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299B1 -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erence electric potential of photoconductive drum in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erence electric potential of photoconductive drum in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299B1
KR100242299B1 KR1019970043768A KR19970043768A KR100242299B1 KR 100242299 B1 KR100242299 B1 KR 100242299B1 KR 1019970043768 A KR1019970043768 A KR 1019970043768A KR 19970043768 A KR19970043768 A KR 19970043768A KR 100242299 B1 KR100242299 B1 KR 100242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drum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potential
reference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37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20308A (en
Inventor
정광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3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299B1/en
Publication of KR1999002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030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2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laying down a uniform charge, e.g. for sensitising; Corona discharge devices
    • G03G15/026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04Main transfer electrode
    • G03G2215/1619Transfer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end.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ngs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기준전위를 인가하는 회로 및 방법.A circuit and method for applying a photosensitive drum reference potential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I.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이 전위 상실을 방지하는 회로 및 방법.A circuit and method in which the photosensitive drum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revents the potential loss.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All. Summary of Solution of the Invention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기준전위 제어 회로가,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에 기준전위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접지 사이에 정전압을 인가하는 제너다이오드를 연결하고, 제너다이도드와 병렬로 컨트롤 릴레이 스위치의 에이 접점에 연결하여 접지하고, 컨트롤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코일을 전압 인가단과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 사이에 연결하고,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은 접지하며 베이스단은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을 중단후 재사용시 감광드럼에 소정의 전위를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준전위 제어회로.The photosensitive drum reference potential control circu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nnects a zener diode applying a constant voltage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the reference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drum forming the image and a ground, and in parallel with the zener diode A relay coil is connected between the contact point and the ground, and the relay coi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ontrol relay is connected between the voltage applying stage and the collector stage of the transistor, the emitter stage of the transistor is grounded, and the base stage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 reference potential control circu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a predetermined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drum upon reuse after stopping us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 predetermined time.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la.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감광드럼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모든 전자사진 장치.Any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that forms an image using a photosensitive drum.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기준전위 제어회로 및 방법.A photosensitive drum reference potential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한 감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광장치의 기준전위 제어회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sensitive device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erence potential control circuit and a method of the photosensitive device.

일반적으로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화상형성장치로는 레이져 빔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복함사무기기 등이 있다. 이러한 화상 현상장치들은 대전→노광→현상→전사→장착→배지의 일련의 전자사진 현상 프로세스 과정을 통해 용지상에 화상을 인쇄한다.In general,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a developing method includes a laser beam printer, a copier, a facsimile, a copy office equipment, and the like. Such image developing apparatuses print an image on a paper through a series of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processes of charging, exposure, development, transfer, mounting, and medium.

도 1은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레이져 빔 프린터의 개략적인 앤진 메카니즘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engine mechanism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ser beam printer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전자사진 현상 방식에 따른 흐름을 간단히 살펴본다.Hereinafter, the flow of the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schem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대전부 11은 감광드럼 10상에 균일한 전하를 형성시킨다. 레이져 스캐너 유니트 16은 이미지 데이터에 다른 레이져빔을 발생하여 반사경 17을 통해 상기 감광드럼 10에 노광시킴으로써 상기 감광드럼 10상에 정전잠상을 형성시킨다. 현상부 13은 상기 감광드럼 10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현상제(토너)를 전달하고, 용지를 공급하는 카세트(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용지가 공급되면 상기 공급된 용지는 상기 감광드럼 10과 전사부 12의 사이를 지나면서 상기 현상제가 접착되어 현상이 된다. 또한 상기 용지에 접착된 현상제는 히팅롤러 15와 압착롤러 16 사이를 지나면서 열과 압력에 의해 상기 용지에 정착된다. 상기 정착 과정을 통해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배지롤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배지된다.The charging unit 11 forms a uniform charge on the photosensitive drum 10. The laser scanner unit 16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photosensitive drum 10 by generating another laser beam in the image data and exposing the photosensitive drum 10 through a reflector 17. The developing unit 13 transfers a developer (toner) to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the photosensitive drum 10, and when the paper is supplied from a cassette (not shown) for supplying paper, the supplied paper is transferr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10 and the transfer unit 12. While passing through the developer is adhered to develop. In addition, the developer adhered to the sheet is fixed to the sheet by heat and pressure while passing between the heating roller 15 and the pressing roller 16. The paper on which the image is fixed through the fixing process is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roller (not shown).

도 2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각 롤러를 대전하는 구성도이다.2 and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charging each roll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내지 도 3을 설명하면 상기 대전롤러 11과, 상기 현상롤러 13과, 상기 공급롤러 14는 음으로 대전되고, 상기 공급롤러 14는 현상제를 음으로 대전시킨다. 또한 상기 공급롤러 14와 상기 현상롤러 13의 전위차에 의해 상기 음으로 대전된 현상제는 상기 현상롤러 13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대전롤러 11에 의해 대전된 감광드럼은 반사경을 통해 입사된 빛으로 대전전위가 달라지므로 상기 감광드럼10은 현상제를 화상정보에 따라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감광드럼 10과 상기 전사롤러 12의 회전과 상기 전사롤러 12가 양으로 대전되므로 상기 감광드럼 10으로 이동된 현상제는 용지로 이동된다.2 to 3, the charging roller 11, the developing roller 13, and the supply roller 14 are negatively charged, and the supply roller 14 negatively charges the developer. The negatively charged developer is moved to the developing roller 13 by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roller 14 and the developing roller 13. In addition, since the charging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charged by the charging roller 11 is changed by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reflector, the photosensitive drum 10 moves the developer according to the image information. In addition, since the rota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and the transfer roller 12 and the transfer roller 12 are positively charged, the developer mov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10 is moved to the paper.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도 2의 방법은 화상 프린트가 중단될시 상기 감광드럼 10이 상기 현상제보다 빠른 속도로 전위를 상실한다. 따라서 반사경을 통해 입사된 빛과 관계없이 상기 현상롤러 13으로 이동된 현상제가 상기 감광드럼 10으로 이동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하 상기 감광드럼 10의 전위를 상실한 부분을 비 대전 영역이라 칭한다.In this case, however, the method of FIG. 2 loses dislocation at a higher speed than the developer when image printing is interrupted. Therefore,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developer moved to the developing roller 13 moves to the photosensitive drum 10 regardless of the light incident through the reflector. Hereinafter, a portion where the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is lost is referred to as a non-charged region.

또한 도 3의 경우에는 상기 화상프린트가 중단될시 제너다이오드 D1로 연결된 상기 감광드럼 10에 의해 일정 전위를 유지하므로 현상제가 이동되는 것을 막을수 있으나 상기 제너다이오드 D1의 전압으로 인해 상기 공급롤러 14, 현상롤러 13, 대전롤러 11의 전위를 도 2 보다 고전압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체적인 회로의 수정이 요구되며 상기 공급되는 고전압에 따른 절연성이 문제가 되었다.In the case of FIG. 3, when the image printing is stopped, the developer maintains a constant potential by the photosensitive drum 10 connected to the zener diode D1, thereby preventing the developer from being moved. The electric potential of the roller 13 and the charging roller 11 should use a higher voltage than FIG. Therefore, the overall circuit is required to be modified, and the insulation according to the supplied high voltage becomes a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에 비 대전영역으로 현상제의 유입을 방지하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ircuit for preventing the introduction of a developer into a non-charged region in a photosensitive drum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광드럼의 비 대전영역의 전위를 회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covering the potential of the non-charged reg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기준전위 제어 회로가,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에 기준전위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접지 사이에 정전압을 인가하는 제너다이오드를 연결하고, 상기 제너다이도드와 병렬로 컨트롤 릴레이 스위치의 에이 접점에 연결하여 접지하고, 상기 컨트롤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코일을 전압 인가단과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 사이에 연결하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은 접지하며 베이스단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을 중단후 재사용시 상기 감광드럼에 소정의 전위를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준전위 제어회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sensitive drum reference potential control circu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nnects a zener diode for applying a constant voltage between a connection portion connecting a reference potential to a photosensitive drum for forming an image and a ground, and the zener In parallel with the diode and connected to the A contact of the control relay switch to ground, the relay coil for controlling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control relay is connected between the voltage supply terminal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grounded The base end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ps us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drum upon reus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ontrol circuit.

도 1은 전자사진 현상 방식을 이용하는 레이져 빔 프린터의 개략적인 앤진 메카니즘 구성도.1 is a schematic engine mechanism configuration diagram of a laser beam printer using a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method.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라 각 롤러 및 감광드럼을 접지하여 대전하는 구성도.Figure 2 is a configuration for charging by grounding each roller and photosensitive drum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라 각 롤러 및 감광드럼을 제너다이오드를 이용하여 대전하는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charging each roller and the photosensitive drum using a zener diod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략화된 회로의 구성도.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mplified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감광드럼의 표면전위 회복을 위한 제어 흐름도.5 is a control flowchart for recovering the surface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동일한 부분은 비록 다른 도면에 도시되더라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same parts us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lthough shown in other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간략화된 회로의 구성도이다. 이하 화상형성장치를 프린터로 가정한다.4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implified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assumed to be a printer.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대전롤로 11과 공급롤러 14 및 현상롤러 13은 음전하로 대전된다. 전사롤러 12는 양으로 대전되어 상기 감광드럼 10으로 이동된 현상제를 공급된 용지로 이동시킨다. 또한 참조부호 30은 감광드럼의 표면전위를 형성하는 제어회로이다. 상기 감광드럼 10의 전위 연결부 50은 제너다이오드 D1을 통해 접지한다. 또한 상기 제너다이오드 D1과 병렬로 컨트롤 릴레이 CR1의 스위치부를 연결하고 상기 컨트롤 릴레이 CR1의 스위치를 보호하기 위해 상기 컨트롤 릴레이 CR1의 스위치와 병렬로 저항 R1을 통해 캐패시터 C1을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릴레이 CR1의 스위치단은 노말리 클로우즈(Nomally Close) 단 A에 연결한다. 이하 노말리 클로우즈 단을 에이 접점이라 칭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릴레이 CR1의 릴레이부에 병렬로 릴리이 보호를 위한 다이오드 D2를 연결하고 상기 다이오드 D2의 에노드와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단을 연결한다.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은 상기 프린터의 제어부를 연결하고 에미터단은 접지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단은 저항을 통해 또다른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 111에 상기 감광드럼 10을 회전시키는 드라이브 모터 112를 연결하고 상기 프린터의 동작을 수행 명령을 위한 키입력부 113을 상기 제어부 111에 연결한다. 상기 드라이브 모터 112는 상기 감광드럼 10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다.First, in the configuration, the charging roller 11, the supply roller 14 and the developing roller 13 are charged with a negative charge. The transfer roller 12 is positively charged and moves the developer mov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10 to the supplied paper. Reference numeral 30 is a control circuit which forms the surface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The potential connecting portion 50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is grounded through the zener diode D1. In addition, in order to connect the switch of the control relay CR1 in parallel with the zener diode D1 and to protect the switch of the control relay CR1, the capacitor C1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witch of the control relay CR1 through the resistor R1. Herein, the switch terminal of the control relay CR1 is connected to a normally closed terminal A. The normally closed stage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A contact. In addition, a diode D2 for protecting the lily is connected in parallel to a relay part of the control relay CR1, and an anode of the diode D2 is connected to a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1. The base end of the transistor connects the control unit of the printer and the emitter end is grounded. In addition,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Q1 applies another power source through a resistor. A drive motor 112 for rotating the photosensitive drum 1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11, and a key input unit 113 for performing a command of the printer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11. The drive motor 112 is connected to a rotating shaft (not shown)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상기 도 4에 따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음전하로 대전된 상기 공급롤러 14와 상기 현상롤러 13은 소정의 전위차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공급롤러 14와 상기 현상롤러 13이 회전할 경우 현상제는 상기 현상롤러 14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대전롤러 11은 상기 감광드럼 10을 대전시키고 상기 대전된 감광드럼 10은 반사경을 통해 화상정보에 따른 빛을 조사시킨다. 상기 감광드럼 10에 빛이 조사되면 상기 감광드럼 10의 표면에 빛이 조사된 부분의 전위가 상대적으로 빛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의 전위보다 높게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롤러 13으로 이동된 현상제는 상기 감감드럼으로 이동되고 상기 감광드럼 10의 회전에 의해 공급된 용지에 화상정보를 프린트한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ccording to FIG. 4, the supply roller 14 and the developing roller 13 charged with the negative charge have a predetermined potential difference. Therefore, when the feed roller 14 and the developing roller 13 rotate, the developer is moved to the developing roller 14. The charging roller 11 charges the photosensitive drum 10, and the charged photosensitive drum 10 irradiates light according to image information through a reflector. When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photosensitive drum 10, the potential of the portion to which the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surface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potential of the portion to which the light is not irradiated. Therefore, the developer moved to the developing roller 13 prints image information on the paper fed to the photosensitive drum and fed by the rota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상기 프린터가 일정 시간동안 동작이 중지되면 상기 감광드럼 10은 상기 현상롤러 13보다 빠른 속도로 대전된 전위가 소멸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프린터의 제어부에서 상기 트랜지스터 Q1를 제어하여 턴온시킨다. 상기 트랜지스터 Q1이 턴온되면 상기 컨트롤 릴레이 CR1이 동작하여 접점이 A에서 B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너다이오드 D1을 통해 접지가 되므로 상기 감광드럼 10의 비 대전구간에 일정의 전위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현상부 13에 잔존한 현상제가 상기 감광드럼 10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printer is stopp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photosensitive drum 10 loses the electric charge charged at a faster speed than the developing roller 13.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of the printer controls the transistor Q1 to turn on. When the transistor Q1 is turned on, the control relay CR1 is operated to move the contact from A to B. Therefore, the control relay CR1 is grounded through the zener diode D1, thereby supplying a constant electric potential to the non-charge section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eloper remaining in the developing part 13 from moving to the photosensitive drum 10.

도 5는 감광드럼의 표면전위 회복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헤시 설명한다.5 is a control flowchart for surface potential recovery of the photosensitive drum.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상기 제어부 111은 510단계에서 프린터의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 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온된 경우 512단계로 진행하고 아닌 경우 5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512단계에서 상기 프린터의 초기설정을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초기설정에 따른 동작시에도 상기 감광드럼 10의 전위 회복을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감광드럼 기준전위 제어회로 30으로 출력한다.In step 510, the control unit 111 checks whether the printer is powered off and then on again. The control unit 111 proceeds to step 512 if the power is turned off and on as a result of the test, and proceeds to step 514 if it is not. The controller 111 performs an operation for initial setting of the printer in step 512. Even dur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itial setting, a control signal for recovering the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is output to the photosensitive drum reference potential control circuit 30.

상기 제어부 111은 514단계에서 프린터의 감광드럼을 동작시키기 위한 드라이브모터 112의 동작이 중단된 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터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516단계에서 상기 키입력부 113으로부터 인가된 키입력신호가 프린터키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프린트키가 입력되면 518단계로 진행하고 아닌 경우 526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518단계에서 상기 카운터된 시간과 상기설정시간을 비교한다. 상기 비교결과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시간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52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설정시간보다 작을 경우 52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520단계에서 상기 감광드럼 10의 소정의 전위를 인가하기 위해 상기 트랜지스터 Q1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컨트롤 릴레이 CR1이 동작하고 상기 동작에 의해 제너다이오드 D1에 의해 상기 감광드럼 10의 표면전위가 회복된다.In step 514, the control unit 111 counts the time from the time when the operation of the drive motor 112 for operating the photosensitive drum of the printer is stopped. In step 516, the control unit 111 checks whether the key input signal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113 is a printer key. When the test result print key is input, the control unit 111 proceeds to step 518, and if not, proceeds to step 526 to perform a corresponding function. In step 518, the controller 111 compares the counted time with the set time. If the counted tim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tim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20. If the counted time is less than the set tim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522. The control unit 111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transistor Q1 to apply a predetermined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in step 520. The control relay CR1 is operated by the output control signal, and the surface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10 is restored by the zener diode D1 by the operation.

따라서 상기 제어부 111은 522단계에서 프린트 동작을 수행할 경우 상기 감광드럼 10으로 현상제가 유입되지 못하므로 화상정보를 프린트하는 용지에 흑띠를 형성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 111은 524단계에서 프린트터가 종료되었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프린트가 종료되지 않으면 522단계의 과정을 계속적으로 반복 수행한다.Therefore, when the print operation is performed in operation 522, the controller 111 may prevent the developer from flowing into the photosensitive drum 10, thereby preventing a black strip from being formed on the paper for printing imag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11 checks whether the printer is finished in step 524. If the printing is not finished, the control unit 111 continuously repeats the process of step 522.

상술하 바와같이 상기 프린터가 동작이 설정시간동안 중단되었을 경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감광드럼에 전위를 회복시켜 줌으로써 상기 비정상적인 흑띠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of the printer is interrup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abnormal black band can be prevented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to restore the electric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drum.

Claims (4)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기준전위 제어 회로에 있어서,In the photosensitive drum reference potential control circu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화상을 형성하는 감광드럼에 기준전위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접지 사이에 정전압을 인가하는 제너다이오드를 연결하고,Connect a zener diode applying a constant voltage between the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reference potential and the ground to the photosensitive drum to form an image, 상기 제너다이도드와 병렬로 컨트롤 릴레이 스위치의 에이 접점에 연결하여 접지하고,It is connected to the A contact of the control relay switch and grounded in parallel with the zener diode, 상기 컨트롤 릴레이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릴레이 코일을 전압 인가단과 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 사이에 연결하고,A relay coil for controlling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control relay is connected between a voltage applying end and a collector end of the transistor,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단은 접지하며 베이스단은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연결하여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을 중단후 재사용시 상기 감광드럼에 소정의 전위를 공급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기준전위 제어회로.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grounded, and the base terminal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upplies a predetermined potential to the photosensitive drum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stopped for reuse for a predetermined time. A reference potential control circuit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컨트롤 스위치를 보호하기 위해 스위치단과 병렬로 직렬 연결된 저항과 캐패시터를 연결하고,Connect a resistor and a capacito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witch stage to protect the control switch, 상기 컨트롤 스위치의 릴레이부 보호를 위해 역방향 다이오드를 연결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기준전위 제어회로.The photosensitive drum reference potential control circuit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reverse diode to protect the relay portion of the control switch.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기준전위 제어 방법에 있어서,In the photosensitive drum reference potential control method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프린트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 동작 종료시점부터 시간을 카운트하는 과정과,Counting time from the end of the operation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oes not perform a print operation; 프린트 요구시 상기 카운트된 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과정과,Comparing the counted time with a set time when a print request is made; 상기 비교결과 상기 카운트된 시간이 상기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의 표면전위 회복 제어회로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기준전위 제어 방법.And a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a surface potential recovery control circuit of the photosensitive drum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hen the counted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t time.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었다가 다시 온될 경우 상기 표면전위 회복 제어회로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감광드럼의 표면전위를 회복하는 방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기준전위 제어 방법.And a method for restoring the surface potential of the photosensitive drum by applying a control signal to the surface potential recovery control circuit whe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is turned off and then on again. Potential control method.
KR1019970043768A 1997-08-30 1997-08-30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erence electric potential of photoconductive drum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2422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768A KR100242299B1 (en) 1997-08-30 1997-08-30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erence electric potential of photoconductive drum in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3768A KR100242299B1 (en) 1997-08-30 1997-08-30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erence electric potential of photoconductive drum in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308A KR19990020308A (en) 1999-03-25
KR100242299B1 true KR100242299B1 (en) 2000-02-01

Family

ID=1951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3768A KR100242299B1 (en) 1997-08-30 1997-08-30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erence electric potential of photoconductive drum in image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29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0308A (en) 199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1085A (en) Fuser control circuit for copying apparatus
US584517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rotatable charging brush with varying charging voltage
US571797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C current controlled contact charging
JP55388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0181136B1 (en) Cleaning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y processor
KR100228804B1 (en) Charging device using contact charging i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37109A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device and method for deciding charging voltage
KR100291421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residual toner of image forming device
KR100242299B1 (en)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ference electric potential of photoconductive drum i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19408B1 (en) Charge voltage controller of image formation apparatus
JP3279416B2 (en) Electrophotographic equipment
JP3059324B2 (en)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equipment
KR100238671B1 (en) Method for toner withdrawing and apparatus of image forming device for electro photographic processor
KR100517494B1 (en) Voltage supply of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equipment
KR100987752B1 (en) apparatus for Power control Fusing lamp in Image Forming Device
US5960235A (en) Method for preventing contamination of photosensitive drum
KR100541446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274637B1 (en) Method and apparatus clining of electronic image forming device
JPH11311892A (en) Image forming device
JP2002108154A (en) Electrophotographic device
KR20000014927A (en) Method for removing a residual toner of a picture forming apparatus
KR950019984A (en) Development bias supply method of laser beam printer and its device
KR19990029547U (en)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high voltage protection device
JP2000010383A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H0339767A (en) Electrostatic cop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