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2068B1 - Frequency-dependent type apex locator - Google Patents

Frequency-dependent type apex loc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2068B1
KR100242068B1 KR1019980004069A KR19980004069A KR100242068B1 KR 100242068 B1 KR100242068 B1 KR 100242068B1 KR 1019980004069 A KR1019980004069 A KR 1019980004069A KR 19980004069 A KR19980004069 A KR 19980004069A KR 100242068 B1 KR100242068 B1 KR 100242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canal
frequency
detector
circuit
kh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40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69678A (en
Inventor
김덕원
이승종
Original Assignee
이승종
김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종, 김덕원 filed Critical 이승종
Priority to KR101998000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2068B1/en
Publication of KR19990069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6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2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206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1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of a 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5For evaluating or diagnosing the musculoskeletal system or teeth
    • A61B5/4538Evaluating a particular part of the muscoloskeletal system or a particular medical condition
    • A61B5/4542Evaluating the mouth, e.g. the jaw
    • A61B5/4547Evaluating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ntist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 의존형 전자 근관장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근관장 검출기에서 사용하는 신호의 주파수 선택에 있어서, 근관장을 더 정확히 측정하는 주파수를 특정하고, 특히 출혈이나 기타 근관세척제 등으로 인한 오차를 전압차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는 주파수 의존형 전자 근관장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dependent electron canal length detector, and in selecting a frequency for a signal used in the canal length detector, to specify a frequency for measuring the canal length more precisely, and in particular, an error due to bleeding or other root canal clea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 dependent electron root canal detector that can be corrected using a difference.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 의하면, 본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 따라 500㎐와 10㎑의 주파수를 사용할 때가 400㎐와 8㎑(종래의 근관장 검출기에서 사용)이나 300㎐와 5㎑의 주파수를 사용할 때에 비해 더 정확하게 근관장을 측정할 수 있고, 발진부, 합산회로, 정전류회로, 탐침(Probe) 및 입술클립(Lip Clip), 복조부, 아날로그 디바이더(임피던스비 계산)로 구성된 종래의 근관장 검출기에 차동증폭기, 비교기, 복호기(decoder), NAND 게이트로 구성된 전압차를 이용하여 자동보정하는 보정회로를 더 포함하므로써 근관장 측정시에 근관내 용액의 변화에 대한 오차를 최소화하여 더 정확하게 근관장을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length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length detector uses 400 kHz and 10 kHz when using frequencies of 500 kHz and 10 kHz (used in conventional root canal length detectors) or 300 kHz and 5 kHz. It is possible to measure root canal length more accurately than when using frequency, and is composed of oscillator, summing circuit, constant current circuit, probe and lip clip, demodulator, and analog divider (impedance ratio calculation) The root canal detector further includes a correction circuit for automatic correction using a voltage difference consisting of a differential amplifier, a comparator, a decoder, and a NAND gate, thereby minimizing errors in changes in the canal solution during root canal measurement. Root canal length can be detected.

Description

주파수 의존형 전자 근관장 검출기Frequency-dependent Electron Root Canal Detector

본 발명은 주파수 의존형 전자 근관장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 근관장을 더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근관장 검출기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를 참조하여 특정 주파수를 선택하고, 특히 출혈이나 기타 근관세척제 등으로 인한 오차를 전압차를 이용하여 보정할 수 있도록 보정회로가 부가된 주파수 의존형 전자 근관장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dependent electron root canal detector, in order to measure the root canal length more accurately by referring to the frequency used in the conventional root canal detector to select a specific frequency, in particular the error caused by bleeding or other root canal cleaner, such as volta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quency-dependent electron root canal detector with a correction circuit added to enable correction using a difference.

근관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적절한 물리화학적인 세정으로 치근단 조직의 손상없이 근관을 삼차원적으로 밀폐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정확한 근관장의 결정이 중요하며 이상적인 근관형성과 충전의 한계는 해부학적으로 근관의 가장 가는 부위인 근협착부이다. 이에 따라 정확한 근관장의 결정을 위해 근관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실험이 다양하게 행해져 왔다. 그 다양한 실험들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or the success of root canal treatment, proper physicochemical cleaning should seal the root canal in three dimensions without damage to the root canal tissue. For this purpose, accurate root canal determination is important, and the limit of ideal root canal formation and filling is anatomically the lowest. This is the site of muscle stenosis. Accordingly, various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to accurately measure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The various experiments are outlined as follows.

근관의 길이를 측정하는 방법에는 전통적으로 X-ray방법이 있으나, 이는 와이어(wire)를 근관에 삽입하여 촬영한 후에 필름 상에서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구한다. 이 방법은 근관의 근사한 가상 구조 이미지(virtual structure image)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으나, 우선 시간이 많이 걸리며 3차원 영상을 2차원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만곡이 심한 근관에서의 정확한 측정이 어렵다(Imao Sunada,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J.D.Res., pp 375-387, March-April, 1962).The method of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has traditionally been an X-ray method, but after obtaining a wire inserted into the root canal, the relative length of the film is obtained.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 of providing an approximate virtual structure image of the root canal, but first of all it takes a lot of time and it is difficult to make accurate measurements in severely curved root canals because it expresses three-dimensional images in two dimensions (Imao Sunada, ″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 JDRes., Pp 375-387, March-April, 1962).

근관장 검출기의 원리는 1942년 Suzuki에 의해 최초로 발표되어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임상에 도입되기 시작하였다. 최초에 나온 이 방법은 근관장(root canal)과 치주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여 근관장의 근첨부위(apex)를 찾는 저항 측정법이었다. 이 방법은 사용이 간편하나 사용전 보정(calibration)이 필요하고 근관장이 건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Imao Sunada,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J.D.Res., pp 375-387, March-April, 1962).The principle of the root canal detector was first published by Suzuki in 1942 and was not introduced into the clinic until the 1970s. The first method was to measure the resistance between the root canal and periodontal to find the apex of the root canal. This method is simple to use, but requires a calibration before use and has the disadvantage of drying the root canal (Imao Sunada, ″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 JDRes., Pp 375-387, March-April, 1962).

초기에 Sunada에 의해 개발된 전자 근관장 검출기에서는 리머(reamer)가 근관을 통해 치근단치근막(periodontal membrane)에 도달했을 때, 리머와 구강 점막(oral mucosa)간의 전기저항이 환자의 나이, 치아의 모양, 관(canal)의 직경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이론을 바탕으로 전기저항을 이용한 측정방법이 제시되었다. 이것으로써 방사선 촬영을 하기전에 근사치 측정을 가능하게하여 전체 시술시간을 절약했으며 만곡된 근관이나 비정상적인 치근단공을 가진 치아에서도 비교적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상대적으로 건조한 근관에서는 정확성이 유지되었지만 출혈이나 기타 근관세척제 등의 전해질 용액(conductive fluid)이 있는 상태에서는 짧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었다(Imao Sunada,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J.D.Res., pp 375-387, March-April, 1962).In the early electron canal length detector developed by Sunada, when the reamer reached the periodontal membrane through the root canal, the electrical resistance between the reamer and the oral mucosa affected the patient's age and the shape of the tooth. Based on the theory that the diameter is constant regardless of the diameter of the canal, a measurement method using electrical resistance has been proposed. This saves the overall procedure time by making approximate measurements before radiography and allows for relatively accurate measurements even on teeth with curved root canals or abnormal root canals. However, this method maintained accuracy in relatively dry root canals, but tended to be shorter in the presence of bleeding or other conductive fluids such as root canal cleaners (Imao Sunada, ″ New Method for Measuring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JDRes., Pp 375-387, March-April, 1962).

1984년, Ushiyama는 근관내에 강한 전해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근관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전압요소법(voltage gradient method)를 발표하였다(J. Ushiyama, ″New principl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oot canal length″, J.Endo., 9 : 97-104, 1983). 이는, 근관내에 전류를 흐르게 한 뒤, 근관벽을 따라 일어나는 전압의 감소(voltage drop)를 측정하는 것으로, 전류의 밀도(density)가 근관의 가장 좁은 부위인 근첨협착부에서 가장 높으며, 치근단공 부위에서 가장 낮다는 이론에 근거하여 근관장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특별히 고안된 양전극(bipolar electrode)의 사용이 좁은 근관에서는 적절치 못했고, 번거로운 단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지는 못하였다.In 1984, Ushiyama published a voltage gradient method that can accurately measure root canal length even in the presence of strong electrolytes in the root canal (J. Ushiyama, ″ New principl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oot canal length). ″, J. Endo., 9: 97-104, 1983). This is a measure of the voltage drop along the root canal wall after the current flows in the root canal, the density of the current being highest in the root stenosis, the narrowest part of the root canal, and at the root canal area. It is a method of measuring root canal length based on the lowest theory. However, the use of a specially designed bipolar electrode was not appropriate in a narrow canal, and it was cumbersome and thus not widely used.

그 후에 치아의 근단부(apical region)에서 전기 임피던스(electrical impedance)의 변화를 측정하는 임피던스 방법이 나오게 되었다. 이 방법의 원리는, 근관장을 직경이 작고 속이 비어 있는 관이라고 볼 때, 이러한 물질은 전해질(electrolyte) 내에서 임피던스가 생긴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절연된 탐침(probe)을 사용하여 습한(wet) 상태에서도 측정이 가능하고, 정확도도 94.3%로 높으나, 절연 탐침을 사용해야만 하고 사용전 정확한 보정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Then came the impedance method of measuring the change in electrical impedance in the apical region of the tooth. The principle of this method is that when the root canal is regarded as a small diameter and hollow tube, this material creates an impedance in the electrolyte. This method can be measured even in wet conditions using an insulated probe and has a high accuracy of 94.3%, but has the disadvantage of using an insulated probe and requiring accurate calibration before use.

근관내 전해질 용액 존재 시에도 측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어 왔는데, 엔도케이터(Endocater ; 상품명)의 경우는 절연 코팅된 탐침(probe)을 사용하여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였다(N. J. McDonald and Eric J. Hovland, ″An Evaluation of the Apex Locater Endocater″, Journal of Endodontics, vol.16, No.1, pp. 5-8, Jan. 1990). 그러나 이 방법은 전해질 용액(conductive fluid)이 존재하는 습한 근관에서도 측정이 가능함을 보였으나 탐침의 절연 코팅이 손상되면 측정이 달라지는 문제점을 제기하였다.Sever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allow measurements even in the presence of an electrolyte solution in the root canal. In the case of Endocater (trade name), an insulation coated probe is used to compensate for this defect (NJ McDonald). and Eric J. Hovland, ″ An Evaluation of the Apex Locater Endocater ″, Journal of Endodontics, vol. 16, No. 1, pp. 5-8, Jan. 1990). However, this method has been shown to be able to measure even in a wet root canal in the presence of an electroconductive fluid, but the problem arises when the probe's insulating coating is damaged.

임피던스(Impedance)를 이용한 측정 방법 중에서 그 다음에 상품화된 아피트(Apit ; 상품명)는 서로 다른 두 신호의 차이를 이용해서 근관의 길이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것으로 전해질 용액이 존재하는 습한 근관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며 파일(file)의 크기나 근단공(apical foramen)의 크기에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T.Saito and Y.Yamashita, ″Electronic Determination Of Root Canal LengthBy Newly Developed Measuring Device″, Dentistry in Japan, vol.27, pp.65-72, Dec., 1990). 그러나 이 방법의 가장 큰 단점은 매번 측정하는 근관마다 보정(calibration)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Among the measurement methods using impedance, Apit (trade name), then commercialized, measures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different signals. This makes it possible to measure even in wet root canals with electrolyte solutions and is not affected by the size of the file or the size of the apical foramen (T.Saito and Y. Yamashita, ″ Electronic Determination Of Root Canal LengthBy Newly Developed Measuring Device '', Dentistry in Japan, vol. 27, pp. 65-72, Dec., 1990). The biggest drawback of this method, however, is that it requires calibration every time the root canal is measured.

최근에 개발된 검출기(Root ZX)는 주파수 의존형으로서 두 개의 주파수 신호를 동시에 가하여 얻은 근관에서의 두 개의 임피던스 값의 비율로써 근첨부위(apex)를 찾는 방법으로 측정시 개개 근관의 보정이 필요없으므로 측정이 용이하고 근관내의 전해질에 영향을 받지않고 근관장이 건조한 상태이건 습한 상태이건 측정이 가능하다. 근단공(apex foramen)에서 커패시턴스(capacitance) 성분이 존재하여 사용한 두 주파수 신호에 의해 전극간 임피던스가 생기게 되고, 파일이 삽입된 상태에서 이 두 임피던스 비는 근관내 특정위치에서 일정하다. 건조한 근관과 습한 근관에서의 임피던스 변화는 비율이 같으므로 두 주파수의 파형에 의한 임피던스 비를 계산하여 측정의 정확도가 근관(canal)내의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게 한다. (J.Morita Corporation, Root ZX sales manual vol.2) (C.Kobayashi and H.Suda, ″New Electronic Ca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The Raio Method″, Journal of Endodontics, vol.20, No.3, pp.111-114, Mar. 1994).The recently developed detector (Root ZX) is frequency dependent and finds the apex as a ratio of two impedance values in the root canal obtained by applying two frequency signals simultaneously. It is easy to measure and can be measured whether the root canal is dry or wet without being affected by electrolyte in the root canal. In the apex foramen, a capacitance component is present in the apex foramen, resulting in an impedance between the electrodes due to the two frequency signals used. In the state where the pile is inserted, the ratio of the two impedances is constant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root canal. Since the impedance change in the dry and wet root canals is the same ratio, the impedance ratio due to the waveform of the two frequencies is calculated so that the accuracy of the measurement is not affected by the conditions in the canal. (J. Morita Corporation, Root ZX sales manual vol. 2) (C. Kobayashi and H. Suda, ″ New Electronic Ca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The Raio Method ″, Journal of Endodontics, vol. 20, No. 3, pp. 111-114, Mar. 1994).

이상으로 보아 주파수 의존형 검출기 방법이 사용의 편리성이나 근관내 전해질의 영향에 대해서 가장 우수하나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는 제품에 따라 사용하게 되는 두 개 신호의 주파수가 다르고, 실제로 임상에서 사용될 때는 근관내의 내용물이나 미완성치근단에서 약간의 오차를 보이므로 전해질 용액간에 발생되는 임피던스비율의 차이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In conclusion, the frequency-dependent detector method is the best in terms of ease of use and the effect of the endotracheal electrolyte. However,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differs in the frequency of the two signals used by the product. It is necessary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the impedance ratio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lyte solutions because there is a slight error in the contents or the incomplete roo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서 더 정확하게 근관장을 검출할 수 있는 두 개의 선택 주파수를 특정하고, 또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 있어서 실제로 임상에서 사용될 때 근관내의 전해질 용액간에 발생되는 임피던스비율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어떠한 용액의 상태에서도 정확한 근단공을 찾을 수 있도록 하고자 전압차를 이용하여 자동보정할 수 있는 자동보정회로가 부가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y two selective frequencies that can more accurately detect the root canal length in a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nd also the impedance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root canal when actually used in clinical practice in the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In order to minimize the difference in the ratio to find the correct near-end hole in any solution state, to provide a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with an automatic correction circuit that can be automatically corrected using the voltage difference.

도 1은 일반적인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general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회로도 중 발진부와 합산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2A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scillator and a summation circuit in a circuit diagram of a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회로도 중 정전류회로와 복조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2B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constant current circuit and a demodulator in a circuit diagram of a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회로도 중 오프셋과 이득조정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2C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n offset and a gain adjusting unit in a circuit diagram of a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d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회로도 중 필터부와 차동증폭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2D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filter unit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in a circuit diagram of a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e는 본 발명에 의한 보정회로를 포함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회로도 중 보정회로부분을 나타낸 회로도이다.Figure 2e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ortion of the correction circuit of the circuit diagram of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including the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f는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회로도 중 출력부와 입력전원부를 나타낸 회로도이다.2F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output unit and an input power supply unit among circuit diagrams of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를 치아모델에 적용하여 근관장을 측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for measuring root canal length by applying a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a tooth mode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피던스차를 이용한 자동보정을 하기전에 일반적인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를 이용한 치아모델 실험에서의 근관장 측정시 저주파수 신호의 전압값과 고주파수 신호의 전압값과의 차이 및 그때의 측정오차를 기록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4 shows the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value of the low frequency signal and the voltage value of the high frequency signal during the root canal measurement in the dental model experiment using a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before the automatic correction using the imped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gure which shows the result of recording a measurement error.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보정회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발진부 11. 합산회로10. Oscillator 11.Summing circuit

12. 정전류회로 13. 탐침(Probe)12. Constant Current Circuit 13. Probe

14. 입술클립(Lip Clip) 15. 복조부14. Lip Clip 15. Demodulator

16,17. 전압측정부 18. 아날로그 디바이더16,17. Voltage Measuring Unit 18. Analog Divider

19. 아날로그 미터 20. 발진부19. Analog meter 20. Oscillator

21. 합산회로 22. 정전류회로21. Summing circuit 22. Constant current circuit

23. 복조부 24. 오프셋과 이득조정부23. Demodulator 24. Offset and gain adjuster

25. 필터부 26. 나눗셈 연산부25. Filter unit 26. Division operation unit

27. 차동증폭기 28. 보정회로27. Differential amplifier 28. Correction circuit

29. 출력부 30. 입력전원부29. Output section 30. Input power section

31. 근관장검출기(Apex locator) 32. 탐침31. Apex locator 32. Probe

33. 입술클립(Lip Clip) 34. 파일(file)33. Lip Clip 34. File

35. 생리식염수(saline) 36. 치아35. Saline 36. Teeth

본 발명에 의하면 발진부, 합산회로, 정전류회로, 탐침(Probe) 및 입술클립(Lip Clip), 복조부, 아날로그 디바이더(analog divider ; 임피던스비 계산)로 구성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서 입력신호로 쓰이게 되는 두 신호의 주파수를 다르게 사용하여 근관장 검출실험을 하므로써 근관장의 측정오차가 가장 작은 두 주파수를 선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n input signal in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consisting of an oscillator, summing circuit, constant current circuit, probe and lip clip, demodulator, analog divider (analog divider calculation) The root canal length detection experiment using different frequencies of the two signals is used to select the two frequencies with the smallest measurement errors.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발진부, 합산회로, 정전류회로, 탐침(Probe) 및 입술클립(Lip Clip), 복조부, 아날로그 디바이더로 구성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 부가하여 측정오차를 자동적으로 보정하기 위해 차동증폭기, 비교기, 복호기, NAND 게이트로 구성된 보정회로를 더 포함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asurement error is automatically corrected in addition to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consisting of an oscillator, a summation circuit, a constant current circuit, a probe, a lip clip, a demodulator, and an analog divider. A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is provided that further includes a correction circuit consisting of a differential amplifier, a comparator, a decoder, and a NAND gate.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회로는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정현파를 발생시키는 발진부에서는 500㎐와 10㎑의 주파수 신호를 사용하고, 전해질 용액에 따라 생기는 오차를 자동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회로가 더 포함된 구성으로, 전체회로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부(20), 합산회로/정전류회로(21), 복조부(22), 오프셋과 이득조정부(23), 필터부(24), 나눗셈연산부(25), 보정회로(26), 출력부(27), 입력전원부(28)로 구성된다. 이 회로의 작동을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회로도인 도 2a 내지 도 2c를 참고로 설명한다.The circuit of the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frequency signal of 500 Hz and 10 Hz in the oscillator generating the sine wave according to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rrection circuit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error caused by the electrolyte solution. 2A to 2C, the entire circuit includes the oscillator 20, the summation circuit / constant current circuit 21, the demodulator 22, the offset and gain adjuster 23, and the filter. A unit 24, a division operation unit 25, a correction circuit 26, an output unit 27, and an input power supply unit 28. The operation of this circu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C, which are circuit diagrams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발진부(20)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1과 U2의 ICL8038(Intersil)은 펑션 제너레이터(function generator)로써 높은 정확도의 정현파, 삼각파, 구형파를 출력하며, 주파수 대역 또한 0.001㎐ - 300㎑로 넓다. ICL8038의 출력파형은 다음과 같은 주파수를 갖는다.In the oscillator 20, as shown in FIG. 2A, the ICL8038 (Intersil) of U1 and U2 is a function generator that outputs high accuracy sinusoidal, triangular, and square waves, and also has a frequency band of 0.001 kHz to 300 kHz. Wide as The output waveform of the ICL8038 has the following frequencies.

여기서 U1의 경우 R1, R2, C1은 주파수를 결정하는 외부소자로서 R1=R2이면 가 되어 원하는 10㎑의 정현파가 발생되도록 C1=1nF일 때 저항값을 가변하여 조정한다. pin1과 12에 연결된 가변저항(R3, R6)과 저항(R4, R5)은 정현파의 왜곡을 최소화한다. pin2는 정현파, pin3은 삼각파, pin9는 구형파의 출력을 내며 여기서는 정현파의 출력만을 가변저항(R13)을 이용하여 피크값이 1Vp가 되도록 조정한다. 이 신호는 버퍼를 거친 후 합산회로의 입력으로도 쓰이고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400mVp로 감소시켜 복조기의 캐리어 신호로도 사용한다.In the case of U1, R1, R2, and C1 are external devices that determine the frequency. Adjust the resistance value when C1 = 1nF so that the desired sinusoidal wave of 10㎑ is generated. Variable resistors (R3, R6) and resistors (R4, R5) connected to pins 1 and 12 minimize the distortion of the sine wave. Pin2 is a sine wave, pin3 is a triangular wave, and pin9 is a square wave output. Here, only the output of the sine wave is adjusted to have a peak value of 1Vp using a variable resistor (R13). This signal is used as the input of the summing circuit after passing through the buffer and reduced to 400mVp by using a variable resistor, and is also used as a carrier signal of the demodulator.

U2에서도 같은 방법으로 500㎐의 정현파가 나오도록 C2=0.047㎌과 가변저항 R7,R8로써 조정한다.In U2, adjust with C2 = 0.047㎌ and variable resistors R7, R8 so that 500 sine wave comes out.

그 다음으로, 합산회로(21)에서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발진부에서 얻은 피크값이 1Vp인 500㎐와 10㎑의 신호는 각각 100㏀ 저항을 거쳐 U5B에서 합산되어 변조된다. 이 신호가 정전류회로를 거쳐 파일을 통해 입력될 신호이며 이때 U5B의 피드백저항인 100㏀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다시 출력을 제한할 수 있게 하였다.Next, in the summing circuit 21, as shown in Fig. 2A, the signals of 500 Hz and 10 Hz, each having a peak value of 1 Vp, are summed and modulated at U5B via a 100 Hz resistance. This signal is a signal to be input through a file through a constant current circuit, and at this time, the output can be limited again by using a 100㏀ variable resistor which is a feedback resistor of U5B.

정전류회로(22)에서는, 도 2b에서 U6이 정전류회로로 쓰였으며 이 회로에서 부하에 흐르는 전류(IL)는 Op-amp의 정입력(V+)과 부입력(V-)의 전압에 의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In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22, U6 is used as a constant current circuit in FIG. 2B, and the current I L flowing through the load in this circuit is caused by the voltages of the positive input (V + ) and the negative input (V ) of the op-amp. It is determined as follows.

이때의 출력은 VOUTPUT= 2VL-V-이다.Output at this time is V OUTPUT = 2V -V L - a.

따라서 부입력을 접지시켜 입력을 0으로 하면 부하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는 정입력의 크기에 의해서만 결정되며 출력으로 정전류회로를 통과한 변조된 신호가 나온다. 따라서 이때 얻은 두 주파수 신호의 전압변화를 각각 복조하여 얻은 후 비를 구하면 임피던스비와 같은 결과이다.Therefore, if the negative input is grounded and the input is zer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flowing to the load is determined only by the magnitude of the positive input, and the output is a modulated signal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Therefore, after demodulating the voltage changes of the two frequency signals obtained at this time, the ratio is obtained as the impedance ratio.

파일을 통해 부하에 흐르게 될 전류의 세기는 R=100㏀일 때 입력신호의 피크값이 1Vp이더라도 10㎂이하이며 R19를 가변하여 전류의 세기를 조정한다. 이렇게 변조된 신호의 2배가 되는 U6의 출력신호를 저역통과필터와 고역통과필터를 통과시켜 노이즈를 제거한 뒤 버퍼를 거친 후 각각의 복조기 입력이 된다.The intensity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ile to the load is less than 10kV even when the peak value of the input signal is 1Vp when R = 100kV. The output signal of U6, which is twice as large as the modulated signal, passes through the low pass filter and the high pass filter to remove noise, passes through a buffer, and then inputs each demodulator.

저역통과필터 차단 주파수 : Lowpass Filter Cutoff Frequency:

고역통과필터 차단 주파수 : High pass filter cutoff frequency:

도 2b의 복조부(23)에서는, MC1496(U7,U8)에 의해 변조된 신호가 복조되어 각각 두 주파수 별로 전압의 변화가 출력된다. 여기서 캐리어 신호는 ICL8038에서 최종적으로 얻은 정현파를 각각 가변저항을 통과시켜 U3B와 U4B에서 400㎷p의 신호를 만든다. 출력전압은 입력신호와 캐리어 신호의 곱에 비례하여 결정된다. 회로의 이득은 저항 Re(R30과 R41)와 외부저항 RL(R34, R35, R45, R46)에 의해 결정된다.In the demodulator 23 of FIG. 2B, the signal modulated by the MC1496 (U7, U8) is demodulated, and a change in voltage is output for each of two frequencies. In this case, the carrier signal passes the sine wave finally obtained by ICL8038 through the variable resistor, respectively, to generate a signal of 400㎷p at U3B and U4B. The output voltage is determined in proportion to the product of the input signal and the carrier signal. The gain of the circuit is determined by the resistors Re (R30 and R41) and the external resistors R L (R34, R35, R45 and R46).

도 2c에 도시된 오프셋과 이득조정부(24)에서는, 복조기의 출력은 각각의 주파수별로 이득이 다르기 때문에 부하가 순수한 저항만으로 연결되었을 때, 출력이 같게 나오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우선 각각의 출력전압의 오프셋을 가변저항 R50과 R60으로 부하의 저항성분이 '0'일 때 출력전압이 '0'이 되도록 조정한 후 부하측에 연결한 가변저항이 10㏀일 때 출력전압이 각각 10V가 되도록 이득을 R53과 R63을 이용해 조정한다. 이때 부하에 저항성분만 연결되었을 때 두 출력전압이 같도록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In the offset and gain adjuster 24 shown in Fig. 2C, since the output of the demodulator has a different gain for each frequenc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output so that the output is the same when the load is connected only with pure resistance. First, adjust the offset of each output voltage with the variable resistors R50 and R60 so that the output voltage is '0' when the resistance component of the load is '0', and then the output voltage is 10V when the variable resistor connected to the load is 10㏀. Adjust the gain using R53 and R63 so that In this case, it is important to adjust the two output voltages when the resistance is connected to the load.

그 다음으로 도 2d에 도시된 필터부(25)에서는, 복조기에서 출력된 신호가 오프셋조정과 증폭을 거치면서 생기는 노이즈와 왜곡을 저역통과필터로 제거한다. 이때 차단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Next, the filter unit 25 shown in FIG. 2D removes noise and distortion generated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through offset adjustment and amplification by a low pass filter. The cutoff frequency is as follows.

도 2d의 나눗셈연산부(26)에서는, 복조기를 통해 얻은 두 신호의 전압의 비를 얻기 위해 나눗셈 연산기를 이용하는데 U13(MPY100)을 이용한다. 이 소자는 차동입력으로 곱하기, 나누기, 제곱, 제곱근 등의 연산이 가능하다. 나눗셈을 위한 회로 결선에서의 출력은 이며, 여기서는 Z1 = X2 = Y1 = 0으로 하고, 500㎐신호의 전압변화를 X1으로 100㎑신호의 전압변화를 Z2로하여 두 신호의 임피던스비의 10배가 되는 값이 출력되도록 한다.In the division operation unit 26 of FIG. 2D, U13 (MPY100) is used to use a division operator to obtain a ratio of voltages of two signals obtained through the demodulator. The device can multiply, divide, square, or square root with differential inputs. The output at the circuit connection for division is In this case, Z1 = X2 = Y1 = 0, and the voltage change of the 500 kHz signal is X1 and the voltage change of the 100 kHz signal is Z2 so that a value 10 times the impedance ratio of the two signals is output.

도 2e에 도시된 보정회로(28)에서는, 상기 복조부(23), 오프셋과 이득조정부(24), 필터부(25)를 거쳐 얻은 두 신호를 차동증폭기(U14)(27)를 통해 두 신호의 전압차(VL-VH)를 구한다. 이 신호를 비교기(LM358)의 정, 부입력으로 하고, R72, R73, R74를 이용한 전압배분에서 얻은 전압 2.4V와 0.6V를 각각 다른 입력으로 하여 비교기 동작을 시킨다. 비교기 출력은 다음단의 디지털 신호입력으로 쓰이기 위해 전압배분한다. 따라서 복호기(74LS139)의 입력은 전압차에 따라 다음 표 1과 같고 그에 따른 출력은 표 2와 같다.In the correction circuit 28 shown in FIG. 2E, two signals obtained through the demodulator 23, the offset and gain adjuster 24, and the filter unit 25 are converted into two signals through the differential amplifiers U14 and 27. Find the voltage difference (VL-VH). The signal is used as the positive and negative inputs of the comparator LM358, and the comparator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voltages 2.4V and 0.6V respectively obtained by voltage distribution using R72, R73, and R74 as different inputs. The comparator output is voltage-distributed for use as the next digital signal input. Accordingly, the input of the decoder 74LS139 is shown in Table 1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and the output thereof is shown in Table 2.

전압차 범위Voltage difference range 복호기의 입력Input of decoder AA BB 2.4V이상2.4V or more HH LL 0.6V - 2.4V0.6V-2.4V LL LL 0.6V이하0.6V or less LL HH

복호기(74LS139)의 진리표Truth table of decoder (74LS139) Enable(1)Enable (1) A(2)A (2) B(3)B (3) Y0(4)Y0 (4) Y1(5)Y1 (5) Y2(6)Y2 (6) Y3(7)Y3 (7) HH XX XX HH HH HH HH LL LL LL LL HH HH HH LL HH LL HH LL HH HH LL LL HH HH HH LL HH LL HH HH HH HH HH LL

이 복호기의 출력(Y0, Y1, Y2, Y3)은 NAND게이트를 거쳐 각각의 전압범위에서 하나의 출력만 하이(H : high)가 되게 한다. 보정신호는 U19B에서의 전압과 합산(U19D)을 하여 얻게 되는데 U19D의 피드백 저항을 고정시키고 전압차 범위에 따른 각각의 출력에 따라 입력저항을 달리하여 이득이 다른 전압을 합산한다. 보정신호의 최종출력(U19D의 14번)은 U19B의 가변저항 R85를 조정하여 전압차 범위가 0.6-2.4V 일 때에 0이 되게 하면, 0.6V이하일 때는 +0.8V, 2.4V이상일 때는 -0.8V가 나온다.The outputs Y0, Y1, Y2, and Y3 of the decoder cause only one output to be high in each voltage range through the NAND gate. The correction signal is obtained by summing up the voltage in U19B (U19D). The feedback resistance of U19D is fixed, and the input gain is changed by varying the input resistance according to each output accor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range. The final output of the correction signal (No. 14 of U19D) should be adjusted to 0 when the voltage difference range is 0.6-2.4V by adjusting the variable resistor R85 of U19B, + 0.8V when below 0.6V, and -0.8V above 2.4V. Comes out.

상기 보정회로(28)에서 MPY100에 의해 구해진 임피던스비와 전압차를 비교기를 통해 얻은 보정값을 합산한 결과가 출력부(아날로그 미터)(29)에서 출력된다. 결과의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하여 가변저항을 이용하여 오프셋(R93)과 이득(R92)을 조정한다.In the correction circuit 28, a result obtained by summing the correction value obtained through the comparator by the impedance ratio and the voltage difference obtained by the MPY100 is output from the output unit (analog meter) 29. To adjust the scale of the result, a variable resistor is used to adjust the offset (R93) and the gain (R92).

전체 회로의 전원공급은 입력전원부(30)에서 DC-DC변환기를 이용하여 전원을 분리한다.The power supply of the entire circuit is separated from the input power supply unit 30 using a DC-DC convert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는 임피던스 측정장치이고, 이 측정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본적으로 발진부(10), 합산회로(11), 정전류회로(12), 탐침(Probe)(13) 및 입술클립(Lip Clip)(14), 복조부(15), 아날로그 디바이더(analog divider)(18)(도 1에서 임피던스비 계산에 해당)로 구성된다. 사용하게 될 파형으로 ICL8038(function generator)을 이용하여 정전압 파형을 얻고, 치아에 흐르게 되는 전류는 정전류 회로(12)를 사용하여 10μA이하로 제한 한다. 상기 회로구성에서 설명했듯이, 복조부(15)에서 발진 주파수를 제거하기 위해 평형 복조기를 이용하여 전압값을 얻어내며, 아날로그 디바이더(18)를 통해 정전류 회로를 통한 두 전압값의 비가 임피던스 비로 된다. 임피던스 비는 아날로그 디바이더(18)의 스케일(Scale)을 10으로 하여 계산되고 이 결과에 두 신호의 전압차를 이용한 보정회로의 결과가 합산되어 출력은 미터기의 눈금으로 표시된다.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n impedance measuring device, which is basically an oscillator 10, a summation circuit 11, a constant current circuit 12, a probe (as shown in FIG. 1). A probe 13, a lip clip 14, a demodulator 15, and an analog divider 18 (corresponding to the impedance ratio calculation in FIG. 1). As a waveform to be used, a constant voltage waveform is obtained using ICL8038 (function generator), and the current flowing to the teeth is limited to 10 μA or less using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12. As described in the above circuit configuration, the demodulator 15 obtains a voltage value by using a balanced demodulator to remove the oscillation frequency, and the ratio of the two voltage values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through the analog divider 18 becomes the impedance ratio. The impedance ratio is calculated by setting the scale of the analog divider 18 to 10, and the result of the correction circuit using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s is added to the result, and the output is displayed by the scale of the meter.

근관장 검출기에서 사용되는 측정 주파수와 임피던스의 관계는 낮은 측정주파수 일수록 파일의 두께가 임피던스 크기에 주는 영향이 크다. 그러므로 파일의 크기에 따른 측정오차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수 ㎑이상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다.The lower the measurement frequency,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the pile thickness on the impedance level.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measurement error according to the file size, it is better to measure more than several micrometers.

근관내 탐침의 깊이에 따른 주파수별 임피던스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400㎐에서 11㎑의 주파수범위에서 근첨부근에서의 임피던스 범위는 약 2㏀에서 7㏀으로 측정되었다. 임피던스의 비는 측정된 전압의 비로 계산되며, op-amp의 신호로 쓰이기 위해 두 신호의 전압값의 범위가 동시에 0V에서 10V의 범위 내에서 가변되도록 설정해야 하며 낮은 주파수에 의한 신호가 0에 가까워서 나누기 연산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설정해야 한다.As a result of measuring the change of the impedanc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root canal probe, the impedance range near the apex in the frequency range of 400 ㎐ to 11 ㎑ was measured from 2 ㏀ to 7 ㏀. The ratio of impedance is calculated as the ratio of measured voltages, and in order to be used as an op-amp signal, the voltage value of two signals should be set at the same time to be changed within the range of 0V to 10V. It should be set so as not to degrade the division operation.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낮은 주파수 신호는 1㎑ 이내에서 설정하였고, 높은 주파수 신호는 10㎑이내에서 설정하였고 그 중에 한 경우는 종래의 제품과 동일한 주파수로 선정하였다.In order to satisfy this condition, a low frequency signal was set within 1 kHz, and a high frequency signal was set within 10 kHz, and one of them was selected as the same frequency as a conventional product.

이하에, 종래의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서 사용하던 주파수인 400㎐/8㎑와 임의로 선택한 300㎐/5㎑, 500㎐/10㎑ 중에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주파수인 500㎐/10㎑가 어느 정도의 개선된 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 실험을 통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frequenc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mong 400 Hz / 8 Hz and 300 Hz / 5 Hz and 500 Hz / 10 Hz, which is a frequency used in the conventional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will be described below. The experiment shows whether the improved effect is as follows.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 근관장 검출기(31)를 이용하여 생리식염수(Saline)(35)에 담궈진 치아모델(36)의 근관장 길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한다.The root canal length of the dental model 36 immersed in saline 35 is measured using the root canal detector 31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s shown in FIG. 3.

측정하게 되는 치아의 수는 모두 7개에서 11개의 근관장이다. 우선 11개 근(Root)에서 예상되는 근관(Root canal)의 길이를 측정하고 이 길이의 ±2mm 깊이에서 0.5mm간격으로 임피던스 비를 측정하였다. 이 때 실험에 적용한 주파수의 종류는 기존 장비인 Root ZX(모리타 社)에서 사용하는 400㎐와 8㎑, 300㎐와 5㎑ 및 새로이 특정한 500㎐와 10㎑이다.The total number of teeth to be measured is 7 to 11 root canal lengths. First, the root canal length expected in the 11 roots was measured, and the impedance ratio was measured at 0.5 mm intervals at a depth of ± 2 mm. At this time, the types of frequencies used in the experiments are 400 kHz and 8 kHz, 300 kHz and 5 kHz and newly specified 500 kHz and 10 kHz, which are used by the existing equipment Root ZX (Morita).

이로써 각각의 선택 주파수에서 근관 길이에 따른 임피던스 비의 변화를 얻게되고 근첨부위(Apex)에서의 비값을 결정하였다.This resulted in the change of the impedance ratio according to the root canal length at each selected frequency and the ratio value at the apex was determined.

다음으로 각각의 선택 주파수에서 얻어진 비를 근첨위치라 정하고 근관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 때 측정한 결과는 11개의 근관을 5번씩 반복 측정하여 얻은 후 오차를 계산하였다.Next, the ratio obtained at each selected frequency was defined as the root position, and the root canal length was measured.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obtained by repeatedly measuring 11 root canals five times, and then the error was calculated.

이 결과 상기 3가지 선택 주파수별 근첨지점의 임피던스 비 및 근첨부근에서의 임피던스 변화는 다음의 표 3 및 그래프와 같이 측정되었다.As a result, the impedance ratio and the change in impedance near the root point of each of the three selected frequencies were measured as shown in Table 3 and the graph below.

근첨지점(apex)에서의 임피던스 비Impedance Ratio at Apex 선택 주파수Selectable frequency 근첨지점에서의 임피던스 비 (×10)Impedance Ratio at Near Point (× 10) 1One 300㎐ / 5㎑300㎐ / 5㎑ 6.016.01 22 400㎐ / 8㎑400㎐ / 8㎑ 5.085.08 33 500㎐ / 10㎑500㎐ / 10㎑ 6.516.51

3가지 주파수 경우의 탐침 깊이에 따른 임피던스 비의 비교Comparison of Impedance Ratios with Probe Depth for Three Frequency Cases

여기서 얻은 임피던스 비의 값을 가지고, 해당하는 비를 가리키는 지점까지 파일을 삽입하고 난 후, 파일의 길이를 측정하여 예상 길이와의 오차를 얻었다. 실험은 모두 11개 근관을 5회씩 55가지 측정을 했으며 각각의 평균 오차는 다음의 표 4와 같다.Using the impedance ratio value obtained here, the file was inserted to the point indicating the corresponding ratio, and then the length of the file was measured to obtain an error from the expected length. In this experiment, 55 measurements were made of 11 root canals five times, and the average error is shown in Table 4 below.

선택 주파수Selectable frequency 오차(%)error(%) 1One 300㎐ / 5㎑300㎐ / 5㎑ 1.5021.502 22 400㎐ / 8㎑400㎐ / 8㎑ 1.1971.197 33 500㎐ / 10㎑500㎐ / 10㎑ 0.8770.877

상기 결과를 보면 우선 3가지 선택 주파수 모두 1%정도의 오차를 보여 우수한 근관장 검출기(apex locator)로 평가되나 그 중 500㎐, 10㎑ 선택시 오차가 가장 적었다. 상기 그래프에서 3가지 경우의 임피던스 변화를 보면 500㎐, 10㎑의 경우가 근첨지점에서 기울기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데, 사용하는 주파수 간의 범위가 넓은 경우 임피던스 비의 변화가 크고, 기울기가 클수록 근첨에서 임피던스 비가 가리키는 길이의 범위가 줄어 들므로 오차가 적어진다. 따라서 3가지 경우의 실험을 통해서 근관의 길이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주파수로서, 500㎐, 10㎑의 두 주파수를 얻었다.In the above results, first, all three selected frequencies showed about 1% error, which was evaluated as an excellent apex locator, but among them, the error was smallest when selecting 500㎐ and 10㎑. In the graphs, the impedance change of the three cases shows the largest slope at 500 ㎐ and 10 근 at the near point. If the range between frequencies is wide, the change in impedance ratio is large. The range of lengths indicated is reduced, so there is less error. Therefore, three frequencies were used to obtain the most accurate measurement of the root canal length. Two frequencies of 500 Hz and 10 Hz were obtained.

다음으로, 상기 도 2c에 도시된 보정회로의 구성을 참고로, 근관내 전해질 용액의 변화에 의한 두 신호의 임피던스 차이에 대한 오차를 자동보정하는, 본 발명에 의한 보정회로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rrection circuit shown in FIG. 2C, a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n error with respect to an impedance difference between two signals caused by a change in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root canal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same.

먼저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는 두 개의 교류신호를 동시에 인가하여 얻게 되는 임피던스 비를 계산하는 것으로, 본 검출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부(10), 합산회로(11), 정전류회로(12), 탐침(Probe)(13) 및 입술클립(Lip Clip)(14), 복조부(15), 아날로그 디바이더(1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1을 참고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작용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임피던스 비율을 이용한 측정법이 출혈이나 근관세척제 등의 전해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이유는 건조한 근관에서나 전해질이 있는 습한 근관에서나 임피던스 변화율이 같기 때문이다. 즉, 건조한 근관에서의 임피던스에 다음의 상수를 곱하면 습한 근관에서의 임피던스가 된다.First, the principle of the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length detector will be briefly described. The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length detector calculates an impedance ratio obtained by simultaneously applying two AC signals, and the detector is shown in FIG. And a summation circuit 11, a constant current circuit 12, a probe 13, a lip clip 14, a demodulator 15, and an analog divider 18.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reason why th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impedance ratio is not influenced by the electrolyte such as bleeding or the root canal detergent is as follows. Because it is the same. In other words, the impedance in the dry root canal is multiplied by the following constant to obtain the impedance in the wet root canal.

C : 전해질에 따른 계수C: coefficient according to electrolyte 물(Water) = 1혈액(Blood) ≒ 2/3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lite) ≒ 1/2Water = 1 Blood ≒ 2/3 Sodium Hypochlolite ≒ 1/2

Zlow: 낮은 주파수 신호의 임피던스(impedance of low frequency signal)Z low : Impedance of low frequency signal

Zhigh: 높은 주파수 신호의 임피던스(impedance of high frequency signal)Z high : Impedance of high frequency signal

이 때, 근관내의 임피던스는 근관을 가늘고 긴 관으로 볼 때 치근단공에서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존재하여 생기기 때문에 파일(file)이 치근단 방향으로 삽입될수록 임피던스는 감소하며, 또한 C에 의한 임피던스는 이므로 주파수가 클수록 임피던스는 감소한다. 따라서 두 임피던스 비율은 항상 Zhigh/ Zlow< 1인 값을 갖게 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두 신호의 임피던스비를 구하면 수학식 2와 같으며, 근관내 용액에 따른 영향을 줄이고 근관내 특정위치에서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pedance in the root canal is caused by the presence of capacitance in the root canal when the root canal is viewed as a thin and long tube. The higher the frequency, the lower the impedance. Therefore, the two impedance ratios always have a value of Z high / Z low <1. Using this property, the impedance ratio of the two signals is obtained as in Equation 2, and the effect of the solution in the root canal can be reduced and the constant value can be always maintained at a specific position in the root canal.

한편, 두 신호의 전압차이는 용액의 전도성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 방법을 이용한 측정기는 매 측정시마다 영점 조정이 필요하다. 즉, 전압차의 값이 전도성이 낮은 용액(H2O2)에서는 생리식염수에서 보다 높은 값을, 전도성이 높은 용액(NaOCl)에서는 생리식염수보다 작은 값을 나타낼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임피던스 비율을 이용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는 용액의 영향을 받지 않지만, 임상에서 실질적으로 오차가 발생하므로 근관내 용액에 대한 변화와 측정오차와의 분포를 기반으로 보정을 하면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 자동보정을 위해 종래의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보정회로를 더 포함한 검출기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도 2c의 회로구성에서 설명한 보정회로를 포함한 검출기로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gnals depends on the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the measuring instrument using this method requires zero adjustment for every measurement. That is, the value of the voltage difference will be higher in physiological saline in a solution with low conductivity (H 2 O 2 ), and smaller in physiological saline in a solution with high conductivity (NaOCl). As described above,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using the impedance ratio is not affected by the solution, but since the error is substantially generated in the clinic, the measurement error is corrected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change in the root canal solution and the measurement error. Can be reduced. In the conventional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for this automatic correc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detector further including the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ctor including the correction circuit described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구성된 근관장 검출기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치된 치아를 아크릴 통에 고정시킨 후 그 안에 생리식염수(saline)에 적신 거즈를 채운 치아모델에서 치아의 근관장 측정을 하였다.The root canal length of the tooth in the tooth model in which the tooth extracted as shown in FIG. 3 is fixed to an acrylic barrel by using a root canal length detector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nd filled with gauze soaked in saline. The measurement was made.

여기에서 먼저 근관내 전해질 용액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근관세척제로 임상에서 많이 쓰여 출혈과 함께 근관내 전도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H2O2와 NaOCl에 대해 각각 실험하였다. 여기에서 H2O2는 생리식염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도성이 낮은 용액이고, NaOCl은 반대로 전도성이 높은 용액이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change of electrolyte solution in the root canal, H 2 O 2 and NaOCl, which are used in the clinical use as a canal cleaning agent and can affect the endotracheal conductivity with bleeding, were respectively tested. Here, H 2 O 2 is a solution having a lower conductivity than physiological saline, and NaOCl is a solution having a high conductivity.

먼저 주파수 의존형 전자 근관장 검출기는 두 임피던스의 변화율이 용액에 따라 같기 때문에 임피던스 비는 변화가 없다는 것이 기본이론이지만, 근관내 전해질 용액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의 결과를 살펴보면, 발치된 9개 치아의 21개 근관에 대해서 염수에서는 3회, H2O2에서 3회, NaOCl에서는 2회 측정한 전체 결과, 염수에서는 오차가 0.06±0.135mm, H2O2에서는 0.41±0.201mm, NaOCl에서는 -0.25±0.271mm으로 오차를 보이기도 해서 때론 임상적인 허용범위(±0.5mm)를 벗어날 수도 있다. 측정오차는 발치된 치아의 실측된 근관의 길이에서 0.5mm만큼 뺀 길이를 근협착부까지의 거리라고 보고 측정길이를 비교하여 짧게 측정된 경우는 '-', 길게 측정된 경우는 '+' 표시된다.The basic theory is that the frequency-dependent electron root canal detector has no change in impedance ratio because the rate of change of the two impedances is the same depending on the solution. For the 21 root canals of 9 teeth, three measurements were taken in saline, three times in H 2 O 2 and two times in NaOCl.The error was 0.06 ± 0.135mm in saline, 0.41 ± 0.201mm in H 2 O 2 , In NaOCl, the error is –0.25 ± 0.271mm, sometimes out of clinical tolerance (± 0.5mm). The measurement error is the distance from the measured root canal of the extracted tooth by 0.5mm to the distance to the muscular stenosis, and it is displayed as '-' for short measurements and '+' for long measurements. .

전체 결과에 대한 자료를 반복측정한 회수만큼 평균을 내어 각각의 용액에서 21개의 자료를 사용하여 ANOVA 일원분류법에 의해 유의수준 0.005로 검증한 결과 p<0.005로 각각의 용액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영향이 대부분 임상적 허용범위(±0.5mm) 내에서 이뤄지면 문제가 없는 것이라 볼 수 있으나, 좀더 정확한 측정과, 이러한 영향으로 임상적 허용범위를 벗어날 수 있는 오차를 줄이고자 다음의 실험에서 전압차에 의한 자동보정을 시도하였다.The data for the total results were averaged by the number of repeated measurements, and 21 data from each solution were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level of 0.005 by ANOVA one-way class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p <0.005 was affected by each solution. However, if most of these effects are within the clinical tolerance (± 0.5mm), there may be no problem. An attempt was made to automatically correct the voltage difference.

자동보정을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보정회로의 구성은 상기한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고, 이 보정회로는 기본적으로 차동증폭기(U14)(27), 비교기(LM358), 복호기(74LS139), NAND 게이트(U18A, U18B, U18C, U18D)로 구성된다. 이를 간단하게 도시하면 도 5와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correc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utomatic correction is shown in FIG. 2C, which is basically a differential amplifier (U14) 27, a comparator (LM358), a decoder (74LS139), a NAND gate. (U18A, U18B, U18C, U18D). This is simply illustrated in FIG. 5.

상기 실험은 전압차를 이용한 자동보정으로서 상기 보정회로에 의해 행해지며,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의 기본 원리로 제작된 검출기로써 보정회로를 첨가하지 않고 각각의 용액에 따라 측정을 하였을 때(21개의 근관에 대해서 염수와 H2O2는 2회, NaOCl은 1회), 고주파수 신호의 전압값(VH)과 저주파수 신호의 전압값(VL) 및 그때의 측정오차를 기록한 결과이다. 이 값에서 각각의 전압은 용액의 전도성에 따라 변하게 되는데 각각의 전압의 분포로 용액의 상태를 구분하기 보다는 편차가 적은 두 전압의 차이와 오차와의 관계를 이용하였다. 도 4에 도시된 결과를 보면 생리식염수를 기준으로 전도성이 낮은 용액에서 전압차가 크게 나타나고, 전도성이 큰 용액에서 전압차가 작게 나타난다. 따라서 전압차를 이용해 용액의 전해질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측정되는 전압값의 크기와 그 차는 신호의 증폭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experiment is performed by the correction circuit as automatic correction using the voltage differenc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4 is a detector manufactured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nd measured according to each solution without adding a correction circuit. (For 21 root canals, saline and H 2 O 2 are twice, and NaOCl is 1). Is the result of recording the voltage value V H of the high frequency signal, the voltage value V L of the low frequency signal, and the measurement error at that time. At this value, each voltage changes according to the conductivity of the solution. Instead of distinguishing the state of the solution by the distribution of the volt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and the error between two voltages with small deviations is used. Referring to the results shown in FIG. 4, the voltage difference is large in the solution having low conductivity based on the saline solution, and the voltage difference is small in the solution having high conductivity. Therefore, the voltage difference can be used to represent the electrolyte state of the solution. The magnitude of the measured voltage value and the differe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amplification degree of the signal.

생리식염수에서 임피던스비값을 QS라고 했을 때, 길게 측정되는 H2O2의 임피던스비 QH는 같은 지점에서 비가 QS보다 큰 값이 될 것이므로 H2O2의 영향을 많이 받은 조건일 때는 비값을 임의로 어느 정도 감해서 출력시켜 측정하게 하고, 짧게 측정되는 NaOCl의 임피던스비 QN는 같은 지점에서 비가 QS보다 작은 값이 될 것이므로 NaOCl의 영향을 많이 받은 조건일 때는 비값을 임의로 어느 정도 가해서 출력시켜 측정하게 하였다. 이 때 측정하게 되는 임피던스비는 염수에서 0.6을 가리킬 때 근첨협착부 지점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실제 미터기에 보여지는 눈금은 10배한 6.0이다.When the impedance bigap in saline have been called Q S, and hold the impedance ratio Q H of the H 2 O 2 is measured is because it will be the ratio of a value greater than Q S at the same point when the condition receiving much influence of H 2 O 2 bigap It is possible to measure by outputting to some extent and output, and to measure the impedance ratio Q N of short measured NaOCl at the same point, the ratio will be smaller than Q S. It was made to measure. At this time, the impedance ratio to be measured was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point of the stricture when pointed to 0.6 in saline, and the scale shown on the actual meter is 6.0 times 10.

여기서 임피던스 비인 QH와 QN에 가감하게 되는 임의의 값은 근관마다 임피던스비와 근관내의 거리가 선형적으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조건에 만족시켜 보정할 수 없으나, 오차를 많이 벗어나는 값들에 대해서만 작동하도록 설정하였다. 전도성이 큰 상태이거나 매우 습한 상태일 때는 출력 임피던스 비값에 임의의 값을 더해 주어서 임피던스 비가 6.0을 가리키는 지점으로 파일을 더 삽입시켜 짧게 측정되는 것을 줄이고자 하였고, 전도성이 작은 상태이거나 매우 건조한 상태일 때는 보아 출력비 값에 임의의 값을 감해주어서 임피던스비가 6.0이 되기 위해서는 파일을 덜 삽입시켜야 하므로 길게 측정되는 것을 줄이고자 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보정회로를 부가하여 상기와 같이 세 가지 용액에 대한 실험을 다시 하였을 때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In this case, any value added to or subtracted from the impedance ratio Q H and Q N cannot be corrected by satisfying all conditions because the impedance ratio and distance in the root canal do not linearly match for each root canal, but only operate on values that deviate much from the error. It is set to. When the conductivity is high or very wet, we add random values to the output impedance ratio to reduce the short measurement by inserting the pile further to the point where the impedance ratio is 6.0. When the conductivity is small or very dry In order to reduce the length of the measurement by subtracting a random value from the output ratio value, the file has to be inserted less in order for the impedance ratio to be 6.0. When the experiment for the three solutions as described above was added again by adding a correction circuit configured as shown in FIG. 5, an improved result was obtained as shown in Table 5 below.

염수Brine H2O2 H 2 O 2 NaOClNaOCl 보정전Before correction 보정후After correction 보정전Before correction 보정후After correction 보정전Before correction 보정후After correction 평균(mm)Average (mm) 0.000.00 0.420.42 0.320.32 -0.34-0.34 -0.12-0.12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0.140.14 0.180.18 0.190.19 0.300.30 0.200.20 정확도(%)accuracy(%) 100100 기준가Reference price 7575 9090 8080 100100

이 때 실험한 근관은 각각의 용액군에서 21개씩이다. 이상의 실험에서 측정한 근관의 길이는 발치된 치아의 실측된 근관의 길이에서 -0.5mm하여 그 길이를 근첨협착부까지의 거리로 본 값과 비교하였다. 정확도는 ±0.5mm이내의 범위에 있을 때를 유효하다고 보고 측정길이와의 오차가 그 이내에 들어왔을 때로 본 것이다. 이 결과에서 보면 우선 기존에 제작된 장비로 측정한 오차가 용액에 따라 영향을 받았지만(p<0.005), 임상적인 허용범위를 적용하여 정확도를 백분율로 계산한 결과 전체적으로 용액에 상관없이 86%로 비교적 높게 나왔다. 그러나, 이에비해 본 발명에 의한 임피던스차를 이용하여 자동보정되는 회로를 추가하여 측정한 결과는 전체적으로 97%로 매우 정확한 측정결과를 보였다. 우선 측정길이에 대한 H2O2와 NaOCl의 보정전과 보정후의 결과를 Paired T-test를 이용한 결과, 각각 p=0.0078과 p=0.0008로 p=0.01에 의해 검정한 결과 유의차를 보였다.At this time, there were 21 root canals in each solution group.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measured in the above experiment was -0.5mm from the measured root canal length of the extracted tooth, and the length was compared with the present value as the distance to the stenosis. The accuracy is regarded as valid when it is within the range of ± 0.5mm, and when the error with the measurement length is within. From these results, the error measured by the existing equipment was influenced by the solution (p <0.005), but the accuracy was calculated as a percentage by applying the clinical tolerance, and it was relatively relatively 86% regardless of the solution. Came out high. However, the measurement result of adding the circuit which is automatically corrected by using the impedanc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very accurate, which was 97%. First of all,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H 2 O 2 and NaOCl before and after the calibration using p-0.0078 and p = 0.0008, respectively.

따라서 임피던스 비를 이용하여 근관내 전해질 용액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근관장측정기에 임피던스차가 근관내 전해질의 상태를 나타낸다는 점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근관상태를 보정하게 함으로써 측정오차를 줄일 수 있다.Therefore, the measurement error can be reduced by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root canal state by using the impedance difference indicating the state of the root canal electrolyte in the root canal measuring instrument which minimizes the influence of the electrolyte solution in the root canal by using the impedance ratio.

상기한 바와같이, 근관치료의 성공을 위해서는 정확한 근관장의 결정과 이에 따라 근관의 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데, 본 발명에 의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 의하면 500㎐와 10㎑의 주파수를 사용하므로써, 종래의 검출기에서 사용한 400㎐와 8㎑의 주파수나 300㎐와 5㎑의 주파수를 사용할 때에 비해 오차가 줄어들어 근관의 길이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발진부, 합산회로, 정전류회로, 탐침(Probe) 및 입술클립(Lip Clip), 복조부, 아날로그 디바이더로 구성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서 차동증폭기, 비교기, 복호기, NAND 게이트로 구성된 보정회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여 근관장 검출시에 근관내 용액의 변화 대한 측정오차를 전압차를 이용하여 자동보정하게 하므로써 더 정확하게 근관장을 검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for the success of the root canal treatment,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root canal length and thus accurately measure the length of the root canal. According to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ing frequencies of 500 Hz and 10 Hz, The error is reduced compared to the 400 ㎐ and 8 주파수 frequencies or 300 ㎐ and 5 주파수 frequencies used in conventional detectors, so that the root canal length can be measured more accurately.The oscillator, the summation circuit, the constant current circuit, and the probe And a correction circuit composed of a differential amplifier, a comparator, a decoder, and a NAND gate in th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consisting of a lip clip, a demodulator, and an analog divider. By automatically calibrating the measurement error with the voltage difference, the root canal length can be detected more accurately.

Claims (2)

발진부(10), 합산회로(11), 정전류회로(12), 탐침(Probe)(13) 및 입술클립(Lip Clip)(14), 복조부(15), 아날로그 디바이더(18)로 구성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 있어서,Frequency dependent type consisting of oscillator 10, summing circuit 11, constant current circuit 12, probe 13 and lip clip 14, demodulator 15, analog divider 18 In the root canal detector,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발진부에서는 500㎐와 10㎑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관장 검출기.The root canal det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scillator uses a frequency of 500 Hz and 10 Hz to measure the impedance. 발진부, 합산회로, 정전류회로, 탐침(Probe) 및 입술클립(Lip Clip), 복조부, 아날로그 디바이더로 구성된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에 있어서,In the frequency 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consisting of an oscillator, a summation circuit, a constant current circuit, a probe, a lip clip, a demodulator, and an analog divider, 차동증폭기(U14)(27), 비교기(LM358), 복호기(74LS139), NAND 게이트(U18A, U18B, U18C, U18D)로 구성되고, 전압차를 이용하여 자동보정하는 보정회로(26)를 더 포함하여 측정오차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파수 의존형 근관장 검출기.Comprising a differential amplifier (U14) (27), a comparator (LM358), a decoder (74LS139), NAND gates (U18A, U18B, U18C, U18D), and further includes a correction circuit 26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using the voltage difference Frequency-dependent root canal detect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minimize the measurement error.
KR1019980004069A 1998-02-11 1998-02-11 Frequency-dependent type apex locator KR1002420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069A KR100242068B1 (en) 1998-02-11 1998-02-11 Frequency-dependent type apex loc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4069A KR100242068B1 (en) 1998-02-11 1998-02-11 Frequency-dependent type apex loc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678A KR19990069678A (en) 1999-09-06
KR100242068B1 true KR100242068B1 (en) 2000-02-01

Family

ID=1953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4069A KR100242068B1 (en) 1998-02-11 1998-02-11 Frequency-dependent type apex loc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206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678A (en)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obayashi et al. New electronic canal measuring device based on the ratio method
Ushiyama New principle and method for measuring the root canal length
US3901216A (en) Method for measuring endodontic working lengths
DAssunção et al. The ability of two apex locators to locate the apical foramen: an in vitro study
Cianconi et al. Accuracy of three electronic apex locators compared with digital radiography: an ex vivo study
Pommer et al. Influence of the canal contents on the electrical assisted determination of the length of root canals
Akisue et al. Not all electronic foramen locators are accurate in teeth with enlarged apical foramina: an in vitro comparison of 5 brands
AU2012246764B2 (en) A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Harmonic Response Characteristic of Secondary Dental Caries Diagnosis
Pishipati An in vitro comparison of Propex II apex locator to standard radiographic method
Khursheed et al. A comparative evaluation of working length with digital radiography and third generation apex locator (ProPex) in the presence of various intracanal irrigants: An in vivo/ex vivo study
Kang et al. Accuracies of seven different apex locators under various conditions
Jain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accuracy of two electronic apex locators in the presence of various irrigants: An: in vitro: study
Khattak et al. A comparative assessment of the accuracy of electronic apex locator (Root ZX) in the presence of commonly used irrigating solutions
Saritha et al. The accuracy of two electronic apex locators on effect of preflaring and file size: An: in vitro: study
KR100242068B1 (en) Frequency-dependent type apex locator
US8348863B2 (en) Radicular spectral attenuation coefficient for use in endodontic foraminal locator
Soi et al. Electronic apex locators
Nam et al. Root canal length measurement in teeth with electrolyte compensation
Rambo et al. In vivo assessment of the impedance ratio method used in electronic foramen locators
Kim et al. Development of a frequency-dependent-type apex locator with automatic compensation
JP2873725B2 (en) Root canal length measuring instrument
Eid et al. Accuracy of two apex locators in calculating working length in molar primary teeth: An ex vivo study
CN2899732Y (en) Detector for tooth root canal length
Rambo et al. In vivo determination of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tooth root canal impedance versus distance from the apical foramen
Gusto Electronic apex locators and working mechanisms: A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