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558B1 - Indicator of vacuum cleaner - Google Patents

Indicator of vacuum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558B1
KR100241558B1 KR1019980008344A KR19980008344A KR100241558B1 KR 100241558 B1 KR100241558 B1 KR 100241558B1 KR 1019980008344 A KR1019980008344 A KR 1019980008344A KR 19980008344 A KR19980008344 A KR 19980008344A KR 100241558 B1 KR100241558 B1 KR 100241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s
liquid
transparent tube
air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3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74630A (en
Inventor
안동기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101998000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558B1/en
Publication of KR19990074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6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558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봉투에 먼지가 차게 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집진봉투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집진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on device that recognizes when the dust collection bag is filled, and informs the user when to replace the dust collection bag.

본 발명에 따른 집진량 표시장치는 속이 비어있고 그 내부공간이 다이어프램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된 두 개의 챔버와, 이 두 챔버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면서 그 일측이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투명관과, 이 투명관을 구획하면서 그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를 경계로 상기 두 챔버의 일측 공간에 각각 채워지는 상이한 색의 두 액체가 구비되어, 팬의 유입부에 걸리는 부압에 따라 투명관 내부에 채워진 상이한 색의 두 액체가 이동되게 된다. 즉, 액체의 이동을 투시창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사용자가 집진봉투의 교체시기를 알 수 있게 된다.The dust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wo chambers each having a hollow interior and the inner space of which is divided on both sides by a diaphragm, and a transparent tube in which one side thereof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viewing window while connecting the two chambers in communication. A moving member which partitions the transparent tube and moves along the inside thereof, and two liquids of different colors, each of which is filled in one space of the two chambers at the boundary of the moving member, are provided in accordance with the negative pressure applied to the inlet of the fan. Two liquids of different colors filled inside the transparent tube are transferred. That is, by checking the movement of the liquid through the viewing window, the user can know the replacement time of the dust collecting bag.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집진량 표시장치Dust collection device of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진봉투에 먼지가 차게 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인식시켜 집진봉투의 교환시기를 알려주는 집진량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ust collection device that recognizes when the dust collection bag is filled, and informs the user when to replace the dust collection bag.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가 팬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 흡입력에 의해 먼지 및 부유물이 공기와 함께 본체의 내부로 흡입되게 되고, 내측의 집진봉투가 먼지 및 부유물만을 집진함으로써 청소를 수행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when the vacuum cleaner is a motor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rotate the fan at high speed, the suction force is generated by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The suction force causes dust and floats to be sucked into the body together with the air, and the dust collecting bag on the inner side cleans only dust and floats.

이러한 진공청소기의 본체에는 외부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가 마련되고, 이 흡입구에는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봉투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집진봉투 후방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과 이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의 일측에는 집진봉투와 팬을 지난 공기가 다시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is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is sucked together with the outside air, and a dust collecting bag for collecting dust is fixed to the intake port. Moreover, the fan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s a suction force, and the motor which drives this fan are provided in the dust collection bag back. And one 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bag and the fa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gain.

한편, 진공청소기는 상기 집진봉투에 먼지가 가득차게 되면, 본체의 내측으로 공기의 흐름이 원할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팬의 입구부에는 큰 부압이 발생되면서 모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상부덮개의 내측에는 집진봉투의 교체시기가 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집진량 표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acuum cleaner is filled with dust in the dust collecting bag, the air flow is not desir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reby causing a large negative pressure in the inlet portion of the fan is overloaded the mot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cover of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to inform the user when the dust collecting bag is replaced.

도 1을 참조하면, 본체의 상부덮개(1)에는 먼지의 집진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2)이 형성되어 있고, 집진량 표시장치(10)는 투시창(2)에 인접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집진량 표시장치(10)는 투명재질로 마련된 원통상의 파이프(11)가 구비되고, 이 파이프(11)의 일단부는 집진량 표시장치(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에 나사결합 되어있다. 그리고, 고정부(12)는 팬의 유입부와 연통된 결합부(13)에 나사결합 되는데, 고정부(12)의 내측에는 유로(12a)가 형성되어 팬의 유입부(미도시)와 상기 파이프(11)의 내측이 연통되도록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upper cover (1) of 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viewing window (2) so as to visually check the dust collection state, the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10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viewing window (2) have. The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1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ipe 11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one end of the pipe 11 is screwed to a fixed portion 12 for fixing the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10. It is. And, the fixing part 12 is screwed to the coupling portion 13 in communication with the inlet of the fan, the flow path (12a) is formed inside the fixing part 12 is the inlet (not shown) of the fan and the The inner side of the pipe 11 is made to communicate.

파이브(11)의 내측에는 횡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을 하는 원통상의 피스톤(14)이 끼워지는데, 피스톤(14)의 외주면에는 집진량을 알릴 수 있도록, 상이한 색(예를 들면 녹색과 적색)으로 마련된 표시부(14a,14b)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11)의 내측에는 피스톤(14)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15)이 설치되는데, 스프링(15)은 일단이 상기 고정부(12)에 지지되고, 타단이 피스톤(14)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The inner side of the pipe 11 is fitted with a cylindrical piston 14 which sl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ston 14 has a different color (for example, green and red) so as to inform the amount of dust collection. The display parts 14a and 14b provided are provided. In addition, a spring 15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piston 14 is installed inside the pipe 11,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fixing part 12, and the other end of the piston 14. It is supposed to support one side.

그리고, 파이프(11)의 개구된 타단부에는 이를 막아주는 마개(16)가 나사결합 되는데, 마개(16)의 중심부에는 피스톤(14)의 움직임이 용이하도록 파이프(11)의 내측과 연통되는 연통공(16a)이 형성되어 있다.And, the other end of the pipe 11 is opened with a stopper 16 is screwed to prevent this, the center of the stopper 16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ide of the pipe 11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piston (14) The ball 16a is formed.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진공청소기의 집진량 표시장치(10)는 본체 내측의 집진봉투가 가득차게 되어 팬의 유입부측에는 큰 부압(負壓)이 발생되면, 이와 연통된 파이프(11)의 내부공간, 즉 스프링(15)이 설치된 쪽의 공간에 큰 부압이 발생된다. 이 때 피스톤(14)의 좌측과 우측공간에는 압력차가 발생되고, 이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14)이 고정부(12)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즉, 집진봉투가 가득 차게되어 팬의 유입부 측에 큰 부압이 발생되면, 이 힘이 스프링(15)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어, 스프링(15)이 수축되면서 피스톤(14)이 이동하게 된다.When the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10 of the conventional vacuum clean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lled with the dust collecting bag inside the main body and a larg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at the inlet side of the fan, the internal space of the pipe 11 communicated with the dust collecting bag. That is, a larg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space in which the spring 15 is installed. At this time, a pressure difference is generated in the left and right spaces of the piston 14, and the piston 14 moves toward the fixing part 12 by the pressure difference. That is, when the dust collecting bag becomes full and a larg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inlet side of the fan, this force becomes larg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15, and the piston 14 moves while the spring 15 is contracted.

이처럼 피스톤(14)이 이동을 하게 되면, 상부덮개(1)의 투시창(2)에 나타나는 표시부(14a,14b)의 색이 달라지게 되어 사용자가 집진봉투 교체시기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집진봉투를 교체하면 본체 내부의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팬의 유입부의 부압이 내려가게 됨으로써, 집진량 표시장치의 피스톤(14)은 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게 된다.As such, when the piston 14 moves, the color of the display parts 14a and 14b appearing in the see-through window 2 of the upper cover 1 is changed so that the user can know when to replace the dust collecting bag. In addi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bag is replaced, the air flow inside the main body is smoothed, so that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inlet of the fan decreases, so that the piston 14 of the dust collecting amount display devic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5.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집진량 표시장치는 투시창이 형성된 상부덮개의 하측에 이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해야 함에 따라, 그 부피로 인해, 내부에 설치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소형 진공청소기에 경우, 집진량 표시장치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has to secure an installation space for installing it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ver is formed in the viewing window, due to its volume, in the case of a small vacuum cleaner difficult to secure the installation space therei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weight amount display device is difficult.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팬 입구측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투명관 내의 액체에 변위가 발생되게 하는 다이어프램을 설치함으로써, 설치공간의 선택이 자유로운 진공청소기의 집진량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iaphragm that causes displacement in the liquid in the transparent tube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on the fan inlet side, the vacuum cleaner of the choice of installation space freely It is to provide a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도 1은 종래 집진량 표시장치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dust collection apparatu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일부 절개한 측면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량 표시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 일부 절개한 것이다.3 is a partially cut 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량 표시장치의 작동을 보인 것이다.4A and 4B show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ispl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본체, 21: 집진실,20: main body, 21: dust collecting chamber,

22: 구동실, 23: 모터,22: drive chamber, 23: motor,

24: 팬, 25: 흡입구,24: fan, 25: inlet,

26: 집진봉투, 28: 유입부,26: dust bag, 28: inlet,

29: 필터, 30: 상부덮개,29: filter, 30: top cover,

32: 투시창, 40: 집진량 표시장치,32: see-through window, 40: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41: 제 1챔버, 41a: 제 1챔버의 다이어프램,41: first chamber, 41a: diaphragm of the first chamber,

41b: 제 1챔버의 액체부, 41c: 제 1챔버의 공기부,41b: liquid portion of the first chamber, 41c: air portion of the first chamber,

42: 제 2챔버, 42a: 제 2챔버의 다이어프램,42: second chamber, 42a: diaphragm of the second chamber,

42b: 제 2챔버의 액체부, 42c: 제 2챔버의 공기부,42b: liquid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42c: air portion of the second chamber,

43: 투명관, 44: 연결관,43: transparent tube, 44: connector,

45: 이동부재, 46: 볼록렌즈.45: movable member, 46: convex len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흡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구에 고정되는 집진봉투와, 상기 집진봉투 내부로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부압(負壓)을 생성시키는 팬 및 모터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on one side, a dust collecting bag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and fixed to the suction port, the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sucked together with the air into the dust collecting bag (負壓) In a vacuum cleaner having a fan and a motor generating

그 내부공간이 다이어프램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어 액체가 채워지는 액체부와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부로 마련된 두 개의 챔버와, 상기 두 챔버의 액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면서 그 일측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투시창에 노출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을 구획하면서 그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경계로 상기 두 챔버의 액체부에 각각 채워지는 상이한 색의 두 액체와, 상기 두 챔버중 어느 하나의 공기부가 상기 팬의 공기 유입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관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부의 부압에 의해 상기 투명관 내의 액체가 이동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space is divided into two sides by a diaphragm, and the two chambers are provided with a liquid portion filled with a liquid and an air filled air, and one side thereof is exposed to a viewing window formed in the main body while connecting the liquid portions of the two chambers in communication. Any one of the two chambers, and a transparent tube, a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inside while partitioning the transparent tube, two liquids of different colors respectively filled in the liquid portions of the two chambers at the boundary of the moving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tub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inlet portion of the fan, the liquid in the transparent tube is moved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inlet por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일부 절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진량 표시장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로 일부 절개한 것이며,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량 표시장치의 작동을 보인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2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to show the structur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ly cut in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ust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b is a present invention It shows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display according to.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내부에 먼지 및 부유물을 집진하는 집진실(21)과 모터(23), 팬(24), 기타 부품 등으로 구성된 구동실(22)이 구획판(27)에 의해 구획되게 마련된다. 집진실(21)의 일측에는 외부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는 흡입구(25)가 마련되고, 이 흡입구(25)에는 먼지가 집진되는 집진봉투(26)가 고정된다.As shown there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ust collecting chamber 21 for collecting dust and suspended matter inside the main body 20, and a driving chamber composed of a motor 23, a fan 24, and other components. 22 is provided to be partitioned by the partition plate 27. One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21 is provided with an intake port 25 through which foreign matter is sucked together with the outside air, and a dust collecting bag 26 in which dust is collected is fixed to the intake port 25.

상기 구획판(27)에는 집진실(21)의 공기가 구동실(22)로 유입되로록 유입부(28)가 형성되고, 구동실(22)에는 유입부(28)에 인접되게 팬(24)과 이 팬(24)을 구동시키는 모터(23)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유입부(28)에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팬(24)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29)가 설치된다.An inlet portion 28 is formed in the partition plate 27 so that the air in the dust collecting chamber 21 flows into the driving chamber 22, and the fan (adjacent to the inlet portion 28) is formed in the driving chamber 22. 24 and a motor 23 for driving the fan 24 are provided. The inlet 28 is provided with a filter 29 for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 fan 24 which rotates at a high speed.

한편, 본체(20)의 내측에는 상기 집진봉투(26)의 교체시기가 되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는 집진량 표시장치(4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상부덮개(30)에는 이 집진량 표시장치(40)에 의한 정보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시창(32)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 when the replacement time of the dust collecting bag 26, the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40 to inform the user of this is installed. In addition, the upper cover 30 of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see-through window 32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information by the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40.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집진량 표시장치(40)는 속이 비어있고 그 내부공간이 양측으로 구획된 두 개의 챔버(41,42)와, 이 두 챔버(41,42)사이를 연결하는 투명관(43)과, 상기 투명관(43)과 상기 두 챔버(41,42)의 일측 공간에 채워지는 액체 등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3, the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wo chambers 41 and 42 which are hollow and whose inner spaces are divided to both sides, and connect the two chambers 41 and 42. The transparent tube 43, the transparent tube 43 and the two chambers (41, 42) of the space filled in one side of the chamber and the like.

상기 챔버(41,42)는 그 일단부에 연결관(44)이 마련되어, 상기 팬(24)의 유입부(8)와 연통이 되게 연결되는 제 1챔버(41)와, 이 제 1챔버(41)의 타단부로부터 상기 투명관(43)을 통해 연결이 되는 제 2챔버(42)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들 챔버(41,42)그 내부공간이 탄성재질로 마련된 다이어프램(41a,42a)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어 액체가 채워지는 액체부(41b,42b)와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부(41c4,2c)로 구분된다.The chambers 41 and 42 are provided with a connection pipe 44 at one end thereof, the first chamber 41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8 of the fan 24, and the first chamber ( It consists of a second chamber 42 which is connected through the transparent tube 43 from the other end of the 41. The inner spaces of the chambers 41 and 42 are partitioned to both sides by diaphragms 41a and 42a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to fill liquids, and the air portions 41c4 and air filled therein. 2c).

여기에서 제 1챔버는 공기부(41c)에 팬(24)의 유입부(28)와 연통이 되도록 연결관(44)이 형성되고, 액체부(41b)에 투명관(43)의 일단부가 연결이 되어 액체가 유입되거나 나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2챔버(42)는 액체부(42b)쪽의 일측에 투명관(43)의 타단부가 연결된다. 즉, 투명관(43)은 제 1챔버의 액체부(41b)와 제 2챔버의 액체부(42b)사이에 연결이 되는 것이다.Here, the first chamber has a connecting pipe 44 formed in the air part 41c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inlet part 28 of the fan 24, and one end of the transparent tube 43 is connected to the liquid part 41b. This allows liquid to flow in or out. The second chamber 42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transparent tube 43 on one side of the liquid portion 42b. That is, the transparent tube 43 is connected between the liquid portion 41b of the first chamber and the liquid portion 42b of the second chamber.

그리고 투명관(43)과 두 챔버(41,42)의 액체부(41b,42b)에는 서로 상이한 색을 가진 두가지 액체가 채워지게 되고, 투명관(43)에는 이들 두 액체 사이를 구분하면서 투명관(43)의 내측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45)가 마련된다. 즉, 이 이동부재(45)를 경계로 제 1챔버(41)와 제 2챔버(42)에 채워지는 액체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이는 팬 유입부(28)의 부압에 의해 제 1챔버(41)의 다이어프램(41a)이 공기부(41c)쪽으로 신장되어 그 액체부(41b)가 커지게 되면, 투명관(43) 내의 액체가 제 1챔버(41) 쪽으로 이동되면서 이동부재(45)도 함께 이동되게 하기 위함이다.The transparent tube 43 and the liquid portions 41b and 42b of the two chambers 41 and 42 are filled with two liquids having different colors, and the transparent tube 43 is a transparent tube while distinguishing between the two liquids. A moving member 45 is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inner side of the 43. That is, the liquid to be filled in the first chamber 41 and the second chamber 42 at the boundary of the moving member 45 is different. This is because when the diaphragm 41a of the first chamber 41 extends toward the air portion 41c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fan inlet portion 28 and the liquid portion 41b becomes large, the liquid in the transparent tube 43 This is to allow the moving member 45 to be moved together while being moved toward the first chamber 41.

또한, 상기 투명관(43)은 이동부재(45)가 설치된 부분이 상기 상부덮개(30)의 투시창(32)의 하측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액체의 이동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투시창(32)과 투명관(43) 사이에는 사용자가 외측에서 액체의 유동을 용이하게 확인 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46)가 설치된다.In addition, the transparent tube 43 is installed so that the portion where the moving member 45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the lower side of the see-through window 32 of the upper cover 30 to be able to visually check the movement of the liquid. And a convex lens 46 is installed between the viewing window 32 and the transparent tube 4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heck the flow of the liquid from the outside.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챔버(41)를 투시창(32)의 하부에 설치하였으나, 내부 공간이 여유치 않을 경우, 본체(20) 내의 어느 부분에 설치하여도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집진량 표시장치(40)는 챔버(41,42)의 설치 위치와 상관없이, 두 챔버(41,42)사이를 연결하는 투명관(43)이 투시창(32)의 하측을 통과하여 사용자가 액체의 이동을 확인 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는 특히 소형 진공청소기의 내부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chamber 41 is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see-through window 32, but if the internal space is not enough, even if installed in any part of the main body 20 is not a problem. That is, in the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arent tube 43 connecting the two chambers 41 and 42 is lower than the viewing window 32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positions of the chambers 41 and 42. This is because the user can check the movement of the liquid by passing through it. This structure can be easily applied, especially in the construction of the interior space of a small vacuum cleaner.

또한, 상기 두 챔버(41,42)는 설치 위치 뿐만 아니라 본체(20)의 내부 조건에 따라서 형상과 크기를 자유롭게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two chambers 41 and 42 can obtain the same effect even if the shape and size are free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as well as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main body 20.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집진량 표시장치(40)의 작동을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평소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b는 집진봉투(26)가 차게 되어 부압이 크게 걸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on apparatu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FIG. 4A shows a normal state, and FIG. 4B shows a state where the dust collecting bag 26 is filled with a large negative pressure.

본 발명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집진량 표시장치(40)는 본체(20) 내측의 집진봉투(26)가 가득차게 되어 팬(24)의 유입부(28)측에는 큰 부압이 발생되면, 연결관(44)을 통해 이와 연통된 제 1챔버의 공기부(41c)의 압력이 함께 떨어지게 된다.When the dust collecting amount display device 40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lled with the dust collecting bag 26 inside the main body 20, a large negative pressure is generated on the inlet portion 28 side of the fan 24, and thus, the connection pipe ( Through 44, the pressure of the air portion 41c of the first chamber in communication therewith drops together.

이로써, 제 1챔버의 다이어프램(41a)이 제 1챔버(41)의 공기부(41c)쪽으로 팽창되게 되어 제 1챔버의 액체부(41b) 공간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제 2챔버(42)는 액체부(42b)의 공간이 적어지고 공기부(42c)의 공간이 커지게 된다. 이 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챔버(41,42)의 액체부(41b,42b)와 투명관(43)의 액체는 제 1챔버(41)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투명관(43)에 설치되어 상이한 두 액체를 구획하는 이동부재(45)도 제 1챔버(41)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덮개(30)의 투시창(32)에는 제 2챔버(42)쪽에 채워진 다른 색의 액체가 보이게 되므로 사용자가 집진봉투(26)의 교환시기를 알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2챔버(42)의 공기부(42c)는 제 1챔버(41)의 공기부(41c)와 동일한 압력을 유지하게 된다.As a result, the diaphragm 41a of the first chamber is expanded toward the air portion 41c of the first chamber 41, thereby increasing the space of the liquid portion 41b of the first chamber. In the second chamber 42, the space of the liquid portion 42b decreases and the space of the air portion 42c increases.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B, the liquid portions 41b and 42b of the two chambers 41 and 42 and the liquid of the transparent tube 43 move toward the first chamber 41, and the transparent tube ( The moving member 45 installed in 43 to partition two different liquids also moves toward the first chamber 41. Therefore, the liquid of the different color filled in the viewing window 32 of the upper cover 30 is visible on the second chamber 42 side, so that the user can know when to replace the dust collecting bag 26. At this time, the air portion 42c of the second chamber 42 maintains the same pressure as the air portion 41c of the first chamber 41.

그리고 집진봉투(26)를 새것으로 교체하면 본체(20) 내부의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되어 팬(24)의 유입부(28)의 부압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제 1챔버(41)의 공기부(41c)의 부압도 작아지게 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프램(41a,42a)이 원상태로 복원된다. 이 때, 두 챔버(41,42)의 액체부(41b,42b)와 투명관(43)의 액체는 제 2챔버(42) 쪽으로 이동을 하게 되고, 투명관(43)에 설치되어 서로 상이한 두 액체를 구획하는 이동부재(45)도 제 2챔버(42) 쪽으로 이동을 하게되어 투시창(32)에는 제 1챔버(41)쪽에 채워진 액체가 보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dust collecting bag 26 is replaced with a new one, the air flow inside the main body 20 is smoothed, so that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inlet part 28 of the fan 24 is reduced, so that the air part of the first chamber 41 ( The negative pressure of 41c also becomes small, and as shown in Fig. 4A, the diaphragms 41a and 42a are restored to their original states. At this time, the liquid portions 41b and 42b of the two chambers 41 and 42 and the liquid of the transparent tube 43 move toward the second chamber 42 and are installed in the transparent tube 43 so that the two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oving member 45 for dividing the liquid is also moved toward the second chamber 42 so that the liquid filled in the first chamber 41 is visible in the see-through window 32.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량 표시장치는 속이 비어있고 그 내부공간이 다이어프램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된 두 개의 챔버와, 이 두 챔버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면서 그 일측이 투시창을 통해 외부에 노출되는 투명관과, 이 투명관을 구획하면서 그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이 이동부재를 경계로 상기 두 챔버의 일측 공간에 각각 채워지는 상이한 색의 두 액체가 구비되어, 팬의 유입부에 걸리는 부압에 따라 투명관 내부에 채워진 상이한 색의 두 액체가 이동되게 하였다. 따라서 투시창의 위치와 상관없이 두 챔버의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정할 수 있어 본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두 챔버의 형상을 자유롭게 구성하여도 같은 결과를 얻게되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내부 공간이 좁은 소형 진공청소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detail, the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wo chambers, each of which is hollow and whose inner space is partitioned on both sides by a diaphragm, and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side through a viewing window. A transparent tube exposed to the transparent tube, a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inside while partitioning the transparent tube, and two liquids of different colors respectively filled in one space of the two chambers with the moving member as a boundary. The negative pressure applied to the inlet allowed the two liquids of different colors to be filled inside the transparent tube to move. Therefo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wo chambers can be freely determined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see-through window, so that the space inside the main body can be efficiently configured, and the same results can be obtained even if the shapes of the two chambers are freely configured. Therefore, this structure can be easily applied to a small vacuum cleaner with a narrow inner space.

Claims (2)

일측에 흡입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구에 고정되는 집진봉투와, 상기 집진봉투 내부로 공기와 함께 이물질이 흡입되도록 부압(負壓)을 생성시키는 팬 및 모터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있어서,A vacuum having a main body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on one side, a dust collecting bag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and fixed to the suction port, and a fan and a motor generating negative pressure so that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dust collecting bag together with air; In the vacuum cleaner, 그 내부공간이 다이어프램에 의해 양측으로 구획되어 액체가 채워지는 액체부와 공기가 채워지는 공기부로 마련된 두 개의 챔버와, 상기 두 챔버의 액체부가 연통되도록 연결하면서 그 일측이 상기 본체에 형성된 투시창에 노출되는 투명관과, 상기 투명관을 구획하면서 그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경계로 상기 두 챔버의 액체부에 각각 채워지는 상이한 색의 두 액체와, 상기 두 챔버중 어느 하나의 공기부가 상기 팬의 공기 유입부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연결관을 구비하여, 상기 유입부의 부압에 의해 상기 투명관 내의 액체가 이동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진공청소기의 집진량 표시장치.The inner space is divided into two sides by a diaphragm, and the two chambers are provided with a liquid portion filled with a liquid and an air filled air, and one side thereof is exposed to a viewing window formed in the main body while connecting the liquid portions of the two chambers in communication. Any one of the two chambers, and a transparent tube, a moving member moving along the inside while partitioning the transparent tube, two liquids of different colors respectively filled in the liquid portions of the two chambers at the boundary of the moving member; And a connection tube formed so that the air portion of the fan communicates with the air inlet portion of the fan, and the liquid in the transparent tube is moved by the negative pressure of the inlet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투시창에는 상기 투명관 내부의 액체 이동을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볼록렌즈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량 표시장치.And a convex lens is installed in the see-through window so as to easily determine the movement of the liquid in the transparent tube.
KR1019980008344A 1998-03-12 1998-03-12 Indicator of vacuum cleaner KR10024155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344A KR100241558B1 (en) 1998-03-12 1998-03-12 Indicator of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344A KR100241558B1 (en) 1998-03-12 1998-03-12 Indicator of vacuum clea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630A KR19990074630A (en) 1999-10-05
KR100241558B1 true KR100241558B1 (en) 2000-04-01

Family

ID=19534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344A KR100241558B1 (en) 1998-03-12 1998-03-12 Indicator of vacuum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558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630A (en)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78486A (en) Indicator device for a vacuum cleaner dust container which has an additional pressure controller
KR100987964B1 (en) Multi-functional filter
CN101108081B (en) Vacuum cleaner
JP2008082285A (en) Dust collecting mechanism of air pump
KR100241558B1 (en) Indicator of vacuum cleaner
JP5014829B2 (en) Dust collection mechanism
EP2433540B1 (en) Wet type dust colle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KR100241559B1 (en) Indicator of vacuum cleaner
US2270318A (en) Vacuum cleaner pneumatic annunciator
KR102152053B1 (en) Air cleaner
KR102091877B1 (en) Duct exposing reservoir of drain pump
KR20040061624A (en) Dust collection indicator for vacuum cleaner
JP3063154B2 (en) Dust collection amount display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0234439Y1 (en) Assembly Structure of Dust Collector for Vacuum Cleaner
KR200166973Y1 (en) Dust meter of vacuum cleaner
KR200241311Y1 (en) Dust indicator of vacuum cleaner
KR200166974Y1 (en) Dust meter of vacuum cleaner
KR200155785Y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the quantity of collected dust of a vacuum cleaner
KR100203436B1 (en) Apparatus for disolaying the quantity of collected dust of a vacuum cleaner
KR970003051Y1 (en) Structure for mounting the dust meter in a vacuum cleaner
WO2023083382A1 (en) Water tank and surface cleaning device
KR960001122B1 (en) Dust meter
KR960001124B1 (en) Dust meter
KR950014841B1 (en) Pathway structure of dustmeter for using in vacuum cleaner
KR20040042964A (en) Indicator for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