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578B1 - Image receiv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 Google Patents

Image receiv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578B1
KR100246578B1 KR1019960080065A KR19960080065A KR100246578B1 KR 100246578 B1 KR100246578 B1 KR 100246578B1 KR 1019960080065 A KR1019960080065 A KR 1019960080065A KR 19960080065 A KR19960080065 A KR 19960080065A KR 100246578 B1 KR100246578 B1 KR 100246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surface
imaging target
light source
illumination light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800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60933A (en
Inventor
고로 기타무라
가즈시 요시다
토기오 다카노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ublication of KR970060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9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578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32Overhead projectors, i.e. capable of projecting hand-writing or drawing during a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66Reflectors in illumina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Image Inpu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조명광원에 의해 촬상대상면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명광원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이 카메라유니트의 수광면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 취급성이 용이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를 제공한다.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makes it possible to uniformly illuminate the object to be photographed without light spots, and prevents the specularly reflected light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from entering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camera unit. Provided is an image capture device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촬상대상면(2)을 반사갓(34),(34')을 가지는 두 개의 조명광원(27),(27')에 의해 각각의 우측만, 및 좌측만을 실질적으로 조명하고, 반사갓(34),(34')을 타원 단면 및 포물선 단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상기 조명광원(27),(27')에 직접광 차단수단(38),(38)을 마련한다. 수광면(5)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25) 및 조명광원(27),(27')의 위치 및 자세를 원고대(24)에 대해서 조절할 수 있게 한다.The imaging target surface 2 is substantially illuminated by the two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having the reflection shades 34 and 34', respectively, on the right side and the left side only, and the reflection shade 34, The 34 'is formed into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a parabolic cross section, and direct light blocking means 38 and 38 are provided in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camera unit 25 having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can be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document glass 24.

Description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Image receiv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Image receiv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본 발명은 촬상대상면을 구성하는 사진, 원고, 입체물 등이 놓이는 원고대와, 상기 사진이나 원고 등을 촬상하기 위한 수광면을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나 디지탈 스틸카메라 등의 카메라유니트와, 상기 촬상 대상면을 조명하기 위한 램프 등으로 이루어진 조명광원을 구비한, 프레젠테이션 등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mera unit such as a video camera or a digital still camera having a document table on which a photograph, a document, a three-dimensional object, etc. constituting the photographing object is placed, a light receiving surface for photographing the photograph or the document, and the photographing object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taking apparatus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suitable for use in presentations and the like, having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consisting of a lamp for illuminating the light.

이러한 종류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로서 종래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알려져 있다. 도시예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70)는 촬상대상면(72)을 구성하는 사진이나 원고 등이 놓이는 원고대(74)를 구비하고, 이 원고대(74)의 중앙 상방에 상기 촬상대상면(72)을 촬상하기 위한 수광면(85)을 가지는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유니트(75)가 아암(80)을 통하여 지지되고, 상기 원고대(74)의 양측에는 상기 촬상대상면(72)을 조명하기 위한 가늘고 긴 형광등(78)을 가지는 좌우 한쌍의 조명광원(77),(77)이 아암(79)를 통하여 상기 원고대(74)와 평행으로 지지되어 있다.As an image taking device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of this kind, a conventional one as shown in Fig. 12 is known. The image pick-up apparatus 70 with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of an example is provided with the document glass 74 in which the photograph, document, etc. which comprise the imaging object surface 72 are placed, and the said imaging object surface above the center of this document glass 74 is carried out. A camera unit 75 such as a video camera having a light receiving surface 85 for imaging 72 is supported through an arm 80, and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platen 74. As shown in FIG. A pair of left and right illumination light sources 77 and 77 having elongated fluorescent lamps 78 for illumination are supported in parallel with the document glass 74 via an arm 79.

상기 조명광원(77) 및 아암(79)은 각각 상기 원고대(72)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77 and the arm 79 are each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plane orthogonal to the platen 72.

이러한 장치(70)에 있어서, 촬상대상면(72)을 촬상함에 있어서는 통상 촬상대상면(72)을 구성하는 사진이나 원고 등을 원고대(74)상에 위치 결정해 두고, 조명광원(77),(77)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72)을 조명함과 동시에, 촬상대상면(72)에 균일한 광이 조사되도록 상기 조명광원(77),(77)의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한 후 상기 카메라유니트(75)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72)을 촬상하게 된다.In such an apparatus 70, in imaging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a photograph, an original, or the like constituting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is usually positioned on the document table 74,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77 And (77) illuminate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and at the same time adjust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77 and 77 so that uniform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The camera unit 75 picks up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이 경우, 촬상대상면(72)의 화상은 대물렌즈(76a)를 가지는 광학유니트(76)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유니트(75)의 수광면(85)을 구성하는 촬상소자에 촬상된다.In this case, the image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is picked up by the imaging element constituting the light receiving surface 85 of the camera unit 75 via the optical unit 76 having the objective lens 76a.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70)에 있어서는 촬상대상면(72)이 예를들어 광택을 가지는 것인 경우, 이 촬상대상면(72)을 그 위로부터 조명광원(77),(77)에 의해 조사하면, 그 촬상대상면(72)에서 반사된 정반사광이 화상취입장치(75)의 수광면(85)에 들어가 버린다. 이와같이 수광면(85)에 정반사광이 들어가면, 화상에 고스트가 발생하여 선명하지 않게 되어 원하는 화상이 얻어지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image pick-up apparatus 70 with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when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has a gloss, for example,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is placed from above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77. When irradiated with, 77, the specularly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imaging target surface 72 enters the light receiving surface 85 of the image taking device 75. When specularly reflected light enters the light-receiving surface 85 in this manner, ghosts are generated in the image and become unclear, so that a desired image is not obtained.

이와같은 단점을 회피하기 위해 조명광원(77) 및 아암(79)은 통상 가상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사용된다.In order to avoid such drawbacks,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77 and the arm 79 are typically used at positions shown in phantom lines.

따라서 두개의 조명광원(77)의 배치를 위하여 장치가 대형화되어 운반이 불편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vice is enlarged for disposition of the two illumination light sources 77, which is inconvenient to carry.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조명광원에 의해 촬상대상면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명광원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이 카메라유니트의 수광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취급이 용이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도록 된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hat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can uniformly illuminate an imaging target surface without light spots, and at the same time, specular reflection light from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is applied to a light receiving surface of a camera uni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capturing apparatus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that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and that can be easily handled and downsiz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mage taking apparatus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취입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낸 확대정면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front view showing the main part of the image taking device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나타낸 화상취입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반사갓을 나타내며, (A)는 횡방향 중앙단면도, (B)는 종방향 중앙단면도이다.Fig. 3 shows a reflection shade used in the image taking device shown in Fig. 1, (A) is a transverse center cross-sectional view, and (B) is a longitudinal center cross-sectional view.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취입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반사갓의 작용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이다.4 is a view provided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flection shade used in the image taking device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나타낸 화상취입장치의 수납운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ing and transporting state of the image taking device shown in FIG.

도 6은 청구항 1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corresponding to claim 1.

도 7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2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7 is a conceptual diagram corresponding to claims 1 and 2.

도 8은 청구항 1 및 청구항 3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corresponding to claim 1 and claim 3.

도 9는 청구항 1, 청구항 2 및 청구항 4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corresponding to claim 1, claim 2 and claim 4.

도 10은 청구항 1, 청구항2, 청구항 3 및 청구항 5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10 is a conceptual diagram corresponding to claim 1, claim 2, claim 3 and claim 5.

도 11은 청구항 1, 청구항2, 청구항3, 청구항 5 및 청구항 6에 대응되는 개념도이다.11 is a conceptual diagram corresponding to claim 1, claim 2, claim 3, claim 5 and claim 6.

도 12는 종래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12 is a front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촬상대상면2 ...

5...수광면5.Receiving surface

20...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20.Image taking device with light source

24...원고대24.Original glass

25...카메라유니트25.Camera Unit

26...광학유니트26 ... optical unit

27...조명광원27.Light source

31...제1아암31.First Arm

32...제2아암32.2nd arm

33...램프33.Lamp

34...반사갓34 ... Reflection

38...도료(직접광 차단수단)38.Paint (direct light blocking mea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는, 도 6 내지 도 11의 개념도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mage taking apparatus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conceptual diagram of FIGS. 6 to 11.

즉, 기본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대상면(2)이 설정되는 원고대(4)와, 상기 촬상대상면(2)을 촬상하기 위한 수광면(5)과, 상기 촬상대상면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원(7)을 구비하며, 상기 수광면(5)이 상기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외측, 즉 촬상대상면(2)의 일단을 지나는 수직면(3)을 기준으로 촬상대상면(2)의 반대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조명광원(7)이 상기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상기 수광면(5)과 동일측에 배치된다.That is, basically, as shown in Fig. 6, the document table 4 on which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is set,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for imaging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and the imaging target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7 for illuminating the surface, wherein the light-receiving surface 5 is viewed in plane with respect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that is, a vertical plane 3 passing outside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one end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At the same time,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7 is disposed on the same side as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with respect to the image capturing surface 2.

이와 같이 됨으로써 조명광원(7)으로부터 나온 조명광의 정반사광이 수광면(5)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광면(5) 상에 결상되는 상의 왜곡이 실질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도 6과 같이 수광면(5) 및 촬상광학계(11)의 광축(3')을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경사시켜도 된다.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pecularly reflected light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7 from entering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When the distortion of the image formed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is not substantially a problem, the optical axis 3 'of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and the imaging optical system 11 is placed on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as shown in FIG. You may incline with respect to it.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광면(5)이 상기 촬상대상면(2)과 평행이 됨과 동시에, 상기 촬상대상면(2)의 실상을 상기 수광면(5) 상에 결상시키기 위한 촬상광학계(11)의 광축이 상기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수직(수직면(3)과 겹치거나 평행)이 된다.As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is parallel to the image capturing surface 2, and the image of the image capturing surface 2 The optical axis of the imaging optical system 11 for forming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is perpendicular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overlapping or parallel to the vertical surface 3).

이와 같이 됨으로써 촬상광학계(11)에 의해 수광면(5) 상에 결상되는 촬상대상면(2)의 실상에 왜곡이 생기지 않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distort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on the actual image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formed by the imaging optical system 11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또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좌측에 제1수광면(5)과 제1조명광원(7)이 배치되며, 그들과 대칭으로 상기 제1촬상대상면(2)의 좌측에 제2촬상대상면(2')이 설정됨과 동시에, 이 제2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우측에 제2수광면(5')과 제2조명광원(7')이 배치되어, 사선부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조명광원(7)에 의해 상기 제1촬상대상면(2)과 제2촬상대상면(2')의 경계선(수직면(3))보다 우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조명광원(7)에 의해 경계선(수직면(3))보다 좌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제2촬상대상면(2),(2')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S)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2수광면(5),(5')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소자에 의해 형성된다.Furth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the first light receiving surface 5 and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source 7 ar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surface 2 in plan view.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2 'is set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surface 2 symmetrically with them, and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2' is viewed in a pla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2 '.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 7' are disposed, and as shown by the oblique portions, the first imaging target surface 2 and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by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source 7) Only the right side of the boundary line (vertical surface 3) of 2 ') is substantially illuminated, and only the left side of the boundary line (vertical surface 3) is substantially illuminated by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 7, The first and second image capturing surfaces 2 and 2 'continuously form one image capturing region S as a whole,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receiving surfaces 5 and 5'. ) In succession Typically it is formed by one imaging device.

이와 같이 됨으로써 상기 촬상광학계(11)의 광축을 촬상대상영역(S)의 중앙(수직선(3)과 겹치는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By doing in this way, the optical axis of the said imaging optical system 11 can be set to the center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vertical line 3) of the imaging object area | region S.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도 7에 도시된 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대상면(2)이 단독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S)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광면(5)이 단독으로 하나의 촬상소자를 형성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7, as shown in FIG. 9, the image capturing surface 2 alone forms one image capturing region S, and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This alone forms one imaging device.

이와 같이 됨으로써 하나의 조명광원(7)으로 촬상대상영역(S) 전체를 조명할 수 있다.By doing in this way, the whole imaging object area | region S can be illuminated by one illumination light source 7.

또한, 상기 도 8에 도시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명광원(7),(7')이 램프(13),(13')와 반사갓(14),(14')을 가지며, 상기 반사갓(14),(14')이 그 갓단부로부터의 반사광이 상기 촬상대상면(2),(2')에 도달하기까지 서로 교차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8,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7, 7 ′ are lamps 13, 13 ′ and reflector 14, 14 as shown in FIG. 10. '), And the reflection shades 14 and 14' cross each other until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shade ends reaches the imaging target surfaces 2 and 2 '.

이와 같이 됨으로써 조명광원(7),(7')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촬상대상면(2),(2')에 한정 집광시킬 수 있으며, 조명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촬상대상면(2),(2')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7 and 7 'can be condensed on the imaging target surfaces 2 and 2' in a limited way, and the illumination efficiency is improved while the imaging target surfaces 2 and (2) ') Can be uniformly illuminated without spots.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13),(13') 하부에 직접광 차단수단(15)이 마련된다. 직접광 차단수단(15)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차폐판을 램프(13),(13') 하방에 배치하거나 램프(13),(13') 하부에 광을 통과시키지 않도록 도료를 도포하는 등의 방법이 채용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10, the direct light blocking means 15 is provided below the lamps 13 and 13 ′ as shown in FIG. 11. In order to provide the direct light blocking means 15, a shielding plate may be disposed below the lamps 13 and 13 ', or a coating may be applied to prevent light from passing through the lamps 13 and 13'. Are employed.

이와 같이 됨으로써 제1조명광원(7)으로부터의 직접광이 경계선(수직면(3))에 대해 동일측의 제2촬상대상면(2')을 향하는 것, 및 제2조명광원(7')으로부터의 직접광이 경계선(수직면(3))에 대해 동일측의 제1촬상대상면(2)을 향하는 것이 저지되며, 조명광원(7),(7')으로부터 나온 조명광의 정반사광이 수광면(5),(5')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irect light from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source 7 is directed toward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2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line (vertical plane 3), and from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 7'. Direct light is prevented from facing the first imaging target surface 2 on the same side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line (vertical surface 3), and the specular reflection light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7 and 7 'is received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You can prevent it from entering (5 ').

본 발명의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는 상기 반사갓(14),(14')이 비구면 형상이 된다. 비구면 형상이란 단면 형상이 타원, 포물선, 쌍곡선 등이 되는 것을 포함한다.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reflector shades 14, 14 'are aspherical in shape. Aspherical shapes include thos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becomes an ellipse, parabola, hyperbola, or the like.

이 경우,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갓(14),(14')이 상기 두개의 조명광원(7),(7')을 지나는 상기 촬상대상면(2)에 수직인 제1단면이 타원으로 되어 그 한 쪽 초점이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와 거의 일치되며, 또한 상기 제1단면에 직교하는 상기 촬상대상면(2),(2')에 수직인 제2단면이 포물선으로 되어 그 초점이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의 외측에 위치된다.In this case, 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through which the reflecting shades 14 and 14 'pass the two illumination light sources 7 and 7' is an ellipse. The focal point 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filament of the lamp, and a second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s 2, 2 'perpendicular to the first cross section is a parabola, and the focus is on the lamp. Is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ilament.

여기서 후술하는 실시예의 반사갓의 단면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3의 (A)의 타원 단면으로 보면, 한 쪽의 초점(Fa)으로부터 나온 광은 다른 쪽의 초점(Fb)을 지나도록 교차하며, 도3의 (B)의 포물선 단면으로 보면 초점(F')으로부터 나온 광은 평행광(가상선)이 되므로, 그 초점(F')보다 내측에서 나온 광은 외측으로 퍼진다. 그 때문에 반사갓을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촬상대상면(2),(2')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ich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lector of the embodiment described below, as can be seen from the elliptical cross-section of FIG. 3A, the light from one focal Fa is the other focal point ( Intersecting so as to pass through Fb), and the light from the focal point F 'becomes parallel light (virtual line) when viewed in the parabolic cross section of Fig. 3B, the light from the inner side of the focal point F' is outside. Spreads. Therefore, if the reflector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imaging target surfaces 2 and 2 'can be uniformly and efficiently illuminated without light spots.

본 발명의 장치의 상기 이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광면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 및 조명광원이 상기 원고대에 대해서 그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며, 또한 상기 수광면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와 상기 조명광원이 모두 하나의 커버 내에 설치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than the above, the camera unit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having the light receiving surface can adjust their position and attitude with respect to the platen, and the camera unit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having the light receiving surface. All of these are installed in one cover.

이와 같이 됨으로써 장치가 극히 컴팩트해진다.This makes the device extremely compact.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고대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의 선단에 연결되어 이 제1아암에 대해 직교하는 면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제2아암을 구비하며, 상기 수광면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 및 조명광원이 상기 제2아암에 결합된 커버 내에 내장된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로써 비교적 단순한 장치 구성하에서 카메라유니트 및 조명광원이 임의의 위치 및 자세를 취하게 할 수 있다.In a more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arm can rotate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platen and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arm so that it can rotate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first arm. A camera unit having a second arm and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are rotatably attached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in a cover coupled to the second arm. This allows the camera unit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to take arbitrary positions and poses under relatively simple device configurations.

또한 상기 제1아암의 기단부가 상기 원고대의 일단부에 축지지되어 있어, 이 제1아암을 선회시킴에 의해 상기 수광면을 가지는 카메라유니트와 조명광원이 상기 원고대에 중첩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소형화가 도모되며 운반이 용이해진다. 이 구성은 아암의 기단부가 도 12와 같이 원고대의 단부에 배치될 수 없는 구성에 비해 아암의 기단부가 원고의 방해가 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 base end of the first arm is axial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document glass, and by turning the first arm, the camera unit having the light receiving surface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overlap the document glass, thereby miniaturizing the device. It is planned and is easy to carry. This configuration has the effect that the proximal end of the arm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riginal, as compared with the constitution in which the proximal end of the arm cannot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original table as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1 shows an embodiment of an image capture device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화상취입장치(20)는 촬상대상면(2)을 구성하는 사진이나 원고 등이 놓이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인 원고대(24)를 구비하고, 이 원고대(24)의 한 쪽 구석부에 제1아암(31)이 원고대(24)와 평행인 제1방향의 축선(R)을 중심축선으로 하여 상기 원고대(24)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지지되며, 이 제1아암(31)의 선단에 제2아암(32)이 상기 제1방향과는 다른 제2방향 즉, 상기 제1아암의 중심선(P)을 중심축선으로 하여 상기 제1아암(31)에 대해서 직교하는 면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축지지되며, 이 제2아암(32)의 선단에 비디오 카메라 등의 카메라유니트(25) 및 후술하는 조명광원(27),(27')을 덮는 하면이 개구된 커버(39)가 상기 제2아암(32)의 중심선(Q)을 중심축선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다.The image taking device 20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document glass 24 that is rectangular in view of a plane on which photographs, documents, and the like constituting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are placed, and one corner of the document glass 24 is provided. The first arm 31 is pivotally supported to be rotatable in a plane orthogonal to the document glass 24 with the axis R in the first direction parallel to the document glass 24 as the center axis. At the tip of the first arm 31, the second arm 32 is attached to the first arm 31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that is, the center line P of the first arm as the central axis. The lower surface is pivotally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second arm 32 and covers the camera unit 25 such as a video camera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described later on the tip of the second arm 32. The covered cover 39 is pivotally rotatable with the center line Q of the second arm 32 as the center axis.

상기 카메라유니트(25)는 상기 커버(39) 내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카메라유니트(25)에는 도 2를 참조하면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촬상소자로 이루어진 수광면(5)이 내장되며, 그 하부에 촬상대상면(2)의 실상을 상기 수광면(5) 상에 결상시키기 위한 대물렌즈(26a) 등을 가지는 광학유니트(26)가 결합되며, 그 양측부에 각각 소정의 경사각도를 가지며 점광원에 가까운 램프(33),(33')와 후술하는 비구면 형상의 반사갓(34),(34')을 가지는 조명광원(27),(27')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조명광원(27),(27')의 하방에 필터(29),(29')가 부착되어 있다.The camera unit 25 is supported in the cover 39, and the camera unit 25 has a light receiving surface 5 made of one imaging device,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And an optical unit 26 having an objective lens 26a or the like for forming an image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on the light-receiving surface 5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s at both sides thereof. Lamps 33 and 33 'close to the point light source and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having aspherical reflection shades 34 and 34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combined. The filters 29 and 29 'are attached below 27 and 27'.

또한 상기 램프(33),(33')의 하부에는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도료(38)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도료(38)는 직업광 차단수단으로서 작용한다.In addition, a paint 38 which does not allow light to pass through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lamps 33 and 33 '. The paint 38 acts as occupation light blocking means.

상기 반사갓(34),(34')은 도 3의 (A)에 그 횡방향 중앙 단면이, 그리고 도 3의 (B)에 그 종방향 중앙 단면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두 개의 조명광원(27),(27')을 지나는 상기 촬상대상면(2)에 수직인 횡방향 단면이 타원으로 되어 있어 그 한 쪽의 초점(Fa)이 상기 램프(33)의 필라멘트(35)와 거의 일치되며, 또한 상기 횡방향 단면에 직교하는 촬상대상면(2)에 수직인 종방향 단면이 포물선으로 되어 있어 그 초점(Fa)이 상기 램프(33)의 필라멘트(35)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필라멘트(35)의 길이방향의 축선은 상기 반사갓(34)의 형상을 감안하여 포물선 단면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two reflection light sources 34, 34 'have a transverse central cross section in Fig. 3A and a longitudinal central cross section in Fig. 3B. 27), the transvers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passing through the 27 'is an ellipse so that one focal point Fa almost coincides with the filament 35 of the lamp 33. Moreover, the longitudinal cross s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to the imaging object surface 2 orthogonal to the said cross section is parabolic, and the focal point Fa is located outside the filament 35 of the said lamp 33. Moreover,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filament 35 is arranged to follow the parabolic cross se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hape of the reflection shade 34.

이러한 구성하에서 본 실시예의 화상취입장치(20)를 이용하여 촬상대상면(2)을 촬상함에 있어서, 통상 촬상대상면(2)을 구성하는 사진이나 원고 등을 원고대(24) 상의 중앙에 위치결정해 두고, 상기 수광면(5)이 상기 촬상대상면(2)과 평행이 됨과 동시에, 상기 광학유니트(26)의 광축이 상기 촬상대상면(2)의 거의 중앙을 지나는 수직면(C)과 겹치도록 아암(31),(32)이나 카메라유니트(25)의 위치 및 자세를 적절히 조절하고, 조명광원(27),(27')을 점등시켜 상기 촬상대상면(2)을 조명하면서 상기 카메라유니트(25)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2)을 촬상하게 된다. 이로써 촬상대상면(2)의 화상은 광학유니트(26)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유니트(25)의 수광면(5)을 구성하는 촬상소자에 촬상된다.Under such a configuration, in capturing the image capturing surface 2 using the image taking device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hotograph, a document, or the like constituting the image capturing surface 2 is normally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document table 24. And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is parallel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and the optical axis of the optical unit 26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and the vertical surface C.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arms 31, 32 and the camera unit 25 are properly adjusted so as to overlap,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27 'are turned on to illuminate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while illuminating the camera. The unit 25 captures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As a result, the image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is picked up by the imaging unit constituting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of the camera unit 25 via the optical unit 26.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반사갓(14),(14')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타원 단면 및 포물선 단면을 가지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사갓으로서 회전 타원경을 사용하면 통상 중심부가 밝아짐과 동시에,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영역(E)이 원형이 되어 사각형의 촬상대상면(2)을 균일하게 조명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또한 타원단면의 실린더경을 사용하면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a의 타원 단면에서 보면 하나의 초점(Fa)으로부터 나온 빛은 다른 하나의 초점(Fb)을 지나도록 교차하여 사각형의 촬상대상면(2)의 전역을 커버할 수 있지만, 상하방향(길이방향)으로 빛이 크게 밀려 나와 조명효율이 좋지 않다.Here, in this embodiment, as the reflection shades 14 and 14 ', those having an elliptical cross section and a parabolic cross section are used as described above. In general, when the rotary ellipsoid is used as the reflector, the center is brightened, and as shown in FIG. 4A, the illumination region E becomes circular to uniformly illuminate the rectangular image pickup surface 2. Not suitable for In addition, when the cylinder diameter of the elliptical section is used, as shown in (B) of FIG. 4, when viewed from the elliptical cross section of FIG. Although the whole area | region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of can be covered, light is largely pushed out in an up-down direction (length direction), and lighting efficiency is not good.

이에 대해 본 실시예와 같이 타원과 직교하는 단면을 도 5b와 같은 포물선 단면으로 구성하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형의 촬상대상면(2)의 전역을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조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ross section orthogonal to the ellipse is constituted by the parabolic cross section as shown in Fig. 5B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tire area of the rectangular image pickup target surface 2 can be uniformly and efficiently illuminated as shown in Fig. 5C.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형태의 화상취입장치(20)에 있어서는 촬상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9)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촬상대상면(2)을 거의 2분할하는 수직면(C)보다 좌측으로 조명광원(27)이 경사져 배치되며, 그와 대칭되게 상기 수직면(C)보다 우측으로 조명광원(27')이 배치되어, 상기 좌측의 조명광원(27)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2) 중 상기 수직면(C)보다 우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됨과 동시에, 상기 우측의 조명광원(27')에 의해 상기 촬상대상면(2) 중의 상기 수직면(C; 경계선)보다 좌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촬상대상면(2)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S)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광면(5)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소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In the image taking device 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ver 39 is in the first position as shown in FIG. 2 for imaging,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is almost two.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27 is inclined to the left than the vertical plane C to be divided,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27 ′ is disposed to the right of the vertical plane C to be symmetrical with the illumination plane 27, to the left illumination light source 27. Only the right side of the imaging surface 2 is substantially illuminated than the vertical surface C, and the vertical surface C of the imaging surface 2 is bordered by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27 'on the right side. Only the left side is to be substantially illuminated, and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continuously forms one imaging target region S as a whole, and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continuously performs one imaging as a whole. It is formed by an element.

이와 같이 됨으로써 상기 조명광원(27),(27')의 램프(33),(33')로부터 나와 반사갓(34),(34')의 갓단부에서 반사된 빛은 도2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중에서 교차하여 상기 수직면(C)을 기준으로 반대측의 촬상대상면(2; 우측 절반부, 좌측 절반부)을 조사한다.As a result, the light emitted from the lamps 33 and 33 'of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and reflected at the ends of the reflection shades 34 and 34 'i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As it is, it crosses in the middle, and irradiates the imaging object surface 2 (right half part, left half part)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said vertical surface C. As shown in FIG.

상기 반사갓(34),(34')의 갓단부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촬상대상면(2),(2')에 도달하기까지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음으로써, 조명광원(27),(27')으로부터의 반사광을 촬상대상면(2),(2')에 한정 집광시킬 수 있으며, 조명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촬상대상면(2),(2')을 광얼룩없이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다.The light reflected from the lampshades of the reflection shades 34 and 34 'intersects each other until reaching the imaging target surfaces 2 and 2', thereby providing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 Can be condensed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s 2 and 2 'with limited light, and the illumin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imaging surfaces 2 and 2' can be uniformly illuminated without light spots. .

또한, 커버(39)가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광면(5)이 상기 촬상대상면(2)과 평행이 되며, 또한 광학유니트(26) 구체적으로는, 광학유니트(26)의 대물렌즈(26a)의 광축이 상기 촬상대상면(2)에 대해서 수직(수직면(3)과 겹침)이므로, 광학유니트(26)에 의해 수광면(5) 상에 결상되는 촬상대상면(2)의 실상에 왜곡을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Further, when the cover 39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is parallel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and the optical unit 26, specifically, the objective lens of the optical unit 26. Since the optical axis of 26a is perpendicular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overlaps with the vertical surface 3), the actual image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formed by the optical unit 26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5 is formed. The distortion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상기 램프(13),(13') 하부에 직접광 차단수단으로서의 도료(38)가 발라져 있으므로, 조명광원(27)으로부터의 직접광이 촬상대상면(2) 중의 수직면(3)보다 좌측부분을 향하는 것, 및 조명광원(27')으로부터의 직접광이 촬상대상면(2) 중의 수직면(3)보다 우측부분을 향하는 것이 저지되어, 조명광원(27),(27')으로부터 나온 조명광의 정반사광이 수광면(5)에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Since the paint 38 as direct light blocking means is appli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lamps 13 and 13 ', the direct light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27 is directed toward the left side of the vertical plane 3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And direct light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27 'are prevented from pointing toward the right portion of the vertical plane 3 in the imaging target surface 2, so that the specularly reflected light of the illumination light emitted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is received. The surface 5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또한, 상기 카메라유니트(25) 및 조명광원(27),(27')이 3축(R,P,Q)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어, 상기 원고대(24)에 대해서 그 위치 및 자세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며, 또한 상기 카메라유니트(25)에 상기 조명광원(27),(27')이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카메라유니트 및 조명광원(27),(27')에 상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위치 및 자세를 용이하게 취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카메라유니트(25)에 대한 조명광원(27),(27')의 위치를 조절하지 않아도 되므로, 취급이 간편해지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조명광원(27),(27')은 반드시 카메라유니트(25)에 부착할 필요는 없고, 커버(39)나 제2아암(32) 등의 다른 장소에 부착해도 좋다. 또한 카메라유니트(25)에 대한 조명광원(27),(27')의 위치 및 자세를 미세 조정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In addition, the camera unit 25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27 'are rotatable in three axes (R, P, Q), so that the position and attitude of the document glass 24 can be adjusted. In addition, since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are attached to the camera unit 25, the optimum positions and the details of the camera unit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a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osture can be easily taken, and the positions of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with respect to the camera unit 25 need not be adjusted, handling is simplified and the operability is improved. In addition,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do not necessarily need to be attached to the camera unit 25, and may be attached to other places, such as the cover 39 and the 2nd arm 32. As shown in FIG. Further, the positions and attitudes of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and 27 'with respect to the camera unit 25 may be finely adjusted.

또한, 상기 제1아암(31)의 기단부가 상기 원고대(24)의 일단부에 축지지되어 있어 이 제1아암(31), 제2아암(32), 카메라유니트(25)를 적절히 회동시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39)를 보관을 위한 제2위치에 위치시켜 두게 되면, 커버(39) 내의 카메라유니트(25)와 조명광원(27),(27')을 원고대(24)에 중첩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꾀해져 운반이 간편해진다.In addition, the proximal end of the first arm 31 is axially supported at one end of the platen 24 so that the first arm 31, the second arm 32, and the camera unit 25 are properly rotated. As shown in FIG. 5, when the cover 39 is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for storage, the camera unit 25,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s 27, 27 ′ in the cover 39 are placed on the document glass 24. ), The device can be miniaturized, and transportation is simplified.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는 조명광원에 의해 촬상대상면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명광원으로부터의 정반사광이 카메라유니트의 수광면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취급이 용이하여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등의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image pick-up apparatus with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lluminate the imaging target surface uniformly by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the specular reflection light from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enters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camera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it from going, and it is easy to handle, so that it can be miniaturized.

Claims (8)

촬상대상면이 설정되는 원고대와, 상기 촬상대상면을 촬상하기 위하여 촬상광학계 및 수광면을 갖춘 카메라유니트와, 상기 촬상대상면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광원을 구비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에 있어서,An image taking apparatus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comprising a document glass on which an imaging target surface is set, a camera unit having an imaging optical system and a light receiving surface for imaging the imaging target surface, and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for illuminating the imaging target surface. , 상기 원고대에 제1방향의 축선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아암과, 상기 제1아암에 상기 제1방향의 축선과는 다른 방향의 축선을 회동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아암과, 상기 제2아암에 결합되는 커버를 구비하며,The first arm is pivotally coupled to the platen with a pivot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first arm is pivotally coupled with a pivo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axis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first arm. And a second arm to be coupled to the cover and coupled to the second arm, 상기 조명광원과 카메라유니트는 모두 상기 커버 내부에 설치되며,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and the camera unit are both installed inside the cover, 상기 커버는, 상기 제1아암 및 제2아암의 회동에 의해, 상기 카메라유니트의 수광면과 상기 조명광원이 상기 촬상대상면에 대해 평면에서 보아 동일측에서 그 외측에 배치되는 제1위치와 상기 원고대에 겹쳐지는 제2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The cover has a first position in which the light receiving surface and the illumination light source of the camera unit are disposed outwardly from the same side in plan view with respect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arm and the second arm.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image pickup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positioned in a second position overlapping the original glas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버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수광면이 상기 촬상대상면과 평행이 되며, 또한 상기 촬상대상면의 실상을 상기 수광면상에 결상시키기 위한 촬상광학계의 광축이 상기 촬상대상면에 대해서 수직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When the cover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is parallel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and an optical axis of an imaging optical system for forming an image of the imaging target surface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is relative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An image capture device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vertical.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제1촬상대상면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좌측에 제1수광면과 제1조명광원이 배치되며, 그들과 대칭으로 상기 제1촬상대상면의 좌측에 제2촬상대상면이 설정됨과 동시에, 이 제2촬상대상면에 대해서 평면에서 보아 그 우측에 제2수광면과 제2조명광원이 배치되며, 상기 제1조명광원에 의해 상기 제1촬상대상면과 제2촬상대상면의 경계선보다 우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됨과 동시에, 상기 제2조명광원에 의해 상기 경계선보다 좌측만이 실질적으로 조명되고, 또한 상기 제1촬상대상면 및 제2촬상대상면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1수광면 및 제2수광면이 연속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촬상소자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The first light receiving surface and the first illumination light source are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surface in plan view, and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is set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imaging target surface symmetrically with them. The second light receiving surface and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 ar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in plan view, and only the right side of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is above the boundary line between the first imaging target surface and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At the same time, the second illumination light source substantially illuminates only the left side of the boundary line, and the first imaging target surface and the second imaging target surface are successively formed as a whole.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surface and the second light receiving surface are successively formed by one imaging device as a whol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촬상대상면이 단독으로 하나의 촬상대상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수광면이 단독으로 하나의 촬상소자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And the light receiving surface forms one imaging element alone, while the imaging target surface alone forms one imaging region.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조명광원이 램프와 반사갓을 가지며, 상기 반사갓이 그 갓단부로부터의 반사광이 상기 촬상대상면에 도달하기까지 서로 교차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And said illumination light source has a lamp and a reflection shade, and said reflection shade intersects each other until the reflected light from the shade end reaches said image pickup target surfa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램프 하부에 직접광 차단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Direct light blocking means is provided under the lamp,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capture device with a light sourc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반사갓이 비구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And said reflection shade is aspherical in shap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반사갓은 상기 촬상대상면에 수직인 제1단면이 타원으로 되어 있어 그 한쪽의 초점이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와 거의 일치되며, 또한 상기 제1단면에 직교하는 상기 촬상대상면에 수직인 제2단면이 포물선으로 되어 있어 그 초점이 상기 램프의 필라멘트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광원붙이 화상취입장치.The reflection shade has a first end face perpendicular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that is an ellipse, and its focus 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filament of the lamp, and the second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imaging targe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first cross section. The image taking device with an illumination light source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a parabola and the focus is located outside the filament of the lamp.
KR1019960080065A 1996-01-26 1996-12-31 Image receiv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KR10024657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234396A JP3934698B2 (en) 1996-01-26 1996-01-26 Image capture device with illumination light source
JP8/12343 1996-01-26
JP8-12343 1996-01-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933A KR970060933A (en) 1997-08-12
KR100246578B1 true KR100246578B1 (en) 2000-04-01

Family

ID=1180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80065A KR100246578B1 (en) 1996-01-26 1996-12-31 Image receiv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34698B2 (en)
KR (1) KR10024657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4499B2 (en) 2005-01-12 2009-07-21 Samsung Techwin Co., Ltd. Illumination device for video presenter and video presenter having the same
JP5982928B2 (en) * 2012-03-26 2016-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Document camer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05527A (en) 1997-08-05
KR970060933A (en) 1997-08-12
JP3934698B2 (en) 200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0782B2 (en) Lighting equipment
KR100246578B1 (en) Image receiving apparatus having light source
JP3661798B2 (en) Lighting device
WO2004046808A1 (en) Reflector for electronic flashing device and electronic flashing device
KR100215115B1 (en) Image receiving apparatus having a light source
US20030218684A1 (en) Imaging apparatus
US20050105181A1 (en) Support surface of a device for optically capturing objects
JP2000004383A (en) Multidirectional image taking-in device
JPH10274515A (en) Curved surface inspection method and camera unit for inspection
US6094545A (en) Deflector/diffuser/flash system
JPH09205568A (en) Image fetching device provided with lighting source
JPH1164784A (en) Illuminator
JPH04128707A (en) Image scanner
JP2005164913A (en) Flashing device
JPS5812165Y2 (en) lighting photography equipment
JPH08220467A (en) Illuminating optical system
JPH0577050B2 (en)
JPH0576520A (en) Latent fingerprint retrieving device
JP2957761B2 (en) Illuminated mounting head
JP2003279314A (en) Projection device and irradiation device
JP2691803B2 (en) Lighting device for document reader
JP2001174917A (en) Image forming device
JPH0865464A (en) Still picture input device
JPH0452875A (en) Image input device
JPH06233066A (en) Picture in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