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829B1 -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829B1
KR100232829B1 KR1019970058400A KR19970058400A KR100232829B1 KR 100232829 B1 KR100232829 B1 KR 100232829B1 KR 1019970058400 A KR1019970058400 A KR 1019970058400A KR 19970058400 A KR19970058400 A KR 19970058400A KR 100232829 B1 KR100232829 B1 KR 100232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uct
sliding plate
refrigerating chamber
auxiliary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583A (ko
Inventor
김석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8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82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5Air flow contro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내부에 새로운 보관식품이 투입되는 경우, 그 부분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기공급구조는, 공급되는 냉기를 냉장실로 토출하는 냉장실덕트와, 상기 냉장실덕트와 연통하고, 냉장실덕트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냉기토출공을 구비하는 보조덕트와, 상기 냉기토출공이 성형된 보조덕트의 해당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고, 다수개의 냉기안내공이 성형된 슬라이딩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하여 냉기안내공과 보조덕트의 냉기토출공의 일치여부에 의하여 냉기의 집중공급부분이 결정된다. 그리고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캠부재와 탄성적으로 밀착지지되면서, 캠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하게 된다.

Description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
본 발명은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부에서 부분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그 부분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집중식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서 종래의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동실(2) 및 냉장실(4)로 구분되는 냉장고의 내부에는, 증발기(6)에 의하여 열교환된 냉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냉동실(2) 및 냉장실(4)로 공급되는 냉기는, 그 내부를 순환한 후, 베리어(5)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귀환덕트(9)를 통하여 다시 증발기(6) 측으로 공급되고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냉동실(2)의 귀환덕트의 구성은 생략하고 있다.
냉장실(4)로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베리어(5)의 내부에 형성된 냉기통로를 통하여, 냉장실덕트(10)으로 안내되고, 상기 냉장실덕트(10)의 전면에 성형되어 있는 복수개의 냉기토출공을 통하여 냉장실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냉장실(4)로 유입되는 냉기는, 냉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센서(S)에 의하여 제어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지적된다. 먼저, 실제로 냉동실(4)의 내부에서 냉기의 공급은, 냉장실의 후벽에 설치되어 있는 냉장실덕트(10)을 통해서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냉장고의 후벽에서 일방향을 향하여 냉기가 공급되는 것은, 냉장실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냉각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냉장실 내부에 음식이 많이 보관되어 있는 경우에는, 냉장실덕트(10)를 통하여 분출되는 냉기가, 냉장고의 도어측에까지 전달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냉장실 내부의 각각의 부분에 따라 과냉 또는 약냉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온도센서에 의하여, 냉장실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의 제어가 상기 온도센서(S)에 의하여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상기 온도센서가 냉장실 내부의 각 칸마다 온도 및 식품 부하의 위치를 감지하지 못하고, 냉장실 내부의 대표온도(전체 분위기온도)만을 감지항 냉기의 공급을 제어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단점이 더욱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실 내부에서 특정 부분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실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냉장효과를 구비하는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냉장고의 구조를 보인 것으로, 제1(a)도는 도어를 연상태의 정면도, 제1(b)도는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집중식 냉기공급구조를 보인 정면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플레이트의 동작을 보이는 정면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플레이트의 동작을 보이는 평면 예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기공급부분을 보이는 예시도로써,
제6(a)도 및 제6(b)도는 보조덕트의 냉기토출이 전폐 상태의 예시도.
제6(c)도는 우측보조덕트 만을 통하여 냉기가 토출되는 예시도.
제6(d)도는 좌측보조덕트만을 통하여 냉기가 토출되는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냉장실 32 : 냉장실덕트
40 : 보조덕트 40a : 좌측보조덕트
40b : 우측보조덕트 42,42' : 슬라이딩플레이트
44 : 냉기안내공 46 : 냉기토출공
Ca : 제1캠부재 Cb : 제2캠부재
M : 구동모터 Ms : 구동축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기공급구조는, 공급되는 냉기를 냉장실로 토출하는 냉장실덕트와, 상기 냉장실덕트와 연통하고, 냉장실덕트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냉기토출공을 구비하는 보조덕트와, 상기 냉기토출공이 성형된 보조덕트의 해당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고, 다수개의 냉기 안내공이 성형된 슬라이딩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하여 냉기안내공과 보조덕트의 냉기토출공의 일치여부에 의하여 냉기의 집중공급부분이 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냉장실 내의 신규부하가 투입된 부분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냉기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신규부하와 가장 인접한 위치에서 냉기의 토출이 가능하게 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캠부재와 탄성적으로 밀착지지되면서, 캠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냉장실 내부의 냉기공급경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냉장실덕트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보조덕트는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고 있어서, 기존의 냉기공급구조에서 많은 변형 없이,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수평방향의 보조덕트에 의하여, 냉장고의 모서리 부분까지 냉기의 충분한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실(30)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실덕트(32)와 연통되는 수평방향의 보조덕트(40,40')를 적정수 형성하고 있다. 상기 냉장실덕트(32)는, 냉장실 상부의 증발기에서 열교환된 냉기가 베리어 내부에 성형된 냉기통로를 통하여 유입되는 부분으로, 그 전면에는 종래와 같이 다수개의 냉기토출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덕트(40)는, 수평방향으로 성형되며, 냉장실덕트(32)를 중심으로 하여 냉장실덕트와 각각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좌측보조덕트(40a)와 우측보조덕트(40b)로 구성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물론 상기 보조덕트(40)는, 상기 냉장실덕트(32)를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덕트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보조덕트(40)의 전면에는 냉장실덕트(32)를 통하여 공급되는 냉기를 냉장실(30)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냉기토출공(46)이 성형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있어서, 상기 보조덕트(40)의 냉기토출공(46)은 원형의 것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덕트의 내측에는 슬라이딩플레이트(42,42')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딩프레이트(42,42')에는 다수개의 냉기안내공(44)이 성형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냉기안내공(44)는 사각형상으로 표시하여, 원형으로 표시되어 있는 보조덕트(40)의 냉기토출공(46)과 쉽게 구별되도록 도시한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2,42')는, 보조덕트(40)의 이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그것의 냉기안내공(44)과 보조덕트(40)의 냉기토출공(46)의 일치 여부에 의하여 냉장실(30)로의 냉기의 공급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는, 좌측보조덕트(40a)에 설치되는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와, 우측보조덕트(40b)에 설치되는 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로 구성되고 있다. 상기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는, 좌측보조덕트(40a)의 전면에 형성된 냉기토출공(46)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고, 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는 우측보조덕트(40b)에 형성된 냉기토출공(46')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서 상술한 슬라이딩플레이트(42,42')를 좌우로 이동시킴으로서, 냉기토출공(46)를 통한 냉기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플레이트(42,42')는 각각 제1캠부재(Ca)와 제2캠부재(Cb)에 의하여, 좌우로 슬라이딩된다.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모터(M)의 구동축(Ms)에는 제1캠부재(Ca) 및 제2캠부재(C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캠부재(Ca)에는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가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1캠부재(Ca)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제1캠부재(Ca)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의 구동축(Ms)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제1캠부재(Ca)의 외주면의 길이에 따라, 상기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의 이동에 따라,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에 성형된 냉기안내공(44)과, 좌측보조덕트(40a)에 성형된 냉기토출공(46)은, 서로 일치하게 되거나, 이격되게 된다. 상기 냉기안내공(44)과 냉기토출공(46)이 서로 일치하게 되면, 냉기토출공(46)을 통하여 냉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되고, 서로 이격되게 되면, 냉기의 토출이 금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2캠부재(Cb)에는 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가 접촉된 상태로 지지되고 있으며, 상기 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소정의 탄성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2캠부재(Cb)에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접촉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제2캠부재(Cb)가 회전하게 되면, 모터의 구동축(Ms)를 중심으로 변화하는 제2캠부재(Cb)의 외주면의 길이에 따라, 상기 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의 이동에 따라, 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에 성형된 냉기안내공(44')과, 우측보조덕트(40b)에 성형된 냉기토출공(46')은, 서로 일치하게 되거나, 이격되게 된다. 상기 냉기안내공(44')과 냉기토출공(46')이 서로 일치하게 되면, 냉기토출공(46)을 통하여 냉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되고, 서로 이격되게 되면, 냉기의 토출이 금지되며, 이러한 구성 및 동작은 상술한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와 완전히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보조덕트(40)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실 내부의 상하에 걸쳐서, 다단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보조덕트, 예를 들면 상하에 걸쳐서 각각 설치되는 좌측보조덕트(40a)와 우측보조덕트(40b)를 통한 냉기의 집중공급을 위하여, 보조덕트의 각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온도센서(S)가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부에 설치되는 보조덕트(40)의 하부 좌우측에는 각각 온도센서(Sra, Sma)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설치되는 보조덕트(40')의 하부 좌우측에는 각각 온도센서(Srb, Sm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온도센서(Sra, Srb, Sma, Smb)에 의하여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각각의 보조덕트(40,40')에서 냉장실로 공급되는 냉기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부의 보조덕트(40)의 좌측 부분의 온도가 소정 이상으로 집중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상기 부분을 향하여 집중적으로 냉기가 공급될 것이다. 그리고 하부에 위치하는 보조덕트(40')의 좌우측부분이 동시에 부분적으로 냉기가 상승하게 되면, 그 부분의 좌우측에 걸쳐서 집중적으로 냉기가 공급된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냉장고 내부의 온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집중냉각이 필요없을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는 야간 등과 같이 냉장고 도어의 개폐에 의한 신규부하의 투입이 거의 없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균일하게 냉장실 내부로 냉기를 공급하게 될 것이다. 이 때에는, 설정된 냉장실의 기준온도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소정의 온도편차를 가지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균일하게 냉기가 공급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냉장실 내부로의 냉기공급은, 냉장실덕트(32)의 냉기토출공(32a)에 의하여 진행되고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집중냉각을 위한 집중 냉기공급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부에 위치하는 보조덕트(40)의 예를 통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냉장실 내부의 온도편차가 허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보조덕트(40)의 냉기토출공(46)은, 슬라이딩플레이트(42,42')의 냉기안내공(44)와 전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보조덕트(40)를 통해서는 냉기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로 되며, 이러한 상태가 제6(a)도 및 제6(b)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캠부재(Ca, Cb)가 90°또는 270°회전한 상태를 말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냉장실(30) 내부의 일측의 온도가 허용 가능한 온도편차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 예를 들면 냉장실(30) 내부의 우측에 신규부하를 투입하는 것에 의하여, 우측의 온도가 좌측 보다 3°이상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구동축(Ms)가 도시한 바와 같이, 원래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 때에는 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의 냉기안내공(44')과 우측보조덕트(40b)의 냉기토출공(46')이 서로 일치하게 되고,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의 냉기안내공(44)과 좌측보조덕트(40a)의 냉기토출공(46)은 서로 이격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냉기토출공(46')을 통해서만 냉기가 토출된다. 이러한 것은, 냉장실(30)의 우측에 새로운 보관식품이 투입되는 것에 의하여, 그 부분의 온도가 허용범위(예를 들면 3°)이상으로 상승한 경우를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냉기가 우측부분에만 집중적으로 공급되어, 그 부분의 온도가 허용범위 이내로 돌아오면, 본 발명에 의한 구동축(Ms)가 다시 회전하여 제6(a)도 또는 제6(b)도와 같은 상태로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동축(Ms)의 회전은, 냉장실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온도센서(Sra, Srb, Sma, Smb)에서 감지되는 부분적인 온도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러한 모터(M)의 제어는 냉장고 내부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명령에 의한다.
그리고 냉장실 내부에서 좌측의 온도만이 허용 가능한 온도편차(예를 들면 3°)를 초과하면, 상기 구동축(Ms)는 회전하여, 제6(d)도에 도시한 상태로 설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좌측보조덕트(40a)의 냉기안내공(44)과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42)의 냉기토출공(46) 만이 일치하는 상태로 되고, 우측보조덕트(40a)의 냉기토출공은 슬라이딩플레이트(42')에 의하여 밀폐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우측보조덕트(40a)에 의해서, 냉장실(30)의 우측에만 집중적으로 냉기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냉장실(30) 내부에서 우측에만 신규부하가 투입되어, 그 부분의 온도가 허용 가능한 온도편차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일부분에 집중적으로 냉기가 공급되어 그 부분의 온도가 하강하여 설정된 온도범위 이하로 떨어지면, 이와 같은 집중냉기공급은 중단된다. 즉, 다시 구동축(Ms)이 회전하여 제6(a)도 또는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실덕트에 더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보조덕트를 더 설치하고, 이러한 보조덕트로 공급되는 냉기를 좌우에 걸쳐 선택적으로 냉장고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보조덕트 및 슬라이딩플레이트를 각각 좌우로 나누어서 설치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조덕트를 냉장실덕트와 연통하는 하나의 것으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는 하나의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충분히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하나의 슬라이딩플레이트에 복수개의 냉기안내공을 성형하고, 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보조덕트의 전면에도 복수개의 냉기토출공을 성형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보조덕트의 냉기토출공과 슬라이딩플레이트의 냉기안내공을 일치시키거나 분리시키는 것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냉기를 집중시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보조덕트의 냉기토출공과 슬라이딩플레이트의 냉기안내공을 적절하게 배열하는 것에 의하여, 냉장실 내부에서 좌측 및 우측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냉장실 내부의 좌측 및 우측 그리고 중앙부분에 대해서도, 상기 냉기토출공과 냉기안내공을 적절하게 배열하는 것에 의하여 충분히 집중적인 냉기의 공급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기대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좌측 또는 우측 등과 같은 부분에 집중적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냉기의 공급은 냉장고 내부에 신규부하가 투입된 경우에, 그 부분을 향하여 집중적을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신속하게 냉장고 내부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기대된다. 따라서 신규부하의 투입에 의한 냉장실 전체적인 온도상승 없이, 신속하게 해당부분을 냉각시키는 것에 의하여, 냉장실의 전체적인 냉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냉장고 내부의 소정 위치에 부분적으로 집중된 냉기를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해당하는 부분까지 연장 설치되어 있는 보조덕트를 통하여, 해당하는 부분의 전면에서 직접 냉기를 공급하는 것에 의하여 신규부하에 직접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정확한 냉기의 공급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덕트는, 실질적으로 냉장실덕트와는 다른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냉장실덕트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반면, 보조덕트는 수평방향을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냉기토출공에서 공급되는 냉기와는 달리, 냉장실 내부의 모서리 부분에서도 냉기가 공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장실의 내부는 전체적으로 균일한 냉장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기대된다.

Claims (7)

  1. 공급되는 냉기를 냉장실로 토출하는 냉장실덕트와; 상기 냉장실덕트와 연통하고, 냉장실덕트와는 상이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다수개의 냉기토출공을 구비하는 보조덕트와; 상기 냉기토출공이 성형된 보조덕트의 해당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고, 다수개의 냉기안내공이 성형된 슬라이딩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하여 냉기안내공과 보조덕트의 냉기토출공의 일치여부에 의하여 냉기의 집중공급부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공급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캠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는 상기 캠부재와 탄성적으로 밀착지지되면서, 캠부재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공급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덕트는, 냉장실 내에 상하에 걸쳐 다수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공급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실덕트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보조덕트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공급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덕트는, 냉장실덕트에 대하여 좌우에서 연통하도록 좌측보조덕트 및 우측보조덕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공급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는, 좌측보조덕트 및 우측보조덕트와 밀착되어 슬라이딩하는 좌측 슬라이딩플레이트 및 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캠부재는 좌우측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중심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공급구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냉장실 내부의 각부분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기공급구조.
KR1019970058400A 1997-11-06 1997-11-06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 KR100232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400A KR100232829B1 (ko) 1997-11-06 1997-11-06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400A KR100232829B1 (ko) 1997-11-06 1997-11-06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583A KR19990038583A (ko) 1999-06-05
KR100232829B1 true KR100232829B1 (ko) 1999-12-01

Family

ID=19524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400A KR100232829B1 (ko) 1997-11-06 1997-11-06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8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4610A1 (en) * 2015-09-17 2017-03-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44610A1 (en) * 2015-09-17 2017-03-2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6871532A (zh) * 2015-09-17 2017-06-20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0378811B2 (en) 2015-09-17 2019-08-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6871532B (zh) * 2015-09-17 2019-10-18 Lg电子株式会社 冰箱
US11573046B2 (en) 2015-09-17 2023-02-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583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2469A (en) Method of supplying cold air in refrigerators
EP0828121B1 (en) Refrigerator/freezer
US6957549B2 (en) Cool air supplying apparatus of refrigerator
KR19990019308A (ko)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장치
US5826441A (en) Refrigerator having a device for generating air curtains
KR100504904B1 (ko) 냉장고의 댐퍼 보호장치
EP0893660A2 (en) Refrigerator
KR100235441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및 냉기제어방법
KR100232829B1 (ko)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
KR100208357B1 (ko) 냉기분배장치를 갖는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0232827B1 (ko) 냉장고의 집중식 냉기공급구조
KR100459459B1 (ko) 냉장고의 냉장실 균일온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160268Y1 (ko) 에어커튼을 이용한 냉장고의 냉장실 입체냉각장치
KR20090100773A (ko) 냉장고
KR100281708B1 (ko)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KR100459457B1 (ko) 냉장고의 냉장실내 고온부하 집중냉각방법
KR100186453B1 (ko) 냉장고의 멀티덕트 구조
KR100774003B1 (ko) 냉장고
KR100220394B1 (ko)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 구조
KR100235442B1 (ko) 냉장고의 온도제어방법
KR200207424Y1 (ko) 냉장고
KR100204646B1 (ko) 냉장고
KR910005176Y1 (ko) 냉장고의 냉기 분출량 조절장치
KR0158329B1 (ko) 냉기의 유로를 전환하는 냉장고
JP2001343180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