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907B1 - Liquid type prin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iquid type prin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907B1
KR100224907B1 KR1019970033539A KR19970033539A KR100224907B1 KR 100224907 B1 KR100224907 B1 KR 100224907B1 KR 1019970033539 A KR1019970033539 A KR 1019970033539A KR 19970033539 A KR19970033539 A KR 19970033539A KR 100224907 B1 KR100224907 B1 KR 100224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electrode
drum
electrode unit
develop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35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9990010695A (en
Inventor
김유만
안세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907B1/en
Publication of KR19990010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6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9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for wetting the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6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potential of the developing electrod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58Liquid developer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각각 독립적으로 전위가 인가되도록 된 다수의 픽셀을 갖는 현상매체에 의해 잠상(latent image)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습식 인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Disclosed is a we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a latent image by a developing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each having a potential applied thereto.

이 개시된 습식 인쇄장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현상드럼과; 현상드럼 내에 위치된 제1전극유니트와; 현상드럼에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기통과; 현상기통 내에 수용되며, 토너와, 이 토너를 운반하는 캐리어가 혼합되어 된 현상액과; 제1전극유니트와의 사이에 위치된 현상액이 선택적으로 현상드럼에 묻도록 하는 제2전극유니트와; 현상드럼에 밀착된 채로 회전되도록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현상드럼의 표면에 묻은 토너가 인쇄용지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closed wet print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A developing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electrode unit located in the developing drum; A developing cylinder disposed to face the developing drum; A developing solution accommodated in a developing cylinder and mixed with toner and a carrier for carrying the toner; A second electrode unit for selectively depositing a developer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developing drum; It is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rotat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developing drum, the transfer roller to transfer the toner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to the printing pap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escription

습식 인쇄장치{Liquid type printing apparatus}Liquid type printing apparatus

본 발명은 각각 독립적으로 전위가 인가되도록 된 다수의 픽셀을 갖는 현상매체에 의해 잠상(latent image)를 형성할 수 있도록 된 습식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forming a latent image by a developing medium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each having a potential to be applied independently.

일반적으로, 습식 인쇄장치는 소정 전위로 대전된 감광매체에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화상형성부를 감광시킴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형성하고, 감광매체에 이웃되게 이격 배치되고 다른 전위로 대전된 현상롤러와 상기 감광매체 사이에 토너를 공급하여 전기적 성질에 의해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토너가 달라 붙도록 한다.In general, a wet printing apparatus forms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by scanning a laser beam on a photosensitive medium charged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to expose an image forming unit, and is formed with a developing roller spaced apart from the photosensitive medium and charged to another potential. Toner is supplied between the photosensitive media so that the toner selectively adheres to the image forming unit due to electrical properties.

이와 같은 습식 인쇄장치는 레이저 빔을 이용하므로, 레이저를 주사하기 위한 레이저 주사장치를 요구한다. 이 레이저 주사장치는 고정도의 광학적 배치를 요구하며,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Since such a wet printing apparatus uses a laser beam, a laser scanning apparatus for scanning a laser is required. This laser scanning device requires a high precision optical arrangement and has a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종래의 일 방안으로 감광매체에 2차원 배열 구조의 픽셀전극을 구비하여 레이저 주사장치를 배제할 수 있도록 된 습식 인쇄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a wet printing apparatus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laser scanning apparatus can be excluded by providing a pixel electrode having a two-dimensional array structure in a photosensitive medium.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습식 인쇄장치는 이차원 배열 구조의 픽셀전극(11)을 갖는 현상플레이트(10)와, 토너(41)와 캐리어(43)를 포함하는 현상액(40)과, 이 현상액(40)이 수용되는 현상기통(20)과, 상기 현상플레이트(10)에 대해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상기 현상기통(20) 내에 배치된 공통전극 플레이트(30)와, 상기 현상플레이트(10)의 일면에 형성된 화상을 인쇄용지(1)에 전사하기 위해 상기 현상플레이트(10)에 접촉되도록 배치된 전사롤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conventional wet printing apparatus includes a developing plate 10 having pixel electrodes 11 having a two-dimensional array structure, a developing solution 40 including a toner 41, and a carrier 43. And a developing cylinder 20 in which the developer 40 is accommodated, a common electrode plate 30 disposed in the developing cylinder 2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developing plate 10, and the developing plate ( And a transfer roller 80 arranged to contact the developing plate 10 so as to transfer the imag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sheet 10 onto the printing paper 1.

상기 현상플레이트(10)는 그 일부분을 이루는 데이터 입력 레지스터(13)를 통해 화상신호가 입력되면, 이 화상신호에 따라 상기한 픽셀전극(11) 각각을 독립적으로 온(ON)시켜 픽셀전극(11)에 일정한 전압이 걸리도록 한다. 이때, 걸리는 전압은 상기 토너(41)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을 가진다. 상기 공통전극 플레이트(30)는 통상 접지된다. 따라서, 상기 현상플레이트(10)와 상기 공통전극 플레이트(30)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고, 상기 현상액(40) 내의 토너(41)는 전기적인 힘에 의해 온(ON) 상태의 픽셀전극에 달라붙는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현상을 전기영동(electrophoresis)이라 한다. 상기 픽셀전극(11)에 달라붙는 토너의 양은 상기 픽셀전극에 걸리는 전압 및 온 시간에 의해 조절된다.When the image signal is input through the data input register 13 constituting a part thereof, the developing plate 10 independently turns on each of the pixel electrodes 11 according to the image signal to turn on the pixel electrode 11. ) To make constant voltage. At this time, the applied voltage has a polarity opposite to that of the toner 41. The common electrode plate 30 is usually grounded. Thus, an electric field is formed between the developing plate 10 and the common electrode plate 30, and the toner 41 in the developing solution 40 adheres to the pixel electrode in an ON state by an electrical force. . This physical phenomenon is called electrophoresis. The amount of toner sticking to the pixel electrode 11 is controlled by the voltage and on time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상기 현상기통(20) 내에는 상기 현상액이 상기 현상플레이트(10)와 상기 공통전극 플레이트(30) 사이에 유입되도록 상기 현상액(40)을 유동시키는 프로펠러(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플레이트(10)에 묻은 이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현상플레이트(10)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크리닝롤러(6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현상기통(20)의 상기 현상액(40)이 주입된 공간 외부에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현상액(40)이 상기 현상기통(20)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단속하기 위한 구조물(70)이 설치된다.In the developing cylinder 20, a propeller 50 for flowing the developing solution 40 so that the developing solution flows between the developing plate 10 and the common electrode plate 30 is provided. In addition, a cleaning roller 60 which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developing plate 10 is installed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from the developing plate 10. In addition, outside the space in which the developer 40 of the developing cylinder 20 is injected, a structure 70 for intermittently preventing the developer 40 from flowing out of the developing cylinder 20 by the flow of air is provided. Is installed.

상기 전사롤러(8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영동에 의해 상기 현상플레이트(10)에 묻은 화상을 인쇄용지(1)에 전사시키기 위한 롤러로, 화상의 전사가 용이하도록 상기 토너(41)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으로 대전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ransfer roller 80 is a roller for transferring the image deposited on the developing plate 10 by electrophoresis onto the printing paper 1, so that the transfer of the image is facilitated. It is charged with the opposite polarity.

상기 현상플레이트(10)는 상기 현상기통(20)과 상기 전사롤러(80) 상에 왕복 직선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공통전극 플레이트(30)와의 사이에서 형성된 화상이 상기 전사롤러(80)에 의해 제공되는 인쇄용지(1)에 전사되도록 한다.The developing plate 10 is installed to reciprocate linearly on the developing cylinder 20 and the transfer roller 80 so that an image formed between the common electrode plate 30 is formed by the transfer roller 80. It is to be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aper (1)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습식 인쇄장치는 현상플레이트에 다수의 픽셀전극을 포함하므로써 레이저 스캔 유니트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어서, 구성이 간단하다는 이점이 있다. 반면, 이 습식 인쇄장치는 A4 크기의 종이에 해상도 300dpi 급의 인쇄를 위해 현상플레이트는 대략 2,500×3,500=8,750,000개의 픽셀전극과 구동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야 하므로, 현상플레이트의 제작이 매우 어렵다. 또한, 상기 현상플레이트가 왕복운동을 하므로 상기 현상플레이트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structed wet printing apparatus can eliminate the use of the laser scan unit by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in the developing plate,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simple in construction. On the other hand, this wet printing apparatus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developing plate because the developing plate must include approximately 2,500 × 3,500 = 8,750,000 pixel electrodes and driving transistors for printing at 300 dpi on A4 size paper. In addition, since the developing plate reciprocates, a space occupied by the developing plate becomes large.

따라서, 본 발명은 현상플레이트을 드럼구조로 변경하여 픽셀전극 및 구동 트랜지스터의 수와, 현상플레이트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된 습식 인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t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number of pixel electrodes and driving transistors and the space occupied by the developing plate by changing the developing plate into a drum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습식 인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et printing apparatus.

도 2는 도 1의 일 부분을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FIG. 1;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의 현상드럼과 제1 및 제2전극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drum and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its of a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의 띠전극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도면.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rip electrode of the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의 제2전극유니트의 일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second electrode unit of the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제2전극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FIG.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lectrode unit of FIG. 7; FIG.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의 제2전극유니트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lectrode unit of FIG. 9;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인쇄용지 100...하우징 110...현상드럼1.Printing paper 100 ... Housing 110 ... Symptom drum

120...제1전극유니트 125...띠전극 127...제1제어부120 first electrode unit 125 band electrode 127 first control unit

130...제2전극유니트 131...전극바 132,136,138...픽셀전극130 Second electrode unit 131 Electrode bar 132, 136, 138 Pixel electrode

133...차폐전극 134,134',134...제2제어부133 ... shielding electrode 134,134 ', 134 ... second control part

135...전극롤러 137...전극플레이트 140...현상기통135 Electrode roller 137 Electrode plate 140 Developing vessel

150...현상액 151...토너 153...캐리어150 ... Developer 151 ... Toner 153 ... Carrier

160...스퀴지롤러 170...전사롤러 180...크리닝롤러160 ... squeegee roller 170 ... transfer roller 180 ... cleaning roller

190...현상액 공급통 191...공급관 193...배출관190 ... Developing tank 191 ... Supply pipe 193 ... Outlet pip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현상드럼과; 상기 현상드럼 내에 위치된 제1전극유니트와; 상기 현상드럼에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기통과; 상기 현상기통 내에 수용되며, 토너와, 이 토너를 운반하는 캐리어가 혼합되어 된 현상액과; 상기 제1전극유니트와의 사이에 위치된 현상액이 선택적으로 상기 현상드럼에 묻도록 하는 제2전극유니트와; 상기 현상드럼에 밀착된 채로 회전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드럼의 표면에 묻은 토너가 인쇄용지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 developing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first electrode unit located in the developing drum; A developing cylinder disposed to face the developing drum; A developing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developing cylinder and in which a toner and a carrier for carrying the toner are mixed; A second electrode unit for selectively depositing a developer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developing drum; And a transfer roller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rotat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developing drum, such that a transfer roller for transferring the toner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to printing paper is in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현상드럼 및 제1전극유니트와, 제2전극유니트를 보인 사시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veloping drum, a first electrode unit, and a second electrode unit of FIG. 3.

본 발명의 습식 인쇄장치는 하우징(100)과, 이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드럼(110)과, 상기 현상드럼(110)에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기통(140)과, 상기 현상드럼(110)과 상기 현상기통(14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면에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전극유니트(120)(130)와, 상기 현상기통(140) 내에 수용되며 칼라를 결정하는 토너(151)와 이 토너(151)를 운반하는 액체 캐리어(153)로 구성된 현상액(150)과, 상기 현상드럼(110)의 표면에 묻은 토너(151)가 인쇄용지(1)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롤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et pri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developing drum 110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 developing cylinder 140 disposed to face the developing drum 110, and the developing.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its 120 and 130 installed in the drum 110 and the developing cylinder 140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The developer 150 including the toner 151 accommodated in the developing container 140 and determining a color, a liquid carrier 153 carrying the toner 151, and a toner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151 is configured to include a transfer roller 170 to be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aper (1).

상기 현상드럼(110)은 그 일부가 상기 현상액(150)에 잠기도록 상기 하우징(100)내에 설치되며, 이 현상드럼(1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전극유니트(120)(130)에 의해 그 외주면에 묻은 화상이 인쇄용지(1)에 전사된다. 상기 제1전극유니트(120)는 상기 현상드럼(110) 내에 위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띠전극(125)과, 이 띠전극(125)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제어부(127)를 포함한다. 상기 띠전극(125) 각각은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에 인접되게 위치되며, 상기 제1제어부(127)에 의해 선택적으로 소정 전위를 갖는다. 상기 띠전극(125)은 상기 현상드럼(110)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제1제어부(127)는 상기 하우징(100) 내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1제어부(127)와 상기 띠전극(125) 사이의 전기적 결합은 통상의 회전모터에 채용되는 브러쉬구조 등에 의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전기적 결합은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eveloping drum 11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so that a part of the developing drum 110 is immersed in the developing solution 150,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its 120 and 130 are rotated by the developing drum 110. ), The image buri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transferred to the printing paper 1. The first electrode unit 120 is located in the developing drum 11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band electrodes 125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 first control unit 127 for applying a voltage to each of the band electrodes 125 is provided. ). Each of the strip electrodes 125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and selectively has a predetermined potential by the first controller 127. The band electrode 125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developing drum 110, and the first control unit 127 is fixed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trol unit 127 and the band electrode 125 is possible by a brush structure or the like employed in a conventional rotary motor. As such, the electrical coupling is well known and thus its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상기 띠전극(125) 각각의 폭은 해상도를 나타내는 인치당 도트수를 결정하는 변수이다. 즉, 상기 띠전극(125)의 폭에 대응하여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에 상기 현상액이 달라 붙게 된다.The width of each of the strip electrodes 125 is a variable that determines the number of dots per inch representing the resolution. That is, the developing solution adheres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in correspondence with the width of the band electrode 125.

따라서, 상기 띠전극(12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면쪽으로 뾰족한 삼각기둥형상(125a)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뾰족한 부분을 가짐으로써,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에 달라붙는 현상액(150)이 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and electrode 125 is preferably formed in a triangular prism shape (125a)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as shown in FIG. In this way, by having a pointed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veloper 150 adhering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to spread.

상기 제2전극유니트(130)는 상기 현상기통(140) 내에 상기 현상액(150)에 잠기도록 위치된다. 이 제2전극유니트(130)는 상기 제1전극유니트(120)에 대향되게 배치된 전극바(131)와, 다수의 픽셀전극(132)과, 상기 픽셀전극(132)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제어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is positioned to be immersed in the developing solution 150 in the developing cylinder 140. 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applies a voltage to each of the electrode bar 131 disposed to face the first electrode unit 120, the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132, and the pixel electrodes 132. The second control unit 134 is configured.

상기 전극바(131)는 상기 현상드럼(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띠전극(125)과 마주하는 면에 상기 픽셀전극(132)이 설치된다. 상기 픽셀전극들(132)은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선형상으로 상기 전극바(131)에 설치된다.The electrode bar 131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veloping drum 110, and the pixel electrode 132 is disposed on a surface facing the band electrode 125. The pixel electrodes 132 are installed on the electrode bar 131 in a line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따라서, 상기 제2제어부(134)에서 인가된 신호에 의해 상기 픽셀전극(132)에 선택적으로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1제어부(127)에 의해 상기 띠전극(125)에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픽셀전극(132)과 띠전극(125) 사이에 위치된 현상액(150)은 상기한 전기영동에 의해 띠전극(125) 또는 픽셀전극(132) 쪽으로 향한다. 여기서, 상기 띠전극(125)과 픽셀전극(132)에 각각 인가되는 전위는 서로 다르고, 상기 현상액(150)은 상기 띠전극(125)와 픽셀전극(132)의 중간 전위를 갖는다. 따라서, 전위가 인가되지 않는 픽셀전극(132)과 전위가 인가된 띠전극(125) 사이에 위치된 현상액(150)은 전위가 낮은 픽셀전극(132)쪽에 달라붙게 되어 상기 현상드럼(110)에 화상이 형성되지 않는다. 반대로, 픽셀전극(132)에 상기 띠전극(125)보다 높은 전압이 인가되면, 상기 현상액(150)은 상기 띠전극(125)쪽으로 향하게 되며 상기 현상드럼(110)에 달라 붙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에 의해 원하는 화상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voltage is selectively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132 by a signal applied from the second controller 134 and a voltage is applied to the band electrode 125 by the first controller 127, The developer 150 position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132 and the band electrode 125 is directed toward the band electrode 125 or the pixel electrode 132 by the electrophoresis. Here, the potentials applied to the band electrode 125 and the pixel electrode 13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developer 150 has an intermediate potential between the band electrode 125 and the pixel electrode 132. Accordingly, the developer 150 positioned between the pixel electrode 132 to which no potential is applied and the band electrode 125 to which the potential is applied is stuck to the pixel electrode 132 having a low potential to the development drum 110. No image is formed. On the contrary, when a voltage higher than the band electrode 125 is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132, the developer 150 is directed toward the band electrode 125 and adheres to the developing drum 110. By such development, a desired image can be generated.

상기 픽셀전극(132) 각각은 한 도트에 해당하며, 상기 픽셀전극(132)의 크기가 해상도를 결정하는 변수가 되므로, 상기 픽셀전극(132)들의 사이 간격을 좁힐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상기 픽셀전극(132) 사이의 간격을 지나치게 조밀하게 하는 경우, 일 픽셀전극(132)에 의하여 유동되는 현상액(150)이 바른 위치를 찾지 못하여 색퍼짐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Each of the pixel electrodes 132 corresponds to one dot, and since the size of the pixel electrode 132 becomes a variable for determining the resolution, it is necessary to narrow the interval between the pixel electrodes 132. However, when the spacing between the pixel electrodes 132 is too dense, the developer 150 flowing by the one pixel electrode 132 may not find a correct position, thereby causing color spreading.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셀전극(132) 각각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제어부(134)에 의해 소정 전위가 인가되는 차폐전극(133)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is, as illustrated in FIG. 6, the shielding electrode 133 is disposed to surround each of the pixel electrodes 132 and further includes a shielding electrode 133 to which a predetermined potential is applied by the second control unit 134. desirable.

상기 전사롤러(170)는 상기 현상드럼(110)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현상드럼(110)의 표면에 밀착된 소정 화상을 이루는 토너(151)를 인쇄용지(1)로 전사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사롤러(170)는 소정 전위로 대전되어 있으며, 상기 현상드럼(110)과의 표면에너지 차이에 의하여 화상을 전사시킨다.The transfer roller 170 is dispos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developing drum 110, and transfers the toner 151 forming a predetermined imag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to the printing paper 1. To this end, the transfer roller 170 is charged to a predetermined potential, and transfers the image due to the difference in surface energy with the developing drum 110.

도 3은 상기 인쇄용지(1)가 상기 현상드럼(110)과 전사롤러(170) 사이로 급지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른 형태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즉, 상기 전사롤러(170)의 표면에 상기 현상드럼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시킨후, 상기 전사롤러(170)에 밀착되도록 배치된 퓨징롤러(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전사롤러(170)와 퓨징롤러 사이에 인쇄용지(1)를 급지시킴에 의해 인쇄를 수행할 수 도 있다.3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inting paper 1 is fed between the developing drum 110 and the transfer roller 170, and may be changed to another form. That is, after transferring the image formed in the developing drum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roller 170, and further comprising a fusing roller (not shown) arrang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ransfer roller 170, the transfer roller 170 Printing may be performed by feeding the printing paper 1 between the and the fusing roller.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 및 제2전극유니트(120)(130)에 의해 상기 현상드럼(110)에 묻은 현상액(150) 중 토너(151)와 캐리어(153)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스퀴지롤러(160)와,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크리닝롤러(18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queegee to separate the toner 151 and the carrier 153 of the developer 150 buried in the developing drum 110 b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its (120, 13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roller 160 and a cleaning roller 180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상기 스퀴지롤러(160)는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에 밀착된 채로 상기 제2전극유니트(130)와 상기 전사롤러(170)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전극유니트(120)(130)에 의한 전기영동에 의해 상기 현상드럼(110) 외주에 묻은 현상액(150)중 캐리어(153)를 분리시켜 상기 현상기통(140) 내로 회수시키고, 상기 토너(151)를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에 밀착시킨다.The squeegee roller 160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and the transfer roller 17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Accordingly, the carrier 153 is separated from the developer 150 buri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by electrophoresis by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its 120 and 130, and into the developing cylinder 140. The toner 151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상기 크리닝롤러(180)는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에 밀착된 채로 상기 전사롤러(170)와 상기 제2전극유니트(13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에 잔류하는 토너(151)와 이물질을 제거한다.The cleaning roller 180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fer roller 170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to remain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Remove the toner 151 and the foreign matter.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현상기통(140) 내의 현상액(150)이 일정량을 유지하도록 현상액(150)을 공급하는 현상액 공급통(190)을 구비한다. 이 현상액 공급통(190) 내의 현상액(150)은 현상액 공급통(190)과 현상기통(140)을 연결하는 공급관(191)을 통해 공급되고, 상기 현상기통(140) 내에 현상액(150)이 과다하게 존재하는 경우, 배출관(193)을 통해 상기 현상액 공급통(190)으로 피드백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veloping solution supply cylinder 190 for supplying the developing solution 150 such that the developing solution 150 in the developing cylinder 140 maintains a predetermined amount. The developer 150 in the developer supply container 190 is supplied through a supply pipe 191 which connects the developer supply container 190 and the developer cylinder 140, and the developer 150 is excessive in the developer cylinder 140. If so, it is fed back to the developer supply container 190 through the discharge pipe (193).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7 and 8, a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인쇄장치는 하우징(100)과, 이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드럼(110)과, 상기 현상드럼(110)에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기통(140)과, 상기 현상드럼(110)과 상기 현상기통(14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전극유니트(120)(130)와, 상기 현상기통(140) 내에 수용되는 현상액(150)과,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에 묻은 토너(151)를 인쇄용지로 전사시키는 전사롤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2전극유니트(130)의 구조를 변경한 것에 특징이 있다.As shown, the wet print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100, a developing drum 110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 developing cylinder 140 disposed to face the developing drum 110,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its 120 and 130 installed on the developing drum 110 and the developing cylinder 140 to form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eveloping drum 110, and the developing cylinder. And a developing roller 150 for transferring the toner 151 buri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onto printing paper.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is changed.

상기 제2전극유니트(130)는 상기 현상기통(14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전극롤러(135)과, 상기 전극롤러(135) 외주에 형성된 픽셀전극(136)과, 상기 픽셀전극(136)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제어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is formed on the electrode roller 135 rotatably installed in the developing cylinder 140, the pixel electrode 136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roller 135, and the pixel electrode 136. And a second control unit 134 'for applying a voltage.

상기 전극롤러(135)은 상기 현상드럼(110)에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상기 현상드럼(11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픽셀전극(136)은 상기 전극롤러(135) 외주 전체에 걸쳐 상기 전극롤러(135)의 축방향으로 스트라이프형으로 배치된 플레이트 내에 화소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점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픽셀전극(136) 각각은 독립적으로 전기가 인가되어 구동된다. 상기 각 픽셀전극(136)에 인가되는 전압은 상기 제2제어부(134')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2제어부(134')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픽셀전극(135) 사이의 전기적 결합은 상기한 제1전극유니트의 전기적 결합구조 예컨대, 일반 모터의 브러쉬구조등에 의해 구현 가능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ectrode roller 135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veloping drum 110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eveloping drum 11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pixel electrode 136 is disposed in a dot shape with a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pixel in a plate arranged in a stripe shap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electrode roller 135 over the entir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roller 135. Each of the pixel electrodes 136 is independently driven with electricity. The voltage applied to each pixel electrode 136 is controlled by the second controller 134 ′, and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ontroller 134 ′ and the pixel electrode 135 rotatably installed is performed by the second controller 134 ′. Since the electrical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unit, for example, a brush structure of a general motor can be implemente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에 개시된 참조번호와 동일 참조번호를 갖는 부재들은 실질상 동일 내지 유사한 부재들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전극유니트(120)와 상기 제2전극유니트(13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과정은 일 실시예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Here, member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disclosed in FIGS. 3 to 6 are substantially the same to similar member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by the first electrode unit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9 and 10, a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 인쇄장치는 하우징(100)과, 이 하우징(10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현상드럼(110)과, 상기 현상드럼(110)에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기통과, 상기 현상드럼(110)과 상기 현상기통(140)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전극유니트(120)(130)와, 상기 현상기통(140) 내에 수용되는 현상액(150)과, 상기 현상드럼(110)의 표면에 묻은 토너가 인쇄용지(1)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롤러(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전극유니트(130)의 구조를 변경한 것에 특징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wet printing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100, a developing drum 110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 developing cylinder disposed to face the developing drum 110, and the developing drum ( 110 and 130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developing cylinder 140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its 120 and 130 for form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and in the developing cylinder 140. And a developing roller 150 accommodated therein, and a transfer roller 170 for transferring the toner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to the printing paper 1, and the structure of 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It is characterized by the change.

상기 제2전극유니트(130)는 상기 현상기통(140) 내에 설치된 곡선판형 상의 전극플레이트(137)와, 픽셀전극(138)과, 상기 픽셀전극(138)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제어부(1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includes a curved plate-shaped electrode plate 137 installed in the developing cylinder 140, a pixel electrode 138, and a second control unit 134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pixel electrode 138.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전극플레이트(137)는 상기 현상드럼(110)의 외주면의 일부에 대향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픽셀전극(138)은 상기 전극플레이트(137)의 상기 현상드럼(110)과 마주하는 쪽에 점상으로 배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상기 제2제어부(134)는 상기 픽셀전극(138) 각각에 독립적으로 전압을 인가함에 의해 상기 픽셀전극(138)의 구동을 제어한다.The electrode plate 137 is disposed to face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110. The pixel electrode 138 is disposed on the side facing the developing drum 110 of the electrode plate 137 and is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e second controller 134 controls the driving of the pixel electrode 138 by applying a voltage to each of the pixel electrodes 138 independently.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에 개시된 참조번호와 동일 참조번호를 갖는 부재들은 실질상 동일 내지 유사한 부재들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1전극유니트(120)와 상기 제2전극유니트(130)에 의해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과정은 일 실시예의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Here, member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disclosed in FIGS. 3 to 6 are substantially the same to similar member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since the process of forming the electrostatic latent image by the first electrode unit 120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13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인쇄장치는 현상플레이트를 현상드럼(110)으로 대체하고, 이 현상드럼(110)에 대향되는 현상기통(140) 내에 픽셀전극을 배치시켜 상기 현상드럼(110) 내에 설치된 제1전극유니트(120)와 픽셀전극 사이의 전기영동에 의해 화상을 형성시킴으로써 픽셀전극의 수를 대폭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eloping plate is replaced with the developing drum 110, and the pixel electrode is disposed in the developing cylinder 140 opposite to the developing drum 110. By forming an image by electrophoresis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120 and the pixel electrode installed in the developing drum 110, the number of pixel electrodes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structure of the device can be simplifi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

Claims (9)

하우징과;A housing; 이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외주면에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현상드럼과;A developing drum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n electrostatic latent imag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현상드럼 내에 위치된 제1전극유니트와;A first electrode unit located in the developing drum; 상기 현상드럼에 대향되게 배치된 현상기통과;A developing cylinder disposed to face the developing drum; 상기 현상기통 내에 수용되며, 토너와, 이 토너를 운반하는 캐리어가 혼합되어 된 현상액과;A developing solution accommodated in the developing cylinder and in which a toner and a carrier for carrying the toner are mixed; 상기 제1전극유니트와의 사이에 위치된 현상액이 선택적으로 상기 현상드럼에 묻도록 하는 제2전극유니트와;A second electrode unit for selectively depositing a developer loc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developing drum; 상기 현상드럼에 밀착된 채로 회전되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현상드럼의 표면에 묻은 토너가 인쇄용지로 전사되도록 하는 전사롤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장치.And a transfer roller installed in the housing so as to rotat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developing drum to transfer the toner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onto a printing p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유니트는 상기 현상드럼의 외주에 인접되게 상기 현상드럼 내에 위치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다수의 띠전극과, 상기 띠전극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장치.2. The controller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unit is positioned in the developing drum adjacent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and a plurality of band electrodes to which voltage is independently applied, and a controller to apply a voltage to each of the band electrodes. Wet print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띠전극 각각은 상기 현상드럼의 외주면쪽으로 뾰족한 삼각기둥형상으로 되어 상기 현상드럼 외주의 화상형성라인의 폭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장치.3. The wet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each of the strip electrodes has a sharp triangular prism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veloping drum to reduce the width of the image forming line of the developing drum outer circumfere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유니트는 상기 현상기통 내에 제1전극유니트에 대향되게 배치된 전극바와, 상기 전극플레이트 내에 상호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선형상으로 위치된 다수의 픽셀전극과, 상기 픽셀전극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장치.The display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unit comprises: an electrode bar disposed to face the first electrode unit in the developing cylinder;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linear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electrode plate; And a control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each of the pixel electrod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전극들 각각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현상액을 밀어내도록 소정 전압이 인가되어 상기 현상액이 각 픽셀전극 사이에서 퍼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된 차폐전극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장치.The shielding device of claim 4, wherein a shielding electrode is disposed to surround each of the pixel electrodes, and a shielding electrode is provided to apply a predetermined voltage to push the developer out, thereby preventing the developer from spreading between the pixel electrodes. Wet printing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유니트는 상기 제1전극유니트에 인접되도록 상기 현상기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전극롤러과, 상기 전극롤러의 외주에 형성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픽셀전극과, 상기 픽셀전극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장치.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unit comprises: an electrode roller rotatably disposed in the developing cylinder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unit,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roller and independently driven; And a controller for applying a voltage to each of the pixel electrod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유니트는 상기 제1전극유니트에 인접되도록 상기 현상기통 내에 배치된 곡선판 형상의 전극플레이트와, 상기 전극플레이트의 상기 제1전극유니트와 마주하는 쪽면에 형성되며 각각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다수의 픽셀전극과, 상기 픽셀전극 각각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장치.The electrod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electrode unit is formed on a curved plate-shaped electrode plate disposed in the developing cylinder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on a side facing the first electrode unit of the electrode plate. And a plurality of pixel electrodes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a control unit for applying a voltage to each of the pixel electrode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드럼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2전극유니트와 상기 전사롤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2전극유니트에 의해 상기 현상드럼 외주면에 묻은 현상액중 캐리어를 분리시키고, 상기 토너가 상기 현상드럼에 밀착되도록 하는 스퀴지롤러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장치.8. The developing dru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units ar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electrode unit and the transfer roll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And a squeegee roller which separates the carrier from the stained developer and makes the toner adhere to the developer drum.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드럼의 외주에 밀착되도록 상기 전사롤러와 상기 제2전극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현상드럼의 외주에 잔류하는 현상액을 제거하는 크리닝롤러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인쇄장치.The cleaning rolle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cleaning roller is disposed between the transfer roller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to remove the developer remaining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veloping drum. Wet pri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19970033539A 1997-07-18 1997-07-18 Liquid type printing apparatus KR1002249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539A KR100224907B1 (en) 1997-07-18 1997-07-18 Liquid type prin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3539A KR100224907B1 (en) 1997-07-18 1997-07-18 Liquid type prin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95A KR19990010695A (en) 1999-02-18
KR100224907B1 true KR100224907B1 (en) 1999-10-15

Family

ID=19514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3539A KR100224907B1 (en) 1997-07-18 1997-07-18 Liquid type prin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90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31010A1 (en) * 2018-12-17 2020-06-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ing trans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695A (en) 199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0185A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having aperture electrode with tension application means and tension increasing means and opposing electrode for applying toner image onto image receiving sheet
EP0468604B1 (en) Color imaging system
US5508723A (en) Electric field potential control device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EP3608723A1 (en) Fog development for digital offset printing applications
US4830468A (en) Liquid crystal print bar having a single backplane electrode
JPH0756441A (en) Liquid developing device
US5767879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3247825A (en) Wet diaphragm electrostatic printer
KR100224907B1 (en) Liquid type printing apparatus
US9037048B2 (en) Digital printer having an improved liquid developer supply system
EP1040010A2 (en) Method for positioning a control electrode array in a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device
EP0753412A1 (en) Toner projection printer with improved address electrode structure
EP0816944B1 (en) A direct electrostatic printing (DEP) devic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between printhead structure and toner delivery means
EP0752318A1 (en) Toner projection printer with capacitance-coupled address electrode structure
US6434356B1 (en) Recording apparatus responsive to changing electrical resistance of transfer media
US4326458A (en) Printing apparatus
US598002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flow control which shields extended portion of control electrodes from toner carrying mechanism
CN100555105C (en) Display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4935754A (en) Electrophoretic recording apparatus
JPH1130101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2066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vely delivering an ion stream
JPH112022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80633A (en) Image forming device
JP2735719B2 (en) Image display device
JPH0683204A (en) Image form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