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557B1 - Releasable wrapper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 Google Patents

Releasable wrapper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557B1
KR100244557B1 KR1019997006714A KR19997006714A KR100244557B1 KR 100244557 B1 KR100244557 B1 KR 100244557B1 KR 1019997006714 A KR1019997006714 A KR 1019997006714A KR 19997006714 A KR19997006714 A KR 19997006714A KR 100244557 B1 KR100244557 B1 KR 10024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sanitary napkin
main body
flaps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7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밀스수앤
라바쉬브루스윌리암
밤버제프리빈센트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US1996/00047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6023469A1/en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557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부 플랩을 갖는 생리대, 팬티라이너, 성인 실금자용품 등과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측부 플랩을 갖는 본 흡수제품은 플랩이 착용자의 속옷의 굴곡진 측부 가장자리 주위를 감쌀 때 확장되어 플랩상에 발생되는 응력을 이완시킬 수 있는 주름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흡수제품의 가멘트-대향 면상의 접착제 패스너를 덮고 생리대를 위한 개별 포장을 제공하는 박리가능한 랩퍼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napkins with side flaps, panty liners, adult incontinence articles and the like. The absorbent article with side flaps has wrinkles that can expand when the flaps wrap around the curved side edges of the wearer's underwear to relax the stresses that develop on the flaps. Also disclosed are peelable wrappers that cover the adhesive fasteners on the garment-facing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and provide individual packaging for sanitary napkins.

Description

주름부가 있는 플랩을 갖는 흡수제품에 사용되는 박리가능한 랩퍼{Releasable wrapper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Releasable wrapper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본 발명은 측부 플랩을 갖는 생리대, 팬티라이너, 성인 실금자용품 등과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플랩이 착용자의 속옷의 측부 가장자리 주위를 감쌀 때 확장되어 착용자의 속옷에 대한 개선된 맞춤성과 은폐성을 제공하는 주름부(gathered portion)가 있는 측부 플랩(side flap)을 갖는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napkins with side flaps, panty liners, adult incontinence articles and the lik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de flap with a gathered portion that extends as the flap wraps around the side edges of the wearer's underwear to provide improved fit and concealment to the wearer's underwear. It relates to an absorbent product having.

생리혈, 뇨 및 배설물과 같은 신체 유체를 흡수하는 구조를 갖는 다양한 흡수제품 및 모든 방법이 잘 공지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윙(wing) 또는 플랩을 갖는 흡수제품, 특히 생리대가 문헌에 개시되어 있고 시판되고 있다.Of course, various absorbent products and all methods having a structure for absorbing body fluids such as menstrual blood, urine and feces are well known. Absorbents with wings or flaps, in particular sanitary napkins, are disclosed and commercially available in the literature.

일반적으로, 플랩은 중심 흡수 수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에 있는 팬티 가장자리 주위로 절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플랩은 착용자의 가랑이 영역에 있는 팬티의 가장자리와 허벅지 사이에 위치한다. 통상적으로, 플랩에는 플랩을 착용자의 팬티의 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착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In general, the flap extends laterally from the central absorbing means so that it is folded around the panty edge in the crotch region of the wearer. Thus, the flap is located between the thigh and the edge of the panties in the wearer's crotch region. Typically, the flap is provided with attachment means for securing the flap to the underside of the wearer's panties.

플랩은 적어도 두 가지의 목적을 갖는다. 첫째, 플랩은 분비물이 착용자의 팬티의 가장자리를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둘째, 특히 플랩이 팬티의 하면에 고정될 때 플랩은 생리대가 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돕는다.The flap serves at least two purposes. First, the flap prevents secretions from contaminating the edges of the wearer's panties. Second, the flap helps to keep the sanitary napkin out of position, especially when the flap is secured to the underside of the panty.

다양한 유형의 플랩을 갖는 생리대는 1987년 8월 18일자로 반 틸버그(Van Tilburg)에게 허여된 '플랩을 갖는 성형 생리대(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87,478 호; 1986년 8월 26일자로 마팅리(Mattingly)에게 허여된 '생리대 부착 수단(Sanitary Napkin Attachment Means)'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08,047 호; 1986년 5월 20일자로 반 틸버그에게 허여된 '생리대(Sanitary Napki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589,876 호; 1981년 8월 25일자로 맥네어(McNair)에게 허여된 '생리대(Sanitary Napki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285,343 호; 1968년 8월 20일자로 릭카드(Rickard)에게 허여된 '일회용 위생 속옷 보호물(Disposable Sanitary Shield For Undergarments)'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397,697 호; 및 1957년 4월 2일자로 클락(Clark)에게 허여된 '생리대(Sanitary Napki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2,787,217 호에 개시되어 있다.Sanitary napkins with various types of flaps are disclosed in US Pat. No. 4,687,478, entitled 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 issued to Van Tilburg on August 18, 1987; US Patent No. 4,608,047 entitled 'Sanitary Napkin Attachment Means' issued to Mattingly on August 26, 1986; U.S. Patent No. 4,589,876 entitled 'Sanitary Napkin' issued May 20, 1986 to Van Tilberg; US Patent No. 4,285,343 entitled 'Sanitary Napkin', issued to McNair on August 25, 1981; US Patent No. 3,397,697 entitled Disposable Sanitary Shield For Undergarments, issued to Rickard on August 20, 1968; And US Pat. No. 2,787,217, entitled "Sanitary Napkin," issued to Clark on April 2, 1957.

플랩을 갖지 않는 생리대에 비해 플랩을 갖는 생리대가 통상적으로는 오염을 보다 잘 방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통상적으로 플랩을 갖는 생리대는 최적의 효과를 유지하는데 있어 문제점을 갖는다. 이 문제점은 일반적으로는 생리대가 착용될 때 플랩에 가해진 응력 때문에 생긴다.While sanitary napkins with flaps usually appear to better prevent contamination compared to sanitary napkins without flaps, sanitary napkins with flaps typically have problems in maintaining optimal effects. This problem is usually caused by the stress exerted on the flap when the sanitary napkin is worn.

플랩이 착용자의 팬티 가장자리를 따라 절첩될 때, 플랩 특히 비교적 크기가 큰 플랩에서 응력이 생성된다. 플랩이 착용자의 팬티의 신체 면으로부터 팬티의 하면으로 굽어지는 팬티 가장자리의 절첩선을 따라서 응력이 특히 높다. 플랩이 팬티 가랑이의 굴곡진 가장자리를 따라 맞추어질 때 상기 응력이 유발된다. 착용자가 앉거나 웅크릴 때 팬티 가장자리가 플랩에 반해 바깥쪽으로 잡아당겨짐으로써 상기 절첩선에 반하는 힘이 증가하기 때문에 응력이 증폭된다. 응력이 너무 높아지면, 플랩이 팬티로부터 이탈될 수가 있고, 전술된 플랩의 잇점중 몇가지가 손실될 수도 있다. 또한, 응력이 플랩을 이탈시킬만큼 충분하지는 않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응력은 플랩을 종방향으로 안쪽으로 뭉치게 할 만큼은 충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플랩의 크기가 감소되고 플랩에 의해 덮이는 착용자 속옷의 면적이 감소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플랩이 착용자의 팬티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 팬티의 일정 면적을 덮는 플랩의 능력이 손실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플랩이 절첩될 때 발생되는 응력을 없애거나 적어도 감소시키는 방법을 찾는 것에 대한 상업적인 요구가 있다.When the flap is folded along the wearer's panty edge, a stress is created in the flap, especially the relatively large flap. The stress is particularly high along the fold line of the panty edge where the flap bends from the body side of the wearer's panties to the bottom of the panty. The stress is caused when the flap is fitted along the curved edge of the pant crotch. When the wearer sits or squats the stress is amplified because the edge of the panty is pulled outward against the flap, increasing the force against the fold line. If the stress is too high, the flap may deviate from the panties, and some of the benefits of the flap described above may be lost. Also, even though the stress is not sufficient to break off the flap, the stress may still be enough to cause the flap to stick i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reduces the size of the flap and reduces the area of the wearer's underwear covered by the flap. Thus, there is a commercial need to find a way to eliminate or at least reduce the stress generated when the flap is folded, so that the flap does not deviate from the wearer's panties while not losing the flap's ability to cover an area of the panty. have.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도의 하나로, 전술된 유형의 플랩의 많은 변형물이 제시되어 왔다. 노치(notch) 또는 슬릿(silt) 형태의 응력 이완 수단이 있는 플랩을 갖는 생리대가 1990년 4월 17일자로 오스본 III세(Osborn III)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기술되어 있다. 플랩에서 발생된 응력을 이완시키기 위한 차등 연장성 대역 및 플랩을 갖는 흡수제품이 1994년 9월 6일자로 니이하라(Niihara)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44,416 호 및 1994년 10월 11일자로 라바쉬(Lavash)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54,400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 생리대는 성능이 매우 좋지만, 개선된 플랩을 갖는 생리대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In an attempt to solve the above problem, many variations of flaps of the type described above have been proposed. Sanitary napkins with flaps with stress relaxation means in the form of notches or slits are described in US Pat. No. 4,917,697 to Osborn III, issued April 17, 1990. Absorbents with differential elongation zones and flaps to relieve the stresses generated by the flaps are disclosed in U.S. Pat.Nos. 5,344,416 to Niihara on September 6, 1994 and Rabash on October 11, 1994. US Pat. No. 5,354,400 to Lavash et al. These sanitary napkins perform very well, but research on sanitary napkins with improved flaps continue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랩이 착용자의 속옷의 가랑이 가장자리를 따라 절첩되고 속옷의 하면에 고정될 때 플랩에서 발생된 응력을 이완시키기 위한 보다 개선된 수단을 갖는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플랩을 갖는 생리대와 같은 흡수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생리대가 착용된 동안에 착용자의 속옷의 일정 면적을 덮을 수 있는 능력을 잃지 않는 플랩을 갖는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improved means for releasing the stresses generated in the flap when the flap is folded along the crotch edge of the wearer's underwear and secured to the underside of the underwear. It is to provide an absorbent product such as a sanitary napkin hav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nitary napkin having a flap that does not lose its ability to cover a certain area of the wearer's underwear while the sanitary napkin is worn.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하기 설명을 참고하고 첨부된 도면을 보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플랩이 착용자의 속옷 가랑이 가장자리 주위로 절첩될 때 확장되어 플랩에서 발생된 응력을 이완시킬 수 있는 주름부가 있는, 플랩을 갖는 생리대와 같은 흡수제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bsorbent articles, such as sanitary napkins with flaps, that have pleats that can expand when the flap is folded around the wearer's undergarment edge to relax the stresses generated in the flap.

흡수제품은 두 개의 이격된 종방향 가장자리와 두 개의 이격된 횡방향 가장자리를 갖는 주 몸체부, 및 상기 주 몸체부와 결합되고 주 몸체부의 각 종방향 가장자리를 지나 측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한 쌍의 플랩을 포함한다. 주 몸체부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 상면시이트에 연결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 및 상면시이트와 배면시이트 사이에 위치된 흡수코어를 포함한다. 주 몸체부는 제 1 말단 영역, 제 2 말단 영역 및 제 1 말단 영역과 제 2 말단 영역 사이에 위치된 중심 영역을 갖는다. 흡수제품은 주 종방향 중심선 및 주 횡방향 중심선을 갖는다. 플랩은 근위 가장자리, 원위 가장자리 및 흡수제품의 주 종방향 중심선을 가로지르는 플랩 횡방향 중심선을 갖는다.The absorbent article comprises a main body portion having two spaced longitudinal edges and two spaced transverse edges, and a pair of mating engagements with the main body portion and extending laterally past each longitudinal edge of the main body portion. Flap. The main body portion includes a liquid permeable topsheet, a liquid impermeable backsheet connected to the topsheet, and an absorbent core positioned between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The main body portion has a first end region, a second end region and a central region located between the first end region and the second end region. The absorbent article has a main longitudinal centerline and a main transverse centerline. The flap has a flap transverse centerline across the proximal edge, distal edge and the main longitudinal centerline of the absorbent article.

흡수제품은 주 종방향 중심선과 플랩의 원위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된 주름부를 갖는다. 주 몸체부의 중심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하는 억제부(restraint)는 주름부의 말단이 상기 플랩 횡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펼쳐지게 하면서 주름부의 일부는 펼쳐지지 못하게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생리대는 또한 하나이상의 차등 연장성 대역(a zone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을 포함한다. 차등 연장성 대역은 플랩 횡방향 중심선을 따라 위치된 플랩상의 한 지점보다 더 크게 외향 연장할 수 있는 물질을 포함한다. 차등 연장성 대역은 바람직하게는 주름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위치되고 플랩 횡방향 중심선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다. 생리대 사용전에 생리대를 밀폐시키고 보호하기 위한 신규한 박리가능한 랩퍼(releasable wrapper)가 또한 구비되어 있다.The absorbent article has a pleat located between the main longitudinal centerline and the distal edge of the flap. A restraint that extends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central region of the main body portion prevents the portion of the crease from unfolding while allowing the distal end to unfold at a position longitudinally away from the flap transverse centerline. 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the sanitary napkin also includes one or more zones of differential extensibility. The differential extensibility zone includes a material that can extend outwardly larger than a point on the flap located along the flap transverse centerline. The differential extendable zone is preferably located laterally outward from the pleats and longitudinally away from the flap transverse centerline. There is also a new releasable wrapper to seal and protect the sanitary napkin prior to us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생리대의 상면도이다.1 is a top view of the preferred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생리대가 착용자의 팬티의 가장자리 주위를 감쌀때 확장될 수 있는 플랩의 일부를 통해 도 1의 2-2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of FIG. 1 through a portion of the flap that may expand as the sanitary napkin wraps around the edge of the wearer's panties.

도 3은 플랩 횡방향 중심선을 통과하는 도 1의 3-3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3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1 through a flap transverse centerline;

도 3a는 생리대상에 놓이기 전의 특히 바람직한 박리가능한 랩퍼의 투시도이다.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icularly preferred peelable wrapper before being placed on the menstrual subject.

도 3b는 특히 바람직한 유형의 박리가능한 랩퍼안에 생리대가 밀폐되기 전에 생리대의 플랩중 하나가 제 위치로 절첩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1 내지 3에 나타낸 생리대의 단면도이다.3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anitary napkin shown in FIGS. 1 to 3 showing that one of the flaps of the sanitary napkin is folded into place before the sanitary napkin is sealed in a particularly preferred type of peelable wrapper.

도 4는 박리가능한 랩퍼가 제거된, 도 1에 나타낸 생리대의 저면도(底面圖)이다.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sanitary napkin shown in FIG. 1 with the peelable wrapper removed. FIG.

도 5는 사용되는 동안의 형상을 한, 도 1, 2, 3 및 4에 나타낸 생리대의 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anitary napkin shown in FIGS. 1, 2, 3 and 4, shaped during use.

명세서는, 본 발명을 형성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대상물을 상세하게 나타내고 뚜렷하게 청구하는 청구범위를 포함하지만,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하기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리라 믿는다.While the specification includes claims that expressly and explicitly claim the subject matter deemed to form the invention, it is believed that the invention may be better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회용 흡수제품인 생리대(20)의 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기본적으로 주 몸체부(22) 및 두 개의 플랩(24)을 포함한다. (하기 논의에서, 달리 언급이 없는 한, 본원에서 기술된 생리대는 두 개의 플랩을 가질 것이다. 생리대가 두 개의 플랩을 가질 필요는 없지만, 플랩이 두 개인 것이 플랩이 하나인 것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플랩이 서로 거울상일 필요는 없지만, 거울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한 플랩에 대한 설명이 다른 플랩에 대한 설명이고, 간단하게 하기 위해서 제 2 플랩의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1-3 are one preferred embodiment of a sanitary napkin 20 which is a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anitary napkin 20 basically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22 and two flaps 24. (In the discussion below, unless otherwise stated, the sanitary napkin described herein will have two flaps. The sanitary napkin does not need to have two flaps, but two flaps are preferred over one flap. The flaps do not need to be mirror images of each other, but are preferably mirror images, so that the description of one flap is the description of the other flap, and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flap can be omitted for simplicity.)

생리대(20)(및 그의 주 몸체부)는 두 개의 면, 즉 착용자의 신체에 인접하게 착용되도록 되어 있는 액체 투과성 신체-접촉면 또는 '신체면(body surface)'(20A) 및 액체 불투과성 가멘트면(garment surface)(20B)을 갖는다. 생리대(20)는 도 1에 그의 신체면(20A)으로서 나타나 있다. 생리대(20)는 두 개의 중심선인 주 종방향 중심선(L)과 주 횡방향 중심선(T)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종방향'이라는 용어는 생리대(20)를 착용한 직립한 착용자를 좌반신과 우반신으로 이분하는 수직선을 따라 일반적으로 정렬된(예를 들면 상기 수직선에 거의 평행한) 생리대(20)의 평면상의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횡방향' 또는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상호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고, 종방향과 일반적으로 수직인 생리대(20)의 평면 내부에 있는 선, 축 또는 방향을 말한다.Sanitary napkin 20 (and its main body portion) has two sides, a liquid permeable body-contact surface or 'body surface' 20A and a liquid impermeable garment, which are intended to be worn adjacent to the wearer's body. It has a garment surface 20B. Sanitary napkin 20 is shown in FIG. 1 as its body surface 20A. The sanitary napkin 20 has two center lines, a main longitudinal center line L and a main transverse center line T. As used herein, the term "longitudinal" refers to a sanitary napkin generally aligned (e.g.,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vertical line) that divides an upright wearer wearing sanitary napkin 20 into the left and right bodies. 20) refers to a line, axis or direction on a plane. As used herein, the terms 'lateral' or 'lateral' may be used interchangeably and refer to a line, axis or direction within the plane of the sanitary napkin 20 that is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도 1은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가 플랩(24)을 갖지 않는 생리대의 부분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주 몸체부(22)는 생리대(20)의 주 몸체부의 주변부(30)를 형성하는, 두 개의 이격된 종방향 가장자리(26) 및 두 개의 이격된 횡방향 또는 말단 가장자리(또는 '말단')(28)를 갖는다. 주 몸체부(22)는 또한 두 개의 말단 영역인, 제 1 말단 영역(32)과 제 2 말단 영역(34)을 갖는다. 중심 영역(36)은 말단 영역(32)과 말단 영역(34)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말단 영역(32 및 34)은 중심 영역(36)의 가장자리로부터 주 몸체부의 길이의 약 1/8 내지 약 1/3의 길이로 외향 연장된다. 이러한 중심 영역(36) 및 두 개의 말단 영역(32 및 34)을 갖는 생리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1987년 9월 1일자로 히긴스(Higgins)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90,680 호에 있다.1 shows that the main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20 includes a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that does not have a flap 24. The main body portion 22 has two spaced longitudinal edges 26 and two spaced transverse or distal edges (or 'ends') forming the periphery 30 of the main body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20 ( 28). Main body portion 22 also has two distal regions, first distal region 32 and second distal region 34. Central region 36 is located between distal region 32 and distal region 34. The distal regions 32 and 34 extend outwardly from the edge of the central region 36 to a length of about 1/8 to about 1/3 of the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sanitary napkin having this central region 36 and two distal regions 32 and 34 is described in US Pat. No. 4,690,680 to Higgins, dated Sep. 1, 1987,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Is in.

생리대(20)의 주 몸체부는 비교적 두껍거나 비교적 얇거나 매우 얇은 임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면의 도 1 내지 3에 나타낸 생리대(20)의 실시태양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스넬러(Snell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34,422 호 및 제 5,308,346 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주 몸체부를 갖는 중간 정도로 두꺼운 생리대의 예이다. 제시된 생리대는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이고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난 유형 또는 특정 형상을 갖는 흡수제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면, 생리대의 주 몸체부(22)는 스넬러의 특허에 기술된 것과 같은 채널(channel)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portion of sanitary napkin 20 may have any thickness that is relatively thick, relatively thin or very thin. The embodiment of the sanitary napkin 20 shown in FIGS. 1-3 of the drawings has a main body similar to that described in US Pat. Nos. 5,234,422 and 5,308,346 to Sneller et al.,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An example of a medium thick sanitary napki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nitary napkins presented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an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bsorbent articles of the type or specific shape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the main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may comprise a channel as described in Sneller's patent.

도 2는 본 발명의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를 보여준다. 주 몸체부(22)는 일반적으로 세 개이상의 주요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액체 투과성 상면시이트(38),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이트(40) 및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 사이에 위치된 흡수코어(42)가 포함된다. 생리대(20)의 상기 구성요소들에 적합한 물질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특허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상면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흡수코어를 당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형상(소위 '샌드위치(sandwich)' 제품 및 '관(tube)' 제품을 포함)으로 조립할 수 있다.2 shows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main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22 generally comprises three or more major components. This includes a liquid permeable top sheet 38, a liquid impermeable backsheet 40, and an absorbent core 42 positioned between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Suitable materials for the above components of sanitary napkin 20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the patent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The topsheet, backsheet and absorbent core can be assembled into various shapes known in the art, including so-called 'sandwich' products and 'tube' products.

바람직한 몇몇 생리대 형상은, 1982년 3월 30일자로 아(Ahr)에게 허여된 '테두리진 일회용 흡수제품(Border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321,924 호; 1984년 1월 10일자로 데스마레이스(DesMarais)에게 허여된 '복합 생리대(Compound Sanitary Napki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425,130 호; 각각 1990년 8월 21일 및 1991년 4월 23일자로 오스본에게 허여된 '얇은 가요성 생리대(Thin, Flexible Sanitary Napki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50,264 호 및 제 5,009,653 호; 스넬러 등에게 허여된 전술된 특허; 1993년 7월 22일자로 라바쉬 등의 명의로 출원된 '팬티의 측부를 자동적으로 감싸는 팬티 덮개 구성요소를 갖는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s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That Naturally Wrap the Sides of Panties)'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원 제 08/096,121 호(1994년 2월 3일자로 공개된 PCT 출원 제 WO 94/02096 호); 1993년 9월 17일자로 맨스필드(Mansfield) 등의 명의로 출원된 '탄성체와 유사하게 작용하는 연장성 웹 물질을 포함하는 팬티 덮개 구성요소를 갖는 흡수제품(Absorbent Articles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Comprising Extensible Web Materials Which Exhibit Elastic-Like Behavior)'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원 제 08/124,180 호에 공통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생리대의 주 몸체부(22)는 상기 생리대 및 1992년 7월 23일자로 오스본 등의 명의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 07/915,133 호 및 제 07/915,284 호(1993년 2월 4일자로 공개된 PCT 출원 제 WO 93/01785 호 및 제 93/01786 호)에 기술된 생리대와 같은 하나이상의 연장성 구성요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출원 모두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Some preferred sanitary napkin shapes are described in US Pat. No. 4,321,924, entitled 'Border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issued March 30, 1982 to Ahr; U.S. Patent No. 4,425,130 entitled 'Compound Sanitary Napkin', issued to DesMarais on January 10, 1984; U.S. Patent Nos. 4,950,264 and 5,009,653, entitled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issued August 21, 1990 and April 23, 1991, respectively; The aforementioned patents issued to Sneller et al .; Absorbent Articles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That Naturally Wrap the Sides of Panties, filed on July 22, 1993, under the name of Rabash et al. US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08 / 096,121 (PCT Application WO 94/02096, published February 3, 1994); Absorbent Articles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Comprising Extensible Web Materials, filed September 17, 1993, in the name of Mansfield et al. Which is commonly described in US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08 / 124,180 entitled "which Exhibit Elastic-Like Behavior." The main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is disclosed in US Patent Application Nos. 07 / 915,133 and 07 / 915,284 (published February 4, 1993) filed in the name of the sanitary napkin and in Osborne et al. On July 23, 1992. One or more extensible components, such as sanitary napkins described in PCT applications WO 93/01785 and 93/01786. All of these applications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의 길이 및 너비가 일반적으로 흡수코어(42)의 것보다 큰 샌드위치 구조로 생리대(20)를 조립한다.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는 흡수코어(42)의 가장자리를 지나 연장되고 밀봉을 따라 함께 연결되어 주 몸체부의 주변부(30)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밀봉은, 풀칠(gluing), 크림핑(crimping) 또는 융합(fusing)과 같은 당해 분야에서 밀봉을 형성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수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태양은 바람직한 것이기는 하지만 단지 하나의 가능한 실시태양일 뿐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기타 가능한 실시태양은 흡수코어(44)가 배면시이트 위에 놓이기 전에 상면시이트로 본질적으로 완전하게 감싸진 실시태양을 포함한다. 주 몸체부(22)는 또한 단독으로 직립할 정도의 충분한 일체성을 갖고 한 표면은 액체 투과성이고 다른 표면은 액체 불투과성이도록 처리된 흡수코어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sanitary napkin 20 is assembled into a sandwich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and width of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are generally larger than that of the absorbent core 42.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extend past the edge of the absorbent core 42 and are connected together along the seal to form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phery 30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seal may be formed by any means conventionally used to form a seal in the art, such as gluing, crimping or fusing.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re preferred but only one possible embodiment. Other possible embodiments include embodiments in which the absorbent core 44 is essentially completely encased in the topsheet before being placed on the backsheet. The main body portion 22 also includes an absorbent core which is treated to have a sufficient integrity to stand up alone, with one surface being liquid permeable and the other surface being liquid impermeable.

본 발명의 생리대(20)는 주 몸체부(22)에 연결된 한 쌍의 플랩(24)을 포함한다. 플랩(24)은 그의 근위 가장자리(44)로부터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26)을 지나 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원위 가장자리(46)까지 연장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연결된'이란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고착됨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직접 고정된 형상;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고착된 중간 요소에 고착됨으로써 한 요소가 다른 요소에 간접적으로 고정된 형상; 및 한 요소가 다른 요소와 일체인 형상, 즉 한 요소가 본질적으로 다른 요소의 일부인 형상을 포함한다.The sanitary napki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flaps 24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22. The flap 24 extends from its proximal edge 44 beyond the longitudinal side edge 26 of the main body portion 22 laterally outward to the distal edge 46. As used herein, 'connected' refers to a shape in which one element is directly fixed to the other by fixing one element directly to the other; A shape in which one element is indirectly fixed to the other element by fixing one element to an intermediate element fixed to the other element; And shapes in which one element is integral with the other element, ie, a shape in which one element is essentially part of the other element.

도 1 내지 3에 나타낸 한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플랩(24)은 생리대의 주 몸체부(22)와 일체이다. 이러한 경우에, 상면시이트(38)는 플랩(24)과 주 몸체부(22) 둘다의 신체-대향 면(body-facing surface)을 형성하고, 배면시이트(40)는 상기 플랩(24)과 주 몸체부(22) 둘다의 가멘트-대향 면(garment-facing surface)을 형성할 수 있다.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생리대(20)의 흡수물질은 플랩(24)내로 연장되어 플랩 흡수코어를 형성할 수도 있다(그러나 도 1 내지 3에 나타낸 실시태양은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플랩(24)은 주 몸체부(22)에 부착된 물질 또는 요소의 개별적인 단편들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플랩이 개별적인 요소를 포함할 경우, 이들은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공지된 임의의 기법에 의해 주 몸체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접착제, 가열 및/또는 가압, 초음파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The flap 24 of on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S. 1-3 is integral with the main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In this case, the top sheet 38 forms the body-facing surface of both the flap 24 and the main body portion 22, and the back sheet 40 is formed of the flap 24 and the main body. Both body portions 22 can form a garment-facing surface. As described in more detail in US Pat. No. 4,917,697, the absorbent material of sanitary napkin 20 may extend into flap 24 to form a flap absorbent core (but embodiments shown in FIGS. Do not use). In another embodiment, the flap 24 may consist of individual pieces of material or elements attached to the main body portion 22. If the flaps include individual elements, they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22 by any techniqu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technique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dhesives, heating and / or pressurization, ultrasound, and the like.

플랩(24)은 주 몸체부와 일체인지 또는 여기에 결합된 개별적인 요소인지에 상관없이, 각각 접합부(juncture)를 따라 주 몸체부(22)와 결합되어 있다. 이는 접합선(48)과 같은, 전형적으로 종방향-배향된(또는 '종방향') 접합부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접합부'(또는 '접합선')란 플랩(24)이 연장되기 시작하는 영역 또는 플랩이 주 몸체부(22)에 연결되는 영역을 말한다. 접합부는 임의의 곡선 또는 직선일 수 있지만 이들이 선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접합부는 영역, 플랜지(flange), 스트립(strip), 불연속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생리대(20)에서, 접합선(48)은 비교적 직선에서부터 약간 볼록한 정도까지일 수 있는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영역이다. 플랩(24)이 주 몸체부(22)와 일체인 경우에는 정확한 경계선이 있을 필요는 없지만, 접합선(30)이 주 몸체부(22)와 플랩(24) 사이의 경계선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48'로서 나타낸 선을 접합선으로서 생각할 수도 있고(이 경우 플랩(24)은 절첩된 영역(60)을 통해 주 몸체부에 직접 연결된다), 접합선이 선들(48과 48') 사이에 놓여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The flaps 24 are engaged with the main body 22 along the junction, respectively, regardless of whether they are integral with the main body or individual elements coupled thereto. This is typically a longitudinally-oriented (or 'longitudinal') junction, such as junction line 48. As used herein, 'junction' (or 'junction') refers to the region where the flap 24 begins to extend or the region where the flap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22. The junction can be any curve or straight line, but they are not limited to lines. Thus, the junction can include regions, flanges, strips, discontinuities, and the like. In the sanitary napkin 20 shown in FIG. 1, the seam 48 is a generally longitudinally oriented region that can be from a relatively straight line to a slightly convex extent. If the flap 24 is integral with the main body portion 22, there is no need for an accurate boundary line, but the junction line 30 may mean a boundary line between the main body portion 22 and the flap 24. Thus, the line shown as 48 'in Fig. 1 may be considered as a seam (in which case the flap 24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rough the folded region 60), and the seam is the lines 48 and 48'. You might think that it lies in between.

플랩(24)이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가장자리(26)로부터 연장될(또는 이를 따라 연결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플랩(24)은 종방향 가장자리(26)로부터 임의의 길이로 안쪽으로(또는 '내부로') 주 종방향 중심선(L)을 향해 주 몸체부(22)에 연결될 수 있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랩(24)은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가장자리(26)를 따라 또는 주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또는 주 종방향 중심선(L)과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가장자리(26)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각각 주 몸체부(22)에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The flap 24 need not extend (or be connected along) from the longitudinal edge 26 of the main body portion 22. For example, the flap 24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22 toward the main longitudinal center line L inwardly (or 'inwardly') at any length from the longitudinal edge 26. As seen from above, the flap 24 is along the longitudinal edge 26 of the main body portion 22 or along the main longitudinal center line L or the main longitudinal center line L and the main body portion 22. It is apparent that each can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22 at any posi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edges 26 of.

플랩(24)은 접합선(48)에 또는 이에 인접하게 근위 가장자리(44)를 갖는다. 원위 가장자리(또는 '자유 말단')(46)는 접합선(48)으로부터 멀리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플랩(24)은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에 의해 전반부(50) 및 후반부(52)로 나누어진다.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은 생리대의 주 횡방향 중심선(T)과 일치하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은 주 횡방향 중심선(T)의 앞쪽 또는 뒤쪽으로 분지된다.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은 주 종방향 중심선(L)을 통해 연장되어 생리대를 네 개의 부분(A, B, C 및 D)으로 나눈다.The flap 24 has a proximal edge 44 at or adjacent to the seam 48. The distal edge (or 'free end') 46 is far from the seam 48. As shown in FIG. 1, each flap 24 is divided into a front half 50 and a second half 52 by a flap transverse centerline T 1 . The flap transverse centerline T 1 coincides with, but need not necessarily be, the main transverse centerline T of the sanitary napkin. In another embodiment, the flap transverse centerline T 1 branches to the front or back of the main transverse centerline T. The flap transverse centerline T 1 extends through the main longitudinal centerline L to divide the sanitary napkin into four parts A, B, C and D.

도 1 내지 3은 플랩(24)이 바람직하게는 각각 하나이상의 주름부(54)를 가짐을 보여준다. '주름부'라는 용어는 생리대의 주 종방향 중심선(L)의 안쪽으로 바람직하게는 이를 향해 주름진 생리대의 부분을 말한다. 주름부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생리대가 착용되는 동안에 주름진 상태를 유지한다. 주름부(54)는 전적으로 플랩(24)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전적으로 주 몸체부(22)내에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부분적으로는 플랩(24)내에서 부분적으로는 주 몸체부(22)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는 각 플랩(24)에 인접한 두 개의 주름부(54)를 갖는다.1-3 show that the flaps 24 preferably have one or more pleats 54, respectively. The term 'wrinkle' refers to the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that is wrinkled inwardly and preferably toward the main longitudinal centerline L of the sanitary napkin. The wrinkles also preferably remain wrinkled while the sanitary napkin is worn. The pleats 54 may be formed entirely in the flap 24, may be formed entirely in the main body portion 22, or partly in the flap 24, partly in the main body portion 22. Can be formed. Preferably, sanitary napkin 20 has two corrugations 54 adjacent each flap 24.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주름부(54)는 바람직하게는 주 몸체부(22)와 플랩(24)의 접합부(48)를 포함하고 이를 둘러싸는 영역내에 위치한다. 도 1은 플랩(24)이 또한 주름부(54)와 동일한 정도로 안쪽으로 주름잡히지 않은 부분을 가짐을 보여준다. 주름부로부터 멀리 종방향으로 위치된 플랩(24)의 부분을 본원에서는 '확장가능한 부분(expandable portion)'(56)이라고 칭한다. 확장가능한 부분(56)은 플랩(24)이 착용자 팬티의 가장자리 주위로 절첩될 때 확장될 수 있어야 한다(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는 횡방향(도 1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확장된다).The corrugations 54 as shown in Figures 1 to 3 preferably comprise a junction 48 of the main body 22 and the flap 24 and are located in an area surrounding it. 1 shows that flap 24 also has a portion that is not pleated inwards to the same extent as pleat 54. The portion of flap 24 positioned longitudinally away from the pleats is referred to herein as an 'expandable portion' 56. The expandable portion 56 should be able to expand when the flap 24 is folded around the edge of the wearer's panties (preferably generally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row direction shown in FIG. 1)).

주름부(54) 및 확장가능한 부분(56)을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플랩(24)을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배향된 절첩선(58)을 따라 플리이팅(pleating)하거나 절첩함으로써 절첩되거나 플리이팅된 부분(또는 '플리이츠(pleats)')(60)을 형성시킴으로써 주름부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절첩선(58)은 플랩(24)과 주 몸체부(22)의 접합부(48)를 따라 또는 이 접합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놓일 수 있다. 플랩(24)의 절첩부(60)를 바람직하게는 절첩하고 나란히 배열한다. 플랩(24)을 절첩시키면 말단이 개방된 밀폐된 관 또는 케이스가 생성된다. 절첩부가 직립될 필요가 없는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절첩부(60)는 서로의 위에서 절첩될 수 있다(즉, 생리대의 평면에 수직으로 겹쳐 쌓인다). 절첩부(60)는 바람직하게는 접합부(48)의 길이를 따라 뻗어있다. 절첩부(60)는, 바람직하게는 주 몸체부(22)의 중심 영역(36)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지만 말단 영역(32 및 34)으로까지 연장되지는 않는 절첩된 또는 플리이팅된 억제부(66)와 같은 억제부에 의해 주름잡히고 개방되지 않게 억제된다. 이로써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가능한 확장가능한 말단 부분(56)과 횡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중심부(주 몸체부(22)의 중심 영역(36)을 따라 위치됨)를 갖는 생리대(20), 특히 플랩(24)이 제공된다.Pleat 54 and expandable portion 56 may be formed in any suitable mann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S. 1-3, the folded or pleated portions (or 'pleats') are plied or folded by pleating or folding the flap 24 along a longitudinally oriented fold line 58. The pleats may be formed by forming pleats) ') 60. The fold line 58 may lie along or within or outside the junction 48 of the flap 24 and the main body portion 22. The folded portions 60 of the flaps 24 are preferably folded and arranged side by side. Folding the flap 24 produces a closed tube or case with an open end. In another embodiment where the folds do not need to be upright, the folds 60 can be folded over one another (ie, stacked vertically on the plane of the sanitary napkin). The fold 60 preferably extends along the length of the junction 48. The fold 60 preferably is a folded or pleated restraint that extends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central region 36 of the main body portion 22 but does not extend to the distal regions 32 and 34. It is suppressed not to be wrinkled and opened by the suppression part like (66). The sanitary napkin 20, in particular a flap, thus has a transversely extendable extensible end portion 56 and a transversely extending central portion (located along the central region 36 of the main body portion 22). 24 is provided.

이러한 절첩된 실시태양에서, 생리대의 절첩부(60)에는 임의의 갯수의 절첩선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절첩된 실시태양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에서, 플랩(24)은 단순히 접합부(48)를 따라 놓인 단일선상에서 주 종방향 중심선(L)을 향해 안쪽으로 절첩되고 접합부(48)의 영역에서 주 몸체부(2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는,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는 58A, 58B 및 58C라고 표시된 3개 이상의 절첩선(58)을 갖는다. 절첩선(58A 및 58C)은 외부 절첩선이라고 하며 절첩선(58B)은 중심 절첩선이라고 한다. 중심 절첩선(58B)이 대략 외부 절첩선들(58A 및 58C) 사이에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생리대의 절첩부(60)가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의 배면시이트의 저부와 대략 동일한 평면상에서 외부 절첩선들(58A 및 58C)이 둘다 주 몸체부(22)의 측부에 연결되도록 생리대의 절첩부(60)가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절첩선(58A 및 58C)과 중심 절첩선(58B) 사이의 절첩부(60)가 생리대의 상면시이트에 의해 한정되는 평면 위에서 수직으로 윗쪽으로 연장되어 생리대의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가장자리(26)를 따라 한 쌍의 이중 차단벽(double wall barrier)(또는 '차단 다리 커프스(barrier leg cuffs)')(68)을 형성시키도록 절첩선(58)이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벽(68)을 형성시키기 위해서 억제부(66)는 바람직하게는 주 몸체부의 중심 영역(36)의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야 한다.In this folded embodiment, the folds of sanitary napkin 60 can have any number of folds. For example, in the most basic form of the folded embodiment, the flap 24 is simply folded inward toward the main longitudinal centerline L on a single line along the junction 48 and in the region of the junction 48. It may be fixed to the main body portion (22). Typically, however, as shown in Figures 1-3, the sanitary napkin has three or more folds 58, designated 58A, 58B and 58C. Fold lines 58A and 58C are referred to as external fold lines and fold line 58B is referred to as central fold lines. The folds 60 of the sanitary napkin are preferably arranged such that the central fold line 58B is spaced approximately equally between the outer fold lines 58A and 58C. As shown in FIG. 3, the fold of the sanitary napkin is suppressed such that the outer fold lines 58A and 58C are both connected to the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22 on the same plane as the bottom of the back sheet of the sanitary napkin. desirable. The fold 60 between the outer fold lines 58A and 58C and the central fold line 58B extends vertically upwards above the plane defined by the top sheet of the sanitary napkin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is The fold line 58 is preferably spaced apart to form a pair of double wall barriers (or 'barrier leg cuffs') 68 along the edge 26. In order to form the barrier wall 68, the suppressor 66 should preferably extend along substantially the entire length of the central region 36 of the main body portion.

억제부(66)는 절첩된 물질의 일부가 절첩되지 않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요소일 수 있다. 적합한 억제부(66)는 접착제, 초음파 결합, 가열 및/또는 가압 결합, 테이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상이한 유형의 억제부는 무수히 많은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는 점, 선, 패치(patch)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억제부(66)의 말단부(66A 및 66B)는 바람직하게는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로 이격된다. 이로써 전반부(50) 및 후반부(52) 둘다에서 동일한 양으로 개방될 수 있는 확장가능한 부분(56)이 생성된다. 그러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생리대가 다양한 형태의 팬티에 맞게 하기 위해서, 억제부(66)가 생리대의 한 말단을 향해서 다른 말단보다 더욱 분지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hibitor 66 may be any suitable type of element that may prevent some of the folded material from being folded. Suitable suppressors 66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dhesives, ultrasonic bonds, heating and / or pressure bonds, tapes, and the like. These different types of inhibitors can be in myriad shapes. Such shapes may include points, lines, patches, and the like. The distal ends 66A and 66B of the suppressor 66 are preferably spac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flap transverse centerline T 1 . This produces an expandable portion 56 that can be opened in the same amount in both the first half 50 and the second half 52.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in order for the sanitary napkin to fit various types of panties, it may be desirable for the suppressor 66 to be more branched toward one end of the sanitary napkin than the other end.

생리대는 각각의 플랩을 위한 두 개의 억제부(66)를 가질 수 있거나 한 플랩에서 다른 플랩으로 걸쳐져 있는 하나의 억제부를 가질 수 있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생리대는 각각의 플랩(24)에 대한 하나이상의 억제부(66)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생리대는 각각의 플랩에 대해 하나의 억제부(66)를 갖는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억제부(66)는 '내부' 억제부(즉 플랩(24)의 두 개의 절첩부(60)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이다.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억제부(66)는 플랩(24)의 절첩부(60)를 절첩부(60)의 외부로부터 고정시키는 형태일 수 있다. 억제부(66)는 임의의 크기일 수 있으나, 단 접합부(48)의 길이보다 길지 않아야 한다. 이로 인해 플랩(24)의 확장가능한 부분(56)이 적당히 개방될 수 있다. 이는 플랩(24)의 확장가능한 부분(56)이 전형적으로는 접합선(48)의 말단(48A 및 48B)로부터 억제부(66)의 말단(66A 및 66B)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그러하다.The sanitary napkin may have two restraints 66 for each flap or one restraint that spans from one flap to the o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sanitary napkin may have one or more restraints 66 for each flap 24. 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S. 1-3, the sanitary napkin has one containment 66 for each flap. The suppressor 66 shown in FIGS. 1-3 is an 'internal' suppressor (ie located between two folds 60 of the flap 24). In another embodiment, the restraint 66 may be shaped to secure the fold 60 of the flap 24 from outside of the fold 60. The suppressor 66 may be of any size, but no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junction 48. This allows the expandable portion 56 of the flap 24 to be properly opened. This is because the expandable portion 56 of the flap 24 typically opens from the ends 48A and 48B of the seam 48 to the ends 66A and 66B of the suppressor 66.

생리대(20)는 또한 각 절첩부(60)의 내부의 탄성 스트랜드(67)와 같은, 이중 차단벽(68)을 탄성적으로 수축시키기 위한 선택적인 수단을 가질 수 있다. 탄성 스트랜드(67)는 직립 차단벽을 직립될 수 있게 도와줌으로써 이들이 착용자의 신체에 반해 단단한 밀봉을 형성하여 분비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화된 직립 차단벽의 적합한 구조물중 하나는 1990년 3월 20일자로 아지즈(Aziz)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909,803 호에 기술되어 있다.The sanitary napkin 20 may also have optional means for elastically retracting the double barrier wall 68, such as the elastic strand 67 inside each fold 60. The elastic strands 67 help to stand upright barriers so that they form a tight seal against the wearer's body to prevent secretions from leaking. One suitable structure for the resilient upright barriers is described in US Pat. No. 4,909,803, issued to Aziz on March 20, 1990.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하나이상의 차등 연장성 대역(또는 '연장성 대역')(70)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차등 연장성 대역'이라는 용어는 생리대(20)의 주위 부분보다 상이한 양(바람직하게는 더 큰 양)으로 연장할 수 있는 생리대(20)의 부분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20)는 각각 생리대(20)의 1/4에 존재하는 네 개의 차등 연장성(70) 대역을 갖는다. 차등 연장성 대역(70)은 플랩(24)이 착용자 팬티 가랑이 측부 주위로 절첩될 때 플랩(24)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추가로 이완시키는 작용을 한다.Sanitary napkin 20 preferably also has one or more differentially extending bands (or 'extending bands') 70. As used herein, the term 'differential extension band' refers to the portion of sanitary napkin 20 that can extend in a different amount (preferably larg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of sanitary napkin 20. Preferably, as shown in FIG. 1, the sanitary napkin 20 has four zones of differential elongation 70, each present in a quarter of the sanitary napkin 20. The differential extendable zone 70 serves to further relax the stresses generated in the flap 24 when the flap 24 is folded around the wearer's crotch crotch side.

차등 연장성 대역(70)은 주로, 일반적으로 횡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보다 더 많이 연장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반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일반적으로 횡방향'이라는 절은 연장성이 횡방향 성분이라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모든 연장이 생리대의 주 횡방향 중심선(T)과 정확히 평행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실시태양에서, 차등 연장성 대역(70)은 종방향과 횡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연장가능하다. 그러나 차등 연장성 대역(70)의 연장성은 일반적으로 횡방향이도록 하기 위해 종방향보다는 횡방향으로 보다 더 배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다른 실시태양에서는 차등 연장성 대역의 연장성이 횡방향보다는 종방향으로 보다 더 배향되거나 심지어는 완전히 종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The differential extendable zone 70 is preferably generally more extendable outwardly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is is generally the arrow direction shown in FIG. As used herein, the phrase 'generally transverse' means that the extensibility is the transverse component. However, not all extensions need to be exactly parallel to the main transverse centerline T of the sanitary napkin.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the differential extendable zone 70 is extendable in the direction betwee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However, the extension of the differential extensibility zone 70 is generally more orien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a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order to be generally transverse. 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the elongation of the differential elongation zone may be more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even complet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차등 연장성 대역(들)(70)은 생리대의 주위 부분보다 횡방향으로 더 많이 연장될 수 있는 임의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차등 연장성 대역(70)에 적합한 구조물에는 기계적으로 잡아당겨지고, 파형가공되고(corrugated), '링 롤링되고(ring rolled)', 절첩되고, 'SELF'되고(맨스필드(Mansfield) 등에 의해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 08/124,180 호에 기술됨), 플리이팅되고 또는 굴곡진 접합부를 따라 연결된 물질의 대역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들 구조물(도 1 내지 3에는 단지 플랩(24)의 일부분이라고 나타나 있지만)은 주 몸체부(22)의 부분 또는 플랩(24)의 부분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차등 연장성 대역을 갖는 생리대의 예는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1994년 10월 11일자로 라바쉬 등에게 허여된 전술된 미국 특허 제 5,354,400 호 및 1995년 2월 14일자로 라바쉬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89,094 호에 기술되어 있다.The differential extendable zone (s) 70 can include any structure that can extend more transversely than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Structures suitable for the differential extension zone 70 are mechanically pulled, corrugated, 'ring rolled', folded, 'SELF' (filed by Mansfield, et al.)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124,180),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zones of material connected along pleated or curved joints. These structures (although shown only as part of the flap 24 in FIGS. 1 to 3) can include portions of the main body portion 22 or portions of the flap 24 or both. Examples of sanitary napkins with differential elongation zones are described in U.S. Patent Nos. 5,354,400, issued to Rabash et al. On October 11, 1994, and Rabash et al. On February 14, 1995,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US Patent No. 5,389,094.

도 1 내지 3에 나타낸 생리대(20)는 링 롤링됨으로써 차등 연장성을 갖게 된 모서리 영역(corner region)(62)을 갖는 플랩을 갖는다. 모서리 영역은 1978년 8월 15일자로 시슨(Sisso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107,364 호; 1989년 5월 30일자로 사비(Sabee)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34,741 호; 1992년 9월 1일자로 제랄드 엠. 웨버(Gerald M. Web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43,679 호; 1992년 10월 20일자로 케네쓰 비. 뷰엘(Kenneth B. Bu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516,793 호; 및 1992년 12월 1일자로 제랄드 엠. 웨버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167,897 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링 롤링된다. 파형 절첩선(72)이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 배향되도록 링 롤링(또는 예비-파형가공)을 가해야 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일반적으로 종방향인'이란 문구(또는 이와 유사한 문구)는 횡방향 보다는 종방향으로 더 크게 배향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절첩선(72)은 주 종방향 중심선(L)과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절첩선(72)은 주 종방향 중심선(L)과 약 40°내지 45°의 각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바람직한 횡방향 연장성이 제공된다.The sanitary napkin 20 shown in FIGS. 1 to 3 has a flap having a corner region 62 which is made ring-rolled to have differential extension. Corner areas are described in US Pat. No. 4,107,364 to Sisson, dated Aug. 15, 1978; US Patent No. 4,834,741 to Sabee on May 30, 1989; Gerald M. on September 1, 1992. US Patent No. 5,143,679 to Gerald M. Weber et al .; Kennett B. on October 20, 1992. US Patent No. 5,516,793 to Kenneth B. Buell et al .; And Gerald M. on December 1, 1992. Ring rolling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in US Pat. No. 5,167,897 to Weber. Ring rolling (or pre-corrugation processing) should be applied so that corrugated fold 72 is generally orien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used herein, the phrase “generally longitudinal” (or similar phrase) means that it is oriented larg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us, the fold line 72 may form an angle with the main longitudinal center line L. FIG. In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FIGS. 1-3, the fold line 72 may form an angle of about 40 ° to 45 ° with the main longitudinal center line L. FIG. This provides for desirable lateral extension.

차등 연장성 대역(70)은 일반적으로는 도 1 내지 3에 나타낸 실시태양의 생리대의 주름부(54) 및 확장가능한 부분(56)의 외부에 측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차등 연장성 대역(70)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생리대(20)의 모서리 영역(62)에 위치되어 있다. 생리대(20)은 네 개의 모서리 영역(62)(두 개의 모서리 영역은 각 플랩의 안 및/또는 옆에 있고 각각 생리대의 1/4에 존재함)을 갖는다. 본원에서 사용된 '모서리 영역(62)'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주 몸체부(22)와 플랩(24)의 접합부(48)를 따라 또는 이에 인접하게 위치된 생리대(20)의 부분을 말한다. 각 플랩(24)에 대한 모서리 영역(62)은 각 접합부(48)(또는 48')의 말단 영역(48A 및 48B)(또는 48A' 및 48B')내의 두 개의 영역에 위치되어 있다. 한 모서리 영역(62)은 플랩(24)의 전반부(50)내의 종방향 접합부(48)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또다른 것은 플랩(24)의 후반부(52)내의 종방향 접합부(48)에 인접하다. 모서리 영역(62)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 방향의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으로부터 떨어져 종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서리 영역(62)은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멀리' 있는 것으로 기술될 수 있다.)The differential extendable zone 70 is generally located laterally outside of the pleat 54 and expandable portion 56 of the sanitary napkin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The differential extendable zone 70 is also preferably located in the corner region 62 of the sanitary napkin 20. The sanitary napkin 20 has four corner regions 62 (two corner regions are inside and / or next to each flap and each is in a quarter of the sanitary napkin). The term 'edge region 62' as used herein generally refers to the portion of sanitary napkin 20 located along or adjacent to the junction 48 of the main body portion 22 and the flap 24. The edge regions 62 for each flap 24 are located in two regions within the distal regions 48A and 48B (or 48A 'and 48B') of each junction 48 (or 48 '). One corner region 62 is located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junction 48 in the first half 50 of the flap 24. Another is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junction 48 in the second half 52 of the flap 24. The edge area 62 is preferably located longitudinally at least partially away from the flap transverse centerline T 1 in each direction. (Thus, edge region 62 may be described as being 'f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flap transverse centerline T 1. )

가장 바람직한 경우(이후에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에서, 플랩(24)이 착용자의 팬티 가랑이 주위로 절첩될 때 차등 연장성 대역(70)은 절첩선의 부분을 따라 위치된다. 절첩선은 전형적으로는 각 플랩(24)의 종방향 접합부(48)를 따라 또는 이에 인접하여 위치될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부분', '대역' 및 '영역'이라는 용어는 일반적 구역을 말하기 때문에, 차등 연장성 대역(70) 및 모서리 영역(62)은 정확히 접합선(48)상에 놓여 있는 점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형적으로, 이들은 접합선(48)상에 놓인 점 뿐만 아니라 생리대(20)의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종방향 접합부는 차등 연장성 대역(70)의 위치와 거의 같다.In the most preferred case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the differential extension zone 70 is located along a portion of the fold when the flap 24 is folded around the wearer's pant crotch. The fold lines will typically be located along or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junction 48 of each flap 24. As the terms 'part', 'band' and 'region' as used herein refer to a general area, the differential extension zone 70 and the edge region 62 are limited only to the point exactly lying on the seam 48. It doesn't happen. Typically, they include the periphery of the sanitary napkin 20 as well as the point on the seam 48. Thus, the longitudinal junction is approximately equal to the position of the differential extension zone 70.

또다른 실시태양에서, 차등 연장성 대역(70)은 주름부(54)와 확장가능한 부분(56)의 외부에 측방향으로 위치될 필요는 없다. 차등 연장성 대역(70)이 확장가능한 부분(56)의 적어도 안쪽으로 측방향으로 위치할 수 있거나 확장가능한 부분(56)의 경계선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차등 연장성 대역에 의해 제공되는 연장의 양을 추가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확장가능한 부분(56)의 경계선 안의 차등 연장성 대역(70)의 위치 또는 그 부분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상이한 유형의 구조물 각각의 작용이 서로를 심하게 방해하지 않는 한, 이러한 유형의 임의의 배열은 유리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differential extension zone 70 need not be laterally located outside of the pleats 54 and the expandable portion 56. The differential extensible zone 70 may be laterally located at least inward of the expandable portion 56 or at least partially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expandable portion 56. The location or portion of the differential extensible band 70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expandable portion 56 may be advantageously used to further increase the amount of extension provided by the differential extensible band. Any arrangement of this type may be advantageous so long as the action of each of the different types of structures does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severely.

생리대(20)는 바람직하게는 또한 속옷의 가랑이 영역에 생리대(20)를 고정시키도록 된 패스너(fastener)를 갖는다. 도 2, 3 및 4는 중심 패드 접착제(74) 및 플랩 접착제(76)와 같은 바람직한 유형의 패스너인 접착제 부착 수단을 보여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생리대에 사용된 패스너는 접착제 부착 수단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당해 분야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유형의 패스너를 이러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계적 패스너, 또는 접착제와 기계적 패스너의 조합에 의해 생리대(20)를 착용자의 속옷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나 간단히 하기 위해서, 패스너는 접착제 부착 수단으로서 기술될 것이고, 바람직하게는 감압성 접착제 패스너이다. 적합한 감압성 접착제 패스너는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에 보다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The sanitary napkin 20 preferably also has fasteners adapted to secure the sanitary napkin 20 in the crotch region of the undergarment. 2, 3 and 4 show adhesive attachment means, which is a preferred type of fastener such as center pad adhesive 74 and flap adhesive 76. However, the fasteners used in the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adhesive attachment means. Any type of fasteners used in the art can be used for this purpose. For example, the sanitary napkin 20 can be secured to the wearer's underwear by a mechanical fastener or a combination of an adhesive and a mechanical fastener. However, for simplicity, the fastener will be described as an adhesive attachment means, preferably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astener. Suitabl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fasteners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US Pat. No. 4,917,697.

접착제 패스너를 임의의 적합한 형상으로 배열할 수 있다. 제시된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중심 패드 접착제(74) 및 플랩 접착제(76)는 십자가 모양의 연속 접착제 패치를 형성한다. 중심 패드 접착제(74)는 주 몸체부(22)를 팬티 가랑이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 부착 수단을 제공한다. 접착제 패턴의 플랩 접착제(76) 부분은 플랩(24)이 팬티 가랑이부의 가장자리 주위를 감싼 후에 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돕는데 사용된다. 플랩(24)을 속옷 또는 반대쪽 플랩에 부착시킴으로써 플랩(24)이 제 위치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중심 패드 접착제(74)와 플랩 접착제(76) 사이에 틈이 없다는 사실은 생리대를 제 위치에 보다 잘 고정시키고 주 몸체부(22)가 횡방향으로 안쪽으로 뭉치면서 플랩(24)이 착용자의 팬티로부터 이탈되는 경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The adhesive fasteners can be arranged in any suitable shap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presented, the center pad adhesive 74 and the flap adhesive 76 form a cross-shaped continuous adhesive patch. The center pad adhesive 74 provides adhesive attachment means for securing the main body portion 22 to the pant crotch portion. The flap adhesive 76 portion of the adhesive pattern is used to help hold it in place after the flap 24 wraps around the edge of the pant crotch. Attaching the flap 24 to the undergarment or the opposite flap can keep the flap 24 in place. The fact that there is no gap between the center pad adhesive 74 and the flap adhesive 76 allows the sanitary napkin to be better secured in place and the flap 24 attaches to the wearer's panties as the main body portion 22 lumps laterally inward.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tendency to deviate from.

사용전에 접착제가 외부 표면에 달라붙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심 패드 접착제(74) 및 플랩 접착제(76)는 각각 개별적인 제거가능한 박리 라이너에 의해 덮여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부착 수단은 둘다 단일의 박리 라이너(또는 '박리가능한 랩퍼')(78)로 덮인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박리 라이너(78)는 생리대용 개별 포장으로서도 작용하기도 한다. 생리대용 개별 포장으로도 사용되는 적합한 박리 라이너는 스완슨(Swan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56,146 호(세겹 절첩된 생리대 및 랩퍼를 개시함) 및 1990년 6월 5일자로 최초출원되고 1994년 5월 23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원 제 08/247,912 호(1991년 12월 12일자로 공개된 PCT 출원 제 WO/91/18574 호)에 기술되어 있다.The center pad adhesive 74 and the flap adhesive 76 may each be covered by separate removable release liners to prevent the adhesive from sticking to the outer surface prior to use. Preferably, however, the adhesive attachment means are both covered with a single release liner (or 'removable wrapper') 78. Even more preferably, the release liner 78 also acts as a separate package for a sanitary napkin. Suitable release liners, which are also used as individual packaging for sanitary napkins, are described in US Pat. US patent application Ser. No. 08 / 247,912, filed Jan. 23 (PCT application WO / 91/18574, published Dec. 12, 1991).

도 3a는 본 발명의 생리대(20)에 사용하기 위한 박리가능한 랩퍼(78)의 특히 바람직한 유형을 보여준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78로서 나타낸 박리가능한 랩퍼는 몇 개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주 랩핑 시이트(78A), 박리지 또는 박리 피복재(78B)와 같은 선택적 박리 구성요소 및 한 쌍의 플랩 박리 요소(78C)가 포함된다.3A shows a particularly preferred type of peelable wrapper 78 for use in the sanitary napki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A, the peelable wrapper, shown generally at 78, includes several components. This includes an optional release component, such as a main wrapping sheet 78A, release paper or release coating 78B, and a pair of flap release elements 78C.

주 랩핑 시이트(78A)는 박리가능한 랩퍼 물질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당해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중심 패드 접착제(74)에 박리가능하게 접착되기 위해서 그 위에(즉 안쪽 표면위에) 박리가능한 피복재를 가질 수 있다. 한편으로는 주 랩핑 시이트(78A)는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 표면위에 접착된 박리지를 가질 수 있고, 중심 패드 접착제(74)는 주 랩핑 시이트(78A)에 직접 접착되기 보다는 박리지에 접착된다. 플랩 박리 요소(78C)는 플랩 박리 요소 고정 수단(79)과 같은 수단에 의해 주 랩핑 시이트(78A)에 연결된다. 플랩 박리 요소(78C)는, 주 몸체부(22)가 주 랩핑 시이트(78A)위에 놓일 때 플랩 박리 요소(78C)가 플랩 접착제(76) 아래 놓이도록 위치된다. 플랩 박리 요소(78C)가 두 개의 개별적인 요소를 포함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플랩 박리 요소(78C)는 각 말단에 플랩 박리 요소를 포함하는 두 개의 부분을 갖는 물질의 단일 요소 또는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플랩 박리 요소(78C)는 바람직하게는 주 랩핑 시이트(78A)에 피봇 운동 가능하게(pivotably) 연결되어 있다.The main wrapping sheet 78A may comprise any material known in the art suitable for use as a peelable wrapper material. It may have a strippable coating thereon (ie on the inner surface) to releasably adhere to the center pad adhesive 74. On the one hand, the main wrapping sheet 78A may have a release paper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as shown in FIG. 3A, and the center pad adhesive 74 is adhered to the release paper rather than directly to the main wrapping sheet 78A. The flap peeling element 78C is connected to the main wrapping sheet 78A by means such as flap peeling element fixing means 79. The flap peeling element 78C is positioned so that the flap peeling element 78C lies under the flap adhesive 76 when the main body portion 22 rests on the main wrapping sheet 78A. While flap peeling element 78C appears to include two separate elements, it may be understood that flap peeling element 78C may comprise a single element or strip of material having two portions at each end comprising flap peeling elements. You have to understand. The flap peeling element 78C is preferably pivotally connected to the main wrapping sheet 78A.

이 바람직한 박리가능한 랩퍼(78)의 작용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 요소(78C)를 포함하는 말단부가 플랩 접착제(76)를 덮고 주 랩핑 시이트(78A)에 대해 피봇 운동 가능하다는 것이다. 피봇 운동 가능하기 때문에 플랩(24)이 생리대의 신체면(20A)위에서 절첩된다. 이로 인해 플랩(24A)이 절첩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가능한 랩퍼가 연장된 플랩을 갖는 생리대 주위로 절첩될 경우보다 포장이 더 작아지고 사용자가 운반하기 보다 편리해진다.Most important in the operation of this preferred peelable wrapper 78 is that the distal end comprising the peeling element 78C covers the flap adhesive 76 and is pivotable relative to the main wrapping sheet 78A, as shown in FIG. 4. It is. The flap 24 is folded over the body surface 20A of the sanitary napkin because it is pivotable. This allows the flap 24A to be folded, making the packaging smaller and more 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than when the peelable wrapper is folded around a sanitary napkin with an extended flap as shown in FIG. 1.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리대와 그의 플랩(24)이 박리가능한 랩퍼(78)상에 평평하게 위치시켜 생리대(20)를 포장한다. 플랩(24)과 플랩 접착제(76)를 덮는 박리가능하게 부착된 플랩 박리 요소(78C)가 생리대의 신체면(20A)위에서 절첩된다. 플랩(24)은 수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신체-대향 관계(또는 상면시이트-대향 관계)를 유지한다. 상면시이트상에서 플랩(24)을 절첩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한 방법은 생리대의 플랩(24)과 신체면(20A) 사이에 접착제의 점들을 위치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포장 과정 동안에 플랩(24)의 상부에 절첩 바(folding bar)를 놓은 후 생리대(20)의 주 몸체부(22) 및 랩퍼(78)를 대략 절첩된 플랩(24)과 횡방향 축 주위로 세겹으로 절첩시켜 플랩(24) 주위의 주 몸체부(22)의 세겹 절첩이 플랩을 제자리에 위치시키도록 함으로써 플랩(24)이 상면시이트-대향 관계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게 한다. 이러한 형상에서, 박리가능한 랩퍼(78)의 잇점은 박리가능한 랩퍼(78)가 세겹 절첩된 형상으로부터 펼쳐질 때 생리대(20)가 한번의 동작으로 박리가능한 랩퍼(78)로부터 편리하게 제거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는 박리가능한 랩퍼(78)의 한 말단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상기 랩퍼에 인접한 생리대(20)의 말단을 쥐어 생리대(20)를 랩퍼(78)로부터 간단히 벗길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 the sanitary napkin 20 and its flap 24 are placed flat on the peelable wrapper 78 to wrap the sanitary napkin 20. A peelable attached flap peeling element 78C covering flap 24 and flap adhesive 76 is folded over body surface 20A of the sanitary napkin. The flap 24 maintains the body-facing relationship (or topsheet-facing relationship) in a number of different ways. One way to keep the flap 24 folded on the top sheet is to place the points of adhesive between the flap 24 of the sanitary napkin and the body surface 20A. Preferably, however, the wrapping bar is placed on top of the flap 24 during the packaging process, and then the main body 22 and the wrapper 78 of the sanitary napkin 20 are transverse to the approximately folded flap 24. Triple folding around the axial axis causes the triple folding of the main body portion 22 around the flap 24 to place the flap in place, thereby allowing the flap 24 to temporarily maintain the topsheet-facing relationship. In this configuration, the advantage of the peelable wrapper 78 is that the sanitary napkin 20 is conveniently removed from the peelable wrapper 78 in one operation when the peelable wrapper 78 is unfolded from the triple folded shape. For example, a user may simply remove the sanitary napkin 20 from the wrapper 78 by holding one end of the peelable wrapper 78 and the other hand by holding the end of the sanitary napkin 20 adjacent to the wrapper. Will be.

바람직한 생리대 실시태양이 기술되었지만, 플랩을 갖는 많은 기타 생리대 실시태양이 이용가능하고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본 발명의 주름부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플랩을 갖는 생리대가 1994년 9월 13일자로 오스본 등의 명의로 허여된 '착용자의 속옷에 부착시키기 위한 측방향으로 연장가능한 수단을 갖는 생리대(Sanitary Napkin Having Laterally Extensible Means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of the Wear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346,486 호; 1991년 4월 23일 및 1990년 8월 21일자로 각각 오스본에게 허여된 '얇은 가요성 생리대(Thin, Flexible Sanitary Napkin)'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009,653 호 및 제 4,950,264 호; 1990년 4월 17일자로 오스본 III세에게 허여된 '플랩 및 응력 이완 수단을 갖는 생리대(Sanitary Napkin Having Flaps and Stress Relief Mean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917,697 호; 1987년 8월 18일자로 반 틸버그에게 허여된 '플랩을 갖는 성형 생리대(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87,478 호; 1986년 8월 26일자로 마팅리에게 허여된 '생리대 부착 수단(Sanitary Napkin Attachment Means)'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608,047 호; 1986년 5월 20일자로 반 틸버그에게 허여된 '생리대(Sanitary Napkin)'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589,876 호; 1981년 8월 25일자로 맥네어(McNair)에게 허여된 '생리대(Sanitary Napki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285,343 호; 1968년 8월 20일자로 릭카드(Rickard)에게 허여된 '일회용 위생 속옷 보호물(Disposable Sanitary Shield For Undergarments)'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3,397,697 호; 및 1957년 4월 2일자로 클락(Clark)에게 허여된 '생리대(Sanitary Napkin)'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2,787,24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플랩을 가질 수 있는 팬티라이너의 형태의 적합한 흡수제품은 1988년 4월 19일자로 오스본에게 허여된 '팬티라이너(pantiliner)'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738,676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적어도 몇몇은 성인 실금자용 제품의 형태인 적합한 흡수제품은 1994년 4월 5일자로 페이스트(Feist)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00,054 호 및 1994년 4월 19일자로 노엘(Noe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04,161 호에 개시되어 있다.While preferred sanitary napkin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many other sanitary napkin embodiments with flaps are available and disclosed in the literature. They may have the plea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sanitary napkin with flaps was provided under the name of Osborne et al. On September 13, 1994, with 'Sanitary Napkin Having Laterally Extensible Means for Attachment to the Undergarment of US Wear No. 5,346,486 entitled "the Wearer"; US Pat. Nos. 5,009,653 and 4,950,264, entitled 'Thin, Flexible Sanitary Napkin', issued to Osborne on April 23, 1991 and August 21, 1990, respectively; U.S. Patent No. 4,917,697 entitled "Sanitary Napkin Having Flaps and Stress Relief Means" issued to Osborne III on April 17, 1990; U.S. Patent No. 4,687,478, entitled Shaped Sanitary Napkin With Flaps, issued to Van Tilberg on August 18, 1987; U.S. Patent No. 4,608,047 entitled 'Sanitary Napkin Attachment Means', issued to Mattingli on August 26, 1986; US Patent No. 4,589,876 entitled 'Sanitary Napkin' issued May 20, 1986 to Van Tilberg; US Patent No. 4,285,343 entitled 'Sanitary Napkin', issued to McNair on August 25, 1981; US Patent No. 3,397,697 entitled Disposable Sanitary Shield For Undergarments, issued to Rickard on August 20, 1968; And US Pat. No. 2,787,241, entitled "Sanitary Napkin," issued April 2, 1957 to Clark. Suitable absorbent articles in the form of pantyliners that can have such flaps are disclosed in US Pat. No. 4,738,676, entitled 'Pantiliner', issued April 19, 1988 to Osborne. At least some suitable absorbent products, in the form of adult incontinence products, are disclosed in U.S. Patent Nos. 5,300,054 to Feist et al. On April 5, 1994 and Noel et al. On April 19, 1994. US Pat. No. 5,304,161.

또한, 본 발명의 생리대의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플랩(24)에는 생리대의 각 측부를 따라 두 개의 이중 차단벽이 있을 수 있다. 이들 이중 차단벽(바람직하게는 내부 차단벽)중 하나는 본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기타 이중 차단벽은 반 틸버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89,876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제공된다. 지금까지 주름부를 가질 수 있는 몇몇 생리대를 기술하였는데, 착용자의 속옷에서 주름부의 작용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생리대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겠다.Furthermore, in a particularly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p 24 may have two double barrier walls along each side of the sanitary napkin. One of these double barriers (preferably internal barriers) is constructed as described herein, and other double barriers are provided as described in US Pat. No. 4,589,876 to Van Tilberg. Several sanitary napkins have been described that may have wrinkles so far, and the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action of wrinkles in the wearer's underwear.

도 5는 많은 여성에 의해 통상적으로 착용되고 팬티(10)로서 표시된 속옷에 본 발명의 생리대(20)가 제 위치에 놓인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생리대(20)의 형상을, 사용시 취해지는 생리대의 가능한 형상에만 국한시키기 보다는 주로 논의 목적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생리대는 또한 사용시 다른 형상을 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5 shows the sanitary napki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lace in an undergarment typically worn by many women and designated as panties 10. The shape of the sanitary napkin 20 shown in FIG. 5 is shown primarily for purposes of discussion,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only the possible shape of the sanitary napkin taken during u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take other shapes in use.

팬티(10)는 가랑이부(12), 전면(14) 및 후면(16)을 포함한다. 가랑이부(12)는 전면과 후면을 연결시키고 두 개의 탄성화된 측부 가장자리(18)를 포함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가능한 랩퍼(78)를 제거하고 생리대(20)를 팬티(10)에 놓음으로써 생리대(20)를 사용한다. 배면시이트(40)가 팬티의 가랑이부(12)의 안쪽 표면과 접촉하고 주 몸체부(22)의 한 말단이 팬티의 전면(14)을 향해 연장되게 하고 다른 말단이 후면(16)을 향해 연장되도록 주 몸체부(22)의 중심을 팬티(10)의 가랑이부(12)에 위치시킨다. 중심 패드 접착제(74)는 주 몸체부(22)가 제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킨다. 플랩(24)의 원위부(46)는 팬티의 탄성화된 측부 가장자리(18) 주위로 절첩된다. 플랩 접착제 부분(76)은 플랩(24)을 팬티의 하면에 고정시킨다.The panty 10 includes a crotch portion 12, a front side 14, and a rear side 16. The crotch portion 12 connects the front and back sides and includes two elasticized side edges 18. The sanitary napkin 20 is used by removing the peelable wrapper 78 and placing the sanitary napkin 20 in the panty 10 as shown in FIG. The backsheet 40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rotch portion 12 of the panty, with one end of the main body portion 22 extending toward the front side 14 of the panty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oward the back side 16. The center of the main body portion 22 is positioned in the crotch portion 12 of the panties 10 as much as possible. The center pad adhesive 74 keeps the main body portion 22 in place. The distal portion 46 of the flap 24 is folded around the elasticized side edges 18 of the panties. Flap adhesive portion 76 secures flap 24 to the bottom of the panty.

본 발명의 생리대는 종래의 생리대보다 많은 잇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종래의 생리대에서는, 플랩이 팬티의 가랑이부(12)의 굴곡진 가장자리(18) 주위로 절첩될 때, 플랩, 특히 플랩의 모서리 영역에서 응력이 발생한다. 플랩이 팬티의 하면에 부착될 때 상기 응력은 증폭된다. 팬티가 제 위치로 끌어올려져서 팬티 가장자리(18)의 고무줄이 플랩의 절첩된 부분을 착용자의 가랑이 및 허벅지의 최상부쪽으로 강제로 떠밀때 응력이 더욱 증폭된다. 응력은, 플랩(24)의 위치가 팬티의 신체 측부에서부터 팬티의 하면으로 변하는 절첩선(19)을 따라 가장 커진다. 달리 말하면, 응력은 팬티(10)의 가랑이부(12)의 가장자리(18)에서 커진다. 플랩(24)내의 응력은 일반적으로는 가랑이부(12)의 가장자리(18)에 의해 형성된 호를 따라 존재한다. 상기 응력은 플랩(24)의 모서리 영역을 종방향으로 안쪽으로 뭉치게 한다. 이로써 플랩이 덮을 수 있는 착용자 속옷의 면적이 감소된다. 응력이 매우 클 때에는, 플랩(24)이 팬티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플랩(24)이 최대 효과를 내지 못하게 된다.The sanitary napk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lieved to provide many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sanitary napkins. In conventional sanitary napkins, when the flap is folded around the curved edge 18 of the crotch portion 12 of the panty, stress occurs in the flap, particularly in the corner region of the flap. The stress is amplified when the flap is attached to the underside of the panty. The panties are pulled into place so that the stress is further amplified when the rubber band of the panty edge 18 forces the folded portion of the flap to the top of the wearer's crotch and thigh. The stress is greatest along the fold line 19 where the position of the flap 24 changes from the body side of the panty to the bottom of the panty. In other words, the stress increases at the edge 18 of the crotch portion 12 of the panty 10. The stress in the flap 24 is generally along the arc formed by the edge 18 of the crotch portion 12. The stress causes the edge region of the flap 24 to aggregate in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is reduces the area of the wearer's underwear that the flap can cover. When the stress is very large, the flap 24 may be dislodged from the panties and the flap 24 may not have the maximum effect.

상기 응력을 제거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키기 위해서, 생리대(20)는 확장가능한 부분(56) 및 차등 연장성 대역(70)을 갖는다. 확장가능한 부분(56) 및 차등 연장성 대역(70)은 바람직하게는 절첩선(19)을 따라 존재하는 응력을, 플랩(24)이 팬티의 하면에 부착된 채로 있고 착용자의 속옷의 일정 영역을 덮는 능력을 손실하지 않을 정도로 감소시킨다.To remove or at least reduce the stress, the sanitary napkin 20 has an expandable portion 56 and a differential elongation zone 70. The expandable portion 56 and the differential elongation zone 70 preferably bear the stresses present along the fold line 19, leaving the flap 24 attached to the underside of the panty and restraining certain areas of the wearer's underwear. Reduce the covering ability not to lose.

본 발명의 생리대는 링 롤링된 영역 또는 플리이팅된 영역과 같은 단일 유형의 차등 연장성 대역을 갖는 생리대보다 많은 잇점을 제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생리대의 부분을 안쪽으로 주름잡음으로써, 생리대를 착용자의 팬티 가랑이의 탄성화된 측부 가장자리 주위에 맞추기 위해서 생리대를 횡방향으로 추가로 연장시키고 플랩(24)상의 응력을 추가로 감소시킨다.Sanitary napkin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many advantages over sanitary napkins having a single type of differential elongation zone, such as ring rolled regions or pleated regions. By pleating the portion of the sanitary napkin inward as described above, the sanitary napkin is further extended laterally to further fit the sanitary napkin around the elasticized side edge of the wearer's crotch crotch and further reduces the stress on the flap 24. .

확장가능한 부분(56)을 갖는 생리대를 사용하여 또한 링 롤링된 차등 연장성 대역만을 사용하여 선택적인 양의 연장성을 달성하려고 할 때 발생되는 잠재적인 구조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착용자의 팬티 주위로 최적으로 맞추기 위해서, 이러한 링 롤링된 영역(바람직하게는 각 차등 연장성 대역중 약 26㎜)에 비교적 많은 양의 연장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연장성은 팬티 가랑이의 가장 좁은 부분과 착용자의 팬티의 탄성화된 가장자리(18)가 플랩의 원위 가장자리(46)와 교차하는 곳 사이의 영역에서 특히 중요하다. 착용자의 팬티의 굴곡진 측부 가장자리(18) 주위로 매끄럽게 맞게 하기 위해서는 플랩(24)이 도 5에 나타낸 거리(D)와 동일한 양만큼 횡방향으로 연장될 필요가 있다.Using a sanitary napkin with expandable portion 56 may also overcome the potential structural limitations that arise when attempting to achieve an optional amount of extensibility using only ring rolled differential extension bands. In order to optimally fit around the wearer's panties, it has been found necessary to impar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extensibility to this ring rolled area (preferably about 26 mm in each differential extension band). Extension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region between the narrowest portion of the panty crotch and where the elasticized edge 18 of the wearer's panties intersects the distal edge 46 of the flap. To smoothly fit around the curved side edge 18 of the wearer's panties, the flap 24 needs to extend laterally by the same amount as the distance D shown in FIG. 5.

물질을 링 롤링시킴으로써 물질에 부여할 수 있는 연장성의 양에는 잠재적으로 고유한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링 롤링 공정 뿐만 아니라 물질의 성질로 인한 것이다. 생리대 플랩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은 전형적으로는 비교적 값이 싸고 쉽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물질은 일회용 흡수제품에 사용하기에 비용-효율적인 것이어야 한다. 물질을 링 롤링시키는 경우에는, 이러한 물질에 보다 많은 양의 연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물질을 변형시키기 위한 임의의 시도를 하면 물질이 파열되거나 물질내에 구멍이 생성되는 위험이 있을 수 있다.There is a potentially inherent limit to the amount of extensibility that can be imparted to a material by ring rolling the material. This limitation is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s well as the ring rolling process. Materials commonly used in sanitary napkin flaps should typically be relatively inexpensive and readily available. Thus, the material must be cost-effective for use i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In the case of ring rolling of a material, any attempt to deform the material to impart a greater amount of extensibility to such material may present a risk of the material bursting or creating holes in the material.

필요량의 연장성을 달성시키기 위해 종래에 사용되는 한 방법은 개별적인 요소로서 플랩(24)을 형성시킨 후 주 몸체부(22)의 종방향 가장자리(26)의 안쪽으로 측방향으로 플랩(24)을 주 몸체부(22)에 부착시키는 것이다. 이 방법은 링 롤링된 영역이 흡수코어(42)의 아래에서 시작되게 한다. 생리대의 주 몸체부(22)를 상면시이트, 배면시이트 및 코어를 통해 링 롤링시킴으로써 원하는 연장성을 달성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링 롤링을 흡수코어(42)의 아래에서 시작할 필요가 있다. 플랩(24)을 개별적인 요소로부터 형성시킴으로써 또한 플랩에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물질에 보다 더 큰 연장성을 부여할 수 있다(즉, 플랩은 상면시이트(38)와 배면시이트(40)에서 사용되는 물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개별적인 플랩 요소를 주 몸체부에 부착시키는 것은, 개별적인 물질 단편을 제조하고, 취급하고 생리대의 주 몸체부에 부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생리대의 제조 공정을 복잡하게 만든다는 단점을 갖는다.One method conventionally used to achieve the required amount of extensibility is to form the flap 24 as a separate element and then flap 24 laterally inward of the longitudinal edge 26 of the main body portion 22. It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22). This method allows the ring rolled area to begin below the absorbent core 42. Ring rolling needs to be started underneath the absorbent core 42 because it is generally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red extensibility by ring rolling the main body portion 22 of the sanitary napkin through the topsheet, backsheet and core. Forming the flap 24 from separate elements can also impart greater extensibility to the type of material that can be used for the flap (ie, the flap is a material used in the top sheet 38 and the back sheet 40). Not limited to this). However, attaching individual flap elements to the main body portion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complicate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anitary napkin since it is necessary to prepare, handle and attach the individual pieces of material to the main body of the sanitary napkin.

그러나, 본 발명의 구조물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일체성형된 플랩을 갖는 생리대가 최적량의 연장성을 갖도록 제조되게 한다. 본원에서 기술된 구조물은 또한 전술된 물질 및 공정 제한을 갖지 않고도 더 넓은 범위의 물질들을 사용해서 최적량의 연장성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플랩을 주름잡음으로써,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연장성을 부여하기 위해 링 롤링시킬 수 있는 플랩 물질의 양이 효과적으로 배가된다. 예를 들면, 링 롤링은 도 1의 보다 낮은 오른쪽 모서리에서 플랩의 확장가능한 부분(56)내로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따라서 차등 연장성 대역과 확장가능한 부분이 겹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생리대 구조가 이러한 더 많은 양의 연장성을 플랩에 제공하므로, (종방향으로 측정될 때) 더 긴 플랩조차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플랩이 착용자의 팬티 고무줄의 더 많은 부분을 덮을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주 몸체부의 전체 길이를 따라 놓인 팬티 고무줄의 길이를 덮을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allows sanitary napkins with integral flaps to be manufactured to have an optimal amount of extensibility. The structures described herein also allow for an optimal amount of extensibility using a wider range of materials without having the materials and process limitations described above. By crimping the flap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ome cases the amount of flap material that can be roll rolled to provide additional extensibility is effectively doubled. For example, ring rolling is shown extending into the expandable portion 56 of the flap at the lower right corner of FIG. 1 (thus overlapping the expandable portion with the differential extension zone). In addition, the sanitary napki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is greater amount of extensibility to the flap, so that even longer flaps (as measur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manufactured effectively. This allows the flap to cover more of the wearer's panty elastic and preferably to cover the length of the panty elastic that lies substantially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본 발명은 또한 플랩 횡방향 중심선(T1)의 영역에서만 플리이팅되고 억제되는 플랩보다 유리한 점을 갖는 플랩 구조를 갖는 생리대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보다 유리한 점은 보다 넓게 플랩을 억제함으로써 플랩이 억제되지 않는 곳에서 느슨하고 다루기 어렵게 되는 경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플랩 물질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팬티가 보호되고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곳에서 억제되지 않은 플랩 물질이 착용자의 팬티 고무줄을 따라 보다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anitary napkin having a flap structure that has advantages over flaps that are pleated and suppressed only in the region of the flap transverse centerline T 1 . An advantage over such a structure is that it suppresses the flap more broadly, thereby reducing the tendency to become loose and unwieldy where the flap is not suppressed. Therefore, the flap material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In addition, an unsuppressed flap material can be located closer along the wearer's panty elastic whe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the panty and prevent contamination.

전술된 바와 같이, 주름부는 생리대(20)의 신체면(20A)을 가로지르는 횡방향으로 신체 분비물이 흐르지 못하게 하는 이중 차단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차단벽(68)의 하면은 착용자의 팬티의 가장자리(18)에 있는 고무줄에 맞을 수 있는 터널-유사 구조를 형성하여 착용 동안에 생리대(20)가 적당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을 추가로 돕는다. 이는 특히 플랩(24)의 말단에 있는 확장가능한 부분(56)의 경우에 그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leats may provide a double barrier that prevents body secretion from flow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ross the body surface 20A of the sanitary napkin 20. 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ouble barrier wall 68 forms a tunnel-like structure that can fit into the rubber bands on the edge 18 of the wearer's panties, further helping to secure the sanitary napkin 20 in place during wear. This is especially the case for the expandable portion 56 at the distal end of the flap 24.

본 발명의 생리대는 또한 제조 라인상에서 편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생리대를 제조하는 이러한 비제한적인 방법중 하나는 우선 생리대 구성요소들을 도 1에 나타낸 생리대와 매우 유사하게 보이는, 억제부(66)가 잡아당겨지고 플랩(24)이 연장되게 보이는 예비-성형된 생리대로서 조립하는 것이다. 이어서 생리대의 모서리 영역(62)에 링 롤링을 가하여 차등 연장성 대역(70)을 제공한다. 링 롤링시킨 후, 예비-성형된 생리대를 절첩판(folding board)과 같은 수단과 같은 절첩 수단을 통해 통과시켜 절첩된 부분(60)을 형성한다. 이어서 억제부(66)를 부가하여 절첩된 부분을 제 위치에 고정시키고, 접착제 패스너를 도포시키고, 박리가능한 랩퍼(78)를 접착제 패스너의 맨 위에 놓는다.Sanitary napki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conveniently manufactured on a production line. One such non-limiting method of making a sanitary napkin is firstly a pre-formed sanitary napkin in which the sanitary napkin components look very similar to the sanitary napkin shown in FIG. 1, with the suppressor 66 pulled and the flap 24 extended. To assemble as. Ring rolling is then applied to the edge region 62 of the sanitary napkin to provide a differential extensible zone 70. After ring rolling, the pre-formed sanitary napkin is passed through folding means such as means such as a folding board to form the folded portion 60. A suppressor 66 is then added to secure the folded portion in place, apply an adhesive fastener, and place the peelable wrapper 78 on top of the adhesive fastener.

명세서에 걸쳐 언급된 모든 특히, 특허원(및 허여된 임의의 특허 및 공개된 상응하는 외국 특허원) 및 공개공보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그러나,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 어떤 문헌도 본 발명을 교시하거나 개시하지 않는다.In particular, the disclosures of all patent applications (and any patents issued and corresponding foreign patents granted) and publications mentioned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However, none of the documents cited by reference herein teaches or discloses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정 실시태양을 예시하고 기술하였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이라면 본 발명의 개념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임의의 기타 변화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particula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ny other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따라 측부 플랩을 갖는 흡수제품은 주름부를 가져서 플랩이 착용자의 속옷의 굴곡진 측부 가장자리 주위를 감쌀 때 확장되어 플랩상에 발생되는 응력을 이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박리가능한 랩퍼는 상기 흡수제품의 가멘트-대향 면상의 접착제 패스너를 덮어서 생리대를 위한 우수한 개별 포장을 제공한다.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side flap can have a crease to expand when the flap wraps around the curved side edge of the wearer's underwear to relax the stresses generated on the flap. In addition, the peelable wra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adhesive fasteners on the garment-facing side of the absorbent article to provide excellent individual packaging for sanitary napkins.

Claims (1)

액체 투과성 신체-대향 면(body-facing side), 액체 불투과성 가멘트-대향 면(garment-facing side) 및 상기 신체-대향면과 상기 가멘트-대향면 사이에 위치된 흡수코어 및 상기 가멘트-대향면상에 접착제 패스너(adhesive fastener)를 포함하고 한 쌍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를 갖는 주 몸체부를 갖고, 추가로, 상기 주 몸체부의 종방향 측부 가장자리를 지나 측방향으로 외향 연장되고 각각 가멘트-대향 면상에 접착제 패스너를 갖고 상기 주 몸체부에 연결된 한 쌍의 측부 플랩을 포함하는 생리대를 위한,An absorbent core and the garment positioned between a liquid permeable body-facing side, a liquid impermeable garment-facing side, and the body-facing surface and the garment-facing surface A main body comprising an adhesive fastener on the opposing face and having a pair of longitudinal side edges, further extending laterally outwardly beyond the longitudinal side edg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For a sanitary napkin having an adhesive fastener on an opposing face and comprising a pair of side flaps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상기 주 몸체부의 상기 가멘트-대향 면상의 상기 접착제 패스너에 주 랩핑 시이트를 박리가능하게(releasably) 고정시키기 위한 박리가능한 물질을 상기 내부 표면상에 갖는 주 랩핑 시이트; 및A main wrapping sheet having an inner surface, an outer surface, and a peelable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for releasably fixing the main wrapping sheet to the adhesive fastener on the garment-facing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내부 표면, 외부 표면, 및 상기 생리대상의 상기 접착제 패스너중 하나에 플랩 박리 요소를 박리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박리가능한 물질을 상기 내부 표면상에 갖고, 상기 주 랩핑 시이트와 피봇 운동 가능하게(pivotably) 이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주 랩핑 시이트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갖게 하면서 플랩 박리 요소가 박리가능하게 부착된 상기 플랩이 상기 생리대의 상기 신체-대향면 위로 절첩될 수 있는 하나이상의 플랩 박리 요소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가능한 랩퍼(releasable wrapper).Has a peelable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for releasably securing a flap peeling element to one of an inner surface, an outer surface, and one of the adhesive fasteners of the physiological object, and pivotally to the main wrapping sheet. And wherein the flap detachably attached to the flap detachment element includes one or more flap detachment elements that can be folded over the body-facing surface of the sanitary napkin while being connected such that the main wrapping sheet has a substantially flat shape. A releasable wrapper.
KR1019997006714A 1995-01-30 1999-07-26 Releasable wrapper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KR10024455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8076995A 1995-01-30 1995-01-30
US8/380,769 1995-01-30
PCT/US1996/000472 WO1996023469A1 (en) 1995-01-30 1996-01-05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KR19977005160 1997-07-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160A Division KR100244617B1 (en) 1995-01-30 1996-01-05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4557B1 true KR100244557B1 (en) 2000-03-15

Family

ID=2663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714A KR100244557B1 (en) 1995-01-30 1999-07-26 Releasable wrapper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557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4617B1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US5681303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KR950702397A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PANTY COVERING COMPONENTS THAT NATURALLY WRAP THE SIDES OF PANTIES
JP3902648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undergarment coating component that automatically covers the side of the undergarment
KR100399096B1 (en) An individually packaged absorbent article by a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KR20000010827A (en) Absorbent article having internal side wrapping elements
KR100266495B1 (en)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side flap fastener cover
CA2275230C (en)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AU721742B2 (en)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US6375645B1 (en)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KR100321136B1 (en)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KR100322312B1 (en) Absorbent articles having pleated undergarment covering components
KR100244557B1 (en) Releasable wrapper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with gathered portions
WO1998042287A1 (en)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AU3371997A (en)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AU744862B2 (en) A releasable wrapper for absorbent article having flaps
MXPA97005744A (en) Absorbent article that has fins with uni portions
WO1998042288A1 (en) Absorbent article wrapper comprising a side flap fastener co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