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2271B1 - 분리형 삽입 슈트 - Google Patents

분리형 삽입 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2271B1
KR100222271B1 KR1019950032031A KR19950032031A KR100222271B1 KR 100222271 B1 KR100222271 B1 KR 100222271B1 KR 1019950032031 A KR1019950032031 A KR 1019950032031A KR 19950032031 A KR19950032031 A KR 19950032031A KR 100222271 B1 KR100222271 B1 KR 100222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ute
connecting flange
insert
flang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426A (ko
Inventor
나움부르크 페르
Original Assignee
한스 스트롬
에이비이 센트랄서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스 스트롬, 에이비이 센트랄서그 filed Critical 한스 스트롬
Priority to KR1019950032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2271B1/ko
Priority to PCT/SE1996/001150 priority patent/WO1997011013A1/en
Priority to ES96932114T priority patent/ES2264565T3/es
Priority to EP96932114A priority patent/EP0958205B1/en
Priority to AU71020/96A priority patent/AU7102096A/en
Publication of KR970015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2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7/00Vertical ducts; Channels, e.g. for drainage
    • E04F17/10Arrangements in buildings for the disposal of refuse
    • E04F17/12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65F5/005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by pneumatic means, e.g.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Chut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쓰레기 흡입 시스템과 연통하는 지하의 흡입 이송관(106)에 연결되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분리형 삽입 슈트들(103)로서, 지상의 각 슈트의 상단부는 폐쇄가능한 삽입구멍을 포함하며 지하의 각 슈트의 하단부는 상기 흡입 이송관에 연결되어 있는 분리형 삽입 슈트들(103)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삽입 슈트(103)는 하단부에 연결 플랜지(108a)가 제공된 상부 슈트부(103a), 및 상단부에 연결 플랜지(108e)가 제공된 상부 슈트부(103a)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슈트부(103b)는 상기 흡입 이송관(106)에서 연장하며 그의 상단부에 연결 플랜지(108g)를 가진 분기부(109)내에 수용된다. 상기 하부 슈트부의 연결 플랜지(108e)는 상기 분기부(109)의 연결 플랜지(108g) 및 상부 슈트부의 플랜지(108a) 사이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분기부(109)는 상기 연결 플랜지(108a, 108e, 108g)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접속부(108)가 지면위에 배치되도록 그 지면하의 흡입 이송관(106)의 깊이와 연관된 길이를 가진다.

Description

분리형 삽입 슈트
제1도는 종래의 삽입 슈트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 슈트를, 밸브 수단이 폐쇄된 상태에서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삽입 슈트를 그의 밸브 수단이 개방된 상태로 제2도에 대응하게 나타낸 부분 단면도.
제4도는 밸브 작동수단이 제거된 상태의 삽입 슈트의 상부부분을 제2도의 A-A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5도는 밸브작동수단과 시일 유닛이 제거된 상태의 삽입 슈트의 하부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T자형 피스의 분기부(branching)의 평면도.
제7도는 하부 작동로드의 단부도.
제8(a)도는 작동 로드의 시일유닛의 평면도.
제8(b)도는 시일 유닛을 제8(a)도의 B-B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삽입 슈트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2도에 대응하는 부분 단면도.
제10도는 작동 수단의 이동시의 전달매체에 대한 유밀 시일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9도에 대응하는 단면도, 및
제11도는 제10도의 화살표(C)방향으로 본 제10도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3, 203, 303 : 삽입 슈트부 103a, 203a, 303a : 상부 슈트부
103b, 203b, 303b : 하부 슈트부 106 : 흡입 이송관
108a, 108e, 108g, 208a, 308a : 연결 플랜지
109, 309 : 분기부 112, 312 : 밸브 작동 수단
113, 313 : 전달 링크 116, 316 : 밸브 수단
124 : 고무 몰딩(moulding) 127 : 충전부재
313 : 전달 링크 333 : 액슬 저널(axle journal)
본 발명은 쓰레기 흡입 시스템과 연통하는 지하 흡입 이송관에 연결되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분리형 삽입 슈트에 관한 것으로, 모든 삽입 슈트의 지상측 상단부에는 폐쇄될 수 있는 삽입 구멍이 제공되고 모든 삽입 슈트의 지하측 하단부는 흡입 이송관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예컨대 스웨덴 특허 출원 제 7302382-2호 (공보번호 제381 021호)에 개시된 상기한 종류의 삽입 슈트에 근거하고 있다. 상기 공지된 삽입 슈트는, 가능한 경우 그 삽입 슈트의 하단부에 제공된 밸브 수단을 통해 지하 수집관에 인접한 지면 아래에 제공된다. 삽입 슈트의 연결 지점 근처에서 막히거나 또는 장애가 있는 경우 상기 수집관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또는 정비, 수리 및 밸브 수단 또는 다른 부품을 교환할 수 있도록, 삽입 슈트의 하부 부분은 지면 아래에 제공된 체임버내에 밀폐되고 예컨대 뚜껑을 통해 지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해결방법은, 삽입 슈트가 배치되어질 위치에 땅을 파거나 또는 준설을 해야하고, 또한 작업인이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체임버안으로 어려움없이 내려갈 수 있을 정도의 칫수로 된 체임버를 형성하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본질적으로 체임버의 캐스팅과 관계하여 실행되어야 할 작업 때문에 이중으로 비용을 지출해야 한다. 또한, 자연히 정비 또는 수리 작업이 불편하고 어려우며, 따라서 체임버가 적절한 칫수로 형성되더라도, 부품들이 정위치에서 수리될 수 없고 반드시 제거되거나 또는 교환되어야 할때는 특히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 목적은, 종래 기술의 삽입 슈트와 관련된 전술한 결점들이 해결될 수 있고, 또한 삽입 슈트의 안정적인 작동이 반드시 유지될 수 있는 전술한 종류의 삽입 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특징부분에 개시된 종류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를 따르면, 상기한 종류의 삽입 슈트에는, 또한 밸브 수단 및 그 밸브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되며, 더 구체적으로 정비를 편리하게 하고 실제 밸브 수단에 대한 밸브 작동 수단의 작동상의 이동시에 유밀 전달수단을 제공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스웨덴 특허 출원 제 7302382-2호에 개시되어 본 발명에 참조된 종래기술의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시스템은 지면위에 배치되어 오수등의 쓰레기 수용 수단(2)을 가진 칼럼(1)을 포함한다. 오수등의 쓰레기 수용 수단(2)은 칼럼(1)을 통해 하방으로 뻗어 지면 아래에 제공된 체임버(4)안으로 연장하는 삽입슈트(3)의 상단부 근처에 제공된다. 상기 체임버(4)내에서, 슈트(3)는 적어도 일정기간 동안 흡입용 이송 공기류가 유동하는 쓰레기 흡입관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수집관(6)에 연결된다. 삽입 슈트의 하단부, 즉 수집관(6)으로의 연결측에, 슈트(3)의 하단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밸브수단(5)이 제공될 수 있다. 체임버(4)의 지면 레벨에 뚜껑(7)이 제공되어, 정비 및 수리작업시에 그 뚜껑을 통해 체임버안으로 접근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이러한 설계는, 체임버(4)의 캐스팅을 위한 굴착, 및 정비 및 수리 작업의 불편함과 어려움에 대한 결점들과, 전술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제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슈트가 부분적인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밸브 작동 수단은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제2도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삽입 슈트(103)는 수집관(106)에 연결된 T자형 피스(110)의 분기부(109)에 플랜지 접속부(108)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상부 슈트부(103a)및 하부 슈트부(103b)를 포함한다.
제2도 및 제4도는, 상기 삽입슈트(103)의 상부 슈트부(103a)가 원통형이고 그의 하단부에 장착볼트(108c)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보어들(108b)을 가진 연결 플랜지(108a)가 제공된 것을 나타낸다. 상부 슈트부(103a)의 상단부는 오수등의 수용수단(도시안됨), 예컨대 전술한 스웨덴 특허 출원 명세서에 개시된 종류의 수용수단과 연통하도록 되어있다. 상부 슈트부(103a)의 외부에 사실상 장방형, 박스형태의 상부구조물(111)이 용접되며, 이 구조물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실린더로 구성되었지만, 바람직하게는 공기압 실린더로 구성된 밸브 작동 수단(112)을 수용하게 되어있다. 상기 밸브작동수단(112)의 후방 단부벽은 상부 슈트부(103a)에 피벗가능하게 접속되며 그의 피스톤 로드의 자유단은 상부슈트부(103a)에 회전가능하게 접속된 회전형 전달 링크(113)에 피벗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밸브 작동 로드(114)는 상세하게 후술되는 바와같이 회전형 전달 링크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다. 상부 구조물(111)에는 그의 측면들 중 하나에 뚜껑(115)이 제공되며, 이 뚜껑을 통해 정비 및 수리를 위한 밸브 작동 수단으로의 접근, 및 본 발명의 구성요소가 아니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기술되지는 않았지만 역시 상부 구조물(111)에 제공된 밸브 수단의 제어장비로 접근할 수 있다. 상부 슈트부(103a)의 플랜지(108a)의 돌출부(108d)가 상부 구조물(111)의 하부를 형성하며 그 돌출부(108d)에는 작동 로드(114) 및 와이어들이 통과하여 연장되는 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홈은 상부구조물의 내부를 대기중으로 통풍시키는 역할도 한다.
제2도 및 제5도는, 삽입슈트(103)의 하부 슈트부(103b)도 사실상 원통형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하부 슈트부는 상부 슈트부(103a)의 직경보다 약간 더 크며, 그 이유는 제조공차들로 인해 상하부 슈트들 사이의 전이부에서 쓰레기가 교차되는 것과 같은 어떠한 과정들도 야기되지 않게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슈트의 하부 슈트부(130b)는 그의 상단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 슈트부(103a)의 연결 플랜지의 보어들과 일치되는 보어들(108b)을 가진 연결 플랜지(108e)가 제공되어, 그 보어들을 통해 장착볼트들(108c)이 통과될 수 있다. 상부 슈트부(103a)의 플랜지(108a)의 돌출부(108d)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하부 슈트부(103b)의 플랜지(108e)에도 작동로드(114)가 통과할 수 있는 기다란 홈(111b)을 가진 돌출부(108f)가 제공되며, 그 홈의 길이는 적어도, 하부 슈트부(103b)의 하단부에 피벗가능하게 접속된 플랩(117)으로 구성된 밸브수단(116)이 작동될 때, 작동로드(114)의 이동거리에 대응하게 되어있다. 작동로드(114)의 하단부는 플랩에 부착된 레버(118)와 결합되어, 상기 플랩(117)을 그의 폐쇄 및 개방 위치들(제2도 및 제3도에 비교되어 있음)사이에서 조종한다. 하부 슈트부(103b)의 하단부 둘레에 고무 시일 링(119)이 제공되며, 상기 플랩(117)은 그의 폐쇄위치에서 그 시일 링과 밀봉적으로 결합한다(제2도참조).
제2도 및 제3도는 삽입슈트의 하부 슈트부(103b)를 나타내고 있는데, 밸브(116) 및 작동로드(114)가 T자형 피스(110)의 분기부(109)내에 수용되며, 또한 상기 분기부는 제6도에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같이 사실상 원통형을 가지지만, 하부 슈트부(103b)가 그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 하부 슈트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상기 분기부에는, 횡단면이 사실상 장방형이고 작동로브(114)와 밸브수단(116)을 수용하기 위한 원통형 부분에서 돌출하는 부분(109a)이 제공된다. 상기 슈트와 유사하게, 분기부(109)도 그의 상단부에, 볼트 장착용 보어(108b) 및 돌출부(108h)를 가진 플랜지(108g)를 포함하여, 상기 돌출부(108h)에는 분기부의 원통형 부분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작동로드(114)의 통로의 역할을 하는 홈(11c)이 제공된다.
플랜지(108e)의 상부측에 시일유닛(120)이 나사들에 의해 부착되며 작동로브(114)가 수집관내의 이송 공기류에 거슬러 하부 슈트부(103b)의 플랜지(108e)의 홈(111b)을 통해 통과할때 그 통로를 밀봉하는 역할을 한다. 제8(a)도 및 제8(b)도는, 시일유닛(120)이 장방형 판(121)으로 구성되며 그 장방형 판에는 그의 하면에 가스켓(122)이 접착된 상태로 제공되며, 또한, 조립된 상태에서 플랜지(108e)의 홈(111b)과 일치되는 대응하는 위치에 길이방향 홈(123)이 제공됨을 나타낸다. 상기 장방형판(121)의 상부측에는, 홈(123)의 양측에, 2개의 고무 몰딩(124)이 편평한 바(125) 및 장착나사(126)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무 몰딩은 각각 장방형 판(121)의 폭의 대략 절반을 넘는 폭을 갖게 되어 그 고무몰딩(124)의 자유단 가장자리들이 역전된 V자형으로 서로 밀봉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고무몰딩들(124)사이의 공간을 그들의 가장자리를 근처에서 밀봉시키도록, 예컨대 에폭시 세멘트등의 충전부재들(127)이 접착 또는 하부로부터의 나사조임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적절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시일유닛(120)은 장착나사(128)에 의해 플랜지(108e)에 부착되며 그 장착나사는 이와동시에 고무몰딩(124)에 대한 추가의 고정수단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제7도 및 제2도와 제3도를 참조하면, 작동로드(114)는 편평한 바스틸 또는 이에 상응하는 임의의 다른 형태의 플라스틱등의 블랭크로써 제조되며, 그 작동로드의 2개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가장자리들은 밸브의 작동중에 시일유닛(120)의 고무몰딩과 결합하는 상기 작동로드의 길이를 따라 그의 양측면들을 절단함에 의해 둥글려진다. 횡단면으로 볼때, 각 측면은 길이방향 일 가장자리에서, 캠퍼(chamfer)가 긴쪽을 향해 둥글려져 있는 상태로 그 양측의 긴쪽의 길이방향의 대략적인 중심선쪽으로 절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작동로드(114)의 상기 부분은 단면이 장사방형(rhomboid)으로 형성된다. 또한, 편평한 바 스틸의 칫수가 2070이면, 길이방향 가장자리들의 전술한 둥글려진 부분 또는 절단부가 대략 30의 예각을 갖는 장사방형으로 됨으로써, 작동로드의 밸브 작동을 위한 이동중에 작동로브(114) 및 고무몰딩(124) 사이에 양호한 밀봉이 연속적으로 유지된다.
삽입슈트의 기능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고 있지만, 이에 관한 내용은 예컨대 전술한 스웨덴 특허출원 제7302382-2호에 기재되어 있고 특히 다른 인자들에 따른 밸브 작동에 관하여 설명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밸브수단(116)은, 폐쇄 이동시에 단부를 향하는 작동로브(114)의 연장된 중심선이 피벗전달 링크(113)의 피벗축선을 통과하게 됨에 따라 그의 폐쇄위치로 자동폐쇄됨으로써 밸브부재(117)상에 수집된 쓰레기 및 밀봉압력에 의해 가해지는 힘이, 레버(118) 및 작동로브(114)를 통해 피벗전달 링크(113)를 정지부(113b)에 접하게 되는 대응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작용한다. 작동 실린더(112)는 연속적으로 가압되지 않기 때문에, 밸브가 작동될 때에만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피벗전달 링크(113)를 밸브수단(116)의 완전 개방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대응하는 정지부(113a)가 제공된다.
제2도 및 제3도는, 작동로브(114) 및 밸브수단(116)과 함께 하부 슈트부(103b)를 분기부(109)내로 삽입하여 하부 슈트부의 플랜지(108e)가 분기부(109)의 플랜지(108f)와 접하게 함으로써 삽입슈트가 조립됨을 나타낸다. 상기 플랜지들 사이의 연결부는 하부 슈트부(103b)의 플랜지(108e)의 하면에 가스켓(131)을 접착함에 의해 밀봉된다. 이어서, 상부 슈트부(103a)의 플랜지(108a)가 하부 슈트부의 플랜지(108e)와 접하게 되도록 상부 슈트부(103a)가 하부 슈트부(103b)상에 배치되어, 하부 슈트부(103b)가 상부 슈트부(103a)와 분기부(109)사이에 고정되록 연결볼트(108c)를 삽입하여 조임으로써 플랜지 접속부(108)가 완성된다. 또한, 상부 슈트부(103a)의 플랜지(108a)의 하면에 가스켓(131)이 제공되어, 상하부 슈트부들 사이를 밀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동로브(114)가 피벗전달 링크(113)에 연결되며 이 작업은 뚜껑(115)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쉽게 실행될 수 있다.
분기부(109)의 길이는, 플랜지 접속부(108)가 제3도에 (13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지면 바로위에 위치하도록 결정됨으로써, 수리 및 정비작업이 삽입슈트에 관계된 모든 구성품 또는 부품들상에서 용이하게 실행된다. 밸브작동수단(112), 피벗전달 링크(113) 또는 제어장비상에서 작업이 실행될 때, 뚜껑(115)을 개방하지만 하면 된다. 한편, 밸브수단(116) 또는 그의 시일(119)상에서 작업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작동로드(114)가 제일먼저 피벗전달 링크(113)에서 분리된 다음에 플랜지 접속부(108)의 볼트들(108c)이 풀려지고, 상부 슈트부(103a)가 들어 올려진다. 그 다음, 하부 슈트부(103b)와 밸브수단(116)이 유닛으로 제거됨으로써 그 위치에서 수리작업이 실행되거나 또는 대체유닛이 조립될 수 있어서 삽입슈트가 즉시 재사용될 수 있다. 완전한 삽입슈트(103)를 비교적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교착 및 폐색의 경우에도 용이하게 조처할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슈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이 삽입슈트(203)는 상부슈트부(203a) 및 하부 슈트부(203b)가 일체로 되어있는 유닛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단지 1개의 연결 플랜지(208a)만이 삽입슈트의 상하슈트부들(203a, 203b) 사이의 전이부에서 삽입슈트(203)의 외부에 제공된다. 이 실시예에서, 플랜지 접속부(208)는 삽입슈트(203)상의 상기 단일 연결플랜지(208a) 및 분기부의 연결플랜지(208g)에 의해 형성된다. 분기부의 연결플랜지(208a)는 제1실시예의 연결 플랜지(108a)와 동일하건 또는 상부 구조물의 하부부분을 형성하도록 제1실시예의 연결 프랜지(108a)와 유사하게 약간 개조된다. 상기 연결 플랜지(208a)는 분기부에 대한 밀봉부 및 작동로드의 밀봉된 통로에 관한 한 제1실시예의 연결 플랜지(108e)에 대응하게 되어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나머지 부분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9도에 도시된 삽입슈트의 실시예의 장점은 그의 제조가 간단화 되는 것인데 이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설계의 삽입슈트는 취급하기가 더 어렵게 되며, 그 이유는, 삽입슈트가 분할될 수 있는 제1실시예의 경우가, 어떠한 리프팅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작업을 실행해야 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삽입슈트가 분할될 수 있는 제1실시예에 따르면, 삽입슈트의 부품들이 어떠한 들어올림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고도 두사람에 의해 들어올려질 수 있다.
제10도 및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삽입슈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이 삽입슈트(303)는 제9도의 실시예에 근거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슈트(303)는 상하 슈트부들(303a, 303b)이 일체형이고 단일 연결 플랜지(308a)가 삽입슈트의 상하슈트부들 사이의 전이부에서 삽입슈트(303)의 외부에 제공되는 일체형 구조물이다. 제9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단일 연결 플랜지(308a)는 분기부의 연결 플랜지(307g)와 함께 플랜지 접속부(308)를 형성한다. 그러나, 제10도 및 제11도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부구조물(311)의 하부를 형성하는 단일 플랜지(308a)의 부분에는, 잘 알려져 있다시피, 정비 및/또는 수리를 위해 제공된 접속 및 제거가능한 뚜껑(332)에 의해 덮혀있는 4개의 직립 벽들(331)로 구성되어 돌출하는 박스형 연장부(330)가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308)도 또한, 상부 구조물(340)의 하부를 형성하지 않는 그의 부분이, 주로 수려한 외관을 만들려는 목적으로, 분기부(309)의 외측면과 거의 같은 레벨에 외측 하우징(340)을 형성하도록 상방으로 연장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피벗전달 링크(313)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달 링크와 작동적으로 동일하지만, 상기 전달 링크 레버들을 이동시키는 액슬 저널(333)의 방향으로서로 더욱 변위되어 있는 2개 이상의 별개의 레버들(313a, 313b)로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액슬 저널(333)의 제1단부는 플랜지 연장부(330)의 직립 벽들(331)중 하나의 내측면에 제공된 적절한 베어링(바람직하게는 미끄럼 베어링)(334)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되는 한편 상기 액슬 저널(333)의 중간부분은 플랜지 연장부(330)의 대향하는 직립 측벽(331)에 제공된 다른 베어링(바람직하게는 미끄럼 베어링)(335)에 피벗가능하게 연결된다. 베어링(334)에 지지된 제1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액슬 저널(333)의 타단부는 상기 측벽(331)을 통과하여 연장되며 절술한 실시예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타단부에 고정되어 밸브작동수단(312)에 연결된 상기 하나의 전달 링크 레버(313a)를 이동시킨다.
직립벽들(331)사이, 즉 상기 베어링들(334, 335)사이의 부분에서 액슬 저널(333)은 연결 또는 작동 로드(314)에 연결된 상기 다른 하나의 전달 링크 레버(313b)를 이동시키며, 즉 이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이 작동로드가 특별한 형태로 될 필요가 없다. 전술한 전달링크에 대해서는, 상기 레버들(313a, 3113b)이 베어링들 내에서 회전가능한 액슬 저널(333)에 고정됨을 강조해야 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특히 제11도에 도시된 것처럼, 전술한 실시예들의 연결로드(314)는 삽입슈트(303)의 중심평면에 위치하지만, 작동수단(312)은 전술한 실시예들과 반대로 상기 중심선(CL)의 일측으로 변위된다.
제10도 및 제11도의 실시예에서는, 적절한 베어링 및/또는 보조 가스켓 또는 스터핑 박스를 사용함에 의해, 작동수단(312)에서 밸브(316)로 이동하는 작동시에 엄밀한 유밀 전달이 얻어지게 되어 전체 쓰레기 수집 시스템 뿐만 아니라 삽입 슈트의 정숙하고도 효율적인 작동을 제공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주로 미적인 이유에서, 밸브를 제어 및 작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전선, 케이블, 압축공기관등을 상부 구조물안으로 통과시키기 위해, 상부 구조물의 내측에서 지면(130) 아래의 위치로 인도하는 파이프(336)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케이블 및 관들은 대부분의 경우에 지면에 놓이는데 파이프(336)를 사용함에 의해, 상기 와이어, 케이블 및 관들이 삽입슈트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0도 및 제11도에 따른 실시예의 약간의 개조 내용은 제2도 및 제3도에 따른 삽입슈트의 기본 형태에도 적용가능함으로써, 상기 플랜지 연장부가 상부 슈트부의 플랜지에 제공됨이 바람직하지만, 어떠한 연결 플랜지들에도 제공될 수 있고, 나머지 플랜지들은 연장부 또는 연결 로드 및 전달레버를 수용하기 위한 대응하는 컷아웃(cut-out)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개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른 개조예가 실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밸브 수단이 필요없고, 쓰레기가 직접 수집관으로 떨어지는 서비스 조건에 응용될때는 삽입슈트가 밸브수단 없이 실행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어떤 부분들은 완전한 원통형으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만 결정된다.

Claims (13)

  1. 쓰레기 흡입 시스템과 소통하는 지하의 흡입 이송관에 연결되며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타입의 분리형 삽입 슈트들(103, 203, 303)로서, 지상의 각 슈트의 상단부에는 폐쇄가능한 삽입구멍이 제공되며 지하의 각 슈트의 하단부는 상기 흡입 이송관에 연결되어 있는 분리형 삽입 슈트들(103, 203, 303)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슈트(103, 203, 303)는 상부 슈트부(103a, 203a, 303a) 및 하부 슈트부(103b,203b,303b)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슈트는 상기 상부 슈트부(103a,203a,303a) 및 하부 슈트부(103b, 203b,303b) 사이의 전이 영역내에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연결 플랜지(108a, 108e, 208a, 308a)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슈트부(103b, 203b, 303b)는 흡입 이송관(106)으로부터 연장하며 또한, 그의 상단부에 연결 플랜지(108g, 208g, 308g)가 제공된 분기부(109, 309)내에 수용되며, 상기 삽입 슈트(103, 203, 303)의 하나 이상의 연결 플랜지(108a, 108e, 208a, 308a)는 상기 분기부(109, 309)의 연결 플랜지(108g, 208g, 308g)에 해제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연결 플랜지(108a, 108e, 108g, 208a, 208g, 308a, 308g)에 의해 형성된 플랜지 접속부(108, 208, 308)가 지면(130)위에 배치되도록 상기 분기부((109, 309)는 지면하의 흡입 이송관(106)의 깊이와 연관된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삽입 슈트(103, 203, 303).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슈트(103)는 하단부에 연결 플랜지(108a)가 제공되어 있는 분리형 상부 슈트부(103a), 및 상단부에 연결 플랜지(108e)가 제공되어 있는 분리형 하부 슈트부(103b)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슈트부(103b)의 연결 플랜지(108e)는 상부 슈트부(103a)의 연결 플랜지(108a) 및 분기부(109)의 연결 플랜지(108g) 사이에 해제가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슈트(203,303)는 상부 슈트부(203a,303a) 및 하부 슈트부(203b, 303b)가 서로 일체로 된 하나의 유닛으로 설계되며, 상기 상하부 슈트부들 사이의 전이부에서 상기 삽입 슈트(203,203)의 외측에 연결 플랜지(208a,308a)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부(109,309)는 상기 흡입 이송관(106)에 연결된 T자형 피스(110)의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5.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슈트(103,203,303)내에 제공된 밸브 수단(116,316)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슈트부(103a,203a,303a)는 그 상부 슈트부에 용접되어 있고 밸브 작동 수단(112,312)이 연결되어 있는 박스형 상부 구조물(111,311)을 포함하며, 상기 밸브 작동 수단(1112,312)은 전달링크(113,313)에 연결되고, 상기 전달 링크는 작동로드(114,314)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작동로드(114,314)의 타단부는 상기 하부 슈트(103b, 203b, 303b)의 하단부에 장착된 밸브수단(116,31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슈트(303)의 외측에 제공된 연결 플랜지(308a) 또는 다른 연결 플랜지들에는 상기 전달 링크(313)의 액슬 저널(333)이 피벗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연장부(330)가 제공되며, 상기 전달 링크(313)의 하나의 레버(313b)는 상기 연장부(330) 내측의 액슬 저널에 고정되어 있고 다른 전달 링크 레버(313a)는 상기 연장부(330) 외측에 상기 액슬 저널(333)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슬 저널(333)은, 그의 단부들 중 하나가 상기 연장부(330)의 일측벽(331)의 내측 표면 근처에 연결되고, 그의 다른 단부는 상기 연장부의 대향하는 측벽(331)을 통과하여 연장하며, 상기 전달 링크 레버들(313b, 313a)은 각각 상기 연장부(330)의 다른 측벽(331)의 대향측상의 액슬저널(333)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액슬저널(333)은 유밀 베어링을 통해 상기 다른 측벽(331)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링크(113)가 상기 상부 슈트부(103a, 203a)에 장착되며, 상기 작동로브(114)는 하부 슈트부(103b, 203b)의 연결 플랜지(108e) 또는 삽입슈트(203)의 연결플랜지(208a)내의 통로(111b)및 분기부(109)의 연결 플랜지(108g, 208g)내의 통로(111c)를 통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114)의 밀봉된 통로의 시일유닛(120)은 하부 슈트부(103b)의 연결 플랜지(108e) 또는 삽입슈트(203)의 연결 플랜지(208e)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 유닛(120)은 상기 하부 슈트부(103b)의 연결 플랜지(108e) 또는 삽입 슈트의 연결 플랜지(208e)에 부착된 판(121)으로 구성되며, 상기 판은 작동로드(114)가 통과하여 연장되는 기다란 홈(123)을 가지며, 상기 홈(123)의 각 측면에 고무 몰딩(124)이 고정되며, 상기 고무 몰딩(124)은 각각 상기 판(121)의 폭의 절반을 넘는 폭을 갖게 됨으로써, 상기 고무몰딩(124)의 자유단들이 상기 홈(123)의 길이를 따라 서로 밀봉 결합되며, 상기 고무몰딩(124)의 짧은쪽 가장자리들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도록 충전 부재(12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114)는 편평한 스틸 또는 플라스틱등의 대응하는 블랭크를, 그의 길이 부분을 따라 2개의 대향하는 가장자리들에서 절단 또는 둥글림에 의해, 장사방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12. 제1항, 제2항, 제3항, 제6항, 제7항, 제9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슈트부(103b)의 연결 플랜지(108e)의 하면 또는 삽입 슈트(203, 303)의 연결 플랜지(208a, 308a)에 가스켓(131)이 접착되어, 상기 연결 플랜지 및 상기 분기부(109, 309)의 플랜지(108g, 308g) 사이을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13. 제2항, 제6항, 제7항, 제9항, 제10항 또는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슈트부(103a)와 하부 슈트부(103b)가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상기 하부 슈트부(103b)는 상부 슈트부(103a)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입 슈트.
KR1019950032031A 1995-09-22 1995-09-22 분리형 삽입 슈트 KR100222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031A KR100222271B1 (ko) 1995-09-22 1995-09-22 분리형 삽입 슈트
PCT/SE1996/001150 WO1997011013A1 (en) 1995-09-22 1996-09-16 Isolated insertion chute for suction-operated garbage disposal systems
ES96932114T ES2264565T3 (es) 1995-09-22 1996-09-16 Vertedero de insercion aislado para sistemas de evacuacion de desechos que funciona por aspiracion.
EP96932114A EP0958205B1 (en) 1995-09-22 1996-09-16 Isolated insertion chute for suction-operated garbage disposal systems
AU71020/96A AU7102096A (en) 1995-09-22 1996-09-16 Isolated insertion chute for suction-operated garbage disposal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2031A KR100222271B1 (ko) 1995-09-22 1995-09-22 분리형 삽입 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26A KR970015426A (ko) 1997-04-28
KR100222271B1 true KR100222271B1 (ko) 1999-10-01

Family

ID=1942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031A KR100222271B1 (ko) 1995-09-22 1995-09-22 분리형 삽입 슈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958205B1 (ko)
KR (1) KR100222271B1 (ko)
AU (1) AU7102096A (ko)
ES (1) ES2264565T3 (ko)
WO (1) WO199701101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616B1 (ko) * 2008-06-18 2008-10-27 주식회사 금호환경기술 쓰레기 이송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단속장치
KR100884812B1 (ko) 2007-06-28 2009-02-20 엔백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0919848B1 (ko) * 2007-12-03 2009-09-30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쓰레기 저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39522A1 (en) * 2003-08-04 2008-02-29 Sembcorp Environmental Man Pte Chute intermediate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conveying refuse thereof
ES2319482B1 (es) * 2006-08-03 2009-12-18 Ros Roca S.A. Valvula simple de vertido polivalente.
SE532516C2 (sv) * 2008-06-04 2010-02-16 Logiwaste Ab Schakt för uppsamlingsanläggning samt sammanhängande enhet för schakt med löstagbart monterad enhet innefattande bl.a. ett ventilorgan
KR100896398B1 (ko) * 2009-02-06 2009-05-08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쓰레기 수거시스템의 용적 제한형 쓰레기 투입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6026A (en) * 1965-04-09 1967-04-25 Hallstrom Olof Henrik Arrangement in refuse disposal chutes
SE381021B (sv) * 1973-02-20 1975-11-24 Centralsug Ab Mottagningsanleggning for skrep, sopor och liknande avfall
US4640403A (en) * 1985-02-13 1987-02-03 Mcdermott Daniel R Gravity-conveyor chute section
SE461211B (sv) * 1987-08-17 1990-01-22 Centralsug Ab Anordning vid fristaaende inkastschakt till en avfallssuganlaeggn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4812B1 (ko) 2007-06-28 2009-02-20 엔백 주식회사 쓰레기 자동집하시설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 시스템
KR100919848B1 (ko) * 2007-12-03 2009-09-30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쓰레기 저류장치
KR100865616B1 (ko) * 2008-06-18 2008-10-27 주식회사 금호환경기술 쓰레기 이송 시스템의 쓰레기 투입단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426A (ko) 1997-04-28
WO1997011013A1 (en) 1997-03-27
AU7102096A (en) 1997-04-09
ES2264565T3 (es) 2007-01-01
EP0958205B1 (en) 2005-11-30
EP0958205A1 (en) 1999-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855C (zh) 轨道安装式叠加阀
KR100222271B1 (ko) 분리형 삽입 슈트
EP1544405A3 (en) Underbalanced well completion
US5449146A (en) Gate valve for particulate materials
EP0304407B1 (en) Isolated insertion chute for suction-operated garbage disposal systems
CN2445047Y (zh) 混凝土输送器
CN101848636B (zh) 废料管道分支连接器
US7201361B2 (en) Gate valve having reduced friction
CA2458825C (en) Resilient seat gate valve
KR20100020964A (ko)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쓰레기 수거 시스템
EP1255065B1 (en) Valve
EP1401742B1 (en) Insertion chute
EP0013587A1 (en) Apparatus for compacting waste
US4249561A (en) Piston type cleaning valve
US20060059727A1 (en) Bucket with movable side wings
CN209635138U (zh) 一种压缩式垃圾车的整体式密封盖装置
US9394731B2 (en) Door lock system for debris tank
US7438091B2 (en) Construction machine
CN208695766U (zh) 一种浮动油封油洗装置
US6089530A (en) Gate valve
CN200948956Y (zh) 垃圾站防渗漏装置
KR200237464Y1 (ko) 보수밸브를일체로구성하는공기밸브
EP0828025A3 (en) Improvements in valves
KR200395255Y1 (ko) 콘크리트 펌프카의 차단 회수기
NO165632B (no) Isolert innkastsjakt for sugpaavirket soeppelinnk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50519

Effective date: 20070730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