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801B1 - 인체 루멘으로부터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인체 루멘으로부터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801B1
KR100222801B1 KR1019940700175A KR19940700175A KR100222801B1 KR 100222801 B1 KR100222801 B1 KR 100222801B1 KR 1019940700175 A KR1019940700175 A KR 1019940700175A KR 19940700175 A KR19940700175 A KR 19940700175A KR 100222801 B1 KR100222801 B1 KR 10022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elastic
loose
pull wire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 낙 판
마샬 엘. 스톨러
Original Assignee
린다 스티븐슨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736,173 external-priority patent/US5192286A/en
Application filed by 린다 스티븐슨, 더 리전트 오브 더 유니버시티 오브 캘리포니아 filed Critical 린다 스티븐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801B1/ko

Links

Landscapes

  • Surgical Instrument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인체 루멘으로부터 유해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회수 도뇨관(10)은 그것의 단부(16)에 느슨한 네트(26)를 가진 연장 도뇨관 본체(12)를 포함한다. 느슨한 네트는 인체 루멘으로 삽입이 용이하도록 접혀질 수 있으며 유해 물질을 포획하고 회수하도록 개방된다. 요관 결석을 요관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기술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인체 루멘으로부터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인체 루멘(body lumens)으로부터 유해한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의학 기구의 구조와 그 사용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체 루멘으로부터 물질을 포획(capture)하고 회수(retrieve)하기 위하여 네트(net)를 개방하고 폐쇄하도록 그것의 말단부에 느슨한 포획용 네트(slack capture net)를 가지며, 중앙부에는 다른 수단을 가진 도뇨관(catheter)에 관한 것이다.
요관 결석(urethral stones)을 회수하는 것은 아직도 어려운 일이며, 외과 의사에게 있어서도 때때로 실패를 가져온다. 다양한 내시경(endoscope)을 이용하여 직접 가시화하는 방법에 의하여 블라인드(blind) 방식의 회수 기술이 대체되고 있지만, 사용되는 회수 장치의 부적합성 때문에 결석의 회수에는 아직도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요관 결석 회수 장치(ureteral stone retrieval device)는 바스켓(basket), 집게형 겸자(pincer-like forceps), 그래스퍼(grasper), 및 슬링(sling)을 포함하는 몇 개의 카테고리로 분류된다. 바스켓 회수 장치는 일반적으로 작은 결석이나 결석 파편의 통로가 되는 비교적 큰 구멍을 가진 접을 수 있는 와이어 갈퀴 구조물을 사용한다. 또한 큰 결석의 포획은 결석과 결합하기 위한 바스켓의 운동을 자주 방해하므로 어렵다. 바스켓은 또한 요관으로부터 꺼내질 때 결석을 잃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집게형 겸자, 그래스퍼 및 슬링의 사용도 유사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한 번에 하나의 결석을 포획할 수 있다. 때때로, 요도경(ureterscope)을 통한 관찰은 하나의 결석을 포획하는 것도 어려울 정도로 충분치 않다.
이러한 이유로, 결석을 제거하는 동안에 요관 결석을 포획하기 위한 개량된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이 담즙관(biliary tract)으로부터 담즙 결석을 제거하거나, 혈관계(vascular system)로부터 죽종(atheroma)과 플라크(plaque)의 제거를 포함하는 다른 의학적 치료에 사용되는 것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배경 기술의 설명]
미합중국 특허 제 4,706,671 호에는 그것의 단부에 팽창 가능한 헬리컬 코일을 가진 죽종 제거 도뇨관을 기술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650, 466 호에는 팽창 가능한 직물 튜브를 가진 엔지오플라스티(angioplasty) 도뇨관과, 혈관으로부터 튜브에 의하여 분리되는 플라크를 모으기 위한 선택형 외부 필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873,978 호는 분리된 색전물(emboli)을 포획하기 위하여 엔지오플라스티 방법의 하향 흐름이 유도되는 팽창 가능한 스트레이너(strainer)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030,503 호에는 그것의 단부에 헬리컬 와이어 구조를 가진 엠볼렉토미(embolectomy) 도뇨관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인체 루멘으로부터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개량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장치는 그것의 단부에 느슨한 네트(slack net)를 가진 도뇨관 본체를 포함하는 회수 도뇨관이다. 도뇨관은 도뇨관 본체의 중앙부에 느슨한 네트를 개방 및 폐쇄 또는 "접을 수 있는(collapsed)" 수단을 포함하므로 도뇨관은 접혀진 형상의 네트를 가지고 인체 루멘에 주입될 수 있으며, 그 후 네트는 원하는 위치에 도달한 뒤에 벌어진다. 느슨한 네트는 탄력성이 있거나 약간 탄력성 있는 나이론 또는 다른 직물이 바람직한, 투과성 있는 직물을 포함하기 때문에, 네트는 한 번에 많은 조각을 포획할 수 있는 능력으로, 결석, 결석 조각 등과 같은 크고 작은 입자를 포획할 수 있도록 남겨짐으로 해서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허용한다. 어느 정도의 탄력성 있는 직물은 커다란 질량의 물질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적당하며, 인체 루멘으로부터 도뇨관이 꺼내지는 동안에 손실되는 물질과의 유사성을 감소시키도록 포획된 물질을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느슨한 네트는 네트를 유지하기 위한 팽창 가능한 프레임(expandable frame)으로 동작하는 탄성 루프(flexible loop)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탄성 루프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지며, 그 중의 하나는 도뇨관 본체의 단부에 인접하여 부착되고, 다른 단부는, 도뇨관 본체의 중앙 루멘을 통하여 연장되는, 고체 탄성 풀-와이어(pull-wire) 또는 탄성 실린더형 튜브와 같은 탄성 코어(core)에 부착된다. 이렇게 하여, 루프는 반듯이 펴지며, 이것은, 예를 들어, 단부의 연장된 풀-와이어에 인접하여 위치한 접혀진 형상이 된다. 그러나, 중앙 방향으로 풀-와이어를 축위로 잡아당김으로서, 탄성 루프는 일반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재사용되며 느슨한 네트는 회수되는 물질을 수용하기 위하여 벌어지며, 배치된다. 탄성 루프는 윤활 물질로 코우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뇨관을 인체 루멘 내부로 유도하고 용이하게 다룰 수 있도록 친수성 물질로 코우팅되는 것이다.
가장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루프는 1/2 회전(180°)에서 전회전(360°)까지 도뇨관 본체를 감싼다. 이렇게 하여, 느슨한 네트는 탄성 루프가 접힌 형상을 가지고 있을 때 도뇨관 본체 주위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감싼다. 이와 유사하게, 네트는 탄성루프가 열려 있는 형상일 때 도뇨관 본체 주위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도뇨관 본체는 요관, 담즙관(biliary duct), 혈관, 기관지(bronchus), 식도(esophagus), 방광(bladder)등과 같은 원하는 인체 루멘으로 느슨한 네트가 접혀진 상태로 유입된다. 일반적으로, 도뇨관은 종래의 요도투시법(uteroscopy), 형광투시법(fluoroscopy)등과 같은 기술에 의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일단 위치를 잡으면, 느슨한 네트는 인체 루멘의 주요 부분을 가로질러 연장되도록 열려지며, 존재하는 고체 물질을 포획할 수 있다. 느슨한 네트의 침투성에 의하여 오줌, 담즙(bile), 혈액 등의 인체중의 액체가 그것을 통하여 흐르도록 한다. 요관 결석 또는 담즙 결석,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과 같은 고체 물질은 루멘 내에서 도뇨관을 축위로 잡아당겨 포획함으로서, 네트는 물질과 결합한다. 다른 방법으로는, 네트는 예를 들어 혈액에 의하여 운반되는 색전물과 같은 이동하는 인체의 액체에 의하여 운반되는 물질을 포획하도록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케이스로는, 물질이 포획된 후에, 네트는 물질을 고정하도록 접혀질 수 있으며, 그 후에 도뇨관이 인체 루멘으로부터 꺼내진다.
본 발명은 또한 느슨한 네트 없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도뇨관은 탄성 루프 부분에서 의학적 처리를 촉진하기 위하여 인체 공동을 확대하는 엔도스코픽 견인기(endoscopic retractor)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엔도스코픽 견인기의 단부는 결석에 인접한 인체 루멘을 따라서 위치할 수 있다. 결석에 인접하여 적당하게 위치하면, 풀-와이어는 탄성 루프를 확대시키도록 당겨지며, 따라서 결석에 인접한 인체루멘을 열어 준다. 이것은 초음파 또는 레이저 탐침과 같은 다른 엔도스코픽 장치가 결석을 파쇄하도록 결석에 명확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하여 구성된 회수 도뇨관의 사시도로서, 절단면의 중앙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2(a)도는 제1도의 선 2-2에서 본 회수 도뇨관의 전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2(b)도는 제1도의 회수 도뇨관의 단부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3(a)-3(c)도는 요관으로부터 요관 결석을 회수하는 제1도의 회수 도뇨관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4(a)-4(d)도는 제1도의 것보다 탄력성이 적은 네트를 사용하는 제1도의 회수 도뇨관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5(a)도는 그 안에 결석을 가진 인체 루멘과 결석과 인접한 엔도스코픽 탐침의 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5(b)도는 엔도스코픽 탐침의 단부와 결석 사이에 위치한 엔도스코픽 견인기의 탄성 루프 부재를 가진 제5(a)도의 엔도스코픽 탐침, 인체 루멘, 그리고 결석을 도시한 것으로서, 엔도스코픽 견인기는 네트가 없는 것 이외에는 제3(c) 및 4(c)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제6(a)도는 한 쌍의 탄성 루프를 가진 제5(b)도의 엔도스코픽 견인기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6(b)도는 결석의 일측면상에 방사상으로 연장된 상태의 탄성 루프를 가진 제5(b)도와 유사하게 사용된 제6(a)도의 엔도스코픽 견인기를 도시한 것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인체 루멘으로부터 요관의 요관 결석, 담즙관의 담즙 결석, 혈액 속의 죽종과 플라크 등과 같은 잠재적으로 유해한 물질을 포획하고 회수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중앙부와 단부를 가진 연장 본체를 포함하며, 연장 본체의 단부에 또는 인접하여 물질을 회수하고 포획하기 위한 느슨한 네트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도뇨관이 원하는 인체 루멘에 위치하는 동안에 느슨한 네트를 열고 접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렇게 하여, 도뇨관은 폐쇄된 상태의 느슨한 네트와 같이 유입되며 도뇨관은 유입과 위치설정을 위하여 최소의 절단면을 갖는다. 느슨한 네트는 그 후에, 본 발명의 방법과 연관되어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인체 루멘 물질의 포획을 허용하도록 열려 진다.
비록, 탄력성 있는 도뇨관이 대부분의 적용예에 바람직하지만, 본체는 탄성력있거나, 단단하다. 도뇨관 본체의 길이는 적용되는 예에 따라서 변화하며, 약 40 내지 100cm의 길이를 가진 짧은 도뇨관은 요관, 담즙관등으로부터 결석 제거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 내지 150cm 길이를 가진 긴 도뇨관은 대부분 혈관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뇨관 본체의 직경도 또한 적용예에 의존한다. 요관 및 담즙관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도뇨관은 일반적으로 약 4 프렌치(French) 내지 12 프렌치(French)의 직경을 가지며, 일반적으로는 약 5 내지 8 프렌치의 범위이다. 혈관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직경은 6 내지 10 프렌치의 범위이다.
탄성 도뇨관 본체는 실제적으로는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나일론 등과 같은 압출 가공된 유기 중합체(organic polymer)로 만들어진 공동 튜브로 형성된다. 몇 몇 예에서는, 실제로는 끈 모양으로 꼬아지거나 또는 다른 탄성 강화층(reinforcement layer)을 사용하여, 중합체 도뇨관 본체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블라 도뇨관 구조를 준비하기 위한 적당한 물질과 구조 기술은 의학과 과학 논문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느슨한 네트는 침투성이 있거나 또는 그것을 통하여 인체의 액체가 흐르도록 통기성이 있으나, 충분히 작은 크기로 통로를 형성하여 매우 작은 결석이나 또는 포획되는 다른 물질이 그것을 통하여 통과할 수 없다. 종래에는, 느슨한 네트는 직조 또는 비-직조된 직물로서 형성되었으며, 직물을 형성하는 섬유 사이의 틈새가 그곳을 통하여 인체의 액체 흐름을 허용하므로 결석 물질의 포획이 허용된다. 이러한 직물은 실제로는, 바람직하게는 유기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자연 섬유 또는 유기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양립성 물질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얇은 금속의 실도 사용될 수 있다. 적당한 유기중합체는 나일론(nylo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테트라플로레틸렌(polytetrafluorethylene)(PTF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셀룰로우스(celluose), 폴리아세토니트릴(polyacetonitrile)등을 포함한다. 각각의 섬유 또는 섬유 다발(얀(yarn))은 종래의 직조(weaving), 꼬움(braiding), 니팅(knitting)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직물로 제조된다. 직조된 직물의 다공성(porosity)은 직조된 직물 또는 얀 사이의 틈새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며, 직조가 성기면 낮은 유체 저항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특히 바람직한 것은 탄력성이 있거나 없는 직물을 형성하는 가늘고 강한 실로 제조된 직물 물질이다. 직물 물질은 종래의 편물에 사용되는 탄력성 있는 직조 나일론과 같이 약간 탄력성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을 참고하여, 연장 도뇨관 본체의 단부에 느슨한 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바람직한 도뇨관 구조가 설명된다. 회수 도뇨관(10)은 중앙부(14)와 단부(16)를 가진 연장 본체(12)를 포함한다. 풀 와이어(18)는 도뇨관 본체(12)의 축상 루멘(20)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중앙부(24)와 단부(22)를 포함한다. 풀 와이어(18)는 충분한 압축 강도 및 휨강성도(bending stiffness)를 가진 임의의 물질로 형성되어 그것의 단부 근처에 설치된 느슨한 네트 구조물(26)을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풀 와이어는 공동튜브 또는 고체 코어 와이어, 비틀린 스트랜드 와이어, 꼬여진 와이어 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적당한 물질과 구조는 종래의 가이드 와이어이다.
느슨한 네트 구조(26)는 탄성 루프 부재(28)에 고정되며, 이것은 차례로 제1단부(30)에서 연장 본체(12)에, 제2단부(32)에서 풀 와이어(18)에 고정된다. 느슨한 네트(26)는 본질적으로 탄성 루프 부재(28)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부착되어 루프 부재의 위치 및 형상은 느슨한 네트의 외부면을 형성하는데 필요하다.
느슨한 네트는 풀 와이어에 고정되거나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고정되면, 고정 수단은 도뇨관 본체의 루멘(20)의 안과 밖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풀 와이어(18)를 따라서 당겨질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느슨한 네트는 네트가 개방되고 폐쇄됨에 따라서 풀 와이어를 따라서 활주하는 다수의 링(29)으로 활주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풀 와이어(18)는 도뇨관 본체(12)의 루멘 안에서 도뇨관 본체(12)의 중앙부(14)에 부착된 3-링 액츄에이터(actuator) 어셈블리(34)를 사용하여 축상으로 당겨질 수 있다. 3-링 액츄에이터 어셈블리(34)는 중앙 하우징(40)에 부착된 한 쌍의 측면 링(36,38)을 포함한다. 썸(thumb) 링(42)은 하우징(40)의 내부로 연장된 플런저 로드(44)(plunger rod)에 고정되며, 풀 와이어(18)의 중앙부에 고정된다. 이렇게 하여, 의사는 한 손을 사용하여 도뇨관 본체(12)의 단부에 대하여 풀 와이어(18)의 단부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탄성 루프 부재(28)는 축상으로 풀 와이어를 전진시키거나 후퇴시켜서 도뇨관 본체(12)와 풀 와이어(18)에 대하여 열고 접고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단부 방향으로 풀 와이어(18)를 완전히 연장함으로서, 탄성 루프 부재(28)는 접혀지며 풀 와이어(28)(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느슨한 네트구조(26)를 폐쇄한다. 이와는 반대로, 도뇨관 본체(12)(제3(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에 대하여 풀 와이어(18)를 완전히 후퇴시킴으로서, 루프 부재(28)는 느슨한 네트 구조(26)와 같이 완전히 열려지게 된다.
제2(a)도 및 제2(b)도를 참고하면, 도뇨관(10)에 탄성 루프 부재(28)를 부착하는 것은 완전히 개방되면 느슨한 네트의 구조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변경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2(a)도에서, 탄성 부재(28)는 본질적으로 제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향된다. 탄성루프 부재(28)의 단부(30)는 6시 방향에서 도뇨관 본체(12)에 부착되며, 반면에 단부 부착점(32)은 12시 위치에서 풀 와이어(18)에 부착된다. 따라서, 풀 와이어(18)가 완전하게 후퇴되고 루프(28)가 완전히 개방되면, 루프는 연장 본체(12)의 일 측면에 주로 위치한다. 이것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한 형상이다.
또 다른 형상이 제2(b)도에 예시되어 있으며, 탄성 부재(28')는 풀 와이어를 일회전(360°)하여 감싸고 있어서, 루프와 네트(26')는 개방될 때 도뇨관에 대하여 본질적으로 대칭으로 개방된다.
탄성 루프 부재(28)는 기억을 가진 탄력성 있는 물질로 제조되어서 풀 와이어(18)가 후퇴할 때 루프는 미리 설정된 원형의 형상으로 되돌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기억 물질은 금속, 탄성 플라스틱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루프(28)는 원하는 인체 루멘으로의 유입과 조정이 용이한 윤활물질로 코우팅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루프 부재는 친수성 물질로 코우팅하는 것이다. 이러한 윤활성 및/또는 친수성 물질은 최소한의 마찰과 묶음으로 인체 루멘 안으로 도뇨관(10)이 축을 따라서 전진하고 조정될 수 있도록 허용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윤활성 및/또는 친수성 루프 부재는 루프(28)와 느슨한 네트(26)가 결석을 포획하고 회수하도록 허용하는 요도관 또는 담즙관에서 비교적 커다란 결석을 통과하도록 허용한다.
탄성 부재(28)를 코우팅하기 위한 바람직한 물질은 메사츄세츠, 보스톤의 마이크로베이시브(Microvasive)에 의하여 제조된 테루모 글라이드 와이어(Terumo Glide Wire)에 사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제3(a)-3(c)도를 참고하여, 요관 결석(S)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된 본 발명의 방법이 설명된다. 도뇨관(10)은 사이스토스코프(cystoscope) 또는 요도내시경(ureterescope), 또는 가이드 와이어를 통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요관으로 주입된다.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뇨관(10)은 완전히 접혀진 채로 탄성 루프 부재(28)와 같이 삽입된다. 도뇨관은 요도 결석(S)이 탄성 루프 부재(28)와 느슨한 네트 구조(28)에 인접하여 위치할 때까지 전진한다. 네트(26)는 그후에 3-링 어셈블리(34)를 사용하여 풀 와이어(18)를 완전히 후퇴시킴으로서 개방된다. 네트 구조(26)는 제3(b)도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형상이, 제3(c)도에는 완전히 개방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네트 구조(26)가 완전히 개방된 후에, 요관 결석(S)은 중앙부 방향으로 도뇨관(10)을 간단히 끌어줌으로서 포획되며 결석(S)은 느슨한 네트로 들어간다.
결석(S)은 그후에 결석(도시되지 않음) 주위로 네트를 접어주기 위하여 풀 와이어(18)를 앞으로 진행시켜 네트(26)안에 고정된다.
도뇨관(10)은 방사성 또는 혈관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이드 와이어로 진행될 수 있다.
제4(a)-4(d)도에는 제1-3(c)도에 도시된 도뇨관(10)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뇨관(10,10a)의 주요한 차이점은 제1도의 약간 탄력성 있는 네트(26) 대신에 비탄력성 네트(26a)를 사용한 것이다. 제4(a)도는 풀 와이어(18a)가 잡아당겨지거나 또는 후퇴하기 전에 24a의 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4(b)도는 본체(12a)가 결석(S)을 향하여 뒤로 잡아당겨짐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후퇴한 풀 와이어(18a)를 가진 도뇨관(10a)을 도시한 것이다. 제4(c)도는 본질적으로 네트(26a)안에 포획된 결석(S)을 가진 본체(12a)로 후퇴한 풀 와이어(18a)를 가진 도뇨관(10a)을 도시한 것이다. 제4(d)도는 풀 와이어(18a)가 제4(a)도의 일반 위치로 뒤로 연장된 후에 제4(c)도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따라서 인체 루멘 또는 공동으로부터 결석을 꺼내기 위하여 네트(26a)의 결석(S)이 포획된다.
회수 도뇨관(10)은 제5(b)도에 도시된 엔도스코픽 견인기(40)로 만들기 위하여 느슨한 네트 구조(26)를 제거하여 변경할 수 있다. 제5(a)도에는 인체 루멘을 따라서 위치한 결석(S)을 가진 인체 루멘(42)을 도시하고 있다. 엔도스코픽 탐침(46)의 단부(44)는 결석(S)에 인접한 인체 루멘(42)을 따라서 위치한다. 엔도스코픽 견인기(40)의 단부(48)는 그 후에, 탄성 루프 부재(28)와 유사한, 탄성 루프(50)가 단부(44)와 결석(S) 사이에 위치할 때까지 인체 루멘(42)을 통과한다. 풀 와이어(52)는 루프(50)를 둘러싸는 확대 영역(54)을 생성하도록 제5(b)도의 방사상 연장 위치로 가정되는 탄성 루프(50)를 만들도록 잡아당겨진다. 제5(b)도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이것은 엔도스코픽 탐침(46)의 단부(44)의 조정을 위하여 확대된 영역을 제공한다. 엔도스코픽 탐침(46)이 결석(S)을 작은 조각으로 분쇄하는데 사용되는 초음파 또는 레이저 탐침이면, 이것은 견인기(40)에서 매우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제6(a)도는 한 쌍의 축을 따라 분리된 탄성 루프(50,50a)를 사용하는 엔도스코픽 견인기(40)의 또 다른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루프(50)의 구조는 본질적으로 제5(b)도의 구체예에서의 구조와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본체(58)는 루프(50,50a)의 대향 단부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본체 연장부(60)를 포함한다. 탄성 루프(50a)는 일단부에서 본체 연장부(60)에 고정되고 타단부에서 본체(58)에 고정된다. 반면에 루프(50)는 일단부에서 풀 와이어(52)에 연결되고 타단부에서 본체 연장부(60)에 연결된다. 탄성 루프(50,50a)를 결석(50)의 일측면에 위치하게 하는 엔도스코픽 견인기(40a)의 사용이 제6(b)도에 도시되어 있다.
비록 상기의 발명이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첨부한 청구범위의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예를 들어, 부가적인 튜블라 본체가 본체(12) 위에 설치되어 인체 루멘으로 도뇨관(10)을 삽입하는 것을 돕기 위하여 제3(a)도의 접는 위치에서 네트 구조(26)를 활주하게 할 수 있다. 일단 위치가 정해지면, 부가적인 튜블라 본체는 네트 구조(26)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뒤로 잡아당겨진다.

Claims (21)

  1. 중앙부와 단부를 가진 연장 본체; 본체의 단부 근처에 고정되는 탄성 루프 부재; 탄성 루프 내부에 고정되는 느슨한 네트; 및 루프를 열고 닫을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며, 그것에 의하여 느슨한 네트가 물질을 포획하기 위하여 개방되고 포획된 물질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2. 제1항에 있어서, 느슨한 네트를 열어 주고 접기 위한 수단이 탄성 루프와 네트를 열기 위하여 함께 단부를 끌기 위한 루프의 두 단부에 부착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3. 제2항에 있어서, 루프의 두 단부를 함께 끌어주기 위한 수단이 연장 본체에 활주 가능하게 설치된 풀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4. 제1항에 있어서, 느슨한 네트가 침투성 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5. 제4항에 있어서, 느슨한 네트가 탄력성 있는 나일론 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6. 중앙부와 단부를 가진 연장 본체, 단부가 상기 본체의 단부에서 떨어져서 연장되어 있으며, 중앙부와 단부를 가지며 연장 본체에 활주 가능하게 부착된 풀 와이어; 연장 본체의 단부와 풀 와이어의 단부 사이로 연장된 탄성 루프 부재; 및 탄성 루프에 부착된 느슨한 네트를 포함하며, 그것에 의하여 네트가 연장 본체에 대하여 풀 와이어를 축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개방 및 폐쇄형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7. 제6항에 있어서, 연장 본체에 대하여 풀 와이어를 축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연장 본체의 중앙부의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8. 제7항에 있어서, 축상 이동 수단이 3-링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9. 제6항에 있어서, 연장 본체가 풀 와이어를 수용하는 중앙 루멘을 가진 탄성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10. 제6항에 있어서, 풀 와이어가 공동 튜브, 고체 코어 와이어, 비틀린 스트랜드 와이어 또는 꼬여진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11. 제6항에 있어서, 탄성 루프가 윤활성 외부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12. 제11항에 있어서, 탄성 루프가 친수성 외부 표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13. 제6항에 있어서, 느슨한 네트가 침투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14. 제13항에 있어서, 느슨한 네트가 탄력성 있는 나일론 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15. 제13항에 있어서, 느슨한 네트가 친수성 물질로 코우팅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16. 제15항에 있어서, 느슨한 네트가 탄력성 있는 나일론 직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17. 제13항에 있어서, 느슨한 네트가 얇은 금속 실로 만들어진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수 도뇨관.
  18. 중앙부 및 단부를 가진 연장 본체; 본체의 단부에 인접하여 고정되며 본체에 인접한 접힘 위치와 본체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된 연장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탄성 루프 부재; 및 연장 위치에 있을 때 루프 부재의 근방에서 본체 루멘 내부의 확장영역을 생성하기 위하여 접힘 위치와 연장 상태에서 탄성 루프를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루멘에 사용되는 엔도스코픽 견인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연장 본체가 서로에 대하여 축상으로 이동 가능한 제1 및 제2부재를 포함하며; 그리고 탄성 루프 부재가 각각 제1 및 제2부재에 고정된 제1 및 제2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루멘에 사용되는 엔도스코픽 견인기.
  20. 제19항에 있어서, 루프 부재의 제1 및 제2단부가 루프 부재가 접힘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루멘에 사용되는 엔도스코픽 견인기.
  21. 제19항에 있어서, 축상으로 이격된 제1 및 제2루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도스코픽 견인기.
KR1019940700175A 1991-07-26 1992-07-24 인체 루멘으로부터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2228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736,173 1991-07-26
US07/736,173 US5192286A (en) 1991-07-26 1991-07-26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materials from body lumens
PCT/US1992/006169 WO1993002732A1 (en) 1991-07-26 1992-07-24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materials from body lume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2801B1 true KR100222801B1 (ko) 1999-10-01

Family

ID=26784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0175A KR100222801B1 (ko) 1991-07-26 1992-07-24 인체 루멘으로부터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80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117B1 (ko) * 2011-03-28 2013-04-23 주식회사 루트로닉 광과 고주파를 이용한 수술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72847B1 (ko) * 2011-03-24 2013-06-11 주식회사 루트로닉 결석 제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18809B1 (ko) 2012-03-27 2014-07-17 주식회사 루트로닉 신장결석 제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847B1 (ko) * 2011-03-24 2013-06-11 주식회사 루트로닉 결석 제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256117B1 (ko) * 2011-03-28 2013-04-23 주식회사 루트로닉 광과 고주파를 이용한 수술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418809B1 (ko) 2012-03-27 2014-07-17 주식회사 루트로닉 신장결석 제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2286A (en) Method and device for retrieving materials from body lumens
US10076347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a blood vessel
US7534252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a blood vessel
EP1583485B1 (en) Snare retrievable embolic protection filter with guidewire stopper
US6824545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a blood vessel
US20080188876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a blood vessel
US2012028376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a blood vessel
US11134967B2 (en)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s of use
KR100222801B1 (ko) 인체 루멘으로부터 물질을 회수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A3122708A1 (en) Thrombectomy catheter and methods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