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2099B1 -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2099B1
KR100232099B1 KR1019960078055A KR19960078055A KR100232099B1 KR 100232099 B1 KR100232099 B1 KR 100232099B1 KR 1019960078055 A KR1019960078055 A KR 1019960078055A KR 19960078055 A KR19960078055 A KR 19960078055A KR 100232099 B1 KR100232099 B1 KR 100232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tching
pcm data
data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720A (ko
Inventor
박동원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60078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209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2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20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6Time-space-tim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8Time only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32K용량의 풀(pool)구조를 가지며, TSSI 및 TSFI기능을 제공하여 대용량 교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는 가입자를 기준으로 송신측 및 수신측으로 메모리가 각각 별도로 존재하는 구조로서 동일 엑세스 스위칭 서브 시스템내의 통화는 최대 1K이고, 다른 엑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과의 통화는 최대 2K의 용량을 가짐으로써, 최대 3K이상의 호경로가 형성될 수 없으므로, 이들 3K의 가입자를 제외한 나머지 5K 가입자는 호가 형성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32K용량의 풀구조를 가지며, TSSI 및 TSFI기능을 제공하여 4 : 1의 DLC가 존재하는 교환기에서 최대 120만 가입자까지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집선비의 가변을 통하여 시내통화나 시외통화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본 발명은 전전자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32K용량의 풀(pool)구조를 가지며 타임스위치가 필요없고, TSSI 및 TSFI 기능을 제공하여 대용량 교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전자 교환기는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X(10a,10b), DMX(20a,20b), TSSI부(Time Slot Sequence Integrity; 30), 신호변환부(40), 송신SM부(Speech Memory; 50a), 수신SM부(50b), CM부(Control Memory; 60), 타임스위치 정합부(70) 및 광정합부(80)를 구비한다. MUX(10a,10b)는 가입자, 트렁크보드 및 CMX(Conference MiXer)등과 같은 디바이스를 정합하여, 각 디바이스로 부터 인가되는 직렬 PCM[Pulse Coded Modulation)데이터를 8비트 병렬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MX(20a,20b)는 8비트 병렬 PCM데이터를 직렬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SM부(50a,50b)는 TSI(Time Slot Interchange)를 위해, PCM데이터를 저장한다. CM부(60)는 TSI를 위하여 SM부(50a,50b)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터를 저장한다. 신호변환부(40)는 타교환기와의 정합에 기인한 에이-라우(A-law) 포맷이나 뮤-라우(μ-law) 포맷과 같은 PCM 코딩방법을 상호 변환하여 출력한다. TSSI부(30)는 H-채널 서비스를 위한 TSSI기능을 제공한다. 광정합부(80)는 공간스위치와 전전자 교환기의 광정합을 제공해주며, 타임스위치 정합부(70)는 전전자 교환기를 타임스위치와 정합해준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입자로 부터 입력된 PCM데이터는 MUX(10a)를 거치면서 8비트 병렬 PCM데이터로 변환되고 이 데이터는 송신SM부(50a)에 저장된다. 이때, 프로세서부는 해당 가입자에 해당하는 제어데이터를 CM부(60)에 인가하고, 이 데이터는 송신SM부(50a)에 인가된 PCM데이터의 출력위치를 결정한다. 이때, 이 호가 동일 엑세스 스위칭 서브 시스템내의 통화이면, 수신SM부(50b)를 거쳐 상대 가입자의 수신 데이터로 전달된다. 한편, 이 호가 다른 엑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측과의 통화이면 타임스위치 정합부(70)와 광정합부(80)를 거쳐서 공간스위치로 입력되고, 다른 엑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으로 부터 인가되는 수신데이터는 광정합부(80)를 거쳐서 수신SM부(50b)를 거쳐서 신호변환부(40)에 인가되고, 신호변환부(40)에 인가된 수신데이터는 에이-라우(A-law)포맷이나 뮤-라우(μ-law) 포맷으로 변환되어 DMX(20b)를 거쳐서 해당가입자에 전달된다. 이때, MUX(10a,10b)와 DMX(20a,20b)에 정합되는 디바이스는 최대 8K용량이며 공간스위치와 정합되는 최대용량은 2K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는 가입자를 기준으로 송신측 및 수신측으로 메모리가 각각 별도로 존재하는 구조로서 동일 액세스 스위칭 서브 시스템내의 통화는 최대 1K 용량이고, 다른 엑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과의 통화는 최대 2K의 용량을 가지므로, 최대 3K 용량 이상의 가입자에 대해서는 호경로를 형성할 수 없어서 대용량의 가입자에 대해서는 호를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는 가입자를 기준으로 송신측 및 수신측으로 메모리가 각각 별도로 존재하는 구조로서 동일 엑세스 스위칭 서브 시스템내의 통화는 최대 1K이고, 다른 엑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과의 통화는 최대 2K의 용량을 가짐으로써, 최대 3K이상의 호경로가 형성될 수 없으므로, 이들 3K의 가입자를 제외한 나머지 5K 가입자는 호가 형성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32K용량의 풀(pool)구조를 가지며 공간스위치가 필요없고, TSSI 및 TSFI기능을 제공하여 대용량 교환기에 적당한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디바이스와 전전자 교환기를 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이나 광파이버 정합을 하는 디바이스 정합부와; 제1카운터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로 부터 인가되는 소정 용량의 병렬 PCM데이터를 저장하고, 인가되는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병렬 PCM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로 출력하는 제1메모리부를 포함하는 SM부와; 프로세서부로 부터 TSI에 필요한 제어데이터가 인가됨에 따라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를 제2카운터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저장하고, 저장된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를 상기 SM부측으로 출력하는 제2메모리부를 포함하는 CM부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가 가입자 및 트렁크를 정합할 경우, 슬롯하이웨이를 통하여 인가되는 직렬 PCM데이터를 병렬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MUX와; 상기 MUX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PCM데이터를 TSSI를 위해 PCM 재배열을 수행한 후, 출력하는 TSSI부와; 인가되는 병렬 PCM데이터를 직렬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슬롯하이웨이를 통하여 출력하는 DMX와; 인가되는 PCM데이터를 에이-라우(A-law)나 뮤-라우(μ-law)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DMX로 출력하는 신호변환부와; 상기 TSSI부와 상기 신호변환부를 상기 SM부와 정합하여 상기 TSSI부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PCM데이터를 상기 SM부와의 정합을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SM부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SM부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신호변환부측으로 출력하는 SM정합부를 구비하는데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디바이스와 전전자 교환기를 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이나 광파이버 정합을 하는 디바이스 정합부와; 제1카운터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로 부터 인가되는 소정 용량의 병렬 PCM데이터를 저장하고, 인가되는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병렬 PCM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로 출력하는 제1메모리부를 포함하는 SM부와; 프로세서부로 부터 TSI에 필요한 제어데이터가 인가됨에 따라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를 제2카운터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저장하고, 저장된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를 상기 SM부측으로 출력하는 제2메모리부를 포함하는 CM부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가 광파이버를 정합할 경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파이버를 통해 공간스위치부로 출력하고, 공간스위치로 부터 광파이버를 통해 인가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전기신호 변환부와; 상기 광/전기신호 변환부와 상기 SM부를 정합하여, 상기 광/전기신호 변환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SM부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SM부로 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광/전기신호 변환부측으로 출력하는 SM정합부를 구비하는데 있다.
제1도는 종래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의 구성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의 구성블록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디바이스 정합부가 MDXC일 경우의 구성블록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디바이스 정합부가 LNKC일 경우의 구성블록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SM부의 상세 구성블록도.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CM부의 상세 구성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110 : MUX 20a,20b,130 : DMX
30,120 : TSSI부 40,140 : 신호변환부
50a : 송신SM부 50b : 수신SM부
60 : CM부 70 : 타임스위치 정합부
80 : 광정합부 100 : 디바이스 정합부
150,170 : SM 정합부 160 : 광/전기신호 변환부
200 : SM부 210 : 제1메모리부
220 : 제1카운터 300 : CM부
310 : 제2메모리부 320 : 제2카운터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는 첨부된 도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 정합부(100), SM부(200) 및 CM부(300)를 구비한다. 디바이스 정합부(100)는 가입자 및 트렁크를 정합할 경우, 첨부된 도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MUX(110), TSSI부(120), DMX(130), 신호변환부(140) 및 SM정합부(150)를 구비하며, MUX(110)는 슬롯하이웨이를 통하여 인가되는 직렬 PCM데이터를 병렬 8비트의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SM부(200)측으로 출력한다. TSSI부(120)는 MUX(110)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8비트의 PCM데이터를 TSSI를 위해 PCM 재배열을 수행한 후, SM 정합부(150)로 출력한다. DMX(130)는 신호변환부(140)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8비트의 PCM데이터를 직렬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슬롯하이웨이를 통하여 출력한다. 신호변환부(140)는 SM 정합부(150)로 부터 인가되는 PCM데이터를 에이-라우(A-law)나 뮤-라우(μ-law)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DMX(130)로 출력한다. SM 정합부(150)는 TSSI부(120)와 신호변환부(140)를 SM부(200)와 정합하여 TSSI부(120)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8비트의 PCM데이터를 SM부(200)와의 정합을 위한 프로토콜을 수행하여 SM부(200)측으로 출력하고, SM부(200)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8비트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신호변환부(140)측으로 출력한다. 한편, 디바이스 정합부(100)가 광파이버를 정합할 경우, 첨부된 도면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전기신호변환부(160) 및 SM정합부(170)를 구비하며, 광/전기신호 변환부(160)는 SM 정합부(170)로 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파이버를 통해 공간스위치부로 출력하고, 공간스위치부로 부터 광파이버를 통해 인가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SM 정합부(170)측으로 출력한다. SM 정합부(170)는 광/전기신호 변환부(160)와 SM부(200)를 정합하여, 광/전기신호 변환부(160)로 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SM부(200)측으로 출력하고, SM부(200)로 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광/전기신호 변환부(160)측으로 출력한다.
한편, SM부(200)는 첨부된 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메모리부(210) 및 제1카운터(220)를 구비하며, 제1메모리부(210)는 제1카운터(220)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디바이스 정합부(100)로 부터 인가되는 32K의 병렬 PCM데이터를 저장하고, CM부(300)의 제2메모리부(310)로 부터 인가되는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병렬 PCM데이터를 디바이스 정합부(100)측으로 출력한다.
CM부(300)는 첨부된 도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메모리부(310) 및 제2카운터(320)를 구비하며, 제2메모리부(310)는 프로세서부로 부터 TSI에 필요한 제어데이터에 따라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를 제2카운터(320)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저장하고, 저장된 어드레스를 SM부(200)측으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디바이스 정합부(100)가 가입자 및 트렁크를 정합할 경우, 슬롯하이웨이를 통하여 인가되는 직렬 PCM데이터는 MUX1(10)에서 8비트의 병렬 PCM데이터로 변환되어 TSSI부(120)에서 TSSI를 위해 PCM 재배열을 수행한 후, SM 정합부(150)에서 SM부(200)와의 정합을 위한 프로토콜을 수행하고 하나의 MUX(110)당 2K 용량의 PCM 데이터를 SM부(200)로 전송하면, SM부(200)의 제1메모리부(210)는 제1카운터(220)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디바이스 정합부(100)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PCM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프로세서부의 제어에 의해 CM부(300)의 제2메모리부(310)로 부터 인가되는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병렬 8비트 PCM데이터를 디바이스 정합부(100)측으로 출력하면, SM 정합부(150)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를 수신한 후 신호변환부(140)측으로 출력하고, 신호변환부(140)는 에이-라우(A-law)나 뮤-라우(μ-law)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DMX(130)로 출력한다. DMX(130)는 인가되는 8비트 병렬 데이터를 직렬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슬롯하이웨이를 통하여 해당 가입자나 트렁크로 송출한다. 이때, 각 DMX(130)당 2K 용량의 타임슬롯을 수용한다.
한편, 디바이스 정합부(100)가 광파이버를 정합할 경우, 공간스위치로 부터 광파이버를 통해 인가되는 155M용량의 광신호를 광/전기신호 변환부(160)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하고, SM 정합부(170)에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한 후 SM부(200)로 전송하면, SM부(200)의 제1메모리부(210)는 제1카운터(220)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디바이스 정합부(100)로 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프로세서부의 제어에 의해 CM부(300)의 제2메모리부(310)로 부터 인가되는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디바이스 정합부(100)측으로 출력하면, SM 정합부(170)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이를 수신한 후, 광/전기신호 변환부(160)측으로 출력하고, 광/전기신호 변환부(160)는 인가되는 데이터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파이버를 통해 공간 스위치부측으로 출력한다. 한편, 디바이스 정합부(100)의 용량은 가입자 및 트렁크를 정합할 경우나 광파이버를 정합할 경우에 관계없이 모두 2K용량이며 최대 16개의 디바이스 정합부(100)가 실장될 수 있다. 따라서, SM부(200)는 최대 16개의 디바이스 정합부(100)로 부터 입력되는 32K의 병렬 PCM데이터를 제1메모리부(210)에 저장하고 CM부(300)의 제2메모리부(310)로 부터 인가되는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PCM데이터를 출력한다. TSI는 SM부(200)를 통해 이루어지고 TSI에 필요한 제어데이터는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는 CM부(300)로 부터 인가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는 디바이스 정합부(100)가 최대 16장을 수용할 수 있는 32K의 풀(POOL)구조이며 이는 디바이스 정합부(100)가 가입자 및 트렁크를 정합하는지 광파이버를 정합하는지에 따라서 집선비가 1 : 1~15 : 1까지 가변이 가능하다. 한편, 입력측에 인가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용량은 32K 타임슬롯으로서 용량은 2K단위로 가변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력되는 가입자의 용량이 20K라면 링크로 입력되는 용량은 12K까지 수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는 입력측에 입력되는 어떠한 데이터라도 원하는 출력방향으로 출력될 수 있는 완전한 풀구조이다. 이는 동일 엑세스 스위칭 서브시스템내의 가입자간의 통화와 같이, 가입자에서 입력된 데이터는 다시 가입자측으로 출력될 수 있고, 다른 엑세스 스위치 서브시스템을 통하여 다른 지역으로 통화할 경우, 광간스위치부측 광파이버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공간스위치부측 광파이버로 부터 입력된 데이터는 가입자단이나 링크단 어느쪽으로도 출력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32K용량의 풀(pool)구조를 가지며, 공간스위치가 필요없고, TSSI 및 TSFI기능을 제공하여 4 : 1의 DLC가 존재하는 교환기에서 최대 120만 가입자까지 독립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집선비의 가변을 통하여 시내통화나 시외통화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2)

  1. 디바이스와 전전자 교환기를 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이나 광파이버 정합을 하는 디바이스 정합부(100)와; 제1카운터(220)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100)로 부터 인가되는 소정 용량의 병렬 PCM데이터를 저장하고, 인가되는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병렬 PCM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100)로 출력하는 제1메모리부(210)를 포함하는 SM부(200)와; 프로세서부로 부터 TSI에 필요한 제어데이터가 인가됨에 따라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를 제2카운터(320)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저장하고, 저장된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를 상기 SM부(200)측으로 출력하는 제2메모리부(310)를 포함하는 CM부(300)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100)가 가입자 및 트렁크를 정합할 경우, 슬롯하이웨이를 통하여 인가되는 직렬 PCM데이터를 병렬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MUX(110)와; 상기 MUX(110)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PCM데이터를 TSSI를 위해 PCM 재배열을 수행한 후 출력하는 TSSI부(120)와; 인가되는 병렬 PCM데이터를 직렬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슬롯하이웨이를 통하여 출력하는 DMX(130)와; 인가되는 PCM데이터를 에이-라우(A-law)나 뮤-라우(μ-law)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여 상기 DMX(130)로 출력하는 신호변환부(140)와; 상기 TSSI부(120)와 상기 신호변환부(140)를 상기 SM부(200)와 정합하여 상기 TSSI부(120)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PCM데이터를 상기 SM부(200)와의 정합을 위한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SM부(200)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SM부(200)로 부터 인가되는 병렬 데이터를 수신하여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신호변환부(140)측으로 출력하는 SM정합부(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2. 디바이스와 전전자 교환기를 가입자 및 트렁크 정합이나 광파이버 정합을 하는 디바이스 정합부(100)와; 제1카운터(220)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100)로 부터 인가되는 소정 용량의 병렬 PCM데이터를 저장하고, 인가되는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에 따라서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기억되어 있는 병렬 PCM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100)로 출력하는 제1메모리부(210)를 포함하는 SM부(200)와; 프로세서부로 부터 TSI에 필요한 제어데이터가 인가됨에 따라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를 제2카운터(320)가 지정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기억장소에 저장하고, 저장된 출력 타임슬롯의 어드레스를 상기 SM부(200)측으로 출력하는 제2메모리부(310)를 포함하는 CM부(300)를 구비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정합부(100)가 광파이버를 정합할 경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파이버를 통해 공간스위치부로 출력하고, 공간스위치부로 부터 광파이버를 통해 인가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전기신호 변환부(160)와; 상기 광/전기신호 변환부(160)와 상기 SM부(200)를 정합하여, 상기 광/전기신호 변환부(160)로 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SM부(200)측으로 출력하고, 상기 SM부(200)로 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광/전기신호 변환부(160)측으로 출력하는 SM 정합부(1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KR1019960078055A 1996-12-30 1996-12-30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KR100232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055A KR100232099B1 (ko) 1996-12-30 1996-12-30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055A KR100232099B1 (ko) 1996-12-30 1996-12-30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20A KR19980058720A (ko) 1998-10-07
KR100232099B1 true KR100232099B1 (ko) 1999-12-01

Family

ID=19492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055A KR100232099B1 (ko) 1996-12-30 1996-12-30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20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694B1 (ko) 2022-03-22 2022-09-0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816A (ko) * 2002-03-21 2003-09-29 김광훈 회전식 파이프 담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694B1 (ko) 2022-03-22 2022-09-08 정원우 인력 매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720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4452A (en) Switching configuration for a telecommunications system in particular a PBX system with subscriber lines, trunk groups, and interface modules
CA2063525A1 (en) Least cost routing method according to information transfer capability of customer premises equipment
US4007334A (en) Time division digital local telephone office with telemetering line unit
US4661946A (en) Digital switch module having encoding law conversion capability
US4685102A (en) Switching system loopback test circuit
US5610912A (en) Switching in a telecommunications service node
AU684665B2 (en) Service node for a telephony network
KR100232099B1 (ko) 전전자 교환기의 타임스위치
EP0430534A1 (en) Control of non-locally switched telecommunication services
JPS62500835A (ja) 環状化チャネル ユニット
US4686330A (en) Telephone switching system
FI74859C (fi) Digitalt uppkopplingsnaet.
CA1261440A (en) Control circuit for a centrex attendant console interface
CA2050571C (en) Isdn line circuit monitor system
GB2132449A (en) Decentralised PABX
US4420832A (en) Concentrator-deconcentrator devices
KR100388657B1 (ko) 이더넷/전화선 인터페이스장치
CA1121895A (en) Arrangement for conversion of random to fixed data channel format
US6978007B1 (en) Communications systems
US578445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cho compensator connection for telephone connections
RU2093966C1 (ru) Устройство накопления, анализа и распределения измерите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RU21145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мутации, хранения и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CA1263728A (en) Arrangement for transferring data to a centrex
SU1506568A2 (ru) Многока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дачи и приема дискретной информации
KR960020228A (ko) 디지탈 키폰 주장치용 콘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