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429B1 -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429B1
KR100233429B1 KR1019970012493A KR19970012493A KR100233429B1 KR 100233429 B1 KR100233429 B1 KR 100233429B1 KR 1019970012493 A KR1019970012493 A KR 1019970012493A KR 19970012493 A KR19970012493 A KR 19970012493A KR 100233429 B1 KR100233429 B1 KR 100233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power cord
width
fastener
coup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6019A (ko
Inventor
황윤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429B1/ko
Publication of KR1998007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6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워코드의 외주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본체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개선하여 이물질이 전장품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는 본체하우징(100)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밀착부재(432)를 고정부재(430) 측면의 외주부에 연장 구성하였다. 따라서 결합구(420)와 고정부재(430) 사이에 형성된 틈새가 폐쇄됨으로써, 전장품실(4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
본 발명은 전자렌지의 파워코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하우징에 끼워져 결합되는 파워코드의 고정부재를 개선하여서 파워코드가 접속되는 부분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하여 이물질로 인한 전기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마그네트론에서 기본파 2450MHz의 고주파를 조리실 내부로 방사하여 음식물에 함유된 수분의 분자배열을 반복 변환시킴으로써, 분자들간의 마찰열에 의해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전자렌지는 본체하우징의 내부에 조리실과 전장품실이 구획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본체하우징은 조리실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와 외관을 이루는 외부케이스로 구성된다. 본체하우징의 전방에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콘트롤부가 결합된다. 내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각종 전장품이 내장되는 전장품실로서, 여기에는 고주파를 생성하여 조리실로 방사하는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 입력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쵸크코일이 탑재된 쵸크회로기판 및 전기부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부품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파워코드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파워코드(30)의 일단부에는 본체하우징(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신축재질의 고정부재(31)가 마련되고, 타단부에는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플러그(33)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재(31)는 내부에 파워코드(30) 일단부위가 관통하도록 사각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면을 제외한 3면에 체결홈(32)이 연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하우징(10)을 이루는 후면판(12)에는 고정부재(31)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결합구(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구(20)의 하부에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체결구(21)가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케이스(11)를 분해한 상태에서 결합구(20)에 사각체의 고정부재(31)를 삽입하고 하측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고정부재(31)의 체결홈(32)에 체결구(21)의 내주부가 끼워지게 됨으로써 고정부재(31)가 후면판(12)에 결합되고, 아울러 파워코드(30)의 일단부위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구(20)의 상측부와 고정부재(31)의 상측면부에는 전장품실(40)과 연통되는 여유공간과 틈새(A)가 발생되는데, 상측부에 형성된 여유공간은 외부케이스(11)를 후면판(12)과 조립하는 과정에서 폐쇄된다. 그러나 고정부재(31)의 측면 상부와 결합구(20)의 내주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A)는 그냥 유지되기 때문에, 직경이 가는 철사, 또는 이물질이 유입될 소지가 다분하게 된다.
특히, 어린아이가 이러한 틈새(A)를 이용하여 다수의 전기부품이 내장된 전장품실(40)로 철사나 젓가락을 삽입하면 감전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안전규정(신 UL규정)에도 위반되고, 또한 전기부품이 손상되어 고장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워코드를 본체하우징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의 외주부에 본체하우징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밀착부재를 연장 구성함으로써, 결합구와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폐쇄하여 전장품실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렌지의 파워코드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파워코드 고정부재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코드 고정부재의 체결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본체하우징 110..외부케이스 120..내부케이스
122..후면판 410..파워코드 420..결합구
421..체결구 430..고정부재 431..체결홈
432..밀착부재 433..삽입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실과 전장품실이 구획되어서 형성되고 배면에는 후면판이 설치된 본체하우징과, 상기 본체하우징의 전장품실에 설치된 전기부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단부에 플러그가 접속되어서 상기 후면판을 통과하는 파워코드와, 상기 파워코드가 상기 후면판을 통과하도록 상기 후면판에 A1의 폭을 갖고 형성된 결합구와, 상기 결합구의 폭(A1)보다 적은 A2의 폭을 갖고 상기 결합구와 연통되어서 상기 후면판에 형성된 체결구와, 상기 체결구가 형성된 상기 후면판에 상기 파워코드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파워코드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신축재로 구성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구는 통과되고 상기 체결구에는 걸림되도록 상기 결합구의 폭(A1)보다는 작고 상기 체결구의 폭(A2)보다는 그 폭(B1)이 크게 형성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후면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구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구의 폭보다 다소 적은 폭(B2)을 갖는 체결홈과, 상기 체결홈이 상기 체결구에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후면판에 고정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결합구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하여 상기 본체하우징의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체결구의 폭(A1)보다 큰 폭(B3)으로 상기 체결홈과 일체로 형성된 밀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과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전체적인 구조와 파워코드 고정부재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워코드 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파워코드 고정부재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하우징(100)에 조리실(미도시)과 전장품실(400)이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하우징(100)은 내부에 일면이 개방되도록 조리실(미도시)이 형성된 내부케이스(120), 내부케이스(12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리실(미도시)과 구획되게 전장품실(400)을 형성하며 외관을 이루는 외부케이스(110)로 구별된다.
내부케이스(120)는 일측부위에 조리실(미도시)의 개방부가 형성된 전면판(121), 측판(123,124), 그리고 후방을 폐쇄하는 후면판(1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전면판(121)과 후면판(122)은 전장품실(400)의 전 후방이 외부와 구획되도록 소정 폭 만큼 연장되어 있으며, 전면판(121)의 앞면에는 조리실(미도시)을 개폐하는 도어(200)와 전자렌지를 조작하는 콘트롤부(300)가 결합된다. 외부케이스(110)는 전단부가 전면판(121)의 가장자리부분과 결합되고, 후단부는 후면판(122)의 가장자리부분과 결합되어 외관을 이루는데, 이들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판상으로 이루어진 전면판(121)과 후면판(122)은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90도 절곡된 결합부(121a,122a)가 각각 성형되어 있으며, 후면판(12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스크류(111d)가 결합되는 구멍(122b)이 천공된다. 그리고 외부케이스(110)는 상판부(111)와 좌 우측판부(112,113)로 구별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이의 전단부에는 결합부(121a)가 삽입되도록 절곡된 결합부재(111c)가 구성되고, 후단부에는 90도 내향 절곡된 체결부(111a)가 마련된다. 미설명부호 111b는 후면판(122)에 형성된 구멍(122b)과 상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스크류(111d)가 관통하는 구멍이다.
그리고 전장품실(400)에는 조리실(미도시)로 고주파를 방사하는 마그네트론(미도시)과 고압트랜스(미도시), 입력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쵸크회로기판(미도시), 전기부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미도시)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전기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파워코드(410)가 후면판(122)을 관통하여 쵸크회로기판(미도시)과 접속되어 있는데, 이의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워코드(410)의 일단부는 후면판(122)을 관통하여 전장품실(400) 내부의 쵸크회로기판(미도시)과 접속되고, 타단부에는 외부전원과 접속되는 플러그(440)가 마련된다. 이를 위해 후면판(122)에는 사각형상의 소정폭을 갖는 결합구(420), 이와 연계되며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체결구(421)가 형성되고, 파워코드(410)의 일단부위에는 결합구(420)를 통해 삽입되어 체결구(421)에 결합되는 사각체의 고정부재(430)가 일체로 구성된다.
즉, 상기 후면판(122)에는 A1의 폭을 갖는 결합구(420)와, 상기 결합구(420)의 폭(A1)보다 적은 A2의 폭을 갖고 상기 결합구(420)와 연통된 체결구(421)가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부재(430)가 결합구(420)를 통해 삽입되어 체결구(421)에 결합되게 된다.
또, 상기 고정부재(430)는 신축재로 이루어지며, 중심 외주부에는 상면을 제외한 3면에 오목한 체결홈(431)이 연계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체결홈(431)을 경계로 하여 고정부재(430)의 전단부는 전장품실(400) 내부에 위치되며 후단부는 후면판(122) 외부에 위치되는데,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로 고정부재(430)의 후단부에는 밀착부재(432)가 외부로 연장되게 마련됨으로써, 고정부재(430)의 결합시 밀착부재(432)가 결합구(420) 인접부위의 후면판(122) 외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부재(430)와 결합구(420) 내주부 사이에 형성된 틈새를 폐쇄하게 된다. 이 때, 고정부재(430)의 상측면과 결합구(420) 상부 사이에 형성된 여유공간은 외부케이스(110)를 결합하게 되면, 체결부(111a)에 의해 막히게 된다.
즉, 즉, 상기 고정부재(430)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구(420)는 통과되고 상기 체결구(421)에는 걸림되도록 상기 결합구(420)의 폭(A1)보다는 작고 상기 체결구(421)의 폭(A2)보다는 그 폭(B1)이 크게 형성된 삽입부(433)와, 상기 삽입부(433)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부재(430)가 상기 후면판(12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구(421)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구(421)의 폭(A2)보다 다소 적은 폭(B2)을 갖는 체결홈(431)과, 상기 체결홈(431)이 상기 체결구(421)에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부재(430)가 상기 후면판(122)에 고정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430)와 상기 결합구(420)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하여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체결구(421)의 폭(A1)보다 큰 폭(B3)으로 상기 체결홈(431)과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후면판(122)과 외측면에 접촉된 밀착부재(432)로 이루어진다.
외부케이스(110)를 분해한 상태에서 결합구(420)에 고정부재(430)를 삽입하고 하측방향으로 내리게 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결홈(431)에 체결구(421)의 내주부가 끼워져 고정부재(430)가 후면판(122)에 고정되며, 고정부재(430)의 후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된 밀착부재(432)는 후면판(122) 외측면과 접하여 전장품실(400)과 연통되는 틈새를 막게 된다.
따라서 파워코드(41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430)와 이것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구(420) 사이에 형성된 틈새는 밀착부재(432)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전장품실(400)로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가 없고, 특히 어린아이가 다수의 전기부품이 내장된 전장품실(400)로 철사나 젓가락을 삽입할 수 없도록 마련되어 안전사고, 즉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의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는 본체하우징의 외측면과 밀착되도록 밀착부재를 고정부재 측면의 외주부에 연장 구성하였다. 따라서 결합구와 고정부재 사이에 형성된 틈새가 폐쇄됨으로써, 전장품실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조리실과 전장품실(400)이 구획되어서 형성되고 배면에는 후면판(122)이 설치된 본체하우징(100)과, 상기 본체하우징(100)이 전장품실(400)에 설치된 전기부품으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단부에 플러그(440)가 접속되어서 상기 후면판(122)을 통과하는 파워코드(410)와, 상기 파워코드(410)가 상기 후면판(122)을 통과하도록 상기 후면판(122)에 A1의 폭을 갖고 형성된 결합구(420)와, 상기 결합구(420)의 폭(A1)보다 적은 A2의 폭을 갖고 상기 결합구(420)와 연통되어서 상기 후면판(122)에 형성된 체결구(421)와, 상기 체결구(421)가 형성된 상기 후면판(122)에 상기 파워코드(410)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파워코드(410)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신축재로 구성된 고정부재(430)로 이루어진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30)는,
    상기 결합구(420)는 통과되고 상기 체결구(421)에는 걸림되도록 상기 결합구(420)의 폭(A1)보다는 작고 상기 체결구(421)의 폭(A2)보다는 그 폭(B1)이 크게 형성된 삽입부(433)와,
    상기 삽입부(433)와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부재(430)가 상기 후면판(122)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체결구(421)에 삽입되며 상기 체결구(421)의 폭(A2)보다 다소 적은 폭(B2)을 갖는 체결홈(431)과,
    상기 체결홈(431)이 상기 체결구(421)에 삽입되어서 상기 고정부재(430)가 상기 후면판(122)에 고정될 경우 상기 고정부재(430)와 상기 결합구(420)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하여 상기 본체하우징(100)의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체결구(421)의 폭(A1)보다 큰 폭(B3)으로 상기 체결홈(431)과 일체로 형성된 밀착부재(4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재(432)는 상기 고정부재(430)의 측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의 파워코드 고정부재.
KR1019970012493A 1997-04-04 1997-04-04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 KR100233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493A KR100233429B1 (ko) 1997-04-04 1997-04-04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493A KR100233429B1 (ko) 1997-04-04 1997-04-04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019A KR19980076019A (ko) 1998-11-16
KR100233429B1 true KR100233429B1 (ko) 1999-12-01

Family

ID=1950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493A KR100233429B1 (ko) 1997-04-04 1997-04-04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34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93B1 (ko) * 2006-05-10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레인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580Y1 (ko) * 1993-12-13 1996-07-06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코드홀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5580Y1 (ko) * 1993-12-13 1996-07-06 대우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코드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93B1 (ko) * 2006-05-10 2007-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레인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6019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431B1 (ko) 전자렌지의 쵸크회로기판 보호장치
KR100233437B1 (ko) 전자렌지의 도어
KR100233429B1 (ko) 전자렌지 전장품실로의 이물질 유입방지를 위한 파워코드 고정부재
EP0848578B1 (en) Microwave oven
KR100218960B1 (ko) 전자렌지의 휴즈홀더 고정장치
KR100306628B1 (ko) 전자렌지
KR200217747Y1 (ko) 전자렌지의 도어
KR20150016045A (ko) 전자레인지
KR200214529Y1 (ko) 전자렌지의 작동표시창 고정장치
KR200229353Y1 (ko) 전자레인지의 파워코드 장착구조
KR100562103B1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판넬 결합구조
KR100399140B1 (ko) 전자렌지
KR100712279B1 (ko) 전자렌지 도어의 쵸크 변형 방지 구조
KR200153342Y1 (ko) 전자렌지의 도어구조
KR200189548Y1 (ko) 전자렌지
KR200214528Y1 (ko) 전자렌지의 작동표시창 고정장치
KR19980084099A (ko) 전자렌지
KR100224444B1 (ko) 전자레인지
KR200160254Y1 (ko) 전자레인지의 파워코드
KR200150897Y1 (ko) 전자렌지용 노이즈 필터 설치구조
JPH0140479B2 (ko)
KR19990041575A (ko) 전자렌지의 고압 다이오드용 안전 커버
KR19990003162U (ko) 콘센트를 구비한 전자렌지
KR20040029877A (ko) 모니터룩 전자레인지의 랫치보드 구조
KR20000003147U (ko) 전자렌지용 도어조립체의 전면도어와 도어스크린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