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4195B1 - 일체형 체표면 전극 - Google Patents

일체형 체표면 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4195B1
KR100234195B1 KR1019980002638A KR19980002638A KR100234195B1 KR 100234195 B1 KR100234195 B1 KR 100234195B1 KR 1019980002638 A KR1019980002638 A KR 1019980002638A KR 19980002638 A KR19980002638 A KR 19980002638A KR 100234195 B1 KR100234195 B1 KR 100234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body surface
distance
common electrode
n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2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6587A (ko
Inventor
김인영
한완택
김원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02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4195B1/ko
Publication of KR1999006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6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4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4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일체형 체표면 전극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은, 피검사자의 신체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비전도성 패드와, 상기 비전도성 패드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공통전극과, 상기 공통전극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에서 제 n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n 전극을 포함하여, 단일 패드에 미리 설정된 거리 및 각도에 따라 공통 전극과 복수의 전극을 형성시킴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복수의 체표면 전극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검사장치의 계산량을 감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체표면 전극
본 발명은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체표면 전극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전극을 하나의 패드에 형성시킨 일체형 체표면 전극에 관한 것이다.
체표면 전극이란 일반적으로 피검사자의 신체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위전도신호와 같은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도 1에 종래의 체표면 전극을 도 1에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체표면 전극은 비전도성 패드(10) 및 비전도성 패드(10)를 관통하면서 고정되어 있는 전극(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참조부호 14는 검사장치의 전극 커넥터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전극 연결부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체표면 전극은 전극(12)의 접촉면이 피검사자의 신체표면에 접촉됨으로써 생체신호가 검출되며, 비전도성 패드(10)는 전극(12)을 신체표면에 접촉시키기 위한 것으로 통상 접착성 패드를 사용한다.
하지만, 피검사자의 생체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체표면 전극을 복수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검사자가 해당 부위에 체표면 전극을 각각 부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해당 피검사자를 시간을 두고 여러번 검사하는 경우 매번 각각의 체표면 전극을 항상 고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할 수는 없기 때문에 피검사자의 검사하고자 하는 신체 기관의 생체 신호를 일관성 있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검사 장치에서는 체표면 전극에서 검출되는 신호들을 이용하여 최종 생체 신호를 계산할 때, 각 전극의 이격된 거리 및 각도가 반영되어야 정확한 생체 신호가 계산되지만, 종래의 체표면 전극을 사용하면, 개개의 체표면 전극간의 거리 및 각도를 일일이 측정하는 것이 불편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전극간의 거리 및 각도가 반영되지 않은채 최종 생체 신호가 계산되므로, 검사 결과가 정확하지 않다. 또한, 통상 전극간의 거리 및 각도가 다르게 부착되므로 거리 및 각도가 생체 신호의 계산에 반영되더라도 최종 생체신호를 계산하는 데 계산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일 패드에 미리 설정된 거리 및 각도에 따라 공통 전극과 복수의 전극을 형성시킴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복수의 체표면 전극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체표면 전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체표면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일체형 체표면 전극에서 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비전도성 패드, 22...공통 전극,
24...제 1 전극, 26...제 2 전극.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은, 피검사자의 신체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비전도성 패드; 상기 비전도성 패드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에서 제 n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n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인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n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의 정수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n 전극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을 지나는 직선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n 전극을 지나는 직선과의 각도는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은, 피검사자의 신체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비전도성 패드; 상기 비전도성 패드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전극; 및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제 n 각도로 상기 공통전극에서 제 n 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n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인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n 각도 및 상기 n 거리는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은, 피검사자의 신체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비전도성 패드(20)와, 비전도성 패드(2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공통전극(22)과, 공통전극(22)에서 제 1 거리(d1)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전극(24) 및 제 1 전극(24)에서 제 2 거리(d2)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2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거리(d1)와 제 2 거리(d2)는 검사 장치의 계산량을 감축을 위하여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각도(θ)는 계산량의 감축을 위하여 직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은, 공통전극(22)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제 1 전극(24) 및 제 1 전극(24)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제 2 전극(26)이 단일 비전도성 패드(20)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체표면 전극과 같이 개별적으로 체표면 전극을 부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동일한 환자에게 반복적으로 검사가 행해지더라도 항상 일관성 있는 검사를 할 수 있어 검사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이격된 거리 및 각도(θ)가 미리 설정된 값이기 때문에 검사 장치에서 최종 생체신호를 계산할 때 계산량이 감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체형 체표면 전극에서의 각 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로서, 전극(32)은 비전도성 패드(30)를 관통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참조부호 34는 검사장치의 전극 커넥터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전극 연결부이고, 참조부호 36은 피검사자의 신체표면과 접촉되는 접촉부를 나타낸다.
도 4는 비전도성 패드(40)에 제 1 전극(44), 제 2 전극(46) 및 제 3 전극(48)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제 1 전극(44), 제 2 전극(46) 및 제 3 전극(48)이 일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지만, 반드시 일직선상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도 5는 비전도성 패드(50)에 제 1 전극(54), 제 2 전극(56) 및 제 3 전극(58)이 형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제 1 전극(54), 제 2 전극(56) 및 제 3 전극(58)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일체형 표면 전극은, 피검사자의 신체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비전도성 패드(60)와, 비전도성 패드(6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공통전극(62)과, 공통전극(62)에서 제 1 거리(d1)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전극(64)과, 제 1 전극(64)과 공통전극(62)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제 1 각도(θ1)로 공통전극(62)에서 제 2 거리(d2)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2 전극(66) 및 제 1 전극(64)과 공통전극(62)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제 2 각도(θ2)로 공통전극(62)에서 제 3 거리(d3)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3 전극(68)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 1 거리(d1), 제 2 거리(d2), 제 3 거리(d3)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며, 제 1 각도(θ1)와 제 2 각도(θ2)도 계산량의 감축을 위하여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체표면 전극은, 단일 패드에 미리 설정된 거리 및 각도에 따라 공통 전극과 복수의 전극을 형성시킴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복수의 체표면 전극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고 검사장치의 계산량을 감축시키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피검사자의 신체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비전도성 패드;
    상기 비전도성 패드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전극; 및
    상기 제 1 전극에서 제 n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n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인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체표면 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거리는 상기 제 1 거리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체표면 전극.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n 전극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체표면 전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을 지나는 직선과,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n 전극을 지나는 직선과의 각도는 직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체표면 전극.
  5. 피검사자의 신체표면에 부착하기 위한 비전도성 패드;
    상기 비전도성 패드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 공통전극;
    상기 공통전극에서 제 1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1 전극; 및
    상기 공통 전극과 상기 제 1 전극을 지나는 직선을 기준으로 제 n 각도로 상기 공통전극에서 제 n 거리 만큼 이격되어 형성된 제 n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n은 2 이상인 정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체표면 전극.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 n 각도 및 상기 n 거리는 각각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체표면 전극.
KR1019980002638A 1998-01-31 1998-01-31 일체형 체표면 전극 KR100234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638A KR100234195B1 (ko) 1998-01-31 1998-01-31 일체형 체표면 전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2638A KR100234195B1 (ko) 1998-01-31 1998-01-31 일체형 체표면 전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587A KR19990066587A (ko) 1999-08-16
KR100234195B1 true KR100234195B1 (ko) 1999-12-15

Family

ID=19532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2638A KR100234195B1 (ko) 1998-01-31 1998-01-31 일체형 체표면 전극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41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922B1 (ko) 2004-12-22 2006-07-25 이철성 성장점 및 통증점 치료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3922B1 (ko) 2004-12-22 2006-07-25 이철성 성장점 및 통증점 치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6587A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7719A (en) Pulse oximeter probe
US5680857A (en) Alignment guide system for transmissive pulse oximetry sensors
US5778879A (en) Electronic blood pressure meter with posture detector
US3810459A (en) Transcutaneous blood vessel probe with relocation marker
US2007018540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 operable stimulus intensity for nerve conduction testing
US20130061687A1 (en) Portable ultrasonic flow measuring system, measuring devices and measuring tube
US6511437B1 (en) Head blood flow balance inspecting apparatus
JP4214324B2 (ja) 生体組織の測定装置
US5738097A (en) Vector Doppler system for stroke screening
EP0895746A3 (en)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a living body
CN109561839A (zh) 母体监测换能器和操作方法
KR100234195B1 (ko) 일체형 체표면 전극
JP2008048987A (ja) 脈波測定装置
US5249467A (en)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EP3749175B1 (en) Arrangement with catheter and sensor arrangement
KR20090011479A (ko) 혈압측정장치
KR101023702B1 (ko) 맥파 측정 센서 및 측정 장치
JP3991524B2 (ja) 脈波解析法
CN207689494U (zh) 生化检测装置
CN113598824A (zh) 一种血管内超声设备分辨率的测试工具及方法
JP2006122458A (ja) 近赤外光イメージング装置のプローブ保持ホルダ
CN220085026U (zh) 脑电脑氧复合探头的测试装置
JPS5827542A (ja) 血流センサ−
CN216148085U (zh) 一种血管内超声设备分辨率的测试工具
JP2004129809A (ja) 頭部の左右血流バランス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