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443B1 - 에스.지.엠.엘.과 디.에스.에스.에스.엘.을 기반으로하는 복합문서 브라우저 - Google Patents

에스.지.엠.엘.과 디.에스.에스.에스.엘.을 기반으로하는 복합문서 브라우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443B1
KR100250443B1 KR1019970072748A KR19970072748A KR100250443B1 KR 100250443 B1 KR100250443 B1 KR 100250443B1 KR 1019970072748 A KR1019970072748 A KR 1019970072748A KR 19970072748 A KR19970072748 A KR 19970072748A KR 100250443 B1 KR100250443 B1 KR 100250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sgml
globe
fot
dsss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3157A (ko
Inventor
정현수
김홍배
기민호
이동일
민재홍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7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4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3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44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GML(Standard Markup Generalized Language)과 DSSSL(Document Style Semantics and Specification Language)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에 관한 것이다.
문서구조 정의 언어인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은 DTD(Document Type Definition)의 일종으로 SGML(Standard Markup Generalized Language)을 기반으로 점차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발전하고 있으며, 문서의 내용을 보여주는 부분에서는 CSS(Cascading Style Sheet)를 사용한다. CSS는 문서 형식에 대한 스타일 언어와 문서 구조에 대한 언어가 혼합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브라우저를 만드는 회사마다 문서 형식에 대한 정의를 다르게 사용하기 때문에 통일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한 종류의 문서 구조 언어로 작성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문서 형식과 문서 구조가 혼합되어 있어 다른 형식으로의 변환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SGML과 문서 형식에 대한 부분을 모듈화하여 표준화한 DSSSL을 기반으로 표준 규격과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구조적 문서 보기 알고리즘 및 사용자에게 실제로 보여주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개발하므로써, 모든 SGML 문서의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하고 여러 구조의 SGML 복합 문서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가 제시된다.

Description

에스.지.엠.엘.과 디.에스.에스.에스.엘.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
본 발명은 SGML(Standard Markup Generalized Language ;이하 SGML이라 함)과 DSSSL(Document Style Semantics and Specification Language ;이하 DSSSL이라 함)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SGML과 문서 형식에 대한 부분을 모듈화하여 표준화한 DSSSL을 기반으로 브라우저를 구현하여, 모든 SGML 문서의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하고 여러 구조의 SGML 복합 문서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 작성을 위해서 사용되는 워드프로세서는 문서를 작성하고 재사용하는데 많은 편리함을 주었지만 호환성에 대한 제약성이 많았다. 즉 A라는 워드프로세서로 만든 문서는 B라는 워드프로세서에서 사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문서 구조와 문서 형식을 분리하고 문서구조와 형식을 표준화로 제정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이에 따라 1986년에 SGML이 표준으로 제정되어 문서 구조에 대한 정의와 관련된 내용을 문서 내에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문서의 내용을 작성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문서 구조에 대한 정의를 DTD(Document Type Definition ;이하 DTD라 함)이라 하며 이때 사용한 언어를 마크업 언어(Markup Language)로 정의하였다.
DTD의 일종인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이하 HTML이라 함)은 1990년 초반에 등장하였으며 HTML로 작성된 문서를 볼 수 있는 넷스케이프나 모자익 같은 브라우저가 개발되어 인터넷을 통해 전세계에 있는 모든 정보를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문서형식에 대한 표준은 늦어져 1996년에 DSSSL이 ISO/IEC 10179로 제정되었다. 1996년 이전에는 브라우저를 만드는 회사마다 문서형식에 대한 정의를 각각 다르게 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를 CSS(Cascading Style Sheet ;이하 CSS라 함)라 한다. CSS는 문서 형식에 대한 스타일 언어와 문서구조에 대한 언어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통일화 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한 종류의 문서구조의 언어로 작성되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또한 문서형식과 문서구조가 혼합되어 있어 다른 형식으로의 변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SGML과 문서 형식에 대한 부분을 모듈화하여 표준화한 DSSSL을 기반으로 표준 규격 및 프로세스를 구현하고 문서의 내용을 보여주기 위한 구조적 문서 보기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사용자에게 실제로 보여주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개발하므로써, 모든 SGML 문서의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하고 여러 구조의 SGML 복합 문서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는 입력되는 SGML 문서와 같은 소스 문서를 문서 구조 정의에 의해 분석하고 정규화하는 SGML 문서 분석부와, 상기 SGML 문서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SGML 문서를 문서형식을 정의한 스타일 시트를 이용하여 변환하고 FOT를 생성하는 DSSSL 처리부와, 상기 DSSSL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FOT를 새로운 알고리즘인 디스플레이 목적 트리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보여주는 문서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DSSSL에서 제시한 표준 프로세스 모델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GML과 DSSSL 기반 복합 문서 브라우저의 전체 구성도.
도 3은 도 2의 SGML 문서 분석부의 구성도.
도 4는 도 2의 DSSSL 처리부의 구성도.
도 5는 도 4의 변환 처리부의 구성도.
도 6은 도 4의 FOT 포맷 처리부의 구성도.
도 7은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구성하는 뷰 노드의 구조도.
도 8(a) 및 8(b)는 SGML 글로브 및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의 구조도.
도 9는 FOT 문서를 이용하여 생성된 구조적 문서보기 글로브의 구조도.
도 10은 FOT 문서를 이용하여 생성된 SGML 글로브의 구조도.
도 11은 도 1의 문서 디스플레이 처리부의 블록도.
도 12는 도 11의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생성기의 블록도.
도 13은 도 11의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디스플레이어의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를 이용한 SGML 문서의 실시예에 대한 실행 화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 : DTD 22 : 스타일 시트
23 : 소스 문서 24 : 문서 분석부
25 : DSSSL 처리부 26 : 문서 디스플레이 처리부
27 : SGML이 아닌 문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DSSSL에서 제시한 표준 프로세스 모델의 블록도이다.
DSSSL은 SGML 문서에 대한 하나 이상의 DTD와 일치시켜 다른 DTD에 맞도록 변환하기 위한 변환언어(Transformation Language)와 SGML문서의 실제 내용과 문서형식을 조합하여 FOT(Flow Object Tree ;이하 FOT라 함)를 생성하기 위한 형식언어(Style Language)로 구성된다.
SGML은 문서를 문서의 구조와 내용으로 분리하여 처리하기 위한 문서표준으로 SGML 선언(Declaration)과 문서구조(DTD)로 구성되며, 이를 정의하기 위한 방법론과 프로세스인 SGML 문서 분석(Parser) 기능을 제시한다. SGML 문서 분석(Parser)은 SGML 문서를 입력 받아 해당 문서구조(DTD)를 이용하여 SGML 문서의 원소(Element)에 대한 논리적 구조를 점검하고 문서구조(DTD)에 맞도록 변환(Transfer)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에 대한 알고리즘은 정의되어 있지 않다.
DSSSL은 각각의 독립된 문서 구조에 의해 작성된 SGML 문서를 하나의 통일된 문서 형태로 만들기 위한 방법을 표준으로 제정한 것이며, 사용자에게 보여주기 위한 문서형태로 많이 쓰인다. DSSSL에서는 문서의 표현 방법(Semantics), 문법(Syntax) 그리고 이들을 이용한 프로세스 모델를 제시한다.
변환 처리부(14)는 SGML 문서 분석(Parser)의 결과인 SGML 문서(13)를 입력 받아 DSSSL 규격 중 변환 언어로 정의된 변환 규격(11)의 문서형식(Style Sheet)에 맞게 DSSSL 형식의 SGML문서로 변환하여 결과 문서(15)를 만든다. 또한 포맷터(17)는 이 결과 문서(15)에 대해 DSSSL 규격 중 형식 언어로 정의된 형식 규격(12)을 이용하여 FOT를 생성하고 다시 특별한 형식 문서(SPDL,Rtf,Tex,Html 등)(17)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SGML과 DSSSL 기반 복합 문서 브라우저의 전체 구성도이다.
입력 부분은 SGML문서와 문서구조를 정의한 DTD(21), 문서형식을 정의한 스타일 시트(Style Sheet(22)로 구성되며, 프로세서 부분은 문서의 해당 DTD를 이용하여 SGML문서로 된 소스 문서(23)의 원소(Element)에 대한 논리적 구조를 점검하고 정규화하며 문서 구조에 맞도록 변환(Transfer)하는 SGML 문서 분석부(24)와 스타일 시트(Style Sheet)(22)를 이용하여 DSSSL 형식의 SGML 문서로 변환하고 FOT를 생성하는 DSSSL 처리부(25) 및 FOT를 새로운 알고리즘인 디스플레이 목적 트리(Display Object Tree ;DOT)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보여주는 문서 디스플레이 처리부(2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문서 디스플레이 처리부(26)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으로 관련 표준이 없으며, 이 부분에 대해 독창적인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도 3은 도 2의 SGML 문서 분석부(24)의 구성도로서, 크게 문서 분석부(34)와 문서 변환부(35)로 구성된다.
문서 분석부(34)는 소스 문서(#4)인 SGML 문서(33)를 입력 받아, SGML 규격의 문서구조(DTD)(31)에서 정의한 각 원소(Element)의 논리적 구조에 맞게 무서를 분석하고 오류를 수정한다. 다음은 SGML문서의 예로 소스 문서(#4)에 해당한다.
<!DOCTYPE SGML PUBLIC "-//ETRI//DTD SGML 1.0//KR">
<sgml>
나는 1964년 2월 23일 영국의 런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Charterhouse에서 어릴적 교육을 받았습니다.
<p>
<IMG SRC=jjc.jpg ALT="James Clark">
<p>
I now mainly work in the area of
<A HREF="sgml.html">SGML<A/>and related standards
<p>
<table><caption>About the standards.</caption>
<tr><th>SGML<TH>DSSSL<TH>HyTime
<tr><TD>ISO 8879<td>ISO/IEC 10179<td>ISO/IEC10744
<TR><TD>1986<TD>1996<TD>1992
</table><p>
</sgml>
문서 변환부(35)에서는 수정된 SGML 문서를 SGML 표준규격에 맞도록 SGML 규격의 SGML 선언을 이용하여 변환한 후 결과문서(#5)인 SGML 문서(36)를 출력한다. 다음은 도 3의 결과 문서(#5)에 해당하는 출력된 결과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SGML>
<P>나는 1964년 2월 23일 영국의 런던에서 태어났습니다.
그리고 Charterhouse에서 어릴적 교육을 받았습니다.
<P><IMG SRC="jjc.jpg" ALT="James Clark>
<P>I now mainly work in the area of
<A HREF="sgml.html">SGML</A>and related standards
<P><TABLE>
<CAPTION>About the atandars.</CAPTION>
<TR>
<TH>SGML</TH>
<TH>DSSSL</TH>
<TH>HyTime</TH>
</TR>
<TR>
<TD>ISO 8879</TD>
<TD>ISO/IEC 10179</TD>
<TD>ISO/IEC10744</TD>
</TR>
<TR>
<TD>1986</TD>
<TD>1996</TD>
<TD>1992</TD>
</TR>
</TABLE><P></P></P></P></P></P>
</SGML>
도 4는 도 2의 DSSSL 처리부의 구성도이다.
DSSSL 처리부(도 2의 25)는 DSSSL에서 제시한 DSSSL 모델을 기반으로 도 1의 포맷 처리부(도 1의 16)의 기능을 변형하여 FOT(Flow Object Tree) 포맷 처리부로 변경한 것으로, 도 3에서 SGML 문서 분석기를 거친 결과 문서를 소스 문서(#6)인 SGML 문서(43)로 입력받아 DSSSL 규격의 변환 규격(41)을 이용하여 변환 처리부(44)에서 변환한 후 결과 문서(#7)인 SGML 문서(45) 생성한다. 이 SGML 문서(45)는 형식 규격(42)을 이용하여 FOT 포맷터(46)를 통해 결과문서(#8)인 FOT 문서(47)를 출력한다.
도 5는 도 4의 변환 처리부의 구성도로서, SGML 글로브 생성 처리부(54)와 변환 처리부(56) 및 SGML 생성기(58)로 구성된다.
SGML 글로브 생성 처리부(54)는 SGML 믄서 분석기를 거친 하나 이상의 SGML 문서(#6)(52)를 입력받아 문서 구조(DTD)(53) 및 변환규격(51)에 의해 정의된 규격에 맞게 하나의 소스 글로브(55)를 만든다. 이 소스 글로브(55)는 노드(Node)들의 트리(Tree)형태의 집합으로 각 노드에 대한 속성 정보을 포함한다. 변환 처리부(56)는 소스 글로브(55)를 입력 받아 변환 규격(51)에 의해 정의된 변환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객체(Object)형태인 하나 이상의 결과 글로브(57)로 변환한다. SGML 생성기(58)에서는 결과 글로브(57)를 입력 받아 관련 노드를 참조하여 DSSSL 문서형식에 맞게 결과 문서(#7)인 SGML 문서(59)를 생성한다.
도 6은 도 4의 FOT 포맷 처리부의 구성도로서, SGML 글로브 생성 처리기(63), FOT 생성기(65) 및 포맷터(67)로 구성된다. SGML 글로브 생성 처리부(63)는 도 5의 변환 처리부의 SGML 글로브 생성 처리기(54)와 같은 방법으로, 소스 문서(62)를 입력받아 형식 규격(61)에 정의된 형식 규격에 맞게 소스 글로브(64)를 만들고, FOT 생성기(65)는 이것을 입력 받아 각 노드를 형식 규격(61)에서 정의한 FOC(Flow Object Class ;이하 FOC라 함)와 매핑하여 FOC로 구성된 FOT(66)를 생성한다. 그리고 포맷터(67)는 생성된 FOT(66)를 택스트 형태의 FOT 문서(68)로 출력한다. 다음은 FOT 포맷 처리기의 결과 문서에 해당하는 FOT문서의 예를 보여준다.
<!doctype fot public "//ETRI//DTD DSSL Flow Object Tree//KR">
<element index=0>
<element index=1 rule-element>
<element index=2 rule-element>
<paragraph font-family-name="굴림체"line-spacing=12000>
<chars>
나는 1964년 2 월 23일 영국의 런던에서 태어났습니다.
</chars>
<chars>
그리고 Charterhouse에서 어릴적 교육을 받았습니다.
</chars>
<element index=3 rule-element>
<paragraph font-family-name="굴림체" line-spacing=12000>
<element index=4 rule-element>
<external-graphic entity-system-id="jjc.jpg" display-alignment=center>
</element>
<element index=5 rule-element>
<paragraph font-family-name="굴림체"line-spacing=12000>
<chars>
I now mainly work in the area of
</chars>
<element index=6 rule-element>
<link font-weight=bold font-posture
=italic destination.entity="sgml.html">
<chars>
SGML
</chars>
</link>
</element>
<chars>
and related standards.
</chars>
<element index=7 rule-element>
<paragraph font-family-name="굴림체" line-spacing=12000>
<element index=8 rule-element>
<element index=9 mode=table-caption-mode rule-element>
<paragraph font-weight=bold start-indent=48000 font-size=10000 font-family-name="굴림체" line-spacing=12000>
<chars>
Table 1.
</chars>
<chars>
About the standards.
</chars>
</paragraph>
</element>
<table>
<element index=10 rule-element>
<table-row>
<element index=11 rule-element>
<sequence>
도 7은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구성하는 뷰 노드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에서 SGML문서보기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독창적으로 개발한 구조적 문서보기 객체(Architectural View Object)인 뷰 노드(View Node)와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Architectural View Grove)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는 상호 연관관계가 있는 뷰 노드들의 집합(List)으로 도 7은 뷰 노드를 나타낸 것이다. 뷰 노드는 DSSSL FOC의 클래스 이름과 속성(Property), 그리고 또다른 클래스와의 연결(Link)로 구성된다. 클래스 이름으로는 DSSSL에서 정의한 47개 FOC(Sequence,Display-group, Paragraph, Anchor, Character, Rule, External-graphic, Box, Table, Link,)가 된다. 속성(Property)은 FOC의 각 속성(id,font,color,)이 된다. 연결(Link)은 다른 뷰 노드(View Node)를 가르키며 연결관계로는 서브노드(subnode), 참조노드(referenced node)등이 있다. 구조적문서 보기 글로브는 이러한 뷰 노드들의 집합(List)으로 이루어진다.
도 8(a) 및 8(b)는 SGML 글로브 및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의 구조도로서, SGML 클로브와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비교하기 위해 트리로나타낸 것이다. SGML 글로브는 특정한 노드를 찾기 위해 전체를 대상으로 루트노드부터 검색해야 하는 단점이 있어 대상노드가 마지막 노드(Terminal node)일 경우 검색속도가 느리다. 특히 이러한 단점은 특정 부분부터 화면에 나타낼 경우와 하이퍼링크시 더욱 두드러진다.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는 트리가 아닌 인덱스를 가진 뷰 노드들의 리스트이기 때문에 어느 노드에도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따라서 검색속도가 빠르며 특히 하이퍼링크와 다른 객체의 참조시 유리하다.
다음은 FOT 문서의 예를 보여주며, 도 9는 FOT 문서를 이용하여 생성된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의 구조도이고, 도 10은 FOT 문서를 이용하여 생성된 SGML 글로브의 구조도이다.
<element index=6 rule-element>
<paragraph font-size=10000 font-family-name="굴림체">
<element index=7 rule-element>
<external-graphic entity-system-id="clock.jpg"
display-alignment=center>
</element>
<chars>
Hi
</chars>
</paragraph>
</element>
도 11은 도 2의 문서 디스플레이 처리부의 블록도이다.
문서 디스플레이 처리부는 DSSSL 처리부(도 2의 25)의 처리결과인 FOT 문서를 입력 받아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만들고 이것을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구조적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그 구성을 보면, 소스 문서(#8)인 FOT 문서(113)를 객체 인덱스 규격의 구조적 객체 인덱스(111)의 규격에 맞도록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로 만드는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생성기(114)와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생성기(114)의 결과로 생성된 결과 글로브(115)를 입력받아 객체 인덱스 규격의 내부 및 사용사 등록 객체 인덱스(112) 규격에 맞도록 문서를 보여주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디스플레이어(116)가 있으며, 구조적 분서 보기 글로브 디스플레이어(116)로부터 디스플레이 결과(117)가 출력된다.
도 12는 도 11의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생성기(114)의 블록도이다.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생성기(도 11의 114)는 소스 문서(#8)인 FOT 문서(122)를 입력 받아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로서 FOT 문서를 객체(Flow Object Class) 단위로 로드하는 FOT 로더(123)와 로드된 객체를 구조적 객체 인덱스(121)를 이용하여 구조적 문서 보기 노드로 변환하는 구조적 문서 보기 변환기(124)가 있으며, 이 결과로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126)를 생성하는 구조적 문서 보기 노드 글로브 생성기(125)로 구성된다.
도 13은 도 11의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디스플레이서의 블록도이다.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디스플레이어(도 11의 116)는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생성기(도 11의 114)에서 생성된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131)를 입력 받아 실제 사용자 화면에 보여주는 프로세스로서 문서의 보여주기 옵션(Option)를 내부 및 사용자 등록 객체 인덱스(132)를 이용하여 시스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이벤트 처리기(133)와 모든 객체를 속성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결과(136)를 나타내는 글로브 디스플레이 처리기(135)가 있으며 하이퍼 링크, 구조적 문서보기 등의 사용자 요구를 이벤트 처리기(133)에 전달하는 사용자 이벤트 전달기(134)로 구성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를 이용한 SGML 문서의 실시예에 대한 실행 화면이다. 이 화면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인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문서 브라우저 실행화면으로 텍스트, 이미지, 테이블, 하이퍼링크를 가진 SGML문서를 예로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SGML과 DSSSL의 표준 규격 및 프로세스 구현하였고 DSSSL 표준 FOT용 구조적 문서 보기 노드를 개발하였고, 이 구조적 문서 보기 노드를 이용한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알고리즘 또한 개발하였으며,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한 개발하였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는 모든 SGML 문서의 브라우징 및 여러 구조의 SGML 복합 문서 브라우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SGML과 DSSSL의 표준 규격 및 프로세스의 구현, DSSSL 표준 FOT용 구조적 문서 보기 비디오의 개발, 구조적 문서 보기 노드를 이용한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알고리즘 및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개발하므로써 모든 SGML 문서의 브라우징과 여러 구조를 갖는 SGML 복합 문서의 부라우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입력되는 SGML 문서와 같은 소스 문서를 문서 구조 정의에 의해 분석하고 정규화하는 SGML 문서 분석부와,
    상기 SGML 문서 분석부를 통해 분석된 SGML 문서를 문서형식을 정의한 스타일 시트를 이용하여 변환하고 FOT를 생성하는 DSSSL 처리부와,
    상기 DSSSL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FOT를 새로운 알고리즘인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보여주는 문서 디스플레이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GML 문서 분석부는 소스 문서를 입력받아 SGML 규격의 문서 구조에서 정의한 각 원소의 논리적 구조에 맞게 문서를 분속하고 오류를 수정하는 문서 분석부와,
    상기 문서 분석부에서 수정된 SGML 문서를 SGML 표준규격에 맞도록 SGML 규격의 SGML 선언을 이용하여 변환한 후 결과문서를 출력하는 문서 변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SSSL 처리부는 상기 제 2 항의 결과 문서를 소스 문서로 입력받아 DSSSL 규격의 변환 규격을 이용하여 변환하고 변환된 문서를 출력하는 변환 처리부와,
    상기 변환 처리부에서 출력된 문서에 대하여 형식 규격을 이용하여 FOT 문서를 출력하는 FOT 포맷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처리부는 상기 제 2 항의 결과 문서를 소스 문서로 하나 이상 입력받아 문서 구조 및 변환규격에 의해 정의된 규격에 맞게 하나의 소스 글로브를 생성하는 SGML 글로브 생성 처리부와,
    상기 SGML 글로브 생성 처리부에서 생성된 소스 글로브를 입력받아 변환 규격에 의해 정의된 변환 형식에 맞게 변환하여 객체 형태인 하나 이상의 결과 글로브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부와,
    상기 변환 처리부에서 변환된 결과 글로브를 입력받아 관련 노드를 참조하여 DSSSL 문서 형식에 맞은 결과 문서를 생성하는 SGML 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FOT 포맷 처리부는 소스 문서를 입력받아 형식 규격에 정의된 형식 규격에 맞는 소스 글로브를 생성하는 SGML 글로브 생성 처리기와,
    상기 SGML 글로브 생성 처리부로부터 생성된 소스 글로브를 입력받아 각 노드를 형식 규격에서 정의한 FOC와 매핑하여 FOC로 구성된 FOT를 생성하는 FOT 생성기와,
    상기 FOT 생성기로부터 생성된 FOT를 택스트 형태의 FOT 문서로 출력하는 포맷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 디스플레이 처리부는 소스 문서인 FOT 문서를 객체 인덱스 규격의 구조적 객체 인덱스의 규격에 맞도록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로 만드는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생성기와 ,
    상기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생성기의 결과로 생성된 걸과 글로브를 입력받아 객체 인덱스 규격의 내부 및 사용사 등록 객체 인덱스 규격에 맞도록 문서를 보여주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하는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디스플레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문서 보기 뷰 글로브 생성기는 소스 문서인 FOT 문서를 입력 받아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로서 FOT 문서를 객체 단위로 로드하는 FOT 로더와,
    상기 FOT 로더를 통해 로드된 객체를 구조적 객체 인덱스를 이용하여 구조적 문서 보기 노드로 변환하는 구조적 문서 보기 변환기와,
    상기 구조적 문서 보기 변환기의 결과로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생성하는 구조적 문서 보기 노드 글로브 생성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문서 보기 뷰 글로브 디스플레이어는 상기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 생성기에서 생성된 구조적 문서 보기 글로브를 입력 받아 실제 사용자 화면에 보여주는 프로세스로서 문서의 보여주기 옵션를 내부 및 사용자 등록 객체 인덱스를 이용하여 시스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하는 이벤트 처리기와,
    상기 이벤트 처리기에 의해 설정된 문서의 보여주기 옵션을 이용하여 모든 객체를 속성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 결과를 나타내는 글로브 디스플레이 처리기와,
    상기 이벤트 처리기로 하이퍼 링크, 구조적 문서보기 등의 사용자 요구를 전달하는 사용자 이벤트 전달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GML과 DSSSL을 기반으로 하는 복합 문서 브라우저.
KR1019970072748A 1997-12-23 1997-12-23 에스.지.엠.엘.과 디.에스.에스.에스.엘.을 기반으로하는 복합문서 브라우저 KR100250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748A KR100250443B1 (ko) 1997-12-23 1997-12-23 에스.지.엠.엘.과 디.에스.에스.에스.엘.을 기반으로하는 복합문서 브라우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748A KR100250443B1 (ko) 1997-12-23 1997-12-23 에스.지.엠.엘.과 디.에스.에스.에스.엘.을 기반으로하는 복합문서 브라우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157A KR19990053157A (ko) 1999-07-15
KR100250443B1 true KR100250443B1 (ko) 2000-04-01

Family

ID=1952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748A KR100250443B1 (ko) 1997-12-23 1997-12-23 에스.지.엠.엘.과 디.에스.에스.에스.엘.을 기반으로하는 복합문서 브라우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035B1 (ko) * 2001-08-07 2003-05-09 (주) 빛과환경 광촉매 분해기를 이용한 수족관 정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887A (ko) * 2001-01-18 2002-07-25 장문성 문서변환 방법 및 그 프로그램의 기록매체
KR101647765B1 (ko) 2015-03-20 2016-08-12 (주)솔트웍스 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CN113961862B (zh) * 2021-10-27 2024-01-12 苏州浪潮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设置层叠样式表中Z-index的方法、系统、设备和介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035B1 (ko) * 2001-08-07 2003-05-09 (주) 빛과환경 광촉매 분해기를 이용한 수족관 정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157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7566B1 (en) Transforming documents using pattern matching and a replacement language
US848455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fining specifications for outputting content in multiple formats
US8484552B2 (en) Extensible stylesheet designs using meta-tag information
US7506324B2 (en) Enhanced compiled representation of transformation formats
Ciancarini et al. Managing complex documents over the WWW: a case study for XML
KR100583517B1 (ko) 소프트웨어 객체와 구조화 언어 요소 기반 문서간의 매핑시스템 및 방법
CA2479310C (en) Dynamic generation of schema information for data description languages
Collard et al. Supporting document and data views of source code
US20020143823A1 (en) Conversion system for translating structured documents into multiple target formats
US20040044965A1 (en) Structured document edit apparatus, structured document edit method, and program product
US20040168124A1 (en) System and method of mapping between software objects &amp; structured language element-based documents
Boley The rule markup language: RDF-XML data model, XML schema hierarchy, and XSL transformations
US20070028164A1 (e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and document processing method
US20090083300A1 (en) Document processing device and document processing method
US7401016B2 (en) Communication support system, communication suppor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EP1830274A1 (en) Server device and name space issuing method
KR100250443B1 (ko) 에스.지.엠.엘.과 디.에스.에스.에스.엘.을 기반으로하는 복합문서 브라우저
Paradis et al. A virtual document interpreter for reuse of information
Chiu Reengineering information systems with XML
US20090083620A1 (en) Document processing device and document processing method
KR20010088529A (ko) 전자문서 편집/변환처리장치와 그 방법
Cancedda et al. Sax: Generating hypertext from sadt models
KR20030095026A (ko) Xml 문서 변환장치 및 xml 문서 변환 소프트웨어를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Ennser et al. The XML Files: Using XML and XSL with IBM WebSphere3. 0
Arndt et al. Formal specification and prototyping of multimedia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