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9219B1 - OSD device - Google Patents

OSD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9219B1
KR100249219B1 KR1019970003190A KR19970003190A KR100249219B1 KR 100249219 B1 KR100249219 B1 KR 100249219B1 KR 1019970003190 A KR1019970003190 A KR 1019970003190A KR 19970003190 A KR19970003190 A KR 19970003190A KR 100249219 B1 KR100249219 B1 KR 100249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bitmap
cursor
memory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19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67264A (en
Inventor
이희섭
민승재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0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9219B1/en
Publication of KR19980067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2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서 비트맵을 OSD 콘트롤러의 내부버퍼에 저장한 후 외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위치정보만 받아들여 커서 비트맵을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외부 메모리와 OSD 컨트롤러 사이의 데이터 전송량을 크게 경감시켜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OSD 비트맵데이타 및 커서 비트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 부터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커서의 비트맵 데이터를 로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메모리로 부터 OSD 비트맵 데이터를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로드하는 제2버퍼와, OSD 제어신호 및 커서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2버퍼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aves the cursor bitmap in the internal buffer of the OSD controller and outputs the cursor bitmap by accepting only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microprocessor, thereby greatly reducing the amount of data transfer between the external memory and the OSD controller. A memory for storing OSD bitmap data and cursor bitmap data, a first buffer for loading bitmap data of a cursor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memory, and an OSD bitmap from the memory. And a second buffer for loading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a multiplexer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the outputs of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according to the OSD control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Description

오 에스 디(OSD) 장치{OSD device}OSD device {OSD device}

본 발명은 OSD(On Screen Display)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커서 비트맵(Bitmap)을 OSD 콘트롤러 내부 버퍼에 저장한 후 외부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위치정보만을 받아들여 출력시킴으로써 외부 메모리와 OSD 콘트롤러 사이의 데이터 전송량을 크게 경감시켜서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OSD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 Screen Display (OSD) device, and specifically, a cursor bitmap is stored in an internal buffer of the OSD controller, and only the positiona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microprocessor and output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SD device which greatly reduces the data transmission amount of a device and improves overall performance.

OSD 장치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정보(Image Data)이외의 자막등과 같은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교호적으로 영상 처리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준다는 편리한 점이 있다.The OSD device may provide other information such as subtitles other than image data displayed to the user, and may allow the user to alternately use the image processing system.

그리고, 상기 OSD 장치에서, 예를 들어 OSD라는 문자를 OSD 비트맵으로 나타나는 경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비트, 4비트, 또는 n비트로 구성할 수 있다.In the OSD device,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OSD is represented as an OSD bitmap, the OSD device may be configured as 2 bits, 4 bits, or n bits as shown in FIG. 1.

도 1의 (a)는 1화소(Pixel)가 2비트로된 경우이고, 도 1의 (b)는 4비트가 1화소를 나타낸 경우로써, 도 1의 (a)에서 "D"라는 문자가 이진수(Binary)로 "11"으로 이루어져 있고 배경은 "00"으로 되어 있는 비트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의 (b)에서 "S"라는 문자가 이진수로 "1010"으로 되어 있고 배경은 "0000"으로 되어있는 비트맵을 나타낸 것이다.FIG. 1A illustrates a case in which one pixel is 2 bits, and FIG. 1B illustrates a case in which 4 bits represent one pixel. In FIG. 1A, the letter “D” is a binary number. (Binary) shows a bitmap composed of "11" and the background is "00". In FIG. 1B, the character "S" is binary "1010" and the background is "0000". Represents a bitmap.

그리고, OSD에서는 일반적으로 16엔트리(Entry)의 CLUT(Colar Look-Up Table)을 사용하며, 여기서 CLUT는 OSD를 표현할 색정보, 즉 Y, CB, CR을 저장하는 테이블을 말한다.In general, the OSD uses a 16-entry CLUT (Colar Look-Up Table), where CLUT refers to a table that stores color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OSD, that is, Y, CB, and CR.

CLUT의 엔트리 개수를 16개로하는 경우 도 2a와 같이 2비트/화소인 비트맵을 사용할 때에는 이 비트맵을 직접 CLUT로의 어드레스로 사용할 수가 없으므로 중간단계로 칼라 맵(Color Map)을 필요로한다.When the number of entries of the CLUT is 16, when using a 2-bit / pixel bitmap as shown in FIG. 2A, the bitmap cannot be directly used as an address to the CLUT. Therefore, a color map is required in an intermediate step.

즉, 이 칼라 맵은 2-to-4 어드레스 변화를 위한 것으로서 OSD 비트맵이 "11"인 경우 칼라맵의 마지막 엔트리를 엑세스하게 되고 그 결과로써 "1001"이 출력된다.That is, this color map is for 2-to-4 address change, and when the OSD bitmap is "11", the last entry of the color map is accessed and "1001" is output as a result.

그리고, 이 출력된 "1001"은 다시 CLUT의 어드레스 입력으로 사용되어 9번째(입력 어드레스가 "1001"이므로)에 저장된 Y, CB, CR값이 최종적으로 OSD출력이 된다.The output " 1001 " is again used as an address input of the CLUT so that Y, CB, and CR values stored in the ninth (since the input address is " 1001 ") are finally OSD outputs.

그러나, 4비트/화소인 경우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맵 자체가 입력 어드레스로 직접 이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칼라 맵은 필요없게 되며, 비트맵 입력이 "1010"일 경우 10번째 엔트리에 저장된 Y, CB, CR이 최종 출력되어저 디스플레이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4 bits / pixel, since the bitmap itself can be directly used as an input address as shown in FIG. 2B, a color map is not necessary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bitmap input is "1010", the 10th The Y, CB, and CR stored in the entry are finally output and displayed.

그리고, 비트맵이 4비트/화소 이상으로 표현된 경우 CLUT는 16엔트리 이상을 가져야 한다.And, if the bitmap is represented by 4 bits / pixel or more, the CLUT must have 16 entries or more.

OSD 비트맵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최대 720×480(NTSC 방식) 또는 720×576(PAL 방식)까지 이를 수 있다. 이러한 비트맵은 외부 메모리에 저장되는 비트맵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외부 메모리와 OSD 컨트롤러 사이의 메모리 데이터 전송량이 증가하게 된다.The size of the OSD bitmap can generally be up to 720 × 480 (NTSC) or 720 × 576 (PAL). If the bitmap is large in size, the amount of memory data transfer between the external memory and the OSD controller is increased.

그러나, 일반 영상과는 달리 OSD화면은 시간에 따른 변화가 매우 작다. 예를 들면 자막(Caption)의 경우 1-2초 동안 같은 비트맵을 유지하기 때문에 대략 50-60 프레임동안 비트맵이 변하지 않는다.However, unlike a normal image, the OSD screen is very small over time. For example, in the case of caption, the bitmap does not change for approximately 50-60 frames because the same bitmap is maintained for 1-2 seconds.

또한 초기화면에서의 메뉴선택같은 OSD화면의 경우 시청자가 메뉴로 선택하기 이전까지는 OSD비트맵이 변하지 않는다.Also, in case of OSD screen such as menu selection on the initial screen, the OSD bitmap does not change until the viewer selects the menu.

즉, 일반적인 OSD 비트맵은 움직임이 거의 없으므로 외부 메모리와 OSD 콘트롤러 사이의 OSD비트맵을 갱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OSD 화면에서 커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커서자체의 모양은 고정 되어있지만 움직임 정도가 일반적인 OSD 비트맵에 비하여 무척 심하다는 커서의 특징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In other words, general OSD bitmaps have little movement, so data transfer to update the OSD bitmap between the external memory and the OSD controller is not a problem, but when the cursor is used on the OSD screen, the shape of the cursor itself is fixed. However, the problem i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 of the cursor that the degree of movement is more severe than the general OSD bitmap.

예를 들어 초기 메뉴선택 화면의 경우 OSD 배경 비트맵은 변하지 않지만 시청자가 OSD 화면상에서 자신의 의도대로 커서가 움직이고 있음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커서를 움직일 때마다 전체 OSD 비트맵을 갱신 시켜주어야 하기 때문에 커서가 포함된 OSD 비트맵은 다른 경우보다 빈번하게 OSD 비트맵을 갱신시켜 주어야 하고, 이는 곧바로 외부 메모리와 OSD 콘트롤러 사이의 메모리 데이터 전송량의 증가로 이어진다.For example, in the initial menu selection screen, the OSD background bitmap does not change, but the viewer must update the entire OSD bitmap each time he moves the cursor to see that the cursor is moving as he intended on the OSD screen. The OSD bitmap with the cursor needs to update the OSD bitmap more frequently than in other cases, which leads to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memory data transfer between the external memory and the OSD controller.

일반적으로 OSD장치는 영상처리 시스템의 한 부분으로서 OSD장치에 의한 메모리 데이터전송량이 증가할 경우 영상처리 시스템의 전체적인 성능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In general, the OSD device is a part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when the amount of memory data transfer by the OSD device increase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image processing system is deterio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커서 비트맵을 OSD 콘트롤러의 내부 버퍼에 저장한 후 외부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위치정보만을 받아들여 커서 비트맵을 출력시키도록 함으로써 외부 메모리와 OSD 콘트롤러 사이의 메모리 데이터 전송량을 크게 경감시켜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한 OSD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the cursor bitmap is stored in an internal buffer of the OSD controller, and then the cursor bitmap is output by accepting only position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microprocess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SD device that greatly reduces the amount of memory data transfer between OSD controllers to improve overall performance.

도 1은 OSD 비트맵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OSD bitmap

도 2a 및 도 2b는 OSD 비트맵의 표시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2A and 2B schematically illustrate a method of displaying an OSD bitmap.

도 3은 본 발명의 OSD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OS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외부 마이크로 프로세서 11 : 메모리10: external microprocessor 11: memory

12, 13 : 버퍼 14 : 멀티플렉서12, 13: buffer 14: multiplexer

15 : OSD 컨트롤러 16 : 호스트 인터페이스15: OSD controller 16: host interfac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OSD 비트맵 데이터 및 커서 비트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상기 메모리로 부터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커서의 비트맵 데이터를 로드하는 제 1 버퍼와, 상기 메모리로 부터 OSD 비트맵 데이터를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로드하는 제 2 버퍼와, OSD 제어신호 및 커서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버퍼 및 제 2 버퍼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OSD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mory for storing OSD bitmap data and cursor bitmap data, a first buffer for loading bitmap data of a cursor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memory, and an OSD from the memory. An OSD device including a second buffer for loading bitmap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a multiplexer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outputs of the first buffer and the second buffer according to OSD control signals and cursor position information; Is achieved.

이하, 첨부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OSD 비트맵 데이터와 커서 비트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메모리(11)와, 상기 메모리(11)로 부터 커서 비트맵 데이터를 로드하는 제 1 버퍼(12)와, 상기 메모리(11)로 부터 OSD 비트맵 데이터를 로드하는 제 2 버퍼(13)와, 외부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 부터의 OSD제어신호 및 커서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1 버퍼(12, 13)의 출력을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멀티플렉서(1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버퍼(12, 13)와 멀티플렉서(14)는 OSD콘트롤러(15)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3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ncludes an external memory 11 storing OSD bitmap data and cursor bitmap data, and a first buffer loading cursor bitmap data from the memory 11. 12, a second buffer 13 for loading OSD bitmap data from the memory 11, OSD control signals from an external microprocessor 10 and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And a multiplexer 14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outputs of the first buffers 12 and 1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12 and 13 and the multiplexer 14 are formed inside the OSD controller 15. have.

그리고 미설명 부호 16은 외부 마이크로 프로세서(10)를 외부메모리(11)와 OSD콘트롤러(15)로 연결하여 주기 위한 호스트 인터페이스이다.In addition, reference numeral 16 is a host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external microprocessor 10 to the external memory 11 and the OSD controller 15.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OSD장치에 의하면, 외부 마이크로 프로세서(10)에 의하여 외부 메모리(11)에 OSD 비트맵 데이터와 커서 비트맵 데이터를 저장한 후 다시 외부 마이크로 프로세서(10) 또는 OSD콘트롤러(15)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 1 버퍼(12)에 상기 커서 비트맵 데이터를, 그리고 제 2 버퍼(13)에 OSD비트맵 데이터를 각각 로드시킨 후, 상기 외부 마이크로 프로세서(10) 또는 OSD 콘트롤러(15)로 부터의 OSD 제어신호 및 커서의 위치정보에 따라 멀티플렉서(14)가 상기 제 1 버퍼(12) 및 제 2 버퍼(13)의 출력을 선택하여 OSD장치에서 커서의 표시기능을 한다.According to the OS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fter storing the OSD bitmap data and the cursor bitmap data in the external memory 11 by the external microprocessor 10, the external microprocessor 10 or the OSD controller 15 again. After loading the cursor bitmap data into the first buffer 12 and the OSD bitmap data into the second buffer 13 according to an internal control signal, the external microprocessor 10 or the OSD controller ( The multiplexer 14 selects the outputs of the first buffer 12 and the second buffer 13 according to the OSD control signal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cursor from 15) to display the cursor in the OSD devic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OSD 장치는 커서가 포함된 OSD 화면에서는 커서 자체의 형태의 변화는 없으나 위치의 변동 정도가 심하여 커서의 비트맵을 갱신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량이 많다는 점을 감안하여 커서의 비트맵 데이터를 OSD 콘트롤러 내부의 버퍼에 저장하고 외부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 위치정보만 받아들여서 커서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 OSD 비트맵 데이터를 갱신하는 종래에 비하여 갱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량이 대폭적으로 줄어들게 되어서 메모리 데이터 전송량증가로 인한 영상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 할 뿐아니라 커서의 크기는 매우 작으므로 OSD 콘트롤러의 하드웨어 내부에 커서 비트맵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를 저렴한 가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SD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change in the shape of the cursor itself in the OSD screen including the cursor, but the bitmap of the cursor is large in consideration of the large amount of data transmission for updating the bitmap of the cursor due to the large variation in the position. Because the data is stored in the internal buffer of the OSD controller and only the position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external microprocessor, the cursor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us, the data transfer volume for updating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of updating the entire OSD bitmap data. This prevent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image processing device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memory data transfer, and because the cursor is very small, a buffer for storing the cursor bitmap data inside the hardware of the OSD controller can be implemented at a low price. Has the effect of.

Claims (2)

OSD 비트맵 데이터 및 커서 비트맵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the OSD bitmap data and the cursor bitmap data, respectively; 상기 메모리로 부터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커서의 비트맵 데이터를 로드하는 제 1 버퍼;A first buffer for loading bitmap data of a cursor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rom the memory; 상기 메모리로 부터 OSD 비트맵 데이터를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로드하는 제 2 버퍼;A second buffer for loading OSD bitmap data from the memor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OSD 제어신호 및 커서의 위치정보에 따라 상기 제 1 버퍼로부터 출력하는 커서의 비트맵 데이터와, 제 2 버퍼로부터 출력하는 OSD 비트맵 데이터를 선택하여 출력시키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는 OSD 장치.And a multiplexer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bitmap data of the cursor output from the first buffer and OSD bitmap data output from the second buffer according to an OSD control signal and cursor position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및 제 2 버퍼와 멀티플렉서는 OSD 콘트롤러 내부에 형성되도록 한 OSD 장치.And the first and second buffers and multiplexers are formed inside the OSD controller.
KR1019970003190A 1997-02-01 1997-02-01 OSD device KR1002492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190A KR100249219B1 (en) 1997-02-01 1997-02-01 OSD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190A KR100249219B1 (en) 1997-02-01 1997-02-01 OSD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64A KR19980067264A (en) 1998-10-15
KR100249219B1 true KR100249219B1 (en) 2000-03-15

Family

ID=19496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190A KR100249219B1 (en) 1997-02-01 1997-02-01 OSD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921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4563B2 (en) 2004-08-30 2009-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video display control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385B1 (en) * 2000-04-24 2002-07-15 윤종용 Osd(on screen display) cursor display method and osd image display apparatu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470A (en) * 1984-08-06 1988-07-12 Honeywell Bull Inc. Pattern generation for a graphics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7470A (en) * 1984-08-06 1988-07-12 Honeywell Bull Inc. Pattern generation for a graphics displa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4563B2 (en) 2004-08-30 2009-06-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video display control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264A (en)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0405B1 (en) Device for controlling output of video data using double buffering
US5250940A (en) Multi-mode home terminal system that utilizes a single embedded general purpose/DSP processor and a single random access memory
US594605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 user to access data network applications from a television system
US6466220B1 (en) Graphics engine architecture
US75578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laying reduced color resolution images
US6829015B2 (en) Device and method for realizing transparency in an on screen display
KR19980042031A (en) Variable resolution screen display system
KR100249219B1 (en) OSD device
US20030174138A1 (en) Image display circuitry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US8159613B2 (en) Method for setting caption window attributes and associated television system
JPH04174497A (en) Display controlling device
JP2959519B2 (en) Graphics display
US7312832B2 (en) Sub-picture image decoder
KR950004966A (en) OSD character data support system by external memory
KR100277042B1 (en) OSD memory control structure of digital video display device
KR100269423B1 (en) Character display circuit of high definition television receiver
KR100206264B1 (en) Computer display system for graphic and text
JPH06343142A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50030428A1 (en) On-screen display device
KR100247950B1 (en) Television format conversion method of personal computer signal
KR10038552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terializing transparent
JPH0497390A (en) Displaying device
JPH0756552A (en) Correcting circuit for color tone in windows driver
JPH04212992A (en) Display control unit
JPS61209481A (en) Character display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