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970B1 -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of double band digital mobile telephone - Google Patents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of double band digital mobile tele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970B1
KR100232970B1 KR1019960046756A KR19960046756A KR100232970B1 KR 100232970 B1 KR100232970 B1 KR 100232970B1 KR 1019960046756 A KR1019960046756 A KR 1019960046756A KR 19960046756 A KR19960046756 A KR 19960046756A KR 100232970 B1 KR100232970 B1 KR 10023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terface unit
band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7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80027844A (en
Inventor
심재민
임희근
카쯔히로 카메타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60046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970B1/en
Publication of KR19980027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8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97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 H04B1/0082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with a common local oscillator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04B1/005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using diplexing or multiplexing filters for selecting the desired band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신호 모듈에 관한 것으로, CDMA 이동통신을 위한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와,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 및, CDMA 이동통신과 PCS 서비스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블록을 구성하고, 메인 클럭 신호로 기존의 CDMA 이동통신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하던 클록 신호를 사용하며, PCS 서비스를 위한 클럭 신호는 메인 클럭 신호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이중 대역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을 제시함으로써, 하나의 휴대 단말기에서 CDMA 이동통신과 PCS 서비스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frequency signal module of a digital portable terminal and includes a lower-band interface unit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a higher-band interface unit for a PCS service, and a common interface unit commonly used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and PCS service Frequency signal module for converting a clock signal used for a PCS service into a main clock signal and using the clock signal used for a conventional CDM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a main clock signal, Thus,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both CDMA mobile communication and PCS service in one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이중 대역 디지털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Dual band digital mobile terminal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2도는 제1도에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higher-band interface unit in FIG. 1; FIG.

제3도는 제1도에서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lower-band interface unit in FIG. 1; FIG.

제4도는 제1도에서 공통 인터페이스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mon interface unit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 인터페이스 블록 10 :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 Interface block 10: Upper band interface part

20 : 항위 대역 인터페이스부 30 : 공통 인터페이스부20: altitude band interface unit 30: common interface unit

11,21,31 : 송신부 12, 22, 32 : PLL 발진부11, 21, 31: Transmitter 12, 22, 32: PLL oscillator

32-1 : 송신 PLL부 32-2 : 수신 PLL부32-1: Transmit PLL unit 32-2: Receive PLL unit

13,23,33 : 수신부 34 :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13, 23, 33: Receiving section 34: Baseband analog section

34-1 : 송신단 34-2 : 수신단34-1: transmitting end 34-2: receiving end

34-3 : 발진부 2 : 제어 블록34-3: oscillation part 2: control block

P1,P2,P3,P4 : PLL L1,L2,L3,L4 : 루프 필터P1, P2, P3, P4: PLL L1, L2, L3, L4: Loop filter

FA1,FA2,FA3,FA4,FA5,FA6,FB1,FB2 : 밴드 패스 필터FA1, FA2, FA3, FA4, FA5, FA6, FB1, FB2:

FC1,FC2 : 로우 패스 필터 A1,A2,A3,A4,A5 : 증폭기FC1, FC2: low-pass filters A1, A2, A3, A4, A5: amplifiers

D1,D2 : 드라이버 D3,D4,TC1,TC2 : 디바이더D1, D2: Driver D3, D4, TC1, TC2: Divider

M1,M2,M3,M4,M5,M6,M7,M8 : 믹서 U1,U2 : 위상 변환기M1, M2, M3, M4, M5, M6, M7, M8: mixer U1, U2:

T1,T2,T3 : 탱크 B1,B2,B3 : 버퍼T1, T2, T3: Tanks B1, B2, B3: Buffers

TR1,TR2,TR3,TR4 : 트랩 PS1,PS2 : 전원 분배기TR1, TR2, TR3, TR4: Trap PS1, PS2: Power distributor

IS1,IS2 : 아이솔레이터 DP1,DP2 : 송수신 여파기IS1, IS2: Isolator DP1, DP2: Transmitter / Receiver

SW,SW1 : 스위치 VGA1,VGA2 : 전압 이득 조절기SW, SW1: Switches VGA1, VGA2: Voltage gain regulator

DA1,DA2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1, DA2: digital / analog converter

AD1,AD2,AD3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1, AD2, AD3: Analog / digital converter

VC1,VC2,VC3,VC4 : 전압 제어 발진기 C : 컴바이너VC1, VC2, VC3, VC4: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C: combiner

PC : 파워 제어기 AG : 자동 이득 제어기PC: Power controller AG: Automatic gain controller

DE : 경보 검출 유니트 M : 가산기DE: Alarm detection unit M: Adder

MU : 멀티플라이어 AT : 감쇄기MU: Multiplier AT: Attenuator

본 발명은 디지털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신호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칭한다)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상위 대역의 디지털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신호 모듈을 하나로 믹스한 형태의, 하나의 단말기에서 CDMA 이동통신 서비스와 PCS 서비스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이중 대역 디지털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frequency signal module of a digital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high-frequency signal module of a digital mobile terminal for use in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signal module in which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PCS service can be both performed in one terminal.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신호 모듈은 하위 대역의 CDMA 이동통신 휴대 단말기용이며, 향후 시행될 PCS 서비스에 대한 상위 대역의 휴대 단말기용 고주파 신호 모듈은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이다.A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of a digital portable terminal currently in use is for a low frequency band CDM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for a high frequency band portable terminal for a PCS service to be implemented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본 발명은 상기 하위 대역의 CDMA 이동통신 휴대 단말기와 상위 대역의 PCS 서비스용 휴대 단말기의 기능을 하나의 단말기에서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CDMA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하위 대역의 디지털 휴대 단말기와 향후 서비스 예정인 PCS에서 사용하는 상위 대역의 디지털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신호 모듈을 하나로 믹스한 형태의 이중 대역 디지털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을 제시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portable terminal of the lower band and the PCS service portable terminal of the upper band in one terminal, Frequency signal module of a high-band digital portable terminal used in a PCS to be used in the future, and a high-frequency signal module of a dual-band digital mobile terminal in which a high-frequency signal module is mixed.

즉, 디지털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신호 모듈을 내부 안테나 신호와 외부 안테나 신호로 선택하는 안테나 스위치와, 상기 안테나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서 상위 대역 신호를 선택하는 트랩과, 하위 대역 신호를 선택하는 트랩과, 데이터의 송수신 인터페이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블록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으로 구성하며, 이때 인터페이스 블록은 하위 대역의 CDMA 이동통신용 인터페이스부(이하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라 칭한다)와, 상위 대역의 PCS 서비스용 인터페이스부(이하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라 칭한다) 및, CDMA 이동통신과 PCS 서비스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인터페이스부로 구성한다.That is, an antenna switch for selecting a high-frequency signal module of a digital portable terminal as an internal antenna signal and an external antenna signal, a trap for selecting a higher-band signal from a signal inputted through the antenna switch, a trap for selecting a lower- An interface block for transmitting / receiving data, and a control block for controlling the system. The interface block includes a lower band CDMA mobile communication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band interface) and a higher band PCS service interfa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igher-band interface), and a common interface unit commonly used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and PCS service.

또한, 상기에서 CDMA 이동통신을 위한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는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였으며,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는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의 신호 처리 대역을 변경하여 해당 대역에 맞추어 응용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핵심이 되는 부분은 공통 인터페이스부이다.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for the CDMA mobile communication uses a known technique, and the higher band interface unit for the PCS service changes the signal processing band of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and applies it to the corresponding band. Therefore,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mmon interface unit.

이어서,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 및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와 송수신하기 위한 송신부와 수신부, 인가되는 메인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부와 수신부에 인가되는 주파수를 만들어 내는 PLL 발진부와, 제어 블록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인터페이스 블록의 메인 클럭을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송수신 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로 이루어진다.The common interface unit includes a PLL oscillation unit for generating a frequency to b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reception unit using a main clock applied to the transmission unit and the reception unit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with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and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for generating a main clock of the interface block according to a received signal, and a baseband analog unit for converting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의 메인 클럭 신호로 기존의 CDMA 이동통신용 휴대 단말기의 고주파 신호 모듈에서 사용하던 클럭 신호를 사용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상위 인터페이스부에 멀티플라이어를, 공통 인터페이스부에 디바이더를 두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clock signal used in a high-frequency signal modul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is used as a main clock signal of the system, and a multiplier is provided in an upper interface unit and a divider is provided in a common interface unit .

본 발명 휴대 단말기에서의 동작은 크게 초기화 상태, 휴지 상태, 시스템 엑세스 상태, 통화 채널 상태로 구분되며, 초기화 상태는 사용자가 전원을 온 시키면, 제어 블록에서 공통 인터페이스부를 온 시키고, 서비스 받고자 하는 대역의 인터페이스부를 온 시켜 서비스 받을 준비를 하는 상태를 말하며, 휴지 상태는 초기화 상태 이후의 상태로 할당된 슬롯 동안 호출 채널을 감시, 메시지 확인, 단말기 등록, 유휴 핸드오프, 시스템 부가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부가 정보 동작에 대한 응답 등을 수행하고, 시스템 엑세스 상태는 엑세스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에 메시지를 송출하며, 호출 채널을 통하여 기지국으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고, 통화 채널 상태에서는 통화 채널을 사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한다.In the initialization state, when the user turns on the power, the common interface unit is turned on in the control block, and the bandwidth of the band to be served And the interface unit is turned on to prepare for receiving a service. The idle state is a state in which, when a call channel is monitored during a slot allocated to a state after the initial state, message confirmation, terminal registration, idle handoff, The system access state transmits a message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access channel, receives the message from the base station via the paging channel, and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using the communication channel in the call channel stat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 내부 안테나 신호와 외부 안테나 신호를 선택하는 안테나 스위치(SW)와; 입력되는 신호에서 상위 대역 신호를 선택하는 트랩(TR1)과; 하위 대역 신호를 선택하는 트랩(TR2)과; 하위 대역의 CDMA 이동통신을 위한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와, 상위 대역의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CDMA 이동통신과 PCS 서비스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인터페이스부(30)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블록(1)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블록(2)의 연결을 보여주고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enna switch SW for selecting an internal antenna signal and an external antenna signal; A trap TR1 for selecting an upper band signal from an input signal; A trap TR2 for selecting a lower band signal; A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for a lower band CDMA mobile communication, a higher band interface unit 10 for a higher band PCS service, a common interface unit 30 commonly used for a CDMA mobile communication and a PCS service, An interface block 1 comprising: And a control block 2 for controlling the system.

제2도는 제1도에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전송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11)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30)로 전송하는 수신부(13) 및,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인가된 클럭 신호를 발진하여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 사용하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PLL 발진부(12)로 구성된다.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igh-band interface unit 10 in FIG. 1, and includes a transmitting unit 11 for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to the outside through an antenna, A receiving unit 13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clock signal to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and generating a clock signal used in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by oscillating a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And a PLL oscillating unit 12 for generating a PLL.

상기에서 송신부(11)는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호로 만들기 위하여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FB1)와, PLL 발진부(12)의 전원 분배기(PS1)에서 입력된 신호와 상기 밴드 패스 필터(FB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M1)와, 믹서(M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기 위하여 믹서(M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FA1)와, 상기 밴드 패스 필터(FA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기(A1)로 전송하는 드라이버(D1)와, 상기 드라이버(D1)에서 전송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A1)와, 상기 증폭기(A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호하기 위한 아이솔레이터(IS2) 및,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여파기(DP1)로 이루어진다.The transmitter 11 includes a bandpass filter FB1 for filte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nto a signal for use in the higher band interface unit 10, A mixer M 1 for mixing a signal input from the distributor PS 1 and a signal input through the bandpass filter FB 1 and outputting the mixed signal, a mixer M 1 for extracting a surface acoustic wave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M 1, A driver D1 for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band-pass filter FA1 to the amplifier A1; a band-pass filter FA1 for filtering a signal output from the driver D1; An amplifier A1 for amplifying a signal, an isolator IS2 for protec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A1 and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filter DP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또한, 상기 PLL 발진부(12)는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인가되는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5배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라이어(MU)과, 상기 멀티플라이어(MU)에서 입력되는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 사용하는 클럭 신호를 감지하는 PLL(P1)과, 상기 PLL(P1)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기 위하여 PLL(P1)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루프 필터(L1)와, 상기 루프 필터(L1)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C3)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3)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PLL(P1)에 공급하고 전원 분배기(PS1)로 전송하는 버퍼(B1) 및, 상기 버퍼(B1)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배하여 송신부(11)와 수신부(13)의 믹서(M1,M2)로 전송하는 전원 분배기(PS1)로 이루어진다.The PLL oscillating unit 12 includes a multiplier MU for outputting a frequency of a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5 and outputting the frequency of the clock signal, A PLL P1 for detecting a clock signal used in the band interface unit 10 and a loop filter L1 for filter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LL P1 to extract a signal of a signal output from the PLL P1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3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loop filter L1 and generating a frequenc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3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3 and supplying the signal to the PLL P1; And a power distributor PS1 that distribut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uffer B1 and transmits the distributed signal to the mixers M1 and M2 of the transmitter 11 and the receiver 13 .

이어서, 상기 멀티플라이어(MU)는 제어 블록(2)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해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발생시킨 메인 클럭 신호를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 사용할 클럭 신호로 만들기 위해 사용하였다.Then, the multiplier MU converts the main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nto a clock signal to be used in the high-band interface unit 10 for the PCS service by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block 2 Respectively.

또한, 상기 수신부(13)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여파기(DP1)와, 상기 송수신 여파기(DP1)에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5)와, 상기 증폭기(A5)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기 위하여 증폭기(A5)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FA4) 및, 상기 밴드 패스 필터(FA4)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PLL 발진부(12)의 전원 분배기(PS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믹싱하여 공통 인터페이스부(30)로 전송하는 믹서(M2)로 이루어진다.The receiving unit 13 include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ter DP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an amplifier A5 for amplifying a signal input from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ter DP1, A band-pass filter (FA4) for receiving and filter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A5) in order to extract an acoustic wave; a band-pass filter (FA4) for filtering a signal outputted from the band-pass filter (FA4) And a mixer M2 for mixing signals output from the mixer 30 and transmitting the mixed signals to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

제3도는 제1도에서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전송된 신호를 안테나를 통해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부(21)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30)로 전송하는 수신부(23) 및,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인가된 클럭 신호를 사용하여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 사용하는 클럭 신호를 만들어 내는 PLL 발진부(22)로 구성된다.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lower-band interface unit 20 in FIG. 1, a transmission unit 21 for transmi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to the outside through an antenna, A receiver 23 for receiving the clock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lock signal to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and a clock signal used in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using the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And a PLL oscillating unit 22.

한편, 상기 송신부(21)는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전송된 신호를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 사용하기 위한 신호로 만들기 위하여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FB2)와, PLL 발진부(22)의 전원 분배기(PS2)에서 출력된 신호와 상기 밴드 패스 필터(FB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는 믹서(M3)와, 상기 믹서(M3)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기 위하여 믹서(M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FA3)와, 상기 밴드 패스 필터(FA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기(A2)로 전송하는 드라이버(D2)와, 상기 드라이버(D2)에서 전송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A2)와, 상기 증폭기(A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파워를 제어한 후 상기 증폭기(A2)로 재입력하는 파워 제어기(PC)와, 상기 증폭기(A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호하기 위한 아이슬레이터(IS1) 및,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여파기(DP2)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파워 제어기(PC)는 옵션이다.The transmitter 21 includes a bandpass filter FB2 for filte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nto a signal for use in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A mixer M3 for mixing and outpu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distributor PS2 and a signal input through the bandpass filter FB2 and a mixer M3 for extracting a surface acoustic wave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M3 A bandpass filter FA3 for receiving and filtering a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M3; a driver D2 for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bandpass filter FA3 to the amplifier A2; A power controller PC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A2 and for controlling power and re-inputting the signal to the amplifier A2; A2) to protect the output signal And an input / output filter DP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the above, the power controller (PC) is an option.

이어서, 상기 PLL 발진부(22)는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인가되는 메인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 사용하는 클럭 신호를 만들어내는 PLL(P2)과, PLL(P2)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기 위하여 PLL(P2)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루프 필터(L2)와, 상기 루프 필터(L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전압 제어 발진기(VC4)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4)에서 출력된 신호를 입력받아 PLL(P2)에 공급하고 전원 분배기(PS2)로 전송하는 버퍼(B2) 및, 상기 버퍼(B2)에서 전송된 신호를 분배하여 송신부(21)와 수신부(23)의 믹서(M3, M4)로 전송하는 전원 분배기(PS2)로 이루어진다.The PLL oscillator 22 includes a PLL P2 generating a clock signal to be used by the lower-band interface unit 20 using a main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A loop filter L2 for filter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LL P2 in order to extract a parity of the output signal,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4 for generating a frequency by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loop filter L2, A buffer B2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4 and supplying the signal to the PLL P2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power divider PS2, And a power distributor PS2 for transmitting the signals to the mixers M3 and M4 of the receiving unit 23.

또한, 상기 수신부(23)는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여파기(DP2)와, 상기 송수신 여파기(DP2)에서 입력된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A4)와, 상기 증폭기(A4)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기 위하여 증폭기(A4)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필터링하는 밴드 패스 필터(FA2)와, 출력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밴드 패스 필터(FA2)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검출하는 경보 검출 유니트(DE)와, 상기 경보 검출 유니트(DE)의 출력 신호에 의해 증폭기(A4)의 이득을 제어하는 자동 이득 제어기(AG) 및, 상기 밴드 패스 필터(FA2)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PLL 발진부(22)의 전원 분배기(PS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믹싱하여 공통 인터페이스부(30)로 전송하는 믹서(M4)로 이루어진다.The receiving unit 23 include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ter DP2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an amplifier A4 for amplifying a signal input from the transmitting and receiving filter DP2, A band pass filter FA2 for filtering a signal outputted from the amplifier A4 to extract an acoustic wave and an alarm detection unit for receiving and detec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band pass filter FA2 for detecting an output signal An automatic gain controller AG for controlling the gain of the amplifier A4 by an output signal of the alarm detection unit DE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band pass filter FA2 and a PLL oscillation unit 22, And a mixer M4 for mix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power distributor PS2 of the power distributor PS2 and transmitting the mixed signals to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

제4도는 제1도에서 공통 인터페이스부(30)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 제어 블록(2)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31)와, 상기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3)와, 인가되는 메인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부(31)와 수신부(33)에 인가되는 주파수를 만들어 내는 PLL 발진부(32), 상기 제어 블록(2)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인터페이스 블록(1)의 메인 클럭을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TC1) 및,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전압 제어 발진기(TC1)는 미세주파수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n FIG. 1,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A receiving unit 33 for receiving signals input from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and a receiving unit 33 for receiving signals inputted from the transmitting unit 31 and the receiving unit 33 using the main clock,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C1 for generating a main clock of the interface block 1 according to a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block 2, a PLL oscillator 32 for generating a frequency to be supplied to the control block 2, And a baseband analog unit 34 for converting the baseband signal.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TC1 is for adjusting the fine frequency.

한편, 상기 송신부(31)는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는 감쇄기(AT)와, 출력 신호의 감도 조절을 위하여 제어 블록(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전송 전압 이득 조절기(VGA1)로 입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FC1)와, 상기 로우 패스 필터(FC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감쇄기(AT)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이득을 조절하는 전송 전압 이득 조절기(VGA1) 및, 상기 전송 전압 이득 조절기(VGA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로 전송하는 디바이더(D3)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디바이더(D3)는 전송 전압 이득 조절기(VGA1)에서 입력되는 신호에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 (10)로 전송할 신호만을 입력받아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로 전송하는 트랩(TR3)과,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로 전송할 신호만을 입력받아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로 전송하는 트랩(TR4)으로 이루어진다.The transmission unit 31 includes an attenuator (AT) for attenuating and outpu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band analog unit 34, a transmission unit 30 for filter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block 2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output signal, A low pass filter FC1 for input to a voltage gain controller VGA1 and a transmission voltage gain controller VGA1 for adjusting a voltage gain of a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AT by a signal output from the low pass filter FC1, And a divider D3 for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voltage gain controller VGA1 to the high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 The divider D3 includes a trap TR3 for receiving only a signal to be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nput from the transmission voltage gain controller VGA1 to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a trap TR4 for receiving only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interface unit 20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

또한, 상기 수신부(33)는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컴바이닝하는 컴바이너(C)와, 상기 컴바이너(C)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A3)와, 상기 증폭기(A3)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기 위하여 증폭기(A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2개의 밴드 패스 필터(FA5, FA6)와, 입력 신호의 감도 조절을 위하여 제어 블록(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수신 전압 이득 조절기(VGA2)로 입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FC2) 및, 상기 로우 패스 필터(FC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밴드 패스 필터(FA5, FA6)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이득을 조정하는 수신 전압 이득 조절기(VGA2)로 이루어진다. 상기 2개의 밴드 패스 필터(FA5, FA6)에서 1개의 밴드 패스 필터(FA5 또는 FA6)는 선택적으로 사용된다(FA5는 디지털 CDMA 방식, FA6은 아날로그 방식).The receiving unit 33 includes a combiner C for combining signals input from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and a combiner C for combining signals input from the combiner C, Two bandpass filters FA5 and FA6 for receiving and filtering signals output from the amplifier A3 in order to extract surface acoustic waves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A3, A low pass filter FC2 for filte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block 2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an input signal and inputting the filtered signal to a receive voltage gain controller VGA2 and a low pass filter FC2 for filter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w pass filter FC2 And a receiving voltage gain controller VGA2 for adjusting the voltage gai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band-pass filters FA5 and FA6. One band-pass filter (FA5 or FA6) is selectively used in the two band-pass filters (FA5 and FA6) (FA5 is a digital CDMA system and FA6 is an analog system).

이어서, 상기 PLL 발진부(32)는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출력되는 시스템의 메인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부(31) 제어용의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 PLL부(32-1)와, 수신부(33) 제어용의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신 PLL부(32-2)로 이루어진다.The PLL oscillating unit 32 includes a transmission PLL unit 32-1 for receiving a main clock signal of the system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C1 and generating a clock signal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unit 31, And a reception PLL unit 32-2 for generating a control clock signal.

또한, 상기 송신 PLL부(32-1)는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출력되는 시스템의 메인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클럭 신호(송신부 제어용 클럭 신호)를 로크(LOCK)하기 위한 PLL(P3)과, 상기 PLL(P3)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기 위하여 PLL(P3)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루프 필터(L3)와, 상기 루프 필터(L3)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공진시켜 하이 밴드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탱크(T1)와, 상기 루프 필터(L3)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공진시켜 로우 밴드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탱크(T2)와, 상기 2개 탱크(T1,T2)의 출력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SW1) 및, 상기 스위치(SW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PLL(P3)에 출력하는 버퍼(B3)로 이루어진다.The transmission PLL unit 32-1 includes a PLL (P3) for receiving a main clock signal of the system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 oscillator TC1 and locking the corresponding clock signal (transmitter control clock signal) A loop filter L3 for filter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LL P3 to extract a signal of a signal output from the PLL P3; A tank T2 for generating a low band frequency signal by receiving and resonating an output signal of the loop filter L3; a tank T2 for generating an output signal of the two tanks T1 and T2; And a buffer B3 that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SW1 and outputs the signal to the PLL P3.

한편, 상기 수신 PLL부(32-2)는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출력되는 시스템의 메인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클럭 신호(수신부 제어용 클럭 신호)를 로크(LOCK)하기 위한 PLL(P4)과, 상기 PLL(P4)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기 위하여 PLL(P4)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루프 필터(L4)와, 상기 루프 필터(L4)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공진시켜 수신 대역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탱크(T3)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reception PLL unit 32-2 includes a PLL (P4) for receiving a main clock signal of the system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 oscillator TC1 and locking the corresponding clock signal (receiver control clock signal) A loop filter L4 for filter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LL P4 to extract a signal of a signal output from the PLL P4; And a tank T3 for generating a frequency signal.

또한, 상기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는 제어 블록(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송신부(31)로 전송하는 송신단(34-1)과, 수신부(33)에서 전송된 신호를 제어 블록(2)로 전송하는 수신단(34-2) 및,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인가된 메인 클럭 신호에 의해 시스템에 인가할 클럭 신호를 만들어내는 발진부(34-3)로 이루어진다.The baseband analog unit 34 includes a transmitter 34-1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block 2 to the transmitter 31 and a receiver 34-1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33 to the control block 2. [ And an oscillation unit 34-3 that generates a clock signal to be applied to the system by the main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voltage control oscillator TC1.

이어서, 상기 송신단(34-1)은 PLL 발진부(32)내 송신 PLL부(32-1)의 스위치(SW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2배의 송신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C1)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변환하는 위상 변환기(U1)와, 제어 블록(2)에서 전송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2개의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1,DA2)와, 상기 위상 변환기(U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1,DA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믹싱하는 2개의 믹서(M5,,6) 및, 상기 2개의 믹서(M5, M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부(31)의 감쇄기(AT)로 출력하는 가산기(M)로 이루어진다.The transmitting terminal 34-1 includes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1 that generates a transmission frequency twice as high as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switch SW1 of the transmitting PLL unit 32-1 in the PLL oscillating unit 32, A phase converter U1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VC1 and for converting the phase of the signal; and two digital-to-analog converters (ADCs) Two mixers M5 and M6 for mixing signals output from the phase converter U1 and signals output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1 and DA2; M5, and M6, and outputs the signals to an attenuator (AT) of the transmitter 31. The adder

또한, 상기 수신단(34-2)은 PLL 발진부(32) 내 수신 PLL부(32-2)의 탱크(T3)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2배의 수신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C2)와,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변환하여 믹서(M7, M8)로 출력하는 위상 변환기(U2)와, 상기 위상 변환기(U2)에서 출력된 신호와 수신부(33)의 전압 이득 조절기(VGA2)에서 출력된 신호를 믹싱하는 2개의 믹서(M7,M8)와, 상기 2개의 믹서(M7,M8)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2개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2, AD3) 및, 베터리(Battert)의 전압 및 증폭기(A1, A2)의 온도를 감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1)로 이루어진다.The receiver 34-2 includes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2 that generates a reception frequency twice as high as a signal input through the tank T3 of the reception PLL unit 32-2 in the PLL oscillation unit 32, A phase converter U2 that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2 and converts the phase of the received signal to mixers M7 and M8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phase converter U2 to a receiver 33 Two mixers M7 and M8 for mixing the signals outputted from the voltage gain controller VGA2 of the mixers M7 and M8 and two analogue signals M7 and M8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s outputted from the two mixers M7 and M8 into digital signals, And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1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n order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digital converters AD2 and AD3, the battery, and the amplifiers A1 and A2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

한편, 상기 발진부(34-3)는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출력된 메인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각 디지털/아날로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DA1~DA2, AD1~AD3)에 입력할 클럭 신호를 만들어내는 드라이버(D4)와,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멀티플라이어(MU)에 입력할 클럭 신호를 만들어내는 발진기(TC2)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발진기(TC2)는 상기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멀티플라이어(MU)에 공급하여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발생시킨 메인 클럭 신호를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 사용할 기준 클럭 신호로 만들기 위해 사용하였다.The oscillation unit 34-3 generates a clock signal to be input to each of the digital / analog and analog / digital converters DA1 to DA2 and AD1 to AD3 using the main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C1. And an oscillator TC2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to be input to the multiplier MU of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The driver The oscillator TC2 supplies the main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to the multiplexer MU of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uses the main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n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for the PCS service And used as a reference clock signal.

상기 구성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opera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먼저, 제어 블록(2)에서 인터페이스 블록(1)의 메인 주파수를 만들기 위한 신호를 공통 인터페이스부(30)의 전압 제어 발진기(TC1)로 입력하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는 제어 블록(2)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시스템의 메인 클럭을 발생하여 출력하고,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출력된 메인 클럭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의 PLL(P2)과, 공통 인터페이스부(30) 내 PLL 발진부(32)의 2개의 PLL(P3,P4) 및, 공통 인터페이스부(30)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 내의 발진부(34-3)에 인가된다.First, when a signal for making the main frequency of the interface block 1 is input to the voltage control oscillator TC1 of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n the control block 2, in the voltage control oscillator TC1, The main clock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 oscillator TC1 is supplied to the PLL P2 of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and the PLL P2 of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s applied to the two PLLs (P3 and P4) of the internal PLL oscillating section 32 and the oscillating section 34-3 in the baseband analog section 34 of the common interface section 30. [

참고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TC1)는 다른 전압 제어 발진기(VC1~VC4)보다 더 정교하고 미세한 조정이 가능한 VC-TCXO를 사용하였다.For reference,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TC1 uses a VC-TCXO that is finer and finer-tunable than the other voltage-controlled oscillators VC1 to VC4.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의 PLL(P2)에 인가된 메인 클럭은 PLL(P2)에서 위상 비교되어 루프 필터(L2)로 출력되고, 루프 필터(L2)에서는 PLL(P2)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VC4)로 출력하면, 전압 제어 발진기(VC4)에서는 상기 루프 필터(L2)에서 출력된 전압에 의해 주파수를 발생하여 버퍼(B2)에 출력하고, 또한 PLL(P2)에 비교 주파수를 공급하며, 버퍼(B2)에서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4)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원 분배기(PS2)에 입력하며, 전원 분배기(PS2)에서는 버퍼(B2)에서 출력된 신호를 분배하여 송신부(21)와 수신부(23)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송신부(21)와 수신부(23)에 주파수를 인가하게 된다. 공통 인터페이스부(30) 내 PLL 발진부(32)의 2개의 PLL(P3,P4)에 인가된 메인 클럭은 송신 PLL부(32-1)에서는 PLL(P3)에서 발진되어 루프 필터(L3)로 입력되고, 루프 필터(L3)에서는 PLL(P3)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여 2개의 탱크(T1,T2)로 입력하면, 각각의 탱크(T1,T2)에서는 루프 필터(L3)에서 출력된 신호를 받아 하이 밴드와 로우 밴드의 해당 송신 주파수의 2배 주파수를 전압 제어 발진기(VC1)에서 신호를 발생하도록 출력하고, 각각의 탱크(T1,T2)회로의 선택은 스위치(SW1)에 의해 선택되며, 탱크(T1,T2)의 출력은 버퍼(B3)와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의 송신단(34-1) 내 전압 제어 발진기(VC1)에 입력되며, 버퍼(B3)에 입력된 신호는 PLL(P3)에 출력된다.The main clock applied to the PLL P2 of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is subjected to phase comparison in the PLL P2 and output to the loop filter L2. In the loop filter L2,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4 generates the frequency by the voltage output from the loop filter L2 and outputs the generated frequency to the buffer B2 and outputs the frequency to the PLL P2, In the buffer B2, the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VC4 is input to the power distributor PS2. In the power splitter PS2, the signal output from the buffer B2 is distributed The frequency is applied to the transmitting unit 21 and the receiving unit 23 by being applied to the transmitting unit 21 and the receiving unit 23. [ The main clock applied to the two PLLs P3 and P4 of the PLL oscillating unit 32 in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s oscillated in the PLL P3 in the transmitting PLL unit 32-1 and input to the loop filter L3 And the loop filter L3 extracts the corruptio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PLL P3 and inputs it to the two tanks T1 and T2. In each of the tanks T1 and T2, And outputs the double frequency of the high frequency band and the low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transmission frequency to generate a signal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1. The selection of each of the tanks T1 and T2 is selected by the switch SW1 And the output of the tanks T1 and T2 is input to the buffer B3 and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1 in the transmitter 34-1 of the baseband analogue unit 34. The signal input to the buffer B3 is And output to the PLL P3.

한편, 수신 PLL부(32-2)에서는 PLL(P4)에서 위상 비교되어 루프 필터(L4)로 입력되고, 루프 필터(L4)에서는 PLL(P4)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여 탱크(T3)로 입력하면, 탱크(T3)에서 출력된 신호는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의 수신단(34-2) 내 전압제어 발진기(VC2)에 입력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ception PLL unit 32-2, the PLL P4 performs phase comparison and is input to the loop filter L4. The loop filter L4 extracts the corruptio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PLL P4, , The signal output from the tank T3 is input to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VC2 in the receiving end 34-2 of the baseband analog unit 34. Then,

또한, 공통 인터페이스부(30)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 내의 발진부(34-3)에 인가된 메인 클럭은 발진부(34-3)의 디바이더(D4)에서는 각 다지탈/아날로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DA1~DA2, AD1~AD3)에 입력될 새로운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며, 발진부(34-3)의 디바이더(TC2)에서는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 입력될 기준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고, 디바이더(TC2)에서 출력되어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 인가된 신호는,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멀티플라이어(MU)로 입력되어 멀티플라이어(MU)에서 5배로 멀티플라이 되어 출력되고, 멀티플라이어(MU)에서 출력된 신호가 PLL(P1)에 입력되면, PLL(P1)에서는 상기 멀티플라이어(MU)에서 입력된 신호를 발진시켜 루프 필터(L1)에 입력하며, 루프 필터(L1)에서는 상기 PLL(P1)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여 전압 제어 발진기(VC3)에 입력하고, 전압 제어 발진기(VC3)에서는 루프 필터(L1)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주파수를 발생하여 버퍼(B1)에 입력하며, 또한 PLL(P1)엘 비교 주파수로 공급되고, 버퍼(B1)에서는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VC3)에서 출력된 신호를 전원 분배기(PS1)로 입력하며, 전원 분배기(PS1)에서는 버퍼(B1)에서 출력된 신호를 분배하여 송신부(11)와 수신부(13)로 주파수를 인가한다.The main clock applied to the oscillation unit 34-3 in the baseband analog unit 34 of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s input to each divider / analog / analog / digital converter Is used to generate a new clock signal to be input to the high-band interface unit 10 (DA1 to DA2, AD1 to AD3) and is used to generate a reference clock signal to be input to the high-band interface unit 10 in the divider TC2 of the oscillation unit 34-3 A signal output from the divider TC2 and applied to the higher band interface unit 10 is input to the multiplier MU of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multiplied by 5 times in the multiplier MU, When a signal output from the multiplier MU is input to the PLL P1, the PLL P1 oscillates the signal input from the multiplier MU and inputs the signal to the loop filter L1, Extracts the corruptio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PLL (P1)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3 generates a frequency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op filter L1 and inputs the frequency to the buffer B1 and outputs the frequency to the PLL P1 The buffer B1 suppli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3 to the power distributor PS1 and the power distributor PS1 distribut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buffer B1 to the transmitter 11, And the reception unit 13, as shown in FIG.

즉,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될 때는 모든 블록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단지 구동하고자 하는 블록에만 전원이 인가되며, 상기와 같은 동작은 제어 블록(2)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ystem through the above process, data is transmitted and received.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system, power is not applied to all blocks but power is applied to only a block to be driven, The same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block 2. [

한편,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은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의 동작이 동일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송수신 과정은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를 통해 설명하였으며,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의 과정은 지금부터 설명하는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의 과정과 동일하다고 보면 된다.Since the operation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s the same in operation of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s described through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The process in the high band interface unit 20 is the same as the process in the high band interface unit 10 described below.

또한,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받을(수신할) 때는 안테나 스위치(SW)에서 내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와 외부 안테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선택하여 입력하면, 상위 대역 트랩(TR1)에서 안테나 스위치(SW)에서 선택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송수신 여파기(DP1)로 입력하고, 송수신 여파기(DP1)는 수신 모드가 되어 상위 대역 트랩(TR1)에서 입력된 신호를 수신부(13)의 증폭기(A5)로 전송하며, 증폭기(A5)에서는 상기 송수신 여파기(DP1)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하여 포면 음향파를 추출하기 위한 밴드 패스 필터(FA4)로 전송하고, 밴드 패스 필터(FA4)에서는 상기 증폭기(A5)에서 전송된 신호에서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여 믹서(M2)로 전송하며, 믹서(M2)에서는 상기 밴드 패스 필터(FA4)에서 전송된 신호와 PLL 발진부(12)의 전원 분배기(PS1)에서 전송된 신호를 믹싱하여 공통 인터페이스부(30)의 수신부(33) 내 컴바이너(C)로 전송한다.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컴바이너(C)를 통과한 신호는 증폭기(A3)에서 증폭되어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기 위한 밴드패스 필터(FA5, FA6)에 입력되며, 밴드 패스 필터(FA5,FA6)에서는 사익 증폭기(A3)에서 입력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여 출력하고, 밴드 패스 필터(FA5, FA6)에서 출력된 신호는 전압 이득 조절기(VGA2)에서 전압 이득이 조절되어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의 수신단(34-2)의 2개의 믹서(M7, M8)에 입력된다.Also, when data is received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ternal antenna and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antenna are selected and input from the antenna switch SW, Receiving filter DP1 of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receives the signal selected in the upper band trap SW and receives the signal inputted in the upper band trap TR1 to the receiving unit 13 The amplifier A5 amplifies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 DP1 and transmits the amplified signal to a band-pass filter FA4 for extracting a top acoustic wave. The band-pass filter FA4 The mixer M2 extracts a surface acoustic wave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mplifier A5 and transmits the extracted acoustic wave to the mixer M2. The mixer M2 mix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nd-pass filter FA4 and the power of the PLL oscillator 12, In the distributor (PS1) Mixing the transmitted signal will be sent to the receiving unit 33 within the combiner (C) of the common interface (30). The signal passed through the combiner C in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is input to the bandpass filters FA5 and FA6 for amplifying the surface acoustic waves by the amplifier A3 and the bandpass filters FA5, FA6 extracts a surface acoustic wave by filtering the signal inputted from the echo amplifier A3 and outputs the signal. The signal output from the band-pass filters FA5 and FA6 is adjusted by the voltage gain adjuster VGA2, Are input to the two mixers (M7, M8) of the receiving end (34-2) of the band analog unit (34).

또한, 상기 전압 이득 조절기(VGA2)에서 전압 이득을 조절할 때 수신 신호의 감도를 조절시키기 위하여 제어 블록(2)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 블록(2)에서 출력된 신호가 로우 패스 필터(FC2)에서 필터링되어 전압 이득 조절기(VGA2)에 입력된다. 상기 전압 이득 조절기(VGA2)에서 믹서(M7, M8)에 입력된 신호는 위상 변환기(U2)에서 믹서(M7, M8)에 입력된 신호와 믹싱되어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2, AD3)로 전송되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2, AD3)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제어 블럭(2)에 전송된다. 상기 위상 변환기(U2)에서는 PLL 발진부(32)의 수신 PLL부(32-2) 내 탱크(T3)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제어 발진기(VC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2개의 믹서(M7, M8)로 출력한다.When the voltage gain of the voltage gain adjuster VGA2 is controlled, the control block 2 outputs a control signal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d signal.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block 2 is applied to a low pass filter FC2 and input to the voltage gain regulator VGA2. The signals input from the voltage gain controller VGA2 to the mixers M7 and M8 are mixed with the signals input to the mixers M7 and M8 in the phase converter U2 and transmitted to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s AD2 and AD3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by the analog / digital converters AD2 and AD3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block 2. In the phase converter U2, a signal output from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VC2, which generates a frequency by a signal input from a tank T3 in the reception PLL unit 32-2 of the PLL oscillation unit 32, (M7, M8).

또한, 상기 제어 블록(2)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때는 제어 블록(2)에서 데어터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 블록(2)에서 출력된 신호는 공통 인터페이스부(30)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의 송신단(34-1) 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1, DA2)에 입력되고,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1, DA2)에 입력된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되어 2개의 믹서(M5, M6)로 전송되고, 2개의 믹서(M5, M6)에서는 위상 변환기(U1)에서 입력된 신호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DA1, DA2)에서 입력된 신호를 믹싱하여 출력하며, 믹서(M5, M6)에서 출력된 신호는 가산기(M)를 통해 송신부(31)의 감쇄기(AT)로 전송된다. 상기에서 위상 변환기(U1)에서는 PLL 발진부(32)의 송신 PLL부(32-1) 내 스위치(SW1)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C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위상차를 두어 2개의 믹서(M5, M6)로 출력한다. 가산기(M)에서 감쇄기(AT)로 전송된 신호는 상기 감쇄기(AT)에서 감쇠되어 전압 이득조절기(VGA1)로 전송되고, 전압 이득 조절기(VGA1)에서는 상기 감쇄기(AT)에서 출력된 신호의 전압 이득을 조절하여 디바이더(D3)로 전송하며, 디바이더(D3)의 상위 대역 트랩(TR3)에서는 상기 전압 이득 조절기(VGA1)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밴드 패스 필터(FB1)로 전송한다. 상기 전압 이득 조절기(VGA1)에서 전압 이득을 조절할 때 수신 신호의 감도를 조절시키기 위하여 제어 블록(2)에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제어 블록(2)에서 출력된 신호가 로우 패스필터(FC1)에서 필터링되어 전압 이득 조절기(VGA1)에 입력된다.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로 전송된 신호는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 송신부(11) 내의 밴드 패스 필터(FB1)에서 필터링되어 믹서(M1)로 전송되고, 믹서(M1)에서는 PLL 발진부(12)의 전원 분배기(PS1)에서 출력된 신호와 밴드 패스 필터(FA1)로 전송하며, 밴드 패스 필터(FA1)에서는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기 위하여 믹서(M1)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여 드라이버(D1)로 전송하고, 드라이버(D1)에서는 상기 밴드 패스 필터(FA1)에서 출력된 신호를 증폭기(A1)로 전송하며, 증폭기(A1)에서는 상기 드라이버(D1)에서 전송된 신호를 증폭시켜 아이솔레이터(IS2)으로 전송하고, 아이솔레이터(IS2)에서는 상기 증폭기(A1)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과시켜 송수신여파기(DP1)로 전송하며, 송수신 여파기(DP1)에서는 송신 모드가 되어 아이솔레이터(IS2)에서 전송된 신호를 안테나로 출력한다.When data is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block 2 to the control block 2, the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block 2 is transmitted to the common interface 30 of the baseband analogue unit 34 The digital signals input to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1 and DA2 are converted into analog signals and input to the two mixers M5 and M6 The two mixers M5 and M6 mix the signals input from the phase converter U1 and the signals input from the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1 and DA2 and output the mixed signals output from the mixers M5 and M6 Th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attenuator (AT) of the transmitter 31 via the adder M. [ In the phase shifter U1, the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1, which generates the frequency by the signal input from the switch SW1 in the transmission PLL unit 32-1 of the PLL oscillating unit 32, And outputs it to two mixers M5 and M6.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dder M to the attenuator AT is attenuated by the attenuator AT and transmitted to the voltage gain adjuster VGA1 and the voltage gain adjuster VGA1 adjusts the voltage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AT And controls the gain to be transmitted to the divider D3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oltage gain controller VGA1 is transmitted to the bandpass filter FB1 of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in the upper band trap TR3 of the divider D3 The control block 2 outputs a control signal to the control block 2 in order to adjust the sensitivity of the received signal when the voltage gain of the voltage gain controller VGA1 is adjuste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to the higher band interface unit 10 is filtered by the band pass filter (VCO) 1 in the higher band interface unit 10 transmitter 11, (FB1) The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distributor PS1 of the PLL oscillator 12 and the bandpass filter FA1 are transmitted to the mixer M1 in the mixer M1. In the bandpass filter FA1, The driver D1 filters the signal output from the mixer M1 to extract an acoustic wave and the driver D1 transmits the signal output from the bandpass filter FA1 to the amplifier A1, In the amplifier A1,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er D1 is amplified and transmitted to the isolator IS2. In the isolator IS2,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mplifier A1 is transmitted to the transmitter / receiver filter DP1 , And the transmission / reception filter (DP1) becomes the transmission mode and outpu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solator (IS2) to the antenna.

상기에서 PLL 발진부 및 발진부 블록의 입출력 주파수 관계를 일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 output frequencies of the PLL oscillation unit and the oscillation unit block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an embodiment.

먼저,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1.8GHZ신호로 지정한다(CDMA 이동통신을 위한 휴대단말기 구성에서 공지된 기술임). 즉, 본 발명에서는 CDMA 이동통신을 위한 19.68MHZ신호를 메인 클릭 신호로 이용하고, PCS 서비스를 위한 클럭 신호는 메인 클럭 신호에서 새로운 주파수를 생성하여 사용하였다(공통 인터페이스부(30)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 내의 발진부의 디바이더와,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 PLL 발진부 내의 멀티플렉서를 이용함).First, it is designated as a frequency band used by the higher-band signal Z 1.8GH interface unit 10 for the PCS services (this is a known technique in a wireless terminal configured for a CDMA mobile communication).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using the 19.68MH Z signal for a CDMA mobile communication to the main click signal, a clock signal for PCS service was used to generate a new frequency from the main clock signal (a common interface unit 30, a baseband analog And a multiplexer in the PLL oscillation section of the upper band interface section 10).

한편,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30)의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19.68MHZ신호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의 PLL(P2)과, 공통 인터페이스(30) 내 PLL 발진부(32)의 2개의 PLL(P3, P4) 및,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30)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 내의 발진부(34-3)에 인가되고,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의 PLL(P2)에서는 19.68MHZ신호를 입력받아 1/656의 비율로 디바이드하여 기준 주파수로 활용하며, 공통 인터페이스부(30) 내 PLL 발진부(32)의 2개의 PLL(P3, P4)에서는 19.68MHZ신호를 입력받아 1/1968의 비율로 상위 대역 주파수 신호를, 1/164의 비율로 하위 대역 주파수의 기준 주파수로 활용하고, 송신 PLL부(32-1)의 PLL(P3)에서 출력된 신호는 루프 필터(L3)를 통해 2개의 탱크(T1, T2)에 입력되어 상위 대역 탱크(T1)에서는 350.80MHZ로, 하위 대역 탱크(T2)에서는 260.76MHZ로 발진되어 출력하며, 수신 PLL부(32-2)의 PLL(P4)에서 출력된 신호는 루프 필터(L4)를 통해 탱크(T3)에 입력되어 170.76MHZ의 수신 대역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On the other hand, two of the PLL (P2) and a common interface (30) within the PLL oscillation unit 32 of the common interface is 19.68MH Z signal from the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TC1) of the 30 lower-band interface 20 in 19.68MH Z signal PLL (P3, P4), and, PLL (P2) of said common interface unit 30, a baseband is applied to the oscillation unit 34-3 in the analog part 34, the lower-band interface 20 receiving input to accept the divider a ratio of 1/656 and used as a reference frequency, the two PLL (P3, P4) of the common interface (30) within the PLL oscillation unit 32, the input signal of 1/1968 19.68MH Z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PLL (P3) of the transmitting PLL unit 32-1 is used as a reference frequency of the lower band frequency through the loop filter (L3) in the tanks (T1, T2) is input to the higher-band tank (T1) to 350.80MH Z, the lower-band tank (T2) is oscillating at a Z output 260.76MH It said, the output from the PLL (P4) of the reception PLL unit 32-2 signal is input to a tank (T3) via a loop filter (L4), and outputs the generated signal to the reception band of 170.76MH Z.

또한,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30)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 내의 발진부(34-3)에서 디바이더(D4)에서는 19.68MHZ신호를 입력받아 512/1025의 비율로 디바이드하여 9.830MHZ신호를 발생하여 각 아날로그/디지탈,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AD1∼AD3, DA1∼DA2)에 인가하고, 디바이더(TC2)에서는 19.68MHZ신호를 입력받아 1/4 비율로 디바이드하여 4.92MHZ신호를 발생하여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멀티플라이어(MU)에 인가하여,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멀티플라이어(MU)에서는 4.92MHZ신호를 입력받아 5배하여 24.6MHZ의 신호를 발생하여 PLL(P1)에 인가하고, PLL(P1)에서는 24.6 신호를 입력받아 1/492의 비율로 디바이드하여 기준 주파수로 활용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는 내부 기준 주파수가 50MHZ가 되며,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는 내부 기준 주파수가 30MHZ가 된다.Further, the common interface (30) to the divider (D4) from the oscillation unit 34-3 in the analog baseband unit 34 receives the signal Z 19.68MH divide in the ratio of 512/1025 9.830MH generate a signal Z the top to the applied to the respective analog / digital, digital / analog converter (AD1~AD3, DA1~DA2) and the divider (TC2) receiving the signal generates a 4.92MH 19.68MH Z Z signal to divide the quarter-rate by applying a multiplier (MU) of the band-interface unit 10, the multiplier (MU) of the higher-band interface unit 10 to generate a signal Z to the 24.6MH 5x 4.92MH receiving the Z signal PLL ( P1), and the PLL (P1) receives the 24.6 signal and divides it at a ratio of 1/492 to use it as a reference frequency. In the higher-band interface unit 10 by the process such as the internal reference frequency, and the 50MH Z, the lower-band interface 20 internal reference frequency is the 30MH Z.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CDMA 이동통신을 위한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와,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 및, CDMA 이동통신과 PCS 서비스시 공통으로 사용하는 공통 인터페이스부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블록을 구성하고, 메인 클럭 신호로 기존의 CDMA 이동통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하던 클록 신호를 사용하며, PCS 서비스를 위한 클럭 신호는 메인 클럭 신호를 변환시켜 사용하는 이중 대역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을 제시하여, 하나의 휴대 단말기에서 CDMAd 이동통신과 PCS 서비스를 모두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통신 서비스의 통화 품질을 조절(통화량 과부화시 및 통화 상태 불량시 CDMA와 PCS 간 상호 통화 전환 가능)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s an interface block composed of a lower band interface unit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a higher band interface unit for PCS service, and a common interface unit commonly used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and PCS service, Frequency signal module using a clock signal use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and a clock signal for a PCS service using a main clock signal, By allowing CDMAd mobile communication and PCS service to be accommodate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call qu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 (mutual currency conversion between CDMA and PCS when the call volume is overloaded and the call status is bad) So that it can be selected and used.

Claims (14)

내부 안테나 신호와 외부 안테나 신호를 선택하는 안테나 스위치(SW)와 상기 안테나 스위치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서 상위 대역 신호를 선택하는 트랩(TR1)과, 하위 대역 신호를 선택하는 트랩(TR2)과, 하위 대역의 CDMA 이동통신을 위한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와, 상위 대역의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30)로 이루어진 인터페이스 블럭(1)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 블럭(2)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단말기에서 CDMA 이동통신 서비스와 PCS 서비스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이중대역 디지털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공통 인터페이스부(30)는 제어 블럭(2)에서 전송된 신호를 상기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31)와, 상기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33)와, 인가되는 메인 클럭을 이용하여 상기 송신부(31)와 수신부(33)에 인가되는 주파수를 만들어 내는 PLL 발진부(32)와, 제어 블록(2)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에 의해 인터페이스 블록(1)의 메인 클럭을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전기(TC1), 및 송수신되는 신호를 변환하는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털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An antenna switch SW for selecting an internal antenna signal and an external antenna signal, a trap TR1 for selecting an upper band signal from a signal inputted through the antenna switch, a trap TR2 for selecting a lower band signal, An interface block 1 composed of a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 and a higher band interface unit 30 for a higher band PCS service and a control block 2 for controlling the system In a dual-band digital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nd a PCS service can be both performed in a single terminal,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transmit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block 2 to the high-band interface unit 10 ) And a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and a transmission unit (31) for transmitting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A PLL oscillating unit 32 for generating a frequency to be applied to the transmitting unit 31 and the receiving unit 33 using an applied main clock, A voltage control generator (TC1) for generating a main clock of the interface block (1) by a received signal, and a baseband analog unit (34) for converting signals to be transmitted and received. . 제1항에 있어서, 상위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는 제어 블럭(2)에서 전공된 신호에 의해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발생시킨 메인 클럭 신호를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 사용할 클럭 신호로 만들기 위해 멀티플라이어(MU)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high-band interface unit (10) receives the main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block (2) And a multiplier (MU) is used to make a clock signal to be used. 제1항에 있어서, 송신부(31)는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감쇠시켜 출력하는 감쇄기(AT)와, 출력 신호의 이득 조절을 위하여 제어 블럭(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송신 전압 이득 조절기(VGA1)로 입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FC1)와, 로우 패스 필터(FC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감쇄기(AT)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이득을 조절하는 송신 전압 이득 조절기(VGA1) 및, 송신 전압 이득 조절기(VGA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로 전송하는 디바이더(D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transmitt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mitter (31) comprises: an attenuator (AT) for attenuating and outputt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band analogue unit (34) Pass filter FC1 for filtering the input signal and inputting it to the transmission voltage gain regulator VGA1 and a transmission voltage gain regulator VCO1 for regulating the voltage gai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ttenuator AT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w- And a divider D3 for transmitting a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voltage gain adjuster VGA1 to the high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제3항에 있어서, 디바이더(D3)는 송신 전압 이득 조절기(VGA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로 전송할 신호만을 입력받아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로 전송하는 트랩(TR3)과,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로 전송하는 트랩(TR4)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탁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ivider (D3) comprises: a trap (TR3) for receiving only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higher band interface unit (10)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voltage gain controller (VGA1) And a trap (TR4)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제1항에 있어서, 수신부(33)는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와 하위 대역 인터페이스부(20)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컴바이닝하는 컴바이너(C)와, 컴바이너(C)를 통과한 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A3)와, 증폭기(A3)에서 출력된 신호에서 표면 음향파를 추출하기 위하여 증폭기(A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필터링하는 2개의 밴드 패스 필터(FA5, FA6)와, 입력 신호의 이득 조절을 위하여 제어 블럭(2)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필터링하여 수신 전압 이득 조절기(VGA2)로 입력하는 로우 패스 필터(FC2) 및, 로우 패스 필터(FC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밴드 패스 필터(FA5, FA6)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전압 이득을 조절하는 수신 전압 이득 조절기(VGA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receiv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receiver (33) comprises a combiner (C) for combining signals input from the high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the lower band interface unit (20) Two band-pass filters FA5 and FA6 for receiving and filtering a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A3 in order to extract a surface acoustic wave from a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A3, an amplifier A3 for amplifying a signal, A low pass filter FC2 for filter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block 2 to adjust the gain of the input signal and inputting the filtered signal to the receive voltage gain controller VGA2 and a low pass filter FC2 for filter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low pass filter FC2 And a receiving voltage gain controller (VGA2) for adjusting a voltage gain of a signal output from the band pass filters (FA5, FA6). 제5항에 있어서, 2개의 밴드 패스 필터(FA5, FA6)에서 1개의 밴드 패스 필터(FA5 또는 FA6)는 디지탈 CDMA 방식에서는 FA5를 사용하고, 아날로그 AMPS(Advanced Mobile Phone System : 아날로그 방식의 개량 이동전화 시스템, 휴대용 전화방식 차세대 차량전화 시스템) 방식에서는 FA6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one band-pass filter (FA5 or FA6) in the two band-pass filters (FA5 and FA6) uses FA5 in the digital CDMA system and an analog AMPS (Advanced Mobile Phone System: Frequency signal module of the dual-band digital portable terminal, which uses FA6 in the case of a telephone system, a portable telephone type next-generation car telephon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PLL 발진부(32)는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출력되는 시스템의 메인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부(31) 제어용의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송신 PLLQN(32-1)와, 수신부(33) 제어용의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신 PLLQN(32-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PLL circui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L oscillator (32) comprises a transmission PLLQN (32-1) for receiving a main clock signal of the system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C1) and generating a clock signal for controlling the transmitter (31) And a reception PLLQN (32-2) for generating a control clock signal for controlling the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33). 제7항에 있어서, 송신 PLLQN(32-1)는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출력되는 시스템의 메인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클럭 신호(송신부 제어용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루푸 필터(L3)로 입력하는 PLL(P3)과, PLL(P3)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기 위하여 PLL(P3)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루프 필터(L3)와, 르프 필터(L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공진시켜 상위 밴드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탱스(T1)와, 르프 필터(L3)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공진시켜 하위 밴드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탱크(T2)와, 상기 2개 탱크(T1, T2)의 출력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스위치(SW1) 및, 스위치(SW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PLL(P3)에 비교 주파수로 공급하는 버퍼(B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transmission PLLQ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ransmission PLLQN (32-1) receives the main clock signal of the system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C1)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clock signal (transmitter control clock signal) A loop filter L3 for filtering a signal output from the PLL P3 to extract a signal of a signal output from the PLL P3 and a PLL P3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LF filter L3 A tank T2 for generating a lower band frequency signal by resonating an output signal of the LF filter L3 and generating a lower band frequency signal by resona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LF filter L3; A switch SW1 for selecting one of output signals of the switch SW1 and a buffer B3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SW1 and supplying the signal to the PLL P3 at a comparison frequency. Digital mobile terminal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제7항에 있어서, 수신 PLLQN(32-2)는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출력되는 시스템의 메인 클럭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클럭 신호(수신부 제어용 클럭 신호)를 발생하여 루프 필터(L4)로 입력하는 PLL(P4)과, PLL(P4)에서 출력된 신호의 파복을 추출하기 위하여 PLL(P4)에서 출력된 신호를 필터링하는 르푸 필터(L4)와, 루프 필터(L4)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공진시켜 수신 대역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키는 탱크(T3)로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receiver PLLQN 32-2 receives the main clock signal of the system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TC1 and generates a corresponding clock signal (receiving clock signal) to the loop filter L4 A lef filter L4 for filter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PLL P4 in order to extract the corruptio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PLL P4 and a PLL P4 for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loop filter L4 And a tank (T3) that resonates and generates a reception band frequency signal. 제1항에 있어서, 기저 대역 아날로그부(34)는 제어 블럭(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송신부(31)로 전송하는 송신단(34-1)과, 수신부(33)에서 전송된 신호를 제어 블럭(2)로 전송하는 수신단(34-2) 및,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인가된 메인 클럭 신호에 의해 시스템에 인가할 클럭 신호를 만들어내는 발진부(34-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receiv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band analog unit (34) comprises a transmitter (34-1) for transmitt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block (2) to the transmitter (31) (34-3)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to be applied to the system by a main clock signal applied from a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TC1), and an oscillation unit (34-3)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to be applied to the system. Band digital mobile terminal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송신단(34-1)은 PLL 발진부(32)내 송신 PLLQN(32-1)의 스위치(SW1)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C1)와, 전압 제어 발진기(VC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변환하여 믹서(M5, M6)로 출력하는 위상 변환기(U1)와, 제어 블럭(2)에서 전송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2개의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1, DA2)와, 위상 변환기(U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1, DA2)와, 위상 변환기(U1)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DA1, DA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믹싱하는 2개의 믹서(M5, M6) 및, 2개의 믹서(M5, M6)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송신부(31)의 감쇄기(AT)로 출력하는 가산기(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PLL circuit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transmitting terminal (34-1) comprises: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1) for generating a frequency by a signal inputted through the switch (SW1) of the transmitting PLLQN (32-1) in the PLL oscillating section (32) A phase converter U1 that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1 and converts the phase of the received signal to mixers M5 and M6 and a phase shifter U2 that converts the digital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block 2 into an analog signal Analog converter DA1 and DA2 and a signal outputted from the phase converter U1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1 and DA2 and a signal output from the phase converter U1 and digital-to-analog converters DA1 and DA2, And an adder M for receiving a signal output from the two mixers M5 and M6 and outputting the received signal to an attenuator AT of the transmitter 31. The mixer M5, Frequency signal module of the dual band digital mobile terminal. 제10항에 있어서, 수신단(34-2)은 PLL 발진부(32) 내 수신 PLL부(32-2)의 탱크(T3)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주파수를 발생하는 전압 제어 발진기(VC2)와, 전압 제어 발진기(VC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위상을 변환하여 믹서(M7, M8)로 출력하는 위상 변환기(U2)와, 위상 변환기(U2)에서 출력된 신호와 수신부(33)의 전압 이득조절기(VGA2)에서 출력된 신호를 믹싱하는 2개의 믹서(M7, M8)와, 2개의 믹서(M7, M8)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2개의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AD2, AD3) 및 배터리의 전압 및 증폭기(A1, A2)의 온도를 감지하여 적절한 조치를 하기 위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1)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receiver of claim 10, wherein the receiving stage includes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2) for generating a frequency by a signal output through a tank (T3) of a receiving PLL unit (32-2) in the PLL oscillating unit A phase converter U2 that receives a signal output from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VC2 and converts the phase of the received signal to mixers M7 and M8; Two mixers M7 and M8 for mixing the signals output from the gain controller VGA2 and two analog / digital converters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s output from the two mixers M7 and M8 into digital signals And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AD1) for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n order to sense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A1, A2) and the battery voltage and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Terminal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제10항에 있어서, 발진부(34-3)는 전압 제어 발진기(TC1)에서 출력된 매인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각 디지탈/아날로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DA1~DA2, AD1~AD3)에 입력할 클럭 신호를 만들어내는 디바이더(D4)와,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멀티플라이어(MU)에 입력할 클럭 신호를 만들어내는 디바이드(TC2)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oscillation unit (34-3) of claim 10, wherein the oscillation unit (34-3) comprises a clock signal to be input to each of the digital / analog and analog / digital converters (DA1 to DA2, AD1 to AD3) using the clock signal outputted from the voltage- A divider D4 for generating a signal and a divider TC2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to be input to the multiplier MU of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The dual band digital mobile terminal of claim 1, 제13항에 있어서, 디바이더(TC2)는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의 멀티플라이어(MU)에 공급하여 공통 인터페이스부(30)에서 발생시킨 메인 클럭 신호를 PCS 서비스를 위한 상위 대역 인터페이스부(10)에서 사용할 기준 클럭 신호로 만들기 위해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대역 디지탈 휴대 단말기 고주파 신호 모듈.The system of claim 13, wherein the divider (TC2) supplies the main clock signal generated by the common interface unit (30) to the multiplier (MU) of the upper band interface unit (10) And the reference clock signal is used as a reference clock signal to be used in the high-frequency signal module.
KR1019960046756A 1996-10-18 1996-10-18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of double band digital mobile telephone KR1002329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756A KR100232970B1 (en) 1996-10-18 1996-10-18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of double band digital mobile tele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756A KR100232970B1 (en) 1996-10-18 1996-10-18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of double band digital mobile tele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44A KR19980027844A (en) 1998-07-15
KR100232970B1 true KR100232970B1 (en) 1999-12-01

Family

ID=1947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756A KR100232970B1 (en) 1996-10-18 1996-10-18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of double band digital mobile tele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9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0007A (en) * 2013-10-22 2015-04-29 深圳市伊爱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Communication antenna anti-damage circuit of vehicle-mounted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54A (en) * 1994-07-12 1996-02-23 조병일 Combined wireless terminal with mobile phone / wireless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354A (en) * 1994-07-12 1996-02-23 조병일 Combined wireless terminal with mobile phone / wireless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0007A (en) * 2013-10-22 2015-04-29 深圳市伊爱高新技术开发有限公司 Communication antenna anti-damage circuit of vehicle-mounted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844A (en)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98880B1 (en) Method for generating frequencies in a direct conversion transceiver of a dual b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 direct conversion transceiver of a dual ban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the use of this method and apparatus in a mobile station
US6215988B1 (en) Dual band architectures for mobile stations
US6195563B1 (en) Radio receiver and radio transmitter
JP3310057B2 (en) High frequency circuit configuration of digital mobile telephone
EP1133831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rf signals through various radio interfaces of communication systems
US5519885A (en) Method to generate different frequency signals in a digital radio telephone
US7783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JPH09275358A (en) Plural-band mobile radio equipment
EP1060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wnconverting signals transmitted using a plurality of modulation formats to a common intermediate frequency range
JP2001024543A (en) Transceiver
US20020054627A1 (en) Synthesize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generating signals, particularly for a multimode radio telephone device
WO2007125793A1 (en) Receiv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20020039908A1 (en) Digital portable telephone device
US6069925A (en) Dual band, dual mode transceiver with adaptive second if switching device
KR100232970B1 (en) High frequency signal module of double band digital mobile telephone
JP3132491B2 (en) Tuned preselection filter
US20080056427A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s
EP1207627B1 (en) An efficient GS;/DSC/UMTS (UTRA/FDD) RF transceiver architecture
US6952593B2 (en) Multi-band tranceivers with reduced frequency sources for digital transmissions
JP3010622B1 (en) Dual band transceiver
JP2001345727A (en) Synthesizer and transmitting/receiving circuit comprising it
US200301092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adio frequency signals in a tri-mode mobile terminal
JP2000091945A (en) Transmitter receiver
JP2000165279A (en) Reception tracking correction circuit for fm receiving circuit
JP2003298450A (en) Radio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