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5288B1 -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스크 배급을 제어하는 시스템및방법 - Google Patents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스크 배급을 제어하는 시스템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5288B1
KR100235288B1 KR1019960702215A KR19960702215A KR100235288B1 KR 100235288 B1 KR100235288 B1 KR 100235288B1 KR 1019960702215 A KR1019960702215 A KR 1019960702215A KR 19960702215 A KR19960702215 A KR 19960702215A KR 100235288 B1 KR100235288 B1 KR 100235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software
player
video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265A (ko
Inventor
제이. 쿡슨 크리스토
르위스 에스. 오스트로버
와렌 엔. 리버파브
Original Assignee
존 제이 슐만
타임 워너 엔터테인먼트 컴파니, 엘. 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존 제이 슐만, 타임 워너 엔터테인먼트 컴파니, 엘. 피. filed Critical 존 제이 슐만
Publication of KR960706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5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5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8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 G11B23/281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by chang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cord carrier
    • G11B23/282Limited 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11B20/0011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wherein the record carrier stores a unique medium identif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11B20/0012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the record carrier being identified by recognising some of its unique characteristics, e.g. a unique defect pattern serving as a physical signature of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3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3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 G11B20/0014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involving a user identifier, e.g. a unique customer I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3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to authorised users
    • G11B20/00159Parental control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11B20/0048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 G11B20/0055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characterised by a specific kind of data which is encrypted and recorded on and/or reproduced from the record carrier wherein further management data is encrypted, e.g. sector headers, TOC or the lead-in or lead-out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3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with provision for auxiliary signals
    • G11B23/36Signals on record carriers or on containers and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2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separate auxiliary tracks of the same or an auxiliary record carrier
    • G11B27/327Table of contents
    • G11B27/329Table of contents on a disc [VTO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 H04N9/877Regeneration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by assembling picture element blocks in an intermediate mem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6Game information storage, e.g. cartridges, CD ROM's, DVD's, smart ca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62DVDs [digital versatile discs]; Digital video discs; MMCDs; HDC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04N9/804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비디오 표준(들)이 비디오 소스 자료를 포함하는 광학 디스크(23)로부터 회복될 수 있도록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제어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디스크는 NTSC, PAL 및 기타 비디오 신호 표준중 어느 하나가 적절한 데코딩에 따라 발생될 수 있도록 디지탈 방식으로 엔코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스크는 또한 하나 이상의 표준을 록 아웃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한다. 그러한 디스크용 플레이어(21)그런데 모든 통속 표준에 따라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데, 이 경우 사용자는 바람직한 표준을 선택한다. 그러나, 플레이어는 디스크상에 적절한 위임 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만 선택된 표준의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킨다. 시스템은, 예를들면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지역에서 필름을 개봉하는 영화사의 계약상 및 마케팅 계획과 반드시 충돌하지 않고서도 "만능" 플레이어의 제조를 허용한다. 상기 제어 기술은 특정 지역을 록 아웃하도록 확대된다. 각각의 플레이어는 내장 지역 코드를 지닌다. 상기 플레이어는 단지 디스크가 플레이어의 특정 지역에 대한 위임코드를 포함하는 경우에만 디스크를 작동시킨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스크 배급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예컨대, 영화) 캐리어의 작동으로 부터 비디오 신호의 발생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프트웨어 캐리어가 작동될 수 있는 장소를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제어할 수 있는 기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주 칼라 전송 표준은 3가지가 있다. 525-라인, 30프레임/초의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s Committee)표준은 미합중국, 캐나다, 중미, 남미 대부분, 및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다. 625 라인, 25프레임/초의 PAL(Phase Alternation Each Line) 표준은 영국, 영연방에 귀속되어 있는 대부분의 나라 및 속영, 여러 서유럽 나라 및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625 라인, 25프레임/초의 SECAM(Sequential Color With [Avec] Memory) 표준은 프랑스, 프랑스에 귀속되어 있는 나라 및 속영, 서독을 포함하는 이전의 소비에트권, 및 그들에 귀속되어 있는 기타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기타 표준은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과 같이, 가용되고 있다. 각각의 표준에 따른 비디오 신호는 특유하며, 한가지 형태의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도록 설계된 통상적인 텔레비젼 수신기는 다른 한 가지 형태의 비디오 신호를 처리할 수 없다.
영화를 배급하기 위한 가장 널리 보급된 매체는 비디오 카세트이다.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로 다른 텔레비젼 공업 표준 때문에, 동수의 비디오 카세트 표준이 존재한다. 예를들면, 미합중국에서 시판되고 있는 NTSC 비디오 테이프는 영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부분의 비디오 카세트 풀레이어상에서 작동하지 않는다. 협소한 범위로는, 영화는 또한 광학 디스크 매체상에서도 배급된다. 이들 매체는 대부분 아날로그 레코딩용이며, 다시 한 번 한가지 형태의 플레이어상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된 매체는 다른 한가지 형태의 플레이어와 양립가능하지 않다.
디지탈방식으로 엔코딩된 광학 디스크는 영화 및 다른 상영형태의 배급용으로 이론상 훨씬 우수한다. "압축된 비디오"의 사용은 특히 유리한데, 그러한 것에 의하여 현재의 오디오 CD보다 더 이상 크지 않은 디스크상에 영화를 디지탈방식으로 엔코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디스크상에 어떠한 실시간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도 존재하지 않는 압축된 비디오의 경우에, 전세계적으로 동일한 디스크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어느 주어진 지역에서의 플레이어는 동일의 디지탈 방식으로 엔코딩된 비디오 소스 정보로부터 적합한 표준의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킨다.
영화 산업과 같은 소프트웨어 제공업자들은 그러한 "만능" 디스크의 출현을 환영한다고 생각될 수 있지만, 이는 실제로 그러한 경우가 아니다.
이에 대한 피치못할 사업상의 이유가 있다. 새로운 영화, 및 그의 추종 소비자 버젼은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지역에서 개봉된다. 종종, 예를들면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영화의 개봉 및 미합중국에서의 후속 개봉사이에는 여러달이 경과될 수 있다. 계약상 치 마케팅 준비는 단지 한가지 형태만의 텔레비젼 수신기상에 상영되도록 의도된 캐리어가 다른 한 형태의 텔레비젼 수신기상에 상영되는 것을 허용하는 플레이어 또는 플레이어 부가물에 의해 타협된다. 개봉에 대한 위임받지 못한 다중 표준 재생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하는 영화사 이외에도, 현행 태양이 변하지 않는 경우, 예술집단, 및 책임이 있는 소비자들은 한 표준으로부터 다른 한 표준으로 변환되는 경우에 초래되는 비디오 열화에 계속 반대할 것이다(고품질 변환은 오늘날 비교적 많은 비용을 치러서만 달성될 수 있다).
디지탈 방식으로 엔코딩된 매체는 모든 표준과 일치하는 고품질 비디오 신호의 발생을 용이하게 하며, 이는 단지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필름의 차례순의 개봉을 제어하려는 시도에 있어서 영화사에 의해 직면되는 문제를 더욱 악화시킨다. 디지탈 방식의 엔코딩은 모든 형태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모든 플레이어는 동일한 디지탈 비트 스트림을 데코딩하고 그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발생시켜야 한다. 수평 및 수직 동기 신호는 칼라 신호 엔코딩을 위한 주파수 및 위상 기준과 함께, 이러한 아날로그 신호에 부가되어야 하는데, 동기 및 기준 신호는 복합 비디오 파형으로서 알려져 있는 것을 형성하도록 화상비디오 신호와 결합된다. 이는 동일한 플레이어가 서로 다른 표준 모두에 대한 복합비디오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는데 너무 많은 추가회로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로 다른 시간에 서로 다른 나라에서 필름의 순차적인 개봉에 대해 계힉을 잡는 것이 어렵게 된다.
지금까지는 상기 문제가..... 단지 선택된 비디오 표준에 따라 작동하도록 어떠한 방식으로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제어하는지..... 비디오 표준에만 관계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문제는 더 확대된다. 때로는 동일한 표준을 고수하여 예를들면 록아웃(locking out) 표준이 항상 보다 넓은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는 나라 또는 지역을 구별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예를들면, 정책적인 이유로, 중국에서는 특정한 디스크의 작동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스러울 수 있지만, PAL 표준에 따른 상영을 방지하는 것은 영국에서의 디스크 배급을 또한 배척한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로부터 회복가능한 비디오 표준에 걸친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또한, 디스크가 작동될 수 있는 지역에 걸친 제어를 실행하는 것도 유리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상기 개봉자의 소프트웨어 캐리어로부터 발생된 비디오 신호를 일치시킬 수 있는 비디오 표준(들)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상기 개봉자의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킬 수 있는 지역을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소프트웨어 캐리어로부터 비디오 표준을 회복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시스템이다. 각각의 소프트웨어 캐리어는 모든 비디오 표준, 예컨대 PAL, NTSC 등에 따라 상부에 레코딩된 비디오 프로그램을 재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마스터(master)"이다. 그러나, 캐리어, 바람직스럽게는 광학 디스크상의 데이터는 단지 몇몇 비디오 표준에 따라 비디오 신호 발생을 위임하도록 개봉자에 이해 코딩된다. 디스크를 작동시키도록 설계된 플레이어는 사용자가 특정한 표준을 선택함에 따라 모든 형태의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도록 장치될 수 있지만, 프로그램 자료 그 자체에 의해 위임받지 못한 형태의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지는 못한다.
한가지 예로서, 미합중국에서 먼저 개봉되고 영국에서 그 다음으로 개봉될 영화의 경우를 고려해 보기로 한다. 부가적으로, 동일한 플레이어가 양자 모두의 나라에서 시판된다. 즉, 사용되고 있는 전력 공급원과 같은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사용자가 스위치 설정에 의거하거나 메뉴 디스플레이에 따라 바람직한 표준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플레이어가 PAL 및 NTSC를 포함하는 다중 표준에 따라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영국에서의 대부분의 텔레비젼 세트가 PAL 표준에 일치하는 비디오 신호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청자의 대다수는 단지 그들의 플레이어가 PAL 신호를 발생시키는 경우에만 새로운 개봉영화를 상영시킬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조업자가 PAL 신호 발생을 록아웃시키도록 광학 디스크를 코딩하는 경우, 미합중국에서 초기에 개봉되는 때의 디스크는 영국에서 시판되지 못한다. 영국에서 디스크를 개봉할 시기가 되면, 제조업자가 행하여야 하는 모든 것은 PAL이 이제는 허용된 표준이도록 새롭게 인쇄된 디스크상에서 록아웃 코드를 바꾸는 것이다. 하부에 있는 비디오 프로그램 자료의 디지탈 방식의 엔코딩은 전부 변경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원리는 캐리어의 어느 특정한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의 어느 특정한 종류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대해 예견되는 가장 널리 보급된 용도는 영화산업에 의한 것이라는 것이 사실이다. 상부에 새로운 영화가 레코딩되어 있는 광학 디스크는, 상기 디스크가 NTSC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계에서만 작동될 수 있는 경우에, 미합중국에서 개봉될 수 있다. 그러한 기계는 동일한 디지탈 방식의 엔코딩으로부터, 모든 비디오 표준에 따르는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지만, 상기 디스크 그 자체는 플레이어가 NTSC와는 다른 어떤 포맷으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는 코드로써 개봉된다. PAL 개봉이 계획되는 훗날에, 디지탈 방식의 엔코딩은 부가적인 표준에 따른 계획을 위임하도록 약간 변경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특정한 매체에 국한되지 않거나(예를 들면, 테이프 캐리어 및 모든 디지탈 저장 매체에 적용될 수 있다), 단지 영화의 배급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극한적인 경우에, 본 발명은 어떠한 "동작"도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인 정지(still) 화상의 라이브러리의 배급에 적용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개봉자(software publisher)" 라는 용어는 결과적으로 영화사 이상의 것을 포용하며, "캐리어(carrier)"라는 용어는 디지탈 방식으로 엔코딩된 광학 디스크 이상의 것을 포용한다.
본 발명의 제어기법은, 디지탈 방식의 엔코딩의 포맷이 허용된/허용되지 않은 동시통신(broadcast) 표준의 사양을 허용하는 경우, 하부에 있는 비디오 소스 자료의 코딩에 무관하다. 분명한 점으로는, 프로그램 자료는 관심있는 모든 동시통신 표준이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레코딩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다수의 표준을 지원하는 것 이외에도, 프로그램 자료는 최고 품질의 비디오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캐리어상에 저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엔코딩된 비디오 프로그램은 서로 다른 종횡비를 나타내며 서로 다른 분해능(resolution)을 지니는 비디오 신호의 발생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광학 디스크가 최대로 유연한 재생을 수용하도록 엔코딩될 수 있으며 동일한 디스크가 전세계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만능"이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만능적인 면을 삭감한다. 가장 넓은 의미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비디오 자료를 상영시킬 수 있는 곳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다(이러한 진술은 미소적이 아니라 거시적인 의미에서 취해진 것이다. 분명한 점으로는, 상기에 주어진 예에서, 영국의 어떤 사람이 실제로 NTSC 텔레비젼 수신기를 지니는 경우, 그는 미합중국에 시판되고 있는 디스크를 영국에서 상영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 기술된 제어는 지역들, 심지어는 동일한 표준을 고수하는 지역들을 구별하는 데까지 용이하게 확장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든 플레이어마다 40개의 서로 다른 코드중 하나인 내장지역 코드를 지닌다. 모든 디스크마다 인입 섹션내에 40-비트 필드를 지니며, 각각의 비트위치는 40개 지역중 상이한 지역에 해당한다. 특정한 플레이어는 단지 내장 지역코드에 의해 표시되는 지역이 40-비트 필드로 "위임받은"경우에만 디스크를 상영시킨다. 상영에 관한 어떤 순수 지역적 제한도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크상의 위임필드의 40비트 위치 각각에는 1이 저장된다. 그러나, 어떤 지역은 다만 해당비트 위치에 0을 배치시킴으로써 록아웃될 수 있다. 상기 지역에서의 상영을 위해 설계된 플레이어는 그들지역에서의 상영이 위임받지 않았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디스크를 작동시키지 못한다.
본 발명은 여러 유리한 특징을 제공하는 총체적인 시스템의 문맥으로 개시되어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가 특정의 특징에 관한 것이지만 총체적인 시스템이 기재되어 있다. 하기 설명에서 특히 관심을 두는 특징의 전반적인 리스트는,
·비디오 표준 및 지역 록 아웃.
·다수 종횡비에서의 작동.
·R-전용작동의 선택적인 자동 패어렌탈 기능억제를 이행하는, 동일한 디스크로부터의 동일한 영화의 예컨대 PG-전용 및 R-전송되는 다수 버젼의 상영.
·위임받지 못한 개봉자가 작동가능한 디스크를 제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암호 위임코드.
·사용자가 선택 언어를 명시하면서, 단일 디스크상에의 다수 언어 오디오트랙 및 다중 언어 서브타이틀 트랙의 제공.
·사용자가 바람직한 혼합을 선택하면서, 예컨대 오케스트라 음악의 몇몇 성분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다른" 오디오 트랙의 제공.
·단일 캐리어상에 상기의 처리능력 모두를 허용하기 위한, 트랙 교환 및/또는 혼합을 이행하면서 비트 용량의 효율적인 사용, 및 데이터 블록의 가변속도 엔코딩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자명해 질 것이다.
제1도는 선행기술의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며 현재 사용가능한 매체 플레이어에서의 적응성의 부족 및 현재 사용가능한 매체 플레이어의 불량한 성능을 예시한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제2도 시스템에서 작동될 수 있는 광학 디스크의 디지탈 데이터 트랙의 인입 부분에서의 필드를 목록에 기재한 챠트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인입 트랙 섹션 다음에 오는 데이터 블록 각각에서의 필드를 목록에 기재한 유사 챠트이다.
제5a도 내지 제5e도는 작동되는 광학 디스크의 인입 트랩 섹션 내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를 제2도 시스템으로 처리하는 것을 예시하는 플로우 챠트를 포함한다.
제6도는 트랙의 인입 섹션 다음에 오는, 제4도에 도시된 포맷으로의 데이터 블록을 처리하는 것을 예시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제7a도는 영화 또는 다른 비디오 상영의 선택 버젼의 상영을 위해 필요한 디스크 트랙상에서 본 발명의 플레이어가 단지 데이터 블록만을 판독하는 방식을 특징화하는 상태 다이어그램 및 범례이며, 제7b도는 2가지 교번 버젼중 하나가 제7a도의 상태 다이어그램에 의해 예시되는 규칙 다음에 이행됨으로써 상영될 수 있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제8도는 비디오 신호의 디지탈 표시를 압축하는 데 사용되는 선행 기술의 기법을 기호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제9도는 3가지 서로 다른 이미지 종횡비사이의 관계를 예시한 것이다.
[선행기술]
선행기술의 제한은 제1도 시스템에 의해 예증된다. 그러한 시스템은 다중 표준 중 선택된 표준에 부합하는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대개 VHS 비디오 카세트인 프로그램 자료의 단일소스를 작동시키는데 현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시스템은, 비록 도면에는 독립적인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다중 표준 VCR로서 언급되어 있다. 전형적으로는, VHS 테이프(7)는 이 VHS 테이프 상에 NTS(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레코딩하였으며, 상기 테이프는 VHS 플레이어(5)에서 작동된다. 상기 아날로그 신호는 A/D 변환기(9)에서 디지탈 형태로 변환되고, 연속 프레임의 디지탈 표시는 비디오 프레임 저장장치(11) 내로 기록된다. 회로(13)는 초과 프레임을 삭제하거나, 선택된 표준, 예컨대 PAL과 부합하는 데 필요한 추가 프레임을 평가하여 추가한다. 한 표준으로부터 다른 한 표준으로 변환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필드 또는 프레임에서 수평라인의 갯수를 변경하는것(이미지 스케일링)이 필요하다. 이는 대개 몇몇 라인의 적하(dropping), 및/또는 몇몇 라인의 반복 또는 연속라인의 평균에 기인하여 라인들사이에 삽입될 새로운 라인을 유도함으로써 달성된다. 물론, 회로(13)의 주 기능은 디지탈 프레임표시를 비디오 출력으로서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형태의 시스템은 대체로 비디오 출력을 열화시킨다. 종래의 비디오카세트는, 하나 이상의 비디오 표준을 지지하는 경우 양호도가 감소된 비디오를 공급한다. 한가지 이유는 아날로그부터 디지탈로, 그후 다시 디지탈로부터 아날로그로의 이중 변한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이유는 이미지 스케일링이 대개 조잡한 방식(라인의 삭제, 라인의 반복 및 라인의 평균)으로 이행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화상을 열화시키지 않고서 디지탈 영역에서 이미지 스케일링을 이행하는 공지된 방식이 있다. 대체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그러한 기법은 선행기술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간략하게 기술될 것이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도 그러한 기법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PAL 표준은 프레임당 625라인을 지니는 반면에, NTSC 표준은 프레임당 525라인을 지닌다. 이미지의 어떠한 부분도 수직 귀환시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어느 한 시스템에서의 수평라인 스캔 모두는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 PAL 표준에 있어서, 이미지 정보로써 공칭적으로 프레임당 576라인이 존재하며, NTSC 프레임에 있어서는 이미지 정보로써 공칭적으로 483라인이 존재한다.
한 표준으로부터 다른 한 표준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우선 연속적인 필드가 비월(imterlace)되지 않게 한다. 그후, 576라인이 483라인으로 변환되거나 483라인이 576라인으로 변환되어 다시 비월된다. 이러한 것이 어떠한 방식으로 행해지는지는 개념적으로 가시화하는 것이 편하다. 예를들면, PAL프레임을 통한 극히 얇은 수직 슬라이스를 고려해 보자. 상기 슬라이스는 3가지 칼라 성분으로 분할된다. 개념상의 견지에서 볼 때, PAL로부터 NTSC로 변환하기 위한 이미지 스케일링은 칼라 데이터의 576PAL 피스를 기초로 한 곡선을 그리고 나서 상기 곡선을 483부분으로 분할하여 바람직한 NTSC 신호의 각 수평라인에 대해 한 피스의 데이터를 유도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로, 이는 보간 프로세스에 의해 달성되며, 이러한 것은 디지탈 방식으로 행해진다(대체로, 이미지 스케일링은 예를들면 HDTV에서 NTSC로 취함에 있어 종횡비의 변화를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매 수평라인의 양단에서 정보를 잘라내는 것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기술의 시스템이 표준 변환을 제공하지만, 그것은 대략 그들 적응성의 범위이다. 그 반면에, 제2도 시스템은 선행기술에서 전연 예상치 않은 방식으로 신규한 적응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시스템]
제2도의 시스템은 광학 디스크(23)를 작동시키기 위한 디스크 드라이브(21)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크상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데이터는 데이터출력도체(25)상에 발생된다. 디스크 드라이브 동작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27)에 의해 제어된다. 판독 헤드는 헤드 위치 제어 리드(29)상에 공급된 커맨드에 의해 위치 선정되고, 디스크 회전 속도는 비율제어 도체(31)상에 공급된 커맨드에 의해 제어된다. 광학 디스크는 대개 일정 선 속도나 일정 각 속도중 어느 하나로 구동된다(또 다른 가능성은 다수의 일정 각 속도의 개별적인 사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디스크는 한 비트가 트랙의 내부에 기록되든 트랙의 외부에 기록되든 각각의 비트에 의해 취해진 트랙의 선형 길이가 동일한 것이도록 일정 선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이는 대부분의 데이터의 저장을 허용한다. 일정 선 속도는 외부 트랙이 판독되는 경우 디스크의 회전 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형태의 광학 디스크 제어는 종래 사항이다. 예를들면, CD 오디오 표준은 일정 선 속도로 회전되는 디스크를 또한 필요로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41)는 시스템의 마스터 제어기이다. 그러한 것으로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1)는 도체(43)를 거쳐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에 커맨드를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41)는 도체(45)를 거쳐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의 상태를 결정한다.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에는 2개의 다른 입력이 제공되어 있다. 블록번호/포인터 분석기(47)는 도체(49)를 거쳐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에 커맨드를 공급한다. 그리고, 버퍼충전 도체(51)는 OR 게이트(54)로부터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로 제어신호를 연장한다. 이들 2개의 입력은 하기에 기재된다(대체로, 개별적인 도체를 참고로 하지만, 문맥상 이들 도체중 몇몇 개는 실제로 비트를 병렬로 연장하기 위한 케이블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OR게이트(54)의 출력이 단일의 도체(51)를 거쳐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에 연장될 수 있지만, 블록번호/포인터 분석기(47)는 다중 비트 데이터가 직렬보다는 오히려 병렬로 전송될 수 있도록 케이블(49)을 거쳐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에 접속될 수 있다).
제2도 시스템의 중요한 특징은 비트 정보가 엔코딩된 자료의 복잡성에 따라 변하는 속도로 디스크상에 저장된다는 점이다. 이는 실제로 데이터 출력도체(25)상에 발생되는 초당 비트의 갯수가 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초당 사용되는 비트의 갯수가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디오 정보는 압축된 디지탈 형태로 저장된다. 제8도는 MPEG1 및 MPEG2 표준에 따라 비디오 프레임이 코딩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독립적인 Ⅰ-프레임은 총체적으로 코딩된다. 예견된, 즉 P-프레임은 이전이 독립적인 프레임을 기초로 하여 예견되는 프레임이며, P프레임에 실제로 필요한 디지탈 정보는 실제 프레임과 예견 프레임 사이의 차를 단순히 나타낸다. 양방향성으로 예견된 B-프레임은 Ⅰ및/또는 P프레임으로부터 예견되는 프레임이며, 그러한 프레임에 필요한 정보는 실제 및 예견 형태사이의 차를 다시한번 나타낸다(인식될 수 있겠지만, 신속한 포워드 및 신속한 리버스(reverse) 기능은, 필요한 경우, I-프레임을 사용하여 가장 양호하게 구현된다). 어느 한 프레임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비트의 갯수는 그의 형태에 의존할 뿐만 아니라, 표시될 실제적인 가시 정보에 의존한다. 분명한 점으로, 상기 가시 정보는 꽃의 들판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것보다 푸른하늘을 나타내는데 훨씬 더 적은 비트를 필요로 한다. 상기 MPEG 표준은 화상 프레임이 최소의 비트갯수로 엔코딩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설계된다. 프레임 정보는 일정속도로 요구된다. 예를들면, 영화 필름이 디스크상에 디지탈 형태로 표시되는 경우, 24개의 프레임은 각각의 상영 순간에 대하여 표시된다. 한 프레임용으로 필요한 비트의 갯수는 프레임-프레임과 방사상으로 상이하다. 프레임이 일정속도로 처리되기 때문에, 초당 처리(사용)되는 비트의 갯수는 매우 낮은 값에서 매우 높은 값으로 변할 수 있다는 것이 자명하다. 따라서 비트가 실제로 상기 디스크로부터 판독되지만, 일정속도로 상기 디스크로부터 판독될 수 있는 경우, 상기 비트는 반드시 일정속도로 처리될 필요가 없다.
디스크상에 저장되는 어느 오디오에도 마찬가지로 고려된다. 어느 한 데이터 블록은 변화될 수 있는 여러 이미지 프레임용으로 요구되는 비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어느 한 데이터 블록은 변화될 수 있는 동일한 다수 오디오 트랙의 가변시간 지속기간용으로 요구되는 비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단지 하나만의 물리적 트랙이 존재한다. 다수 오디오 트랙에 대한 기준은 각각의 오디오 자료를 포함하는 시분할 슬라이스의 상이한 시리즈에 대한 것이다). 오디오 트랙은, 또한 압축된 형태로 있을 수 있는 디지탈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특정의 오디오 트랙용 어느 데이터 블록에 저장되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그러한 비트가 동일시간 지속기간동안 반드시 존재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한 블록에서 표시되는 어느 화상 프레임에 해당하는 어느 오디오 트랙용으로 레코딩된 음향의 지속기간이 화상 프레임의 지속기간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이는 오디오 정보가 실제로 필요하기 전에 판독될 수 있고, 충분한 양이 이미 누적되어진 경우 보다 많은 오디오 정보의 판독 동작이 중단되거나 오디오가 이전의 과잉공급을 보상하도록 몇몇 데이터 블록내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오디오 버퍼(53), 비디오 버퍼(55), 팬(pan)스캔, 버퍼(57), 서브타이틀 버퍼(59), 및 버퍼충전 신호를 발생시키는 OR케이트(54)의 기능을 버퍼링시키는 개념으로 이끈다.
각각의 데이터 블록이 디스크로부터 판독됨에 따라,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게이트가 개방되는 경우 게이트(61)를 관통하고 비트 필드는 디멀티플렉서(63)에 의해 여러 형태의 버터에, 그리고 커맨드/데이타라인(65)을 거쳐 마스터 제어기(41)에 분배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변화될 수 있는 다수의 화상 프레임에 해당하는 비디오 비트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비트 또는 소수의 비트가 존재할 수 있거나 심지어 어떠한 비트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예를들면, 작동되는 특정의 디스크가 어떠한 비디오도 상영하지 않을 경우). 연속 그룹의 비디오데이타는 마커(marker)에 의해 분리되는 비디오버퍼(55)내에 저장된다. 비디오 데코더(67)는 비디오 데코더에 도체(71)를 거쳐 새로운 데이터 집단이 공급되는 경우 도체(69)를 통해 커맨드를 공급한다. 커맨드는 응답하여 공급되는 비트의 갯수가 처리되고 있는 특정 프레임용으로 필요한 비트의 갯수에 따라 변하지만 정상 속도로 공급된다. 비트가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 판독도는 속도는 최대 정보를 필요로 하지만 대부분 그러하지 않은 프레임을 수용하기에 충분할 정도로 높다. 이는 데이터 블록이 사용되는 속도보다 데이터 블록이 실제로 판독되는 속도가 더 높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는 데이터가 실제로 처리용으로 요구될 때까지 양호하게 설계된 시스템이 데이터 블록의 판독동작을 지연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우선, 데이터가 실제로 필요한 경우, 판독 헤드는 바람직한 데이터 블록의 개시 부분에서 위치 선정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버퍼링이 제공된다. 비디오 버퍼(55)는 다수의 연속 프레임에 대한 비트 정보를 포함하고(본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실제 갯수는 비트가 판독되는 속도, 프레임이 처리되는 속도 등에 의존함), 비디오 데이터 블록 정보는 비디오 데코더(76)에 의해 결정되는 일정 프레임 속도로 비디오 버퍼로부터 판독된다. 비디오 데이터는 단지 상기 버퍼가 가득찰 때까지만 상기 버퍼에 공급된다. 일단 상기 버퍼가 가득찬 경우, 정보가 저장될 수 없기 때문에 더 이상의 정보가 공급되지 않는다. 비디오 버퍼가 가득찬 경우, 도체(69)상의 신호에 기인하여 OR게이트(54)의 출력은 고(high)레벨로 되어 상기 버퍼중 하나가 가득 차 있음을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27)에 통보한다.
유사한 마커는 3개의 다른 형태의 버퍼에 인가한다(단일의 서브타이틀 버퍼(59), 단일의 팬 스캔 버퍼(57), 및 다수의 오디오 버퍼(53)가 존재하며, 이들 모두의 목적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버퍼중 어느 것이라도 가득 찬 경우, 그의 해당 출력에 기인하여 OR게이트(54)는 버퍼충전 도체를 제어하여 고레벨로 되게 하고 상기 버퍼중 하나가 가득차 있음을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에 그러한 방식으로 통보한다. 오디오 프로세서 데코더(71)는 오디오 트랙 데이터를 필요로 할 때 상기 오디오 버퍼에 커맨드를 공급하고, 이때 상기 오디오 버퍼가 그러한 데이터를 공급한다. 마찬가지로, 그래픽 생성기(73)는 서브타이틀 버퍼(59)로부터 데이터를 검색하고,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팬 스캔 프로세서/수직형 스케일러(87)는 팬 스캔 버퍼(57)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4개의 버퍼중 어느 하나가 가득 차 있는 경우(이는 상기 블록(53)내의 개별 버퍼중 어느 하나를 포함함).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27)에 기인하여 디스크 드라이브는 데이터의 판독동작을 정지시킨다. 데이터는 상기 버퍼 모두가 상기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을때까지, 즉 어떠한 버퍼도 가득차지 않고 도체(51)가 저(low) 레벨로 될 때까지 다시 판독되지 않는다(바꾸어 말하면, 상기 버퍼에 매우 신속하게 데이터가 공핍되는 경우, 도체(31)상의 속도제어 신호에서의 조절은 디스크 속도, 결과적으로는 상기 버퍼들이 가득 채워지는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버퍼링의 논의는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27)에의 버퍼충전 입력(51)을 고려함으로부터 생겼다. 기술될 상태로 남아있는 나머지 입력은 케이블(49)에 의해 나타나는 것이다.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매 데이터 블록마다 그의 개시부분에서의 포인터 정보뿐만 아니라 연속 블록번호를 지닌다. 회로(47)는 상기 연속 블록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포인터 정보를 판독한다. 상기 포인터, 연속 블록번호는 판독될 다음의 데이터 블록을 지적한다. 이러한 정보는 케이블(49)을 통해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에 공급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는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의 판독헤드의 위치 선정의 제어할 수 있음으로써 바람직한 데이터 블록이 엑세스될 수 있다. 여러번 잘못된 블록이 판독된다. …이는 새로운 블록에의 점프의 경우, 흔히 있는 경우로서, 예를들면 CD 오디오 디스크를 작동시킬 때 한 트랙에서 다른 한 트랙으로 점핑되는 경우에 예상될 수 있다. 디스크 드라이브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은 연속 블록번호를 갖는 데이터 블록을 판독하는 경우, 이는 후에 케이블(49)을 통해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에 새로운 커맨드를 공급하여 상기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은 연속 블록번호를 각각 지니는 다른 한 블록을 판독하는 블록번호/포인터 분석기(47)에 의해 결정된다. 판독 헤드가 새로운 블록을 판독하도록 자체적으로 위치 선정하고 있는 시간동안, 판독되는 데이터는 실제로 사용되지 않는다. 게이트(61)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4개이 버퍼로 및 커맨드/데이타/리드를 거쳐 마스터 제어기(41)로의 분배를 위해 정보가 디멀티플렉서(63)에 공급되지 않게 한다. 블록의 개시 부분에서 연속 블록번호를 분석하는 회로(47)에 의해 결정되는 것과 같이, 올바른 데이터 블록이 도달되는 경우에만, 게이트(61)를 개방시키도록 고레벨의 펄스가 도체(75)에 가해진다.
블록의 나머지는 그후 디멀티플렉서에 공급된다.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 비트는 또한 도체(77)를 거쳐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스터 제어기(41)에도 공급된다.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여러 형태의 버퍼에 공급되어야 하는 비트 정보뿐만 아니라, 블록 내에서 발견될 데이터의 종류를 실제로 식별하는 비트와 같은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식별 비트(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플래그와 이와 유사한 것들)는 항시 시스템의 제어를 이행하도록 마스터 제어기에 공급된다. 상기 식별비트는 여러 형태의 버퍼로의 데이터 분배를 제어하도록 디멀티플렉서에 의해 사용된다(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도체(76)를 통해 블록번호/포인터 분석기(47)에 커맨드를 공급하는 데, 상기 블록번호/포인터 분석기는 이러한 요소를 통한 일반적인 제어뿐만 아니라, 완전 데이터 블록이 차후의 처리용으로 필요하지 않은 경우 온전 데이터 블록이 디멀티플렉서에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적합한 바와 같이 요소(47)가 도체(75)상의 이네이블 신호를 턴오프시킴으로써의 특정한 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마스터 제어기는 시스템의 심장부에 있으며 실제로 벌크(bulk)단위의 처리를 실행한다. 플레이어의 사용자는 전형적으로는 키도드인 인터페이스(79)를 거쳐 마스터 제어기와 통신한다. 사용자는 또한, 본원에서 "패어렌탈 록" 옵션으로서 언급되어 있는, 기호상 번호(81)로 도시된 키 및 록 메카니즘을 구비하고 있다. 록이 온상태로 작동되는 경우, 영화는 상영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이 디스크상에 실제로 표시된 비트에 의해 제어되는 방식은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록이 작동상태이고 R-전용화상만이 디스크상에 있는 경우, 패어렌탈 록 제어 도체(83)상의 디세이블 신호는 게이트(61)를 폐쇄시킨다. 어떠한 데이터 비트도 상기 게이트를 통해 전송되지 않으며 디스크는 작동될 수 없다. 하기에서 자명해지겠지만, 디스크가 상부에 R-전용되지 않은 필름의 버젼을 지니는 경우, 상기 디스크는 시청자에 의해 선택되는 경우에 작동한다. 패어렌탈 록 특징은 실제적인 키와 록의 사용을 필요로 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특징은 어린이의 부모에게만 알려져 있는 키보드 입력을 필요로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영화의 R-전용 버젼이 보여져선 안된다고 마스터 제어기에 통보하는 방식은 어느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물리적 키 및 코딩된 키는 컴퓨터에 대한 액세스를 제어하는데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2도의 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2가지 상이한 버젼이 동일 디스크(각각의 안전한 버젼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도)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된 버젼이 제1의 장소에서 상영될 수 있는지를 시스템이 결정하는 방식이다. 이는 하기에 기술될 것이다.
마스터 제어기(41)는 지금까지 기술되지 않았던 여러 다른 출력을 포함한다. 도체(85)는 제2도에 도시된 부속 시스템 모두에 연장되는 마스터 클록 버스를 나타낸다. 어느 디지탈 시스템에 있어서, 마스터 클록 신호는 여러 회로의 적합한 위상조정을 제어하는데 필요하다. 상기 마스터 제어기의 6개의 다른 출력은 디머티플렉서(63), 오디오 프로세서 데코더(71), 팬스캔 프로세서/수직 스케일러(87), 비디오 프레임 저장장치, 비월 및 3:2 풀다운 회로(89), 그래픽 생성기(73), 및 동기 생성기 및 DVA 변환기(92)에 연장된다. 이들은 개별 회로 블록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리드이다.
오디오 프로세서 데코더(71)는 버퍼(53)내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기호상 번호(91)로 도시된 증폭기/스피커 시스템으로 연장되는 개별 오디오 아날로그 신호를 유도한다. 비디오 데코더(67)는 버퍼(55)로부터 판독되는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로부터 도체(93)상에 디지탈 비디오 신호를 유도한다. 디지탈 비디오는 프레임 단위로 팬 스캔 프로세서/수직 스케일러(87)에 공급된다. 사용되는 특정의 비디오 코딩/데코딩은 본 발명의 특징이 아니다. 바람직한 표준은 MPEG1 및 MPEG2의 라인을 따른 것이지만, 이들은 단지 예시적일 뿐이다. 그와 동일한 것은 오디오 트랙 코딩에 대해 사실이다.
회로(57,87)의 동작은 우선적으로 제9도의 기호 도면을 고려함으로써 양호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학 디스크상에 저장되는 디지탈 정보는 "마스터"종횡비가 1629인 프레임, 소위 "와이드 스크린(wide screen)" 이미지를 특징으로 한다. 제9도의 상부 좌측상에는 마스터 종횡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의 텔레비젼 수신기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궁극적인 아날로그 신호가 이러한 종횡비를 필요로하고, 화상 정보를 갖는 수평 스캔라인의 갯수가 디스크 상에 저장된 비디오 비트 정보에 의해 표시되는 수평라인이 갯수와 일치하는 경우, 비디오 아날로그 신호의 생성은 수월하다. 그러나 사용자의 텔레비젼 수신기가 4:3 종횡비를 갖는 TV신호를 수용하고, 디스크 상의 마스터 종횡비가 16:9인 경우, 2가지 선택이 존재한다. 한 가지 선택은 "문자 박스"형태로 본래의 화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제9도의 우측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경우에 이행되는 것은 균일하게 마스터 이미지를 수직 압축하여 그의 수평치수가 텔레비젼 수신기의 영역과 일치되게 하는 것이다. 이로부터 수직치수가 동시에 짧아져서 수직치수가 TV 디스플레이 영역이 완전 높이 미만이게 한다. 이러한 것이 의미하는 것은 각각의 총체적인 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에서의 수평라인 스캔이 소거되고 암(dark) 대역이 그들 장소에 형성되지만, 본래의 종횡비가 유지된다는 것이다. 나머지 선택은 "팬 스캔"이 감소된 종횡비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것이 의미하는 것은 본래의 와이드 스크린 이미지상에 4:3 종횡비를 갖는 박스를 이중 인화하는 것이다. 결과로서, 화상의 좌측, 우측 또는 좌우 양측은 잘려진다(모든 경우에, 비록 16:9 마스터 종횡비에 해당하는 와이드 스크린 이미지가 보여지게 될 지라도, 이는 디스크상에 표시되는 수평라인의 갯수와는 상이한 수평라인 스캔의 갯수를 형성하는 데 필요할 수 있다. 수평라인의 갯수는 비디오 출력이 일치해야 하는 비디오 신호출력의 함수이다. 라인의 갯수를 변화시키는 것은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수직 스케일링으로서 알려져 있는 프로세스이다).
팬 스캔 처리에 대하여, 팬 스캔이 감소된 종횡비 화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되어야 하는 19:9 마스터 종횡비 화상의 그러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것이 사용되어야 하는 정보의 각각의 수평라인 스캔을 따른 개시지점을 명시하는 것이라 점이 제9도로부터 자명해 질 것이다. 단일 번호(예컨대, 총계 960개의 칼럼으로부터 칼럼(200))를 명시하는 것은 이러한 목적에 충분하다. 그러나, 동일한 칼럼이 항상 사용되는지가 문제이다. 어떤 경우에 4:3 종횡비가 바람직한 경우 이러한 것이 와이드 스크린 이미지의 중간으로부터 항상 취해져야 한다고 플레이어가 전달받을 수 있다. 다른 경우에, 가변 칼럼 개시지점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 블록은 또 다른 변화가 초래될 때까지 그러한 지점으로부터 사용되어야 하는 개시 칼럼번호를 표시하는 정보를 실제로 포함한다.
하기에서 자명해 지겠지만, 각각의 데이터 블록 내의 비디오 정보는 팬 스캔 칼럼 정보가 갱신되어야 할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플래그를 포함한다. 그러한 플래그가 존재하는 경우, 비디오 데코더(67)는 도체(95)를 통해 팬 스캔 버퍼(57)에 커맨드를 공급한다. 이 시점에서, 상기 버퍼는 디멀티플렉서(63)로부터 팬 스캔 갱신을 받아들인다. 그러한 갱신은 연속 프레임과 함께 팬 스캔 프로세서/수직 스케일러(87)에 의한 사용을 위해, 또 다른 변화가 생길 때까지 상기 버퍼에 남아있다.
팬 스캔 프로세서/수직 스케일러(87)에서 수평라인의 갯수는 조정되고 종횡비는 변화된다. 디지탈 비디오는 비디오 데코더(67)에 의해 공급되고 팬 스캔 정보는, 필요한 경우에, 버퍼(57)에 의해 제공된다. 회로(87)의 출력은 바람직한 종횡비에서, 비압축된 디지탈 비디오로 이루어지며 선택된 텔레비젼 표준용으로 필요한 수평라인의 갯수에 의해 표시된다.
일단 비디오 프레임 정보가 프레임 저장장치(89)에 디지탈방식으로 저장되는 경우, 이는 선택된 표준이 비월된 필드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 비월된 필드로 분리된다. 또한, 3:2 풀다운은 초당 24프레임의 영화를 초당 60필드(24와 60의 공칭값은 실제로 23.97 및 59.94임)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NTSC 포맷으로 영화를 상영하는 데이터를 변환시키기 위하여, 프레임 정보(데이타 블록)는 초당 24의 속도로 판독되어야 한다(본 기술에서의 표준인 경우, 그러한 변환은 소스자료의 프레임(1)을 비디오 신호의 필드(1,2,3)로, 소스자료의 프레임(2)을 비디오 신호의 필드(4,5)로, 소스자료의 프레임(30)을 필드(6,7,8)로 그리고 이하 등등으로 사용함에 따라, 24개의 본래 프레임에 대하여 60필드를 초래시킨다). 그 반면에, PAL 표준에 대한 변환은 비교적 간단하며, 3:2 풀다운은 필요하지 않다. PAL표준은 초당 50필드를 필요로 한다. 프레임은 초당 25의 속도로 처리되며, 매 프레임마다 2개의 필드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다(영화 필름이 초당 24프레임의 속도로 촬영되지만 PAL로 변환되는 경우 초당 25의 속도로 처리되기 때문에, TV 스크린 상에 생기는 모든 것은 미국에서 보다 영국에서 4% 빠르게 발생한다). 프레임이 초당 25의 속도로 처리되든 초당 24의 속도로 처리되든 버스(85)상의 마스터 클록 신호의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된다.
블록(89)의 출력은 디지탈이며 동기 생성기 및 D/A 변환기(92)로 연장된다. 이러한 요소에서 적합한 동기 펄스가 필드로 삽입되며 디지탈 정보가 아날로그로 변환된다. 필요한 어느 서브타이틀은 버퍼(59)내에 포함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41)의 제어하에서, 커맨드는 제어리드(97)를 통해 그래픽 생성기(73)로 공급된다. 이러한 종래의 회로는 서브타이틀 버퍼로부터 코딩된 캐릭터 정보를 검색하고, 서브타이틀을 묘사하는 비디오 신호를 도체(99)상에 발생시킨다. 키 신호는 도체(98)상에 발생되며, 2개의 신호는 종래의 키 회로(96)에 연장된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비디오 이미지와 서브타이틀을 병합시키고, (본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조업자의 옵션에서 선명하거나 선형적인 키임을 사용하여), 복합 비디오 신호를 종래의 TV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4)에 연장시킨다.
[인입 트랙 필드]
상세한 처리의 설명을 계속하기 전에, 디스크 트랙의 인입부분에 저장되는 정보를 고려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정보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필드내에 저장되고,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차후처리를 제어하는 것이 이러한 정보이다. 데이터 블록의 포맷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지만, 어떠한 방식으로 이러한 블록내의 데이터가 사용되는지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선 판독되는 셋업(set-up)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3도를 참조하면, 트랙의 개시부분에는 다수의 인입 동기 비트가 있다. 다른 모든 엔트리(entry)를 위해 최소 및 최대 비트 갯수가 적합한 칼럼내에 묘사되어 있지만, 그러한 갯수에는 인입 동기 비트가 전혀 제공되어 있지 않다. 트랙의 개시에서 필요한 동기 비트의 갯수는 사용되는 하드웨어에 의존한다. 관련된 디스크 속도의 범위 및 특정의 하드웨어가 제공되는 경우, 충분히 많은 동기 비트는 디스크의 판독과 관련되어 있으며 디스크 드라이브 제어기(27) 및 블록번호/포인터 분석기(47)를 포함하는 회로가 자체적으로 데이터 출력 도체(25)상의 비트 스트림과 동기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트랙의 개시부분에 제공된다. 비트 동기는 디지탈 시스템에서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다.
제2필드는 위임받은 지역을 나타내는 40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그들의 소프트웨어의 상영을 록 아웃할 수 있는 여러 방식이 존재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R-전용 영화가 상영될 수 있는지의 여부(페어렌탈 록 아웃 옵션), 및 최종 아날로그 출력 비디오 신호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표준을 취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들면, 소프트웨어 개봉자는 PAL 수신기상에서가 아니라 NTSC 수신기상에서 영화가 상영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어에 이러한 종류의 록 아웃 제어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동안, 상기 플레이어는 지역들에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크와 함께 사용되는 모든 플레이어는 동일한 세트의 사양과 일치한다. 상기 설계의 한 특징은 각각의 플레이어가 판매를 목적으로 의도되었던 지역 또는 지역들의 표시가 각각의 플레이어에 제공되는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 지역 또는 지역들은 DIP 스위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ROM(예컨디, 마스터 제어기(41)에 내장되는)에 저장되는 코드 또는 기타 등 등의 설정값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총체적으로 40개의 가능한 지역이 존재한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각각의 디스크는 인입 섹션내에 40-비트 필드를 지니고 있으며, 각각의 비트는 40개의 지역중 하나와 연관되어 있다. 어느 한 비트 위치를 이루는 1은 각 지역에서의 상영을 위해 디스크가 위임 받은 표시이며, 0은 디스크가 위임받지 못한 표시이다. 예를들면, 중국에서 판매할 목적으로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지니는 플레이어는 중국과 연관된 위치에서 40-비트 지역 필드에 0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크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그러한 특징의 사용의 한 예로서, 특정 나라에서의 판매를 목적으로 의도된 플레이어를 고려해 보기로 한다. 소프트웨어 개봉자는 계약상의 이유로해서 그 나라에 개봉될 수 없는 영화를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해서 0은 트랙의 인입 섹션의 위임받은 지역 필드에서 그 나라와 연관된 비트 위치에 저장된다. 이러한 비트를 감지하는 경우, 마스터 제어기(41)에 기인하여 회로(47)는 도체(75)상에 금지 신호를 발생시키는데, 이로 인해 영구적으로 게이크(61)는 모든 데이터가 상기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을 차단한다.
제3필드는 단일 비트, 플래그이며, 이는 다음과 같은 필드내에 어떠한 정보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정보는 본원에서 "특수 소프트웨어"로 언급되어 있다. 제2도의 플레이어는 전형적으로는 판독전용 메모리 내에 포함되어 있는 동일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대개는 실행한다. 이러한 코드는 도면의 플로우 챠트와 연관지어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플레이어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기 때문에, 상기 플레이어가 어떤 한층더 총체적으로 관련없는 목적에 사용될 수 없다라는 어떠한 이유도 없으며, 이는 디스크로부터 소프트웨어를 로딩(loading) 시킴으로써 간단히 가능해 질 수 있다. 특수 소프트웨어 플래그가 1인 경우, 마스터 제어기(41)는 도체(77)상에서 필드(4)에서 바로 따라오는 소프트웨어를 판독한다. 따라서, 특수 소프트웨어 플래그가 0인지 또는 1인지에 따라, 제4필드는 공백 상태이거나 미확정된 길이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소프트웨어의 종료부분에는 동기 워드가 총체적인 데이터 스트림에서 어느 부분에라도 생기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유일한 동기 워드가 존재한다. 동기 워드 패턴이 나타나는 경우, 이는 선행 데이터 필드가 종료되어 새로운 필드가 따라온다는 표시이다(동기 워드 패턴을 지니는 데이터가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 스트림에 나타나서 동기 워드로서 잘못 해석되는 경우, 이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방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동기 워드가 32비트의 미리 결정된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떤 총체적인 데이터 순서가 상기 동기 워드내에 이러한 패턴을 포함하는 경우, 31비트의 데이터 패턴이 레코딩된 후에, 동기 워드 패턴의 최종 비트의 값과 반대인 값을 지니는 여분의 비트는 상기 비트 스트림내에 삽입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이러한 비트를 찾아내는 경우,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비트를 폐기하고 동기 워드의 최종 비트 대신 데이터 비트로서 이하의 비트를 처리한다).
특수 소프트웨어의 한 예는 비디오 게임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일 수 있다. 플레이어에 영화 및 다중 트랙 오디오의 상영을 위해 설계된 운영체제가 제공되어 있지만, 플레이어는 비디오게임의 상영에 관련된 추가 및/또는 다른 기능을 이행하는 것이 확실히 편리하다. 이는 특히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분리가능하고 조이스틱(joystick)등이 키보드대신에 게임놀이 주변장치를 수용하도록 접속될 수 있는 경우에 사실이다. 상기 시스템은 단순히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디스크로부터 판독되는 것처럼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함으로써 비디오게임 플레이어로 변환될 수 있다. 하기에 기술될 플로우 챠트에서 특수 소프트웨어가 일체 완비되고 표준 처리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특수 소프트웨어는 내장코드를 이용하도록 실행용 운영체제 서브루틴을 확실히 호출할 수 있다.
제5필드는 상이한 표준에 각각 해당하는 12비트 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표준은 1250라인 유럽식 HDTV, 1125라인 일본식 HDTV, 1050라인용 미국식 HDTV(아울러 1080라인 및 787라인용 표준), 625라인 PAL, 525라인 NTSC, 625라인 SECAM, 360라인 "문자 박스" 등을 포함한다. 비록 그러한 경우에 적합한 비디오 신호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이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할지라도, 미래 표준을 수용하는 것이 실로 가능하다. 그러나, 그러한 것은 내장 운영체제를 보충하도록 디스크상에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을 수반한다.
단일 예로서, 12비트 필드의 제1비트 위치가 NTSC 표준에 해당하는 경우, 그리고 사용자가 그의 TV 수신기상의 상영을 위해 NTSC 표준을 선택하는 경우, 또는 그러한 것이 디폴트 설정인 경우(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NTSC 신호는 단지 위임받은 표준 필드가 1인 경우에만 발생된다.
필드(6)는 항상 100비트를 포함한다. 이들 비트는 영화용 각각의 오디오 언어…다이얼로그를 나타낸다. 동일한 영화의 동수의 외국언어 버젼에 준비되는 것은 드물며, 동수의 버젼이 한 디스크상에 실제로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되진 않는다. 실제로, 상이한 언어로 다이얼로그를 포함할 수 있는 최대 16 오디오 트랙이 존재한다. 100비트 각각은, 제1비트를 제외하고는, 99언어중 하나를 나타낸다. 해당 비트 위치에 1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해당언어를 이루는 다이얼로그를 갖는 오디오 트랙이 존재한다는 표시이다.
100비트 위치중 제1비트 위치는 실제로 한 언어와 일치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제1비트 위치에서의 1은 음향효과("M&E") 트랙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효과"는 천둥, 권총등과 관련된 소리와 같은 것을 의미한다). 제3도상에 주석 필드에 표시된 바와 같이, 총체적인 트랙의 인입 섹션의 필드(6)에서의 N"1"이 존재하는데, 이 경우 N은 16의 최대값을 지닌다(하나의 M&E 트랙 및 15 이하의 다이얼로그 트랙, 또는 M&E 없이는 16 다이얼로그 트랙). 단일예로서, 제3비트 위치가 프랑스어와 일치하고, 제5비트 위치가 그리스어와 일치하며, 100비트 필드가 10101000…0이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는 프랑스 및 그리스어 다이얼로그 트랙 뿐만 아니라 M&E 트랙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디스크상의 모든 단일 데이터 블록이 M&E 및 프랑스 및 그리스어 다이얼로 그를 나타내는 비트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그러한 것이 의미하는 것은 어떠한 데이터 블록이라도 기껏해야 M&E 및/또는 다이얼로그를 갖는 3개의 오디오 트랙을 지닌다는 것이다. 이는 또한 그러한 오디오 트랙을 지니는 어떠한 데이터 블록이라도 M&E, 프랑스어, 그리스어를 이루는 정보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특수 데이터 블록이 100비트 필드에서 표시되는 그러한 언어에 대한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시스템이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하는지는 한 데이터 블록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필드와 연관지어 하기에 기술된 것이다.
언어 오디오 트랙이 반드시 다만 다이얼로그만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간단히 기술되겠지만, M&E 트랙을 프랑스어 다이얼로그 트랙과 믹싱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프랑스어로 상영하기에 적합한 완전한 오디오 트랙이 된다. 그러나, 특정의 오디오 트랙이 미리 믹싱된 M&E 및 본래의 다이얼로그를 포함하는 것이 확실히 가능하다. 예를들면, 100비트 필드의 비트위치(10)가 영어 다이얼로그를 나타내며 상기 비트 위치에 저장된 1이 존재하는 경우, 이는 디스크상에 오디오의 영어 버젼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해당 오디오 트랙에는 영어 다이얼로그 뿐만 아니라 M&E를 포함하는 완전 음향 트랙이 존재한다는 것이 가능하다. 그와 동시에, 100비트 필드의 제1비트 위치에 1이 존재하는 경우, 개별 트랙에 M&E가 존재할 수 있다. 어느 주어진 언어로 상영하기 위한 완전 음향 트랙을 도출시키기 위해 어떠한 방식으로 여러 트랙이 처리되는지는 차후 정보에 의존한다. 필드(6)는 단순히 오디오 언어가 가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와 아울러 분리된 M&E 트랙(어떠한 다이얼로그도 없이)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오디오 스킴이 기능하는데 필요한 정보의 또다른 부분이 존재하며, 그러한 정보는 필드(7)에 나타나 있다. N개의 가용 오디오 언어트랙(최대 16이하) 각각에 대해, 제7필드에 3비트 코드가 존재한다. 그러한 코드의 의미를 기술하기전에, 어떠한 방식으로 상기 코드가 특정의 트랙 및 언어와 관련되어 있는지를 이해하여야 한다. M&E 트랙, 프랑스어 트랙, 그리스어 트랙 및 영어 트랙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해석되는 101010000100…0이 필드(6)이라고 가정해 보기도 한다. 이러한 정보만으로부터, 프랑스어, 그리스어 및 영어 트랙에 단지 어떠한 M&E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말할 방안이 전혀없다. 언어와 같이 알려져 있는 모든 것은 다이얼로그가 단지 3가지 언어로 가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예를들면, 필드(7)에 12비트가 존재한다. 제1의 3비트는 M&E 트랙과 연관되어 있으며, 제2의 3비트는 프랑스어 트랙과 관련되어 있고, 제3 및 제4의 3비트 코드는 각각 그리스어 및 영어와 관련되어 있다. 3비트 코드는
000‥‥믹싱 마스터(M&E)
001‥‥교환 마스터(M&E)
010‥‥다이얼로그+(M&E), 완전 오디오 트랙
011‥‥믹싱 마스터와 믹싱될 트랙
100‥‥교한 마스터와 교환될 트랙
이다. 이들 5개의 코드는 3가지 가용언어, 프랑스어, 그리스어 및 영어로 완전 음향 트랙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이다. 어떠한 방식으로 트랙이 조합되는 지는 하기에 기술되겠지만, 마음속에 새겨두어야 하는 것은 전체 배치의 목적이 각각에 대해 2시간 오디오 레코딩일 수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않고, 여러 가지 언어(15이하)로 음향 트랙을 제공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실제로, 영화가 2시간 짜리이지만, 실제 다이얼로그가 30분 뿐인 경우, 그 목적은 특정의 언어에 대해 다이얼로그를 30분 오디오 레코딩하면서, 하나의 완전한 트랙(M&E 또는 본래의 음향 트랙)을 레코딩하는 것이다.
필드(8)는 N×4비트, 즉 필드(6)에서의 N"1" 각각에 대한 4비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디스크 상에서 가용될 수 있는 각각의 오디오 언어 트랙에 대해 필드(8)내에 4비트 코드가 존재한다. 전형적인 트랙 형태는 단일 채널 모노, 2-채널 돌비, 5.1 채널 뮤지캄등이다(5.1채널은 부속 저음역용 채널과 함께 좌, 우, 좌측후방 및 우측후방 채널을 언급한다). 4비트 트랙 형태는 오디오 프로세서 데코더(71)가 스피커 시스템(91)용 아날로그 출력을 유도하도록 16이하의 오디오 트랙 내의 데이터에 관해 작용하는 방식을 마스터 제어기가 결정하는 것을 허용한다.
다시 필드(7)를 고려하면, 완전 음향 트랙이 선택된 언어로 디스크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여러 방식이 존재한다. 믹싱 작용은 2개의 음향 트랙을 믹싱(서로가산)하는 것을 포함한다. 교환작용은 2개의 음향 트랙사이의 교환 및 어느 주어진 시간에 그들중 하나만을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제1트랙은 가용될 수 있는 경우 항상 M&E이다. 이러한 트랙에 대한 코드는 항상 000 또는 001이다. 상기 코드가 000인 경우, 이는 트랙 내에 어떠한 다이얼로그도 존재하지 않으며 그의 M&E가 선택된 언어트랙과 믹싱되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들면, 코드(011)가 프랑스어 트랙가 관련되어 있는 경우, 이는 제1 및 제3트랙이 항상 믹싱되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이얼로그는, 다이얼로그가 존재할 때, 프랑스어 트랙에서 나타나며, 이를 믹싱 마스터와 믹싱하는 것은 완전 프랑스어 음향트랙을 제공한다. 그 반면에, 상기 제1트랙은 교환 마스터일 수 있다. 이러한 것이 의미하는 것은 음향효과가 다이얼로그를 지니든, 지니지 않든간에 이러한 트랙에 레코딩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의 프랑스어 트랙은 100코드에 의해 표시된다. 이는 다이얼로그가 존재하는 경우만을 제외하고는, M&E 및 다이얼로그를 포함한다. 제1의 M&E 트랙은 다이얼로그가 전혀 없을 경우에만 작동되지만, 제5트랙은 다이얼로그가 존재할 경우에만 작동된다. 상기 트랙은 믹싱되는 것이 아니라, 교환된다. 프랑스어 트랙은, 다이얼로그가 프랑스어 트랙 내에 레코딩되는 경우, 다이얼로그 뿐만 아니라 M&E도 역시 포함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것이 교환형태 작용에서 M&E의 유일한 소스이기 때문이다.
제5가능성(010)은 특수 트랙이 본래의 언어를 이루는 다이얼로그와 함께 본래의 음향트랙(M&E)을 포함할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다이얼로그가 선택된 언어로 되어 있는 경우, 트랙은 그 자체적으로 종료개시로부터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트랙은 또한 다른 언어에 대한 교환 마스터(코드(001))로서 사용될 수 있다.
믹싱트랙으로 될 경우, 어떤 오디오가 2개의 특정화된 트랙(믹싱 마스터 및 이와 믹싱되는 트랙)에 존재하든간에 단순히 항상 서로 가산되지만, 2개의 트랙에 존재하는 오디오가 무엇이든지간에 상영된다. 이는 단지 교환 마스터 및 교환 마스터가 교환되고 한 트랙이 다른 트랙 대신에 작동되는 트랙사이로의 교환일 때만이다. 이는 나머지가 오디오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에만(이는 믹싱을 허용함) 오디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사실이지만 교한 마스터가 이를테면 영화의 본래의 음향트랙의 레코딩일 경우 또한 다이얼로그를 포함한다고 상상할 수 있다. 그것은 교환이 사용되는 이유이다‥‥단지 하나의 트랙이 어느 주어진 순간에서 부터 청취된다. 하기에 기술되겠지만,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오디오 트랙이 실제로 그러한 블록 내에 데이터를 포함하는 지를 마스터 제어기에 통보하는 비트를 포함한다. 본래의 100트랙 코드를 갖는 선택된 오디오 언어트랙이 어느 한 데이터 블록 내에 데이터를 지니는 경우에, 오디오 프로세서 데코더(71)는 교환 마스터 트랙에 존재할 수 있는 어떠한 데이터라도 배제시키도록 그러한 오디오 트랙내의 데이터를 처리한다.
제3도상의 필드(9)는 갯수(M)를 나타내도록 코딩되는 6비트를 포함한다. 이는 16이하의 오디오 언어트랙으로부터 분리 및 이격된 "다른" 오디오 트랙의 갯수이다. 이들 트랙에 대한 통상적인 사용은 사용자가 명령어를 조합하는 옵션을 지니면서, 개별 명령어 또는 명령어의 믹스를 압축된 디지탈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다. 최종형태에서, 63개의 개별 명령 트랙이 존재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그가 원하는 어느 트랙이라도 결합시키고, 믹싱전에 그 트랙의 상대적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트랙중 하나가 개시할 결합된 음향을 포함하는 경우, 오케스트라 믹스로부터 정보내용이 삭제 또는 공제되어야함을 명시함으로써 오케스트라 믹스로부터 명령어를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피아노 연주가 고려되지 않은 협주곡을 연주하는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사용자가 그의 피아노를 치는 것을 허용한다. 이는 또한 연습을 용이하게 하도록 특정의 명령어를 선택하는 것을 허용한다. 정확하게는, 사용자가 "다른" 오디오 트랙을 사용하여 행하는 것은 그에게 가용될 수 있는 메뉴선택에 의해 결정된다. 필드(8)는 단순히 얼마나 많은 "다른" 오디오 트랙이 디스크 상에 존재하는지를 식별한다("다른" 오디오 트랙은 다소 비묘사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그러한 경우가 아니다. 그 의도는 용어가 영화용 음향트랙의 제공과는 달리 어느 오디오 트랙 용도를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이들의 "다른" 오디오 트랙에 오케스트라 음악을 지니기보다는 오히려, 사용자가 서로다른 조화를 연구하는 것을 성악가에게 허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로 63개의 "다른 오디오 트랙이 존재하는 경우, 디스크의 대부분은 아니지만 많은 디스크 용량이 오디오 데이터에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정확히 말하면 동수의 오디오 트랙이 가용될 수 있는 이유이다. 제2도 시스템에서 작동될 수 있는 몇몇 디스크는 비디오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확실히 생각된다. 실제로, 하기에 기술될 필드(19)는 디스크상의 모두에 어떠한 비디오 데이터라도 존재하는 지의 여부를 마스터 제어기에 통보하는 1-비트 필드이다.
일단 M개의 "다른" 오디오 트랙이 존재한다고 결정되는 경우, 다음 필드는 어떠한 방식으로 각각의 트랙이 코딩되는지를 명시한다. 필드(8)의 경우에서와 같이, 4-비트 코드는 "다른"오디오 트랙 각각 용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필드(10)에서의 비트의 갯수는 0(어떤 "다른"오디오 트랙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도로 낮을 수 있거나 252(63×4) 정도로 높을 수 있다.
얼마나 많은 "다른" 오디오 트랙이 존재하는지를 필드(9,10)를 판독함으로부터 플레이어가 결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는 이들 트랙으로 무엇을 할지를 알도록 이들 트랙에 무엇이 있는지 전달받아야 한다. 플레이어가 제공되어야 하는 최초의 것은 "다른" 오디오 트랙의 설명이 존재하는 언어의 리스트이다. 100비트 필드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드(11)는 100비트를 지닌다. 어느 한 비트위치에서의 1은 트랙 정의가 각각의 언어로 가용될 수 있는 표시이다. 비트위치 및 언어사이의 대응은 필드(6)에서와 같이 필드(11)에서도 동일하다. 필드(6)에서의 제1비트위치가 통상적인 "언어"가 아니라 M&E에 대응한다고 생각해 낼 것이다. 필드(11)에서의 제1비트 위치는 결과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필드(11)에는 기껏해야 99개의 1이 존재할 수 있다.
트랙 정의가 실제로 판독 및 처리되기 전에, 플레이어는 무슨 메뉴선택이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지를 결정해야한다. 예를들면, 10개의 "다른" 오디오 트랙이 존재하고, 각각이 상이한 오케스트라 명령어의 음향을 지닌다고 생각해 보기로 한다. 일단 선택된 언어에서의 트랙 정의가 운영체제게 가용될 수 있는 경우, 이는 사용자에게 표준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후, 사용자는 함께 작동될 특정의 트랙, 삭제될 특정의 트랙, 그들의 상대적 음향레벨, 및 다른 "표준" 선택을 고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오디오 트랙이 오케스트라 음악을 나타내지 않거나 오케스트라 음악을 나타내지만 통상적이지 않은 메뉴선택을 필요로하는 방식으로 오케스트라 음악을 나타내는 경우에, 무엇이 "다른" 오디오 트랙으로 처리되어야할지를 시스템이 결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하기위한 표준운영체제 소프트웨어는 충분하지 않다. 통상적이지 않은 상태를 수용하기 위하여, 운영체제에는 메뉴를 형성함과 아울러, 사용자 선택이후에 어떠한 방식으로 선택된 트택이 믹싱/삭제되는 지를 제어하는 특수 소프트웨어가 제공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기술은 플레이어의 전반적인 작동(필드(3,4))을 변경하기 위한 로딩 특수 소프트웨어와 연관지어 상기에 기술된 기술과 동일한 것이다. 필드(12)는 단일 비트이다. 상기 필드가 1인 경우, 이는 특수 믹싱/삭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필드(13)가 존재한다는 표시이다. 제3도상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필드(13)는 결과적으로 0비트에서, 디스크로부터 기계내로 로딩될 특수 소프트웨어의 길이에 의존하는 미확정 번호까지 어느 부분에라도 존재한다. 상기 특수 소프트웨어는 다음 필드가 개시하는 때를 플레이어가 알고 있도록 동기 워드로서 종료한다.
다음 필드인 필드(14)는 트랙 정의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다. M개의 "다른" 오디오 트랙이 존재하고, 사용자용으로 한정되는 P개의 언어가 존재하기 때문에, P×M개의 캐릭터 스트링은 필드(14)에 표시된다. 각각의 스트링은 도피 캐릭터에 의해 다음 스트링으로부터 분리된다. 우선, 1을 포함하는 필드(11)에서의 제1위치에 해당하는 제1언어에 M개의 캐릭터 스트링(트랙정의)가 존재하고, 그후, 1을 포함하는 필드(11)에서의 제2위치에 해당하는 제2언어에 M개의 캐릭터 스트링이 존재하며, 이하 등등이다.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가용될 수 있는 언어중 어느 것으로 트랙 정의를 포함하는 메뉴가 디스플레이되어야할지를 플레이어에 통보한다. 디스크 드라이브로부터의 총체적인 데이터출력 비트 스트림이 제2도 시스템에서의 마스터 제어기에 연장되지만, 선택된 언어에 해당하는 캐릭터 스트링만이 처리된다. 그들은 디스크상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필드(12)로부터 방금 판독되어진 특수 믹싱/삭제 소프트웨어, 또는 표준 소프트웨어에 따라 처리 및 디스플레이 된다.(이는 여러 버퍼에, 그들용으로 의도되어 있는 각각의 데이터 비트만을 분배하는 디멀티플렉서(63)의 기능이다. 제어기(41)는, 인입 트랙 섹션 및 개별 데이터 블록내의 정보를 해석한 후에 무엇을 행해야 할 지를 디멀티플렉서에 전달한다)
제2도와 연관지어 기술된 바와 같이, 서브타이틀의 삽입이 제공된다. 언어는 기술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지만, 플레이어는 서브타이틀이 가용될 수 있는 언어로 전달받아야 한다. 다른 한 100비트 필드는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제3도의 라인 1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필드에서의 1은 서브타이틀용으로 가용될 수 있는 개별 언어를 나타낸다. 가용 디스플레이 언어에 있는 경우이지만, 제1비트 위치가 "언어"라고 엄격히 말하지 못하는 M&E에 해당하기 때문에 최대 99개가 존재한다.
필드(16)는 4비트 다중버젼 코드이다. 플레이어는 디스크상에 동일한 비디오 상영의 2가지 버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뿐만 아니라 그들에 대하여 어떤 선택이 있는지 통보 받는다. 디스크상에 단지 한가지 버젼이 존재하는 경우 제1비트는 0인데, 이러한 경우에, 제2 및 제4비트가 무시된다. 비트1은 디스크상에 2가지 버젼이 존재하는 경우에 1값을 지닌다. 코드 내의 제2비트는 패어렌탈 록 옵션이 구현될 것인지의 여부, 또는 어떠한 버젼이 상영되는지를 선택함에 있어 상이한 기준이 사용될 것인지의 여부를 플레이어에 전달한다. 통상적인 상태는 패어렌탈 록 옵션이 구현되는 경우인데, 이 경우에 4비트 코드의 제2부분에서의 비트는 0이다. 이는 패어렌탈 록 옵션이 "작동"중인지를 결정해야 한다고 플레이어에 통보한다. 패어렌탈 록 옵션이 "작동"중인 경우, R-전용(또는 보다 넓게는 성인 전용)버젼은 상영되어선 안된다. 상기 코드의 부분(3)에서의 비트는 버젼(A)(제1 또는 유일한 버젼)이 R-전용되는지 그러하지 않은지(0=부정, 1=긍정)의 표시이고, 코드에서의 제4비트는 2가지 버젼이 존재하는 경우 버젼(B)에 대해 동일 정보를 제공하지만, 단지 한가지 버젼이 존재하는 경우, 제4비트는 무시된다. 이는 플레이어가 2가지 버젼중 어느 하나나 모두가 상영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이다. 디스크상에 동일한 영화의 2가지 버젼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는 그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청 받는다. 그러나, 패어렌탈 록 옵션이 "작동"중에 있으며 2가지 버젼중 하나가 R전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하기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성인용이 아닌 버젼을 상영하거나 그 어느것도 상영하지 않을 선택만으로 제공된다. 양자 모두의 버젼이 R-전용되고 패어렌탈 록 옵션이 "작동"중에 있는 경우, 사용자는 어떠한 버젼도 주시할 수 없다.
그 반면에, 디스크상에 동일한 자료의 2가지 버젼이 존재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들중 하나가 성인 전용되고 나머지는 성인 전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문제가 아니다. 예를들면, 한 버젼은 문답을 포함하는 교육용 필름일 수 있으며, 그 나머지는 다만 질문을 포함하는 동일 주제에 관한 테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2가지 버젼은 동일한 것이다. 그러한 경우에, 필드(16)에서의 제1비트는 2가지 버젼이 가용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여전히 1이지만, 제2비트는 2가지 버젼이 R-전용되든 R-전용되지 않든 2가지 버젼사이의 선택이 그에 의존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현재 0 대신에 1이다. 제2비트 위치에서의 1은 제3 및 제4비트가 전용과는 다른 특징에 대해 2가지 버젼을 각각 특징으로 하는 표시이다.
이러한 경우에 제3 및 제4비트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및 어떤 메뉴선택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지는 상이한 기준에 의존함으로써 결정되어야 한다. 앞서 2번 사용되었던 동일한 기술은 현재 다시한번 사용된다‥‥특수 소프트웨어는 버젼 코드와 함께 제공된다. 필드(17)는 특수 버젼 소프트웨어가 가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도록 하나의 플래그로서 제공되는 단일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비트가 1인 경우, 필드(18)는 소프트웨어를 엑세스하도록 판독된다. 2개의 이전 소프트웨어 필드에 있는 경우이지만, 필드(18)는 다음 필드의 개시를 나타내도록 동기 워드로써 마무리된다. 특수 소프트웨어는 특정의 디스크에 대해 유일한 메뉴표시를 제어한다.
다음 필드는 단일 필드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비디오 데이터가 가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플레이어에 통보한다. 상기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는 단순히 제4도와 관련하여 기술될 총체적인 데이터 블록내에 어떠한 비디오 데이터 블록 필드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드(20)는 단일 비트이며, 이느 베이스 또는 마스터 종횡비를 식별한다. 비트자 0값을 지니는 경이러가지 이는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상의 어떠한 비디오라도 16:9 "와이드 스크린"종횡비를 지닌다는 표시이다. 그 반면에, 비트가 1인 경우, 이는 디스크상의 비디오의 종횡비가 4 : 3이라는 표시이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논래의 비디오가 "와이드 스크린"종횡비를 지니는 경우, 4 : 3으로 축소된 종횡비가 유도될 수 있는 2가지 방식이 존재한다. 한가지 방식은 "와이드 스크린" 원형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비디오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이다. 다른 한가지 방식은 실제로 사용되는 본래의 이미지의 섹션이 항상 중간부분일 필요가 없다는 의미에서 "팬 스캔"하는 것이다. 실제로, 제9도는 본래 이미지의 우측상보다 좌측상에 보다 많은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필드(21)는 팬 스캔 가용성을 나타내는 단일 비트이다. 필드(20)가 1인 경우, 베이스 종횡비는 4 : 3이므로 팬 스캔 가용성이 무의미하다‥‥필드(21)에서의 단일 비트는 단순히 무시된다. 그러나, 베이스 종횡비가 16 : 9(필드(20)가 0을 지님)인 경우, 필드(21)에서의 비트의 값은 차후의 데이터 블록이 제2도상의 팬 스캔 버퍼(57)로 로딩될 수 있는 개시 칼럼 정보를 제공할 지의 여부를 플레이어에 전달한다. 필드(21)에서의 비트가 0인 경우, 데이터 블록은 칼럼번호 정보를 포함하지 않으며, 비디오가 "와이드 스크린"원형으로부터 4 : 3 종횡비로 상영되는 경우, 비디오 이미지는 각각의 본래 프레임의 중간부분으로부터 형성된다. 그 반면에, 팬 스캔 정보가 데이터 블록내에 가용될 수 있는 경우, 제2도상의 버퍼(57)는 필요에 따라 갱신되며 형성되는 최종 비디오는 추가 정도의 변형을 지닌다.
필드(22)는 디스크상에 데이터 블록의 총체적인 갯수를 나타내는 20비트 갯수이다. 그러나, 2가지 서로 다른 버젼이 존재하고, 공통적인 여러 데이터 블록을 지니는 경우, 2가지 버젼에서의 나머지 블록 갯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들면, 한 장면은 상기 버젼중 하나로부터 완전히 생략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이는 보다 작은 총 갯수의 데이터 블록을 지닌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필드(16)는 디스크상에 영화 또는 다른 소스자료의 2가지 버젼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필드(23)는 버젼(A)에서 총 갯수의 데이터 블록을 제공하며, 필드(24)는 버젼(B)에서 총 갯수의 데이터 블록을 제공한다. 양자 모두의 필드는 디스크상에 단지 한가지 버젼만이 존재할 경우에 생략된다.
각각의 데이터 블록은 가변의 다수 프레임에 대한 비디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단지 시스템이 본래 프레임 속도라고 통보받고 대개 디스크용의 각 블록에서 표시되는 평균 프레임의 갯수라고 통보받는 경우에만 데이터 블록의 갯수(단지 단일 버젼이 존재할 경우에는 총체적인 갯수이거나 2가지 버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2개의 상이한 갯수임)로부터 총체적인 상영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동일한 데이터 블록의 갯수를 지니는 2개의 디스크는 그들중 하나에 대한 원래 소스가 초당 24의 속도로 프레임을 지니는 영화이고 나머지가 초당 30 프레임의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유도되는 본래의 소스자료를 지닌 경우, 상이한 실행시간을 지니게 된다. 필드(25)는 본래 프레임속도(24,30등)를 식별하는 4-비트 값, 비디오 신호의 적합한 발생용으로 필요한 갯수이다. 각 데이터 블록에 의해 표시되는 시간은, 각 데이터 블록이 단지 하나의 프레임만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 속도로부터 결정될 수 있지만, 각각의 데이터 블록에 하나보다 많거나 작은 데이터 프레임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전혀 프레임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필드(19)에서의 비디오 가용성 플래그는 0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필드(26)가 제공된다. 이러한 필드는 블록시간인자, 즉 각 블록에 의해 표시되는 평균시간 지속기간을 나타내는 10-비트 갯수를 포함한다. 총체적인 갯수의 블록(특정버젼에서는 총 갯수임)에 의한 블록시간 인자의 곱은 실행시간을 초래시킨다(실제로, 블로시간인자는 디스크상에서의 양자 모두의 버젼에 대해 대략 동일한 것이다. 원한다면, 개별 블록시간 인자가 제공될 수 있다).
대개 광학 디스크를 사용하여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디스크에는 사용자가 작동할 특정의 부분을 선택하거나 단순히 정확하게 디스크상에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각 부분이 작동하기에 얼마나 시간이 걸리는지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내용의 테이블이 제공될 수 있다. 필드(27)는, 포함되는 경우, 내용의 테이블이다. 소스자료의 단지 한가지 버젼이 디스크상에 있는 경우, 단지 하나의 내용 테이블만이 존재한다. 그러하지 않을 경우, 제2버젼에 대한 내용의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는 추가 필드(28)가 존재한다. 제3도는 필드(27) 내의 부속 필드를 보여준다.
더나은 용어가 없기 때문에, 비디오 포시는 "장(chapter)"으로 불리우는 것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장에 대하여, 내용의 테이블은 8-비트 장 번호를 포함함으로써, 최대 255개의 개별장을 허용한다. 각장 번호 다음에는, 20-비트 개시 블록 연속 블록 번호가 존재한다. 이는 디스크상의 데이터 블록 모두가 연속적으로 번호가 매겨져 있다는 것이 생각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데이터 블록이 버젼(A,B) 모두에 대해 공통일 수 있거나 그들중 하나만에 유일한 것일 수 있지만, 데이터 블록의 번호는 디스크 트랙을 따라 연속순서로 되어 있다. 내용의 테이블은 각각의 장에 대한 개시 블록인 데이터 블록의 연속 블록 번호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각장에 대한 상영시간을 결정하기 위하여, 시스템은 얼마나 많은 블록이 각장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다음 정보피스는 20-비트 블록 지속기간이다. 이러한 갯수를 블록 시간인자로 곱하는 것은 각장의 상영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변형적으로, 각장에 대한 실제 실행 시간은 블록 지속기간 대신에 제공될 수 있다(그러한 정보는 상이한 버젼 및 표준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각장의 타이틀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언어 스트링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시한번, 시스템은 사용자가 한가지 언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장 타이틀을 디스플레이하는데 가용될 수 있는 언어로 통지받아야 한다. 가용언어를 식별하기 위해 100-비트 블록을 제공하는 통상적인 기술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개별 장을 식별하기 위한 실제 언어 스트링이 제공된다. 각각의 스트링은 이를 다음 스트링과 분리시키도록 도피캐리터로써 종료한다. 이는 필드(14)와 연관지어 상기에 기술된 "다른" 오디오 트랙 정의와 연관지어 사용되는 동일한 기술이다.
필드(29)는 최소 100비트 및 최대 1200비트를 지닌다. 12개 이하의 위임받은 표준이 존재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최종 비디오 출력이 12개 이하의 상이한 포맷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 생각나게 된다. 통상적인 한 세트의 사양을 지지하도록 동의한 모든 소프트웨어 개봉자 및 플레이어의 모든 제조업자에 의해 동의받은 품질 표준과의 일치를 보장하기 위해, 위임받지 않은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본 발명의 플레이어 상에서 작동하는 디스크를 개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단지 부분적인 한 세트의 12개의 표준만에 따라 작동하는 디스크의 제조에 대해 특정의 개봉자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들면, 동의받은 사양에 따라 제조되는 각각의 디스크에 대해 로얄티가 지불되고, 디스크가 작동될 수 있는 표준의 갯수에 따라 로얄티가 변하는 경우, 지불하기로 동의했던 단지 부분적인 한 세트의 표준만에 대하여 어떤 소프트웨어 제조업자를 제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각각의 표준에 대해 암호화된 위임코드가 존재하며, 코드는 필드(29)내에 모두 저장된다. 디스크는 단지 적절히 암호화된 위임코드가 디스크상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특정의 표준에 따라 작동한다. 필드(29)는 필드(5)에서 위임받은 표준 각각에 대하여 100비트를 포함한다. 최대 비트 갯수는 모두 12개의 표준이 위임받은 경우 1200이다.
암호 스킴은 공중키 암호화의 원리에 입각한다. 공중 키 암호화는 현재 잘 알려져 있는것에 의한 것이며, 그 주제의 특별히 분명한 설명은 "The Mathematics of Public-key Gyptographg"라는 제목으로 Hellman에 의해 발표된 논문이 실린 August 1979 issue of Scientific American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공중 키 암호체계의 사용은 메시지가 비밀키에 따라 위치(A)에서 암호화되고, 위치(B)로 전송되며, 공중 키에 따라 위치(B)에서 해독되는 것을 허용한다. 상기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비밀키는 송신기에만 알려져 있다. 그러한 스킴은 메시지를 인증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전형적이다. 수신 위치에서의 송신된 암호화된 메시지의 해독의 경우, 메시지가 쌍으로된 전용키로써 암호화된 경우에만 메시지가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전용키가 개별적인 것이기 때문에, 해독된 메시지가 이해될 수 있는 경우, 이는 전용키의 소유자로부터 비롯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공중 키 암호화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트랙상의 실제 데이터는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처리된다. 상기 처리의 세부사항은 중요하지 않다. 디스크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예컨대 100-비트 결과를 제공하는 어떠한 사소롭지 않은 처리라도 충분하다. 상기 100-비트 결과되는 디스크를 거쳐 1내지 12개의 암호화된 형태중 어느 부분에라도 전송되는 "메시지"이다. 상기 표준의 서로 다른 표준과 각각 관련되어 있는 12개의 암호체제 키쌍이 존재한다. 디스크상에 위임받은 제1표준에 대한 전용키는 100-비트 메시지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며 100-비트 암호는 필드(29)내에 저장된다. 이러한 암호는 특정의 표준에 대한 위임코드이다. 동일한 사항이 특정 디스크에 대해 위임받은 다른 표준 모두에 대해 행해지며, 이들 표준 각각과 연관된 전용키는 각각의 경우에 사용된다.
플레이어 운영체제는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본래 계산되어진 동일한 100-비트 결과나 메시지를 계산한다. 그후, 플레이어 소프트웨어는 상기 표준에 대한 각기 암호화된 위임코드를 해독하도록 디스크상에 위임받은 표준 각각과 연관된 공중키를 사용한다. 상기 해독된 메시지는 디스크 데이터를 처리한 후 운영체제에 의해 계산된 메시지와 정합하여야 한다. 정합하지 않는 경우, 이는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특정의 표준에 대한 위임코드를 암호화하기 위한 전용키를 지니지 않았다는 표시이며, 플레이어는 그러한 표준에 따라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이를 다른 방식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디스크상의 위임받은 표준(N)에 대한 전용키는, x가 암호화될 메시지인 경우, 암호화될 메시지(Prin(x))를 야기시킨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마찬가지로, 함수(Pubn(x))는 쌍으로된 공중키를 사용하는 함수(x)의 해독을 나타낸다. 디스크상의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알고리즘이 모든 플레이어 제조업자에 의해 알려져 있으며, 디스크 데이터에 의존하는 내용(값)을 지니는 "메시지"(M)로서 취급되는 100-비트 결과를 야기시킨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표준(N)에 대해, 소프트웨어 개봉자는, 우선 M을 유도한 후에, 100-비트의 암호화된 위임코드(Prin(M))를 디스크상에 저장한다. 상기 플레이어는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행했던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값(M)을 우선적으로 유도한다. 그후, 플레이어는 암호화된 위임코드를 해독하기 위해 표준(N)과 연관된 공중키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운영체제는 Pubn을 유도한다(Prin(M)). 암호화된 메시지의 해독으로부터 본래의 메시지가 초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해독의 결과는 디스크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운영체제가 유도하는 동일한 값(M)이어야 한다. 동일한 값인 경우, 특정의 표준은 위임받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개봉자도 그것을 위임할 권한을 지닌다. 그 반면에, 암호화된 위임코드(M)의 해독이 플레이어에 의해 유도된 알고리즘 결과(M)와 정합하지 않는 경우(소프트웨어 개봉자가 Prin(M)을 유도해야 하는 전용키를 지니지 않았기 때문에), 그러한 특정의 표준은 록 아웃된다.
그러한 스킴이 상기 요약한 대로 작용하지만, 극복되어야하는 한 가지 실제적인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들면, 본래의 "메시지"(M)을 유도하는데 사용되는 알고리즘이 미리 결정된 연속 블록 번호로 디스크상의 20개의 데이터 블록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고 생각해 보기로 한다(처리는 서로 다른 100비트의 연속 그룹 각각에 의해 곱해지고, 다음 곱셈을 위해 각 곱셈의 결과로서 단지 100개의 최하위 비트를 사용하는 만큼 간단한 어떤 처리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디스크상의 표준(N)을 위임하도록 권한을 받지 못한 개봉자는 그렇게 하기를 바랄 수 있다. 그 개봉자는 자신의 소프트웨어에 적용될 수 있는 유도된 값(M)을 암호화해야 하는 전용키를 알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개봉자는 자신이 플레이어에서 값(M)으로 해독될 무슨 100-비트의 암호화된 코드를 디스크상에 취해야할 지를 알지 못한다. 그러나, 그가 행할 수 있는 것은 어떤 다른 적법한 디스크로부터 20개의 미리 결정된 데이터 블록를 복사하고, 그를 그자신의 디스크상에 넣으며, 또한 필드(29)내에 암호화된 위임코드를 복사하는 것이다. 그러한 20개의 데이터 블록은 플레이어에서 처리되는 경우, 값(M)을 초래시키며 이는 플레이에서 해독된 후에 "훔친" 암호화된 위임코드와 정합한다. 물론, 소프트웨어 개봉자는 저작권 침해를 범할 수 있지만, 그것는 단순히 중죄의 도를 더하게 한다.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직면하는 실체 문제는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상영"되며 그에 영화에 관한한 문맥으로 부터 벗어나 있는 데이터 블록을 지닌다는 것이다. 그러나, 영화의 다중 버젼이 우선 동일 디스크상에 저장될 수 있는 방식은 하기에 기술되겠지만, 플레이어가 어떤 데이터 블록의 상영을 스킵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는 것이 때문에, 소프트웨어 개봉자는 복사된 데이터 블록이 상영되지 않도록 그의 다른 데이터 블록을 엔코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암호 보호는 비효율적이게될 수 있다.
그 해결책은 우선 "메시지"(M)를 유도하는 알고리즘이 또한 미리 결정된 데이터 블록상에서 작동할 수 있지만, 상기 트랙의 최소한 인입 섹션 상에서 작동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위임받지 못한 개봉자가 다른 한 디스크로부터 인입 트랙 필드를 복사할 수 있는 어떠한 방식도 없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것이 위임받지 못한 개봉자의 디스크상에 비디오 및 오디오 내용에 관한 플레이어의 부적합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상기 인입 데이터는 디스크의 특정 주제의 함수이며, 이는 디스크가 적절하게 작동하도록 트랙내에 나타나야 한다. 따라서, 제3도상에 나타나 있는 정보는, 하나가 각기 위임받은 표준에 대한 것이며 각각의 전용 키를 사용하여 유도되고 인입필드(29) 내에 저장되는 암호를 갖는 "메시지"(M)로서 취급될 수 있다(엄격히 말하면, "메시지"(M)는 필드(29)를 제외한 모든 필드를 처리한 결과이다. 또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보다 긴 필드는 상기 처리로부터 생략돌 수 있다). 플레이어는 동일한 "메시지"를 유도하고, 각각의 표준과 연관된 공중키로써 암호화된 위임코드를 해독한 다음에, 그2개를 비교한다. 그들이 정합하지 않는 경우, 플레이어는 그러한 특정의 표준이 특정 디스크의 개봉자에 대해 위임받지 않았다는 것을 결정한다.
암호화된 위임코드 필드는 제3도의 끝부분으로 도시되어 있고 따라서 대응처리는 하기에 기술될 제5a도 내지 제5c도의 플로우 챠트의 끝부분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암호화된 위임코드 필드의 위치선정은 그 처리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지만, 실제로 상기 필드는 처리 개시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수 소프트웨어는 정상 플레이어 순서를 수정하도록 디스크로부터 판독될 수 있다는 것이 생각나게 된다. 그러므로, 모조자는 위임코드 처리가 바이패스 되게 하는 특수 소프트웨어를 기록할 수 있다는 것이 상상될 수 있다. 어느 특수 소프트웨어라도 단지 판독되기 전에 상기 처리를 행함으로써, 상기처리는 바이패스될 수 없다.
상기 인입 트랙 필드의 설명으로 되돌아 가면, 필드(30)는 1비트 데이터 블록 커맨드/데이터 플래그이다. 이러한 비트는 데이터 블록이 디스크의 작동시 판독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또는 커맨드 정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운영체제에 통보한다. 특정의 데이터 블록이 커맨드를 포함하는지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시스템이 어떠한 방식으로 결정하는지는 하기에 설명될 것이다. 필드(30)는 어느 그러한 정보가 모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단순히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필드(31,32)는 플레이어가 디스크상의 정보를 처리하는 통상적이지 않은 방식을 디스크가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다목적용 필드이다. 필드(3)는 보통 사용되고 있는 것과는 총체적으로 상이한 프로그램에 따라 플레이어가 작동하게 하는 특수 소프트웨어를 필드(4)가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하며, 필드(12)는 "다른" 오디오 트랙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특수 믹싱/삭제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고, 필드(17)는 4비트 다중 버젼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특수 버젼 소프트웨어를 필드(18)가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포함한다는 것이 생각나게 된다. 필드(31)는 필드(32)에 "보충"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상기 보충 소프트웨어는, 필드(4)에서의 소프트웨어가 기본적으로 대개 사용되는 처리의 대용이라는 점에서 필드(4)의 특수 소프트웨어와는 상이하지만, 상기 보충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블록에서 찾아볼 수 있는 커맨드 및 데이터와 관련하여, 대체로 그러한 코드와 함께 작동한다.
전형적으로, 보충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블록내의 관련 커맨드 및 데이터가 상영의 진로를 결정하면서, 비디오 게임의 상영을 허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의 기타용도가 존재한다. 데이터 블록내의 데이터 및 커맨드, 및 보충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수 있는 방식의 다른 한 예로서, 서브타이틀을 지니지만, 아마도 스크린이 비평이외에 공란으로되는 순간에, 서브타이틀 대신에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비평이 제공되는 고전 영화를 상영하도록 설계된 디스크를 고려해 보기로 한다. 가능한 적응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비평이 서로 다른 언어로 되어 있는 경우를 고려해 보기로 한다. 그러한 경우에 필요한 것은 제2도상의 서브타이틀 버퍼(59)가 어떤 데이터 블록의 상영시 한 언어로된 서브타이틀과 함께 로딩되고 다른 데이터 블록의 상영시 다른 한 언어로된 서브타이틀과 함께 로딩되는 것이다(결과적으로 서브타이틀을 포함하는 어떤 데이터 블록은 본래의 영화에 해당하며, 다른 것들은 다른 한 언어로된 비평을 포함한다). 그러한 경우에, 시스템은 언어 서브타이틀사이를 전후해서 교환하라고 아무튼 전달받아야 한다. 즉, 서로다른 서브타이틀 트랙은 서로 다른 데이터 블록에서 처리되어야 한다. 이는 데이터 블록자체내의 커맨드를 공급함으로써 편리하게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크린를 소거하고 논평의 디스플레이시 화상을 저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데이터 블록은 소거 지속기간을 나타내는 데이터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변형적으로, 논평이 상이한 언어로 이루어져 있는 경우, 이는 그러한 목적으로 선택되는 상이한 오디오 트랙일 수 있다. 어느 경우든, 필드(32)로부터 로딩되는 특수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블록내에 포함되어 있는 커맨드 및 데이터의 처리를 제어하며, 플레이어의 운영체제와 연관지어 작동한다.
[인입 트랙 필드의 처리]
제 5a도 내지 제 5e도의 플로우 챠트는 인입 트랙 필드에서의 정보의 처리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예비처리의 설명은 이 시점에서 개별 필드의 기능을 새기면서 제공된다. 데이터 블록내의 필드는, 데이터 블록의 처리와 아울러 하기에 기술된다.
시스템 처리는 제5a도의 상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폴트 설정의 판독으로부터 시작한다. 이는 DIP 스위치, ROM 코드, 또는 기타 디바이스의 사용이나 전력공급시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에 의해 확립되는 설정이다. 이는 모든 플래그를 리세트시키며 전력이 우선 턴온되는 경우 디폴트 설정을 판독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기초로 하는 시스템에서는 전형적이다.
상기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결과적으로 결정되는 4개의 디폴트 설정이 존재한다. 제1디폴트는 예를들면 미합중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플레이어가 디폴트 상태에서, NTSC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전형적인 표준이다.
다음의 디폴트 설정은 언어‥‥음향 트랙 다이얼로그 언어, 서브타이틀 언어(만약 있다면), 및 메뉴가 디스플레이상에 제공되는 언어이다. 예를들면, 미합중국에서, 디폴트 언어는 영어이다. 영어와는 다른 언어가 이들 기능중 하나 이상에 대해 바람직하다고 사용자가 플레이어에 통보하지 않는 경우, 오디오 언어 트랙(10)은 음향 트랙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고, 영어를 이루는 캐릭터 스트링은 "다른" 오디오 트랙용 및 내용의 테이블용 믹싱/삭제 메뉴를 준비하는데 사용된다. 서브타이틀에 대하여, 통상적인 디폴트는 "무언어"이다.
제3디폴트는 미합중국에서는 4 : 3인 종횡비이다. 상기 종횡비는 최종 출력 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의 상대적 치수를 결정한다.
마지막으로, 패어렌탈 록 상태가 결정된다. 제2도 시스템에서, 이는 단순히 록(81)의 설정에 대한 결정을 수반한다. 그러나, 물리적 록 및 키 없이 행하며, 록 기능상의 제어를 실행하는 사람에게만 알려져 있는 암호를 우선 키보드상에 입력시킨 후 비휘발성 메모리에 패어렌탈 록 상태를 저장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여러 소비자용 전자 디바이스에서와 같이, 키보드는 플레이어를 질의 또는 제어하도록 어느 때라도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기술에서 표준인 경로선택 제어순서는 플로우 챠트에 도시되어 있지 않다. 예를들면, 키보드 또는 관련 원격 제어 디바이스는 음량, 신속 전진, 특정화된 장으로의 점프 등을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인 처리는 본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메뉴키를 작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도록 저지될 수 있다. 제5a도의 처리의 개시부분에는, 메뉴키가 작동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도시되어 있다. 메뉴키가 디스크 작동의 기타 시간과는 반대로 처리의 개시부분에서 작동되는지의 여부에 대한 질의를 보여주는 이유는 디폴트 설정이 변경될 수 있는 메카니즘이 이러한 것이기 때문이다. 전원이 우선 턴온되는 때 메뉴키가 작동되는 경우, 시스템은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플로우 챠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에 대한 내용의 테이블을 가시화하고/또는 (메뉴키가 우연히 작동된 경우에) 어떠한 것도 변경시키지 않고 단순히 상기 처리로 되돌려서 디폴트를 변경하는 선택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선택에 의존하여, 디폴트는 변경되고, 전반적인 메뉴 선택 공정이 포기되거나 TOC(내용의 테이블 : table of comtents) 플래그는 1로 세트된다. 이러한 플래그는 내용의 테이블이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후에 조사된다.
지금까지, 디스크로부터의 어떠한 정보도 처리되지 않았다(이러한 설명에서, 필드의 판독을 때때로 참고로하며 때로는 필드의 처리를 참고로 한다. 어떤 처리후에 필드가 판독된다고 하는 경우조차도, 필드가 이전에 판독되지만 이후의 사용을 위해 버퍼에 저장되는 것이 실제적일 수 있다. 상기 문맥에 의존하여 필드를 판독하는 것은 비트가 제2도에서의 데이터 출력 도체(25)상에 발생하도록 실제로 필드를 판독하는 것이거나, 이전에 판독되어 버퍼링되어진 경우 데이터와 어느 정도 관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3도를 참조하면, 인입 트랙 섹션으로부터 판독되는 제1정보 필드는 위임받은 지역을 나타내는 40-비트 필드이다. 다음에는, 플레이어가 사용할 목적으로 의도된 지역이 디스크상에 위임받은 지역중 하나인지를 알아보도록 검사가 행해진다. 플레이어 지역은 또한 일종의 디폴트 설정이지만, 이는 다른 것들과 그룹으로 구성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그러한 것이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 수 없기 때문이다(한 지역으로부터 타 지역으로 이사한 구매자 자신의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플레이어 지역은 위임받은 기술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플레이어가 예를들면, 중국에서 사용되도록 설계되었으며, 중국이 디스크상에 위임받지 않은 지역중 하나가 아닐 경우, 디스크의 작동은 포기된다.
그 반면에, 디스크가 플레이어 지역에서의 작동을 위해 위임받은 경우, 필드(3)는 판독된다. 이러한 단일 비트는 특수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시스템에 단순히 전달한다. 상기 플로우 챠트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특수 소프트웨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특수 소프트웨어는 필드(4)로부터 판독되어 실행된다. 상기 처리는 "실행 특수 소프트웨어" 단계로써 마무리 된다. 이는 필드(4)에서의 특수 소프트웨어가 기본적으로 내장 운영체제를 대신한다는 것을 보여주도록 의도되어 있다. 그러한 소프트웨어는 플레이어의 전반적인 사용에 있어서의 반경 변화가 관련되는 경우에 사용된다(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이는 특수 소프트웨어가 운영체제를 포함하는 ROM칩으로 부터 BIOS경로 선택 등을 호출할 수 없다고는 말할 수 없다).
어떠한 특수 소프트웨어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시스템은 디폴트 표준을 판독한다. 예컨대, 이는 NTSC 표준이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메뉴 선택을 통해 상기 디폴트 표준을, 예컨대 PAL로 변경한 경우, PAL은 새로운 디폴트 표준이다. 그후, 시스템은 12개 이하의 표준을 위임하는 필드(5)를 엑세스한다. 이행되는 테스트는 디폴트 표준(원형, 또는 처리의 개시 부분에서 변경되는 것처럼)이 위임받은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위임받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위임받은 표준을 보여주는 메뉴가 디스플레이되며, 그후 사용자는 메뉴를 선택한다. 적절한 선택이 행해진 후에, 또는 디폴트 표준이 위임받은 경우, 시스템은 필드(6,7)를 처리한다. 필드(6)의 판독은 가용 오디오 언어(M&E 및 15개의 언어를 포함하여 16개 이하인)라는 것을 플레이어에 통보한다.다시한번, 디폴트 값은 한 세트의 허용된 옵션에 대해 테스트된다. 이전에는, 디폴트 표준은 디스크로부터 판독되는 위임받은 표준에 대하여 테스트되었다. 이때, 디폴트 오디오 언어(메뉴키가 작동되어진 경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상이한 언어 또는 전력 공급시의 디폴트 언어 중 어느 하나)는 가용될 수 있는 것 모두와 비교된다. 상기 플로우 챠트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폴트 언어가 가용될 수 없는 경우, 가용 오디오 언어의 리스트를 지니는 디스플레이가 형성되고, 사용자는 그들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후, 시스템은 필드(7)에서 트랙형태를 판독한다. 이는 M&E 트랙이 존재하는지의 여부, 믹싱 또는 교환 마스터로서 사용되는지의 여부, 및 선택된 언어 트랙이 완전 오디오 트랙인지, 믹싱 마스터와 믹상되는지 또는 교환 마스터와 교환되는지의 여부를 운영체제에 통보하는 필드이다. 다음에, 트랙 코딩이 필드(8)로부터 판독된다. 선택된 언어, 및 그의 트랙 형태 및 트랙 코딩과 아울러, M&E, 믹싱 및 교환에 관한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운영체제는 시청자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부속 영화에 대한 음향 트랙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지닌다.
다음에 행해지는 것는 0에서 63까지 어느 부분에라도, 디스크상에 있는 "다른" 오디오 트랙의 번호를 결정하도록 필드(9)를 판독하는 것이다. 실제 어떠한 "다른" 오디오 트랙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그들이 어떻게 처리되야 할지를 결정하는 모든 처리는 바이패스 된다. 그러나, 그러한 트랙이 존재하는 경우, 필드(10)는 어떠한 방식으로 상기 트랙이 코딩되는지를 결정하도록 우선 판독된다. 사용자는 그들이 어떻게 처리되어야 할지를 결정하기 전에 트랙에 무엇이 있는지 전달받아야 하기 때문에, 시스템은 다음에, 디스크상에 있는 "다른" 트랙 메뉴 언어를, 필드(11)의 판독으로부터 결정해야 한다. 그후, 통상적인 검사 형태는 메뉴가 디폴트 언어로 가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 보도록 행해진다. 가용될 수 없는 경우, 가용언어는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그들중 하나를 선택한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운영체제는 메뉴를 판독하고, 그를 디스플레이하며, "다른" 오디오 트랙이 무엇으로 처리되는지를 사용자가 결정하는 것처럼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는 표준 경로 선택을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특수 믹싱 또는 삭제가 달성되는 경우에, 특수 믹싱/삭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필드(12)는 그러한 소프트웨어가 가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 보도록 판독되며, 상기 플로우 챠트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크상에 있는 어떠한 특수 믹싱/삭제 소프트웨어라도 필드(13)로부터 판독된다. 단지 그때에는 필드(14)로부터 판독되며 사용자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실제 메뉴 항목(선택된 언어에서)이 있다. 운영체제에 의해 가용될 수 있는 메뉴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다른" 오디오 트랙용 상영모드를 선택한다. 예를들면, 사용자는 어느 허용된 방식으로 상기 트랙을 믹싱하고, 또 이상의 포괄 트랙으로부터 삭제(위상 반전에 의함)용 트랙에 있는 것을 사용하며, 배타적 상영을 위한 하나의 트랙을 조정하고, 상대적 오디오 레벨을 조정하며, 기타의 것을 행할 수 있다. 물론, 특수 믹싱/삭제 소프트웨어는 이들 옵션과 아울러 흔히 제공되지 않는 다른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제5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타이틀 정보는 현재 확립된 패턴에 따라 처리된다. 먼저, 시스템은 서브타이틀이 모두 바람직한지를 결정한다. 제5a도에서의 처리의 맨 처음에서, 디폴트 설정중 하나가 서브타이틀 언어라는 것이 생각나게 된다. 통상적인 디폴트 설정은 서브타이틀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한 것이 실제로 그 경우이라면, 서브타이틀 처리는 완전히 스킵된다. 그러나, 서브타이틀이 바람직한 경우, 가용 서브타이틀 언어는 필드(15)로부터 판독된다. 그후, 디폴트 서브타이틀 언어가 가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테스트가 행해진다. 가용될 수 없는 경우에, 가용 서브타이틀 언어는 디스플레이되며 사용자는 그들중 하나를 선택한다.
다음에, 필드(16)에서의 4비트 다중 버젼 코드가 판독된다. 제1비트는 가용될 수 있는 2가지 버젼이 존재하는지 또는 단지 한가지 버젼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이러한 시점에서, 가지(branch)가 형성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특수 버젼 소프트웨어가 가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우선적으로 시스템이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며, 이는 필드(17)로부터 결정된다. 특수 버젼 소프트웨어가 가용될 수 있는 경우, 이는 필드(18)로부터 판독되어 실행된다. 다중 버젼이 가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 및 제3 및 제4비트 위치에서의 코드가 무엇을 나타내는지를 이러한 소프트웨어가 알아야 할 정도로, 그것은 이미 결정되었다. 사용자용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선택이 위임받은 버젼중에서 선택하거나 빠져나오는 플로우 챠트에 나타나있지만, 특수 버젼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선택이 대체로 상이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비록 상영될 수 있는 단지 한가지 버젼이 존재할지라도 특수 버젼 소프트웨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특정의 프로그램이 보통과는 달리 정착하고 있지 않다고 시청자에게 경고하는 것과, 상영 개시 전에 "연속" 응답을 요청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이들 모두는 R-전용과 별개이다.
특정 버젼의 소프트웨어가 사용될 수 없는 경우, 4비트 다중 버젼의 코드 필드에서의 비트 3과 4는 전용(rating) 목적에 대해 사용된다. 페어렌탈 록이 온(on)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테스트가 실행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버젼 A와 B의 작동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양 버젼은 위임 받는다. 단지 하나의 버젼만이 있는 것으로 사전에 결정되는 경우, 그 버젼은 버젼 A로 여겨지며 그것는 위임받는다.
다른 한편으로, 페어렌탈 록이 온(on)상에 있는 경우, 디스크상의 버젼이 R-전용인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테스트가 실행되어야 한다. 제5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젼 A가 R-전용인 경우, 버젼 B도 같으며, 그리고 나서 시스템의 작동은 중지된다 : 도시되진 않았지만, 작동이 중지된 이유를 사용자에 알려주기 위해 적당한 메시지가 나타날 수 있다. 버젼 A는 R-전용이지만 버젼 B는 그렇지 않은 경우, 버젼 B만이 위임받는다. 다른 한편으로, 버젼 A는 R-전용이 아니지만 버젼 B는 R-전용인 경우, 버젼 A만이 위임받는다. 마지막으로, 페어렌탈 록이 온(on) 상태에 있을지라도, 어느 버젼도 R-전용이 아닌 경우에는, 양 버젼은 위임받는다.
다음으로 시스템은 취할 수 있는 선택을 사용자에게 나타낸다. 사용자는 위임받은 버젼들 가운데에서 선택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는 퇴장하여 디스크의 작동을 중지할 수 있다(예를들면, 어린이가 R-전용 버젼을 보려고 할 때 그것은 작동될 수 없다는 말을 듣고, 더 흥미있는 다른 것을 계속하려는 결정을 하는 경우에, 이러한 후자의 경우는 일어날 수 있다).
사용가능한 버젼이 하나만 있을 경우, 그것이 R-전용이 아닌 경우, 및 특정 버젼의 소프트웨어가 없는 경우, 표시될 필요가 없다‥‥상영될 수 있는 영화는 단지 하나만 있으며, 그것을 보는 사람에게는 어떠한 제한도 없다. 그렇지만,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게는 디스크의 작동과 작동의 중지 사이의 선택권이 여전히 주어진다. 시스템은 그와같은 경우 표시를 나타내지 않도록 그리고 사용자가 디스크 상에서의 하나뿐인 영화 바전의 관람을 원하는 것으로 단순히 추정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표시의 발생은 사용자로 하여금 그가 플레이어에 집어 넣은 디스크가 진짜 그가 원하는 디스크라는 것을 입증시켜 준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이 디스크 상에서의 하나 또는 두 개 버젼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세 개 이상의 버젼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는 우선적으로 특정 버젼의 소프트웨어를 판독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해 주는 주된 이유들 중 하나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작동될 수 있는 것을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표시가 형성되는 몇 개의 버젼에 관하여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특정 버젼의 소프트웨어는 교시(teaching)와 테스트 모드 사이에서 그리고 특정 영화가 성인 전용인지의 여부와 관계없는 다른 옵션들 사이에서 선택권을 허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시스템은 필드(11)에서 비디오 사용 가능 비트를 판독하며, 따라서 차후에 처리될 데이터 블록에 비디오 데이터가 들어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비디오 데이터가 있는 경우, 그것이 디스크상에서 저장된 베이스 또는 마스터 종횡비는 결정되어야만 한다. 그리고나서 다음 단계는 베이스 또는 마스터 종횡비가 16 : 9 또는 4 : 3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필드(20)를 판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스터 종횡비가 4 : 30인 경우, 다음의 다섯 단계들은 팬 스캔(pan scan) 사용 가능도는 무관하기 때문에 스킵(skip)된다. 디폴트(default) 종횡비가 4 : 3인 경우, 저장되어 나타난 프레임들 사이에서 일대일 대응이 존재한다; 디폴트 종횡비가 16 : 9인 경우, 4 : 3의 프레임은 어느 한 측면에서 암 대역을 갖는 와이드 스크린 상에 나타난다(선택적으로, 4 : 3의 이미지는 16 : 9의 스크린을 채우도록 확장되어, 상부 및/또는 하부 정보의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나 제9도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종횡비가 16 : 9인 경우, 조사되어야 하는 몇가지 가능성들이 있다.
바로 처리 시각에서 결정하는 디폴트 값들 중 하나는 종횡비이다. 운영체제는 디폴트 종횡비가 팬 스캔 4 : 3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제9도에 있어서, 마스터 종횡비가 "와이드 스크린"(처리되는 플로우챠트 분기)인 경우, 가능성들은 문자 박스(letter box), 와이드 스크린 이미지 상에 집중된 팬 스캔(제9도에 도시되지 않음). 또는 가변 팬 스캔(예컨대, 가변 개시 칼럼 번호를 지님)디폴트가 팬 스캔 4 : 3이 아닌 경우, 현재 사용자에 의해 취해질 선택은 없다. 디폴트는 와이드 스크린 또는 문자 박스 어느 하나이며, 차후의 처리는 이미 결정된 디폴트와 일치한다.
다른 한편으로, 디폴트가 팬 스캔 4 : 3인 경우, 문제는 가변 팬 스캔 정보가 디스크상에 있는지의 여부이다. 필드(21)내의 팬 스캔 사용 가능 비트는 판독된다. 팬 스캔이 사용 가능한 경우, 데이터 블록은 팬 스캔에 대한 개시 칼럼 번호들을 운영 체제에 명시할 것이다‥‥사용자는 이러한 점에서 아무것도 선택할 필요가 없다. 다른 한편으로, 팬 스캔이 사용 가능하지 못한 경우, 이는 사용자의 디폴트이며, 그는 두가지 가능성-즉, 모든 와이드 스크린의 중심부가 나타나는 중심 컷(cut), 또는 모든 프레임 전체가 보여질 수 있는 문자 박스 형태-가운데에서 결정해야 하지만, 표시는 상부 및 하부에서 암 대역을 갖는다. 메뉴 표시는 형성되며, 사용자는 두가지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럼에도 사용자가 서로 다른 많는 종류의 표시로부터 선택 가능한 디스크상에서의 일반적인 종횡비의 이러한 사용은 본 발명의 설계 방법을 예시한다. 기본적인 착상은 대략 종래의 CD 크기의 광학 디스크상에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면서 최대의 융통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단 와이드 스크린의 영화가 디스크상에 저장되면, 사용자가 몇가지 다른 종횡비를 갖는 비디오 출력을 발생시키는데 어떠한 부가적 실영역(real estate)도 필요치 않다. 대화를 들을 수 있는 15개의 언어까지 존재할 수 있다해도, 플레이어 내의 합성하고 전환시키는 처리 능력 및 과잉의 정보가 오디오 언어 트랙으로부터 제거되는 방식 때문에 15개의 채워진 사운드 트랙 근처에는 아무것도 없다. 이와 같은 것은 비디오 표준에 적용된다. NTSC이나 PAL 등의 방식에서만 작동될 수 있는 매개체가 현재 고화질 비디오까지 요구되고 있는 반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디스크가 12개까지의 표준에서 비디오 신호를 발생 가능케 한다. 본 발명의 이점들 중 하나는 전세계적으로 영화를 개봉하는 영화사 등에 의해 제작되야 하는 서로 다른 디스크의 수를 크게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예를들면 서로 다른 표준들은 비디오가 각기 다른 시간에 NTSC 및 PAL방식으로 개봉될 때 위임받아야 하는 경우, 몇몇의 필드가 때때로 변경되어야 하는 동안에, 이와 같은 변경은 비교적 간단하며 쉽게 이루어진다.
일단 표시 모드상에서의 결정이 취해지면, 필드(22)는 디스크상의 데이터 블록 총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판독된다. 다중 버젼이 있는 경우, 필드(23, 24)는 각 버젼내의 데이터 블록 총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또한 판독된다. 그리고나서 필드(25)는 원프레임비를 결정하기 위해서 판독되며, 필드(26)는 블록 시간 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 판독된다.
그리고 나서 필드(27)는 처리된다. 이것은 목록을 나타내기 위한 모든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필드라는 것이 제3도로 부터 재현될 것이다. 선택된 버젼(하나의 버젼만 있거나 또는 두 개의 버젼이 있고 제1버젼이 선택된 경우는 필드(27) : 또는 두 개의 버젼이 있고 제2버젼이 선택된 경우는 필드(28))에 대한 목록은 사용가능한 장(chapter) 표시 언어의 100비트 표현을 포함한다. 디폴트 메뉴 언어는 사용가능한 것들에 대하여 체크된다. 디폴트 메뉴 언어가 사용 불가능한 경우, 사용자는 장 타이틀을 나타낼 수 있는 이러한 언어들을 통지받으며, 그는 그것들 가운데에서 선택한다. 일단 그것이 장 정보를 나타내는 언어로 결정되었으며, 다양한 목록이 지속 시간은 계산된다. 얼마나 많은 블록이 각 장내에 있는지를 알기 때문에, 각 장의 지속 시간은 블록의 수에 블록 시간 계수를 곱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목록은 반드시 나타날 필요는 없다. 사용자가 목록을 나타낼 것을 지시했을 때, TOC 플래그(flag)가 처리과정의 시작에서 설정된 경우에만 나타난다. TOC플래그가 0인 경우, 목록을 나타낼 필요가 없다. 시스템은 출발점, 즉 맨처음에 디스크 출발의 동작으로서 제1데이타 블록을 자동적으로 선택한다. 다른 한편으로, TOC 플래그가 1인 경우, 목록은 표시되며 사용자에게는 출발점을 선택하는 옵션이 주어진다.
디스크 상에서의 목록(들)에 뒤이어 필드(5)에서 위임받은 표준에 대한 암호화된 위임 코드가 나온다. 운영 체제는 선택되어진 표준에 대한 암호화된 위임 코드를 판독한다. 그리고나서 운영 체제는 선택된 표준에 대한 예정된 데이터를 판독한다. 12개의 가능한 표준 각각에 대하여 디스크상의 예정된 데이터는 위임 코드로 작용하는 "메시지" M을 나타내도록 처리되는 것이 재현될 것이다. 각각의 표준과 관련된 전용키를 사용하여 디스크상에서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되는 것은 바로 이 위임 코드이다. 암호를 처리하고 플레이어가 스스로 "메시지" M을 나타낼 때 데이터가 판독되고 처리되는 동안은, 디스크로부터 판독되는 데이터는 각각의 표준에 있어서 상이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위임받은 개봉자가 이러한 데이터를 복사하는데 자멸적이기 때문에 데이터는 적어도 인입 필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된 표준에 대한 예정 데이터가 판독된 후에, 위임 코드("메시지"M)는 데이터로부터 계산된다. 운영 체제로 이루어진, 선택의 표준과 관련된 전용키를 사용하여, 선택된 표준에 대한 디스크상에서의 저장된 위임 코드는 해독된다. 그것들이 일치하지 않으면, 작동은 중지된다.
두 개의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필드(30)는 판독된다. 이러한 단일의 비트는 하기에 기술될 제4도의 보통의 보수(complement)이외의 다른 데이터 블록 내에 저장된 임의의 커맨드나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마스터 프로세서에 통보한다. 플레그가 0인 경우, 운영 체제는 데이터 블록 내의 그와 같은 부가적인 커맨드나 데이터를 찾지 않는다. 플레그가 1인 경우 커맨드나 데이터는 데이터 블록내에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마지막으로, 필드(31)는 보충 소프트웨어가 사용가능한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서 판독된다. 사용가능하다면, 그것은 필드(32)로부터 판독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보충 소프트웨어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의 대신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그것에 대한 보충으로 사용된다. 이는 필드(4, 32)내의 소프트웨어 간의 근본적인 차이점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보충 소프트웨어는 보충 소프트웨어 플래그에 의해 존재가 표시된(아래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모든 데이터 블록내에서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음)필드 데이터 블록내에 포함된 커맨드 및 데이터 상에서 동작한다.
필드(32)의 판독 및 운영 체제와의 통합과 함께, 디스크 드라이브 내의 판독 헤드는 출발점으로 이동하게 된다. 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출발점은 제1 데이터 블록 또는 제1장 이외의 다른 장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 데이터 블록 중 어느 하나이다. 데이터 블록은 순차적으로 판독되어 제2도 상의 디멀티플렉서(63)는 데이터 필드를 다양한 버퍼들에 분배한다. 플로우차트에 나타난 바와 같이, 데이터 블록의 판독은 버퍼가 채워지지 않은 경우에만 일어난다. 게다가, 새로운 데이터 블록이 판독되기 전에, 시스템은 이행되어야 하는 임의의 인터럽트(interrupt)가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콘트롤러(41)는 모든 인터럽트의 발생원(source)이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키보드를 작동한 경우, 콘트롤러는 데이터 블록의 판독을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인터럽트를 제2도의 (43)번선에서 발생시킨다. 인터럽트가 처리된 후, 또는 이행되어야 하는 인터럽트가 없는 경우, 다음의 데이터 블록이 판독된다. 기술되는 바와 같이, 연속 블록 번호는 우선적으로 판독되는 것들 중 한 개이다. 블록 번호/포인터 분석기(47)는 필요로하는 다음 블록의 번호를 인지한다. 종종, 이것는 연속 시퀀스에서 다음 블록일 것이다. 그렇지만, 블록 번호는 시퀀스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새로운 장으로 점프(jump)가 일어나는 경우, 아래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어떤 블록들은 영화의 다중 버젼들 중 하나를 상영할 때 디스크 상에서 스킵되어야 한다. 여하튼 간에, 시스템은 판독되는 블록이 정확한 것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그렇지 않은 겅우, 다른 블록이 판독될 수 있도록 블록 판독 처리의 시작으로 다시 돌아가서 분기(branch)가 일어난다. 또한, 제2도상의 게이트(61)는 도체(25)상의 "틀린" 데이터가 디멀티플렉서(63)로 넘어가지 않도록 폐쇄된다.
판독된 블록이 필요한 블록인 경우, 블록 번호 다음으로 즉시 판독되는 우선적인 것들 중 하나는 포인터 데이터이다. 플로우차트의 끝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포인터 데이터는 필요로하는 다음 데이터 블록의 블록 번호를 결정하도록 블록번호/포인터 분석기(47)에 의해 사용된다. 이러한 블록 번호는 현재 데이터 블록의 판독 완결시에 이러한 데이터 블록에 엑세스하도록 케이블(49)상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스크 드라이브 콘트롤러(27)에 전달된다. 플로우차트의 끝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로 그 순간에 처리되는 나머지 데이터 블록이 판독되어 몇 개의 버퍼내에 저장되며, 그것에 뒤이어 또 다른 데이터 블록이 판독될 수 있다.
방금 검토된 플로우차트는 플레이어의 처리과정을 제어한다.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판독된 데이터의 실제적 처리는 제6도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플로우차트는, 제4도에서 목록 기재된 바와 같이 데이터 블록 내의 필드를 이해한 후에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데이터블록에 포함되는 포인터 데이터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서, 제7a도 및 제7b도가 먼저 기술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영화의 개별적 또는 양 버젼과 관련된 데이터 블록들이 서로 관련되어 있는 방법을 나타내주며, 또한 시스템이 선택된 버젼을 상영하기 위해 어떠한 데이터 블록상에서 스킵되도록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제7a도 및 제7b도‥‥포인터 데이터의 기능]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크상에서 동일한 영화의 두 개의 버젼이 존재할 수 있다. 대부분의 데이터 블록들은 두 개의 버젼에 공통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나타낸다. 그렇지만, 한 버젼이나 다른 버젼에만 해당하는 다른 블록들이 존재할 것이다. 문제는 두 개의 버젼 중 선택된 하나에 필요로 하는 연속적 데이터 블록의 판독을 제어하는 방법이다.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영화의 버젼 A에만 해당하는 데이터 블록, 버젼 B에만 해당하는 데이터 블록, 및 양 버젼에 공통하는 데이터 블록 각각을 식별하는데 문자(A, B, C)가 사용될 것이다. 제7b도에는 연속적 데이터 블록들이 A, B, 또는 C로 분류된 상태로 트랙의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C형인 디스크상에서의 대부분의 데이터 블록들과 함께 연속적 동일 유형으로 수천개의 데이터 블록들이 실제로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렇지만, 시스템이 필요로하지 않는 데이터 블록사에서 점프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해서, 제7b도에는 연속한 동일 유형의 최대 두 개의 블록이 나타나 있다.
제7b도에는 두 개의 시퀀스 즉, 버젼 B를 상영하는 상부에 하나와 버젼 A를 상영하는 하부에 다른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그것이 선택되는 버젼 B인 경우, 여하튼 간에 왼쪽에 있는 B블록이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다음 두 개의 A블록은 제4블록, 즉 B블록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점프되어야 한다. 그리고 나서 공통 C블록들이 작동되고, 그 후에 점프는 A블록 상에서 또다른 C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나서 다음 블록, 즉 B가 작동되고나서 B, C 및 B 블록들이 작동된다. 마지막으로, A 블록 상에서 제 7b도에 도시된 마지막 블록인 C블록으로 점프가 일어난다.
다른 한편으로, 버젼 A가 상영되고 있는 경우, 두 개의 연속적 A블록들이 작동되고 그리고 나서 B 블록 상에서 점프되며, 다음 다섯 개의 블록-A, C, C, A, C-들이 작동되며, 다음에는 두 개의 B블록상에서 C블록으로 점프되어, 마지막으로 또다른 B블록 상에서 A블록 및 다음 C블록으로 점프된다.
나타나는 패턴은 하나의 블록에서 다른 블록으로의 새 종류의 변이(transition)가 있다는 것이다. 우선적으로, 선행 블록의 작동에 뒤이어 즉시 블록이 작동된다. 제7b도에 도시된 7가지의 실례가 있다‥‥AA, BB, CC, CA, CB, AC 및 BC. 두 개의 버젼에만 해당하는 블록들은 동일한 디스크가 작동되는 동안에 번갈아 가며 결코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제외되는 두가지 가능성은 AB와 BA이다. 블록형에서 블록형으로의 7가지의 변이가 있는 반면, 기본적인 작동은 사실 세가지이다-임의의 유형의 일 블록에서 임의의 유형의 다음 블록으로의 이동 : A에서 A나 C중 어느 하나로의 점프, 또는 B에서 B나 C로의 점프; 또는 C블록에서 인접한 A나 B 또는 선 아래의 어딘가의 B나 A중 어느 하나로의 분기(branch). 대부분의 변이는 제1의 유형을 갖는다. 제2의 유형은 A 다음에 B(두개의 블록들은 연속적으로 결코 작동될 수 없음)가 오는 경우 발생한다; 점프는 A에서 또 다른 A 또는 C 중 어느 하나로 일어나야만 한다. 마찬가지로 A에 앞선 B에도 적용된다. 작동될 공통 자료가 더 이상 없고 전환이 하나의 버젼이나 다른 버젼에 일어나야만 하는 경우, 제3의 유형은 C블록의 작동 종료시에 발생한다 : 다음 블록은 그것이 선택된 버젼의 부분인 경우에 작동되거나, 또는 몇 개의 블록들은 다른 버젼으로 블록에 분기되는 경우 점프되어야 할 것이다.
제7a도는 변이가 한 블록에서 다른 블록으로 일어나는 방법 및 시기를 한정하는 상태 선도를 나타낸다. 아래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모든 데이터 블록은 20비트 포인터가 들어 있는 필드에 아마도 앞서 나오는 2비트 포인터 플래그를 포함한다(포인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것은 항상 또 다른 데이터 블록의 연속 블록 번호를 가리킨다). 제7a도에서 주어진 코드에 있어서, 2비트 포인터 플래그가 00인 경우, 그것은 처리 과정이 다음 블록으로 계속되어야 한다는 표시이다; 이 경우에는, 포인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2비트 포인터 플래그가 01코드인 경우, 그것은 점프가 동일 버젼으로 약간 떨어져 있는 블록으로, 또는 약간 떨어져 있는 C블록으로 이행되어야 한다는 표시이다. 이 경우에는, 포인터가 필요하다.
분기가 공통 C블록으로부터 취해지는 경우 코드(10, 11)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코드는 다음 블록이 A 또는 B인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 C다음의 블록이 A인 경우, 코드(10)가 사용되며 포인터는 B 또는 선 아래의 C를 가리킨다. 코드가 11인 경우, 다음 블록은 B이며, 포인터는 A또는 트랙상의 C를 가리킴을 의미한다. 운영 체제는 어느 버젼이 상영되고 있는지를 인지하고 있다. 버젼(A)이 상영되고 있으며 현재 블록이 10포인터 플래그를 갖는 경우, 그것은 다음 블록인 A가 현재 블록 다음에 작동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포인터는 필요하지 않다. 포인터는 버젼(B)이 상영되고 있는 경우에 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다음 블록이 A이기 때문에, 그것은 작동되지 않는다. 플레이어는 포인터-상영되는 버젼(B)에만 해당하는 다른 C 또는 B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식별된 블록으로 점프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버젼(A)이 상영되고 있으며 현재 블록이 포인터 플래그에 대한 코드(11)를 지니는 C인 경우, 그것은 다음 블록이 B라는 것을 의미한다. 버젼(A)이 상영되고 있기 때문에, 다음 블록은 현재 블록 이후에는 작동되지 않아야 한다. 그 대신, 점프가 포인터에 의해 식별된 A 또는 C블록으로 행해진다. 다른 한편으로, 버젼(B)이 상영되고 있는 경우, 시스템은 단지 다음 블록으로 계속된다.
제7a도상의 범례는 10 및 11포인터 플래그가 C블록에서 발견되는 경우에 포인터가 사용되는지의 여부를 보여준다. 표시(10(p))는 포인터가 사용되어야 함을 나타내며, 표시(10[p])는 포인터가 무시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10코드는 다음 블록이 A인 경우 C블록에 대해 사용됨을 상기할 것이다. 버젼(A)이 상영되고 있는 경우, 포인터는 불필요하다. 그것은 바로, C블록에서 다음 블록인 A로의 변이가 심볼(10[p])로 표시되는 이유이다. 다른 한편으로, 버젼(B)이 상영되고 있는 경우, 다음 블록이 A이기 때문에 그것은 현재의 C 이후에는 작동될 수 없다. 그 대신, 포인터에 의해 식별된 블록으로 점프되어 표시(10(p))가 사용된다‥‥포인터는 B블록이나 또 다른 C중 어느 하나를 가리킨다.
마찬가지로 표시(11(p), 11[p])에도 적용된다. 두 경우에서, 작동되고 있는 것은 C블록이며 그 다음의 블록은 B이다. 버젼(A)이 상영되고 있는 경우, 그 다음의 블록은 작동되지 않아야 하며 따라서 심볼(11(p))이 상태 변이를 나타내는데 요구된다. 다른 한편으로, 버젼(B)이 상영되고 있는 경우, 작동되어야 하는 것는 그 다음의 B블록이며 따라서 심볼(11[p])이 적당하다.
사용 ((p), [p]) 뿐만 아니라 네 개의 코드가 제7b도에 묘사되어 있다. PLAY B변이 시퀀스에 있어서, 나타낸 제1변이는 01(p)이다. 01코드는 하나의 버젼에서 동일 버젼의 블록으로 또는 공통 블록으로의 점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될 것이며, 포인터는 필요로 한다. 도시된 제1변이는 01(p), 즉 B블록에서 또 다른 B블록으로의 점프이다. PLAY B 선상의 그 다음 변이는 01(p), 즉 B에서 C로의 점프이다. 다음에는 모든 변이 중 가장 일반적인 00의 실례, 즉 현재의 블록 이후에 다음 블록의 순서적인 작동에 관한 것이다.
PLAY B선에서의 제4변이는 10(p)심볼로 표시된다. 10코드는 다음의 블록이 제7b에 도시된 실례인 A인 경우 C로부터 분기(branch)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제7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영되고 있는 것이 버젼(B)이라면 점프는 포인터에 의해 식별된 블록-이 경우에는, 그 다음 C-으로 일어난다.
11코드는 다음의 블록이 B인 경우 C블록으로 부터의 분기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버젼(B)이 상영되고 있는 경우, 포인터는 다음의 블록이 작동되기 때문에 필요치 않다. 그것은 나타난 다음 코드가 11[p]이기 때문이다. 인접한 블록으로의 명백한 변이를 나타내는, 11[p]코드에 선행하는 두 개의 00코드에 앞서서 C블록에서 그 다음의 블록인 B로의 분기가 선행한다. 마지막으로, 점프는 이러한 B블록으로부터 그 다음의 A를 거쳐 C블록으로 일어난다. 이는 01(p)코드-어느 한 버젼의 블록에서 동일 버젼의 블록 또는 공통 블록으로 점프하는데 사용되는 코드-를 필요로 한다.
제7b도의 PLAY A 시퀀스는 상영되고 있는 것이 버젼(A)임을 추정한다. 제1의 네 개의 코드는 인접한 블록으로의 변이, 또는 하나의 버젼의 블록에서 동일 버젼의 블록으로의 점프를 나타낸다. 포인터는 버젼(A)이 상영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으며, 코드(10)는 다음의 블록이 A블록이기 때문에 사용된다. 그 다음의 코드(00)는 A블록에서 다음의 C블록으로의 전이를 나타낸다.
다음에는, 두 개의 B블록을 스킵하여, C블록에서 또 다른 C블록으로 점프가 일어난다. 코드(11)는 C블록이 B블록에 선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코드이기 때문에 코드(11)가 사용된다. 사용되는 심볼은 11[p]가 아니라 11(p)이며, 그 이유는 포인터가 하나의 C블록에서 선 아래의 C블록으로 이동하는 데 필요하기 때문이다. 제7b도의 시퀀스는 A블록에서 코드(00)가 사용되는 그 다음 블록인 C로 변이하면서 종료된다.
제7a의 상태 선도에는 모든 가능성들이 요약되어 있다. 상단 왼쪽의 원안에 A로 표시된 A블록이 처리되고 있는 상태를 먼저 고려해 보자. A블록내의 2비트 포인터 플래그는 다음의 블록이 또한 A(A에서 다시 A로의 변이에 의해 도시됨)인 경우 00이다.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블록이 B인 경우, 그것은 분명히 작동되지 않아야 한다. A블록에서 B를 거쳐 또 다른 A로 또는 C 중 어느 하나로 점프되어야 한다. 어느 한 경우에 있어서함께 코드는 01(p)이다. 상기 도면에는 B상에서 (또 다른 A로의)점프 및 B상에서 C로의 점프가 도시되어 있다. A블록으로 부터의 다른 유일한 변이는 다음의 블록이 C인 경우 그곳으로 진행한다. 이것은 코드(00)에 의해 보여진다.
예컨대, 버젼(B)내의 데이터 블록이 판독되고 있는 경우, 상태 B에 대해 도시된 유사한 변이는 4개가 있다. 다음의 블록이 B 또는 C인 경우 코드(00)가 사용된다. 다음 블록이 A인 경우 코드(01(p))가 사용되며, 상기 블록은 시스템이 다음에 또 다른 B 또는 C를 판독할 수 있도록 점프된다.
C블록으로 부터의 변이는 A 및 B블록 각각에 있어서 네 개 보다는 오히려 일곱 개가 있기 때문에 보다 더 복잡하다. 다음 블록이 B이며 점프가 또 다른 C로 행해져야 하는 경우, 코드(10(p))는 A상에서 점프를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코드(11(p))는 B상에서 또 다른 C로의 점프를 제어한다. 다음의 블록이 A 또는 B인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이러한 두 개의 코드는 C블록으로 부터의 분기(branch)를 제어하는데 사용됨을 알 것이다. 어느 한 경우에서, 다음의 블록이 판독되지 않는 경우, 그것( 및 그것과 유사한 블록들)은 다음의 C로 점프되어야 한다.
그렇지만, C블록을 판독한 후에, A 또는 B를 판독하는 것은 또한 가능하다. A를 판독하기 위해서, 코드(11(p)또는 10[p]) 중 하나가 사용된다. 코드(11)는 다음의 블록이 B인 경우 사용되며, 이 경우에는 포인터가 필요하다. 코드(10)는 다음의 블록이 A인 경우 사용되며, 이 경우에는 포인터가 사용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다음으로 B블록을 판독하기 위해서, 코드(10(p) 또는 11[p])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전자는 디스크 상의 다음 블록이 A인 경우 사용되며, 이 블록이 점프되어야 하기 때문에 포인터가 필요하다. 다른 한편으로, 다음의 블록이 B인 경우, 코드(11)는 포인터가 필요없기 때문에 그것을 무시하는 프로세스에서 이러한 다음의 블록으로 진행하도록 시스템에 통보한다.
아마도 알아야할 가장 중요한 점은 도면에서는 명백하지 않다는 것이며, 그것은 대부분의 블록들은 00포인터 플래그를 포함하며 포인터는 없다는 것이다(코드(00)는 뒤에 오는 포인터 필드가 없는 유일한 코드이다). 그것은, 일단 어느 버젼의 프레임이 작동되고 있다면, 또는 공통 버젼의 프레임이 작동되고 있다면, 다음의 프레임은 동일한 유형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코드 (00)만이 단독으로 실행된다. 네트(net) 결과는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버젼(그것은 페어랜탈 록에 의해 허용됨을 조건으로 함)을 상영시키는 선택권을 갖고서 동일한 영화의 두 개의 버젼은 디스크 상에서 저장될 수 있으며, 디스크 영역 전체 중 극히 일부분만이 하우스키핑(housekeeping) 비트에 의해 낭비되는데, 상기 비트는 하나의 블록으로부터 그것 이후에 판독되는 다음의 블록으로의 변이를 제어한다. 또 다시, 이는 처리중에 비트를 과도하게 낭비하지 않고서 최대의 융통성 및 가능한 많은 선택을 제공하는 기초적 설계 철학과 일치한다.
본 발명은 영화의 단지 두 개만의 버젼을 디스크상에 제공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음을 또한 주목해야 한다. 세 개 이상의 버젼(꽤 많은 버젼에 대한 필요는 없는 것 같지만)으로 동일한 기법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공통 블록들은 하나가 아닌 두 개의 포인터를 필요로 할 것이다. 디스크 상에서 세 개의 버젼이 있는 경우, C블록에 뒤이어, 다음의 블록은 A, B 또는 D일 수 있다. 두 개의 포인터는 선아래에서 볼 수 있는 두 개의 블록을 가리키는데 필요로 될 것이다. 분명히, 이는 이루어져야만 할 변경들 중 단지 하나에 불과하다. 핵심은, 더 많은 하우스키핑 비트가 사용되지만 다중 버젼이 수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이런 유형의 포인터 비트의 총수는 오디오/비디오 비트의 총수와 비교하여 볼 때 대수롭지 않다.
[데이타 블록 필드]
제4도는 데이터 블록의 필드를 나타내며, 구성은 제3도의 인입 트랙의 필드에 대한 것과 유사하다. 모든 데이터 블록은 동기 워드(sync word)에서 시작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동기 워드 패턴은 데이터에서 나타날 수 없으며, 따라서 그것이 감지되는 경우 운영 체제는 새로운 데이터 블록이 막 시작됨을 인지하고 있다.
제2의 필드는 20비트 연속 블록 번호이다. 디스크 상의 모든 블록들은 순차적으로 번호가 매겨진다. 블록 번호는 그것이 제2도에서 블록 번호/포인터 분석기(47)에 의해 사용되기 때문에 판독되는 제1의 것이다. 예를들면, 블록 번호는 하나의 블록에서 또 다른 블록으로 점프하는 경우 필수적이다. 판독 헤드는 소기의 블록 근처의 지점에 보통 위치 선정되지만, 정확한 블록이 첫 번째 시도에서 선택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는 데이터의 비트수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특히 사실이며, 시스템은 얼마나 많은 비트가 스킵되는 블록내에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데이터 블록의 개시에서 블록 번호를 판독함으로써, 시스템은 헤드가 재위치 선정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즉시 결정할 수 있다.
제3의 필드는 블록이 A버젼, B버젼, 또는 양쪽 공통 버젼의 부분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2비트 코드이다(네개의 가능한 코드 중 단지 세 개만이 사용된다.). 시스템이 특정 블록의 버젼을 체크해야 하는 이유가 궁금할 수도 있는데, 일단 버젼 A 또는 버젼 B의 상영이 시작된 후에는, 제7a 및 제7b와 관련하여 논의된 포인터는 공통 버젼 또는 상영되고 있는 버젼 부분 중 어느 하나인 블록을 항상 식별할 것이다. 그 해답은 빠른 순방향 및 빠른 역방향 작동과 관계가 있다. 이것들은 완전 종래의 기법이기 때문에 길게 논이되지는 않았지만, 예를들어, 빠른 순방향인 경우, 판독 헤드는 다소 임의로 위치 선정될 수 있다. 비디오는 그것이 틀린 버젼인 경우 보여지지 않는다. 단순히 블록 번호 또는 포인터를 지켜봄으로써 블록의 버젼을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버젼의 식별도 불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는 블록의 버젼이 먼저 판독되는 경우에 그것을 결정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필드(4,5)에는 제7a도 및 제7b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2비트 포인터 플래그와 20비트 포인터가 있다.
필드(6)는 존재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은 일 비트 플래그이다. 제3도에 있어서, 필드(16)내의 비디오 가용성 플래그는 데이터 블록내에 비디오가 있는지의 여부를 운영 체제에 통보한다. 그렇지만, 있는 경우일지라도, 모든 데이터 블록이 비디오를 포함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모든 데이터 블록에서 표시된 단일 프레임이 존재하며 데이터 블록이 일정한 비율로 처리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가 "무변경"을 나타내는 코드로 이루어진 "최소"의 비디오인 경우에도 모든 데이터 블록내에 비디오는 존재한다. 그러나 데이터 블록이 단일 프레임보다 많거나 적음을 나타낼 수 있는 시스템이 존재할 수 있다. 예를들면, 존재한다 해도 데이터 블록내의 비디오 정보는 항상 동일 수의 비트라는 것이다. 압축에 따라서, 많은 프레임들은 단일의 데이터 블록내에서 표시된다는 것이다. 이와 은 경우에서, 일부 블록들은 비디오 비트가 없다. 사용된 코드화 설계에 따라서, 필드(6)내의 비트는 필드(7)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운영 체제에 통보한다. 비디오가 존재하는 경우, 필드(7)에는 동기 워드로 끝이 나는 비디오 정보가 들어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비디오 및 오디오 블록의 실제의 코드화(coding)는 주된 발명의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MPEG 계획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필드(8)는 대략 0비트에서 16까지의 비트를 포함한다. 인입 트랙의 필드(6)는 100비트 위치를 포함하지만, 이것들 중 단지 N(여기서 최대의 N은 16임)개만이 값 1의 비트를 나타낼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디스크 상에 최대 16개의 오디오 트랙(M&E는 그것들 중 하나로 여겨짐)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N개 트랙 각각에 대해, 필드(8)는 현재 데이터 블록내에 오디오가 있는지의 여부를 운영 체제에 알려준다. 따라서 N의 최대까지 X "1"들이 있다. N비트 필드(8)의 제1비트 위치는 인입 트랙의 필드(6)에서 식별된 제1오디오 언어 트랙과 일치한다. 데이터 블록의 필드(8)내의 제2비트는 인입 트랙의 필드(6)등에서 표시된 제2오디오 언어와 관련한다. 100보다는 오히려, 제4도의 필드(8)내에 단지 N(최대=16)개 비트만이 있는 이유는 그것이 데이터 블록내에 존재할 수 있는 언어인 인입 트랙으로부터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대응하는 언어거 디스크상 어디에도 찾을 수 없다는 것이 인입 트랙으로부터 알려지는 경우 대응하는 언어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도록 각 데이터 블록내에 84 이상의 비트 위치를 제공할 이유가 없다. 제4도에서의 값 X는 제3도에서의 값 N과 동일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후자는 디스크상의 어딘가에 있는 오디오 언어의 총수를 나타내며, 그것의 최대값은 16이다. 심볼 X는 얼마나 많은 N이 실제로 현재 데이터 블록에서 나타내지는지를 나타낸다.
필드(9)에는 X오디오 언어 블록들이 들어있다. 디스크 상에서 표현된 10개의 오디오 언어가 있지만, 그들 중 단지 6개만이 현재 데이터 블록에서 표현된다고 가정해 보자. 이 경우에, 오디오 언어들에 대응하는 X비트 시퀀스가 있으며, 각각은 탈출(escape)문자로 끝이난다. 탈출 문자는 오디오 블록들을 서로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오디오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언제라도 그것은 일정한 지속 기간을 가지며, 그리고나서 얼마나 많은 오디오 블록들이 필드(8)내의 정보로부터 데이터 블록에 존재하는지를 알고 있기 때문에, 필드의 종료시에 동기 워드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다양한 길이의 오디오 블록은 필드의 종료시에 동기 워드를 필요로 한다.
인입 트랙내의 필드(9)에는 "다른" 오디오 트랙들의 갯수를 나타내는 0에서부터 63까지의 값이 들어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M의 "다른" 오디오 트랙들이 존재하는 동안에는, 그들 각각이 현재 데이터 블록에서 표현됨을 의미하지 않는다. 각 데이터 블록 내의 필드(10)에는 M비트, 즉, 디스크상의 "다른" 오디오 트랙 각각에 대한 비트가 들어있다. 현재 데이터 블록이 이러한 모든 M트랙에 대한 비트 정보를 실제 포함하는지의 여부는 필드(10)내의 대응하는 비트 위치가 1을 포함하는지의 여부에 달려있다. Y"1"들이 있고 Y는 M보다 작은 경우, "다른"오디오 트랙 모두가 현재 데이터 블록에서 표현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필드(11)에는 Y의 "다른"오디오 트랙 블록들이 들어 있으며 각각은 탈출 문자로 끝이 난다. 오디오 트랙 및 "다른" 오디오 트랙들이 데이터 블록에서 표현되는 방법이 공통점이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제2도에 있어서, 데이터 블록내의 데이터 비트는 커맨드/데이터 선(65)을 거쳐서 마스터 콘트롤러(41)뿐만 아니라 오디오 버퍼, 팬 스캔 버퍼 및 서브타이틀(subtitle)버퍼에 분배된다. 이제까지는, 오디오 블록, "다른" 오디오 블록 및 비디오 블록의 표시는 제4도의 필드 분석에서 고려되어 왔다. 그렇지만, 서브타이틀의 표시를 계속하기 전에, 서브타이틀 정보가 모든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와 반대로 표시되는 방법에 차이가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후자는 한 블록씩으로 표시되며, 버퍼들은 새로운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로 계속 채워진다. 다른 한편으로, 서브타이틀은 프레임에서 프레임으로 변경될 필요가 없다. 사실상, 서브타이틀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대한 스크린상에 남아 있지 않은 경우 그것은 인식되지조차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일단 서브타이틀 데이터가 제2도의 버퍼(59)에서 표시되면, 그것은 서브타이틀이 디스플레이상에서 형성되도록 하며 새로운 정보가 버퍼내로 채워질 때까지 디스플레이에 남아 있도록 한다. 새로운 서브타이틀을 받아 들이지 않고서 서브타이틀을 제거하기 위해서, 공백(blank)필드로 이루어진 새로운 서브타이틀은 버퍼내로 채워진다.
데이터 블록내의 필드(12)는 P비트들로 이루어지며, 각각은 인입 트랙의 필드(15)에서 식별된 P서브타이틀 언어들 중 다른 것과 일치한다(언어들에 대응하는 모든 100비트 필드내의 제1위치는 최대99개의 서브타이틀 언어들이 존재하도록 언어가 아닌 M&E를 실제로 나타낸다). 현재 데이터 블록내의 갱신(update)이 있은 임의의 서브타이틀은 필드(12)내의 대응하는 위치에서 1을 갖는다. Z"1"들까지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Z의 최대값은 P이다.
현재 데이터 블록에서 갱신이 있는 서브타이틀 언어 각각에 대해, 갱신은 필드(13)에 나타나 있다. 탈출 문자로 끝나는 각각의 Z갱신 블록이 있다. 갱신 블록은 공백 필드일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는 새로운 서브타이틀이 아직 자리잡지 않은 경우 서브타이틀이 제거되는 방법이다.
필드(14)는 현존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는 일 비트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필드는 인입 트랙내의 필드(21)가 1인 경우에만 현존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팬 스캔 정보는 데이터 블록에서 사용할 수 있다. 팬 스캔 정보가 사용가능한 경우, 각 데이터 블록은 그것이 팬 스캔에 대한 새로운 출발 열(column)을 사실상 포함하는지의 여부를 운영 체제에 통보해 주어야만 한다. 필드(14)는 단일 비트인 플래그(flag)이며, 이것은 팬 스캔 갱신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비트가 1인 경우, 필드(15)는 9비트 열 번호, 예컨대 팬 스캔 갱신이다.
마지막으로, 필드(16)는 인입 트랙내의 필드(30)의 값에 따라서, 현존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는 단일의 비트이다. 인입 트랙내의 이러한 일 비트 플래그는 보충 커맨드와 데이터가 데이터 블록의 필드(17)내에 현존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운영 체제에 통보한다. 커맨드/데이타 현재 플래그가 1인 경우, 커맨드/데이타 블록은 필드(17)로부터 판독된다. 상기 필드는 탈출 문자로 끝난다.
따라서 데이터 블록 필드에는 여섯 개까지의 다른 유형의 데이터-오디오, "다른" 오디오, 비디오, 팬 스캔 정보, 서브타이틀 및 커맨드/데이터 블록-가 들어있다. 이것들은 제2도와 연관지어 위에서 논의된 6유형의 정보이며, 디멀티플렉서(63)는 오디오 버퍼, 비디오 버퍼, 팬 스캔 버퍼, 서브타이틀 버퍼 및 마스터 콘트롤러에 정보의 다른 블록들을 분배한다.
[데이터 블록 필드의 처리]
데이터 블록내의 데이터 처리는 비교적 간단하다. 제6도의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처리 과정은 제4도에 도시된 데이터 블록 필드와 일치한다.
제2도상의 블록 번호/포인터 분석기(47)가 연속 블록 번호, 버젼, 2비트 포인터 플래그 및 데이터 블록의 필드(2-5)에 포함된 포인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이미 기술되었다. 다음의 필드는 비디오 현재 플래그이다. 제6도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데이터가 현존하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 제2도상의 비디오 버퍼는 필드(7)내의 비디오로 로딩된다. 비디오 데이터가 현존하지 않는 경우, 상기 버퍼는 단순히 그 내에 로딩된 마커(marker)를 갖는다.
마커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운영 체제가 비디오, 오디오, 서브타이틀, 정보 등을 항상 동기시킬 수 있도록, 그것은 몇 개의 서로 다른 버퍼내의 어느 곳이 동일한 데이터 블록에서 나온 정보인지를 알려줄 수 있어야만 한다. 달리 말해서, 운영 체제는 오디오 버퍼내의 오디오 데이터의 어느 부분이 비디오 버퍼내의 비디오 데이터의 어느 부분에 따르는지를 알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다양한 정보 아이템들은 서로 동기될 수 없다. 데이터 블록내에 현존하지 않는 데이터에 대한 버퍼내에 마커들을 제공함으로써, 운영 체제는 서로 동기된 다양한 정보 아이템들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운영체제는 디스크(제3도 참조)상에 얼마나 많은 N개 오디오 트랙들이 실제로 현재 데이터 블록에서 표시되는지를 결정하도록 필드(8)를 검토한다. 이와 같은 것은 필드(10)에서 표시된 M개의 "다른"오디오 트랙들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모든 오디오와 "다른" 오디오 트랙 데이터는 그들 각각의 버퍼내로 로딩된다. 플로우차트는 처음과 마지막의 오디오 트랙에 대해서만 시퀀스를 보여준다. 각 경우에서, 테스트는 오디오 트랙 또는 "다른" 오디오 트랙이 현재 데이터 블록내에 현존하는 데이터를 갖는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서 이행된다. 상기 트랙 각각은 각각의 버퍼내에 로딩되는 것-어느 하나의 마커보다 선행하는 실제 데이터, 또는 마커-으로 귀착한다.
비디오와 오디오 정보의 뒤에, 데이터 블록은 서브타이틀 갱신을 포함한다. 선택된 언어로 서브타이틀에 대한 갱신 정보가 있는 경우, 그것은 서브타이틀 버퍼내에 로딩된다; 그렇지 않으면 마커만이 저장된다. 서브타이틀에 관한 세 개의 블록들은 선택된 서브타이틀 언어에 대응하는 단일의 트랙에만 관한 것이다.
다음으로, 필드(14)내의 팬 스캔 갱신 플래그가 판독된다. 팬 스캔 갱신 정보가 현존하는 경우, 그것은 이번에는 팬 스캔 버퍼내에 또한 로딩된다. 사용가능한 새로운 정보가 없는 경우, 마커는 또 다른 데이터 블록이 새로운 팬 스캔 정보 없이 지나간 것을 나타내도록 팬 스캔 버퍼내에 단지 배치된다.
마지막으로, 시스템은 사용가능한 커맨드나 데이터(인입 트랙 필드(30)는 커맨드나 데이터가 데이터 블록에서 발견되어지도록 하는 경우)가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커맨드/데이터가 현존하는 경우(예컨대, 데이터 블록내의 필드(16)가 1인 경우), 그것은 필드(17)로부터 제2도의 마스터 콘트롤러(41)에 있는 메모리내로 로딩된다. 사용가능한 커맨드나 데이터가 없는 경우 마커만이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내에 로딩된다.
제6도의 처리 과정 시퀀스 중 어느 것도 각 유형의 정보가 우선적으로 디스크상에서 사용가능한지의 여부가 체크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없음을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나 "커맨드/데이터가 존재하는가?"와 같은 테스트는 사실상 두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인입 트랙의 필드(30)에 있는 데이터 블록 커맨드/데이터 플래그는 0인가 또는 1인가? 그것이 0인 경우, 커맨드와 데이터는 데이터 블록의 처리 과정 동안 발견되지조차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커맨드와 데이터가 인입 트랙의 필드(30)내의 1인 데이터 플래그의 결과로써 데이터 블록에서 현존할 수 있는 경우, 각 데이터 블록은 커맨드/데이터 현재 플래그가 1인지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체크된 필드(16)를 갖는다. 마커만이 로딩되거나, 또는 마커가 데이터 비트의 다음에 나오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데이터 블록 필드내의 플래그 값이다. 이와 유사하게 다른 시퀀스에서 적용된다. 예를들면, 인입 트랙으로부터 팬 스캔 정보가 디스크상에 현존하는 곳이 없음이 결정되는 경우 팬 스캔 정보가 현존하는 지의 여부를 체크할 이유가 없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원리를 적용시키는데 단지 예시적일 뿐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많은 변경이 본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른 장치들은 본 발명의 참뜻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고안될 수 있다.

Claims (11)

  1.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로부터 비디오 표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플레이어가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키고 그로부터 비디오 소스 정보를 유도하며, 선택된 비디오 표준에 따라 동일의 비디오 소스 정보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복수 개의 플레이어; 및 각각의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가 (i) 상기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용으로 위임받았던 비디오 표준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인입 섹션 및 (ii) 상기 인입 섹션 다음에 오는 섹션으로, 개별 비디오 소스 정보를 지니는 복수 개의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어 각각은 상기 코드에 관계없이 작동되는 어느 한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을 판독하는 수단, 및 단지 상기 선택된 비디오 표준이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내의 코드에 의해 위임받았던 비디오 표준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선택된 비디오 표준에 따라 비디오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에서 위임받지 못했던 비디오 표준에서의 비디오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의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비디오 표준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는 각각의 플레이어내의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시스템.
  3.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로부터 비디오 표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플레이어로서,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키고 그로부터 비디오 소스 정보를 유도하는 수단; 선택된 비디오 표준에 따라 상기 비디오 소스 정보로부터 복수 개의 비디오 표준중 하나의 비디오 표준에서의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상의 인입 섹션내에 포함된 디지탈 코드로부터 상기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의해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용으로 위임받았던 비디오 표준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코드에 관계없이, 상기 작동되는 어느 한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을 판독하는 수단; 및 단지 상기 선택된 비디오 표준이 상기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내의 코드에 의해 위임받았던 비디오 표준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선택된 비디오 표준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에서 위임받지 못했던 비디오 표준에서의 비디오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플레이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의 사용자가 상기 선택된 비디오 표준을 선택하는 것을 허용하는 수단을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플레이어.
  5.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킬 수 있는 지역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플레이어가,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키고 그로부터 소스 정보를 유도하며 동일의 소스 정보로부터 재생신호를 발생시키고, 각각의 플레이어가 사용할 목적으로 의도된 지역을 나타내는 복수 개의 플레이어; 및 각각의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가 (i) 상기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용으로 위임받았던 지역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인입 섹션 및 (ii) 상기 인입 섹션 다음에 오는 섹션으로, 개별 소스 정보를 지니는 복수 개의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어 각각은 코드에 관계없이, 상기 작동되는 어느 한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을 판독하는 수단 및 상기 표시된 지역을 나타내는 코드가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내의 코드에 의해 위임받았던 지역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재생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표시된 지역을 나타내는 코드가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에서 위임받았던 지역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재생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6.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킬 수 있는 지역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플레이어로서,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키고 그로부터 소스 정보를 유도하는 수단, 상기 소스 정보로부터 재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플레이어가 사용할 목적으로 의도된 지역을 나타내는 수단,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상의 인입 섹션내에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로부터 상기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용으로 위임받았던 지역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코드에 관계없이 상기 작동되는 어느 한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을 판독하는 수단, 및 단지 상기 표시된 지역이 상기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내의 코드에 의해 위임받았던 지역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재생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표시된 지역이 상기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에서 위임받았던 지역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재생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플레이어.
  7.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킬 수 있는 부분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플레이어가,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키고 그로부터 소스 정보를 유도하며 동일의 소스 정보로부터 재생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플레이어가 사용할 목적으로 의도된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를 나타내는 복수 개의 플레이어, 및 각각의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가 (i) 상기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작동이 상기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위임받았던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를 포함하는 인입 섹션 및 (ii) 상기 인입 섹션 다음에 오는 섹션으로, 개별 소스 정보를 지니는 복수개의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어 각각은 상기 코드에 관계없이, 상기 작동되는 어느 한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을 판독하는 수단 및 상기 플레이어내에 및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내에 표시된 코드 사이의 정합이 있는 경우에만 재생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플레이어내에 및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내에 표시된 코드 사이의 정합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재생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는 가산 수단을 포함하는 시스템.
  8.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킬 수 있는 부분을 제어하는 것을 허용하는 플레이어로서,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키고 그로부터 소스 정보를 유도하는 수단, 상기 소스 정보로부터 재생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 상기 플레이어가 사용할 목적으로 의도된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를 나타내는 수단, 상기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작동이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상의 인입 섹션내에 표시된 코드로부터 상기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위임받았던 부분을 결정하는 수단, 상기 코드에 관계없이, 상기 작동되는 어느 한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을 판독하는 수단, 및 상기 표시된 플레이어 코드가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내에 표시된 코드와 정합하는 경우에만 상기 재생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표시된 플레이어 코드가 상기 작동되는 디지탈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인입 섹션내에 표시된 코드와 정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재생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는 수단를 포함하는 플레이어.
  9.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소프트웨어 캐리어로부터 비디오 표준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양립가능한 플레이어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 캐리어로서, 비디오 신호가 복수 개의 미리 결정된 비디오 표준중 하나의 비디오 표준으로부터 선택된 표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비디오 소스 정보, 및 상기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위임받았던 비디오 표준을 식별하는 디지탈 코드를 포함하는 인입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인입 섹션은 단지 선택된 비디오 표준이 상기 인입 섹션내의 코드에 의해 식별되는 비디오 표준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선택된 비디오 표준에 따라 비디오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인입 섹션내의 코드에 의해 식별되지 않는 비디오 표준에서 비디오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상기 코드에 관계없이 상기 양립가능한 플레이어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캐리어.
  10.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시킬 수 있는 지역을 제어할 수 있게 하고 플레이어가 사용할 목적으로 의도된 지역을 나타내는 양립가능한 플레이어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 캐리어로서, 재생 신호가 표준 선택 형태로 발생될 수 있는 소스 정보, 및 상기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위임받았던 지역을 식별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인입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인입 섹션은 (i) 단지 상기 표시된 지역이 상기 인입 섹션내의 데이터에 의해 식별되는 지역중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재생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고, (ii) 상기 표시된 지역이 상기 인입 섹션에 의해 식별되는 지역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재생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상기 데이터에 관계없이 상기 양립가능한 플레이어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캐리어.
  11.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작동하는 부분을 제어할 수 있게 하고 플레이어가 사용할 목적으로 의도된 부분을 나타내는 코드를 나타내는 양립가능한 플레이어에서 작동되는 소프트웨어 캐리어로서, 재생 신호가 표준 선택 형태로 발생될 수 있는 소스 정보, 및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작동이 상기 소프트웨어 개봉자에 의해 위임받았던 부분을 식별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인입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인입 섹션은 (i) 단지 상기 표시된 플레이어 코드가 상기 인입 섹션내에 표시된 코드와 정합하는 경우에만 상기 코드와 관계없이 상기 재생 신호의 발생을 가능하게 하고, (ii) 상기 표시된 플레이어 코드가 상기 인입 섹션내에 표시된 코드와 정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재생 신호의 발생을 억제하도록 상기 코드에 관계없이 상기 양립가능한 플레이어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캐리어.
KR1019960702215A 1993-10-29 1994-10-13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스크 배급을 제어하는 시스템및방법 KR100235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145,979 US5488410A (en) 1993-10-29 1993-10-29 System and method for disk software publishers to control disk distribution
US145979 1993-10-29
US145,979 1993-10-29
PCT/US1994/011824 WO1995012283A1 (en) 1993-10-29 1994-10-13 System and method for disk software publishers to control disk distribu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265A KR960706265A (ko) 1996-11-08
KR100235288B1 true KR100235288B1 (ko) 1999-12-15

Family

ID=2251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215A KR100235288B1 (ko) 1993-10-29 1994-10-13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스크 배급을 제어하는 시스템및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488410A (ko)
EP (3) EP0977444B1 (ko)
JP (2) JP3012335B2 (ko)
KR (1) KR100235288B1 (ko)
AT (3) ATE198250T1 (ko)
AU (1) AU675185B2 (ko)
CA (1) CA2174112C (ko)
DE (4) DE69430764T2 (ko)
DK (3) DK0726016T3 (ko)
ES (3) ES2177186T3 (ko)
GR (2) GR3035255T3 (ko)
HK (1) HK1025456A1 (ko)
PT (3) PT977444E (ko)
WO (1) WO19950122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2568B1 (en) 1966-12-16 2001-09-18 Scientific-Atlanta, Inc. Representing entitlements to service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DE69319353T3 (de) 1993-10-29 2001-06-13 Toshiba Kawasaki Kk Aufzeichnungsmedium, wiedergabeverfahren und wiedergabegerät für mehrfachszenen
US5576843A (en) * 1993-10-29 1996-11-19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lay of multiple dialog audio tracks of a software carrier
US5812980A (en) * 1994-02-22 1998-09-22 Sega Enterprises, Ltd. Program operating apparatus
US5870467A (en) * 1994-09-16 1999-02-09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input/output management suitable for protection of electronic writing data
DE69522924T2 (de) * 1994-10-11 2002-04-1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anordnung zur übertragung eines interaktiven audiovisuellen programms
US6937729B2 (en) * 1995-04-03 2005-08-30 Scientific-Atlanta, Inc. Representing entitlements to service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US7224798B2 (en) * 1995-04-03 2007-05-29 Scientific-Atlant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partial dual-encrypted stream in a conditional access overlay system
US6424717B1 (en) 1995-04-03 2002-07-23 Scientific-Atlanta, Inc. Encryption devices for use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US6252964B1 (en) * 1995-04-03 2001-06-26 Scientific-Atlanta, Inc. Authorization of servic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US6246767B1 (en) 1995-04-03 2001-06-12 Scientific-Atlanta, Inc. Source authentication of download information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US8548166B2 (en) 1995-04-03 2013-10-01 Anthony J. Wasilewski Method for partially encrypting program data
US6560340B1 (en) 1995-04-03 2003-05-06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geographically limiting service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US20040136532A1 (en) * 1995-04-03 2004-07-15 Pinder Howard G. Partial dual-encrypted stream utilizing program map tables
US6009234A (en) * 1995-04-14 1999-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TW430785B (en) * 1995-04-14 2001-04-21 Toshiba Corp Interactively broadcasting recording-media and its regeneration system
US7065211B1 (en) * 1995-07-21 2006-06-20 Sony Corporation Signal reproducing/recording/transmit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signal recording medium
CN100364009C (zh) 1995-08-21 2008-0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生设备及记录方法
US5844617A (en) * 1995-10-05 1998-12-01 Yves C. Faroudja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vertical resolution of a television signal having degraded vertical chrominance transitions
EP0796540B1 (en) * 1995-10-05 2000-05-17 Faroudja Laboratories, Inc. Method for procucing from a standard-bandwidth color television signal a color video signal with extended vertical definition
US5896454A (en) * 1996-03-08 1999-04-20 Time Warner Entertainment Co., L.P.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pying and playing of digital programs
JP3816571B2 (ja) * 1996-03-15 2006-08-3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DE19612530A1 (de) * 1996-03-29 1997-10-02 Philips Patentverwaltung Verfahren und 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s hochaufgelösten digitalen Film-Masters
KR100439879B1 (ko) * 1996-04-12 2004-12-0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오디오비디오기능을실행할영상타이틀과,그렇지않은영상타이틀을수록하고,그들의차이를순간에분별할수있는광디스크및그재생장치,재생방법
US5754248A (en) * 1996-04-15 1998-05-19 Faroudja; Yves C. Universal video disc record and playback employing motion signals for high quality playback of non-film sources
TW412734B (en) * 1996-12-26 2000-11-21 Toshiba Corp Storage medium for recording data, regeneration device for regenerating data recorded in the storage medium, and regeneration system for regenerating data recorded in the storage medium via network
US6181364B1 (en) * 1997-05-16 2001-01-30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 for filtering content from videos
US7515712B2 (en) * 1997-08-01 2009-04-07 Cisco Technology, Inc. Mechanism and apparatus for encapsulation of entitlement authorization in conditional access system
US8813137B2 (en) * 1998-05-08 2014-08-19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ding digital image and audio signals
US6594825B1 (en) * 1998-10-30 2003-07-15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version of an entertainment program based on user preferences
US6732367B1 (en) * 1998-11-30 2004-05-0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with title and description blocking
KR100608268B1 (ko) * 1999-04-21 2006-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기록매체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디지털기록매체
WO2001015163A1 (fr) * 1999-08-20 2001-03-01 Sony Corporation Dispositif d'enregistrement et de reproduction d'information
US6985589B2 (en) * 1999-12-02 2006-01-10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storage of digital image and audio signals
CN1237536C (zh) * 2000-05-22 2006-01-18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在信息信号中嵌入水印的方法和设备
US7165268B1 (en) * 2000-10-17 2007-01-16 Moore Keith E Digital signatures for tangible medium delivery
US20020141582A1 (en) * 2001-03-28 2002-10-03 Kocher Paul C. Content security layer providing long-term renewable security
KR20040017530A (ko) * 2002-08-22 2004-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고밀도 재생 전용 광디스크와, 그에 따른 지역별 데이터재생방법
KR20050113631A (ko) * 2003-03-04 2005-12-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복제―방지물의 지역적 배포 제한
US8396216B2 (en) * 2003-11-21 2013-03-12 Howard G. Pinder Partial dual-encryption using program map tables
US20050234827A1 (en) * 2004-04-14 2005-10-20 Rudowsky Michael J System for processing executable applications to be suitable for distribution
US20110075537A1 (en) * 2009-09-25 2011-03-31 General Electric Company Holographic disc with improved features and method for the same
US11027138B2 (en) 2012-08-27 2021-06-08 Cardiac Pacemakers, Inc. Location-based services
US9031652B2 (en) 2012-08-27 2015-05-12 Cardiac Pacemakers, Inc. Use case-based services
CN104427357A (zh) * 2013-09-04 2015-03-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语言种类设置方法和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6547A (en) * 1988-09-02 1991-08-06 Silas Cynthia L Baby feeding bib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6537A (en) * 1984-11-19 1991-07-30 General Instrument Corp. Geographic black-out method for direct broadcast satellite system
ATE148819T1 (de) * 1990-09-19 1997-02-15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e und apparat zur regelung der anzeige des dargestellten bildes
US5111160A (en) * 1991-04-30 1992-05-05 The Grass Valley Group Clock generation circuit for multistandard serial digital video with automatic format identifi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6547A (en) * 1988-09-02 1991-08-06 Silas Cynthia L Baby feeding bi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75179A2 (en) 2000-01-26
PT977444E (pt) 2002-01-30
AU675185B2 (en) 1997-01-23
ES2163914T3 (es) 2002-02-01
JP3502308B2 (ja) 2004-03-02
US5488410A (en) 1996-01-30
JPH08511147A (ja) 1996-11-19
CA2174112A1 (en) 1995-05-04
EP0975179A3 (en) 2000-03-22
DK0975179T3 (da) 2002-07-15
EP0726016A4 (en) 1997-07-16
DE69430764D1 (de) 2002-07-11
DK0977444T3 (da) 2001-12-03
DE69428473D1 (de) 2001-10-31
DK0726016T3 (da) 2001-01-08
KR960706265A (ko) 1996-11-08
WO1995012283A1 (en) 1995-05-04
AU8080794A (en) 1995-05-22
EP0975179B1 (en) 2002-06-05
EP0977444B1 (en) 2001-09-26
ATE218782T1 (de) 2002-06-15
PT726016E (pt) 2001-03-30
EP0726016A1 (en) 1996-08-14
EP0977444A3 (en) 2000-03-22
HK1025456A1 (en) 2000-11-10
ES2152994T3 (es) 2001-02-16
DE69430764T2 (de) 2003-02-06
ES2177186T3 (es) 2002-12-01
ATE206266T1 (de) 2001-10-15
CA2174112C (en) 2000-05-02
JP2000102034A (ja) 2000-04-07
EP0977444A2 (en) 2000-02-02
GR3036897T3 (en) 2002-01-31
DE726016T1 (de) 1998-01-15
ATE198250T1 (de) 2001-01-15
DE69428473T2 (de) 2002-05-16
DE69426460D1 (de) 2001-01-25
DE69426460T2 (de) 2001-05-31
GR3035255T3 (en) 2001-04-30
EP0726016B1 (en) 2000-12-20
JP3012335B2 (ja) 2000-02-21
PT975179E (pt) 200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288B1 (ko) 소프트웨어 개봉자가 디스크 배급을 제어하는 시스템및방법
KR100236030B1 (ko) 단일의 종횡비로 레코딩된 영화 디스크로부터 다중 종횡비 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스템
KR100255873B1 (ko) 광학 디스크상에 저장되는 동일한 영화의 다중버젼의 상영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232119B1 (ko) 소프트웨어 캐리어를 인증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253675B1 (ko)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다중 다이얼로그 오디오 트랙의 상영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220446B1 (ko)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작동시 선택된 언어로된 영화 서브타이틀의 디스플레이
KR100231632B1 (ko) 소프트웨어 캐리어 및 그에 대한 플레이어의 데이타 블록 포맷9data block format for software carrier and player therefor)
KR100211554B1 (ko) 소프트웨어 캐리어의 다중 오디오 트랙의 상영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6408129B1 (en) Method for processing a plurality of synchronized audio tracks, including phase inversion of a selected tr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