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791B1 -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791B1
KR100230791B1 KR1019970047659A KR19970047659A KR100230791B1 KR 100230791 B1 KR100230791 B1 KR 100230791B1 KR 1019970047659 A KR1019970047659 A KR 1019970047659A KR 19970047659 A KR19970047659 A KR 19970047659A KR 100230791 B1 KR100230791 B1 KR 100230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priority mode
key
switch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5851A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4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791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2Universal remot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신호가 입력되면 모드절환키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결과 모드절환키 입력이면 모드절환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이면 우선모드절환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공통제어키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공통제어키 입력이면 공통키제어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현재모드를 판단하여 우선모드가 아니면 우선모드자동절환단계를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사용자가 가장많이 사용하는 기기를 우선모드로 설정하도록 하여, 현재모드가 우선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소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우선모드로 절환되도록 하고,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이 있으면 현재모드상태가 어떤모드이던지 간에 즉시 우선모드로 절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본 발명은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장 많이 쓰는 기기의 모드를 우선모드로 설정하여 다른 모드상태에서 소정시간이 지나거나 우선모드 전용키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우선모드로 절환되도록 한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가정에는 여러대의 가전기기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티브이, 오디오 및 비디오 등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상기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도 수동으로 제어하는 단계에서 요즘은 리모트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상기 각 가전기기들의 숫자만큼의 리모트콘트롤러를 가지고 각 가전기기들을 각기 제어하고 있다.
이와같이 다수개의 리모트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하다보니 여러 가지로 불편함점이 많아 최근에는 한 개의 리모트콘트롤러로 다수개의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 통합 리모트콘트롤러가 등장 하였다.
도1은 종래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2는 그 실제모양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시스템을 총괄제어하는 제어부(100)와; 모드절환을 위한 모드절환키부(210)와, 티브이 전용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티브이전용키부(220)와, 공통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공통제어키부(230)로 이루어진 키매트릭스부(20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키매트릭스부(200)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송신하는 데이터발신부(300)와;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키매트릭스부(200)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부(400)와; 상기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0)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장치의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티브이, 비디오 및 케이블티브이를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트콘트롤러를 예를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티브이를 시청중에 비디오를 제어하고 싶으면 모드절환키부(210)에서 비디오를 선택한다.
그러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여 리모트콘트롤러의 제어상태를 비디오 제어모드로 변경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 한다.
이에따라 모드표시부(40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현재 모드상태가 비디오모드임을 표시한다.
이와같이 모드상태가 비디오모드로 변경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비디오 기능이 아닌 입체음향이나 자동영상 등의 티브이전용키부(220)의 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현재의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선택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티브이를 제어한다.
이때, 데이터발신부(30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된 기능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티브이로 발신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채널이나 음량 등의 공통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우선 현재의 모드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기기를 제어한다.
즉, 티브이모드이면 티브이의 채널이나 음량 등을 제어하고, 비디오모드이면 비디오의 채널이나 음량 등을 제어하며, 케이블티브이모드이면 케이블티브이의 채널이나 음량 등을 제어한다.
이와같이 일반적으로 티브이와 비디오 등을 동시에 제어하는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경우 채널선택과 같이 티브이 채널키와 비디오 채널키 모두에 쓰이는 공통키가 있고, 자동영상이나 취침예약 등과 같이 티브이에만 쓰이는 티브이전용키가 있다.
따라서 비디오모드인 경우에도 티브이 전용키를 누르면 현재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티브이를 제어하고, 공통키의 경우에만 현재의 모드상태를 체크하여 해당 기기를 제어한다.
다시말하면 상기의 경우 비디오모드에서 채널키를 선택하면 비디오채널이 바뀌는데, 다시 티브이의 채널을 바꾸고 싶으면 다시 모드상태를 티브이모드로 절환한 다음 채널키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래의 장치는 티브이전용키 등의 특정기기의 전용키는 현재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제어할 수 있는 반면 공통키의 경우에는 현재 모드상태인 기기만을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어떤키는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동작하고, 어떤 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 혼란스러운 문제점이 있었고, 현실적으로 티브이제어를 가장 많이 하고 있는데, 다른 기기 모드에서 티브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항상 모드선택을 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많이 쓰는 기기의 모드를 우선모드로 설정하여 다른 모드상태에서 소정시간이 지나거나 우선모드 전용키를 선택하면 자동으로 우선모드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장 많이 쓰는 기기를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통합리모트콘트롤러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통합리모트콘트롤러의 실제 모양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종래 통합리모트콘트롤러의 제어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 통합리모트콘트롤러의 제어 동작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부 200 : 키매트릭스부
300 : 데이터발신부 400 : 모드표시부
500 : 전원부 210 : 모드절환키부
220 : 티브이전용키부 230 : 공통제어키부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은 신호가 입력되면 모드절환키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결과 모드절환키 입력이면 모드절환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의 판단결과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이면 우선모드 절환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공통제어키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의 판단결과 공통제어키 입력이면 공통키 제어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현재모드를 판단하여 우선모드이면 종료하고, 우선모드가 아니면 우선모드 자동 절환단계를 수행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 진다.
상기 모드 절환 단계는 모드 절환키 입력에 따라 해당 모드로 절환하고, 현재 모드가 우선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우선모드이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자동절환 시간을 설정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선모드 절환단계는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에 따라 우선모드로 절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이후 입력된 키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신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동키 제어단계는 공통키 입력이 있으면 현재 모드가 우선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우선모드이면 다음단계를 수행하고, 우선모드가 아니면 자동 절환 시간을 재설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1 단계의 판단 결과 우선모드이면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신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우선모드 자동 절환 단계는 우선모드가 아니면 우선모드 자동 절환 시간을 다운카운트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시간이 경과 했는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시간이 경과했으면 우선모드로 절환하고, 아니면 종료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하드웨어 구성은 종래와 동일 하므로 리모트콘트롤러를 이용한 제어방법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여러 가지 모드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긱기의 모드를 우선모드로 설정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키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신호가 모드절환키 입력인가를 판단한다.
즉, 티브이 또는 비디오 또는 케이블티브이를 선택하기 위한 키입력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모드절환키 입력이면 해당 모드로 절환하고, 모드표시부(400)를 통해 선택된 모드상태를 표시토록 한다.
그리고 선택된 모드가 우선모드인가를 판단하여 우선모드이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고, 우선모드가 아니면 우선모드 복귀시간 즉, 우선모드 자동절환시간을 설정한다. 이때, 상기 카운트값은 기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모드절환키 입력이 아니면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인가를 판단한다. 즉, 티브이가 우선모드인 경우 자동영상 또는 취침예약 등의 티브이전용키 입력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이면 다른 모드 사용이 끝난 것으로 판단하여 현재의 모드를 우선모드로 절환하고, 선택된 키의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발신한다.
즉, 데이터발신부(300)를 통해 우선모드 기기에 선택된 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신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이 아니면 공통제어키 입력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공통제어키 입력이면 현재 모드상태를 체크하여 우선모드이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선택된 키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해당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발신함과 아울러 우선모드 자동절환시간을 재설정한다.
상기 판단결과 공통제어키 입력이 아니면 현재 키 입력이 없는 상태이므로, 현재 모드상태가 우선모드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현재모드가 우선모드가 아니면 소정시간이 지났는가를 판단한다. 즉, 카운트값이 제로(0)가 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카운트 값이 제로(0) 즉, 설정시간이 경과했으면 우선모드로 자동절환한다.
상기 과정을 간략히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티브이를 우선모드로 설정한 경우, 다른 모드상태에 있으면 소정시간 후에 자동으로 티브이모드로 절환되도록 하고, 티브이전용키를 선택하면 현재 모드상태에 관계없이 티브이모드로 절환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가장많이 사용하는 기기를 우선모드로 설정하도록 하여, 현재모드가 우선모드가 아닌 상태에서는 소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우선모드로 절환되도록 하고,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이 있으면 현재모드상태가 어떤모드이던지 간에 즉시 우선모드로 절환되도록 함으로써 자주 사용하는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신호가 입력되면 모드절환키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판단결과 모드절환키 입력이면 모드절환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판단결과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이면 우선모드절환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공통제어키 입력인가를 판단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판단결과 공통제어키 입력이면 공통키 제어단계를 수행하고, 아니면 현재모드를 판단하여 우선모드이면 종료하고, 우선모드가 아니면 우선모드 자동 절환단계를 수행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절환단계는 모드절환키 입력에 따라 해당 모드로 절환하고 현재모드가 우선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단계의 판단결과 우선모드이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고, 우선모드가 아니면 자동절환시간을 설정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모드 절환단계는 우선모드전용키 입력에 따라 우선모드로 절환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 이후 입력된 키에 따른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신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공통키제어단계는 공통키입력이 있으면 현재모드가 우선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우선모드이면 다음 단계를 수행하고, 우선모드가 아니면 자동절환시간을 재설정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 이후 또는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우선모드이면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발신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모드 자동 절환단계는 현재모드가 우선모드이면 종료하고, 우선모드가 아니면 우선모드 자동 절환시간을 다운카운트 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설정시간이 경과 했는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설정시간이 경과 했으면 우선모드로 절환하고 아나면 종료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KR1019970047659A 1997-09-19 1997-09-19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KR100230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659A KR100230791B1 (ko) 1997-09-19 1997-09-19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659A KR100230791B1 (ko) 1997-09-19 1997-09-19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851A KR19990025851A (ko) 1999-04-06
KR100230791B1 true KR100230791B1 (ko) 1999-11-15

Family

ID=1952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659A KR100230791B1 (ko) 1997-09-19 1997-09-19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79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851A (ko) 199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0803A (en) Multifunctional remote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multiple appliances using the same
US20060044175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 system
KR100288581B1 (ko) 리모콘을 이용한 복수개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KR100352312B1 (ko) 무선 키보드
US20030145322A1 (en) Limiting apparatus of electric machinery
KR100230791B1 (ko) 통합 리모트콘트롤러의 우선모드 제어방법
KR20000021434A (ko) 가전제품 통합 제어 시스템
KR20050020031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48990A (ko) 각 가전기기에 맞는 기능키들을 액정화면에 터치패널로표시하는 통합 리모콘과 통합 원격 제어방법
CN1794802B (zh) 一种改变电视机输出通道设置的装置及其方法
KR101051538B1 (ko) 텔레비전의 외부 입력 전환 장치 및 방법
KR0144199B1 (ko) 메뉴 재배열 방법
KR0135156B1 (ko) 도움말 메세지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3734B1 (ko) 디스플레이 기기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알람 제어 장치 및제어방법
KR19990015936A (ko) 리모콘 잠금/잠금해제장치 및 그 방법
KR960016385B1 (ko) 텔레비전리모콘의 원터치자동채널입력방법
KR200181757Y1 (ko) 버튼기능을임의로설정할수있는카메라
KR100574111B1 (ko) 통합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WO2001088937A1 (en) Limiting apparatus of electric machinery
KR100913018B1 (ko) 디지털 티브이 및 그 입력모드 절환방법
KR200181798Y1 (ko) 피씨시스템의 전원 및 리세트 제어장치
KR100260408B1 (ko) 텔레비젼에 있어서 알람표시방법
KR19980028850U (ko) 죠그 셔틀을 이용한 영상표시 장치의 기능 조정장치 및 방법
JPH1127557A (ja) リモコン操作型電子機器
KR20000015098A (ko) 텔레비젼에서의 설정 상태 복원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