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843B1 -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843B1
KR100249843B1 KR1019970069517A KR19970069517A KR100249843B1 KR 100249843 B1 KR100249843 B1 KR 100249843B1 KR 1019970069517 A KR1019970069517 A KR 1019970069517A KR 19970069517 A KR19970069517 A KR 19970069517A KR 100249843 B1 KR100249843 B1 KR 100249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ystem
state
information table
active
networ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398A (ko
Inventor
윤성재
김대웅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8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12Discovery or management of network top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04L45/745Address table lookup; Address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에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망접속장치의 운용현황 및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동작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목적은 현재 운용중인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종류를 확인하고, 운용중인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종류 및 수자가 다양하더라도 이들 망접속 서브시스템에서 능동적으로 보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시스템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그 특징은 각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데이터를 각 서브시스템별 처리부분으로 전달하여 상태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아직 등록되지 않은 서브시스템의 객체-Id를 갖는 메시지가 미적용 서브시스템임을 운용자에게 표시해 주는 단계와, 보고신호가 없는 경우에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SPA(Service Processing board Assembly) 상태와 HSNA(High Speed Network board Assembly)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와,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저장된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을 재조정여 이를 그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에 알려주는 단계 및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다시 대기모드로 돌아가거나 기능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데에 있다. 그 효과는 다양한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형상에 관계없이 망접속 서브시스템 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Description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본 발명은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에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망접속장치의 운용현황 및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동작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처리 장치가 개발됨으로 인하여 이러한 이기종 망간의 서비스 연동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이기종 망간의 접속기능을 제공하는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은 접속하는 통신망의 형태가 서로 다르고, 이에 따라 서브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접속장치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이 망접속 서브시스템(Network Access Subsystem, 이하 NAS라고 약칭함) 사이의 통신을 위한 접속장치 및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 통신경로는 일단 정해지면 고정적인 것으로 변동되지 않는다. 그래서, 시스템의 상태를 파악하여 이들의 값을 능동적으로 변경하거나, 비정상 동작중인 망접속 장비들을 운용자가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소용량 통신처리 장치는 지역관리 장치와 서비스 시스템이 분산되도록 설계되었고, 시스템 관리를 위해 지역관리 장치와 통신처리 장치 사이에 상용망(PSDN)을 이용하여 접속되었기 때문에, 운용관리 상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여러 지역에 위치한 관리장치(MOAM(Mediation Operations, Administrations and Managements))를 통합하기 위한 중앙관리 장치(COAM(Central Operations, Administrations and Managements))가 설계되기는 하였으나, 이의 실현 및 적용이 아직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은 시스템의 운용 및 유지보수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 관리방법에서는 상용망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현재 운용중인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종류를 확인하고, 운용중인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종류 및 수자가 다양하더라도 이들 망접속 서브시스템에서 능동적으로 보고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시스템 관리기능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관리 기능이나,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경로관련 정보는 서로 다르지만, 정보의 송수신에 필요한 각종 절차를 세분화하고, 이들을 다시 모듈별도 구조화하여 여러 가지 종류의 정보를 조합하고, 이를 토대로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상태를 검출해 낸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각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와, 분석된 데이터를 각 서브시스템별 처리부분으로 전달하여 상태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와, 아직 등록되지 않은 서브시스템의 객체-Id를 갖는 메시지가 미적용 서브시스템임을 운용자에게 표시해 주는 단계와, 보고신호가 없는 경우에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SPA 상태와 HSNA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와,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저장된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을 재조정여 이를 그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에 알려주는 단계 및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다시 대기모드로 돌아가거나 기능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데에 있다. 여기서, 분석단계는 활성 관리자가 개시되는 과정과, 프로세스가 각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기다리는 과정 및 도착한 데이터가 어떤 접속 서브시스템에서 오는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은 ACTIVE ALIVE 신호를 30초에 1회씩 송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변경단계는 서브시스템이 현재 들어온 입력신호와 이전에 입력된 신호의 그 시간을 비교하는 과정과, ACTIVE ALIVE 관리자가 매 1분마다 ACTIVE ALIVE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과, 최후보고 시간 이후 2분 이내에 보고신호가 없으면,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SPA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과, HSSF(High Speed Switching Facility)로부터 오는 신호 중의 통신접속 장치의 동작상태를 이용하여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HSNA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HSSF로부터 오는 신호 중에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마다 연결된 통신접속 장치의 동작상태가 포함된다.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 재조정 단계는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과정과, 변경된 것을 감지하면 저장된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을 재조정하는 과정 및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에 변경사실을 알려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보고되는 데이터 중에서 특수한 필드는 통신 경로의 최적화에 관한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에 반영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 부분은 형상의 변화 및 경보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망접속 서브시스템 접속 구조도.
도 2는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활성상태 서비스 구조도.
도 3은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활성상태 서비스 처리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망접속 서브시스템 접속 구조도이다. 도 1은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망접속 서브시스템 접속 구조를 설명한다.
이는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통신서비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수용하는 다양한 망과 이에 대한 서비스 접속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Advanced Information Communication Processing System, 이하 AICPS라고 약칭함)에서는 한 조의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102)에 대하여 소형의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103)를 한 대씩 도입하였다. 또한. AICPS 한 대와 LOMS(Local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한 대가 일대일로 대응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였으며, 이들 LOMS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는 관리기법을 도입하였다. 각 지역관리 장치와 단위 서비스 시스템의 연결을 ONAS(Operational Network Access Subsystem)(104)가 담당하도록 구성하였고,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에서는 IP(Information Provider)의 상품코드 조회(IP프로토콜)에 대한 부분을 LOMS(103)에서 처리하고,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트래픽이 이용자의 트래픽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였다. 이러한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관리 망접속을 자세히 보여주고 있다. AICPS 관리대상은 PSTN(105)과 PSDN(106)을 비롯하여 KORNET(115), ISDN(116), FR(Frame Relay)(117), ATM(118) 망 등을 접속하기 위한 망접속 서비스 서브시스템(108, 110, 112, 113, 114, 119)과 통신처리 서비스 기능을 담당하는 고속 스위칭 패브릭(HSSF)(109)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대용량 시스템의 여러 구성 요소들과 LOMS의 개념적인 구조를 표현하였는데, 기본적으로 현재 개발된 망접속 서브시스템뿐만 아니라, 앞으로 추가될 FR, ISDN, ATM 부분까지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2는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활성상태 서비스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활성상태 서비스 구조를 설명한다.
이는 도 1의 망접속 서브시스템에서 LOMS로 ACTIVE ALIVE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경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표기한 것으로 모든 망접속 서브시스템이 정보수집의 대상이 된다. 이중화된 ONAS0(216)과 ONAS1(217)은 통신경로(202, 203)을 통하여 각각 LOMS의 ACTIVE ALIVE 관리자(215)에 연결된다. ONAS0(216)은 고속 스위칭 버스인 HSSF0(218)를 통하고, ONAS1(217)은 고속 스위칭 버스인 HSSF1(219)를 통하여 각 서브시스템과 별도의 통신경로를 구성한다. HSSF0(218)과 HSSF1(219)는 서로간의 정보 전송을 위하여 DCC-LINK(220)을 가진다. 고속 스위치(218, 219)에 연결된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은 시스템의 상태에 따라 각각 그 경로가 다르다. 예를 들면, TNAS(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221)의 경우는 HSSF0(218)과 통신하기 위한 경로(206)과 HSSF1(219)과 통신하기 위한 경로(209)로 이중화된 경로를 가지고 있다. 또한, PNAS(Packet Network Access Subsystem)(222)의 경우는 HSSF0(218)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207)과 HSSF1(219)과 통신하기 위한 경로(210)로 이중화된 경로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INAS(ISDN Network Access Subsystem)(223)의 경우는 HSSF0(218)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208)과 HSSF1(219)과 통신하기 위한 경로(212)로 이중화된 경로를 가지고 있다. WNAS(Web Network Access Subsystem)(221)의 경우는 HSSF0(218)와 통신하기 위한 경로(211)과 HSSF1(219)과 통신하기 위한 경로(213)로 이중화된 경로를 가지고 있다. 보고된 상태정보들은 LOMS의 ACTIVE ALIVE 관리자(215)에서 처리되어 그 결과가 ALIVE TABLE(214)에 저장되어 활용된다.
도 3은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활성상태 서비스 처리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활성상태 서비스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에서 각 서비스 서브시스템에서 전달되는 ACTIVE ALIVE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S1에서는 ACTIVE ALIVE 관리자가 개시된다. S2에서는 프로세스가 각 서브시스템에서 오는 데이터를 기다린다. S3에서는 정보의 보고가 감지되면 이를 분석한다. S4에서는 어떤 접속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데이터인지를 판단한다. S5에서는 이를 각 서브시스템별 처리부분으로 전달하여 상태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S6에서는 아직 등록되지 않은 서브시스템의 객체-Id(Object-Id)를 갖는 메시지가 미적용 서브시스템임을 운용자에게 표시해 준다. 각 서브시스템별 ACTIVE ALIVE 신호는 그 구성 및 구조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TNAS인 경우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
// TNAS관련 활성상태 보고 데이터 구조
//
#define MAXTNASCHANNEL 128
#define MAXTNASTRUNK 4
typedef struct {
char cChannelStatus[MAXTNASCHANNEL]; // FAULT|NORMAL
char cLinkType[MAXTNASTRUNK]; // 'E'|'T'
char cLinkStatus[MAXTNASTRUNK]; // BLOCK|UNBLOCK|NOTEQUIP
char cTSPA; // EQUIP|NOTEQUIP
char cTPIA; // EQUIP|NOTEQUIP
char cTNIA; // EQUIP|NOTEQUIP
char cHDPA[4]; // EQUIP|NOTEQUIP
char cTDLA[8]; // EQUIP|NOTEQUIP
char cHSNA[2]; // EQUIP|NOTEQUIP
} TnasAudit_t;
또한, PNAS인 경우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
// PNAS관련 활성상태 보고 데이터 구조
//
#define MAXPNASPORT 16
#define MAXIDSIZE 16
typedef struct {
char cPortStatus; // NORMAL|PACKETOFF|FRAMEOFF|NOTEQUIP
char cBlockStatus; // BLOCK|UNBLOCK
char cVanID[MAXIDSIZE]; // ASCII or String
} PortStatus_t;
typedef struct {
PortStatus_t Port[MAXPNASPORT];
char cHSNA[2]; //EQUIP|NOTEQUIP
char cPNIA[4]; // EQUIP|NOTEQUIP
char cPSPA; // EQUIP|NOTEQUIP
char cReserve;
} PnasAudit_t;
그리고, WNAS인 경우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
// WNAS관련 활성상태 보고 데이터 구조
//
#define SIZE_IP_ADDRESS 16
#define MAXWNASUSER 32
#define MAXWNASPORT 1
typedef struct {
char cIpAddress[SIZE_IP_ADDRESS]; // String - xxx.xxx.xxx.xxx
char cIpNetMask[SIZE_IP_ADDRESS]; // String - xxx.xxx.xxx.xxx
char cPppAddress[SIZE_IP_ADDRESS]; // String - xxx.xxx.xxx.xxx
char cPppNetMask[SIZE_IP_ADDRESS]; // String - xxx.xxx.xxx.xxx
char cPortStatus; // FAULTBLOCK|NORMAL|MMCBLOCK
char cReserve;
} EthernetStatus_t;
typedef struct {
char cHSNA[2]; // EQUIP|NOTEQUIP
char cWSPA; // EQUIP|NOTEQUIP
char cReserve;
char cUser[MAXWNASUSER]; // INUSE|NOTUSED
EthernetStatus_t Port[MAXWNASPORT];
} WnasAudit_t;
그리고, INAS인 경우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
// INAS관련 활성상태 보고 데이터 구조
//
#define MAX_INAS_CHANNEL 48
#define MAX_INAS_LINK 2
#define MAX_INAS_BOARD 7
typedef struct {
char cChannelStatus[MAX_INAS_CHANNEL]; // FAULT|NORMAL
char cLinkType[MAX_INAS_LINK]; // 'E'|'T'
char cLinkStatus[MAX_INAS_LINK]; // EQUIP|NOTEQUIP
char cBoardEquip[MAX_INAS_BOARD]; // EQUIP|NOTEQUIP
/*
char cBoardEquip[0] : PRIA
char cBoardEquip[1] : IDPA0
char cBoardEquip[2] : IDPA1
char cBoardEquip[3] : IDPA2
char cBoardEquip[4] : ISPA
char cBoardEquip[5] : HSNA0
char cBoardEquip[6] : HSNA1
*/
} InasAudit_t;
그리고, ONAS인 경우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
// ONAS관련 활성상태 보고 데이터 구조
//
#define MAX_LOMS_PORT 4
typedef struct {
char cHSNA0; // EQUIP|NOTEQUIP
char cOSPA; // EQUIP|NOTEQUIP
char cRxSocket; // NORMAL|FAULT
char cTxSocket; // NORMAL|FAULT
char cAmSocket; // NORMAL|FAULT
char cP2Socket; // NORMAL|FAULT
char cHssfComStat; // NORMAL|FAULT
unsigned char cMaxLUN; // 0 - 255
unsigned char cAvailableLUN; // 0 - 255
char cReserved[3];
} OnasAudit_t;
그리고, HSSF인 경우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진다.
//
// HSSF관련 활성상태 보고 데이터 구조
//
typedef struct {
char cHSCAStatus; // EQUIP|NOTEQUIP
char cReserve;
char cHSCAChannel[2]; // NORMAL|FAULT
} HscaStatus_t;
typedef struct {
char cHSSA_A; // NORMAL|FAULT
char cHSSA_B; // NORMAL|FAULT
char cReserve;
HscaStatus_t HSCA_A[15];
HscaStatus_t HSCA_B[15];
} HssfAudit_t;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은 ACTIVE ALIVE 신호를 30초에 1회씩 송출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S7에서는 현재 입력이 들어온 서브시스템이 이전에 입력된 신호와 그 시간을 비교한다. S8에서는 ACTIVE ALIVE 관리자가 매 1분마다 ACTIVE ALIVE 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 S9에서는 최후보고 시간 이후 2분 이내에 보고신호가 없는 경우에 아래의 표 1에 표시된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SPA상태를 변경한다. HSSF로부터 오는 신호 중에는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마다 연결된 통신접속 장치의 동작상태가 포함되며, 이를 이용하여 아래의 표 1에 표시된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HSNA상태를 변경한다.
활성상태가 반영되는 경로정보 테이블 구조
순번 이 름 크기(바이트) 종 류 가능한 값
101 Network-Id 1 CHAR TNAS, PNAS, INAS, WNAS, ONAS, HSSF, FNAS, ANAS
102 Subnet-Id 1 CHAR HiNET-P, DNS, NURINET
103 Bus-Id 1 CHAR A-BUS/B-BUS
104 Bus-Status 1 CHAR GOOD/BAD
105 Node-Id 1 CHAR 0 - 31
106 Node-Status 1 CHAR GOOD/BAD
107 SPA-Id 1 CHAR 0/1
108 SPA-Status 1 CHAR GOOD/BAD
109 AS-Type 1 CHAR TNAS, PNAS, INAS, WNAS, ONAS, HSSF, FNAS, ANAS
110 AS-Number 1 CHAR 0 - 31
S8에서는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유효성을 검사한다. S15에서는 변경된 것이 감지한다. S16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저장된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을 재조정한다. 또한, S12에서는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에 이를 알려 준다. S13에서는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다시 대기모드로 돌아가거나 기능을 종료한다.
표 1은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기준으로 사용했던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의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별로 가지는 경로설정용 테이블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결정값을 이용하여, 표 1의 SPA 상태의 값을 항상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반영한다. Netwrok-Id는 AICPS의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종류를 나타내며, 현재 구현된 AICPS의 AS 종류는, 전화망접속 서브시스템(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 이하 TNAS라고 약칭함), 패킷 망접속 서브시스템(Packet Network Access Subsystem, 이하 PNAS라고 약칭함), ISDN 접속 서브시스템(ISDN Access Subsystem, 이하 INAS라고 약칭함), 인터넷 망접속 서브시스템(WEB Node Access Subsystem, WNAS라고 약칭함), 운용관리 망접속 서브시스템(Operational Network Access Subsystem, 이하 ONAS라고 약칭함), 고속 스위치(High Speed Switching Facility, 이하 HSSF라고 약칭함)로 이루어진다. Subnet-Id는 서비스를 위하여 접속된 망접속 서브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사업자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Subnet-Id 는 서비스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고, 실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 각 AS에 연결된 값을 표현해 준다. AICPS의 각 AS는 HSSF를 통하여 이중화된 전송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중화된 전송로를 HSSF0과 HSSF1로 구분하는데, 하나의 AS가 통신을 원하는 다른 AS로 경로를 설정할 때, 선택 가능한 HSSF의 ID로 사용한다. HSSF0는 A-BUS, HSSF1는 B-BUS를 이용하므로 경로를 말할 때는 편의상 BUS로 칭하기로 한다. BUS의 상태가 통신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Bus-Status를 사용한다. BUS 상태는 하나의 HSSF에 대하여 동일한 상태를 표현하므로, 전체 RTTBL의 Bus-Status는 HSSF별로 동일한 상태 값을 가지도록 처리한다. Node_Id는 HSSF에 연결된 각 AS들이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상대 AS의 번호이다. 따라서, HSSF를 통하여 통신하기 위한 AS는 자신의 Node-Id와 상대의 Node-Id를 확인하여야 한다. Node-Id는 HSSF에 실장된 HSCA에 의하여 자동으로 할당되며, xNAS에서는 A-BUS, B-BUS등 2개의 HSNA에 각각 1개씩의 Node-Id를 가지게 된다. Node-Status는 HSSF의 해당 Node의 현재 상태를 나타낸다. Node-Status는 HSSF의 HSCA 상태와, 상대 HSNA에 연결된 TAXI Cable까지의 상태를 반영한다. AICPS의 각 AS에 메인 프로세스인 SPA는 이중화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SPA-Id는 2개의 프로세스가 다중마스터(Multi-Master)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AS의 SPA를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현재는 1개의 SPA가 처리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SPA ID는 각 AS에 대하여 하나의 값만을 가진다.
AICPS의 각 AS는 정상동작 중인 경우 각 SPA에서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LOMS)로 ALIVE 신호를 주기적으로 보고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ALIVE 신호에 따라 LOMS에서는 AS의 SPA 상태를 판단하여 SPA 상태 필드에 기록한다. 이 값은 현재 HSSF에 연결된 AS의 동작이 제대로 되는지를 반영한다. 실제 HSSF에 연결된 AS의 종류를 나타내는 필드가 AS형인데, 이 값은 실제로 RTTBL을 이용하여 LOMS에서 각 AS의 종류를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현재 AS에 종류는 TNAS, PNAS, INAS, WNAS, HSSF 및 ONAS의 5종류가 있다. 실제 이 값은 LOMS에서만 사용하며, AS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AS의 종류에 관련없이 실제 HSSF에 연결된 AICPS는 같은 종류의 AS를 여러 대 연결할 수 있다. 이 연결된 AS의 종류 및 수를 AS에서는 알지 못하며, 이를 RTTBL 내에 표현하여 LOMS에서 전달되는 명령어가 어떤 AS로 가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AS 수를 사용한다. 실제 이 값은 LOMS에서만 사용하며, AS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양한 망접속 서브시스템의 형상에 관계없이 망접속 서브시스템 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앞으로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에 도입될 다른 형태의 망접속 장치에도 동일한 형태의 관리 절차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확장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데에 그 효과가 있다. 또한, 운용자가 시스템의 상태를 때때로 검사할 필요없이 자동으로 전체 시스템의 형상을 파악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도 있다. 일정한 통신 경로를 이용하는 망접속 장치의 상태를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서비스의 품질도 상대적으로 개선되게 되었다. 또한, 현재 구현되어 있는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별 능동 보고 데이터 규격을 통일함으로써 여러 개의 동일한 망접속장치를 하나의 대용량 통신처리 장치에 수용하더라도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 수정 없이 추가 및 삭제와 시스템 관리가 가능하다.

Claims (8)

  1. 각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데이터를 각 서브시스템별 처리부분으로 전달하여 상태 테이블에 저장하는 단계;
    아직 등록되지 않은 서브시스템의 객체-Id를 갖는 메시지가 미적용 서브시스템임을 운용자에게 표시해 주는 단계;
    보고신호가 없는 경우에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SPA 상태와 HSNA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유효성을 검사하여 저장된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을 재조정여 이를 그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에 알려주는 단계; 및
    종료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다시 대기모드로 돌아가거나 기능을 종료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단계가,
    활성 관리자가 개시되는 과정;
    프로세스가 상기 각 서브시스템으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기다리는 과정; 및
    도착한 데이터가 어떤 접속 서브시스템에서 오는 데이터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가 ACTIVE ALIVE 신호를 30초에 1회씩 송출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단계가,
    서브시스템이 현재 들어온 입력신호와 이전에 입력된 신호의 그 시간을 비교하는 과정;
    ACTIVE ALIVE 관리자가 소정시간마다 ACTIVE ALIVE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과정;
    최후보고 시간 이후 소정시간 이내에 보고신호가 없으면,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SPA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
    HSSF로부터 오는 신호 중의 통신접속 장치의 동작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HSNA 상태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에서 상기 ACTIVE ALIVE 관리자가 매 1분마다 상기 ACTIVE ALIVE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SPA 변경과정에서 최후보고 시간 이후 2분 이내에 보고신호가 없으면, 상기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상기 SPA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HSSF로부터 오는 신호 중에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마다 연결된 통신접속 장치의 동작상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 재조정 단계가,
    상기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과정;
    변경된 것을 감지하면 저장된 상기 경로 설정용 정보 테이블을 재조정하는 과정; 및
    각 망접속 서브시스템에 변경사실을 알려주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KR1019970069517A 1997-12-17 1997-12-17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KR100249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517A KR100249843B1 (ko) 1997-12-17 1997-12-17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517A KR100249843B1 (ko) 1997-12-17 1997-12-17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398A KR19990050398A (ko) 1999-07-05
KR100249843B1 true KR100249843B1 (ko) 2000-03-15

Family

ID=19527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517A KR100249843B1 (ko) 1997-12-17 1997-12-17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337B1 (ko) * 1999-12-02 2007-01-24 주식회사 케이티 계층구조 비동기식 전송 모드 통신망에서 최적경로 제공을위한 주 라우팅 장치 및 방법
KR100646908B1 (ko) * 2000-08-23 2006-11-17 주식회사 인프라밸리 이동통신 지능망 시스템내 ip 시스템에서의 링크관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600734B1 (ko) 2004-02-25 2006-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398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8667A (en) SS7 network management primeship
US5914798A (en) Restoration systems for an optical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182744A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restoration architecture
US7215970B2 (en) Messaging applications router
US5276440A (en) Network device information exchange
US5896496A (en) Permanent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in exchange network
EP063741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egment resolution on a local area network
US611536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frame relay connections
WO1997024901A9 (en) Restoration systems for an optical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404740B1 (en) System for testing internal connectivity in ATM switching equipment
CA2384261A1 (en) Redundancy systems and methods in communications systems
JP2557176B2 (ja) ネットワーク接続及びトポロジ・マップ生成装置
US64213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load balancing and back-up of a multi-users network
JP2002057685A (ja) 一点から多点への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
US6813240B1 (en) Method of identifying low quality link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208856B1 (en) Method for maintaining service node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0942544B1 (en) A method to provide a management channel, a line terminator, a first network terminator card and a second network terminator card realizing such a method
US6215867B1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architecture with rapid restoration
CA22909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use of satellite transmission capacity in terrestrial networks
US5991892A (en) Network server redundancy configuration method and system
KR100249843B1 (ko) 접속 서브시스템의 활성상태 관리방법
CN101465762B (zh) 一种检测保护组端口间错连的方法、设备及系统
US6041052A (en) Call control system for a subscriber transmission device
KR0173380B1 (ko) 분산형 액세스 노드 시스템에서의 성능관리 방법
KR0136507B1 (ko) 공통선(No.7) 신호망의 신호교환기와 관리시스템간의 통신이상 검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