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0134B1 -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이 적은 열생성방법 및 연소시스템 - Google Patents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이 적은 열생성방법 및 연소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0134B1
KR100240134B1 KR1019960011840A KR19960011840A KR100240134B1 KR 100240134 B1 KR100240134 B1 KR 100240134B1 KR 1019960011840 A KR1019960011840 A KR 1019960011840A KR 19960011840 A KR19960011840 A KR 19960011840A KR 100240134 B1 KR100240134 B1 KR 100240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air
combustion chamber
circulation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230A (ko
Inventor
케셀 베르너
슈마허 베른트
에플레 베른트
Original Assignee
헬무트 헤밍
에파우테 에네르기 운트 페르파렌스테크닉 게엠베하
요셉 루비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무트 헤밍, 에파우테 에네르기 운트 페르파렌스테크닉 게엠베하, 요셉 루비오 filed Critical 헬무트 헤밍
Publication of KR960038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0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0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5/00Disposition of burners with respec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to one another; Mounting of burners in combustion apparatus
    • F23C5/08Disposition of burners
    • F23C5/32Disposition of burners to obtain rotating flames, i.e. flames moving helically or spir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201/00Staged combustion
    • F23C2201/10Furnace staging
    • F23C2201/101Furnace staging in vertical direction, e.g. alternating lean and rich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201/00Staged combustion
    • F23C2201/30Staged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combustion apparatu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ir; Combustion processes therefor
    • F23C2900/05081Disposition of burners relative to each other creating specific heat patterns

Abstract

본 발명은 열생성방법 및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연소시스템에서는, 상호 평행한 버너레벨에 설치된 복수의 버너를 통해 연료 및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챔버가 설치된다. 버너는 각 버너레벨에서 연소챔버에 가상의 원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료를 도입시키는 제트버너이다. 이 원은 제1버너레벨에서는 크고, 높은 버너레벨로 감에 따라서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진다. 동시에, 버너는 연소챔버의 길이에 따라서 스텝식으로 공기량이 변화하여, 각 버너레벨에서 운전시에 총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상태가 야기되어 그대로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특히 높은 버너레벨에 적용된다. 연료제트에 의해 형성되는 계단식 변화, 즉 원의 직경의 서로 다른 치수로 인해, 벽이 부식되지 않고도 높은 버너위치에서의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운전이 가능하다. 모든 버너레벨에서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버너의 운전을 행함으로써 NOx생성량을 300mg/㎥이하로 현저히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의 적은 열생성방법 및 연소시스템
제1도는 3개의 버너레벨을 포함하는 연소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연소시스템의 3개의 버너레벨에 할당된 버너리플렉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버너레벨의 버너리플렉터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연소시스템의 연소챔버의 IV-IV선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연소챔버 내로 도입되는 연료와 연소챔버 내로 분사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1도의 연소시스템의 연소챔버의 V-V선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연소공간 내로 도입되는 연료와 연소공간 내로 분사되는 공기의 흐름방향을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연속되는 버너레벨에서 발생되는 화학양론에 미달하는 영역과 화학양론을 초과하는 영역의 공간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1도의 연소시스템의 연소챔버에서 3개의 버너레벨을 통하여 얻어지는 스텝식의 공기변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8a도~제8d도는 제1, 제2, 제3 및 제4 버너레벨에서 복수의 버너레벨을 포함하는 연소시스템의 연소챔버에서의 산소함량을 상부 공기 II에 대한 각 노즐의 레벨에서 버너레벨에 평행으로 절단한 단면을 통해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연소, 특히 NOx생성량이 적은 탄진(炭塵)의 연소에 의한 스팀생성용 열 생성방법 및 연소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 산업용 에너지생성에 있어서, 1차 에너지캐리어, 예를 들면 석탄, 갈탄, 석유 또는 천연가스를 대규모로 연소시키고, 그와 같이 발생된 열을 직접 이용하거나 또는 발전(發電)시킨다. 에너지캐리어의 연소중에 발생되는 폐가스는 통상적으로 어떤 함량의 질소산화물(NOx)을 함유하며, 이것은 환경문제 있어서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연소중에 형성된 질소산화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당한 기술적 투자와 그에 따른 경비가 소요된다. 따라서, 연소중에 발생되는 폐가스에서 가능한 한 질소산화물의 함량이 낮게 유지되는 연소시스템 및 그와 관련된 연소공정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헌("Advanced Low NOxTangential Firing Systems for Coal Firing" ; Donald I. Frey, Michel S. McGartney, Transactions on : 46thAnnual Engineering and Operating Conference der Pacific Coast Electrical Ass., 19 and 20 March 1981, Los Angeles, California)에는, 공기를 공급하며 탄진을 연소시키는 연소시스템이 개시(開示)되어 있다. 이 연소시스템은 상호 대면하는 4개의 코너 쌍에 단면이 대략 4각형의 연소챔버를 포함하고, 1차 공기제트에 의해 탄진이 2차 공기제트와 함께 분사된다. 1차 공기에 의해 추진되는 탄진제트는 그와 같이 발생되어 동일한 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연소챔버의 중앙에 위치하는 원을 접선에 따라서 스치고 지나간다. 이로 인해, 연소챔버에서 와류로 순환하는 흐름이 형성된다.
제1실시예에서는,공기를 30% 함유하고 있는 2차 공기제트가 탄진제트에 대하여 22˚의 각으로 분사되어 제1원에 대하여 동심으로 위치하는 보다 큰 원을 접선방향으로 지나간다. 제2실시예에서는, 공기를 30% 함유하고 있는 2차 공기제트와 탄진제트 사이의 각이 34˚로서, 연소챔버 내에서 일정 방향으로 순환하는 흐름을 형성하는 2개의 원 사이의 직경차가 매우 크다. 외측 원에 의해 포위되고, 2차 공기제트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서는 환원영역이 형성되는 반면, 연소챔버의 벽에 대하여 보다 작은 각으로 나타나는 2차 공기제트는 과잉의 공기를 형성하여 벽에 근접한 영역에서 산화분위기로 된다.
이 연소시스템에서는 NOx생성량의 약 1/3이 환원된다. 그러나, 복수의 버너레벨을 포함하는 연소시스템을 상기한 형태의 연소챔버의 흐름방향에서 상호 조립하는데 있어서, 흐름방향에 대하여 버너레벨의 하류에서 벽이 상당히 부식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소시스템의 수명이 너무 짧아지게 된다.
또한, DE 35 27 348 A에는 접선방향으로 연소되는 연소챔버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유체가 상측 방향으로 관통하고, 단면이 4각형의 연소챔버를 포함한다. 이 연소챔버에는 버너가 상호 평행으로 2곳의 레벨에 설치되고, 그 주위방향에 따라서 분포되어 있다. 상기 버너는 연료를 연소챔버의 실질적으로 중앙에 위치하는 원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소챔버 내로 도입시킨다. 소위 보강공기를 분사하기 위하여, 각 버너레벨에는 각 버너사이에 에어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노즐에 의해, 버너로부터 발산하는 상승 불꽃 내에 추가의 공기가 혼합된다. 따라서, 일산화탄소가 국부적으로 집중되는 것을 피한다.
또한, 문헌 ("Neue Dampferzeuger mit NOx-armer Steinkohlenstaubfeuerung "; K.Strauβ, F.Thelen, VGB-Kraftwerkstechnik 71 (1991, Issue 2,pages 104~109))에는 단면이 정방형이고, 코너로부터 연소되는 연소챔버가 개시되어 있다. 연소챔버의 각 코너에는 환형 버너가 상화 쌍으로 대면하여 설치되어 있고, 여기서 4개의 환형 버너는 각각 버너레벨을 형성한다. 환형 버너는 소위 난류(亂流)스테이지 버너로서, 중앙의 공기공급량이 적은 비교적 좁은 중앙 에어덕트를 포함한다. 중앙 에어덕트와 동심으로 하여 탄진용 공급덕트, 탄진용 공급덕트를 포위하는 2차 공기덕트 및 3차 동기 덕트가 형성되고, 3차 공기덕트는 탄진용 공급덕트 및 2차 공기덕트에 의해 형성된 환형 경로에 위치한다. 2차 공기는 난류 스테이지 버터로부터 회전하면서 빠져나간다. 버너레벨의 난류스테이지 버너는 방출되는 연료 및 방출되는 공기가 연소챔버에서 중심에 위치하는 원을 향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버너의 상부 공기용 에어노즐은 4개의 버너레벨 모두가 각각 할당된다. 난류스테이지 버너에 대하여 어떤 거리에 배치된 버너의 상부 공기용 에어노즐에 의해, 버너의 상부 공기가 난류스테이지 버너와 그들의 배출 방향에 의해 형성된 원보다 더 큰 원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분사가능하게 된다.
환형 버너는 각각 공기비가 0.8로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게 운전된다. 버너의 상부 공기가 첨가된 후에는 각 버너레벨에 대한 공기비는 1.05로 상승한다. 이 값은 각 버너레벨 이후에 다시 얻어진다.연소챔버의 단부에서 최종의 연소공기를 첨가한 후에는, 공기비는 1.17까지 증가한다. 동일한 버너세팅에 있어서, 공기비가 0.8인 환원영역은 비교적 낮은 버너레벨에서만 얻어진다. 하부로부터의 연소공기가 상호 혼합되기 때문에, 그 상부의 버너레벨에서의 공기비는 상승하고, 이것은 결국 NOx가 충분히 환원되지 않게 될 수 있다. 만일, NOx를 470mg/㎥의 적정치 이하로 낮추고, 상부 버너레벨에서 공기량이 감소되면 벽이 부식될 수 있다.
DE 39 20 798 A1에는 단면이 4각형의 연소챔버를 포함하고, 버너레벨이 상호 평행으로 되도록 설치된 버너를 포함하는 연소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각 버너레벨은 4개의 버너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 벽영역에서 연소챔버의 코너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각 버너에는 연료노즐이 설치되고, 이 연료노즐로부터 1차 공기제트와 혼합된 연료가 연소챔버의 벽에 대하여 수직으로 분사된다. 각 연료노즐에서 측방향으로 다음 위치에는 2차 공기를 연료제트와 평행으로 방출하는 추가의 에어노즐이 설치된다. 연소챔버의 벽을 연소가스와 분리시키는 2차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또 하나의 에어노즐이 다음에 후속되는 코너에 인접하여 있는 각 에어노즐에 할당된다.
NOx형성 및 벽의 부식에 있어서, 상기한 연소시스템의 실시예는 본 발명에 적용된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소시스템의 수명을 손상시키지 않고 NOx의 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연료의 연소에 의한 열생성방법 및 연소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전체에 따른 방법 및 제14항의 특징에 따른 연소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연료는 모든 버너레벨에서 연소챔버 내로 도입되고, 이 때 항상 버너레벨에서 가상의 순환형상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도입되며, 그 아웃라인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될 수 있다. 연소챔버는 단면의 아웃라인이 4각형, 정방형 또는 다각형으로 될 수 있다. 순환형상 즉 상기 원은 연소챔버를 통해 흐르는 방향에서 볼 때 상류의 버너레벨에서는 더 하류의 연속되는 버너레벨에서보다 더 크다. 극단적인 경우에는, 제1버너레벨에서는 연료분사방향은 순환형상, 즉 원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될 수 있고, 그 직경은 원하는 출력용량의 함수로서 선택가능하며, 모든 연속되는 레벨에서의 연료는 실질적으로 연소챔버의 중앙으로 향한다.
연료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형상이 서로 다른 치수를 가지는 것은, 버너가 공기 결핍상태로 운전, 즉 설정된 공기비가 모두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고 운전될 수 있게 하고, 따라서 각각의 버너레벨에서 NOx생성량을 낮게 유지하고, 벽의 부식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비교적 높은 버너레벨에서의 버너의 진행방향은 비교적 높은 버너레벨에서 버너제트가 연소챔버의 벽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른 가능한 방법으로서, 제트가 그 고유의 재순환흐름에 의해 다시 벽에 빨려들게 되는 소위 코안다효과(coanda-effect)가 배제될 수 있고, 따라서 비교적 높은 버너레벨에서도 특히 낮은 공기비를 얻을 수 있다. 연소챔버의 중앙으로 향하는 연료제트는 선회하는 불덩이의 팽창 경향에 대하여 역작용을 함으로써 벽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각 버너에서 필요로 하는 2차 공기는 각 버너레벨에서 서로 다른 3개의 방향으로 연소챔버 내로 분사된다. 2차 공기의 일부, 바람직하게는 저부 공기의 일부와 상부 공기의 일부(상부 공기-I)는 제2순환형상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고, 그 크기는 연료에 의해 형성된 제1순환형상중 하나보다 크다. 바람직하게는 저부 공기중 소량의 일부가 벽에 평행으로 분사되어 동일한 방법으로 순환되는 벽에어커튼을 형성한다. 공기의 다른 부분, 바람직하게는 상부 공기의 일부(상부 공기-II)는 벽에 평행한 부분의 방향과 제2순환형상에 향하는 부분의 방향 사이의 중간방향에서 연소챔버 내로 분사된다. 인접한 벽에 의해 형성된 각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10˚~ 20˚이다. 연료 및 상기한 공기흐름은 모두 일정한 방향에 따라서 연소챔버 내로 분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수단의 조합, 즉 버너레벨 하류 및 버너레벨의 비교적 상류의 경우에서보다 연소챔버의 중앙에 더 근접한 위치로의 연료의 도입과, 연료보다 벽에 더 근접한 방향에서 각 버너에서의 2차 공기 전체의 분사에 의해, 벽이 부식되는 위험이 없이 각 버너레벨에서, 특히 비교적 높은 버너위치에서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버너위치에서의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운전은 명백하게 NOx의 형성을 감소시키며, 그 생성량은 통상적인 상태에서 폐가스에 대하여 300mg/㎥이하이고, 보정량으로서 6%의 O2가 얻어진다. 시험에 따르면, 폐가스에 대하여 200mg/㎥이하의 NOx값이 얻어졌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료의 유입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제1순환형상의 크기가 연소챔버를 통해 진행하는 흐름의 방향에서 한 버너레벨로부터 다른 버너레벨로 갈수록 점차 감소한다. 이와 같은 감소는 한 버너레벨로부터 다른 버너레벨까지 일정한 양만큼씩 발생하며, 그 결과 원의 직경이 선형적으로 감소한다. 그러나,예를 들면 연소챔버를 통해 진행하는 흐름의 방향에서 각 시간마다 원의 직경이 일정한 양만큼씩 감소하는 경우도 가능하다. 제1실시예에서는 나머지 연소시스템의 치수에 따라서 연소챔버에서 형성되는 흐름의 스핀임펄스를 비교적 높은 버너레벨에 향하여 증기시킬 수 있지만, 제2실시예에서는 비교적 높은 버너레벨에 향하여 형성되는 흐름의 스핀임펄스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피하여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소챔버의 중앙에 더 근접하여 발생되는 연료제트는 순환하는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영역이 연소챔버의 벽까지 확장하는 것에 대하여 반작용한다. 즉, 벽에 접촉하지 않도록 반작용한다.
이와 같은 효과는 또한 연료제트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직경 또는 비교적 높은 버너레벨 모두에서 다른 순환형상이 상호 동일하고, 상당한 크기의 순환형상은 제1버너레벨에서의 연료제트에 의해서만 형성됨으로써 얻어질 수도 있다. 버너레벨의 하류에서는 각각의 순환형상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그 크기가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며, 이것은 연료가 연소챔버 내로 도입되는데 있어서 연소챔버의 중앙으로 향해 도입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버너레벨에서 형성되는 순환흐름은 후속의 버너레벨에서 부가적인 효과를 발생시키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고, 환원영역이 외측으로 되도록 함으로써, 흐름이 벽에 접촉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벽이 CO 함량이 높은 가스에 의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저부의 공기와 상부의 공기는 모두 바람직하게는 모든 버너레벨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연소챔버 내로 향하고, 벽의 근방에서는 과잉의 공기를 확보한다. 또한, 보다 높은 버너레벨에서는 에어커튼이 연소챔버의 벽을 보호한다. 분사된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순환형상의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각 버너레벨에서 분명하게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고 연소챔버의 벽을 접촉하지 않는 영역이 가능한 한 크게 형성될 수 있는 크기로 결정한다.
연소시스템의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운전을 얻는데 필요한 약 0.8의 공기비가 각 버너레벨의 가장 큰 영역에서 얻어질 수 있다. 단, 별도의 공기에 의해 공기량에 변화를 주는 경우에는, 1차 및 2차 공기량뿐만 아니라 각 버너레벨에서의 연료량에 대하여 총공기비는 약 0.8로 된다.
상기 효과는 연료공급과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공간적으로 분리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와 같은 분리가 이루어지려면 1차 공기와 혼합되는 연료가 버너레벨에서 직접 연소챔버 내로 도입되고, 추가로 필요한 공기가 2차 공기로서 연소챔버 내로 부분적으로 하부,즉 흐름이 진행되는 방향에서 볼 때 버너레벨에 대하여 상류로 분사되고, 상부 공기 I 및 II의 형태로 2개의 위치에서 버너레벨 하류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야 한다. 2차 공기, 즉 저부 공기와 상부 공기 I 및 II는 본 발명에서는 모두 3 방향, 즉 벽에 평행한 흐름방향, 제2순환형상에 향해 접선방향으로 향하는 방향 및 그 사이의 방향으로 공급된다. 이로 인해, 벽에 인접한 영역에서 공기의 공급량이 증가된다. 또한, 제1버너레벨에서, 제1 및 제2순환형상은 동일한 크기를 가지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버너로서는 단면이 4각형의 병류버너로서 설계된 제트버너가 특히 적합하다는것이 밝혀졌다.
저부의 공기를 연소챔버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제1에어노즐이 적어도 1개의 파일럿버너를 포함하는 케이싱의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각 버너레벨의 하부에 파일럿 플레임(pilot flame)을 형성할 수 있고, 이것은 탄진을 사용하는 버너의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파일럿버너는 보조연료로 운전하도록 구성되며, 보조연료로는 설계에 따라서 가스, 오일, 또는 특별한 경우에는 석탄이 될 수 있다.
버너는 연소챔버의 코너영역 및 연소챔버의 코너영역으로부터 먼 연소챔버의벽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버너가 코너영역의 외측에 배치되면, 2차 공기공급을 위한 각각의 에어노즐과 탄진버너가 각각 코너영역으로부터 다른 거리만큼 배치됨으로써, 각각의 에어노즐이 수직으로 정렬되어 배치되지 않고 상호 측방향으로 엇갈려서 배치된다. 에어노즐과 탄진노즐에서 분사되는 제트는 이 경우에는 각각의 평면벽부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으며, 또한 서로 다른 치수의 순환형상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벽(2)으로 형성된 연소챔버(3)를 포함하는 연소시스템(1)을 나타낸다. 연소챔버(3)는 단면이 4각형, 바람직하게는 정방형이고, 그 대각선의 교차점은 제1도에 1점쇄선으로 나타낸 종방향 중심축(4)을 형성한다. 연소챔버(3)는 이 경우에는 직립되어 있다. 즉, 종방향 중심축(4)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고, 흐름방향은 종방향 중심축(4)방향으로 연소챔버(3)를 통해 대략 저부로부터 상부로 진행한다.
제1도에 있어서, 그 하단부는 사용위치에서는 연소챔버(3)에 연속하여 재의 깔대기(5)가 설치된다. 그 상단부(6)에서는 연소챔버(3)가 도시하지 않은 가열면으로 안내되는 경로(7)내로 연결되고, 연소챔버(3)에서 형성된 가스는 상기 경로(7)를 통하여 배출된다. 연소챔버(3)에 연료 및 연소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3개의 버너레벨(11a, 11b, 11c)에는 모두 버너(12, 13, 14, 15)가 설치되며, 각 버너레벨(11a, 11b, 11c)의 버너(12, 13, 14, 15)는 표시의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각 버너레벨(11a, 11b, 11c)의 대응하는 각 문자인덱스 a, b, c를 사용한다. 버너에 의해 방출되는 공기 및 연료는 버너(12, 13, 14, 15)로부터 연소챔버에 와류형 순환흐름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분사된다.
연소챔버(3)를 단면으로 나타냈기 때문에, 제1도에는 버너(12, 13)만 나타냈고, 그 앞에 위치하는 버너(14, 15)는 나타내고 있지 않다. 버너(12, 13, 14, 15)(제4도 및 제5도)는 연소챔버(3)의 벽(2)에서 코너에 근접한 영역에 설치되어 있다. 버너(12, 13, 14, 15)는 도시하지 않은 적합한 밀(mill)에 의해 공급되는 소립자로 이루어진 탄진에 의해 운전된다. 이를 위하여, 각 버너레벨(11a, 11b, 11c)에는 밀이 1개씩 할당된다. 탄진을 연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계된 설비에 따라서 갈탄의 탄진, 오일 또는 가스 등에 의해 운전할 수도 있다.
마지막 버너레벨(11c)의 상부에서 수직방향응로 공간적으로 이격된 위치는 최종의 연소공기를 연소챔버(3)의 벽(2)에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17)이 설치되어 있다.
버너(12, 13, 14, 15)는 각각 동일하게 설계되었으며, 이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버너(12a, 12b, 12c)는 그 버너리플렉터에 의해 나타낸다. 좀 더 확대하여 나타낸 제3도를 참조하면, 버너레벨(11a)에 버너(12)가 설치되어 있다. 각 버너레벨 (11a, 11b, 11c)에는 순환에어노즐(20a, 20b, 20c)을 포함하는 탄진버너(19a, 19b, 19c)가 설치되고, 이로부터 소량의 2차 공기가 배출된다. 코너에 근접하여 설치된 탄진버너(19a, 19b, 19c)는 순환흐름의 순환방식에 따라서 배출되는 탄진을 종방향 중심축의 영역으로 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대하여는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각 탄진버너(19a, 19b, 19c)의 하부, 즉 각 버너레벨(11)의 하부에는 각각 케이싱(22a, 22b, 22c)이 설치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2차 공기의 일부가 연소챔버 내로 저부공기로서 유입된다. 제1 및 제2 버너레벨(11a, 11b)의 케이싱(22a, 22b)은 저부 공기의 공급 외에도 파일럿 및 지지버너(23a, 23b)를 포함하는 복합케이싱이다. 파일럿버너(23a, 23b)로서는 오일 파일럿버너 또는 가스 파일럿버너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밀의 이상(異常)에 따른 탄진버너(19a, 19b)의 이상시에, 각 버너(12a, 12b)의 총출력이 이 경우에 있어서 고출력으로 운전되는 파일럿버너(23a, 23b)에 의해 얻어질 수 있도록 버너의 치수를 설계한다. 케이싱(22a, 22b, 22c)은 이들에 의해 연소챔버(3) 내로 분사되는 저부 공기중 소량은 벽과 평행으로 흐르고, 저부 공기의 대부분은 연소챔버(3) 내로 비스듬히 흐르도록 설계한다. 이에 대하여는 다음에 후술한다.
제2도 및 제3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버너레벨(11a, 11b, 11c)의 상부에 에어노즐(25a, 25b, 25c)이 설치되어 상부 공기 I로 나타내는 2차 공기를 함유하게 된다. 에어노즐(25a, 25b, 25c)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방향은 각 탄진버너(19a, 19b, 19c)의 배출방향과 다르며, 벽 공기의 방향과 탄진의 방향 사이로 된다.
각 에어노즐(25a, 25b, 25c)에 대하여 일정 거리에 있고 각 버너레벨(11a, 11b, 11c)과는 종방향으로 이격되어 있는 위치에는 상부 공기 II로 나타내는 2차 공기를 연소챔버(3)내로 도입시키기 위하여 또 다른 에어노즐(26a, 26b, 26c)이 설치된다. 에어노즐(25a)과 에어노즐(26a) 사이의 거리는 대략 케이싱(22a)으로부터 에어노즐(25a)까지의 거리와 동일하다. 에어노즐(25b, 26b) 및 에어노즐(25c, 26c)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에어노즐(26a)의 배출방향은 에어노즐(25a)의 배출방향과 다르며, 벽 공기와 상부 공기 I의 공기배출방향 사이로 된다. 다른 버너(12b, 12c)에 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연소시스템(1)은 다음과 같이 운전한다.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여, 케이싱(22) 및 파일롯버너(23)에서 에어노즐 (25, 26)의 배출방향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는 버너(12a, 13a, 14a, 15a)에 의해 배출되어 제1도에 나타낸 IV-IV선 단면상에 분사되는 재료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탄진버너(19), 순환노즐(20), 케이싱(22) 및 에어노즐(25, 26)에 의해 배출되는 연료 또는 공기흐름은 해당하는 노즐 또는 배출방향에 따라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그 뒤에 아포스트로피를 부가하였다.
버너레벨(11a)에 설치된 탄진버너(19a)는 1차 공기(20a')를 함유하는 탄진제트(19a')를 배출한다. 버너(12a, 13a, 14a, 15a)는 각각 탄진-공기 혼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제트를 순환형상을 형성하는 제1원(28a)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향하여 상기 원(28a)을 순환하는 방식으로 스치고 지나가는 방향으로 배출시킨다. 제1원(28a)은 종방향 중심축(4)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되고, 그 직경에 있어서는 연소챔버(3)에서 순환흐름이 형성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버너레벨(11a)의 제1원(28a)의 직경이 통상적으로 연소챔버(3)의 내경의 10% 이내이다.
제4도로부터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케이싱(22a)에 의해 배출되는 저부 공기는 각 코너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버너(12a, 13a, 14a, 15a)에 의해 각각 인접한 벽(2)에 평행하고, 연소챔버(3)의 정방형 단면의 벽(2)을 4회 스치고 지나가는 도시하지 않은 내부의 원에 접선방향으로 접하는 방향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저부 공기는 버너레벨(11a) 아래에 미리 형성되어, 연소챔버(3)에서 발생되는 반응가스를 벽(2)과 차단시키는 에어커튼을 형성한다.
케이싱(22a)에 의해 배출되는 저부 공기(22a")의 상당한 부분은 순환형상을 형성하는 제2원(29a)에 접선방향이면서 원(28a)과 동일한 순환방향을 가지는 방향으로 배출된다. 제2원(29a)은 적어도 제1원(28a)만큼 크고, 최대한 그 3배까지 될 수 있다. 저부 공기는 모두 총 2차 공기의 대략 40% 정도이다.
상부 공기 I은 에어노즐(25a)에 의해 버너레벨(11a)에 평행인 평면상에서 배출되고, 상기 에어노즐(25a)은 원(29a)에 접선방향으로 향하는 제트를 형성한다. 상부 공기 I는 2차 공기를 약 40% 정도로 함유한다.
상부 공기 II는 에어노즐(26a)에 의해 순환형상을 형성하는 제3원(30a)에 대하여 접선방향파일롯 배출되고, 그 중심점은 종방향 중심축(4)에 의해 형성된다. 공기제트(26a')는 제3 원을 제1 원(28a) 및 제2 원(29a)에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스치고 지나간다. 제3 원(30a)은 제1 및 제2 원(28a, 29a)보다 확실히 크다. 제트(26a')의 방향은 버너(19a)의 제트(19a')의 방향에 대하여 20˚~ 30˚이고, 바람직하게는 25˚이다. 그 결과, 벽에 평행한 흐름(22a')에 대하여 공기제트(26a')로부터 측정한 각 α은 10˚~ 20˚이다. 상부 공기 II는 2차 공기가 약 20%이다.
제5도에는 버너(12c, 13c, 14c, 15c)에 의해 방출되어 제1도의 V-V선 단면상에 분사되는 재료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여기서는 탄진버너(19c)의 설계에 차이가 있다 탄진버너(19c)는 종방향 중심축(4)에 의해 형성되는 연소챔버(3)의 대략 중심으로 향한다. 탄진버너(19c)및 순환에어노즐(20c)의 배출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원(28c)은 그 직경이 원(28a)의 직경보다 훨씬 작다. 버너레벨(11c)의 원(28c)의 직경은 바람직하게는 제1 버너레벨(11a)의 원(28a)의 직경은 10%~50%이다. 그러나, 비교적 높은 버너레벨에서는 완전히 사라지게 되어 그 직경이 0으로 될 수 있다.
운전중에는 공기의 분포가 본 발명에 의해 각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 얻어지며, 이 때 산화영역은 벽에 근접하고, 중앙에서 환원영역이 넓게 형성되고, 여기서 NOx의 형성이 크게 감소되고, 연소챔버(3)의 벽(2)에서는 산화조건에 의해 벽영역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종방향 중심축(4)에 근접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료제트는 예를 들면 그 환원영역에서 형성되는 불덩이가 팽창되는 것에 대하여 반작용을 하여, 불덩이가 벽(2)에 도달하지 않도록 한다.
공기흐름은 모든 버너레벨(11)에서 상호 동일하다.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버너레벨(11a)에서의 경우와 같이, 버너(12c, 13c, 14c, 15c)에 의해 배출되는 저부 공기(22c')중 소량은 버너레벨(11c)에서도 잔류공기 또는 연료흐름과 동일한 순환방식으로 벽에 평행으로 연소챔버(3)내로 흐른다. 저부 공기의 대부분은 공기제트(22c")로서 흘러서 제2 원(29c)과 접선방향으로 만난다.
상부 공기 I의 공기제트(25c')는 동일한 순환방식으로 제2 원(29c)상에 향하고, 상부 공기 II의 공기제트(26c')는 공기제트(22c')와의 사이에 10˚~ 20˚의 각 α을 형성한다.
모든 버너레벨(11)은 대략 동일한 구성이지만, 제1원(28)의 직경은 연소챔버 (3)를 통해 흐르는 흐름의 방향으로 점차 감소한다. 이것은 버너레벨(11b, 11c)의 제1원(28)이 버너레벨(11a)에서 원(28)보다 직경이 더 작은 것을 뜻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비교적 높은 버너레벨(11b, 11c)에서는 환원분위기의 중앙영역이 벽(2)까지 확장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의 상태를 버너레벨(11a, 11c)을 예로 들어 제6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내며, 또한 제8a도~제8d도는 4개의 버너레벨을 포함하는 연소시스템에 대하여 시뮬레이션된 순환에 의거하여 도시한 것이다. 연소챔버 (3)의 중앙영역에서의 공기비는 0.8이하이고, 두께가 얇은 벽에 근접한 영역으로서 과잉공기, 즉 산소농도가 높은 영역이 벽(2)의 영역에 분포되어 벽을 보호한다. 이것은 버너레벨(11c)을 포함한 모든 버너레벨에 적용되지만, 버너레벨(11c)의 경우에는 직경을 가지는 원(28c)에 대하여 탄진버너(19c)와 에어노즐(25c)의 특정의 방향에 의해 환원 연소가스의 흐름이 벽에 접근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제8a도~제8d도는 환원의 팽창경향, 즉 벽에 대해 공격적인 영역을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벽은 벽에 근접한 산소가 풍부한 영역에 의해 보호된다. 비교적 높은 버너레벨에서 연소제트가 중앙을 향하고, 2차 공기가 벽(2)에 더 향하게 되는 구성의 조합에 의해, 벽의 부식을 초래하지 않고 화학양론에 훨씬 미치지 않는 운전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비가 0.8이하의 매우 높은 위치의 버너레벨에서도 연소챔버(3)의 벽(2)에 위험이 없어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텝식 공기패턴으로 운전할 수 있다. 이것은 제7도에서 화살표(3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이 방향에서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의 연료가 공기결핍상태로 연소챔버(3) 내로 도입되는 것을 뜻한다. 그 결과, 약 0.8 또는 그 이하의 공기비에 의한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운전이 가능하다. 에어노즐(25a, 25b, 25c) 및 (26a, 26b, 26c)을 통해 상부 공기 I 및 II를 첨가한 후에도 공기비는 1 이하를 유지한다.
최종의 연소에어노즐(17)을 통해 추가의 공기를 첨가함으로써, 1.1 이상, 바람직하게는 1.15의 폐가스에 대한 원하는 공기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소시스템에서는, 상호 평행한 버너레벨에 설치된 복수의 버너를 통해 연료 및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연소챔버가 설치된다. 버너는 각 버너레벨에서 연소챔버에 가상의 원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료를 도입시키는 제트버너이다. 이 원은 제1버너레벨에서는 크고, 높은 버너레벨로 감에 따라서 그 직경이 점차 작아진다. 동시에, 버너는 연소챔버의 길이에 따라서 스텝식으로 공기량이 변화하여, 각 버너레벨에서 운전시에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상태가 야기되어 그대로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이것은 특히 높은 버너레벨에 적용된다. 연료제트에 의해 형성되는 계단식 변화, 즉 원의 직경의 서로 다른 치수로 인해, 벽이 부식되지 않고도 높은 버너위치에서의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운전이 가능하다. 모든 버너레벨에서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운전을 행함으로써 NOx생성량을 300mg/㎥이하로 현저히 낮출 수 있다.

Claims (28)

  1. 복수의 버너레벨(11a, 11b, 11c)을 포함하는 연소챔버(3)에서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열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총량의 흐름이 진행하는 방향주위에서 소정의 방식으로 순환하는 순환흐름을 형성하도록 각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 공기를 2차 공기의 형태로 연소챔버(3)에 공급하고, 각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 버너레벨(11b, 11c) 하류에서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의 방향에 대하여 버너레벨(11a)의 비교적 상류의 경우보다 크기가 작은 소정의 제1 순환형상(28a, 28c)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소챔버(3)에 연료를 공급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연소챔버(3)에는 2차 공기로서 작용하는 총공기량이 연료와 동일한 순환방식으로, 또한 제1 순환형상(28)을 스치고 지나지 않는 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연소챔버(3)에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는 벽에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흘러서 벽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연소챔버(3)에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는 특정의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의 소정의 제2순환형상(29a, 29c)에 대하여 접선방향 또는 각 버너레벨(11a, 11b, 11c)에 평행한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2순환형상의 크기는 동일한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의 제1순환형상(28a, 28c)의 크기와 같거나 크고, 연소챔버(3)에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는 각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의 소정의 제3순환형상(30a, 30c)에 대하여 접선방향 또는 각 버너레벨 (11a, 11b, 11c)에 평행한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3순환형상의 크기는 동일한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의 제2순환형상(29a, 29c)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1순환형상(28a, 28c)의 크기는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방향에서 버너레벨(11a, 11b)로부터 버너레벨(11b, 11c)로 진행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순환형상(28)의 크기는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방향에서 버너레벨(11a, 11b)로부터 버너레벨(11b, 11c)로 진행함에 따라서 일정한 양 또는 일정한 비율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연소챔버(3)에 공급되는 연료가 실질적으로 연소챔버의 종방향축(4)에 향하도록, 제1순환형상(28)의 크기가 적어도 버너레벨(11b, 11c) 하류에서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기가 연소챔버(3)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공급되는 각 버너레벨(11a, 11b, 11c)의 제2순환형상(29a, 29c) 및 제3순환형상(30a, 30c)의 크기가 모든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8.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제1 버너레벨(11a)에서 제1 및 제2순환형상(28a, 29a)의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9.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버너레벨(11)에서의 연소챔버 (3)에는 이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방향에서 공간적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공기가 먼저 저부 공기로서 제2순환형상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또한 실질적으로 벽에 평행한 순환흐름으로 공급되고, 공간적으로 그 후속으로 연료가 공급되고, 다시 공간적으로 그 후속으로 상부 공기 I로서 작용하는 공기가 저부 공기에 평행인 흐름으로 공급되고, 그와 공간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는 시간에 따라서 각각 일정한 재료흐름에서 상부 공기 II로서 작용하는 공기가 제3순환형상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10. 제1항 내지 제6항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너(12, 13, 14, 15)는 모두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방식으로 운전되고, 연소챔버(3)에는 각 버너레벨에서 공기가 공급되고, 버너레벨에 공급되는 연료는 1 이하의 공기비를 나타내고, 연소챔버(3)의 길이에 걸쳐서 공기량의 변화가 스텝식으로 변화하도록 각 버너레벨에서 필요한 공기가 연료와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11.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소챔버(3)는 그 종방향 축(4)에 따라서 버너레벨(11a, 11b, 11c) 및 그 사이에서 화학양론에 미치지 않는 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12.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종의 버너레벨(11c)에 연속하는 가장 첫 단계에서 총 화학양론을 초과하는 운전이 얻어지도록, 화학양론을 초과하는 운전을 위하여 필요한 최종 연소공기를 최종의 버너레벨(11c)에 연속하여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방향으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13.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로서 탄진을 사용하고, 연소챔버(3)에 공급되는 공기는 선택된 보조연료에 의해 파일롯플레임을 형성하도록 채용된 케이싱(22)에 의해 벽에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생성방법.
  14. 열생성, 특히 스팀생성을 위한 연소시스템(1)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종방향 축(4)의 방향에 따라서 흐름이 진행하는 연소챔버(3)와, 복수의 버너(12, 13, 14, 15)가 각각 설치된 복수의 버너레벨(11a, 11b, 11c)과, 흐름이 진행하는 방향주위에서 소정의 순환방식에 의한 순환흐름이 얻어지도록 연소챔버(3)에 2차 공기로서 작용하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노즐(22, 25, 26)을 포함하는 버너레벨의 각 버너(12, 13, 14, 15)로 이루어지고, 버너레벨(11)의 각 버너(12, 13, 14, 15)는 각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 소정의 제1순환형상(28a, 28c)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각 버너레벨에서 연소챔버(3)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19, 20)을 포함하고, 하류 버너레벨(11b, 11c)에서의 상기 순환형상은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의 방향에 대하여 비교적 상류의 버너레벨(11a)에서보다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에어노즐(22, 25, 26)은 2차 공기로서 작용하는 총공기량을 연료에 대하여 동일한 순환방식으로, 또한 제1순환형상(28)을 스치고 지나가지 않는 방향으로 연소챔버(3)에 공급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16. 제14항에 있어서, 에어노즐(22)은 연소챔버(3)에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는 벽에 실질적으로 평행으로 흘러서 그 흐름이 벽에어커튼을 형성하고, 연소챔버(3)에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는 소정의 제2순환형상(29a, 29c)에 대하여 접선방향 또는 각 버너레벨(11a, 11b, 11c)에 평행한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2순환형상의 크기는 동일한 버너레벨(11a, 11b, 11c)에서 제1순환형상(28a, 28c)의 크기와 같거나 크고, 에어노즐(25)은 연소챔버(3)에 공급되는 공기의 일부가 소정의 제3순환형상 (30a, 30c)에 대하여 접선방향 또는 각 버너레벨(11a, 11b, 11c)에 평행한 방향으로 흐르고, 상기 제3순환형상의 크기는 제2순환형상(29a, 29c)의 크기보다 커지도록 상부 공기 I 노즐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버너(12, 13, 14, 15)는 제트버너로서 설계되고, 각 버너 (12, 13, 14, 15)는 버너리플렉터를 포함하고, 버너리플렉터상에서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방향에서 공간적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먼저 저부 공기 및 실질적으로 벽에 평행한 순환흐름을 위한 제1에어노즐(22)이 설치되고, 공간적으로 그 후속으로 연료공급수단(19, 20)이 설치되고, 다시 공간적으로 그 후속으로 상부 공기 I을 위한 제2에어노즐(25)이 설치되고, 그와 공간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는 상부 공기 II를 위한 제3에어노즐(26)이 설치되고, 연료공급수단(19, 20)에는 1차 공기공급수단(2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에어노즐(22, 25) 사이의 거리는 제2 및 제3에어노즐(25, 26)사이의 거리와 같거나 크고, 연료공급수단(19, 20)은 제1 및 제2에어노즐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19. 제14항에 있어서, 연료공급수단(19, 20)은 제1순환형상(28)의 크기가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방향에서 버너레벨(11a, 11b)로부터 버너레벨(11b, 11c)로 진행함에 따라서 점차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20. 제14항에 있어서, 연료 공급 수단(19, 20)은 제1순환형상(28)의 크기가 연소챔버(3)를 통해 흐르는 흐름방향에서 버너레벨(11a, 11b)로부터 버너레벨(11b, 11c)로 진행함에 따라서 일정한 양 또는 일정한 비율로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21. 제14항에 있어서, 연료공급수단(19, 20)은 제1버너레벨(11a)에 후속되는 연소챔버(3)의 모든 버너레벨(11b, 11c)의 제1순환형상(28)의 각 크기가 흐름이 진행하는 방향에서 볼 때 상호 동일하게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22. 제14항에 있어서, 연료공급수단(19, 20)은 연소챔버(3)에 공급되는 연료가 실질적으로 그 종방향 축(4)에 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하류의 버너레벨(11b, 11c)의 제1순환형상(28)의 크기가 0이 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23. 제14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3에어노즐(26)은 공기가 접선방향으로 공급되는 각 버너레벨(11)의 제2 및 제3순환형상(29, 30)의 크기가 모든 버너레벨(11)에서 일정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24. 제14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터(12, 13, 14, 15)는 파일럿플레임 형성을 위하여 보조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버너(23)가 설치된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25. 제14항 내지 제2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소챔버(3)는 단면이 장방형 또는 정방형이고, 버너(12, 13, 14, 15)는 코너에 근접한 벽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26. 제14항에 있어서, 버너(12, 13, 14, 15)는 연소챔버(3)의 코너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27. 제14항에 있어서, 버너(12, 13, 14, 15)는 연소챔버(3)의 코너영역으로부터 일정거리에 있는 연소챔버(3)의 벽(2)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에어노즐(22, 25, 26) 및 연료공급수단(19, 20)은 코너영역에 대하여 상호 다른 거리에서 벽(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시스템.
KR1019960011840A 1995-04-25 1996-04-19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이 적은 열생성방법 및 연소시스템 KR100240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4302.7 1995-04-25
DE19514302A DE19514302C2 (de) 1995-04-25 1995-04-25 Verfahren und Feuerungssystem zur stickoxidarmen Wärmeerzeug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230A KR960038230A (ko) 1996-11-21
KR100240134B1 true KR100240134B1 (ko) 2000-01-15

Family

ID=775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840A KR100240134B1 (ko) 1995-04-25 1996-04-19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이 적은 열생성방법 및 연소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240134B1 (ko)
CZ (1) CZ284632B6 (ko)
DE (1) DE19514302C2 (ko)
ZA (1) ZA96326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2013A (zh) * 2012-05-15 2012-09-26 上海锅炉厂有限公司 空气分级燃烧技术下的切向燃烧系统
CN102705818A (zh) * 2012-06-22 2012-10-03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锅炉燃烧器贴壁风布置方式
KR101289411B1 (ko) 2012-10-29 2013-07-24 한국기계연구원 코안다 효과의 노즐이 적용된 고온 fgr을 이용한 저공해 연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7513B1 (en) * 1998-12-21 2001-05-29 ABB ALSTROM POWER Inc. Fuel and air compartment arrangement NOx tangential firing system
CZ20031182A3 (cs) 2003-04-28 2004-12-15 Radovan Vojtasík Krb nebo krbová kamna a způsob využití primárního tepla
EP1731832A1 (de) * 2005-06-11 2006-12-13 Vattenfall Europe Generation AG & Co. KG Anordnung an einem Strahlbrenner zum Verbrennen von Kohlenstaub in einer stickoxidarmen Brennkammerfeuerung
DE102006022657B4 (de) * 2006-05-12 2011-03-03 Alstom Technology Ltd. Verfahren und Anordnung zur Luftmengen-Regelung eines mit fossilen, festen Brennstoffen betriebenen Verbrennungssystems
CN102705819A (zh) * 2012-06-22 2012-10-03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锅炉燃烧器贴壁风燃烧系统
PL3228935T3 (pl) 2016-04-08 2020-05-18 Steinmüller Engineering GmbH Sposób spalania z niską emisję tlenków azotu paliw stałych, ciekłych lub gazowych, zwłaszcza pyłu węglowego, palnik oraz instalacja paleniskowa do przeprowadzania sposobu
US10634341B2 (en) 2016-08-23 2020-04-28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Overfire air system for low nitrogen oxide tangentially fired boi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7348A1 (de) * 1985-07-31 1987-02-12 Babcock Werke Ag Brennkammer
US4715301A (en) * 1986-03-24 1987-12-29 Combustion Engineering, Inc. Low excess air tangential firing system
DE3920798A1 (de) * 1989-06-24 1991-01-10 Balcke Duerr Ag Vorrichtung zur verbrennung von brennstoffen in einer brennkammer
JPH0356011U (ko) * 1989-10-03 1991-05-29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2013A (zh) * 2012-05-15 2012-09-26 上海锅炉厂有限公司 空气分级燃烧技术下的切向燃烧系统
CN102705818A (zh) * 2012-06-22 2012-10-03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锅炉燃烧器贴壁风布置方式
KR101289411B1 (ko) 2012-10-29 2013-07-24 한국기계연구원 코안다 효과의 노즐이 적용된 고온 fgr을 이용한 저공해 연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14302A1 (de) 1996-10-31
CZ118896A3 (cs) 1998-09-16
DE19514302C2 (de) 2001-11-29
CZ284632B6 (cs) 1999-01-13
KR960038230A (ko) 1996-11-21
ZA963260B (en) 1996-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8507A (en) System for injecting overfire air into a tangentially-fired furnace
KR100240134B1 (ko) 질소산화물의 생성량이 적은 열생성방법 및 연소시스템
EP0612958B1 (en) Fuel burner apparatus and method employing divergent flow nozzle
CA1108977A (en) Burner for reduced nox emission and control of flame length and spread
US4708638A (en) Fluid fuel fired burner
EP2515039B1 (en) Solid fuel burner and solid fuel boiler
RU2142601C1 (ru) Способ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а в сжатом воздухе
US20040234912A1 (en) Gas injectors for short flame and low pollutant emissions
US5195450A (en) Advanced overfire air system for NOx control
KR20000053203A (ko) 미분탄용 연소기
US5413476A (en) Reduction of nitrogen oxides in oxygen-enriched combustion processes
JPH0158401B2 (ko)
JP2006517021A (ja) 燃料運搬ガス中の酸素リッチ化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11853775A (zh) 具有内部再循环的燃烧头和包含这种燃烧头的燃烧器
US20140305355A1 (en) Oxy-Solid Fuel Burner
US9696030B2 (en) Oxy-combustion coupled firing and recirculation system
DE68917725T2 (de) Verbrennungsverfahren und regelungsverfahren dazu.
KR100786785B1 (ko) 저공해 예혼합 연소기
CN115516249A (zh) 在燃烧器中带有燃料流分配装置的锅炉的燃烧系统以及燃烧的方法
GB1276398A (en) Apparatus for treating or mixing gases
SU1710938A1 (ru) Топка
RU2585347C1 (ru) Вихревая топка
Syred et al. The role of centrifugal force fields in the stabilization of swirling flames
RU2042880C1 (ru) Способ ступенчатого сжигания топливно-воздушной смеси
CZ53897A3 (en) Process of restricting content of nitrogen oxides in combustion products of industrial boiler and a burner for mak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