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430B1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 Google Patents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222430B1 KR100222430B1 KR1019970015756A KR19970015756A KR100222430B1 KR 100222430 B1 KR100222430 B1 KR 100222430B1 KR 1019970015756 A KR1019970015756 A KR 1019970015756A KR 19970015756 A KR19970015756 A KR 19970015756A KR 100222430 B1 KR100222430 B1 KR 1002224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ip
- flip cover
- microphone
- main body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18—The hinge comprising input and/or output user interface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에 관한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플립커버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용이하게 본체에서 플립커버가 분리되어 짐으로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리도 스스로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마이크로폰의 출력을 본체의 오디오 회로로 전달할 수 있고, 소형화의 한계를 극복한 플립커버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플립커버에 설치된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평면부, 곡면부 및 슬라이딩 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플립커버의 양 네크부 내부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고정되는 플립단자; 및 플립커버의 개폐유무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면과 접촉 또는 이탈되고, 본체의 오디오회로와 연결되며, 본체양측에 설치되는 탄성력을 구비한 연결단자로 구성되어 마이크로폰과 오디오회로가 플립커버의 개폐유무에 따라 접점식으로 연결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플립형(flip type)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에 마이크로폰(microphone)을 설치하여 접점식으로 본체에 연결한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에 관한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핸드폰, CT-2, 무선전화기, 카폰등의 휴대장치를 칭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신기능을 수행하고,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가 고정장치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면서 통신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전자부품의 고감도 소형화추세에 따라 가고 있으며, 바타입(bar type)과 플립타입(flip type)에서 음의 감도가 탁월한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가 일반화되는 추세이다. 상기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가 일반화되는 이유는 단말기 본체에 설치되는 플립커버가 다수개의 버튼들을 보호하여 버튼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시 음의 반사판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통상적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는 플립커버와, 본체 및 플립커버와 본체를 연결하는 플립커버 개페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플립커버의 개폐여부 및 개폐각도에 따라 통화모드로 자동천이되도록 설계된다. 이때, 통상적인 마이크로폰은 본체의 맨 하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또한 플립커버에 위치할수도 있다. 더욱이 플립커버는 본체에 고정식이 보편적이다.
현재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되는 추세이지만,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귀와 입간의 거리확보를 위해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즉,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송화부와 수화부사이의 거리가 14cm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휴대용 단말기의 크기도 이런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따라서 현재의 휴대용 단말기는 플립커버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며,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를 가속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플립커버형 휴대용 단말기는 플립커버와 본체간에 기구적으로 결합(고정식:한번 조립하면 분해하기가 어려움)으로 인해 플립커버의 파손이 자주 발생된다. 그러므로, 상기 플립커버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할 경우, 상기 플립커버가 파손되면, 마이크로폰이 본체에서 이탈되어 마이크로폰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플립커버에 마이프로폰을 설치하는 휴대용 단말기인 경우, 기계적인 접속에 의해 플립커버에 위치된 마이크로폰과 본체와의 연결은 접속부위의 마모 또는 접속부위의 취약으로 인한 파손등에 의해 내구성을 크게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는 플립커버가 본체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고, 결국은 수리비가 과다로 지출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플립커버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는 방식에 있어서, 복잡한 구성을 이루거나, 본체하측에 설치함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립커버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고, 플립커버와 본체를 슬라이딩 접점식으로 연결하여 플립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용이하게 본체에서 플립커버가 분리되어 짐으로서 기기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리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서 플립커버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고, 상기 플립커버와 본체사이를 슬라이딩 접점방식으로 구현함으로서 마이크로폰의 출력을 본체의 오디오 회로로 전달할 수 있는 플립커버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소형화의 한계를 극복한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립커버에 설치된 마이크로폰; 상기 마이크로폰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평면부, 곡면부 및 슬라이딩 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플립커버의 양 네크부 내부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고정되는 플립단자; 및 플립커버의 개폐유무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면과 접촉 또는 이탈되고, 본체의 오디오회로와 연결되며, 본체양측에 설치되는 탄성력을 구비한 연결단자로 구성되어 마이크로폰과 오디오회로가 플립커버의 개폐유무에 따라 접점식으로 연결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단자를 플립커버에 조립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단자와 마이크로폰이 플립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라인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자가 본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라인 B-B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커버가 본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폰 20 : 플립단자
30 : 연결단자 100 : 본체
200 : 플립커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도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주요구성요소는 플립커버와 본체 및 플립커버 개폐장치로 대별되며, 상기 단말기는 플립커버에 설치된 마이크로폰(10)과, 상기 마이크로폰에 와이어에 연결되어 네크부에 설치된 플립단자 및 상기 플립커버의 개폐여부에 따라서 접촉 또는 이탈하고, 본체의 오디오회로와 연결되는 연결단자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플립단자와 연결단자는 미도시된다.
상기 구성요소를 플립단자와 연결단자로 나누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단자를 플립커버의 네크부에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자가 플립커버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라인 A-A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플립단자(20)는 일종의 바형상(bar type)의 단자로서, 벤딩(bending)함으로서 평면부(21), 곡면부(22) 및 슬라이딩면부(23)로 구성된다. 평면부(21)는 플립커버에 설치된 마이크로폰(10)에 와이어(11)에 의해 연결되고, 곡면부(22)는 네크부(220)내부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시키며, 슬라이딩면부(23)는 네크부(210)의 회전면에 안착구멍(220)을 형성하여 이러한 안착구멍(220)에 고정된다. 따라서 플립단자의 슬라이딩면부(23)는 네크부에 조립시 회전면(222)에 노출된다. 이러한 플립단자(20)는 네크부(220)내면의 걸림부사이이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고정된다. 이는 플립단자(20)가 탄성력을 구비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네크부의 회전면(222)에는 가이드 홈(221)을 형성한다. 이는 플립커버 개폐시, 후술하는 연결단자의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단자가 본체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라인 B-B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은 본체에 연결단자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립커버 개폐장치의 플립모듈(M1,M2)이 양측으로 설치되고, 이러한 본체(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연결단자(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평면부(31)와, 접촉면부(32) 및 걸림부(33)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단자(30)도 상기 플립단자와 동일하게 바형상(bar type)의 단자를 벤딩(bending)하여 형성한다. 상기 평면부(31)는 연결단자(30)를 본체에 고정시키고 오디오회로와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접촉면부(32)는 절곡진 산형상으로, 그의 정점이 본체(100)의 회전면(110)에 노출되게 위치하고, 플립커버의 개폐여부에 따라서 플립단자의 슬라이딩면부와 접촉 또는 이탈을 한다.
또한 상기 걸림면(33)은 접촉면부(32)의 외부로의 과도한 노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단자(30)도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력을 구비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플립커버를 본체에 장착하는 상태를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립커버(200)의 걸림부(211)를 본체의 힌지샤프트의 단부(40)에 삽입한 후, 사용자가 통화를 하지 않을 때(개폐각도 0도)에는 플립단자의 슬라이딩면부(23)와 연결단자의 접촉면부(32)는 이탈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통화를 하기 위하여 플립커버를 열면(통화각도 약 135도 정도), 상기 슬라이딩면부(23)는 회전면(110)을 따라 면접촉을 하면서 이동하고, 동시적으로 상기 접촉면부(32)는 가이드 홈을 따라 면접촉을 하면서 이동한다. 이때, 상기 접점통로는 마이크로폰이 와이어에 의해 플립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플립단자의 슬라이딩면부는 연결단자의 접촉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접촉면부는 본체의 오디오회로와 연결되어 결국은 마이크로폰이 오디오회로에 연결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면과 접촉면이 접촉할 시, 상기 슬라이딩면부(23)와 접촉면부(32)은 탄성력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약간 뒤로 후퇴하면서 접점상태를 항시 유지한다.
이와는 반대로, 통화를 끝내고 플립커버를 닫으면, 상기 슬라이딩면은 접촉면부와 분리되고, 정위치로 복귀한다. 이때는 슬라이딩면과 접촉면이 분리되어 마이크로폰과 본체의 오디오회로와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만약에 플립커버에 심한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본체에서 플립커버가 이탈되고, 사용자는 용이하게 다시 플립커버를 본체에 조립한다. 즉 플립커버가 착탈식이기 때문에 사용자 스스로 수리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착탈가능한 플립커버가 본체에 이탈되었다가 다시 결합하더라도 분리, 조립 및 수리가 용이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며, 플립커버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하여 슬라이딩방식으로 접점을 구현함으로서 소형화의 한계를 극복한다.
Claims (4)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플립커버에 설치된 마이크로폰;상기 마이크로폰에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평면부, 곡면부 및 슬라이딩 면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플립커버의 양 네크부 내부에 긴밀하게 밀착되게 고정되는 플립단자; 및플립커버의 개폐유무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면과 접촉 또는 이탈되고, 본체의 오디오회로와 연결되며, 본체양측에 설치되는 탄성력을 구비한 연결단자로 구성되어 마이크로폰과 오디오회로가 플립커버의 개폐유무에 따라 접점식으로 연결되어짐을 특징으로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이 네크부에 고정되어 노출되도록 안착구멍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단자는 평면부, 접촉면부 및 걸림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면은 본체의 네크부와 접촉하는 회전면에 노출되게 위치함을 특징으로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의 회전면에 슬라이딩이 원할하도록 가이드 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하는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5756A KR100222430B1 (ko) | 1997-04-26 | 1997-04-26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
IL13245798A IL132457A (en) | 1997-04-26 | 1998-04-25 |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
CNB988064138A CN1137564C (zh) | 1997-04-26 | 1998-04-25 | 翻盖式便携手机的麦克风连接装置 |
PCT/KR1998/000102 WO1998049814A1 (en) | 1997-04-26 | 1998-04-25 |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
JP54684198A JP3423003B2 (ja) | 1997-04-26 | 1998-04-25 |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
RU99124767/09A RU2170495C1 (ru) | 1997-04-26 | 1998-04-25 | Устройство подключения микрофона для переносного телефона откидного типа |
EP98917768A EP0978187A1 (en) | 1997-04-26 | 1998-04-25 |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
BR9809775-0A BR9809775A (pt) | 1997-04-26 | 1998-04-25 | Telefone tipo articulado tendo um tampo articulado e um corpo de telefone e dispositivo de conexão de microfone para um telefone portátil |
US09/067,857 US6256481B1 (en) | 1997-04-26 | 1998-04-27 |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
JP2002023691A JP3764922B2 (ja) | 1997-04-26 | 2002-01-31 |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15756A KR100222430B1 (ko) | 1997-04-26 | 1997-04-26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8269A KR19980078269A (ko) | 1998-11-16 |
KR100222430B1 true KR100222430B1 (ko) | 1999-10-01 |
Family
ID=1950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15756A KR100222430B1 (ko) | 1997-04-26 | 1997-04-26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22430B1 (ko) |
-
1997
- 1997-04-26 KR KR1019970015756A patent/KR1002224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78269A (ko) | 1998-1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28315B1 (ko)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 장치 | |
KR100678082B1 (ko) | 폴더 타입 휴대폰에서 메인 보드와 엘씨디 모듈간의연결장치 | |
US6256481B1 (en) | Microphone connecting device for flip type portable telephone | |
JP3764922B2 (ja) | フリップ型携帯電話のマイクロフォン接続装置 | |
KR100283185B1 (ko) | 출몰식 스피커 장치 | |
KR19980085214A (ko) | 플립형 무선전화기의 무접점 마이크로 폰 장치 | |
KR100222430B1 (ko)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 |
KR100247023B1 (ko) | 플립형휴대용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200192881Y1 (ko) | 플립형 휴대폰의 마이크로폰 연결 메카니즘 | |
KR100222431B1 (ko)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접점식 마이크로폰장치 | |
KR100241886B1 (ko) |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
KR100325246B1 (ko) | 플립형 휴대폰에서 힌지 장치에 구비된 자동절환 스위칭 장치 | |
KR100298355B1 (ko) | 플립형 휴대폰의 힌지 장치 | |
KR19990073913A (ko) |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 |
KR100238522B1 (ko)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
KR200184077Y1 (ko) | 휴대폰의 힌지장치 | |
KR100233170B1 (ko) |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
KR100640458B1 (ko) | 와치 타입 텔레폰의 배터리팩 접속장치 | |
KR200221349Y1 (ko) | 플립 업 타입 휴대폰의 플립 커버 멈춤 장치 | |
KR200348925Y1 (ko) | 플립업타입휴대폰의힌지장치 | |
KR100241887B1 (ko) | 플립형 휴대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
KR100238538B1 (ko)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
KR100233088B1 (ko) | 플립형 휴대용 단말기의 플립커버 개폐장치 | |
KR20000004376U (ko) | 플립형 휴대폰의 힌지장치 | |
KR20000014212U (ko) | 플립과 힌지장치간의 결합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