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9280B1 - 대두박의 아미노산과 무기염을 함유한 진소양 보습 조성물 - Google Patents

대두박의 아미노산과 무기염을 함유한 진소양 보습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9280B1
KR100229280B1 KR1019960072475A KR19960072475A KR100229280B1 KR 100229280 B1 KR100229280 B1 KR 100229280B1 KR 1019960072475 A KR1019960072475 A KR 1019960072475A KR 19960072475 A KR19960072475 A KR 19960072475A KR 100229280 B1 KR100229280 B1 KR 100229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ino acid
skin
moisturizing
composition
acid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2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3376A (ko
Inventor
진기홍
이민선
김보라
김형석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60072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928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3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9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011Hydrolysed prote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3Liquid-solid separation, e.g. centrifugation, sedimentation or crystalliz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두박의 수용성 단백질을 판크레아틴으로 분해시켜 얻은 아미노산과 NaCl, CaCl22H2O, MgCl26H2O 및 K2HPO2으로 이루어진 복합 아미노산 농축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소양 보습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두박의 수용성 단백질을 판크레아틴으로 분해시켜 얻은 아미노산과 NaCl, CaCl22H2O, MgCl26H2O 및 K2HPO2으로 이루어진 복합 아미노산 농축액과 히알루론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보습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보습기능뿐만 아니라 가려움증을 없애주는 항소양, 진소양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두박의 아미노산과 무기염을 함유한 진소양 보습조성물
본 발명은 피부의 가려움증을 억제하고 동시에 피부보습기능을 높이는 진소양 보습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생체는 생명체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로 대부분 구성되어 있다. 정상 피부에서의 수준은 체내에 70%, 각질층에 20%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의 탄력성 및 유연성을 지탱해 준다. 각질층의 수분이 10%이하일 경우, 피부는 건성화되고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 각질층은 항상 일정한 수분을 보유하면서 외부자극에 의한 수분손실을 막아주는 차단기능을 하고 건강 유지역할을 담당한다. 그 결과, 각질층의 수분은 NMF(자연보습인자)로 불리우는 생체 성분의 복합체와 표피지질에 의한 균형이 유지되며, 이들에 의해 싱싱하고 매끈거리며, 촉촉하고, 함초롬한 감촉과 같은 보습효과를 피부에 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생체의 수분함량은, 첫째로 저온, 저습, 건조, 바람, 자외선, 과산화 지질등의 외부요인, 둘째로 스트레스 등의 내부요인, 셋째로 노화를 수반한 피부의 쇠퇴에 따라 함량저하가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업문명이 고도화, 고령화 추세인 현대사회에서는 피부가 악조건 하에 노출될 기회가 많아져서 각질 수분을 보통 20%이상 보유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피부 각질층의 수분함량이 10%이하로 오래 지속될 경우에 생체유지기능이 균형을 잃게 되어 피부가 꺼칠꺼칠해지고, 피부가 가려워지는 소양증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소양증상이 심화될 경우에 습진을 동반한 피부질환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소양성 피부질환은 나이와 유전적 특성에 따라 자각증상 및 병변정도가 개인에 따라 차이가 심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노인이나 건조피부 민감성 사람인 경우에는 적절한 피부보호제, 즉 보습기능과 소양을 억제할 수 있는 약제를 사용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과거에는 진소양제로서 스테로이드제 및 항히스타민제 등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들 제제는 일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노인성 소양증, 아토피성 피부염, 습진, 심마진 등의 소양성 피부질환 등에는 크게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피부각질층에는 고유의 천연보습인자가 상존하는데, 그 조성을 분석해 보면 하기 표1에 명시된 바와 같이 유리아미노산이 40%를 차지하고 있다. 다시 말해, 피부의 주된 보습인자는 아미노산이며 부수적으로 PCA-Na, 락트산, 요소, 무기염, 당류 등이 복합적으로 보습기능을 상승시키면서 서로 보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기 표1은 NMF 조성성분 중 무기염의 조성을 보여준다.
[표 1]
NMF의 조성성분비와 무기염의 조성비
이에 따라, 아미노산을 이용한 항소양, 진소양 조성물에 관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다구찌시게루 등이 특허출원한 WO 921018 에 Zn-아미노산 콘쥬케이트를 주원료로한 진소양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순수 아미노산에 Zn을 붙여 결정화시킨 것으로서 물에 작 녹지 않고, 주로 유기용매에서 잘 용해되는 단점이 있고, 그 효과가 높지 않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부에 보습 효과를 주면서 부작용이 적으며 가려움증에 직접 작용하여 즉효성이 있는 진소양 보습조성물에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두박의 수용성 단백질을 판크레아틴으로 분해시켜 얻은 아민노산과 NaCl, CaCl22H2O, MgCl26H2O 및 K2HPO2로 이루어진 복합 아미노산 농축액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소양 보습조성물에 제공한다. 복합아미노산 농축액의 바람직한 양은 5 내지 20중량%이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대두박의 수용성 단백질을 판크레아틴으로 분해시켜 얻은 아미노산과 NaCl, CaCl22H2O, MgCl26H2O 및 K2HPO2으로 이루어진 복합 아미노산 농축액과 히알루론산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용 보습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된 아미노산은 식용유 부산물인 대두박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대두박의 수용성 단백질을 용해시킨 후 얻어진 수용성 단백질을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다음 얻어진 단백질 추출액에 단백질 분해요소인 판크레아틴 적당량을 첨가하여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아미노산 농축액은 식용유 부산물인 대두박을 증류수와 혼합하여 대두박의 수용성 단백질을 용해시키고 얻어진 수용성 단백질을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추출한 다음 얻어진 단백질 추출액에 단백질 분해효소인 판크레아틴 적당량을 첨가하여 대두박의 천연 아미노산을 제조한 후 얻어진 아미노산에 NaCl, CaCl22H2O, MgCl26H2O 및 K2HPO2첨가하고 얻어진 혼합액을 농축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병의 1차 요인으로 각질층의 NMF가 그 기능을 상실한 경우, 피부의 수분 함량이 저하되고, 이러한 피부 건조상태가 장기화되는 경우, 피부 소양증을 동반한 각종 피부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는 사실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였다. 또한,NMF의 주요성분인 아미노산은 피부 각질층의 보습 기능의 유지에 없어서는 안될 성분이므로, 이를 각종 유전성 건조 피부 및 일반 건성 피부에 사용할 경우 피부 소양증 등의 각종 피부 질환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건성 피부를 정상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천연 식물성 식용유로부터 대두박의 단백질을 추출한 다음, 얻어진 추출액을 적절한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일차로 천연의 보습인자인 아미노산 농축액을 추출하고, 무독성 아미산의 원료로 제조한 후, 이의 보습기능 및 항소양 기능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선해 특허출원과 달리, 단순한 Zn-아미노산 콘쥬게이트에 의한 진소양 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표 1에 나타낸 각질층의 NMF 성분중 무기염을 아미노산 농축액에 함유시켜 복합 아미노산에 의한 보습효과의 상승을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 NMF 성분중 무기염을 아미노산 농축액에 적절히 배합하므로서, 보습효과외의 피부에 가려움 증상 등이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무기염원료로 상기 표1에 나타낸 무기염 성분을 기준으로 하여 Na및 Cl은 NaCl을, Ca 및 Mg는 CaCl22H2O, MgCl26H2O를 사용하였고, K 및 PO4는 K2HPO4를 사용하였다. 또한, 천연 식물성 식용 단백질의 대두박에서 추출한 추출액을 처리하는 단백질 분해효소원으로는 돼지 췌장에서 분리한 판크레아틴(Pancreatin : sigma사에서 시판)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 천연 복합 아미노산 농축액의 제조
식용유공장에서 콩기름의 부산물로 발생하는 대두박을 증류수에 15중량% 되게 혼합한 다음, 약 30분 동안 서서히 저어주면서, 수용성 단백질을 용해시킨다. 이어서, 10,0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불용물질을 가라앉히고 상등액을 따라 낸다. 얻어진 상등액 5N NaOH로 pH를 7.4로 조정하고, 판크레아틴을 적당량 첨가하여 4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이어서, 반응액을 자기 고열판상에 넣은 후, 저어주면서 90℃까지 가열하여 반응액을 농축한 다음 아미노산의 농축액을 제조한다.
이어서, 얻어진 아미노산의 농축액 80g을 비이커에 넣고, 8g의 NaCl, 3g의 CaCl22H2O, 3g의 MgCl26H2O 및 6g의 K2HPO2를 순서대로 첨가하여, 40℃에서 잘 혼합한 후, 최종 부피가 100㎖가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고 다시 10분간 혼합하여 복합 아미노산 농축액을 제조한다.
[실시예 2] : 가려움 예방효과 실험
가려움 예방효과 실험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엘러지성 가려움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시트로넬랄(Citronellal)향을 가지고 가려움 유발실험을 행하였다.
우선 증류수에, 시트로네랄 향 0.1w/v%, SLES(쇼듐 라우릴 에테르술페이트) 0.02w/v% 및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복합 아미노산의 농축액을 첨가하지 않은 것과, 농도별로 각각 5w/v%, 10w/v%, 20w/v%을 첨가하여 제조한 시료들을 각각 시료 1, 2, 3, 4로 구분한다. 이어서, 건강한 남녀(20세 -40세 사이)를 각각 10명씩 총 20명을 폐쇄첩포하고, 7시간 후의 가려움 정도를 관능적으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2에서의 가려움 환화율(%)은 총피검자에 대한 가려움이 없는 사람수의 백분율로 나타냈다.
[표 2]
아미노산의 농축액 농도에 따른 가려움 완화율
상기 표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미노산 농축액을 5%사용하였을 때 65% 정도가 가려움 완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아미노산 농축액을 10%이상 사용하더라도 가려움 완화 효과가 크게 증가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 아미노산 농축액의 피부 보습효과 실험
우선, 원료 자체의 보습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일반 보습제인 글리세롤 및 히알루론산과 비교 평가하였다.
먼저, 8%의 글리세롤, 1%의 히알루론산, 5%의 아미노산 농축액을 제조한 후, 중건성 피부를 가진 피보험자 10명(20 - 40세 남녀)을 선정하여 Corneometer CM 820 (C +Keletronics 사 제작)으로 피부보습을 조사하였다. 먼저 각 시료를 팔의 상박부에 도포하기 전에 피부 보습을 조사하고, 시료를 30ul 씩 바르고 2시간 후의 보습력을 조사하였다. 보습력은 바른후의 보습력에 바르기 전의 보습력의 차이로 계산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보습제의 수분증가량에 따른 보습력 비교
상기 표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5%의 아미노산의 보습력은 상대적으로 글리세롤이나 히알루론산보다 낮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1%의 히알루론산과 5%의 아미노산 농축액을 1:1로 혼합하여 보습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보습력은 매우 증가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아미노산 농축액 그 자체로는 보습력이 크지 않지만 타 보습제와 혼용할 경우 보습 상승효과를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의 가려움증을 억제하고 동시에 피부보습기능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밝혀졌다.

Claims (3)

  1. 대두박의 수용성 단백질을 판크레아틴으로 분해시켜 얻은 아미노산과 NaCl, CaCl22H2O, MgCl26H2O 및 K2HPO2으로 이루어진 복합 아미노산 농축액을 포함한 특징으로 하는 진소양 보습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을 추가로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소양 보습 조성물.
  3. 제5항에 있어서, 복합아미노산 농축액의 양이 5 내지 20중량%인 진소양 보습 조성물.
KR1019960072475A 1996-12-26 1996-12-26 대두박의 아미노산과 무기염을 함유한 진소양 보습 조성물 KR100229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475A KR100229280B1 (ko) 1996-12-26 1996-12-26 대두박의 아미노산과 무기염을 함유한 진소양 보습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2475A KR100229280B1 (ko) 1996-12-26 1996-12-26 대두박의 아미노산과 무기염을 함유한 진소양 보습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376A KR19980053376A (ko) 1998-09-25
KR100229280B1 true KR100229280B1 (ko) 1999-11-01

Family

ID=1949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2475A KR100229280B1 (ko) 1996-12-26 1996-12-26 대두박의 아미노산과 무기염을 함유한 진소양 보습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92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751B1 (ko) 2004-10-18 2006-03-14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4948A (ko) 2019-08-26 2021-03-08 박성아 누시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8751B1 (ko) 2004-10-18 2006-03-14 주식회사 태평양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4948A (ko) 2019-08-26 2021-03-08 박성아 누시페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376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33243B2 (ja) 蛋白分画、その単離法、該蛋白分画を含有する有効物質濃縮物、及び該蛋白分画を含有する、皮膚手入れ及び/又は炎症性皮膚病の治療用製剤
JPH08231370A (ja) 皮膚化粧料
KR102156898B1 (ko) 유산균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산화, 항염, 피부장벽 강화 및 피부흡수 기능을 개선한 섭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EP0289366A1 (fr) Produit comprenant un composé organique du silicium combiné avec une substance cosmétiquement active
KR102171174B1 (ko) 락토바실러스 펜토수스의 미용학적 및 약제학적 용도
Harrat et al. Anti-hypertensive, anti-diabetic, hypocholesterolem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prickly pear nopalitos in type 2 diabetic rats fed a high-fat diet
EP2737893A1 (en) Tyrosinase inhibitor produced using dried earthworm powd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05097216A1 (en) Compositions containing copper salts and soy products
CN109091422A (zh) 含榆黄菇提取液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9394619A (zh) 一种抗头皮与头发衰老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514014A (zh) 护肤组合物
KR20160123619A (ko) 바다제비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2006273734A (ja) 腐植、腐植抽出液および保湿液、なら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
JPH08294395A (ja) 赤血球を原料とするスフィンゴミエリンおよびセラミドの新規製造方法とセラミド配合治療剤又は化粧品
KR20200108616A (ko) 캐비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조방법
KR20050110720A (ko)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229280B1 (ko) 대두박의 아미노산과 무기염을 함유한 진소양 보습 조성물
JP2618658B2 (ja) 皮膚化粧料
Carruthers et al. Biochemistry and physiology of epidermis
KR101618726B1 (ko) 명태껍질로부터 엘라스틴을 포함하는 단백질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150076999A (ko)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굴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472919B1 (ko) 수용성 미백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Traub et al. Melanin and tyrosinase association in normal and pathological skin pigmentation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CN113208947A (zh) 一种抗衰保湿组合物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