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816B1 - Rear view mirror for automobile - Google Patents

Rear view mirror for auto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816B1
KR100242816B1 KR1019950072401A KR19950072401A KR100242816B1 KR 100242816 B1 KR100242816 B1 KR 100242816B1 KR 1019950072401 A KR1019950072401 A KR 1019950072401A KR 19950072401 A KR19950072401 A KR 19950072401A KR 100242816 B1 KR100242816 B1 KR 100242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mirror member
convex
vehicle
pla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724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38116A (en
Inventor
에취. 김 리챠드
김 보비
Original Assignee
김 보비
에취. 김 리챠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44894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4281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 보비, 에취. 김 리챠드 filed Critical 김 보비
Priority to KR1019950072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816B1/en
Publication of KR970038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1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81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백미러는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나은 시계를 제공하기 위해 특별히 조합된 평면 거울 부재와 볼록 거울 부재를 구비한 미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볼록 거울부재는 평면 거울부재와 중첩해서, 피봇될 수 있게 그리고 평면 거울부재에 대해서는 측상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면 및 볼록 거울 부재들은 수평 방향으로 인접하며, 제 3실시예세서는 유니버셜식으로 장착되어 평면거울부재에 대해 위치조절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볼록거울부재가 수평으로 평면거울부재에 배치된다.The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irror system having a planar mirror member and a convex mirror member specially combined to provide a better field of view for a vehicle driver.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vex mirror member overlaps with the planar mirror member so that it can be pivoted and laterally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planar mirror memb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nar and convex mirror members are adjac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third embodiment is universally mounted so that the convex mirror member mounted to be adjustable i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flat mirror member is horizontally flat. It is disposed on the mirror member.

Description

자동차용 백미러Car rearview mirror

제 1도는 종래의 평면유리 백미러를 장착한 자동차의 개략적인 평면도,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vehicle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flat glass rearview mirror,

제 2 도는 제 5도 내지 제 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시야를 도시하는, 제 1도와 유사한 개략적인 평면도,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similar to that of FIG. 1, showing a field of view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제 3도는 제 11도 내지 제 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시야를 도시하는, 제 1도와 유사한 개략적인 평면도,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similar to that of FIG. 1, showing a view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1 to 14;

제 4도는 제 15도 내지 제 1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시야를 도시하는, 제 1도와 유사한 개략적인 평면도,4 is a schematic plan view similar to that of FIG. 1, showing a field of view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5 to 17;

제 5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5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6도는 제 5도의 선 6-6에 따른 확대 단면도,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6-6 of FIG. 5,

제 7도는 제 5도의 선 7-7에 따른 확대 단면도,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7-7 of FIG. 5,

제 8도는 볼록거울 부재를 위로 열어 젖힌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convex mirror member is opened and folded;

제 9도는 제 8도의 선 9-9에 따른 확대 단면도,9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9-9 of FIG. 8;

제 10도는 제 5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 5도의 미러에 의한 시야범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FIG. 10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field of view by the mirror of FIG. 5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제 11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11 is a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2도는 제 11도의 선 12-12에 따른 확대 부분 단면도,12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2-12 of FIG. 11,

제 13도는 제 11도에 선 13-13에 따른 부분 단면도,FIG. 1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13-13 in FIG. 11,

제 14도는 제 1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야범위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평면도,FIG. 14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viewing r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제 15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15 is a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6도는 제 15도의 선 16-16에 따른 부분 단면도, 및16 shows a partial cross sectional view along line 16-16 of FIG. 15, and

제 17도는 제 15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시야범위를 예시하는 개략적인 평면도,FIG. 17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viewing ran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5;

본 발명은 자동차용 백미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면 또는 볼록거울을 사용하여 개선된 시야를 제공하는 조절 가능한 백미러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tomotive rearview mirrors, and more particularly to adjustable rearview mirrors that provide improved visibility using flat or convex mirrors.

자동차는 종래의 마차에 비해 속도가 빠르고 작동반응이 신속하기 때문에, 자동차가 개발된 이래로 속도증가에 따라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자동차 백미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였다.Since automobiles are faster and have a faster operating response than conventional wagons, the role of the rearview mirror of the vehicle has been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driver's vision as the speed increases.

더욱이, 교통량이 많아지고, 차량의 속도가 더욱 빨라짐에 따라 운전자는 차량의 전방뿐 아니라 후방과 측방향도 최대한 관찰하여야 하기 때문에 최적의 시야를 갖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Moreover, as traffic volume increases and the speed of the vehicle becomes faster, it is more important to have an optimal view because the driver must observe not only the front of the vehicle but also the rear and side directions as much as possible.

따라서, 많은 차들이 차량 운전석 주위의 창문공간을 최적화함으로써 양호한 주위 및 후방시야를 제공하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되지만, 가끔 미학적인 설계가 실용적인 면을 넘어서 시야확보의 견지에서 보면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가 된다.Thus, while many cars are intentionally designed to provide good ambient and rear vision by optimizing the window space around the vehicle driver's seat, sometimes aesthetic design becomes undesired from the point of view of view beyond practicality.

더욱이, 종래의 백미러는 전형적으로 차량의 창문에 미러를 유니버셜 장착(universal mounting)함으로써 시야의 범위가 조절 가능하다 하더라도 차량 운전자에 대해 고정된 시야범위를 제공하는 평면미러를 구비한다.Moreover, conventional rearview mirrors typically have a planar mirror that provides a fixed field of view for the vehicle driver even though the range of field of view is adjustable by universal mounting of the mirrors on the window of the vehicle.

그러나, 이와 같은 백미러는 통상 거울면이 평편한 평면거울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운전자는 소정범위의 시야만 관측 가능하다. 즉, 백미러의 방향을 조절하더라도, 시야의 각도는 이미 백미러 자체에 의해 정해진 상태이므로, 그 이상 더 좋은 각도의 시각이 나올 수 없다. 왜냐하면 백미러의 넓이와 폭이 근복적으로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However, since such a rearview mirror is usually made of a flat mirror having a flat mirror surface, the vehicle driver can only observe a certain range of vision. That is, even if the direction of the rearview mirror is adjusted, the angle of view is already determined by the rearview mirror itself, so that a better angle of view cannot be obtained. This is because the width and width of the rearview mirror are determined in recent years.

차량 운전자의 후방의 시각을 넓히기 위하여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한 시도 중 하나는,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조합되어 차량 운전자에게 다양한 시계각을 제공할 수 있는, 복수의 평면 거울로 된 백미러를 차량의 옆 공간부에 설치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배치된 양쪽 거울에 의해 차량 운전자가 후방의 여러 각도의 시야를 넓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시도는, 별도의 부착물을 내부 백미러에 부착하는 것인데, 이 방법에서는 제거 가능하게 볼록거울을 기존의 평면 자동차 백미러에 부착하는 것이다 곡면을 갖는 볼록거울은 같은 크기의 평면 거울보다 후방 시야의 각도가 더욱 넓기 때문이다. 이러한 볼록 거울은 그의 뒷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기존의 평면 거울위에 부착하였고, 그로 인해 더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한다.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broaden the rear view of the vehicle driver. One such approach involves the installation of rearview mirrors of a plurality of planar mirrors in the side space of the vehicle, which can be comb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each other to provide a variety of viewing angles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and arranged at different angles. The mirror allows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have a wider angle of view at the rear. Another approach is to attach a separate attachment to the interior rearview mirror, in which a convex mirror is removably attached to a conventional flat car rearview mirror. Is even wider. This convex mirror was applied on the back of an existing flat mirror by applying an adhesive to it, thereby allowing a wider field of view.

그러나, 이 경우에 볼록거울이 평면거울의 중요부와 겹치기 때문에 운전자는 통상 볼록거울만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볼록거울은 어느 정도는 왜곡된 시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차량의 운전자에게 왜곡된 후방 시계를 제공할 수 밖에 없다.In this case, however, the driver usually uses only the convex mirror mainly because the convex mirror overlaps with an important part of the flat mirror. However, as is well known, the convex mirror has a distorted clock to some extent,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has to provide a distorted rear clock.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se conventional problems.

본 발명의 자동차용 백미러는 한 쌍의 거울 표면을 평면 및 다른 볼록 표면과 여러 가지 형태로 결합한 몇 개의 실시예로 설계된다.Automotive rearview mirr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igned in several embodiments in which a pair of mirror surfaces are combined in various forms with flat and other convex surfaces.

거울 표면들은 차량의 운전자가 최적의 후방 시계를 갖도록 둘 중 하나의 거울면 또는 두 가지 거울 표면을 동시에 모두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된다.The mirror surfaces are mutually coupled so that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selectively use either or both of the mirror surfaces at the same time so as to have an optimal rear vis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볼록거울이 평면 거울상에 힌지를 사용하여 결합되어 거울표면은 개별적이고 독립적인 시계를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가로로 길게 된 평면거울의 길이 방향으로 볼록거울을 부착함으로써, 평면 거울은 차량의 후방을 볼 수 있게 하고, 볼록거울은 자동차의 우측 방향을 더욱 확대하여 잘 보이게 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convex mirrors are combined using hinges on a planar mirror such that the mirror surfaces can be individually selected to provide a separate and independent field of view.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the convex mirro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ly mirrored flat mirror, the flat mirror makes it possible to see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convex mirror further expands the right direction of the vehicle. Make it visibl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볼록거울은 평면 거울의 오른쪽에 인접하여 조절 가능하게 부착되어, 평면 거울은 차량 후방을 보는데 사용하고, 조절이 가능한 볼록거울은 이를 조절하여 옆부분과 차량의 후방부분을 확대하여 볼 수 있게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x mirror is adjustablely attached adjacent to the right side of the flat mirror, so that the flat mirror is used to look behind the vehicle, and the adjustable convex mirror adjusts the Magnify the rear part for viewing.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는 차량 운전자의 차량 운전중에 더 양호한 후방 시계를 확보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시계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 및 특징과 세부 사항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The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 better rear vision while the vehicle driver is driving the vehicle and also to adjust the clock at will. Other advantages, features and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ful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 1도는 차량의 전면 유리(26)상의 내부에 장착된 종래의 표준 평면 백미러를 사용하는 자동차(22)의 운전자(20)가 갖는 후방 시계각(A)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 전방의 도로에서 눈을 떼지 않는 한, 차량측면의 상당한 영역이 운전자의 시계에 있지 않게 되며, 또한 통상 차량의 좌측상에 외부 백미러(28)를 갖고 있기 때문에 좌측보다는 차량의 우측이 특히 더 심각한 문제가 된다.FIG. 1 shows the rear view angle A of the driver 20 of the vehicle 22 using a conventional standard plane rearview mirror mounted inside on the windshield 26 of the vehicle. 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unless you take your eyes off the road in front of the vehicle, a significant area on the side of the vehicle will not be in the driver's field of view and will usually have an external rearview mirror 28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is a particularly serious problem.

본 발명에 따른 백미러의 제 1실시예(30)가 제 5도에 도시된다. 본 실시예의 백미러는 전면에 접착부가 있는 장착대(32)를 포함하며, 이 장착대가 차량의 전면 유리(26) 또는 차량(22)내의 다른 장착 표면에 고정 접착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전면" 또는 "후방/후면"이란 용어는 차량(22)에 부착되는 백미러를 기준으로, 그의 전단부 또는 후단부를 지칭하는 것이다. 후방으로 돌출하는 장착아암(34)은 장착대(32)상에 단단히 고정되거나 장착된다. 장착아암은 약간 아치형으로 되어 있고, 후방 하향으로 약간 경사져 있다. 아암의 원단(distal end) 또는 최후단부는 이 장착아암(34)과 미러 시스템(38)을 상호 결합시키는, 이른바 유니버셜 커넥터의 숫나사형 결합소자를 형성하는 거의 구형의 헤드(36)를 구비하고 있다.A first embodiment 30 of a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hown in FIG. The rearview mirro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mount 32 with an adhesive portion on the front surface, which is fixedly bonded to the windshield 26 of the vehicle or another mounting surface in the vehicle 22. The term "front / front" or "rear / rear" is used herein to refer to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thereof based on the rearview mirror attached to the vehicle 22. The mounting arm 34 protruding rearward is firmly fixed or mounted on the mounting table 32. The mounting arms are slightly arcuate and slightly inclined rearward downward. The distal end or the rear end of the arm has an almost spherical head 36 which forms a male coupling element of the so-called universal connector which mutually couples the mounting arm 34 and the mirror system 38. .

미러 시스템(38)은 요홈형 후면을 갖고 거의 사각형으로 된 배면플레이트(40)를 포함하며, 요홈형 후방에는 평면 거울면(44)을 구비한 종래의 거울(42)이 배치된다. 피봇식 플레이트(46)는 배면 플레이트(40)의 수평 상단부를 피봇축으로 하여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의 플레이트 상부 수평 말단부를 따라, 종래의 힌지(48, 50)에 의해 배면 플레이트(40)에 결합된다. 이 피봇식 플레이트는 제 9도에 도시되듯이, 수평 및 수직 양방향으로 만곡된 볼록 거울면을 포함한다. 배면 플레이트(40) 및 피봇식 프레이트(46)가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된 관계로 마주볼 때, 이 볼록 거울면은 후방을 향하게 된다.The mirror system 38 includes a rear plate 40 having a recessed rear surface and a substantially rectangular rear plate 40, in which a conventional mirror 42 having a flat mirror surface 44 is disposed. Pivot plate 46 is back plate 40 by conventional hinges 48 and 50 along each plate upper horizontal distal end, so that the horizontal upper end of back plate 40 can be selectively moved with a pivot axis. Is coupled to. This pivoted plate includes convex mirror surfaces that are curved i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s shown in FIG. When the back plate 40 and the pivot plate 46 face each other in an overlapping relationship as shown in FIG. 5, this convex mirror surface faces backwards.

배면 플레이트(40)의 전면(54)은 기하학적 중심에 형성된 소켓(56)을 포함하며, 이 소켓(56)은 유니버셜 커넥터의 암나사 소자를 형성한다. 이 소켓(56)은 반구 내지는 구형으로 형성되며, 다소 탄력성이 있는 재질로 제조되어 장착아암(34)상의 구형 헤드(36)가 이 소켓(56)내로 결합되어 장착아암에 대해 유니버셜하게 피봇식으로 미러를 유지한다. 이러한 장착시스템들은 종래 기술로 공지되어 있어,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front face 54 of the back plate 40 includes a socket 56 formed at the geometric center, which forms the female screw element of the universal connector. The socket 56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or spherical shape, and is made of a somewhat elastic material so that the spherical head 36 on the mounting arm 34 is coupled into the socket 56 so as to be universally pivotable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arm. Keep the mirror. Such mounting systems are known in the ar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러 시스템(38)의 볼록 및 평면 거울면(52, 44)은 모두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대략 사각형의 형상이다. 배면 플레이트(40)를 피봇식 플레이트(46)에 상호 결합시키는 힌지(48,50)는 수평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면 플레이트의 상면(60)에 부착된 제 1 레그(58)를 구비한다.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시스템 우측상에 배치된 힌지(50)는 제 2레그(62)를 가지고 있으며, 이 레그는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이유로, 피봇식 플레이트(46)의 전면(64)에 느슨히 부착된다. 제 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시스템 좌측상에 힌지(48)에 있는 제 2레그(62)는 배면 플레이트와 피봇식 플레이트 사이에 하향으로 매달려 있고, 배면 플레이트내에 형성된 공간부(68)내로 수납되는 나사산이 있는 너트(66)로 고정되어 있다. 조절 나사 또는 핀(70)이 피봇식 플레이트(46)의 구멍(72)을 통해 연장되며 숫나사산이 있는 최전단부(74)와, 최후단부상에 나비 나사 헤드(76)를 갖고 있다. 나사산이 있는 단부(74)는 너트(66)를 통해 나사산이 있는 개구부에 수용되며, 나비 나사 헤드에 인접한 어깨부(78)는 피봇식 플레이트의 볼록 거울면(52)에 인접한다. 피봇식 플레이트를 통해 구멍(72)과 정렬되어 피봇식 플레이트의 전면(64)에 요홈부 또는 포켓(80)이 형성되며, 요홈부(80)내의 핀(70)상에는 스냅링(82)이 고정 배치된다. 조절핀(70)을 회전시킴으로써 배면 플레이트의 평면 거울면(44)에 대해 피봇식 플레이트(46)의 좌단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 미러 좌측에 있는 피봇식 플레이트 및 배면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이 제어될 수 있어 볼록 거울면을 바라보면서 차량 운전자가 시계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우측 힌지(50)를 피봇식 플레이트에 느슨하게 결합함으로써, 조절핀의 축조절에 따라 작은 양의 피봇 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설명과 제 5 및 8도로부터 이해될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백미러는 제 5도에 도시된 위치를 포함하는 두 개의 위치사이에서 이동이 가능하여 차량 운전자가 볼록 거울(52)을 사용하여 더 넓은 후방 시계각을 갖게 해준다. 제 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를 따라 피봇식 플레이트를 위쪽으로 피봇 이동시키면 배면 플레이트의 평면거울면(44)이 노출되고, 그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는 종래의 자동차 백미리러에서와 유사한 후방 시계각을 갖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미러가 제 5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는, 미러는 조절핀의 회전운동을 통해 우측 힌지(50)를 따라 수평면으로 피봇되어 최적의 후방 시계를 위한 위치로 선택될 수 있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figure, the convex and planar mirror surfaces 52, 44 of the mirror system 38 both extend horizontally and are approximately rectangular in shape. The hinges 48 and 50, which mutually couple the back plate 40 to the pivoting plate 46, have a first leg 58 attached to the top surface 60 of the back plate at a horizontally spaced position. As shown in FIG. 5, the hinge 5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mirror system has a second leg 62, which is the front of the pivoted plate 46 for the reasons described below. Loosely attached to 64. As shown in FIG. 5, the second leg 62 at the hinge 48 on the left side of the mirror system is suspended downward between the back plate and the pivoted plate and into the space 68 formed in the back plate. It is fixed by the threaded nut 66 accommodated. The adjusting screw or pin 70 extends through the hole 72 of the pivoted plate 46 and has a male front end 74 and a thumbscrew head 76 on the rear end. The threaded end 74 is received in the threaded opening via the nut 66 and the shoulder 78 adjacent the thumb screw head is adjacent to the convex mirror surface 52 of the pivoted plate. Grooves or pockets 80 are formed on the front face 64 of the pivoted plate by being aligned with the holes 72 through the pivoted plate, and the snap ring 82 is fixedly disposed on the pin 70 in the grooved part 80. do. Rotating the adjustment pin 70 selectively moves the left end of the pivot plate 46 relative to the planar mirror surface 44 of the back plat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pivot plate and the back plate on the left side of the mirror can be controlled. The driver can adjust the field of view while looking at the convex mirror. By loosely coupling the right hinge 50 to the pivoting plate, a small amount of pivoting motion occurs according to the axis adjustment of the adjustment pin. As can be appreciated from the above description and FIGS. 5 and 8, the rearview mirr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able between two positions including the position shown in FIG. 52) to allow for a wider rear angle of view. Pivoting the pivoted plate upwards along the hinge as shown in FIG. 8 exposes the flat mirror surface 44 of the rear plate, thereby allow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have a rear angle of view similar to that of a conventional car rearview mirror. Will hav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irror is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5, the mirror is pivoted horizontally along the right hinge 50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adjustment pin so that it can be selected as the position for the optimal rear vision. do.

제 10도는 상기한 제 1실시예의 미러(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볼록 미러(52)가 70도의 후방 시계각을 제공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것은 평면거울(44)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시계각 35도 보다 훨씬 크다. 제 2도는 제 5도 내지 제 10도의 실시예로 얻어질 수 있는 시계각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배면 플레이트상의 평면거울(44)을 사용할 때에는, 운전자가 (제 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거울(24)에서 처럼 A자에 의해 표시된 시계와 동일한 시계각을 갖지만, 이 평면 거울면과 중첩되게 볼록 거울을 중첩시키면, 볼록거울면(52)에 의해 각 A'의 시계를 갖게 된다. 환언하면, 볼록거울로 인해 차량의 운전자는 상기 백미러를 통해 후방을 볼 때, 차량의 우측으로 더 양호한 시계를 얻을 수 있게 된다.FIG. 10 schematically shows the mirror 3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showing that the convex mirror 52 provides a rearward angle of view of 70 degrees. This is much greater than 35 degrees of viewing angle achievable by the planar mirror 44. FIG. 2 schematically shows the angle of view that can be obtained with the embodiment of FIGS. 5 to 10, and when using the flat mirror 44 on the back plate, the driver (as shown in FIG. 1) As in the conventional mirror 24, it has the same field of view as the clock indicated by the letter A, but when the convex mirrors overlap with this planar mirror surface, the convex mirror surface 52 has the field of view of each A '. In other words, the convex mirror allows the driver of the vehicle to obtain a better field of view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when looking rearward through the rearview mirror.

제 11도 내지 제 14도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되며, 이 실시예에서는 미러를 자동차(22)등의 전면 유리에 접착시키기 위한 접착식 전면을 구비한 장착 플레이트(86)가 제공되며, 이 장착 플레이트는 그의 자유단에 구형 헤드(90)를 갖는 후방 및 하향으로 돌출 만곡된 장착아암(88)을 갖고 있다. 본 실시예의 미러 시스템(92)은 구형 헤드(90)상에 유니버셜하게 장착되며, 그의 후단부(98)를 따라 미러면(96)을 구비한 배면 플레이트(94)를 포함한다. 배면 플레이트의 전면벽(100)은 그 내부에 반구 내지는 구형의 형상이며 약간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 소켓(102)을 가져, 장착아암상의 구형헤드(90)는 이 소켓에 결합될 수 있어 미러 시스템(92)을 통상의 피봇 방식으로 장착아암상에 유지되게 한다.11 to 14 show a second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which a mounting plate 86 having an adhesive front for adhering a mirror to a windshield of an automobile 22 or the like is provided, This mounting plate has a rear and downwardly projecting curved arm 88 having a spherical head 90 at its free end. The mirror system 92 of this embodiment is universally mounted on the spherical head 90 and includes a back plate 94 having a mirror surface 96 along its rear end 98. The front wall 100 of the back plate has a socket 102 made of a material that is hemispherical or spherical in shape and slightly resilient, so that the spherical head 90 on the mounting arm can be coupled to the socket, thereby providing a mirror system. 92 is held on the mounting arm in a conventional pivoting manner.

제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플레이트(94)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고, 대략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배면 플레이트의 후단부(98)는 제 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우측으로 갈수록 점점 얇아진다. 거울면(96)은 미러의 촤측단부로부터 미러길이의 약 3/4에 이르는 영역에 걸쳐 평평하며, 미러의 우측 대략 1/4영역(112)은 볼록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러의 볼록부(112)는 제 12 및 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및 수직 양면에서 만곡되어 평면거울에 의해 확보되는 시계보다 더 넓은 시계를 제공한다. 물론, 이 미러는 차량 운전자에 대해 조절 가능하며, 제 14 도에 이 미러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다양한 시계각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back plate 94 extends horizontally and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he rear end 98 of the back plate becomes thinner toward the front and the right, as shown in FIG. The mirror surface 96 is flat over the region extending from the left end of the mirror to about 3/4 of the mirror length, and the approximately 1/4 region 112 on the right side of the mirror is formed as a convex surface. The convex portion 112 of the mirror provides a wider field of view than the field of view secured by a planar mirror, curved on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sides, as shown in FIGS. 12 and 13 degrees. Of course, this mirror is adjustable for the vehicle driver, and in Fig. 14 the various viewing angles obtainable by this mirror are shown schematically.

제 14도에 의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차량의 운전자는 거울면의 평면부(110)를 봄으로서, 예를 들어, 35도의 시계각을 얻을 수 있으며, 거울면의 우측 볼록부(112)를 봄으로써 차량의 우측으로, 부가적인 약 35도의 시계각을 얻을 수 있다. 이것은 제 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각 A는 거울면의 평면부(110)를 통해 얻어질 수 있는 시계를 도시하며, 각 B는 거울면의 볼록부(112)를 통해 얻어질 수 있는 시계를 도시하고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14, the driver of the vehicle can look at the plane portion 110 of the mirror surface, for example, to obtain a 35 degree field of view, and to see the right side convex portion 112 of the mirror surface. By looking at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an additional approximately 35 degrees of viewing angle can be obtained. This is shown schematically in FIG. 3, with each A showing a field of view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mirror plane plane 110, and each B can be obtained through the mirror plane convex 112. It shows a clock.

제 15도 내지 제 17도에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11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백미러는 미러를 자동차의 전면 유리에 부착시켜주는 접착식 표면을 갖고 있는 전면을 구비한 대략 사각형의 장착대(116)를 구비한다. 이 장착대상에는 후방 및 하향으로 만곡된 장착아암(118)이 형성되며, 그의 최후단부 또는 원단상에 구형 헤드(120)가 구비된다. 미러 시스템(122)은, 이 미러 시스템의 배면 플레이트(126)상에 형성된 소켓(124)에 의해 장착아암에 결합된다. 소켓(124)은 반구 내지는 구형의 형상을 가지며, 약간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져, 장착아암상의 구형 헤드(120)가 이 소켓(124)내에 결합되어 미러 시스템을 아암에 장착되게 한다.15 to 17 show a third embodiment 114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view mirror of this embodiment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mount 116 with a front surface having an adhesive surface that attaches the mirror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is mounting target is provided with mounting arms 118 that are bent backwards and downwards, and a spherical head 120 is provided on its last end or distal end. The mirror system 122 is coupled to the mounting arm by a socket 124 formed on the back plate 126 of the mirror system. The socket 124 has a hemispherical or spherical shape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is slightly resilient, such that a spherical head 120 on the mounting arm is coupled within the socket 124 to mount the mirror system to the arm.

또한, 배면 플레이트(126)는 미러시스템의 좌측에서부터 대략 3/4위치까지 연장되는 제 1후방 개방요홈부(128)와, 이 배면 플레이트의 우측부 대략 1/4을 차지하는 제 2후방 개방요홈부(130)를 형성하는 사각형의 형상이다. 이들 좌측 및 우측 요홈부들은 배면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내부 분할기(131)에 의해 분할된다. 배면 플레이트의 우측부(134)는 전방 및 우측으로 약간 넓어진다. 평면 거울면을 구비한 미러(136)는 최후단부 부근에서 배면 플레이트의 제 1요홈부(128)에 장착되어 이와 일체로 움직이고, 볼록 거울면을 구비한 제 2미러(138)는 제 2요홈부(130)에 장착된다. 이 제 2미러는 반구 내지는 구형의 형상을 가지고 약간의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지며 전면에 형성된 소켓(140)을 가지며, 배면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는 제2 장착아암(143)상에 장착된 (배면 플레이트상에 장착된 지지 플레이트상의)구형 헤드(142)를 그 안에 수용해서 고정된다. 제 2 장착아암(143)은 배면 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 부착된 지지플레이트(144)에 의해 지지되어 제 2 요홈부내에 배치된다.In addition, the back plate 126 includes a first rear opening recess 128 extending from the left side of the mirror system to an approximately 3/4 position, and a second rear opening recess which occupies approximately one quarter of the right side of the rear plate. It is a rectangular shape forming 130. These left and right recesses are divided by an internal divider 131 that projects rearward from the back plate. The right side 134 of the back plate widens slightly forward and right. A mirror 136 having a planar mirror surface is mounted on and moves integrally with the first recess 128 of the rear plate near the rear end thereof, and the second mirror 138 having a convex mirror surface has a second recess portion. 130 is mounted. The second mirror has a hemispherical or spherical shape,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light elasticity, has a socket 140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is mounted on the second mounting arm 143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rear plate ( The spherical head 142 (on the support plate mounted on the back plate) is received therein and fixed. The second mounting arm 143 is supported by the support plate 144 fixed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plate and disposed in the second recess.

제 2미러(138)는 피봇운동이 가능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우측으로의 측상 시계를 연장해 시계를 넓혀주는 볼록 거울면을 갖고 있다. 이러한 미러 시스템을 장착한 차량의 운전자가 볼 수 있는 후방 시계가 제 4도 및 제 17도에 도시된다. 먼저 제 4도를 참조하면, 볼록 거울(138)에 의한 시계각은 각 B'로 표시되고, 평면 거울(136)에 의한 시계각은 A자로 표시되며, 제 2미러는 폭이 아니라 위치를 조절해 각 A에 인접시키거나 또는 각 A 와 중첩시킬 수 있다.The second mirror 138 has a convex mirror surface capable of pivoting to extend the clock to the right to the vehicle driver to widen the clock. The rear view visible to the driver of a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mirror system is shown in FIGS. 4 and 17. Referring first to FIG. 4, the viewing angle by the convex mirror 138 is represented by the angle B ′, the viewing angle by the plane mirror 136 is represented by the letter A, and the second mirror adjusts the position rather than the width. The solution can be adjacent to or overlapping with each A.

제 17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35도의 평면거울(136)의 시계각을 도시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 보다 소형인 볼록 거울(138)의 시계각도 또한 35도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 볼록거울은 아치형으로 5도정도 이동 가능하여 평면거울에 의한 시계와 인접하거나 또는 약간 중첩될 수 있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17 shows the viewing angle of the planar mirror 136 of 35 degrees, and indicates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smaller convex mirror 138 is also 35 degrees. However, this convex mirror is arched and can be moved about five degrees so that it can be adjacent to or slightly overlapped with a watch by a flat mirror.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러시스템은 차량의 후방 및 측방 시계를 증진시키고 개선시키기 위해 선택적으로 조절가능한 시계를 갖는 평면 및 볼록 거울을 조합한 미러 시스템으로서, 종래의 평면 또는 볼록 거울로 된 자동차 미러들 보다 분명한 잇점이 있다.As can be appreciated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mirro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rror system that combines a planar and convex mirror having a field of view selectively adjustable to enhance and improve the rear and side field of view of a vehicle. Or there are clear advantages over car mirrors with convex mirrors.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어느 정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재는 단지 본 발명의 예시에 불과하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세부사항이나 구조상의 변화가 있을 수 있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o some extent,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illust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ails and structural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There can be.

Claims (8)

자동차용 백미러에 있어서,In the rearview mirror for a car, 차량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위치의 차량부위에 고정설치되는 장착대; 및A mount fixed to the vehicle in a position visible to the vehicle driver; And 상기 장착대상에 조절가능하게 장착되어 차량 운전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미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미러 시스템은 거의 평행하여 중첩되게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평면 거울 부재와 볼록 거울부재, 상기 볼록 거울부재를 상기 미러시스템의 평면 거울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시스템 및 상기 평면 거울 부재와 볼록 거울 부재간의 각도관계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이들 양 거울부재와 작동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차량 운전자가 상기 평면 거울 부재 또는 볼록 거울 부재를 통하여 차량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조절기를 구비하는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A mirror system that is adjustablely mounted to the mounting object to selectively change an angle with respect to a vehicle driver, wherein the mirror system includes a planar mirror member and a convex mirror member, the convex mirror member being selectively positioned to be substantially parallel and overlapping A hinge system for pivotally connecting the mirror member to the planar mirror member of the mirror system and operatively coupled with both mirror members to selectively change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ar mirror member and the convex mirror member. And a control mechanism having an adjuster for selectively observing the rear of the vehicle through the planar mirror member or the convex mirror memb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평면 거울부재와 볼록 거울부재는 각기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두개의 수평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조절기는 상기 거울부재들의 상기 한쪽 단부에 인접해 위치하여 선택적으로 이들 거울부재가 상기 다른쪽 단부에 대해 수평면에서 상대적으로 피봇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The planar mirror member and the convex mirror member each exte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two horizontal ends arrang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and the adjuster is positioned adjacent to one end of the mirror members and optionally these mirror members. A pivoting motion relative to the other end in a horizontal plan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거울부재들은 각각 상단부를 가지며, 상기 힌지 시스템은 상기 상단부를 따라 양 거울부재를 피봇식으로 연결하여 이들 양 거울부재가 상기 상단부 및 상기 다른 단부를 기준으로 피봇식으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The mirror members each have an upper end, and the hinge system pivotally connects both mirror members along the upper end so that both mirror members can pivotally move relative to the upper end and the other end. Car rearview mirro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조절기는 한쪽 단부에 손으로 조작가능한 헤드를 구비하는 길다란 숫나사형 핀을 포함하며, 이 숫나사형 핀은 상기 거울부재들중의 어느 하나를 회전식으로 관통해 연장하여 다른 미러 부재내에 나사식으로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The adjuster includes an elongated male pin having a hand-operable head at one end, the male pin being rotatably extended through one of the mirror members and threaded into the other mirror member. Automotive rearview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자동차용 백미러에 있어서,In the rearview mirror for a car, 차량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위치의 차량부위에 고정설치되는 장착대; 및A mount fixed to the vehicle in a position visible to the vehicle driver; And 상기 장착대상에 조절가능하게 장착되어 차량 운전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미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미러 시스템은 평면 거울부재, 상기 평면 거울부재로부터 수평 연장하는 볼록 거울부재, 및 상기 평면 거울부재와 볼록 거울부재사이의 관계를 변화시켜 상기 차량 운전자가 상기 평면 거울 부재 또는 볼록 거울 부재를 통하여 차량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A mirror system adjustablely mounted to the mounting object to selectively change an angle with respect to a vehicle driver, wherein the mirror system includes a flat mirror member, a convex mirror member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flat mirror member, and the plane And a control mechanism for chan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rror member and the convex mirror member so that the vehicle driver can selectively observe the rear of the vehicle through the planar mirror member or the convex mirror member. 자동차용 백미러에 있어서,In the rearview mirror for a car, 차량 운전자가 볼 수 있는 위치의 차량부위에 고정설치되는 장착대; 및A mount fixed to the vehicle in a position visible to the vehicle driver; And 상기 장착대상에 조절가능하게 장착되어 차량 운전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미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미러 시스템은 배면 플레이트, 볼록 거울부재, 상기 배면 플레이트에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일체로 움직이는 평면 거울부재, 상기 배면 플레이트에 상기 볼록 거울부재를 연결시키는 피봇식 장착기구, 및 상기 평면 거울 부재와 볼록 거울부재사이의 관계를 변화시켜 상기 차량 운전자가 상기 평면 거울부재 또는 볼록 거울부재를 통하여 차량의 후방을 선택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And a mirror system that is adjustablely mounted to the mounting object to selectively change an angle with respect to a vehicle driver, wherein the mirror system is fixedly connected to the rear plate, the convex mirror member, and the rear plate to move integrally. A pivotal mounting mechanism for connecting the mirror member, the convex mirror member to the rear pla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nar mirror member and the convex mirror member so as to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rror and the convex mirror member. An automobile rearview mirror comprising an adjustment mechanism for selectively viewing the rear side.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피봇식 장착기구는 유니버셜 장착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The pivotal mounting mechanism is a vehicle rearview mirror, characterized in that the universal mounting member. 자동차용 백미러에 있어서,In the rearview mirror for a car, 차량운전자가 볼 수 있는 위치의 차량부위에 고정설치되는 장착대;Mounting station is fixed to the vehicle portion of the position visible to the vehicle driver; 상기 장착대로부터 연장하고 거의 구형헤드로 마감되는 장착아암;A mounting arm extending from the mount and finishing with an almost spherical head; 좌측부와 우측부를 가지며, 상기 우측부는 상기 좌측부보다 앞쪽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좌측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있는 배면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좌측부 후방은 제 1요홈부로,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우측부 후방은 제 2요소홈부로 분할 구획하는 내부 분할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미러 하우징;It has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and the right side has a rear plate which protrudes forward than the left side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eft side, the rear of the left side of the back plate is the first groove portion, the right side of the back plate The rear part of the mirror comprises a mirror housing including an internal divider for dividing and partitioning into a second element groove; 상기 미러하우징의 제 1요홈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장착아암의 구형헤드를 그 안에 수납하여 상기 미러하우징이 상기 장착아암에 조절가능하게 장착되게 하는 소켓;A socket fixedly installed in the first recess of the mirror housing to accommodate the spherical head of the mounting arm therein so that the mirror housing is adjustablely mounted to the mounting arm; 상기 제 1요홈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미러하우징과 일체로 움직이는 평면 거울부재;A flat mirror member fixed to the first recess and moving integrally with the mirror housing; 상기 제 2요홈부내의 배면 플레이트상에 설치되며, 상기 배면 플레이트의 후방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구형헤드를 갖는 제 2 장착아암; 및A second mounting arm mounted on the rear plate in the second recess and having a spherical head protruding from the rear of the rear plate; And 상기 제 2장착아암의 구형헤드를 그 안에 수납하는 소켓을 가지며, 상기 제 2요홈부내에서 상기 미러하우징의 움직임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볼록 거울부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백미러.And a convex mirror member having a socket for accommodating the spherical head of the second mounting arm therein, the convex mirror member being movable independently of the movement of the mirror housing in the second recess.
KR1019950072401A 1995-12-30 1995-12-30 Rear view mirror for automobile KR1002428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2401A KR100242816B1 (en) 1995-12-30 1995-12-30 Rear view mirror for auto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72401A KR100242816B1 (en) 1995-12-30 1995-12-30 Rear view mirror for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116A KR970038116A (en) 1997-07-24
KR100242816B1 true KR100242816B1 (en) 2000-03-02

Family

ID=1944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72401A KR100242816B1 (en) 1995-12-30 1995-12-30 Rear view mirror for auto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8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55B1 (en) 2013-06-26 2014-06-27 최상미 Auxiliary mirror for view a dead angle zone of a automobi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55B1 (en) 2013-06-26 2014-06-27 최상미 Auxiliary mirror for view a dead angle zone of a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116A (en)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7367A (en) Rear view mirror for automotive vehicle
US7316485B2 (en) Flip-up convex mirror attachment
US4917485A (en) Safety mirror system for vehicles
US5022747A (en) Device for adjusting automobile side view mirror
US5657175A (en) Reflector device for aligning the complementary components of a trailer hitch
US4695138A (en) Panoramic rear view automobile mirror
US11072285B2 (en) Vehicular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integral spring element for adjusting angle of mirror
US4867409A (en) Breakaway mirrors
US4187001A (en) View expanding apparatus
KR20030040102A (en) Inside rear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
CN105539294B (en) The room mirror component of vehicle
US6932484B2 (en) Rear view mirror assembly
KR100242816B1 (en) Rear view mirror for automobile
US5613725A (en) Glare shield device
GB2177361A (en) Sideways-viewing mirror assembly for vehicles
US6523965B1 (en) Driver rearview mirror
US6424474B1 (en) Optical rear view system
US3788735A (en) Rear-view mirror system
GB2040843A (en) Rearview mirrors
JPH09202182A (en) Rear view mirror for automobile
CN220114542U (en) Automobile outer rear-view mirror device
US4858874A (en) Rear mounted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CN218750548U (en) Folding auxiliary rearview mirror
US4359263A (en) Antiglare rear view mirror assembly
EP0917986A1 (en) Rear view mirr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01117

Effective date: 20020131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1115

Effective date: 2002013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