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432B1 -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 Google Patents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432B1
KR100222432B1 KR1019970021543A KR19970021543A KR100222432B1 KR 100222432 B1 KR100222432 B1 KR 100222432B1 KR 1019970021543 A KR1019970021543 A KR 1019970021543A KR 19970021543 A KR19970021543 A KR 19970021543A KR 100222432 B1 KR100222432 B1 KR 100222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terminal
microphone
terminal
speak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5449A (ko
Inventor
문선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432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preventing acoustic reaction, i.e. acoustic oscillatory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3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휴대폰과 PDA를 결합한 폴더 형태의 복합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폴더 형태의 복합단말기에서 마이크로폰과 스피커가 복합단말기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한 핸드폰 쪽에만 설치되어 있었으며, 접지를 공유함으로 인해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였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본 발명은 복합단말기의 현재 상태에 따라 별도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의 접지를 분리하기 위한 광결합기와, 복합단말기가 접히거나 펴짐에 관계없이 재생되는 음성을 들을수 있도록 하는 양면 스피커를 가지는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를 구현하였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Description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본 발명은 복합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단말기에 구비된 오디오부에서 발생되는 하울링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복합단말기란 핸드폰(hand phone)과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PDA; Persnal Digital Assistant)가 결합된 장치를 의미한다.
이하 종래 복합단말기에 구비된 오디오부의 구성과 동작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에 해당하는 메인 프로세서 유니트(이하 "MPU"라함)(10)는 복합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의 수행을 제어한다. 상기 MPU(10)는 송,수신 RF신호가 입출력되는 RF단과, 코덱(14)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PCM신호가 인가되는 PCM_Din단과 상기 코덱(14)으로 디지털 음성신호에 해당하는 PCM신호를 출력하는 PCM_Dout단을 가진다. 정전원부(12)는 베터리(26)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안정화하여 마이크로폰(16), 스피커 엠프(18) 등의 복합단말기를 구성하는 파트에서 요구하는 전원을 공급한다. 코덱(14)은 마이크로폰(16)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인 PCM신호로 변환하여 Dout단을 통해 상기 MPU(10)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MPU(10)로부터 디지털신호인 PCM신호를 Din단을 통해 인가받아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엠프(18)로 출력한다. 스피커엠프(18)는 상기 코덱(14)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한다. 대역통과필터(20)는 상기 스피커엠프(18)로부터 증폭되어 인가되는 전기적 음성신호를 음성에 해당하는 대역폭으로 필터링하여 잡음성분이 제거된 순수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스피커(22)는 상기 필터링된 음성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메모리(24)는 상기 MPU(10)에서 요구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복합단말기의 오디오부에서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전원스위치가 온되면 복합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베터리(26)로부터 정전원부(12)를 거쳐 MPU(10), 코덱(14), 마이크로폰(16), 스피커엠프(18) 등으로 공급된다. 상기 전원의 공급에 의해 MPU(10)가 먼저 구동된 후 기타 복합단말기의 다른 구성이 구동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구동된 복합단말기의 음성을 전송하는 동작을 보면, 마이크로폰(16)을 통해 인가된 전기적 음성신호는 코덱(14)에서 PCM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변횐된 PCM신호는 상기 코덱(14)의 Dout단을 통해 출력되어 MPU(10)로 PCM_Din단을 통해 인가된다. 상기 인가된 PCM신호는 MPU(10)에서 압축(compressing) 및 프리엠퍼시스(Pre-Emphasis)된 후 메모리(24)의 데이터와 함께 변조된다. 상기 변조된 RF신호는 무선처리부(도시되지 않음)로 인가되어 안테나를 통해 방사된다.
또한 상기 복합단말기의 수신 음성을 출력하는 동작을 보면, 전파신호는 안테나로 수신되어 무선처리부를 통해 베이스 밴드(base band) 영역으로 떨어져 MPU(10)로 RF신호가 수신된다. 상기 수신된 RF신호는 MPU(10)에서 디엠퍼시스(De-Emphasis) 및 신장(expanding)되어 PCM신호로 PCM_Dout단을 통해 출력된다. 상기 출력된 PCM신호는 코덱(14)의 Din단으로 인가되어 전기적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는 스피커 엠프(18)로 인가되어 증폭되며, 상기 증폭된 신호는 소정 대역폭을 가지는 대역통과필터(20)로 인가된다. 상기 대역통과필터(20)를 통해 음성 대역에 해당하는 신호가 필터링되어 출력되며, 상기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스피커(22)를 통해 가청음으로 재생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고 동작하는 종래의 복합단말기가 사용 용도에 따라 접거나 펴서 사용하는 폴더 형태(folder type)인 경우 마이크로폰과 스피커가 복합단말기가 접힌 상태에서 사용이 가능한 핸드폰 쪽에만 설치되어 있었다.
그로 인해 복합단말기가 펼쳐진 상태에서 PDA를 사용중에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소리가 잘 들리지 않았으며, 착신호(Incoming Call)나 발신호(Outgoing Call)가 발생될 시 덮개를 닫고 핸드폰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합단말기는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의 접지단을 공유함에 따라 접지를 통해 마이크로폰의 음성신호가 스피커로 인가되어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다방향 마이크로폰의 사용으로 음이 사방으로 퍼져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인가되어야 할 음성이 스피커로 인가됨에 따라 하울링 현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단말기의 현재 사용상태에 따라 별도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하는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단말기의 현재 사용상태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양면 스피커를 사용하는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별도의 접지단을 사용하여 하울링 현상을 방지하는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복합단말기에 구비된 오디오부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합단말기에 구비된 오디오부의 블록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광결합기(30,32), 두 개의 스위치(34,36), 두 개의 마이크로폰(38,40), 양면 스피커(42)가 추가되었다.
상기 추가된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광결합기(30)의 발광다이오드 입력단에는 정전원부(12), 출력단에는 제1스위치(34)가 연결되며, 상기 제1광결합기(30)의 수광트랜지스터 콜렉터단에는 코덱(14)의 T+단, 에미터단은 접지된다. 제2광결합기(32)의 발광다이오드 입력단에는 정전원부(12), 출력단에는 제2스위치(36)가 연결되며, 상기 제2광결합기(32)의 수광트랜지스터 콜렉터단에는 코덱(14)의 T-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은 접지된다. 상기 광결합기(30,32)는 정전원부(12)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마이크로폰(38,40)으로 인가하거나 마이크로폰(38,40)을 통해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코덱(14)으로 전송한다.
제1,제2스위치(30,32)는 복합단말기 덮개의 닫힘에 의해 핸드폰으로 동작시 사용되는 제1마이크로폰(38)을 상기 광결합기(30,32)로 연결하며, 상기 덮개의 열림에 의해 PDA로 동작시 사용하는 제2마이크로폰(40)을 상기 광결합기(30,32)로 연결한다. 상기 마이크로폰(38,4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이 사방으로 퍼져 하울링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방향 특성을 가지는 마이크로폰을 사용한다. 스피커(42)는 복합단말기의 열림 또는 닫힘에 관계없이 음성이 출력되도록 양면 스피커를 사용한다.
상기한 구성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폰(38,40)은 광결합기(30,32)의 접지단을 통해 접지하고 스피커(42)는 베터리(26)의 접지단을 통해 접지하여 접지를 통해 발생되는 하울링 현상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폴더 형태의 복합단말기는 덮개가 펴진 상태에서는 PDA와 핸드폰이 모두 동작하며, 덮개가 덮힌 상태에서는 핸드폰만 동작함을 밝혀둔다.
먼저 덮개가 열린 상태의 복합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동작 전원이 정전원부(12)로부터 공급되면 복합단말기는 동작상태가 된다. 상기 덮개가 열리면 제1스위치(34)와 제2스위치(36)은 제2마이크로폰(40)이 제1, 제2광결합기(30,32)로 연결되도록 스위칭된다. 따라서 정전원부(1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제1광결합기(30)와 제1스위치(34)를 통해 상기 제2마이크로폰(40)으로 인가되며, 상기 인가된 전원에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음성신호가 실리게 된다. 상기 음성신호가 실린 전기적신호는 제2스위치(36)와 제2광결합기(32)을 통해 코덱(14)으로 인가되며, 상기 인가된 전기적 음성신호는 상기 코덱(14)에서 PCM신호로 변환되어 MPU(10)로 출력된다.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는 상기 광결합기(30,32)를 통해 코덱(14)으로 인가되므로 제2마이크로폰(40)은 상기 광결합기(30,32)의 접지단을 통해 접지된다.
다음으로 덮개가 덮힌 상태의 복합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동작 전원이 정전원부(12)로부터 공급되면 복합단말기는 동작상태가 된다. 상기 덮개가 덮히면 제1스위치(34)와 제2스위치(36)은 제1마이크로폰(38)이 제1, 제2광결합기(30,32)로 연결되도록 스위칭된다. 따라서 정전원부(1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이 제1광결합기(30)와 제1스위치(34)를 통해 상기 제1마이크로폰(38)으로 인가되며, 상기 인가된 전원에 사용자로부터 인가된 전기적 음성신호가 실리게 된다. 상기 음성신호가 실린 전기적신호는 제2스위치(36)와 제2광결합기(32)을 통해 코덱(14)으로 인가되며, 상기 인가된 전기적 음성신호는 상기 코덱(14)에서 PCM신호로 변환되어 MPU(10)로 출력된다. 상기 전기적 음성신호는 상기 광결합기(30,32)를 통해 코덱(14)으로 인가되므로 제1마이크로폰(38)은 상기 광결합기(30,32)의 접지단을 통해 접지된다.
한편 덮개가 열리거나 덮힘에 관계없이 코덱(14)을 통해 출력되는 음성신호는 스피커 엠프(18)를 통해 증폭된 후 대역통과필터(20)를 통해 필터링되어 양면 스피커(42)에 인가된다. 상기 인가된 음성신호는 양면 스피커(42)를 통해 복합단말기의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동일한 크기의 가청음이 출력된다.
상술함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단말기의 사용상태에 따라 별도의 마이크로폰을 사용함으로서 양질의 통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의 접지를 별도로 사용함으로 하울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폴더 형태를 가지는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합단말기가 접힌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제1마이크로폰과,
    상기 복합단말기가 펴진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제2마이크로폰과,
    별도의 접지단을 가지고 상기 제1마이크로폰 또는 제2마이크로폰으로부터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코덱으로 전송하는 광결합기와,
    상기 복합단말기가 접힌 상태이면 상기 제1마이크로폰을 상기 광결합기에 연결하고 펴진 상태이면 상기 제2마이크로폰을 상기 광결합기로 연결하는 스위치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으로부터 출력되어 스피커 엠프와 대역통과필터를 통해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복합단말기의 외측과 내측에 동시에 출력하는 양면 스피커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KR1019970021543A 1997-05-29 1997-05-29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KR100222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543A KR100222432B1 (ko) 1997-05-29 1997-05-29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543A KR100222432B1 (ko) 1997-05-29 1997-05-29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449A KR19980085449A (ko) 1998-12-05
KR100222432B1 true KR100222432B1 (ko) 1999-10-01

Family

ID=1950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543A KR100222432B1 (ko) 1997-05-29 1997-05-29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243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449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00989A (ja) イヤホン
CN101151875A (zh) 便携式终端
JP2000013294A (ja) 無線送受話器
CN101208940A (zh) 结合耳机和免提功能的扬声器装置
CN108012220B (zh) 音频处理器
JP3398699B2 (ja) 携帯端末装置
US20030076952A1 (en) Earphone capable of automatically receiving telephone calls
KR100222432B1 (ko) 복합단말기의 오디오장치
JP2001339485A (ja) 携帯電話と共同使用可能な固定ネットワーク電話機
JP2003018267A (ja) 携帯電話機
KR100251833B1 (ko) 디지털 셀룰러 무선 복합단말기의 오디오 이득 자동 조절방법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CN203151729U (zh) 一种多功能耳机
JPH10174194A (ja) 移動電話用補聴器アダプタ
KR20020011488A (ko) 리시버-라우드 스피커 통합형의 이중 스피커 및 그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FI81932C (fi) Tvaodelad radiotelefon.
CN211089938U (zh) 耳机音箱组合系统
KR100350930B1 (ko) 무전원 무선 이어폰을 가지는 음성 송수신 시스템
JP2009010900A (ja) 無線中継機
JPH10173745A (ja) カーオーディオ
KR200216357Y1 (ko) 시가잭을 이용한 핸즈프리 장치
KR200166554Y1 (ko) 원터치 감김방식을 갖는 통신용 단말기
US20080043994A1 (en) Telephone having public-address system
CN113014706A (zh) 一种用于移动设备的扬声器驱动方法及电路
CN87205199U (zh) 抗干扰话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