 나사공(54)과 관통공(51a)을 상호 일치시키고 통상의 체결볼트로써 체결고정하는 것에 의해 코아(5)상으로 상기 피가공물 이탈방지부재(6)를 선택적으로 결합설치시켜 상기한 원형, 라운드의 단면형태를 갖는 피가공물 또는 평면이 휘어 있는 상태의 피가공물에 대한 고정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19 and 20, through holes 51a are form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s in the state where the screw holes 54 are drilled to one side of the core 5, and a magnetic metal rod ( 51) and the workpiec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6 made by alternating attachment and coupling of the non-magnetic thin plate 52 is provided separately, and the screw hole 54 and the through hole 51a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normal fastening By fastening and fastening with bolts, the workpiec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6 is selectively installed and installed on the core 5 to a workpiece having a circular or round cross-sectional shape or a workpiece in a curved state. Fixed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즉,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코아의 외측면상에는 자성체봉과 비자성체박판이 상호 교번적인 부착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피가공물 이탈방지부재가 조립,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다.That i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to which the workpiece is fixed, the workpiec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made of the magnetic rod and the nonmagnetic thin plate alternately attached to each other is assembled and detachably installed.

또한,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같이 코아(5)의 일측으로 요홈(55)을 형성하고 이와 일치되는 형상을 갖는 사각단면의 승, 하강부재(8)를 별도로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요홈(55)과 승, 하강부재(8)의 상호 대향면상에는 각각 스프링삽입홈(55a)(8a)을 형성하고, 상기 각 스프링삽입홈(55a)(8a)내에는 스프링(8b)을 개재시켜 주는 것에 의해 하중이 부여되지 않는한 승, 하강부재(8)는 스프링(8b)의 탄발력으로써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여 원형, 라운드의 단면형태를 갖는 피가공물 또는 평면이 휘어 있는 상태의 피가공물에 대한 고정설치하고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21 and 22, the groove 5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re 5, and in a state in which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s 8 having a rectangular cross section having a shape matching the same are provided separately, Spring insertion grooves 55a and 8a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mutually opposing surfaces of the recess 55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8, and springs 8b are interposed in each of the spring insertion grooves 55a and 8a.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8 maintains the raised state by the spring force of the spring 8b, unless the load is applied to the workpiece, and the workpiece having the circular or round cross-sectional shape or the curved surface is bent. Can be fixed and processed on the workpiece.

또한, 도 23 및 도 24는 도 21 및 도 22의 변형례로서 다른점은 코아(5)의 전 길이방향으로 요홈(55)을 형성하고 이 요홈에 맞는 원형단면의 승, 하강부재(8')를 상기 스프링 삽입홈(55a)(8a)을 형성하고 이에 설치되는 상기 스프링(8b)에 의하여 탄력 설치되도록 구성되었다.23 and 24 are modified examples of FIGS. 21 and 22 except that the grooves 55 are formed in the full length direction of the core 5,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s 8 'of circular cross-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are formed. ) Is formed to be elastically installed by the spring (8b) is formed to form the spring insertion groove (55a) (8a).

한편, 도 25 내지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각 코아(5)가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7)을 권선한 상태로 하우징(5e)과 받침코아(5c)를 체결볼트로 상호 조립하되, 내부에는 고정체(9)와 같은 비자성체 소재를 충진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 도 28은 상기 코아(5)의 길이가 길 경우에 코일(7)의 권선작업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코아(5)를 등분하고 각각에 코일(7)을 권선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s 25 to 2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core (5) one by one while the coil (7) is wound around the housing (5e) and the support core (5c) with a fastening bolt mutually It is assembled, but the inside is configured by filling a non-magnetic material such as a fixed body (9), in this embodiment Figure 28 is to increase the winding workability of the coil (7) when the length of the core (5) is long In order to equalize the core (5) and winding the coil (7) in each.

즉, 코아의 상면에는 각각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수평코아(54)가 가로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고, 코일은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권선되며, 코아와 수평코아는 하우징에 의해 수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horizontal cores 54 each of which the workpiece is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core are fixedly fix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oils are wound around the core one by one, and the cores and the horizontal cores are accommodated by the housing.

또한, 도 29 내지 도 31은 전자석(3)의 코아(5)를 E자 형태로 반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되, 코일(7)이 권선되는 코아(5)는 도 27의 실시예와 같이 등분하고 각각에 코일(7)을 권선한 것이다. 이때, 자성체봉(51)과 비자성체박판(52)은 각각이 교번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이루는 2개씩의 단위체가 비자성체의 체결볼트(53) 및 연결핀(54)으로 순차결합되어 구성된다.29 to 31 are integrally formed by repeating the core 5 of the electromagnet 3 in an E shape, the core 5 around which the coil 7 is wound is equally divided as in the embodiment of FIG. 27. Coil 7 is wound around each. At this time, the magnetic rod 51 and the non-magnetic thin plate 52 is composed of two units each consisting of an alternating close contact with the fastening bolt 53 and the connecting pin 54 of the non-magnetic material in sequence. .

즉, 상기 코아의 하면에는 각각을 연결하는 단일의 평판 형성으로된 판상코아(55)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권선되며, 상기 코아의 상부면에 자성체봉과 비자성체박판이 상호 교번적인 밀착된 상태로 2개씩 단위체가 비자성체 체결볼트 및 연결핀으로 순차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at is, a plate-shaped core 55 having a single flat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and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one by one, and a magnetic rod and a nonmagnetic plate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Units are made of two non-magnetic fastening bolts and connecting pins sequentially coupled to each other in this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도 32 내지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피가공물 고정면(1)이 직각형태인 2면으로 형성될 경우에 있어 자속밀도(발생자력강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도 32 내지 도 34는 직각형태의 자성체금속봉(51)과 비자성체박판(52)이 통상의 체결볼트로 결합하고 이들의 수평면 및 수직면 하부 각각에 E자 형태로 반복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된 코아(5)가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7)을 권선하여 전자석(3)을 형성하고 그 주위에 고정체(9)와 같은 비자성체 소재를 충진한 것이다.32 to 40 ar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for increasing magnetic flux density (generating magnetic strength) when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is formed at two right angle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2 to 34 show that the magnetic metal rods 51 and the non-magnetic thin plates 52 having a right angle are combined with a conventional fastening bolt, and are repeatedly formed in an E-shape o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lanes thereof, respectively,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a core ( 5) is skipped one by one to wind the coil (7) to form an electromagnet (3) and filled with a nonmagnetic material such as a fixture (9) around it.

즉, 상기 판상 코아(54)에 인접하여 소정 길이를 갖는 수직 코아(55)가 고정 배치되며, 상기 판상 코아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수직 코아의 외측면에 상기 코아와 직각이 되게 다수개의 측부 코아(56)가 일체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측부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측부 코아 사이에는 고정체가 몰딩되며, 상기 코아의 상면과 상기 측부 코아의 외측면에 직각의 2면을 갖는 자성체금속과 비자성체박판이 고정 설치된 것이다.That is, the vertical core 55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djacent to the plate-shaped core 54 is fixedly arranged, the plurality of side cores to be perpendicular to the cor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cor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late-shaped core 54 (56) is integrally formed, the coils are wound one by one to the side core is wound, the fixture is molded between the side cores, and the two sides perpendicul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core. Magnetic metal and non-magnetic plate having a fixed is installed.

도 35 및 도 36은 상기 도 32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자성체금속봉(51) 각각의 하부에 직각의 코아(5)를 일체형성하고 이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7)을 상기 코아(5)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직각형태로 권선하여 전자석(3)을 형성하고 블록형태의 자성체 받침코아(5c)를 결합하고 각 코아(5) 사이에 고정체(9)를 충진한 것이다. 이때, 상기 직각의 코아(5)는 코일(7) 권선의 편리성을 위해 도 37과 같이 분할하고 코일(7)을 권선할 수도 있다.35 and 36 form a core 5 perpendicular to each lower portion of each of the magnetic metal rods 51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2 and skip the coils 7 one by one. Winding in a rectangular shape of the same shape as)) to form an electromagnet (3), the magnetic bearing core 5c in the form of a block is combined and the fixing body 9 is filled between each core (5). At this time, the right angled core 5 may be divided as shown in FIG. 37 to wind the coil 7 for convenience of winding the coil 7.

즉, 상기 코아의 일단부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 코아(57)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코아 및 절곡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이 상기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코아 및 절곡 코아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절곡된 자성체봉과 비자성체박판이 각각 교번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코아와 절곡 코아의 절곡된 내부 공간에 상기 받침코아에 배치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one end of the core is bent vertically bent core 57 is fixedly coupled,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and the bending core one by one, the coil is wound, vertica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and bending core The bent magnetic rod and the nonmagnetic thin plate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in alternating state, and are arranged and coupled to the support core in the bent inner space of the core and the bending core.

또한, 도 38 내지 도 40은 상기 조립된 자성체금속봉(51)과 비자성체박판(52)의 하부직각면에 해당하는 측방향 길이크기의 직육면체에 일정간격으로 직각의 코아(5)를 가공 형성하고 이 코아와 동일한 형상의 직각형태로 코일(7)을 권선하여 구성하고 각 코아(5) 사이에 고정체(9)를 충진한 것이다.In addition, FIGS. 38 to 40 process and form a core 5 of right angles at regular intervals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lateral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wer rectangular surface of the assembled magnetic metal rod 51 and the nonmagnetic thin plate 52. The coil 7 is wound in a rectangular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core, and the fixing body 9 is filled between the cores 5.

즉, 상기 코아의 하면에는 각각을 연결하는 단일의 평판 형상으로된 판상 코아(58)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코아 및 판상 코아의 일측부에는 단일의 평판 형상으로된 측부 코아(59)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판상 코아 및 측부 코아가 결합된 면을 제외한 상기 코아의 2면에 수직으로 절곡된 자성체봉과 비자성체박판이 각각 교번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has a single plate-shaped core 58 is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one side of the core and the plate-shaped core is a single plate-shaped side core 59 is fixedly coupled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one by one, and the magnetic rod and the nonmagnetic thin plate which are bent perpendicularly to the two sides of the core except for the surface where the plate-shaped core and the side core are coupled to each other are fix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o be combined.

도 41 및 도 4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일측 수직면으로 상호 이격된 상태에서 코아(5) 자체 표면으로 피가공물 고정면(1)이 형성되도록 전자석(3)을 형성하되, 수평의 하부에 자성체의 받침코아(5c)를 형성하고 고정체(9)를 충진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는 기존 마그네트척의 베드(100)에 또는 본 발명의 마그네트척에 필요에 따라 상기 받침코아(5c)로 자착(흡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41 and 42 are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electromagnet 3 is formed such that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re 5 itself in a state in which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vertical plane. It is formed by forming the support core 5c of the magnetic material at the lower part and filling the fixture 9,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core 5c as necessary in the bed 100 of the existing magnet chuck or the magnet chuck of the present invention. Adsorption) to be used.

즉,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코아의 양측면이 노출되도록 몰딩되되, 상기 코아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게 몰딩되어 통상의 마그네트척의 베드에 접촉되며, 상기 베드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는 상기 받침코아가 개재되어 상기 코아와 고정체를 상기 베드의 자력으로 고정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xing body is molded so that both sides of the core are exposed, and mold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re to be in contact with a bed of a normal magnet chuck, and the support core is interposed inside the fixing body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ed. To fix the core and the fixtur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bed.

이러한 실시예는 도 19 내지 도 24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형, 라운드의 단면형태를 갖는 피가공물 또는 평면이 휘어 있는 상태의 피가공물에 대해 고정설치하고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Such an embodiment may be fixed to the workpiece having a circular, round cross-sectional shape or the workpiece in a flat curved state as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9 to Figure 24 can be carried out machining.

도면 중 미설명부호로써 5d는 코아(5)가 가동되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표시구를 나타낸 것이다.In the drawing, 5d denotes an indicator that can be externally checked whether the core 5 is operated.

다음은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마그네트척을 공작기계에 자착시키기 위해서는, 피가공물을 가공하기 위한 공작기계의 테이블상에 본 발명의 마그네트척을 접촉시키고 전기를 통전하여 코아(5)와 코일(7)로 이루어져 전자석이 발생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때 발생된 자력에 의해 코아(5) 자체의 표면으로서 형성되는 테이블접촉 고정면(1')이 자성을 띄게 되어, 공작기계로의 자착설치를 위한 별도 외측 코아의 구비없이도 통상 금속과 같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공작기계의 테이블상에 안정적으로 자착고정됨으로써 마그네트척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In order to first magnetize the magnet chuck to the machine tool, the magnet chu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nd the electromagnet is formed by the core 5 and the coil 7. Is achieved by. At this time, the table contact fixing surface 1 'formed as the surface of the core 5 itself becomes magnetic due to the generated magnetic force, so that it is usually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a metal without the provision of a separate outer core for self-installation to a machine tool. The magnetic chuck is stably fixed on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and the installation of the magnet chuck is completed.

한편, 이와같이 전기가 통전되어 마그네트척이 공작기계의 테이블상에 자착 고정된 상태에서는, 가공대상의 피가공물을 코아(5) 자체의 표면으로서 형성된 피가공물 고정면(1)의 소정위치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그 자착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후 공작기계의 공작대를 사용하여 마그네트척상에 자착고정된 피가공물에 대해 적절한 가공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where electricity is supplied and the magnet chuck is fixedly fixed on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the workpiece to be machined is se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formed as the surface of the core 5 itself. The self-fixing is performed, and then the appropriate work is performed on the workpiece fixed on the magnet chuck using a workbench of a machine tool.

이때, 상기 각 코아(5)는 각각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방향으로 코일(7)이 개별권선되어서 전체 길이방향에 걸쳐 균일한 자력분포로서 상기 피가공물 고정면(1)이 형성되고, 피가공물을 자착시키기 위한 베드와 같은 별도 부재의 구비없이 코아(5) 자체의 표면으로서 피가공물을 안정적으로 자착, 고정시켜 마그네트척의 사용효율을 극대화한 구조로서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그 제작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cores 5 are individually woun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espectiv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is formed as a uniform magnetic force distribution over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a structure that maximizes the use efficiency of the magnet chuck by stably self-fixing and fixing the workpiece as the surface of the core 5 itself without the provision of a separate member such as a bed for self-supporting,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do.

또한, 상기 피가공물을 고정하기 위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코아(5)는 각각 독립적인 가동이 가능토록 되어 있어, 피가공물이 설치되는 코아(5) 일 부위만 선택적으로 전기를 통전시키는 것에 의해 전기의 사용량을 줄여 절전효과를 향상시키고, 이로인해 마그네트척을 경제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열팽창도 적게 된다. 이때, 상기 코아(5)가 가동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코아(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LED나 광섬유와 같은 표시구(5d)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여 자력이 발생되는 해당 코아(5) 부위로 피가공물을 위치시킬 수 있고, 피가공물의 크기 및 형태변화에 따라 코아(5)의 통전부위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에 의해 자력발생부위를 가감시켜 피가공물에 대한 고정작업을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es 5 generating magnetic force to fix the workpieces are each independently movable, so that only a portion of the cores 5 on which the workpieces are installed are electrically energized. It reduces power consumption and improves power saving effect, which makes it possible to operate the magnet chuck economically and has less thermal expansion. At this time, in order to check whether the core 5 is operated, the magnetic force is generated by visually confirming through an indicator 5d such as an LED or an optical fiber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5 and protrudes to the outside. The workpiece can be placed in the core part 5, and the fixed work for the workpiece is made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magnetic force generating part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energization part of the core 5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change of the workpiece. It can be done perfectly.

특히, 하나의 전자석(3)을 이루되 각각 독립적인 가동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코아(5)는 상기한 여러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같이 피가공물 고정면(1)이 다면으로 형성되고, 각 면은 소정각도로 그 각도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피가공물에 대한 고정시 상기 피가공물의 형태에 따라 평면이나 직각, 45°등의 선택적인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core 5 constituting one electromagnet 3, each of which generates magnetic force by independent operation, has the workpiece fixed surface 1 formed in a multi-faceted manner as mentioned in the above-described various embodiments. Since each side may be configured to maintain the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utilize a plane, a right angle, and 45 °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workpiece when fixing the workpiece.

또한, 단면이 원형, 라운드의 단면형태를 갖는 피가공물 또는 평면이 휘어 있는 상태의 피가공물을 고정하여야 할 경우에는, 도 17 내지 도 24에 각각 도시된 바와같이 코아(5)의 일면에 V형 횡홈(53)을 형성하여 피가공물 고정면(1)이 V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피가공물 고정면(1)의 상부에 자성체금속봉(51)과 비자성체박판(52)의 교번적인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피가공물 이탈방지부재(6)가 선택적으로 결합설치되거나, 또는 승, 하강부재(8)(8')가 스프링(8b)의 탄발력으로써 상승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진 V형 피가공물 고정면(1)과, 피가공물 고정면(1) 및 이탈방지부재(6)의 직교설치로써 형성된 직각부, 그리고 피가공물 고정면(1)으로부터 상승된 승, 하강부재(8)(8')등에 의해 단면이 원형 또는 라운드 형태, 평면이 휘어 있는 상태의 피가공물에 대하여 2부분에서 접지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피가공물로 자력이 전달되어 그 고정설치가 이루어짐으로써, 연삭에 의한 가공작업시 상기의 피가공물은 흔들리거나 위치의 이탈됨없이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a workpiece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or a round cross section or a workpiece having a flat curved surface is to be fixed, the V-shape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re 5 as shown in FIGS. 17 to 24, respectively. By forming the lateral groove 53,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is formed in a V shape, or by alternating coupling of the magnetic metal rod 51 and the nonmagnetic thin plate 5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V-type workpiece holding surface formed by selectively detaching the workpiece-preventing member 6 formed or by raising or lowering the members 8, 8 'by the spring force 8b. 1), a right angle formed by the orthogonal installation of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and the release preventing member 6,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s 8, 8 'and the like raised from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2 parts for workpieces with round or round cross-sections and curved surfaces Standing and can be grounded, the magnetic force is transmitted in this state to a work piece that is securely fixed is, maintain a stable fixing state without departing of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is cut off or shaking during the processing operation by the grinding as true.

이때,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원통형 또는 라운드형태 또는 평면이 휘어 있는 상태의 피가공물에 대하여 고정작업을 수행하고 그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도 17의 및 도 18에 도시한 바와같이 V형 횡홈(53)과 동일형상 및 구조를 갖는 마감부재(4)를 별도 구비하여 상기의 V형 횡홈(53)상에 끼움설치하거나, 또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이탈방지부재(6)를 피가공물 고정면(1)으로부터 분리하거나, 또는 도 21 내지 도 24에 도시된 승, 하강부재(8)(8')의 상부로 피가공물을 안착시켜 승, 하강부재(8)(8')가 스프링(8b)의 탄발력을 이기고 하강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피가공물 고정면(1)을 평활하게 형성시켜 다른 일반적인 피가공물에 대하여도 그 고정설치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after the fixing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workpiece in the cylindrical or round shape or the curved surface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machining is completed, as shown in Figs. ) Is provided with a finishing member (4) having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separately) to be installed on the V-shaped horizontal groove (53), or to fix the workpiece to prevent th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6) shown in Figs.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s (8) and (8 ') are separated from the surface (1) or by seating the workpiece on the upper and lowering members (8) and (8') shown in Figs. By lowering the resilience force of 8b), the workpiece fixing surface 1 can be smoothed to allow the fixed installation work to be performed on other general workpieces.

한편, 도 32 내지 도 40은 피가공물에 대한 고정시 피가공물 고정면(1)이 평면이나 직각형태인 2면의 활용을 가능케한 것으로서, 코아(5)가 형성하는 수직, 수평면에 균일한 자력분포를 위해서 상기 코아(5)의 형태에 따라서 코일(7)을 권선하여 마그네트척의 효율을 향상시킨 것이고, 도 41 및 도 42는 하부에 형성된 자성체의 받침코아(5c)에 의해 기존 마그네트척의 베드(100) 또는 본 발명의 마그네트척에 자착고정되어 전술한 도 19 및 도 20의 실시예와 같이 활용할 수 있고, 특히 별도의 체결수단이 필요없이 전기통전에 의해서 자착고정 및 분리활용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Figures 32 to 40 is to enable the utilization of the two surfaces of the workpiece fixed surface 1 is flat or right angle when fixed to the workpiece, uniform magnetic force in the vertical, horizontal plane formed by the core (5) The coil 7 is wound around the core 5 for distribution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magnet chuck. FIGS. 41 and 42 show a bed of an existing magnet chuck by a support core 5c of a magnetic material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100) or the magnetic chuck fix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ures 19 and 20,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use the magnetic fastening and separation by electric current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fastening mean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은, 피가공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베드와 공작기계의 테이블상에 접촉고정되는 외측 코아를 별도로 형성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도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정확히 자착, 고정되어 하나 이상의 피가공물을 안정되게 고정시켜 가공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전자석의 피가공물 고정면 중 사용하고자하는 부위만 전기를 통전시켜 동작되도록 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하고 피가공물에 대한 고정 및 가공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여러 장점을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ecisely self-fixed and fixed to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even when the bed for fixing the workpiece and the outer core contacted on the table of the machine tool are not separately formed. It can be stably fixed and can be processed, and only the part of the work surface of the electromagnet to be used is energized so that it can be operated easily, and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efficient to fix and process the work. It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being able to operate.

Claims (14)

소정 형상을 갖는 코아에 코일을 권선하고, 상기 코일이 권선된 코아를 받침코아를 매개로 하여 공작기계의 테이블에 고정하며, 상기 코아에 발생된 자력을 이용하여 피가공물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그네트척에 있어서, 상기 코아는 가로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세워진 상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되고, 각각의 상기 코아 사이에 코일을 고정하기 위해 비자성체 재질인 합성수지재가 몰딩 주입되어 고정체를 이루되 상기 코아의 2면이 상기 고정체로부터 노출되게 몰딩 주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A magnet configured to wind a coil on a core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ix the coil wound around the core to a table of a machine tool through a support core, and fix a workpiece by using a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core. In the chuck, the cores ar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standing state, and a synthetic resin material, which is a nonmagnetic material, is molded to fix a coil between each of the cores. And forming a fixture, wherein the two surfaces of the core are molded and exposed so as to be exposed from the fix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의 상부면에 수평부와 수직부가 절곡된 "
Figure kpo00003
"자 형상으로 된 외측 코아를 구비하되, 상기 외측 코아의 수직부 내측과 상기 코아의 상부면을 고정 결합하여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외측면에 각각 상기 피가공물을 자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horizontal portion and a vertical portion are bent on the top surface of the core.
Figure kpo00003
"It has an outer core in the shape of a, but fixed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outer core and the top of the core to be able to magnetically fix the workpiec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respectively A magnet chuck characterized b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의 상부면에 각지게 절곡된 역유자 형상의 수평부와 한쌍의 수직부로 된 외측 코아를 구비하되, 상기 외측 코아의 수직부의 내측과 상기 코아의 상부면을 고정 결합하여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양외측면이 각각 상기 피가공물을 자력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having an inverted shape of the inverted-shaped horizontal portion and a pair of vertical cores, wherein the inner side of the vertical portion of the outer cor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fixedly coupled Magnets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 to fix the workpiece by magnetic force.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의 외측면은 상기 수평부의 외측면과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The magnet chuck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코아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V자 횡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The magnet chuck of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V-shaped groove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re to which the workpiece is fix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횡홈에는 이와 동일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마감부재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6. The magnet chuck of claim 5, wherein a closing member having the same shape and structur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ateral gro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코아의 외측면상에는 자성체봉과 비자성체박판이 상호 교번적인 부착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 피가공물 이탈방지부재가 조립,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2. The magnet chuck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workpiece separation prevention member made of a magnetic rod and a nonmagnetic plate is alternately attached to each other on an outer surface of the core on which the workpiece is fixed.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코아의 외측면상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 깊이의 요홈을 형성하고, 상기 요홈의 내부에는 승하강부재를 스프링을 매개로 탄력지지 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to which the workpiece is fixed, and the elevating member is installed in the groove so as to be elastically supported by a spring. Magnet chu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의 상면에는 각각 피가공물이 고정되는 수평 코아가 가로 방향으로 고정 결합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권선되며, 상기 코아와 수평코아는 하우징에 의해 수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The core of claim 1, wherein horizontal cores each of which the workpiece is to be fixed are fixedly coup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coils are wound one by one on the cores, and the cores and the horizontal cores are accommodated by a housing. Magnet chuck,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의 하면에는 각각을 연결하는 단일의 평판 형성으로된 판상 코아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코일은 상기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권선되며, 상기 코아의 상부면에 자성체봉과 비자성체박판이 상호 교번적인 밀착된 상태로 2개씩 단위체가 비자성체 체결볼트 및 연결핀으로 순차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The core of claim 1, wherein a plate-shaped core having a single flat plat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and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one by one, and a magnetic rod and a nonmagnetic material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Magnet chuck,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t is made of two non-magnetic fastening bolts and connecting pins in sequence in the state that the thin plates are alternately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코아에 인접하여 소정 길이를 갖는 수직 코아가 고정 배치되며, 상기 판상 코아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수직 코아의 외측면에 상기 코아와 직각이 되게 다수개의 측부 코아가 일체로 배열 형성되며, 상기 측부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측부 코아 사이에는 고정체가 몰딩되며, 상기 코아의 상면과 상기 측부 코아의 외측면에 직각의 2면을 갖는 자성체금속과 비자성체박판이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틱.The vertical core of claim 10, wherein a vertical cor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ixedly disposed adjacent to the plate-shaped core, and a plurality of side cores are integ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cor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plate-shaped core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core. A coil is wound around the side core, and a fixture is molded between the side cores, and a magnetic metal and a non-magnetic metal having two sides perpendicular to the top surface of the core and the outer side of the side cores. Magnetic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ult thin plate is fix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의 일단부에는 수직으로 절곡된 절곡 코아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코아 및 절곡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이 상기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코아 및 절곡 코아의 외측면에 수직으로 절곡된 자성체봉과 비자성체박판이 각각 교번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코아와 절곡 코아의 절곡된 내부 공간에 상기 받침 코아가 배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core is bent vertically bent core is fixedly coupled, the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and the bending core one by one coil is wound, perpendicula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and bending core The magnetic chuck and the non-magnetic plate bent to each other is fixedly coupled in alternating close contact, the magnet chuck,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core is disposed and coupled to the bent inner space of the core and the bending c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의 하면에는 각각을 연결하는 단일의 평판 형성으로된 판상 코아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코아 및 판상 코아의 일측부에는 단일의 평판 형상으로된 측부 코아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코아에 하나씩 건너띄워 코일이 권선되며, 상기 판상 코아 및 측부 코아가 결합된 면을 제외한 상기 코아의 2면에 수직으로 절곡된 자성체봉과 비자성체박판이 각각 교번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is a plate-like core of a single plate-shape connected to each other is fixedly coupled, One side of the core and the plate-shaped core is fixed to the side plate core of a single plate shape, A coil is wound around the core one by one, and the magnetic rod and the nonmagnetic thin plate which are bent perpendicularly to the two sides of the core except for the surface where the plate-shaped core and the side core are coupled to each other are fixedly coupled in an alternate state. Magnet chuck,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에는 상기 코아의 양측면이 노출되도록 몰딩되되, 상기 코아로부터 소정 거리 돌출되게 몰딩되어 통상의 마그네트척의 베드에 접촉되며, 상기 베드에 접촉되는 상기 고정체의 내부에는 상기 받침코아가 개재되어 상기 코아와 고정체를 상기 베드의 자력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척.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xing body is molded so that both sides of the core is exposed, mold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ore is in contact with the bed of the normal magnet chuck, the inside of the fixing body in contact with the bed A magnet chu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is interposed to fix the core and the fixture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bed.
KR1019970046354A 1996-09-25 1997-09-09 Magnet chuck KR100253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354A KR100253917B1 (en) 1996-09-25 1997-09-09 Magnet ch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6-42258? 1996-09-25
KR1019960042258 1996-09-25
KR19960042258 1996-09-25
KR1019970046354A KR100253917B1 (en) 1996-09-25 1997-09-09 Magnet chu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51A KR19980024451A (en) 1998-07-06
KR100253917B1 true KR100253917B1 (en) 2000-04-15

Family

ID=6604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354A KR100253917B1 (en) 1996-09-25 1997-09-09 Magnet chu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9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69B1 (en) 2010-09-16 2011-04-20 (주) 에이이지 Apparatus for control of electromagnetic chuck of multi channel ty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662B1 (en) * 2006-11-03 2013-11-25 엘아이지에이디피 주식회사 Method for arranging electrostatic chuck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669B1 (en) 2010-09-16 2011-04-20 (주) 에이이지 Apparatus for control of electromagnetic chuck of multi channel type
WO2012036367A1 (en) * 2010-09-16 2012-03-22 (주) 에이이지 Apparatus for controlling channel separation type electromagnetic ch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451A (en) 1998-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9645B2 (en) Magnetic holding apparatus for holding workpieces
US7793900B2 (en) Magnetic clamp holder
US6489871B1 (en) Magnetic workholding device
US20130135067A1 (en) Magnet substance holder including a combination of a permanent magnet and an electromagnet
CN102300672A (en) Magnetic Clamping Device For Holding A Workpiece In A Precisely Fixtured Position
KR102510025B1 (en) advanced magnetic devices
KR100253917B1 (en) Magnet chuck
KR100622057B1 (en) Electro-Permanent Magnetic Lift
JP2005501750A (en) Magnetic pallet for fixing a ferromagnetic part for machining by a machine tool with a horizontal axis
CN109175858A (en) Circular saw blade substrate clamping device
KR20130108868A (en) Magnetic chuck
KR20160133360A (en) Short-stroke linear motor
US10833572B2 (en) Electric linear motor and testing device
KR20200029152A (en) Magnetic chuck having permanent magnet
KR20160149909A (en) Right angle magnetic chuck
KR100568121B1 (en) Electro-permanent magnet
JP5088536B2 (en) Assembly method of moving coil type linear motor
CN209860773U (en) Modularized linear motor with sliding rails
CN101795815B (en) Movable pole extension for a magnetic clamping apparatus and magnetic clamping apparatus having such movable pole extension
US3389357A (en) Permanent magnet work holddown device
KR100473643B1 (en) Magnet chuck
JP6670628B2 (en) Magnetic adsorption device
KR100397270B1 (en) Magnet chuck
KR100379707B1 (en) Magnetic lift
CN115369561B (en) Needle selector with coil capable of being replaced rapidly and independent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