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519B1 -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519B1
KR100249519B1 KR1019970069713A KR19970069713A KR100249519B1 KR 100249519 B1 KR100249519 B1 KR 100249519B1 KR 1019970069713 A KR1019970069713 A KR 1019970069713A KR 19970069713 A KR19970069713 A KR 19970069713A KR 100249519 B1 KR100249519 B1 KR 10024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message
server
real
communicati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0581A (ko
Inventor
윤성재
권선준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6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519B1/ko
Publication of KR19990050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0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2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distributed management centres cooperatively managing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2Standardisation; Integration
    • H04L41/0246Exchanging or transporting network management information using the Internet; Embedding network management web servers in network elements; Web-services-based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4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 H04L41/046Network management architectures or arrangements comprising network management agents or mobile ag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대용량통신처리장치의 단위시스템 관리장치에서 여러 명의 운용자를 동시에 서버에 접속하여 대용량 통신처리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서버에서 처리한 결과를 수행중인 운용자 클라이언트에 정확히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해당되는 입력이 어디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메시지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메시지에 대한 출력문 결과를 작성하는 단계와,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메시지 큐를 선택하는 단계, 및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 및 관련 데이터를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에 저장하고, 운용 관리-서버의 메시지 큐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 처리 장치에 이용됨.

Description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의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명의 운용자를 동시에 서버에 접속하여 대용량 통신처리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용량 통신 처리 장치에서는 시스템 서비스 운용자를 위한 단말이 별도로 준비 되지 않았으며, 워크 스테이션을 사용하는 관리 서비스용 시스템에 연결된 시스템 관리자 단말에 직접 연결하여 한 시스템 당 하나씩의 운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동시에 작업할 수 있는 서비스 운용자는 항상 하나이어야 하며, 서비스가 운용 중일 경우에는 항상 운용자용 단말이 켜져 있어야 하고, 운용자가 서비스 운용중에 다른 시스템의 테이터를 수정할 경우 이로 인한 서비스 공백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의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에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망 접속장치의 운용 현황 및 망 접속 서브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기 위한 클라이언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일정 이상의 권한을 가지는 최고 운용자와 일반 운용자로 구분하고, 이러한 여러 명의 운용자를 동시에 서버에 접속하여 대용량 통신처리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하고, 대용량통신처리장치에 연결된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 한 대에 대하여, 동일한 수준의 여러 동작을 일관되게 처리할뿐만 아니라, 서버에서 처리한 결과를 수행중인 운용자 클라이언트에 정확히 전달하는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처리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운용 관리-셀 211 : 운용 관리-서버
212 : LOMS 메인 프로세스 213 : 프로세스 정보 테이블
214 :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 215 : 메시지 분배부
216, 217, 218, 219, 220, 221 : 메시지 큐
222, 223, 224, 225, 226 : 클라이언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해당되는 입력이 어디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각 망 접속 서브 시스템에서 보고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클라이언트 동작 현황을 분석하고, 해당되는 메시지에 대한 출력문 결과를 작성하는 제 2 단계; 프로세스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할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메시지 큐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및클라이언트에서 입력 명령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에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 및 관련 데이터를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에 저장하고, 운용 관리-서버의 메시지 큐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처리 장치가 개발됨으로 인하여 이기종 망간의 서비스 연동이 가능하게 되었지만, 서브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접속장치가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이 망 접속 서브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위한 접속 장치 및 프로토콜과 데이터 구조, 통신 경로는 정해져 있으나, 이를 운용할 운용자 단말기에 대한 구현 방법은 해결 되지 않은 상태였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데이터 베이스(DB : Data Base)를 이용한다던가, 개방형 테이터 베이스 연결 방식(ODBC : Open Data Base Connection)를 이용한다던가하는 방법론적인 것은 이론의 여지가 없으나, 클라이언트의 구현 특성상,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를 동일한 서버에 우선 순위 없이 접속하는 방법이나, 주고 받아야 할 메시지 및 서로 연결하여야 할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 알고리즘에 관하여 정의하고, 이러한 정의된 값들이 대용량 통신처리장치를 운용하는 운용자의 운용환경 및 요구사항에 맞도록 특수한 알고리즘을 갖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을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기준 및 요구사항에 만족할 수 있도록,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 서버를 클라이언트와 완전 독립된 것으로 설계하고, 클라이언트의 동작상태에 따라 그 정보를 서버에서 능동적으로 관리하며,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에서 동시에 서버의 처리 결과를 받아 볼 수있으되, 클라이언트의 입력에 대해서는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클라이언트의 수도 운용자의 환경을 고려해서 설정할 수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방법을 고안하여 현재 망 접속 장치들의 상태를 운용자에게 즉시 제공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즉시 서버를 통하여 망 접속 장치에 전달할 수 있는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접속방식이 고안 되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시스템 관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은 크게 LOMS(Local Operations and Mannegment system) 서버(sever)(110)와 ONAS(Operational Network Access Subsystem)(112)로 이루어진다.
단위시스템 관리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위한 기본 원칙은 서비스를 위한 접속 망에 부하를 주지 않고, 관리기능에 또 다른 영향을 줄 수 있는 공중망 등을 서비스에 이용하지 않으며, 범용의 OS(operater system)를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개별 관리를 위하여 단위기능의 모듈화가 간편한 워크스테이션 정도를 사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단위시스템 관리장치 시스템은 크게 ONAS(112)와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운영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서버(Server)(110), 운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Client) 단말(113)로 이루어진다.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의 망 접속 서브 시스템에서 발생된 운용관리 관련 메시지는 HSSF(high speed switching fabric)(114)을 통하여 이중화된 ONAS(112)를 거쳐 서버(110)에 전달되며,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통하여 여러 대의 운용자 단말인 클라이언트(113)에 전달된다.
운용 관리 망에는 이 이외에도, 클라이언트(113)의 메시지나 서버(110)의 메시지를 출력할 수있는 네트워크 프린터(115)가 접속되며, 서버(110)에는 각종 운용관리 데이터를 백업할 수 있는 백업 미디어(116)와, 순수한 서버용 운용 단말(117)이 연결된다.
망 접속 서브 시스템에서 통신 처리 서비스 이후에 전달되는 과금 관련 데이터는 서버(110)에서 일차 처리된 후 그 메시지에 대한 처리 결과는 클라이언트(113)에 표시하고, 순수 데이터는 취합되어 과금 관리 전용 장치인 아이-박스(I-BOX)(118)를 통하여 전국단위 온라인 과금 장치인 CAMA-Net(Centralized Automatic Message Accounting)(119)로 전송된다.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인 서버(110)는 전국에 산재하게 될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기위한 컴퓨터 운영 관리 협회(COAM : Computer Operations Management Association)(120)와 연결하기 위하여 패킷 망을 통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대상이 되는 부분은 그중 서버(110) 부분과 클라이언트(113)간의 통신 방식에 관한 것이며, 이들 사이에 상호 통신을 연결하는 허브(HUB)(111)가 위치 하게 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처리 블록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서버(110)의 메인 프로세스인 운용 관리-셀(oamSHELL)(210)은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운용 관리 기능을 수행시키는 동작을 한다.
상기 운용 관리-셀(oamSHELL)(210)이 시동하게 되면, 현재 운용중인 클라이언트에 대한 통신 및 모든 대 클라이언트 기능을 수행하는 운용 관리-서버(OAM-SERVER)(211)가 시동된다.
상기 운용 관리-서버(OAM-SERVER)(211)는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의 운용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LOMS 메인 프로세스(LOMS MAIN PROCESS)(212)로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운용 관리-서버(OAM-SERVER)(211)는 자신이 관리하여야 할 클라이언트(CLIENT ) 정보를 프로세스 정보 테이블(PROCESS INFORMATION TABLE)(213)에 등록하고, 각 클라이언트에 대한 운용 상태 정보를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PROCESS STATUS TABLE)(214)에 실시간으로 기록한다.
상기 LOMS 메인 프로세스(LOMS MAIN PROCESS)(212)로부터 메시지를 전송할 것이 발생하면 메시지 배포를 담당하는 메시지 분배부(MESSAGE DISTRIBUTER)(215)가 상기 운용 관리-서버(OAM-SERVER)(211)의 제어를 받아 해당 메시지를 상기 LOMS 메인 프로세스(LOMS MAIN PROCESS)(212)로부터 받아 내고, 상기 프로세스 정보 테이블(PROCESS INFORMATION TABLE)(213)에 등록된 클라이언트(CLIENT) 정보와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PROCESS STATUS TABLE)(214)에 갱신되는 클라이언트(CLIENT )상태 정보를 참고하여 해당되는 클라이언트(CLIENT)의 메시지 큐(216, 217, 218, 219, 220)에 전달한다.
이 때, 전달할 프로세스가 정상 상태가 아닌 경우는 메시지를 전송하지 아니하며, 해당 클라이언트(222, 223, 224, 225, 226)에서는 각각의 메시지 큐(216, 217, 218, 219, 220)에서 전달된 메시지를 처리한 후 결과를 상기 운용 관리-서버(OAM-SERVER)(211)에 해당하는 메시지 큐(221)로 전송하고, 나머지는 클라이언트(222, 223, 224, 225, 226) 자체에서 처리한다.
이때, 클라이언트(222, 223, 224, 225, 226)에서 처리하는 메시지는 상기 운용 관리-서버(SERVER)(211)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또한 하나의 클라이언트(222)에서 처리한 결과가 다른 클라이언트(222, 223, 224, 225, 226)의 동작에 영향을 주어서는 안 된다.
상기 프로세스의 상태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는 다음의 표 1 과 같다.
표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상태 테이블에는 클라이언트를 구별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식별자(Client-Id)(11), 해당 클라이언트의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IP Address : internet Protocal Address) 를 저장하기 위한 Client-IP Addr(12),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transport control protocal)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Client-Port(13), 서버/클라이언트간의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해 놓은 Client-Protocol(14),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타입을 구분하기 위한 Client-Type(15), 클라이언트의 대표 이름인 Client-Alias(16), 클라이언트의 현재 수행 수준을 표시하여 클라이언트가 메시지 송/수신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는 Client-RunLever(17), 현재 운용중인 클라이언트의 메시지 큐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Client-Qstat(18)로 이루어 진다. 이 각각의 값들은 클라이언트 동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면서, 서로 조합되어 본 발명의 중요한 구조로 동작한다.
Figure kpo00000
상기 프로세스의 정보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는 다음의 표 2 와 같다.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로세스 정보 테이블(213)은 클라이언트가 생성될 때 마다 새로 만들어 저장되는 정보로써, 서버에서 연결되는 클라이언트의 연결설정에 관한 정보를 가진다.
서버에서 작성하는 상기 프로세스 정보 테이블(213)에는 해당 클라이언트의 번호를 나타내기 위한 Client-Id(21), 클라이언트의 큐 열쇠(Queue Key)를 표시하는 Client-QKey(22), 클라이언트의 규 아이디(Queue Id)를 저장하는 Client-Qid(23), 클라이언트의 디스플레이 타입을 나타내는 Client-Type(24), 클라이언트의 대표 이름이 되는 Client-Alias(25), 현재 운용중인 클라이언트의 사용자를 저장하는 Client-User(26), 현재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베이스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Client-DBstat(27), 해당 서버의 인터넷 프로토콜 어드레스(IP Address)를 저장하기 위한 Server-IPAddr(28)이 저장된다.
또한 클라이언트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의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 포트 번호를 저장하는 Server-Port(29)와 서버의 큐 열쇠(Queue Key)를 저장하는 Server-QKey(30), 서버의 규 아이디(Queue ID)를 나타내는 Server-QId(31), 서버의 메시지 큐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Server-QStat(32), 서버의 현재 수행 수준을 나타내는 Server-RunLevel(33)가 포함된다.
Figure kpo00001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스가 개시되면(310), 일단 해당되는 입력이 어디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한다(311). 먼저 각 망 접속 서브 시스템에서 보고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는(312) 메시지를 분석하여(313) 해당 망 접속 서브 시스템에 명령을 내린 클라이언트를 알아야 하며, 또한 전달 되어야 하는 명령어나 보고가 어떤 곳으로 전달 되어야 하는 지를 판단하여야 한다.
따라서 운용 관리-서버(OAM-SERVER)(211)에서 이전의 동작에 대하여 저장한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PROCESS STATUS TABLE)(214)을 참조하여 클라이언트(CLIENT) 동작 현황을 분석하고(314), 해당되는 메시지에 대한 출력문 결과를 작성하여(315) 해당 메시지를 준비하여(316), 큐잉(queuing)하면, 메시지를 전송한다(323).
이후에, 운용 관리-서버(OAM-SERVER)(211)에서 등록해 놓은 프로세스 정보 테이블(PROCESS INFORMATYIN TABLE)(213)을 검색하여 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할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얻고(317), 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318), 해당 클라이언트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메시지 큐를 선택한다(319).
이렇게 하면 상기 운용 관리-서버(211)는 클라이언트의 메시지 큐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한다(323).
또 한가지 경우는 클라이언트(CLIENT)에서 입력 명령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는(320) 해당 입력 명령어 또는 출력 메시지를 분석하여 메시지를 송출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 및 관련 데이터를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PROCESS STATUS TABLE)(214)에 저장하고(321) 운용 관리-서버(211)의 메시지 큐를 선택하여(322) 메시지를 발송한다(323).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 후에 시스템을 종료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여(324), 종료가 요구되면 종료하고(325), 그렇지 않으면 입력이 어디로부터 오는지를 판단한다(311).
이와 같은 절차를 거쳐 동작 중인 클라이언트와 동작 중이 아닌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고, 현재 운용관리장치 서버(SERVER)(110)에 연결된 클라이언트(CLIENT)(113)와 연결되지 않은 클라이언트(113)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선별적으로 처리하도록 하며, 각각의 정보데이트를 이용하여 상태 정보 테이블들을 수정 하면서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운용관리 단말의 단순성 일회성을 뛰어넘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운용단말이 운용자의 여러 다양한 동작을 수용하기에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는 동시에 하나의 일관된 동작을 위하여 하나의 클라이언트만 사용했던 단점을 보완하고, 동일한 작업을 여러 운용자, 단말에서 동시에 또는 산발적으로 수행하고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위 시스템 관리장치 서버를 클라이언트와 완전 독립된 것으로 설계하고, 클라이언트의 동작상태에 따라 그정보를 서버에서 능동적으로 관리하며,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에서 동시에 서버의 처리 결과를 받아 볼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해당되는 입력이 어디에서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각 망 접속 서브 시스템에서 보고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클라이언트 동작 현황을 분석하고, 해당되는 메시지에 대한 출력문 결과를 작성하는 제 2 단계;
    프로세스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할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얻고, 이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를 선택하고, 해당 클라이언트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메시지 큐를 선택하는 제 3 단계; 및
    클라이언트에서 입력 명령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에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 및 관련 데이터를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에 저장하고,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먼저 각 망 접속 서브 시스템에서 보고 데이터가 전달되는 경우는 메시지를 분석하는 제 5 단계;
    운용 관리-서버에서 이전의 동작에 대하여 저장한 상기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을 참조하여 클라이언트 동작 현황을 분석하는 제 6 단계;
    상기 제 6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메시지에 대한 출력문 결과를 작성하는 제 7 단계; 및
    해당 메시지를 준비하여, 큐잉 하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8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운용 관리-서버에서 등록해 놓은 상기 프로세스 정보 테이블을 검색하여 메시지가 전달되어야 할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얻는 제 9 단계;
    클라이언트를 선택하는 제 10 단계;
    해당 클라이언트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메시지 큐를 선택하는 제 11 단계; 및
    상기 운용 관리-서버는 클라이언트의 메시지 큐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2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는,
    클라이언트에서 입력 명령 데이터가 전달된 경우에 해당 입력 명령어 또는 출력 메시지를 분석하여 메시지를 송출한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 및 관련 데이터를 상기 프로세스 상태 테이블에 저장하는 제 13 단계; 및
    상기 운용 관리-서버의 메시지 큐를 선택하여 메시지를 발송하는 제 14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 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KR1019970069713A 1997-12-17 1997-12-17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KR100249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13A KR100249519B1 (ko) 1997-12-17 1997-12-17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9713A KR100249519B1 (ko) 1997-12-17 1997-12-17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81A KR19990050581A (ko) 1999-07-05
KR100249519B1 true KR100249519B1 (ko) 2000-03-15

Family

ID=1952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9713A KR100249519B1 (ko) 1997-12-17 1997-12-17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5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578B1 (ko) * 2002-01-31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우터의 내부 기능 프로세서간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948B1 (ko) * 2006-08-02 2008-03-19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보안 시스템 중계기 혼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578B1 (ko) * 2002-01-31 2004-07-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라우터의 내부 기능 프로세서간 운용자 메시지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0581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1467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動作パラメーターのモニ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EP1615378B1 (en) NMS with multi-server events processing
US6862619B1 (en) Network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event control means and method
EP0849912A2 (en) Communications network monitoring
EP1014748A2 (en) Management system for a multi-level communication network
US20060161519A1 (en) Prioritizing network management traffic
CN116418876A (zh) 一种算力网络服务的迁移方法、系统及云管理平台
EP0849911A2 (en) Communications network monitoring
EP0849910A2 (en) Communications network monitoring
KR100249519B1 (ko) 대용량 통신처리장치 실시간 감시를 위한 다중클라이언트 비동기 통신 방법
CN109302319B (zh) 报文池分布式集群及其管理方法
JPH096655A (ja) システム管理装置
JP4408002B2 (ja) 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
US20020161613A1 (en) Message-address management program, recording medium carrying message-address management program, message-address management method, and message-address management apparatus
EP1081900A2 (en) System for tracking the history of channel based network devices
JP2003015973A (ja) 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KR20010108592A (ko) 무인 현금입출금기기 운영정보 자동관리
KR100275505B1 (ko) 웹기술을 이용한 통합 액세스망 운용관리방법
KR20030055697A (ko) 기업공중사설망에 대한 통합망 서비스 관리시스템의관리명령을 처리하기 위한 관리 게이트웨이 시스템과 그처리방법
CN116582465A (zh) 链路监控方法、介质、装置和计算设备
KR20050001123A (ko) 망 관리에서의 장애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5840680A (zh) 一种基于消息总线的多协同任务监视系统
CN118055093A (zh) 基于GDBus模块的FTTR网关设备通信方法、设备和介质
KR20000044478A (ko) 망 관리시스템에서 다중 운용자 서비스 방법
JP2001320838A (ja) 電力系統監視装置とこれを実施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