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821B1 -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821B1
KR100238821B1 KR1019950059823A KR19950059823A KR100238821B1 KR 100238821 B1 KR100238821 B1 KR 100238821B1 KR 1019950059823 A KR1019950059823 A KR 1019950059823A KR 19950059823 A KR19950059823 A KR 19950059823A KR 100238821 B1 KR100238821 B1 KR 100238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compartment
refrigerator
door
refrig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9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550A (ko
Inventor
김상배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59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821B1/ko
Publication of KR970047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3Air curtain clo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8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17/0681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실의 온도 평형을 신속하게 이루게 하기 위하여 냉장실 내의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압축기 및 냉각팬의 운전 상황에 연동되어 냉장실내 여러 영역에서의 온도를 추정하는 퍼지 적응 모델을 이용한 냉장고 온도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퍼지 추론을 적용한 냉장고 온도 조절 장치는 냉기 토출 조절판의 회전 각도를 냉기 토출 방향 제어 수단; 및 상기 냉기 토출 방향 제어 수단에 상기 냉기 토출 조절판의 날개의 정지 각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팬 및 압축기의 운전 상태를 입력으로 상기 온도 감지 센서들의 주변 온도를 추론하는 퍼지 추론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구조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a)는 전체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b)는 냉기의 흐름을 보인 단면도.
(c)는 도어를 열었을 경우 냉기의 흐름을 보인 측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기차단장치가 설치된 냉장고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 부 상세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냉기차단장치의 하부그릴의 평면 상세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냉기차단막의 작동원리를 보인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냉기차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a)는 그 측단면도.
(b)는 그 정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냉기차단장치가 부착된 냉장고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80 : 냉동실 4, 90 : 냉장실
70 : 격벽 70a : 냉기유로
104, 144 : 냉기차단막 106, 146 : 냉기공급팬
200 : 냉기막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장고의 도어를 열었을 경우 냉기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그 사용용도에 따라 냉동실(2)과 냉장실(4)로 구분되고, 그 이면에는 열교환을 위한 냉매를 압축하기 위한 콤프레서(6)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냉장고에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분은 냉장실(4)이다.
냉장실내에는 열교환된 냉기의 토출을 위한 냉기 토출구(8)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제 1 도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살표 방향으로 냉기가 토출된다. 그리고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의 도어(10)을 열면 냉장실(4)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동시에 상대적으로 고온의 외부 공기가 냉장실 내로 유입되어 냉장실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냉장실내의 온도 상승은 보관하는 식품의 온도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장실의 온도 상승은, 첫째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의 신선도에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둘째 냉장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콘프레서의 운전율이 증가함에 따라는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증가한다는 면에서 상당히 불리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냉장고의 구조와 관련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냉장실(2)의 일측벽(12)에 설치된 도어스위치(14)가 냉장실(2)의 도어의 개폐를 감지한다. 즉, 냉장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스 위치(14)는 눌려져 온(On) 상태로 되고, 냉장고내의 온도 감지 센서(15) 및 냉동실 내의 센서의 감지에 의하여 콤프레서(6)가 운전을 시작하고, 동시에 냉각팬(도시없음)이 회전하면서 냉각된 냉기가 냉장실로 유입되어 냉장실의 온도가 내려가도록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냉장실 도어를 열면, 도어스위치(14)가 나오면서 전기회로가 단락되어, 냉각팬의 회전이 정지하게 되고, 냉장실내를 순환하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동시에 외부와 고온이 유입된다. 이로 인하여 냉동실내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냉장실을 냉각시키기 위한 콤프레서의 운전등으로 인하여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보관식품의 신선도 유지의 단점 등과 같은 상술한 문제점이 지적된다. 실질적으로 냉동실내의 상승된 온도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원래의 정해진 온도 3℃로 내리기 위해서는 약 5시간의 운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냉장실의 도어를 열더라도 냉기의 유출 및 외부 온기의 유입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비전력을 줄이고 냉장실내의 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격벽에 냉기의 통로를 위하여 성형되는 냉기유로와, 상기 냉기유로의 중심부에 냉장실측 직하방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냉기공급팬과, 상기 냉기유로를 개폐할수 있는 냉기차단막으로 구성되어, 냉장실의 도어를 열면, 상기 냉기차단막이 개방되면서, 냉기공급팬이 회전하여 냉동실의 냉기를 냉장실의 직하방으로 공급하여 냉장실내의 냉기를 유출을 막기 위한 냉기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기차단장치가 냉장실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냉기막에 의하여 냉장실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냉장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보관식품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고, 냉장고의 전력소비를 감소시켜 냉각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음에는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는 냉기차단장치(100)을 장착하고 있다. 냉기차단장치(100)은, 냉동실(80)과 냉장실(90)의 격벽(70)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한 조건이 되면, 냉동실의 냉기를 직하방향으로 공급하여 냉장실(90) 전면에 일종의 냉기막(200)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기차단장치(100)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80)과 냉장실(90) 사이의 격벽(70)에 서로 통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 냉기유로(70a)와, 냉동실(80)의 바닥면(82)에 설치되는 상부그릴(102)과, 일정한 신호에 의하여 냉동실(80)에서의 냉기를 상기 냉기유로(70a) 속에서 단속할 수 있는 냉기차단막(104)과, 냉동실의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팬(106)과, 냉장실의 상부벽에 부착되는 하부그릴(1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부그릴(102)와 하부그릴(108)은 냉동실에서의 냉기의 유입 및 토출을 위한 것으로, 냉기가 통과할 수 있는 재질의 것이고, 외력에 대하여 일정한 지지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면 족하다. 하부그릴(108)에 대해서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기차단장치(100)이 부착되어 냉동실(80)에서의 냉기가 공급되는 부분에만 냉기가 통과할 수 있는 그릴부분(108a)이 성형되어 있는 것으로 족할 것이다.
그리고 중앙에 설치된 냉기공급팬(10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가 열려 있음을 감지하는 도어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하고, 냉동실(80) 측에서의 냉기를 냉장실(9)측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는 냉기차단막(104)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냉기차단막(104)는 도어스위치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어가 열리는 것을 감지한 도어스위치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냉기차단막(104)이 본 발명에 의한 냉기차단장치(100)의 냉기유로를 열수 있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기차단막(104)는 일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다(점선 도시 부분 참조). 그리고 상기 냉기차단막(104)의 슬라이딩 이동을 위하여 부근에 전자석(112)을 준비한다. 상기 전자석(112)은, 도어가 열려서 도어스위치가 오프(Off)되면, 온(On)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어가 열려서 도어스위치가 오프상태로 되면, 상기 전자석(112)은 온되어서 자력을 띠게되고, 이러한 자력에 의하여 상기 냉기차단막(104)가 전자석(112) 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서, 냉기차단장치(100)는 냉동실(80)에서 냉장실(90)으로의 냉기유로(70a)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냉기차단막(104)은, 냉장고의 도어가 닫힌 상태, 즉 냉기차단장치(100)의 유로가 폐쇄된 상태로 항상 탄성지지된 상태이다.
냉기차단막(104)를 이러한 상태로 항상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별도의 스프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냉기차단막(104)의 일측을 전자석에서의 자력에 응답할 수 있는 자성재질로 성형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공급팬(106)과 냉기차단막(104)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 즉 냉장실의 문이 열리면, 도어스위치는 오프되나, 역으로 상기 냉기공급팬(106)와 냉기차단막(104)는 온되면서, 냉동실(80)에서의 냉장실(90)로의 냉기의 통로인 냉기유로(70a)가 형성되도록 작동하여야 할 것이다.
다음에는 제 6 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있어서 냉기차단막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냉기차단막(104)의 구성을 제외하면 다른 구성요소는 상기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분하는 격벽(170)의 상하면에 각각, 냉동실흡입커버(142)와, 냉장실토출커버(148)를 부착한다. 이러한 커버(142, 128)는 물론 냉기가 통과할 수 있는 것이면 족할 것이다. 그리고 중심부에는 냉동실에서의 냉기를 냉장실로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팬(146)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6도의 (b)에서는 냉기공급팬(146)의 지지구조를 명백하게 도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부의 냉동실에서 하부의 냉장실로 냉기를 보낼 수 있도록 설치되면 충분하다. 그리고 상기 냉기공급팬(146)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냉동실의 도어가 열리면 도어스위치가 오프됨과 동시에, 냉기공급팬(146)이 회전을 시작하면서 냉동실의 냉기를 직하방으로 냉장실을 향하여 공급되도록 한다.
다음에 냉기차단막(146)에 대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냉기차단막(144)은, 앞의 실시예에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던 것과는 다른 것으로, 하나의 힌지점(P)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냉기차단막(144)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냉동실의 도어가 열리면 오프되는 도어스위치와 역으로 작동한다. 즉 냉장실의 도어가 열려서 도어스위치가 오프되면, 상기 냉기차단막(144)가 열리도록 작동하여 냉동실에서 냉장실로 냉기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한 냉기차단막(144)를 구동시키기 위한 실시예로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자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냉기차단막(144)의 회전단부를 자성체로 성형하고, 상기 차단막의 단부 근처에 전자석을 부착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전자석의 구조 및 기능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어스위치가 오프됨에 따라서, 냉기공급팬(146)이 회전을 시작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자석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성을 띠게되어 상기 냉기차단막(144)이 열리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냉동실(80)의 도어가 닫히면, 상기 냉기차단막(144)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냉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냉동실과 냉장실의 유로를 막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상기 힌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냉기차단막(144)가 도어가 닫힌상태에서는 항상 하부방향(시계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스프링을 삽입,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하게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냉기차단장치의 다른 실시예, 특히 냉기차단막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냉기차단장치의 냉기차단막은 상술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즉, 상술한 냉기차단막의 실시예에 있어서, 냉기차단막은 냉장실의 도어를 열면, 냉동실과 냉장실을 막고 있던 냉기차단막이 열리도록 작용하는 것만으로 충분히 그 역할을 다하고 있는 것이러서, 기계적인 구성으로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냉장실의 도어가 열림에 따라서, 냉장실의 도어와 연동하면서 냉기차단막이 열리도록 하여 냉동실과 냉장실간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기구적인 구성으로도 충분하게 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기차단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에 있어서, 사용자가 냉동실의 도어(150)를 열면, 도어스위치(140)이 오프되면서, 콤프레서(60)의 동작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냉기공급팬(146)이 온되어 회전을 시작함과 동시에 냉기차단막(144)가 개방되면서 냉동실(80)에서 냉장실(90)으로의 냉기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도면에서 화살표방향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80)의 냉기가 냉장실(90)을 향하여 직하방으로 공급되면서, 원래의 냉장실의 냉기와는 다른 하나의 유체의 냉기막(200)이 형성된다. 참고로 제 7 도의 괄호속의 도면 부호는 제 1 실시예의 도면부호이다. 이러한 냉기막(200)은 원래의 냉장실(90)의 냉기가 도어의 열림과 같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더운 공기가 냉장실 내부로 임의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실의 도어를 열더라도, 본 발명에 의한 냉기차단장치(100)에 의하여 냉장실의 입구측에는 상대적으로 더욱 저온의 냉기막(200)이 형성되어서, 냉장실내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냉장실내에 보관하는 식품의 신선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잇점과, 냉장실내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불필요한 콤프레서의 작동을 없앰으로서, 냉장고의 소비전력의 증가를 억제하여 냉장고의 효율을 높이는 면에서도 상당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격벽에 냉기의 통과를 위하여 성형되는 냉기유로와 ; 상기 냉기유로의 중심부에 냉장실측 직하방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냉기공급팬과; 냉장실 도어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냉기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냉기단속수단으로 구성되어 ; 냉장실의 도어를 열면, 상기 냉기차단장치가 개방되면서, 냉기공급팬이 회전하여 냉동실의 냉기를 냉장실의 직하방으로 공급하여 냉장실 내의 냉기의 유출을 막기 위한 냉기막을 형성하는 냉기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단속수단은,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격벽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냉기차단막과, 상기 냉기차단막의 선단부측에 설치되고 냉동실도어가 열리면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냉기차단막이 슬라이딩하면서 냉기유로를 개폐하는 냉기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단속수단은,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의 격벽에서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냉기차단막과, 상기 냉기차단막의 선단부 측에 설치되고 도어가 열리면 전류가 인가되어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상기 전자석에서 발생하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냉기차단막이 회동하면서 냉기유로를 개폐하는 냉기차단장치.
KR1019950059823A 1995-12-28 1995-12-28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구조 KR100238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823A KR100238821B1 (ko) 1995-12-28 1995-12-28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9823A KR100238821B1 (ko) 1995-12-28 1995-12-28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550A KR970047550A (ko) 1997-07-26
KR100238821B1 true KR100238821B1 (ko) 2000-01-15

Family

ID=19445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9823A KR100238821B1 (ko) 1995-12-28 1995-12-28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8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3139A (ko) * 1998-12-28 2000-07-15 전주범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량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550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4865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preventing flow of air between an evaporator and a cooling compartment
US20210148627A1 (en) Refrigerator
JP2918530B2 (ja) 冷気吐出口の開閉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3011687B2 (ja) 冷気供給口の開閉装置を備えた冷蔵庫及び開閉作動制御方法
US5809799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generating an air curtain
JP2918532B2 (ja) 蒸発器と外気との熱交換を防止し得る冷蔵庫
MXPA03002931A (es) Aparato para controlar aire frio de refrigerador.
KR100238821B1 (ko) 냉장고의 냉기유출 방지구조
KR100193707B1 (ko) 증발실 차단장치와 이를 갖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0283928Y1 (ko) 냉장고의열교환챔버결빙방지장치
KR100333596B1 (ko) 냉장고의 운전방법
KR100221541B1 (ko) 냉장고의 냉동실 에어커튼장치
KR100507319B1 (ko) 댐퍼의 결빙방지를 위한 냉장고의 운전방법
KR100288428B1 (ko) 냉장고의 에어커튼 제어방법
KR100229640B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 제어방법
KR20070040120A (ko) 냉장고 홈바의 냉기 단속장치
KR0165660B1 (ko) 냉장고용 댐퍼의 전자식 개폐장치
KR100208084B1 (ko) 냉장고의 운전방법
KR100333592B1 (ko) 냉장고의 열교환챔버 결빙방지장치
KR0159708B1 (ko) 에어커튼구조를 갖는 냉장고
KR19990000927A (ko) 냉장고의 냉기막 형성 제어방법
JP3228392B2 (ja) 冷凍冷蔵庫
KR0165018B1 (ko) 냉기단속장치가 설치된 냉장고
KR200161880Y1 (ko) 냉장고의 냉기유출 차단장치
KR0160427B1 (ko) 에어커튼구조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