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267B1 - Method for recycling resin covered with thermoset paint - Google Patents

Method for recycling resin covered with thermoset pa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267B1
KR100241267B1 KR1019970055400A KR19970055400A KR100241267B1 KR 100241267 B1 KR100241267 B1 KR 100241267B1 KR 1019970055400 A KR1019970055400 A KR 1019970055400A KR 19970055400 A KR19970055400 A KR 19970055400A KR 100241267 B1 KR100241267 B1 KR 100241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acetate
glycol
catalyst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4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33951A (en
Inventor
전종한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55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267B1/en
Publication of KR1999003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9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267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9/00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무기 아세트산염 촉매 또는 알칼리 촉매 존재하에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 디올, 1,3-프로판 디올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글리콜에 열경화성 도료가 도장된 플라스틱 수지를 120 내지 165℃에서 1 내지 30분간 침지시켜 상기 열경화성 도료를 박리시키는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eeling a thermosetting polymer coating film coated on plastic,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presence of an inorganic acetate catalyst or an alkali catalyst,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1,2-propane diol, 1,3- A method for peeling a thermosetting polymer coating film coated on a plastic in which the thermosetting paint is immersed in a plastic resin coated with a thermosetting paint in a glyco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ane diol and dipropylene glycol for 1 to 30 minutes will be.

Description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Peeling method of thermosetting polymer coating coated on plastic

본 발명은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표면에 도포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을 간단한 화학적 처리에 의해 도막을 효율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eeling a thermosetting polymer coating film coated on plastic,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efficiently peeling a coating film by a simple chemical treatment of a thermosetting polymer coating film coated on a plastic surface.

자동차, 가전제품, 일용잡화 및 기타 분야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중에서 상당히 많은 양이 플라스틱 수지의 표면을 도료로 도막을 씌워 사용하고 있다. 플라스틱의 도장에 사용되는 도료는 도장 특성과 피착재인 플라스틱 수지와의 접착성 때문에 거의 대부분 열경화성 도료를 사용하고 있다. 플라스틱 수지 표면에 도포된 도막이 주로 열경화성 도료이기 때문에 이를 제거시키지 않으면 기본재료로 사용된 플라스틱 수지의 재활용이 단순 용융가공법으로는 거의 불가능하게 된다.Among the various components used in automobiles, home appliances, daily necessities and other fields, a considerable amount is used to paint the surface of the plastic resin. Paints used for painting plastics are mostly used thermosetting paints because of their coating properties and adhesion to the plastic resin as the adherend. Since the coating film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plastic resin is mainly a thermosetting paint, it is almost impossible to recycle the plastic resin used as the base material by the simple melt processing method unless it is removed.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매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핵심은 도막의 효율적인 박리 기술에 있다. 도막의 박리 기술은 크게 두가지 방법이 있는데,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이 있다. 이두 방법중 물리적 방법은 샌드페이퍼(Sand paper) 등으로 긁어내는 것으로 도막 제거율 및 경제성 등의 이유로 현재 이 방법은 산업화 되지 못하였다.Therefore, a great deal of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core of which is an efficient peeling technology of the coating film. There are two main methods of peeling the coating film, physical method and chemical method. Among these two methods, the physical method is scraping with sand paper, etc., and this method has not been industrialized at present due to the removal rate and economic efficiency of the film.

화학적 방법에 의한 도막 박리는 그 방법이 완벽하다면 완벽한 도막 분리가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화학적 방법에 의한 도막 박리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는데 그중 중요한 결과 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Peeling of the film by a chemical method is theoretically possible to achieve perfect film separation if the method is perfect. Therefore, a lo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coating film separation method by the chemical method, the important results are as follows.

1) 염소계 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액제를 사용하는 방법(일본특공소 제 51-34238호, 제 57-76065호 및 제 59-117567호). 2) 유기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액제를 사용하는 방법(일본특개소 제 50-109925호, 특개평 제 1-289878호, 및 특개평 제 2-274775호). 3) 무기물질을 주성분으로 하는 박리액제를 사용하는 방법(일본특개소 제 50-109925호, 제 59-131674호, 제 61-162568호).1) A method of using a peeling liquid containing a chlorine solvent as a main component (JP-A 51-34238, 57-76065, and 59-117567). 2) A method of using a peeling liquid containing organic substances as a main component (Japanese Patent Laid-Open No. 50-109925,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289878, an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274775). 3) A method of using a stripping solution containing inorganic substances as a main component (Japanese Patent Laid-Open Nos. 50-109925, 59-131674, and 61-162568).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제거시키고자 하는 도막의 종류와 두께에 따라 도막의 박리가 불완전 하는 등의 문제가 있어 실용화되지 못하였다. 그리고 또다른 방법들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However, these methods have not been put to practical use due to problems such as incomplete peeling of the coating film depending on the type and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to be removed. And here are some other ways:

4) 염화주석과 같은 루이스산, 알칼리 수산화물, 알칼리 토금속류 수산화물, 아민, 인산 금속염, 디에탄올 아민 등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으로된 도막 분해 촉진제를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에 대해 0.01 내지 1wt%를 첨가시켜 200℃으로 도막을 열분해시켜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를 재생시키는 방법(일본특개평 제 5-200749호)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플라스틱 수지에 도막분해 촉진제가 잔존하여 재생수지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4) 0.01 to 1 wt% of a coating film decomposition accelerator comprising one or two or more kinds of Lewis acid, alkali hydroxide, alkaline earth metal hydroxide, amine, metal phosphate salt, diethanol amine such as tin chloride, and the like is added to the polypropylene composite. And a method of thermally decomposing the coating film at 200 ° C. to regenerate the polypropylene composit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5-200749). However, the above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the film decomposition accelerator is left in the plastic resin and the quality of the recycled resin is lowered.

5) 도장된 플라스틱 성형품을 파쇄시켜 이를 용융기에 용융혼련시키면서, 플라스틱 성형체 10wt%에 대해 0.001 내지 3wt%의 비스므스, 납, 주석 등을 함유한 유기 또는 무기계의 도막분해 촉진제를 0.5 내지 50wt%의 물과 혼합시켜 200 내지 320℃에서 0.5 내지 5분간 접촉시켜 도장 플라스틱 성형체를 재생시키는 방법(일본특개평 제 6-198652호)이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도막의 박리 효과가 낮을 뿐만 아니라, 재생된 수지중에 비스므스, 납, 주석이 잔존하여 재생 플라스틱 수지의 용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5) 0.5 to 50 wt% of organic or inorganic coating film decomposition accelerator containing 0.001 to 3 wt% of bismuth, lead, tin, etc., with respect to 10 wt% of the plastic molded body, by crushing the coated plastic molded article and melt-kneading it in the melter. A method of regenerating a coated plastic molded body by mixing with water and contacting it for 0.5 to 5 minutes at 200 to 320 ° C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198652) has been introduced. However, the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eeling effect of the coating film is low, and the use of the recycled plastic resin is limited because bismuth, lead, and tin remain in the recycled resin.

6) 도장된 플라스틱 성형품을 일정한 크기로 파쇄시킨 후 이 파쇄물을 스크류식 압출기에 공급하여 물, 알칼리 수용액 또는 알코올을 공급하면서 혼련 용융시켜 도막의 분해가스와 기화된 물을 배기시켜 재생 플라스틱을 회수하는 방법(일본특개평 제 6-23748호)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도 재생 플라스틱 수지중에 알칼리가 잔존하여 회수된 재생 플라스틱의 물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한편, 알칼리 사용량을 감소시키면 도막의 박리 효과가 저하 된다.6) After crushing the painted plastic molded product to a certain size, the crushed material is fed into a screw-type extruder and kneaded while supplying water, aqueous alkali solution or alcohol to exhaust the decomposition gas and vaporized water of the coating film to recover recycled plastic. The method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3748) is disclosed. This method also lower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covered recycled plastic due to the presence of alkali in the recycled plastic resin.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alkali used is reduced, the peeling effect of a coating film will fall.

7) 자동차용 폐 폴리프로필렌 범퍼(Bumper) 커버를 4∼5mm 크기로 분쇄하여 이를 글리콜 화합물과 수산화리튬 및 물의 혼합액에 침적시켜 140 내지 160℃에서 15 내지 20분간 처리한 다음, 원심분리기에서 탈수시킨 후 용융혼련하여 플라스틱 수지를 재생시키는 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96-37238호)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도막의 박리 효과가 낮아 재생된 플라스틱 수지의 사용용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7) The waste polypropylene bumper cover for automobiles was pulverized to a size of 4 to 5 mm, immersed in a mixed solution of a glycol compound, lithium hydroxide and water, treated at 140 to 160 ° C. for 15 to 20 minutes, and then dehydrated in a centrifuge. Thereafter, a method of regenerating plastic resin by melt kneading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96-37238) is disclosed. However, the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eeling effect of the coating film is low and the use of the recycled plastic resin is limited.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96-37238호외에도 자동차용 폐 플라스틱 범퍼의 재활용에 대해 매우 많은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으나, 재생된 플라스틱 수지가 양호한 기계적 물성을 지니면서 경제성이 있는 방법이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즉, 도막의 박리 효과가 낮거나, 처리능력이 낮아 경제성이 없거나, 도막 박리 과정에서 재생된 플라스틱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키거나, 처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액제의 독성 또는 환경 오염성 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아직은 소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자동차 업계에서는 아직도 폐 범퍼의 재활용이 큰 관심중의 하나이다.In addition to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96-37238, a lot of methods for recycling the waste plastic bumper for automobiles have been introduced, but the economical method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hat the recycled plastic resin has good mechanical properties. That is, it is not economical due to low peeling effect of coating film, low processing ability, or at the same time to solve th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plastic resin recycled during coating film peeling process or toxicity or environmental pollution of liquid used to treat. There is no way of doing this yet. Therefore, the recycling of waste bumpers is still a big concern in the automotive industr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는 열경화성 고분자가 도장된 제품, 예를 들어 자동차용 범퍼커버를 재생시켜 여기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를 재생시켜 이를 다시 자동차용 범퍼 소재 또는 기타 고부가가치용 소재로 활용 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예의 연구한 결과, 자동차용 범퍼 커버에 사용된 도막을 촉매존재하에서 글리콜로 해중합 반응시키면 범퍼에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도막을 2 내지 20분 동안에 거의 완벽히 박리시킬 수 있고, 박리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재를 용융혼련시켜 자동차용 범퍼 소재 또는 기타 재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ors regenerate a product coated with a thermosetting polymer, for example, a vehicle bumper cover to recycle a polypropylene composite used therein, and then use it as an automobile bumper material or other high value-added material. As a result of intensive research on a more efficient method, depolymerization of a coating film used for a bumper cover for a car to glycol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does not impair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propylene composite used for the bumper and the coating film is hardly applied for 2 to 20 minutes. It has been found that the peelable polypropylene composite can be melted and kneaded to be utilized as a bumper material or other material for automobi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based on thi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표면에 도포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을 간단한 화학적 처리에 의해 도막을 효율적으로 박리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capable of efficiently peeling a coating film by a simple chemical treatment of the thermosetting polymer coating film applied to a plastic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도막이 제거된 플라스틱 소재를 파쇄시켜 용융혼련시킨 후 재생된 플라스틱 수지를 단독 또는 순(Virgin)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와 혼합하여 자동차 범퍼용 재료 또는 기타 재료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rush and melt kneaded plastic material removed by the above method and to recycle the recycled plastic resin with a single or virgin polypropylene composite as a material for automobile bumpers or other material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무기 아세트산염 촉매 또는 알칼리 촉매 존재하에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 디올, 1,3-프로판 디올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글리콜에 열경화성 도료가 도장된 플라스틱 수지를 120 내지 165℃에서 1 내지 30분간 침지시켜 상기 열경화성 도료를 박리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1,2-propane diol, 1,3-propane diol and dipropylene glycol in the presence of an inorganic acetate catalyst or an alkali catalyst. It consists of immersing the plastic resin coated with a thermosetting paint on glycol at 120 to 165 캜 for 1 to 30 minutes to peel off the thermosetting paint.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열경화성 도료가 도장된 플라스틱 수지를 제활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상기 플라스틱 수지의 대표적인 예로 자동차용 폐 범퍼 커버를 인용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cycling a plastic resin coated with a thermosetting paint. Hereinafter,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plastic res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utomobile bumper cov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자동차용 범퍼 커버의 구조는 먼저 기본 재료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복합재(폴리프로필렌에 열가소성 고무가 컴파운딩되어 있는 것으로 그 두께는 약 3∼5mm)가 바탕 재료이다. 그리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이하 ″PP 기재″라 함) 위에는 PP 기재에 대한 도료의 도장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염소화폴리에틸렌(이하 CPE라 함: Chlorinated Polyethylene)이 주성분인 프라이머(Primer)가 약 5∼30㎛로 코팅되어 있고, 이 위에 열경화성 도료가 약 30㎛ 정도 도장되어 있다.The structure of the bumper cover for an automobile is based on a polypropylene composite (a thermoplastic rubber compounded in polypropylene, which is about 3 to 5 mm thick), which is used as a base material. And on the polypropylene composi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P substrate") to increase the paintability of the coating on the PP substrate, the primer (Primer) is mainly 5 ~ 30 chlorinated polyethyle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PE: Chlorinated Polyethylene) It is coated with a micrometer, and about 30 micrometers of a thermosetting paint is coated on it.

도장에 사용된 도료는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 모두는 3차원 네트웍(Network) 구조인 열경화성 고분자 이다. 초기에는 멜라민과 폴리우레탄 형태의 도료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폴리우레탄-에스테르-아크릴 공중합체 형태로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 에스테르 및 아크릴의 화학적 기본 구조가 공중합을 이룬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자동차 회사마다 또한 같은 자동차 회사일지라도 도장의 색상에 따라 이들 조성이 다르거나 또다른 구조가 첨가되기도 한다.There are various kinds of paints used for painting, but all of them are thermosetting polymers, which are three-dimensional network structures. Initially, melamine and polyurethane type paints were used. Currently, however, polyurethane-ester-acrylic copolymers are mainly used in which the chemical basic structures of polyurethanes, esters and acrylics are copolymerized. Other or different structures may be added.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 범퍼의 도장에 사용되는 도료의 이러한 화학적 구조에서 특히 특정 촉매 존재하에서 글리콜 해중합 반응으로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우레탄 구조를 분해시켰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paints used for the coating of automobile bumpers decomposed polyester and polyurethane structures by glycol depolymerization, especially in the presence of specific catalysts.

본 발명에 의한 해중합에 사용되는 글리콜은 에틸렌 글리콜(EG), 디에틸렌 글리콜(DEG), 1,2-프로판 디올(PG), 1,3-프로판 디올(trimethylene glycol), 디프로필렌 글리콜(DPG),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1,2-부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5-펜탄디올, 헥실렌 글리콜, 비스페놀 A, 2,2-디(4-히드록시 프로폭시 페닐)프로판, 2,2-디(4-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등과 같은 2가 알코올, 또는 글리세린, 트리히드록시 메틸프로판, 트리메틸올 에탄, 펜타 에리트리톨 등의 3가 이상의 글리콜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글리콜(EG), 디에틸렌 글리콜(DEG), 1,2-프로판 디올(PG), 1,3-프로판 디올 또는 디프로필렌 글리콜(DPG)이고, 좀 더 바람직하게는 1,2-프로판 디올(PG)이다.The glycols used for the depolymeriz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ethylene glycol (EG), diethylene glycol (DEG), 1,2-propane diol (PG), 1,3-propane diol (trimethylene glycol), dipropylene glycol (DPG) , 1,4-butanediol, 1,3-butanediol, 1,2-butanediol, neopentyl glycol, 1,5-pentanediol, hexylene glycol, bisphenol A, 2,2-di (4-hydroxy propoxy phenyl Dihydric alcohols such as propane, 2,2-di (4-hydroxyethoxyphenyl) propane, or trivalent or higher glycols such as glycerin, trihydroxy methylpropane, trimethylol ethane and pentaerythritol. Preferably ethylene glycol (EG), diethylene glycol (DEG), 1,2-propane diol (PG), 1,3-propane diol or dipropylene glycol (DPG), more preferably 1,2- Propane diol (P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중합 반응에 사용되는 촉매는 예를 들어, 알칼리 촉매로 탄산 나트륨, 중탄산 나트륨, 수산화 칼슘, 수산화 바륨,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리튬 등이 있으며, 산 촉매로 카복실산 촉매인 아세트산, 포름산, 프로피온산, 부틸산 및 벤조산 등이 있으며, 무기 아세트산염 촉매인 마그네슘 아세테이트(Magnesium acetate), 납 아세테이트(Lead acetate), 칼슘 아세테이트(Cacium acetate), 칼륨 아세테이트(Potassium acetate), 아연 아세테이트(Zinc acetate), 나트륨 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은 아세테이트(Silver acatate), 암모늄 아세테이트(Ammonium acetate), 구리 아세테이트(Cupric acetate) 등이 있으며, 루이스산 촉매로 염화 아연, 염화철, 염화 알루미늄, 염화 수은 등이 있으며, 이들 촉매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무기 아세트산염 촉매 또는 알칼리 촉매이다.In addition, the catalyst used in the depolymerization re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r example, sodium catalyst, sodium bicarbonate, calcium hydroxide, bar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sodium hydroxide or lithium hydroxide as an alkali catalyst, acetic acid which is a carboxylic acid catalyst as an acid catalyst. , Formic acid, propionic acid, butyric acid and benzoic acid, and are inorganic acetate catalysts such as magnesium acetate, lead acetate, calcium acetate, potassium acetate, and zinc acetate. acetate, sodium acetate, silver acatate, ammonium acetate, copper acetate, etc., and the Lewis acid catalyst includes zinc chloride, iron chloride, aluminum chloride, mercury chloride, and the like. One or two or more mixtur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se catalysts There is this. Preferably it is an inorganic acetate catalyst or an alkali catalyst.

플라스틱 수지의 도장에 사용되는 도료의 글리콜 해중합에 사용되는 촉매의 양은 글리콜 100중량부에 대해 0.01 내지 5중량부의 범위이다. 이때, 상기 촉매의 양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도막의 박리효과가 저하되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첨가된 촉매량에 비하여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무기 아세트산염 촉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글리콜 해중합 반응도중 아세트산이 분해될 수 있으므로 반응도중 촉매를 보충시킬 수 있다.The amount of catalyst used for glycol depolymerization of the paint used for coating the plastic resin is in the range of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glycol. At this time, when the amount of the catalyst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the peeling effect of the coating film is lowered, and when i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conomy is inferior to the amount of the added catalyst. On the other hand, when an inorganic acetate catalyst is used, acetic acid may be decomposed during the glycol depolymerization reaction, so that the catalyst may be supplemented during the reaction.

상기 성분들과 양으로 이루어진 반응 혼합물을 냉각기가 부착된 반응기에 투입시킨 다음, 질소 분위기하에서 적절한 교반기로 반응 혼합물을 잘 교반시키면서 120 내지 165℃, 바람직하게는 133 내지 155℃의 반응온도로 반응기 내부 온도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반응온도가 120℃ 미만이면 해중합 반응이 잘 진행되지 않는다. 이렇게 반응기의 조건을 충족시킨 후에, PP 기재에 도료가 도장된 플라스틱 수지, 예를 들어 자동차 범퍼 커버를 그대로 또는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반응기에 투입시키면 글리콜에 의해 도막 성분중 폴리우레탄과 에스테르가 화학적으로 해중합되어 도막에 금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금 사이로 다시 글리콜이 침투하여 물리적으로 도막을 밀어내어 도막은 분리된다. 이는 CPE가 도막과 물리적인 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글리콜의 해중합에 의해 약간의 분해가 진행되어 금이 발생한 도막과 CPE 사이를 글리콜이 침투하면 PP 기재와 CPE의 결합력보다 상대적으로 약한 결합력을 갖는 도막과 CPE 사이를 물리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응온도에서는 도막은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반응은 가급적 짧은 시간내, 즉 1 내지 30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PP 기재의 변형 및 물성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The reaction mixture consisting of the components and the amount was introduced into a reactor equipped with a cooler, and then inside the reactor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120 to 165 ° C, preferably 133 to 155 ° C, while stirring the reaction mixture with an appropriate stirrer under a nitrogen atmosphere. Raise the temperature. At this time, if the reac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120 ℃ depolymerization reaction does not proceed well. After satisfying the conditions of the reactor, a plastic resin coated with a PP base material, for example, an automobile bumper cover is cut into a suitable size or put into the reactor, and glycol and chemicals of polyurethane and ester in the coating component are chemically It depolymerizes and gold is formed in a coating film. Glycol penetrates through the gold thus generated and physically pushes the coating to separate the coating. This is because the CPE is in physical bond with the coating film. That is, when glycol is infiltrated between the CPE and the coating film where gold is generated due to a slight decomposition by the depolymerization of glycol, it is possible to physically separate the coating film and the CPE having a relatively weak bonding force than that of the PP substrate and the CPE. Therefore, at the reaction temper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ating film can be easily separated without being degraded. In addition, the reac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within the shortest time possible, that is, for 1 to 30 minutes, since it is possible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PP substrate and reduction of physical properties.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반응시키기 전에 도막의 표면을 샌드페이퍼로 문질러 주거나 또는 다른 장치로 흠집을 내어주고나서 반응시키면 도막의 박리가 보다 용이해질 수 있고, 또한 반응기내에서 도막을 해중합시킬 때 반응온도에서도 견딜 수 있는 재질이 부착된 솔(Brush)로 도막의 표면을 문질러 주거나, 반응액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반응을 하여도 도막의 박리가 보다 용이해 질 수 있다.If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is rubbed with a sandpaper or scratched with another device before the reaction under the above conditions, the reaction may be more easily peeled off, and also withstands the reaction temperature when depolymerizing the coating film in the reactor.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may be rubbed with a brush attached to a material that may b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ating film, or an ultrasonic wave may be generated in the reaction solution so that the coating film may be more easily peeled off.

도막이 완벽히 제거된 PP 기재는 다시 한번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키고, 이를 파쇄시켜 용융 압출시켜 펠렛(Pellt)으로 제조한다. 이렇게 제조된 재생 PP 기재는 비록 CPE가 부착된 상태이지만, 단독 또는 순(Virgin) PP 기재와 일정 혼합비율로 브랜딩하여 다시 자동차용 범퍼 커버로 재활용할 수 있다.The PP substrate having completely removed the coating film is washed once with water and then dried, crushed and melt-extruded to prepare pellets. The recycled PP substrate thus prepared may be recycled as a bumper cover for automobiles, even though the CPE is attached, and may be branded alone or with a virgin PP substrate at a predetermined mixing ratio.

한편,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 커버의 도료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에스테르-아크릴 공중합체의 글리콜 해중합에 사용되는 가장 효율적인 반응 시스템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반응시스템에서 반응온도를 낮추고 반응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자동차 범퍼의 도막 분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데, 반응온도가 165℃를 초과하면 범퍼의 기재가 열변형이 일어나며 고온에서 장시간 반응시키면 경제성의 문제를 떠나 범퍼에 사용되었던 PP 기재가 열분해 반응이 일어나 분자량이 감소하고 이에 따른 물성 저하가 일어난다. 특히 자동차 범퍼 커버로 사용되는 PP 기재는 PP에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가 혼합되어 있어 글리콜 반응시 반응온도가 165℃를 상회하면 자동차 범퍼에 사용된 PP 기재가 열변형이 일어난다. 아울러, 170℃ 이상의 반응온도에서는 박리된 도막이 글리콜에 의한 분해가 계속 진행되어 박리되었던 도막이 다시 자동차 범퍼에 응겨붙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도막의 박리, 특히 반응시키고 나서 물리적으로 제거시키는 과정에서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165℃에서 30분 이상 반응시키게 되면 PP 또는 엘라스토머의 공유결합이 끊어져 PP 기재에 사용되었던 고분자의 분자량이 감소하여 궁극적으로는 고분자의 기계적 물성이 감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most efficient reaction system used for glycol depolymerization of a polyurethane-ester-acrylic copolymer used as a paint for automobile bumper covers. Therefore, lowering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shortening the reaction time in the rea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in separating the coating film of the automobile bumper. When the reaction temperature exceeds 165 ° C, the substrate of the bumper is thermally deformed and reacts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In this case, the PP substrate used for the bumper is thermally decomposed due to economic problems, resulting in a decrease in molecular weight and consequent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In particular, the PP substrate used as an automobile bumper cover is a polyolefin-based elastomer is mixed in the PP, so when the reaction temperature exceeds 165 ℃ during the glycol reaction, the PP substrate used in the automobile bumper heat deformation occurs. In addition,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170 ° C. or higher, decomposition of the peeled coating film proceeds with the glycol, causing the peeled coating film to stick to the automobile bumper again. This causes a difficult problem in the process of peeling off the coating film, in particular, removing the coating film and then physically removing the coating film. In addition, if the reaction is carried out at 165 ° C. for 30 minutes or more, the covalent bond of PP or elastomer is broken, thereby reduc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mer used for the PP substrate, which ultimately results in a decrease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따라서,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에스테르-아크릴 공중합체 도료가 도장된 플라스틱 제품에서, 특히 자동차 범퍼에 사용된 PP 기재의 글리콜 해중합법에 의한 재활용에 있어서 가장 핵심은 반응온도를 165℃ 이하에서 낮출 수 있으면 가급적 낮추고, 또한 반응시간도 30분 이하로 단축 시킬 수 있으면 가급적 단축시켜야 한다. 이를 이루기 위해서는 적절한 반응 시스템, 즉 촉매와 글리콜이 선정 되어야 한다.Therefore, in plastic products coated with a thermosetting polyurethane-ester-acrylic copolymer paint, in particular, recycling of the PP-based glycol depolymerization method used in automobile bumpers is the key, as long as the reaction temperature can be lowered below 165 ° C. If possible, the reaction time should also be shortened as much as possible. To achieve this, an appropriate reaction system, ie catalyst and glycol, must be selected.

그러나 자동차 회사 마다 또한 동일한 자동차 회사 일지라도 도장의 색상에 따라 반응 시스템이 다르게 된다. 이는 사용한 도료의 조성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 이다. 이러한 경향은 실시예에서 설명하고자 한다.However, different automakers also have different reaction systems, depending on the color of the paint, even for the same automaker. This is because the composition of the paint used is slightly different. This trend is illustrated in the examples.

한편, 반응에 사용하고 난 후 폐글리콜은 비점에서 증류시켜 미반응 글리콜을 순수한 상태로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being used for the reaction, the waste glycol can be distilled at the boiling point to recover the unreacted glycol in a pure state and reus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자동차 회사 및 다양한 색상의 도막 박리를 공통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실험을 한 결과 글리콜은 PG 또는 DEG에 촉매는 암모늄 아세트산(Ammonium acetate)을 반응시스템으로 한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상기 반응시스템에서는 반응 온도 약 130 내지 150℃ 사이에서 도막의 박리는 5 내지 10분 정도 걸렸는데, 회사에 따라 그리고 색상에 따라 다소 다른 결과를 보였으나, 150℃에서는 약 5분 이내, 140℃에서는 약 10분 이내(현대, 대우 제품은 5분 이내 그리고 삼성 제품은 10분) 그리고 130℃에서는 현대 와 대우 제품은 5분 이내 삼성 제품은 약 17분 정도 소요되었다. 따라서 이 반응 시스템에서는 133 내지 155℃ 사이의 반응 온도에서는 다양한 범퍼의 도장에 따라 10분 이내에 도막을 박리시킬 수 있다. 이렇게 박리된 도막은 세척하고 건조시켜 파쇄시킨 후 용융혼합시켜 그 물성을 측정 한 결과 순 PP 기재와 거의 동일한 기계적 물성 값을 보여 주었고, 분자량 값도 거의 동일하였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eriments with regard to whether a common automobile company and various color peelings of the film can be achieved in common, and glycol reacts with PG or DEG and the catalyst reacts with ammonium acetate. The system is the most efficient. In the reaction system, the peeling of the coating film took about 5 to 10 minutes between the reaction temperatures of about 130 to 150 ° C., but the results were sligh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mpany and the color. In about 10 minutes (Hyundai, Daewoo products within 5 minutes, and Samsung products in 10 minutes) and at 130 ℃, Hyundai and Daewoo products took about 17 minutes. Therefore, in this reaction system, the coating film can be peeled off within 10 minutes depending on the coating of various bumpers at reaction temperatures between 133 and 155 ° C. The peeled coating film was washed, dried, crushed, melt-mixed, and measured, and the physical properties thereof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pure PP substrate, and the molecular weight values were almost the same.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하기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 1Example 1

냉각기가 장착된 반응기에 에틸렌 글리콜 100g과 나트륨 아세트산 0.5g과 아연 아세트산 0.5g을 투입하고 반응기 내부를 질소로 치환시키고 반응기의 온도를 150℃로 상승시켰다. 이러한 반응 조건하에서 자동차 범퍼 커버(삼성 자동차 제품 자주색)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 한 후 이를 반응기에 투입시킨 결과 8분만에 도막이 박리되었고, 이를 물로 세척시켜 순수한 PP 기재를 얻었다.100 g of ethylene glycol, 0.5 g of sodium acetate, and 0.5 g of zinc acetic acid were added to a reactor equipped with a cooler, and the inside of the reactor was replaced with nitrogen, and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was raised to 150 ° C. Under these reaction conditions, the car bumper cover (Samsung Automotive Products Purple) was cut to an appropriate size and then put into the reactor, and 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in 8 minutes, which was washed with water to obtain a pure PP substrate.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0.5g과 아연 아세트산 0.5g 대신 나트륨 아세트산 1g을 첨가시키고, 반응온도를 160℃로 하여 실험한 결과 10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1 g of sodium acetic acid was added instead of 0.5 g of sodium acetic acid and 0.5 g of zinc acetic aci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60 ° C.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반응온도를 165℃로 하여 실험 한 결과 5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after 5 minut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but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65 ℃.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대신 칼륨 아세트산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160℃로 하여 실험한 결과 10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potassium acetic acid was used instead of sodium acetic aci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60 ° C.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실시예 4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반응온도를 170℃로 하여 실험 한 결과 범퍼의 기재도 함께 녹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반응온도를 170℃ 이상으로 상승시키는 것은 도막 문제가 있다. 그러나 실시예 5에서 사용한 삼성 자동차 회사 이외의 다른 제품 즉, 엘라스토머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유추되는 대우 또는 현대의 경우에는 열변형 온도가 약 180℃ 정도까지 상승한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4, but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70 ℃ experiments as a result of melting the substrate of the bumper also occurred. Therefore, raising reaction temperature to 170 degreeC or more has a coating film problem. However, in case of Daewoo or Hyundai, which is inferred to have a relatively low content of elastomer other than Samsung Motor Company used in Example 5, the heat deformation temperature rises to about 180 ° C.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대신 납 아세트산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157℃로 하여 실험한 결과 10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lead acetic acid was used instead of sodium acetic aci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57 ° C.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대신 은 아세트산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158℃로 하여 실험한 결과 8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silver acetic acid was used instead of sodium acetic aci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58 ° C.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대신 아연 아세트산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를 142 내지 144℃로 하여 삼성 자동차 제품(짙은 회색), 현대 자동차 제품(백색)과 대우 자동차 제품(회색)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현대 자동차 제품과 대우 자동차 제품의 범퍼는 6분에서 10분 사이에 도막이 박리되어 반응기 내에서 스스로 떨어져 나갔으나 삼성 자동차 제품은 도막의 박리가 어려웠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zinc acetic acid was used instead of sodium acetic aci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42 to 144 ° C., and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Samsung automobile products (dark gray), Hyundai automobile products (white), and Daewoo automobile products (grey). As a result, the bumpers of Hyundai Motor and Daewoo Motors were peeled off within the reactor after 6 to 10 minutes, but Samsung's products were difficult to peel off.

실시예 8Example 8

실시예 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반응온도를 154℃로 하여 실험한 결과 8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7,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at a reaction temperature of 154 ° C., and after 8 minutes, the coating was peeled off.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대신 암모늄 아세트산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154℃로 하여 실험한 결과 5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Ammonium acetic acid was used instead of sodium acetic aci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54 ° C., and 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after 5 minutes.

실시예 10Example 10

실시예 9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반응온도를 150℃로 하여 실험한 결과 10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after 10 minut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9 except that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50 ° C.

실시예 11Example 11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대신 알칼리 촉매인 수산화 나트륨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165℃로 하여 실험한 결과 6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sodium hydroxide, which is an alkali catalyst, was used instead of sodium acetic aci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65 ° C.

실시예 12Example 12

실시예 1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반응온도를 160℃로 하여 실험한 결과 10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after 10 minutes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1 except that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60 ° C.

실시예 13Example 13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대신 알칼리 촉매인 수산화 바륨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150℃로 하여 실험한 결과 10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but instead of sodium acetic acid, an alkali catalyst, barium hydroxide, was use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50 ° C.

실시예 14Example 14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대신 알칼리 촉매인 수산화 칼륨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160℃로 하여 실험한 결과 10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but instead of sodium acetic acid, an alkali catalyst potassium hydroxide was use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60 ° C.

실시예 15Example 15

실시예 2와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나트륨 아세트산 대신 알칼리 촉매인 수산화 칼슘을 사용하였고, 반응온도는 160℃로 하여 실험한 결과 10분 후에 도막이 박리되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2, but instead of sodium acetic acid, an alkali catalyst calcium hydroxide was used,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160 ° C.

실시예 16Example 16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글리콜을 에틸렌 글리콜 대신 프로필렌 글리콜을 사용하였고, 촉매로는 나트륨 아세트산 0.5g과 아연 아세트산 0.5g 대신 아연 아세트산 1g을 투입시키고 반응온도를 약 142 내지 145℃로 유지시켜 반응시킨 결과 현대 자동차 제품(백색 도료)의 경우 약 1분 만에 도막이 박리되어 반응액 속으로 스스로 떨어져 나갔다. 이 경우 실시예 1에서 15까지의 경우와는 달리 반응 후 도막을 박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생략되고 다만 물로 세척시킨 후 건조시켜 재생시키면 되었다. 그러나 대우 자동차 제품(회색 도료)과 삼성 자동차 제품(짙은 회색)의 경우에는 10분 후에 도막에 균열이 가는 등의 분해 반응이 일어 났으나 반응기 내에서 도막이 박리 되지 않고 반응 후 손으로 닦아내야 만 했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propylene glycol was used instead of ethylene glycol, and as the catalyst, 0.5 g of sodium acetate and 1 g of zinc acetic acid were added instead of 0.5 g of zinc acetate, and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about 142 to 145 ° C. As a result, in the case of Hyundai automobile products (white paint), 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in about 1 minute and fell off into the reaction solution. In this case, unlike in the case of Examples 1 to 15, a separate step for peeling the coating film after the reaction was omitted, but only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o regenerate. However, in the case of Daewoo Motors (Gray Paint) and Samsung Motors (Dark Grey), decomposition reactions such as cracking of the coating film occurred after 10 minutes, but the coating film was not peeled off in the reactor.

실시예 17Example 17

실시예 16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촉매로는 암모늄 아세트산 1g을 투입시키고 반응온도를 약 130℃에서 155℃로 변화시키면서 반응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현대 자동차 제품(백색 도료)의 경우, 반응온도 155℃에서 약 1분만에 도막이 박리되어 반응액 속으로 스스로 떨어져 나갔으며, 반응온도를 약 135℃로 저하시켰을 경우에도 5분만에 도막이 박리되어 반응기내에서 스스로 떨어져 나갔다. 따라서 이 경우도 실시예 16에서 처럼 반응후 도막을 박리시키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생략되고 다만 물로 세척시킨 후 건조시켜 재생시키면 되었다. 대우 자동차 제품(회색 도료)의 경우에는 반응온도 155℃에서 2분만에 그리고 135℃에서는 5분만에 도막이 박리되어 반응액속으로 스스로 떨어져 나갔으며, 삼성 자동차 제품(짙은 회색)의 경우에는 반응온도 155℃에서 3분만에 145℃에서 10분만에 도막이 박리되어 반응액 속으로 스스로 떨어져 나갔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6, 1 g of ammonium acetic acid was added as a catalyst, and the reaction was performed while changing the reaction temperature from about 130 ° C. to 155 ° C. to obtain the following experimental results. First, in the case of Hyundai automobile products (white paint), 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in about 1 minute at the reaction temperature of 155 ℃, and the film fell off into the reaction liquid.The film was peeled off in 5 minutes even when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reduced to about 135 ℃. Away from myself. Therefore, in this case, as in Example 16, a separate process for peeling the coating film after the reaction was omitted, but only washed with water and dried to regenerate. In the case of Daewoo Automotive Products (Gray Paint), 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in 2 minutes at 155 ℃ and 5 minutes at 135 ℃. After 3 minutes, 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at 145 ° C. for 10 minutes, and then fell off into the reaction solution.

실시예 18Example 18

실시예 1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암모늄 아세트산을 1g 더 첨가시켜 130℃에서 반응시킨 결과 현대 자동차 제품(백색)의 경우에는 5분 만에 도막이 박리되어 반응액 속으로 스스로 떨어져 나갔으며, 대우 자동차 제품(회색)의 경우에는 5분에서 10분 사이에 도막이 박리되어 반응액 속으로 스스로 떨어져 나갔다. 그러나 삼성 자동차 제품(짙은 회색)의 경우에는 도막이 박리되지 않았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7 but adding 1 g of ammonium acetic acid and reacting at 130 ° C., 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in 5 minutes in the case of a modern automobile product (white). In the case of), 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between 5 minutes and 10 minutes, and then fell into the reaction solution. However, in the case of Samsung Motor Company (dark gray), the coating did not peel off.

실시예 19Example 19

실시예 17과 동일한 조건으로 하되 암모늄 아세트산 대신 나트륨 아세트산을 1g 더 첨가시켜 140℃에서 145℃의 온도로 반응시킨 결과 현대 자동차 제품(백색) 과 대우 자동차 제품(회색)의 경우에는 10분만에 도막이 박리되어 반응액 속으로 스스로 떨어져 나갔다. 그러나 삼성 자동차 제품(짙은 회색)의 경우에는 도막이 박리되지 않았다.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7, 1 g of sodium acetic acid was added instead of ammonium acetic acid to react at a temperature of 140 ° C. to 145 ° C., and as a result, the coating film was peeled off in 10 minutes in the case of Hyundai automobile products (white) and Daewoo automobile products (grey). And fell off into the reaction solution. However, in the case of Samsung Motor Company (dark gray), the coating did not peel off.

실시예 20Example 20

본 발명에 의해 도막이 박리된 PP 기재를 순 PP 기재와 1:1의 중량비로 용융, 혼합시켜 재생 PP의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순 PP 기재의 시편과 가공성 및 물성 차이를 비교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P substrate having a peeled coating film was melted and mixed with a pure PP substrate in a weight ratio of 1: 1 to prepare a specimen of regenerated PP, and this was compared with the specimen of the pure PP substrate and the difference in workability and physical properties. Described.

항목Item MFI(g/10min)MFI (g / 10min) 인장강도(kgf/cm2)Tensile strength (kgf / cm 2 ) 신율(%)% Elongation 굴곡강도(kgf/cm2)Flexural Strength (kgf / cm 2 ) -30℃ 아이조드 강도(kgf·cm/cm)-30 ℃ Izod strength (kgfcm / cm) 수축율(%)Shrinkage (%) I'm after 순 PP 기재Pure PP base material 11.811.8 168168 500↑500 ↑ 9,4009,400 5.65.6 1.141.14 1.491.49 재생 PP 기재Recycled PP base material 11.711.7 163163 500↑500 ↑ 9,5009,500 5.75.7 1.091.09 1.411.4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공성을알 수 있는 MFI(Melt Flow Index: 용융흐름지수)는 순 PP 기재의 경우 11.8이고, 재생 PP 기재의 경우 11.7로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기계적 물성 값들인 인장강도, 신율, 굴곡강도, -30℃ 아이조드 강도 및 수축율 등은 거의 유사한 값을 보여주고 있어 본 발명에 의해 도막을 박리시킨 PP 기재의 재활용은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As can be seen in Table 1, the MFI (Melt Flow Index: Melt Flow Index) for the processability was found to be almost similar to 11.8 for pure PP substrate and 11.7 for recycled PP substrate. In addition,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tensile strength, elongation, flexural strength, -30 ° C Izod strength, and shrinkage rate showed almost similar values, so the recycling of the PP base material peeled off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idered to be no problem.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한 글리콜에 의한 해중합법으로 열경화성 도막을 박리시키는 것은 기존에 소개되었던 방법들 보다 도막의 제거 효율이 매우 높은 거의 완벽한 박리가 가능하다. 그리고 도막의 박리에 필요한 반응액의 사용이 아주 작다. 또한, 반응에 사용하고 난 후 폐글리콜은 비점에서 증류시켜 미반응 글리콜을 순수한 상태로 회수하여 재사용하는데, 이는 기존의 방법에서 폐 반응액의 회수 또는 처리시 활성탄을 사용하는 등으로 경제적 부담이 높은데 비해 매우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도막의 박리에 사용한 글리콜은 기존의 기술들 보다 독성이 낮거나 인체에 거의 무해하고 환경 안전성도 우수하다. 그리고 기존의 발명에서 사용하였던 물질보다 가격도 저렴하여 경제성도 매우 높다.As described above, the peeling of the thermosetting coating film by the depolymerization method using glyco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lmost perfect peeling with a very high removal efficiency of the coating film than the methods previously introduced. And the use of the reaction liquid required for peeling a coating film is very small. In addition, after use in the reaction, the waste glycol is distilled at the boiling point to recover the unreacted glycol in a pure state, and reused. It is a very simple and economic way. In addition, the glycol used for peeling the coating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toxic or harmless to the human body than the existing techniques and excellent in environmental safety. In addition, the price is cheaper than the material used in the existing invention and the economics are very high.

Claims (5)

무기 아세트산염 촉매 또는 알칼리 촉매 존재하에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 디올, 1,3-프로판 디올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글리콜에 열경화성 도료가 도장된 플라스틱 수지를 120 내지 165℃에서 1 내지 30분간 침지시켜 상기 열경화성 도료를 박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In the presence of an inorganic acetate catalyst or an alkali catalyst, a plastic resin coated with a thermosetting paint is coated on a glyco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thylene glycol, diethylene glycol, 1,2-propane diol, 1,3-propane diol and dipropylene glycol. A method of peeling a thermosetting polymer coating film coated on plastic,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rmosetting paint is peeled off by immersing at 1 to 30 minutes at 165 ° 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아세트산염 촉매가 마그네슘 아세테이트, 납 아세테이트, 칼슘 아세테이트, 칼륨 아세테이트, 아연 아세테이트, 나트륨 아세테이트, 은 아세테이트, 암모늄 아세테이트 및 구리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norganic acetate catalyst is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gnesium acetate, lead acetate, calcium acetate, potassium acetate, zinc acetate, sodium acetate, silver acetate, ammonium acetate and copper acetate A method of peeling a thermosetting polymer coating film coated on plastic.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 촉매가 탄산 나트륨, 중탄산 나트륨, 수산화 칼슘, 수산화 바륨, 수산화 칼륨, 수산화 나트륨 및 수산화 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The thermosetting polymer coating film of claim 1, wherein the alkali catalys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dium carbonate, sodium bicarbonate, calcium hydroxide, bar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sodium hydroxide and lithium hydroxide. Peeling metho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의 사용량이 글리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talyst is used in an amount of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glyco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스틱 수지가 자동차용 폐 범퍼 커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에 도장된 열경화성 고분자 도막의 박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lastic resin is a waste bumper cover for an automobile.
KR1019970055400A 1997-10-27 1997-10-27 Method for recycling resin covered with thermoset paint KR1002412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400A KR100241267B1 (en) 1997-10-27 1997-10-27 Method for recycling resin covered with thermoset pa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400A KR100241267B1 (en) 1997-10-27 1997-10-27 Method for recycling resin covered with thermoset pa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951A KR19990033951A (en) 1999-05-15
KR100241267B1 true KR100241267B1 (en) 2000-02-01

Family

ID=1952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400A KR100241267B1 (en) 1997-10-27 1997-10-27 Method for recycling resin covered with thermoset pa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2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757B1 (en) * 2012-01-12 2014-07-04 주식회사 태성산업 Composition for removing paint film on plastic res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951A (en)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47249B1 (en) Method of regenerating coated plastic wastes
KR100401724B1 (en) Chemical method for removing paint film on plastic resin using iso-propyl alcohol
US6262133B1 (en) Process for removing deleterious surface material from polymeric regrind particles
KR100241267B1 (en) Method for recycling resin covered with thermoset paint
JP2002525409A (en) Method for cleaning and purifying polyester
EP0618254B1 (en) Method for recycling painted plastic materials
KR100236477B1 (en) Process for recycling vehicle waste plastic bumper and apparatus thereof
US5476624A (en) Process for reclaiming waste plastics having a paint film
CN105237881A (en) Toughening modified recycled polypropylene micro-crosslinking master batch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3244090B2 (en) Film peeling method
JP2001030237A (en) Production of rubber-thermoplastic resin composite material
JP3480655B2 (en) Method of peeling coating film of resin molded product
KR101428545B1 (en) Method of recycling coated plastic products
KR100368022B1 (en) Solution composition for decomposition of coating and method for removing coating using the same composition
KR20020055281A (en) Chemical method for removing paint film on plastic resin using alcoholic solutions
JP3433629B2 (en) Resin molded article coated with resin coating and method of regenerating the same
JPH05200749A (en) Regeneration treatment of polypropylene composite material having thermosetting resin coating film
KR19990010677A (en) How to Play Bumper
JP3402706B2 (en) Recycling method for resin molded products
JP3412431B2 (en) Resin molded article coated with resin coating and method of regenerating the same
JP3351283B2 (en) Method of peeling coating film of resin molded body
JP2024076853A (en) How to remove decorative layer
JP4400596B2 (en) How to recycle alcohol
JP2001206951A (en) Composite resin
JPH10128228A (en) Method for peeling and separating coating film of resin mol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