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419B1 - 동벡터전송방법, 동벡터전송장치, 동벡터복호화방법 및 동벡터복호화장치 - Google Patents
동벡터전송방법, 동벡터전송장치, 동벡터복호화방법 및 동벡터복호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33419B1 KR100233419B1 KR1019950035901A KR19950035901A KR100233419B1 KR 100233419 B1 KR100233419 B1 KR 100233419B1 KR 1019950035901 A KR1019950035901 A KR 1019950035901A KR 19950035901 A KR19950035901 A KR 19950035901A KR 100233419 B1 KR100233419 B1 KR 1002334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frame
- circuit
- prediction
- frame data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動)벡터전송방법, 동벡터전송장치, 동벡터복호화(復號化)방법 및 동벡터복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제1 및 제2의 화상간의 동(動)벡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벡터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벡터에 따른 데이터를 어떤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잉여를 연산하고, 상기 몫을 소정의 VLC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하여 가변길이부호를 발생하고,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전송함으로써, 효율 좋게 동벡터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신호전송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2도는 영상신호전송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3도는 전송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도는 재배열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5도는 재배열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6도는 동벡터검출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7도는 동벡터검출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8도는 프레임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9도는 동벡터의 우선검출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곡선도.
제10도는 적응예측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11도는 적응예측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12도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의 우선선택을 설명하기 위한 특성곡선도.
제13도는 전송프레임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14도~제16도는 프레임데이터의 헤더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17도는 수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제18도는 노멀재생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19도는 역전재생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20도는 적응예측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21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약선도.
제22도는 다른 실시예의 적응예측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23도는 적응예측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24도는 적응예측회로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낸 약선도.
제25도 및 제26도는 동벡터의 검출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27도는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를 나타낸 블록도.
제28도 및 제29도는 동벡터의 부호화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30도 및 제31도는 리드온리메모리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제32도 및 제33도는 부호화처리된 동벡터의 데이터를 나타낸 약선도.
제34도 및 제35도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약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송신장치 4,33,203 : 재배열회로
6 : 동벡터검출회로 10,214 : 적응예측회로
18 : 재양자화회로 22,211 : 역재양자화회로
200 : 수신장치
본 발명은 동(動)벡터전송방법, 동벡터전송장치, 동벡터복호화(復號化)방법 및 동벡터복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동화(動畵)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적용하여 적합한 동벡터전송방법, 동벡터전송장치, 동벡터복호화방법 및 동벡터복호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면 텔레비전회의시스템, 텔레비전전화시스템 등과 같이 동화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영상신호를 원격지에 전송하는 이른바 영상신호전송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송로의 전송용량을 효율 좋게 이용함으로써 유의(有意)정보의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송신장치는 순차 이어지는 프레임화상의 전부를 전송하지 않고, 소정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이른바 프레임드롭처리를 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대하여, 수신장치측에 있어서는, 송신장치측으로부터 당해 프레임드롭된 프레임의 영상신호의 대신에 전송되어 오는 동벡터를 사용하여, 프레임드롭처리된 프레임화상을 그 전후의 프레임화상정보에 따라서 보간연산함으로써, 원래의 영상신호를 재현한다(일본국 특개소 60(1985)-28392호 공보).
이 수법에 의하면, 이론상 프레임드롭처리된 프레임화상정보를 전송하는 것 대신에, 그 정보량보다 작은 정보량의 동벡터정보를 전송하는 것만으로 되는 만큼, 영상신호의 유의정보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프레임이 드롭되면 될수록, 고능률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실제상 콤팩트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영상신호를 고효율 부호화하여 기록하는 경우, 에러의 발생을 피할 수 없고, 또 기록된 영상신호를 역전재생, 랜덤액세스하므로, 프레임의 드롭이 많아지면, 고품질로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효율적으로 동벡터를 전송하고, 또한 동벡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동벡터전송방법, 동벡터전송장치, 동벡터복호화방법 및 동벡터복호화장치를 제안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동벡터전송방법은 제1 및 제2의 화상간의 동벡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벡터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벡터에 따른 데이터를 어떤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잉여를 연산하고, 상기 몫을 소정의 VLC 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하여 가변길이부호를 발생하고,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벡터전송자치는 제1 및 제2의 화상간의 동벡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벡터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벡터에 따른 데이터를 어떤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잉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몫을 소정의 VLC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하여 가변길이부호를 발생하는 가변길이부호화수단과,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전송하는 전송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벡터복호화방법은 부호화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화상간의 동벡터에 따른 데이터를 어떤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잉여를 연산하고, 상기 몫을 소정의 VLC 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하여 가별길이부호를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의 형식으로 전송된 부호화동벡터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동벡터복호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가변길이부호와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복호화하여 상기 동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동벡터복호화장치는 부호화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화상간의 동벡터에 따른 데이터를 어떤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잉여를 연산하고, 상기 몫을 소정의 VLC 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하여 가변길이부호를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의 형식으로 전송된 부호화동벡터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동벡터복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가변길이부호와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복호화하여 상기 동벡터를 재현하는 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1) 영상신호전송의 원리
본 발명에 의한 영상신호부호화방법을 영상신호전송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법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즉, 송신장치는 순차 프레임데이터 F0, F1, F2, F3…의 연속하는 영상신호 DV(제1도의 (a))를 소정 프레임군으로 분할하여 처리한다.
즉, 이 실시예에 있어서, 송신장치는 프레임데이터 F0, F1, F2, F3…를 6프레임단위의 프레임군으로 분할하고, 각 프레임군의 선두프레임데이터 F0, F6를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는 화상을, 예를 들면 주사선방향에 따라서 1차원적 또는 2차원적으로 인접하는 화소데이터간의 차분(差分)을 구하는 압축처리를 실행하고, 이로써 각 화상에 대하여 데이터량을 압축한 전송프레임데이터를 형성하는 처리로 된다.
따라서, 수신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된 전송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는, 당해 1프레임분의 전송프레임데이터를 순차 가산처리함으로써, 1프레임분의 프레임데이터를 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송신장치는 각 프레임군의 선두프레임데이터 F0, F6 이외의 프레임데이터 F1, F2, F3…를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는 처음에 기준으로 되는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와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와의 사이에서 동(動)벡터를 검출한 후, 동벡터분만큼 당해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를 변위시킨 프레임데이터 (이하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라고 함)를 형성하고, 당해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와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라고 함)를 형성하고, 당해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와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와의 편차데이터를 동벡터와 함께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프레임데이터를 형성하는 처리로 된다.
따라서, 송신장치에 있어서는, 각 프레임군의 선두프레임데이터 F0, F6 이외의 프레임데이터 F1, F2, F3…에 대하여, 소정의 예측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동벡터를 검출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송신장치에 있어서는, 각 프레임데이터 F1, F2, F3…에 대하여 각각 2개의 예측프레임이 할당되도록 되어, 각 예측프레임에 대하여 동벡터를 검출한다.
또한, 송신장치에 있어서는, 검출된 2개의 동벡터에 따라서, 각각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로부터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를 형성한 후, 그 결과 얻어지는 2개의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를 보간(補間)하여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를 형성하고, 예측 결과의 프레임데이터 및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로부터 편차데이터가 가장 작아지는 프레임데이터를 선택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선택예측처리로 되어, 이하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선행하여 입력된 프레임데이터를 예측프레임으로 하는 것을 전예측,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후행하여 입력된 프레임데이터를 예측프레임으로 하는 것을 후예측,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을 보간예측이라고 한다.
이로써, 송신장치는 전송프레임데이터의 데이터량이 최소로 되도록, 선택적으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를 하게 되고, 이리하여 전송효율을 향상시켜 영상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송신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할 때에, 처음에 각 프레임군의 제4 프레임데이터 F3, F9에 대하여, 그 전후의 프레임데이터 F0 및 F6, F6 및 F12를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후 (이하 레벨 1의 처리라고 함), 이어서 나머지의 프레임데이터 F1, F2, F4, F5…를 그 전후의 프레임데이터 F0 및 F3, F3 및 F6…를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다 (이하 레벨 2의 처리라고 한다).
즉,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에 있어서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에 비하여 전송을 위한 데이터량을 저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므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를 많게 하면, 그만큼 영상신호 전체로서 적은 데이터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런데,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는 프레임데이터가 증가하면, 그만큼 기준으로 되는 예측프레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그만큼 멀리 떨어진 프레임데이터 사이에서 동벡터를 검출하지 않으면 안되고, 동벡터의 검출처리 등이 번잡하게 되고, 특히 선택예측화처리하는 경우, 검출하는 동벡터가 증가하므로, 송신장치의 구성이 복잡화된다.
그런데, 이 실시예와 같이, 프레임데이터 F0 및 F6를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여 프레임데이터 F3를 처음에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후, 당해 프레임데이터 F3 및 프레임데이터 F0, F6를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여, 그 사이의 프레임데이터 F1, F2, F4, F5…를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면, 비교적 근접한 프레임데이터 사이에서 동벡터를 검출하면 되고, 그만큼 간단한 구성으로 효율 좋게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리하여, 레벨 1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에 있어서, 송신장치는 당해 프레임군의 선두프레임데이터 F0 및 이어지는 프레임군의 선두프레임데이터 F6를 동벡터검출용의 기준으로 되는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고, 각각 전예측 및 후예측한다.
즉, 송신장치는 당해 프레임데이터 F0 및 F6와, 제4 프레임데이터 F3와의 사이에서, 각각 전예측용 및 후예측용 동벡터 MV3P 및 MV3N를 검출한 후 (제1도의(b)), 동벡터 MV3P 및 MV3N 분만큼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 F0 및 F6를 변위시켜서, 전예측 및 후예측용의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P, FN를 형성한다.
이어서, 송신장치는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P 및 FN를 직선보간하여 보간예측용의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PN를 형성한다.
또한, 송신장치는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P, FN 및 FPN와, 프레임데이터 F3의 편차데이터 ΔFP, ΔFN 및 ΔFPN를 얻은 후, 당해 편차데이터 ΔFP, ΔFN 및 ΔFPN 로부터, 가장 작은 편차데이터를 선택하여, 동벡터 MV3P 및 MV3N와 함께, 전송프레임데이터 F3X로 변환한다(제1도의(d)).
이리하여, 수신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여 형성된 전송프레임데이터 F0X, F6X로부터 원래의 프레임데이터 F0 및 F6를 재현한 후,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F0, F6 및 전송프레임데이터 F3X에 따라서 원래의 프레임데이터 F3를 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송신장치는 레벨 2의 처리에 있어서, 각 프레임군의 제1 및 제2 프레임데이터 F1 및 F2, F7 및 F8…에 대하여, 선두프레임데이터 F0, F6 및 제4 프레임데이터 F3, F9를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고, 각각 전예측 및 후예측한다.
따라서, 송신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데이터 F0, F3에 따라서, 동벡터 MV1P 및 MV1N, MV2P 및 MV2N를 검출한 후 (제1도의(c)), 당해 동벡터 MV1P 및 MV1N, MV2P 및 MV2N에 따라서 각각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P 및 FN를 형성하는 동시에,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PN를 형성한다.
또한, 프레임데이터 FP, FN 및 FPN에 따라서 각각 편차데이터 ΔFP, ΔFN 및 ΔFPN를 얻은 후, 당해 편차데이터 ΔFP, ΔFN 및 ΔFPN로부터 가장 작은 편차데이터를 선택하여, 동벡터 MV1P 및 MV1N, MV2P 및 MV2N와 함께 전송프레임데이터 F1X 및 F2X로 변환한다.
마찬가지로, 제5 및 제6 프레임데이터 F4 및 F5, F10 및 F11…에 대하여는, 제4프레임데이터 F3 및 이어지는 프레임군의 선두프레임데이터 F6를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고, 각각 전예측 및 후예측한다.
여기서, 각각 동벡터 MV4P 및 MV4N, MV5P 및 MV5N가 검출되면, 송신장치는 동벡터 MV4P 및 MV4N, MV5P 및 MV5N에 따라서 각각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P, FN 및 FPN를 형성하여 편차데이터 ΔFP, ΔFN 및 ΔFPN를 얻은 후, 당해 편차데이터 ΔFP, ΔFN 및 ΔFPN로부터 가장 작은 편차데이터를 선택하여, 동벡터 MV4P 및 MV4N, MV5P 및 MV5N와 함께 전송프레임데이터 F4X 및 F5X로 변환한다.
이리하여, 프레임데이터를 6프레임단위로 구분하여,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를 조합하여 전송함으로써,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한 프레임데이터 F0, F6…를 재현하여, 나머지의 프레임데이터를 순차 재현할 수 있고, 이리하여 에러가 발생해도 다른 프레임군으로의 에러전송을 방지할 수 있고, 그만큼 콤팩트디스크 등에 적용하여, 고화질의 영상신호를 고능률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역전재생, 랜덤액세스해도 확실히 프레임데이터를 재현할 수 있고, 그만큼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영상신호를 고능률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송프레임데이터 F0X~F5X를 각 프레임군중에서,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순서로 재배열하여 전송하게 되고 (제1도의(e)), 이 때 각 화상데이터 F0X~F5X에 그 예측프레임데이터 및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된 전송프레임데이터를 나타내는 식별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즉, 프레임데이터 F1, F2 및 F4, F5에 있어서는, 부호화 및 복호화(復號化)를 위하여 각각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 F0, F3 및 F3, F6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데이터 F3에 있어서는,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하여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 F0, F6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신장치에 있어서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티터를 기호 A로, 레벨 1 및 레벨 2로 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를 기호 B 및 C로 나타내면, 전송프레임데이터 DATA(제2도의(a))를 프레임데이터 A0, B3, C1, C2, C4, C5, A6, B9…의 순서로 출력한다.
이 때, 송신장치는 전송프레임데이터와 함께 전예측, 후예측, 보간예측식별용의 예측인덱스 PINDEX 각각 전예측 및 후예측의 예측프레임을 나타내는 전예측기준인덱스 PID(제2도의(b))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제2도의(c))를 전송하게 되고, 이로써 수신장치에 있어서 간단히 전송프레임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제상, 이와 같이 전예측, 후예측 또는 보간예측식별용의 예측인덱스 PINDEX와 예측프레임을 나타내는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전송프레임데이터와 함께 전송하면, 수신장치측에서 간단히 복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고, 이 실시예와 프레임군의 길이, 레벨 1, 레벨 2의 처리프레임 등이 상이한 포맷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원래의 프레임데이터를 간단히 복호할 수 있다.
즉, 예측인덱스 PINDEX에 따라서,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로 나타내는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를 그 동벡터의 분만큼 변위시킨 후, 전송된 편차데이터를 가산하면 원래의 프레임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포맷으로 부호화된 영상신호도 간단히 복호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영상신호전송시스템 전체로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하나의 영상신호중, 하나의 기록매체중에서 포맷을 선택적으로 전환할 수도 있고, 그만큼 고화질의 동화영상신호를 간단히 전송할 수 있다.
(2) 실시예의 구성
(2-1) 송신장치의 구성
제3도에 있어서, (1)은 전술한 영상신호전송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지는 영상신호 전송시스템의 송신장치를 나타내고, 입력영상신호 VDIN를 고능률 부호화하여 전송프레임데이터 DATA로 변환한 후, 콤팩트디스크에 기록한다.
송신장치(1)는 입력영상신호 VDIN를 화상데이터입력부(2)에 부여하고, 여기서 입력영상신호 VDIN를 구성하는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한 후, 데이터량을 1/4로 저감한다.
즉, 화상데이터입력부(2)는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휘도신호를 편(片)필드드롭회로(도시하지 않음)에 부여하여 1필드분 삭제한 후, 나머지 1필드분의 휘도신호를 1라인 건너서 제거한다.
또한, 화상데이터입력부(2)는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2개의 색차신호를 1필드분 삭제한 후, 1라인마다 선택출력한다.
또한, 화상데이터입력부(2)는 제거된 휘도신호 및 선택출력되는 색차신호를 시간축변환회로를 통하여 소정의 전송레이트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로써, 화상데이터입력부(2)를 통하여 입력영상신호 VDIN에 예비적 처리를 행하고, 전술한 순차프레임데이터의 연속하는 화상데이터 DV를 생성하도록 되어 있다.
재배열회로(4)는 스타트펄스신호 ST가 입력되면, 순차 프레임데이터 A0, C1, C2, B3, C4, C5, A6, C7…의 순서로 입력되는 화상데이터 DV를 6프레임단위로 프레임군으로 분할한 후, 부호화처리하는 순서 A0, A6, B3, C1, C2, C4, C5, A12, B9, C7…로 재배열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부호화처리하는 순서로 프레임데이터를 재배열하여 처리하면, 그만큼 이어지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재배열회로(4)는 엔드펄스신호 END가 상승하면, 그 직전까지 입력된 프레임데이터까지 재배열한 후, 프레임데이터의 출력을 정지한다.
또한, 재배열회로(4)는 각 프레임군의 선두에서 신호레벨이 상승하는 프레임군인덱스 GOF,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및 프레임군중에 있어서의 프레임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템포러리인덱스(temporary index) TR를 출력한다.
동벡터검출회로(6)는 재배열된 화상데이터 DVN를 수신하고, 각 프레임데이터를 소정의 매크로단위블록으로 분할하여 처리한다.
이 때, 동벡터검출회로(6)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A0, A6…에 대하여는, 소정 시간만큼 지연시켜 매크로단위블록마다 이어지는감산회로(8)에 출력하는데 대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에 대하여는, 각 매크로단위블록마다 소정의 예측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동벡터 MVP 및 MVN를 검출한다.
또한, 이 때 동벡터검출회로(6)는 절대치합회로에 있어서,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와,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와의 편차데이터를 얻어, 당해 편차데이터의 절대치합으로 되는 에러데이터 ER를 얻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당해 에러데이터 ER를 사용하여 양자화스텝사이즈 등을 전환하게 되고, 이로써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영상신호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동벡터검출회로(6)는 재배열된 화상데이터 DVN와 함께 프레임군인덱스 GOF,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및 템포러리인덱스 TR를 동벡터검출처리 시간분만큼 지연시켜서 이어지는 처리회로에 매크로단위블록마다 출력한다.
감산회로(8)는 적응예측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예측데이터 DPRI및 화상데이터 DVN의 차(差)데이터를 얻음으로써, 편차데이터 DZ를 작성하여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에 출력한다.
여기서, 적응예측회로(10)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에 있어서는, 각 매크로단위블록마다 각 화소의 화상데이터의 평균치를 예측데이터 DPRI로서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에 있어서, 적응예측회로(10)는 선택예측화처리를 실행하여 전예측, 후예측 및 보간예측을 선택한 후, 선택된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를 예측프레임데이터 DPRI로서 매크로단위블록마다 출력한다.
이로써, 감산회로(8)를 통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편차데이터 DZ(제1도에 있어서 데이터량이 가장 작은 편차데이터 ΔFP, ΔFNP, ΔFN에 상당함)를 얻을 수 있는데 대하여,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데이터 DZ를 얻을 수 있다.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의 수법을 이용하여, 매크로단위블록마다 편차데이터 DZ를 변환한다.
승산회로(14)는 가중제어회로(16)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를 가중처리한다.
즉, 인간의 시각은, 예를 들면 미세하게 밝기가 변화하는 표시화상에 대하여는, 당해 영상신호를 크게 양자화하여 전송해도, 화질열화를 지각할 수 없다.
이에 반하여, 밝기가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는, 당해 영역의 영상 신호를 크게 양자화하여 전송하면, 현저하게 화질의 열화를 지각할 수 있다.
따라서, 미세하게 밝기가 변화하는 영역에 대하여는 크게 양자화하고, 밝기가 완만하게 변화하고 있는 영역에 대하여는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작게 하면,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효율 좋게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간주파수가 높은 부분에 대하여는, 양자화스텝사이즈를 크게 하고, 공간주파수가 낮은 부분에 대하여는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작게 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동벡터검출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에러데이터 ER에 따라서,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로 되는 계수를 가중처리함으로써, 인간이 지각하기 어려운 성분에 대하여 등가적으로 양자화스텝사이즈를 크게 하고, 이로써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효율 좋게 영상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재양자화회로(18)는 승산회로(14)의 출력데이터를 재양자화고, 이때 데이터량제어회로(2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인간의 시각은 표시화상에 있어서 물체의 윤곽, 경계가 선명한 쪽이 화질이 양호하다고 지각하므로, 당해 물체의 윤곽, 경계부분에서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작게 하면, 그만큼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효율 좋게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량, 버퍼회로(21)의 입력데이터량 및 어레데이터 ER에 따라서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전환하게 되고, 이로써 화상의 성질을 반영하여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를 재양자화하게 되고, 이리하여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각 프레임데이터를 일정한 데이터량으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역재양자화회로(22)는 재양자화회로(18)의 출력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양자화회로(18)와 역의 재양자화처리를 실행하고, 이로써 재양자화회로(18)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한다.
역승산회로(24)는 승산회로(14)와는 역으로, 역재양자화회로(22)의 출력데이터를 승산처리하고, 이로써 승산회로(14)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한다.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6)는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와는 역으로, 역승산회로(24)의 출력데이터를 변환하고, 이로써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한다.
가산회로(28)는 적응예측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예측데이터 DPRI를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6)의 출력데이터에 가산한 후, 적응예측회로(10)에 출력한다.
따라서, 적응예측회로(10)에 있어서는, 가산회로(28)를 통하여 감산회로(8)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 DF를 얻을 수 있고, 이로써 당해 프레임데이터 DF를 선택적으로 취입하여 예측프레임을 설정하고, 이어서 감산회로(8)에 입력되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선택예측결과를 얻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처리할 순서로 프레임데이터를 재배열하여 입력함으로써, 적응예측회로(10)에 있어서는, 프레임데이터 DF를 순차 선택적으로 취입하여 선택예측결과를 검출하면 되고, 그만큼 간단한 구성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런렝쓰허프만(run-length Huffman)부호화회로(30)는 재양자화회로(18)의 출력데이터를 가변길이부호화처리로 되는 허프만부호화처리한 후,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4)는 동벡터 MVN 및 MVP를 허프만부호화처리하여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에 출력한다.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는 프레임펄스신호 SFP에 동기하여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0,34)의 출력데이터, 예측인덱스 PINDEX,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및 템포러리인덱스 TR를 가중제어회로(16) 및 데이터량제어회로(20)의 제어정보등과 함께 소정의 순서로 출력한다.
재배열회로(33)는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의 출력데이터를 각 프레임군마다 부호화처리한 순서로 재배열하여 버퍼회로(21)에 출력하고, 이로써 버퍼회로(21)를 통하여 전송프레임데이터 DATA를 출력한다.
이리하여, 입력영상신호 VDIN를 고능률 부호화한 전송프레임데이터 DATA를 얻을 수 있고, 동기신호 등과 함께 당해 전송프레임데이터 DATA를 콤팩트디스크에 기록함으로써,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영상신호를 고밀도 기록할 수 있다.
(2-2) 재배열회로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배열회로(4)는 프레임펄스신호 SFP(제5(a)도)에 동기 동작하고, 스타트펄스신호 ST(제5(b)도)가 상승된 후, 엔드펄스신호 END(제5(c)도)가 상승하기까지 입력된 화상데이터 DV(제5(d)도)를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순서로 재배열하여 출력한다(제5(e)도).
즉, 재배열회로(4)는 순차 카운트치가 증가하는 카운터회로(40)의 클리어단자 C에 OR회로(42)를 통하여 스타트펄스신호 ST를 부여하고, 이로써 프레임펄스신호 SFP에 동기하여 순차 값이 전환되는 카운트데이터 COUNT(제5(f)도)를 생성한다.
디코더회로(44)는 카운트데이터 COUNT가 값 5로 상승하면, OR회로(46,42)를 통하여 카운터회로(40)의 클리어단자 C를 상승시킨다.
이로써, 카운트데이터 COUNT에 있어서는, 값 0에서 값 5까지의 범위에서 프레임펄스신호 SFP에 동기하여 순차 순환적으로 값이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지연회로(48)는 스타트펄스신호 ST를 5프레임주기만큼 지연시킨 후, OR회로(46,42)를 통하여 카운터회로(40)의 클리어단자 C에 출력한다.
따라서, 스타트펄스신호 ST가 상승하면, 5프레임주기 지연되어 카운터회로(40)의 클리어단자 C는 2프레임주기 연속하여 상승하게 되고, 이로써 값 0이 연속하는 카운트데이터 COUNT를 얻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카운터회로(40)는 엔드펄스신호 END가 상승하면, 값 1의 데이터 DL를 로드하고, 이로써 엔드펄스신호 END가 상승한 후에 있어서는, 카운트데이터 COUNT가 값 0을 비월(飛越)하여 값 1에서 값 5까지 순차 전환하도록 되어 있다.
OR회로(50)는 엔드펄스신호 END 및 OR회로(42)의 출력신호를 수신하여, 플립플롭회로(F/F)(52)에 출력신호를 부여한다.
이로써, 플립플롭회로(F/F)(52)는 최초의 프레임군의 선두의 2프레임주기와, 이어지는 각 프레임군의 선두의 1프레임주기로 신호레벨이 상승하게 되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당해 출력신호를 프레임군인덱스 GOF(제5(g)도)로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리드온리메모리(read only memory)회로(ROM)(54,56,58)는 카운트데이터 COUNT에 따라서, 각각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및 템포러리인덱스 TR(제5(h),(i)도 및 제5(j)도)를 작성한다.
즉, 리드온리메모리회로(54)는 카운트데이터 COUNT가 값 1, 2 및 3일 때, 값 0의 전예측기준인덱스 PID를 출력하는데 대하여, 카운트데이터 COUNT가 값 4 및 5일 때 값 3의 전예측기준인덱스 PID를 출력하고, 카운트데이터 COUNT가 값 0일 때 전예측기준인덱스 PID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에 대하여, 리드온리메모리회로(56)는 카운트데이터 COUNT가 값 1, 4 및 5일 때 값 0의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카운트데이터 COUNT가 값 2 및 3일 때 값 3의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출력하고, 카운트데이터 COUNT가 값 0일 때 후예측기준인덱스 NID의 출력을 정지한다.
또한, 리드온리메모리회로(58)는 카운트데이터 COUNT가 각각 값 0, 1, 2, 3, 4, 5일 때, 값 0, 3, 1, 2, 4, 5의 템포러리인덱스 TR를 출력한다.
이리하여, 각 프레임데이터에 대응하여,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기준을 나타내는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와, 프레임군내에서의 프레임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템포러리인덱스 TR를 얻을 수 있다.
카운터회로(60)는 OR회로(42)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메모리회로(61~65)의 기입의 타이밍을 제어하게 되고, 이로써 메모리회로(61~65)에 순차 프레임데이터를 격납한다.
즉, 메모리회로(61)는 각 프레임군의 제4의 프레임데이터 B3, B9…가 입력되는 기간동안 기입의 상태로 유지되는데 대하여, 메모리회로(62)는 제2의 프레임데이터 C1, C7…가 입력되는 기간동안 기입의 상태로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메모리회로(63,64,65)는 각각 제3, 제5, 제6의 프레임데이터 C2, C8…, C4, C10…, C5, C11…가 입력되는 기간동안 기입의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대하여, 메모리회로(66)는 스타트펄스신호 ST가 상승하는 타이밍으로 기입의 상태로 유지되고, 이로써 스타트펄스신호 ST가 상승한 직후의 프레임데이터 A0를 격납한다.
선택회로(68)는 지연회로(48)로부터 출력되는 지연스타트펄스신호 DST를 기준으로 하여 동작하고, 지연스타트펄스신호 DST가 상승하면, 선택회로(68)는 메모리회로(66)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A0를 이어지는 선택회로(70)의 입력단자에 출력하는데 대하여, 지연스타트펄스신호 DST가 하강하면, 선택회로(68)는 당해 재배열회로(4)에 입력된 화상데이터 DV를 직접 선택회로(70)에 출력한다.
선택회로(70)는 선택회로(68)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 메모리회로(61~65)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를 수신하여, 순차 카운트데이터 COUNT에 따라서 선택출력하게 되고, 이로써 당해 재배열(4)에 입력된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순서로 재배열하여 출력한다.
(2-3) 동벡터검출회로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벡터검출회로(6)는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템포러리인덱스 TR(제7(a),(b)도 및 제7(c)도)를 기준으로 하여, 재배열회로(4)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터 DVN를 처리한다.
즉, 동벡터검출회로(6)에 있어서, 리드온리메모리회로(72,73)는 각각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수신하여, 당해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가 값 3일 때 논리레벨이 하강하는 전환제어데이터 SW1 및 SW2(제7(d)도 및 제7(e)도)를 작성한다.
리드온리메모리회로(74)는 템포러리인덱스 TR를 수신하여, 당해 템포러리인덱스 TR가 값 0일 때 (즉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에 대응함), 논리레벨이 상승하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데이터 PINTRA(제7(f)도)를 작성한다.
마찬가지로, 리드온리메모리회로(75,76,77,78,79)는 각각 템포러리인덱스 TR가 값 3, 1, 2, 4, 5 일 때 (즉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의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 C5에 대응함), 논리레벨이 상승하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C3, WC1, WC2, WC4, WC5를 작성한다.
이에 대하여, 지연회로(80)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C5를 지연시켜서, 제2 프레임군으로부터 순차 각 프레임군의 선두에서 논리레벨이 상승하는 전환제어데이터 BON(제7(g)도)를 작성한다.
OR회로(82)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C5 및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PINTRA를 수신하고, 이로써 프레임메모리제어데이터 WAP(제7(h)도)를 작성한다.
이리하여, 당해 동벡터검출회로(6)는 리드온리메모리회로(73~79), 지연회로(80), OR회로(82)에서 작성된 이들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한다.
블록화회로(84)는 프레임펄스신호 SFP(제7(i)도)에 동기하여 순차 입력되는 화상데이터 DV(IN)(제7(j)도)를 수신하고, 각 프레임데이터를 소정의 매크로단위블록으로 분할한다.
여기서,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프레임데이터(제8(a)도)는 표시화면의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5×2 분할되어 10의 블록단위그룹으로 구분된다(제8(b)도).
또한, 각 블록단위그룹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3×11 분할되어 33의 매크로단위그룹(제8(c)도)으로 분할되고, 당해 송신장치(1)에 있어서는, 당해 매크로단위그룹단위로 프레임데이터를 순차 처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나의 매크로단위그룹은 종횡으로 각각 8화소분의 화상데이터를 하나의 블록에 할당하고, 전체로 6블록분의 화상데이터를 할당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당해 6블록에 대하여, 4개의 블록에 종횡 2×2 블록분의 휘도신호 Y1, Y2, Y3, Y4가 할당되고, 나머지의 2블록에 각각 휘도신호 Y1, Y2, Y3, Y4에 대응하는 색차신호 CR, CB가 할당되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블록화회로(84)를 통하여 15×22의 매크로단위블록으로 분할된 프레임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지연회로(85)는 블록화회로(84)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를 동벡터검출회로에 요하는 5프레임주기만큼 지연시켜서 출력한다.
이리하여, 당해 동벡터검출회로(6)에 있어서는, 매크로단위블록으로 분할하여, 동벡터의 검출에 동기하여 화상데이터 DV(OUT)(제7(k)도)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지연회로(86)는 프레임군인덱스 GOF(IN)(제7(l)도)를 5프레임주기만큼 지연시키고, 이로써 당해 동벡터검출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터 DV(OUT)에 대하여, 타이밍이 일치한 프레임군인덱스 GOF(OUT)(제7(m)도)를 출력한다.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8),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9)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90)는 각각 동벡터검출용의 기준으로 되는 프레임데이터를 격납한다.
즉,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8)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PINTRA가 상승하면 화상데이터 DV를 취입하도록 제어되고, 이로써 당해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8)를 통하여 1프레임주기의 기간만큼 프레임데이터 A0가 출력된 후, 이어지는 6프레임주기의 기간 프레임데이터 A6가 연속하고, 이어지는 6프레임주기의 기간 프레임데이터 A12가 연속하는 화상데이터 DNV를 얻을 수 있다(제7(n)도).
이에 대하여,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9)는 프레임메모리제어데이터 WAP가 상승하면,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8)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를 취입하도록 제어된다.
이로써,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9)를 통하여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8)로부터 프레임데이터 A6가 출력되는 6프레임주기내, 최초의 5프레임주기의 기간 프레임데이터 A0가 연속한 후, 이어지는 6프레임주기의 기간 프레임데이터 A6가 연속하고, 이어지는 6프레임주기의 기간 프레임데이터 A12가 연속하는 화상데이터 DPV를 얻을 수 있다(제7(o)도).
이에 대하여, 프레임간 메모리회로(90)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B3가 상승하면 화상데이터 DVN를 취입하도록 제어된다.
이로써, 프레임간 메모리회로(90)를 통하여 제4의 프레임데이터 B3, B9, B15가 각각 6프레임주기의 기간씩 연속하는 화상데이터 DINT(제7(p)도)를 얻도록 되어 있다.
선택회로(92,93)는 각각 화상데이터 DNV및 DINT, 화상데이터 DPV및 DINT를 수신하고, 전환제어데이터 SW1 및 SW2에 따라서 접점을 전환한다.
이로써, 선택회로(92,93)는 이어지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에 동벡터검출의 기준으로 되는 프레임데이터 A0, A6, B3…를 순차 전환하여 출력한다.
즉, 프레임데이터 B3의 동벡터 MV3N 및 MV3P를 검출하는 경우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에 각각 프레임데이터 A6 및 A0를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레벨 2의 처리중, 프레이데이터 C1 및 C2의 동벡터 MV1N, MV1P 및 MV2N, MV2P를 검출하는 경우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에 각각 프레임데이터 B3 및 A0를 출력하고, 프레임데이터 C4 및 C5의 동벡터 MV4N, MV4P 및 MV5N, MV5P를 검출하는 경우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에 각각 프레임데이터 A6 및 B3를 출력한다.
그런데, 프레임데이터 A0를 기준으로 하여, 예를 들면 상하좌우 8화소의 범위에서 프레임데이터 C1의 동벡터를 검출하는 경우, 프레임데이터 A0를 기준으로 하여, 프레임데이터 C2의 동벡터를 검출하기 위하여는, 상하좌우 16화소의 범위에서 동벡터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프레임데이터 A6를 기준으로 하여, 프레임데이터 C4 및 C5의 동벡터를 검출하기 위하여는, 각각 상하좌우 16화소 및 8화소의 범위에서 동벡터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레벨 2의 처리에 대하여 동벡터를 검출하는 경우, 최대로 상하좌우 16화소의 범위에서 동벡터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데이터 A0 및 A6를 기준으로 하여 프레임데이터 B3의 동벡터를 검출하기 위하여는, 상하좌우 24화소의 범위에서 동벡터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동벡터검출회로(6)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프레임데이터를 소정 프레임군마다 분할하고, 각 프레임군중의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경우, 동벡터의 검출범위가 확대되어, 그만큼 구성이 번잡하게 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처음에 레벨 2의 동벡터를 검출한 후, 당해 검출 결과를 참고로 하여 프레임데이터 B3의 동벡터검출범위를 설정하게 되고, 그만큼 동벡터검출회로(6) 전체의 구성을 간략화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25도 및 제2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데이터 A0에서 프레임데이터 B3 까지의 각 프레임데이터 C1, C2에 대하여 순차 동벡터 V1, V2, V3를 검출하고, 동벡터 V1, V2, V3의 합벡터 V1+V2+V3를 검출한다.
또한, 합벡터 V1+V2+V3만큼 오프세트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데이터 B3의 동벡터검출범위를 설정하고, 당해 동벡터검출범위에서 동벡터 MV3P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하면, 좁은 동벡터검출범위에서 동벡터 MV3P를 검출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레벨 2의 동벡터검출처리에 있어서, 전예측 및 후예측용의 동벡터를 검출하므로, 프레임데이터 C1의 동벡터 MV1P 및 MV1N를 검출하고, 동벡터 MV1P, MV1N분만큼 오프세트한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동벡터검출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좁은 동벡터검출범위에서 동벡터 MV3P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택회로(96)는 처음에 레벨 2의 처리대상으로 되는 프레임데이터 C1, C2, C4 및 C5를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부여한다.
이에 대하여, 레벨 1의 처리에 있어서는, 선택회로(96)는 접점을 전환하여, 프레임간 메모리회로(90)에 일단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B3를 블록화회로(97)를 통하여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부여한다.
여기서, 블록화회로(97)는 블록화회로(84)와 마찬가지로 프레임데이터 B3를 매크로단위블록으로 분할하여 출력하고, 이로써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매크로단위블록마다 프레임데이터 B3를 부여한다.
이로써, 순차 프레임데이터 C1, C2, C4 및 C5에 대하여 동벡터를 검출한 후, 프레임데이터 B3에 대하여 동벡터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선택회로(92,93)는 당해 동벡터검출순서에 따라서 접점을 전환하고, 당해 동벡터검출회로(6)에 프레임데이터 C1, C2, C4 및 C5가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에 각각 프레임데이터 B3 및 A0, B3 및 A0, A6 및 B3, A6 및 B3를 순차 출력한 후, 이어지는 1프레임주기의 기간 프레임데이터 A6 및 A0를 출력한다.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는 256×2개의 감산회로가 병렬접속되어, 각 매크로단위블록을 구성하는 휘도신호의 화상데이터를 순차 입력한다.
이에 대하여,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는 벡터발생회로(9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데이터 DM에 따라서, 선택회로(92,93)를 통하여 입력되는 프레임데이터를 병렬적으로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출력한다.
즉,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는 레벨 2의 처리에 있어서, 제1의 매크로단위블록의 제1의 화상데이터가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입력되면, 당해 화상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상하좌우 16화소의 범위의 화상데이터 (즉 동벡터검출범위의 화상데이터로 됨)를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는 제1의 매크로단위블록의 제2의 화상데이터가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입력되면,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로부터 당해 제2의 화상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상하좌우 16화소의 범위의 화상데이터를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출력한다.
이리하여,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는 레벨 2의 처리에 있어서,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입력되는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순차 동벡터검출범위의 화상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로써, 레벨 2의 처리에 있어서,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를 통하여, 동벡터를 검출하는 프레임데이터의 화상데이터마다 동벡터검출범위에서 예측벡터를 이동시켰을 때의 편차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레벨 1의 처리에 있어서,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는 프레임데이터 C1 및 C2, C4 및 C5의 검출결과에 따라서,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당해 화상데이터로부터 소정량만큼 변위한 화상데이터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좌우 16화소의 범위의 화상데이터를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출력한다.
이로써, 레벨 1의 처리에 있어서는,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B3의 화상데이터마다 소정량만큼 변위시킨 동벡터검출범위에서 예측프레임을 이동시켰을 때의 편차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절대치총합회로(100,101)는 각각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의 감산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마다 감산데이터의 절대치합을 검출한 후,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당해 절대치합을 출력한다.
이로써, 절대치총합회로(100,101)를 통하여 레벨 2의 처리에 있어서는,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당해 매크로단위블록을 중심으로 한 동벡터검출범위에서, 예측프레임을 순차 이동시켰을 때의 256개(즉 16×16으로 됨)의 편차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레벨 1의 처리에 있어서는,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당해 매크로단위블록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량만큼 변위한 동벡터검출범위에서 예측프레임을 순차 이동시켰을 때의 256개의 편차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비교회로(102,103)는 절대치총합회로(100,101)로부터 출력되는 256개의 편차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중 예측프레임의 화상데티터를 상하좌우로 0화소분 이동시켰을 때 (즉 예측프레임을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됨)의 편차데이터 DOON및 DOOP를 비교회로(105,106)에 출력한다.
또한, 비교회로(102,103)는 나머지의 편차데이터로부터 최소치를 검출하고, 에러데이터 ER(ERN및 ERP)로서 출력하는 동시에, 당해 최소치의 편차데이터의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이리하여, 비교회로(102,103)를 통하여 편차데이터가 최소로 되도록 예측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이로써 각 매크로단위블록에 대하여 순차 동백터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에러데이터 ER(ERN및 ERP)에 있어서는, 그 값이 클수록 각 매크로단위블록에서 화상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에러데이터 ER에 따라서, 움직임이 있는 영역인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에러데이터 ER는 윤곽, 경계의 부분일수록 에러데이터 ER의 값이 커진다.
따라서, 당해 에러데이터 ER에 따라서, 데이터량제어회로(20)에서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전환함으로써, 화상의 성질을 재양자화처리에 반영할 수 있고,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에러데이터 ER는 공간주파수가 높을수록, 에러데이터 ER의 값이 커진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당해 에러데이터 ER에 따라서, 승산회로(14)에서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로부터 출력되는 변환결과를 가중처리함으로써, 화상의 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고효율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리하여, 당해 에러데이터 ER에 따라서, 재양자화회로(18)의 양자화스텝사이즈를 전환하는 동시에 승산회로(14)의 가중처리를 제어함으로써, 화상의 성질을 재양자화처리에 반영할 수 있고,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최소치의 편차데이터에 따라서 편차데이터가 최소로 되도록 예측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위치정보를 검출할 수 있고, 이로써 각 매크로반위블록에 대하여 순차 동벡터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교회로(105,106)는 에러데이터 ERN및 ERP와 편차데이터 DOON및 DOOP의 비교결과를 얻는다.
이 때,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회로(105,106)는 에러데이터 ERN및 ERP와 편차데이터 DOON및 DOOP를 다음 식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1화소당의 오차 및 편차량으로 변환하여, 당해 오차량 및 편차량이 작은 범위에 있어서는, 동벡터로서 0벡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즉, 오차 및 편차량이 작은 범위에 있어서는, 비교회로(102,103)에서 검출된 동벡터에 따라서 편차데이터 ΔEN, ΔEP(제1도)를 생성해도, 0벡터에서 편차데이터 ΔEN, ΔEP를 생성한 경우에 비하여, 편차데이터 ΔEN, ΔEP의 데이터량으로서는 그만큼 저감할 수 없고, 오히려 유의(有意)정보로 되는 검출된 동벡터를 전송하는 만큼 전체로서 데이터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비교회로(105,106)에서 동벡터로서 0벡터를 우선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영상신호를 전체로서 효율 좋게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비교회로(105,106)는 전환신호를 출력하여 선택회로(107,108)의 접점을 전환하여, 제9도의 우선도에 따라서 0벡터데이터 MV0및 비교회로(102,10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된 동벡터를 선택출력하고, 이로써 선택회로(107,108)를 통하여 동벡터 MViN 및 MViP(제7(q)도 및 제7(r)도)를 얻을 수 있다.
동벡터메모리회로(110~113 및 114~117)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C1, WC2, WC4, WC5에 따라서 동벡터 MViN 및 MViP를 취입하고, 이로써 각각 레벨 2에서 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에 대하여, 후예측 및 전예측용의 동벡터 MV1N, MV2N, MV4N, MV5N 및 MV1P, MV2P, MV4P, MV5P를 취입한다.
이에 대하여, 가산회로(120~122 및 123~125)는 동벡터메모리회로(110~113 및 114~117)에 격납된 동벡터 MV1N, MV2N, MV4N, MV5N 및 MV1P, MV2P, MV4P, MV5P를 수신하고, 동벡터 MV1N, MV1P, MV2N 및 MV2P의 가산결과와, 동벡터 MV4N, MV4P, MV5N 및 MV5P의 가산결과를 각각 1/2제산회로(127,128)에 출력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처음에 레벨 2의 동벡터를 검출한 후, 당해 검출결과를 참고하여 미리 프레임데이터 B3의 동벡터의 검출범위를 설정함으로써, 최대로 상하좌우 16화소의 범위에서 동벡터를 검출하게 되고, 그만큼 동벡터검출회로(6)의 전체의 구성을 간략화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산회로(120~125) 및 1/2제산회로(127,128)는 동벡터 MV1N~MV5P에 대하여 값 1/2의 가산결과를 얻음으로써, 다음 식
으로 나타내는 예측동벡터 MV3NY 및 MV3PY를 작성한 후, 선택회로(130,131)를 통하여, 당해 예측동벡터 MV3NY 및 MV3PY를 가산회로(132,133)에 출력한다.
여기서, 선택회로(130,131)는 전환제어데이터 BON에 따라서 접점을 전환함으로써, 레벨 2의 처리대상으로 되는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에 대하여는, 값 0의 데이터 DON및 DOP를 선택출력하는데 대하여, 레벨 1의 처리대상으로 되는 프레임데이터 B3에 대하여는, 예측동벡터 MV3NY 및 MV3PY를 선택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가산회로(132,133)는 선택회로(130,131)의 출력데이터 MV3NY, DON및 MV3PY, DOP를 벡터발생회로(98)로부터 출력되는 제어데이터 DM에 가산한다.
이로써,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에 대하여는, 각 매크로단위블록을 중심으로 한 동벡터검출범위에서 동벡터를 검출하는데 대하여, 프레임데이터 B3에 대하여는, 각 매크로단위블록으로부터 예측동벡터 MV3NY 및 MV3PY 분만큼 변위한 동벡터검출범위에서 동벡터를 검출한다.
따라서, 그만큼 복수 프레임 이간한 프레임데이터 A0 및 B3, B3 및 A6 사이의 동벡터를 좁은 동벡터검출범위에서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리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동벡터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데이터 C1, C2의 전예측 및 후예측용의 동벡터를 가산평균하여, 전예측용 동벡터 MV3P의 동벡터검출범위를 설정하는 동시에, 프레임데이터 C4, C5의 전예측 및 후예측용의 동벡터를 가산평균하여, 후예측용 동벡터 MV3N의 동벡터검출범위를 설정함으로써, 동벡터를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가산회로(135,136)는 레벨 1의 처리에 있어서 선택회로(107,108)로부터 출력되는 동벡터에 예측동벡터 MV3NY 및 MV3PY에 가산하여 출력하고, 이로써 동벡터 MV3P 및 MV3N를 얻게 되고, 이리하여 전체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멀리 떨어진 프레임데이터 사이의 동벡터 MV3N 및 MV3P를 검출할 수 있다.
카운터회로(138)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C5로 클리어된 후, 프레임펄스신호 SFP를 순차 카운트하도록 이루어진 5진의 카운터회로로 구성되고, 값 0에서 값 4까지 순차 순환하는 동벡터선택데이터 MVSEL(제7(s)도)를 출력한다.
선택회로(139,140)는 동벡터선택데이터 MVSEL에 따라서 순차 접점을 전환하고, 이로써 가산회로(135,136)로부터 출력되는 동벡터 MV3N 및 MV3P, 동벡터메모리회로(110~117)에 격납된 동벡터 MV1N~MV5P를 순차 선택출력하고, 이리하여 당해 동벡터검출회로(6)를 통하여 순차 동벡터 MVN 및 MVP(제7(t)도 및 제7(u)도)를 얻을 수 있다.
(2-4)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
제2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4)는 프레임데이터 C1, C4의 전예측의 동벡터 MV1P, MV4P 및 프레임데이터 C2, C5의 후예측의 동벡터 MV2N, MV5N(즉 인접하는 프레임데이터 A0, B3, A6를 기준프레임으로 하여 검출된 동벡터로 되고 이하 1배 벡터라고 함)를 선택회로(150)에 부여한다.
가산회로(151)는 프레임데이터 C1, C4의 후예측의 동벡터 MV1N, MV4N 및 프레임데이터 C2, C5의 전예측의 동벡터 MV2P, MV5P(즉 기준프레임데이터 A0, B3, A6로부터 2프레임 이간한 프레임데이터의 동벡터로 되고, 이하 2배 벡터라고 함)를 수신하고, 그 값이 플러스일 때 값 1을 가산하여 출력하는데 대하여, 그 값이 마이너스일 때 값 -1을 감산하여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1/2제산회로(152)는 가산회로(151)의 출력을 수신하고, 그 1/2제산결과로부터 나머지를 제하여 선택회로(150)에 출력한다.
즉, 가산회로(151) 및 1/2제산회로(152)는 동벡터 MV1N, MV4N 및 MV2P, MV5P를 1프레임분의 동벡터로 환산하여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가산회로(153)는 프레임데이터 B3의 동벡터 MV3P 및 MV3N (즉 기준프레임데이터 A0, A6로부터 3프레임 이간한 프레임데이터의 동벡터로 되고, 이하 3배 벡터라고 함)를 수신하고, 그 값이 플러스일 때 값 2를 가산하여 출력하는데 대하여, 그 값이 마이너스일 때 값 -2를 감산하여 출력한다.
1/3제산회로(154)는 가산회로(153)의 출력을 수신하고, 그 11/3제산결과로부터 나머지를 제하여 선택회로(150)에 출력한다.
즉, 가산회로(153) 및 1/3제산회로(154)는 동벡터 MV3P 및 1프레임분의 동벡터로 환산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하면, 선택회로(150)에 입력되는 동벡터의 값에 있어서는, 그 출현확률이 동등한 값으로 설정되고, 이로써 각 동벡터를 간단히 최적화할 수 있다.
즉, 제2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순차 연속하는 프레임 FM, F1, F2, F3에 있어서, 프레임 FM을 기준으로 한 동벡터 V1, V2, V3는 프레임 FM, F1, F2, F3 사이에서 프레임 상관이 강한 경우, 다음식
의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x프레임 이간한 프레임의 동벡터 Vx는 다음 식
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것은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벡터의 값을 a로 두고 출현확률을 통계적으로 표현하면, 동벡터 V1의 출현확률 øV1(a)을 횡축방향으로 x배하면, 동벡터 Vx의 확률 Vx(a)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동벡터 Vx의 값을 x로 나누고, 나머지를 제하여 값 a로 표현하면, 동벡터 Vx의 출현확률 1/XøVx(a)은 동벡터 V1의 출현확률 øV1(a)과 일치하고, 동벡터 Vx의 제산결과 및 동벡터 V1를 동일한 테이블을 사용하여,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을 알았다.
이 원리에 따라서,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4)는 선택회로(150)의 선택출력을 리드온리메모리회로(156)에 부여하고, 당해 선택출력을 어드레스로 하여, 리드온리메모리회로(156)에 격납된 데이터 DV1를 출력한다.
여기서, 제3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온리메모리회로(156)는 입력데이터에 대하여, 값 0의 입력데이터를 중심으로 하여 코드길이가 순차 길어지는 가변길이부호화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설정되고, 이로써 1프레임분으로 환산된 동벡터를 최적부호화한다.
즉, 통계적으로 동벡터의 값을 검출하면, 값 0의 동벡터가 가장 출현확률이 높고, 동벡터의 값이 커짐에 따라서, 출현확률이 작아진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값 0의 동벡터가 가장 짧은 코드표로 되도록 부호화처리함으로써, 동벡터전송에 요하는 데이터량을 전체로서 저감하게 되고, 이로써 동화(動畵)영상신호를 효율 좋게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드온리메모리회로(156)는 출력데이터 DV1의 코드길이를 나타내는 코드길이데이터 DL1를 데이터 DV1와 함께 출력한다.
잉여출력회로(160)는 가산회로(153)의 출력데이터를 값 3으로 제산한 후, 그 잉여의 데이터를 리드온리메모리회로(162)에 출력한다.
제3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온리메모리회로(162)는 값 0의 입력데이터에 대하여, 코드길이가 1의 값 0의 잉여데이터 DV2를 출력하는데 대하여, 값 1 및 값 2의 입력데이터에 대하여, 코드길이가 2의 값 10 및 값 11의 잉여데이터 DV2를 출력한다.
여기서, 리드온리메모리회로(162)의 입력데이터에 있어서는, 가산회로(153)에서 가감산처리된 3배 벡터를 1프레임분으로 환산한 잉여로 되므로, 값 0의 출현확률이 가장 높고, 값이 커짐에 따라서 출현확률이 작아진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출현확률이 가장 큰 값 0의 입력데이터에 대하여, 코드길이가 가장 짧은 잉여데이터 DV2에 출력함으로써, 동작벡터전송에 요하는 데이터량을 전체로서 저감하게 되고, 이로써 동화영상신호를 효율 좋게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리드온리메모리회로(162)는 잉여데이터 DV2에 동기하여, 당해 잉여데이터 DV2의 코드길이를 나타내는 코드길이데이터 DLL2를 출력한다.
선택회로(164)는 선택회로(150)에 동기하여 접점을 전환하여, 가산회로(151)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의 최하위비트 및 잉여데이터 DV2를 선택하여 출력한다.
즉, 선택회로(164)는 1배 벡터에 대하여 선택출력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선택회로(164)는 2배 벡터에 대하여 입력된 최하위 비트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이로써 2배 벡터의 값이 우수치일 때 값 1의 선택출력을 병렬-직렬변환회로(166)에 선택출력하고, 2배 벡터의 값이 기수치 및 값 0일 때, 값 0의 선택출력을 병렬-직렬변환회로(166)에 출력한다.
또한, 선택회로(164)는 3배 벡터에 대하여 잉여데이터 DV2를 선택출력한다.
선택회로(168)는 값 0 및 값 1의 입력데이터 DLL0 및 DLL1와 코드길이데이터 DLL2를 수신하고, 선택회로(168)에 동기하여 접점을 전환함으로써, 선택회로(164)로부터 출력되는 선택출력데이터 DJ의 코드길이를 나타내는 코드길이데이터 DL2를 출력한다.
가산회로(170)는 코드길이데이터 DL1 및 DL2의 가산결과를 병렬-직렬변환회로(166)에 출력한다.
제3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렬-직렬변환회로(166)는 리드온리메모리(156)의 출력데이터 DV1에 선택회로(164)의 출력데이터 DJ 및 가산회로(170)의 가산데이터를 부가한 후, 직렬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로써, 병렬-직렬변환회로(166)를 통하여 1배 벡터에 대하여, 리드온리메모리(156)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 DV1 및 당해 출력데이터 DV1의 코드길이데이터 DL1가 직렬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에 대하여, 2배 벡터에 대하여 2배 벡터의 값이 우수치일 때, 리드온리메모리회로(156)로부터 출력되는 출력데이터 DV1에 값 0의 잉여비트 b1가 부가되고, 이것에 코드길이데이터 DL1에 값 1을 가산한 가산데이터가 부가된 후, 직렬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또한, 2배 벡터의 값이 기수치 및 값 0일 때, 출력데이터 DV1에 값 1의 잉여비트 b1가 부가되고, 이것에 코드길이데이터 DL1에 값 1을 가산한 가산데이터가 부가된 후, 직렬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에 대하여, 3배 벡터에 대하여, 3배 벡터가 값 0 또는 값 ±(3n+1)(n=0, 1, 2…)일 때, 출력데이터 DV1에 값 0의 잉여비트 b1가 부가되고, 이것에 코드길이데이터 DL1에 값 1을 가산한 가산데이터가 부가된 후, 직렬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또한, 3배 벡터가 값 ±(3n+2) (n=0, 1, 2…)일 때, 출력데이터 DV1에 값 1 및 0의 잉여비트 b1및 b2가 부가되고, 이것에 코드길이데이터 DL1에 값 2를 가산한 가산데이터가 부가되어, 직렬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되는데 대하여, 3배 벡터가 값 ±(3n+3) (n=0, 1, 2…)일 때, 출력데이터 DV1에 값 1 및 값 1의 잉여비트 b1및 b2가 부가되고, 이것에 코드길이데이터 DL1에 값 2를 가산한 가산데이터가 부가되어, 직렬데이터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이리하여, 전송대상측에 있어서는, 이와 같이 하여 가변길이부호화처리된 동벡터의 데이터를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템포러리인덱스 TR에 따라서, 1배 벡터, 2배 벡터 또는 3배 벡터인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당해 판단결과에 따라서 원래의 동벡터로 복호할 수 있다.
이리하여, 1배 벡터, 2배 벡터, 3배 벡터를 리드온리메모리(156)에 격납된 1종류의 테이블을 사용하여, 출현확률이 높은 것을 우선하여 가변길이부호화처리할 수 있고,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동벡터를 최적화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부호화처리하면, 검출된 정밀도를 유지하여 동벡터를 전송할 수 있고, 이리하여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영상신호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다.
(2-5) 적응예측회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응예측회로(10)는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템포러리인덱스 TR를 기준으로 하여,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 C5를 선택예측화처리한다.
즉,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응예측회로(10)에 있어서, 리드온리메모리회로(142,143,145)는 템포러리인덱스 TR를 수신하고, 각각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PINTRA(제11(a)도),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B3 및 WC5를 작성한다.
또, 리드온리메모리회로(146,147)는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수신하고, 당해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의 값이 0일 때, 논리레벨이 하강하는 전환제어데이터 SW3 및 SW4 (제11(b)도 및 제11(c)도)를 작성한다.
OR회로(148)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PINTRA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C5를 수신하고, 프레임메모리제어데이터 WAP를 작성한다.
이리하여, 당해 적응예측회로(10)는 리드온리메모리회로(142,143,145~147), OR회로(148)에서 작성되는 이들 제어데이터에 따라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평균치메모리회로(150)는 동벡터검출회로(6)로부터 프레임펄스신호 SFP(제11(d)도)에 동기하여 출력되는 화상데이터 DVN(제11(e)도)를 수신하고, 매크로단위블록마다 휘도신호, 색차신호의 화상데이터의 평균치를 얻은 후, 당해 평균치데이터를 직류데이터 DC로서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제3도)에 출력한다.
또한, 평균치메모리회로(150)는 선택회로(152)를 통하여 프레임내 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A0, A6…가 감산회로(8)(제3도)에 입력하는 타이밍으로, 당해 프레임데이터 A0, A6…의 직류데이터 DC를 예측데이터 DPRI로서 감산회로(8)에 출력한다.
따라서, 감산회로(8)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A0, A6…에 대하여 화상데이터 DVN의 평균치로부터의 편차데이터 DZ를 얻을 수 있고, 당해 편차데이터 DZ가 순차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 승산회로(14), 재양자회로(18),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0)를 통하여 데이터압축된 후,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에 출력된다.
이에 대하여,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는 가산회로(28)에서 재현된 화상데이터 DF(제11(f)도)를 수신하고, 그 중 후예측, 전예측의 기준으로 되는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를 격납한다.
즉,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PINTRA가 상승하면 화상데이터 DF를 취입한다.
이로써, 당해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를 통하여 1프레임주기의 기간만큼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0가 출력된 후, 이어지는 6프레임주기의 기간 동일하게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6가 연속하고, 이어지는 12프레임주기의 기간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12가 연속하는 화상데이터 DNVF를 얻을 수 있다(제11(g)도).
이에 대하여,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는 프레임메모리제어데이터 WAP가 상승하면,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를 취입한다.
이로써,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를 통하여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로부터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6가 출력되는 6프레임주기중, 처음의 5프레임주기의 기간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0가 연속한 후, 이어지는 6프레임주기의 기간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6가 연속하고, 이어지는 12프레임주기의 기간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12가 연속하는 화상데이터 DPVF(제11(h)도)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B3가 상승하면 화상데이터 DF를 취입한다.
이로써,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를 통하여, 재현된 제4의 프레임데이터 SB3, SB9, SB15가 각각 6프레임주기의 기간씩 연속하는 화상데이터 DINTF(제11(i)도)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선택회로(158,159)는 각각 화상데이터 DNVF및 DINFT, 화상데이터 DPVF및 DINTF를 수신하고, 전환제어데이터 SW4 및 SW3에 따라서 접점을 전환하고, 이로써 이어지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160,161)에 전예측 및 후예측의 기준으로 되는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0, SA6, SB3…를 순차 출력한다.
즉, 선택회로(158,159)는 프레임군의 제4의 프레임데이터 B3가 당해 적응예측회로(10)에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6 및 SA0를 가변리드메모리회로(160,161)에 출력한다.
이어서, 선택회로(158,159)는 프레임군의 제2 및 제3의 프레임데이터 C1 및 C2가 적응예측회로(10)에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B3 및 SA0를 가변리드메모리회로(160,161)에 출력하는데 대하여, 제4 및 제5의 프레임데이터 C4 및 C5가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SA0 및 SB3를 출력한다.
가변리드메모리회로(160,161)는 입력된 프레임데이터를 동벡터검출회로(6)에서 검출된 동벡터 MVN 및 MVP의 분만큼 변위시켜 선택회로(163)에 출력한다.
이리하여, 재현된 프레임데이터를 동벡터 MVN, MVP의 분만큼 변위시켜 출력함으로써, 가변리드메모리회로(160,161)를 통하여, 각각 후예측 및 전예측 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N 및 FP(제1도)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가산회로(164)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160,161)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를 가산한 후, 1/2제산회로(165)를 통하여 선택회로(163)에 출력한다.
이리하여, 1/2제산회로(165)를 통하여 후예측 및 전예측한 프레임데이터 FN 및 FP를 직선보간한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NP(제1도)를 얻을 수 있다.
감산회로(165,166,167)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160,161)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 1/2제산회로(165)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를 각각 화상데이터 DVN로 되는 프레임데이터로부터 감산한다.
따라서, 감산회로(165,166,167)를 통하여 각각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의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제1도)를 매크로단위블록마다 얻을 수 있다.
절대치합회로(168,169,170)는 감산회로(165,166,167)로부터 출력되는 편차데이터를 절대치화한 후,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누적가산하여 출력한다.
이리하여, 절대치합회로(168,169,170)를 통하여 각각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의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제1도)에 대하여, 그 데이터량을 검출할 수 있다.
비교회로(171)는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의 절대치합을 수신하고, 그 최소치를 검출한다.
또한, 비교회로(171)는 선택회로(163)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로써 데이터량이 가장 작아지는 편차데이터 ΔFN, ΔFP 또는 ΔFNP가 얻어지는 후예측, 전예측 또는 보간예측한 프레임데이터 FN, FP 또는 FNP를 선택하여, 선택회로(152)에 출력한다.
이리하여,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경우는, 선택회로(152)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A0, A6의 평균치데이터가 예측데이터 DPRI로서 감산회로(8)에 출력되는데 대하여,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경우는,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의 데이터량이 가장 작아지는 프레임데이터 FN, FP 또는 FNP가 매크로단위블록마다 선택되어 예측데이터 DPRI로서 감산회로(8)에 출력된다.
이로써,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에 있어서는, 감산회로(8)를 통하여 선택예측화된 후 예측, 전예측 또는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N, FP 또는 FNP와,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B3, C1, C2…와의 편차데이터 DZ를 얻을 수 있고, 당해 편차데이터 DZ가 순차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 승산회로(14), 재양자화회로(18),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0)를 통하여 데이터 압축된 후,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에 출력된다.
선택회로(172)는 비교회로(171)로 제어되어 접점을 전환하게 되고, 이로써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중 데이터량이 가장 작아지는 편차데이터 ΔINTRA를 선택하여 비교회로(174)에 출력한다.
감산회로(176)는 화상데이터 DVN및 직류데이터 DC를 수신하고, 그 차데이터를 절대치합회로(177)에 출력한다.
절대치합회로(177)는 절대치합회로(168~170)와 마찬가지로 입력데이터의 절대치를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누적가산한 후, 그 누적가산치 ΔINTER를 비교회로(174)에 출력한다.
비교회로(174)는 누적가산치 ΔINTER 및 편차데이터 ΔINTRA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매크로단위블록마다 전환신호를 출력한다.
OR회로(178)는 비교회로(174)로부터 출력되는 전환신호 및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PINTRA를 수신하고, 선택회로(152)의 접점을 전환제어한다.
이 때, 비교회로(174)는 누적가산치 ΔINTER 및 편차데이터 ΔINTRA의 비교결과에 따라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도록 할당된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 C5라도,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쪽이 전체로서 적은 데이터량으로 전송할 수 있는 매크로단위블록이 존재하는 경우는, 당해 매크로단위블록에 대하여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를 선택하도록, OR회로(178)를 통하여 선택회로(152)에 전환신호를 출력한다.
즉, 누적가산치 ΔINTER는 화상데이터 DVN및 직류데이터 DC의 차데이터를 절대치화한 후,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누적가산하여 이루어지므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도록 할당된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 C5를 매크로단위블록마다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했을 때의 데이터량을 나타낸다.
따라서, 누적가산치 ΔINTER 및 편차데이터 ΔINTRA의 비교결과를 얻음으로써, 각 매크로단위블록을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쪽이 전체로서 적은 데이터량으로 전송할 수 있는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당해 비교결과에 따라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도록 할당된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 C5라도, 당해 프레임데이터의 매크로단위블록을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함으로써, 전체로서 적은 데이터량으로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리하여,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회로(152)에 있어서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도록 할당된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 C5라도,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쪽이 전체로서 적은 데이터량으로 전송할 수 있는 매크로단위블록의 경우는, 직류데이터 DC를 선택출력하게 되고, 이로써 프레임내 처리한 매크로단위블록의 전송프레임화상데이터를 전송대상에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때 비교회로(174)에 있어서는, 누적가산치 ΔINTER 및 편차데이터 ΔINTRA의 데이터량이 적은 범위에 있어서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를 우선선택하게 되고, 이로써 에러전송을 유효하게 회피하여, 고품질의 영상신호를 전송하도록 되어 있다.
즉,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영상신호를 전송하는 경우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의 기준으로 된 프레임데이터에 전송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전송을 피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쪽이 전체로서 적은 데이터량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경우뿐만 아니고,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 양쪽에서 데이터량이 적을 경우,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도록 할당된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 C5라도,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를 우선선택하여 전송하도록 하면, 그만큼 데이터량의 증가 및 에러전송을 유효하게 회피하여 고품질의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회로(180)는 비교회로(171)의 출력데이터 (이 경우 후예측, 전예측 또는 보간예측을 각각 나타내는 값 1, 2, 3의 식별데이터로 됨) 및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매크로단위블록을 나타내는 식별데이터 PINDEX0(이 경우 값 0의 식별데이터로 됨)를 수신하고, OR회로(178)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선택출력하게 되고, 이리하여 당해 선택회로(180)를 통하여 선택예측화의 예측결과를 나타내는 예측데이터 PINDEX를 얻을 수 있다.
(2-6) 전송데이터합성회로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는 프레임펄스신호 SFP에 동기하여,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0,34)의 출력데이터, 예측인덱스 PINDEX,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템포러리인덱스 TR 및 프레임군인덱스 GOF, 가중제어회로(16) 및 데이터량제어회로(20)의 제어정보를 소정 포맷으로 재배열회로(33)에 출력하고, 이로써 전송프레임데이터 DATA를 생성한다.
즉, 제13도 및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는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0)로부터 매크로단위블록단위로 출력되는 화상데이터에 매크로단위헤더 HM를 부가한다(제13(c)도).
여기서, 매크로단위헤더 HM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는, 각 매크로단위블록식별용의 헤더 TYPE에 이어서,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후예측처리, 전예측처리 또는 보간예측처리를 나타내는 예측인덱스 PI (식별데이터 PINDEX에 따라서 생성됨)가 부가된다(제14(a)도).
또한, 데이터량제어회로(20)의 제어정보에 따라서, 당해 각 매크로단위블록의 양자화스텝사이즈를 나타내는 데이터 QUANT가 부가된 후, 전예측 및 후예측의 동벡터를 나타내는 동벡터데이터 MVD-P 및 MVD-N가 가해진다.
매크로단위블록에 할당된 휘도신호 Y1, Y2, Y3, Y4및 색차신호 CR, CB에 대하여는, 그 신호들이 전송될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가 여부를 나타내는 데이터 등이 부가데이터 CBP로서 부가된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의 매크로단위블록에 있어서는 (제14(b)도), 각 매크로단위블록식별용의 헤더 TYPE에 이어서, 적응예측회로(10)에서 검출된 휘도신호, 색차신호의 직류레벨의 데이터 DCM-Y, DCM-U, DCM-V(DC)가 부가된 후, 이어서 각 매크로단위블록의 양자화스텝사이즈를 나타내는 데이터 QUANT가 부가된다.
이리하여, 각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매크로단위헤더 HM가 부가됨으로써, 당해 매크로단위헤더 HM에 따라서 각 매크로단위블록을 복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종횡 각각 3×11의 매크로단위블록이 집합하여 블록단위그룹(제13(b)도)이 형성되고,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블록단위그룹의 선두에 블록단위그룹 헤더 HGOB가 부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블록단위그룹헤더 HGOB는 각 블록단위그룹의 개시를 나타내는 식별용의 헤더 GBSC에 이어서, 각 블록단위그룹 식별용의 헤더 GN가 부가된다.
또한, 종횡 각각 5×2의 블록단위그룹이 집합하여 1프레임분의 전송프레임데이터가 형성되고(제13(a)도), 각 전송프레임데이터의 선두에 화상헤더 PH가 부가된다.
여기서,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헤더 PH는 동벡터검출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군인덱스 GOF에 따라서 각 프레임군의 선두를 표현하는 스타트인덱스 PSC가 부가된 후, 이어서 템포러리인덱스 TR에 따라서 각 프레임군에 있어서의 프레임데이터의 순서를 나타내는 커렌트인덱스 CID가 부가된다.
또한,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레벨 1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 레벨 2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를 식별하는 모드인덱스 PM가 부가된 후,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가 부가된다.
이리하여, 전송프레임데이터마다 전예측 및 후예측용의 프레임데이터를 나타내는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부가하는 동시에,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레벨 1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 레벨 2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를 식별하는 모드인덱스 PM를 부가하여 전송함으로써, 당해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모드인덱스 PM에 따라서, 전송프레임데이터를 간단하게 복호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하면, 수신장치측에서 간단히 복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고, 프레임군의 길이, 레벨 1, 레벨 2의 처리프레임 등이 이 실시예와 상이한 포맷으로 전송되는 경우에도, 원래의 프레임데이터로 간단히 복호할 수 있고, 그만큼 동화신호전송시스템 전체로서 사용성이 향상되어, 고품질의 영상신호를 간단히 전송할 수 있다.
(2-7) 수신장치의 구성
제17도에 있어서, (200)은 전체로서 수신장치를 나타내고, 콤팩트디스크를 재생하여 얻어지는 재생데이터 DPB를 수신회로(201)에 수신한다.
수신회로(201)는 스타트인덱스 PSC에 따라서 각 프레임군의 선두를 검출한 후, 화상데이터 DVPB와 함께 당해 검출결과를 출력한다.
이로써, 제1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배열회로(203)는 순차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프레임데이터 PA0, PB3, PC1, PC2…의 연속하는 화상데이터 DVPB(제18(a)도)를 얻을 수 있다.
재배열회로(203)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전송프레임데이터 PB3, PC1, PC2…를 7프레임주기만큼 지연하여 출력하고, 이로써 송신장치(1)측에서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순서 (즉 복호화처리하는 순서와 일치함)로 프레임데이터 PA0, PA6, PB3, PC1, PC2…를 재배열하여 출력한다(제18(b)도).
버퍼회로(204)는 재배열회로(203)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데이터 DVPBN를 일단 격납한 후, 소정의 전송레이트로 이어지는 분리회로(206)에 출력한다.
분리회로(206)는 화상헤더 PI, 블록단위그룹헤더 HGOB, 매크로단위헤더 HM에 따라서 프레임군인덱스 GOF,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템포러리인덱스 TR, 예측인덱스 PINDEX, 데이터 DC (DCM-Y, DCM-U, DCM-V), QUANT, 동벡터데이터 MVD-P 및 MVD-N를 재현하여 소정의 회로에 출력한다.
이 때, 분리회로(206)는 제어회로(207)에 화상헤더 PI, 블록단위그룹헤더 HGOB, 매크로단위헤더 HM를 출력하고, 이로써 제어회로(207)는 콤팩트디스크구동재생계를 제어하여 프레임군단위로 프레임데이터의 연속하는 재생데이터를 얻도록 되어 있다.
즉, 노멀재생에 있어서는 제18도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콤팩트디스크에 순차기록된 데이터를 데이터를 재생하여, 화상데이터 DVPBN를 얻는다(제19(b)도).
이에 대하여,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역전재생시에 있어서는 노멀재생시와 동일 방향으로 콤팩트디스크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노멀재생시와 역방향으로 광픽업을 이동시키고, 기록시와는 역으로 프레임군을 배열한 화상데이터 DVPBN를 얻는다(제19(a)도).
여기서, 기록시에 있어서는, 제1의 프레임군 PA0~PC5에 이어서, 제2의 프레임군 PA6~PC11, 제3의 프레임군 PA12~PC17이 연속하여 수신장치(200)에 입력되는데 대하여, 역전재생에 있어서는 제3의 프레임군 PA12~PC17에 이어서, 제2의 프레임군 PA6~PC11, 제1의 프레임군 PA0~PC5이 연속하여 입력된다.
따라서, 재배열회로(203)에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프레임데이터를 7프레임주기만큼 지연시킴으로써, 프레임데이터 PA12에 대하여 프레이데이터 PA6가 6프레임주기만큼 지연된 후, 프레이데이터 PA12에 이어지는 프레임데이터 PB15~PC17가 연속하고, 프레임데이터 PA0, 프레임데이터 PA6에 이어지는 프레임데이터 PB9~PC11가 연속한다(제19(b)도).
이리하여, 재배열회로(203)를 통하여 역전재생시도 노멀재생시와 마찬가지로,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프레임데이터가 연속한 후, 레벨 1, 레벨 2의 처리한 프레임데이터가 연속하고, 이어서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프레임데이터가 연속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프레임데이터에 프레임군인덱스 GOF,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템포러리인덱스 TR 등을 부가하여 전송하고 있으므로, 당해 인덱스에 따라서 이어지는 런렝쓰허프만역부호화회로(210), 역재양자회로(211), 역승산회로(212),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13), 적응예측회로(214)에서 순차 복호처리함으로써, 역전재생시에 있어서도, 노멀재생시와 마찬가지로 간단히 전송프레임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또한, 분리회로(206)는 화상데이터 DVPBN로부터 화상헤더 PI, 블록단위그룹헤더 HGOB, 매크로단위헤더 HM를 제거하여 런렝쓰허프만역부호화회로(210)에 출력한다.
런렝쓰허프만역부호화회로(210)는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0)(제3도)의 역처리를 실행하고, 이로써 수신장치(200)측에 있어서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0)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한다.
역재양자화회로(211)는 런렝쓰허프만역부호화회로(210)의 출력데이터 및 각 매크로단위헤더 HM에 부가된 양자화스텝사이즈를 나타내는 데이터 QUANT를 수신하고, 역재양자화회로(22)(제3도)와 마찬가지로 재양자회회로(18)와 역의 재양자화처리를 실행하고, 이로써 수신장치(200)측에 있어서 재양자화회로(18)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한다.
이에 대하여, 역승산회로(212)는 역재양자화회로(211)의 출력데이터를 수신하고, 각 매크로단위헤더 HM에 부가된 데이터에 따라서 승산회로(14)(제3도)의 역승산처리를 실행하고, 이로써 수신장치(200)측에 있어서 승산회로(14)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한다.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13)는 역승산회로(212)의 출력데이터를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제3도)와 역변환하고, 이로써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한다.
가산회로(218)는 적응예측회로(214)로부터 출력되는 예측데이터 DPRI를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13)의 출력데이터와 가산하여, 적응예측회로(214)에 출력한다.
이에 대하여, 런렝쓰허프만역부호화회로(220)는 송신장치(1)의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4)에서 가변길이부호화처리된 전예측 및 후예측의 동벡터 MVP 및 MVN를 복호하여, 적응예측회로(214)에 출력한다.
적응예측회로(214)는 가산회로(218)의 출력데이터 DTIN및 동벡터 MVP, MVN 등에 따라서 송신장치(1)의 적응예측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예측데이터 DPRI를 재현한다.
이로써, 적응예측회로(214)를 통하여 전송된 원래의 프레임데이터를 재현할 수 있고, 이리하여 영상신호 DV를 재생할 수 있다.
즉, 적응예측회로(214)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된 프레임데이터 A0, A6에 대하여는, 예측데이터 DPRI로서 직류레벨의 데이터 DC를 가산회로(218)에 출력한다.
이로써, 가산회로(218)를 통하여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된 프레임데이터 A0, A6를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적응예측회로(214)는 송신측의 적응예측회로(10)와 마찬가지로,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를 가지고,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에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A0, A6를 격납하여(제18(c)도 및 제18(d)도), 프레임데이터 B3의 예측데이터 DPRI를 작성한다.
이로써, 가산회로(218)를 통하여 레벨 1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된 프레임데이터 B3를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적응예측회로(214)는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B3를 프레임간 메모리회로에 격납하여 (제18(e)도),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의 예측데이터 DPRI를 작성하고, 이리하여 가산회로(218)를 통하여 레벨 2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된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를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적응예측회로(214)는 재현된 프레임데이터 A0, A6, B3…를 원래의 배열순서로 되돌려서 출력한다(제18(f)도).
수신장치(200)는 보간회로(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재생된 프레임데이터에 따라서 보간연산의 수법에 의하여 원래의 입력영상신호 VDIN를 재현하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콤팩트디스크에 고능률 부호화처리하여 기록된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2-8) 적응예측회로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응예측회로(214)에 있어서는, 분리회로(206)에서 분리된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템포러리인덱스 TR, 직류레벨의 데이터 DC를 기준으로 하여, 예측데이터 DPRI를 작성한다.
즉, 적응예측회로(214)는 복호된 식별데이터 PINDEX(후예측처리, 전예측처리, 보간예측처리 및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매크로단위블록의 식별데이터로 됨)에 따라서 접점을 전환하는 선택회로(230)에 직류레벨의 데이터 DC를 부여하고, 가산회로(218)에 프레임내 부호화처리된 매크로단위블록의 프레임데이터가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당해 직류 레벨의 데이터 DC를 가산회로(218)에 출력한다.
즉,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프레임데이터 PA0, PA6…에 대하여, 순차 매크로단위블록으로 직류레벨의 데이터 DC를 예측데이터 DPRI로서 출력한다.
또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가 할당되어 있는 것에 상관없이 프레임내 부호화처리가 우선선택된 매크로단위블록에 대하여, 그 직류레벨의 데이터 DC를 가산회로(218)에 출력한다.
이리하여, 가산회로(218)를 통하여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13)의 출력데이터와 예측데이터 DPRI를 가산함으로써,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프레임데이터 PA0, PA6…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가 할당되어 있는 것에 상관없이 프레임내 부호화처리가 우선 선택된 매크로단위블록에 대하여, 원래의 프레임데이터를 재현할 수 있다.
적응예측회로(214)는 이와 같이 하여 재현된 가산회로(218)의 출력데이터 DTIN를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 및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에 부여하여, 이어지는 프레임데이터의 예측데이터 DPRI를 재현한다.
즉,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 및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는 각각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PINTRA 및 프레임메모리제어데이터 WAP에 따라서 기입상태로 전환되고, 이로써 재현된 프레임데이터내 프레임군의 선두의 프레임데이터 A0를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에 격납하는 동시에, 이어지는 프레임군의 프레임데이터 A6를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에 격납한다(제18(c)도 및 제18(d)도).
선택회로(236,238)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PINTRA에 따라서 생성된 전환신호 SEL3 및 SEL4에 따라서 접점을 전환하고, 이로써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 및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를 각각 후예측 및 전예측용의 프레임데이터로서, 이어지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에 출력한다.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는 선택회로(244,246)를 통하여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동벡터 MVN 및 MVP를 수신하고, 각각 후예측 및 전예측의 프레임데이터를 당해 동벡터 MVN, MVP의 분만큼 변위시켜서 출력한다.
이로써,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를 통하여 레벨 1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 대상의 프레임데이터 B3, B9에 대하여, 각각 후예측 및 전예측 결과의 프레임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당해 프레임데이터를 선택회로(230)에 출력한다.
가산회로(248)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를 가산한 후, 1/2제산회로(250)를 통하여 선택회로(230)에 출력한다.
이로써, 선택회로(230)에 있어서는, 프레임데이터 B3, B9에 대하여,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매크로단위블록에 대하여는 제1의 입력단자 0에 직류레벨 DC이 입력되는데 대하여, 제2, 제3 및 제4의 입력단자 1, 2, 3에 각각 후예측, 보간예측 및 전예측 결과의 프레임데이터가 입력된다.
이리하여, 선택회로(230)에 있어서, 제1~제4의 입력단자 0~3의 입력데이터를 식별데이터 PINDEX에 따라서 선택출력함으로써, 레벨 1의 처리에 할당된 프레임데이터 B3, B9에 대하여, 예측데이터 DPRI를 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예측데이터 DPRI를 가산회로(218)에 출력하여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13)의 출력데이터와 가산함으로써, 프레임데이터 PA0, PA6에 이어서 전송되는 프레임데이터 PB3, PB9를 복호하여 원래의 프레임데이터를 재현할 수 있다.
프레임간 메모리회로(252)는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제어데이터 WB3에 따라서 가산회로(218)의 출력데이터 DTIN를 취입하고, 이로써 당해 프레임간 메모리(252)에 재현된 프레임데이터중 레벨 1에서 처리된 프레임데이터 B3, B9를 격납한다.
이로써, 당해 프레임간 메모리회로(252)를 통하여 기록시와 마찬가지로, 레벨 2의 처리대상으로 되는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가 연속하는 기간동안, 당해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의 예측프레임으로 되는 프레임데이터 B3를 얻을 수 있다(제18(e)도).
이리하여, 선택회로(236,238)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B3 및 A0가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에 출력되고, 이로써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 및 1/2제산회로(250)를 통하여 각각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선택회로(230)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C1, C2에 대한 예측데이터 DPRI를 재현할 수 있고, 이로써 가산회로(218)에 있어서, 프레임데이터 C1, C2를 재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데이터 C1, C2에 이어지는 2프레임주기의 기간동안 선택회로(236,238)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A6 및 B3가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에 출력되어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 및 1/2제산회로(250)를 통하여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선택회로(230)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C4, C5에 대한 예측데이터 DPRI를 재현할 수 있고, 이로써 가산회로(218)에 있어서, 프레임데이터 C4, C5를 재현할 수 있다.
이리하여, 순차 재현된 프레임데이터가 가산회로(218)로부터 가산데이터 DTIN로서 출력된다.
선택회로(260)는 가산데이터 DTIN를 직접 입력하는 동시에 지연회로(262)를 통하여 입력한다.
이에 대하여, 선택회로(264)는 지연회로(262)의 출력데이터를 직접 입력하는 동시에 지연회로(266)를 통하여 입력한다.
또한, 선택회로(260,264)는 전환신호 SEL2에 따라서 접점을 전환하고, 그 선택출력을 선택회로(268)에 출력한다.
선택회로(268)는 선택회로(260,264)의 선택출력 외에,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252)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를 입력하고, 전환신호 SEL1에 따라서 접점을 전환한다.
여기서, 전환신호 SEL1 및 SEL2는 각 프레임데이터에 부가되어 전송된 커렌트인덱스 CID에 따라서 생성되고, 이로써 복호된 프레임데이터를 원래의 순서로 재배열하여 화상데이터 DV(제18(f)도)를 재현하도록 되어 있다.
이리하여, 프레임데이터를 소정의 프레임군마다 분할하여, 순차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함으로써,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영상신호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택회로(244,246)를 통하여 동벡터 MVN, MVP를 출력함으로써, 역전재생시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에 동벡터 MVN, MVP를 전환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재배열회로(203)에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프레임데이터를 7프레임주기만큼 지연시킴으로써, 역전재생에 있어서는, 프레임데이터 PA12에 대하여 프레임데이터 PA6가 6프레임주기만큼 지연된 후, 프레임데이터 PB15~PC17, PA0, PB9~PC11가 연속한다.
따라서, 이 경우 레벨 1의 처리결과로 되는 프레임데이터 PB15, PB9, PB3가 가산회로(208)에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에 프레임데이터 A6, A0가,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에 프레임데이터 A12, A6, A0가 격납된 상태로 된다(제19(c)도 및 제19(d)도).
즉,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 및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에, 노멀재생의 경우와는 예측프레임의 프레임데이터가 교체되어 격납되는 결과로 된다.
따라서, 역전재생시,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에 동벡터 MVN, MVP를 전환하여 출력함으로써, 노멀재생시와는 역으로 가변독출메모리회로(240,242)로부터 각각 전예측 및 후예측 결과의 프레임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리하여, 동벡터 MVN, MVP의 전환에 따라서 동작하여 선택회로(230)의 전환동작을 전예측 및 후예측에서 교체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역전재생할 수 있다.
즉, 프레임데이터를 전송할 때, 전예측, 후예측의 예측프레임, 프레임군중에서의 순번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송하였으므로, 역전재생시에 있어서도, 전송프레임데이터를 노멀재생시와 마찬가지로 간단히 복호할 수 있다.
또한, 레벨 2의 처리대상으로 되는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가 입력되는 타이밍에 있어서는, 프레임간 메모리회로(252)에 프레임데이터가 격납된 상태에서 (제19(e)도),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 및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에 예측프레임이 교체되어 격납되는 결과로 되므로,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동벡터 MVN, MVP, 선택회로(230)의 전환동작을 전예측 및 후예측에서 교체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역전재생할 수 있다.
이리하여, 노멀재생 및 역전재생하여 원래의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3) 실시예의 동작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 VDIN는 화상데이터입력부(2)에서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후, 데이터량이 1/4로 저감되어, 순차 프레임데이터 A0, C1, C2, B3…의 연속하는 영상신호 VD(제1(a)도)로 변환된다.
영상신 VD는 재배열회로(4)에서 프레임데이터 A0, C1, C2, B3…가 6프레임단위의 프레임군으로 분할된 후, 부호화처리하는 순서 A0, A6, B3, C1, C2, C4, C5…(즉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A0, A6, 레벨 1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B3, 레벨 2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의 순서로 됨)로 재배열된다.
또한, 재배열회로(4)에서 프레임군인덱스 GOF,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및 프레임군중의 순서를 나타내는 템포러리인덱스 TR가 생성되어, 프레임데이터 A0, A6, B3, C1, C2, C4…에 동기하여 출력된다.
이리하여, 부호화처리하는 순서 A0, A6, B3, C1, C2, C4, C5, C7…로 재배열된 후, 소정의 식별데이터 GOF, PID, NID, TR를 부가하여 출력함으로써, 후속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재배열된 화상데이터 DVN는 동벡터검출회로(6)의 블록화회로(84)에서 매크로단위블록으로 분할된 후, 소정의 타이밍으로 적응예측회로(10)에 출력된다.
또한, 재배열된 화상데이터 DVN중, 각 프레임군의 선두로 되는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A0, A6, A12는 직접 감산회로(8)에 출력된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데이터 A0, A6, B3는 각각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9),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8)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90)에 격납되어, 후예측 및 전예측의 동벡터검출용의 기준으로 된다.
즉,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9)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90)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A0, A3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에 출력되고, 프레임데이터 C1, C2가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당해 프레임데이터 C1, C2의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동벡터검출범위의 화상데이터가 병렬적으로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출력된다.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의 감산결과는, 절대치총합회로(100,101)에서 매크로단위블록마다 그 절대치가 누적가산되고, 이로써 프레임데이터 C1, C2의 매크로단위블록을 중심으로 한 동벡터검출범위에서 예측프레임을 순차 이동시켰을 때의 편차데이터가 얻어진다.
마찬가지로, 프레임간 메모리회로(90) 및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8)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B3, A6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에 출력되고, 프레임데이터 C4, C5가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당해 프레임데이터 C4, C5의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동벡터검출범위의 화상데이터가 병렬적으로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출력된다.
이로써, 절대치총합회로(100,101)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C4, C5의 각 매크로단위블록을 중심으로 한 동벡터검출범위내에서 예측프레임을 순차 이동시켰을 때의 편차데이터가 얻어진다.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의 편차데이터는 비교회로(102,103)에서 최소치가 검출되고, 이로써 각각 전예측 및 후예측의 동벡터가 검출되다.
이 때, 예측프레임을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얻어지는 편차데이터는 비교회로(105,106)에서 비교회로(102,103)를 통하여 얻어지는 최소치의 편차데이터와의 사이에서, 우선비교결과가 얻어지고, 이로써 제9도의 우선도에 따라서, 0벡터데이터 MV0및 비교회로(102,103)로부터 출력되는 검출된 동벡터를 선택출력하고, 전체로서 효율 좋게 영상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동벡터가 선택된다.
프레임데이터 C1, C2, C4, C5에 대한 동벡터는 선택회로(139,140)를 통하여 출력되는 동시에, 가산회로(120~125) 및 1/2제산회로(128)에 부여되고, 이로써 (3) 및 (4)식의 연산처리가 실행되어, 프레임데이터 B3의 동벡터의 예측동벡터 MV3PY, MV3NY가 검출된다.
이리하여, 프레임데이터 B3에 대하여는, 당해 예측동벡터 MV3PY, MV3NY를 기준으로 한 동벡터검출범위에서 그 동벡터가 검출된다.
즉, 프레임데이터 B3에 대하여는,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9) 및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8)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A0, A6가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에 출력되고, 가변리드메모리회로(94,95)로부터 프레임데이터 B3의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예측동벡터 MV3PY, MV3NY 분만큼 변위한 동벡터검출범위의 화상데이터가 병렬적으로 감산회로 KN0~KN255및 KP0~KP255에 출력된다.
이로써, 절대치총합회로(100,101)를 통하여 예측동벡터MV3PY, MV3NY를 기준으로 한 편차데이터가 얻어지고, 가산회로(135,136)에서 선택회로(107,108)의 선택출력에 예측동벡터 MV3PY, MV3NY를 가산출력함으로써, 프레임데이터 B3의 동벡터가 검출된다.
이에 대하여, 적응예측회로(10)에 출력된 화상데이터 DVN는 평균치메모리회로(150)를 통하여 매크로단위블록마다 휘도신호, 색차신호의 화상데이터의 평균치가 얻어지고, 당해 평균치데이터가 직류데이터 DC로서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 및 선택회로(152)에 출력된다.
또한, 적응예측회로(10)에 출력된 화상데이터 DVN는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A0, A6, B3(가산회로(28)에서 재현된 프레임데이터로 됨)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예측화처리된다.
즉, 프레임데이터 B3에 대하여 선택예측할 때에는,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 및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A0, A6가 선택회로(158,159)를 통하여, 가변리드메모리(160,161)에 출력되고, 여기서 동벡터의 분만큼 변위되어 후예측 및 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N 및 FP가 작성된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데이터 B3는 감산회로(165,166,167)에 출력되고, 여기서 후예측 및 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N 및 FP, 당해 프레임데이터 FN 및 FP로부터 작성되는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NP(1/2제산회로(165)로부터 출력됨)와의 사이에서 감산결과가 얻어진다.
당해 감산결과는 절대치총합회로(168,169,170)에서 절대치화된 후,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누적가산되고, 이로써, 절대치총합회로(168,169,170)를 통하여, 각각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의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제1도)가 얻어진다.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는 비교회로(171)에서 최소치가 검출된다.
당해 최소치는 비교회로(174)에서 직류데이터 DC에 대한 편차데이터와의 사이에서 제12도에 나타낸 우선비교가 행해지고, 이로부터 비교회로(174)를 통하여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의 예측선택결과가 매크로단위블록마다 검출된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데이터 C1, C2에 대하여 선택예측할 때에는,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A0, B3가 가변리드메모리회로(160,161)에 출력되고, 여기서 후예측 및 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N 및 FP가 작성된다.
이리하여, 프레임데이터 B3와 마찬가지로, 프레임데이터 C1, C2는 감산회로(165,166)에서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의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가 얻어지고, 이로써 비교회로(174)를 통하여,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 프레임내 부호화처리의 예측선택결과가 매크로단위블록마다 검출된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데이터 C4, C5에 대하여 선택예측할 때에는,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 및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B3, A0가 가변리드메모리(160,161)에 출력되고, 여기서 동벡터의 분만큼 변위하여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리하여, 프레임데이터 B3, C1, C2와 마찬가지로, 비교회로(174)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C4, C5의 예측선택결과가 매크로단위블록마다 검출된다.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N, FP, FNP 및 직류레벨의 데이터 DC는 선택회로(152)를 통하여, 예측선택결과에 따라서 선택출력되고, 이로써 예측데이터 DPRI가 작성되어 감산회로(8)에 출력된다.
이에 대하여, 예측선택결과는 선택회로(180)로부터 예측인덱스 PINDEX로서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에 출력된다.
예측데이터 DPRI는 감산회로(8)에 있어서 화상데이터 DVN와 감산되고, 이로써 편차데이터 DZ가 작성된다.
편차데이터 DZ는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에서 DCT의 수법을 이용하여,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변환된다.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는 승산회로(14)에서 동벡터검출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에러데이터 ER에 따라서 가중처리된 후, 재양자화회로(18)에서 당해 에러데이터 ER,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량, 버퍼회로(21)의 입력데이터량에 따른 양자화스텝사이즈로 재양자화된다.
이리하여, 가중처리하는 동시에, 에러데이터 ER,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량, 버퍼회로(21)의 입력데이터량에 따른 양자화스텝사이즈로 재양자화함으로써, 영상신호를 고품질로, 또한 각 프레임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재양자화된 화상데이터는 렌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0)에서 가변화길이부호화처리된 후,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에서 소정의 포맷(제13도~제16도)에 따라서, 가변화길이부호화처리된 동벡터 MVN 및 MVP의 데이터, 예측인덱스 PINDEX,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템포러리인덱스 TR 등이 부가되어 전송데이터 DATA로 변환되어, 콤팩트디스크에 기록된다.
또한, 재양자화된 화상데이터는 역재양자화회로(22), 역승산회로(24),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6)를 통하여,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입력데이터로 역변환된 후, 가산회로(28)에서 적응예측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예측데이터 DPRI와 가산처리됨으로써, 감산회로(8)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 DF로 변환된다.
이리하여, 당해 프레임데이터 DF는 적응예측회로(10)의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 후예측프레임(154)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에 격납되어, 각각 전예측, 후예측의 프레임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이로써, 계속하여 감산회로(8)에 입력되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예측데이터 DPRI가 작성되고, 순차 전송프레임데이터 DATA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재배열된 화상데이터 DVN중, 프레임데이터 A0, B3, A6는 각각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9), 프레임간 메모리회로(90) 및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88)에 격납되고, 이로써 선택회로(139,140)를 통하여 순차 프레임데이터 B3, C1, C2…의 동벡터 MV3P, MV3N, MV1P, MV1N, MV2P, MV2N…가 검출된다.
이에 대하여, 적응예측회로(10)에 출력된 화상데이터 DVN는 매크로단위블록마다 휘도신호, 색차신호의 화상데이터의 평균치가 평균치메모리회로(150)를 통하여 얻어지고, 당해 평균치데이터가 직류데이터 DC로서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에 출력된다.
또한, 적응예측회로(10)에 입력된 화상데이터 DVN는 프레임데이터 A0, A6, B3 (가산회로(28)에서 재현된 프레임데이터로 됨)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예측화처리되고, 매크로단위마다 각각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의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제1도)가 얻어진다.
편차데이터 ΔFN, ΔFP, ΔFNP는 데이터량이 가장 작은 것이 검출되고, 이로부터 선택예측결과가 매크로단위블록마다 검출된다.
후예측, 전예측, 보간예측한 프레임데이터 FN, FP, FNP는예측선택결과에 따라서 선택출력되고, 이로써 예측데이터 DPRI가 작성되어 감산회로(8)에 출력된다.
이에 대하여, 선택예측결과는 식별데이터 PINDEX로서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에 출력된다.
예측데이터 DPRI는 감산회로(8)에 있어서 화상데이터 DVN와 감산되고, 이로써 편차데이터 DZ가 작성된다.
편차데이터 DZ는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에서 DCT의 수법을 이용하여,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변환된다.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는 승산회로(14)에서 동벡터검출회로(6)로부터 출력되는 에러데이터 ER에 따라서 가중처리된 후, 재양자화회로(18)에서 당해 에러데이터 ER,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량, 버퍼회로(21)의 입력데이터량에 따른 양자화스텝사이즈로 재양자화된다.
이리하여, 가중처리하는 동시에, 에러데이터 ER,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출력데이터, 버퍼회로(21)의 입력데이터량에 따른 양자화스텝사이즈로 재양자화함으로써, 동화영상신호를 고품질로, 또한 각 프레임데이터를 소정의 데이터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재양자화된 화상데이터는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0)에서 가변화길이부호화처리된 후, 전송데이터합성회로(32)에서 소정의 포맷에 따라서, 가변화길이부호화처리된 후, 소정의 포맷으로 콤팩트디스크에 기록된다.
이에 대하여, 동벡터검출회로(6)에서 검출된 동벡터는 런렝쓰허프만부호화회로(34)에 출력된다. 여기서, 동벡터는 1프레임분의 벡터로 환산된 후, 적응부호화처리되고, 잉여데이터 및 동벡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 (즉,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 템포러리인덱스 TR로 검출할 수 있음)와 함께 콤팩트디스크에 기록된다. 또한, 재양자화된 화상데이터는 역재양자화회로(22), 역승산회로(24) 및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6)를 통하여,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입력데이터로 역변환된 후, 가산회로(228)에서 적응예측회로(10)로부터 출력되는 예측데이터 DPRI와 가산처리됨으로써, 감산회로(8)의 입력데이터를 재현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 DF로 변환된다.
이리하여, 당해 프레임데이터 DF는 적응예측회로(10)에 격납되어, 각각 전예측, 후예측의 예측프레임데이터로서 사용된다.
이로써, 계속하여 감산회로(8)에 입력되는 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 예측데이터 DPRI가 작성되고, 순차 전송프레임데이터 DATA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수신장치(200)에 있어서, 콤팩트디스크를 재생하여 얻어지는 재생데이터 DPB는 수신회로(201)에 입력되고, 각 프레임군의 선두가 검출된 후, 당해 검출결과와 함께 재배열회로(203)에 출력되어, 순차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및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한 프레임데이터 PA0, PA6, PB3, PC1, PC2…의 연속하는 화상데이터 DVPBN로 재배열된다.
재배열된 프레임데이터는 버퍼회로(204)를 통하여 분리회로(206)에 출력되고, 여기서 프레임데이터에 부가되어 전송된 프레임군인덱스 GOF,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등이 재현된다.
분리회로(206)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는 런렝쓰허프만역부호화회로(210), 역재양자화회로(211), 역승산회로(212),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13)를 통하여 역변환되고, 이로써 디스크리트코사인변환회로(12)의 입력데이터가 재현된다.
디스크리트코사인역변환회로(213)의 출력데이터는 가산회로(218)에서 적응예측회로(214)로부터 출력되는 예측데이터 DPRI와 가산되고, 그 결과 얻어지는 가산데이터 DTIN가 적응예측회로(214)에 출력된다.
적응예측회로(214)에 있어서,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한 전송프레임데이터에 대하여는, 전송된 직류레벨의 데이터 DCC가 선택회로(230)를 통하여 예측데이터 DPRI로서 출력되고, 이로써 가산회로(218)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A0, A6, A12를 순차 재현하여 이루어지는 출력데이터 DTIN를 얻을 수 있다.
가산회로(218)의 출력데이터 DTIN중, 프레임데이터 A0, A6는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 및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에 격납되고, 이어지는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의 복호에 사용된다.
즉,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 및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A0, A6는 선택회로(236,238)를 통하여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에 출력된다.
여기서, 프레임데이터 A0, A6는 매크로단위블록마다 동벡터 MVN 및 MVP의 분만큼 변위되어 출력되고, 이로써 프레임데이터 B3에 대하여, 각각 후예측 및 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가 작성된다.
또한,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로부터 출력되는 프레임데이터는 가산회로(248) 및 1/2제산회로(250)에 입력되고, 이로써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가 형성된다.
후예측, 전예측 및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는 직류데이터 DC와 함께 선택회로(230)에 출력되고, 프레임데이터에 부가되어 전송된 식별데이터 PINDEX에 따라서 선택 출력되고, 이로써 프레임 B3에 대하여 예측데이터 DPRI가 작성된다.
이리하여, 당해 예측데이터 DPRI가 가산회로(218)에 출력되어, 프레임데이터 B3가 복호된다.
복호된 프레임데이터 B3는 프레임간 메모리회로(252)에 격납되고,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 및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A6, A0와 함께, 프레임데이터 C1, C2, C4…가 복호용의 프레임데이터로 사용된다.
즉,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4)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252)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A6 및 B3는 선택회로(236,238)를 통하여 가변리드메모리회로(2240,242)에 출력되고, 이로써 프레임데이터 C1, C2에 대하여, 각각 후예측, 전예측 및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가 생성된다.
이에 대하여, 프레임간 메모리회로(252) 및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232)에 격납된 프레임데이터 B3 및 A0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에 출력되고, 이로써 프레임데이터 C4, C5에 대하여, 각가 후예측, 전예측 및 보간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리하여, 선택회로(230)를 통하여 프레임데이터 C1, C2, C4…에 대한 예측데이터 DPRI가 얻어지고, 가산회로(218)에 출력되어, 프레임데이터 C1, C2, C4…가 복호된다.
복호된 프레임데이터 A0, A6, B3, C1, C2, C4…는 지연회로(262,266)와 선택회로(260,264,268)를 통하여, 원래의 순서로 배열된 후 출력되고, 이리하여 고능률 부호화하여 전송한 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역전재생의 경우는, 가변리드메모리회로(240,242)에 전예측 및 후예측의 동벡터가 전환되어 입력되고, 동시에 선택회로(230)의 접점전환동작을 전예측 및 후예측에서 전환함으로써, 노멀재생시와 마찬가지로 예측데이터 DPRI가 얻어지고, 원래의 프레임데이터가 재현된다.
가산회로(218)의 출력데이터 DTIN중, 프레임데이터 A0, A6는 적응예측회로(214)에 있어서, 이어지는 프레임데이터 B3, C1, C2, C4…의 복호에 사용되고, 그 복호된 프레임데이터 A0, A6, B3, C1, C2, C4…가 적응예측회로(214)에서 원래의 순서로 배열되어 출력되고, 이리하여 고능률 부호화하여 전송한 동화영상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4) 실시예의 효과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프레임데이터를 6개의 프레임단위의 프레임군으로 분할하고, 각 프레임군의 선두의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고, 당해 프레임데이터 및 이어지는 프레임군의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프레임데이터를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여, 당해 프레임군의 제4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효율 좋게 부호처리할 수 있고, 이리하여 고품질의 영상신호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의 프레임데이터를 당해 프레임군의 제4프레임데이터, 각 프레임군 및 이어지는 프레임군의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프레임데이터를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함으로써,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더 한층 효율 좋게 부호화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프레임데이터에, 각 예측프레임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송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2배 벡터 MV1N, MV2P, MV4N, MV5P, 3배 벡터 MV3N, MV3P를 1프레임분의 벡터로 환산하여, 출현확률이 높은 것을 우선하여 가변길이부호화처리함으로써, 공통의 테이블을 사용하여 부호화처리할 수 있고, 이리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동벡터를 최적화처리할 수 있다.
(5) 다른 실시예
(5-1)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프레임데이터를 6프레임단위의 프레임군으로 분할하고, 그 선두의 프레임데이터를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고, 제4프레임데이터를 레벨 1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 제2, 제3, 제5 및 제6 프레임데이터를 레벨 2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레벨 1 및 레벨 2의 프레임간 부호화처리를 여러가지로 조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데이터를 6프레임단위의 프레임군으로 분할하고, 그 선두의 프레임데이터 A0, A6를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고, 제3 및 제5프레임데이터 B2 및 B4를 레벨 1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고, 제2, 제4 및 제6프레임데이터 C1, C3 및 C5를 레벨 2로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해도 된다.
이 경우는, 프레임데이터 C1, B2, C3, B4, C5에서 각각 프레임데이터 A0 및 B2, A0 및 A6, B2 및 B4, A0 및 A6, B4 및 A6를 예측프레임으로 선정하여,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적응예측회로에서 예측화할 수 있다.
즉, 제2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프레임데이터 A0, C1, B2, C3…의 배열을 처리하는 순서 A0, A6, B2, C1, B4, C3, C5…로 재배열하여 화상데이터 DV(제23(a)도)를 작성하고, 이 때 동시에 전예측기준인덱스 PID(제23(b)도)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제23(c)도)를 작성한다.
여기서,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의 값 0, 2, 4는 각각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A0, A6, 프레임데이터 B2 및 프레임데이터 B4가 예측프레임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당해 화상데이터 DV에 따라서, 재현된 화상데이터 DF를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 및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에 부여하고,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의 출력데이터를 프레임간 메모리회로(302)에 부여한다.
여기서, 선택회로(300)의 접점은 후예측프레임메모리(154)측에 유지된다.
이로써,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A0 및 A6가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 및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를 기입상태로 전환한후, 제3 및 제5프레임데이터 B2, B4가 입력되는 타이밍으로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302)를 기입상태로 전환함으로써, 각 프레임메모리회로(154~156, 302)에 프레임데이터 A0, A6, B2, B4를 격납할 수 있다(제23(d),(e),(f) 및 (g)도).
따라서, 선택회로(304,305)의 접점을 전환신호 SW8, SW9(제23(h)도 및 제223(i)도)에 따라서 순차 전환하고, 그 선택출력을 가변리드메모리회로(160,161)에 출력함으로써,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프레임데이터 B3, C1, B4, C3…에 대하여, 순차 예측결과의 프레임데이터 FN, FNP, FP를 생성할 수 있다.
이리하여, 이와 같이 프레임데이터의 처리수준을 전환하도록 해도, 각 프레임데이터에 예측프레임을 표현하는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부가하여 전송하면, 수신장치측에서 간단히 복호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레임데이터의 처리순서로 프레임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기준으로 하여 프레임데이터를 순차 처리함으로써,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적응예측회로를 사용하여 선택예측화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동벡터검출회로, 수신장치측의 적응예측회로도 제22도와 동일하게 구성하여,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기준으로 하여 동작을 전환함으로써,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프레임데이터의 처리순서로 프레임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고, 이리하여 그만큼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의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선택회로(300)의 접점을 전환하여,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에 직접 화상데이터 DF를 입력하고,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기준으로 하여 동작을 전환하도록 하면,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처리순서로 프레임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에도, 당해 적응예측회로(300)를 적응시킬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데이터 A0를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고, 당해 프레임데이터 A0를 예측프레임으로 하여 제3 프레임데이터 B2를 전송한다.
또한, 제5, 제7 프레임데이터 B4, B6를 순차 2프레임전의 프레임데이터 B2, B4를 예측프레임으로 설정하여 전송하는 동시에, 그 사이의 프레임데이터 C1, C3…를 전후의 프레임데이터 A0 및 B2, B2 및 B4를 예측프레임으로 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선택회로(300)의 접점을 전환하여, 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4), 후예측프레임메모리회로(155), 프레임간 메모리회로(156,302)에, 소정의 예측프레임데이터를 전예측기준인덱스 PID 및 후예측기준인덱스 NID를 기준으로 하여 취입함으로써, 당해 전송포맷의 영상신호도 적응예측화할 수 있다.
(5-2)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영상신호를 미리 1/4의 데이터량으로 압축한 후,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데이터압축량은 이에 한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여러가지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데이터압축을 생략하여 직접 프레임내 부호화처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도록 해도 된다.
(5-3)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콤팩트디스크에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자기테이프 등 여러가지의 기록매체에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또한 소정의 전송로를 통하여 직접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경우에 널리 적응시킬 수 있다.
(5-4)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순차 연속하는 프레임데이터를 6프레임단위로 구분하고, 그 중에서 검출된 2프레임 및 3프레임 떨어진 동벡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복수 프레임 떨어진 프레임간의 동벡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널리 적응시킬 수 있다.
(5-5)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콘팩트디스크에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자기테이프 등 여러가지의 기록매체에 영상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또한 소정의 전송채널을 통하여 직접 수신장치에 전송하는 경우에 널리 적응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탈영상신호를 소정 프레임단위의 프레임군으로 분할하고, 각 프레임군중의 디지탈영상신호를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동시에,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전후의 디지탈영상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함으로써,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효율 좋게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고, 이리하여 고품질의 영상신호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는 영상신호 전송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디지탈영상신호를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전후의 디지탈영상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제1 프레임내 부호화처리하는 것과, 제1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디지탈영상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나누어 처리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화질열화를 유효하게 회피하여 더 한층 효율 좋게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고, 이리하여 고품질의 영상신호를 효율 좋게 전송할 수 있는 영상신호전송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간 부호화처리하여 전송하는 디지탈영상신호에, 당해 프레임간 부호화처리의 기준으로 된 프레임의 디지탈영상신호식별데이터를 부가하여 전송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전송된 데이터를 복호할 수 있는 영상신호전송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프레임 떨어진 프레임간의 동벡터를 1프레임분의 벡터로 환산하고, 최적화처리하여 전송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동벡터를 최적화처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Claims (8)
- 제1 및 제2의 화상간의 동(動)벡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벡터전송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벡터에 따른 데이터를 어떤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잉여를 연산하고, 상기 몫을 소정의 VLC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하여 가변길이부호를 발생하고,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벡터전송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비트는 상기 가변길이부호의 최하위비트의 뒤에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벡터전송방법.
- 제1 및 제2의 화상간의 동벡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벡터전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벡터에 따른 데이터를 어떤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잉여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몫을 소정의 VLC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하여 가변길이부호를 발생하는 가변길이부호화수단과,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전송하는 전송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벡터전송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수단은 상기 부가비트를 상기 가변길이부호의 최하위비트의 뒤에 부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벡터전송장치.
- 부호화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화상간의 동벡터에 따른 데이터를 어떤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잉여를 연산하고, 상기 몫을 소정의 VLC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하여 가변길이부호를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의 형식으로 전송된 부호화동벡터데이터를 복호화(復號化)하는 동벡터복호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가변길이부호와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복호화하여 상기 동벡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벡터복호화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비트는 상기 가변길이부호의 최하위비트의 뒤에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벡터복호화방법.
- 부호화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화상간의 동벡터에 따른 데이터를 어떤 값으로 나누었을 때의 몫과 잉여를 연산하고, 상기 몫을 소정의 VLC테이블을 사용하여 가변길이부호화하여 가변길이부호를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의 형식으로 전송된 부호화동벡터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동벡터복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가변길이부호와 상기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수신된 어떤 값을 나타내는 정보와 가변길이부호와 잉여를 나타내는 부가비트를 복호화하여 상기 동벡터를 재현하는 수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벡터복호화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비트는 상기 가변길이부호의 최하위비트의 뒤에 부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벡터복호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00016676 | 1990-10-19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00016676 Division | 1990-10-19 | 1990-10-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33419B1 true KR100233419B1 (ko) | 1999-12-01 |
Family
ID=19304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35901A KR100233419B1 (ko) | 1990-10-19 | 1995-10-18 | 동벡터전송방법, 동벡터전송장치, 동벡터복호화방법 및 동벡터복호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33419B1 (ko) |
-
1995
- 1995-10-18 KR KR1019950035901A patent/KR10023341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713340B1 (en) | Video signal 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 |
EP0584840B1 (en) | Apparatus for adaptive interframe predictive decoding of a video signal | |
US5666461A (en) | High efficiency encoding and decoding of picture signals and recording medium containing same | |
US5386234A (en) | Interframe motion predicting method and picture signal coding/decoding apparatus | |
US6226327B1 (en) | Vide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select between frame-based and field-based predictive modes | |
JP2540809B2 (ja) | 高能率符号化装置 | |
US5657086A (en) | High efficiency encoding of picture signals | |
JP3840895B2 (ja) | 動画像符号化データ変換装置及びその方法 | |
AU670288B2 (en) | Device for high efficiency encoding and decoding of picture signals and recording medium | |
JPH11317951A (ja) | データ符号化装置、データ符号化方法及びデータ伝送方法 | |
JPS61118085A (ja) | 画像信号の符号化方式およびその装置 | |
EP1280356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ressing multiplexed video signals | |
US6256349B1 (en) | Picture signal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picture signal transmitting method, picture signal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 |
JP2712645B2 (ja) | 動きベクトル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動きベクトル復号化方法及びその装置 | |
KR100233419B1 (ko) | 동벡터전송방법, 동벡터전송장치, 동벡터복호화방법 및 동벡터복호화장치 | |
JPH03226193A (ja) | 映像信号伝送装置 | |
JP2830183B2 (ja) |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 | |
JP3159310B2 (ja) | 映像信号符号化方法及び映像信号符号化装置 | |
JPH07131793A (ja) | 映像信号高能率符号化装置 | |
CA2027659C (en) | Video signal transmitting system | |
JP2959714B2 (ja) |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 | |
JPH08331510A (ja) | 映像信号記録媒体 | |
JPH08317407A (ja) | 映像信号伝送方法及び映像信号伝送装置 | |
JPH08317408A (ja) | 映像信号復号化方法及び映像信号復号化装置 | |
JPS6138672B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12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