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6251B1 - Clutch apparatus f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Clutch apparatus f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6251B1
KR100246251B1 KR1019960040604A KR19960040604A KR100246251B1 KR 100246251 B1 KR100246251 B1 KR 100246251B1 KR 1019960040604 A KR1019960040604 A KR 1019960040604A KR 19960040604 A KR19960040604 A KR 19960040604A KR 100246251 B1 KR100246251 B1 KR 100246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valve
clutch
double check
semi
automatic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6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1664A (en
Inventor
준 가지나미
이사오 오까모도
가즈오 오오소네
Original Assignee
사이또 마사유끼
닛산 디젤 모터 컴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이또 마사유끼, 닛산 디젤 모터 컴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사이또 마사유끼
Priority to KR1019960040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6251B1/en
Publication of KR1998002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6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6251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48/04Control by fluid pressure providing power assist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21Valves for clutch control system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조립시의 레이아웃(배치설계)이 용이하며 에어누설등이 생기는 일이 없고, 조립하는데에 작업성이 양호하며 응답성이 좋은 더블체크밸브를 갖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a double check valve that facilitates layout (layout design) during assembly of a vehicle, does not cause air leakage, and has good workability and good response to assembly.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클러치부우스터(11)에 고정 혹은 일체화된 더블체크밸브(1)의 제1의 인렛을 상부밸브보디에 배관하고 더블체크밸브(1)의 아웃렛을 파워실린더(13)에 배관하여 배관의 접속에 O링과 칼라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제2인렛측이 상방으로 제1인렛이 하방으로 되도록 더블체크밸브가 차량에 짜여 붙여져있다. 또한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체가 경량화되어 시일성이 향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ipes the first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1) fixed or integrated in the clutch booster (11) to the upper valve body and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1)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O-ring and collar are used to connect the pipe to (13). The double check valve is woven into the vehicle so that the second inlet is upward and the first inlet is downward. Moreover, it is comprised so that the valve body of a double check valve may be reduced in weight and sealing property is improved.

Description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Clutch device of semi-automatic transmission

본 발명은 기계식클러치를 사용하여 그의 조작을 자동과 수동으로 수시 전환하여서 제어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utomatic clutch manually and manually at any time using a mechanical clutch.

종래 기계식클러치를 사용하여 발진시에만 클러치를 수동조작하여 주행중의 클러치조작을 컴퓨터 제어하는 반자동변속기는 알려져있다.Background Art [0002] Semi-automatic transmissions are known in which a clutch is operated by a computer by manually operating a clutch only when starting using a mechanical clutch.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러한 변속기에 있어서 클러치조작용 클러치부우스터(11)는 더블체크밸브(17)를 통해서 제1의 에어회로(14)와 제2의 에어회로(16)와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제1의 에어회로(14)는 클러치페달(12)의 조작에 의해서 클러치마스터실린더(21)로부터 유압회로(21a)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서 유압제어의 개폐밸브(21b)를 열어서 에어원(20)으로부터 부우스터(11)의 파워실린더(13)에 에어를 공급한다.Referring to FIG. 4, in such a transmission, the clutch actuated clutch booster 11 holds the first air circuit 14 and the second air circuit 16 via the double check valve 17. have. The first air circuit 14 opens the on / off valve 21b of hydraulic control by the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clutch master cylinder 21 through the hydraulic circuit 21a by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12 to supply the air source. Air is supplied from the 20 to the power cylinder 13 of the booster 11.

그리고 제2의 에어회로(16)는 컴퓨터 제어되는 전자밸브(15)를 통하여 클러치페달(12)의 조작과 무관하게 에어원(20)으로부터 부우스터(11)로 에어를 공급하고 있다.The second air circuit 16 supplies air to the booster 11 from the air source 20 regardless of the operation of the clutch pedal 12 through the computer controlled solenoid valve 15.

이들의 제1 및 제2의 에어회로(14)(16)는 더블체크밸브(17)를 통해서 압력이 높은측의(에어회로(14) 또는 (16)에 접속된) 인렛(입구)으로부터 아웃렛회로(19) 및 에어회로(18)를 통해서 부우스터(11)의 파워실린더(13)로 에어를 공급하고 클러치를 조작하는 아웃터레버(23)를 로드(24)를 통해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These first and second air circuits 14 and 16 are outleted from the inlet (inlet) of the high pressure side (connected to the air circuit 14 or 16) via the double check valve 17. It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outer lever 23 for supplying air to the power cylinder 13 of the booster 11 and operating the clutch through the rod 24 through the circuit 19 and the air circuit 18. It is common.

또한 도 4 에 있어서, 부호(22)는 스트로크센서(Stroke Sensor)를 나타내며 부호(25)는 로드를 나타내고 있다.In Fig. 4,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stroke sensor and reference numeral 25 denotes a rod.

더블체크밸브에 대해서는 그의 개요를 도 16 에 나타냈다.The outline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shown in FIG. 16.

더블체크밸브(17)는 2개의 입구 즉 인렛(17-I1, 17-I2)과 하나의 출구 즉 아웃렛(17-O)과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더블체크밸브(17)내의 공간(17-S)에는 밸브체(17-V)가 수용되어 있다.The double check valve 17 has two inlets, i.e., inlets 17-I 1 and 17-I 2 , and one outlet, i.e., an outlet 17-O. And the valve body 17-V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17-S in the double check valve 17. As shown in FIG.

도 16 에 있어서, 밸브체(17-V)가 인렛(17-I2)측(도 16 에서는 우측)에 위치하고 있을때에는(도시한 상태), 인렛(17-I1)측의 유로(I1-R)는 개방하고 있으나 인렛(17-I2)측의 유로(I2-R)는 밸브체(17-V)에 의해 폐쇄된다. 따라서 인렛(17-I1)과 아웃렛(17-O)이 연이어 통해진다.In Fig. 16, when the valve body 17-V is located on the inlet 17-I 2 side (right side in Fig. 16) (shown), the flow path I 1 on the inlet 17-I 1 side. -R is open, but the flow path I 2 -R on the inlet 17-I 2 side is closed by the valve body 17-V. Thus, the inlet 17-I 1 and the outlet 17-O pass through in succession.

한편, 밸브체(17-V)가 인렛(17-I1)측(도 16 에서는 좌측)으로 이동하면 인렛(17-I1)측의 유로(I1-R)가 밸브체(17-V)에 의해 폐쇄되고, 인렛(17-I2)과 아웃렛(17-O)이 연통된다. 밸브체는 인렛(17-I1)과 인렛(17-I2)에 걸리는 공기압력의 차압에 의해 높은쪽의 압력에 눌려져서 압력이 높은쪽의 인렛과는 반대측으로 움직여서 거기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또, 밸브는 종래 철계통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valve body 17-V moves to the inlet 17-I 1 side (left side in FIG. 16), the flow path I 1 -R on the inlet 17-I 1 side will be the valve body 17-V. ) And the inlet 17-I 2 and the outlet 17-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valve body is pressed by the higher pressure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air pressure applied to the inlet 17-I 1 and the inlet 17-I 2 , and is moved ther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high inlet. . As the valve, an iron-based material is used.

상기의 기술에 있어서는 더블체크밸브(17)와 클러치부우스터(11)와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별도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양자의 사이에는 제1의 에어회로(14), 제2의 에어회로(16) 및 아웃렛회로(18)의 배관이 필요하다고 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다.In the above technique, since the double check valve 17 and the clutch booster 11 are provided in separate places as shown in Fig. 4, the first air circuit 14 and the second air are disposed between them. The problem that piping of the circuit 16 and the outlet circuit 18 is required has arisen.

즉 차량의 레이아웃상, 배관은 공간을 요하는 동시에 그밖의 부재와 간섭하지 않도록 다른 부재를 피해서 배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만다. 그리고 구조가 복잡화하면(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악화하여 품질의 점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쉽게된다.In other words, due to the layout of the vehicle, the piping is complicated because it requires space and avoids other members so as not to interfere with other members. And when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he workability is deteriorated and problems are likely to occur in terms of quality.

또한 더블체크밸브, 제1 및 제2의 에어회로, 아웃렛회로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서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 전체의 중량이 증가하고 만다. 이와같은 중량증가는 차량의 원가를 저감하며 또 차중을 증가함이 없이 적재중량을 증가한다고 하는 근년의 요청에 반대되는 결과를 초래한다.In addition, the weight of the entir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increases by providing a double check valve, first and second air circuits, and an outlet circuit. This increase in weight results in opposition to the recent request to reduce the cost of the vehicle and increase the weight without increasing the vehicle weight.

이것에 덧붙여서 종래의 밸브는 철종류의 재료가 사용되고 있었으므로 중량이 무겁다. 그 때문에 자동제어계의 더블체크밸브의 응답성이 꼭 좋은것이라고는 말할 수 없었다.In addition to this, conventional valves are heavy because iron-type materials are used. Therefore, the responsiveness of the double check valve of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was not necessarily goo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의 목적은 차량조립시 레이아웃이 용이하며 에어누설등이 생기는일 없고 또한 조립에있어서 작업성이 양호하며 응답성이 좋은 더블체크밸브를 갖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s object is to facilitate layout during assembly of the vehicle, to prevent air leakage, etc., and also to provide good workability and responsive double check valve. It is to provide 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having.

도 1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는 클러치부우스터의 파워실린더의 후부에 플레이트를 굳게붙이고, 그 플레이트에 고정된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파워실린더 후부의 튜브에 접속되며 더블체크밸브의 한쪽의 인렛에 콘넥터를 통해서 에어튜브를 달아붙이고 그 에어튜브의 콘넥터와 반대측의 끝부는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클러치부우스터의 상부밸브보디에 접속되며 상기 에어튜브는 클러치부우스터의 축심과 평행으로 일직선이되도록 배치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firmly attaches a plate to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of the clutch booster, and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fixed to the plate is powered by an O-ring and an O-ring positioning member. It is connected to the rear tube, and the air tube is attached to one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through the connector, and the opposite end of the connector of the air tube is connected to the upper valve body of the clutch booster through the O-ring and O-ring positioning member. The air tube is connected so that the air tube i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in parallel with the axis of the clutch booster.

그러한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에 의하면 클러치부우스터의 파워실린더의 후부에 플레이트를 굳게 붙이고, 그 플레이트에 더블체크밸브를 고정하고 있으므로 더블체크밸브는 클러치부우스터에 직접달아붙여져서 별도의 부착 장소를 요하지 않는다.According to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plate is firm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of the clutch booster, and the double check valve is fixed to the plate so that the double check valve is directly attached to the clutch booster. It does not require a separate attachment site.

그리고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O링과 O링위치 결정부재인 칼라를 통해서 파워실린더에 접속되어지므로 달아붙이는 방향과 칼라장치의 방향이 동일하게 되는 까닭에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며 달아붙임방향에 있어서 틈새치수가 자유롭게 설정되는 까닭에 달아붙임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의 결과로서 작업효율 및 제품의 품질이 향상한다.Since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onnected to the power cylinder through the O-ring and the collar, which is the O-ring positioning member, the assembling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collar device are the same. Since the gap dimension is freely set, it becomes possible to perform the attachment accurately and as a result, the work efficiency and the product quality are improved.

또한 클러치페달 조작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는 클러치부우스터의 축심과 평행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된 에어튜브에 의해 공급되어 전자밸브에 의해 공급되는 에어는 더블체크밸브의 다른쪽의 인렛에 직접 접속되므로 지극히 콤팩트하며 신뢰성이 높다.In addition, the air supplied by the clutch pedal operation is supplied by an air tube arranged in parallel with the shaft center of the clutch booster, and the air supplied by the solenoid valve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Compact and reliable.

도 5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는 더블체크밸브와 클러치부우스터의 실린더보디와를 일체로 구성하여 그 실린더보디내에 형성된 포핏밸브로부터의 유로에 의해 더블체크밸브의 제1의 인렛에 연이어 통하는 제1의 에어회로를 구성하며 제2의 에어회로는 전자밸브로부터 실린더보디에 나사계합하는 캡을 통해서 더블체크밸브의 제2의 인렛으로 연이어 통하여 있고,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파워실린더 후부의 튜브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ntegrally constitutes the double check valve and the cylinder body of the clutch booster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by the flow path from the poppet valve formed in the cylinder body. The second air circu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through a cap screwed to the cylinder body from the solenoid valve,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O-ring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rear tube of the power cylinder through the O-ring positioning member.

이와같은 구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에 의하면 더블체크밸브는 클러치부우스터의 실린더보디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고 클러치페달을 밟으면유압에 의해 에어원에 연결된 밸브가 열리고 실린더보디내에 마련된 유로로 더블체크밸브의 제1의 인렛으로 연이어 통한다.According to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double check valve is integrally formed in the cylinder body of the clutch booster, and when the pedal pedal is pressed, a valve connected to the air source by hydraulic pressure is opened and provided in the cylinder body. The flow path is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in series.

한편, 에어원으로부터 컴퓨터 제어되고 있는 전자밸브를 통해서 제2의 에어회로가 제2의 인렛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주행중의 컴퓨터 제어에 의한 변속조작을 행할때에 필요한 클러치조작은 상기 전자밸브 및 제2의 에어회로를 통해서 작동용의 에어를 제2의 인렛으로부터 공급하는 것에 의해서 가장 적절하게 행하여지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ir circu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via a solenoid valve that is computer controlled from the air source. Therefore, the clutch operation required for the shift operation by computer control while driving the vehicle is most suitably performed by supplying the operating air from the second inlet through the solenoid valve and the second air circuit.

또,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인 칼라(Collar)를 통해서 파워실린더 후부의 튜브에 접속되어 있다.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onnected to the tube on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via an O-ring and a collar that is an O-ring positioning member.

따라서 클러치부우스터의 외부배관은 에어원 및 전자밸브에 접속되는 2개의 배관만으로 된다. 그 때문에 차량 레이아웃은 극히 용이하게 되어서 작업성이 향상된다.Therefore, the external piping of the clutch booster consists of only two piping connected to the air source and the solenoid valve. Therefore, the vehicle layout becomes extremely easy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또한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체를 경합금 또는 수지제 혹은 경량용 구멍이 마련된 형상으로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밸브체가 가볍고 시일성이 양호하기 때문에 전자제어계의 더블체크밸브의 응답성이 지극히 양호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valve body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formed of a light alloy, resin, or lightweight hole, the response of the double check valve of the electronic control system is extremely good because the valve body is light and has good sealability.

그것과 함께 제1인렛에 관하여서는 튜브의 플레어(Flare)접속이 없게되므로 파손의 우려는 없고 신뢰성이 향상된다.At the same time, there is no flare connection of the tube with respect to the first inlet, so that there is no fear of damage and the reliability is improved.

또 도 6 으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는 클러치부우스터의 파워실린더의 후부에 플레이트를 굳게붙이며 그 플레이트에 고정된 더블체크밸브의 한쪽의 인렛에 콘넥터를 통해서 에어튜브를 달아붙이고, 상기 에어튜브의 콘넥터와 반대측의 끝부는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클러치부우스터의 상부밸브보디에 접속되며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튜브를 통해서 파워실린더에 접속되어 더블체크밸브의 축선이 클러치부우스터의 축선과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n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the plate is firm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of the clutch booster, and the air tube is attached to one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fixed to the plate. The other end of the air tub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upper valve body of the clutch booster through the O-ring and O-ring positioning member, and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onnected to the power cylinder through the tube so that the axis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lutched. It is characterized by arrange | positioning in parallel with the axis line of a booster.

혹은 도 12 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는 클러치부우스터의 상부밸브보디의 후부에 플레이트를 굳게 붙이고, 그 플레이트에 고정된 더블체크밸브의 한쪽의 인렛에 콘넥터를 통해서 에어튜브를 달아붙이고, 상기 에어튜브의 콘넥터와 반대측의 끝부는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클러치부우스터의 상부밸브보디에 접속되며,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튜브를 통해서 파워실린더 후부에 접속되며, 더블체크밸브의 축선이 클러치부우스터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Alternatively, in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2, the plate is firm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upper valve body of the clutch booster, and an air tube is attached to one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fixed to the plate. The end opposite to the connector of the air tube is connected to the upper valve body of the clutch booster through the O-ring and the O-ring positioning member, and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through the tube. The axis of the valve is arrang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lutch booster.

본 발명의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O링위치 결정부재는 칼라(Collar)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달아붙이는 방향에 있어서 틈새치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ng positioning member is preferably a collar. This is because the gap size can be freely set in the attaching direction.

또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체는 경합금 또는 수지제 혹은 경량용 구멍이 마련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체는 경량화하면 자동제어계의 더블체크밸브의 응답성 혹은 추종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좌가 시일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따라 시일성을 향상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ve body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onfigured in a shape provided with a light alloy or resin or a light hole. This is because, when the valve body is lighter, the response or followability of the double check valve of the automatic control system is improved.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valve seat of the said double check valve is comp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This improves the sealability.

또 본 발명의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에 실시에 있어서는, 도 6, 도 13 에 단적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책밸브는 작동회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자동클러치측 인렛을 상방으로, 작동회수가 적은 수동클러치측 인렛을 하방으로 한 상태에서 경사지게 달아붙여져 있다. 이것에 의해 무제어시(운전자의 클러치 페달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중력에 의해 클러치부우스터상의 상부밸브 보디에 통하는 인렛측에 위치하여 작동속도가 빠른 것을 요구하는 자동클러치시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이동함이 없이 에어의 압력이 클러치부우스터의 파워실린더와 연이어 통하고 있어 에어의 공급을 빠르게해서 자동클러치 작용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and 13, the book valve is a manual clutch side inlet having a small number of operation upwards and an automatic clutch side inlet having a large number of operation times. It is attached to the inclined state in the downward direction. As a result, when there is no control (when the driver does not operate the clutch pedal),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is located on the inlet side of the upper valve body on the clutch booster by gravity, and the automatic clutch demands that the operating speed is high.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sure of the air communicates with the power booster of the clutch booster without moving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so that the air can be supplied quickly and the automatic clutch ac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여기서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1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inclination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preferably 10 ° or mor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클러치부우스터의 일부단면 측면도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lutch booster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의 A화살표에서 본 도면FIG. 2 is a view from arrow A of FIG.

도 3 은 도 1 의 클러치부우스터의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booster of FIG.

도 4 는 종래기술의 예를 나타내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의 구성도4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showing an example of the prior art;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클러치부우스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lutch booster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측면도6 is a sid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도 6 의 화살표 A방향으로 본 도면FIG. 7 is a view along arrow A in FIG. 6; FIG.

도 8 은 도 6 에 나타내는 부우스터 단위체의 측면도FIG. 8 is a side view of the booster unit shown in FIG. 6

도 9 는 도 8 의 화살표 B방향으로 본 도면FIG. 9 is a view along arrow B in FIG. 8; FIG.

도 10 은 도 8 의 화살표 C방향으로 본 도면FIG. 10 is a view along the arrow C in FIG. 8; FIG.

도 11 은 도 6 에 나타낸 부우스터 단위체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the booster unit shown in FIG.

도 12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부우스터 단위체의 측면도12 is a side view of a boost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은 도 12 의 화살표 D방향으로 본 도면FIG. 13 is a view along the arrow D in FIG. 12; FIG.

도 14 는 도 12 의 화살표 E방향으로 본 도면14 is a view in the direction of arrow E of FIG.

도 15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한 부우스터 단위체의 평면도15 is a plan view of a booster uni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은 종래기술의 더블체크밸브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utline of a double check valve of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Code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17,150,201 : 더블체크밸브 2 : 콘넥터1,17,150,201: Double check valve 2: Connector

3 : 에어튜브 4,104,204 : 칼라3: air tube 4,104,204: color

5,105,205 : O링 6 : 튜우브5,105,205: O-ring 6: Tube

7 : 플레이트 11,211 : 클러치부우스터7: plate 11,211: clutch booster

11a : 본체 11b,211b : 상부밸브보디11a: main body 11b, 211b: upper valve body

12 : 클러치페달 13 : 파워실린더12: clutch pedal 13: power cylinder

15,115 : 전자밸브 101 : 밸브체15,115 solenoid valve 101 valve body

104 : 칼라 105 : O링104: collar 105: O-ring

106 : 제1의 에어회로 108 : 아웃렛106: first air circuit 108: outlet

109 : 캡 109a : 제2인렛109: cap 109a: second inlet

120 : 실린더보디 130 : 상부밸브보디120: cylinder body 130: upper valve body

131 : 포핏밸브 136 : 릴레이밸브131: poppet valve 136: relay valve

138 : 리턴스프링 140 : 파워실린더138: return spring 140: power cylinder

143 : 제1인렛 CC : 클러치장치의 축선143: first inlet CC: axis of clutch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설명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또한 첨부도면에 있어서 화살표 U로 나타내고 있는 것은 차에 달아붙인 때에 있어서의 중력에 대한 상방(반대방향)이다.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dicated by the arrow U is the upward direction (opposite direction) to the gravity when the vehicle is attached to it.

먼저 도 1,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First,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도 1 에 있어서 전체를 부호(11)로 나타내는 클러치부우스터는 본체(11a)와 파워실린더(13)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파워실린더(13)의 끝부(도 1 에서는 좌측)에는 복수개(도시한 예는 2개)의 체결 보울트(7b)가 고정된 플레이트(7)가 굳게 붙어져 있다.In FIG. 1, the clutch booster which shows the whole with the code | symbol 11 is comprised by the main body 11a and the power cylinder 13. As shown in FIG. At the end of the power cylinder 13 (left in FIG. 1), a plate 7 having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7b fixed thereto is firmly attached thereto.

그 플레이트(7)에는 구멍(7a)이 마련되어 있고 플레이트(7)가 파워실린더(13)의 후부에 달아붙여져 있을때에는 그 파워실린더(13) 끝부에 마련된 튜브(6)가 그의 구멍(7a)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plate 7 is provided with a hole 7a, and when the plate 7 is attached to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13, the tube 6 provided at the end of the power cylinder 13 opens its hole 7a. It is arranged to penetrate.

더블체크밸브(1)가 상기 끼워넣은 보울트(7b)에 의해 넛트(7c)로 달아붙여졌을 경우 O링(5) 및 O링위치 결정부재인 칼라(4)에 의해 더블체크밸브(1)의 아웃렛(1a)이 시일되어진 상태에서 튜브(6)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튜브(6)에는 칼라의 위치결정으로 되는 링상의 凸부(6a)가 형성되어 있다.When the double check valve 1 is attached to the nut 7c by the inserted bolt 7b, the double check valve 1 is opened by the collar 4 as the O-ring 5 and the O-ring positioning member. The outlet 1a is comprised so that it may be connected to the tube 6 in the sealed state. In addition, the tube 6 is formed with a ring-shaped convex portion 6a for positioning the collar.

또, 더블체크밸브(1)의 한쪽의 인렛(1b)은 나사로 합쳐진 콘넥터(2)를 통해서 에어튜브(3)로 연결되고 그 에어튜브(3)의 다른끝에는 링상의 凸부(3a)가 마련되어 칼라(4)에 의해 위치결정된 O링(5)에 의해 시일되어서 본체(11a)의 상부밸브보디(11b)의 접속구멍(11c)에 삽입되어 있다. 또 이 경우 에어튜브(3)는 부우스터의 축과 평행하여 일직선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One inlet 1b of the double check valve 1 is connected to the air tube 3 through a screwed connector 2, and the other end of the air tube 3 is provided with a ring shaped recess 3a. It is sealed by the O-ring 5 positioned by the collar 4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le 11c of the upper valve body 11b of the main body 11a. In this case, the air tube 3 is configured to be in a straight line in parallel with the axis of the booster.

도 2 는 도 1 의 A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을 나타내며 더블체크밸브(1)의 다른측의 인렛(1)은 콘넥터(2a)를 통해서 전자밸브로 제어되며 클러치 및 변속기가 컴퓨터 제어되는 측의 에어원에 접속되어져 있다.FIG. 2 shows a view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n FIG. 1, wherein the inlet 1 on the other side of the double check valve 1 is controlled by an solenoid valve via a connector 2a and the air on the side where the clutch and the transmission are computer controlled. It is connected to the circle.

따라서, 본체(11a)의 상부밸브보디(11b)의 접속구멍(11c)을 도시하지 않은 에어원에 연결하면 튜브(3)가 종래의 제1의 에어회로의 작용을 완수하고 전자밸브와 콘넥터(2a)와를 튜브로 연결하면 이 튜브가 종래의 제2에어회로의 작용을 하고, 파워실린더(13)의 후부에 마련된 튜브(6)가 종래의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에 달아붙여진 튜브의 작용을 하므로 상부밸브보디(11b)의 접속구멍(11c)과 콘넥터(2a)의 2개소의 배관만으로서 종래의 기능을 완수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connecting hole 11c of the upper valve body 11b of the main body 11a is connected to an air source not shown, the tube 3 completes the function of the conventional first air circuit and the solenoid valve and the connector ( When 2a) is connected to the tube, the tube acts as a conventional second air circuit, and the tube 6 provided at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13 acts as a tube attached to the outlet of the conventional double check valve. The conventional function is accomplished only by the piping of two places of the connection hole 11c of the upper valve body 11b and the connector 2a.

그리고 튜브(6)와 튜브(3)의 반대측의 끝부인 다른쪽의 끝부는 더블체크밸브(1)에 고정되며 더블체크밸브는 심어 끼운 보울트로 양튜브(6)(3)의 축방향으로 조여붙여서 달아붙이는 것에 의해서 칼라(4)에 의해 위치결정된 O링(5)에 의해 시일로부터의 에어누설은 없다. 또 튜브의 한끝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튜브가 파손하는 일이없어 신뢰성이 높다.The other end, which is the opposite end of the tube 6 and the tube 3, is fixed to the double check valve 1, and the double check valve is tightened in the axial direction of both tubes 6 and 3 with a planted bowl. There is no air leakage from the seal by the O-ring 5 positioned by the collar 4 by pasting. In addition, since one end of the tube is not fixed, the tube is not damaged and the reliability is high.

여기서 도 1, 도 2 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차량에 달아붙일때에 더블체크밸브(1)의 축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서 달아붙여지며 중력에 의해서 더블체크밸브(1)의 밸브체가 사용빈도가 낮은 클러치페달제어측의 인렛을 막도록, 다시 말해서 제2의 배관측이 클러치부우스터(11)의 파워실린더와 연이어 통하도록 클러치의 무제어시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이것에 의해서 컴퓨터 제어에 의한 전자밸브의 개폐제어가 빈번하기 때문에 밸브체의 작동속도가 빠른 것이 요구되는 자동클러치 제어시에 더블체크밸브(1)내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이동이 최저한도로까지 억제되며 에어의 공급이 종래보다도 빠르게 행하여져서 자동클러치의 작동속도가 향상되는 것이다.1 and 2, when the vehicle is attached to the vehicle, the axis of the double check valve 1 is inclined relative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valve body of the double check valve 1 is low in use due to gravity. In order to prevent the inlet on the clutch pedal control side, that is, the second pipe side is positioned at the time of no control of the clutch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ower cylinder of the clutch booster 11. As a result, since the solenoid valve is frequently controlled by computer control,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1 is suppressed to the minimum during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which requires a high operating speed of the valve body. The air is supplied faster than before, and the operating speed of the automatic clutch is improved.

또한 도 3 은 본 발명에 관한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를 작동시키는 클러치부우스터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관한 부재만을 도 1 및 도 2 와 같은 부호로 붙여서 중복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Figure 3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booster for operating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the me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s.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도 5 는 본 발명에 관한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에 사용하는 클러치부우스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 에 있어서 우측반부분은 실린더보디(120)의 더블체크밸브(150)를 포함하는 부분의 단면과 상부밸브보디(130)를 포함하는 부분과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으며 좌측반부분은 파워실린더(140)를 나타내고 있다.5 illustrate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 clutch booster for use in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the right half portion shows a cross section of a portion including the double check valve 150 of the cylinder body 120 and a portion including the upper valve body 130, and the left half portion is a power cylinder ( 140).

실린더보디(120)에는 더블체크밸브(150)의 슬리이브(103)가 삽입되어 있다.The sleeve 103 of the double check valve 150 is inserted into the cylinder body 120.

이 슬리이브(103)에는 제1의 인렛(143)과 아웃렛(108)과를 연이어 통하는 보울트(142)와 제2의 인렛(109a)과 상기 아웃렛(108)과를 연이어 통하는 보울트(107)가 마련되어 있다.The sleeve 103 has a bolt 142 which connects the first inlet 143 and the outlet 108 in succession, a second inlet 109a and a bolt 107 which connects the outlet 108 in succession. It is prepared.

제2의 인렛(109a)은 상기 슬리이브(103)를 실린더보디(120)에 고정하는 캡(109)에 마련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제2의 인렛(109a)은 제2의 에어회로(116)에 접속되어서 전자밸브(115)에 연이어 통해져 있다. 그리고 그 전자밸브(115)는 도시하지 않은 컴퓨터에 의해 제어되며 그의 개방시에는 클러치페달(도 4 의 부호(12)참조)의 조작과는 별개로 도시하지 않은 에어원으로부터의 에어를 제2의 에어회로(116)를 통해서 제2의 인렛측으로 공급한다.The second inlet 109a is provided in a cap 109 that fixes the sleeve 103 to the cylinder body 120. As described later, the second inlet 109a is connected to the second air circuit 116 and subsequently connected to the solenoid valve 115. And the solenoid valve 115 is controlled by the comput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nd when it opens, the air from the air source which is not shown in FIG. 4 separates from the operation of a clutch pedal (refer 12 of FIG. 4). The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inlet side through the air circuit 116.

슬리이브(103)의 내측을 미끄러져 움직이는 밸브체(101)는 그의 양단부에서 제1의 인렛(143)에 통하는 포오트(142)와, 제2의 인렛(109a)으로 통하는 포오트(107)와를 서로 번갈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valve body 101 which slides on the inside of the sleeve 103 has a port 142 passing through the first inlet 143 and a port 107 passing through the second inlet 109a at both ends thereof. It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lternately with each other.

여기서 밸브체(101)의 시일부(101-S)는 예를들면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시일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체(101)는 경합금 또는 수지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혹은 경량용구멍(101-L)이 마련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능한한 경량화 되어있다. 또 도 5 는 밸브체(101)가 중간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Here, the seal part 101-S of the valve body 101 is comprised with sealing materials, such as rubber | gum and synthetic resin, for example. The valve body 101 is made of a light alloy or a resin, or is configured in a shape in which the light hole 101-L is provided, and is as light as possible. 5 has shown the case where the valve body 101 is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108)은 파워실린더(140) 및 그의 후부에 마련된 튜브(141)에 의해 O링(105) 및 O링위치 결정부재인 칼라(104)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The outlet 108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onnected via an O-ring 105 and a collar 104 which is an O-ring positioning member by a power cylinder 140 and a tube 141 provided at the rear thereof.

그리고, 제1의 인렛(143)은 제1의 에어회로(106)에 의해 포핏밸브(131) 및 접속구(137)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에어원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에어회로(106)는 凹부(134)의 저부(134a)와 상기 제1의 인렛(143)과를 연통하도록 마련된 유로이고, 그 凹부(134)는 실린더보디(120)와 상부밸브보디(130)와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inlet 143 is connected to an air source (not shown) through the poppet valve 131 and the connection port 137 by the first air circuit 106. The air circuit 106 is a flow path provided to communicate the bottom portion 134a of the recess 134 and the first inlet 143, and the recess 134 is a cylinder body 120 and an upper valve. It i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with the body 130.

또 포핏밸브(131)는 종래부터 공지의 부재를 채용하고 있고, 클러치페달(도시하지 않음)을 밟았을 때 도시하지 않은 유압회로에 의해 릴레이밸브(136)를 통해서 리턴스프링(138)에 대항하여 개방된 상태로 되며 제1의 회로(106) 및 제1의 인렛(143)을 통해서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체(101)를 도 5 의 중력에 반대되는 상방향으로 밀어올리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oppet valve 131 conventionally employs a well-known member, and when the clutch pedal (not shown) is pressed, the poppet valve 131 is opposed to the return spring 138 through the relay valve 136 by a hydraulic circuit (not shown). It is in an open state and is configured to push the valve body 101 of the double check valve upward through the first circuit 106 and the first inlet 143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gravity in FIG. 5.

이와같이 구성된 도 5 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에어원을 접속구(137)에 접속하여 전자밸브(115)(종래물품을 사용가능)로부터의 제2의 에어회로(116)를 제2의 인렛(109a)에 접속하면 더블체크밸브를 포함하는 모든 배관이 완료한다. 그리고 도 5 의 실시예에 의하면 클러치부우스터도 콤팩트하게 정리되므로 차량레이아웃에 대한 영향이 없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FIG. 5, an air sourc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137 to connect the second air circuit 116 from the solenoid valve 115 (the conventional article can be used) to the second inlet ( Connection to 109a) completes all piping including the double check valve.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5, since the clutch booster is also compactly arranged,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vehicle layout.

도 5 로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 차량부착시에 더블체크밸브(150)의 축선이 수평면에 대해서 기울어서 붙여져서 중력에 의해 더블체크밸브(150)의 밸브체(101)가 사용빈도가 낮은 클러치페달 제어측의 인렛(143)을 막도록, 다시 말하면 제2의 에어회로(116)측이 클러치부우스터의 파워실린더(140)와 연통하도록 클러치 무제어시(클러치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컴퓨터 제어에 의한 전자밸브의 개폐제어는 빈번하기 때문에 밸브체의 작동속도가 빨라야 하는 것이 요구되는 자동클러치 제어시에 더블체크밸브(150)내에 있어서의 밸브체(101)의 이동이 최저한도에까지 억제되어 에어의 공급이 종래보다도 빨리 행하게 되어 자동클러치의 작동속도가 향상된다.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when the vehicle is attached, the axis of the double check valve 150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so that the valve body 101 of the double check valve 150 has a low frequency of use due to gravity. To prevent the inlet 143 on the control side, that is, the second air circuit 116 side to communicate with the power cylinder 140 of the clutch booster in a non-clutch state (without stepping on the clutch pedal). do. As a result, the control of the solenoid valve by computer control is frequent, and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101 in the double check valve 150 is minimized at the time of the automatic clutch control, which requires the operation speed of the valve body to be high. It is suppressed to the limit and supply of air is performed earlier than before, and the operation speed of an automatic clutch improves.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한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에 사용하는 클러치부우스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 은 클러치부우스터(211)가 클러치장치에 달아붙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 은 도 6 의 화살표(A7)방향으로 본 도면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clutch booster used in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utch booster 211 is attached to the clutch device. FIG. 7 is a view seen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A7 in FIG. 6.

도 6 으로 가장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더블체크밸브(201)의 축선(C-1)이 클러치부우스터(211)의 축선(C-2)과 평행으로 되어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클러치부우스터(211)는 그의 축선(C-2)이 클러치장치의 축선(CC)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As most clearly shown in FIG. 6, in the third embodiment, the axis C-1 of the double check valve 201 is parallel to the axis C-2 of the clutch booster 211. As shown in Fig. 6, the clutch booster 211 has its axis C-2 arrang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axis CC of the clutch device.

즉 차량에 달아붙임시에 더블체크밸브(201)의 축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어져서 붙여지며 중력에 의해 더블체크밸브(201)의 밸브체가 사용빈도가 낮은측의 인렛을 막을 수 있도록, 바꾸어 말하면 제2의 배관측이 클러치부우스터(211)의 파워실린더와 연통하도록 클러치 무제어시의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컴퓨터 제어에 의한 전자밸브의 개폐제어는 빈번한 까닭에 작동속도가 빨라야 할 것이 요구되는 자동클러치시에 더블체크밸브(201)내에 있어서의 밸브체의 이동이 최저한도에까지 억제되어 에어의 공급이 종래보다도 빨리 행하여져서 자동클러치의 작동속도가 향상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ttached to the vehicle, the axis of the double check valve 20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and the valve body of the double check valve 201 is prevented by gravity from blocking the inlet at the side where the frequency of use is low. The piping side 2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at the time of no clutch control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power cylinder of the clutch booster 211. As a result, the opening and closing control of the solenoid valve by computer control is frequently required, and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201 is suppressed to the minimum at the time of the automatic clutch, which requires a high operating speed. This operation is performed earlier than the conventional one, and the operation speed of the automatic clutch is improved.

도 8 ∼ 도 11 에서는, 상기 제3실시예에 관한 클러치부우스터 단위체를 드러내어서 나타내고 있다. 도 6 ∼ 도 11 에 있어서 부호(201)는 더블체크밸브, (202)는 엘보콘넥터(Elbow Connector)를 나타내고 있다. 엘보콘넥터(202)는 더블체크밸브(201)와 클러치부우스터(211)와의 사이를 연통하는 튜브(209)의 일단을 너트(207) 및 슬리이브(208)를 통해서 더블체크밸브(201)의 아웃렛으로 받아드리고 있다.8-11, the clutch booster unit body which concerns on the said 3rd Example is revealed and shown. 6-11, reference numeral 201 denotes a double check valve, and 202 denotes an elbow connector. The elbow connector 202 connects one end of the tube 209 communicating between the double check valve 201 and the clutch booster 211 through the nut 207 and the sleeve 208 of the double check valve 201. I accept it as an outlet.

튜브(209)의 다른끝(엘보콘넥터(202)와는 반대측의 끝부)도 마찬가지로 너트(207) 및 슬리이브(208)를 통해서 클러치부우스터(211)의 파워실린더(213)의 후단에 연결되어져 있다.The other end of the tube 209 (an end opposite to the elbow connector 202) is similar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ower cylinder 213 of the clutch booster 211 via the nut 207 and the sleeve 208. .

도 11 에 있어서, 부호(203)는 에어튜브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에어튜브(203)는 직선형콘넥터(206)를 통해서 더블체크밸브(201)의 다른쪽의 인렛과 상부밸브보디(218)(도 8)의 제어밸브(219)(도 8)와를 연통하고 있다. 또 부호(204)는 칼라를 나타내며 그 칼라(204)에 의해 위치결정된 O링(205)은 에어튜브(203)와 상부밸브보디(218)와를 시일하고 있다.In Fig. 11, reference numeral 203 denotes an air tube. The air tube 203 communicates with the other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201 and the control valve 219 (Fig. 8) of the upper valve body 218 (Fig. 8) via the straight connector 206. . Reference numeral 204 denotes a collar and the O-ring 205 positioned by the collar 204 seals the air tube 203 and the upper valve body 218.

특히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더블체크밸브(201)에 있어서 도 8 의 우측단측에 직선형콘넥터를 마련하여 그 직선형콘넥터는 에어원으로부터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는 호스와 연결된다.Although not shown in particular, in the double check valve 201, a straight connector is provided on the right end side of FIG. 8, and the straight connector is connected to a hose for supplying high pressure air from an air source.

도 12 ∼ 도 15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제3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전자밸브측의 인렛이 상방으로 배치되며 이것에 의해서 사용빈도가 낮은 수동작동측의 인렛을 더블체크밸브(201)의 밸브체가 막도록 밸브체가 위치되는 것이다. 그의 양태는 도 13 에 있어서 가장 명확하게 나타나있고, 더블체크밸브(201)의 축선(CD)은 수평축(HL)에 대하여 각도(θ)만큼 경사지고 있다.12 to 15 show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 this fourth embodiment, as in the third embodiment, the inlet on the solenoid valve side is disposed upward, whereby the valve body is positioned so that the valve body of the double check valve 201 is blocked by the inlet on the manual operation side having a low frequency of use. Will be. The aspect thereof is most clearly shown in FIG. 13, and the axis CD of the double check valve 201 is inclined by the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xis HL.

또, 이 각도(θ)는 10°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고 도시한 예에서 각도(θ)는 12°로 되어있다.In addition, this angle (theta) is set to 10 degrees or more, and the angle (theta) is 12 degrees in the example shown.

여기서, 도 15 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이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평면도에 있어서 더블체크밸브(201)의 축선(CD)과 클러치부우스터(211)의 축선(C-20)이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져 있다.As apparent from Fig. 15,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axis CD of the double check valve 201 and the axis C-20 of the clutch booster 211 intersect at right angles in the plan view. ha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어 이하의 우수한 효과를 가져올 수가 있다.This invention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and can produce the following outstanding effects.

(1)더블체크밸브가 부우스터에 고정부착 혹은 일체화되며 한쪽의 인렛과 상부밸브보디 및 아웃렛과 파워실린더와의 사이가 배관되어져 있으므로 부우스터와 타의 부품과의 사이에서는 다른쪽의 인렛과 상부밸브보디만을 에어배관하면 된다. 그리고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에 있어서는 클러치부우스터에 2개소의 에어배관만으로 되므로 배관에 많은 스페이스를 요하지 않으므로 배관공수저감, 배관길이단축에 의한 중량경감이 가능하다.(1) The double check valve is fixedly attached to or integrated with the booster, and one inlet, the upper valve body, and the outlet and the power cylinder are piped so that the other inlet and the upper valve between the booster and the other parts. Only the body needs to be air piped. In the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since only two air pipes are provided in the clutch booster, it does not require a lot of space in the pipe, thereby reducing the pipe man-hour and reducing the weight by shortening the pipe length.

(2)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인렛과 상부밸브보디와의 사이의 튜브가 부우스터의 축심과 평행이어서 여분의 스페이스를 요하지 않는다.(2) In the first embodiment, the tube between the inlet and the upper valve body is parallel to the shaft center of the booster, so no extra space is required.

(3)배관의 끝부의 접속이 O링과 O링을 위치결정하는 칼라로서 구성되어 있고 같은방향으로 짜여붙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짜여붙임성이 좋으며 또 달아붙임시의 치수차를 용이하게 흡수해서 에어누설 등을 방지하여 품질이 향상된다.(3) The connection of the end of the pipe is composed of the O-ring and the collar for positioning the O-ring, and is configured to be woven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woven is good and the air leakage is easily absorbed by easily absorbing the dimensional difference when attaching. Etc., the quality is improved.

(4)따라서 콤팩트하며 신뢰성이 높고 레이아웃상의 스페이스가 확보된다.(4) Therefore, it is compact, highly reliable, and layout space is secured.

(5)더블체크밸브는 작동회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자동클러치측 인렛을 상방으로 되도록 축선을 경사해서 달아붙이고 있으므로(도 6, 도 13 참조) 통상 클러치 무제어시 중력에 의해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는 클러치부우스터상의 상부밸브보디로 통하는 인렛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작동속도가 빨라야 하는 것을 요구하는 자동클러치시에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이동하지 않고 에어의 압력이 클러치부우스터의 파워실린더와 연통하고 있는 까닭에 에어의 공급이 빠르고 자동클러치 작용을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다.(5) Since the double check valve is inclined and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automatic clutch side inlet with a large number of operation times (see Figs. 6 and 13),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is normally caused by gravity when the clutch is not controlled. Is located on the inlet side leading to the upper valve body on the clutch booster. Therefore, since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does not move and the air pressure communicates with the power booster of the clutch booster during the automatic clutch requiring the high operating speed, the air supply is quick and the automatic clutch action can be performed quickly. There is a number.

(6)더블체크밸브 밸브체를 경량화하고 시일성을 향상시킨것에 의해서 응답성이 향상한다.(6) Double check valve Responsiveness is improved by reducing the weight of the valve body and improving the sealability.

Claims (24)

클러치부우스터의 파워실린더의 후부에 플레이트를 고정하여 붙이고, 그 플레이트에 고정된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파워실린더 후부의 튜브에 접속하며, 더블체크밸브의 한쪽의 인렛에 콘넥터를 통해서 에어튜브를 달아붙이고 그 에어튜브의 콘넥터와, 반대측의 끝부는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클러치부우스터의 상부밸브보디에 접속하며, 상기 에어튜브는 클러치부우스터의 축심과 평행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The plate is fixedly attached to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of the clutch booster, and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fixed to the plate is connected to the tube of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through the O-ring and O-ring positioning member, and one side of the double check valve. The air tube is attached to the inlet of th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of the air tube and the opposite end are connected to the upper valve body of the clutch booster through the O-ring and the O-ring positioning member, and the air tube is the clutch booster. 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a straight line parallel to the axis of the shaft. 더블체크밸브와 클러치부우스터의 실린더보디와를 일체로 구성하여 그 실린더보디내에 형성된 포핏밸브로부터의 유로에 의해 더블체크밸브의 제1의 인렛에 연이어 통하는 제1의 에어회로를 구성하고, 제2의 에어회로는 전자밸브로부터 실린더보디에 나사계합하는 캡을 통해서 더블체크밸브의 제2의 인렛으로 연이어 통하여 있고,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파워실린더 후부의 튜브에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A first air circu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double check valve and the cylinder body of the clutch booster and communicates with the first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by a flow path from the poppet valve formed in the cylinder body. Air circuit is connected from the solenoid valve to the second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through a cap screwed to the cylinder body, and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onnected to the tube on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through the O-ring and O-ring positioning member.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클러치부우스터의 파워실린더의 뒤에 플레이트를 고정부착하고, 그 플레이트에 고정된 더블체크밸브의 한쪽의 인렛에 콘넥터를 통해서 에어튜브를 달아붙이고, 그 에어튜브의 콘넥터와 반대측의 끝부는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클러치부우스터의 상부밸브보디에 접속하며,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튜브를 통해서 파워실린더 후부에 접속하고, 더블체크밸브의 축선은 클러치부우스터의 축선과 평행으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The plate is fixed to the rear of the clutch booster's power cylinder, and the air tube is attached to one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fixed to the plate through the connector, and the end opposite to the connector of the air tube is O-ring and O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valve body of the clutch booster through the ring positioning member,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through the tube, and the axis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arranged parallel to the axis of the clutch booster. Clutch device of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클러치부우스터의 상부밸브보디의 후부에 플레이트를 고정부착하고, 그 플레이트에 고정된 더블체크밸브의 한쪽의 인렛에 콘넥터를 통해서 에어튜브를 달아붙이고, 상기 에어튜브의 콘넥터와 반대측의 끝부는 O링 및 O링위치 결정부재를 통해서 클러치부우스터의 상부밸브보디에 접속하고, 더블체크밸브의 아웃렛은 튜브를 통해서 파워실린더 후부에 접속하며 더블체크밸브의 축선이 클러치부우스터의 축선에 대하여 직각이 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A plate is fixedly attached to the rear side of the upper valve body of the clutch booster, and an air tube is attached to one in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fixed to the plate through a connector, and an end of the O tube is opposite to the end of the connector. And an O-ring positioning member to the upper valve body of the clutch booster, the outle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power cylinder through the tube, so that the axis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clutch booster.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O링위치 결정부재는 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ring positioning member is a colla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0링위치 결정부재는 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0 ring positioning member is a collar.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0링위치 결정부재는 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0 ring positioning member is a collar.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0링위치 결정부재는 칼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0 ring positioning member is a colla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체는 경합금 또는 수지제 혹은 경량용구멍이 마련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The valve device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formed of a light alloy or resin or a light hol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체는 경합금 또는 수지제 혹은 경량용구멍이 마련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The valve device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formed of a light alloy or resin or a light hol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체는 경합금 또는 수지제 혹은 경량용구멍이 마련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The valve device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formed of a light alloy or resin or a light hol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체는 경합금 또는 수지제 혹은 경량용구멍이 마련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장치.The valve device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figuration is formed of a light alloy or resin or a light ho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좌가 시일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sea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made of a sealing materia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좌가 시일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sea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made of a sealing material.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좌가 시일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sea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made of a sealing material.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밸브좌가 시일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A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valve seat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made of a sealing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더블체크밸브는 작동회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자동클러치측 인렛을 상방으로한 상태에서 경사하여 달아붙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클러치 무제어시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중력에 의해 클러치부스터상의 상부밸브보디로 통하는 인렛측에 위치하며, 작동속도가 빠른 것을 요구하는 자동클러치시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이동하는일 없이 에어의 압력이 클러치부스터의 파워실린더와 연이어 통하여 에어의 공급을 빠르게 하므로써 자동클러치 작용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The double check valve is inclined and attached with the auto clutch side inlet with an excessively high number of operation times upward. As a result, when the clutch is not controlled,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is moved to the upper valve body on the clutch booster by gravity. Located at the inlet side of the passage, when the auto clutch requires a high operating speed, the air pressure is connected to the clutch booster's power cylinder to speed up the air supply without moving the valve body within the double check valve.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quickl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더블체크밸브는 작동회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자동클러치측 인렛을 상방으로한 상태에서 경사하여 달아붙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클러치 무제어시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중력에 의해 클러치부스터상의 상부밸브보디로 통하는 인렛측에 위치하며, 작동속도가 빠른 것을 요구하는 자동클러치시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이동하는일 없이 에어의 압력이 클러치부스터의 파워실린더와 연이어 통하여 에어의 공급을 빠르게 하므로써 자동클러치 작용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The double check valve is inclined and attached with the auto clutch side inlet with an excessively high number of operation times upward. As a result, when the clutch is not controlled,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is moved to the upper valve body on the clutch booster by gravity. Located at the inlet side of the passage, when the auto clutch requires a high operating speed, the air pressure is connected to the clutch booster's power cylinder to speed up the air supply without moving the valve body within the double check valve.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quickly.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더블체크밸브는 작동회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자동클러치측 인렛을 상방으로한 상태에서 경사하여 달아붙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클러치 무제어시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중력에 의해 클러치부스터상의 상부밸브보디로 통하는 인렛측에 위치하며, 작동속도가 빠른 것을 요구하는 자동클러치시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이동하는일 없이 에어의 압력이 클러치부스터의 파워실린더와 연이어 통하여 에어의 공급을 빠르게 하므로써 자동클러치 작용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The double check valve is inclined and attached with the auto clutch side inlet with an excessively high number of operation times upward. As a result, when the clutch is not controlled,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is moved to the upper valve body on the clutch booster by gravity. Located at the inlet side of the passage, when the auto clutch requires a high operating speed, the air pressure is connected to the clutch booster's power cylinder to speed up the air supply without moving the valve body within the double check valve.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quickly.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더블체크밸브는 작동회수가 압도적으로 많은 자동클러치측 인렛을 상방으로한 상태에서 경사하여 달아붙여져 있고, 이것에 의해 클러치 무제어시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중력에 의해 클러치부스터상의 상부밸브보디로 통하는 인렛측에 위치하며, 작동속도가 빠른 것을 요구하는 자동클러치시에는 더블체크밸브내의 밸브체가 이동하는일 없이 에어의 압력이 클러치부스터의 파워실린더와 연이어 통하여 에어의 공급을 빠르게 하므로써 자동클러치 작용을 신속하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The double check valve is inclined and attached with the auto clutch side inlet with an excessively high number of operation times upward. As a result, when the clutch is not controlled, the valve body in the double check valve is moved to the upper valve body on the clutch booster by gravity. Located at the inlet side of the passage, when the auto clutch requires a high operating speed, the air pressure is connected to the clutch booster's power cylinder to speed up the air supply without moving the valve body within the double check valve. Clutch device of a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quickly. 제 1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10˚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more than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10˚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more than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제 1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10˚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more than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제 2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0, 상기 더블체크밸브의 경사는 수평면에 대하여 10˚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변속기의 클러치 장치.Clutch device of the semi-automatic transmiss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ation of the double check valve is more than 1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KR1019960040604A 1996-09-18 1996-09-18 Clutch apparatus f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KR1002462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604A KR100246251B1 (en) 1996-09-18 1996-09-18 Clutch apparatus f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604A KR100246251B1 (en) 1996-09-18 1996-09-18 Clutch apparatus f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664A KR19980021664A (en) 1998-06-25
KR100246251B1 true KR100246251B1 (en) 2000-04-01

Family

ID=19474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604A KR100246251B1 (en) 1996-09-18 1996-09-18 Clutch apparatus f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625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664A (en)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7070B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JPS6328806B2 (en)
US5341723A (en) Reciprocating pneumatic motor for hydraulics
US4316480A (en) Sequencing valve
US20100212579A1 (en) Pressure state indicator
US3570541A (en) Three-way directional control valve
US3780620A (en) Pressure differential assist for a servomotor
AU683815B2 (en) Reciprocating pump with simplified seal replacement
KR100246251B1 (en) Clutch apparatus f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US5850760A (en) Booster for transmission gear boxes
JPH04277326A (en) Actuator for controlling friction type clutch having diaphragm for especially automobile
CN101357614B (en) Ball check valve assembly for hydraulic control circuit
JP3882157B2 (en) Hydraulic shock absorber
JP2836679B2 (en) Clutch device f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US4301832A (en) Pressure converter valve
US5190356A (en) AND-type control valve for a tractor-trailer braking system
EP0187753A1 (en) Brake release mechanism for vehicle towing.
US3976099A (en) Multiple-passage, quick-disconnect coupling
CA1123876A (en) Poppet member for a control valve
US7063001B2 (en) Brake servo-unit comprising a floating element bearing offset valve seats
JPH09105427A (en) Clutch device for semiautomatic transmission
JP4847001B2 (en) Branch joint, pneumatic circuit comprising such a branch joint and assembly comprising such a circuit
US3195417A (en) Reversible valve and servomotor
JP2501566Y2 (en) Seal device
CN2199347Y (en) Cylinder device with hydraulic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