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430B1 - 접점어레이 - Google Patents

접점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430B1
KR100240430B1 KR1019960702183A KR19960702183A KR100240430B1 KR 100240430 B1 KR100240430 B1 KR 100240430B1 KR 1019960702183 A KR1019960702183 A KR 1019960702183A KR 19960702183 A KR19960702183 A KR 19960702183A KR 100240430 B1 KR100240430 B1 KR 10024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assembly
assembly
charger
contact array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201A (ko
Inventor
애드넌 악소이
마크 에스. 브레신
윌리 코트키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Publication of KR960706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2Casings or frames around the primary casing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7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s, computers, hand tool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에너지원(20)을 무선기기(12)와 충전기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접점 어레이(10)는 회로 조립체(31)를 포함하며, 이 회로 조립체는 그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일체형 무선기기 및 충전기 접점(38,40)을 갖는다. 두개의 단자(34)는 에너지원(20) 및 부재(44)를 상기 조립체(31)의 상부 측면(32)에 부착하는 수단(42)에 접속되기 위하여 회로 조립체(32)의 제2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부착수단(42)은 회로 조립체(31)에 일체로 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접점 어레이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 분야]
본 발명은 접점 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너지원을 전자 장치 및 충전기에 접속하기 위한 접점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배경]
쌍방 무전기 등의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접점 어레이에 의해 이 전자 장치 또는 충전기에 접속되는 재충전식 에너지원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개, 접점 어레이는 접점 블록과 플라스틱 및 금속을 갖는 삽입 성형부를 갖춘 가요성 조립체를 포함한다. 또한, 가요성 조립체는 전지 팩에 연결되는 단자 또는 탭을 포함한다. 이 탭들은 가요성 조립체에 스폿 용접된 시트 금속 탭이다. 접점 블록 및 탭들은 가요성 회로 상에 수작업으로 조립된다. 그 후에, 가요성 조립체가 전자 제품에 수작업으로 조립된다. 이들 가요성 조립체는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한다. 가요성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은 불충분한 조립 공정 및 불필요한 부재 및 노동력을 수반하며, 이로써 제조 비용이 높아지고 신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가요성 조립체는 전지 팩을 재충전 가능하게 해주고 그리고/또는 본질적으로 안전하게 해주는 저항기, 저항체, 다이오드 및 커넥터등의 다른 부재들도 포함한다. 그러나, 전자 장치에 복수개의 전기 부품이 사용되면 접속 부재들과 에너지원 및 회로 사이의 전기 보전성 또는 전기 손실을 고려해야 한다.
전자 소비재의 중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전자 제품의 구조 전반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조립의 용이성 또는 제조량을 늘리기 위한 노력과 함께 자동화 조립은 부품들을 일체로 하고 가능한한 소형으로 할 것을 요하고 있다. 따라서, 적은 수효의 부재 및 부품에서의 특징들을 일체화시킬 수 있는 것이 조립 단계를 줄이는 데 관건이 된다. 따라서, 조립을 용이하게 해주고 중량을 감소시키며 제조 효율은 높이고 조립 및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접점 어레이가 필요하다. 또한, 간단하고 낮은 비용으로 에너지원과 전자 장치 및 충전기 사이를 접속할 필요가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접점 어레이를 갖는 무선기기 조립체의 분해도.
제2도는 제1도의 접점 어레이의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점 어레이를 갖는 전지조립체의 분해도.
제4도는 제3도의 접점 어레이의 사시도.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 부재 또는 접점 어레이(10)를 갖는 무선기기 조립체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무선기기 조립체는 무선기기 본체(12)와 제거식 전지 팩키지(15)를 포함한다. 전지 팩키지(15)는 상부(14)와 하부(16)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하우징부들은 함께 스냅 체결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하우징부들은 초음파 용접에 의해 함께 용접될 수도 있다. 상부(14)는 전지 팩키지(15)를 무선기기(12)에 착탈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부(16) 및 무선기기(12)에 정합되는 래치부(18)를 포함한다. 또한, 상부(14)는 무선기기(12) 상의 무선기기 접점(28)에의 전기 접속을 위한 전지-무선기기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한다. 하부(16)는 충전기(도시 생략)에의 접속을 위한 전지-충전기 인터페이스(24)를 포함한다.
또한, 전지 팩키지(15)는 이의 상부(14)와 하부(16) 사이에 배치된 전지 팩(20)을 포함한다. 전지 팩(20)을 하부(16)에 부착하는 데에는 접착재(22)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접착재(22)는 전지 팩(20)이 전지 하우징 내에서 이동하거나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접착재(22)에는 두 개의 절결부(23)가 있다. 접점 어레이(10)는 상부(14)와 전지 팩(20) 사이에 위치하지만 전지 팩의 단자선(점선으로 도시)들에 접속되도록 전지 팩(20) 아래로 연장되는 연장 레그들을 갖는다. 전지팩(20)의 측면을 거의 덮도록 접착재(22)를 위치시킴으로써 전기 접속이 제위치에서 확실하게 유지된다.
제2도에는 제1도의 접점 어레이(10)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접점 어레이(10)는 상부 측면(32)과 4개의 단부들을 갖는 회로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어레이에는 회로 조립체(3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일체형 무선기기 및 충전기 접점(38,40)이 마련되어 있다. 무선기기 접점(38)은 전지 팩키지(15, 제1도)의 상부(14)에 있는 전지-무선기기 인터페이스(26)를 통해서 무선기기(12)상의 접점(28)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충전기 접점(40)은 전지 팩키지(15)의 하부(16)에 있는 전지-충전기 인터페이스(24)를 통해서 충전기(도시 생략)에 연결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어레이에는 회로 조립체(31)의 제2단부로부터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두개의 연장 부재(36)가 마련되어 있다. 단자(34)는 각 연장 부재(36)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다. 단자(34)들은 전지 팩(20, 제1도에 점선으로 도시)의 단자 스트랩(또는 라인, 21)에 접속되기 위한 것이다. 연장 부재(36)들은 접점 어레이(10)가 위치하게 되는 전지 팩(20)의 대향 측면에 있는 단자 스트랩(21)에 단자(34)가 접속될 수 있게 해준다. 단자(34)는 가압 접점들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들 각 접점에 딤플(46)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단자(34)는 두개의 절결부(23) 내측에 위치하며, 이들 절결부가 전지 팩(20)과 하부(16) 사이에서 가압될 때 어떠한 부식성 환경으로부터도 밀봉된다. 따라서, 전지 팩키지(15)의 사용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회로 조립체(31)는 부재(44)를 그 상부에 부착하기 위해 이로부터 연장되는 부착 수단(42)도 포함한다. 이 부착 수단은 저항체 등의 부재(44)가 상기 부착 수단(42)에 의해 간편하게 스냅 체결되어 보유되게 해주는 후크 연장부로 할 수도 있다.
접점 어레이(10)는 3차원 회로 조립체(31)의 형상을 취하는 압단 성형된 금속 회로로부터 형성된다. 부재들은 크림핑, 납땜 또는 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다른 체결방법으로 회로 조립체 상의 제위치에 고정 유지된다. 완성된 회로 조립체(31)는 자동 조립중에 전지 팩(15)내에 편리하게 위치하게 되는 테이프 및 릴, 릴 대 릴 또는 트레이에 마련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접점 어레이를 갖는 전지 조립체가 분해도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마찬가지로, 전지 팩키지(75)는 충전기(도시 생략)에의 전지 접속을 위한 전지-충전기 인터페이스(84)를 갖는 하부(76)를 포함한다. 접착재 층(82)은 전지 팩(80)을 하부(76)에 적절하게 고정한다. 접점 어레이(50)는 전지 팩(80)을 단자 스트랩(또는 라인, 81)을 거쳐 무선기기(도시 생략)등의 전자 장치에 접속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충전기(도시 생략)에도 접속한다. 상부(74)는 접점 어레이(50)가 무선기기 상의 접점에의 접근을 허용하는 전지-무선기기 인터페이스(86)를 포함한다. 상부(74)는 전지 팩(80)을 둘러싸고 전지 팩키지(75)를 형성하는 하부(76)에 정합된다. 하우징부들은 함께 스냅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하우징부들은 초음파 용접에 의해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전지 팩키지는 무선기기에 착탈식으로 결합된다.
제4도에는 제3도의 접점 어레이(50)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 접점 어레이(50)는 제2도의 접점 어레이와 유사하다. 이 접점 어레이는 상부 측면(52)과 4개의 단부를 갖는 회로 조립체(51)를 포함한다. 상기 접점 어레이에는 회로 조립체(5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일체형 무선기기 및 충전기 접점(58,60)이 마련되어 있다. 무선기기 접점(58)은 전지 팩키지(75, 제3도)의 상부(74)에 있는 전지-무선기기 인터페이스(86)를 통해서 무선기기(도시 생략)상의 접점에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 충전기 접점(60)은 전지 팩키지(75)의 하부(76)에 있는 전지-충전기 인터페이스(84)를 통해서 충전기(도시 생략)에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
상기 접점 어레이에는 제1단부 반대쪽의 제2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두개의 단자(54)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단자(54)는 제3도의 전지 팩(80)의 단자 스트랩(또는 라인, 81)에의 접속을 위한 것이다. 주변 환경, 특히 해양 등의 부식성 환경과의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억제하도록 단자(54)들에 접착재(82)를 인가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면 전지 팩키지(15)의 사용 수명이 길어지게 된다.
회로 조립체(51)는 부재(64)를 그 상부 측면에 부착하기 위하여 이로부터 연장되는 부착 수단(62)도 포함한다. 이 부착 수단은 저항체등의 부재(64)가 상기 부착 수단(42)에 의해 간편하게 스냅 체결되어 보유되게 해주는 후크 연장부로 할 수도 있다.
요약하면, 부품들의 수효가 감소함으로써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여 낮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접점 어레이가 마련된다. 이 접점 어레이는 그 구조가 주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가혹한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수개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는 첨부한 청구범위의 기술사상 내에서 본 발명을 여러 형태로 변경할 수도 있다.

Claims (9)

  1. 에너지원을 무선기기와 충전기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접속부재에 있어서, 하나의 상부 측면과 4개의 단부를 갖는 회로 조립체와, 상기 회로 조립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일체형 무선기기 및 충전기 접점과, 에너지원에 접속되기 위하여 상기 회로 조립체의 제2단부로부터 연장되는 두 개의 단자와, 부재를 상기 조립체의 상부 측면에 부착하며 상기 회로 조립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단자들이 이들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두개의 가압 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각 가압 접점이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각 스프링 부재가 딤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단자들이 회로 조립체의 제2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장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6. 제1항에 있어서, 단자들의 일측면이 접착재 층으로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부재.
  7. 에너지원을 무선기기와 충전기에 전기 접속하기 위한 접점 어레이에 있어서, 하나의 상부 측면과 4개의 단부를 갖는 회로조립체와, 상기 회로 조립체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개의 일체형 무선기기 및 충전기 접점과, 상기 회로 조립체의 제2단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두개의 연장 부재와, 에너지원에 접속되기 위하여 각 연장 부재로부터 연장되며 그 상부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두개의 가압 접점을 갖춘 단자와, 상기 단자들의 상부 측면을 덮기 위한 접착재 층과, 부재를 상기 조립체의 상부 측면에 부착하며 회로 조립체의 일체형으로 부착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어레이.
  8. 제7항에 있어서, 각 가압 접점이 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어레이.
  9. 제8항에 있어서, 각 스프링 부재가 딤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점 어레이.
KR1019960702183A 1994-01-03 1994-10-28 접점어레이 KR100240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143025 1994-01-03
US08/143,025 US5421745A (en) 1994-01-03 1994-01-03 Contact array
US08/143,025 1994-01-03
PCT/US1994/011623 WO1995019051A1 (en) 1994-01-03 1994-10-28 Contact arr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201A KR960706201A (ko) 1996-11-08
KR100240430B1 true KR100240430B1 (ko) 2000-01-15

Family

ID=22502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183A KR100240430B1 (ko) 1994-01-03 1994-10-28 접점어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21745A (ko)
EP (1) EP0740856A1 (ko)
KR (1) KR100240430B1 (ko)
WO (1) WO19950190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0242A (en) * 1993-04-19 1997-04-15 Motorola, Inc. Portable radio battery latch
US5626980A (en) * 1995-08-28 1997-05-06 Motorola, Inc. Contact block in a battery pack having snap in features
US5655913A (en) * 1995-09-26 1997-08-12 Motorola, Inc. Electrical interconnect contact
US5587250A (en) * 1995-09-27 1996-12-24 Motorola, Inc.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US5534366A (en) * 1995-11-22 1996-07-09 Motorola, Inc. Modular battery pack
US5607791A (en) * 1996-07-08 1997-03-04 Motorola, Inc Battery interface structure for an electrical device
US5770330A (en) * 1996-10-24 1998-06-23 Motorola, Inc. Battery package with multiple surface charging contacts
US5670266A (en) * 1996-10-28 1997-09-23 Motorola, Inc. Hybrid energy storage system
US6087812A (en) * 1997-06-13 2000-07-11 Motorola, Inc. Independent dual-switch system for extending battery life under transient loads
US6117585A (en) * 1997-07-25 2000-09-12 Motorola, Inc. Hybrid energy storage device
US6152789A (en) * 1998-03-09 2000-11-28 Schneider Automation Inc. Battery terminal contactor
US6319631B1 (en) * 1999-09-08 2001-11-20 Motorola, Inc. Contact system for interconnection of substrate and battery cell
US6672780B2 (en) 2001-09-21 2004-01-06 Panduit Corp. Thermal printhead mechanism
US6830391B2 (en) 2001-09-21 2004-12-14 Panduit Corp. Media cartridge with printed circuit board for use in a printing system
EP1391961B1 (en) * 2002-08-19 2006-03-29 Luxon Energy Devices Corporation Battery with built-in load leveling
KR100468318B1 (ko) * 2002-11-21 2005-01-27 (주)대호하이텍 휴대폰 배터리용 터미널 콘택트 및 터미널 콘택트와스페이서의 결합 구조를 가진 터미널 콘택트 어셈블리의제조 방법
KR100952408B1 (ko) 2009-09-22 2010-04-1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휴대단말기용 공통단자
US11075425B2 (en) * 2019-06-28 2021-07-27 Motorola Solutions, Inc. Battery pack with charg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7327047U (de) * 1973-07-24 1973-10-25 Gebrueder Junghans Gmbh Kontaktanordnung für eine batteriebetriebene Uhr
US5298347A (en) * 1992-09-14 1994-03-29 Motorola, Inc. Battery pack
US5358798A (en) * 1993-12-06 1994-10-25 Motorola, Inc. Battery assembly having a thermal f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19051A1 (en) 1995-07-13
US5421745A (en) 1995-06-06
EP0740856A1 (en) 1996-11-06
KR960706201A (ko) 1996-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0430B1 (ko) 접점어레이
US7686853B2 (e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battery cells in a battery pack and method thereof
US5096788A (en) Weldless battery pack
US5180644A (en) Weldless battery pack
US5298347A (en) Battery pack
US5472804A (en) Battery device with integrated circuit substrate packaging
US8652661B2 (en) Secondary battery with protection circuit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104754A (en) Weldless battery pack
CN109962202B (zh) 具有导电基板的可充电电池
US5948559A (en) Battery pack for an electronic device
US6733919B1 (en) Battery spacer and circuit board mounting apparatus
KR0148202B1 (ko) 배터리 팩 및 그 성형 방법
JP5236265B2 (ja) バッテリー
KR101130048B1 (ko) 신규한 구조의 pcm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이차전지팩
US5403203A (en) Contact array
US5427537A (en) Device with external interface
US6175624B1 (en) Method for connecting a battery circuit in a cellular telephone
US5238431A (en) Self securing electrical contact assembly
US6424117B1 (en) Press-in contact
JP2001250520A (ja) 電池パックおよび電子機器
GB2392322A (en) Pin type terminal for printed circuit board
JPH0644017Y2 (ja) 電池接続端子
JPH08185837A (ja) パック電池
AU668050C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0127778Y1 (ko) 건전지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