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578B1 - 패각을 이용한 수중의 인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패각을 이용한 수중의 인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578B1
KR100232578B1 KR1019970045752A KR19970045752A KR100232578B1 KR 100232578 B1 KR100232578 B1 KR 100232578B1 KR 1019970045752 A KR1019970045752 A KR 1019970045752A KR 19970045752 A KR19970045752 A KR 19970045752A KR 100232578 B1 KR100232578 B1 KR 100232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us
shell
water
present
cl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5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4677A (ko
Inventor
왕창근
Original Assignee
왕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창근 filed Critical 왕창근
Priority to KR1019970045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578B1/ko
Publication of KR97007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Specific Substance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바지락, 꼬막 등을 포함하는 패각을 이용하여 패각입자가 투입된 반응기에서 각종 생활하수나 폐수를 체류시켜 수중의 인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기물로 분류되어 매립되는 바지락, 꼬막 등을 포함한 패각을 인의 표면 침전, 석출 매체로 이용하여 생활하수, 산업폐수, 하천 및 호소수, 축산폐수등에 함유된 인을 제거하므로써 부영양화현상을 방지하고 폐기물(패각)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지락, 꼬막 등 패각입자를 사용함으로써 수중의 인 제거를 용이하게 하고 시설 및 운전, 유지관리비를 낮추게 된다.

Description

패각을 이용한 수중의 인 제거방법
본 발명은 수중의 인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바지락, 꼬막 등을 포함하는 패각을 이용하여 패각입자가 투입된 반응기에서 각종 생활하수나 폐수를 체류시켜 수중의 인을 제거하도록 하는 것이다.
수중의 인을 제거하는 수처리 기술로 크게 응집침전법과 생물학적 탈인법이 사용되고 있다.
응집침전법은 약 90% 이상의 높은 인제거율을 보이고 있지만 운전비용이 많이 들고 발생되는 슬러지량이 많은 단점이 있다.
그리고 활성슬러지 변형법 등과 같은 공정도 처리효율은 높지만 생물학적 처리시설을 반드시 해야하고, 운전조건에 따라 안정된 처리효율을 갖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수중의 인(PO4-P)의 용해도는 0.5㎍/ℓ정도로 매우 낮으므로 이론적으로는 용해되기 어려워 과포화상태에 있으며 침전의 기본과정인 핵생성, 결정의 성장, 응집과 숙성의 3단계에서 침전 반응속도가 매우 느리므로 결정 형성 및 침전이 어렵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침전 반응속도의 증가를 위해서 침전물인 Hydroxyapatite[Ca5(OH)(PO4)3]와 유사한 성분과 구조를 갖는 고형물이 존재할 경우 침전 석출 반응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수중의 인 침전물과 유사한 성상을 갖는 고형물로서 인광석을 소재로 제조한 재료, 골탄, 석회석을 모재로 이용해 조재한 인공 탈인재, 슬래그(Slag)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사용되는 고형물의 성상, 제거효율, 경제성등이 탈인제재 선정에 중요한 요소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폐기물로 분류되어 매립되는 바지락, 꼬막 등을 포함한 패각(굴패각은 제외함)을 인의 표면 침전, 석출 매체로 이용하여 생활하수, 산업폐수, 하천 및 호소수, 축산폐수 등에 함유된 인을 제거하므로써 부영양화현상을 방지하고 폐기물(패각)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중의 인 제거 흐름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2시간 체류조건에서의 반복 인 제거 효과(인 조제수)의 그래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2시간 체류조건에서의 반복 인 제거 효과(하수처리장 방류수)의 그래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4시간 체류조건에서의 반복 인 제거 효과(인 조제수)의 그래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12시간 체류조건에서의 반복 인 제거 효과(인 조제수)의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24시간 체류조건에서의 반복 인제거 효과(인 조제수)의 그래프.
제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패각분말 첨가 및 24시간 체류조건에서의 반복 인 제거 효과(인 조제수)의 그래프.
제8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패각분말 첨가 및 24시간 체류조건에서의 반복 탁도 제거 효과(인 조제수)의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패각분말 혼화장치 2 : 패각입자 반응기
3 : 패각 입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 제거 방법은 생활하수, 산업폐수, 하천 및 호소수, 축산폐수 등에 함유된 인 제거에 있어서 탈인재(꼬막, 바지락 등 조개껍질)가 충전된 반응기에 인을 함유한 물을 유입시켜 처리목적에 따라 일정시간 체류 후 방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효율향상을 위하여 반응기 앞에 패각분말을 넣어 교반시킬 수 있는 분말 혼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우선,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패각을 이용한 인 제거 공정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각입자(3)가 충전된 패각입자 반응기(2)에 처리 하고자 하는 물을 유입시킨다.
상기한 패각입자(3)는 굴패각을 제외한 바지락, 꼬막, 개량조개, 모시조개, 동죽, 소라, 골뱅이, 새조개, 홍합 등으로 이루어진다.
패각입자 방응기(2)에 물이 채워지면 처리목표에 따라 일정시간 체류시켜 인을 제거한다.
한편, 인 제거효율을 향상히키기 위하여 패각입자(3)가 채위진 패각입자 반응기(2) 앞에 패각분말 혼화장치(1)를 두어 패각분말을 처리하고자 하는 물과 혼합시킨 후 패각입자 반응기(2)에 일정시간 동안 체류시키므로써 인 제거효율을 향상시킨다.
제2도는 패각의 인 제거가능 여부와 타소재의 인제거 효율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으로 굴, 계란, 꼬막, 바지락 껍데기 20㎖에 조제시료 30㎖씩 넣고 2시간 체류 시킨후의 PO4-P의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패각을 분쇄하여 10*20mesh 크기로 분류된 패각 입자를 반응기에 채우고 처리하고자 하는 물을 유입시킨 후 2시간 체류후 방류하고 다시 처리할 물을 유입시키는 방식으로 반복 처리하였을 경우의 인제거 정도를 측정하였다.
원수는 수돗물에 Na2HPO4·12H2O를 녹여 만들었으며 투입된 시료량은 반응기에 채워진 패각의 높이 만큼 투입하였다.
제2도에서 알수 있듯이 2시간 체류시 사용패각 종류에 따라 인제거율은 20∼46%로 나타났다.
제3도는 그림 2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시료만 하수처리장 2차방류수로 대체하였을때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8회 반복 처리후 사용 패각 종류에 따라 인 제거율은 8.4∼52%로 나타났다.
제4도는 PO4-P 5.2㎎/ℓ의 시료를 꼬막(10*20mesh) 450㎖에 시료를 135㎖ 넣어 4시간 체류시킨 후 방류하고 다시 시료를 유입시켜 4시간 체류시킨 후 방류하는 방식으로 반복 처리하였을 때 방류된 물속에 잔류된 인농도를 측정한 그림이다.
10회 반복처리후의 인제거율은 68%로 나타났다.
제5도는 10*20 매쉬의 체에 걸러진 꼬막입자와 바지락입자를 500㎖의 반응기에 채운후 인농도 5㎎/ℓ의 시료를 패각 높이까지 채우고 12시간마다 처리수의 농도를 분석할 결과이다.
8회 반복 처리후 꼬막의 경우 88%, 바지락의 경우 95% 이상의 높은 제거율을 나타냈다.
제6도는 제5도에서 사용된 동일한 패각에 인농도 30㎎/ℓ의 시료를 패각 높이까지 채운 후 24시간 체류후 반복된 처리수의 농도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11회 반복 처리후 꼬막의 경우 72%, 바지락의 경우 95%의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제7도는 반응기에 채워진 패각과 동일한 패각분말을 유입수에 20㎎/ℓ 첨가하고 24시간 체류시켜 반복 처리시의 인 제거 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패각 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8회 반복 처리후 바지락의 경우 100%, 꼬막의 경우 96%로 패각분말을 첨가하지 않았을 때보다 훨씬 높은 인제거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제8도는 제7도과 동일한 조건에서의 탁도 제거효과를 나타낸 그림이다.
이는 투입된 패각분말의 유출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서 일정기간 안정화된 후에는 투입된 분말도 패각입자층을 통하여 제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시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생활하수, 축산폐수, 하천 및 호소수 등 수중에 함유된 인을 패각 입자 표면을 침전/석출 매체로 하여 제거하므로써 생물학적 처리의 유무에 관계없이 인을 제거할 수 있으며 현재 대부분 폐기물로 폐기되고 있는 패각을 재활용 하므로써 처리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처리용량 및 목표로 하는 인제거율에 따라 체류시간 및 반응기의 용량이 결정되며 본 발명의 적용시 필요한 시설은 매우 간단하므로 적용범위가 매우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수중의 인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바지락, 꼬막 등의 패각입자가 충전된 패각입자 반응기에 인이 함유된 생활하수, 축산폐수, 하천 및 호소수를 투입, 체류시켜 인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을 이용한 수증의 인 제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패각입자 반응기 앞에 패각분말이 투입된 패각분말 혼화장치를 설치하여 인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각을 이용한 수중의 인 제거방법.
KR1019970045752A 1997-09-04 1997-09-04 패각을 이용한 수중의 인 제거방법 KR100232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752A KR100232578B1 (ko) 1997-09-04 1997-09-04 패각을 이용한 수중의 인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5752A KR100232578B1 (ko) 1997-09-04 1997-09-04 패각을 이용한 수중의 인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677A KR970074677A (ko) 1997-12-10
KR100232578B1 true KR100232578B1 (ko) 1999-12-01

Family

ID=19520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5752A KR100232578B1 (ko) 1997-09-04 1997-09-04 패각을 이용한 수중의 인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5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547A (ko) * 1997-04-10 1998-11-16 이찬원 폐수 처리용 활성 굴패각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얻어진 활성 굴패각 분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6547A (ko) * 1997-04-10 1998-11-16 이찬원 폐수 처리용 활성 굴패각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라 얻어진 활성 굴패각 분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4677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8550B1 (en) Process for treating septage
JP2019505368A (ja) 廃水からのリン化合物の回収
KR20000011702A (ko) 불소함유폐수처리장치및불소함유폐수가저농도의불소를함유하도록처리하는방법
KR101714446B1 (ko) 생물여과 및 가중응집침전을 이용한 초고도 수처리 장치
Matsumiya et al. Phosphorus Removal from Sidestreams by Crystallisation of Magnesium‐Ammonium‐Phosphate Using Seawater
JP2003200199A (ja) 下水の処理方法
KR101462033B1 (ko) 인 결정화 장치를 갖는 하·폐수처리시설
Balmér et al. Control of phosphorus discharges: present situation and trends
US20070056902A1 (en) Process for treating septage to extract a bio-fuel
Ndegwa et al. Effects of solid levels and chemical additives on removal of solids and phosphorus in swine manure
Bitton et al. Phosphate removal by magnetic filtration
JPS6242677B2 (ko)
KR100232578B1 (ko) 패각을 이용한 수중의 인 제거방법
Heinzmann Phosphorus recycling in sewage treatment plants with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Wu et al. A strategy for controlling deposition of struvite in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Tertouche et al. Performance Assessment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and Application of Electrocoagulation Process to Improve Their Operation.
JP3013249B1 (ja) 凝集沈降剤
JPH0611440B2 (ja) 汚水の処理方法
KR101218395B1 (ko) 선회류식 접촉성장 방법을 적용한 무기슬러지 분리배출장치
KR100468403B1 (ko) 축산폐수 처리 장치
Karthikeyan et al. Chemical treatment of dairy manure using alum, ferric chloride and lime
Badrinath et al. Ossein wastewater characterization and treatability study
Bodahannadige Development of Naval Controlling Loops for Primary Sludge Thickening Process at SNJ Wastewater Treatment Plant
Volkova et al.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ewage Treatment Plants on the Example of Treatment Plants in the Cities of Artem and Vladivostok
KR101730492B1 (ko) 굴 패각을 이용한 하폐수 중 용존 인의 제거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