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676B1 - 무동력 로켓발사대 및 로켓 - Google Patents

무동력 로켓발사대 및 로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676B1
KR100242676B1 KR1019970058915A KR19970058915A KR100242676B1 KR 100242676 B1 KR100242676 B1 KR 100242676B1 KR 1019970058915 A KR1019970058915 A KR 1019970058915A KR 19970058915 A KR19970058915 A KR 19970058915A KR 100242676 B1 KR100242676 B1 KR 100242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et
pressure
propulsion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463A (ko
Inventor
강성기
Original Assignee
강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기 filed Critical 강성기
Priority to KR1019970058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676B1/ko
Publication of KR980003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4Starting or launching devices for toy aircraft; Arrangements on toy aircraft for starting or launch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6Jet-propelled flying toys, e.g. aeropla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G09B9/0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 G09B9/52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for teaching control of vehicles or other craft for teaching control of an outer space vehicle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학습용 또는 간단한 지상대기오염관측등에 필요한 저궤도 로켓을 발사하기위해서는 연료추진형을 제외하면 주로 공기압을 이용한다. 이 경우 공기 압축력이 낮아서 10m미만을 상승하는 정도에 머물고 있는 연속재사용에도 어려움이 있었으며 상승 고도의 자유로운 조정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발명은 페트병과같이 내부가 공간이 있는 용기의 주둥이을 밀봉하면서 고압의 공기를 압축공급할 수 있는 압축공기주입부와, 발사될 로켓의 궤도와 고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각도조정부와, 일정압이 되는 경우 임의로 레버를 당기어 고정상태를 임의로 해제 할 수 있는 콘트롤부로 구성된 발사대를 제공하였다. 따라서, 영구히 재사용이 가능하며 공기압과 발사각을 임의로 재설정조정할 수 있어 고도, 궤도의 임의 조정이 가능하여 단순교구외에 실험관측용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게하였다.
더나아가서 유공압을 이용하여 다단의 연속 발사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콘트롤장치를 설치하여 임의 설정기간 간격을 갖고 발사도 가능토록 하였다.
또한 공압을 저장한 다단 로켓과 연소로켓을 함께 병행토록 구성한 로켓의 제공에도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무동력 로켓발사대 및 로켓
본발명은 고압공기를 추진력으로 이용한 무동력 로켓발사대와 이것에 장착되어 발사되는 로켓에 관한 것이다.
로켓이란 액체 또는 고체원료의 연소추진력을 이용하여 작용, 반작용법칙에 의한 추천이 되는 비행물이며, 과학완구나 학생교습용으로는 주로 공기와 물을 이용하여 발사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물로켓은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페트병을 이용하여 발사하는 것으로서 호스죠인트와 같은 연결구를 이용하여 페트병꼭지를 밀봉후 고압공기를 충지후 발사토록 하고 있으나 약50psi이상을 견디지 못하고 연결부가 해체되어 터져버리므로 목적한 수준의 거리 비행이 어려웠다. 특히 로켓을 장착후 발사까지 복잡한 죠인트 조립이 필요하여 범용화에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공기압을 추진동력원으로 이용하되 압축공기주입부로 고압공기를 주입하면서 각도조정부로 임의의 발사각을 설정할 수 있고, 필요한 압력이 되었을 때 록킹상태를 임의로 해제할 수 있는 콘트롤부로 구성된 발사대를 제공하므로서 장거리 무동력 발사대의 제공과 이것에 장치되어 발사되는 로켓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발사대의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발사대의 측면부분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유공압장치를 이용한 발사장치의 구성도,
도 5 는 본 발명의 콘트롤 장치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수동식 콘트롤 장치의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1단 로켓의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2단 로켓의 부분단면도,
도 9 은 본 발명의 또다른 로켓의 부분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낙하산 설치부의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압축공기주입부 나 : 각도조정부
다 : 콘트롤부 라 : 로켓몸체
2 : 지지대 3 : 로켓가이드공간
4 : 홈 5 : 지지판체
6 : 공기공급로 7 : 팩킹재
8 : 록킹장치 9 : 각도조절기
10 : 스케일지지체 11 : 하판
12 : 경첩 20 : 평판
21 : 플렉시블와이어 30 : 실린더
35 :콘트롤장치 50 : 수동식 제어장치
100 : 공간부 101 : 밀봉부
103 : 경계부 105 : 분사구
106 : 추진부 110 : 제1추진부
111 : 제2추진부 120 : 고정부
122 : 센서감지부 200 : 저장공간부
202 : 니크롬선 203 : 전지
210 : 상단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은 제 1 도에서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어 도시하고있으며, 제 2 도는 본 발명의 발사대의 평면도이며, 제 3 도는 본 발명의 발사대의 측면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제 4 도는 본 발명의 유공압장치를 이용한 발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제 5 도는 본 발명의 콘트롤 장치의 정면도이고, 제 6 도는 본 발명의 수동식 콘트롤 장치의 정면도이다. 제 7 도는 본 발명의 1단 로켓의 부분을 절개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제 8 도는 본 발명의 2단 로켓을 부분절개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제 9 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로켓의 부분단면도이고, 제 10 도는 본 발명의 낙하산이 설치된 로켓에 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로서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것은 페트병등을 로켓몸체로 이용하여 발사대에 고정하고 공기압축기로 로켓몸체에 고압의 공기를 축적후 발사하는 로켓발사 장치에 있어서, 봉상구조를 갖는 지지대(2)들이 일정거리를 갖고 하판(11)에서 수직으로 입설되어 로켓가이드공간(3)을 구성하며, 이 로켓가이드공간(3)의 하측으로 중앙에 로켓의 분사구측이 삽입가능한 원형의 홈(4)이 있는 넓은 지지판체(5)가 상기한 지지대의 하측에 고정되어 지지대간의 공간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로 구성되어있고, 상기한 원형의 홈(4)저부에는 공기공급로(6)가 관통된 팩킹재(7)가 고정되어져 있고 상부의 측벽에는 출입가능한 록킹장치(8)가 설치된 압축공기주입부(가)와,
상기한 압축공기주입부(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일측면에 각도조절구(9)가 스케일 지지체(10)와 슬라이딩가능토록 구성된 평판구조로서 타측에는 하판(11)과 경첩(12)을 매개로 피봇(pivot)고정된 각도고정부(나)와,
상기한 압축공기주입부(가)의 원형의 홈(4)의 측벽에 설치된 록킹장치와 플렉시블와이어(21)를 매개로 끝단이 연결된 조정레버(13)가 별도의 지지판(s)위에 설치되어져 록킹장치의 록킹로드(8a)가 임의 출입가능토록 구성한 콘트롤부(다)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지지대(2)는 봉상구조외에도 판상구조를 이용하여 로켓 가이드공간을 원통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지지대(2)의 숫자는 최소 3개 이상설치하는 것이 알맞다. 팩킹재(7)를 관통한 공기공급로(6)는 도시한 동력콤프레서 또는 수동콤프레서와 연결토록 하여 고압공기가 공급가능토록 구성한다. 팩킹재(7)의 폭은 로켓의 분사구에 억지끼워맞춤가능하면서 저항을 갖도록 하는 고무, 콜크, 탄성합성수지류등으로 구성된다.
각도조정부(나)의 각도조절구(9)는 스케일지지체(10)의 외부를 감싸면서 슬라이딩가능케한 슬라이더(10b)와 고정레버(10c)로 구성되어져 눈금을 보고 발사각도를 예정할 수 있는 것이다. 각도조절구(9)의 상측은 필요시 이탈방지편(9a)을 형성하여 보관할 때 스케일지지체(10)가 하판과 분리되어 분실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스케일지지체(10)의 하단부에는 회전가능토록 핀결합된 베이스(10d)가 설치되어 있어 스케일지지체의 이동에 따른 연동이 가능하면서도 받침 기능에는 지장이 없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 스케일지지체(10)는 단순한 직선이 아니고 로켓발사를 위하여 하판(11)의 각도 조정시 그려주는 회전궤적에 순응하도록 완만한 곡선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콘트롤부(다)는 록킹로드(8a)가 출입하면서 로켓몸체(라)의 발사고정돌기부(107)상측을 눌러주거나 해제가능한 것은 모두 채용가능하며 본 발명에서는 조정레버(13)를 손으로 파지가능토록 구성하였으나 필요시에는 발을 이용할 수 있도록 레버의 크기를 넓게 구성하여도 록킹로드의 진출입에 지장이 없는 한 다양한 수단이 채용가능하다.
이상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페트병을 준비하여 압축공기주입부(가)의 로켓가이드공간(3)에 몸체전체를 장전하고 분사구(105)는 원형의 홈(4)내부에 진입토록 한다. 이때에 콘트롤부(다)의 조정레버(13)는 당기어놓아 록킹로드가 후퇴하여 있도록 하여 분사구의 진입이 자유롭게 한다. 분사구의 내부로 팩킹재(7) 삽입토록 하고 조정레버의 당김상태를 해제하여 록킹로드(8a)가 로켓의 분사구에 있는 발사고정돌기부(107)를 걸어주어 로켓의 이탈을 방지하여 준다. 이어서 로켓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일정한 수준으로 주입하여 준다. 이같이 발사준비가 완료되면 조정레버(13)를 당겨주어 페트병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므로서 페트병내의 고압공기가 분사구로 분출하면서 발사되는 것이다. 발사각도와 내부공기압력의 정도를 적절히 조절하면 원하는 거리와 높이의 발사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록킹장치를 작동함에 있어 제 4도 내지 제 6도에 도시하듯이 공압 또는 유압을 이용한 경우이다. 즉, 별도의 타이머가 설치된 밸브장치를 릴레이로 구성하여 설정된 밸브장치를 릴레이로 전환 가능토록 구성하여 설정된 임의 설정시간간격을 갖고 록킹로드가 진출입토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플렉시블와이어(21)대신에 실린더(30)를 설치하여 푸시풀로드(31)가 이 실린더의 액튜에이터와 일체화된 것이다. 실린더(30)에는 2개의 압력주입부(30a)와 압력배출부(30b)가 설치되어 도관(32)을 통하여 유.공압이 제어밸브부(33)로 진입 또는 배출토록 하였다. 제어밸브부(33)는 별도 도시한 콘트롤 장치(35)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콘트롤장치(35)에는 구동스위치(34)가 로켓발사대의 숫자만큼 설치되며, 자동수동절환 스위치(36), 타이밍설정스위치(37)그리고 전원램프(38)등이 설치되어져 내부의 릴레이장치, 타이머등을 조작가능토록 구성하였다. 이같은 경우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실린더(30)의 압력주입부(30a)에 고압이 진입되므로 록킹로드가 전진하여 로켓의 발사고정돌기부(107)에 걸어주어 로켓이 발사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공기를 로켓의 몸체내로 일정한 압으로 주입한 다음 타이밍 설정스위치(37)로 타이밍을 정하여 주면 콘트롤장치(35)에서 릴레이를 일정한 시간별로 작동하여 주므로 제어밸브부(33)의 밸브도 시간대별로 작동하여 로켓이 주기적으로 발사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유공압실린더를 사용하되 제 6도와 같이 제어밸브부(33)에 수동식제어장치(50)를 직접 설치하는 것이다. 즉, 핸들(51)을 내부의 방향전환밸브체와 연결토록 하여 인입포트(52)와 배출포트(53)그리고 주포트(54)가 연결토록 하였다. 따라서 핸들의 조작에 따라 방향전환밸브체가 작동하여 주포트(54)로 공급된 기압이 인입포트(52)와 배출포트(53)로 전환 공급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로켓발사대 수에 대응하여 핸들(51)이 딸린 제어밸브장치(50)를 설치하므로서 다수의 로켓을 연속하여 수동식 발사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으로 제시되는 것은 본 발명의 발사장치에 부착되어 발사되는 로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사대에서 발사되는 로켓은 기본적인 물로켓을 기초로 다단로켓과 점화추진되는 연소로켓이 병행되는 것으로 구분된다.
1단의 물로켓은 제 7도에 도시하듯이 내부를 2개의 칸으로 구획하여 고압충전실과 중심실로 구성된다. 고압충전실이란 고압의 공기가 충전되어 추진에너지를 공급하는 추진부(106)로 구성되며, 중심실은 상반부(102)를 구성하여 발사된 로켓의 중심을 잡아주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1단 물로켓은 내부에 공간부(100)를 갖고 하부에 밀봉부(101)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상반부(102)와, 상기한 상반부와 경계부(103)를 매개로 일체화되어있으되 최하층에 분사구(105)를 갖고 그 상부는 상반부(102)와 경계부(103)를 매개로 직접 연결되는 원통형 구조의 추진부(106)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추진부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분사구에는 발사고정돌기부(107)가 분사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형성된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108은 방향조정을 위한 날개이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1단 물로켓은 상반부(102)와 하측의 추진부(106)에 소량의 물을 채워준 다음 본 발명의 로켓발사대의 압축공기 주입부(가)에 있는 팩킹재(7)에 분사구(105)가 억지끼워맞춤되게하여 놓고, 록킹장치(8)의 록킹로드로 발사고정돌기부(107)를 고정후 별도의 에어공급장치로 고압의 공기를 분사구(105)로 부터 추진부(106)로 공급하여 주는 것이다. 일정한 압력이상의 공기가 공급되면 앞서 설명하듯이 록킹로드의 걸림상태를 해지하여 발사토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로켓의 예는 제8도에 도시하듯이 추진부를 2이상 설치하여 다단로켓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한 1단 로켓과 같은 원통형의 추진부를 다층으로 설치하되 제1추진부(110)와 제2추진부(111)사이에는 체크밸브와 같은 밸브장치(112)를 갖고 있는 연질의 도관(113)을 설치하여 주었고, 제1추진부와 제2추진부 사이는 별도의 분리부(115a)를 매개로 일체화한 구조로서, 연질도관의 일부가 제2추진부(111)의 제2분사구(105a)내측으로 억지끼워맞춤되어있다.
제1추진부와 제2추진부사이의 분리부는 제2추진부의 내부에너지 소멸과 함께 본체에서 분리시 분리 가능토록 설치되어 있다.
이같은 연결구조는 필요에 따라서 2단이상 여러단을 설치할 수 있으며, 압력의 조정도 밸브장치(112)의 압력감도를 조정하므로서 추진부내의 압력을 얼마든지 가감할 수 있다.
이같은 구조의 다단 로켓은 앞서 설명과 같이 발사대에 장치한 다음 에어를 제1추진부(110)에 주입하며 이곳에 주입이 완료되면 연결된 도관(113)내의 밸브장치(112)가 설정된 압력이상이 되면서 개방되어지므로 계속 주입되는 고압의 에어가 도관(113)을 거쳐 제2추진부(111)로 공급되는 것이다. 동일한 원리로 제3추진부가 연결되어 있으면 공급된 에어가 제2추진부를 채운 다음 제3추진부로 공급되는 것이다.
이상의 구조를 갖는 다단로켓은 본 발명의 압축공기부입부(가)의 팩킹재(7)를 통하여 에어를 공급한 다음 록킹로드를 해제하면 우선 제1추진부(110)의 내부압에 의하여 1차상승되며 제1추진부(110)의 내압이 소실되면 제1추진부의 추진력이 소실되어버리므로 제2추진부의 밸브장치를 받쳐주던 힘이 상실되므로 제2추진부(111)의 압력에 의하여 도관(113)이 방출되어 버려 제2추진부에 내장된 압력이 방출되면서 2단발사가 되는 것이다. 동일한 원리로 3단, 4단이상의 로켓도 적용이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점화추진로켓병용의 물로켓에 관한 것이 제 9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경우에는 상기한 물로켓과 동일한 구조를 갖되 이 물로켓의 발사시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여 점화장치를 점화시켜주므로 물로켓에 장진된 점화추진로켓이 발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1단 또는 다단 물로켓의 상단부(210)에 점화추진로켓용 고정봉(120)을 설치하고 이곳에 액체, 고체의 연료를 내장한 공지의 로켓을 고정하였으며, 상기한 고정봉(120)에 설치된 로켓의 점화장치용 액튜에이터(121)를 로켓의 하부에 설치하며 이것을 작동시키기위한 센서감지부(122)를 발사대에 설치하였고 센서감지부(122)와 액튜에이터(121)간을 고정끈(123)에 의하여 연결하여 발사시 센서감지부(122)는 발사대에 잔류하고 로켓은 상승하므로 고정끈이 당겨지게 되어 액튜에이터(121)와 센서감지부(122)간에 당겨진 힘이 감지되므로 그 감지신호에 의한 연료점화가 가능케 된 것이다. 이곳에서 사용가능한 센서는 마그네틱 센서, 압력 센서, 광센서등이 모두 사용가능하나 가장 저렴하게는 마그네틱센서를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응용예로서 스케일지지체(10)에도 점화추진로켓을 설치한 다음 물로켓의 몸체와 센서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연속 발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로켓의 수직급강하를 막기위한 낙하산 장치가 설치된 로켓에 관한 것이 제 10 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것은 로켓의 상부에 별도의 반구형 낙하산 저장공간부(200)를 구성하되 본체와의 연계를 연소가능한 실(201)로 묶어서 일체화한 다음, 발열가능한 니크롬선(202)의 묶음용의 실(201)에 접하도록 구성하고, 이 니크롬선(202)과 전지(203)의 사이는 전원온.오프용 액튜에이터(121)가 배치되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발사시 센서감지부(122)의 센싱신호로 전원온.오프용 액튜에이터(121)가 작동하여 전원이 통전되므로 니크롬선이 발열한다. 따라서 고열로 된 니크롬선이 실(201)에 닿아있으므로 실이 연소하여 저장공간부를 묶은 상태가 해제되므로 내장된 낙하산이 펼쳐져 로켓의 급강하를 막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이곳 꽃가루등 부자재를 비산가능하게 내장하므로 또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학생들의 로켓원리학습용을 단순히 이용되어오던 페트병을 이용한 로켓발사대를 기계적고정장치와 정밀한 발사각도조정가능한 발사대를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약100psi이상)를 주입하여 고도 약 300m까지 상승할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단순 로켓발사기능의 제시만이 아닌 각종 관측실험을 무동력으로 시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더나아가서 각종 측정장치를 내장하는 경우 100~300m정도의 대기상태를 손쉽게 관측할 수 있으며, 본체자체의 내구성이 무한하여 영구히 재사용가능한 것이다.
더나아가서 내부에 별도의 낙하산을 내장후 이곳에 색종이, 인공눈발생장치등을 탑재하면 상공에서 다양한 색종이의 낙하 인공눈강하효과등이 가능하여 각종 행사에 극적효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공기 채집장치를 장착시 공기중의 습도, 오염물질등을 수집하여 지표대기중의 습도, 오염물질등의 검색에 의한 통계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오지나 원거리에 대한 비료, 농약살포등의 효과도 거둘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내부가 공간을 갖고 있는 페트병과 같은 중공의 로켓몸체를 발사대에 고정하고 압축기를 이용하여 고압의 공기를 로켓몸체에 축적후 밸브의 개방에 의하여 발산되는 고압공기의 에너지를 추진력으로 이용하여 상승하는 로켓발사장치에 있어서,
    봉상구조를 갖는 지지대(2)들이 일정거리를 갖고 수직으로 입설되어 로켓가이드공간(3)을 구성하며, 이 로켓가이드공간(3)의 하측에는 중앙에 로켓의 분사구(105)가 삽입가능한 홈(4)이 있는 넓은 지지판체(5)가 상기한 지지대의 하측에 고정되어 지지대간의 공간을 유지하도록 하는 스페이서로 작용하도록 체결되어있으며, 상기한 홈(4)저부에는 공기공급로(6)가 관통된 팩킹재(7)가 고정되어져 있고 측벽에는 출입가능한 록킹장치(8)가 설치된 압축공기주입부(가)와,
    상기한 압축공기주입부(가)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동시에 각도조절구(9)가 스케일지지체(10)와 슬라이딩가능토록 구성된 평판구조로서 타측에는 하판(11)과 경첩(12)을 매개로 피보트식의 핀고정된 각도정정부(나)와,
    상기한 압축공기주입부(가)의 홈(4)의 측벽에 설치된 록킹장치(8)와 플렉시블와이어(21)를 매개로 끝단이 연결된 조정레버(13)가 별도의 지지판(s)위에 설치되어져 록킹장치의 록킹로드(8a)가 임의 출임가능토록 구성한 콘트롤러(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로켓발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각도조정부(나)의 각도조절구(9)는 스케일지지체(10)의 외부를 감싸면서 슬라이딩가능케한 슬라이더(10b)와 고정레버(10c)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각도조절구(9)의 상측은 이탈방지편(9a)을 넓게 구성하여 하판(11)과 분리되지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로켓발사대.
  3.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압력주입부(30a)와 압력배출부(30b)가 설치된 유공압실린더(30)의 푸시플로드(31)가 록킹로드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도관(32)을 통하여 유공압이 제어밸브부(33)에 의하여 진출입토록하며,
    상기한 제어밸브부(33)는 자동수동절환스위치(36), 타이밍설정스위치(37), 구동스위치(34)가 설치된 콘트롤장치(35)에 의하여 밸브의 작동이 가능토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로켓발사대.
  4. 제 3 항에 있어서,
    핸들(51)을 내부의 방향전환밸브체와 연동토록 구성하고, 내장된 방향전환밸브체에는 인입포트(52)와 배출포트(53)그리고 주포트(54)가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동력 로켓발사대.
  5. 내부에 공간부(100)를 갖고 하부에 밀봉부(101)를 갖는 원통형 구조의 상반부(102)와,
    상기한 상반부와 경계부(103)를 매개로 일체화되어 최하단에 분사구(105)를 갖고 그상부는 상반부(102)와 경계부(103)을 매개로 직접 연결되는 원통형구조의 추진부(106)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추진부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분사구에는 발사고정돌기부(107)가 분사구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된 공압을 이용한 로켓.
  6. 제 5 항에 있어서,
    제 1 추진부(110)와 제 2 추진부(111)사이에 밸브장치(112)를 갖는 연질의 도관(113)을 설치하여 주어 제 1 추진부의 공압이 밸브장치를 통하여 제 2 추진부로 공급토록 하며,
    상기한 제 1 추진부(110)와 제 2 추진부(111)사이에는 분리가능한 분리부(115a)를 설치하여 제 1 추진부의 분리시 함께 분리가능토록 구성하는 것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의 공압을 이용한 로켓.
  7. 제 5 항에 있어서,
    로켓의 상단부(210)에 고정봉(120)을 설치하고,
    상기한 고정봉에 설치된 로켓의 점화장치용 액튜에이터(121)를 로켓의 하부에 설치하며 이것을 작동시키기 위한 센서감지부(122)를 발사대에 설치하였으며, 이 액튜에이터(121)와 센서감지부(122)간에는 고정끈(123)을 연결하여 주어 로켓발사시 액튜에이터와 센서감지부의 고정끈이 센서감지부의 센서를 끌어 당기게 하는 작동력이 전달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로켓.
  8. 제 5 항에 있어서,
    로켓의 상단부(210)에 반구형의 낙하산 저장공간부(200)를 구성하되 본체와는 연소가능한 실(201)로 일체화한 다음 발사대의 센서감지부(122)와 고정끈으로 연결되어 있어 발사시 액튜에이터의 작동으로 전지(203)의 전원 통전되면서 니크롬선(202)이 가열토록 하여 접촉되어 있는 실(201)이 연소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압을 이용한 로켓.
KR1019970058915A 1997-11-08 1997-11-08 무동력 로켓발사대 및 로켓 KR100242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15A KR100242676B1 (ko) 1997-11-08 1997-11-08 무동력 로켓발사대 및 로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915A KR100242676B1 (ko) 1997-11-08 1997-11-08 무동력 로켓발사대 및 로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463A KR980003463A (ko) 1998-03-30
KR100242676B1 true KR100242676B1 (ko) 2000-03-02

Family

ID=19524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915A KR100242676B1 (ko) 1997-11-08 1997-11-08 무동력 로켓발사대 및 로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67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911B1 (ko) * 2001-04-18 2007-03-20 국방과학연구소 유공압을 이용한 발사시험장치
KR101156129B1 (ko) 2010-02-23 2012-07-11 국방과학연구소 피드백 제어를 이용한 발사시험용 공압생성장치, 이를 구비한 발사시험 시스템 및 발사시험용 공압생성 방법
KR101165754B1 (ko) 2010-02-23 2012-07-18 국방과학연구소 예비압력선도를 이용한 발사시험용 공압생성장치, 이를 구비한 발사시험 시스템 및 발사시험용 공압생성 방법
KR20160109754A (ko) 2015-03-13 2016-09-21 김도진 학습용 로켓 발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813B1 (ko) * 2000-11-01 2003-02-2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경사각 조정 가능한 질량특성 측정용 보조장치
KR20160003269U (ko) 2015-03-16 2016-09-26 임현우 다단으로 분리 가능한 과학 학습용 에어 로켓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911B1 (ko) * 2001-04-18 2007-03-20 국방과학연구소 유공압을 이용한 발사시험장치
KR101156129B1 (ko) 2010-02-23 2012-07-11 국방과학연구소 피드백 제어를 이용한 발사시험용 공압생성장치, 이를 구비한 발사시험 시스템 및 발사시험용 공압생성 방법
KR101165754B1 (ko) 2010-02-23 2012-07-18 국방과학연구소 예비압력선도를 이용한 발사시험용 공압생성장치, 이를 구비한 발사시험 시스템 및 발사시험용 공압생성 방법
KR20160109754A (ko) 2015-03-13 2016-09-21 김도진 학습용 로켓 발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463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5633A (en) Rocket launcher
US5538453A (en) Air pressure toy rocket launcher
US7784455B1 (en) Reusable pellet shooting grenade
US6644294B2 (en) Air cannon
US4159705A (en) Toy projectile launching device
US5653216A (en) Toy rocket launcher
KR100242676B1 (ko) 무동력 로켓발사대 및 로켓
US5839940A (en) Pressurized gas/water rocket and launcher therefor
US6321737B1 (en) Toy rocket launcher
US20190316869A1 (en) Spraying device
KR101342195B1 (ko) 인명구조용 공기튜브의 발사장치
CA1316731C (en) Missile launcher
CA2304621A1 (en) Pneumatically operated projectile launching device
US10689044B2 (en) Resilient, untethered soft robot
AU2013268098B2 (en) Line delivery apparatus
AU20102018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unching incendiary projectiles
US6698414B1 (en) Pressure gauge for pneumatic toy gun
US5775966A (en) Life-saving device with launcher
US5141467A (en) Powered toy utilizing explosive caps to drive a toy vehicle from a launcher
US4913675A (en) Missile helicopter device
US2923089A (en) Multi-stage projectile
US3139794A (en) Launcher and rocket
US3045392A (en) Multi-stage toy missile
WO1994000244A1 (en) Water arrow projecting bow
KR200470991Y1 (ko) 학습용 물로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