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313B1 - 플랫 탠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 Google Patents

플랫 탠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313B1
KR100229313B1 KR1019970039738A KR19970039738A KR100229313B1 KR 100229313 B1 KR100229313 B1 KR 100229313B1 KR 1019970039738 A KR1019970039738 A KR 1019970039738A KR 19970039738 A KR19970039738 A KR 19970039738A KR 100229313 B1 KR100229313 B1 KR 100229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ire
panel
rai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004A (ko
Inventor
윤해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39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3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17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16Mounting arrangements of aperture plate to frame or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7Aperture plate
    • H01J2229/0738Mitigating undesirable mechanical effects
    • H01J2229/0744Vibration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랫텐션마스크의 진동감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스크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댐퍼와이어의 그림자가 스크린상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 스크린특성 저하를 막아줌과 동시에 마스크 양측의 떨림을 동시에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판넬 내면에 형광스크린이 도포되어 있으며, 전자총이 봉입되어 있는 네크부를 가진 펀넬이 판넬과 결합되고, 판넬내측면에는 레일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에 장변 및 단변방향으로 인장시켜 고정된 새도우마스크 유효면에는 슬롯형 또는 도트형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되는 평면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에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판넬측 마스크면상의 전자빔통과공 사이에 인장시켜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와이어의 양단이 레일에 고정되도록 마스크 유효면과 레일고정부 사이에는 와이어 통과홀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랫 텐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본 발명은 플랫 텐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넬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새도우마스크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댐퍼와이어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면 브라운관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측면에 R,G,B의 형광면(9)이 도포되어 있는 판넬(1)과, 상기 판넬(1)의 후방에 프릿글라스를 이용하여 융착되는 펀넬(2)과, 상기 펀넬(2)의 넥크부(3) 내에 봉입되어 R,G,B 3개의 전자빔(8)을 발사시키는 전자총(7)과, 상기 판넬(1)의 전면에 레진(6)에 의해 장착되는 강화유리(11)와, 상기 판넬(1)의 내측에 결합되어 전자빔(8)의 색선별 기능을 하도록 슬릿형상의 작은구멍이 무수히 형성된 새도우마스크(4)와, 상기 새도우마스크(4)가 판넬(1)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인 레일(5)로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 칼라브라운관은 전자총(7)에서 방사된 전자빔(8)이 색선별전극인 새도우마스크(4) 구멍을 통과하여 판넬(1) 내측면에 도포된 형광스크린(9)에 충돌하며 충돌된 전자빔의 운동에너지는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형광체를 발광시키게 된다.
그러나 충돌된 전자빔(8)의 운동에너지는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을 재현하게 되는데, 이때 새도우마스크(4)의 전자빔 통과공을 통과하는 전자빔은 전체 전자빔의 약 20%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새도우 마스크에 충돌하여 열로 변환되어 새도우 마스크가 열팽창하게 되는 도밍현상이 야기된다.
이러한 도밍현상 및 브라운관의 동작시 스피커의 진동등에 의해 새도우마스크(4)가 떨리는 하울링(HOWLING) 현상이 일정시간 동안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하울링현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브라운관의 동작을 보면 정상동작시에는 전자총(7)에서 방사된 전자는 마스크(4)의 전자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스크린에 정확하게 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마스크(4)가 흔들리게 되면 전자빔(8)이 전자빔통과공을 통과하여 원래 자기위치의 스크린에 어긋나게 도달하게 되어 화질저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 특허 3,638,063에서는 제3도와 같이 세로방향의 마스크홀(Aperture)이 가로방향으로 반복배열되어 있고, 이를 마스크홀 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장력을 인가하여 형성시킨 어퍼쳐 그릴마스크(13)상에 가로방향으로 댐퍼와이어(10)를 탄성스프링(12)을 이용하여 고정시킨후 댐퍼와이어(10)가 새도우마스크와 접촉되도록 하여 마스크의 진동을 저감시키는 구조를 이용하였다.
상기의 어퍼처 그릴 마스크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면 각각의 어퍼처 그릴을 지지해주는 상하의 에지부분은 프레임에 용접을 위해 만들어 지는데, 이 에지부분의 너비는 어퍼처 그릴의 길이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진동에너지의 전달역할만 할 뿐, 진동 특성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어퍼처 그릴은 가느다란 스트링처럼 진동을 하며, 프레임 근처의 에지부분에 장력을 가지고 연결되어 있어 어퍼처가 배열되어있는 평면상에는 좌우로 진동하는 것보다는 그 평면에 수직으로 진동하기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이렇게 각각의 어퍼처 그릴로 구성된 그릴마스크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기 위해서 화면의 질을 저하시키지 않는 굵기의 와이어에 텐션을 인가하여 어퍼처를 가로지른 방향 즉, 마스크의 가로방향으로 상기 와이어를 설치하면 스트링의 진동 형상을 강제적으로 변형시키거나 진동에너지를 소멸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음극선관의 도작시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댐퍼와이어의 그림자가 화면상에 나타나게 되어 스크린 특성이 좋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특허의 문제점인 그림자가 화면상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제4도와 같이 플랫포일마스크에 마스크상의 홀과 홀(15) 사이에 홈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화면의 세로방향으로 진동 방지용 와이어(14)를 인장시키고 마스크에 밀착시킨 후, 상기 와이어(14)를 레일(16)에 고정시킴으로 구성되어 진다.
그러나 와이어(14)가 레일(16)에 용접되어지면 외부충격에 의한 마스크 떨림시간의 감소를 가져오나, 충분하지는 않다. 그 이유로는, 마스크가 진동을 할 때 펀넬방향으로의 진동은 억제되나 판넬 방향으로의 진동은 자유롭게 된다. 즉, 항상 와이어가 마스크와 접착하면서 진동을 억제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새도우마스크의 유효면내에서는 와이어가 마스크의 판넬측 면에 접촉되고, 비유효면에서는 와이어가 마스크의 전자총측 면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비유효면에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와이어 통과홀을 구비함으로서, 외부충격에 의해 마스크가 떨리지 않도록 하면서 마스크와 와이어와의 간섭에 의한 마스크의 여진시간을 감소시키는 진동감쇠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평면 음극선관의 단면도.
제2도는 평면 음극선관의 판넬부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미국 특허 3,638,063에 의한 새도우마스크의 댐퍼와이어 구성도.
제4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댐퍼와이어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댐퍼와이어가 적용된 텐션마스크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a)의 A부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댐퍼와이어가 결합된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마스크의 레일고정부 용접시의 상태도, (b)는 레일의 플랜지부에 직접 용접시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댐퍼와이어 101 : 판넬
103 : 레일고정부 104 : 새도우마스크
105 : 레일 107 : 전자빔통과홀
110 : 와이어통과홀
본 발명을 제5도 및 제6도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구성을 살펴보면 다수의 슬롯형 또는 도트형의 홀을 가지느 얇은 플랫포일 마스크(104)에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텐션을 인가하여 지지프레임인 레일(105)에 고정시켜 판넬(101)과 일정간격을 유지하고, 전자빔이 랜딩되는 마스크유효면(a)의 마스크홀(107)과 홀 사이에 댐퍼와이어(100)를 인장시켜 구성하는 새도우마스크구조에 있어서, 상기 댐퍼와이어(100)는 양끝단이 마스크의 전자총측 면에 접촉되며 레일(105)에 고정되고 새도우마스크의 유효면부(a)와 접촉되는 댐퍼와이어(100)의 중단부는 마스크의 판넬측 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새도우마스크의 유효면(a)과 레일고정부(103) 사이인 마스크 비유효면에는 댐퍼와이어(100)가 관통되는 통과홀(110)을 형성하였다.
이와같이 댐퍼와이어(100)가 새도우마스크(104)의 양면에 접촉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댐퍼와이어(100)는 가로 및 세로 등의 사방으로 텐션이 인가되는 마스크(104)에 부착시켜 외부충격에 의해서 마스크가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로 사용되었으며, 마스크의 유효면(a)에서 그림자가 나타나지 않도록 마스크홀(107)과 홀사이에 위치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댐퍼와이어(100)는 새도우마스크(104)가 판넬측으로 진동되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댐퍼와이어(100)의 양끝단을 마스크(104)의 전자총측 면에 접촉시킨 후, 상기 와이어(100)을 제6도에서와 같이 와이어통과홀(110)을 통과시켜 마스크 유효면부(a)에서 마스크의 판넬측 면에 밀착시킴으로 와이어(100)와 마스크(104)간의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마스크의 여진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6도는 댐퍼와이어(100) 양단을 고정시키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a)는 와이어를 마스크의 레일고정부(103)에 용접고정시켜 마스크 양면에 접촉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같이 댐퍼와이어(100)의 끝부분을 마스크 유효면상에 직접 용접하지 않고 레일의 플랜지부(103')에 용접 부착시킴으로 음극선관 작동시 발생하는 열에너지에 의한 마스크의 열변형을 저감시켜 화면의 왜곡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 진동감쇠장치는 스크린에 진동감쇠소자가 나타나지 않으며 외부충격에 의해 플랫 포일 마스크가 떨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으로, 소자에 의한 스크린 특성 저하를 막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판넬 내면에는 형광스크린이 도포되어 있으며, 전자총이 봉입되어 있는 네크부를 가진 펀넬이 판넬과 결합되고, 판넬내측면에는 레일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에 장변 및 단변방향으로 인장시켜 고정된 새도우마스크 유효면에는 슬롯형 또는 도트형의 전자빔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전자빔통과공 사이에는 하나 이사의 와이어가 마스크면 상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평면브라운관에 있어서,
    상기 새도우마스크의 비유효면에는 와이어가 관통되는 통과홀을 형성하고,
    상기 통과홀에 와이어를 통과시킨 후 와이어를 인장시켜 마스크와 접촉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와이어의 양끝단이 레일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텐션마스크의 진동감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마스크의 레일고정부상에 용접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렛텐션마스크의 진동감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통과홀은 장변부 양단에 각각 복수개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플렛텐션마스크의 진동감쇠장치.
KR1019970039738A 1997-08-20 1997-08-20 플랫 탠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KR100229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738A KR100229313B1 (ko) 1997-08-20 1997-08-20 플랫 탠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738A KR100229313B1 (ko) 1997-08-20 1997-08-20 플랫 탠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004A KR19990017004A (ko) 1999-03-15
KR100229313B1 true KR100229313B1 (ko) 1999-11-01

Family

ID=19517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738A KR100229313B1 (ko) 1997-08-20 1997-08-20 플랫 탠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367B1 (ko) * 2021-11-09 2023-03-16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윤활유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선형 동력 전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106B1 (ko) * 2001-02-09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
KR100730105B1 (ko) * 2001-02-09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균일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프레임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367B1 (ko) * 2021-11-09 2023-03-16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윤활유의 양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선형 동력 전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004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9313B1 (ko) 플랫 탠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JP3942355B2 (ja) 陰極線管のための改良されたフレーム/マスク構造
KR20010039910A (ko) 음극선관용 컬러 선택 마스크
KR100824327B1 (ko) 진동 감소 수단을 가진 텐션 마스크를 구비한 crt
KR100727572B1 (ko) 섀도우 마스크 진동 감쇠기를 가지는 crt
JPH11120933A (ja) カラー陰極線管のアパーチャグリル
KR19990000044A (ko) 플랫 텐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KR100215777B1 (ko) 평면 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진동감쇠장치
KR100224980B1 (ko) 플랫 텐션마스크의 진동 감쇠장치
KR100215786B1 (ko) 평면 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진동감쇠장치
KR100215775B1 (ko) 평면 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진동감쇠장치
KR100269367B1 (ko) 평면 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진동감쇠장치
KR100215772B1 (ko) 평면 브라운관의 섀도우마스크 진동감쇠장치
KR940005209B1 (ko) 평면 칼라브라운관의 섀도우 마스크 진동방지장치
KR100217143B1 (ko) 평면브라운관용 새도우마스크
KR19990086227A (ko) 음극선관의 프레임구조체
KR100232822B1 (ko) 평면 음극선관의 마스크 진동 감쇄 장치
KR100728179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조립체
KR1007301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텐션마스크 조립체
KR100323709B1 (ko) 섀도우 마스크의 진동감쇠 장치
KR20050017927A (ko) 프레임 댐퍼를 갖는 새도마스크/프레임 어셈블리
US20070210690A1 (en) Shockproof device for cathode-ray tube frame/mask set
KR20030012084A (ko) 컬러 음극선관의 섀도우 마스크 진동 저감장치
KR20030064504A (ko) 칼라음극선관용 진동감쇠장치
JPH087777A (ja) スリット付き色識別電極の制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