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1800B1 - Dielectric filter - Google Patents

Dielectric fil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1800B1
KR100231800B1 KR1019990032114A KR19990032114A KR100231800B1 KR 100231800 B1 KR100231800 B1 KR 100231800B1 KR 1019990032114 A KR1019990032114 A KR 1019990032114A KR 19990032114 A KR19990032114 A KR 19990032114A KR 100231800 B1 KR100231800 B1 KR 100231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block
conductor
dielectric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다다히토시
오구라히로미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323154A external-priority patent/JP3023949B2/en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80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Abstract

본 발명은 한쌍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면과 외부표면을 각각 지니고 서로 인접한 다수의 연장된 서브-블록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각각의 서브-블록의 각각의 상응하는 대향 단면쌍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다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 다수의 관통홀의 내부표면 각각에 하나의 내부도체가 형성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단자를 지니는 다수의 내부도체; 그들 내부도체의 각 단면이 개방-회선된 것으로서 모든 다른 서브-블록의 내부 도체의 각각의 단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그들 내부도체의 단면이 단락된 것으로서 나머지 서브-블록의 내부 도체의 각각의 단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외부도체; 동일 개방-회선된 대향 단자들 사이에 위치한 내부도체의 각각의 부분이 외부도체에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도체; 각각 인접한 서브-블록쌍사이에 형성되고, 대향하는 단면들사이에 상기 서브-블록들의 중앙부를 향하여 각각의 하나의 단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전자결합 방지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 필터는 어떤 주파수이상의 밴드 제거 전달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시 다른 주파수이상의 밴드 통과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전체 필터가 단일의 유전체 블록으로 구성되지만, 유전체 필터는 트랩 주파수에 중심이 있는 제거-밴드 주위의 대역을 지니는 밴드-제거 필터로서 작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electric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elongated sub-blocks each having a pair of longitudinally opposite cross sections and an outer surface adjacent to each other;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through holes formed between at least one corresponding opposing cross-sectional pair of each sub-block; A plurality of inner conductors having one inner conductor formed on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having two opposing terminals; Each cross section of their inner conductors is open-circuited and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ross section of the inner conductors of all other sub-blocks, and the cross section of their inner conductors is shorted and each of the inner conductors of the remaining sub-blocks An outer conduc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cross sec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conductors, each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positioned between the same open-lined opposing terminal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Each of which is formed between adjacent pairs of sub-blocks, and includes opposing coupling structures extending from each one cross-section between opposing cross-sections toward the center of the sub-blocks, wherein the dielectric filter has a frequency above a certain frequenc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filter which performs a band removing transfer function and performs a band pass transfer function at different frequencies when used. Although the dielectric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ingle dielectric block, the dielectric filter acts as a band-rejection filter having a band around the rejection-band centered at the trap frequency.

Description

유전체 필터{Dielectric Filter}Dielectric Filter

본 발명은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이고, 더욱 특히, 이동통신기기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밴드-제거필터로 작용하는 유전체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electric fil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electric filter serving as a band-rejection filter suitable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or the like.

도 36은 유전체 공진자(121), 결합 커패시터(122), 및 결합 커패시터(122)를 유전체 공진자(121)에 접속하는 리드단자(123)을 포함하는 종래의 밴드-제거 필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36 shows a conventional band-reject filter including a dielectric resonator 121, a coupling capacitor 122, and a lead terminal 123 connecting the coupling capacitor 122 to the dielectric resonator 121. to be.

유전체 공진자(121)은 관통홀(125)를 지닌 사각의 유전체 블록(124)로 구성된다. 관통홀(125)의 내벽은 내부도체(126)으로 피복되어 있다. 유전체 블록(124)의 외부표면은 외부도체(127)로 피복되어 있다. 내부도체(126)의 한쪽 말단은 외부도체(127)에 접속되어 있다. 결합 커패시터(122)는 양면에 형성된 커패시터 전극(129) 및 (130)을 지닌 유전체 기판(128)로 구성된다.The dielectric resonator 121 is composed of a rectangular dielectric block 124 having a through hole 125.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25 is covered with the inner conductor 126.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24 is covered with an outer conductor 127. One end of the inner conductor 126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127. The coupling capacitor 122 is composed of a dielectric substrate 128 having capacitor electrodes 129 and 130 formed on both sides.

유전체 공진자(121)의 내부도체는 리드단자(123)을 통해 결합 커패시터(122)중의 하나의 커패시터 전극(129)에 접속된다. 결합 커패시터(122)의 다른 커패시터 전극(130)은 회로판상에 배선된 신호라인에 접속된다. 외부도체(127)은 회로판상에 배선된 접지선에 접속된다.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는 도 37에 도시된 등가회로를 지닌 밴드-제거 필터로서 작용한다.The inner conductor of the dielectric resonator 121 is connected to one capacitor electrode 129 of the coupling capacitor 122 through the lead terminal 123. The other capacitor electrode 130 of the coupling capacitor 122 is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wired on the circuit board. The outer conductor 127 is connected to the ground line wired on the circuit board.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cts as a band-rejection filter having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상기된 바와 같이, 종래의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공진자(121)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결합 커패시터(122) 및 리드단자(123)을 포함한다. 그 결과, 이러한 형태의 유전체 필터를 회로판에 설치하는데는 조잡한 조작이 요구된다. 도 38은 상기된 형태의 종래의 유전체 필터에서 얻은 전형적인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3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전체 필터는 트랩 주파수(ft) 주위의 주파수 밴드에서 감쇄가 없는 단순한 트랩 주파수를 지닌다. 따라서, 필터가 트랩 주파수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 밴드에서 감쇄특성을 지니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필터를 대역필터로 작용하는 또다른 유전체 필터와 결합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점이 필터의 설치를 보다 어렵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dielectric filter includes not only the dielectric resonator 121 but also the coupling capacitor 122 and the lead terminal 123. As a result, coarse operation is required to install this type of dielectric filter on the circuit board. 38 is a graph showing typical frequency characteristics obtained with a conventional dielectric filter of the type described above. As can be seen in FIG. 38, the dielectric filter has a simple trap frequency with no attenuation in the frequency band around the trap frequency ft. Thus, if the filter is required to hav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the frequency band above or below the trap frequency, it is required to combine the filter with another dielectric filter that acts as a bandpass filter. This problem makes the installation of the filter more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밴드-제거 필터 뿐만 아니라 트랩 주파수 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의 대역의 두 에지에서 감쇄를 나타내는 대역필터로서도 작동하며, 회로판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electric filte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n a circuit board, operating not only as a band-rejection filter but also as a bandpass filter exhibiting attenuation at two edges of the band at frequencies above or below the trap frequency. .

상기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특성 및 특징을 지닌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1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쌍의 양단면 및 외부표면을 지닌 유전체 블록; 유전체 블록의 양단면쌍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표면을 지니는 관통홀; 관통홀의 내면에 형성되며 개방-회선된 두 양단을 지니는 내부도체; 유전체 블록의 외표면상에 형성되는 외부도체; 및 내부도체의 양단 사이의 소정의 부분이 외부도체에 접속되게 하는 유전체 블록내의 접속도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electric filter having various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electric block having a pair of both end surfaces and an outer surface; A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pair of end faces of the dielectric block and having an inner surface; An inner conductor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having two open-circuit ends; An outer conduc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And a connecting conductor in the dielectric block for allowing a predetermined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inner conductor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이러한 유전체 필터에서, 두 양단 사이의 내부도체의 소정의 부분이 외부도체에 접속되게 하는 접속도체에 의해 유도자(inductor)가 형성된다. 유도자는 유전체 필터가 트랩 주파수 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의 대역특성을 지닌 밴드-제거 필터로 작용하게 하며, 여기서, 밴드-제거는 대역의 두 밴드에지에서 발생된다.In such a dielectric filter, an inductor is formed by a connecting conductor that allow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between two ends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The inductor causes the dielectric filter to act as a band-reject filter with band characteristics at frequencies above or below the trap frequency, where band-rejection occurs at two band edges of the band.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관점을 근거로 한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전체 블록이 관통홀의 양단 사이의 내부 표면의 소정의 부분으로부터 유전체 블록의 외부 표면까지 연장되는 측면 배치 관통홀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된 접속도체가 이러한 측면 배치 관통홀에 위치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de placement through which the dielectric block extends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between both ends of the through ho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Further comprising a hole, the connecting conductor described above provides a dielectric filter positioned in this side-position through hole.

이러한 유전체 필터에서, 접속도체가 측면 배치 관통홀에 위치되기 때문에, 도체가 안정한 인덕턴스를 지니는 것이 가능하다.In such a dielectric filter, since the connecting conductor is located in the lateral through hole, it is possible for the conductor to have a stable inductance.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각각 길이방향의 한쌍의 대향단면과 외부표면을 지닌 다수의 연장된 서브-블록들이 서로 인접하고, 그 한 쌍의 대향단면의 거리가 각각 서브-블록의 길이로 정의되며, 서브-블록의 길이는 동일하고, 인접한 서브-블록들은 서로로부터 서브-블록의 전체 길이의 약 반정도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이루어진 유전체 블록; 상기 각각의 서브-블록의 대향단면쌍 사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관통홀; 상기 다수의 관통홀 각각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되고 두 개의 대향 단면을 지니는 다수개의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 각각의 단면중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개방-회선되며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외부 도체; 대향단면사이에 위치한 내부도체의 각각의 소정의 부분이 외부도체에 접속되게 하는 다수의 접속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extended sub-blocks each having a pair of opposing cross sections and an outer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distance of the pair of opposing cross sections is respectively sub-block. A length of the sub-block is the same, and adjacent sub-blocks are moved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about half of the total length of the sub-block;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formed between opposing pairs of the respective sub-blocks; A plurality of inner conductor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having two opposing cross sections; An outer conductor which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cross sections of each of the inner conductors, but is open-circuited and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A dielectric filter is provided that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ng conductors, each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located between opposing cross sections, being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이러한 배열에서, 유전체 필터는 다수의 필터단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유전체 블록의 각각의 서브-블록은 각각의 서브-블록의 인접한 하나에 관하여 양단쌍중 하나를 향하는 위치로 이동되어 필터단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합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트랩 밴드가 보다 크게 감쇄되게 하고, 또한 트랩 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이 바람직한 값으로 조절되게 한다. 따라서, 트랩 주파수 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 대역 영역을 지닌 고성능 밴드-제거 필터가 실현가능하게 되며, 밴드-제거는 대역의 두 밴드에지에서 발생된다.In this arrangement, the dielectric filt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filter stages, wherein each sub-block of the dielectric block is moved to a position facing one of the pairs of ends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one of each sub-block, To prevent undesirable bonding. This structure allows the trap band to be more attenuated and also allows the frequency band width of the trap band to be adjusted to a desired value. Thus, a high performance band-rejection filter having a band region at frequencies above or below the trap frequency is feasible, and the band-rejection occurs at two band edges of the band.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쌍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면과 외부표면을 각각 지니고 서로 인접한 다수의 연장된 서브-블록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각각의 서브-블록의 각각의 상응하는 대향 단면쌍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다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 다수의 관통홀의 내부표면 각각에 하나의 내부도체가 형성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단자를 지니는 다수의 내부도체; 그들 내부도체의 각 단면이 개방-회선된 것으로서 모든 다른 서브-블록의 내부 도체의 각각의 단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그들 내부도체의 단면이 단락된 것으로서 나머지 서브-블록의 내부 도체의 각각의 단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외부도체; 동일 개방-회선된 대향 단자들 사이에 위치한 내부도체의 각각의 부분이 외부도체에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도체; 각각 인접한 서브-블록쌍사이에 형성되고,대향하는 단면들사이에 상기 서브-블록들의 중앙부를 향하여 각각의 하나의 단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전자결합 방지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 필터는 어떤 주파수이상의 밴드 제거 전달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시 다른 주파수이상의 밴드 통과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dielectric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elongated sub-blocks each having a pair of longitudinally opposite cross sections and an outer surface; 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through holes formed between at least one corresponding opposing cross-sectional pair of each sub-block; A plurality of inner conductors having one inner conductor formed on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having two opposing terminals; Each cross section of their inner conductors is open-circuited and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ross section of the inner conductors of all other sub-blocks, and the cross section of their inner conductors is shorted and each of the inner conductors of the remaining sub-blocks An outer conduc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cross sec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conductors, each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positioned between the same open-lined opposing terminal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Each formed between adjacent pairs of sub-blocks, and comprising opposing coupling structures extending from each one cross-section between opposing cross-sections toward the center of the sub-blocks, wherein the dielectric filter has a frequency above a certain frequenc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electric filter which performs a band removing transfer function and performs a band pass transfer function of a different frequency or higher when used.

이러한 배열에서, 유전체 필터는 다수의 필터단으로 구성되며, 여기서, 결합방지 구조는 유전체 블록의 인접한 서브-블록들 사이에 제공되어, 필터단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합을 방지한다. 이러한 구조는 트랩 밴드가 보다 크게 감쇄되게 하고, 또한 트랩 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이 바람직한 값으로 조절되게 한다. 따라서, 트랩 주파수 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 대역 영역을 지닌 고성능 밴드-제거 필터가 실현가능하게 되며, 밴드-제거는 대역의 두 밴드에지에서 발생된다.In this arrangement, the dielectric filt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filter stages, wherein an anti-bonding structure is provided between adjacent sub-blocks of the dielectric block, to prevent undesirable coupling between the filter stages. This structure allows the trap band to be more attenuated and also allows the frequency band width of the trap band to be adjusted to a desired value. Thus, a high performance band-rejection filter having a band region at frequencies above or below the trap frequency is feasible, and the band-rejection occurs at two band edges of the band.

상기된 본 발명의 제 3 또는 제 4관점 및 후술하는 제 6 관점을 기본으로 한 본 발명의 제 5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 또는 각각의 서브-블록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의 중앙부로부터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까지 연장되는 측면쪽으로 배치된 측면 배치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그 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의 내부도체와 유전체블록의 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hird or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sixth aspect described below,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at least one sub-block or each sub-block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ide arrangement through hole disposed laterally exten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to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the hole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ner conductor of the through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outer conductor of the dielectric block. A dielectric filter comprising a conductor is provided.

이러한 유전체 필터에서 접속도체가 측면 배치 관통홀에 배설되기 때문에, 유도자가 안정한 인덕턴스를 지닐 수 있다.In such a dielectric filter, since the connecting conductor is disposed in the lateral through hole, the inductor can have a stable inductance.

본 발명의 제 6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응하는 양단면쌍을 각각 지닌 제 1 서브-블록 및 제 2 서브-블록, 및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외부도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유전체 블록의 제 1 서브-블록의 양단면쌍 사이에 형성되며 두 외부단자를 지니는 관통홀; 관통홀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되며 두 외부단자에서 개방-회선된 내부도체; 두 외부단자 사이의 내부도체의 소정의 부분이 외부도체에 접속되게 하는 접속도체; 유전체 블록의 제 2의 서브-블록의 양단면쌍 사이에 형성되며 두 외부단자를 지니는 관통홀; 및 제 2 서브-블록의 관통홀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되며 두 외부단자에서 개방-회선되고 두 외부단자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개방-회선된 내부단자쌍을 지니는 내부도체를 포함하여, 유전체 블록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전자결합 방지구조가 각각의 서브-블록의 한 단면으로 부터 두 양단면 사이의 서브블록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서브-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electric block including a first sub-block and a second sub-block each having a corresponding cross-sectional pair, and an outer conduc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A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pair of end faces of the first sub-block of the dielectric block and having two external terminals; An inner conduct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open-circulated at both outer terminals; A connecting conductor for connec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between the two outer terminals to the outer conductor; A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pair of end faces of the second sub-block of the dielectric block and having two external terminals; And an inner conduct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second sub-block and having an open-circulated inner terminal pair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two outer terminals and open-circulated at the two outer terminals. The block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anti-electromagnetic coupling structure is provided between the sub-blocks extending from the one end face of each sub-block toward the center of the sub block between the two end faces. do.

이러한 배열에서, 유전체 필터는 전자결합 방지구조가 유전체 블록의 인접한 서브-블록들 사이에 제공되어 필터단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합이 방지되는 다수의 필터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트랩 밴드가 보다 크게 감쇄되게 하고, 또한 트랩 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이 바람직한 값으로 조절되게 한다. 따라서, 트랩 주파수 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 대역 영역을 지닌 고성능 밴드-제거 필터가 실현가능하게 되며, 밴드-제거는 대역의 두 밴드에지에서 발생된다.In this arrangement, the dielectric filt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filter stages in which an electromagnetic coupling prevention structure is provided between adjacent sub-blocks of the dielectric block to prevent undesirable coupling between the filter stages. This structure allows the trap band to be more attenuated and also allows the frequency band width of the trap band to be adjusted to a desired value. Thus, a high performance band-rejection filter having a band region at frequencies above or below the trap frequency is feasible, and the band-rejection occurs at two band edges of the band.

본 발명의 제 7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쌍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양단면을 각각 지니고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며 연장된 제 1 서브-블록과 제 2 서브-블록, 및 외부표면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 상기 제 1 서브-블록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 1 단면 사이에 배치되고 두개의 외부단자와 내부표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1 관통홀; 외부단자를 가지며 상기 제 1 관통홀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된 제 1 내부도체; 상기 제1 내부도체의 외부단자가 개방-회선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내부도체의 외부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상기 유전체블록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외부도체; 외부단자들 사이에서 상기 제 1 내부도체의 소정의 부분이 상기 외부도체에 접속되도록 하는 제 1 접속도체; 두 개의 외부단자와 내부표면을 가지는 상기 제 2 서브-블록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 2단면들 사이에 배치되고 두 외부단자를 지니는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 2 관통홀; 및 상기 제 2 관통홀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되며, 단락된 것으로서 그의 외부단자에서 상기 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두 외부단자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한쌍의 개방-회선된 내부단자를 지니는 제 2 내부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제 1 및 제 2 서브-블록이 서로에 관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electric comprising a pair of longitudinally opposed opposing cross-sections each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including an extended first sub-block and a second sub-block, and an outer surface. block; A first through hol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cross-sec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sub-block and having two outer terminals and an inner surfac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inner conductor having an outer terminal and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through hole; An outer conducto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the outer terminal of the first inner conductor being open-circuited and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terminal of the first inner conductor; A first connection conductor which connects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rst inner conductor to the outer conductor between external terminals; A second through hol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end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sub-block having two outer terminals and an inner surface, the second through hol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ving two outer terminals; And a pair of open-circuit inner terminal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hrough hole and short-circui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at their outer terminals and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two outer terminals. And a second inner conducto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ub-blocks of the dielectric block are longitudinally moved relative to each other.

이러한 배열에서,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의 각각의 서브-블록이 서로에 대해서 대향하는 단자쌍을 향한 위치로 이동하여 필터단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합을 방지하는 다수의 필터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트랩 밴드가 보다 크게 감쇄되게 하고, 또한 트랩 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이 바람직한 값으로 조절되게 한다. 따라서, 트랩 주파수 보다 높거나 낮은 주파수에서 대역 영역을 지닌 고성능 밴드-제거 필터가 실현가능하게 되며, 밴드-제거는 대역의 양 밴드에지에서 발생된다.In this arrangement, the dielectric filter consists of a plurality of filter stages where each sub-block of the dielectric block moves to a position facing opposite terminal pairs with respect to each other to prevent undesirable coupling between the filter stages. This structure allows the trap band to be more attenuated and also allows the frequency band width of the trap band to be adjusted to a desired value. Thus, a high performance band-rejection filter having a band region at frequencies above or below the trap frequency becomes feasible, and band-rejection occurs at both band edges of the band.

상기된 본 발명의 제 7 관점을 기본으로 하는 본 발명의 제 8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유전체 블록이 상기 제 1 내부도체의 소정의 부분으로부터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까지 측면으로 연장되는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속도체는 측면쪽으로 연장되는 관통홀내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rough hole in which a dielectric block extends laterally from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irst inner conductor to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Further, the first connecting conductor provides a dielectric filter,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through-hole extending toward the side.

이러한 유전체 필터는 접속도체가 측면 배치 관통홀에 배설되기 때문에, 유도자가 안정한 인덕턴스를 지닐 수 있다.Such a dielectric filter can have a stable inductance of the inductor because the connecting conductor is disposed in the lateral through hole.

본 발명의 제 5관점을 기본으로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 단면으로부터 측면쪽으로 위치한 측면 배치 관통홀 근방까지 연장하여 제 1 공진기를 정의하는 상기 서브-블록의 제 1 부분; 타측 단면으로부터 측면쪽으로 위치한 측면 배치 관통홀 근방까지 연장하여 제 2 공진기를 정의하는 상기 서브-블록의 제 2 부분; 직렬로 서로 연결되고 공통노드에 결합된 상기 제 1 및 제 2 공진기; 상기 공통 노드로부터 상기 외부 도체까지 연결된 분로(分路;shunt) 유도자(inductor)를 정의하는 상기 측면쪽으로 위치한 측면 배치 관통홀과 접속 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하며, 또한, 적어도 두 개의 서브-블록은 각각 측면쪽으로 위치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의 중앙부로부터 외부표면까지 연장하는 측면 배치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배치 관통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의 내부도체와 유전체 블록의 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 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하며, 이와 같은 관점을 기본으로 한 또 다른 관점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서브-블록중에서 제 1 서브-블록은: 일측 단면으로부터 그의 측면쪽으로 위치한 측면 배치 관통홀근처까지 연장하는 제 1 서브-블록의 제 1 부분에 의해 정의된 제 1 공진기; 타측 단면으로부터 그의 측면쪽으로 위치한 측면 배치 관통홀근처까지 연장하는 제 1 서브-블록의 제 2 부분에 의해 정의된 제 2 공진기;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공통 노드에서 만나는 제 1 서브-블록의 제 1 및 제 2 공진기; 제 1 서브-블록의 측면쪽으로 위치한 측면 배치 관통홀의 접속 도체에 의해 정의되고 공통 노드에서부터 외부 도체까지 연결된 분로(分路;shunt) 유도자(inductor)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서브-블록중에서 제 2 서브-블록은: 일측 단면으로부터 측면쪽으로 위치한 측면 배치 관통홀근처까지 연장하는 제 2 서브-블록의 제 1 부분에 의해 정의된 제 1 공진기; 타측 단면으로부터 그의 측면쪽으로 위치한 측면 배치 관통홀근처까지 연장하는 제 2 서브-블록의 제 2 부분에 의해 정의된 제 2 공진기; 서로 직렬로 연결되고 공통 노드에서 만나는 제 2 서브-블록의 제 1 및 제 2 공진기; 제 2 서브-블록의 측면쪽으로 위치한 측면 배치 관통홀의 접속 도체에 의해 정의되고 공통 노드에서부터 외부 도체까지 연결된 분로(分路;shunt) 유도자(inductor)를 포함하며, 서로 이웃하고 제 1 이상기를 정의하도록 제 1 서브-블록의 제 1 부분이 제 2 서브-블록의 제 2 부분에 인접하는 것과 같은 식으로 길이방향으로 이동된 제 1 및 제 2 서브-블록에서, 상기 제 1 이상기는 제 1 서브-블록의 제 1 공진기와 제 2 서브-블록의 제 2 공진기 사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based on the fifth aspect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extends from one side cross-section to a side of the side-position through-hole located laterally to define a first resonator of said sub-block. ; A second portion of the sub-block extending from the other cross-section to the vicinity of the side-position through hole and defining a second resonator; The first and second resonators connected to each other in series and coupled to a common node; Providing a dielectric filter comprising a side disposed through hole and a connecting conductor positioned laterally defining a shunt inductor connected from the common node to the outer conductor, and further comprising at least Each of the two sub-blocks is located laterally and includes a laterally arranged through hole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through hole to the outer surface, wherein the laterally arranged through hole comprises an inner conductor and a dielectric of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through hole. A dielectric filter comprising a connecting condu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outer conductor of a block, an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based on this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sub-block of at least two sub-blocks. The block is: a first extending from one side cross-section to the side of the side-position through-hole located towards its side A first resonator defined by a first portion of a sub-block; A second resonator defined by a second portion of the first sub-block extending from the other cross-section to near the side-position through hole located towards its side; First and second resonators of a first sub-block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t a common node; A shunt inductor defined by the connecting conductor of the lateral arrangement through hole located towards the side of the first sub-block and connected from the common node to the outer conductor, the second of the at least two sub-blocks; The sub-block comprises: a first resonator defined by a first portion of a second sub-block extending from one side cross-section to a side disposed through-side hole; A second resonator defined by a second portion of the second sub-block extending from the other cross-section to near the side-position through hole located towards its side; First and second resonators of a second sub-block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nd at a common node; A shunt inductor defined by the connecting conductor of the lateral arrangement through-holes located towards the side of the second sub-block and connected from the common node to the outer conductor, adjacent to each other and defining the first outlier. In the first and second sub-blocks longitudinally mov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portion of the first sub-block is adjacent to the second portion of the second sub-block, the first ideal phase is first sub- A dielectric filter is connected between a first resonator of a block and a second resonator of a second sub-block.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유전체 필터의 횡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의 회로도이다.FIG. 3 is a circuit diagram of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1.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4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도 5는 도 1의 유전체 필터의 변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odification of the dielectric filter of FIG. 1.

도 6은 도 1의 유전체 필터의 다른 변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variant of the dielectric filter of FIG. 1.

도 7은 도 1의 유전체 필터의 또다른 변형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variant of the dielectric filter of FIG. 1.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8.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의 회로도이다.FIG. 10 is a circuit diagram of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8.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FIG. 11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8.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in accordance with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평면도이다.FIG. 13 is a plan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illustrated in FIG. 12.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의 회로도이다.FIG. 14 is a circuit diagram of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12.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FIG. 15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12.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in accordance with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평면도이다.17 is a plan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의 회로도이다.FIG. 18 is a circuit diagram of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16.

도 19는 도 16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FIG. 19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in accordance with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평면도이다.FIG. 21 is a plan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illustrated in FIG. 20.

도 22은 도 20에서 선 B-B을 따라 취한 유전체 필터의 횡단면도이다.FIG. 22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0. FIG.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의 회로도이다.FIG. 23 is a circuit diagram of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20.

도 24는 도 20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FIG. 24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20.

도 25는 도 20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변형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FIG. 25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20.

도 26은 도 25에서 선 C-C를 따라 취한 유전체 필터의 횡단면도이다.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taken along line C-C in FIG. 25.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평면도이다.28 is a top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27.

도 29는 도 28에서 선 D-D를 따라 취한 유전체 필터의 횡단면도이다.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28.

도 30은 도 27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의 회로도이다.30 is a circuit diagram of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27.

도 31은 도 27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FIG. 31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27.

도 32는 도 27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변형을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이다.FIG. 32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27.

도 33은 도 32에서 선 E-E를 따라 취한 유전체 필터의 횡단면도이다.FIG. 33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dielectric filter taken along the line E-E in FIG.

도 34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제 3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기본으로한 변형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3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dielectric filter based o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shown in FIGS. 12 and 13.

도 35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제 6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를 기본으로한 변형된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35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dielectric filter based o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shown in FIGS. 27 and 28.

도 36은 종래의 유전체 필터의 전개된 사시도이다.3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dielectric filter.

도 37은 도 36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의 회로도이다.FIG. 37 is a circuit diagram of an equivalent circuit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36.

도 38은 도 36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FIG. 38 is a graph showing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도 39 내지 41는 변형된 단면을 가진 도 8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의 서브-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9 to 41 show sub-blocks of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8 with modified cross sections.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1,41,61,81,101; 유전체 블록1,21,41,61,81,101; Dielectric block

2,22,23,42,43,44,62,63,64,65,83,84,104,105,106; 관통홀2,22,23,42,43,44,62,63,64,65,83,84,104,105,106; Through hole

3,24,25,45,46,47,66,67,68,69,85,86,107,108,109; 내부도체3,24,25,45,46,47,66,67,68,69,85,86,107,108,109; Inner conductor

4,26,48,70,87,110; 외부도체4,26,48,70,87,110; External conductor

5,27,28,49,50,51,71,72,73,74,89,92,112,113; 측면 배치 관통홀5,27,28,49,50,51,71,72,73,74,89,92,112,113; Lateral Through Hole

6,29,30,52,53,54,75,76,77,78,90,95,114,115; 접속도체6,29,30,52,53,54,75,76,77,78,90,95,114,115; Connection conductor

82,102,103,411,412; 슬릿82,102,103,411,412; Slit

88,111; 내부전극88,111; Internal electrode

93; 단자전극93; Terminal electrode

특정 양태의 유전체 필터를 참조로 하고, 첨부된 도면과 결부시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dielectric fil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양태의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선 A-A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필터는 세라믹 재료로 제조된 사각의 유전체 블록(1)을 포함한다. 유전체 블록(1)은 두 양단면(1a) 및 (1b)를 지닌다. 관통홀(2)는 이들 단면(1a) 및 (1b) 사이에 형성된다. 내부도체(3)은 관통홀(2)의 내벽상에 형성된다. 외부도체(4)는 단면(1a) 및 (1b)를 제외한 유전체 블록(4)의 외부표면 전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내부도체(3)은 양단에서 외부도체(4)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내부도체(3)은 이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개방-회선된다. 내부도체(3) 및 외부도체(4)는, 예를들어, 비전기 도금 등의 수단으로 관통홀(2)의 내벽을 포함한 유전체 블록(1)의 표면 전체에 Cu와 같은 전극 재료를 형성시키고, 이어서, 단면(1a) 및 (1b)로부터 전극재료를 치핑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of a first asp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ielectric filter comprises a square dielectric block 1 made of ceramic material. The dielectric block 1 has two cross sections 1a and 1b. The through hole 2 is formed between these end faces 1a and 1b. The inner conductor 3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 The outer conductor 4 is form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4 except for the end faces 1a and 1b. In this structure, the inner conductor 3 is not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4 at both ends, so that the inner conductor 3 is electrically open-circulated at both ends thereof. The inner conductor 3 and the outer conductor 4 form an electrode material such as Cu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 including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 by means of, for example, non-electroplating. Then, it can form by chipping an electrode material from end surface 1a and 1b.

유전체 블록(1)은 또한 이의 두 양단 사이의 관통홀(2)의 내벽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 블록(1)의 외부표면까지 연장되는 측면 배치 관통홀(5)을 지닌다. 접속도체(6)은 측면 배치 관통홀(5)의 내벽상에 형성되어, 두 양단 사이의 내부도체(3)의 중심부가 접속도체(6)을 통해 외부도체(4)에 접속되게 한다. 이러한 접속도체(6)은 측면 배치 관통홀(5)를 도금처리하여 내부도체(3) 및 외부도체(4)를 형성시킴으로써 내부도체(3) 및 외부도체(4)를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다.The dielectric block 1 also has a laterally arranged through hole 5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 between its two e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 The connecting conductor 6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sidewall through hole 5 so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3 between the two ends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4 via the connecting conductor 6. The connection conductor 6 can form the inner conductor 3 and the outer conductor 4 at the same time by forming the inner conductor 3 and the outer conductor 4 by plating the side through holes 5.

상기된 구조를 지닌 유전체 필터에서, 내부도체(3)의 한 단면은 시그날 라인에 접속되고 다른 단면은 전기적으로 개방-회로이다. 외부도체(4)는 접지선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는 도 3에 도시된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등가회로에서, R1 및 R2는 두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 부분으로 분할된 내부도체(3)으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며, L1은 접속도체(6)과 연관된 유도자이다. 상기된 등가회로로 나타낸 유전체 필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랩 주파수(ft)로 분리된 두 개의 대역영역을 지니며, 여기서, 대역의 두 밴드에지에서 밴드-제거가 발생된다. 트랩 주파수(ft) 및 트랩 주파수(ft)의 양측에 위치된 두 대역영역의 주파수 감쇄 특성은 유전체 블록(1)의 상대 유전율, 내부도체(3)의 길이, 및 접속도체(6)과 연관된 인덕턴스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는 트랩 주파수(ft)로 분할된 두 대역영역을 지닌 대역필터 및 밴드-제거 필터로 작용한다.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one cross section of the inner conductor 3 is connected to the signal line and the other cross section is electrically open-circuit. The outer conductor 4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Therefor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can be represented by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In this equivalent circuit, R1 and R2 are two resonators formed of an inner conductor 3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two ends, and L1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conductor 6. The dielectric filter represented by the equivalent circuit described above has two band regions separated by a trap frequency (ft) as shown in Fig. 4, where band-rejection occurs at two band edges of the band. The frequency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band region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and the trap frequency (ft) depend on the relativ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block (1), the length of the inner conductor (3), and the inductance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conductor (6). It can be measur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functions as a band filter and a band-reject filter having two band regions divided by a trap frequency (f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른 변형에서, 내부도체(3)의 한 단자는 관통홀(2)를 둘러싸는 영역내의 단면(1a)상에 형성된 단면전극(8)에 접속되며, 내부도체(3)의 다른 말단은 관통홀(2)을 둘러싸는 영역내의 말단(1b)상에 형성된 단면전극(9)에 접속된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도체(4)는 단면(1a) 및 (1b)상에 연장된 추가부분을 지니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각각의 단면전극(8) 및 (9) 주위에 갭(10) 및 (11)이 형성되어 단면전극(8) 및 (9)는 단면(1a) 및 (1b)상에 연장된 외부도체(4)의 상기된 부분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내부도체(3)이 단면전극(8) 및 (9)에 접속되는 이러한 구조는 시그날 라인이 내부도체(3)에 용이하게 접속되게 한다. 즉, 시그날 라인을 단면전극(8) 또는 단면전극(9)에 접속함으로써 간단하게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도체(4)가 도금수단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된 구조는 도체가 보다 용이하게 형성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구조가 도금처리 후에 제거되어야 하는 전극재료의 면적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In another variant, as shown in FIG. 5, one terminal of the inner conductor 3 is connected to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8 formed on the end face 1a in the reg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2, and the inner conductor 3. The other end of) is connected to the end face electrode 9 formed on the end 1b in the region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2. In this case, the outer conductor 4 is formed in such a way as to have additional portions extending on the cross sections 1a and 1b, where the gap 10 around each of the cross-sectional electrodes 8 and 9 is present. And (11) are formed so that the cross-sectional electrodes 8 and 9 are electrically separated in the above-described portion of the outer conductor 4 extending on the cross-sections 1a and 1b. This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conductor 3 is connected to the end face electrodes 8 and 9, allows the signal line to be easily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3. That is, the signal line can be easily connected by connecting the end face electrode 8 or the end face electrode 9.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outer conductor 4 is formed by plating mean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llows the conductor to be formed more easily because this structure reduces the area of the electrode material to be removed after the plating treatment. .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도체(3)는 단면전극(12)에 접속될 수 있으며, 단면전극(12)는 관통홀(2)를 둘러싸는 단면(1a)상에서 연장되며 유전체 블록(1)의 하부상으로 더 연장된 부분을 지니고, 단면전극(13)은 관통홀(2)를 둘러싸는 단면(1b)상에서 연장되며 유전체 블록(1)의 하부상으로 더 연장된 부분을 지닌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외부도체(4)는 단면(1a) 및 (1b)상에서 연장되는 추가부분을 지니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단면전극(12) 및 (13) 주위에 갭(14) 및 (15)가 형성되어 단면전극(12) 및 (13)이 단면(1a) 및 (1b)상에 연장된 외부도체(4)의 상기된 부분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한다. 내부도체(3)이 상기된 방법으로 단면전극(12) 및 (13)에 접속되는 이러한 구조는 시그날 라인이 내부도체(3)에 도 5에 도시된 구조에서 보다도 용이하게 접속되게 한다. 그러한 이유는 시그날 라인이 단면전극(12)의 하부 또는 단면전극(13)의 하부에 접속됨으로써 간단하게 접속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도체(4)가 도금수단으로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된 구조는 도체가 도 5에 도시된 구조에서 보다도 용이하게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구조가 도금처리 후에 제거되어야 하는 전극재료의 면적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6, the inner conductor 3 may be connected to the end face electrode 12, and the end face electrode 12 extends on the end face 1a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2 and the dielectric block. With a portion extending further on the bottom of (1), the end face electrode 13 extends on the end face 1b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2 and has a portion extending further on the bottom of the dielectric block 1. . Also in this case, the outer conductor 4 is formed in such a way as to have an additional portion extending on the cross sections 1a and 1b, with gaps 14 and (around the respective end electrodes 12 and 13); 15) is formed such that the cross-sectional electrodes 12 and 13 ar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above described portions of the outer conductor 4 extending on the cross sections 1a and 1b. This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conductor 3 is connected to the cross-sectional electrodes 12 and 13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makes the signal line easier to connect to the inner conductor 3 than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This is because the signal lines can be simply connected by being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end face electrode 12 or the lower end of the end face electrode 13. Also, in the case where the outer conductor 4 is formed by the plating means,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formed more easily than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5, because the structure of the electrode material to be removed after the plating treatment is performed. This is because the area is reduced.

또 다른 변형에서, 내부도체(3)은 단면(1a) 또는 단면(1b)에 도달하지 않는 길이을 지니게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도체(4)는 각각 단면(1a) 및 (1b)의 전영역에 걸쳐 연장되고 관통홀(2)의 내부로 더 연장되는 추가부분을 지니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관통홀(2)의 내벽에 위치한 외부도체(4) 부분은 갭(16) 및 (17)에 의해 내부도체(3)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외부도체(4)가 상기된 방법으로 형성되는 구조는 유전체 필터의 차폐성능을 개선시킨다.In another variant, the inner conductor 3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 length that does not reach the cross section 1a or the cross section 1b. In this case, the outer conductor 4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n additional portion extending over the entire area of the cross sections 1a and 1b, respectively, and extending further into the interior of the through hole 2. The portion of the outer conductor 4 loc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 is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inner conductor 3 by the gaps 16 and 17. The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onductor 4 is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manner improves the shielding performance of the dielectric filter.

상기된 구조에서, 상기된 바와 같은 측면 배치 관통홀(5)는 양단면 사이의 관통홀(2)의 내벽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블록(1)의 외부표면까지 연장되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접속도체(6)은 양단면 사이의 내부도체(3)의 중심부가 접속도체(6)을 통해 외부도체(4)에 접속되게 하는 방법으로 측면 배치 관통홀(5)의 내벽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양단 사이의 '중심부'는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중간일 필요는 없으며, 유전체 필터가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지니는 한 기하학적 중심 주위의 범위내의 위치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de through holes 5 as described above are formed in such a manner as to extend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 between the two end face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 and the connection conductor ( 6) is formed in the inner wall of the sidewall through-hole 5 in such a way that the central part of the inner conductor 3 between both end faces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4 via the connecting conductor 6.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does not need to be exactly geometrically intermediate, and may be in a range around the geometric center as long as the dielectric filter has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며, 도 9는 이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필터는 맞물린 형태로 형성되며 동일한 길이(LE1) 및 (LE2)를 지니고 동일한 폭(W1) 및 (W2)을 지니는 두 서브-블록(LW1) 및 (LW2)를 포함하는 세라믹 재료로 제조된 유전체 블록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두 서브-블록(LW1) 및 (LW2)는 서로에 대해 길이(LE1) 및 (LE2)의 절반이 되는 위치로 세로로 이동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lan view thereof.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ielectric filter has two sub-blocks LW1 and LW2 that are formed in an interlocked form and have the same lengths LE1 and LE2 and have the same width W1 and W2. It is composed of a dielectric block made of a ceramic material containing. Here, the two sub-blocks LW1 and LW2 move vertically to a position that is half of the lengths LE1 and LE2 with respect to each other.

서브-블록(LW1)은 양단면, 즉, 길이(LE1)의 양단에 위치된 제 1단면(21a) 및 제 2단면(21b)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21a) 및 (21b)에 수직인 상부면(21c) 및 하부면(21d)를 지닌다. 유사하게는, 서브-블록(LW2)는 양단면, 즉, 길이(LE2)의 양단에 위치된 제 1단면(21e) 및 제 2단면(21f)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21e) 및 (21f)에 수직인 상부면(21g) 및 하부면(21h)를 지닌다. 각각의 서브-블록(LW1) 및 (LW2)의 제 1단면(21a) 및 (21e)는 동일한 면상에 위치되고, 제 2단면(21b) 및 (21f)는 다른 동일한 면상에 위치되며, 상기된 바와 같이, 두 서브-블록(LW1) 및 (LW2)는 서로에 대해 길이(LE1) 또는 (LE2)의 절반의 위치로 세로로 이동한다. 각각의 서브-블록(LW1) 및 (LW2)의 상부면(21c) 및 (21g)는 한 평면에 놓이게 되고, 하부면(21d) 및 (21h)는 또다른 평면에 놓이게 된다.The sub-block LW1 has both end faces, i.e., the first end face 21a and the second end face 21b,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1, and also has both sides, i.e., the end faces 21a and 21b. It has an upper surface 21c and a lower surface 21d perpendicular to). Similarly, the sub-block LW2 has both end faces, that is, the first end face 21e and the second end face 21f,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2, and also has both sides, i. It has an upper surface 21g and a lower surface 21h perpendicular to 21e) and 21f. The first end faces 21a and 21e of each of the sub-blocks LW1 and LW2 are located on the same face, and the second end faces 21b and 21f are located on the other same fac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the two sub-blocks LW1 and LW2 move longitudinally to half of the length LE1 or LE2 relative to each other. The upper surfaces 21c and 21g of each of the sub-blocks LW1 and LW2 lie in one plane, and the lower surfaces 21d and 21h lie in another plane.

유전체 블록(21)은 서브-블록(LW1)의 제 1 및 제 2단면(21a)과 (21b)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22)를 지니며, 또한, 서브-블록(LW2)의 제 1 및 제 2단면(21e)과 (21f)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23)을 지닌다. 내부도체(24) 및 (25)는 각각의 관통홀(22) 및 (23)의 내벽에 형성된다. 외부도체(26)은 단면(21a), (21b), (21e) 및 (21f)를 제외한 유전체 블록(21)의 전체 외부표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내부도체(24) 및 (25)는 이의 양단에서 외부도체(26)에 접속되지 않으며, 따라서, 내부도체(24) 및 (25)는 이들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개방-회선된다. 내부도체(24) 및 (25), 및 외부도체(26)은, 예를들어, Cu와 같은 전극재료를 관통홀(22) 및 (23)의 내벽을 포함한 유전체 블록(21)의 전체 표면에 비전기적인 도금 등의 수단으로 형성시키고, 이어서, 단면(21a), (21b), (21e) 및 (21f)로부터 전극재료를 치핑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The dielectric block 21 has a through hole 22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surfaces 21a and 21b of the sub-block LW1, and also has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ub-block LW2. It has a through hole 23 formed between the second end surfaces 21e and 21f.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are formed in the inner walls of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22 and 23. The outer conductor 26 is form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21 except for the end faces 21a, 21b, 21e and 21f. In this structure,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are not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26 at both ends thereof, and thus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are electrically open-circulated at both ends thereof.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and the outer conductor 26, for example,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21 including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holes 22 and 23 by using an electrode material such as Cu. It can be formed by means of non-electrical plating or the like, and then formed by chipping the electrode material from the end faces 21a, 21b, 21e and 21f.

유전체 블록(21)은 양단면 사이의 관통홀(22)의 내벽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 블록(21)의 외부표면 부분인 상부표면(21c)까지 연장되는 측면 배치 관통홀(27)을 지니며, 또한, 양단면 사이의 관통홀(23)의 내벽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 블록(21)의 외부표면 부분인 상부표면(21g)까지 연장되는 관통홀(28)을 지닌다. 접속도체(29) 및 (30)은 각각의 측면 배치 관통홀(27) 및 (28)의 내벽에 형성되어, 양단면 사이의 각각의 내부도체(24) 및 (25)의 중심부가 접속도체(29) 및 (30)을 통해 외부도체(26)에 접속되게 한다. 이러한 접속도체(29) 및 (30)은 측면 배치 관통홀(27) 및 (28)을 도금처리하여 내부도체(24) 및 (25), 및 외부도체(26)을 형성시킴으로써 내부도체(24) 및 (25), 및 외부도체(26)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block 21 has a laterally arranged through hole 27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2 between the two end surfaces to the upper surface 21c which is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dielectric block 21. And a through hole 28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23 between both end surfaces to the upper surface 21g, which is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dielectric block 21. The connecting conductors 29 and 30 are formed in the inner walls of the respective sidewall through-holes 27 and 28 so that the centers of the respective inner conductors 24 and 25 between the two end faces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onductors ( 29) and (30) to connect to the outer conductor (26). The connection conductors 29 and 30 are formed by plating the side through holes 27 and 28 to form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and the outer conductors 26 to thereby form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and the outer conductor 26 at the same time.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에서, 서브-블록(LW1)의 제 1단면(21a)의 측면상의 내부도체(24)의 단자는 입력단자(IN)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서브-블록(LW2)의 제 2단면(21f)의 측면상의 내부도체(25)의 단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단자(OUT)으로 사용될 수 있다. 외부도체(26)은 접지선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는 도 10에 도시된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terminal of the inner conductor 24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face 21a of the sub-block LW1 can be used as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sub-block LW2 The terminal of the inner conductor 25 on the side of the second end surface 21f may be used as the output terminal OUT as shown in FIG. The outer conductor 26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Therefor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can be represented by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이러한 등가회로에서, R3 및 R4는 두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의 두부분으로 분할된 서브-블록(LW1)의 내부도체(24)로 형성되는 두 개의 공진자이며, R5 및 R6는 두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의 두부분으로 분할된 서브-블록(LW2)의 내부도체(25)로 형성되는 두 개의 공진자이다. L2는 서브-블록(LW1)의 접속도체(29)와 연관된 유도자이며, L3은 서브-블록(LW2)의 접속도체(30)과 연관된 유도자이다. K35는 제 1단면(21a)로부터 접속도체(29)까지 연장된 영역에서의 서브-블록(LW1)의 일부와 제 2단면(21f)로부터 접속도체(30)까지 연장된 영역에서의 서브-블록(LW2)의 일부 사이에 형성된 이상기(phase shifter)이다.In this equivalent circuit, R3 and R4 are two resonators formed from the inner conductor 24 of the sub-block LW1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the two ends, and R5 and R6 are the centers between the two ends. Are two resonators formed of the inner conductor 25 of the sub-block LW2 divided into two parts. L2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conductor 29 of the sub-block LW1 and L3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conductor 30 of the sub-block LW2. K35 is a part of the sub-block LW1 in the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face 21a to the connecting conductor 29 and the sub-block in the area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face 21f to the connecting conductor 30. It is a phase shifter formed between a part of (LW2).

상기된 바와 같이,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는 양단면, 즉, 제 1단면(21a) 및 제 2단면(21b)를 지닌 서브-블록(LW1), 및 양단면, 즉, 제 1단면(21e) 및 제 2단면(21f)를 지닌 서브-블록(LW2)으로 구성되는 유전체 블록(21); 하나는 유전체 블록(21)의 서브-블록(LW1)의 제 1단면(21a)와 제 2단면(21b) 사이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서브-블록(LW2)의 제 1단면(21e)와 제 2단면(21f) 사이에 형성되도록 되어 있는 두 개의 관통홀(22) 및 (23); 각각의 관통홀(22) 및 (23)의 내벽에 형성되며 양단이 전기적으로 개방-회선된 두 내부도체(24) 및 (25); 유전체 블록(21)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외부도체(26); 및 각각의 내부도체(24) 및 (25)의 중심부가 출력도체(26)에 접속되게 하는 두 개의 접속도체(29) 및 (30)을 포함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필터단이 상기된 구조(제 1필터단은 공진자(R3) 및 (R4), 및 유도자(L2)로 구성되고, 제 2필터단은 공진자(R5) 및 (R6), 및 유도자(L3)으로 구성된다)를 지닌 유전체 필터에 형성된다. 하나의 필터단은 입력단자(IN)에 접속되고 다른 필터단은 출력단자(OUT)에 접속된다. 또한, 이들 두 필터단은 이상기(K35)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에서, 입력단자(IN)에 주어진 시그날은 이상기(35)를 통해 상이 약 90°가 변화되며, 따라서, 상-이동된 시그날이 출력단자(OUT)에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fil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ub-block LW1 having both cross sections, that is, the first cross section 21a and the second cross section 21b, and both cross sections, i.e., the first cross section 21e. And a dielectric block 21 composed of a sub-block LW2 having a second cross section 21f; One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21a and the second end face 21b of the sub-block LW1 of the dielectric block 21, and the othe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21e of the sub-block LW2 and the first end face 21e of the sub-block LW2. Two through holes 22 and 23 arranged to be formed between the second end surfaces 21f; Two inner conductors 24 and 25 formed in the inner walls of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22 and 23 and whose ends are electrically open-circulated; An outer conductor 26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21; And two connecting conductors 29 and 30 which allow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conductor 26. As shown in Fig. 10, the two filter stages have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first filter stage is composed of the resonators R3 and R4, and the inductor L2, and the second filter stage is the resonator R5). And (R6), and an inductance (L3). One filter stage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other filter stage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In addition, these two filter sta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n ideal phase K35. Therefore, 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gnal given to the input terminal IN is changed by about 90 ° through the phase 35, and thus, the phase-shifted signal appears at the output terminal OUT.

상기된 구조를 지닌 유전체 필터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랩 주파수(ft)로 분리된 두 대역을 지니며, 밴드-제거가 대역의 에지에서 발생된다. 트랩 주파수(ft) 및 트랩 주파수(ft)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대역영역의 주파수-감쇄특성은 유전체 블록(21)의 상대 유전율, 내부도체(24) 및 (25)의 길이, 및 접속도체(29) 및 (30)과 연관된 인덕턴스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측정한다.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가 두 필터단을 지니기 때문에, 트랩 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트랩 밴드내에서 보다 큰 감쇄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이러한 유전체 필터는 트랩 주파수(ft)의 양측에서 두 대역을 지니는 고성능 밴드-제거 필터로 작용하며, 다시 설명하자면, 유전체 필터는 대역 필터와 밴드-제거 필터 모두로서 작용한다.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two bands separated by a trap frequency (ft) as shown in Fig. 11, and band-rejection occurs at the edge of the band. The frequency-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band regions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and the trap frequency (ft) include the relativ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block 21, the length of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and the connection conductor ( The inductances associated with 29) and (30) are measured by appropriate selection. Sinc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has two filter stages, the frequency band width of the trap band can be adjusted, and larger attenuation can occur within the trap band. Thus, this dielectric filter acts as a high performance band-rejection filter having two bands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and, in other words, the dielectric filter acts as both a band filter and a band-rejection filter.

본원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전극이 서브-블록(LW1)의 단면(21a) 및 서브-블록(LW2)의 단면(21f)에 형성되어, 단면(21a)상의 단면전극이 입력단자(IN)로 작용하도록 내부도체(24)에 접속될 수 있고, 단면(21f)상의 단면전극이 출력단자(OUT)로 작용하도록 입력도체(25)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26)은 단면(21a) 및 (21f)상으로 연장되고 단면전극에서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추가의 부분을 지닐 수 있다. 다른 단면은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26)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 피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5, 도 6 및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 cross-sectional electrod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5 or 6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 21a of the sub-block LW1 and in the cross-section 21f of the sub-block LW2, so that the cross-section (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on 21a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24 to act as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on cross-section 21f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conductor 25 to act as the output terminal OUT. have.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or 6, the outer conductor 26 may have additional portions extending over the cross sections 21a and 21f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ross-sectional electrodes. The other cross section may be covered with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outer conductor 26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5, 6 and 7 described above.

또 다른 변형에서, 내부도체(24) 및 (25)는 제 1단면(21a) 및 (21e), 또는 제 2 단면(21b) 및 (21f)에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지니게 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외부도체(26)은 제 1 단면(21a) 및 (21e), 및 제 2단면(21b) 및 (21f)의 전영역에 걸쳐 연장되고 관통홀(22) 및 (23)내로 더 연장되는 추가의 부분을 지니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In another variation,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can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y have a length that does not reach the first end faces 21a and 21e, or the second end faces 21b and 21f. have. In this case the outer conductor 26 extends over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end faces 21a and 21e and the second end faces 21b and 21f and further into the through holes 22 and 23. It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n additional portion that extends.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

상기된 구조에서, 상기된 측면 배치 관통홀(27) 및 (28)은 이들 두 양단 사이의 관통홀(22) 및 (23)의 내벽의 상응하는 중심부분으로부터 유전체 블록(21)의 외부표면까지 연장되는 방법으로 형성되고, 접속도체(29) 및 (30)은 두 양단 사이의 내부도체(24) 및 (25)의 중심부분이 접속도체(29) 및 (30)을 통해 외부도체(26)에 접속되게 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측면 배치 관통홀(27) 및 (28)의 내벽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양단 사이의 '중심부'는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중간일 필요는 없으며, 유전체 필터가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지니는 한 기하학적 중심 주위의 범위내의 위치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de arrangement through holes 27 and 28 described above extend from the corresponding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s 22 and 23 between these two e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21. The connecting conductors 29 and 30 ar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s 24 and 25 between the two ends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s 26 through the connecting conductors 29 and 30.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each of the lateral arrangement through-holes 27 and 28 in such a manner as to be connected thereto.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does not need to be exactly geometrically intermediate, and may be in a range around the geometric center as long as the dielectric filter has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상기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21)은 두 서브-블록(LW1) 및 (LW2)로 구성되고, 서브-블록(LW1)의 제 1단면(21a)와 제 2단면(21b) 사이의 길이(LE1)은 서브-블록(LW2)의 제 1단면(21e)와 제 2단면(21f) 사이의 길이(LE2)와 동일하며, 이들 두 서브-블록(LW1) 및 (LW2)는 서로에 대해 길이(LE1) 또는 (LE2)의 절반의 위치로 세로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들 조건이 아주 엄밀한 것은 아니며, 약간 변화시키는 것도 도 11에 도시된 주파수 특성과 유사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양태의 유전체 블록(21)에서, 서브-블록(LW1)의 제 1단면(21a)으로부터 제 2단면(21b)까지의 길이(LE1)과 서브-블록(LW2)의 제 1단면(21e)로부터 제 2단면(21f)까지의 길이(LE2) 사이의 동일성에 특정의 허용오차가 허용된다. 두 서브-블록(LW1) 및 (LW2)는 서로에 대해 특정의 허용오차 내에서 길이(LE1) 및 (LE2)의 절반으로 세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block 21 is composed of two sub-blocks LW1 and LW2, and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end face 21a and the second end face 21b of the sub-block LW1 ( LE1 is equal to the length LE2 between the first end face 21e and the second end face 21f of the sub-block LW2, and these two sub-blocks LW1 and LW2 are long relative to each other. Move vertically to the position of half of (LE1) or (LE2). However, these conditions are not very stringent, and even slight changes can yield frequency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 That is, in the dielectric block 21 of the present aspect, the length LE1 from the first end face 21a to the second end face 21b of the sub-block LW1 and the first end face of the sub-block LW2 ( A specific tolerance is allowed for the identity between the lengths LE2 from 21e) to the second end face 21f. The two sub-blocks LW1 and LW2 can move longitudinally with half of lengths LE1 and LE2 within a certain tolerance with respect to each other.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그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필터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길이(LE3), (LE4) 및 (LE5)를 지니며 동일한 폭(W3), (W4), 및 (W5)를 지니는 세 개의 서브-블록(LW3), (LW4), 및 (LW5)를 포함하는 세라믹 재료로 제조된 유전체 블록(41)로 구성된다. 여기서, 세 개의 서브-블록(LW3), (LW4) 및 (LW5)는 서로에 대해 길이(LE3), (LE4) 및 (LE5)의 절반으로 세로 방향으로 이동한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plan view thereof.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ielectric filter is integrally formed and has three lengths having the same lengths LE3, LE4 and LE5 and the same widths W3, W4, and W5. It is composed of a dielectric block 41 made of a ceramic material including sub-blocks LW3, LW4, and LW5. Here, the three sub-blocks LW3, LW4 and LW5 move longitudin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half of the lengths LE3, LE4 and LE5.

서브-블록(LW3)은 양단면, 즉, 길이(LE3)의 양단에 위치한 제 1단면(41a) 및 제 2단면(41b)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41a) 및 (41b)에 수직인 상부면(41c) 및 하부면(41d)를 지닌다. 유사하게, 서브-블록(LW4)도 양단면, 즉, 길이(LE4)의 양단에 위치한 제 1단면(41e) 및 제 2단면(41f)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41e) 및 (41f)에 수직인 상부면(41g) 및 하부면(41h)를 지닌다. 서브-블록(LW5)는 양단면, 즉, 길이(LE5)의 양단에 위치한 제 1단면(41i) 및 제 2단면(41j)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41i) 및 (41j)에 수직인 상부면(41k) 및 하부면(41l)를 지닌다. 각각의 서브-블록(LW3), (LW4) 및 (LW5)의 제 1단면(41a), (41e) 및 (41i)은 동일한 면상에 위치하며, 제 2단면(41b), (41f) 및 (41j)도 다른 동일한 면상에 위치하고, 다른 두 서브-블록 사이에 위치된 서브-블록(LW4)는 서브-블록(LW3) 및 (LW5)에 대해 길이(LE4)의 절반으로 세로방향으로 단면(41a) 및 (41i)를 향해 이동한다. 각각의 서브-블록(LW3), (LW4) 및 (LW5)의 상부면(41c), (41g) 및 (41k)는 한 평면에 놓이고, 하부면(41d), (41h) 및 (41l)도 다른 평면상에 놓인다.The sub-block LW3 has both end faces, i.e., the first end face 41a and the second end face 41b,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3, and also has both sides, i.e., the end faces 41a and 41b. It has an upper surface 41c and a lower surface 41d perpendicular to). Similarly, the sub-block LW4 also has both end faces, that is, the first end face 41e and the second end face 41f,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4, and also has both sides, i.e., the end face 41e. And an upper surface 41g and a lower surface 41h perpendicular to 41f. The sub-block LW5 has both end faces, that is, the first end face 41i and the second end face 41j,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5, and also has both sides, i.e., the end faces 41i and 41j. It has an upper surface 41k and a lower surface 41l perpendicular to). The first cross sections 41a, 41e, and 41i of each of the sub-blocks LW3, LW4, and LW5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the second cross sections 41b, 41f, and ( 41j) is also located on the same side of the other, and the sub-block LW4 located between the other two sub-blocks has a cross section 41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half the length LE4 with respect to the sub-blocks LW3 and LW5. ) And (41i). The upper surfaces 41c, 41g, and 41k of the sub-blocks LW3, LW4, and LW5, respectively, lie in one plane, and the lower surfaces 41d, 41h, and 41l. Also lies on another plane.

유전체 블록(41)은 관통홀(42), (43) 및 (44)를 지니며, 관통홀(42)는 서브-블록(LW3)의 제 1 및 제 2 단면(41a)와 (41b) 사이에 형성되고, 관통홀(43)은 서브-블록(LW4)의 제 1 및 제 2단면(41e)와 (41f)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홀(44)는 서브-블록(LW5)의 제 1 및 제 2단면(41i)와 (41j) 사이에 형성된다. 내부도체(45), (46) 및 (47)은 각각의 관통홀(42), (43) 및 (44)의 내벽에 형성된다. 외부도체(48)은 단면(41a), (41b), (41e), (41f), (41i) 및 (41j)를 제외한 유전체 블록(41)의 전체 외부 표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내부도체(45), (46) 및 (47)은 이들의 양단에서 외부도체(48)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내부도체(45), (46) 및 (47)은 이들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개방-회로가 된다. 내부도체(45), (46) 및 (47), 및 외부도체(48)은, 예를들어, 관통홀(42),(43) 및 (44)의 내벽을 포함한 유전체 블록(41)의 전체 표면에 Cu와 같은 전극재료를 비전기적인 도금 등의 수단으로 형성시키고, 이어서, 단면(41a), (41b), (41e), (41f), (41i) 및 (41j)로부터 전극재료를 치핑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유전체 블록(41)은 양단 사이의 각각의 관통홀(42), (43) 및 (44)의 내벽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 블록(41)의 외부표면의 일부인 상부표면(41c), (41g) 및 (41k)까지 각각 연장되는 측면 배치 관통홀(49), (50) 및 (51)을 지닌다. 접속도체(52), (53) 및 (54)는 각각의 측면 배치 관통홀(49), (50) 및 (51)의 내벽에 형성되어, 양단 사이의 각각의 내부도체(45), (46) 및 (47)의 중심부가 접속도체(52), (53) 및 (54)를 통해 외부도체(48)에 접속되게 한다. 이러한 접속도체(52), (53) 및 (54)는 측면 배치 관통홀(49), (50) 및 (51)을 도금처리하여 내부도체(45), (46) 및 (47), 및 외부도체(48)을 형성시킴으로써 내부도체(45), (46) 및 (47), 외부도체(48)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block 41 has through holes 42, 43 and 44, and the through hole 42 i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surfaces 41a and 41b of the sub-block LW3. The through hole 4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surfaces 41e and 41f of the sub-block LW4, and the through hole 44 is the first of the sub-block LW5. And between the second end surfaces 41i and 41j.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are formed in the inner walls of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42, 43 and 44, respectively. The outer conductor 48 is form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41 except for the end faces 41a, 41b, 41e, 41f, 41i, and 41j. In this structure,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are not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48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are at both ends thereof. Electrically open-circuit.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and the outer conductor 48 may comprise, for example, the entirety of the dielectric block 41, including the inner walls of the through holes 42, 43 and 44. An electrode material such as Cu is formed on the surface by means of non-electrical plating or the like, and then chipping the electrode material from the end faces 41a, 41b, 41e, 41f, 41i and 41j. It can form by making it. The dielectric block 41 is formed by the upper surfaces 41c, 41g and 41 which are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41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walls of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42, 43 and 44 between both ends thereof. And side lateral through holes 49, 50, and 51 extending to 41k), respectively. The connecting conductors 52, 53, and 54 are formed in the inner walls of the respective sidewall through holes 49, 50, and 51, respectively, so as to form respective inner conductors 45, 46 between the two ends. ) And (47) are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48) via connecting conductors (52), (53) and (54). The connecting conductors 52, 53, and 54 are plated on the side through holes 49, 50, and 51, and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and the outside, respectively. By forming the conductor 48, it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and the outer conductor 48.

상기된 구조를 지닌 유전체 필터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41)의 서브-블록(LW3)의 제 1 단면(41a)의 측면상의 내부도체의 말단은 입력단자(IN)으로 사용되고, 유전체 블록(41)의 서브-블록(LW5)의 제 2단면(41i)의 측면상의 내부도체(47)의 말단은 출력단자(OUT)로 사용된다. 외부도체(48)은 접지선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는 도 14에 도시된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s shown in Fig. 13, the end of the inner conductor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face 41a of the sub-block LW3 of the dielectric block 41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The end of the inner conductor 47 on the side of the second end face 41i of the sub-block LW5 of the dielectric block 41 is used as the output terminal OUT. The outer conductor 48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Therefor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can be represented by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이러한 등가회로에서, R7 및 R8은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내부도체(45)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며, R9 및 R10은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내부도체(46)으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고, R11 및 R12는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내부도체(47)로 형성되는 두 개의 공진자이다. L4는 접속도체(52)와 연관된 유도자이며, L5는 접속도체(53)과 연관된 유도자이고, L6은 접속도체(54)와 연관된 유도자이다.In this equivalent circuit, R7 and R8 are two resonators formed of inner conductor 45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and R9 and R10 are inner conductors 46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Two resonators formed, and R11 and R12 are two resonators formed of an inner conductor 47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L4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conductor 52, L5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conductor 53, and L6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conductor 54.

K79는 제 1단면(41a)로부터 접속도체(52)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유전체블록(41)의 서브-블록(LW3)의 일부와 제 2단면(41f)로부터 접속도체(53)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서브-블록(LW4)의 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상기이다. K911은 제 2단면(41f)로부터 접속도체(53)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유전체블록(41)의 서브-블록(LW4)의 일부와 제 1단면(41i)로부터 접속도체(54)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서브-블록(LW5)의 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상기이다.K79 extends from the second end surface 41f to the connection conductor 53 and a part of the sub-block LW3 of the dielectric block 41 in the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surface 41a to the connection conductor 52. It is an ideal phase formed between a part of the sub-blocks LW4 in the region. K911 extends from the first end surface 41i to the connection conductor 54 and a part of the sub-block LW4 of the dielectric block 41 in the reg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surface 41f to the connection conductor 53. It is an ideal phase formed between a part of the sub-blocks LW5 in the region.

상기된 바와 같이, 유전체 필터는 양단면, 즉, 제 1단면(41a) 및 제 2단면(41b)를 지닌 서브-블록(LW3), 및 양단면, 즉, 제 1단면(41e) 및 제 2단면(41f)를 지닌 서브-블록(LW4), 및 양단면, 즉, 제 1단면(41i) 및 제 2단면(41j)를 지닌 서브-블록(LW5)로 구성된 유전체 블록(41); 관통홀(42)가 유전체 블록(41)의 서브-블록(LW3)의 제 1단면(41a) 및 제 2단면(41b) 사이에 형성되고, 관통홀(43)이 서브-블록(LW4)의 제 1단면(41e) 및 제 2단면(41f)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홀(44)이 서브-블록(LW5)의 제 1단면(41i) 및 제 2단면(41j)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세 개의 관통홀(42), (43) 및 (44); 각각의 관통홀(42), (43) 및 (44)의 내벽상에 형성되며 양단이 전기적으로 개방-회선된 세 개의 내부도체(45), (46) 및 (47); 유전체 블록(41)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외부도체(48); 및 각각의 내부도체(45), (46) 및 (47)의 중심부가 출력도체(48)에 접속되게 하는 세 개의 접속도체(52), (53) 및 (54)을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필터단이 상기된 구조(제 1필터단은 공진자(R7) 및 (R8), 및 유도자(L4)로 구성되고, 제 2필터단은 공진자(R9) 및 (R10), 및 유도자(L5)로 구성되며, 제 3필터단은 공진자(R11) 및 (R12) 및 유도자(L6)으로 구성된다)를 지닌 유전체 필터에 형성된다. 이들 세 개의 필터단은 이상기(K79) 및 (K911)을 통해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접속된다. 공진자(R9)를 포함하는 필터단은 입력단자(IN)에 접속되고, 공진자(R11)을 포함하는 필터단은 출력단자(OUT)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에서, 입력단자(IN)에 주어진 시그날은 이상기(K79)를 통해 상이 약 90°가 변화되며 이상기(K911)을 통해 또다시 상이 90°로 변화되며, 상-이동된 시그날이 출력단자(OUT)에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filter has a sub-block LW3 having both cross sections, i.e., a first cross section 41a and a second cross section 41b, and both cross sections, i.e., a first cross section 41e and a second cross section. A dielectric block 41 composed of a sub-block LW4 having a cross section 41f and a sub-block LW5 having both cross sections, that is, a first cross section 41i and a second cross section 41j; A through hole 4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41a and the second end surface 41b of the sub-block LW3 of the dielectric block 41, and the through hole 43 is formed of the sub-block LW4. I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41e and the second end face 41f, so that the through hole 4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41i and the second end face 41j of the sub-block LW5. The three through holes (42), (43) and (44); Thre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42, 43, and 44 and whose ends are electrically open-circulated; An outer conductor 48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41; And three connecting conductors 52, 53, and 54 which allow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conductor 48. As shown in FIG. As shown in Fig. 14, the three filter stages are stru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filter stage is composed of the resonators R7 and R8, and the inductor L4, and the second filter stage is the resonator R9). ) And (R10), and inductor (L5), the third filter stage is formed 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a resonator (R11) and (R12) and inductor (L6). These three filter stages are connected from one stage to the next through the phase shifters K79 and K911. The filter terminal including the resonator R9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filter terminal including the resonator R1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Therefore, 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gnal given to the input terminal IN is changed by about 90 ° through the phase K79 and again by 90 ° through the phase K911. The moved signal is displayed on the output terminal (OUT).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랩 주파수(ft)로 분리된 두 대역을 지니며, 제거는 대역의 에지에서 발생된다. 트랩 주파수(ft) 및 트랩주파수(ft)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대역의 주파수-감쇄 특성은 유전체 블록(41)의 상대 유전율, 내부도체(45), (46) 및 (47)의 길이, 및 접속도체(52), (53) 및 (54)와 연관된 인덕턴스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측정된다.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가 세 개의 필터단을 지니기 때문에, 트랩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트랩 밴드내에서 보다 크게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전체 필터는 트랩 주파수(ft)의 양측에서 두 대역을 지닌 고성능 밴드-제거 필터로 작용한다. 달리 설명하자면, 유전체 필터는 대역필터와 밴드-제거필터로 작용한다.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has two bands separated by a trap frequency (ft) as shown in FIG. 15, and the removal occurs at the edge of the band. The frequency-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band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and the trap frequency (ft) include the relativ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block 41, the lengths of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and It is measur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inductances associated with connecting conductors 52, 53 and 54. Sinc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has three filter stage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trap band and to attenuate it more largely in the trap band. Thus, this dielectric filter acts as a high performance band-rejection filter with two bands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In other words, the dielectric filter acts as a band pass filter and a band-reject filter.

본원에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전극이 서브-블록(LW3)의 단면(41a) 및 서브-블록(LW5)의 단면(41i)에 형성되어, 단면(41a)상의 단면전극이 입력단자(IN)로 작용하도록 내부도체(45)에 접속될 수 있고, 단면(41i)상의 단면전극이 출력단자(OUT)로 작용하도록 내부도체(47)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48)은 단면(41a) 및 (41i)상에서 연장되고 단면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추가의 부분을 지닐 수 있다. 다른 단면들은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48)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 피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5, 도 6 및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ross-sectional electrod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5 or 6 is formed in the cross section 41a of the sub-block LW3 and in the cross section 41i of the sub-block LW5, so that the cross-section (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on 41a)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45 to act as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on cross-section 41i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47 to act as the output terminal OUT. have.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or 6, the outer conductor 48 may have additional portions extending on the cross sections 41a and 41i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ross section electrodes. Other cross sections may be covered with portions extending from the outer conductor 48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5, 6 and 7 described above.

또 다른 변형에서, 내부도체(45), (46) 및 (47)은 제 1 단면(41a), (41e) 및 (41i), 또는 제 2 단면(41b),(41f) 및 (41j)에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지니게 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도체(48)은 제 1 단면(41a),(41e) 및 (41i), 및 제 2단면(41b),(41f) 및 (41j)의 전영역에 걸쳐 연장되고 관통홀(42), (43) 및 (44)내로 더 연장되는 추가의 부분을 지니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In yet another variation,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are formed on the first end faces 41a, 41e and 41i, or the second end faces 41b, 41f and 41j. It can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n unreachable length. In this case, the outer conductor 48 extends over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end faces 41a, 41e and 41i, and the second end faces 41b, 41f, and 41j, and through holes 42. ), (43) and (44) can be formed in a way having an additional portion extending further.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

상기된 구조에서, 상기된 측면 배치 관통홀(49), (50) 및 (51)은 이들 두 양단 사이의 관통홀(42), (43) 및 (44)의 내벽의 상응하는 중심부분으로부터 유전체 블록(41)의 외부표면까지 연장되는 방법으로 형성되고, 접속도체(52), (53) 및 (54)는 두 양단 사이의 내부도체(45), (46) 및 (47)의 중심부분이 접속도체(52), (53) 및 (54)을 통해 외부도체(48)에 접속되게 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측면 배치 관통홀(49), (50) 및 (51)의 내벽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양단 사이의 중심부는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중간일 필요는 없으며, 유전체 필터가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지니는 한 기하학적 중심 주위의 범위내의 위치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above-described side arrangement through holes 49, 50, and 51 are formed from the corresponding center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s 42, 43, and 44 between these two ends. It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exte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41, and the connecting conductors 52, 53, and 54 have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s 45, 46, and 47 between the two ends. It is formed on the inner wall of each of the lateral arrangement through holes 49, 50, and 51 in such a manner as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48 via the connecting conductors 52, 53, and 54. The central portion between both ends in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exactly geometrically intermediate, and may be in a range around the geometric center as long as the dielectric filter has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상기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41)에서, 서브-블록(LW3)의 제 1단면(41a)와 제 2단면(41b) 사이의 길이(LE3), 서브-블록(LW4)의 제 1단면(41e)와 제 2단면(41f) 사이의 길이(LE4), 및 서브-블록(LW5)의 제 1단면(41i)와 제 2단면(41j) 사이의 길이(LE5)는 서로 동일하고, 세 개의 서브-블록(LW3), (LW4) 및 (LW5)는 인접한 서브-블록에 대해서 한 서브-블록의 길이의 절반으로 세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들 조건이 아주 엄밀한 것은 아니며, 약간 변화시키는 것도 도 15에 도시된 주파수 특성과 유사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양태의 유전체 블록(41)에서, 서브-블록(LW3)의 제 1단면(41a)와 제 2단면(41b) 사이의 길이(LE3), 서브-블록(LW4)의 제 1단면(41e)와 제 2단면(41f) 사이의 길이(LE4), 및 서브-블록(LW5)의 제 1단면(41i)와 제 2단면(41j) 사이의 길이(LE5) 간의 동일성에 특정의 허용오차가 허용된다. 세 개의 서브-블록(LW3), (LW4) 및 (LW5)는 인접한 서브-블록에 대해 특정의 허용오차 내에서 하나의 서브-블록의 길이의 절반으로 세로방향(양단면을 향해)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electric block 41, the length LE3 between the first end face 41a and the second end face 41b of the sub-block LW3, and the first end face of the sub-block LW4 ( The length LE4 between 41e) and the second end face 41f, and the length LE5 between the first end face 41i and the second end face 41j of the sub-block LW5 are the same, The sub-blocks LW3, LW4 and LW5 move longitudinally at half the length of one sub-block with respect to the adjacent sub-block. However, these conditions are not very rigorous, and slight variations can yield frequency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 That is, in the dielectric block 41 of the present aspect, the length LE3 between the first end face 41a and the second end face 41b of the sub-block LW3 and the first end face of the sub-block LW4 ( A specific tolerance in the equality between the length LE4 between 41e) and the second end face 41f and the length LE5 between the first end face 41i and the second end face 41j of the sub-block LW5. Is allowed. Three sub-blocks (LW3), (LW4) and (LW5) can move longitudinally (toward both ends) by half of the length of one sub-block within a certain tolerance for adjacent sub-blocks. have.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며, 도 17은 그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필터는 일체로 형성되고 동일한 길이(LE6), (LE7), (LE8) 및 (LE9)를 지니며 동일한 폭(W6), (W7), (W8) 및 (W9)를 지니는 네 개의 서브-블록(LW6), (LW7), (LW8) 및 (LW9)를 포함하는 세라믹 재료로 제조된 유전체 블록(41)로 구성된다. 여기서, 네 개의 서브-블록(LW6), (LW7), (LW8) 및 (LW9)는 인접한 서브-블록에 길이(LE6), (LE7), (LE8) 및 (LE9)의 절반으로 세로 방향으로 이동한다.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7 is a plan view thereof.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ielectric filter is integrally formed and has the same length (LE6), (LE7), (LE8) and (LE9) and the same width (W6), (W7), (W8) and ( It consists of a dielectric block 41 made of a ceramic material comprising four sub-blocks LW6, LW7, LW8 and LW9 with W9). Here, four sub-blocks (LW6), (LW7), (LW8) and (LW9) a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 half of the lengths (LE6), (LE7), (LE8) and (LE9) in adjacent sub-blocks. Move.

서브-블록(LW6)은 양단면, 즉, 길이(LE6)의 양단에 위치한 제 1단면(61a) 및 제 2단면(61b)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61a) 및 (61b)에 수직인 상부면(61c) 및 하부면(61d)를 지닌다. 서브-블록(LW7)은 양단면, 즉, 길이(LE7)의 양단에 위치한 제 1단면(61e) 및 제 2단면(61f)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61e) 및 (61f)에 수직인 상부면(61e) 및 하부면(61f)를 지닌다. 서브-블록(LW8)는 양단면, 즉, 길이(LE8)의 양단에 위치한 제 1단면(61i) 및 제 2단면(61j)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61i) 및 (61j)에 수직인 상부면(61k) 및 하부면(61l)를 지닌다. 서브-블록(LW9)는 양단면, 즉, 길이(LE9)의 양단에 위치한 제 1단면(61m) 및 제 2단면(61n)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61m) 및 (61n)에 수직인 상부면(61p) 및 하부면(61q)를 지닌다. 각각의 서브-블록(LW6), (LW7), (LW8) 및 (LW9)의 제 1단면(61a), (61e), (61i) 및 (61m)은 동일한 면상에 위치하며, 제 2단면(61b), (61f), (61j) 및 (61n)도 다른 동일한 면상에 위치한다. 두 서브-블록(LW7) 및 (LW9)는 서브-블록(LW6) 및 (LW8)에 대해 길이(LE7) 또는 (LW9)의 절반으로 세로방향으로 제 1단면(61a) 및 (61i)를 향해 이동한다. 각각의 서브-블록(LW6), (LW7), (LW8) 및 (LW9)의 상부면(61c), (41g), (61k) 및 (61p)는 한 평면에 놓이고, 하부면(61d), (61h), (61l) 및 (61q)도 다른 평면상에 놓인다.The sub-block LW6 has both cross sections, i.e., a first cross section 61a and a second cross section 61b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6, and also on both sides, i.e., the cross sections 61a and 61b. It has an upper surface 61c and a lower surface 61d perpendicular to). The sub-block LW7 has both end faces, i.e., the first end face 61e and the second end face 61f,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7, and also has both sides, i.e., the end faces 61e and 61f. Has an upper surface 61e and a lower surface 61f that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sub-block LW8 has both end faces, that is, the first end face 61i and the second end face 61j,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8, and also has both sides, i.e., the end faces 61i and 61j. It has an upper surface 61k and a lower surface 61l perpendicular to). The sub-block LW9 has both end faces, that is, the first end face 61m and the second end face 61n,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9, and also has both sides, i.e., the end faces 61m and 61n. It has an upper surface 61p and a lower surface 61q perpendicular to). The first cross sections 61a, 61e, 61i and 61m of each of the sub-blocks LW6, LW7, LW8 and LW9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and the second cross sections ( 61b), (61f), (61j) and (61n) are also located on other same planes. The two sub-blocks LW7 and LW9 are directed toward the first cross-sections 61a and 61i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half the length LE7 or LW9 relative to the sub-blocks LW6 and LW8. Move. The upper surfaces 61c, 41g, 61k and 61p of each of the sub-blocks LW6, LW7, LW8 and LW9 lie in one plane, and the lower surface 61d , 61h, 61l and 61q also lie on another plane.

유전체 블록(61)은 관통홀(62), (63), (64) 및 (65)를 지니며, 관통홀(62)는 서브-블록(LW6)의 제 1 및 제 2 단면(61a)와 (61b) 사이에 형성되고, 관통홀(63)은 서브-블록(LW7)의 제 1 및 제 2단면(61e)와 (61f)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홀(64)는 서브-블록(LW8)의 제 1 및 제 2단면(61i)와 (61j) 사이에 형성되고, 관통홀(65)는 서브-블록(LW9)의 제 1 및 제 2단면(61m)과 (61n) 사이에 형성된다. 내부도체(66), (67), (68) 및 (69)은 각각의 관통홀(62), (63), (64) 및 (65)의 내벽에 형성된다. 외부도체(70)은 단면(61a), (61b), (61e), (61f), (61i), (61j), (61m) 및 (61n)를 제외한 유전체 블록(61)의 전체 외부 표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내부도체(66), (67), (68) 및 (69)은 이들의 양단에서 외부도체(70)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내부도체(66), (67), (68) 및 (69)는 전기적으로 개방-회로가 된다. 내부도체(66), (67), (68) 및 (69), 및 외부도체(70)은, 예를들어, 관통홀(62), (63), (64) 및 (65)의 내벽을 포함한 유전체 블록(61)의 전체 표면에 Cu와 같은 전극재료를 비전기적인 도금 등의 수단으로 형성시키고, 이어서, 단면(61a), (61b), (61e), (61f), (61i), (61j), (61m) 및 (61n)로부터 전극재료를 치핑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유전체 블록(61)은 양단 사이의 각각의 관통홀(62), (63), (64) 및 (65)의 내벽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 블록(61)의 외부표면의 일부인 상부표면(61c), (61g), (61k) 및 (61p)까지 각각 연장되는 측면 배치 관통홀(71), (72), (73) 및 (74)을 지닌다. 접속도체(75), (76), (77) 및 (78)은 각각의 측면 배치 관통홀(71), (72), (73) 및 (74)의 내벽에 형성되어, 상응하는 양단 사이의 각각의 내부도체(66), (67), (68) 및 (69)의 중심부가 접속도체(75), (76), (77) 및 (78)를 통해 외부도체(70)에 접속되게 한다. 이러한 접속도체(75), (76), (77) 및 (78)은 측면 배치 관통홀(71), (72), (73) 및 (74)를 도금처리하여 내부도체(66), (67), (68) 및 (69), 및 외부도체(70)을 형성시킴으로써 내부도체(66), (67), (68) 및 (69), 외부도체(7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block 61 has through holes 62, 63, 64 and 65, and the through holes 62 are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nd faces 61a of the sub-block LW6. The through-hole 6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surfaces 61e and 61f of the sub-block LW7, and the through-hole 64 is the sub-block LW8.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faces 61i and 61j, and the through hole 6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faces 61m and 61n of the sub-block LW9. . The inner conductors 66, 67, 68 and 69 are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s 62, 63, 64 and 65, respectively. The outer conductor 70 is form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61 except for the end faces 61a, 61b, 61e, 61f, 61i, 61j, 61m, and 61n. Is formed. In this structure, the inner conductors 66, 67, 68 and 69 are not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70 at both ends thereof, so that the inner conductors 66, 67, 68 and 69 is electrically open-circuit. The inner conductors 66, 67, 68 and 69, and the outer conductor 70, for example, form inner walls of the through-holes 62, 63, 64 and 65, for example. An electrode material such as Cu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61, which is included, by means of non-electrical plating or the like, and then end faces 61a, 61b, 61e, 61f, 61i, It can form by chipping an electrode material from 61j, 61m, and 61n. The dielectric block 61 is an upper surface 61c, which i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61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wall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62, 63, 64, and 65 between both ends thereof. 61g), 61k, and 61p, respectively, and have lateral arrangement through holes 71, 72, 73, and 74, respectively. The connecting conductors 75, 76, 77, and 78 are formed in the inner walls of the respective side-position through holes 71, 72, 73, and 74, so as to be provided between the corresponding both ends.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conductors 66, 67, 68 and 69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70 via the connecting conductors 75, 76, 77 and 78. . These connection conductors 75, 76, 77, and 78 are plated on the side through holes 71, 72, 73, and 74 to form inner conductors 66, 67. ), (68) and (69), and the outer conductor 70 can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inner conductor (66), (67), (68) and (69), the outer conductor (70).

상기된 구조를 지닌 유전체 필터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61)의 서브-블록(LW6)의 제 1 단면(61a)의 측면상의 내부도체(66)의 말단은 입력단자(IN)으로 사용되고, 유전체 블록(61)의 서브-블록(LW9)의 제 2단면(61n)의 측면상의 내부도체(69)의 말단은 출력단자(OUT)로 사용된다. 외부도체(70)은 접지선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는 도 18에 도시된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s shown in FIG. 17, the end of the inner conductor 66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surface 61a of the sub-block LW6 of the dielectric block 61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 IN), and the end of the inner conductor 69 on the side of the second end face 61n of the sub-block LW9 of the dielectric block 61 is used as the output terminal OUT. The outer conductor 70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Therefor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can be represented by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이러한 등가회로에서, R13 및 R14는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내부도체(66)으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며, R15 및 R16은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내부도체(67)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고, R17 및 R18은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내부도체(68)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며, R19 및 R20은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내부도체(69)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다. L7는 접속도체(75)와 연관된 유도자이며, L8는 접속도체(76)과 연관된 유도자이고, L9는 접속도체(77)과 연관된 유도자이며, L10은 접속도체(78)과 연관된 유도자이다.In this equivalent circuit, R13 and R14 are two resonators formed of inner conductor 66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and R15 and R16 are inner conductors 67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Two resonators formed, R17 and R18 are two resonators formed from an inner conductor 68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and R19 and R20 are inner conductors divided into two parts from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69 Are two resonators formed of L7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conductor 75, L8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conductor 76, L9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conductor 77, and L10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conductor 78.

K1315는 제 1단면(61a)로부터 접속도체(75)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유전체블록(61)의 서브-블록(LW6)의 일부와 제 2단면(61f)로부터 접속도체(76)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서브-블록(LW7)의 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상기이다. K1517은 제 2단면(61f)로부터 접속도체(76)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서브-블록(LW7)의 일부와 제 1단면(61i)로부터 접속도체(77)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서브-블록(LW8)의 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상기이다. K1719은 제 1단면(61i)로부터 접속도체(77)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서브-블록(LW8)의 일부와 제 2단면(61n)로부터 접속도체(78)까지 연장되는 영역에서의 서브-블록(LW9)의 일부 사이에 형성되는 이상기이다.K1315 extends from the second end surface 61f to the connection conductor 76 and a part of the sub-block LW6 of the dielectric block 61 in the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surface 61a to the connection conductor 75. It is an ideal phase formed between a part of the sub-blocks LW7 in the region. K1517 is a part of the sub-block LW7 in the reg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face 61f to the connecting conductor 76 and the sub-block in the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face 61i to the connecting conductor 77. It is an ideal group formed between a part of (LW8). K1719 is a part of the sub-block LW8 in the region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face 61i to the connecting conductor 77 and the sub-block in the reg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face 61n to the connecting conductor 78. It is an ideal group formed between a part of (LW9).

상기된 바와 같이, 유전체 필터는 양단면, 즉, 제 1단면(61a) 및 제 2단면(61b)를 지닌 서브-블록(LW6), 양단면 즉 제 1단면(61e) 및 제 2단면(61f)를 지닌 서브-블록(LW7), 양단면 즉 제 1단면(61i) 및 제 2단면(61j)를 지닌 서브-블록(LW8), 및 양단면 즉 제 1단면(61m) 및 제 2단면(61n)를 지닌 서브-블록(LW9)로 구성된 유전체 블록(61); 관통홀(62)가 유전체 블록(61)의 서브-블록(LW6)의 제 1단면(61a) 및 제 2단면(61b) 사이에 형성되고, 관통홀(63)이 서브-블록(LW7)의 제 1단면(61e) 및 제 2단면(61f)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홀(64)가 서브-블록(LW8)의 제 1단면(61i) 및 제 2단면(61j) 사이에 형성되고, 관통홀(65)가 서브-블록(LW9)의 제 1단면(61m) 및 제 2단면(61n) 사이에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네 개의 관통홀(62), (63), (64) 및 (65); 각각의 관통홀(62), (63), (64) 및 (65)의 내벽상에 형성되며 양단이 전기적으로 개방-회선된 네 개의 내부도체(66), (67), (68) 및 (69); 유전체 블록(61)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외부도체(70); 및 각각의 내부도체(66), (67), (68) 및 (69)의 중심부가 출력도체(70)에 접속되게 하는 네 개의 접속도체(75), (76), (77) 및 (78)을 포함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필터단이 상기된 구조(제 1필터단은 공진자(R13) 및 (R14), 및 유도자(L7)로 구성되고, 제 2필터단은 공진자(R15) 및 (R16), 및 유도자(L8)로 구성되며, 제 3필터단은 공진자(R17) 및 (R18) 및 유도자(L9)로 구성되고, 제 4필터단은 공진자(R19) 및 (R20), 및 유도자(L10)으로 구성된다)를 지닌 유전체 필터에 형성된다. 이들 네 개의 필터단은 각각의 이상기(K1315), (K1517) 및 (K1719)를 통해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접속된다. 공진자(R13)를 포함하는 필터단은 입력단자(IN)에 접속되고, 공진자(R19)을 포함하는 필터단은 출력단자(OUT)에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에서, 입력단자(IN)에 주어진 시그날은 각각의 이상기(K1315), (K1517) 및 (K1719)를 통해 상이 약 90°만큼 변화되며, 결과적으로, 상-이동 시그날은 출력단자(OUT)에서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filter has a sub-block LW6 having both cross sections, that is, the first cross section 61a and the second cross section 61b, both cross sections, namely the first cross section 61e and the second cross section 61f. ) Sub-block LW7 with both ends, i.e. sub-block LW8 with first end face 61i and second end 61j, and both end faces with first end face 61m and second end face ( A dielectric block 61 consisting of a sub-block LW9 with 61n); The through hole 6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61a and the second end surface 61b of the sub-block LW6 of the dielectric block 61, and the through hole 63 is formed of the sub-block LW7. It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61e and the second end face 61f, and the through hole 6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61i and the second end face 61j of the sub-block LW8 and passes through. The holes 65 are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61m and the second end face 61n of the sub-block LW9, so that the four through holes 62, 63, 64 and 65 are formed. ); Four inner conductors 66, 67, 68 and (4)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62, 63, 64 and 65, and both ends of which are electrically open-circulated. 69); An outer conductor 7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61; And four connecting conductors 75, 76, 77, and 78 which allow the central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conductors 66, 67, 68 and 69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conductor 70; ). As shown in Fig. 18, four filter stages are described above (the first filter stage is composed of resonators R13 and R14, and inductor L7, and the second filter stage is resonator R15). ) And (R16), and inductor (L8), the third filter stage is composed of resonators (R17) and (R18) and inductor (L9), the fourth filter stage is the resonator (R19) and ( R20), and an inductor L10). These four filter stages are connected from one step to the next through the respective phases K1315, K1517 and K1719. The filter terminal including the resonator R13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filter terminal including the resonator R19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Thus, 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signal given to the input terminal IN is changed by about 90 ° through the respective phases K1315, K1517, and K1719, and consequently, phase-shifting. The signal is displayed at the output terminal (OUT).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랩 주파수(ft)로 분리된 두 대역을 지니며, 제거는 대역의 에지에서 발생된다. 트랩 주파수(ft) 및 트랩주파수(ft)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대역의 주파수 특성은 유전체 블록(61)의 상대 유전율, 내부도체(66), (67), (68) 및 (69)의 길이, 및 접속도체(75), (76), (77) 및 (78)와 연관된 인덕턴스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측정된다.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가 네 개의 필터단을 지니기 때문에, 트랩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트랩 밴드내에서 보다 크게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전체 필터는 트랩 주파수(ft)의 양측에서 두 대역을 지닌 고성능 밴드-제거 필터로 작용한다. 달리 설명하자면, 유전체 필터는 대역필터와 밴드-제거필터로 작용한다.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two bands separated by a trap frequency (ft) as shown in FIG. 19, and the removal occurs at the edge of the b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two band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and the trap frequency (ft) are the relativ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block 61, the length of the inner conductors 66, 67, 68, and 69. , And the inductances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conductors 75, 76, 77, and 78 are measured by appropriate selection. Sinc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has four filter stage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trap band and to attenuate it larger in the trap band. Thus, this dielectric filter acts as a high performance band-rejection filter with two bands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In other words, the dielectric filter acts as a band pass filter and a band-reject filter.

본원에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전극이 서브-블록(LW6)의 제 1단면(61a)과 서브-블록(LW9)의 제 2단면(61n)상에 형성되어, 제 1단면(61a)상의 단면전극이 입력단자(IN)로 작용하도록 내부도체(66)에 접속될 수 있고, 제 2단면(61n)상의 단면전극이 출력단자(OUT)로 작용하도록 내부도체(69)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70)은 제 1단면(61a)와 제 2단면(61n)상에서 연장되고 단면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추가의 부분을 지닐 수 있다. 다른 단면들은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은 외부도체(70)로부터 연장된 도체로 피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5, 도 6 및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ross-sectional electrod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5 or 6 is formed on the first end face 61a of the sub-block LW6 and the second end face 61n of the sub-block LW9. And a cross-sectional electrode on the first end surface 61a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66 to act as an input terminal IN, and a cross-sectional electrode on the second end surface 61n to act as an output terminal OUT. It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69.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or 6, the outer conductor 70 extends on the first end face 61a and the second end face 61n and has an additional part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end face electrode. I can have it. Other cross sections may be covered with a conductor extending from the outer conductor 7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5, 6 and 7 described above.

또 다른 변형에서, 내부도체(66), (67) 및 (69)는 제 1단면(61a), (61e), (61i) 및 (61m), 또는 제 2단면(61b),(61f),(61j) 및 (61n)에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지니게 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도체(70)은 제 1 단면(61a),(61e),(61i) 및 (61m), 및 제 2단면(61b),(61f),(61j) 및 (61n)의 전영역에 걸쳐 연장되고 관통홀(62), (63), (64) 및 (65)내로 더 연장되는 추가의 부분을 지니도록 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In another variation, the inner conductors 66, 67, and 69 have a first end face 61a, 61e, 61i and 61m, or a second end face 61b, 61f, It can be formed in such a way as to have a length that does not reach (61j) and (61n). In this case, the outer conductor 70 has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end faces 61a, 61e, 61i and 61m, and the second end faces 61b, 61f, 61j and 61n. It can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n additional portion extending over and further extending into the through holes 62, 63, 64 and 65.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

상기된 구조에서, 측면 배치관통홀(71), (72), (73) 및 (74)는 상기된 바와 같이 양단 사이의 관통홀(62), (63), (64) 및 (65)의 내벽의 상응하는 중심부분으로부터 유전체 블록(61)의 외부표면까지 연장되는 방법으로 형성되고, 접속도체(75), (76), (77) 및 (78)은 양단 사이의 내부도체(66), (67), (68) 및 (69)의 중심부분이 접속도체(75), (76), (77) 및 (78)을 통해 외부도체(70)에 접속되게 하는 방법으로 각각의 측면 배치관통홀(71), (72), (73) 및 (74)의 내벽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양단 사이의 중심부는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중간일 필요는 없으며, 유전체 필터가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지니는 한 기하학적 중심 주위의 범위내의 위치일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de through holes 71, 72, 73 and 74 are formed of the through holes 62, 63, 64 and 65 between the two ends as described above. Formed in such a way as to extend from the corresponding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wall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61, wherein the connecting conductors 75, 76, 77 and 78 are formed of an inner conductor 66 between both ends; Each side arrangement through the center portion of (67), (68) and (69)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70) via the connecting conductors (75), (76), (77) and (78). It is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 holes 71, 72, 73 and 74. The central portion between both ends in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exactly geometrically intermediate, and may be in a range around the geometric center as long as the dielectric filter has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상기된 바와 같이, 유전체 블록(61)에서, 서브-블록(LW6)의 제 1단면(61a)와 제 2단면(61b) 사이의 길이(LE6), 서브-블록(LW7)의 제 1단면(61e)와 제 2단면(61f) 사이의 길이(LE7), 서브-블록(LW8)의 제 1단면(61i)와 제 2단면(61j) 사이의 길이(LE8), 및 서브-블록(LW9)의 제 1단면(61m)과 제 2단면(61n) 사이의 길이(LE9)는 서로 동일하고, 이들 네 개의 서브-블록(LW6), (LW7), (LW8) 및 (LW9)는 서로로부터 한 서브-블록의 길이의 절반만큼 세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들 조건이 아주 엄밀한 것은 아니며, 약간 변화시키는 것도 도 19에 도시된 주파수 특성과 유사한 주파수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즉, 본 양태의 유전체 블록(61)에서, 서브-블록(LW6)의 제 1단면(61a)와 제 2단면(61b) 사이의 길이(LE6), 서브-블록(LW7)의 제 1단면(61e)와 제 2단면(61f) 사이의 길이(LE7), 서브-블록(LW8)의 제 1단면(61i)와 제 2단면(61j) 사이의 길이(LE8), 및 서브-블록(LW9)의 제 1단면(61m)와 제 2단면(61n) 사이의 길이(LE9) 간의 동일성에 특정의 허용오차가 허용된다. 네 개의 서브-블록(LW6), (LW7), (LW8) 및 (LW9)는 인접한 서브-블록에 대해 특정의 허용오차 내에서 하나의 서브-블록의 길이의 절반만큼 세로방향(양단면을 향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유사하게, 서브-블록(LW6), (LW7), (LW8) 및 (LW9)의 폭(W6), (W7), (W8) 및 (W9)이 특정의 허용오차내에서 동일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electric block 61, the length LE6 between the first end face 61a and the second end face 61b of the sub-block LW6, and the first end face of the sub-block LW7 ( Length LE7 between 61e) and the second end face 61f, the length LE8 between the first end face 61i and the second end face 61j of the sub-block LW8, and the sub-block LW9. The lengths LE9 between the first end face 61m and the second end face 61n of are equal to each other, and these four sub-blocks LW6, LW7, LW8 and LW9 Move longitudinally by half the length of the sub-block. However, these conditions are not very rigorous, and slight variations can yield frequency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 That is, in the dielectric block 61 of the present aspect, the length LE6 between the first end face 61a and the second end face 61b of the sub-block LW6 and the first end face of the sub-block LW7 ( Length LE7 between 61e) and the second end face 61f, the length LE8 between the first end face 61i and the second end face 61j of the sub-block LW8, and the sub-block LW9. A specific tolerance is allowed for the sameness between the length LE9 between the first end face 61m and the second end face 61n. Four sub-blocks (LW6), (LW7), (LW8) and (LW9) are longitudinally (both cross-sectional) by half of the length of one sub-block within a certain tolerance for adjacent sub-blocks. Can be moved to). Similarly, the widths W6, W7, W8, and W9 of the sub-blocks LW6, LW7, LW8, and LW9 must be the same within certain tolerances.

도 20은 본 발명의 제 5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그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서 선 B-B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필터는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 동일한 길이(LE10) 및 (LE11), 및 동일한 폭(W10) 및 (W11)을 지니는 제 1서브-블록(LW10) 및 제 2서브-블록(LW11)을 포함하는 세라믹 재료의 사각의 유전체 블록(81)로 구성된다. 길이(LE10)의 절반과 동일한 길이의 슬릿(82)는 한 단면으로부터 유전체 블록(81)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방법으로 서브-블록(LW10) 및 (LW11)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82)는 결합방지수단으로 작용하여 서브-블록(LW10) 및 (LW11) 사이의 전자결합을 방지한다.20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plan view thereof. FIG. 22 is a cross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0.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ielectric filter is integrally formed and has a first sub-block LW10 and a second having the same length LE10 and LE11, and the same width W10 and W11,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square dielectric block 81 of ceramic material comprising a sub-block LW11. A slit 82 of the same length as half of the length LE10 is formed between the sub-blocks LW10 and LW11 in a manner extending from one cross section toward the center of the dielectric block 81. This slit 82 acts as a coupling preventing means to prevent electro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sub-blocks LW10 and LW11.

제 1서브-블록(LW10)은 양단면, 즉, 길이(LE10)의 양단에 위치한 제 1단면(81a) 및 제 2단면(81b)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81a) 및 (81b)에 수직인 상부면(81c) 및 하부면(81d)를 지닌다. 제 2서브-블록(LW11)은 양단면, 즉, 길이(LE11)의 양단에 위치한 제 1단면(81e) 및 제 2단면(81f)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81e) 및 (81f)에 수직인 상부면(81g) 및 하부면(81h)를 지닌다. 각각의 서브-블록(LW10) 및 (LW11)의 제 1단면(81a) 및 (81e)는 동일한 쪽에 위치하여 한 평면상에 놓이고, 제 2단면(81b) 및 (81f)도 반대쪽의 동일한 쪽에 위치하여 다른 평면에 놓인다. 슬릿(82)는 제 2단면(81b) 및 (81f)로부터 제 1 및 제 2단면 사이의 중심부로 연장되는 방법으로 이들 두 서브-블록(LW10) 및 (LW11)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서브-블록(LW10) 및 (LW11)의 상부면(81c) 및 (81g)는 한 평면에 놓이고, 하부면(81d) 및 (81h)도 다른 편면에 놓인다. 제 1서브-블록(LW10)은 측변(81i)을 지니며, 제 2 서브-블록(LW11)은 측면(81i)에 대향하는 측면(81j)를 지닌다.The first sub-block LW10 has both end surfaces, that is, the first end surface 81a and the second end surface 81b,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10, and also has both sides, that is, the end surface 81a, and It has an upper surface 81c and a lower surface 81d perpendicular to the 81b. The second sub-block LW11 has both end surfaces, that is, the first end surface 81e and the second end surface 81f,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11, and also has both side surfaces, that is, the end surface 81e and It has an upper surface 81g and a lower surface 81h perpendicular to 81f. The first end surfaces 81a and 81e of each of the sub-blocks LW10 and LW11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and on one plane, and the second end surfaces 81b and 81f are also on the same side opposite to each other. Located on a different plane. The slit 82 is formed between these two sub-blocks LW10 and LW11 in a manner extending from the second end surfaces 81b and 81f to the cent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faces. The upper surfaces 81c and 81g of each of the sub-blocks LW10 and LW11 lie in one plane, and the lower surfaces 81d and 81h also lie in the other one side. The first sub-block LW10 has a side 81i, and the second sub-block LW11 has a side 81j opposite the side 81i.

유전체 블록(81)은 관통홀(83) 및 (84)를 지니며, 관통홀(83)은 제 1서브-블록(LW10)의 제 1단면(81a) 및 제 2 단면(81b) 사이에 형성되고, 관통홀(84)는 서브-블록(LW11)의 제 1단면(81e) 및 제 2단면(81f) 사이에 형성된다. 관통홀(83)과 (84)의 내벽은 각각 내부도체(85) 및 (86)으로 피복된다. 외부도체(87)은 제 1서브-블록(LW10)의 단면(81a) 및 (81b)와 이하 상세히 기재되는 제 2서브-블록(LW11)의 단자전극을 제외한 유전체 블록(81)의 전체 외부 표면에 형성된다. 제 1서브-블록(LW10)의 내부도체(85)의 양단은 외부도체(87)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내부도체(85)는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개방-회로가 된다. 한편, 제 2서브-블록(LW11)의 내부도체(86)의 양단은 외부도체(87)에 접속되므로, 내부도체(86)은 이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제 2서브-블록(LW11)의 내부도체(86)은 두 개의 외부 양단 사이의 중심부에서 갭을 지니며, 개방-회선된 내부단자(88)이 갭에 형성되고, 커패시터가 갭을 통해 서로 대면하는 두 내부단자(88)에 의해 형성된다.The dielectric block 81 has through holes 83 and 84, and the through hole 83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81a and the second end surface 81b of the first sub-block LW10. The through hole 84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81e and the second end surface 81f of the sub-block LW11. The inner walls of the through holes 83 and 84 are covered with inner conductors 85 and 86, respectively. The outer conductor 87 is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81 except for the end surfaces 81a and 81b of the first sub-block LW10 and the terminal electrodes of the second sub-block LW11 described in detail below. Is formed. Since both ends of the inner conductor 85 of the first sub-block LW10 are not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87, the inner conductor 85 is electrically open-circuit at both ends. On the other hand, since both ends of the inner conductor 86 of the second sub-block LW11 are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87, the inner conductor 86 is electrically shorted at both ends thereof. The inner conductor 86 of the second sub-block LW11 has a gap in the center between the two outer ends, and an open-circulated inner terminal 88 is formed in the gap, and the capacitors face each other through the gap. Is formed by two internal terminals 88.

내부도체(85) 및 (86), 및 외부도체(87)은, 예를들어, 슬릿(82)와 관통홀(83) 및 (84)의 내벽을 포함한 유전체 블록(81)의 전체 표면에 Cu와 같은 전극재료를 비전기적인 도금 등의 수단으로 형성시키고, 이어서, 제 1서브-블록(LW10)의 단면(81a) 및 (81b)로부터 전극재료를 치핑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제 2서브-블록(LW11)의 내부도체(86)의 개방-회선된 내부단자(88)에서의 갭영역은 도금처리 전에 보호물질로 피복되어, 도금처리 동안 전극재료가 갭영역에 침적되지 않게 한다. 또한, 개방-회선된 내부단자(88)에서의 갭은 관통홀(84)의 내벽 전체에 전극재료를 침적시킨후에 전극재료를 부분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형성될 수있다.The inner conductors 85 and 86 and the outer conductor 87 ar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81 including, for example, the slit 82 and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s 83 and 84. The electrode material can be formed by means of non-electrical plating or the like, and then formed by chipping the electrode material from the end surfaces 81a and 81b of the first sub-block LW10. The gap region in the open-circulated inner terminal 88 of the inner conductor 86 of the second sub-block LW11 is covered with a protective material before the plating treatment, so that the electrode material does not deposit in the gap region during the plating treatment. do. In addition, a gap in the open-circuited inner terminal 88 may be formed by partially removing the electrode material after depositing the electrode material over the entir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84.

유전체 블록(81)은 제 1서브-블록(LW11)의 관통홀(83)의 내벽의 양단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블록(81)의 외부표면의 일부인 제 1서브-블록(LW11)의 상부면(81c)까지 연장되는 측면 배치관통홀(89)를 지닌다. 측면 배치관통홀(89)의 내벽은 내부도체(85)의 양단 사이의 중심부가 외부도체(87)에 접속되게 접속도체(90)으로 피복된다. 접속도체(90)은 측면 배치관통홀(89)를 도금처리하여 내부도체(85) 및 (86), 및 외부도체(87)를 형성시킴으로써 내부도체(85) 및 (86)과 동시에 형성된다.The dielectric block 8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block LW11, which i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81 from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hole 83 of the first sub-block LW11. It has a side arrangement through hole 89 extending to 81c). The inner wall of the sidewall through hole 89 is covered with a connecting conductor 90 such that a central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inner conductor 85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87. The connecting conductor 90 is 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inner conductors 85 and 86 by plating the side through holes 89 to form the inner conductors 85 and 86 and the outer conductor 87.

유전체 블록(81)은 중간위치에서 제 1단면(81e)로 약간 이동된 위치에서의 제 2서브-블록(LW11)의 관통홀(84)의 내벽의 일부로부터 유전체블록(81)의 외부표면의 일부인 제 2서브-블록(LW11)의 측면(81j)까지 연장되는 측면 배치관통홀(92)를 지닌다. 단자전극(93)은 측면 배치관통홀(92)의 주위의 영역에서 측면(81j)상에 형성된다. 갭(94)는 단자전극(93)의 주위에 형성되어, 단자전극(93)이 외부도체(87)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한다. 측면 배치관통홀(92)의 내벽은 접속도체(95)로 피복되어, 단자전극(93)이 개방-회선된 내부단자(88)로부터 제 1단면(81e)로 약간 이동된 위치에서 접속도체(95)를 통해 내부도체(86)의 일부에 접속되게 한다. 단자전극(93)은, 예를들어, 외부도체(87)을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갭(94)를 형성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접속도체(93)은, 예를들어, 측면 배치관통홀(92)의 내벽을 도금처리하여 내부도체(85) 및 (86), 및 외부도체(87)을 형성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block 81 is formed from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84 of the second sub-block LW11 at a position slightly moved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to the first end surface 81e. It has a side through hole 92 extending to the side surface 81j of the second sub-block LW11 which is a part. The terminal electrode 93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81j in the region around the side surface arrangement hole 92. A gap 94 is formed around the terminal electrode 93 to cause the terminal electrode 93 to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outer conductor 87. The inner wall of the sidewall through-hole 92 is covered with a connecting conductor 95 so that the connecting conductor (at the position where the terminal electrode 93 is slightly moved from the open-circuit inner terminal 88 to the first end surface 81e). 95) to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86. The terminal electrode 93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partially removing the outer conductor 87 to form a gap 94. The connecting conductor 93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plating the inner wall of the side through hole 92 to form the inner conductors 85 and 86 and the outer conductor 87.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에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블록(LW10)의 제 1단면(81a)의 측면상의 내부도체(85)의 말단은 입력단자(IN)으로 사용되고, 제 2서브-블록(LW11)상에 형성된 단자전극(93)은 출력단자(OUT)로 사용된다. 외부도체(87)은 접지선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는 도 23에 도시된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21, the end of the inner conductor 85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surface 81a of the first sub-block LW10 is used as the input terminal IN. The terminal electrode 93 formed on the second sub-block LW11 is used as the output terminal OUT. The outer conductor 87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Therefor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can be represented by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이러한 등가회로에서, R21 및 R22는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내부도체(85)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다. R23은 제 2서브-블록(LW11)의 내부도체(86)의 일부로 형성되며 제 2단면(81f)로부터 개방-회선된 내부갭(88)까지 연장되는 공진자이다. R24는 내부도체(86)의 다른 일부로 형성되며 제 1단면(81e)로부터 접속도체(95)에 접속된 내부단자까지 연장되는 공진자이다. L11은 접속도체(90)과 연관된 유도자이다. C1은 내부도체(86)의 개방-회선된 내부단자(88)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터이다. K2124는 제 1단면(81a)로부터 접속도체(90)까지 연장되는 유전체 블록(81)의 제 1서브-블록(LW10)의 일부와 제 1단면(81e)로부터 접속도체(95)까지 연장되는 유전체 블록(81)의 제 2서브-블록(LW11)의 일부 사이에 형성된 이상기이다.In this equivalent circuit, R21 and R22 are two resonators formed of inner conductor 85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R23 is a resonator which is formed as part of the inner conductor 86 of the second sub-block LW11 and extends from the second end surface 81f to the open-lined inner gap 88. R24 is a resonator formed from another part of the inner conductor 86 and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surface 81e to the inner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necting conductor 95. L11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ng conductor 90. C1 is a capacitor formed between the open-circuit inner terminal 88 of the inner conductor 86. K2124 is a part of the first sub-block LW10 of the dielectric block 81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surface 81a to the connecting conductor 90 and the dielectric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surface 81e to the connecting conductor 95. An ideal phase formed between a part of the second sub-blocks LW11 of the block 81.

상기된 바와 같이,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는 양단면, 즉, 제 1단면(81a) 및 제 2단면(81b)를 지닌 제 1서브-블록(LW10), 및 양단면 즉 제 1단면(81e) 및 제 2단면(81f)를 지닌 서브-블록(LW11)로 구성된 유전체 블록(81); 유전체 블록(81)의 제 1서브-블록(LW10)의 제 1단면(81a)와 제 2단면(81b)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83); 관통홀(83)의 내벽에 형성되며 양단이 전기적으로 개방-회선된 내부도체(85); 유전체 블록(81)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외부도체(87); 내부도체(85)를 외부도체(87)에 접속하는 접속도체(90); 유전체 블록(81)의 제 1단면(81e)와 제 2단면(81f)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84); 및 관통홀(84)의 내벽상에 형성되며, 외부의 양단이 전기적으로 단락되며, 개방-회선된 내부 단자(88)이 중심에 형성되는 내부도체(86)을 포함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필터단이 상기된 구조(제 1필터단은 공진자(R21) 및 (R22), 및 유도자(L11)로 구성되고, 제 2필터단은 공진자(R23) 및 (R24), 및 커패시터(C1)으로 구성된다)를 지닌 유전체 필터에 형성된다. 제 1필터단은 입력단자(IN)에 접속되고, 제 2필터단은 출력단자(OUT)에 접속된다. 두 필터단은 이상기(K2124)를 통해 서로 접속된다.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에서, 입력단자(IN)에 주어진 시그날은 이상기(K2124)를 통해 상이 약 90°만큼 변화되며, 상-이동된 시그날이 출력단자(OUT)에서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fil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first sub-block LW10 having both end surfaces, that is, the first end surface 81a and the second end surface 81b, and both end surfaces, that is, the first end surface 81e. And a dielectric block 81 composed of a sub-block LW11 having a second cross section 81f. A through hole 83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81a and the second end surface 81b of the first sub-block LW10 of the dielectric block 81; An inner conductor 85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83 and electrically open-circulated at both ends thereof; An outer conductor 87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81; A connecting conductor 90 connecting the inner conductor 85 to the outer conductor 87; A through hole 84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81e and the second end surface 81f of the dielectric block 81; And an inner conductor 86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84, the both ends of which are electrically shorted, and the open-circuit inner terminal 88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s shown in Fig. 23, the structure in which two filter stages are described above (the first filter stage is composed of the resonators R21 and R22, and the inductor L11, and the second filter stage is the resonator R23). ) And (R24) and capacitor C1). The first filter stage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second filter stage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The two filter stag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 ideal phase K2124. 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gnal given to the input terminal IN is changed by about 90 ° through the phase shifter K2124, and the phase-shifted signal appears at the output terminal OUT.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랩 주파수(ft)로 분리된 두 대역을 지니며, 제거는 대역의 에지에서 발생된다. 트랩 주파수(ft) 및 트랩주파수(ft)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대역의 주파수-감쇄 특성은 유전체 블록(81)의 상대 유전율, 내부도체(85) 및 (86)의 길이, 및 접속도체(90)과 연관된 인덕턴스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측정된다.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가 두 개의 필터단을 지니기 때문에, 트랩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트랩 밴드내에서 보다 크게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전체 필터는 트랩 주파수(ft)의 양측에서 두 대역을 지닌 고성능 밴드-제거 필터로 작용한다. 달리 설명하자면, 유전체 필터는 대역필터와 밴드-제거필터로 작용한다.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has two bands separated by a trap frequency (ft) as shown in FIG. 24, and the removal occurs at the edge of the band. The frequency-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band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and the trap frequency (ft) include the relativ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block (81), the length of the inner conductors (85) and (86), and the connecting conductor (90). Measured by appropriate selection of the inductance associated with Sinc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has two filter stage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trap band and to attenuate it more largely in the trap band. Thus, this dielectric filter acts as a high performance band-rejection filter with two bands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In other words, the dielectric filter acts as a band pass filter and a band-reject filter.

본원에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전극이 서브-블록(LW10)의 제 1단면(81a)상에 형성되어, 제 1단면(81a)상의 단면전극이 입력단자(IN)로 작용하도록 내부도체(85)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87)은 제 1단면(81a)상에서 연장되고 단면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추가의 부분을 지닐 수 있다. 제 2 단면은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은 외부도체(87)로부터 연장된 도체로 피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5, 도 6 및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cross-sectional electrod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5 or 6 is formed on the first end surface 81a of the sub-block LW10 so that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on the first end surface 81a is input. It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85 to act as a terminal IN.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or FIG. 6, the outer conductor 87 may have additional portions extending on the first end surface 81a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ross-sectional electrodes. The second cross section may be covered with a conductor extending from the outer conductor 87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S. 5, 6 and 7 described above.

또 다른 변형에서,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내부도체(85)는 제 1단면(81a) 또는 제 2 단면(81b)에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지니게 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도체(87)은 제 1 단면(81a) 및 제 2단면(81b)의 전영역에 걸쳐 연장되고 관통홀(83)내로 더 연장되는 추가의 부분을 지니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In another variation,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inner conductor 85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 length that does not reach the first end face 81a or the second end face 81b. In this case, the outer conductor 87 can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has an additional portion extending over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end face 81a and the second end face 81b and further extending into the through hole 83. .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

또 다른 변형에서, 도 25의 부분 평면도, 및 도 25에서 선C-C를 따라 취한 도 26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서브-블록(LW11)의 관통홀(84)는 분리벽(97)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폐쇄된-단자홀(84a) 및 (84b)로 분할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폐쇄된-단자홀(84a) 및 (84b)의 전체 내부표면은 각각 내부도체(86a) 및 (86b)로 피복되고, 분리벽(97)에서 폐쇄된 단자는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회선된 내부단자(88)로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커패시터가 분리벽(97)에 의해 분리된 내부도체(86a) 및 (86b)의 두 내부단자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개방-회선된 단자가 도 20 내지 22에 도시된 구조보다 용이하게 형성되게 한다. 슬릿(82)는 금속판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In another variant, as shown in the partial plan view of FIG. 25 and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26 taken along line CC in FIG. 25, the through-hole 84 of the second sub-block LW11 is divided by the separation wall 97. It can be divided into two closed-terminal holes 84a and 84b separated by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two closed-terminal holes 84a and 84b, respectively, the inner conductors 86a and The terminal covered with 86b and closed at the dividing wall 97 acts as an open-circuit inner terminal 88 as shown in FIGS. 21 and 22. In this case, a capacitor is formed of two inner terminal portions of inner conductors 86a and 86b separated by the separating wall 97. This structure allows the open-lined terminals to be formed more easily than the structure shown in Figs. The slit 82 may be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plate.

상기된 구조에서, 측면 배치관통홀(89)는 상기된 바와 같이 관통홀(83) 내벽의 외부말단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 블록(81)의 외부면의 일부인 제 1서브-블록(LW10)의 상부면(81c)까지 연장되는 방법으로 형성되고, 접속도체(90)은 내부도체(85)의 외부단자 사이의 중심부가 접속도체(90)을 통해 외부도체(87)에 접속되게 하는 방법으로 측면 배치관통홀(89)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양단 사이의 중심부는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중간일 필요는 없으며, 유전체 필터가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지니는 한 기하학적 중심 주위의 범위내의 위치일 수 있다. 또한, 본 양태에서, 제 2서브-블록(LW11)의 내부도체(86)이 외부단자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개방-회선된 내부단자(88)을 지니지만, 개방-회선된 내부단자(88)의 위치는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지닌 필터가 되도록 하는 특정의 허용오차가 있을 수 있다. 유사하게, 슬릿(82)는 허용오차가 있는 중간에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서브-블록의 폭(W10) 및 (W11)은 특정의 허용오차내에서 서로 동일하다. 또한, 각각의 서브-블록(LW10) 및 (LW11)의 제 1단면(81a)과 (81e)는 특정의 위치 허용오차내에서 서로 허용될 수 있고, 각각의 서브-블록(LW10) 및 (LW11)의 제 2단면(81b)과 (81f)도 특정의 위치 허용오차내에서 서로 허용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de arrangement through-hole 89 i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ub-block LW10 that is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81 from the center between the outer ends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hole 83 as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extends to the surface 81c, and the connecting conductor 90 is disposed in the side surface in such a manner that the center between the outer terminals of the inner conductor 85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87 through the connecting conductor 90. 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89. The central portion between both ends in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exactly geometrically intermediate, and may be in a range around the geometric center as long as the dielectric filter has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Also,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conductor 86 of the second sub-block LW11 has an open-circuit inner terminal 88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the outer terminals, but the open-circuit inner terminal 88 The position of) may have a certain tolerance to make it a filter with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Similarly, the slit 82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tolerance. Also, the widths W10 and W11 of each sub-block are equal to each other within a certain tolerance. Further, the first cross sections 81a and 81e of each sub-block LW10 and LW11 may be allowed to each other within a specific position tolerance, and each sub-block LW10 and LW11 The second end surfaces 81b and 81f of the ss may also be allowed to each other within a specific position tolerance.

도 27은 본 발명의 제 6양태에 따른 유전체 필터의 사시도이며, 도 28은 그의 평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에서 선 D-D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 필터는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 제 2-형 서브-블록(LW13), 및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를 포함하는 세라믹 재료의 사각의 유전체 블록(101)로 구성되며, 여기서, 이들 서브-블록은 모두 동일한 길이(LE11) 및 각각 동일한 폭(W12), (W13), 및 (W14)를 지니고,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길이(LE11)의 절반의 길이를 지닌 슬릿(102) 및 (103)은 한단면으로부터 유전체 블록(101)의 중심부를 향해 연장되는 방법으로 서브-블록(LW12)와 (LW13) 사이에 및 서브-블록(LW13)과 (LW14) 사이에 형성된다. 이들 슬릿(102) 및 (103)은 결합방지수단으로 작용하여 서브-블록(LW12)와 (LW13) 사이의 전자결합 및 서브-블록(LW13)과 (LW14) 사이의 전자결합을 방지한다.2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8 is a plan view thereof. FIG. 2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D-D in FIG. 28.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dielectric filter includes a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a second two-type sub-block LW13, and a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Consisting of a rectangular dielectric block 101 of ceramic material, wherein these sub-blocks are all of the same length LE11 and have the same width W12, W13, and W14, respectively, and are integral. Is formed. Slits 102 and 103 having a length of half of length LE11 extend between sub-blocks LW12 and LW13 and sub- in such a way that they extend from one end toward the center of dielectric block 101. It is formed between the blocks LW13 and LW14. These slits 102 and 103 act as anti-binding means to prevent electro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sub-blocks LW12 and LW13 and electromagnetic coupling between the sub-blocks LW13 and LW14.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는 양단면, 즉, 길이(LE11)의 양단에 위치된 제 1단면(101a)와 제 2단면(101b)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101a)와 (101b)에 수직인 상부면(101c)와 하부면(101d)를 지닌다. 제 2-형 서브-블록(LW13)은 양단면, 즉, 길이(LE11)의 양단에 위치된 제 2단면(101e)와 제 2단면(101f)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101e)와 (101f)에 수직인 상부면(101g)와 하부면(101h)를 지닌다.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는 양단면, 즉, 길이(LE11)의 양단에 위치된 제 1단면(101i)와 제 2단면(101j)를 지니며, 또한 양측면, 즉, 단면(101i)와 (101j)에 수직인 상부면(101k)와 하부면(101l)을 지닌다.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는 유전체 블록(101)의 한측면상에 위치되고,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는 유전체 블록(101)의 양측상에 위치되며, 제 2형 서브-블록(LW13)은 이들 제 1-형 스브-블록(LW12)와 (LW14) 사이에 위치된다. 각각의 서브-블록(LW12), (LW13), 및 (LW14)의 제 1단면(101a), (101e), 및 (101i)는 동일한 쪽에 위치되어 한 평면에 놓이며, 제 2단면(101b), (101f), 및 (101j)도 반대의 동일한 측면에 위치되어 또다른 평면에 놓인다. 슬릿(102) 및 (103)은 제 2단면(101b), (101f) 및 (101j)로부터 제 1 및 제 2단면 사이의 중심부까지 연장되는 방법으로 각각 서브-블록(LW12)와 (LW13) 사이에서 및 서브-블록(LW13)과 (LW14)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서브-블록(LW12), (LW13) 및 (LW14)의 상부면(101c), (101g) 및 (101k)는 한 평면에 놓이고, 하부면(101d), (101h) 및 (101l)은 또 다른 평면에 놓인다.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has both end faces, that is, the first end face 101a and the second end face 101b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11, and also has both sides, i.e. It has an upper surface 101c and a lower surface 101d perpendicular to the end surfaces 101a and 101b. The second 2-type sub-block LW13 has both end surfaces, that is, the second end surface 101e and the second end surface 101f, which ar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11, and both sides, that is, the end surface 101e. ) And an upper surface 101g and a lower surface 101h perpendicular to 101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has a first end face 101i and a second end face 101j located at both ends, i.e., at both ends of the length LE11, and also on both sides, i.e. It has an upper surface 101k and a lower surface 101l perpendicular to the end faces 101i and 101j.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dielectric block 101, and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ielectric block 101. The second type sub-block LW13 is located between these first type sub-blocks LW12 and LW14. The first cross sections 101a, 101e, and 101i of each of the sub-blocks LW12, LW13, and LW14 are located on the same side and lie in one plane, and the second cross section 101b. , 101f, and 101j are also located on opposite opposite sides and in another plane. Slits 102 and 103 extend between sub-blocks LW12 and LW13 in a manner that extends from the second end face 101b, 101f and 101j to the cent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nd faces, respectively. And between sub-blocks LW13 and LW14. The upper surfaces 101c, 101g, and 101k of the respective sub-blocks LW12, LW13, and LW14 lie in one plane, and the lower surfaces 101d, 101h, and 101l. Lies in another plane.

유전체 블록(101)은 관통홀(104), (105) 및 (106)을 지니며, 관통홀(104)는 제 1의 제1-형 서브-블록(LW12)의 제 1단면(101a)와 제 2단면(101b) 사이에 형성되며, 관통홀(105)는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제 1단면(101e)와 제 2단면(101f) 사이에 형성되고, 관통홀(106)는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제 1단면(101i)와 제 2단면(101j) 사이에 형성된다. 이들 관통홀(104), (105) 및 (106)의 내벽은 각각 내부도체(107), (108) 및 (109)로 피복된다. 외부도체(101)은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제 1단면(101a)와 제 2단면(101b), 및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제 1단면(101i)와 제 2단면(101j)를 제외한 유전체 블록(101)의 외부 전체 표면에 형성된다.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내부도체(107)의 양단은 외부도체(110)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내부도체(107)은 이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개방-회선이 된다. 유사하게,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내부도체(109)의 양단도 외부도체(110)에 접속되지 않으므로, 내부도체(109)도 이의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개방-회선이 된다. 반면,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내부도체(108)의 양단은 외부도체(110)에 접속되므로, 내부도체(108)은 양단에서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내부도체(108)은 외부의 양단 사이의 중심부에서 갭을 지니며, 여기서, 개방-회선된 내부단자(111)이 갭에서 형성되고 커패시터가 갭을 통해 서로 대면하는 두 내부단자(111)에 의해 형성된다.The dielectric block 101 has through holes 104, 105, and 106, and the through holes 104 have a first end face 101a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It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end surface 101b, the through hole 105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surface 101e and the second end surface 101f of the second type sub-block LW13, and the through hole 106 is formed. )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101i and the second end face 101j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The inner walls of these through holes 104, 105 and 106 are covered with inner conductors 107, 108 and 109, respectively. The outer conductor 101 has a first cross-section 101a and a second cross-section 101b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and a first first sub-block LW14. It is formed on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01 except for the end face 101i and the second end face 101j. Since both ends of the inner conductor 107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are not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110, the inner conductor 107 is electrically open-circuited at both ends thereof. Similarly, neither end of the inner conductor 109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110, so that the inner conductor 109 has an electrically open-circuit at both ends thereof. do. On the other hand, since both ends of the inner conductor 108 of the 2-type sub-block LW13 are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110, the inner conductor 108 is electrically shorted at both ends. The inner conductor 108 of the second-type sub-block LW13 has a gap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of the outside, where an open-circulated inner terminal 111 is formed in the gap and a capacitor is formed through the gap. It is formed by two internal terminals 111 facing each other.

내부도체(107), (108) 및 (109), 및 외부도체(110)은, 예를들어, 슬릿(102)와 (103), 및 관통홀(104), (105) 및 (106)의 내벽을 포함한 유전체 블록(101)의 전체 표면에 Cu와 같은 전극재료를 비전기적인 도금 등의 수단으로 형성시키고, 이어서, 제 1 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제 1단면(101a)와 제 2단면(101b), 및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제 1단면(101i)와 제 2단면(101j)로부터 전극재료를 치핑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The inner conductors 107, 108 and 109, and the outer conductor 110 are, for example, the slit 102 and 103, and the through holes 104, 105 and 106. An electrode material such as Cu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01 including the inner wall by means of non-electrical plating or the like, and then the first cross section 101a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 And the second end surface 101b, and the electrode material from the first end surface 101i and the second end surface 101j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유전체 블록(101)은 측면 배치관통홀(112) 및 (113)을 지닌다. 측면 배치관통홀(112)는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관통홀(104)의 내벽의 양단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 블록(101)의 외부표면의 일부인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상부면(101c)까지 연장된다. 측면 배치관통홀(113)는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관통홀(106)의 내벽의 양단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유전체 블록(101)의 외부표면의 일부인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상부면(101k)까지 연장된다. 측면 배치관통홀(112)와 (113)의 내벽은 각각 접속도체(114)와 (115)로 피복되어, 각각의 내부도체(107)과 (109)의 양단 사이의 중심부가 이들 접속도체(114)와 (115)를 통해 외부도체(110)에 접속되게 한다. 이들 접속도체(114)와 (115)는, 예를들어, 측면 배치관통홀(112)와 (113)의 내벽을 도금처리하여 내부도체(107), (108) 및 (109) 및 외부도체(110)을 형성시킴으로써 내부도체(107), (108) 및 (109), 및 외부도체(11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electric block 101 has side arrangement through holes 112 and 113. The side through hole 112 is a first first portion which i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01 from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04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It extends to the top surface 101c of the -shaped sub-block LW12. The side through hole 113 is a second first portion which is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01 from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06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It extends to the top surface 101k of the -shaped sub-block LW14. The inner walls of the side-side through holes 112 and 113 are covered with connecting conductors 114 and 115, respectively, so that the central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respective inner conductors 107 and 109 is connected to these connecting conductors 114. And 115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110. These connecting conductors 114 and 115 are, for example, plated the inner walls of the side-wall through holes 112 and 113 to form the inner conductors 107, 108 and 109 and the outer conductor ( By forming 110, it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inner conductors 107, 108 and 109, and the outer conductor 110.

상기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에서,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제 1단면(101a)의 측면상의 내부도체(107)의 말단은 입력단자(IN)으로 사용되며,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제 1단면(101i)의 측면상의 내부도체(109)의 말단은 출력단자(OUT)로 사용된다. 외부도체(110)은 접지선에 접속된다. 따라서,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는 도 30에 도시된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 end of the inner conductor 107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face 101a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is used as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second The end of the inner conductor 109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face 101i of the first-type sub-block LW14 is used as the output terminal OUT. The outer conductor 110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Therefor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can be represented by the equivalent circuit shown in FIG.

이러한 등가회로에서, R25 및 R26은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내부도체(107)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다. R27 및 R28은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내부도체(108)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다. R29 및 R30은 양단 사이의 중심에서 두부분으로 분할된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내부도체(109)로 형성된 두 개의 공진자이다. L12는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접속도체(114)와 연관된 유도자이며, L13은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접속도체(115)와 연관된 유도자이다. C2는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내부도체(108)의 개방-회선된 내부단자(111) 사이에 형성된 커패시터이다.In this equivalent circuit, R25 and R26 are two resonators formed from the inner conductor 107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R27 and R28 are two resonators formed from the inner conductor 108 of the 2-type sub-block LW13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R29 and R30 are two resonators formed from the inner conductor 109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divided into two parts at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L12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conductor 114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and L13 is an inductor associated with the connection conductor 115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to be. C2 is a capacitor formed between the open-circuit inner terminal 111 of the inner conductor 108 of the second-type sub-block LW13.

K2528은 제 1단면(101a)로부터 접속도체(114)까지 연장되는 유전체 블록(101)의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일부와 제 1단면(101e)로부터 접속도체(108)의 개방-회선된 내부단자(111)까지 연장되는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일부 사이에 형성된 이상기이다. K2829는 제 1단면(101e)로부터 내부도체(108)의 개방-회선된 내부단자(111)까지 연장되는 유전체 블록(101)의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일부와 제 1단면(101i)로부터 접속도체(109)까지 연장되는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일부 사이에 형성된 이상기이다.K2528 is a portion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of the dielectric block 101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face 101a to the connecting conductor 114 and the connecting conductor 108 from the first end face 101e. Is an ideal phase formed between a portion of the second-type sub-block LW13 extending to the open-circuit inner terminal 111. K2829 is a portion of the second-type sub-block LW13 of the dielectric block 101 extending from the first end face 101e to the open-lined inner terminal 111 of the inner conductor 108 and the first end face ( Is an ideal phase formed between a part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s LW14 extending from 101i to the connecting conductor 109.

상기된 바와 같이,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는 양단면 즉 제 1단면(101a) 및 제 2단면(101b)를 지닌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 양단면 즉 제 1단면(101e) 및 제 2단면(101f)를 지닌 제 2-형 서브-블록(LW13), 및 양단면 즉 제 1단면(101i) 및 제 2단면(101j)를 지닌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로 구성된 유전체 블록(101); 유전체 블록(101)의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제 1단면(101a)와 제 2단면(101b)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104); 관통홀(104)의 내벽에 형성되며 양단이 전기적으로 개방-회선된 내부도체(107); 유전체 블록(101)의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제 1단면(101i)와 제 2단면(101j)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106); 관통홀(106)의 내벽에 형성되며 양단이 전기적으로 개방-회선된 내부도체(109); 유전체 블록(101)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외부도체(110);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내부도체(107)의 양단 사이의 중심부가 외부도체(110)에 접속되게 하는 접속도체(114);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내부도체(109)의 양단 사이의 중심부가 외부도체(110)에 접속되게 하는 접속도체(115); 유전체 블록(101)의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제 1단면(101e)와 제 2단면(101f) 사이에 형성된 관통홀(105); 및 전기적으로 개방-회선된 내부단자(111)이 중간에서 형성되고 두 외부단자가 전기적으로 단락되게 하는 관통홀(105)의 내벽상에 형성된 내부도체(108)을 포함한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필터단이 상기된 구조(제 1필터단은 공진자(R25) 및 (R26), 및 유도자(L12)로 형성되고, 제 2필터단은 공진자(R27) 및 (R28), 및 커패시터(C2)로 형성되며, 제 3필터단은 공진자(R29) 및 (R30)으로 형성된다)를 지닌 유전체 필터에 형성된다. 이들 세 개의 필터단은 각각의 이상기(K2528) 및 (K2829)를 통해 한 필터단에서 다음 필터단으로 결합된다. 공진자(R25)를 포함하는 필터단은 입력단자(IN)에 접속되고, 공진자(R29)를 포함하는 필터단은 출력단자(OUT)에 접속된다.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이러한 유전체 필터에서, 입력단자(IN)에 주어진 시그날은 이상기(K2528) 및 (K2829)를 통해 상이 약 90°만큼 변화되며, 상-이동된 시그날이 출력단자(OUT)에서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the dielectric filter of the present aspect has a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having both end faces, that is, a first end face 101a and a second end face 101b, both end faces, that is, a first end face ( 101e) and the second 2-type sub-block LW13 having the second end face 101f, and the second first-type sub- end having both end faces, that is, the first end face 101i and the second end face 101j. A dielectric block 101 composed of blocks LW14; A through hole 104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101a and the second end face 101b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of the dielectric block 101; An inner conductor 107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04 and electrically open-circulated at both ends thereof; A through hole 106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101i and the second end face 101j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of the dielectric block 101; An inner conductor 109 formed on an inner wall of the through hole 106 and electrically open-circulated at both ends thereof; An outer conductor 11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01; A connecting conductor 114 which allows a central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inner conductor 107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110; A connection conductor 115 for allowing a central portion between both ends of the inner conductor 109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to be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110; A through hole 105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face 101e and the second end face 101f of the second type sub-block LW13 of the dielectric block 101; And an inner conductor 108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hole 105 through which the electrically open-circulated inner terminal 111 is formed in the middle and the two outer terminals are electrically shorted. As shown in Fig. 30, three filter stages are formed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irst filter stage is formed of the resonators R25 and R26, and the inductor L12, and the second filter stage is the resonator R27. ) And (R28), and capacitor (C2), and the third filter stage is formed 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a resonator (R29) and (R30). These three filter stages are combined from one filter stage to the next through the respective phases K2528 and K2829. The filter terminal including the resonator R25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filter terminal including the resonator R29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In such a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gnal given to the input terminal IN is changed by about 90 ° through the phase shifters K2528 and K2829, and the phase-shifted signal appears at the output terminal OUT. .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랩 주파수(ft)로 분리된 두 대역을 지니며, 제거는 대역의 에지에서 발생된다. 트랩 주파수(ft) 및 트랩주파수(ft)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대역의 주파수 특성은 유전체 블록(101)의 상대 유전율, 내부도체(107), (108) 및 (109)의 길이, 및 접속도체(114) 및 (115)과 연관된 인덕턴스를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측정된다. 본 양태의 유전체 필터가 세 개의 필터단을 지니기 때문에, 트랩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트랩 밴드내에서 보다 크게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전체 필터는 트랩 주파수(ft)의 양측에서 두 대역을 지닌 고성능 밴드-제거 필터로 작용한다. 달리 설명하자면, 유전체 필터는 대역필터와 밴드-제거필터로 작용한다.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has two bands separated by a trap frequency (ft) as shown in FIG. 31, and the removal occurs at the edge of the band. The frequency characteristics of the two band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and the trap frequency (ft) include the relative permittivity of the dielectric block 101, the lengths of the inner conductors 107, 108, and 109, and the connecting conductor. It is measured by appropriately selecting the inductances associated with 114 and 115. Since the dielectric filter of this aspect has three filter stage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bandwidth of the trap band and to attenuate it more largely in the trap band. Thus, this dielectric filter acts as a high performance band-rejection filter with two bands on both sides of the trap frequency (ft). In other words, the dielectric filter acts as a band pass filter and a band-reject filter.

본원에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단면전극이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제 1단면(101a)상에 및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제 1단면(101i)상에 형성되어, 제 1단면(101a)상의 단면전극이 입력단자(IN)으로 작용하도록 내부도체(107)에 접속되고 제 1단면(101i)상의 단면전극이 출력단자(OUT)로 작용하도록 내부도체(109)에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110)은 제 1단면(101a)상에서 연장되고 단면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추가부분을 지닐 수 있다. 제 2단면(101b) 및 (101j)는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은 외부도체(110)로부터 연장된 도체로 피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s herein, a cross-sectional electrode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5 or 6 is formed on the first end face 101a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and on the second first-side. It is formed on the first end face 101i of the type sub-block LW14,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107 so that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on the first end face 101a acts as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first end face 101i.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on the ())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109 to act as an output terminal (OUT).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or 6, the outer conductor 110 may have an additional portion extending on the first end face 101a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The second end surfaces 101b and 101j may be covered with a conductor extending from the outer conductor 11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

또 다른 변형에서,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내부도체(107) 및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내부도체(109)는 제 1단면(101a) 및 (101i) 또는 제 2단면(101b) 및 (101j)에 도달되지 않는 길이를 지니게 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외부도체(110)은 제 1단면(101a) 및 (101i), 및 제 2단면(101b) 및 (101j)의 전체영역에 걸쳐 연장되고 관통홀(104) 및 (106)내로 더 연장되는 추가의 부분을 지닐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이유는 상기한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므로 생략한다.In another variant,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7, the inner conductor 107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and the interior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The conductor 109 may be formed in such a way that the conductor 109 has a length that does not reach the first end faces 101a and 101i or the second end faces 101b and 101j. In this case, the outer conductor 110 extends over the entire area of the first end face 101a and 101i and the second end face 101b and 101j and further into the through holes 104 and 106. It may have additional portions that extend. The reason for having such a structure is omitted because it overlaps with the description of FIG.

또 다른 변형에서, 도 32의 부분 평면도, 및 도 32에서 선C-C를 따라 취한 도 33의 횡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관통홀(105)는 분리벽(116)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폐쇄된-단자홀(105a) 및 (105b)로 분할될 수 있으며, 두 개의 폐쇄된-단자홀(105a) 및 (105b)의 전체 내부표면은 각각 내부도체(106a) 및 (106b)로 피복되고, 분리벽(116)에서 폐쇄된 단자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회선된 내부단자(111)로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커패시터가 분리벽(116)에 의해 분리된 내부도체(106a) 및 (106b)의 두 내부단자부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개방-회선된 단자가 도 27 내지 29에 도시된 구조보다 용이하게 형성되게 한다. 슬릿(102) 및 (103)는 금속판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In another variant, as shown in the partial plan view of FIG. 32 and the cross-sectional view of FIG. 33 taken along line CC in FIG. 32, the through-hole 105 of the second-type sub-block LW13 has a separation wall ( It can be divided into two closed-terminal holes 105a and 105b separated by 116,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two closed-terminal holes 105a and 105b respectively being an inner conductor 106a. ) And 106b, and the terminal closed at the dividing wall 116 acts as an open-circuit inner terminal 111 as shown in Figs. In this case, a capacitor is formed of two inner terminal portions of inner conductors 106a and 106b separated by the separating wall 116. This structure allows the open-lined terminals to be formed more easily than the structure shown in Figs. Slits 102 and 103 may be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plate.

상기된 구조에서,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측면 배치관통홀(112) 및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측면 배치관통홀(LW14)는 상기된 바와 같이 관통홀(104) 또는 (109)의 내벽의 외부말단 사이의 중심부로부터 제 1의 제 1-형 서브-블록(LW12)의 상부면(101c) 또는 제 2의 제 1-형 서브-블록(LW14)의 상부면(101k)까지 연장되는 방법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상부면(101c) 및 (101k)는 유전체 블록(101)의 외부표면의 일부이다. 접속도체(114) 및 (115)는 측면 배치관통홀(112) 및 (113)의 내부표면에 형성되어, 내부도체(107) 및 (109)의 외부단자 사이의 중심부가 접속도체(114) 및 (115)를 통해 외부도체(110)에 접속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양단 사이의 '중심부'는 기하학적으로 정확하게 중간일 필요는 없으며, 유전체 필터가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지니게 하는 범위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양태에서, 제 2-형 서브-블록(LW13)의 내부도체(108)이 외부단자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개방-회선된 내부단자(111)을 지니지만, 개방-회선된 내부단자(111)의 위치는 필터가 양호한 주파수 특성을 지니도록 할 수 있는 특정의 허용오차를 지닐 수 있다. 유사하게, 슬릿(102) 및 (103)은 허용오차가 있는 중간에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서브-블록의 폭(W12), (W13) 및 (W14)는 특정의 허용오차내에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서브-블록(LW12), (LW13) 및 (LW14)의 제 1단면(101a), (101e) 및 (101j)는 특정의 위치 허용오차내에서 서로 허용될 수 있고, 제 2단면(101b), (101f) 및 (101j)도 특정의 위치 허용오차내에서 서로 허용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side arrangement through-hole 112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and the side arrangement through-hole LW14 of the second first-type sub-block LW14 are The upper surface 101c or the second first-type sub- of the first first-type sub-block LW12 from the center between the outer ends of the inner wall of the through-hole 104 or 109 as shown. It is formed in such a way that it extends to the top surface 101k of the block LW14, where the top surfaces 101c and 101k are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101. The connecting conductors 114 and 115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through holes 112 and 113, so that the center between the outer terminals of the inner conductors 107 and 109 is the connecting conductor 114 and It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110 through the (115).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between the two ends need not be exactly geometrically intermediate, and may be located within a range that allows the dielectric filter to have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Also,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conductor 108 of the second-type sub-block LW13 has an open-circulated inner terminal 111 located in the middle between the outer terminals, but an open-circulated inner terminal. The position of 111 may have certain tolerances that may allow the filter to have good frequency characteristics. Similarly, slits 102 and 103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tolerance. Also, the widths W12, W13 and W14 of each sub-block may be equal to each other within a certain tolerance. Further, the first sections 101a, 101e, and 101j of each of the sub-blocks LW12, LW13, and LW14 can be allowed to each other within a specific position tolerance, and the second section 101b, 101f and 101j may also be allowed to one another within a certain position tolerance.

본 발명의 유전체 필터가 바람직한 양태를 참조로 상기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된 양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하게 변형 및 변화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12 및 도 13과 연관되어 상기된 특정의 양태에서, 유전체 블록(41)은 위치가 길이(LE3), (LE4) 또는 (LE5)의 절반만큼 세로방향으로 이동된 세 개의 서브-블록(LW3), (LW4) 및 (LW5)로 구성되며, 또한, 유전체 블록(41)은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유전체 필터가 도 4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등가회로를 지니고 도 15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특성을 지니게 할 수 있다. 그러한 구조를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4에서, 도 12 및 도 13에서의 부품 또는 소자와 유사한 부품 또는 소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이하에서 이들을 다시 설명하지는 않을 것이다.Although the dielectric filt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For example, in certain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connection with FIGS. 12 and 13, the dielectric block 41 has three sub-lengths whose position is moved longitudinally by half of the length LE3, LE4 or LE5. -The block LW3, LW4 and LW5, and the dielectric block 41 is formed in a square as shown in FIG. 34, so that the dielectric filter has an equivalent circuit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And may ha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 15.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Fig. 34, parts or elements similar to those in Figs. 12 and 13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will not be described again below.

도 34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에서, 유전체 블록(41)은 각각 동일한 폭(W3), (W4) 및 (W5)를 지니는 세 개의 서브-블록(LW3), (LW4) 및 (LW5)를 포함한다. 이러한 서브-블록은 동일한 측면에 위치하여 한 평면에 놓인 제 1단면(41a), (41e) 및 (41i)를 지닌다. 서브-블록은 또한 반대측면에 위치하여 또다른 평면에 놓인 제 2단면(41c), (41f) 및 (41j)를 지닌다. 유전체 블록(41)은 또한 각각 서브-블록(LW3)와 (LW4) 사이에 및 서브-블록(LW4)와 (LW5) 사이에 형성되어 전자결합방지수단으로 작용하는 슬릿(411) 및 (412)를 지닌다. 여기서, 이들 슬릿(411) 및 (412)는 제 2단면(41c), (41f) 및 (41j)에서 양단면 사이의 중심부로 연장된다. 외부도체(48)이 이들 슬릿(411) 및 (412)의 내벽상에 형성된다.In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34, the dielectric block 41 includes three sub-blocks LW3, LW4, and LW5 having the same width W3, W4, and W5, respectively. . This sub-block has first cross sections 41a, 41e and 41i located on the same side and lying in one plane. The sub-block also has second cross sections 41c, 41f and 41j located on opposite sides and lying in another plane. The dielectric block 41 is also formed between the sub-blocks LW3 and LW4 and between the sub-blocks LW4 and LW5, respectively, and acts as a slit 411 and 412 as an electromagnetic coupling preventing means. Has Here, these slits 411 and 412 extend from the second end faces 41c, 41f and 41j to the center portion between the both end faces. Outer conductors 48 are formed on the inner walls of these slits 411 and 412.

상기된 구조를 지니는 유전체 필터에서, 서브-블록(LW3)의 제 1단면(41a)의 측면상의 내부도체(45)의 단자는 입력단자(IN)로 사용되고, 서브-블록(LW5)의 제 1단면(41i)의 측면상의 내부도체(47)의 단자는 출력단자(OUT)로 사용된다. 도 34에 도시된 구조에서, 슬릿(411) 및 (412)를 이용하는 대신, 각각의 관통홀(42), (43) 및 (44)를 단계구조로 형성시킴으로써 전자결합방지수단이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구조에서, 각각의 관통홀(42), (43) 및 (44)의 직경은 양단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제 1단면(41a), (41e) 및 (41i)까지의 영역에서 보다도 제 2단면(41c), (41f) 및 (41j)로부터 양단 사이의 중심까지의 영역에서 작다.In the dielectric fil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terminal of the inner conductor 45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face 41a of the sub-block LW3 is used as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first of the sub-block LW5. The terminal of the inner conductor 47 on the side of the end face 41i is used as the output terminal OUT.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34, instead of using the slits 411 and 412,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preventing means can be realized by forming the respective through holes 42, 43, and 44 in a step structure. . In this step structure, the diameter of each of the through holes 42, 43, and 44 is the second cross section than in the region from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to the first end faces 41a, 41e, and 41i. It is small in the area from (41c), (41f) and (41j) to the center between both ends.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단면전극과 유사한 단면전극이 제 1단면(41a) 및 (41i)상에 형성되어, 제 1단면(41a)상의 단면전극이 입력단자(IN)으로 작용하고 제 1단면(41i)상의 단면전극이 출력단자(OUT)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도 5 또는 도 6의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48)은 제 1단면(41a) 및 (41i)상에서 연장되어 단면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게 하는 추가부분을 지닐 수 있다. 외부단면은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48)로부터 연장되는 도체로 피복될 수 있다. 슬릿(411) 및 (412)는 금속판과 같은 전도성 재료로 충전될 수 있다.A cross-sectional electrode similar to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shown in FIG. 5 or 6 is formed on the first end surfaces 41a and 41i, so that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on the first end surface 41a acts as the input terminal IN A cross-sectional electrode on the end face 41i may act as an output terminal OUT.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 of FIG. 5 or 6, the outer conductor 48 may have additional portions extending on the first end surfaces 41a and 41i to be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ross-sectional electrodes. The outer cross section may be covered with a conductor extending from the outer conductor 48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Slits 411 and 412 may be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 metal plate.

도 27 및 도 28 에 도시된 특정의 예에서, 유전체 필터는 세 개의 서브-블록(LW12), (LW13) 및 (LW14)로 구성된 사각형의 유전체 블록(101)을 포함한다. 유전체 블록(101)은 도 35에 도시된 모양으로 형성되어, 유전체 필터가 도 30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등가회로를 지니며 도 31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특성을 지닐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 35에서, 도 27 및 도 28과 유사한 부품 또는 소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부여되며, 더 이상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In the particular example shown in FIGS. 27 and 28, the dielectric filter comprises a rectangular dielectric block 101 consisting of three sub-blocks LW12, LW13 and LW14. The dielectric block 101 is formed in the shape shown in FIG. 35 so that the dielectric filter has an equivalent circuit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30 and may have characteristics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 This structure is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In Fig. 35, parts or elements similar to those in Figs. 27 and 28 are given like reference numerals and are not described in further detail.

도 35에 도시된 유전체 필터에서, 유전체 블록(101)은 각각 동일한 폭(W12), (W13) 및 (W14)를 지닌 세 개의 서브-블록(LW12), (LW13) 및 (LW14)를 포함한다. 세 개의 서브-블록(LW12), (LW13) 및 (LW14)는 길이(LE11), (LE12) 및 (LE13)의 절반만큼 세로방향으로 인접한 서브-블록에 대해 위치로 이동한다(단면을 향해).In the dielectric filter shown in FIG. 35, the dielectric block 101 includes three sub-blocks LW12, LW13, and LW14 having the same width W12, W13, and W14, respectively. . The three sub-blocks LW12, LW13, and LW14 move (in cross-section) to the longitudinally adjacent sub-block by half of the lengths LE11, LE12, and LE13. .

이러한 구조에서, 서브-블록(LW12)의 제 1단면(101a)의 측면상의 내부도체의 단자는 입력단자(IN)로 사용되고, 서브-블록(LW14)의 제 1단면(101i)의 측면상의 내부도체(109)의 단자는 출력단자(OUT)로 사용된다. 도 5또는 도 6에 도시된 전극과 유사한 단면전극이 제 1단면(101a)와 (101i)상에 형성되어, 제 1단면(101a)상의 단면전극은 입력단자(IN)으로 작용하고, 제 1단면(101i)상의 단면전극은 출력단자(OUT)로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110)은 제 1단면(101a) 및 (101i)상에서 연장되어 단면전극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되는 추가부분을 지닐 수 있다. 제 2단면(101b) 및 (101j)는 도 7에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110)으로부터 연장되는 도체로 피복될 수 있다.In this structure, the terminal of the inner conductor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face 101a of the sub-block LW12 is used as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inner side on the side of the first end face 101i of the sub-block LW14. The terminal of the conductor 109 is used as the output terminal OUT. A cross-sectional electrode similar to the electrode shown in FIG. 5 or 6 is formed on the first end surfaces 101a and 101i, so that the cross-sectional electrode on the first end surface 101a acts as an input terminal IN, The end face electrode on the end face 101i serves as an output terminal OUT.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or 6, the outer conductor 110 may have additional portions extending on the first end surfaces 101a and 101i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cross-sectional electrodes. The second end surfaces 101b and 101j may be covered with a conductor extending from the outer conductor 110 a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도 39와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전극 단면이 서브-블록(LW1)의 제 1단면(21a)상에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입력단자(IN)로서 제공되도록 상기 제 1 단면(21a)상의 전극 단면이 내부도체(24)에 연결된다. 서브-블록(LW2)의 단면(21f)는 같은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즉, 출력단자(OUT)로서 제공되도록 상기 제 2 단면(21f)상의 전극 단면이 내부도체(25)에 연결된다. 이 경우, 도 5 및 도 6의 예에서와 같이, 외부도체(6)은 제 1 단면(21a)와 제 2 단면(21f)까지 연장하며 전극 단면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추가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단면들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예를 들면, 도 41에서와 같이 외부도체(26)으로부터 연장하는 부분으로 덮혀질 수 있다. 이들 전극 단면의 추가는 신호선이 내부 도체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그 연결은 간단하게 신호선을 입력단자(IN)와 출력단자(OUT)로서 제공하는 각각의 단면전극에 연결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외부도체(26)이 도금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면전극을 가지는 상기 구조는 도체가 더 쉽게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는 이들 구조가 도금과정후에 제거되야만 하는 전극 재료의 영역이 감소하도록 하기 때문이다.39 and 40, an electrode cross section similar to that shown in FIGS. 5 and 6 may be formed on the first end surface 21a of the sub-block LW1, that is, the input terminal IN. An electrode cross section on the first end face 21a is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24 so as to be provided as. The cross section 21f of the sub-block LW2 can be modified in the same way, that is, the electrode cross section on the second cross section 21f is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25 so as to serve as the output terminal OUT. In this case, as in the examples of FIGS. 5 and 6, the outer conductor 6 may have additional portions extending up to the first end face 21a and the second end face 21f and electrically separated from the electrode end face. The other cross sections may be covered with portions extending from the outer conductor 26 as shown in FIG. 7, for example as in FIG. 41. The addition of these electrode cross sections allows the signal lines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That is, the connection can be realized by simply connecting a signal line to each end face electrode serving as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output terminal OUT.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the outer conductor 26 is formed by plating, the structures having the cross-sectional electrodes make the conductors more easily formed, so that the area of the electrode material that these structures have to be removed after the plating process is reduced. Because.

상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5관점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서, 유전체 필터는 양단 사이의 내부도체의 중심부를 외부도체에 접속하는 접속도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유전체필터가 트랩 주파수의 양단에서 대역영역을 지닌 밴드-제거 필터로 작용하도록 단일의 유전체 블록을 지니게 하며, 제거는 대역의 밴드 에지에서 발생된다. 그러한 필터특성이 단일의 유전체 블록만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으므로, 유전체 필터를 회로판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electric filters according to the first to fif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filter includes a connecting conductor connec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between both ends to the outer conductor. This structure allows the dielectric filter to have a single dielectric block to act as a band-reject filter with a band region across the trap frequency, with the elimination occurring at the band edges of the band. Since such filter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using only a single dielectric block, the dielectric filter can be more easily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본 발명의 제 2관점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서, 접속도체는 측면 배치관통홀에 위치하여, 내부도체의 중심부가 접속도체를 통해 외부도체에 접속되고 유도자가 안정한 인덕턴스를 지니게 한다.I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conductor is located in the side through hole so that the center of the inner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through the connecting conductor and the inductor has a stable inductance.

본 발명의 제 3관점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서, 유전체 필터는 다수의 필터단을 포함한다. 이는 트랩 밴드의 주파수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며, 트랩밴드내에서 크게 감쇄될 수 있게 한다. 유전체 필터는 트랩밴드 주위에 중심이 있는 대역을 지니며, 우수한 제거 특성이 대역의 에지에서 얻어진다. 또한, 유전체 블록은 관통홀을 각각 지닌 다수의 서브-블록으로 구성되는데, 서브-블록은 서로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상이한 필터단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합이 방지됨으로써 유전체 필터가 안정하고 우수한 필터링 특성을 지니도록 한다.I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 stages. This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band of the trap band and to greatly attenuate it in the trap band. The dielectric filter has a band centered around the trapband, and good rejection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at the edge of the band. In addition, the dielectric bloc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blocks each having through-holes, the sub-blocks being longitudinally shifted relative to each other to prevent undesired coupling between different filter stages, thereby making the dielectric filter stable. And good filter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제 4관점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서, 유전체 필터는 다수의 필터단을 포함한다. 이는 트랩 밴드의 주파수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며, 트랩밴드내에서 크게 감쇄될 수 있게 한다. 유전체 필터는 트랩밴드 주위에 중심이 있는 대역을 지니며, 우수한 제거 특성이 대역의 에지에서 얻어진다. 또한, 유전체 블록은 관통홀을 각각 지닌 다수의 서브-블록으로 구성되는데, 전자결합방지수단이 인접한 서브-블록 사이에 제공되어, 상이한 필터단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합이 방지됨으로써 유전체 필터가 안정하고 우수한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다.I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 stages. This makes it possible to adjust the frequency band of the trap band and to greatly attenuate it in the trap band. The dielectric filter has a band centered around the trapband, and good rejection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at the edge of the band. In addition, the dielectric bloc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blocks each having through-holes, and electromagnetic coupling prevention means are provided between adjacent sub-blocks to prevent undesirable coupling between different filter stages, thereby making the dielectric filter stable and Ensure good filter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제 5관점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서, 접속도체는 측면 배치관통홀에 위치하여, 내부도체의 중심부가 접속도체를 통해 외부도체에 접속됨으로써 유도자가 안정한 인덕턴스를 지니고 유전체 필터가 안정하고 우수한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다.I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conductor is positioned in the side through hole, and the center of the inner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through the connecting conductor so that the inductor has stable inductance and the dielectric filter is stable and excellent filtering. Show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제 6 내지 제 8관점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서, 유전체 필터는 내부도체의 중심부가 접속도체를 통해 외부도체에 접속되는 제 1 서브-블록, 및 내부도체의 중간에 위치한 개방-회선된 내부단자를 지닌 내부도체를 포함하는 제 2 서브-블록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유전체필터가 트랩 주파수 주위에 중심이 있는 대역을 지닌 밴드-제거 필터로서 작용하도록 단일의 유전체 블록을 지니게 하며, 우수한 제거특성이 대역의 에지에서 발생된다. 그러한 필터특성이 단일의 유전체 블록만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으므로, 유전체 필터를 회로판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유전체 필터는 다수의 필터단을 포함하는데, 트랩 밴드의 주파수 밴드폭을 조절할 수 있게 하며, 트랩 밴드내에서 크게 감쇄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트랩 주파수 주위에 중심이 있는 대역을 지닌 유전체 필터가 대역의 에지에서 우수한 제거 특성을 지니도록 한다.I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sixth to eigh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filter includes a first sub-block in which a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through a connecting conductor, and an open-circulated inner portion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inner conductor. A second sub-block comprising an inner conductor with a terminal. This structure allows the dielectric filter to have a single dielectric block to act as a band-reject filter with a band centered around the trap frequency, with good rejection characteristics occurring at the edge of the band. Since such filter characteristics can be realized using only a single dielectric block, the dielectric filter can be more easily installed on the circuit board. In addition, the dielectric filter includes a plurality of filter stages, which allow the frequency band width of the trap band to be adjusted and greatly attenuate within the trap band. This result also allows dielectric filters with bands centered around the trap frequency to have good rejection characteristics at the edges of the bands.

본 발명의 제 6관점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서, 유전체 블록은 관통홀을 각각 지닌 다수의 서브-블록으로 구성되는데, 전자결합방지수단이 인접한 서브-블록 사이에 제공되어, 상이한 필터단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합이 방지됨으로써 유전체 필터가 안정하고 우수한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다.I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bloc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blocks each having through-holes, wherein an electromagnetic coupling prevention means is provided between adjacent sub-blocks, which is undesirable between different filter stages. Undesired coupling can be prevented to make the dielectric filter stable and exhibit good filter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제 7관점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서, 유전체 블록은 관통홀을 각각 지닌 다수의 서브-블록으로 구성되는데, 서브-블록은 서로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어, 상이한 필터단 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결합이 방지됨으로써 유전체 필터가 안정하고 우수한 필터링 특성을 지니도록 한다.I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electric block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blocks each having through-holes, the sub-blocks being longitudinally shif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thus between different filter stages. Uncoupling can be prevented to ensure that the dielectric filter is stable and has good filtering characteristics.

본 발명의 제 8관점에 따른 유전체 필터에서, 접속도체가 측면 배치관통홀에 위치하여, 내부도체의 중심부가 접속도체를 통해 외부도체에 접속됨으로써 유도자가 안정한 인덕턴스를 지니고 유전체 필터가 안정하고 우수한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도록 한다.In the dielectric filter according to the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conductor is positioned in the side through hole, and the center of the inner conductor i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through the connecting conductor so that the inductor has stable inductance and the dielectric filter is stable and excellent filtering. Show characteristics.

Claims (6)

한쌍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면과 외부표면을 각각 지니고 서로 인접한 다수의 연장된 서브-블록을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A dielectric block comprising a plurality of elongated sub-blocks each having a pair of longitudinally opposite cross sections and an outer surface adjacent thereto; 각각의 서브-블록의 각각의 상응하는 대향 단면쌍 사이에 적어도 하나가 형성된 다수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A plurality of longitudinally extending through holes formed between at least one corresponding opposing cross-sectional pair of each sub-block; 다수의 관통홀의 내부표면 각각에 하나의 내부도체가 형성되고, 두 개의 대향하는 단자를 지니는 다수의 내부도체;A plurality of inner conductors having one inner conductor formed on each of the inn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through-holes, and having two opposing terminals; 그들 내부도체의 각 단면이 개방-회선된 것으로서 모든 다른 서브-블록의 내부 도체의 각각의 단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그들 내부도체의 단면이 단락된 것으로서 나머지 서브-블록의 내부 도체의 각각의 단면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상에 형성된 외부도체;Each cross section of their inner conductors is open-circuited and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cross section of the inner conductors of all other sub-blocks, and the cross section of their inner conductors is shorted and each of the inner conductors of the remaining sub-blocks An outer conduc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in electrical connection with a cross section; 동일 개방-회선된 대향 단자들 사이에 위치한 내부도체의 각각의 부분이 외부도체에 접속되는 다수의 접속도체;A plurality of connecting conductors, each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positioned between the same open-lined opposing terminals, connected to the outer conductor; 각각 인접한 서브-블록쌍사이에 형성되고, 대향하는 단면들사이에 상기 서브-블록들의 중앙부를 향하여 각각의 하나의 단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전자결합 방지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Each of which is formed between adjacent pairs of sub-blocks, and includes an electromagnetic coupling preventing structure extending from each one cross-section between opposing cross-sections toward the center of the sub-blocks, 상기 유전체 필터는 어떤 주파수이상의 밴드 제거 전달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시 다른 주파수이상의 밴드 통과 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The dielectric filter performs a band elimination transfer function above a certain frequency, and when in use, the dielectric filter performs a band pass transfer function over another frequency. 제 1 항에 있어서, 서브-블록들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의 중앙부로부터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까지 연장되는 측면쪽으로 배치된 측면 배치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그 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의 내부도체와 유전체블록의 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2. The sub-blocks of claim 1, wherein each of the sub-blocks further comprises a laterally arranged through hole extending laterally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through ho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wherein the hole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condu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of the through hole and the outer conductor of the dielectric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결합 방지구조는 각 접속도체를 향하여 상기 각각의 인접한 서브-블록의 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The dielectric filter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prevention structure is defined by a slit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a cross section of each adjacent sub-block toward each connecting conductor. 상응하는 양단면쌍을 각각 지닌 제 1 서브-블록 및 제 2 서브-블록, 및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에 형성된 외부도체를 포함하는 유전체 블록;A dielectric block comprising a first sub-block and a second sub-block, each having corresponding pairs of cross-sections, and an outer conductor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유전체 블록의 제 1 서브-블록의 양단면쌍 사이에 형성되며 두 외부단자를 지니는 관통홀;A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pair of end faces of the first sub-block of the dielectric block and having two external terminals; 관통홀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되며 두 외부단자에서 개방-회선된 내부도체;An inner conduct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and open-circulated at both outer terminals; 두 외부단자 사이의 내부도체의 소정의 부분이 외부도체에 접속되게 하는 접속도체;A connecting conductor for connec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inner conductor between the two outer terminals to the outer conductor; 유전체 블록의 제 2의 서브-블록의 양단면쌍 사이에 형성되며 두 외부단자를 지니는 관통홀; 및A through hole formed between the pair of end faces of the second sub-block of the dielectric block and having two external terminals; And 제 2 서브-블록의 관통홀의 내부표면상에 형성되며 두 외부단자에서 개방-회선되고 두 외부단자 사이의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 개방-회선된 내부단자쌍을 지니는 내부도체를 포함하여,An inner conductor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hole of the second sub-block and having an open-circulated inner terminal pair locat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tween the two outer terminals and open-circulated at the two outer terminals, 유전체 블록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전자결합 방지구조가 각각의 서브-블록의 한 단면으로 부터 두 양단면 사이의 서브블록의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서브-블록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Wherein the dielectric block is formed in a quadrangle and an electromagnetic coupling prevention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sub-blocks extending from one end face of each sub-block toward the center of the subblock between two end faces. 제 4 항에 있어서, 서브-블록들 각각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의 중앙부로부터 유전체 블록의 외부표면까지 연장되는 측면쪽으로 배치된 측면 배치 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그 홀은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관통홀의 내부도체와 유전체블록의 외부도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each of the sub-blocks further comprises a laterally arranged through hole extending laterally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longitudinally extending through hol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dielectric block, wherein the hole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connecting condu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ner conductor of the through hole and the outer conductor of the dielectric block.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결합 방지구조는 각 접속도체를 향하여 상기 각각의 인접한 서브-블록의 단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릿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필터.5. The dielectric filter as claimed in claim 4, wherein the electromagnetic coupling prevention structure is defined by slits extending longitudinally from the cross section of each adjacent sub-block toward each connecting conductor.
KR1019990032114A 1995-12-12 1999-08-05 Dielectric filter KR10023180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323154 1995-12-12
JP7323154A JP3023949B2 (en) 1995-12-12 1995-12-12 Dielectric filter
KR1019960064841A KR100231864B1 (en) 1995-12-12 1996-12-12 Dielectric filt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4841A Division KR100231864B1 (en) 1995-12-12 1996-12-12 Dielectric fi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1800B1 true KR100231800B1 (en) 2000-03-15

Family

ID=265710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114A KR100231800B1 (en) 1995-12-12 1999-08-05 Dielectric filter
KR1019990032115A KR100231801B1 (en) 1995-12-12 1999-08-05 Dielectric filt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115A KR100231801B1 (en) 1995-12-12 1999-08-05 Dielectric fil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231800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1801B1 (en)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864B1 (en) Dielectric filter
US5926079A (en) Ceramic waveguide filter with extracted pole
KR900008627B1 (en) Microwave bandpass filter
KR0147726B1 (en) Dielectric filter
US4891615A (en) Dielectric filter with attenuation pole
KR100231800B1 (en) Dielectric filter
US5721520A (en) Ceramic filter with ground plane features which provide transmission zero and coupling adjustment
JP3405783B2 (en) Dielectric filter device
KR100223073B1 (en) Filter with notch for dielectric resonator
US6060965A (en) Dielectric resonator and filter including capacitor electrodes on a non-conductive surface
JPH08293703A (en) Cavity type band-pass filter with comb line structure
US6034579A (en) Dielectric filter of the band elimination type
KR101234031B1 (en) Microstrip filter of slot type
US20230327632A1 (en) Filter and multiplexer
KR960016639B1 (en) Microwave dielectric filter & its structure
JP2023535307A (en) Channelized filter using semiconductor technology
KR100279678B1 (en) Resonator Insertion Type Bandpass Filter
DE19939379B4 (en) Multiple filters for multipole connectors
JP2627610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electric filter
JP2004040472A (en) Dielectric device
KR100316481B1 (en) An integrated dielectric filter
JP3314801B2 (en) Dielectric filter
JPH0923105A (en) Band-stop filter
JPH10145105A (en) Dielectric filter and composite dielectric filter
JP3098415B2 (en) Multilayer dielectric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