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265B1 - Digital image coder and decoder for minimizing of eye sore - Google Patents

Digital image coder and decoder for minimizing of eye s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265B1
KR100248265B1 KR1019930002679A KR930002679A KR100248265B1 KR 100248265 B1 KR100248265 B1 KR 100248265B1 KR 1019930002679 A KR1019930002679 A KR 1019930002679A KR 930002679 A KR930002679 A KR 930002679A KR 100248265 B1 KR100248265 B1 KR 100248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rete cosine
variable length
image
memory
quant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6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40020702A (en
Inventor
어정선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3000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265B1/en
Priority to JP6064305A priority patent/JPH0775107A/en
Publication of KR940020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070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265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method, adaptation tool or adaptation type used for the adaptive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 압축확장 알고리듬의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기 위한 디지탈 영상 복/부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호장치에서 눈거슬림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추정되는 단위 구획을 검출하여 복호장치측에 검출된 정보를 전송하면, 복호장치는 보내온 정보에 따라 눈거슬림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추정된 복원된 단위 구획만을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눈거슬림 현상을 줄임으로써, 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형상시키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decoding / coding apparatus for reducing annoyance phenomenon of a digital image compression extension algorithm, and detects a unit block in which an encoding apparatus is expected to appear and transmit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decoding apparatus. In this case, the decoding apparatus low-pass filters only the reconstructed unit blocks estimated to appear in accordance with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o reduce the blurring phenomenon, thereby forming the subjective image quality of the image.

Description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기 위한 디지탈 영상 복/부호장치Digital Video Coding / Encoding Device to Reduce Eyestrain

제1도는 종래 디지탈 영상 부호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digital video coder.

제2도는 종래 디지탈 영상 복호장치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digital video decoding apparatus.

제3도는 본 발명의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기 위한 디지탈 영상 부호장치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video encoding apparatus for reducing the eye-eye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도는 본 발명의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기 위한 디지탈 영상 복호장치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gital image decoding device for reducing the eye-eye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15 : 메모리 2 : 움직임 추정기1, 15: memory 2: motion estimator

3, 16 : 움직임 보상기 4 : 이산코사인 변환기3, 16: motion compensator 4: discrete cosine converter

5 : 양자화기 6, 13 : 역 양자화기5: quantizer 6, 13: inverse quantizer

7, 14 : 역 이산코사인 변환기 8 : 가변길이 부호화기7, 14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8: variable length coder

9, 11 : 완충기 10 : 영상 분석기9, 11: buffer 10: image analyzer

12 : 가변길이 복호화기 17 : 지연메모리12 variable length decoder 17 delay memory

18 : 저역통과 필터 SW1, SW2 : 스위치18: Low pass filter SW1, SW2: switch

본 발명은 디지탈 영상 압축확장알고리듬에서 눈거슬림 현상 특히, 구획화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부호장치에서 구획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을 찾고, 보내온 정보에 따라 복호장치에서 저역 통과필터를 사용 구획화 현상을 줄여 화질을 개선한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기 위한 디지탈 영상 복/부호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inds a part in which a partitioning phenomenon may appear in a coding apparatus to remove eye anomalies, especially partitioning, in a digital image compression and expansion algorithm, and uses a low pass filter in a deco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nt information to reduce partition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image decoding / coding apparatus for reducing annoyance.

종래의 디지탈 영상 부호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와 ; 입력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1)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움직임 정도를 검출하는 움직임 추정기(2)와 ; 그 움직임 추정기(2)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1)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에서 영상을 추출하는 움직임 보상기(3)와 ; 입력영상을 상기 움직임 보상기(3)에서 추출된 영상에 의해 8 * 8 변환계수로 이산코사인 변환기는 이산코사인 변환기(4)와 ; 그 이산 코사인 변환기(4)에서 변환된 계수의 양자화 간격을 산출하여 양자화하는 양자화기(5)와 ; 그 양자화기(5)에서 양자화된 데이타를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로 복원하는 역 양자화기(6)와 ; 그 역 양자화기(6)에서 출력된 12비트의 계수를 입력받아 9비트의 화소 데이타로 복원하는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7)와; 상기 양자화기(5)에서 양자화된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 및 다른 정보들을 가변길이 부호화하는 가변길이 부호화기(8)와; 그 가변길이 부호화기(8)에서 부호화된 출력이 일정 비트율로 전송되기 때문에 생기는 언더 플로우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9)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ventional digital video encoding apparatus includes a memory 1 for storing a previous frame image, as shown in FIG. A motion estimator (2) for detecting a degree of motion by comparing an input image with a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memory (1); A motion compensator (3) for extracting an image from a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memory (1)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estimator (2); A discrete cosine converter with an 8 * 8 transform coefficient based on the image extracted by the motion compensator 3; A quantizer 5 for calculating and quantizing the quantization interval of the coefficients transformed by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4; An inverse quantizer 6 for restoring the data quantized by the quantizer 5 into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n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7 that receives the 12-bit coefficients output from the inverse quantizer 6 and restores the 9-bit pixel data; A variable length encoder (8) for variable length coding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nd other information quantized by the quantizer (5); It consists of a buffer 9 for preventing underflow and overflow caused by the output coded by the variable length encoder 8 being transmitted at a constant bit rate.

종래의 디지탈는 영상 복호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호장치에서 일정 비트율로 전송되는 비트수를 조절하기 위한 완충기(11)와; 그 완충기(11)에서 조절된 비트수의 가변길이 부호를 복호화하는 가변길이 복호화기(12)와; 그 가변길이 복호화기(12)에서 가변길이 복호화된 데이타를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로 복원하는 역 양자화기(13)와; 그 역 양자화기(13)에서 출력된 12비트의 계수를 입력받아 9비트의 화소 데이타로 복원하는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와; 그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에서 복원된 화소 데이타 및 가변길이 복호화기(12)에서 복호화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에서 복원된 화소 데이타에 따라 상기 메모리(15)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에서 영상을 추출하는 움직임 보상기(16)와; 그 움직임 보상기(16)의 출력 또는 상기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의 출력을 선택 출력하는 스위치(SW1)로 구성되어 있다.A conventional digital video decoding apparatus includes a buffer 11 for adjusting the number of bits transmitted at a constant bit rate in an encoding apparatus, as shown in FIG. A variable length decoder 12 for decoding the variable length code of the number of bits adjusted by the buffer 11; An inverse quantizer 13 for restoring the variable length decoded data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12 into a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 An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14 which receives the 12-bit coefficients output from the inverse quantizer 13 and restores the 9-bit pixel data; A memory 15 for storing the pixel data recovered by the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14 and the information decoded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12; A motion compensator (16) for extracting an image from a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memory (15) according to the pixel data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14); And a switch SW1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motion compensator 16 or the output of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ducer 14.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디지탈 영상 복/부호장치는, 디지탈 영상 정보를 압축하여 저장하거나 전송하려할때 쓰이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H.261 및 동영상 전문가 그룹(Motion Picture Expert Group 이하 MPEG라 칭함) 또는 다수의 디지탈 고선명 텔레비젼(HDTV) 알고리듬에서 부호장치의 출력을 일정 비트율로 하기 위해 발생되는 비트수를 조절하고 있다. 이로 인해 영상이 복잡하거나 움직임이 많은 경우 낮은 비트율로 부호화를 하게되어 눈거슬림 현상, 특히 구획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The conventional digital video decoding / cod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generally known as H.261 and Motion Picture Expert Group (MPEG) or a plurality of commonly used digital video information compression / storage or transmission. In digital high definition television (HDTV) algorithms, the number of bits generated to adjust the output of the encoder to a constant bit rate is controlled. As a result, when the image is complicated or there is a lot of motion, encoding is performed at a low bit rate, and thus a frustration phenomenon, in particular, a segmentation phenomenon appears.

그러나, 이와 같은 디지탈 압축 알고리듬의 눈거슬림 현상 제거방법에 대해서 동영상 전문가 그룹(MPEG)이나 기존에서 소개된 고선명 텔레비젼(HDTV)에서는, 부호장치 측에서 양자화 간격을 조절하여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는데, 복호장치 측에서의 처리방법은 제안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상당히 복잡한 영상인 경우 눈거슬림 현상을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게 된다.However, the video expert group (MPEG) or the high-definition television (HDTV) introduced in the digital compression algorithm to reduce the angling phenomenon of the digital compression algorithm, proposes to reduce the bleeding phenomenon by adjusting the quantization interval on the encoder side However, the processing method on the decoding device side has not been proposed, and there is a limit to remove the eye strain in the case of a fairly complicated imag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복호장치 측에서 입력영상에 관계없이 눈거슬림 현상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디지탈 압축 알고리듬의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는 한 방법으로, 부호장치에서 눈거슬림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추정되는 단위 구획을 검출하여 복호장치 측에 검출된 정보를 보내면, 복호장치가 부호장치에서 보내온 눈거슬림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추정된 정보에 따라 복원된 단위 구획만을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도록 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eye bleeding phenomenon regardless of the input image on the decoding device side in view of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n other words, as a way to reduce the annoyance phenomenon of the digital compression algorithm, if the encoder detects a unit block that is expected to appear the annoyance phenomenon and sends the detected information to the decoder, the decoder sends the annoyance sent from the encoder. The low-pass filtering was performed on the reconstructed unit blocks according to the estimated information to reduce the phenomenon of annoyan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의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기 위한 디지탈 영상 부호장치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와; 입력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1)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움직임 정도를 검출하는 움직임 추정기(2)와; 이 움직임 추정기(2)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1)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에서 영상을 추출하는 움직임 보상기(3)와; 입력영상을 상기 움직임 보상기(3)에서 추출된 영상에 의해 8*8 변환계수로 이산 코사인 변환하는 이산 코사인 변환기(4)와; 이 이산 코사인 변환기(4)에서 변환된 계수의 양자화 간격을 산출하여 양자화하는 양자화기(5)와; 이 양자화기(5)에서 양자화된 데이타를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로 복원하는 역양자화기(6)와; 이 역 양자화기(6)에서 출력된 12 비트의 계수를 입력받아 9 비트의 화소 데이타로 복원하는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7)와; 상기 양자화기(5)에서 양자화된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 및 다른 정보들을 가변길이 부호화하는 가변길이 부호화기(8)와; 이 가변길이 부호화기(8)에서 부호화된 출력이 일정 비트율로 전송되기 때문에 생기는 언더 플로우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9)와; 입력영상의 복잡도와 양자화 간격을 이용하여 구획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을 판별하는 영상분석기(10)로 구성한다.The digital video encoding apparatus for reducing the eye strai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mory (1) for storing a previous frame image, as shown in FIG. A motion estimator (2) for detecting a degree of motion by comparing an input image with a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memory (1); A motion compensator (3) for extracting an image from a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memory (1)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estimator (2); A discrete cosine transformer (4) for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an input image into an 8 * 8 transform coefficient by the image extracted by the motion compensator (3); A quantizer 5 for calculating and quantizing the quantization interval of the coefficients transformed by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4; An inverse quantizer 6 for restoring the data quantized by the quantizer 5 into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n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7 which receives the 12-bit coefficients output from the inverse quantizer 6 and restores the 9-bit pixel data; A variable length encoder (8) for variable length coding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nd other information quantized by the quantizer (5); A buffer 9 for preventing underflow and overflow caused by the output coded by the variable length encoder 8 being transmitted at a constant bit rate; The image analyzer 10 determines a part in which a partitioning phenomenon may occur using the complexity of the input image and the quantization interval.

본 발명의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기 위한 디지탈 영상 복호장치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장치에서 일정 비트율로 전송되는 비트수를 조절하기 위한 완충기(11)와; 이 완충기(11)에서 조절된 비트수의 가변길이 부호를 복호화하는 가변길이 복호화기(12)와; 이 가변길이 복호화기(12)에서 가변길이 복호화된 데이타를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로 복원하는 역 양자화기(13)와; 이 역 양자화기(13)에서 출력된 12 비트의 계수를 입력받아 9 비트의 화소 데이타로 복원하는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와; 이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에서 복원된 화소 데이타 및 가변길이 복호화기(12)에서 복호화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에서 복원된 화소 데이타에 따라 상기 메모리(15)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에서 영상을 추출하는 움직임 보상기(16)와; 그 움직임 보상기(16)의 출력 또는 상기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의 출력을 선택 출력하는 스위치(SW1)와; 이 스위치(SW1)에 의해 선택출력된 영상정보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메모리(17)와; 이 지연메모리(17)를 통해 지연된 영상정보를 상기 가변길이 복호화기(12)에서 복호화된 데이타 정보에 따라 선택출력하는 스위치(SW2)와; 이 스위치(SW2)의 선택에 의해 부호장치에서 추출한 단위 구획만을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는 저역통과 필터(18)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4, a digital video decoding apparatus for reducing the eye-eye phenomen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ffer 11 for adjusting the number of bits transmitted at a constant bit rate from an encoder; A variable length decoder 12 for decoding the variable length code of the number of bits adjusted by the buffer 11; An inverse quantizer 13 for restoring the variable length decoded data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12 into a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 An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14 that receives the 12-bit coefficients output from the inverse quantizer 13 and restores the 9-bit pixel data; A memory 15 for storing the pixel data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14 and the information decoded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12; A motion compensator (16) for extracting an image from a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memory (15) according to the pixel data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14); A switch SW1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motion compensator 16 or the output of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ducer 14; A delay memory 17 for delaying the video information selected and output by the switch SW1 for a predetermined time; A switch SW2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video information delayed through the delay memory 17 according to the data information decoded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12; By selecting this switch SW2, only the low-pass filter 18 which reduces the blurring phenomenon by filtering low-pass only the unit block extracted from the coding apparatus is comprised.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영상이 낮은 비트율로 부호화될때 복호화된 영상에서, 영상이 평탄한 곳에 잘보여지는 구획화 현상(Blocking Efect), 평탄한 배경을 갖는 영상의 경계 부분에 서 나타나는 색번짐 현상(Color Bleeding)등 일종의 눈거슬림 현상 특히, 구획화 현상을 볼수있는데 이러한 눈에 띄는 구획화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 구획화 현상이 나타날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어 복호장치에서 저역통과 필터를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키게 된다.In the decoded image when the image is encoded at a low bit rate, a kind of annoying phenomenon such as a blocking effect that is well seen in a flat place, a color bleeding that appears at the boundary of the image having a flat background, In order to reduce this noticeable partitioning phenomenon, we can find out the segmentation phenomenon and apply a lowpass filter in the decoder to improve the subjective quality of the imag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크게 2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필터를 적용할 단위 구획추출이고, 둘째는 복호장치에서 부호장치에서 추출한 단위 구획에 저역통과필터의 적용이다. 먼저, 부호장치에서 필터를 적용할 단위 구획추출방법을 살펴보면, 영상분석기(10)에서 구획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필요한 인자를 찾아내야 하는데, 이때 필요한 인자는 영상의 복잡도, 양자화 간격과 같은 것들이 있으며, 각 인자들의 추출단위는 움직임 벡터를 구하는 단위인 대구획을 추출단위로 사용한다. 추출할 인자중 하나인 영상의 복잡도는 일반적으로 분산(Variance)을 사용한 예를 그대로 이용하여 본 발명에서도 대구획 단위로 분사값(Vbi ; i 번째 대구획 분산값)을 계산해내어 복잡도 인자로 사용하며, 그 실시예인 분산값(Vbi)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two types. First, unit partition extraction to be applied to the filter, and second, low pass filter is applied to the unit partition extracted from the encoding device in the decoding device. First, looking at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unit partition to apply the filter in the encoder, it is necessary to find the necessary factor to find the part where the partitioning phenomenon can appear in the image analyzer 10, wherein the necessary factor is the complexity of the image, the quantization interval There are the followings, and the extraction unit of each factor uses a large segment, which is a unit for obtaining a motion vector, as an extraction unit. The complexity of the image, which is one of the factors to be extracted, is generally used as the complexity factor by calculating the injection value (Vbi; i-th large-segment variance value) in units of large compartments by using an example using variance as it is. The dispersion value Vbi which is an example of this calculation is as follows.

Vbi = [∑Sn - (∑Sn)2] / NpmVbi = [∑Sn-(∑Sn) 2 ] / Npm

여기서 Sn은 화소값을 나타내고, Npm은 대구획의 화소갯수를 나타낸다.Sn represents a pixel value and Npm represents the number of pixels of a large compartment.

또한, 추출할 인자중 다른 하나인 양자화 간격은 기존의 알고리듬에 따라 양자화기(5)에서 사용된 양자화 간격을 그대로 구획화 현상이 나타날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기 위한 인자로 사용한다.In addition, the quantization interval, which is another one of the factors to be extracted, is used as a factor for finding a part where the partitioning phenomenon may appear as it is using the quantization interval used in the quantizer 5 according to the existing algorithm.

상기와 같이 추출된 대구획 단위의 복잡도와 양자화 간격을 가지고 복호장치에서 필터 적용 여부를 판정해야 하는데 대구획 판정 알고리듬은 다음 판정식을 사용한다.With the complexity and quantization interval of the extracted large-segment unit,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filter is applied in the decoding apparatus. The large-segment determination algorithm uses the following determination equation.

여기서 Q_step은 양자화 간격을 말하며 Th1은 복잡도에 대한 임계값, Th2는 양자화 간격 임계값을 나타낸다. F_flag 가 "1"이면 복호장치에서 필터를 적용하고, "0"이면 필터를 적용하지 않는다. F_flag 정보는 가변길이 부호화기(8)에서 부호화되어 복호장치로 전송된다. 복호장치로 전송된 영상 정보는 지연메모리(17)를 통해 가변길이 복호화기(12)에서 대구획 단위로 검출한 F_flag 정보에 따라 F_flag가 "1"이면 저역통과 필터(18)를 통과하고, "0"이면 그대로 스위치(SW2)를 통해 출력된다.Q_step is a quantization interval, Th1 is a threshold for complexity, and Th2 is a quantization interval threshold. If F_flag is "1", the decoder applies a filter. If "F" is 0, the filter is not applied. The F_flag information is encoded by the variable length encoder 8 and transmitted to the decoder. The image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decoding apparatus passes through the low pass filter 18 when the F_flag is "1" according to the F_flag information detected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12 in the large-segment unit through the delay memory 17, and " 0 "is output through the switch SW2 as it is.

상기 스위치(SW2)가 저역통과 필터(18)로 연결되었을 경우 상기 지연메모리(17)는 처리될 대구획외에 필터 탭수에 따라 주변화소값도 같이 출력한다.When the switch SW2 is connected to the low pass filter 18, the delay memory 17 also outputs peripheral pixel valu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lter taps in addition to the large block to be processed.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이 낮은 비트율로 부호화될때 복호화된 영상에서 눈에 띄는 일종의 눈거슬림 현상중 구획화 현상을 줄이기 위해, 부호장치에서 영상의 복잡도와 양자화 간격을 이용하여 구획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 부분을 찾아내고 또, 복호장치에서 부호장치에서 보내온 정보에 따라 대구획 단위로 저역통과 필터를 적절히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구획화 현상을 줄여 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titioning phenomenon by using the complexity of the image and the quantization interval in the encoding apparatus in order to reduce the partitioning phenomenon which is noticeable in the decoded image when the image is encoded at a low bit rat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gmentation phenomenon and improve the subjective quality of the image by finding a part that can appear and using a method of using a low pass filter in a large block unit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sent from the encoder in the decoder. have.

Claims (2)

이전 프레임 영상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와 ; 입력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1)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과 비교하여 움직임 정도를 검출하는 움직임 추정기(2)와 ; 이 움직임 추정기(2)에서 검출된 움직임 정보에 따라 상기 메모리(1)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에서 영상을 추출하는 움직임 보상기(3)와 ; 입력영상을 상기 움직임 보상기(3)에서 추출된 영상에 의해 8*8 변환계수로 이산 코사인 변환하는 이산코사인 변환기(4)와 ; 그 이산 코사인 변환기(4)에서 변환된 계수의 양자화 간격을 산출하여 양자화하는 양자화기(5)와 ; 이 양자화기(5)에서 양자화된 데이타를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로 복원하는 역 양자화기(6)와 ; 이 역 양자화기(6)에서 출력된 12비트의 계수를 입력받아 9비트의 화소 데이타로 복원하는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7)와; 상기 양자화기(5)에서 양자화된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 및 다른 정보들을 가변길이 부호화하는 가변길이 부호화기(8)와; 이 가변길이 부호화기(8)에서 부호화된 출력이 일정 비트율로 전송되기 때문에 생기는 언더 플로우나 오버플로우를 방지하기 위한 완충기와; 입력영상의 복잡도와 양자화 간격을 이용하여 구획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추정되는 단위 구획을 검출하는 영상분석기(1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기 위한 디지탈 영상 부호장치.A memory 1 storing a previous frame image; A motion estimator (2) for detecting a degree of motion by comparing an input image with a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memory (1); A motion compensator (3) for extracting an image from a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memory (1) according to the motion information detected by the motion estimator (2); A discrete cosine transformer 4 for discrete cosine transforming an input image into an 8 * 8 transform coefficient by the image extracted by the motion compensator 3; A quantizer 5 for calculating and quantizing the quantization interval of the coefficients transformed by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4; An inverse quantizer 6 for restoring the data quantized by the quantizer 5 into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n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7 which receives the 12-bit coefficients output from the inverse quantizer 6 and restores the 9-bit pixel data; A variable length encoder (8) for variable length coding the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s and other information quantized by the quantizer (5); A buffer for preventing underflow and overflow caused by the output coded by the variable length encoder 8 being transmitted at a constant bit rate; And an image analyzer (10) for detecting a unit partition in which a partitioning phenomenon is expected to occur using the complexity of the input image and the quantization interval. 부호장치에서 일정 비트율로 전송되는 비트수를 조절하기 위한 완충기(11)와; 이 완충기(11)에서 조절된 비트수의 가변길이 부호를 복호화하는 가변길이 복호화기(12)와; 이 가변길이 복호화기(12)에서 가변길이 복호화된 데이타를 이산 코사인 변환계수로 복원하는 역 양자화기(13)와; 이 역 양자화기(13)에서 출력된 12 비트의 계수를 입력받아 9 비트의 화소 데이타로 복원하는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와; 이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에서 복원된 화소 데이타 및 가변길이 복호화기(12)에서 복호화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에서 복원된 화소 데이타에 따라 상기 메모리(15)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에서 영상을 추출하는 움직임 보상기(16)와; 이 움직임 보상기(16)의 출력 또는 상기 역 이산 코사인 변환기(14)의 출력을 선택 출력하는 스위치(SW1)와; 이 스위치(SW1)에 의해 선택출력된 영상정보를 일정시간 지연시키는 지연메모리(17)와; 이 지연메모리(17)를 통해 지연된 영상정보를 상기 가변길이 복호화기(12)에서 복호화된 데이타 정보에 따라 선택출력하는 스위치(SW2)와; 이 스위치(SW2)의 선택에 의해 부호장치에서 추출한 단위 구획만을 저역통과 필터링하여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는 저역통과 필터(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눈거슬림 현상을 줄이기 위한 디지탈 영상복호장치.A buffer 11 for adjusting the number of bits transmitted at a constant bit rate in the encoder; A variable length decoder 12 for decoding the variable length code of the number of bits adjusted by the buffer 11; An inverse quantizer 13 for restoring the variable length decoded data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12 into a discrete cosine transform coefficient; An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14 that receives the 12-bit coefficients output from the inverse quantizer 13 and restores the 9-bit pixel data; A memory 15 for storing the pixel data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discrete cosine transformer 14 and the information decoded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12; A motion compensator (16) for extracting an image from a previous frame stored in the memory (15) according to the pixel data reconstructed by the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14); A switch SW1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output of the motion compensator 16 or the output of the inverse discrete cosine converter 14; A delay memory 17 for delaying the video information selected and output by the switch SW1 for a predetermined time; A switch SW2 for selectively outputting the video information delayed through the delay memory 17 according to the data information decoded by the variable length decoder 12; The digital image decoding device for reducing the eye strai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 pass filter 18 to reduce the eye strain phenomenon by low-pass filtering only the unit block extracted from the encoder by the selection of the switch (SW2) .
KR1019930002679A 1993-02-25 1993-02-25 Digital image coder and decoder for minimizing of eye sore KR100248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679A KR100248265B1 (en) 1993-02-25 1993-02-25 Digital image coder and decoder for minimizing of eye sore
JP6064305A JPH0775107A (en) 1993-02-25 1994-02-24 Encoder and decoder for digital video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2679A KR100248265B1 (en) 1993-02-25 1993-02-25 Digital image coder and decoder for minimizing of eye so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0702A KR940020702A (en) 1994-09-16
KR100248265B1 true KR100248265B1 (en) 2000-03-15

Family

ID=19351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679A KR100248265B1 (en) 1993-02-25 1993-02-25 Digital image coder and decoder for minimizing of eye sor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75107A (en)
KR (1) KR1002482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281A (en) * 2014-12-22 2016-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6281A (en) * 2014-12-22 2016-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32274B1 (en) * 2014-12-22 2021-11-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Image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75107A (en) 1995-03-17
KR940020702A (en) 1994-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0806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ving blocking effect in a motion picture decoder
US7283588B2 (en) Deblocking filter
KR960010196B1 (en) Dct coefficient quantizer utilizing human vision characteristics
JP2891772B2 (en) Digital image coding method using random scanning of image frames
US5500677A (en) Device for encoding digital signals representing images, and corresponding decoding device
US5526052A (en) Quantization adaptive to the human visual system
JP3814321B2 (en) Quantization parameter deter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3025610B2 (en)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7822125B2 (en) Method for chroma deblocking
KR0159559B1 (en) Adaptive postprocessing method of a digital image data
WO2005079073A1 (en) Encoding and decoding of video images based on a quantization with an adaptive dead-zone size
EP0680217B1 (en) Video signal decod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blocking effects
US20020150166A1 (en) Edge adaptive texture discriminating filtering
KR100229796B1 (en) Image decoding system including compensation at detoriorate image
KR100262500B1 (en) Adaptive block effect reduction decoder
KR100248265B1 (en) Digital image coder and decoder for minimizing of eye sore
JPH0681308B2 (en) Quantization noise suppression method in interframe coding
KR0185646B1 (en) Image compression data quantity control circuit and method of image compression apparatus
KR100237636B1 (en) Apparatus for improving blocking effect
KR0180172B1 (en) An object encoder and an object decoder
KR100287214B1 (en) Method and system for encoding motion pictures
JPH08191444A (en) Video signal decoder
KR100196831B1 (en) Circuit for preventing blocking effect in image processor
KR0162196B1 (en) Pos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blocking artifact
KR970008415B1 (en) A preprocessing method for moving image co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