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7755B1 -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7755B1
KR100227755B1 KR1019970039473A KR19970039473A KR100227755B1 KR 100227755 B1 KR100227755 B1 KR 100227755B1 KR 1019970039473 A KR1019970039473 A KR 1019970039473A KR 19970039473 A KR19970039473 A KR 19970039473A KR 100227755 B1 KR100227755 B1 KR 10022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efrigerator door
yoke
rod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9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788A (ko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39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755B1/ko
Publication of KR19990016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7Pressure equal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도어(100)에 부착된 그립(110)의 배면과 도어(100)의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며 상부 및 하부에는 수평 절곡부(1,2)를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한 수평 절곡부(1,2)의 사이에는 레버(5)를 수직으로 부착시킨 요크(10)와, 상기한 요크(10)로부터 수평으로 연결되어 요크(10)의 이동에 따라 선단이 냉장고 도어(100)의 배면으로부터 출몰하며 외주면으로는 압축 코일스프링(15)을 구비한 로드(20)와, 상기한 로드(20)의 선단에 부착되어 로드(20)의 출몰에 따라 가스켓(90)을 압축시키도록 한 장방형의 가압판(30)으로 이루어져 냉장고 도어(100)의 개방과정에서 파지시 레버(5)에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로드(20)의 선단에 부착된 가압판(30)이 도어(100)와 본체간의 사이에 개재된 가스켓(90)의 일부를 압축시켜 가스켓(90)과 본체간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함으로써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하는 한편, 이에 따라 부압에 의한 냉장고 도어(100)의 개방장애를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과정에서 레버에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로드의 선단에 부착된 가압판이 도어와 본체간의 사이에 개재된 가스켓의 일부를 압축시켜 가스켓과 본체간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한편, 이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부압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개방장애를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에 의해 압축된 냉매가 냉각기로부터 증발하는 과정에서 인접한 공기의 열을 흡수하여 온도를 강하시키고, 이러한 과정에 따라 냉각된 공기를 냉동실 및 냉장실의 배면에 구비한 순환팬의 구동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토출시킨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에 의해 통상적인 구조의 냉장고에서는 냉동실의 온도가 -18℃를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냉장실은 0℃에서 9℃의 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냉동실에 저장된 음식물을 냉동시키거나 냉장실의 음식물이 저온으로 저장되도록 하여 음식물의 변질이나 신선도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냉동실 및 냉장실의 정면으로부터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도어는 본체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할 경우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동시에, 외부의 더운 공기가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를 상승시킴에 따라 전기소모를 증가시키고, 내부에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저하시키게 되므로 냉장고의 본체와 도어간의 사이에는 가스켓을 개재시킨다.
여기에서 상기한 가스켓은 통상적으로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연질의 고무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 일측으로는 도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돌기(9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돌기(91)의 대향면으로는 마그네틱(95)이 삽입되도록 사각 중공부(93)가 형성되며, 또한 도어의 형상과 같이 장방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도어의 배면에 고정 부착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가스켓(90)은 도어를 닫은 경우 마그네틱(95)의 자기력에 의해 냉장고 본체와 정확히 흡착됨으로써 도어와 본체간의 간극 형성을 억제하여 냉동실 및 냉장실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냉장고는 통상적으로 실내에 설치함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의 온도는 실내, 즉 외부의 온도보다 낮은 상태를 갖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할 경우에는 공기의 순환에 따라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한편, 외부의 더운 공기가 냉동실 및 냉장실로 유입됨으로써 내부의 온도가 급상승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냉장고에서는 도어의 개폐직후 냉각 시스템의 동작에 따라 냉기를 토출시킴으로써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 온도를 설정한 온도까지 강하시키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 온도가 설정한 온도까지 강하할 경우에는 냉각 시스템이 동작이 정지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냉동실 및 냉장실의 냉각과정에서 냉동실 및 냉장실은 도어와 본체간의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90)과 마그네틱(95)에 의해 완전히 밀폐됨으로써 외부와의 공기 유통이 차단된 상태를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냉각 시스템의 가동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의 내부 온도가 강하되면 냉동실 및 냉장실의 공기가 수축되어 냉장고의 외부에 작용하는 대기압과의 압력차에 의해 부압(negative pressure)이 발생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시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며,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 냉장고 도어를 무리하게 개방시킬 경우에는 가스켓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냉장고 도어의 개방과정에서 레버에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로드의 선단에 부착된 가압판이 도어와 본체간의 사이에 개재된 가스켓의 일부를 압축시켜 가스켓과 본체간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한편, 이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부압에 따른 냉장고 도어의 개방장애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냉장고 도어에 부착된 그립의 배면과 도어의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며 상부 및 하부에는 수평 절곡부를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한 수평 절곡부의 사이에는 레버를 수직으로 부착시킨 요크와, 상기한 요크로부터 수평으로 연결되어 요크의 이동에 따라 선단이 냉장고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출몰하며 외주면으로는 압축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로드와, 상기한 로드의 선단에 부착되어 로드의 출몰에 따라 가스켓을 압축시키도록 한 장방형의 가압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냉장고 도어의 기밀을 위해 설치하는 가스켓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수평 절곡부 1A : 나사공
5 : 레버 5A : 나사부
10 : 요크 15 : 압축 코일스프링
20 : 로드 30 : 가압판
90 : 가스켓 100 : 도어
110 : 그립(grip)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50)는, 냉장고 도어에 부착되어 냉장고 도어의 개폐시 파지공간을 제공하도록 한 그립의 배면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방과정에서 레버에 가해진 가압력을 이용하여 가스켓을 압축시켜 가스켓과 냉장고 본체간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냉동실 및 냉장실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냉동실과 냉장실에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그립의 배면과 도어의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는 요크(10)와, 상기한 요크(10)의 이동에 따라 냉장고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출몰하도록 한 로드(20)와, 상기한 로드(20)의 선단에 부착되어 가스켓을 가압시키도록 한 가압판(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요크(10)는 파지에 따른 가압력이 작용하도록 한 레버(5)를 선단을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한 레버(5)에 가해진 가압력을 로드(20)에 전달하여 냉장고 도어의 배면으로부터 로드(20)를 출몰시키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부 및 하부에는 레버(5)의 고정을 위해 수평 절곡부(1,2)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수평 절곡부(1,2)중 상부의 수평 절곡부(1)에는 레버(5)의 나사부(5A)가 체결되도록 나사공(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에는 레버(5)가 삽입되도록 관통공(2A)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레버(5)의 결합시에는 하부의 수평 절곡부(2)에 형성된 관통공(2A)으로 레버(5)를 삽입시킨 다음, 레버(5)의 나사부(5A)를 상부에 형성된 수평 절곡부(1)의 나사공(1A)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며, 계속해서 배면의 관통공(10A)으로는 로드(20)가 수평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로드(20)는, 선단을 통해 연결된 요크(10)의 이동에 따라 냉장고 도어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출몰하도록 한 것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도어(100)에 형성된 관통공(101)을 통해 삽입되어 선단 일측을 통해 연결된 요크(10)에 의해 도어(100)의 배면으로부터 출몰하게 되며, 또한 요크(10)가 결합된 로드(20)의 대향면으로는 가압판(30)을 부착시킨다.
상기한 가압판(30)은 로드(20)의 이동에 따라 가스켓을 가압시킴으로써 냉동실 및 냉장실을 냉장고의 외부와 연통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의 기압이 냉장고 외부에 작용하는 대기압과 평형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내측에 관통공(21)을 갖는 장방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정면으로는 로드(20)의 외주면에 결합된 압축 코일스프링(15)이 밀착됨으로써 압축 코일스프링(15)의 탄성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가압판(30)은 요크(10)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압축 코일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도어(100)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된 상태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냉장실 도어에 설치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50)는, 냉장고 도어(100)의 정면 일측에 부착되어 냉장고 도어(100)의 개폐시 파지공간을 제공하도록 한 그립(110)의 후방에 설치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냉장고 도어(100)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그립(110)의 결합에 앞서 냉장고 도어(100)에 관통공(101)을 수평으로 형성한 다음, 상기한 관통공(101)의 내측에 요크(10)와의 결합이 완료된 로드(20)를 삽입시키며, 냉장고 도어(100)의 배면을 통해 돌출된 로드(20)의 외주면 선단으로는 압축 코일스프링(15)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용접등의 방법으로 가압판(30)을 부착시킨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은, 레버(5)에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가압판(30)과 도어(100)의 배면사이에 결합된 압축 코일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판(30)이 도어(100)의 배면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도어(100)에 부착된 가스켓(90)은 자체의 탄성과 마그네틱(95)의 자기력에 의해 냉장고 본체와 밀착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냉장실을 밀폐시키는 한편, 이에 따라 냉장실로부터 냉기의 누출과 외기의 유입을 차단시킨다.
또한, 이와 반대로 냉장고 도어(100)의 개방을 위해 그립(110)을 파지할 경우에는 상기한 그립(110)의 배면과 도어(100)간의 사이에 요크(10)가 개재된 관계로 그립(110)의 파지과정에서 요크(10)의 레버(5)가 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로드(20)는 화살표와 같이 +도어(100)의 전방으로 이동을 한다.
따라서, 상기한 로드(20)의 선단에 부착된 가압판(30)은 정면을 통해 밀착된 가스켓(90)을 압축시켜 가스켓(90)의 일부를 냉장고의 본체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냉장고 본체와 가스켓(90)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냉장실과 냉장고의 외부는 상기한 간극을 통해 연통된 상태를 갖게 되므로 대기압이 작용하는 냉장고의 외부로부터 부압이 작용하는 냉장실의 내부로 외기가 인입됨으로써 냉장고의 외부와 냉장실은 균일한 압력분포를 갖게 되어 부압에 따른 도어(100)의 개방장애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어(100)의 개방이 완료되어 요크(1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면 도어(100)의 배면과 가압판(30)간에 개재된 압축 코일스프링(15)의 탄성에 의해 가압판(30)은 도어(100)의 배면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갖는 한편, 가스켓(90)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됨으로써 가스켓(90)은 자체 탄성에 따른 복원력에 의해 초기의 상태로 복귀되어 도어(100)의 폐쇄시 냉장실의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50)는, 냉장고 도어(100)의 개방과정에서 레버(5)에 전달되는 가압력에 의해 로드(20)의 선단에 부착된 가압판(30)이 도어(100)와 본체간의 사이에 개재된 가스켓(90)의 일부를 압축시켜 가스켓(90)과 본체간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는 한편, 이에 따라 냉동실 및 냉장실에 대기압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부압에 따른 냉장고 도어(100)의 개방장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도어(100)의 개방장애에 의한 가스켓(9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냉장고 도어(100)에 부착된 그립(110)의 배면과 도어(100)의 사이에 수직으로 개재되며 상부 및 하부에는 수평 절곡부(1,2)를 각각 형성시키고, 상기한 수평 절곡부(1,2)의 사이에는 레버(5)를 수직으로 부착시킨 요크(10)와, 상기한 요크(10)로부터 수평으로 연결되어 요크(10)의 이동에 따라 선단이 냉장고 도어(100)의 배면으로부터 출몰하며 외주면으로는 압축 코일스프링(15)을 구비한 로드(20)와, 상기한 로드(20)의 선단에 부착되어 로드(20)의 출몰에 따라 가스켓(90)을 압축시키도록 한 장방형의 가압판(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요크(10)는 상부의 수평 절곡부(1) 내측에 나사공(1A)을 형성하고, 상기한 상부의 수평 절곡부(1)와 결합되는 레버(5)의 선단 상부에는 나사부(5A)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KR1019970039473A 1997-08-20 1997-08-20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KR100227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473A KR100227755B1 (ko) 1997-08-20 1997-08-20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9473A KR100227755B1 (ko) 1997-08-20 1997-08-20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88A KR19990016788A (ko) 1999-03-15
KR100227755B1 true KR100227755B1 (ko) 1999-11-01

Family

ID=1951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9473A KR100227755B1 (ko) 1997-08-20 1997-08-20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7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0287215B2 (en) 2009-08-28 2013-10-03 Nuc Electronics Co., Ltd. Juicer module and vertical screw juicer
KR101270140B1 (ko) 2012-11-09 2013-05-3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모듈
KR101300464B1 (ko) 2013-01-14 2013-08-28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원액기용 착즙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788A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755B1 (ko) 냉장고 도어의 보조 개방장치
CN112460888B (zh) 一种超低温冰箱
CN110806050B (zh) 一种气压平衡装置及使用该气压平衡装置的冷藏装置
CN220153048U (zh) 一种冰箱门端盖结构
KR100214621B1 (ko) 냉장고의 드레인 파이프
JP3229671B2 (ja) 冷凍庫
KR200287378Y1 (ko) 김치저장고의 내부케이스 구조
US20200200455A1 (en) Refrigerator cooling system
KR200210882Y1 (ko) 신축 이음관을 구비한 김치냉장고의 열교환기 구조
WO2017183645A1 (ja) 冷蔵庫
CN215638201U (zh) 一种密封性强防结霜的商用冰柜
KR100433122B1 (ko) 김치저장고 도어의 증발관 설치를 위한 관 구조
CN219301132U (zh) 饮品快速制冷器
KR20030092885A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구조
KR100780723B1 (ko) 냉장고 도어의 손잡이 구조
CN116222071A (zh) 一种冰箱
KR200217763Y1 (ko) 냉장고도어의개스킷
KR0139259Y1 (ko) 냉장고
KR100454051B1 (ko) 도어와 도어커버의 변형 방지 구조
KR0125547Y1 (ko) 냉장고의 기계실부 커버구조
KR200278533Y1 (ko) 냉장고의도어열림장치
KR200217539Y1 (ko) 냉장고
KR200328247Y1 (ko) 직냉식 냉장고의 히터팩
KR20020000283A (ko) 김치냉장고의 내,외측 케이스조립구조
KR200278168Y1 (ko) 김치저장고의 외기 온도센서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